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34748A - 천연감촉 중합체 - Google Patents

천연감촉 중합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34748A
KR20050034748A KR1020057003298A KR20057003298A KR20050034748A KR 20050034748 A KR20050034748 A KR 20050034748A KR 1020057003298 A KR1020057003298 A KR 1020057003298A KR 20057003298 A KR20057003298 A KR 20057003298A KR 20050034748 A KR20050034748 A KR 200500347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ulation
polymer
natural
hair
am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32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68427B1 (ko
Inventor
허버트 울머
티모시 질레스
존 커티르지스
Original Assignee
아이에스피이 인베스트먼츠 인코포레이팃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10/233,838 external-priority patent/US7041281B2/en
Priority claimed from US10/353,390 external-priority patent/US7005125B2/en
Application filed by 아이에스피이 인베스트먼츠 인코포레이팃드 filed Critical 아이에스피이 인베스트먼츠 인코포레이팃드
Publication of KR200500347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47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84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84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5Polyes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6Preparations for styling the hair, e.g. by temporary shaping or colou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64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carboxyl radical, and containing at least one other carboxyl radical in the molecule,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g. poly (methyl vinyl ether-co-maleic anhydri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8Polyam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2/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carboxyl radical and containing at least one other carboxyl radical in the molecule;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 C08F222/36Amides or im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8/00Chemical modification by after-treatment
    • C08F8/30Introducing nitrogen atoms or nitrogen-containing groups
    • C08F8/32Introducing nitrogen atoms or nitrogen-containing groups by reaction with ami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smetic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천연감촉 중합체는 유연성이 있고 천연 섬유에 강한 친화성을 나타내는 유리한 배합물로서 어 케라틴계 섬유, 예컨대 모발, 피부 또는 직물(예, 면, 울)에 적용했을 때 천연 감촉을 부여하고 수용성 및 방수성이다. 이러한 중합체는 단량체(예, α-올레핀) 말레산 무수물 알킬 1/2 에스테르 또는 완전 산, 말레아믹산 및 말레이미드의 반복 단위를 포함하는데, 이는 폴리에테르 아민으로 유도체화되기도 하고, 경우에 따라 카르복실산 함유 화합물 또는 중합체와 혼합되기도 한다.

Description

천연감촉 중합체{NATURAL FEEL POLYMERS}
본 발명은 유연성 및 부드러운 감촉의 바람직한 물리적 특성 뿐 아니라 수용성 및 방수성을 보유하는, 개인위생용품에 유용한 중합체, 보다 상세하게는 헤어 스타일링 중합체(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천연감촉" 중합체라 부른다)에 관한 것이다.
모발에서 감촉이 딱딱한 헤어 스타일링 중합체는 강한 응력이 가해지면 쉽게 부서진다. 따라서 이러한 중합체는 상당하게 인장되면 쉽게 분쇄될 것이다. 한편, 모발 스타일링에 사용될 때 유연성이 높은 중합체는 강한 응력이나 약한 응력 하에서도 굴절될 수 있으나, 원하는 모발 스타일링 시 사용자에게 지나치게 연성인 느낌을 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강성과 유연성의 바람직한 특성을 보유하고 모발에 대한 친화성이 강하여 사용자가 천연감촉을 느끼게 하며, 또한 수용성 및 방수성인 중합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간단한 세척을 통해 기질, 예를 들어 모발이나 피부, 또는 직물 섬유로부터 쉽게 제거될 수 있는 천연감촉의 중합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 및 본 발명의 다른 목적과 특징은 이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을 것이다.
발명의 개요
천연감촉 중합체(이하, 중합체 "A"라 부른다)는 하기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a) 단량체(예, α-올레핀)-말레산 무수물 알킬 1/2 에스테르 또는 완전 산, (b) 말레아믹산 및 (c) 말레이미드의 반복 단위를 일정량 보유하는 것이다:
천연감촉 중합체
(a) 1/2 에스테르 또는 완전 에스테르
(b) 말레아믹산
(c) 말레이미드
상기 식에서,
R, R1, R2 및 R3은 H, 알킬, 알콕시, 시클로알킬, 아릴, 에스테르, 산, 하이드록시, 하이드록시알킬, 아미도, 플루오로, 할로 및 실릴 중에서 선택되고, R4는 H 또는 알킬이며;
R'는 X, 소수성 아민; Y, 친수성 아민; Z, 폴리에테르 아민; 및 이의 적당한 혼합물 중에서 선택되는 유도체 기이고;
x, y 및 z는 각각 0 내지 99.9mol%, 0 내지 50mol% 및 0.1 내지 100mol%, 바람직하게는 0 내지 50, 0 내지 5 및 50 내지 100mol%로 존재하며, X, Y 및 Z는 0 내지 20 : 0 내지 99 : 0.1 내지 20의 몰비; 바람직하게는 0 내지 10 : 40 내지 98 : 1 내지 10의 몰비로 존재한다.
중합체 "A"와 카르복실산 작용기를 가진 화합물 또는 중합체인 "B"의 혼합물은 유리한 성질을 가진 유용한 중합체를 생산한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의 천연감촉 중합체 (A)는 특히 자가 수소결합이나 중합체 내의 다른 반복단위와 수소결합을 형성할 수 있는 폴리에테르 아민 유도체화 기를 다량(중량 기준) 함유하여 분자내 또는 분자간 중합체를 형성하고 결과적으로 가상망형(pseudo-network) 중합체를 산출하는 반복 단위를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중합체는 가교된 것처럼 작용한다. 이와 같이 수소결합된 분자 사이의 응집력은 방수성을 보유할 뿐만 아니라 일단 중합체가 물에 잠긴 경우 충분한 양의 물을 허용하여 용해되기 때문에 수용성도 보유하는 중합체를 제공한다. 이러한 중합체는 천연 기질에 양호한 부착성을 나타내지만 원한다면 쉽게 제거할 수도 있다. 또한, 일부 폴리에테르 유도체화제는 건조(dry-down) 시 결정화되어 방수성과 같은 성질 향상을 초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천연감촉 중합체 제조에 사용되는 대표적인 구조 성분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천연감촉 중합체의 반응물
중합체 주쇄
단량체-말레산 무수물 공중합체
알킬 비닐 에테르-말레산 무수물 공중합체, 예컨대 메틸 비닐 에테르-말레산 무수물 공중합체, 또는 이소부틸 비닐 에테르-말레산 무수물 공중합체; 및 이의 유도체, 예컨대 알파-올레핀-말레산 무수물 공중합체, 구체적으로 에틸렌-말레산 무수물 공중합체, 또는 이소부틸렌-말레산 무수물 공중합체; 스티렌-말레산 무수물 공중합체 등.
유도체화제
소수성 아민(X)
알킬, 아릴, 헤테로시클릭, 방향족, 플루오로, 실릴 아미노, 카르복시 및 할로겐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1가 α-비치환된 1차 또는 2차 모노아민; 예컨대 C1 내지 C40 알킬 NH2; 부틸아민, 이소부틸 아민, 및 옥타데실아민. 이러한 아민은 중합체의 용해성 개질을 목적으로 중합체에 첨가될 수 있다.
친수성 아민(Y)
하이드록시 α-비치환된 아민, 예컨대 에탄올아민, 이소프로필아민, n-프로판올아민, 3-아미노-1-프로판올; 메톡시에틸 아민 및 디글리콜 아민; 알킬 디아민, 예컨대 3-(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민, 디메틸에틸렌 디아민, N-아미노프로필 피롤리돈, N-아미노에틸 피롤리돈 및 1-(3-아미노프로필)이미다졸. 이러한 아민은 중합체의 접착성/응집성 평형 개선을 위해, 그리고 시스템 중의 다른 성분과의 혼화성 향상을 위해 중합체에 첨가된다.
폴리에테르 아민(Z)
하기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폴리옥시알킬렌 아민:
이 식에서, R5 및 R6은 H 및 알킬 중에서 선택되는 것으로서, 예컨대 R5는 CH3이고 R6은 H이거나; R5는 CH3이고 R6도 CH3이며; n 및 m 은 1 내지 50 사이의 정수로서, 예컨대 n은 32이고 m은 10이다. 이러한 아민에는 다양한 분자량과 에틸렌 옥사이드(EO)/프로필렌 옥사이드(PO) 비율의 Jeffamine® M Monoamines(헌츠만 코포레이션)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아민은 중합체에 천연감촉 성질, 즉 부드러움 및 유연성, 뿐만 아니라 바람직한 접착성/응집성 평형을 제공하기 위해 첨가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카르복실산 작용기를 보유한 화합물 또는 중합체인 (B)와 천연감촉 중합체 (A)를 혼합하여 제조한 산물의 제공에 있다. 카르복실산 작용기에는 유리 산 및 중화된 산이 포함된다. 특히 바람직한 (B) 중합체는 선형 또는 가교된 아크릴산 중합체, 예컨대 Carbopol®인데, (A)와 혼합하기 전에 중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와 (B)를 혼합하면 착물화된 상승작용성 산물이 생성되고, 이러한 산물은 (A) 또는 (B) 단독물과 비교했을 때 고습윤 커얼 보존성 및 증가된 용액 점도를 보유하기 때문에 모발 보호 용도에 특히 적합하다. 이러한 산물의 점도는 중합체 (A)에 존재하는 (a), (b) 및 (c)의 상대적 양을 통해 미리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c) 반복 단위 100mol%는 불투명한 산물을 제공하지만, (a) 단복 단위를 보다 많이 가진 중합체로 희석하면 보다 바람직한 투명 산물이 형성되고, (B)와 혼합하면 점성이 적은 산물이 될 것이다.
이러한 중합체는 강하게 상호작용하여 건조시 각 중합체 시스템 보다 인성과 응집성이 증가된 피막을 형성한다.
이러한 상승작용성 시스템을 개인위생용 헤어 스타일링 용도에 사용하면, 최종 제형물(formulation)은 각 중합체를 단독으로 함유하는 유사 제형물에 비해 향상된 고습윤 커얼 보존성을 나타낸다.
(A)와 (B) 사이의 착물화 정도는 (A) 중의 말레이미드 대 (B) 중의 카르복실 단위의 몰비를 조정하여 미리 조정할 수 있다. 착물화는 말레이미드:카르복실 단위의 몰비가 1:1에 가까운 산물에서 가장 강했다.
하지만, 착물화는 일반적인 산-염기 착물화 시스템인 PVP 및 아크릴산 처럼 pH에 민감하지 않으며, 사실상 착물화는 중성 pH에서 일어날 수 있다. 따라서, pH가 중성이거나 중성에 가까운 개인위생용 제형물도 (A)와 (B)의 상승작용적 착물화를 보유하여 그 결과 바람직한 성질과 물리적 특성을 나타내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은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실시예 1
중합체 (A)의 제조
다음과 같은 성분을 2리터용 스테인레스 강철 고압 반응기에 충전했다.
P(말레산무수물/이소부텐)(Man) 72.94g
3-(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민(Man 기준으로 50mol%) 24.17g
Jeffamin® M-2070(Man 기준으로 2mol%)(M.W. 2,000, 70/30 EO/PO)(수용성) 20.73g
트리에틸아민(Man 기준으로 43mol%)(중화제) 20.59g
메탄올 257.07g
이 반응기를 밀봉하고 N2 가스로 3회 세정한 후, 다음과 같은 가열 프로필에 따라 가열을 개시했다:
- 상온 → 90℃, 1½hr.
- 90℃ → 90℃, 2hr.
- 90℃ → 130℃, 1½hr.
- 130℃ → 130℃, 8hr.
- 130℃ → 35℃, 1hr.
가열 사이클 완료시 중합체 산물은 약한 점성의 황색 투명 용액으로 수득되었고, 이어서 물에 용해시 점성의 혼탁한 황색 용액이 되었다. 이러한 용액을 일반적인 스타일링 젤 제형물에 존재하는 양의 중화된 Carbopol®과 혼합했다. 1시간 후 농후한 투명 젤이 형성되었다. 이 젤 제형물을 모발에 바르고, 형성되는 피막에 응력을 가했다. 이 피막은 천연감촉의 복합적인 강성 및 유연성, 방수성 및 수용성과, 우수한 고습윤 커얼 보존성을 나타냈다.
카르복실산 함유 중합체 (B)와 중합체 (A)의 혼합
중합체 용액 (A)를 가교된 아크릴산 중합체인 중화된 Carbopol®과 각각 2wt% 및 0.5wt%의 양 및 일반 스타일링 젤 제형물에 존재하는 양으로 혼합했다. 1시간 후 (A) 또는 (B) 보다 점도가 큰 농후한 투명 젤이 형성되었다. 이 젤 제형물을 모발에 바르고, 형성되는 피막에 응력을 가했다. 이 피막은 천연감촉의 복합적인 강성 및 유연성, 방수성 및 수용성과, 우수한 고습윤 커얼 보존성을 나타냈다.
실시예 2
다음과 같은 반응물을 2리터용 압력 반응기에 첨가했다:
폴리(이소부틸렌/말레산무수물) 119.22g
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민 39.51g
Jeffamine M-2005(M.W. 2,000, 5/95 EO/PO(불수용성) 42.35g
Jeffamine M-2070(M.W.2,000, 70/30 EO/PO)(불수용성) 42.35g
트리에틸아민 31.30g
에탄올 510.20g
이 반응기를 밀봉하고 불활성 기체로 세정했다. 다음과 같은 가열 프로필을 개시시켰다:
125℃로 가열 - 4시간
125℃로 유지 - 12시간
35℃로 냉각 - 1시간
가열 프로필 완료 후, 중합체 용액을 반응기에서 회수했다. 수득된 물질은 점성의 투명한 황색 용액이었다. 이 물질을 피막화하고 건조시켰다. 그 결과, 수용성인 비분쇄성 피막이 수득되었다. 에탄올 대신 물을 사용하여 수성계 용액을 제조한 경우에도 에탄올계 물질과 유사한 성질을 나타냈다.
카르복실산 함유 중합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조할 수 있다.
실시예 3
다음과 같은 반응물을 2리터용 압력 반응기에 첨가했다:
폴리(이소부틸렌/말레산무수물) 119.22g
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민 39.51g
Jeffamine M-2005 84.70g
트리에틸아민 31.30g
에탄올 510.20g
이 반응기를 밀봉하고 불활성 기체로 세정했다. 다음과 같은 가열 프로필을 개시시켰다:
125℃로 가열 - 4시간
125℃로 유지 - 12시간
35℃로 냉각 - 1시간
가열 프로필 완료 후, 중합체 용액을 반응기에서 회수했다. 수득된 물질은 점성의 투명한 황색 용액이었다. 이 물질을 피막화하고 건조시켰다. 그 결과, 비분쇄성 피막이 수득되었다. 물을 사용하여 수성계 용액을 제조한 경우에도 에탄올계 물질과 유사한 성질을 나타냈다.
카르복실산 중합체는 필요한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반응시켜 실시예 1에 기술한 바와 같이 신규의 유용한 중합체를 수득할 수 있다.
실시예 4
다음과 같은 반응물을 2리터용 압력 반응기에 첨가했다:
폴리(이소부틸렌/말레산무수물) 119.22g
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민 39.51g
Jeffamine M-2005 84.70g
Jeffamine M-2070 33.90g
트리에틸아민 31.30g
에탄올 573.17g
이 반응기를 밀봉하고 불활성 기체로 세정했다. 다음과 같은 가열 프로필을 개시시켰다:
125℃로 가열 - 4시간
125℃로 유지 - 12시간
35℃로 냉각 - 1시간
가열 프로필 완료 후, 중합체 용액을 반응기에서 회수했다. 수득된 물질은 점성의 투명한 황색 용액이었다. 이 물질을 피막화하고 건조시킨 결과, 유연한 피막이 수득되었다. 물을 사용하여 수성계 용액을 제조한 경우에도 에탄올계 물질과 유사한 성질을 나타냈다.
카르복실산 함유 중합체는 실시예 1에 전술한 바와 같이 제조할 수 있다.
실시예 5
다음과 같은 반응물을 2리터용 압력 반응기에 첨가했다:
폴리(이소부틸렌/말레산무수물) 119.22g
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민 39.51g
Jeffamine M-2005 101.70g
Jeffamine M-2070 84.70g
트리에틸아민 31.30g
에탄올 699.08g
이 반응기를 밀봉하고 불활성 기체로 세정했다. 다음과 같은 가열 프로필을 개시시켰다:
125℃로 가열 - 4시간
125℃로 유지 - 12시간
35℃로 냉각 - 1시간
가열 프로필 완료 후, 중합체 용액을 반응기에서 회수했다. 수득된 물질은 점성의 투명한 황색 용액이었다. 이 물질을 피막화하고 건조시킨 결과, 매우 유연한 피막이 수득되었다. 물을 사용하여 수성계 용액을 제조한 경우에도 에탄올계 물질과 유사한 성질을 나타냈다.
카르복실산 함유 중합체는 실시예 1에 전술한 바와 같이 제조할 수 있다.
실시예 1 내지 5에 제시된 천연감촉 중합체는 스타일링, 무스, 젤 및 스프레이식 모발보호용품 용으로 고안된 일반적인 모발보호용품으로 제조했다. 이 용품들은 실제 우수한 성능을 보였으며, 천연감촉 중합체의 장점, 구체적으로 강성 및 유연성, 방수성 및 수용성, 그리고 우수한 고습윤 커얼 보존성을 제공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명세서에 기술된 조성물은 개인위생용품, 예를 들어 젤, 로션, 글레이즈, 글루, 무스, 스프레이, 고정제, 샴푸, 콘디셔너, 2n1 샴푸, 일시적 모발 염색제, 반영구적 모발 염색제, 영구적 모발 염색제, 스트레이트약, 영구 웨이브제, 완화제, 크림, 퍼티, 왁스 및 포마드 등에 유용하며,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또는 개인위생용품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음이온, 비이온 및 양이온 모발 스타일링 중합체, 점증제, 피막 형성제, 계면활성제, 환원제, 산화제 및 기타 다른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도 있다.
젤: 수성 또는 수알코올성 젤을 함유하는 모발 및/또는 피부보호 조성물. 젤의 형태는 스프레이 젤, 플루이드 젤, 튜브 젤 및 농후한 점성의 터브 젤일 수 있다. 이러한 조성물에는 바람직하게는 음이온, 비이온 또는 양이온성 젤화제(투명, 반투명 또는 불투명) 또는 이의 조합물이 0.1 내지 10중량%의 사용량으로 사용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중량%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음이온성 젤화제에는 카르보머, 아크릴레이트/C10-30 알킬 아크릴레이트 가교중합체,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아크릴레이트/베헤네스-25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아크릴레이트/스테아레스-20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PVM/MA 데카디엔 가교중합체, 크산탄 검, 소듐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아미드, 소듐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및 폴리아크릴아미드 공중합체가 포함되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비이온성 젤화제에는 구아 및 이의 유도체와 셀룰로스 및 이의 유도체가 포함되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인 예에는 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스, 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로스, 하이드록시메틸 셀룰로스, 하이드록시프로필 구아가 있다.
양이온성 점증제에는 폴리쿼터늄 32 (및) 광유, 및 폴리쿼터늄 37 (및) 광유 (및) PPG-1 트리데세스-6이 있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젤화제로서 아크릴산의 가교된 동종중합체, 예를 들어 카르보머 및/또는 아크릴레이트/C10-30 알킬 아크릴레이트 가교중합체를 사용하는 모발 및 피부보호용 젤 제형물은 내습성의 상승작용적 성능을 나타낸다. 특히, 전술한 조합의 헤어 스타일링 젤은 모발에서 상승작용적 고내습성을 나타낸다.
이와 같은 조성물을 카르보머 및/또는 아크릴레이트/C10-30 알킬 아크릴레이트 가교중합체로 착물화하면 건조시 투명한 피막이 형성된다. 결과적인 점도, 수율값 및 현탁력은 이러한 조성물을 젤화제에 첨가함으로써 증가되거나 영향을 받지 않는다.
제형물 예:
헤어 스타일링 젤 제형물 1
물 - 100%로 만들기에 충분한 양
카르보머 - 0.5%
트리에탄올아민(99%) - 0.5%
이소부틸렌/디메틸아미노프로필말레이미드/에톡시화된 말레이미드/말레산 공중합체(30%) - 6.66
벤조페논-4 - 0.05
디소듐 EDTA - 0.10
트리에탄올아민(99%) - pH 7로 조정
프로필렌 글리콜 (및) 디아졸리디닐 우레아 (및) 요오도프로피닐 부틸카르바메이트 - 0.5
헤어 스타일링 젤 제형물 2
물 - 100%로 만들기에 충분한 양
이소세테스-20 - 0.5
이소부틸렌/디메틸아미노프로필말레이미드/에톡시화된 말레이미드/말레산 공중합체(30%) - 6.66
아미노메틸 프로판올 - 0.25%
아크릴레이트/베헤네스-25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20%) - 4.7
프로필렌 글리콜 (및) 디아졸리디닐 우레아 (및) 요오도프로피닐 부틸카르바메이트 - 0.5
헤어 스타일링 크림
물 - 100%로 만들기에 충분한 양
소듐 폴리아크릴레이트 (및) 수소첨가된 폴리데센 (및) 트리데세스-6 - 2.0%
이소부틸렌/디메틸아미노프로필말레이미드/에톡시화된 말레이미드/말레산 공중합체(30%) - 6.7%
글리세린 - 2.0%
세틸 PEG/PPG - 15/15 부틸 에테르 디메티콘 - 1.0%
프로필렌 글리콜 (및) 디아졸리디닐 우레아 (및) 요오도프로피닐 부틸카르바메이트 - 0.5%
무스 :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에어로졸 및 비에어로졸형 모발 및 피부 무스 제형물, 뿐만 아니라 원자화된 스프레이 포옴 전달을 위한 기계적 분쇄 구동장치와 딥 튜브를 구비한 에어로졸 밸브를 이용하는 스프레이 무스로도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조성물은 또한 에어로졸 및 비에어로졸형 쉐이브 포옴 용도에도 사용될 수 있다. 이 때 조성물의 바람직한 사용량은 0.1 내지 10.0중량% 범위이다.
샴푸 및 바디 워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음이온성, 양쪽이온성, 양이온성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와 혼화성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모발 및 바디용 세정 제형물에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0.1 내지 10중량%의 사용량으로 음이온성, 양쪽이온성, 양이온성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또는 이의 조합물과 함께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이 때 계면활성제는 0.1 내지 20중량%의 양으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명 샴푸 제형물 예:
물 - 100%로 만들기에 충분한 양
이소부틸렌/디메틸아미노프로필말레이미드/에톡시화된 말레이미드/말레산 공중합체 - 5.0
코카미도프로필 베타인(34.5%) - 10.00%
코코암포디아세테이트(50%) - 5.00%
소듐 라우레스 설페이트(25.6) - 17.5%
암모늄 라우릴 설페이트(29.2%) - 17.5%
프로필렌 글리콜 (및) 디아졸리디닐 우레아 (및) 요오도프로피닐 부틸카르바메이트 - 0.30
구연산 - 0.25%
수중유 에멀젼 및 헤어 콘디셔너(비세척형 및 세척형): 본 발명의 조성물은 모발 및 피부용 수중유 에멀젼에 포함될 수 있다. 헤어 콘디셔너의 경우, 본 발명의 조성물은 4차 암모늄 화합물과 혼화성이다. 계면활성제/유화제의 사용량은 0.1 내지 10중량%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콘디셔너 제형물 예
A상:
물 - 100%로 만들기에 충분한 양
구연산 - 0.25
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스 - 0.5%
디소듐 EDTA - 0.1%
B상:
세테아릴 알코올 - 4.0
스테아레스-10 - 1.0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및) PEG-100 스테아레이트 - 2.5%
디세틸디모늄 클로라이드(68.2%) - 2.0%
C상:
이소부틸렌/디메틸아미노프로필말레이미드/에톡시화된 말레이미드/말레산 공중합체(30%) - 6.6
프로필렌 글리콜 (및) 디아졸리디닐 우레아 (및) 요오도프로피닐 부틸카르바메이트 - 0.5
밀 아미노산 - 0.5
방법 - A상과 B상을 각각 75℃로 가열한다. B상을 A상에 교반하에 첨가한다. 균일해질 때까지 혼합하고 45℃로 냉각한다. 혼합을 계속하면서 C상의 성분을 한번에 하나씩 첨가하고 균일해질까지 혼합한다.
산화성 모발 염색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반영구적 및 영구적 모발 염색제 제품을 비롯한 산화성 모발 염색제 제형물에,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중량%의 사용량으로 첨가될 수 있다.
제형물 예:
물 - 100%로 만들기에 충분한 양
올레산 - 5%
C11-15Pareth-9 - 3%
이소부틸렌/디메틸아미노프로필말레이미드/에톡시화된 말레이미드/말레산 공중합체(30%) - 3.0
수산화암모늄 - 2%
스테아레스-21 - 2%
프로필렌글리콜 - 2%
세틸 알코올 - 2%
PEG150/스테아릴/SMDI 공중합체 - 3%
스테아릴 알코올 - 1%
아황산나트륨 - 1%
산화철 - 0.5%
운모 - 0.2%
1-나피톨 - 0.2%
P-페닐렌디아민 - 0.2%
이산화티탄 - 0.1%
완화제 및 영구 웨이브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완화제 및 영구 웨이브 제형물에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중량%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 조성물은 모발 환원제, 예를 들어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닌 암모늄 티오글리콜레이트, 수산화구아니딘, 중아황산나트륨 등과 혼합될 수 있다. 이러한 조성물은 또한 플로(flow) 로션(모발의 산화/경화 전의 처리 상) 또는 중화제/산화제 상에 첨가될 수도 있다.
제형물 예:
크림 모발 완화제 기제: 구아니딘 탄산염 활성제 용액과 혼합됨
물 - 100%로 만들기에 충분한 양
바셀린 - 10%
파라핀 왁스 - 8%
광유 - 6%
이소부틸렌/디메틸아미노프로필말레이미드/에톡시화된 말레이미드/말레산 공중합체(30%) - 5.0
세테아릴 알코올 - 3%
수산화칼슘 - 3%
폴리소르베이트 80 - 2%
라네스-15 - 2%
PEG-75 라놀린유 - 1%
코캄포디프로피오네이트 - 1%
헤어 스프레이: 본 발명의 조성물은 비에어로졸 및 에어로졸 형태의 헤어 스프레이에 0.1 내지 10중량%의 사용량으로 첨가될 수 있다. 에어로졸 헤어 스프레이는 탄화수소 최고 60%, 디메틸 에테르 70%, 하이드로플루오로카본 152a 50%, 또는 이의 조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헤어 스프레이 제형물에는 무알코올 펌프 헤어 스프레이, VOC 펌프 55 내지 95% 및 에어로졸 헤어 스프레이가 포함되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형물 예:
투명 무알코올 펌프 헤어 스프레이
물 - 100%로 만들기에 충분한 양
소듐 라우릴 설페이트(25%) - 0.25%
이소부틸렌/디메틸아미노프로필말레이미드/에톡시화된 말레이미드/말레산 공중합체(30%) - 13.33
프로필렌 글리콜 (및) 디아졸리디닐 우레아 (및) 요오도프로피닐 부틸카르바메이트 - 0.5%
펌프 - 칼마 마크(Calmar Mark) VI WL-31
개인위생용 용도: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음이온성, 비이온성 및 양이온성 헤어 스타일링 중합체, 점증제 및 피막 형성제와, 그리고 음이온성, 비이온성 및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와 배합될 수 있다. 소량의 하전성 계면활성제(0.1 내지 2중량%)를 사용하면 수중 투명성이 증가된다.
모발에 대한 성능: 본 발명의 조성물은 바디화(bodifying) 비세척형(leave-on) 또는 세척형(rinse-off) 모발 제제에 첨가될 수 있다. 또한, 높은 응력과 낮은 응력 모두에서 굴절되고 강도가 있으며, 모발에 부드러운 연속 피막을 제공하는 유연성 유지 스타일링 제품에 첨가될 수 있다.
피부 보호용 용도: 본 발명의 조성물은 (a) 효능은 동일하게 유지시키면서 종래의 AP 활성제의 양을 감소시키거나 총 습도 차단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제한제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 (b) 보다 양호하고 장기적인 방취성을 위해 활성 방취제의 실체성 증가를 위한 목적, (c) 항균성 손 액체 비누의 효능 증가와 장기간 점유를 지속하기 위한 목적, (d) 피부에 제품을 유지시키기 위한 목적, (d) 활성제, 예컨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닌 베툴린, 비타민 E, A, C, 세라미드, 알란토인, 리코펜, 비사볼롤, 레티놀 등을 함유하는 치료적 피부용품의 접촉 시간을 증가시키기 위한 목적의 피막 형성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메이크업 제품(파운데이션, 마스카라, 브론저, 아이라이너)에서 피막 형성, 내마모성 향상 및 안료 분산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마스카라에서 커얼 보존 목적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Claims (21)

  1. 하기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a) 단량체-말레산 무수물 알킬 1/2 에스테르 또는 완전 산, (b) 말레아믹산 및 (c) 말레이미드의 반복 단위를 구조적 특징으로 하는, 강성과 유연성의 바람직한 배합, 천연 섬유에 대한 강한 친화성, 수용성 및 방수성을 나타내는 천연감촉 중합체, "A":
    (a) 1/2 에스테르 또는 완전 에스테르
    (b) 말레아믹산
    (c) 말레이미드
    상기 식에서,
    R, R1, R2 및 R3은 H, 알킬, 알콕시, 시클로알킬, 아릴, 에스테르, 산, 하이드록시, 하이드록시알킬, 아미도, 플루오로, 할로 및 실릴 중에서 선택되고, R4는 H 또는 알킬이며;
    R'는 X, 소수성 아민; Y, 친수성 아민; Z, 폴리에테르 아민; 및 이의 적당한 혼합물 중에서 선택되는 유도체 기이고;
    x, y 및 z는 각각 0 내지 99.9mol%, 0 내지 50mol% 및 0.1 내지 100mol%로 존재하며, X, Y 및 Z는 0 내지 20 : 0 내지 99 : 0.1 내지 20의 몰비로 존재한다.
  2. 제1항에 기재된 천연감촉 중합체 (A)와 카르복실산 작용기를 보유한 화합물 또는 중합체 (B)의 혼합 산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X, Y 및 Z가 0 내지 10 : 40 내지 98 : 1 내지 10의 몰비로 존재하는 것이 특징인 천연감촉 중합체.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X가 1가 α-비치환 1차 또는 2차 모노아민이고, Y가 하이드록시 α-비치환 아민 또는 알킬디아민이며; Z가 폴리옥시알킬렌 아민인 것이 특징인 천연감촉 중합체.
  5. 제1항에 있어서, X가 알킬, 아릴, 헤테로시클릭, 방향족, 플루오로, 실릴 아미노, 카르복시 및 할로겐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1가 α-비치환된 1차 또는 2차 모노아민으로서, C1 내지 C40 알킬 NH2; 부틸아민, 이소부틸 아민, 및 옥타데실아민 중에서 선택되고;
    Y가 에탄올아민, 이소프로필아민, n-프로판올아민, 3-아미노-1-프로판올; 메톡시에틸 아민 및 디글리콜 아민에서 선택되는 하이드록시 α-비치환된 아민; 및 3-(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민, 디메틸에틸렌 디아민, N-아미노프로필 피롤리돈, N-아미노에틸 피롤리돈 및 1-(3-아미노프로필)이미다졸 중에서 선택되는 알킬 디아민이며;
    Z가 하기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폴리옥시알킬렌 아민인 것이 특징인 천연감촉 중합체:
    (이 식에서, R5 및 R6은 H 및 알킬 중에서 선택되고, n 및 m 은 1 내지 50 사이의 정수이다.)
  6. 제5항에 있어서, R5는 CH3이고 R6은 H인 것이 특징인 천연감촉 중합체.
  7. 제5항에 있어서, R5 및 R6이 모두 CH3인 것이 특징인 천연감촉 중합체.
  8. 제5항에 있어서, n은 32이고 m은 10인 것이 특징인 천연감촉 중합체.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a)에서 단량체가 α-올레핀인 것이 특징인 천연감촉 중합체.
  10. 제2항에 있어서, (B)가 가교된 아크릴산 중합체인 것이 특징인 천연감촉 중합체.
  11. 제2항에 있어서, (B)가 선형 카르복실산 함유 중합체인 것이 특징인 천연감촉 중합체.
  12. 제2항에 있어서, (B)가 아크릴산 함유 중합체인 것이 특징인 천연감촉 중합체.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천연감촉 중합체를 함유하는 개인위생용 제형물.
  14. 제13항에 있어서, 모발보호용품인 것이 특징인 개인위생용 제형물.
  15. 제13항에 있어서, 우수한 고습윤 커얼 보존성을 나타내는 모발보호용품인 것이 특징인 개인위생용 제형물.
  16. 제13항에 있어서, 샴푸, 바디워시, 콘디셔너, 완화제, 영구 웨이브제, 비세척형 또는 세척형 모발보호 제형물인 것이 특징인 개인위생용 제형물.
  17. 제13항에 있어서, 스타일링, 무스, 젤 또는 스프레이 모발보호 제형물인 것이 특징인 모발보호 제형물.
  18. 제13항에 있어서, 산화성 모발 염색제 제형물, 영구 웨이브제, 블리치 또는 기타 다른 처리용품인 것이 특징인 모발보호 제형물.
  19. 제13항에 있어서, 피부 보호 제형물인 것이 특징인 개인위생용 제형물.
  20. 제2항에 있어서, (A) 중의 말레이미드 대 (B) 중의 카르복실 단위의 몰비가 약 1:1인 것이 특징인 산물.
  21. 제13항에 있어서, 메이크업 용품인 것이 특징인 개인위생용 제형물.
KR20057003298A 2002-08-30 2005-02-25 천연감촉 중합체 KR1011684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233,838 2002-08-30
US10/233,838 US7041281B2 (en) 2002-08-30 2002-08-30 Natural feel polymers
US10/353,390 US7005125B2 (en) 2002-08-30 2003-01-29 Personal care products
US10/353,390 2003-01-29
US44924803P 2003-02-20 2003-02-20
US60/449,248 2003-02-20
PCT/US2003/021955 WO2004019858A2 (en) 2002-08-30 2003-07-16 Natural feel polymer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4748A true KR20050034748A (ko) 2005-04-14
KR101168427B1 KR101168427B1 (ko) 2012-07-27

Family

ID=319822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57003298A KR101168427B1 (ko) 2002-08-30 2005-02-25 천연감촉 중합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1539090B1 (ko)
KR (1) KR101168427B1 (ko)
CN (1) CN1310985C (ko)
AU (1) AU2003259127B2 (ko)
BR (1) BRPI0313821B1 (ko)
MX (1) MXPA05001961A (ko)
WO (1) WO2004019858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59642A1 (en) * 2004-12-22 2006-07-20 Avon Products, Inc. Mascara composition and method of using
DE102008021511A1 (de) 2008-04-30 2009-11-05 Clariant International Limited Pigmentdispergatoren und leicht dispergierbare feste Pigmentzubereitungen
CN102573779A (zh) * 2009-09-15 2012-07-11 陶氏环球技术有限责任公司 阳离子聚合物作为调理剂
US8506651B2 (en) * 2011-12-30 2013-08-13 L'oreal S.A. Process for altering the appearance of hair using a composition containing dyes and non-hydroxide bases
CN107847400A (zh) 2015-05-01 2018-03-27 欧莱雅 活性剂在化学处理中的用途
EP3380063A4 (en) * 2015-11-24 2019-08-07 L'oreal COMPOSITIONS FOR THE TREATMENT OF HAIR
CN108495687B (zh) 2015-11-24 2021-11-09 欧莱雅 用于处理毛发的组合物
JP6930994B2 (ja) 2015-11-24 2021-09-01 ロレアル 毛髪をトリートメントするための組成物
BR112018010344B1 (pt) 2015-11-24 2021-08-10 L'oreal Composição para cabelo, sistema e método para tratamento do cabelo, métodos para alteração da cor do cabelo e do formato do cabelo, e, kits de multicompartimentos
US11135150B2 (en) 2016-11-21 2021-10-05 L'oreal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chemically treated hair
US20180140532A1 (en) * 2016-11-21 2018-05-24 L'oreal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restructuring chemically treated hair
US9974725B1 (en) 2017-05-24 2018-05-22 L'oreal Methods for treating chemically relaxed hair
ES2914404T3 (es) 2017-12-29 2022-06-10 Oreal Composiciones para alterar el color del cabello
WO2019194949A1 (en) * 2018-04-06 2019-10-10 Dow Global Technologies Llc Personal care cleaning composition
US11090249B2 (en) 2018-10-31 2021-08-17 L'oreal Hair treatment compositions, methods, and kits for treating hair
US11419809B2 (en) 2019-06-27 2022-08-23 L'oreal Hair treatment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hair
CN111494390B (zh) * 2020-05-18 2022-08-19 南通大学 白桦醇衍生物在制备修复神经损伤药物中的新用途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408994D0 (en) * 1994-05-06 1994-06-22 Vanguard Medica Ltd Compounds
US6025501A (en) * 1997-04-25 2000-02-15 Isp Investments Inc. Derivatized polymers of α-olefin-maleic anhydride alkyl half-ester or full acid
US5886194A (en) * 1998-03-04 1999-03-23 Isp Investments Inc. Hydroxyamino-derivatized polymers of olefin-maleic anhydride in the form of their maleimide maleamic acid and α- olefin-maleic anhydride half-acid/half ester or full acid repeat units process for making same
CA2334307A1 (en) * 1998-06-24 1999-12-29 Isp Investments Inc. Derivatized polymers of .alpha.-olefin-maleic anhydride alkyl half-ester or full acid
US6312714B1 (en) * 1998-10-05 2001-11-06 Isp Investments Inc. Cosmetic composition for rejuvenation of skin without skin irritation
US5994385A (en) * 1998-11-13 1999-11-30 Isp Investments Inc. Personal care product including a derivatized polymer of maleic anhydride alkyl half-ester or full acid, maleamic acid and maleimide uni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PA05001961A (es) 2005-04-28
BRPI0313821B1 (pt) 2015-04-14
EP1539090A2 (en) 2005-06-15
AU2003259127B2 (en) 2008-12-04
WO2004019858A2 (en) 2004-03-11
AU2003259127A1 (en) 2004-03-19
EP1539090A4 (en) 2005-10-19
BR0313821A (pt) 2005-07-05
WO2004019858A3 (en) 2004-07-01
CN1678281A (zh) 2005-10-05
EP1539090B1 (en) 2008-09-17
KR101168427B1 (ko) 2012-07-27
CN1310985C (zh) 2007-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8427B1 (ko) 천연감촉 중합체
AU738546B2 (en) Thickened personal care composition
US8535651B2 (en) Water soluble polymer complexes with surfactants
USRE42025E1 (en) Ampholyte polymers for use in personal care products
JP5922755B2 (ja) パーソナルケア組成物
US7018625B2 (en) Personal care compositions
JP2014523456A (ja) カシア誘導体
KR20160065954A (ko) 디히드록시알킬 치환된 폴리갈락토만난, 및 그의 제조 및 사용 방법
JP2011207884A (ja) 増粘されたパーソナルケア組成物
CN101600415A (zh) 阳离子调理剂
JP2015131834A (ja) カチオン性/カチオン生成性の櫛形ポリマー組成物及びそれを含むパーソナルケア製品
CN100400026C (zh) 交联的阳离子聚合物在化妆品中的用途
CN100515383C (zh) 基于n-乙烯基己内酰胺的聚合物的用途
US6706768B2 (en) Production and use of novel alkoxylated monoesters
US6355231B1 (en) Use of cationic copolymers of unsaturated acids and N-vinylimidazolium salts in cosmetic hair formulations
US20230193160A1 (en) A suspending polymer composition, and method of use thereof
JP4865226B2 (ja) 自然感触のポリマー
US20170258703A1 (en) Ionic/ionogenic comb copolymer compositions and personal care products containing the same
JP2000355526A (ja) 洗髪用化粧料
MXPA99008974A (es) Polimeros de amfolita para el uso en productos del cuidado perso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