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34674A - 폐기물 탈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폐기물 탈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34674A
KR20050034674A KR1020050022193A KR20050022193A KR20050034674A KR 20050034674 A KR20050034674 A KR 20050034674A KR 1020050022193 A KR1020050022193 A KR 1020050022193A KR 20050022193 A KR20050022193 A KR 20050022193A KR 20050034674 A KR20050034674 A KR 200500346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udge
water
dewatering
waste
out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21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73905B1 (ko
Inventor
신승희
Original Assignee
신승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승희 filed Critical 신승희
Priority to KR10200500221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3905B1/ko
Publication of KR200500346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46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39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390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C02F11/125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using screw fil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C02F11/12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using filter pres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02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with pretreatment
    • F23G5/04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with pretreatment dry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7/00Incinerators or other apparatus for consuming industrial waste, e.g. chemicals
    • F23G7/001Incinerators or other apparatus for consuming industrial waste, e.g. chemicals for sludges or waste products from water treatment install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1/00General aspects of water treatment
    • C02F2301/06Pressure conditions
    • C02F2301/066Overpressure, high press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20Sludge processing

Abstract

본 발명은 폐기물 탈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폐수처리조 및 수도물 침전조 등의 바닥에 적재되어 있는 폐기물등의 다량의 수분이 함유되어 있는 겔 상태의 슬러지 내의 수분을 일정량 제거하여 외부로 이송시킴으로서, 소각로 등에서 직접 소각 제거 시키는 용도의 폐기물의 탈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겔 상태의 슬러지 를 원활하게 외부로 이송하는 동시에, 특히 상기 슬러지 내에 함유되어 있는 수분을 이송과정에서 대부분 제거하여 외부로 배출 함으로서, 건조로 등의 별도의 건조처리 설비 및 작업이 필요 없이 직접 소각로에서 소각처리를 할수 있는 등의 폐기물 탈수처리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본 발명의 폐기물 탈수처리장치는, 슬러지(6)를 유입 하는유입부(1) 및 슬러지(6)를 스크류에 의하여 상,하 회전을 시키며 이송 및 압착롤러(24,24a) 및 피스톤 펌프(25,25a)에 의하여 슬러지(6)내의 수분을 탈수 시켜 수분함량을 50% 정도로 제거 시키는 1,2차 탈수부(2,2a), 상기 50% 정도의 수분함량을 40% 이하로 재제거시키는 압축롤러(35) 및 피스톤 펌프(36)등이 장착된 정밀탈수부(3), 슬러지(6)의 분쇄 및 혼련을 하는 분쇄혼련구(33),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부(4) 등으로 구성되어, 겔상태의 슬러지에 함유되어 있는 85 내지 90% 정도의 수분 함량을 40%이하로 탈수가 가능토록 하는 동시에, 특히 건조로 등의 별도의 건조 처리가 필요 없이, 소각로에서 직접 소각처리가 가능하게 하여 환경오염을 방지 할수가 있으며, 자원 재활용 및 건조에 소요되는 시설 및 인력, 전력비등의 절감효과가 있으며, 겔상태의 슬러지에 함유되어 있는 수분함량을 용이하게 탈수가 가능한 등의 효과를 가져올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Description

폐기물 탈수처리장치{a equipment of use for treatment dehydration of waste}
본 발명은 폐기물 탈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폐수처리조 및 수도물 침전조 등의 바닥에 적재되어 있는 폐기물등의 다량의 수분이 함유되어 있는 겔 상태의 슬러지 내의 수분을 일정량 제거하여 외부로 이송시킴으로서, 소각로 등에서 직접 소각 제거 시키는 용도의 폐기물의 탈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겔 상태의 슬러지 등을 원활하게 외부로 이송하는 동시에, 특히 상기 슬러지 내에 함유되어 있는 수분을 이송과정에서 대부분 제거하여 40% 이하로 배출 함으로서, 건조로 등의 별도의 건조처리 설비 및 건조 작업이 필요 없이 직접 소각로에서 소각처리를 할수 있는 구성의 폐기물 탈수처리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종래, 상기 용도의 폐기물의 처리를 위하여 폐수를 모두 양수시킨 다음 바닥의 슬러지를 굴삭용기로 파내거나, 스크류 콤베어 장치와 함께 고압공기 펌프를 이용, 공기압으로 슬러지를 이송 및 로울러나 봉,스크류 등의 힘으로 슬러지를 으깨어 슬러지내의 수분을 제거하고 있으나, 전자의 경우 상기 굴삭용기로 파낸 슬러지를 지면에 매립함으로 인하여 환경상의 문제점 및 많은 시간과 인력이 소요 되었으며,후자의 경우는 슬러지에서 수분을 제거하는 제거 작업이 복잡하고, 제거가 원활히 되지 않아 별도의 건조로를 이용, 건조작업을 하여야 하는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를 해결 하고저 도 6에 도시한바와 같이 굴삭용기인 유입부(1')로 바닥의 슬러지(6)를 파내어 이송관(21)에 형성되어 있는 흡입구(23)로 슬러지(6)를 흡입, 모터(53)에 연결된 스크류(26)를 이용, 상기 스크류(26)의 회전축에 의하여 침전물 찌꺼기가 상승될 때, 그 외부에 설치된 이송관(21)을 모터(52) 및 진동판
(29)에 의하여 좌, 우로 회동시켜, 슬러지(6)에 혼합된 많은 수분을 이송관(21)내에서 분리 유출하여 물배출구(13)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 및 수분이 제거된 슬러지
(6)를 배출부(4')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슬러지를 포대에 담아 지면에 매립,제거하는 탈수처리장치(100')가 있으나, 이 또한 어느정도의 탈수 효과는 있으나 슬러지(6)내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 함량을 70 % 이하로는 탈수처리를 할수없어, 70 내지 75% 이상의 수분 함량이 포함되어 있는 슬러지(6)를 소각로에서 직접 소각이 불가능하여, 상기 슬러지(6)의 소각을 위하여 건조로 등의 별도의 건조처리 설비를 이용하여, 수분함량을 소각로에서 소각이 가능한 40% 이하로 건조하는 작업 등이 추가로 필요 하였으며, 이로 인하여 건조에 소요되는 시설 및 인력,전력비등이 추가로 발생 되었으며, 특히 상기와 같이 70 내지 75% 이상의 수분 함량이 포함되어 있는 슬러지(6)를 소각로에서 소각이 곤란하여, 포대에 담아 지면에 매립함으로서, 토양 오염 및 악취가 발생하는등의 환경오염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저 인출된 것으로서, 폐기물등의 다량의 수분이 함유되어 있는 겔 상태의 슬러지 내의 함유수분을 용이하게 탈수처리를 할수가 있으며, 슬러지 등을 원활하게 외부로 이송하는 동시에, 특히 상기 슬러지 내에 함유되어 있는 수분을 40% 이하로 이송과정에서 대부분 제거하여 외부로 배출 함으로서, 건조로 등의 별도의 건조처리 설비 및 건조 작업이 필요 없이 직접 소각로에서 소각처리를 할수 있는 등의 구조로 구성 되어 있는 폐기물 탈수처리장치를 제공 하는 것을 본 발명의 목적 및 본 발명이 이루고저 하는 기술적과제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폐기물 탈수처리장치의 구성은;
1)몸체
2)유입부
3)1차 탈수부
4)2차 탈수부
5)정밀탈수부
6)배출부
7)부대설비 등으로 구성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키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 장치의 실시상태상의 단면을 도시한 참고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유입부를 확대 도시한 참고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2차 탈수부를 확대 도시한 참고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정밀탈수부를 확대 도시한 참고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탈수처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6은 종래의 탈수처리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폐기물 탈수처리장치는 도 6에 도시한바와 같이, 종래기술인 굴삭용기인 유입부(1')로 바닥의 슬러지(6)를 파내어 이송관(21)에 형성되어 있는 흡입구(23)로 흡입, 모터(53)에 연결된 스크류(26)를 이용, 상기 스크류의 회전축에 의하여 침전물 찌꺼기가 상승될 때, 그 외부에 설치된 이송관(21)을 모터(52) 및 진동판(29)으로 회동 시켜 슬러지(6)에 혼합된 수분을 이송관(21)내에서 분리 유출하여 슬러지(6)의 수분함량을 70 내지 75% 정도의 젖은 흙상태로 유지 및 배출부(4')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슬러지를 포대에 담아 지면에 매립, 제거하는 탈수처리장치(100')인 종래 기술 장치의 기술 핵심인 이송관(21)의 외부에 진동판(29)을 부착, 이송관(21)을 좌,우로 회동 및 스크류(26)로 슬러지를 유동시켜 슬러지의 수분을 분리시키는 방식에서 탈피;
슬러지에 함유되어 있는 수분 함유량을 건조로등의 별도의 건조처리 설비 및 건조 작업이 필요 없이 직접 소각로에서 소각처리를 할수가 있도록, 슬러지 내의 수분 함유량을 40% 이하로 다량으로 탈수 시키기 위하여, 몸체의 측면에 상기 처리 장치의 구조를 변경한 유입부 및 1차 탈수부를 장착하며, 이송관이 회동 되는 방식이 아닌 피스톤펌프 및 압축롤러 등을 사용하여 탈수하는 구조 및 별도의 2차 탈수부와 정밀탈수부 등을 몸체의 상,하부에 장착하여, 상기 유입부 및 1차탈수부와 연장 사용되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굴삭용기의 형태의 유입부는 본 발명의 요부가 아니며, 하나의 실시예로 제시 한것으로서 굴삭용기 형태가 아닌 타형태의 슬러지를 적재할수 있는 유입부로 구성 사용 할수도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몸체(10)의 측면에 슬러지를 유입하는 유입부(1) 및 슬러지를 이송하는 이송관(21), 이송관내에서 상기 슬러지를 상,하 회전이 되게 하는 나선형 스크류(26)등으로 구성된 1차 탈수부(2)를 장착하여 사용하는 구조로, 상기 유입부(1)내의 슬러지(6)를 유입하는 유입구(11)의 표면에 다수개의 배출공(12)을 개공하여, 유입구(11)에 적재되는 슬러지(6)의 수분이 상기 배출공(12)으로 1차 배수가 되며, 상기 유입부(1)를 거쳐 1차 탈수부(2)의 이송관(21)내로 슬러지가 유입되어, 나선형스크류에 의하여 슬러지(6)를 이송 및 상,하 회전을 시켜 수분을 분리 하게 되어 있으며, 특히 상기 이송관(21)의 끝면에 스크류(26)를 거친 슬러지(6)가 적재되는 이송관(21)의 구경보다 큰 구경의 이송관인 슬러지적재부(21a)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슬러지적재부(21a)가 신축성이 있는 고무등의 재질의 압축롤러(24)에 연결되어, 압축롤러(24)가 그 측면에 설치되어 있는 피스톤펌프(25)내의 피스톤(25b)운동에 의한 발생되는 공기압으로 상기 슬러지적재부(21a)로 이송된 슬러지(6)를 눌러서 슬러지내에 함유되어 있는 수분을 짜내는 운동을 연쇄적으로 함으로서, 슬러지(6)내의 수분을 다량 분리하여 그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물배출구(21b)를 통하여 배출호스(27)로 외부로 배출하여, 슬러지의 수분함유량을 60% 정도인 슬러지(6)가 이송관(22)을 통하여 2차 탈수부(2a)로 이송되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으며;
도 3에 도시한바와 같이, 본 발명의 2차 탈수부(2a)는 몸체(10)의 상부에 위치되는 구조로, 상기 1차 탈수부의 이송관을 통하여 이송된 슬러지를 이송관(22)내의 나선형스크류(26a)에 의하여 슬러지(6)를 상,하로 회전 및 상기 1차 탈수부에서 언급한 구조와 동일한 구성의 슬러지적재부(22a)가 이송관의 끝면에 형성 및 압축롤러(24a), 피스톤 펌프(25a)가 장착되어, 상기 압축롤러(24a)가 피스톤펌프(25a)내의 피스톤(25c)의 왕복운동에 의한 발생되는 공기압으로 상기 이송관(21)내에서슬러지적재부(22a)로 이송된 슬러지(6)를 눌러서 슬러지(6)내에 함유되어 있는 수분을 짜내는 운동을 연쇄적으로 함으로서, 슬러지(6)내의 수분을 추가로 분리하여 그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물배출구(22b)를 통하여 배출호스(27a)로 외부로 배출하여, 슬러지(6)의 수분함유량을 50% 정도 이하로 형성하는 구조로;
상기 이송관(22)의 양 측면에 이송관(22)의 유동을 지지하는 역활의 지지구
(22c,22d)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구(22c,22d)에 슬러지(6)의 이송시 하중지지등을 위한 V자 형태의 프레임(51)의 상부가 장착 및 프레임(51)의 하부가 몸체 (10)상부에 장착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이송관(22)의 하부에, 2차탈수부(2a)를 거친 슬러지(6)를 정밀탈수부의 호퍼탱크(31)로 이송 할수 있는 약 30도 경사각의 경사면으로 형성된 이송관인 경사이송구(28)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나선형스크류를 모터(54)에 의하여 작동을 시키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도 4에 도시한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정밀탈수부(3)는 상기 제 2탈수부의 하부에 위치되는 구조로, 상기 제 2탈수부의 경사 이송구(28)를 통하여 이송된 슬러지(6)를 이송관(32)내의 나선형스크류(34)의 회전에 의하여 슬러지(6)를 상,하로 회전 및 이송관(32)의 끝단에 상기에서 언급한 구조와 동일한 슬러지적재부(32a) 및 압축롤러(35) 및 피스톤펌프(36)가 장착되어, 상기 압축롤러(35)에 의하여 이송관(32)내에서 나선형스크류(34)에 의하여 슬러지적재부(32a)로 이송된 슬러지(6)내의 수분이 3차로 분리 유출이 되며, 특히 분쇄혼련구(33)에 의하여 슬러지(6)를 잘게 분쇄 및 혼련을 시켜 슬러지(6)내의 잔류수분을 정밀하게 분리,배출하여 슬러지
(6)내의 수분함량을 40% 이하로 형성하는 구조로;
상기 제 2탈수부를 거쳐 수분 함량이 55 내지 60% 이하로 형성된 슬러지
(6)가 유입되는 호퍼탱크(31)가 본체의 상부에 형성 되어 있으며, 상기 호퍼탱크
(31)의 저면에 슬러지(6)가 이송되는 이송관(32)이 연결되어, 상기 이송관(32) 내부 전면에, 본체의 외면에 칼날이 부착되어 360도 회전되는 구조의 분쇄혼련구(33)
가 형성되어 있어, 호퍼탱크(31)에서 유입되는 슬러지(6)를 잘게 분쇄 및 혼련을 시켜 슬러지(6)내의 잔류수분을 정밀 분리토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분쇄혼련구
(33)와 일체로 연장되어, 그 측면에 나선형스크류(34)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분쇄혼련구(33)를 거쳐 분쇄,혼련된 슬러지(6)를 상,하로 회전, 슬러지적재부(32a)로 이송을 시켜, 상기에서 언급한 구조의 피스톤펌프(36)내의 피스톤(36a)의 운동에 의한 압축롤러(35)에 의하여 슬러지(6)내의 수분이 분리되어 이송관(32)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물배출구(32b)를 통하여 배출호스(38)로 슬러지(6)내의 수분을 추가로 배출하여, 슬러지(6)의 수분함량을 40% 이하로 형성하여, 그 측면의 일반스크류
(37)를 거쳐, 슬러지(6)가 안정되게 배출부(4)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구조로 구성 되어 있다.
도 5에 도시 한바와 같이, 본 발명은 겔상태의 폐기물 슬러지(6)가 몸체(10) 측면에 부착되어 있는 배출공이 형성되어 있는 유입구(11) 및 물배출구(13)가 형성되어 있는 등의 유입부(1)로 슬러지(6)를 유입하여, 1,2차 탈수부(2,2a)의 이송관
(21,22)의 끝면의 슬러지적재부(21a,22a)에서 압축롤러(24,24a) 및 피스톤펌프
(25,25a)를 장착하여 상기 압축롤러(24,24a)가 피스톤펌프내의 피스톤(25b,25c)의운동에 의한 발생 공기압으로 상기 슬러지적재부(21a,22a)내의 슬러지(6)를 눌러서 슬러지(6)내에 함유되어 있는 수분을 짜내는 운동을 연쇄적으로 함으로서, 슬러지내의 수분을 분리 하는 구조로 구성 및 이송관(21,22)내의 나선형스크류(26,26a)에 의하여 슬러지(6)를 상,하로 회전시켜 슬러지(6) 내의 수분이 이송관(21,22)내에서 용이하게 탈수 시키는 등의 1,2차 탈수부(2,2a)를 거쳐 슬러지(6)의 수분함량이 50% 정도로 탈수가 된후, 저면의 호퍼탱크(31)로 유입되어 분쇄혼련구(33)와 나선형(34) 및 일반스크류(37), 이송관(32)에 장착되어 있는 압축롤러(35) 및 피스톤펌프(36) 등으로 구성된 정밀탈수부(3)에 의하여, 추가로 분쇄 및 정밀 탈수가 되어 슬러지(6)의 수분 함량이 40% 이하로 배출부(4)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어, 건조로를 거치지 않고 소각로에서 직접 소각이 가능한 구조로 구성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부대설비로는 제 1탈수부(2)의 스크류(26)를 회전을 시켜주는 모터(53), 제 2탈수부(2a)의 스크류(26a)를 회전을 시켜주는 모터(54), 정밀탈수부(3)의 분쇄혼련구(33)와 스크류(34)를 회전을 시켜주는모터(55)가 상기 각 구성부와 연결되어 몸체(10)의 측면 및 상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몸체(10)의 하부에 몸체를 지지하는 다리 역활을 하는 고정구(56,57)가 다수개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1,2차 탈수부(2,2a) 및 정밀탈수부(3)의 이송관
(21,22,32)의 외면에 압축롤러(24,24a,35) 및 피스톤펌프(25,25a,36)를 장착하여 상기 압축롤러(24,24a,35)가 피스톤펌프(25,25a,36)의 피스톤(25b,25c,36a) 운동에 의하여 상기 슬러지적재부(21a,22a,32a)내의 슬러지(6)의 수분을 다량으로 분리,탈수되는 구조 및 이송관(21,22,33)내의 스크류(26,26a,34)에 의하여 슬러지(6)를 상,하로 회전시켜 슬러지 내의 수분이 이송관(21,22,32)내에서 용이하게 탈수가 되는 구조로 구성 되어 있으며, 특히 상기 정밀탈수부(3)의 이송관(32) 내부 전면에, 본체의 외면에 칼날이 부착되어 360도 회전되는 구조의 분쇄혼련구(33)가 형성되어 있어, 호퍼탱크(31)에서 유입되는 슬러지(6)를 잘게 분쇄 및 혼련을 시켜 슬러지내의 잔류수분을 분리,탈수 및 상기 분쇄혼련구(33)와 일체로 연장되어 나선형스크류
(34)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분쇄,혼련된 슬러지(6)를 동시에 상,하로 회전시켜 슬러지의 수분함량을 최대한 탈수를 시킨후 일반 스크류(37)를 거쳐 배출부(4)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 시키는 구조로 구성 되어 있다.
필요에 따라, 상기 구성중 1,2차 탈수부(2,2a)의 이송관(21,22)끝면에 장착되어 있는 압축롤러(24,24a) 및 피스톤펌프(25,25a)를 장착 하지 않을수도 있으며, 상기 정밀탈수부(3)의 분쇄혼련구(33)와 나선형스크류(34)를 일체로 연장된 구조가 아닌 별도의 분리된 구조로 형성하여 사용할수도 있고, 상기 1,2차 탈수부(2,2a)의 이송관(21,22)내의 나선형스크류(26,26a)를 정밀탈수부(3)의 분쇄혼련구(33)와 나선형스크류(34)가 일체로 연장 된 구조로 사용 할수도 있으며, 본 장치의 2차 탈수부(2a)를 장착 하지 않을수도 있고, 이송관(21,22,32) 끝면에 슬러지적재부(21a,
22a,32a)를 형성하지 않고 이송관(21,22,32)을 직접 압축롤러(24,24a,35)에 장착 하여 사용할수도 있으며, 상기 굴삭용기 형태의 유입부를 굴삭용기 형태가 아닌 슬러지를 적재할수 있는 상부가 개방되어 있는 직육면체 형태의 유입부로 형성 할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본 발명에 의한 폐기물 탈수처리장치는 종래 기술의 문제점인 슬러지에서 수분을 제거하는 제거 작업이 복잡하고, 제거가 원활히 되지 않아 지면에 매립하여 토양 오염 발생 및 별도의 건조로를 이용, 건조작업을 하여야 하는 등의 문제점을 해결 및 겔 상태의 슬러지 내의 함유수분을 용이하게 탈수처리를 할수가 있으며, 슬러지 등을 원활하게 외부로 이송하는 동시에, 특히 상기 슬러지 내에 함유되어 있는 수분을 40% 이하로 이송과정에서 대부분 제거하여 외부로 배출 함으로서, 건조로 등의 별도의 건조처리 설비 및 건조 작업이 필요 없이 직접 소각로에서 소각처리를 할수가 있어 에너지 절감 및 환경을 보존 할수가 있는친 환경적인 효과를 가져올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 장치의 실시상태상의 단면을 도시한 참고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유입부를 확대 도시한 참고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2차 탈수부를 확대 도시한 참고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정밀탈수부를 확대 도시한 참고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탈수처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
도 6은 종래의 탈수처리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00,100' : 탈수처리장치
10 : 몸체
1 : 유입부
11 : 유입구 12 : 배출공
13 : 물배출구
2 : 1차 탈수부
2a : 2차 탈수부
21,22 : 이송관
21a,22a : 슬러리적재부 21b,22b : 물배출구
22c,22d : 지지구
23 : 흡입구 24,24a : 압축롤러
25,25a : 피스톤펌프 25b,25c : 피스톤
26,26a : 나선형스크류
27,27a : 배출호스 28 : 경사이송구
29 : 진동판
3 : 정밀탈수부
31 : 호퍼탱크
32 : 이송관
32a : 슬러리적재부 32b : 물배출구
33 : 분쇄혼련구 34 : 나선형스크류
35 : 압축롤러
36 : 피스톤펌프 36a: 피스톤
37 : 일반스크류
38 : 배출호스
4,4' : 배출부
5 : 부대설비
51 : 프레임 52,53,54,55 : 모터
56,57 : 고정구

Claims (3)

  1. 폐수처리조 및 수도물 침전조 등의 바닥에 적재되어 있는 폐기물등의 다량의 수분이 함유되어 있는 겔 상태의 슬러지 내의 수분을 탈수처리 하는 폐기물 탈수처리장치에 있어서;
    몸체(10)의 상부에 슬러지(6)내의 함유수분을 분리배출하는 1,2차 탈수부 (2,2a)및 정밀탈수부(3)를 장착하되, 상기 각 탈수부(2,2a,3)의 이송관(21,22,32) 의 끝단에 슬러지적재부(21a,22a,32a)를 형성, 그 외면에 압축롤러(24,24a,35) 및 피스톤펌프(25,25a,36)를 장착하여, 상기 압축롤러(24,24a,35)가 피스톤펌(25,25a,
    36)내의 피스톤(25b,25c,36a)의 운동에 의하여, 상기 이송관(21,22,32)내의 슬러지(6)를 눌러서 슬러지(6)내에 함유되어 있는 수분을 분리, 탈수를 하며, 상기 정밀탈수부(3)의 이송관(32)내부 전면에, 본체의 외면에 칼날이 부착되어 360도로 회전되는 분쇄혼련구(33) 및 상기 분쇄혼련구(33)와 일체로 연장되어, 나선형스크류(34)가 형성되어 있어, 이송되는 슬러지(6)를 분쇄 및 혼련,회전을 시켜 슬러지(6)의 수분을 분리, 탈수 할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탈수처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의 측면에 슬러지(6)를 유입하는 유입구(11) 표면에 다수개의 배출공(12)이 형성되어 있는 유입부(1) 및 이송관(21)의 외면에 압축롤러(24) 및 피스톤펌프(25)를 장착하여, 이송관(21)내의 슬러지의 수분을 탈수 할수 있으며, 상기 이송관(21)내의 나선형스크류(26)에 의하여 슬러지(6)를 상,하로 회전시켜, 이송 시킬수가 있는 1차탈수부(2)가 장착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탈수처리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밀탈수부(3)의 나선형스크류(34)와 일체로 연장되어 일반스크류(37)가 형성되어 있어, 슬러지(6)를 안정되게 배출부(4)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할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탈수처리장치.
KR1020050022193A 2005-03-17 2005-03-17 폐기물 탈수처리장치 KR1005739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2193A KR100573905B1 (ko) 2005-03-17 2005-03-17 폐기물 탈수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2193A KR100573905B1 (ko) 2005-03-17 2005-03-17 폐기물 탈수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4674A true KR20050034674A (ko) 2005-04-14
KR100573905B1 KR100573905B1 (ko) 2006-04-26

Family

ID=37238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2193A KR100573905B1 (ko) 2005-03-17 2005-03-17 폐기물 탈수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390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45718A (zh) * 2016-02-29 2016-06-08 普利资环境科技(苏州)有限公司 一套污泥干化设备
CN111891582A (zh) * 2020-07-20 2020-11-06 芜湖市鹏磊新材料有限公司 一种膨润土粉末干燥罐体结构
CN117209118A (zh) * 2023-03-28 2023-12-12 江苏格兰特干燥浓缩设备有限公司 一种螺旋挤干机用污泥处理工艺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2283B1 (ko) 2013-03-18 2014-05-07 주식회사 그린기술 다단 탈수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45718A (zh) * 2016-02-29 2016-06-08 普利资环境科技(苏州)有限公司 一套污泥干化设备
CN111891582A (zh) * 2020-07-20 2020-11-06 芜湖市鹏磊新材料有限公司 一种膨润土粉末干燥罐体结构
CN117209118A (zh) * 2023-03-28 2023-12-12 江苏格兰特干燥浓缩设备有限公司 一种螺旋挤干机用污泥处理工艺
CN117209118B (zh) * 2023-03-28 2024-03-08 江苏格兰特干燥浓缩设备有限公司 一种螺旋挤干机用污泥处理工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73905B1 (ko) 2006-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08407B1 (ko) 폐수 슬러지 탈수 건조 시스템
KR100573905B1 (ko) 폐기물 탈수처리장치
US20220194837A1 (en) Portable waste treatment apparatus
KR20160035312A (ko) 축산분뇨의 고액분리장치
KR200481337Y1 (ko)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
KR101251568B1 (ko) 환경친화적인 준설슬러지 탈수처리공법 및 그 장치
JP4247840B2 (ja) 汚泥脱水ユニット、及びそれを用いた汚泥吸引脱水装置
KR100470138B1 (ko) 이동식 오니(汚泥)처리시스템
CN210974372U (zh) 工业废水污泥处理装置
KR101557155B1 (ko) 피스톤형 슬러지 탈수 장치
CN113045153A (zh) 市政污泥减排处置与资源化集成处理设备及方法
KR101020458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493739B1 (ko) 오폐수용 협잡물 파쇄 및 이송장치
CN216497729U (zh) 一种具有脱水机构的垃圾分拣设备
CN211595407U (zh) 一种污泥脱水浓缩池
JPS62214898A (ja) スクリ−ンかす脱水装置
KR200256319Y1 (ko) 폐수의 잔존물 분리장치
KR0185121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용 자동차의 건조탈수장치
KR200330582Y1 (ko) 음식 폐기물 처리장치
KR200416719Y1 (ko) 가압탈수기
CN207434407U (zh) 一种污泥输送装置及生活垃圾焚烧炉
CN214639025U (zh) 一种基于高压挤压的厨余垃圾预处理系统
CN210945305U (zh) 一种干垃圾污水处理系统
KR200360008Y1 (ko) 오폐수용 협잡물 파쇄 및 이송장치
KR20210072309A (ko) 생활쓰레기의 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1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