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33356A - 노래방 기능을 갖는 영상표시기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노래방 기능을 갖는 영상표시기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33356A
KR20050033356A KR1020030069352A KR20030069352A KR20050033356A KR 20050033356 A KR20050033356 A KR 20050033356A KR 1020030069352 A KR1020030069352 A KR 1020030069352A KR 20030069352 A KR20030069352 A KR 20030069352A KR 20050033356 A KR20050033356 A KR 200500333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ume
accompaniment
user
karaoke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93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88874B1 (ko
Inventor
이재경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693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8874B1/ko
Priority to US10/950,667 priority patent/US7435893B2/en
Priority to CNA2004100834118A priority patent/CN1617572A/zh
Publication of KR200500333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33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88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887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1/00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 G11B31/02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with automatic musical instrumen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6Accompaniment arrangements
    • G10H1/361Recording/reproducing of accompaniment for use with an external source, e.g. karaoke systems
    • G10H1/368Recording/reproducing of accompaniment for use with an external source, e.g. karaoke systems displaying animated or moving pictures synchronized with the music or audio part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005Non-interactive screen display of musical or status data
    • G10H2220/011Lyrics displays, e.g. for karaoke appl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노래방 기능을 갖는 영상표시기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방송신호를 선국 하기 위한 튜너, 상기 튜너를 통해 선국 된 방송신호를 입력받아 영상, 음성 및 부가정보로 분리하기 위한 디먹스 및 좌/우 복수개의 스피커를 구비한 영상표시기기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각종 요구명령 및 노래방 온/오프 기능을 입력하기 위한 키 입력부와, 사용자가 노래방 온 기능을 선택하면, 상기 디먹스를 통해 분리된 부가정보에서 반주음량정보 및 가수음량정보를 입력받아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각각의 해당 음량이 해당 스피커를 통해 선택적으로 가변 되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마이컴과, 상기 마이컴의 제어신호에 따라 반주음량 또는 가수음량을 가변 시켜 해당 스피커를 통해 출력 가능하도록 처리하는 음성신호 처리부와, 상기 마이컴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디먹스를 통해 분리된 부가정보에서 캡션정보를 추출하여 해당 노래에 따른 영상 및 가사가 동시에 출력될 수 있도록 처리하는 영상신호 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기존의 반주음만 제어하던 노래방 기기와 달리 가수의 음량을 삭제 및 음량가변을 수행함에 따라 노래를 하나도 모르는 초보자들도 보다 쉽게 노래를 따라 부를 수 있다.

Description

노래방 기능을 갖는 영상표시기기 및 그 제어방법{(An) image display device for having singing room capability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노래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신되는 디지털 스트림으로부터 캡션정보, 반주정보 및 가수정보를 입력받아 반주음과 가수음을 분리하여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한 노래방 기능을 갖는 영상표시기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류는 의사전달 또는 오락을 위해 오랜 역사 동안 노래를 즐겨왔다. 처음에는 단순히 노래 음성만을 즐겨왔지만 시간이 흐름에 따라 다양한 악기가 발달되고, 이 악기를 이용하여 노래 가사에 따라 리듬이 붙여져서 음악이 발달되기 시작했으며 현대는 다양한 음향효과와 기본반주 그리고 노래음성이 합해져서 신명나며, 더욱더 감성적으로 의사전달을 할 수 있게 되었다.
이와 같이 현대인에게는 음악이 소중한 의사 전달기구이기는 하지만, 성격이 소극적이거나 노래를 부를 줄 모르는 사람(이하, 음치라 함)들은 다른 사람들 앞에서 노래 부르는 것을 꺼리는 경향이 있었다.
최근에는 노래를 배우려고 하는 사람이나 또는 음치들이 조용한 공간에서 노래 연습도 하고 마음껏 소리 지르면서 노래를 연습하거나 또는 스트레스를 해소하기 위하여 동영상노래방에 가서 노래를 부르는 경우가 종종 있다.
현재 서비스중인 동영상 노래방으로서는 특정 건물의 한 곳에 동영상 노래방기기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노래연습을 하고자 하는 사람은 동영상 노래방 기기가 설치되어 있는 특정 건물에 가서 일정액을 지불하고 동영상 노래방 기기를 작동시킨 다음, 동영상노래방 기기의 모니터에 표출되는 가사를 보며 노래를 부름으로써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노래의 리듬 박자 및 가사를 익히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반주음만 제어함으로써 노래를 잘 모르는 사람이 부르고자 할 경우 원하는 노래를 따라 부르기가 어려운 현실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수신되는 디지털 스트림 으로부터 오디오 정보 및 부가정보 등을 추출하여 반주음 및 가수음량 등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한 노래방 기능을 갖는 영상표시기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노래방 기능을 갖는 영상표시기기는 사용자가 원하는 방송신호를 선국 하기 위한 튜너, 상기 튜너를 통해 선국 된 방송신호를 입력받아 영상, 음성 및 부가정보로 분리하기 위한 디먹스 및 좌/우 복수개의 스피커를 구비한 영상표시기기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각종 요구명령 및 노래방 온/오프 기능을 입력하기 위한 키 입력부와, 사용자가 노래방 온 기능을 선택하면, 상기 디먹스를 통해 분리된 부가정보에서 반주음량정보 및 가수음량정보를 입력받아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각각의 해당 음량이 해당 스피커를 통해 선택적으로 가변 되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마이컴과, 상기 마이컴의 제어신호에 따라 반주음량 또는 가수음량을 가변 시켜 해당 스피커를 통해 출력 가능하도록 처리하는 음성신호 처리부와, 상기 마이컴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디먹스를 통해 분리된 부가정보에서 캡션정보를 추출하여 해당 노래에 따른 영상 및 가사가 동시에 출력될 수 있도록 처리하는 영상신호 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그 특징이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마이컴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좌/우 스피커중 어느 하나를 통해 반주음량이 가변되도록 제어하거나, 상기 좌/우 스피커중 어느 하나를 통해 가수 음량이 가변되도록 제어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노래방 기능을 갖는 영상표시기기의 제어방법은 튜너, 디먹스 및 복수개의 스피커를 구비한 노래방 기능을 갖는 영상표시기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노래방 모드를 선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노래방 모드를 선택하였으면 상기 디먹스를 통해 수신되는 부가정보에서 반주음량 및 가수음량을 입력받아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해당 스피커를 통해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단계와,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반주모드 및 가수모드를 교번적으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그 특징이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사용자가 노래방 모드를 선택하지 않았으면 수신되는 음량레벨에 따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그 특징이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반주음량 및 가수음량을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단계는 사용자가 반주모드를 선택하면 가수음량은 출력시키지 않고,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반주음의 음량을 가/감 시켜 출력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가수모드를 선택하면 반주음량은 그대로 유지시키면서,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가수음량을 가/감 시켜 출력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데 그 특징이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반주모드 및 가수모드를 교번적으로 출력하는 단계는 사용자가 입력하는 반주모드 또는 가수모드 절환명령에 따라 출력하는 단계인데 그 특징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노래방 기능을 갖는 영상표시기기 및 그 제어방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최근 들어 영상표시기기에는 티브이 기술이 발전하고 있으며, 티브이 기술에는 방송신호를 전송하는 방식도 발전하고 그에 따라 디지털 전송방식을 적용한 디지털 티브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리고, 디지털 방송이 가속화되면서 위성/지상파/케이블을 통해서 고화질/고음질의 방송이 여러 장점들을 가지고 방송되고 있다. 기존의 아날로그 티브이에 비해서 디지털 방송이 가지는 장점은 고화질, 고음질뿐만 아니라 다양한 부가정보를 이용한 서비스 기능이다.
따라서, 수신되는 디지털 스트림은 비디오, 오디오, 부가정보 및 채널 정보로 이루어져 있으며, 다중화 되어 들어오고 있다. 그러므로, 수신기는 이를 정해진 규격에 맞게 역다중화 하여 비디오, 오디오, 부가정보를 재구성하여 노래방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노래방 기능을 갖는 영상표시기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노래방 기능을 갖는 영상표시기기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본 발명에 따른 노래방 기능을 갖는 영상표시기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원하는 요구명령 및 노래방 모드 선택 등 각종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키 입력부(101)와, 상기 키 입력부(101)를 통해 사용자가 선택하는 채널을 선국 하기 위한 튜너(102)와, 상기 튜너(102)를 통해 선국 된 채널에서 영상신호, 음성신호 및 부가정보를 분리하기 위한 디먹스(103)와, 상기 디먹스(103)를 통해 분리된 영상신호 및 캡션정보를 입력받아 디스플레이부(105)에 디스플레이 가능한 신호로 처리하는 영상신호 처리부(104)와, 사용자가 상기 키 입력부(101)를 통해 노래방 온 모드를 선택하면 사용자가 선택하는 반주제어모드 또는 가수제어모드에 따라 반주음량 및 가수음량이 선택적으로 제어될 수 있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컴(109)과, 상기 마이컴(109)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디먹스(103)를 통해 분리된 음성신호 또는 저장부(108)에 기 저장된 음성신호를 입력받아 스피커(107)를 통해 출력 가능한 신호로 처리하는 음성신호 처리부(106)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노래방 기능을 갖는 영상표시기기는 사용자가 상기 키 입력부(101)를 통해 노래방 모드를 선택하면 상기 마이컴(109)은 현재 수신되는 방송신호에서 반주정보 및 가수정보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함에 따라 노래 프로그램인지 여부를 파악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키 입력부(101)를 통해 반주제어모드를 선택하는지 가수제어모드를 선택하는지를 판단한다.
즉, 사용자가 반주제어모드를 선택하면, 상기 마이컴(109)은 상기 디먹스(103)를 통해 분리된 부가정보에서 반주정보를 추출하여, 해당 반주음이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음량이 가변 되어 출력될 수 있도록 상기 음성신호 처리부(106)에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가수음은 출력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사용자가 가수제어모드를 선택하면, 상기 마이컴(109)은 상기 디먹스(103)를 통해 분리된 부가정보에서 가수정보를 추출하여, 해당 가수의 음량을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가변 시켜 출력되도록 상기 음성신호 처리부(106)에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반주음은 원래 수신되는 원 상태 그대로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반주 제어모드이건, 가수제어모드이건 간에 해당 노래의 가사를 디스플레이 한다.
즉, 노래를 하나도 모르는 사람이 노래를 따라 부르고자 할 경우, 가수의 목소리가 어느 정도 나오게 되면 보다 쉽게 노래를 따라 부를 수 있기 때문에, 가수음량을 가변 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노래방 기능을 갖는 영상표시기기의 제어방법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사용자가 파워 온 명령을 입력하면 수신되는 영상 및 음성을 출력한다(S101∼S102).
이어서 사용자가 노래방 모드를 선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03).
상기 판단 결과(S103), 사용자가 노래방 모드를 선택하였으면 현재 노래프로그램이 출력중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04). 즉, 수신되는 방송신호에서 반주음량정보 및 가수음량정보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것이다.
이어서 상기 판단 결과(S104), 현재 노래 프로그램이 출력중이면 반주음량정보 및 가수음량정보를 추출한다(S105).
한편 상기 판단 결과(S104), 현재 노래 프로그램이 출력중이 아니면 기 저장된 노래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06).
상기 판단 결과(S106), 기 저장된 노래가 존재하면 기 저장된 노래의 반주음량정보 및 가수음량정보를 추출한다(S107).
그리고, 사용자가 반주제어모드를 선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08).
이어서 상기 판단 결과(S108), 사용자가 반주제어모드를 선택하였으면 가수음량은 출력하지 않고, 사용자 요구에 따라 반주음의 음량을 가변 시킨다(S109).
한편 상기 판단 결과(S107), 사용자가 반주제어모드를 선택하지 않았으면, 가수제어모드를 선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10).
상기 판단 결과(S110), 사용자가 가수제어모드를 선택하였으면 반주음량은 그대로 유지시키고,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가수음량을 가변 시킨다(S111).
그리고 사용자가 모드 절환키를 입력하면 반주제어모드, 가수제어모드를 교번 출력한다(S112∼S113).
이어서 사용자가 노래방 모드를 오프 시켰으면 종료시키고, 아니면 상기 단계(S104)로 복귀한다(S114).
한편 상기 판단 결과(S103), 사용자가 노래방 모드를 선택하지 않았으면, 사용자가 선택하는 음량에 따라 반주 및 가수의 음량을 동시에 출력한다(S115).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노래방 기능을 갖는 영상표시기기 및 그 제어방법은 현재 가수의 목소리와 반주음이 동시에 입력되는 소스를 먼저, 방송제작시 반주와 가수의 노래를 각각 좌/우 입력소스를 나누어 녹음하거나 특히 5.1 채널과 같은 경우 센터는 목소리 좌/우는 반주로 각각 녹음하여 목소리와 반주를 분리하고, 캡션 등 텍스트 방송에 가사를 실어보내는 방송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디먹스(103)를 통해 이를 분석하여 반주정보, 가수정보, 캡션정보 등으로 분리하고, 사용자가 선택하는 노래방 모드 온/오프에 따라서,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만족시키도록 한 것이다.
즉, 사용자가 노래방 모드를 온 시키고, 사용자가 반주제어모드를 선택하면, 가수음은 삭제시키고, 반주음량만을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가/감 시켜 출력될 수 있도록 하고, 가수제어모드를 선택하면 반주음은 그대로 유지시키고, 가수음량만을 사용장의 요구에 따라 가/감 시켜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되는 가사를 참조하여 원하는 노래를 보다 쉽게 따라 부를 수 있다.
또한, 현재 음악 프로그램이 방송중이 아니면, 기 저장된 프로그램에서 음악 프로그램이 존재하는지를 파악하여 해당 반주정보 및 가수음량정보를 추출하여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가변 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노래방 기능을 갖는 영상표시기기 및 그 제어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방송국으로부터 수신되는 디지털 스트림에서 반주정보와 가수정보 및 캡션정보를 입력받아 사용자가 노래방 모드를 선택하면 반주제어모드 및 가수제어모드로 분리하여 제어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조건에 맞게 노래방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둘째, 기존의 반주음만 제어하던 노래방 기기와 달리 가수의 음량을 삭제 및 음량가변을 수행함에 따라 노래를 하나도 모르는 초보자들도 보다 쉽게 노래를 따라 부를수 있다.
셋째, 노래방에 가지 않더라도, 원하는 노래를 가정에서 보다 쉽게 부를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노래방 기능을 갖는 영상표시기기를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노래방 기능을 갖는 영상표시기기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키 입력부 102 : 튜너
103 : 디먹스 104 : 영상신호 처리부
105 : 디스플레이부 106 : 음성신호 처리부
107 : 스피커 108 : 저장부
109 : 마이컴

Claims (5)

  1. 사용자가 원하는 방송신호를 선국 하기 위한 튜너, 상기 튜너를 통해 선국 된 방송신호를 입력받아 영상, 음성 및 부가정보로 분리하기 위한 디먹스 및 좌/우 복수개의 스피커를 구비한 영상표시기기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각종 요구명령 및 노래방 온/오프 기능을 입력하기 위한 키 입력부;
    사용자가 노래방 온 기능을 선택하면, 상기 디먹스를 통해 분리된 부가정보에서 반주음량정보 및 가수음량정보를 입력받아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각각의 해당 음량이 해당 스피커를 통해 선택적으로 가변 되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마이컴;
    상기 마이컴의 제어신호에 따라 반주음량 또는 가수음량을 가변 시켜 해당 스피커를 통해 출력 가능하도록 처리하는 음성신호 처리부; 그리고,
    상기 마이컴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디먹스를 통해 분리된 부가정보에서 캡션정보를 추출하여 해당 노래에 따른 영상 및 가사가 동시에 출력될 수 있도록 처리하는 영상신호 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방 기능을 갖는 영상표시기기.
  2. 튜너, 디먹스 및 복수개의 스피커를 구비한 노래방 기능을 갖는 영상표시기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노래방 모드를 선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사용자가 노래방 모드를 선택하였으면 상기 디먹스를 통해 수신되는 부가정보에서 반주음량 및 가수음량을 입력받아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해당 스피커를 통해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단계; 그리고,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반주모드 및 가수모드를 교번적으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방 기능을 갖는 영상표시기기의 제어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노래방 모드를 선택하지 않았으면 수신되는 음량레벨에 따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방 기능을 갖는 영상표시기기의 제어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반주음량 및 가수음량을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단계는
    사용자가 반주모드를 선택하면 가수음량은 출력시키지 않고,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반주음의 음량을 가/감 시켜 기 설정된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가수모드를 선택하면 반주음량은 그대로 유지시키면서,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가수음량을 가/감 시켜 기 설정된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방 기능을 갖는 영상표시기기의 제어방법.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반주모드 및 가수모드를 교번적으로 출력하는 단계는
    사용자가 입력하는 반주모드 또는 가수모드 절환명령에 따라 출력하는 단계임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방 기능을 갖는 영상표시기기의 제어방법.
KR1020030069352A 2003-10-06 2003-10-06 노래방 기능을 갖는 영상표시기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5888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9352A KR100588874B1 (ko) 2003-10-06 2003-10-06 노래방 기능을 갖는 영상표시기기 및 그 제어방법
US10/950,667 US7435893B2 (en) 2003-10-06 2004-09-28 Image display device with built-in karaok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A2004100834118A CN1617572A (zh) 2003-10-06 2004-10-08 带有内置卡拉ok的图像显示设备及其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9352A KR100588874B1 (ko) 2003-10-06 2003-10-06 노래방 기능을 갖는 영상표시기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3356A true KR20050033356A (ko) 2005-04-12
KR100588874B1 KR100588874B1 (ko) 2006-06-14

Family

ID=343867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9352A KR100588874B1 (ko) 2003-10-06 2003-10-06 노래방 기능을 갖는 영상표시기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435893B2 (ko)
KR (1) KR100588874B1 (ko)
CN (1) CN161757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0118B1 (ko) * 2006-09-21 2007-10-24 이현우 유에스비 호스트 플레이 기능 및 보컬 감쇠 기능을 가지는노래방 기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3161B1 (ko) * 2005-06-03 2007-04-06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처리장치 및 데이터처리방법
TW200717300A (en) * 2005-10-28 2007-05-01 Asustek Comp Inc Karaoke television device for blending user,s voice with TV program
US20080113325A1 (en) * 2006-11-09 2008-05-15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Tv out enhancements to music listening
WO2008140238A2 (en) * 2007-05-15 2008-11-20 Hyun Woo Lee Karaoke system with usb host play and vocal reduction
CN101131816B (zh) * 2007-09-30 2012-01-04 炬力集成电路设计有限公司 一种音频文件生成方法、装置及数码播放器
US20160054976A1 (en) * 2013-05-03 2016-02-25 Cheol SEOK Method for producing media contents in duet mode and apparatus used therein
CN104538011B (zh) * 2014-10-30 2018-08-17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音调调节方法、装置及终端设备
CN105161120B (zh) * 2015-08-27 2017-05-31 广州酷狗计算机科技有限公司 原伴唱切换方法及装置
KR101775784B1 (ko) 2015-09-21 2017-09-19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상 터치 센서를 이용한 노래 반주 기기의 제어 방법
US11282407B2 (en) * 2017-06-12 2022-03-22 Harmony Helper, LLC Teaching vocal harmonies
CN108647003B (zh) * 2018-05-09 2021-06-25 福建星网视易信息系统有限公司 一种基于声控的虚拟场景互动方法和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113529U (zh) 1992-04-04 1992-08-19 章谦 卡拉ok机移调器
KR960007947B1 (ko) * 1993-09-17 1996-06-17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라오케-콤팩트 디스크(karaoke-cd) 및 이를 이용한 오디오 제어장치
US5469370A (en) * 1993-10-29 1995-11-21 Time Warner Entertainment Co., L.P.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play of multiple audio tracks of a software carrier
CA2214161C (en) 1996-08-30 2001-05-29 Daiichi Kosho, Co., Ltd. Karaoke playback apparatus utilizing digital multi-channel broadcasting
CN1402588A (zh) 2001-08-29 2003-03-12 英业达集团(南京)电子技术有限公司 便携式卡拉ok系统及其方法
AU2003263732A1 (en) * 2002-10-11 2004-05-0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A method and apparatus for delivering programme-associated data to generate relevant visual displays for audio contents
CN1212577C (zh) 2003-04-09 2005-07-27 刘开元 使卡拉ok具有领唱功能的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0118B1 (ko) * 2006-09-21 2007-10-24 이현우 유에스비 호스트 플레이 기능 및 보컬 감쇠 기능을 가지는노래방 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435893B2 (en) 2008-10-14
CN1617572A (zh) 2005-05-18
KR100588874B1 (ko) 2006-06-14
US20050072293A1 (en) 2005-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022561A (ko) 가전제품에 속하는 디바이스의 음성제어를 위한 방법 및장치
EP1736001A1 (en) Audio level control
KR100604016B1 (ko) 소리레벨 제어 기능을 갖는 영상표시기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588874B1 (ko) 노래방 기능을 갖는 영상표시기기 및 그 제어방법
US20040194137A1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aural presentation of program guide
KR100499032B1 (ko) 텔레비젼 수신기를 기반으로 하는 오디오 및 비디오 합성편집장치
JPH08294048A (ja) 映像表示音声出力装置
KR100688650B1 (ko) 영상표시기기의 음성 처리장치 및 방법
JP2000324417A (ja) 補助情報再生装置
JP4167346B2 (ja) ディジタル放送用聴覚補償方法およびそれに用いる受信装置
KR200319502Y1 (ko) 텔레비전의 음성 처리 장치
KR100518843B1 (ko) 디지털 티브이 및 그 epg 표시방법
KR200167004Y1 (ko) 음성다중 텔레비젼 수상기에서의 주부 음성 전환시 백사운드 처리 장치
KR20040013763A (ko) 디지털 티브이 및 그 채널제어방법
KR100548604B1 (ko) 어학 학습 기능을 갖는 영상표시기기 및 그 학습방법
KR100219583B1 (ko) 가요반주기의 애창곡 관리 방법
JPH0955902A (ja) 映像表示装置
JPH096372A (ja) 映像表示装置
CN1761291A (zh) 具有点歌机功能的图像显示设备及其控制方法
KR0140963B1 (ko) 티브이(tv)의 실로폰 기능 구동장치와 구동 제어방법
KR20010019090A (ko) 오디오 모드 자동설정 기능을 갖는 티브이 수상기
KR100323680B1 (ko) 티브이의 문자표시장치 및 방법
KR0132855B1 (ko) 영상반주기 내장형 텔레비젼의 모드 전환방법
JP2000092404A (ja) 制御システム及び制御方法
KR0160646B1 (ko) 영상반주기 내장형 텔레비젼의 편곡 형태 선택 기능 수행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4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