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35168A - 다목적 무선 통신 시스템 - Google Patents

다목적 무선 통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35168A
KR20050035168A KR1020047005697A KR20047005697A KR20050035168A KR 20050035168 A KR20050035168 A KR 20050035168A KR 1020047005697 A KR1020047005697 A KR 1020047005697A KR 20047005697 A KR20047005697 A KR 20047005697A KR 20050035168 A KR20050035168 A KR 200500351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module
modules
individual
wire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56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빅터 코시코우마 아그베그네오우
Original Assignee
빅터 코시코우마 아그베그네오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빅터 코시코우마 아그베그네오우 filed Critical 빅터 코시코우마 아그베그네오우
Publication of KR200500351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5168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069Session establishment or de-establish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101Session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08Protocols for interworking; Protocol conver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08Protocols for interworking; Protocol conversion
    • H04L69/085Protocols for interworking; Protocol conversion specially adapted for interworking of IP-based networks with other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Bluetooth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8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home cordless telephone systems using the DECT standar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Sub-Exchange Stations And Push- Button Telephones (AREA)
  • Use Of Switch Circuits For Exchanges And Methods Of Control Of Multiplex Exchanges (AREA)
  • Transceivers (AREA)

Abstract

시스템은 다수의 아웃렛 단말기(100)와, 개별적인 연결 모듈들(200)과, 그리고 독립적인 아웃-스테이션(300)을 포함한다. 상기 단말기는 다수의 원격 통신 라인(102)들에 연결되고 라인 인터페이스 수단과, 다수의 개별적인 아웃렛들(104)과 그리고 분배기 수단을 포함한다. 각 모듈(200)은 상기 아웃렛들중 한 아웃렛 위에 개별적으로 설치되고, 상기 단말기의 분배기 수단과 인터페이스하는 수단과, 무선 트랜스시버 수단과 그리고 한 라인으로 부터 인입하고 단말기에 의해 전달되는 신호들을 무선신호들로 변환하고 수신된 무선 신호들을 동일한 라인에 전달하기 위한 신호드로 변환하는데 적절한 제어 수단을 포함한다. 각 아웃-스테이션(300)은 양방향 통신 채널을 설정하는 데에 적절한 무선 트랜스시버 수단과, 오디오, 비디오, 그리고/또는 디지털 데이터 신호들을 픽업 그리고/또는 재생하기 위해 트랜스듀서(310, 312, 314)들과 인터페이스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다목적 무선 통신 시스템{WIRELESS MULTIPURPOSE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무선 기술들을 이용하는 다목적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무선 기술들이 유연하게 이용되는 것은 잘 알려져있다. 특히, 단범위 무선 또는 코드리스 기술들이 유연하게 이용되어, 예를 들어 무선 링크들이 유선 전화 네트워크에 연결된 기지국들과 전화 세트들 사이에서 처리될 수 있다는 것은 잘 알려져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들은 가입자의 아파트 또는 집에 위치하며 다수의 사용자들에게 공통인 라인 그룹핑 유닛들(line-grouping units) 및 네트워크의 중앙 교환국에 연결된 아웃렛(outlet)들을 이용하는 가입자 장치에서만 구현된다.
빌딩들 또는 주거 영역들에서의 단말기 배선은 설치 비용 및 시간에 관한 필수 사항들과 관련하여 설치에 항상 고비용이 들고 유연성이 부족한데, 그 이유는 실제로, 가입자의 집에 언제라도 가입자 라인을 설치하는 것은, 가입자의 집에 언제라도 라인을 설치하는 데에 필요한 다양한 비용들을 부담하기 위해 네트워크 연결에 대한 꽤 오랜 기간의 가입 및 요금을 의미하는 영속성있는 이용에 대해서만 정당화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실제적인 제약들 및 대응하는 비용은 특정한 국가들, 특히 잠재적인 사용자 자원들이 제한되고 주위 환경의 복잡한 구조가 라인들을 설치하는 것을 매우 어렵게 하는 개발 도상 국가들에서 전화 발달의 속도를 느리게 했다. 이러한 모든 제약들은, 숫자가 많을 수록 유리하기 때문에 점점 광범위하게 보급되고 있는 개인 전화에 방해가 되고 있다.
또한, 유연성의 부족때문에, 유선 원격 통신 네트워크들은 가입자가 제한된 지속 기간(예를 들어, 몇 시간 또는 몇일 동안)에만 라인을 갖기를 원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몇 개의 다른 위치들 간을 이동하게 될 상황들에는 적절하지 않다. 예를 들어 GSM 타입의 무선 전화의 이용은 실제로 이러한 상황들에 적절한 해결책을 제공하지만, 이는 비교적 고비용이 들고, 무선 전화 네트워크에 의해 커버되는 지역에 사용자가 위치할 것을 요구하며, 그리고 도시 영역들 만이 네트워크에 의해 커버되는 매우 큰 국가들에서의 많은 고립 영역들의 경우와는 거리가 멀다.
도 1은 본 발명의 시스템을 구성하는 다양한 요소들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시스템의 멀티 아웃렛 단말기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시스템의 개별적인 연결 모듈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통신 시스템의 아웃 스테이션의 블록도이다.
도 5는 로컬 서버로서 동작할 수 있도록 구성된, 도 3의 개별적인 연결 모듈의 개선된 변형을 보여준다.
본 발명의 목적들중 하나는, 가입자들이 전화 네트워크에 간단하고 빠르게 연결될 수 있게 하며 매우 유연한 통신 시스템을 제시함으로써 유선 네트워크들의 다양한 제한들을 완화하는 것이다.
하기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시스템은 전화 연결을 제공할 뿐 아니라, 로컬 인터폰, (예를 들어, 워크맨에 의해 전달되는 음악을 전송하는) 음성 및 데이터 서버들, 의학 이미징과 같은 전문 응용들에서의 이미지 서버들, 멀티미디어 게임 서버들 등과 같은 다른 많은 응용들을 구현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ㆍ다수의 원격 통신 라인들에 연결되며, 상기 다수의 라인들과 인터페이스하는 수단과, 다수의 개별적인 아웃렛들과, 그리고 상기 다수의 아웃렛들을 상기 다수의 라인들에 선택적으로 결합시키는 데에 적절한 분배기 수단을 포함하는 다수의 아웃렛 단말기와;
ㆍ상기 아웃렛들중 하나 위에 개별적으로 적절히 장착되고, 상기 단말기의 분배기 수단과 인터페이스하는 인터페이스 수단과, 무선 트랜스시버 수단과, 그리고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 및 상기 트랜스시버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단말기의 분배기 수단에 의해 전달되며 라인으로부터 비롯되는 신호들을 전송을 위해 무선 신호들로 변환하고, 수신된 무선 신호들을 동일한 라인에 인가하기 위해 단말기의 분배기 수단으로 전달되는 신호들로 변환하는 데에 적절한 적어도 하나의 개별적인 연결 모듈과; 그리고
ㆍ각각의 개별적인 연결 모듈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독립적인 아웃 스테이션(out station)을 포함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바, 여기서 상기 아웃 스테이션은 상기 아웃 스테이션과 관련된 개별적인 연결 모듈과 양방향 통화를 설정하는 데에 적절한 트랜스시버 수단과, 그리고 오디오, 비디오, 그리고/또는 디지털 데이터 신호들을 픽업 그리고/또는 재생하기 위해 트랜스듀서들과 인터페이스하는 인터페이스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라인들의 수가 아웃렛들의 수 보다 적으면, 단말기는 소정의 사용자에 대한 라인을 통해 통화가 걸려오는 경우 그 사용자에 할당되는 모듈을 선택하거나, 또는 역으로 사용자로부터 오는 통화에 대한 유효 라인을 선택하는 데에 적절한 멀티플렉서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많은 유익한 종속적인 특성들에 따르면:
ㆍ상기 단말기는 상기 모듈들에 의해 전송되는 무선 신호들을 수신한 다음 이들을 증폭시켜 아웃 스테이션들에 재전송하기 위해 모듈들의 트랜스시버 수단과 협동하는 릴레이 트랜스시버 수단을 더 포함하고;
ㆍ상기 단말기의 인터페이스 수단은 PSTN, VSAT, ADSL, 무선 스테이션, 로컬 유선 루프, 또는 무선 전화 네트워크 타입의 1개 이상의 네트워크들과 인터페이스하는 수단을 포함하며; 그리고
ㆍ상기 단말기는 전원 공급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아웃렛들은 개별적인 모듈들에 전원을 공급하고 그리고/또는 개별적인 모듈들에 속하는 개별적인 전원 공급 수단을 재충전하는 단말기들을 포함한다.
제 1 실시예에서, 각 아웃 스테이션은 소정의 모듈에 일대일 대응으로 정적으로 할당된다.
제 2 실시예에서, 아웃 스테이션들의 수는 모듈들의 수 보다 많으며, 각 아웃 스테이션은 동적이고 가변적인 방식으로 소정의 모듈에 할당된다. 상기 모듈들은, 아웃 스테이션에 의해 전송되는 연결 요구를 수신하고, 단말기 제어 수단에 액세스 허가 및 라인 할당 요구를 전송하며, 무선 채널 식별자와 함께, 네트워크 라인에 대한 액세스 및 연결을 허가하는 신호를 단말기로부터 수신하고, 그리고 이러한 방식으로 식별되는 채널을 통해 상기 아웃 스테이션과의 통화를 설정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그리고 부가적으로, 상기 모듈들은 유익하게는 오디오, 비디오, 그리고/또는 디지털 데이터 신호 소스들에 결합시키는 수단, 및 상기 모듈과 관련된 아웃 스테이션에 대해 예정되고 그리고/또는 이 아웃 스테이션으로부터 나오는 신호들의 상기 소스들과 트랜스시버 수단 간에서 교환을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데에 적절한 로컬 서버를 형성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상기 시스템은 원격 통신 라인들(102)(이하 "라인들"이라 칭함)의 번들에 연결된 캐비넷을 포함하는 다수의 아웃렛 단말기(100)(이하 "단말기"라고 칭함)를 포함하는데, 상기 라인들은 공중 교환 전화 네트워크(PSTN :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의 종래의 라인이나, 또는 상기 VSAT 형의 위성 번들, 또는 광섬유 라인들이나 또는 비-유선 네트워크(무선 전화 네트워크)의 라인 일 수 있다.
상기 단말기는 개개의 연결 모듈(200)(하기에서는 "모듈"이라 칭함)과의 플러그됨으로써 그들을 수신하는데 적합한 일련의 개개의 아웃렛들(104)(이하 "아웃렛들"이라 칭함)을 운반한다. 각 모듈(200)은 개인화되어 사용자, 예를 들어 소정의 집이나 빌딩내의 아파트나 거주지역, 에 할당된다.
많은 아웃렛들(104)이 있는것과 같이, 라인들(102)이 제공될 것인데, 상기 아웃렛들의 모두가 동시에 사용될 필요는 없이 주어지고 라인들(102)의 수보다 크고 아웃렛의 수를 증가하게 할 수 있는 종래 종류의 다수의 통신 기술을 사용하는 많은 아웃렛들(104)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각각의 상기 모듈들(200)은 무선 트랜스시버 장치들이나 하나 이상의 아웃-스테이션들 이나 상기 다양한 사용자들에게 이용가능한 "키트들"(300)과 통신한다. 각 키트(300)는 전화 통화를 하는데 필요한 다양한 요소들, 특히, 적어도 이어폰(310), 마이크로폰(312), 상기 키트가 관련된 모듈(200)(안테나 206)과의 양방향 무선 통신(안테나 304)에서의 키패드(314)들을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이어폰과 마이크로폰 세트는 상기 키패드나 중앙 하우징 키트와 유선 연결을 가지지 않은 시스템일 것인데, 그러나 상기 키트는 코드가 없거나 또는 코드에 의해 키패드가 제공된 하우징에 연결된 핸드셋을 가진 종래의 전화 세트의 외부의 외관을 똑같게 잘 나타낸다.
이러한 일반적인 구성에 의해, 아파트나 주택들내에 유선 전화 라인들이 필요가 없는데, 상기 단말기(200)는 상기 위치에 따라서 그리고 그것의 의도된 필요에 따라서 공유되거나, 주거용이 되거나, 개인적이 되거나 또는 공중용이 될 수 있다.
상기 아웃렛들과 모듈들은 원격 통신 서비스의 오포레이더에게만 접근 가능한 패널 상에 설치될 것이다.
변형에 따르면, 상기 아웃렛들은 사용자들 스스로 자신의 모듈을, 전화하는데 필요한 시간동안 예를 들어 단지 몇 시간동안에 대한 순간적인 근거 상에 설치하는 사용자들에게 직접 접근가능하도록 만들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서, 상기 사용자 모듈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어떤 단말기의 어떤 아웃렛에 연결될 수 있어, 상기 사용자로 하여금 어떤 장소에서 상기 사용자 자신의 키트로부터 통화를 할 수 있게-상기 같은 장치를 집이나 사무실에서 사용하면서-하고, 거리에 설치된 공중 단말기로부터 통화를 할 수 있게 한다.
상기 통신 시스템의 다양한 구성 요소들은 도 2 내지 도 5를 참조로 이하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2는 단말기(100)를 구성하는 다양한 기능적인 요소들을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상기 라인들(102)로의 연결을 위해, 각 형태의 연결들(PSTN, VSAT, ADSL 등등)에 특유하고, 정보 교환에 필요한 다양한 통신들 프로토콜들을 포함하는 인터페이스들(106, 108, 110...)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아웃렛들(104) 안으로 플러그된 상기 다양한 모듈(200)과의 연결은 버스(112)을 통해 제공된다.
상기 인터페이스들(106, 108, 11)및 상기 버스(112)는 다음과 같은 다양한 필요한 기능들을 수행하는 중앙 관리 유닛(114)에 연결된다:
·상기 라인들을 멀티플렉싱/디멀티플렉싱;
·상기 다양한 라인들 상에 도달한 인입 호출들에 관한 시그널링을 추출;
·상기 모듈(200)을 통해서 상기 다양한 키트들로부터 오는 호출 요구들에 대한 시스널링을 발생;
이러한 관리 유닛은, 어떤 모듈(200)이 상기 단말기의 아웃렛으로 플러그 된것인지에 대한 상기 다양한 가입자들과 관련된 메모리 내에 정보를 저장하는 로컬 데이터베이스(118)와 함께 동작하는데 적당한 컴퓨터(116)에 의해 제어되는데, 이느 특히 라인 액세스 제어를 관리하기 위해서, 그리고 상기 가입자에게 특정하게 시그널링하고 호출 요금을 관리하는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들을 위한 것이다.
상기 단말기(100)는 선택적으로 그것이 로컬 인터넷 서버로 작동하도록 하는 메모리들, 각각의 아웃 스테이션들과 연관된 디바이스들 상에 서버 콘텐츠를 제공하는데 적당한 다양한 모듈들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단말기는, 모듈들과 키트들 사이의 전송 범위를 증가하게 할 수 있고, 상기 단말기 상에 설치된 모듈의 상기 안테나로부터 원격 키트로 그리고 그 반대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릴레이 안테나(120)를 가질 것이다.
마지막으로, 상기 단말기는 그 자신의 전원 공급 시스템(태양 셀들, 배터리 등)을 가지는데, 이는 그들 고유의 개별적인 전원 공급장치들에 더하여 상기 다양한 모듈들(200)에 전원을 가하는데 또한 유용하게 사용되며, 모듈을 아웃렛 안으로 플러그하여 또한 그것을 전기적 전원 공급장치와의 연결을 제공한다.
개별적인 연결 모듈의 일반적인 아키텍처가 도 3에서 도식화되어 보여진다.
각 모듈(200)은 상기 단말기와의 인터페이스(202), 안테나(206)와 함께 작동하는 무선 트랜스시버 수단들(204), 마이크로 컴퓨터(210)에 의해 제어되는 중앙 관리 유닛(208)을 가진 상기 단말기의 아웃렛(104)에 설치된다. 상기에서 언급되었듯이, 상기 전원 공급장치(212)는 상기 단말기에 의해 유용하게 전달될 것이다.
상기 아웃 스테이션(300)이 도 4에서 도식화되어 보여진다. 이는 안테나(304)에 연결된 무선 트랜스시버 부분(302)과 마이크로컴퓨터(308)에 의해 제어되는 중앙 관리 유닛(208)으로 구성된다.
이어폰(310), 마이크로폰(312)및 키패드(314)와 같은 다양한 변환기들은 유선 연결에 의해 마이크로컴퓨터(308)에 연결되는데, 또는 유용하게는 블루투스, DECT 등과 같은 기술들을 사용하는 무선 연결들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스테이션은 또한 전원 공급장치(316) 예를 들어 재충전가능한 배터리를 가진다.
상기 아웃 스테이션(300)은 유용하게는 핸즈프리 키트 일 수 있는데, 여기서 상기 이어폰(310), 마이크로폰(312)및 키패드(314)는 물리적으로 독립된 구성요소들이며, 각각은 개개의 연결 모듈(200)과의 통신을 위한 그 자신의 트랜스시버 수단들을 가진다. 유용하게, 상기 이어폰은 그후 헤드셋의 형태로 수행되고 그것은 플러그-앤드-플레이 모드(즉, 라이브, 상기 장치를 재시작 없이)내에 그것 안으로 플러그될 수 있는데: 1) 두번째 이어폰은 어떤 무선 수단도 가지고 있지 않으며(단순한 청취 안정을 향상시키기 위한 변환기) 그리고/또는 2) 상기 헤드셋의 연장 상에 위치한 하우징 안의 상기 마이크로폰(312), 이는 상기 사용자의 입으로 가까이 연장되어 있다. 상기 키패드는 펜이나 시계 등의 형태로 물체내에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설비는 플러그-앤-플레이 모드내에 플러그될 수 있는 마이크로폰(312)안으로의 소켓을 위한 상기 물체내에서 가장 유용하게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사용자는 그래서 상기 마이크로폰을 상기 헤드셋 상에나 상기 키패드를 운반하는 상기 물체(가슴 포켓내에 있는 펜과 같은)상에 설치할 수 있다. 그러한 환경하에서, 상기 마이크로폰이 기능적으로 독립적일 필요가 없는지, 그리고 상기 이어폰(310) 또는 상기 키패드(314)의 상기 트랜스시버 수단들을 적절하게 사용하는 단순한 변환기일 수 있는지가 관찰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키트는 상기 사용자의 식별 번호를 포함하는데, 이는 상기 마이크로컴퓨터의 메모리 내에서 결합되고, 또는 GSM 무선 전화의 SIM 카드와 같은 형태의 분리가능한 스마트 카드내에, 또는 실제 연결을 만들 때 상기 사용자에 의해 안에 코드 키된(code keyed-in) 형태 내에 기입될 것이다.
제 1 실시예에서, 물리적 채널(주파수, 코드,...)은 각 모듈(200) 따라서 그것과 연관된 각 키트(200)에 정적으로 할당된다.
이것은 중앙 관리 유닛(208)을 갖는, 비교적 단순한 모듈들을 가질 수 있게 하며, 이 중앙 관리 유닛(208)은 본래 인입 또는 인출 호출들을 검출하고, 상기 인터페이스(202)와 무선부(204) 간에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제공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해결책은, 사용자들 전체가 동시에 호출할 확률이 실제로 0이더라도, 전화 가입이 존재하는 만큼의 많은 모듈들이 요구된다는 결점이 있다.
따라서, 제 2 실시예에서, 잠재적인 사용자들의 수와 비교하여 모듈들의 수를 감소시킴으로써 단말기를 최적화시킬 수 있다. 그 다음, 채널들은 동적 및 가변 방식으로 할당되며, 모듈들은 임의의 하나의 소정의 사용자에게 고정된 방식으로 할당되지 않는다.
이를 위해서, 중앙 관리 유닛(208)은 이에 따라 다양한 추가적인 기능들을 수행하며, 그 순서는 연결 요청을 하는 사용자에 대해서 다음과 같다.
·호출 키트(kit)가 예비된 무선 채널을 거쳐서 일반적인 연결 요청 - 이 요청은 사용자의 식별 번호를 포함한다 - 을 전송하고;
·이 요청은 단말기상의 비활성 모듈들(즉, 호출에 관여하지 않는 모듈들) 전체에 의해서 수신되고;
·호출을 수신한 모듈(들)은 그 호출을 상기 단말기의 중앙 관리 유닛(114)에 전송하고;
·상기 단말기는 그의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식별 번호가 인증된 사용자들의 목록에서 발견되었는지를 검사하고, 상기 단말기는 모듈들 중 하나에 인증을 전송해서 상기 사용자를 전화 네트워크에 연결시키고, 이 인증은 이용될 무선 채널의 번호를 제공하는 파라미터를 수반하고; 그리고
·이러한 방식으로 선택된 모듈은 채널 번호와 함께 상기 인증에 관한 정보를 예비된 채널을 통해서 해당 키트에 전송한다(그렇지 않으면 모듈은 호출 설정을 거절하는 신호를 전송한다).
사용자의 식별 번호를 검사하는 기능이 다수의 동일 타입의 단말기들로 확장될 수 있고, 사용자들 모두 상기 단말기들에 액세스하도록 수락되어 호출들이 상기 단말기들 사이에서 공유되며; 따라서, 사용자는 사용자의 그 순간의 지리적 위치에 따라서, 여러개의 단말기들 중에서 임의의 하나의 단말기를 균등하게 잘 사용할 수 있음으로써, 적용범위가 연장될 수 있게 된다.
모듈들은 선택적으로 호출 전송 기능들을 관리할 수 있고, 사용자는 그때 2개의 모듈을 가지며, 그 중 하나의 모듈("정지 모듈")은 사용자의 통상의 전화번호에 대한 아웃렛에 연결되고; 사용자는 그 다음에 상기 정지 모듈의 메모리를, 사용자가 호출들을 재지정(redirect)하고자 하는 번호들로, 직접 또는 원격으로 프로그램한다. 사용자는 제 2 모듈("이동 모듈")을 소지하고 다니므로, 그 모듈을 집에서 떨어진 임의의 다른 아웃렛에 플러그를 꽂아 연결할 수 있다. 부재 사용자가 그 사용자의 통상의 번호에 대한 호출을 수신하면, 정지 모듈은 국내 또는 국제 네트워크에서 서치(search)를 맡아서, 이동 모듈이 다른 아웃렛에 연결되어 있는지를 알아본다. 이동 모듈이 다른 아웃렛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 그 호출은 키트가 울리고, 사용자는 그 사용자가 어디에 있든지 그 호출을 수신하도록 이동 모듈이 연결되어 있는 단말기에 전송된다. 장점적으로, 상기 이동 모듈이 어디에도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정지 모듈은 무선 전화 번호에 상기 호출을 재지정한다. 이러한 로밍 원리는 각각의 모듈이 예를 들면, GSM 무선 전화내의 SIM 카드들과 동일한 타입의 스마트 카드의 메모리에 기입된 식별 코드를 갖는다는 사실에 의해 가능하게 된다. 이것은 국내 네트워크에서든지 혹은 국제 네트워크에서든지 로밍 동작 동안 서치되는 코드이다.
일단 상기 이동 모듈이 상기 네트워크에 연결되면, 상기 정지 모듈에 직접 연결하도록 자동으로 프로그램될 수 있어, 로밍 절차를 단순화시켜 용이하게 한다.
상술된 전화 기능들에 추가하여, 상기 모듈들(200)은 각각 오디오, 비디오 또는 다른 데이터의 로컬 서버로서 작용하는 다목적 어댑터와 독립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모듈(200)의 아키텍쳐가 도 5에 도시된다.
상술된 요소들에 추가하여, 상기 모듈은 아웃렛들(216)을 통해서 워크맨, 비디오 카메라, 의료용 탐침(검안경, 검이경, 청진기, 에코그래픽(echographic) 또는 도플러 탐침, ECG 픽업) 등과 같은 다양한 전자제품에 연결들을 설정할 수 있게 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인터페이스(218)를 포함한다.
이들 다양한 전자제품들은 상기 모듈(200)의 무선부(204)에 의해 원격 키트(300) 예를 들면, 오디오원을 위한 키트의 이어폰(earpiece), 이미지를 재생하기 위한 키트의 비디오 스크린 등에 전송되는 디지털 또는 디지털화 신호들을 발행한다. 워크맨이 상기 모듈에 연결되어 있는 실시예에서, 상기 모듈은 워크맨으로부터 원격 키트에 오디오 신호들을 방송한다. 이런 식으로, 초기의 유선 이어폰을 갖는 워크맨은 상기 모듈과 상기 원격 키트에 의하여 무선 워크맨으로 변형된다. 상기 키트는 장점적으로 신호 또는 데이터 소스를 제어하는 무선 기능들을 포함함으로써, 이러한 신호들의 상기 키트로의 전송 및 방송을 통해서 사용자가 전체 제어를 할 수 있게 한다.
상기 모듈(200)은 또한 대용량 메모리(220), GSM 인터페이스(222), GPS 위치측정 회로(224) 등과 같은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어, 지형적 위치측정 또는 다운로딩 데이터와 같은 다양한 기능들을 구현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모듈에 워크맨 및 GSM 무선 전화를 동시에 연결한다면, 그 사용자는 그 연결된 워크맨으로부터 음악을 들을 수 있고, 상기 GSM 전화를 통해서 전화 호출을 수신할 수 있으며; 호출이 도달하거나 개시된 경우에, 상기 모듈은 디폴트값으로 전화 호출에 우선순위를 제공한다. 따라서, 상기 모듈은 오디오 및 데이터 신호 서버로서 작용을 하고, 우선순위는 다른 기능들을 통해서 GSM 호출에 제공된다. 이러한 우선순위는 본래 상기 모듈을 적절하게 프로그램함으로써 변경될 수 있다. 이러한 확장은 또한 오디오 및/또는 데이터 신호들의 임의의 다른 소스에 대해서 또한 유효하다.
이러한 모듈 아키텍쳐는 또한 다수의 사용자들 간의 인터폰 기능들과 같은 다른 로컬 기능들을 제공할 수도 있으며, 각각은 상기 키트로부터 나오는 오디오 또는 데이터 신호들의 기록기("딕터폰" 기능)로서, 혹은 반대로, 사용자에 의한 응답이 없을 경우에 호출자들이 남긴 음성 또는 디지털 메시지들의 기록기("응답 장치" 기능)로서, 상기 모듈의 채널에 연결된 키트를 갖는다.
마지막으로, 상기 모듈들은 장점적으로 상술된 종류의 단말기들의 아웃렛들에만 연결되는 것은 아니며, 적절한 어댑터에 의해서, 벽 아웃렛과 같은 임의의 다른 전화 아웃렛에도 역시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Claims (11)

  1. 다목적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다수의 원격 통신 라인들(102)에 연결되며, 상기 다수의 라인들과 인터페이스하는 수단(106, 108, 110)과, 다수의 개별적인 아웃렛들(104)과, 그리고 상기 다수의 아웃렛들을 상기 다수의 라인들에 선택적으로 결합시키는데에 적절한 분배기 수단(114, 116)을 포함하는 다수의 아웃렛 단말기(100)와;
    상기 아웃렛들중 한 아웃렛 위에 개별적으로 적절히 장착되며, 상기 단말기의 상기 분배기 수단과 인터페이스하는 인터페이스 수단(202)과, 무선 트랜스시버 수단(204, 206)과, 그리고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 및 상기 트랜스시버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204, 206)을 포함하며, 상기 단말기의 분배기 수단에 의해 전달되며 라인으로부터 비롯되는 신호들을 전송을 위해 무선 신호들로 변환하고, 수신된 무선 신호들을 동일한 라인에 인가하기 위해 단말기의 분배기 수단으로 전달되는 신호들로 변환하는 데에 적절한 적어도 하나의 개별적인 연결 모듈(200)과; 그리고
    각각의 개별적인 연결 모듈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독립적인 아웃 스테이션(300)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아웃 스테이션은 상기 아웃 스테이션과 관련된 개별적인 연결 모듈과 양방향 통화를 설정하는 데에 적절한 무선 트랜스시버 수단(302, 304)과, 그리고 오디오, 비디오, 그리고/또는 디지털 데이터 신호들을 픽업 그리고/또는 재생하기 위해 트랜스듀서(310, 312, 314)들과 인터페이스하는 인터페이스 수단(306, 30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무선 통신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라인들의 수는 아웃렛들의 수 보다 적으며, 단말기는 소정의 사용자에 대한 예정된 라인을 통해 통화가 걸려오는 경우 그 사용자에 할당되는 모듈을 선택하거나, 또는 역으로 사용자로부터 오는 통화의 경우 유효 라인을 선택하는 데에 적절한 멀티플렉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무선 통신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모듈들에 의해 전송되는 무선 신호들을 수신한 다음 이들을 증폭시켜 아웃 스테이션들에 재전송하기 위해 모듈들의 트랜스시버 수단과 협동하는 릴레이 트랜스시버 수단(12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무선 통신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인터페이스 수단은 PSTN, VSAT, ADSL, 무선 스테이션, 로컬 유선 루프, 또는 무선 전화 네트워크 타입의 1개 이상의 네트워크들과 인터페이스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무선 통신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전원 공급 수단(122)을 더 포함하고, 상기 아웃렛들은 개별적인 모듈들에 전원을 공급하고 그리고/또는 개별적인 모듈들에 속하는 개별적인 전원 공급 수단을 재충전하는 단말기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무선 통신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각 아웃 스테이션은 단일의 소정 모듈에 정적으로 그리고 일대일 대응으로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무선 통신 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아웃 스테이션들의 수는 모듈들의 수 보다 많으며, 각 아웃 스테이션은 동적이고 가변적인 방식으로 소정의 모듈에 할당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무선 통신 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들은
    아웃 스테이션에 의해 전송되는 연결 요구를 수신하는 수단과;
    단말기 제어 수단에 액세스 허가 및 라인 할당 요구를 전송하는 수단과;
    무선 채널 식별자와 함께, 네트워크 라인에 대한 액세스 및 연결을 허가하는 신호를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수단과; 그리고
    이러한 방식으로 식별되는 채널을 통해 상기 아웃 스테이션과의 통화를 설정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무선 통신 시스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들은
    오디오, 비디오, 그리고/또는 디지털 데이터 신호 소스들에 결합시키는 수단(216, 218)과; 그리고
    상기 모듈과 관련된 아웃 스테이션에 대해 예정되고 그리고/또는 이 아웃 스테이션으로부터 나오는 신호들의 상기 소스들과 상기 트랜스시버 수단 간에서 교환을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데에 적절한 로컬 서버를 형성하는 수단(210, 2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무선 통신 시스템.
  10. 제 1항에 있어서,
    독립적인 아웃-스테이션(300)은 이어폰(310), 마이크로폰(312), 그리고 키패드(314)를 포함하는데, 이들은 물리적으로 독립되고 관련 무선 트랜스시버 수단이 제공되며;
    상기 이어폰은 아무런 트랜스시버 수단을 갖지않은 제 2 이어폰 그리고/또는 상기 마이크로폰이 플러그되는 헤드셋의 형태로 구현되며; 그리고
    상기 키패드는 특정 목적으로 집적되며, 상기 키패드에 상기 마이크로폰(312)이 또한 플러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무선 통신 시스템.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폰(312)은 트랜스시버 수단이 구비되지 않은 변환기이고 요소의 트랜스시버 수단과 협동하며, 경우에 따라 상기 트랜스시버 수단에 이어폰(310) 또는 키패드(314)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무선 통신 시스템.
KR1020047005697A 2001-10-16 2002-10-11 다목적 무선 통신 시스템 KR2005003516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1/13322 2001-10-16
FR0113322A FR2831002B1 (fr) 2001-10-16 2001-10-16 Systeme de communication polyvalent sans fi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5168A true KR20050035168A (ko) 2005-04-15

Family

ID=8868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5697A KR20050035168A (ko) 2001-10-16 2002-10-11 다목적 무선 통신 시스템

Country Status (23)

Country Link
US (1) US20040259538A1 (ko)
EP (1) EP1442567B1 (ko)
JP (1) JP2005506759A (ko)
KR (1) KR20050035168A (ko)
CN (1) CN100539541C (ko)
AP (1) AP1706A (ko)
AT (1) ATE398370T1 (ko)
AU (1) AU2002356212B2 (ko)
BR (1) BR0213305A (ko)
CA (1) CA2502569A1 (ko)
DE (1) DE60227092D1 (ko)
EA (1) EA005708B1 (ko)
FR (1) FR2831002B1 (ko)
HR (1) HRP20040428A2 (ko)
MA (1) MA26345A1 (ko)
MX (1) MXPA04003595A (ko)
OA (1) OA12712A (ko)
PL (1) PL206079B1 (ko)
TN (1) TNSN04063A1 (ko)
UA (1) UA77704C2 (ko)
WO (1) WO2003034668A1 (ko)
YU (1) YU40904A (ko)
ZA (1) ZA20040366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42459B1 (en) 2000-04-19 2005-01-11 Serconet Ltd. Network combining wired and non-wired segments
FR2830962B1 (fr) * 2001-10-12 2004-01-30 Inst Nat Rech Inf Automat Dispositif et methode de traitement d'image pour detection de lesions evolutives
IL152824A (en) 2002-11-13 2012-05-31 Mosaid Technologies Inc A socket that can be connected to and the network that uses it
US20050037823A1 (en) * 2003-05-28 2005-02-17 Nambirajan Seshadri Modular wireless headset and/or headphones
IL157787A (en) 2003-09-07 2010-12-30 Mosaid Technologies Inc Modular outlet for data communications network
IL160417A (en) 2004-02-16 2011-04-28 Mosaid Technologies Inc Unit added to the outlet
IL161869A (en) 2004-05-06 2014-05-28 Serconet Ltd A system and method for carrying a signal originating is wired using wires
US7760882B2 (en) * 2004-06-28 2010-07-20 Japan Communication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utual authentication of network nodes
US7725716B2 (en) * 2004-06-28 2010-05-25 Japan Communications, Inc. Methods and systems for encrypting, transmitting, and storing electronic information and files
US7813451B2 (en) 2006-01-11 2010-10-12 Mobileaccess Networks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frequency shifting of a wireless signal and systems using frequency shifting
EP2203799A4 (en) 2007-10-22 2017-05-17 Mobileaccess Networks Ltd. Communication system using low bandwidth wires
US8175649B2 (en) 2008-06-20 2012-05-08 Corning Mobileaccess Ltd Method and system for real time control of an active antenna over a distributed antenna system
US8897215B2 (en) 2009-02-08 2014-11-25 Corning Optical Communications Wireless Ltd Communication system using cables carrying ethernet signals
EP2829152A2 (en) 2012-03-23 2015-01-28 Corning Optical Communications Wireless Ltd. Radio-frequency integrated circuit (rfic) chip(s) for providing distributed antenna system functionalities, and related components, systems, and methods
US9184960B1 (en) 2014-09-25 2015-11-10 Corning Optical Communications Wireless Ltd Frequency shifting a communications signal(s) in a multi-frequency distributed antenna system (DAS) to avoid or reduce frequency interference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11570A (en) * 1991-05-10 1994-05-10 At&T Bell Laboratories Integration of wireless paging in a communication system
DE69832967D1 (de) * 1997-12-31 2006-02-02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Universelle drahtlose informationsinfrastruktur für gebäude
DE19948717A1 (de) * 1999-09-30 2001-04-05 Siemens Ag Funkübertragungseinrichtung und Verfahren zu deren Betrieb
US7631080B2 (en) * 2000-06-20 2009-12-08 Nds Limited Unicast/multicast architecture
US7027414B2 (en) * 2001-08-09 2006-04-11 Hughes Network Systems, Llc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identifying and efficiently treating classes of traffic
JP2003134495A (ja) * 2001-10-29 2003-05-09 Nec Corp インターネット衛星通信及び無線放送システム
US7336967B2 (en) * 2002-07-08 2008-02-26 Hughes Network Systems, Llc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load-sensitive bandwidth allocation
NL1021062C2 (nl) * 2002-07-12 2004-01-13 Egbert Berend Holtkamp Voortentconstructie en kampeerverblijf voorzien van een voortentconstructi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A005708B1 (ru) 2005-04-28
ZA200403667B (en) 2005-05-13
FR2831002A1 (fr) 2003-04-18
PL370263A1 (en) 2005-05-16
EA200400544A1 (ru) 2004-12-30
BR0213305A (pt) 2004-10-13
MA26345A1 (fr) 2004-10-01
JP2005506759A (ja) 2005-03-03
DE60227092D1 (ko) 2008-07-24
CN1572090A (zh) 2005-01-26
US20040259538A1 (en) 2004-12-23
WO2003034668A1 (fr) 2003-04-24
PL206079B1 (pl) 2010-06-30
FR2831002B1 (fr) 2004-01-02
CN100539541C (zh) 2009-09-09
TNSN04063A1 (fr) 2006-06-01
ATE398370T1 (de) 2008-07-15
EP1442567A1 (fr) 2004-08-04
CA2502569A1 (fr) 2003-04-24
MXPA04003595A (es) 2004-11-12
OA12712A (fr) 2006-06-26
HRP20040428A2 (en) 2004-08-31
AU2002356212B2 (en) 2007-07-05
UA77704C2 (en) 2007-01-15
EP1442567B1 (fr) 2008-06-11
AP1706A (en) 2007-02-26
AP2004003032A0 (en) 2004-06-30
YU40904A (sh) 2006-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411687B (en) Communications webs for PSTN subscribers
JP2755268B2 (ja) 私設交換機形態の無線電話システム
AU2002356212B2 (en) Wireless multipurpose communications system
CN1302521A (zh) 用于公共交换电话网用户的带有个人通信链路的通信万维网`
KR20010043771A (ko) Pstn 가입자용 스펙트럼 감시
JP2000507417A (ja) 移動電話呼用の代替ルーティングシステム
JP3236320B2 (ja) サービス総合ディジタル通信網のための電話装置
CA2359452A1 (en) Wireless communications gateway for a home or small office
CN1860773B (zh) 耳机
US2004023390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stablishing a wireless voice-over-IP telecommunication
AU2003203810B2 (en) Wireless digital key telephone system
JPH0983423A (ja) 衛星通信端末システム
EP2009935A1 (en) Docking station for receiving mobile stations and transferring calls to connected terminals/networks
US20050176417A1 (en) Telecommunication system
WO1999049682A1 (en) Apparatus for connecting communications devices to a mobile communications network using a mobile telephone
NL1021749C2 (nl) Draadloos digitaal doorkiesnummersamenstel.
JP3023210B2 (ja) 電子交換機システム
JPWO2004062252A1 (ja) 携帯端末接続システムおよび携帯端末接続装置
JPH03297231A (ja) ボタン電話装置
KR20010082916A (ko) 인터넷 전화 시스템 및 그 방법
MXPA98010426A (en) Communications webs for pstn subscribers
SE524610C2 (sv) Trådlöst digitalt knapptelefon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