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35743A - 현탁중합으로 입도분포도가 균일한 비닐계 고분자 입자의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현탁중합으로 입도분포도가 균일한 비닐계 고분자 입자의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35743A
KR20050035743A KR1020030071507A KR20030071507A KR20050035743A KR 20050035743 A KR20050035743 A KR 20050035743A KR 1020030071507 A KR1020030071507 A KR 1020030071507A KR 20030071507 A KR20030071507 A KR 20030071507A KR 20050035743 A KR20050035743 A KR 200500357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mer particles
parts
polymerization
organic solvent
produ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15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72013B1 (ko
Inventor
최순자
심상은
김기정
Original Assignee
최순자
심상은
홍인테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순자, 심상은, 홍인테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최순자
Priority to KR10200300715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2013B1/ko
Publication of KR200500357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57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20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20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12Polymerisation in non-solvents
    • C08F2/16Aqueous medium
    • C08F2/20Aqueous medium with the aid of macromolecular dispers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112/00Hom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 C08F112/02Monomers containing only on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
    • C08F112/04Monomers containing only on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 containing one ring
    • C08F112/06Hydrocarbons
    • C08F112/08Styren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merisation Method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현탁중합으로 입도분포도가 균일한 비닐계 고분자 입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불포화 비닐계 단량체와 중합 개시제가 용해된 유기용매에 분산 안정제가 용해된 물을 적정량 첨가하여 액적을 형성한 후, 이를 현탁중합하는 일련의 단일 공정으로, 종래의 기계적 장치를 이용하여 입도를 제어한 현탁중합에 비해 매우 균일한 입경을 가져 다양한 산업분야에 유용하게 이용되는 입도분포도가 균일한 비닐계 고분자 입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현탁중합으로 입도분포도가 균일한 비닐계 고분자 입자의 제조방법{Process for preparing monodisperse polymer particles by suspension polymerization}
본 발명은 현탁중합으로 입도분포도가 균일한 비닐계 고분자 입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불포화 비닐계 단량체와 중합 개시제가 용해된 유기용매에 분산 안정제가 용해된 물을 적정량 첨가하여 액적을 형성한 후, 이를 현탁중합하는 일련의 단일 공정으로, 종래의 기계적 장치를 이용하여 입도를 제어한 현탁중합에 비해 매우 균일한 입경을 가져 다양한 산업분야에 유용하게 이용되는 입도분포도가 균일한 비닐계 고분자 입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비닐계 단량체를 이용하여 고분자 입자를 제조하는 방법에는 크게 유화중합(emulsion polymerization), 분산중합(dispersion polymerization), 씨드중합 (seeded polymerization) 및 현탁중합(suspension polymerization) 등이 있다.
고분자 입자 제조방법 중, 먼저 유화중합은 입자크기 분포도가 극히 균일한 입자를 제조하는데 유용한 방법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이 방법으로 제조되는 고분자 입자는 직경이 1 ㎛를 넘지 못하며 또한 입자의 안정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계면활성제가 입자의 표면에 흡착되어 이로 인해 거품이 일어나거나 고분자의 물성 저하 등의 단점이 있다.
분산중합은 중합 반응에 사용되는 반응매질인 에탄올 및 메탄올 등을 단독 사용하거나 톨루엔, 벤젠, 2-메톡시에탄올 등의 이종의 유기용매 또는 소량의 물과 함께 혼합하여 공용매로 사용할 수 있으나, 이 중합으로 생성되는 고분자 입자의 크기는 통상 1 ㎛ 미만이다. 또한, 분산중합법은 균일한 입자를 얻는 중합과정이 반응 조성물의 변화, 산소의 존재 등과 같은 반응 환경에 매우 민감하게 반응하므로 입자 분포도가 다양하게 변할 뿐 아니라 공정의 재현성이 좋지 않은 단점이 있다.
씨드중합은 유화중합 또는 분산중합에 의하여 제조된 균일한 크기의 입자를 분산매에 분산시킨 후, 단량체의 팽윤과정을 통하여 마이크론 단위의 균일한 입도 분포도를 가지는 고분자 입자를 제조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씨드중합은 입자크기 조절이 용이한 반면에 중합 절차가 매우 까다롭고 2 혹은 3 단계의 중합 과정이 소요되므로 장시간이 요구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들에 반해 현탁중합은 물을 분산매로하여 고분자의 입체 안정제 존재하에서 물에 불용성인 단량체를 이용하여 고분자 입자를 제조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이 중합은 기계적인 힘에 의하여 수용액상에 존재하는 단량체를 분산시켜 제조하므로, 얻어지는 고분자 입자의 크기가 0.1 ∼ 1000 ㎛의 매우 넓은 분포도를 갖게 되어 입자 크기 분포도를 낮추기 위하여 추가적인 기계 장치를 필요로 하며 이에 관련하여, 미국특허 제4,017,670호, 제4,071,670호, 제4,085,169호, 제4,129,706호,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999-009819호,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986-0001833호,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999-0021562호 등에서는 현탁중합에 의하여 비닐계 단량체의 입자를 제조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유럽특허 제0,443,609호에는 직렬과 병렬식으로 연결된 삼중 반응기를 이용하여 10,000 ∼ 30,000 rpm의 매우 높은 교반속도하에서 현탁중합을 실시하여 최종 수득되는 입자 크기가 5 ∼ 50 ㎛인 고분자 입자의 제조 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며, 미국특허 제5,852,140호에는 일차적으로 괴상중합을 통하여 단량체를 전환율이 약 50 %에 도달할 때까지 중합을 시킨 후, 이 올리고머를 강한 교반기 믹서를 이용하여 분산매 존재하의 수용액에 분산시키는 이차 중합으로 0.1 ∼ 5 ㎛ 크기를 갖는 고분자 입자를 제조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현탁중합으로 입자크기가 균일한 고분자 입자를 제조하기에는 여러 어려움이 따르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일본특허공개 평11-60615호, 및 국제특허 공개 WO99/19370호에는 SPG(Shirasu porous glass) 막유화 방법을 이용하여 비교적 크기가 균일한 단량체 액적을 분산제 존재하의 수용액에 형성시킨 후, 현탁중합법으로 직경이 1 ∼ 10 ㎛의 균일한 크기를 갖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나 이는 막유화 장치의 추가적인 공정이 필요하여 경제성이 부족하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자는 상기와 같이 고분자 입자 제조에 이용되는 기존의 여러 중합법 중 특히, 현탁중합시 입도분포가 균일한 고분자 입자를 제조하기 위한 추가공정의 삽입, 교반속도 제어 등과 같은 단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연구 노력하였다. 그 결과, 불포화 비닐계 단량체와 중합개시제가 용해된 유기용매에 분산안정제가 용해된 물을 적정량 첨가하면 유기용매 속에 용해된 단량체의 용해도 감소로 균일한 크기의 액적이 형성되고, 그 후에 현탁중합 시키는 일련의 단일공정으로 생성되는 비닐계 고분자 입자의 입도분포가 매우 균일하게 형성된다는 것을 알게 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일련의 단일공정으로 유기용매와 물에 의해 형성된 액적을 이용한 현탁중합법으로 입도분포가 균일한 비닐계 고분자 입자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불포화 비닐계 단량체, 분산매, 분산안정제 및 중합개시제를 현탁중합하여 고분자 입자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불포화 비닐계 단량체와 중합개시제가 용해된 유기용매에 분산안정제가 용해된 물을 첨가하여 액적을 형성시킨 후, 현탁중합하여 평균입경이 0.1 ∼ 10 ㎛인 고분자 입자를 제조하는 비닐계 고분자 입자의 제조방법에 그 특징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불포화 비닐계 단량체를 현탁중합하여 고분자 입자의 제조 시, 상기 불포화 비닐계 단량체와 중합개시제가 용해된 유기용매에 분산안정제가 용해된 물을 적정량 첨가하면 유기용매 속 상기 불포화 비닐계 단량체의 용해도가 감소하여 포화되므로 유기용매상의 바깥으로 나오게 되는데, 이때 상기 첨가된 물에 의하여 균일한 크기의 액적이 형성되고, 또한 분산 안정제에 의하여 입자의 구형이 유지되어 평균입도가 0.1 ∼ 10 ㎛이며, 매우 균일한 입도분포도를 가지는 비닐계 고분자 입자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분산매인 유기용매와 물에 대한 불포화 비닐계 단량체의 용해도를 이용하여 균일한 크기의 액적을 형성한 후에 현탁중합하여 비닐계 고분자 입자를 제조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바, 종래의 고속 교반기 등의 추가적인 기계적 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고, 현탁중합전 액적을 형성시키는 단순한 일련의 공정으로 0.1 ∼ 10 ㎛의 평균입도를 가지는 고분자 입자를 경제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특히, 막의 기공에 따라 입자 크기가 결정되는 SPG 막유화시 상용화되는 막 기공의 크기가 5 ∼ 20 ㎛ 인데 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공정으로 1 ㎛ 정도의 균일한 크기를 가지는 입자의 제조가 가능한데, 이는 상기 SPG 막유화법 뿐만 아니라 종래의 여러 가지 기계적 장치를 이용하여도 제조하기 어려운 크기이다.
본 발명에 따른 현탁중합 반응에 사용되는 불포화 비닐계 단량체는 일반적인 분산중합, 유화중합 또는 현탁중합에 사용되는 라디칼 개시가 가능한 것은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불포화 비닐계 단량체로는 방향족 비닐계 화합물, 시안계 비닐 화합물, 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 메타크릴레이트계 화합물, 디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 및 디메타크릴레이트계 화합물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인 것을 혼합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스티렌, 디비닐벤젠, 에틸비닐벤젠, 알파메틸스티렌, 플루오로스티렌, 비닐피리딘, 염화비닐,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부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에틸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아크릴레이트, N,N'-디메틸아미노에틸아크릴레이트, 부틸메타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에틸메타크릴레이트, 메틸메타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1,3-부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및 1,3-부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중에서 선택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현탁중합의 분산매로 사용되는 유기용매는 상기 불포화 비닐계 단량체를 용해시킬 수 있는 것으로, 알콜류, 에테르 알콜류 및 케톤류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필알코올, 부틸알코올, 옥틸알코올, 벤질알코올, 시클로헥산올, 에틸렌글리콜, 글리네롤, 디에틸렌글리콜, 메틸셀로솔브, 셀로솔브, 부틸셀로솔브, 이소프로필셀로솔브,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중에서 선택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분산매로 이용되는 유기용매는 상기 불포화 비닐계 단량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 2000 중량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사용량이 10 중량부 미만이면 단량체가 유기용매에 충분히 녹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고, 2000 중량부를 초과하면 단량체 액적을 형성시키기 위하여 과도한 양의 물이 첨가되어야 한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상기 유기용매와 함께 사용되는 다른 하나의 분산매로는 물이 사용되며, 이는 상기 불포화 비닐계 단량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50 ∼ 2000 중량부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상기 범위 미만에서는 단량체의 액적이 충분히 생성되지 않고,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고분자 입자 생성에는 어려움이 없으나 분산매 대비 단량체의 양이 적어저 경제성이 감소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에서 입자의 구형 유지를 위해 물에 용해시켜 사용되는 분산 안정제는 일반적으로 현탁중합에서 사용되는 것으로 수용성 또는 비수용성 용매에 용해되어 분산 안정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은 모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분산 안정제의 예를 들면,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비닐메틸에테르, 폴리에틸렌아민, 폴리아크릴산, 폴리비닐아세테이트, 폴리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폴리에틸셀룰로스 및 폴리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기로는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아크릴산, 폴리히드록시 및 폴리프로필셀룰로스 중에서 선택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보다 특히 바람직하기로는 폴리비닐알코올과 폴리비닐피롤리돈을 선택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분산안정제는 유기용매와 물의 분산매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 10 중량부, 바람직하기로는 0.1 ∼ 5 중량부 사용되며 상기 범위 미만에서는 단량체 액적이 안정화되기 어려우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입자의 엉김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에서 불포화 비닐계 단량체와 함께 유기 용매에 용해되어 현탁 중합반응의 개시제로 사용되는 중합 개시제는 기존반응에 공지된 것으로, 퍼옥사이드, 아조화합물, 과탄산염 화합물 및 퍼에스테르 화합물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중합 개시제의 예를 들면 아세틸사이클로헥실설포닐 퍼옥사이드, 2,4,4-트리메틸펜틸-2-퍼옥시페녹시아세테이트, 벤조일 퍼옥사이드,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아조비스-2,4-디메틸발레로니트릴, 아조비스(4-메톡시-2,4-디메틸발레로니트릴), 디-이소프로필 퍼옥시디카보네이트, 디-2-에틸헥실 퍼옥시디카보네이트, 디옥톡시에틸 퍼옥시디카보네이트, t-부틸 퍼옥시네오데카네이트, α-큐밀 퍼옥시네오데카네이트 및 t-부틸 퍼옥시네오데카네이트중에서 선택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개시제에 과산화수소, 과황산암모늄 및 과황산칼륨 등의 과산화물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중합 개시제는 불포화 비닐계 단량체 100 중량부 기준으로 0.01 ∼ 10 중량부 사용하며, 그 사용량이 0.01 중량부 미만이면 중합반응의 속도가 현격히 감소하고 10 중량부 초과시에는 자체촉진반응(auto-acceleration)으로 인하여 겔화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된 상기 중합 개시제와 함께 산환·환원 개시제를 추가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산화·환원 개시제는 예를 들면 이아황산 나트륨, 아황산 나트륨, 이소아스코르브산 및 나트륨 포름알데히드 술폭실레이트 중에서 선택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산화·환원 개시제를 추가하여 사용하는 경우, 그 사용량은 비닐 단량체 기준으로 0.001 ∼ 5 중량부, 바람직하기로는 0.01 ∼ 3 중량부가 좋다.
본 발명에 따른 현탁 중합방법을 수행함에 있어 요구되는 목적에 따라 기타 각종 부가제가 첨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상기 부가제로는 부틸 알데히드, 트리클로로에틸렌, 퍼클로로에틸렌, 아세트알데히드 또는 머캅탄 등의 중합 조절제, pH 조절제, 가교 결합제, 스케일 방지제, 염료 및 안료 등이 부가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고분자 입자를 제조하기 위한 현탁중합법은 공지의 방법으로 수행되는데, 불포화 비닐계 단량체, 중합 개시제를 유기용매에 용해시켜 균일상으로 만든 후, 분산 안정제가 용해된 물을 적정량 첨가하여 균일한 크기의 액적을 형성시킨다. 상기 액적이 형성된 혼합물을 40 ∼ 100 ℃, 바람직하기로는 50 ∼ 90 ℃의 온도에서 6 ∼ 48 시간동안, 0 ∼ 500 rpm의 교반속도로 현탁중합하는 일련의 단일공정으로 비닐계 고분자 입자를 제조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균일한 액적을 형성한 후, 현탁중합 하는 일련의 공정으로 평균입경이 0.1 ∼ 10 ㎛이고, 균일한 입도분포를 가진 비닐계 고분자 입자의 제조가 가능하고, 또한 단일공정으로 수행되어 제조비가 감소하여 경제성이 우수하여 산업적으로 다양한 분야에 이용 가능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다음의 실시예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겠는 바,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 3
시판중인 스티렌을 희석시킨 가성소다 용액으로 세정하여 중합 금지제를 제거하고 이를 물로 세정한 후, 스티렌만을 분리하는 전처리 과정을 거쳐 냉장 보관하였다.
냉각기가 달려있는 3구 둥근 플라스크 반응기에 상온에서 스티렌 0.7 g, 벤조일퍼옥사이드 0.01 g을 넣고 5 g의 메탄올을 투입하여 모든 반응물질이 메탄올에 녹아 있는 투명한 균일상의 용액에 폴리비닐알코올 0.05 g이 녹아 있는 10 g의 물을 반응기에 주입하였다. 이때, 상기 혼합물은 흰색으로 변하여 단량체 액적이 형성됨을 확인한 후에 질소를 5분간 주입하여 온도를 60, 70, 및 80 ℃로 높여 250 rpm으로 교반하여 12시간동안 중합하여 폴리스티렌 입자를 얻었다.
상기의 방법으로 얻어진 폴리스티렌 입자의 수율과 이를 원심분리하여 전자현미경으로 분석한 결과를 다음 표 1에 나타내었다.
구분 반응온도(℃) 반응시간(시간) 분산매 안정제 수율(%) 입자직경(㎛)
실시예 1 60 12 메탄올/물 폴리비닐알코올 85.4 0.21
실시예 2 70 12 메탄올/물 폴리비닐알코올 89.7 0.20
실시예 3 80 12 메탄올/물 폴리비닐알코올 93.1 0.23
실시예 4 ∼ 5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되, 분산매인 유기용매를 아세톤과 에탄올로 각각 사용하고, 안정제로 폴리비닐피로리돈을 사용하여, 70 ℃의 반응온도에서 150 rpm으로 24시간동안 현탁중합을 실시하여 폴리스티렌을 얻었다.
상기의 방법으로 얻어진 폴리스티렌 입자의 수율과 이를 원심분리하여 전자현미경으로 분석한 결과를 다음 표 2에 나타내었다.
구분 반응온도(℃) 반응시간(시간) 분산매 안정제 수율(%) 입자직경(㎛)
실시예 4 70 24 아세톤/물 폴리비닐피로리돈 95.4 1.10
실시예 5 70 24 에탄올/물 폴리비닐피로리돈 96.2 1.20
실시예 6 ∼ 8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되, 단량체로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를 사용하고, 분산매인 유기용매를 에탄올, 메탄올 및 아세톤을 각각 사용하고, 안정제로 폴리비닐알코올로 사용하여, 70 ℃의 반응온도에서 150 rpm으로 24시간동안 중합을 실시하여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입자를 얻었다.
상기의 방법으로 얻어진 폴리스티렌 입자의 수율과 이를 원심분리하여 전자현미경으로 분석한 결과를 다음 표 3에 나타내었다.
구분 반응온도(℃) 반응시간(시간) 분산매 안정제 수율(%) 입자직경(㎛)
실시예 6 70 12 에탄올/물 폴리비닐알코올 87.9 0.81
실시예 7 70 12 메탄올/물 폴리비닐알코올 93.1 0.87
실시예 8 70 12 아세톤/물 폴리비닐알코올 90.5 0.80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2와 동일 조성과 함량으로 제조하되, 유기용매인 메탄올을 사용하지 않고 500 rpm으로 교반을 시켜 액적을 형성시키며 12시간동안 70 ℃에서 현탁중합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중합후 입자의 크기는 1 ∼ 1000 ㎛ 사이로 입자크기 분포도가 매우 다분산적이었다.
비교예 2
상기 실시예 2와 동일 조성과 함량으로 제조하되, 유기용매인 메탄올을 사용하지 않고 초음파 분쇄기로 액적을 형성시킨 후, 20,000 rpm의 강한 교반을 시키며 12시간동안 70 ℃에서 현탁중합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중합후 입자의 크기는 0.1 ∼ 20 ㎛ 사이로 입자크기 분포도가 다분산적이었다.
비교예 3
상기 실시예 2와 동일 조성과 함량으로 제조하되, 유기용매인 메탄올을 사용하지 않고 SPG 막유화법을 통하여 액적을 형성시킨 후 200 rpm로 교반을 하며 12시간동안 70 ℃에서 현탁중합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중합 후 입자의 크기는 10 ㎛이며 분포도는 표준편차 20 %를 갖는 비교적 입자크기 분포도가 균일하였다.
이상의 표 1, 2 및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액적을 형성한 후 현탁중합하여 고분자 입자를 제조한 실시예 1 ∼ 8은 입자가 대략 0.2 ∼ 1.2 ㎛ 정도의 크기를 보였으며, 이는 상기 기계적 장치를 이용하여 고분자 입자를 제조한 비교예 1 ∼ 3에 비해 전체 공정 시간이 단축되고 입자크기는 매우 작으며 현격히 균일하게 나타났다.
동일조건에서 온도를 변화시켜 현탁중합을 수행한 실시예 1 ∼ 3은 입자크기가 약 0.2 ㎛ 정도로 온도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으나, 전환율은 높은 온도에서 높게 얻어짐을 알 수 있었다. 상기 실시예 1 ∼ 3과 동일한 방법으로 유기용매와 안정제를 변화시켜 현탁중합을 수행한 실시예 4 ∼ 5는 입자크기가 약 1.2 ㎛ 정도로 균일하게 유지되며, 입자의 크기가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1 ∼ 3과 동일한 방법으로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불포화 비닐계 단량체와 여러 종류의 유기용매를 사용하여 현탁중합을 수행한 실시예 6 ∼ 8은 입자의 크기가 0.8 ㎛ 정도로 상기 단량체의 변화에 의하여 입자의 크기가 변화함을 알 수 있었다.
한편,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2에 의해 제조된 고분자 입자의 주사전자현미경 사진으로, 매우 균일한 크기를 갖는 고분자 입자가 생성되었음을 보여준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5의 현탁중합 반응전에 형성시킨 균일한 크기의 단량체 액적의 광학현미경 사진이며, 도 3는 상기 실시예 5에서 형성시킨 액적을 현탁 중합한 후에 얻어지는 고분자 입자의 전자현미경 사진으로 그 입자가 균일한 크기를 갖음을 보여준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기용매와 물에 대한 단량체의 용해도 차이로 액적을 형성한 후, 현탁중합을 수행하는 단일공정으로 0.1 ∼ 10 ㎛ 크기의 균일한 비닐계 고분자 입자의 제조가 가능하여, 단일공정으로 인한 제조비가 감소로 경제성이 매우 우수하여 산업적으로 다양한 분야에 이용될 수 있다.
도 1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2의 현탁 중합으로 얻어진 폴리스티렌 입자의 주사전자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e)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도 2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5의 현탁 중합 과정 중에 생성되는 스티렌 단량체 액적의 광학현미경(optical microscope)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5의 현탁 중합으로 얻어진 폴리스티렌 입자의 주사전자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e)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Claims (10)

  1. 불포화 비닐계 단량체, 분산매, 분산안정제 및 중합개시제를 현탁중합하여 고분자 입자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불포화 비닐계 단량체와 중합개시제가 용해된 유기용매에 분산안정제가 용해된 물을 첨가하여 액적을 형성시킨 후, 현탁중합하여 평균입경이 0.1 ∼ 10 ㎛인 고분자 입자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계 고분자 입자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불포화 비닐계 단량체는 방향족 비닐계 화합물, 시안계 비닐 화합물, 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 메타크릴레이트계 화합물, 디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 및 디메타크릴레이트계 화합물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계 고분자 입자의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용매는 알콜류, 에테르 알콜류 및 케톤류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계 고분자 입자의 제조방법.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용매는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필알코올, 부틸알코올, 옥틸알코올, 벤질알코올, 시클로헥산올, 에틸렌글리콜, 글리세롤, 디에틸렌글리콜, 메틸셀로솔브, 셀로솔브, 부틸셀로솔브, 이소프로필셀로솔브,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및 메틸이소부틸케톤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계 고분자 입자의 제조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용매는 불포화 비닐계 단량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 2000 중량부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계 고분자 입자의 제조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은 불포화 비닐계 단량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50 ∼ 2000 중량부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계 고분자 입자의 제조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안정제는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비닐메틸에테르, 폴리에틸렌아민, 폴리아크릴산, 폴리비닐아세테이트, 폴리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폴리에틸셀룰로스 및 폴리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계 고분자 입자의 제조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안정제는 분산매(유기용매와 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 10 중량부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계 고분자 입자의 제조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 개시제는 퍼옥사이드, 아조화합물, 과탄산염 화합물 및 퍼에스테르 화합물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계 고분자 입자의 제조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 개시제는 불포화 비닐계 단량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 10 중량부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계 고분자 입자의 제조방법.
KR1020030071507A 2003-10-14 2003-10-14 현탁중합으로 입도분포도가 균일한 비닐계 고분자 입자의제조방법 KR1005720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1507A KR100572013B1 (ko) 2003-10-14 2003-10-14 현탁중합으로 입도분포도가 균일한 비닐계 고분자 입자의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1507A KR100572013B1 (ko) 2003-10-14 2003-10-14 현탁중합으로 입도분포도가 균일한 비닐계 고분자 입자의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5743A true KR20050035743A (ko) 2005-04-19
KR100572013B1 KR100572013B1 (ko) 2006-04-17

Family

ID=37239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1507A KR100572013B1 (ko) 2003-10-14 2003-10-14 현탁중합으로 입도분포도가 균일한 비닐계 고분자 입자의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201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6628B1 (ko) * 2003-12-19 2006-03-06 제일모직주식회사 저분자량의 단분산성 고분자 미립자 및 그 제조방법
WO2007032609A1 (en) * 2005-09-14 2007-03-22 Hanwha Chemical Corporation Acryl microbead having narrow particle size distribution and method of preparing thereof
KR20190038404A (ko) * 2017-09-29 2019-04-08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정전분무증착용 슬러리 및 이를 사용한 코팅막 형성방법
KR20190058923A (ko) 2017-11-22 2019-05-30 (주)금양 현탁액의 점도를 높여 입자 분산성을 향상시키는 열팽창성 미소구의 제조 방법
KR20190058912A (ko) 2017-11-22 2019-05-30 (주)금양 현탁액의 저온 안정화를 통한 열팽창성 미소구의 분산도 향상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6638B1 (ko) * 2017-12-21 2021-04-30 주식회사 엘지화학 염화비닐계 중합체 제조용 개시제 조성물, 이를 이용한 염화비닐계 중합체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염화비닐계 중합체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6628B1 (ko) * 2003-12-19 2006-03-06 제일모직주식회사 저분자량의 단분산성 고분자 미립자 및 그 제조방법
WO2007032609A1 (en) * 2005-09-14 2007-03-22 Hanwha Chemical Corporation Acryl microbead having narrow particle size distribution and method of preparing thereof
KR20190038404A (ko) * 2017-09-29 2019-04-08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정전분무증착용 슬러리 및 이를 사용한 코팅막 형성방법
KR20210002430A (ko) * 2017-09-29 2021-01-08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정전분무증착용 슬러리 및 이를 사용한 코팅막 형성방법
US11865573B2 (en) 2017-09-29 2024-01-09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Foundation Hanyang University Slurry for electrostatic spray deposition and method for forming coating film using same
KR20190058923A (ko) 2017-11-22 2019-05-30 (주)금양 현탁액의 점도를 높여 입자 분산성을 향상시키는 열팽창성 미소구의 제조 방법
KR20190058912A (ko) 2017-11-22 2019-05-30 (주)금양 현탁액의 저온 안정화를 통한 열팽창성 미소구의 분산도 향상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72013B1 (ko) 2006-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230562A1 (en) Heat-expandable microcapsules, production method therefor, and foamed molded article
CN111171221A (zh) 一种利用spg乳化膜技术制备热膨胀微球的方法
JP2001002716A (ja) 粒径単分散粒子、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用途
KR100572013B1 (ko) 현탁중합으로 입도분포도가 균일한 비닐계 고분자 입자의제조방법
KR100984714B1 (ko) 낮은 화학적 산소 요구량 값을 가지며 안정하고 안전한 고농도의 디아실 퍼옥시드와 퍼옥시디카르보네이트 유탁액
EP1046658B1 (en) Monodisperse particles,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and uses thereof
KR100751598B1 (ko) 무유화 유화중합으로 다양한 크기와 형태를 갖는 비닐계고분자 입자를 제조하는 방법
US6949601B1 (en) Single stage seed polymerization for the production of large polymer particles with a narrow size distribution
US5284881A (en) Composite hollow particles
JP2008520821A (ja) 塩化ビニル系樹脂製造用分散剤及びこれを用いた塩化ビニル系樹脂の製造方法
KR100589125B1 (ko) 무유화유화중합으로 입도분포도가 균일한 비닐계 고분자입자의 제조방법
EP0308864B1 (en) Process for preparing uniformly sized, fine particles of polymer
CN115304818A (zh) 基于Pickering乳液聚合法制备的超低温热膨胀微球及其制备方法
JP5626716B2 (ja) 多孔質中空ポリマー粒子の製造方法及び多孔質中空ポリマー粒子
KR100761239B1 (ko) 분산중합으로 입도분포도가 균일한 비닐계 고분자 입자를제조하는 방법
KR100572014B1 (ko) 씨드중합으로 입도분포도가 균일한 고분자 입자의 제조방법
JP3149487B2 (ja) メタアクリル系樹脂粒子の製造方法
JPH08134115A (ja) 高単分散微粒子の製造方法
JP2614881B2 (ja) ボリマー粒子体の製造方法
JP3334207B2 (ja) 球状重合体粒子の製造方法
JP3130437B2 (ja) 大きさの揃った重合体粒子の製造方法
US5414062A (en) Method for reduction of aqueous phase polymer formation in suspension polymerization
JPS6088017A (ja) アクリロニトリル系重合体微粒子の製造法
KR100589124B1 (ko) 니트록사이드 자유 라디칼 작용제와 반응속도 향상제를이용한 비닐계 고분자 비드의 제조방법
EP0416616B1 (en) Process for preparing composite hollow partic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1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