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34925A - 옹벽축조 부재 및 그 축조방법 - Google Patents

옹벽축조 부재 및 그 축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34925A
KR20050034925A KR1020030070700A KR20030070700A KR20050034925A KR 20050034925 A KR20050034925 A KR 20050034925A KR 1020030070700 A KR1020030070700 A KR 1020030070700A KR 20030070700 A KR20030070700 A KR 20030070700A KR 20050034925 A KR20050034925 A KR 200500349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ing wall
wall construction
construction member
constructing
fi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07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14907B1 (ko
Inventor
정인석
Original Assignee
정인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인석 filed Critical 정인석
Priority to KR10200300707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4907B1/ko
Publication of KR200500349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49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49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49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91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filled, bag-like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 E02D2300/0029Steel; Iron
    • E02D2300/0034Steel; Iron in wire form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7Resins including glasfi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옹벽축조 부재 및 그 축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정 링을 구비하고 섬유 시트로 형성된 주머니를 와이어 등으로 결박시켜 안정된 옹벽 구조물을 얻도록 하는 옹벽축조 부재 및 그 축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섬유 시트로 이루어지고, 모래 등의 충전물이 투입되는 투입구를 구비하며, 상기 충전물이 투입될 때 일정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주머니; 상기 주머니의 투입구에 구비되고, 상기 충전물이 투입된 후 상기 투입구를 조이도록 하는 조임 끈; 및 상기 주머니의 모서리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고정 링; 을 포함하는 옹벽축조 부재를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 1항의 옹벽축조 부재에 모래 등의 충전물을 투입한 후 조임 끈으로 투입구를 조여서, 상기 옹벽축조 부재를 축조가 용이한 일정한 형상으로 형성시키는 제 1단계; 상기 모래 등의 충전물이 투입된 일정한 형상의 옹벽축조 부재를 축조하는 제 2단계; 및 와이어를 상기 축조된 옹벽축조 부재의 모서리측에 구비된 고정 링에 걸어 좌우로 인접한 옹벽 축조 부재들을 결박시키는 제 3단계; 를 포함하는 옹벽축조 방법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고정 링을 구비하고 섬유 시트로 형성된 주머니를 축조하고 상기 고정 링에 와이어 등을 끼워 결박시키는 작업만으로 구조적으로 안정된 옹벽을 구축하는 효과가 있고, 지역적 특성 및 사용 목적에 따라서 변경 시공이 가능하다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옹벽축조 부재 및 그 축조방법 {Member for Constructing Breast Wall and Method of Constructing the Breast Wall}
본 발명은 옹벽축조 부재 및 그 축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정 링을 구비하고 섬유 시트로 형성된 사각기둥 또는 원기둥 형상의 주머니를 연결 끈 및 와이어 등으로 결박시켜 구조적으로 안정된 옹벽 구조물을 얻도록 하는 옹벽축조 부재 및 그 축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방, 낙석방지 옹벽, 도로 구조물 등의 성토 공사시 보강토 공법이 널리 이용된다. 보강토 공법은 흙 쌓기 제방이나 벽체의 배면 또는 흙 쌓기 사면에 금속이나 합성섬유, 천 등의 보강재를 부설 또는 삽입함으로써 흙과 보강재가 일체가 되어 전단에 저항하도록 조성하는 공법을 말한다. 이는 토압의 저감, 사면안정, 지지력 증대, 변형이나 침하 억제를 위해 주로 사용된다.
종래의 보강토 공법을 적용한 옹벽으로서 전면벽을 블록으로 구축하는 블록식 보강토 옹벽이 제안된 바 있다.
상기 블록식 보강토 옹벽은 전면에 블록들을 쌓고 전면블록들의 뒷부분에 흙과 자갈층을 쌓는 방식으로 옹벽을 구축한다. 그러나 이러한 블록식 보강토 옹벽은 블록축조와 토공사 등의 서로 다른 작업을 동시에 수행하여야 하므로 작업이 복잡하고 작업능률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옹벽은 여러 지역에서 사용목적에 따른 변경 시공이 어렵다. 예를 들어, 쓰레기 매립지에서 옹벽으로 이용시 토양으로 뿐만 아니라 옹벽으로 쓰레기의 침출수가 스며들어 심한 경우는 옹벽이 약화되고 일탈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섬유 시트로 형성된 사각기둥 또는 원기둥 형상의 주머니를 쌓는 작업만으로 구조적으로 안정된 옹벽을 구축할 수 있고, 여러 지역에서 사용 목적에 따라 변경 시공이 가능한 옹벽축조 부재 및 그 축조방법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섬유 시트로 이루어지고, 모래 등의 충전물이 투입되는 투입구를 구비하며, 상기 충전물이 투입될 때 일정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주머니; 상기 주머니의 투입구에 구비되고, 상기 충전물이 투입된 후 상기 투입구를 조이도록 하는 조임 끈; 및 상기 주머니의 모서리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고정 링; 을 포함하는 옹벽축조 부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 1항의 옹벽축조 부재에 모래 등의 충전물을 투입한 후 조임 끈으로 투입구를 조여서, 상기 옹벽축조 부재를 축조가 용이한 일정한 형상으로 형성시키는 제 1단계; 상기 모래 등의 충전물이 투입된 일정한 형상의 옹벽축조 부재를 축조하는 제 2단계; 및 와이어를 상기 축조된 옹벽축조 부재의 모서리측에 구비된 고정 링에 걸어 좌우로 인접한 옹벽 축조 부재들을 결박시키는 제 3단계; 를 포함하는 옹벽축조 방법을 제공한다. 이 때, 상기 옹벽축조 부재의 상측에 구비된 조임 끈을 좌우로 인접한 옹벽축조 부재의 조임 끈과 묶는 제 4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의한 옹벽축조 부재의 형상을 도시하고, 도 2는 모래 등의 충전물이 투입된 옹벽축조 부재를 도시하고 있으며, 이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옹벽축조 부재(10)는 통상의 섬유 또는 합성섬유 시트 등으로 이루어지고, 모래 등의 충전물 투입시 사각기둥 또는 원기둥으로 형성되는 주머니(11)를 구비한다. 이 때 상기 주머니(11)는 충전물 투입시 축조하기 쉬운 사각기둥으로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리고, 섬유 시트로는 유리섬유(glass fiber) 시트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일반적으로 유리섬유는 녹은 유리를 늘리거나, 분출기체로 불어 날려서 수 ㎛ 정도의 굵기로 제조되고, 이처럼 가늘어진 유리섬유는 같은 굵기의 철선만큼 높은 인장강도를 나타낸다. 그래서 유리섬유는 단열재, 전기절연재, 축전지용격벽 등에 사용되며, 항공기나 자동차 배 등의 몸체나 탱크파이프 건축자재 등 가벼우면서도 강한 재료를 필요로 하는 곳에 널리 이용된다. 따라서 상기 옹벽축조 부재(10)도 쉽게 찢어지지 않고 안정적인 구조물을 구축하도록 하기 위해 유리섬유 시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리섬유 시트로 형성된 주머니(11)는 모래 등 충전물이 투입되는 투입구(13)를 구비하고, 상기 투입구(13)를 통해 모래 등 충전물이 투입되면 상기 투입구(13)를 조여서 묶을 수 있는 조임 끈(14)을 구비한다. 상기 조임 끈(14)은 옹벽축조 부재의 축조시, 인접한 옹벽축조 부재들의 조임 끈들을 서로 묶어 이들을 더욱 단단하게 결박시키기 위한 수단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모래 등의 충전물 투입시에는 도 1a 및 도 1b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L2까지 충전물을 투입하고, 투입 후 상기 주머니(11)의 L1위치에 구비된 조임 끈(14)을 이용하여 조여주면, 축조하기 용이한 사각기둥 또는 원기둥의 옹벽축조 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유리섬유 시트로 형성된 주머니(11)의 모서리측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 링(12)을 구비한다. 예를 들어 상기 고정 링(12)으로는 유리섬유 또는 기타 끈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옹벽 축조 방법에 따라 축조된 옹벽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으며, 그 축조 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옹벽축조 부재(10)에 모래 등의 충전물을 투입하여 축조가 용이한 사각기둥으로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모래 등이 투입된 사각기둥 형상의 옹벽축조 부재(10)를 축조한다. 그리고 나서, 상기 축조된 옹벽축조 부재(10)의 상측에 구비된 조임 끈(14)을 인접한 옹벽축조 부재(10)의 상측 조임 끈(14)과 묶는다.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축조된 옹벽축조 부재(10)에 구비된 고정링(12)에 와이어(20)를 짧게 걸어 좌우로 인접한 옹벽축조 부재를 결박시킬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축조된 옹벽축조 부재(10)에 구비된 고정 링(12)에 와이어(20')를 길게 걸어 좌우로 인접한 옹벽축조 부재(10)를 결박시켜도 좋다. 같은 방법으로 연속하여 상기 옹벽축조 부재(10)를 원하는 높이까지 축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링(12)에 철심(30)을 끼워 상하로 인접한 옹벽축조 부재(1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옹벽축조 부재(10)에 구비된 고정 링(12) 중 일부는 가로로 와이어를 통과시키기 위해 구비되고, 또 다른 일부는 세로로 철심을 통과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 링(12)을 상기 주머니(11)의 양측에서 각각 높이를 달리함으로써 상기 옹벽축조 부재(10)가 축조되었을 때 인접 옹벽축조 부재(10)의 고정 링(12)과 엇갈리게 구비되게 할 수 있다. 이는 엇갈려 구비된 상기 고정 링(12)으로 인해 인접 옹벽 축조 부재(10)가 정확하게 맞물려 더욱 더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의한 옹벽축조 부재 및 그 축조 방법은 여러 지역에서 그 사용목적에 따라 용이하게 변경 시공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8에서는 여러 지역에서의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며, 이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옹벽축조 부재 및 그 축조방법은 쓰레기 매립지에서의 옹벽축조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모래 등의 충전물이 투입된 상기 옹벽축조 부재(10)를 양측에 적어도 한층 축조하고, 상기 축조된 양측의 옹벽축조 부재(10) 사이와 이에 연결되는 바닥측에 수지 시트(40)를 설치한 후, 상기 수지 시트(40)를 고정하도록 상기 옹벽 축조 부재(10)를 적어도 한층 더 축조한다. 상기 인접한 옹벽축조 부재(10)들의 상측에 구비된 조임 끈(14)들을 묶고, 와이어(20)를 상기 옹벽 축조 부재(10)의 모서리측에 구비된 고정 링(12)에 걸어 결박시킨다. 예를 들어 상기 수지 시트(40)로는 폴리에틸렌 시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쓰레기 매립지의 경우는 상기 옹벽축조 부재(10) 사이와 이에 연결되는 바닥측에 상기 수지 시트(40)를 삽입 설치함으로써 쓰레기의 침출수가 토양뿐만 아니라 양 측면의 옹벽에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옹벽축조 부재 및 그 축조방법에 따라 성토지 옹벽의 축조에 사용될 수 있다.
모래 등의 충전물이 투입된 상기 옹벽축조 부재(10)를 적어도 한층 이상 축조하고, 상기 인접한 옹벽축조 부재(10)들의 상측에 구비된 조임 끈(14)들을 묶고, 와이어(20)를 상기 옹벽 축조 부재(10)의 모서리측에 구비된 고정 링(12)에 걸어 결박시킨다. 그리고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옹벽축조 부재에 구비된 고정 링(12)에 로프 등과 같은 연결벨트(60)를 걸어 고정 수단(50)에 연결시켜 고정시킨다. 그런 다음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층의 옹벽축조 부재의 높이까지 흙 등으로 성토한 후, 다시 두번째 층의 옹벽축조 부재에 구비된 고정 링(12)에 로프 등과 같은 연결벨트(60)를 걸고 이를 상기 고정 수단(50)에 연결시켜 고정시킨다. 또 같은 방법으로 두번째 층의 옹벽축조 부재 높이까지 성토를 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원하는 높이까지 성토지를 축조할 수 있다. 마지막 층까지 성토한 후 상기 옹벽축조 부재(10)의 상측에 조임 끈(14)을 상기 연결벨트(60)와 묶고 이를 상기 고정 수단(50)에 연결시켜 고정시킨다. 이처럼 본 발명에 의하면 간편한 방법으로 보다 안정된 성토지를 구축할 수 있다.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옹벽축조 부재 및 그 축조방법은 낙석방지 옹벽의 축조에 사용될 수 있다.
산사태의 우려가 있는 지역 등에서 낙석방지를 위해 상기 옹벽축조 부재(10)를 여러 층 겹쳐서 축조하고, 상기 옹벽축조 부재(10)의 고정 링(12)에 루프 등과 같은 연결벨트(60)를 걸어 앵커(angker, 70)를 통해 단단하게 조여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킨다. 또한 상기 옹벽축조 부재(10)의 상측에 조임 끈(14)을 상기 연결벨트(60)와 묶고 이를 상기 앵커(70)에 연결시켜 고정시킨다. 그리고 나서 상기 옹벽축조 부재(10)의 뒷면을 흙 또는 자갈로 채운다. 본 발명에 의하면 구조적으로 안정된 낙석 방지 옹벽을 구축할 수 있고 산사태 또는 낙석을 방지 할 수 있어 매우 효과적이다.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옹벽축조 부재 및 그 축조방법은 도로 구조물 옹벽의 축조에도 사용될 수 있다.
도로 구조물 구축시에는 지반 침하를 방지하기 위해 지하 매설물을 안정되게 축조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옹벽축조 부재(10)를 도로 구조물 지하 외측에 여러 층으로 축조하고, 상기 인접한 옹벽축조 부재(10)들의 상측에 구비된 조임 끈(14)들을 묶고, 와이어(20)를 상기 옹벽 축조 부재(10)의 모서리측에 구비된 고정 링(12)에 걸어 결박시킨다. 그리고 나서, 하층의 양측 옹벽축조 부재(10)에 구비된 각각의 고정 링(12)에 로프 등과 같은 연결 벨트(60)를 걸어 연결시킨다. 그 높이까지 흙 등으로 성토한 후 두번째 층의 양측의 옹벽축조 부재에 구비된 고정 링(12')에 상기 로프 등의 연결벨트(60)를 걸어 연결시킨다. 마찬가지로 두번째 층의 높이까지 흙 등으로 성토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원하는 높이까지 옹벽을 축조하면 된다. 이로써 구조적으로 보다 안정된 도로 구조물을 구축할 수 있다.
이상은 본 발명에 대하여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한 것으로, 이는 예시이며 본 발명을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의한 옹벽축조 부재 및 그 축조방법은, 옹벽축조 부재의 모서리측에 고정 링을 구비하여 섬유 시트로 형성된 주머니를 축조하고 와이어 등을 통해 결박하는 작업만으로 구조적으로 안정된 옹벽을 구축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지역적 특성 및 사용 목적에 따라서 변경 시공이 가능하며, 특히 쓰레기 매립지에서 옹벽으로 이용시 수지 시트를 양 측면 옹벽축조 부재 사이에 삽입함으로써 침출수 침투 및 누출을 방지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의한 옹벽축조 부재의 사시도.
도 2는 모래 등의 충전물이 투입된 본 발명에 의한 옹벽축조 부재의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축조된 옹벽의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제 1 실시예인 쓰레기 매립지 옹벽의 개략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의한 제 2 실시예인 성토지의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제 3 실시예인 낙석방지 옹벽의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제 4 실시예인 도로 구조물의 개략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옹벽축조 부재 11... 주머니
12... 고정 링 13... 투입구
14... 조임 끈 20, 20'... 와이어
30... 철심 40... 수지 시트
50... 고정 수단 60... 연결벨트
70... 앵커

Claims (9)

  1. 섬유 시트로 이루어지고, 모래 등의 충전물이 투입되는 투입구를 구비하며, 상기 충전물이 투입될 때 일정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주머니;
    상기 주머니의 투입구에 구비되고, 상기 충전물이 투입된 후 상기 투입구를 조이도록 하는 조임 끈; 및
    상기 주머니의 모서리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고정 링;
    을 포함하는 옹벽축조 부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머니는 상기 충전물이 투입될 때 사각기둥 또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축조 부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 시트는 유리섬유 시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축조 부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링은 상기 주머니의 모서리측에서 각각 높이를 달리하여 와이어 또는 철심이 체결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주머니가 옹벽으로 축조될 때 인접 주머니의 고정 링과 엇갈리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축조 부재.
  5. 제 1항의 옹벽축조 부재에 모래 등의 충전물을 투입한 후 조임 끈으로 투입구를 조여서, 상기 옹벽축조 부재를 축조가 용이한 일정한 형상으로 형성시키는 제 1단계;
    상기 모래 등의 충전물이 투입된 일정한 형상의 옹벽축조 부재를 축조하는 제 2단계; 및
    와이어를 상기 축조된 옹벽축조 부재의 모서리측에 구비된 고정 링에 걸어 좌우로 인접한 옹벽 축조 부재들을 결박시키는 제 3단계;
    를 포함하는 옹벽축조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옹벽축조 부재의 상측에 구비된 조임 끈을 좌우로 인접한 옹벽축조 부재의 조임 끈과 묶는 제 4단계를 더 포함하는 옹벽축조 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3단계에서는 철심을 상기 축조된 옹벽축조 부재의 모서리측에 구비된 고정 링에 끼워 상하로 인접한 옹벽축조 부재를 고정하는 작업을 더 포함하는 옹벽축조 방법.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단계에서는 옹벽축조 부재에 모래 등의 충전물을 투입한 후 조임 끈으로 투입구를 조여서, 상기 옹벽축조 부재를 축조가 용이한 사각기둥 또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축조 방법.
  9. 모래 등의 충전물이 투입된 제 1항의 옹벽축조 부재를 양측에 적어도 한층 축조하고, 상기 축조된 양측의 옹벽축조 부재 사이와 이에 연결되는 바닥측에 수지 시트를 설치한 후, 상기 수지 시트를 고정하도록 상기 옹벽 축조 부재를 적어도 한층 더 축조하고, 상기 인접한 옹벽축조 부재들의 상측에 구비된 조임 끈들을 묶고, 와이어를 상기 옹벽축조 부재의 모서리측에 구비된 고정 링에 걸어 결박시켜 구성한 옹벽축조 부재를 이용한 쓰레기 매립지 옹벽축조 방법.
KR1020030070700A 2003-10-10 2003-10-10 옹벽축조 부재 및 그 축조방법 KR1006149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0700A KR100614907B1 (ko) 2003-10-10 2003-10-10 옹벽축조 부재 및 그 축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0700A KR100614907B1 (ko) 2003-10-10 2003-10-10 옹벽축조 부재 및 그 축조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1999U Division KR200358093Y1 (ko) 2004-04-29 2004-04-29 옹벽축조 부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4925A true KR20050034925A (ko) 2005-04-15
KR100614907B1 KR100614907B1 (ko) 2006-08-25

Family

ID=37238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0700A KR100614907B1 (ko) 2003-10-10 2003-10-10 옹벽축조 부재 및 그 축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490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7831B1 (ko) * 2005-11-22 2007-05-11 신승종 제방 축조방법
KR100753214B1 (ko) * 2006-05-10 2007-08-30 신승종 절개지 보수 백과, 이를 이용한 옹벽구조물 및 그 축조방법
KR100894438B1 (ko) * 2006-02-21 2009-04-2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순환골재를 이용한 중력식 옹벽용 지오백 블록 및 이에의한 중력식 옹벽의 시공방법
CN104018510A (zh) * 2014-06-26 2014-09-03 重庆大学 一种整体化土工包裹体结构和制作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3972B1 (ko) * 2009-01-12 2011-10-17 주식회사 제이에이치 식생옹벽용 표면부재, 이를 이용한 식생옹벽 및 그 시공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62576A (ja) * 2000-03-22 2001-09-26 Sato Benec Co Ltd 壁面構築用袋体及び同壁面構築用袋体を用いた土壁構築工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7831B1 (ko) * 2005-11-22 2007-05-11 신승종 제방 축조방법
WO2007061156A1 (en) * 2005-11-22 2007-05-31 Seung Jong Shin Construction method of embankment
KR100894438B1 (ko) * 2006-02-21 2009-04-2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순환골재를 이용한 중력식 옹벽용 지오백 블록 및 이에의한 중력식 옹벽의 시공방법
KR100753214B1 (ko) * 2006-05-10 2007-08-30 신승종 절개지 보수 백과, 이를 이용한 옹벽구조물 및 그 축조방법
WO2007129785A1 (en) * 2006-05-10 2007-11-15 Seung Jong Shin Cutting area repairing bag, retaining wall structure using the same and method for building retaining wall structure using the same
CN104018510A (zh) * 2014-06-26 2014-09-03 重庆大学 一种整体化土工包裹体结构和制作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14907B1 (ko) 2006-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97390B1 (en) Fine-grained fill reinforcing apparatus and method
US5320455A (en) Geocell with facing panel
CN104164853B (zh) 石笼网装生态袋和废旧轮胎的生态航道驳岸挡墙及其方法
KR101077949B1 (ko) 보강토 옹벽블록 및 그 시공 방법
US20180340305A1 (en) Berm Or Levee Expansion System And Method
KR20120137437A (ko) 옹벽 성토 구조체
KR100614907B1 (ko) 옹벽축조 부재 및 그 축조방법
TW201114981A (en) Underground structure having an overlaid structure of resin-made layers
JP5100513B2 (ja) 補強土壁及びその構築方法
KR20190006310A (ko) 보강토 옹벽의 시공 공법
KR100617898B1 (ko) 오탁방지막 앵커블록
JPH11323936A (ja) 盛土構造物およびその安定化工法
KR200358093Y1 (ko) 옹벽축조 부재
JPS61155516A (ja) 斜面安定工法および補強材
KR100245048B1 (ko) 보강토 구조물
KR20030011206A (ko) 강재 전면틀과 지오그리드 보강재를 사용한 보강토 옹벽
JP2007051514A (ja) 長尺土嚢ドレーン補強工法
KR100576644B1 (ko) 나선봉합 고강도 토목섬유 상부보강포대를 이용한골재속채움 상부보강말뚝에 의한 해저 연약지반의전단저항력 증가를 위한 해저 연약지반의 개량공법 및나선봉합 고강도 토목섬유 상부보강포대를 이용한골재속채움 상부보강말뚝
KR101132697B1 (ko) 침하가 예상되는 불량 지반에 적용되는 보강토 옹벽 및 그 시공방법
KR101020217B1 (ko) 앵커를 이용한 암석 축조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200223114Y1 (ko) 암 절취사면용 옹벽 보강구조
JP4498047B2 (ja) 地盤及び/又は地下埋設物の補強工法
KR20000041500A (ko) 폐타이어를 이용한 보강토 공법
JPH10280461A (ja) 地下埋設容器の浮上防止装置
KR100647784B1 (ko) 옹벽용 단섬유 보강복합 성토 구조물 및 그 축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1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