KR100560903B1 - Method for activating functions using shortcut key in mobile telephone - Google Patents

Method for activating functions using shortcut key in mobile teleph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0903B1
KR100560903B1 KR1020030052528A KR20030052528A KR100560903B1 KR 100560903 B1 KR100560903 B1 KR 100560903B1 KR 1020030052528 A KR1020030052528 A KR 1020030052528A KR 20030052528 A KR20030052528 A KR 20030052528A KR 100560903 B1 KR100560903 B1 KR 1005609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rtcut button
user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fun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252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50014081A (en
Inventor
장병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0300525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0903B1/en
Publication of KR200500140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408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09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090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특정 단축키를 누른 회수에 따라 설정된 기능이 실행되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기능실행방법이 제공된다. 사용자가 단축버튼 설정메뉴를 선택하면, 이동통신 단말기는 단축버튼의 입력 횟수에 따라 실행되는 기능을 설정할 수 있는 화면을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상기 화면에서 단축버튼의 입력 횟수에 따라 실행되는 기능을 설정하면, 이동통신 단말기는 이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및 사용자가 키패드를 통해 단축버튼을 누르면, 이동통신 단말기는 그 회수에 따라 지정된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특정키를 단축버튼으로 정의할 수 있다. 단축버튼의 누르는 회수는 단축버튼을 누르는 간격이 일정 시간 이내를 유지하면서 누른 회수이며, 사용자는 이 일정 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Provided is a method for executing a func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ch executes a set function according to the number of pressing a specific shortcut key. When the user selects the shortcut button setting menu, the mobile terminal displays a screen for setting a function to be execut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input of the shortcut button, and the user executes the function according to the number of input of the shortcut button on the screen. In this cas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tores the memory in a memory and when the user presses a shortcut button through the keypa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xecutes a designated function according to the number of times. The user may define a specific ke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 a shortcut button. The number of times that the shortcut button is pressed is the number of times that the interval between pressing the shortcut button is kept within a predetermined time, and the user can adjust the predetermined time.

사용자, 단축버튼, 메뉴, 이동통신 단말기User, shortcut button, menu, mobile terminal

Description

단축버튼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실행방법{Method for activating functions using shortcut key in mobile telephone} Method for activating functions using shortcut key in mobile telephon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 구성도이다.1 is an internal configuration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축버튼의 입력 횟수에 따른 해당 메뉴를 설정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setting a corresponding menu according to the number of input of a shortcut button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a 내지 도 3f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축버튼의 입력 횟수에 따른 해당 메뉴를 설정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화면예이다.3A to 3F are screen examples showing a process of setting a corresponding menu according to the number of input of a shortcut button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10 : 입력부 120 : 표시부110: input unit 120: display unit

130 : 메모리 140 : 제어부 130: memory 140: control unit

150 : 무선 회로부 160 : 기저대역 처리부150: wireless circuit unit 160: baseband processing unit

170 : 보코더 180 : 아날로그 음성처리부
170: vocoder 180: analog voice processing uni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실행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의 특정키를 단축버튼으로 정의하고 사용자 메뉴에서 단축버튼의 입력 횟수에 따라 실행되는 메뉴를 설정하여 두고, 사용자가 키패드를 통해 단축버튼을 누르면 이동통신 단말기는 그 누른 회수에 따라 해당되는 메뉴를 실행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실행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executing a func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ore specifically, a user defines a specific key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 a shortcut button and sets a menu to be execut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input of the shortcut button in a user menu. When the user presses a shortcut button through the keypa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lates to a method of executing a fun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executes a corresponding menu according to the number of times of pressing.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대방과의 무선통신을 수행하는데 주로 이용되지만, 최근에는 통신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서 다양한 부가 서비스들이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부가 서비스의 제공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에는 전화부, 단축다이얼 지정기능, 잠금기능 등과 같은 다양한 메뉴항목이 설정되어 있다. In general,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mainly used to perform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other party, but recently, various additional services are provided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ue to the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technology. According to the provision of the additional service, various menu items such as a phone book, a speed dial designation function, and a lock function are set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원하는 메뉴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여러 단계를 거쳐야만 가능했다. 예를 들면,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다른 사람에게 문자메시지를 보내기 위해 사용자 메뉴에서 메시지를 선택하는 제1단계와, 발신함을 선택하는 제2단계와, 메시지 작성을 선택하는 제3단계를 거쳐야만 문자메시지를 보낼 수 있었다. 따라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메뉴에서 사용자가 문자메시지를 상대방에게 보내기 위해서 여러 단계를 거쳐야 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In order to use the menu desired by the mobile terminal user, it was possible to go through several steps. For example, a mobile terminal user needs to go through a first step of selecting a message from a user menu, a second step of selecting an outbox, and a third step of selecting a message to send a text message to another person. Could send a message. Therefore, in the user menu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user has to go through several steps in order to send a text message to the other party.

한편, 종래의 이동통신단말기에서는 특정 버튼에 특정 기능을 설정하여 해당 버튼을 눌러서 해당 기능을 실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각 버튼에 하나의 기능만을 설정할 수 있을 뿐 하나의 버튼에 다수의 기능을 설정할 수는 없었다. 따라서, 특정 기능을 실행시키려면 해당 버튼을 찾아서 눌러야 하므로 불편하 였다.
Meanwhile, in the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specific function is set to a specific button so that the corresponding function can be executed by pressing the corresponding button. However, only one function can be set for each button, and multiple functions cannot be set for one button. Therefore, it was inconvenient to find and press the corresponding button to execute a specific function.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특정 버튼을 누른 회수에 따라 설정된 기능이 실행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기능실행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mentioned features, and is characterized by providing a function execution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ch executes a function set according to the number of times of pressing a specific button.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단축버튼 설정메뉴를 선택하면 이동통신 단말기가 단축버튼의 입력 횟수에 따라 실행되는 기능을 설정할 수 있는 화면을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상기 화면에서 단축버튼의 입력 횟수에 따라 실행되는 기능을 설정하면 이동통신 단말기가 이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및 사용자가 키패드를 통해 단축버튼을 누르면 이동통신 단말기가 그 회수에 따라 지정된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특정키를 단축버튼으로 정의할 수 있다. 단축버튼의 누르는 회수는 단축버튼을 누르는 간격이 일정 시간 이내를 유지하면서 누른 회수이며, 사용자는 이 일정 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f the user selects a shortcut button setting menu, the mobile terminal displays a screen for setting a function to be execut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input of the shortcut button, and the user shortens on the screen Setting a function to be execut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times of inputting a button includes storing the same in a memory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executing the designated function according to the number of times when the user presses a shortcut button through the keypad. The user may define a specific ke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 a shortcut button. The number of times that the shortcut button is pressed is the number of times that the interval between pressing the shortcut button is kept within a predetermined time, and the user can adjust the predetermined time.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 구성도로서, 입력부(110), 표시부(120), 메모리(130), 제어부(140), 무선 회로부(150), 기저대역 처리부(160), 보코더(170), 아날로그 음성처리부(180) 등으로 구성이 이루어진다.1 is an internal configuration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ncludes an input unit 110, a display unit 120, a memory 130, a controller 140, a wireless circuit unit 150, a baseband processor 160, and a vocoder. 170, the analog voice processing unit 180 is configured.

입력부(110)는 키패드, 조그셔틀, 포인트스틱, 터치스크린 등 다양한 소자가 사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선택하거나 정보를 입력할 때 사용된다. The input unit 110 may use various devices such as a keypad, a jog shuttle, a point stick, and a touch screen, and is used when a user selects a desired function or inputs information.

표시부(120)는 사용자에게 여러가지 정보를 보여주기 위한 것으로서, LCD(liquid cystal display)가 주로 사용된다.The display unit 120 is for showing various information to the user, and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is mainly used.

메모리(130)는 이동통신단말기가 동작하는데 필요한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으며, EPROM(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SRAM(Statice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등 다양한 소자가 사용될 수 있다. The memory 130 stores programs and data necessary fo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operate, and various devices such as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PROM), statistical random access memory (SRAM), and flash memory may be used.

제어부(140)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제어부(140)는 마이크로프로세서나 DSP(Digital Signal Processor)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어부(140)는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메뉴를 통해 단축버튼의 입력 횟수에 따라 특정메뉴를 설정하고 사용자가 단축버튼을 누르면,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가 설정한 해당 메뉴를 실행하여 화면에 디스플레이 한다.The controller 14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controller 140 may be a microprocessor or a digital signal processor (DSP).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er 140 sets a specific menu according to the number of input of the shortcut button through the user menu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when the user presses the shortcut button, the mobile terminal executes the corresponding menu set by the user. Display on the screen.

무선 회로부(150)는 무선으로 기지국과 음성 및 제어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회로이다. 외부의 이동통신 단말기가 발송하는 전화통화나 단문메시지를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하고 이를 제어부(140)에 전송하거나, 메모리(130)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안테나를 통해 발신자의 전화기에게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wireless circuit unit 150 is a circu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voice and control information with a base station wirelessly. Receives a telephone call or a short message sent by an exter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an antenna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ler 140, or transmits data stored in the memory 130 to the caller's telephone through the antenna. do.

기저대역 처리부(160)는 기저대역(baseband)에서의 채널코딩을 위한 신호처리부이다.The baseband processor 160 is a signal processor for channel coding in baseband.

보코더(170)는 압축되지 않은 디지털 음성신호를 압축하고, 압축된 디지털 음성신호의 압축을 푸는 역할을 한다. 보코더(170)는 하드웨어로 구현할 수도 있으며, 소프트웨어로 구현할 수도 있다.The vocoder 170 compresses the uncompressed digital voice signal and decompresses the compressed digital voice signal. The vocoder 170 may be implemented in hardware or in software.

아날로그 음성 처리부(180)는 보코더로부터의 디지털 음성신호를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하고 증폭하여 스피커(SP)로 출력하거나, 마이크(MIC)로부터의 음성신호를 증폭하고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The analog voice processing unit 180 converts and amplifies the digital voice signal from the vocoder into an analog voice signal and outputs it to the speaker SP, or amplifies the voice signal from the microphone MIC and converts the digital voice signal into a digital signal.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사용자가 단축버튼의 입력 횟수에 따라 실행되는 기능을 설정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setting a function executed by a user according to the number of input of a shortcut button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메뉴에는 단축버튼의 메뉴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메뉴가 미리 추가되어 있다. 도 3a에 보여진 것처럼, 사용자는 키패드를 눌러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메뉴를 통해 단축버튼 설정 메뉴를 선택한다(S200). 그러면, 이동통신 단말기는 단축버튼에 기능을 할당할 수 있는 메뉴와 단축버튼 속도를 설정할 수 있는 단축버튼 속도 설정 메뉴항목을 도 3b에 보여진 것처럼 화면에 디스플레이 한다(S202). In the user menu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menu for setting a menu function of a shortcut button is added in advance. As shown in Figure 3a, the user presses the keypad to select a shortcut button setting menu through the user menu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200). T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isplays a menu for assigning a function to a shortcut button and a shortcut button speed setting menu item for setting a shortcut button speed, as shown in FIG. 3B (S202).

도 3b에서 사용자가 단축버튼 메뉴를 선택하면(S204), 이동통신 단말기는 도 3c에서와 같이 단축버튼의 입력 횟수에 따라 특정메뉴를 설정할 수 있는 화면을 디 스플레이 한다(S206). 사용자는 단축버튼의 입력 횟수에 따라 실행되는 기능을 설정하고 저장 버튼을 누름으로써 이를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모리에 저장한다(S208). When the user selects the shortcut button menu in FIG. 3B (S204),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isplays a screen for setting a specific menu according to the number of input of the shortcut button as in FIG. 3C (S206). The user sets a function to be execut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input of the shortcut button and presses the save button to store it in the memor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208).

본 발명에서 단축버튼을 여러번 누를 때에는 각 누르는 간격이 일정 시간 이내여야 한다. 즉, 마우스의 더블 클릭(double click)이 일정 시간 이내에 버튼을 두번 클릭하여야 되는 것처럼 사용자도 적어도 일정 시간 간격마다 단축버튼을 눌러야 한다. 그런데, 사용자마다 단축버튼을 누르는 속도가 다를 수 있다. 즉, 단축버튼을 빨리 누를 수 없는 사람은 설정된 단축 기능을 실행하기 위하여 단축버튼을 2회 입력하였지만, 그 속도가 느려서 이동통신단말기에서는 이를 단축버튼을 1회 입력하는 것을 2번 반복한 것으로 받아들일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를 대비하여,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메뉴를 통해 단축버튼의 입력속도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When pressing the shortcut button several times in the present invention, each pressing interval should be within a certain time. That is, the user must press the shortcut button at least at regular intervals, as a double click of the mouse requires the user to click the button twice within a predetermined time period. However, the speed of pressing the shortcut button may vary for each user. That is, a person who cannot press the shortcut button quickly inputs the shortcut button twice to execute the set shortcut function. However, because the speed is slow,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ay accept that the shortcut button is repeatedly input once. It may be.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user can set the input speed of the shortcut button through the user menu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3b에서 사용자가 단축버튼 속도 메뉴를 선택하면, 사용자가 단축버튼의 입력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도 3d와 같은 화면이 디스플레이 된다. 이 화면에서 사용자는 단축버튼의 입력속도를 설정하기 위해 키패드를 눌러 단축버튼 속도를 선택한 다음에 저장 버튼을 누름으로써 이를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모리에 저장한다. 도 3d는 사용자가 단축버튼 속도 메뉴에서 단축버튼 입력속도를 "느림"으로 설정한 화면예를 보여주고 있다. When the user selects the shortcut button speed menu in FIG. 3B, a screen as shown in FIG. 3D, in which the user adjusts the input speed of the shortcut button, is displayed. In this screen, the user selects the speed of the shortcut button by pressing the keypad to set the input speed of the shortcut button, and then saves it in the memor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y pressing the save button. FIG. 3D shows an example of a screen in which the user sets the shortcut button input speed to “slow” in the shortcut button speed menu.

이와 같이 사용자가 단축버튼의 입력횟수에 따라 실행되는 기능을 설정한 후에 사용자가 단축버튼을 누르면, 그 회수에 따라서 설정된 기능이 실행된다. 도 3e는 사용자가 단축버튼을 1회 누른 경우에 나타나는 화면이다. 즉, 단축버튼을 1회 누르면, 도 3c에 단축버튼 1회입력에 할당된 기능인 "SPEED 찾기" 기능이 실행된다. 사용자가 단축버튼을 3회 입력하였다면, 도 3f에 보여진 것처럼 "착신벨 설정" 기능이 설정되어 착신벨을 설정할 수 있는 화면이 디스플레이 된다. 또한, 사용자가 단축버튼을 연속적으로 즉, 길게 일정 시간 이상 입력하면, 이동통신 단말기는 설정되어 있는 "자동응답" 기능을 실행한다. When the user presses the shortcut button after setting the function to be executed according to the input frequency of the shortcut button, the set function is execut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times. 3E is a screen shown when a user presses a shortcut button once. That is, when the shortcut button is pressed once, the " SPEED search " function, which is a function assigned to one shortcut button input in Fig. 3C, is executed. If the user inputs the shortcut button three times, as shown in FIG. 3F, the "ring ring setting" function is set to display a screen for setting the ring tone. Further, when the user inputs the shortcut buttons continuously, i.e., longer than a predetermined tim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xecutes the set "auto answer" function.

한편, 단축버튼으로는 이동통신단말기에 마련되어 있는 "OK" 버튼(선택된 메뉴를 실행할 때 누르는 버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o use the "OK" button (button pressed when executing the selected menu) provid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 a shortcut butt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사용자가 "OK" 버튼을 일반 기능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단축 버튼으로 사용하는 옵션 중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It is also possible for the user to select one of the options for using the "OK" button as a normal function or as a shortcut button.

이상 본 발명을 몇 가지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들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제시된 권리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변화와 수정을 가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While the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using some preferred embodiments, these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rights set forth in the appended claims.

이상 설명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의 특정키를 단축버튼으로 정의하고 사용자 메뉴에서 단축버튼의 입력 횟수에 따라 실행되는 기능을 설정하여 두고, 사용자가 키패드를 통해 단축버튼을 누르면 그 회수에 따라 설정된 기능을 실행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defines a specific ke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 a shortcut button and sets a function to be execut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input of the shortcut button in the user menu, and when the user presses the shortcut button through the keypad, By executing a function set according to the number of times, the user's convenience can be increased.

Claims (5)

사용자가 단축버튼 설정메뉴를 선택하면, 이동통신 단말기는 단축버튼의 입력 횟수에 따라 실행되는 기능을 설정할 수 있는 화면을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When the user selects a shortcut button setting menu,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isplaying a screen for setting a function to be execut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input of the shortcut button; 사용자가 상기 화면에서 단축버튼의 입력 횟수에 따라 실행되는 기능을 설정하면, 이동통신 단말기는 이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If the user sets a function to be execut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input of the shortcut button on the scre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toring the function in a memory; 이동통신 단말기의 특정키를 단축버튼으로 정의하는 단계; 및Defining a specific ke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 a shortcut button; And 사용자가 키패드를 통해 단축버튼을 누르면, 이동통신 단말기는 그 회수에 따라 지정된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When the user presses a shortcut button through the keypad, the mobile terminal executes the designated function according to the number of times. 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실행방법.Function execution metho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키는 선택된 메뉴를 실행할 때 사용하는 "OK" 버튼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실행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pecific key is an "OK" button used to execute a selected menu.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단축버튼의 누르는 회수는 단축버튼을 누르는 간격이 일정 시간 이내를 유지하면서 누른 회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실행방법.The number of times the shortcut button is pressed is the number of times of pressing the shortcut button while maintaining the interval within a predetermined time. 제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일정 시간을 사용자가 지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축버튼 설정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designating the predetermined time by the user.
KR1020030052528A 2003-07-30 2003-07-30 Method for activating functions using shortcut key in mobile telephone KR10056090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2528A KR100560903B1 (en) 2003-07-30 2003-07-30 Method for activating functions using shortcut key in mobile teleph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2528A KR100560903B1 (en) 2003-07-30 2003-07-30 Method for activating functions using shortcut key in mobile telepho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4081A KR20050014081A (en) 2005-02-07
KR100560903B1 true KR100560903B1 (en) 2006-03-13

Family

ID=372252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2528A KR100560903B1 (en) 2003-07-30 2003-07-30 Method for activating functions using shortcut key in mobile telepho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0903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4548B1 (en) 2013-05-07 2013-12-23 홍진규 Trade system and trade apparatus for traiding financial good and trading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15409B2 (en) 2005-05-20 2010-07-28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Continuous click device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execution method thereo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4548B1 (en) 2013-05-07 2013-12-23 홍진규 Trade system and trade apparatus for traiding financial good and trad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4081A (en) 2005-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4704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capable of changing setting with the position of that
JP2005102320A (en) Radio telephone set
US7271705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providing progressive alarm function
KR20050037613A (en) Method for setting user mode of mobile phone
JP2002185599A (en) Portable telephone and method of displaying its menu
KR100560903B1 (en) Method for activating functions using shortcut key in mobile telephone
KR20070023049A (en) User interface method for silver ages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2002229719A (en) Touch panel type cellphone and operating method for changing its function
US756446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hanging colors of data and a background in a portable terminal
JP2002101181A (en) Information processor
KR100563702B1 (en) Method for processing the phone book of mobile phone
JP2003174497A (en) Portable telephone set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KR100618426B1 (en) Personal digital assistant with mode dial and method for setting keypad
KR100469491B1 (en) Method for dialing simply and mobile communication device implementing the same
KR100447877B1 (en) Method for drawing icons used as shortcut function and special character
KR100692754B1 (en) Method for editing telephone directory in mobile phone
KR20000056682A (en) Method for embodying a telephone directory function of mobile stations
KR20050042308A (en) Method for scrolling menu according to moving of slide and mobile phone realizing the same
KR100428851B1 (en) Method for setting short-cut menu
KR100560908B1 (en) Method for displaying information in mobile phone
KR101072217B1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voice help message output method thereof
KR100701946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phone number input enable for user to set and its setting method
KR20040093347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tting time to release manner function in mobile station
KR20000003369A (en) Receiving sound for user recording method of mobile telephone
KR20020011194A (en) User menu selecting method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2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