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32611A - 무힌지 이동국 - Google Patents

무힌지 이동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32611A
KR20050032611A KR1020057003059A KR20057003059A KR20050032611A KR 20050032611 A KR20050032611 A KR 20050032611A KR 1020057003059 A KR1020057003059 A KR 1020057003059A KR 20057003059 A KR20057003059 A KR 20057003059A KR 20050032611 A KR20050032611 A KR 200500326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station
sheath
section
elastomeric
compon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30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16109B1 (ko
Inventor
리즈 뉴맨
짐 홀토르프
니콜라즈 베스틀
Original Assignee
노키아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키아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노키아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500326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26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61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610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1Details related solely to hin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3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for the transmission of signal or power between the different housings, e.g. details of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passage of cab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54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comprising one or a plurality of mechanically detachable modu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무힌지 폴딩형 이동국이 제공된다. 상기 이동국은 각각 상기 이동국의 내부 구성 요소들의 일부를 보유하는 개별 외장인 적어도 두개의 절반들을 포함한다. 가요성 커넥터는 상기 외장의 한 섹션에 수납된 구성 요소들을 다른 섹션에 수납된 내부 구성 요소들과 연결시킨다. 상기 이동국의 두개의 절반들은 각 섹션의 외부 종단 주위 및 상기 이동국 외장 섹션들 각각의 내부 종단 근처에 배치된 일련의 복귀 지점들 주위에서 스트레칭되는 탄성 중합체 밴드와 같은 유지 장치에 의해 함께 유지된다. 상기 탄성 중합체 밴드를 제자리에 유지시키기 위하여 일련의 홈들 또는 연장부들이 상기 이동국에 대해 다양한 위치들에서 형성되어 있다. 제자리에 있는 경우, 상기 탄성 중합체 밴드는 장력이 항상 인가되도록 그것의 정상 안정 길이로부터 스트레칭되어 있다.

Description

무힌지 이동국{Hingeless mobile station}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이동국 디자인에 관한 것으로, 특히 탄성 중합체(elastomeric) 밴드와 같은 유지 장치에 의해 고정되어, 독특한 유선형 구성을 제공하고 구성 요소들의 편리한 교체를 용이하게 하는 무힌지 폴딩형 이동국에 대한 디자인에 관한 것이다.
이동 전화 디자인은 항상 발전한다. 원래, 이동 전화들은 부득이 크고 부피가 컸다. 이동 전화들 내부의 무선 통신 장비 및 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배터리 양자는, 초기 디자인에서 유닛이 실제로 두개로 분리되었고 동작용 전원 케이블에 의해 연결될지라도, 동일한 유닛에 소지되어야 했다. 하지만, 집적 회로 및 전기 저장 장치들 양자와 관련된 기술의 발전은 이동 전화 설계자들이 더욱더 작은 장치들을 만들 수 있게 하였다. 이들 더 작은 기구들은 더 가볍울 뿐만 아니라, 덜 성가시며 운송하기가 더 쉽다. 이러한 이유로, 이동 전화들은 더 이상 자동차에 영구적으로 설치될 필요가 없거나 편리한 동작을 위하여 개별적으로-휴대되는 배터리 팩에 연결될 필요가 없다. 그 밖에도, 작은 이동 전화들은 단순히 더 패셔너블하다.
하지만, 편리성과 함께, 어떤 단점들도 존재한다. 더 큰 이전의 이동 전화들에 비해 거의 소형인 이동 전화들이 확실히 휴대하기 용이한 동시에, 그들은 또한 주머니, 서류 가방, 지갑 또는 잡낭에 저장하거나 운송하기에 더 용이하다. 그들은 장갑 넣는 칸들 및 연장통들에 수납되기 쉽고, 잠재적으로 그들의 외관 또는 그들의 실제 내부 구성 요소들에 손상을 야기할 수 있는 다른 딱딱한 물체들에 자주 부딪힐 수 있다. 이러한 빈번한 거친 취급에도 불구하고, 이동 전화의 작은 경량 구성은 명백하게 증가하는 민감한 장비를 보호하기 위하여 내구성이 강한 구조적인 구성 요소들을 사용하는 것을 더 어렵게 한다. 현대의 이동 전화들은 여러가지 점에서 단지 손상에 더 취약하다.
손상의 위험은 외부적으로 액세스가능한 구성 요소들의 수에 의해 악화된다. 가장 현저하게, 이동 전화들은 이제 거의 보편적으로 어떤 형태의 비주얼 디스플레이를 지닌다. 초기에, 비주얼 표시기들은 전화가 왔는지 또는 통화가 진행 중인지를 나타내는 작은 발광 다이오드들(LEDs)로 한정되었을 수 있다. 그다음 다이얼링된 전화 번호, 현재 시간 또는 다른 단순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더 진보된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들이 개발되었다. 더 최근에, 액정 디스플레이들(LCDs)이 흔해지고 있다. LCD는 두개의 매우 얇은 유리 조각들 또는 다른 투명한 물질 사이에 전기 감응 액정 물질을 끼워넣음으로써 만들어진다. 그러므로, 그들은 비교적 작은 충격에도 쉽게 손상되기 쉽다. 보통 딱딱한, 투명 커버 또는 유사한 보호 메커니즘에 의해 보호될지라도, 그럼에도 불구하고 LCD들은 여전히 현대의 이동 전화에서 손상되기 쉬운 구성 요소들이다. 다른 외부적으로 액세스가능한 구성 요소들이 그렇게 쉽게 손상되지 않을지라도,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거친 취급에 의해 야기되는 손상을 받기 쉽다.
이동 전화의 외부적으로 액세스가능한 구성 요소들에 대한 더 나은 보호를 제공하는 하나의 해법은 둘로 접게 되어 있는 디자인이다. 둘로 접게 되어 있는 이동 전화는 일반적으로 반으로 접힐 수 있는 이동 전화이다. 즉, 상기 기구는 전형적으로 전기적으로 함께 연결되어 있는 적어도 두 부분들로 형성되어 있는 데, 각 부분은 이동 전화 내부 구성 요소들의 일부를 수납한다. 여기에서 "반으로 접힘"이라는 용어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데, 즉 두개의 "절반들"이 동일한 크기일 필요는 없다는 것을 주목하라. 심지어 이러한 디자인이 전형적인 것이 아닐지라도 두개보다 많은 "절반들"이 존재할 수 있다. 보통의 사용시, 상기 두개의 절반들은 힌지에 의해 함께 유지되어 있고, 상기 전화가 실제로 통화를 신청하거나 수신하는데 사용되고 있는 경우 "열린 상태"로 있게 된다. 상기 전화를 열면 전화의 LCD 및 키패드가 나타나고, 상기 유닛이 보관을 위해 닫히는 경우 내부가 접힌 상태로 유지된다. 이러한 디자인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이동 전화는 주머니 또는 지갑에 더 안전하게 수납될 수 있거나, 사용자의 벨트에 고정될 수 있어서, 그것의 가장 충격에 민감한 노출된 구성 요소들은 이제 경질의 플라스틱 케이스에 의해 보호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전형적인 둘로 접히는 이동 전화에 관한 도면이다. 이동 전화(100)는 제1 부분(110) 및 제2 부분(150)을 포함한다. 제1 부분(110)은 투명 플라스틱 커버(117)를 통해 보일 수 있지만 그것에 의해 보호되는, LCD(115)를 수납한다. 제1 부분(110)에 형성된 일련의 작은 개구부들인, 스피커 포트(120)는 또한 제1 부분(110)에 의해 수납되는 내부 스피커(미도시)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동 전화(100)의 제1 부분(110)은 또한 전형적으로 디스플레이(115) 및 내부 스피커를 구동시키기 위한 회로를 포함한다.
이동 전화(100)의 제2 부분(150)은 내부 마이크로폰(미도시)에 인접하여 제2 부분(150)에 형성된 마이크로폰 포트(155)를 포함한다. 제2 부분(150)은 또한 복수의 개구부들을 형성하는데, 상기 복수의 개구부들을 통해 달리 내부적으로 배치된 키 매트의 개별 키들이 키패드(160)를 형성한다. 제1 부분(110)과 마찬가지로, 이동 전화(100)의 제2 부분(150)은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들과 연관된 내부 회로를 수납한다. 무선 주파수(RF) 통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안테나는 제1 부분(110) 또는 제2 부분(150)에 배치될 수 있거나, 그들 사이에 분포될 수 있다. 이동 전화(100)의 배터리(미도시)는 전형적으로 제2 부분(150)에 보관되고, 제1 부분(110)은 LCD 및 스피커에 의해 주로 취급된다. AC 어댑터와 같은 외부 전원(미도시)은 전원 포트(140)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유사하게, 외부 헤드폰들(미도시)은 외부-장치 포트(145)에서 이동 전화(10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동 전화(100)의 두 섹션들은 힌지(174)에 의해 유지된다. 힌지(175)를 형성하는 것은 제1 부분(110)에서 연장된 힌지 부재들(176 및 177) 및 제2 부분(150)에서 연장된 힌지 부재들(178 및 179)이다. 그러면 상기 두 섹션들은 힌지 핀(180)에 의해 함께 유지되는데, 상기 힌지 핀(180)은 힌지 부재들(176 내지 179)에 형성된 개구부들을 통해 연장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전화(100)는 그것의 활성 동작 위치에 있다는 것을 주목하라. 따라서 상기 이동 전화가 "열리는" 경우, 사용자는 키패드에 액세스하고 스피커 포트 및 마이크로폰 포트를 편리하게 음성 통화를 위한 위치에 둘 수 있다. 상기 이동 전화(100)는 또한 제1 부분을 화살표 방향으로 접어 제2 부분과 만나게 함으로써 "닫혀"질 수 있다. 도 1b는 닫힌 위치에서의 이동 전화(100)의 도면이다. 상기 제1 부분(110)과 상기 제2 부분(150)은 상기 키패드 및 더 중요하게 LCD(115)를 보호하는 방식으로 닫힌다. 일반적으로, 상기 이동 전화(100)는 외부 마이크로폰 및 스피커(미도시)를 채택함으로써 그렇게 하는 것이 가능할지라도 이러한 구성으로 사용될 수 없다. 상기 외부 마이크로폰 및 스피커는 종종 "핸즈-프리" 동작을 위해 사용되고, 외부-장치 포트(145)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이렇게 구비된 전화는 적어도 키패드에 대한 액세스가 그것이 열리게 되는 것이 필요할 때까지 통화가 진행중 주머니에 있을 수 있다.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 이동 전화(100)는, 닫힌 위치에 있는 경우, 그것이 부딪칠 수 있는 열쇠들과 같은 물건들에 의해 손상되는 두려움없이 벨트 클립 장치, 주머니, 지갑 또는 장갑 두는 칸에 배치될 수 있다.
이제까지 명백한 바와 같이, 폴딩형 이동 전화들은 유용하고 바람직한 특징들을 지닌다. 몇몇 사용자들은 또한 순수하게 미적 관점에서 다른 디자인들을 선호할 수 있다. 하지만,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디자인은, 어떤 경우에 힌지 메커니즘이 스타일리쉬한 변경을 하는 설계자들의 능력을 방해하기 때문에 최적이 아니다. 상기 힌지는 또한 달리 컴팩트하고 유선형의 전화에 다소 부피 부가를 나타내고, (예를 들어 도 1a에 도시된) 힌지 부재들(176 내지 179)과 같은 그것의 더 취약성이 있는 구성 요소들 중 몇몇에 대한 손상을 회피하기 위하여 비교적 튼튼해야 한다. 그러므로 도 1에 도시된 전형적인 이동 전화(100)의 유리한 특징들을 지니지만, 힌지 부재(175)와 연관된 단점들을 가지고 있지 않은 폴딩형 이동 전화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디자인을 제공한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 기술에 의한 전형적인 폴딩형 이동 전화의 등각 투상도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1a는 열린 구성의 전화를 도시한 것이고, 도 1b는 닫힌 구성의 전화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국의 분해 조립 등각 투상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도 2에 도시된 이동국의 등각 투상도들을 도시한 것으로, 각각 상기 이동국이 열린 구성, 부분적으로 열린 구성 및 닫힌 구성에 있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각각 열린 구성, 부분적으로 열린 구성 및 닫힌 구성으로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국의 단순화된 스케치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각각 열린 구성, 부분적으로 열린 구성 및 닫힌 구성으로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이동국의 단순화된 스케치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각각 열린 구성 및 닫힌 구성으로 도시된 이동국의 도면들이다.
본 발명은 폴딩형 이동 전화 또는 유사한 전자 장치에 대한 신규한 디자인에 관한 것이다. 일 태양에 있어서, 본 발명은 복수의 이동국 외장 섹션들을 포함하고, 상기 섹션들은 집합적으로 이동국 동작에 필요한 구성 요소들을 수납한다. 제1 섹션 및 제2 섹션은 상기 이동국이 조립되는 경우, 유지 장치에 의해 조정가능한 관계로 유지된다. 상기 유지 장치는 상기 외장 섹션들이 서로에 대해 인접한 관계로 유지되지만 열린 구성 및 닫힌 구성간에 동작가능하게 조정될 수 있도록 상기 외장 섹션들과 조립되는 경우 안정 상태를 너머 스트레칭되고 제자리에 유지되는 탄성 중합체 부분을 포함한다. 상기 유지 장치는 전적으로 탄성 중합체 물질로 형성될 수 있거나, 비-탄성 중합체 물질을 포함할 수 있거나 상기 탄성 중합체 부분에 연결된 비-탄성 중합체 부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지 장치는 상기 외장 섹션들에 형성된 홈들 또는 다른 개구부들에 의해 제자리에 유지되는 밴드일 수 있다. 상기 유지 장치는 또한 외장 섹션의 종단을 포착하여 상기 유지 장치를 제자리에 유지하는데 도움을 주는 후드 또는 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국은 예를 들어 상이한 외장 섹션들이 상기 이동국의 기능을 변경하는데 함께 쌍을 이룰 수 있도록, 또는 상이한 유지 장치들이 상기 이동국의 외관을 커스텀화하는데 사용될 수 있도록, 교체가능한 구성 요소들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 및 본 발명의 이점들에 대한 더 완전한 이해를 위하여, 하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다음 도면들이 참조된다.
하기에 논의되는 도 2 내지 도 6b 및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다양한 실시예들은 단지 예시적인 것이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간주되지 않아야 한다. 당업자는 본 발명의 원리들이 특별히 여기에 논의된 장치들에 더하여, 다양한 다른 전자 장치 및 통신 장치에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셀룰러 이동 전화에 관해 제공될 것이지만, 제한없이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DA), 핸드헬드 개인용 컴퓨터들(PCs), 오거나이저들 및 심지어 적합한 디자인의 휴대용 텔레비젼들을 포함하여, 어떤 수의 소형 장치들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사실상, 이러한 많은 장치들은 다른 장치들 중 하나와 전통적으로 연관된 기능들을 부가함으로써 증강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이들 장치 및 유사한 장치들은 여기에서 "이동국들"로 지칭될 것이다. 유리하게는 본 발명은 접는 개념을 사용하는 어떤 이동국에도 적용된다.
본 발명은 무힌지 이동국을 지향한다. 상기 무힌지라는 용어는 도 1에 도시된 이동국(100)의 두개의 외장 섹션들을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것과 같은, 포착된 힌지 핀이 없는 것을 지칭한다. 이러한 힌지 구조를 회피하는 디자인은 미적으로 매력적일 수 있고 특히 닫혀 있을 때 더 유선형의 모양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무힌지 디자인은 또한 물리적으로 분리할 필요가 있거나 그러는 것이 바람직한 경우, 폴딩형 이동국 외장의 두 섹션들을 물리적으로 분리하는 것을 더 용이하게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이동국(200)의 분해 조립 등각 투상도이다. 본 발명의 무힌지 특징을 제외하곤, 이동국(200)의 기본적인 디자인 및 기능은 도 1의 이동 전화(100)의 디자인 및 기능과 유사하다. 이러한 이유로, 유사한 구성 요소들은 동일하게 번호가 매겨지지 않을지라도 유사할 것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이동국(200)은 제1 외장 섹션(210) 및 제2 외장 섹션(250)을 구비하는데, 상기 두 구성 요소들은 함께 실질적으로 상기 이동국의 동작과 연관된 내부 구성 요소들을 감싸고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있어서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제1 외장 섹션(210)은 때때로 교대로 "상부" 섹션으로 지칭될 것이고 키패드(260)를 수납하고 있는 상기 제2 외장 섹션(250)은 유사하게 때때로 "하부" 섹션으로서 교대로 지칭될 것이다. 이러한 관례는 도시된 실시예들만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을 구현하는 장치가 정상 동작시 다른 것보다 더 위에 있는 한 섹션을 가지는 아무런 요건도 존재하지 않는다. 또한 섹션은 특히 어떤 구성 요소도 포함할 필요가 없다. 사실상, 몇몇 실시예들에서 상기 섹션들 중 하나에 아무런 구성 요소들도 존재하지 않을 것이거나 적어도 어떤 것도 이동국 동작을 할 필요가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경우, 편리한 용어 "외장"은 비어 있거나 달리 채택된 섹션을 지칭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폴딩형 전자 장치들에 두개의 외장 섹션들이 존재할지라도, 개별 배터리 또는 메모리 모듈과 같은 것이 더 존재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의 이점들을 획득하기 위하여 적어도 두개가 존재해야 한다.
도 2의 실시예로 돌아가면, 상부 섹션(210)은 개구부를 형성하는 면(211)을 구비하는데, 상기 개구부를 통해 LCD(215)가 투명한 커버(217) 뒤에 보인다. 또한 상부 섹션(210)에 감싸여져 있는 것은 스피커 포트(220)에 인접하여 내부적으로 배치된 스피커(미도시)이다. 하부 섹션(250)은 키패드(260)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복수의 개구부들을 형성하는 면(251)을 구비하는데, 여기에서 키패드는 "통화", "종료" 및 문자 숫자 입력 키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된다. 또한 면(251)상에 보이는 것은 마이크로폰 포트(255)이다. 외부-장치 커넥터 포트(245)와 마찬가지로, 외부 전원을 연결하기 위한 전원 포트(240)가 하부 섹션(250)의 외부 종단(252)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보인다. 외부 종단(252)은 그것이 열린 구성에 있는 경우(도 3a를 참조하라.) 그것이 조립된 이동국(200)의 외부에 있기 때문에 그렇게 표시된 것이다. 대조적으로 내부 종단(253)은 상부 섹션(210)의 내부 종단(213)과 접촉할 것이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상부 외장 섹션(210)의 내부 종단(213)은 접경면(223) 및 회전면(224)을 포함한다. 상기 이동국(200)이 그것의 완전하게 열린 구성으로 있는 경우, 접경면(223)은 하부 외장 섹션(250)의 접경면(263)과 접촉할 것이다. 상기 면들은 여기에 평평한 것으로 도시되지만, 서로 결합되는 경우 상기 이동국이 안정된 열린 상태로 유지될 수 있는 한, 다른 표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접경면들은 여기에서 각 섹션의 면들에 수직인 것으로 도시되는데, 이것은 안정적인 열린 상태에서 면(211) 및 면(251)의 평면들이 평행할 것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접경면들 중 하나 또는 모두의 방위각은 상기 면에 대해 수직 이외의 다른 각이 될 수 있는데, 상기 이동국의 열린 구성은 그에 따라 변경된다.
도 2의 실시예에서, 내부 종단(213)은 또한 내부 종단(253)의 곡선형 회전면(264)에 대응하는, 곡선형 회전면(224)을 포함한다. 상기 이동국이 열리고 닫힐 때, 상부 외장 섹션(210)과 하부 외장 섹션(250)간의 접촉선은 상기 회전면들을 따라 움직인다. 상기 곡선형 면들은 어떤 특정한 모양을 가질 필요가 없고, 그대신 심지어 일련의 평평한 계단들일 수도 있다는 것을 주목하라. 여기에 도시된 곡선형 회전면들은 상기 이동국이 열리고 닫힐 때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또는 미끄러질 위험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피크-투-밸리(peak-to-valley)로 맞물리는 (기어의 이(cogs)와 유사한) 일련의 대응하는 융기선들을 구비한다. 편의를 위하여 이러한 유형의 면은 기어면(geared surface)이라고 불리울 것이다. 상기 기어면의 융기선들은 두 면들이 적합하게 대응하는 한, 물론 직선이거나 연속적일 필요는 없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면들에는 동일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미끄럼 방지 물질이 덮혀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외장 섹션들 양자에 수납된 이동국(200)의 내부 구성 요소들이 존재하고 그들은 한 섹션의 내부로부터 다른 섹션의 내부로 이어지는 (도 2에 도시되지 않은) 물리적인 커넥터에 의해 연결될 것이다. 상부 섹션(210) 및 하부 섹션(260)에 각각 형성된, 개구부들(225 및 265)은 이러한 커넥터에 대한 내부로의 액세스를 제공한다. 상기 개구부들은 바람직하기로는 비교적 더 짧은 전도체가 사용될 수 있도록 그리고 동작시 그것이 거슬리지 않도록 서로에 대해 근처에 배치된다. 하지만, 그들이 그렇게 배치되거나 그들이 각 섹션상에 유사하게 배치된다는 아무런 요건도 존재하지 않는다. 상기 물리적인 커넥터는, 상기 이동국의 적합한 구성 요소들간에 전기적인 연결을 유지하면서 상기 폴딩형 이동국의 개폐를 허용하기 위하여 구부러지는 것, 일련의 가요성 전도체들 또는 가요성 회로일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 의한 이동국(200)의 디자인은 이들 커넥터들에 한정되지 않고 대안적인 디자인들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접촉면들이 제공될 수 있는데, 전기 접촉이 요구되는 어떤 구성에서 만족시키기 위하여 상기 하부 섹션상의 접촉면에 대응하는 상기 상부 섹션상의 접촉면이 제공될 수 있다. 이것이 몇몇 디자인들에서 바람직할 수 있을지라도, 그것은 일반적으로 덜 신뢰성있는 것으로 여겨져서 선호되지 않는다.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상부 수납 부분 및 상기 하부 수납 부분간에 아무런 물리적인 전기 접속도 존재하지 않지만, 그대신 양측에는 그들의 각각의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는 완전한 세트의 구성 요소들이 제공된다. 몇몇 경우에, 이것은 실제로 두 부분들간의 무선 접속을 필요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외선 또는 블루투스 또는 IEEE 802.11b와 같은 단거리 무선 주파수 통신 시스템을 사용할 필요가 있다.
도 2의 실시예로 돌아가면, 상기 상부 외장 부분 및 상기 하부 외장 부분간의 전도체(미도시)는 영구적으로 부착될 수 있거나, 상기 섹션들이 서로로부터 완전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두 섹션들 중 하나 또는 둘다에 분리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이 유용할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장 섹션들(및 그들의 내부 구성 요소들)은 상이한 구성 요소들을 포함하고 상이한 기능(또는 단순히 상이한 외관)을 제공하는 다른 이러한 섹션들로 교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상태는 이러한 방식으로 이동 게임 스테이션으로 변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조립되는 경우 두개의 개별 섹션들은 유지 수단을 사용하여 함께 유지된다. 도 2에서, 이러한 유지 장치는 탄성 중합체 밴드(280)이다. 탄성 중합체는 가소성 변형 또는 실패없이, 정상 또는 안정 상태에서 상당히 변형될 수 있지만, 그렇게 변형되는 경우 그것의 안정 상태로 복귀하는 경향을 지닌 물질이다. 도 2의 이동국(200)을 조립할 때, 상기 탄성 중합체 밴드(280)는 탄성적으로 변형되고 두개의 개별 절반들이 함게 유지될 수 있는 장력을 생성한다. 도 2의 실시예에서, 탄성 중합체 밴드(280)는 상기 상부 외장 부분에 형성된 홈(230) 및 상기 하부 외장 부분에 형성된 홈(270)에 수납된다. 상기 홈들은 상기 이동국이 사용될 때 그리고 개폐 동작들동안 상기 탄성 중합체 밴드를 제자리에 유지시키는데 도움을 준다. 도 2의 실시예에서, 상기 홈들은 (불필요한 곳인) 내부-종단을 제외한 그들의 각각의 외장 섹션들의 주변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기 주변 홈은 상기 밴드(280)를 유지할 뿐만 아니라 상기 밴드를 사용자의 손으로부터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하게 떨어져 유지시킨다. 이것은 그것이 우연히 간섭될 위험을 감소시킨다. 하지만, 상기 밴드(280)가 성공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한, 이러한 특정 디자인이 사용되는 아무런 요건도 존재하지 않는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조립된 상태로 도시된 도 2의 이동국(200)에서 이동 전화의 등각 투상도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3a는 완전하게 열린 구성으로 있는 이동국(200)을 도시한 것이고, 도 3b는 중간 또는 부분적으로 열린 구성의 이동국을 도시한 것이며, 도 3c는 닫힌 구성의 이동국을 도시한 것이다. 도 3a 내지 도 3c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이동국(200)은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되고 상술된 바와 같은, 전형적인 폴딩형 이동국(100)과 외관이 유사하다. 하지만, 무힌지 디자인에서, 상부 외장 섹션(210) 및 하부 외장 섹션(250)은 탄성 중합체 밴드(280)에 의해 가해지는 장력에 의해 함께 유지된다.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 중합체 밴드가 상기 각각의 외장 섹션들 각각에 형성된 홈내에 배치되는 경우, 그것은 거슬리지 않게 유지된다.
또한 도 3a에 보이는 것은 상부 외장 섹션(210)과 하부 외장 섹션(250)(의 구성 요소들)간의 전기 접속을 제공하는 가요성 커넥터(301)이다. 가요성 커넥터(301)는 또한 구조적인 이점들을 가질 수 있는데, 그 중 하나는 두 외장 섹션들이 완전하게 열린 위치를 지나쳐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일 수 있다. 물론, 가요성 커넥터(301)가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되는 경우, 그것은 다양한 내부 전기 구성 요소들에 대한 손상을 회피하도록 적합하게 고정되어야 한다. 도 3a의 실시예에서, 가요성 커넥터(301)는 단순히 개구부들(225 및 265) 각각에서 각 하우징에 들어가지만, 또한 대안적으로 대응하는 용기가 제공되는 경우 한 종단 또는 양 종단상에 플러그가 구비될 수 있다. 두 외장 섹션들의 완전한 물리적인 분리가 요망되는 실시예들에서, 물론 하나의 절반 또는 두개의 절반들로부터 상기 가요성 커넥터(301)를 접속해제하는 어떤 편리한 방법이 제공될 필요가 있다.
이동국(200)의 좌측이 도 3a에 보인다. 거기에서, 신장 상태의 탄성 중합체 밴드(280)가 두 외장 절반들을 함께 동작 구성으로 유지하는 것을 볼 수 있다. 그 자체로, 그것은 하부 외장 섹션(250)에 형성된 홈(270)으로부터 상부 외장 섹션(210)의 홈(230)까지 신장되어야 한다. 하지만, 내부 종단들(213 및 254)에 근접한 영역에서, 상기 밴드(280)는 단순히 상기 두 절반들간에 신장되고 어떤 홈에도 포함되어 있지 않다. 상기 밴드(280)가 상기 홈을 떠나는 지점은 도 3a에서 302, 303, 304 및 305로 번호가 매겨진, 복귀 지점이라고 불릴 것이다. 상기 복귀 지점들의 중요성이 이제 설명될 것이다.
도 3b는 부분적으로 열려 있는 구성의 이동국(200)을 도시한 것이다. 인접한 종단들(223 및 263)은 더 이상 접촉하여 있지 않고, 내부 종단들(253 및 213)은 이제 각각 곡선형 회전면들(224 및 264)상에 서로 접촉하여 있다. 가요성 커넥터(301)는 상기 외장 섹션들에 형성된 개구부들 중 하나 또는 양자로 취해지거나, 그것이 닫는 동작과 간섭되지 않도록 어떤 다른 것이 준비된다. 상기 탄성 중합체 밴드(280)의 장력은 그것이 복귀 지점들(302 내지 305)에 대해 스트레칭된 채 유지되기 때문에 상기 두 외장 섹션들을 함께 계속 유지시킨다. 각 복귀 지점은 각 외장 섹션의 내부 종단에 위치할 필요가 없지만, 상기 탄성 중합체 밴드(280)가 그것의 풀린 길이로 복귀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도록 각 복귀 지점이 배치되어야 한다는 것을 주목하라. 몇몇 디자인들에서, 상기 지점으로부터 상기 이동국을 재구성하는 것은 인가된 힘을 필요로하기 때문에 상기 유지 수단이 완전하게 풀리도록 허용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는 것을 주목하라. 상기 유지 장치가 "완전하게 풀리는 것"을 허용하지 않는 것은 상기 이동국이 상기 유지 장치로부터의 저항력과 부닥치지 않고 바람직하지 않게 이동할 수 없는 구성에 있지 않는 한, 어떤 장력(또는 "스트레치")을 유지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대부분의 실시예들에서, 상기 이동국(200)은 도 3b의 부분적으로 열린 구성에서 안정적이 않을 것이라는 것을 주목하라. 오히려, 상기 탄성 중합체 밴드(280)에 의해 발휘되는 장력은 상기 두 외장 섹션들간의 현재의 회전 각도에 따라, 완전하게 열리거나 닫힌 위치로 그것을 이동시키려는 경향이 있을 것이라는 것을 주목하라. 어느 한 방향으로의 이동이 상기 이동국이 "왈칵 열리거나" "왈칵 닫히는지"를 결정하는 각도는 "플립 포인트(flip point)로서 지칭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도 3a에서, 상기 이동국은 닫힌 위치에서 보여진다. (단순화를 위하여, 상기 이동국(200)은 닫히거나, 부분적으로 열리거나, 완전하게 열리는 것으로 간주될 것이다.) 도 3c에서 상기 탄성 중합체 밴드는 닫힌 이동국(200)의 좌측에 보이는, 복귀 지점들(302 및 304)에 대해 스트레칭된 채 유지된다는 것을 주목하라. (복귀 지점들(303 및 305)은 이 도면에서 완전하게 보여지지 않지만, 유사한 방식으로 밴드(280)를 유지한다.) 상기 이동국 외장들의 맨 (내부) 종단들로부터 떨어져 상기 복귀 지점들을 배치하는 것은 부주의한 열림을 방지하는 데 도움을 준다는 것을 주목하라. 이러한 디자인 특징은 "오버 센터(over center)" 디자인으로서 지칭될 수 있고, 플립 포인트가 닫힌 구성에 매우 근접한 각도가 되는 것을 방지한다 - 상기 이동국의 우발적인 열림을 회피한다. 이러한 구성에서 상기 이동국은 안전하게 주머니 또는 지갑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 중합체 밴드(280)는 비교적 거슬리지 않게 홈들(230 및 270)에 유지된다.
도 4a 내지 도 4c는 무힌지 이동국의 동작을 더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한 이동국(400)의 단순화된 스케치들이다. 이동국(400)은 섹션(410) 및 섹션(450)을 포함하고 탄성 중합체 밴드(480)에 의해 함께 유지되어 있다. 복귀 지점들(402 및 404)은 본 실시예에서 각각 섹션들(410 및 450)의 연장부들이다. 또한 바람직하기로는 복귀 지점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의 이동국(400)의 도시되지 않은 다른 측상에 존재한다. 도 4a에서, 이동국(400)은 완전하게 열린 구성으로 있고, 도 4b에서 이동국은 부분적으로 열려 있으며, 도 4c에서 이동국은 닫혀 있다.
상기 이동국 절반들의 외부 종단들(418 및 458)에 상기 탄성 중합체 밴드를유지하기 위한 아무런 수단도 제공되지 않는다는 것을 주목하라. 이것은 바람직한 실시예가 아니지만 아무런 유지 수단도 필요하지 않다는 것을 예시한 것이다. (도 2 내지 도 3c에 도시된) 이동국(200)의 홈들은 복귀 지점들 뿐만 아니라 밴드(280)를 제자리에 유지시키기 위한 외부-종단 유지 수단을 형성한다. 대안적인 실시예들에서, 상기 외부-종단 유지 수단은 또한 캡(cap), 클립 또는 클램프의 형태일 수 있으며 또는 상기 탄성 중합체 밴드(480)가 상기 이동국의 종단을 벗어나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유사한 장치(미도시)일 수 있다. 각 이동국 절반의 (단지) 모서리들에 형성된 홈은 이동국(200)의 주변 홈과 유사한 효과를 제공할 것이다. 홈 대신에(또는 그것에 부가하여) 동일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동국 절반들(410 및 450)에 연장부 또는 일련의 연장부들이 형성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순화된 스케치들이다. 이동국(500)은 탄성 중합체 밴드(580)에 의해 함께 유지되는 두개의 절반들(510 및 550)을 포함한다. 탄성 중합체 밴드(480)보다 훨씬 더 짧은 탄성 중합체 밴드(580)가 닫힌 위치에서 (도 5c) 상기 이동국의 양 섹션들 주위에 단순히 배치되고, 상기 이동국이 열릴 때 상기 밴드가 복귀 지점들(502 및 504)(그리고 다른 쪽의 대응하는 복귀 지점들(미도시)에 대해 스트레칭되면서 상기 탄성 중합체 밴드(580)는 계속 상기 두개의 절반들을 함께 계속 유지시킨다. 완전하게 열린 위치에서(도 5a) 상기 탄성 중합체 밴드(580)에 의해 생성된 장력은 상기 전화의 두개의 절반들을 함께 계속 유지시킨다. 그리고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 중합체 밴드를 더 확실하게 제자리에 유지시키기 위하여 어떤 수의 홈들 또는 연장부들이 제공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이동국(600)의 도면들이다. 이동국(600)에 대한 참조를 위해 도시된 구성 요소들은 제1 외장 섹션(610)의 LCD(615) 및 제2 외장 섹션(650)상의 키패드(660)이다. 상기 실시예에서, 이동국(600)의 외부 종단에 확장부 또는 홈을 형성하기 보다는, 그대신 유지 장치(680)는 동작 전반에 걸쳐 상기 이동국(600)상에서 유지되도록 하는 네트(net)를 포함하도록 변경된다. 네트 대신에, 고체 후드가 사용될 수 있는데, 네트와 고체 후드간의 차이는 본 발명에 중요하지 않은 것으로 간주된다. 어느 한 경우에, 상기 유지 장치(680)를 제자리에 유지시키는데 도움을 주기 위하여 이동국 외장 섹션의 외부 종단을 수납하고 포착하는 공동(hollow)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네트(또는 후드)는 상기 유지 장치(680)의 어떤 부분이 탄성량을 지녀야 할지라도, 그 자체로 탄성적일 수 있거나 아닐 수 있다. 복귀 지점들(602-604)은 외장 섹션들 각각의 측면에 형성된 구조적인 연장부들에 의해 제공된다.
이 경우 상기 유지 수단은 전적으로 탄성 중합체 물질로 형성될 필요가 없다는 것을 주목하라. 예를 들어 상기 네트 또는 후드 부분은 연결 부재의 탄성 특성이 요구되는 장력을 공급하기에 충분하는 한, 탄성 중합체일 필요는 없다. 마지막으로, 상기 탄성 중합체 유지 수단은 대칭적일 필요가 없다는 것을 주목하라.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국의 상부 외장 섹션 및 하부 외장 섹션은 완전하게 분리가능할 수 있고, 사용자는 단순히 상기 탄성 중합체 유지 수단을 제거함으로써 그리고 필요한 경우 전도체를 접속해제함으로써 보통의 동작시 상기 섹션들을 떨어뜨려 놓을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부 섹션 및 하부 섹션은 서로 호환가능한 구성 요소들로 교체될 수 있다. 이러한 옵션은 예를 들어 통상적으로 많은 이러한 장치들에서 발견되는 전형적인 이동 전화 키패드를 대체하여, 게임 키패드의 교체를 허용할 것이다. 부가적으로, 교체된 유지 부분은 또한 단순히 추가 배터리 전력, 추가 메모리 용량, 추가 계산 능력 등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이동국의 상부는 이동 전화 키패드 또는 텔레비전 제어 키패드와 함께 사용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구비한다. 텔레비전 제어 키패드를 구비한 하부 섹션은 텔레비전을 동작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상부 외장 섹션에 이미 포함된 어떤 필요한 구성 요소들을 명백하게 포함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상기 바람직한 설명들은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바람직한 예들에 관한 것이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설명에 의해 제한되지 않아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다음 청구항들에 의해 정의된다.

Claims (20)

  1. 제1 세트의 이동국 구성 요소들을 둘러싸고 제1 접촉면을 지닌 제1 외장;
    제2 세트의 이동국 구성 요소들을 둘러싸고 제2 접촉면을 지닌 제2 외장; 및
    상기 제1 세트의 이동국 구성 요소들과 상기 제2 세트의 이동국 구성 요소들간에 전기 접속을 제공하는 전도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세트의 구성 요소들 및 상기 제2 세트의 구성 요소들은 동작하는 이동국을 형성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며 동작시 상기 제1 외장 및 상기 제2 외장은 유지 장치에 의해 동작 구성으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국.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장치는 탄성 중합체 유지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국.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중합체 유지 장치는 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국.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중합체 유지 장치는 네트(net)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국.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중합체 유지 장치는 후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국.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중합체 유지 장치는 비-탄성 중합체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국.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비-탄성 중합체 부분들은 탄성 중합체 부분들에 의해 상호연결된 복수의 비-탄성 중합체 부분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국.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촉면은 상기 제2 접촉면과 접촉이 일어나는 경우, 서로에 대해 두면들의 슬라이딩이 고정되도록 고-마찰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국.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촉면과 상기 제2 접촉면 각각은 상기 이동국이 동작 구성에 있는 경우 서로 협력하는 복수의 가로 방향 연장 외부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국.
  10. 이동국용 외장에 있어서,
    제1 외장 섹션;
    제2 외장 섹션; 및
    상기 제1 외장 섹션 및 상기 제2 외장 섹션을 서로에 인접하게 조정가능한 관계로 유지시키기 위한 탄성 중합체 부분을 지니는 유지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국용 외장.
  11. 제10항에 있어서, 대체 외장 섹션이 기능하는 이동국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제1 외장 섹션과 상기 유지 장치와 조립될 수 있도록 상기 제2 외장 섹션은 상기 제1 외장 섹션 및 상기 유지 장치로부터 완전하게 분리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국용 외장.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의 내부 구성 요소들은 상기 제1 외장 섹션과 상기 제2 외장 섹션에 의해 동작가능하게 둘러싸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국용 외장.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외장 섹션에 의해 둘러싸여져 있는 내부 구성 요소들을 상기 제2 외장 섹션에 의해 둘러싸여져 있는 내부 구성 요소들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전도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국용 외장.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체는 복수의 개별 전도체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국용 외장.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체는 가요성(flexible)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국용 외장.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체는 상기 제1 외장 섹션을 상기 제2 외장에 대해 바람직하기 않은 관계로 조정하는 것을 구조적으로 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국용 외장.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장치는 탄성 중합체 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국용 외장.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장치는 상기 이동국의 일부를 포착하여 상기 유지 장치를 상기 이동국에 고정시키는데 도움이 되는 유지 구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국용 외장.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구조는 후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국용 외장.
  20.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외장 섹션은 기어면(geared surface)을 형성하는 내부 종단을 지니고, 상기 제2 외장 섹션은 상기 이동국이 닫힌 구성과 열린 구성간에 조정되는 경우 상기 제1 외장 섹션의 상기 기어면과 협력하는 기어면을 형성하는 내부 종단을 지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국용 외장.
KR1020057003059A 2002-08-30 2003-08-28 무힌지 이동국 KR1007161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232,281 US7016712B2 (en) 2002-08-30 2002-08-30 Hingeless mobile station
US10/232,281 2002-08-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2611A true KR20050032611A (ko) 2005-04-07
KR100716109B1 KR100716109B1 (ko) 2007-05-08

Family

ID=31976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3059A KR100716109B1 (ko) 2002-08-30 2003-08-28 무힌지 이동국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7016712B2 (ko)
EP (1) EP1535401A4 (ko)
JP (2) JP2005537719A (ko)
KR (1) KR100716109B1 (ko)
CN (1) CN100433566C (ko)
AU (1) AU2003260122A1 (ko)
BR (1) BR0313849A (ko)
CA (1) CA2494163A1 (ko)
WO (1) WO2004021682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46900A2 (en) * 2002-11-21 2004-06-03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Flexible conductors connected between two parts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RU2395924C2 (ru) * 2003-07-10 2010-07-27 Нокиа Корпорейшн Мобильная станция
US7596395B2 (en) * 2004-10-21 2009-09-29 Nokia Corporation Depressible hinge and mobile stations using same
US20060089182A1 (en) * 2004-10-21 2006-04-27 Nokia Corporation Elastomeric tensioner and mobile stations using same
EP1659764A1 (de) * 2004-11-19 2006-05-24 Siemens Aktiengesellschaft Zusammenklappbares schwenkgelenkloses Gerät der Informations- oder Kommunikationstechnik
US7561686B2 (en) * 2004-12-30 2009-07-14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Mobile terminal
JP2006222735A (ja) * 2005-02-10 2006-08-24 Sharp Corp 通信機器
US7594299B2 (en) * 2005-08-04 2009-09-29 Nokia Corporation Stabilizing mechanism for hinged devices
KR100713483B1 (ko) * 2005-08-05 2007-04-30 삼성전자주식회사 연성 재질을 이용한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
FI20055468L (fi) * 2005-09-02 2007-03-03 Elcoteq Se Menetelmä taittuvan matkaviestimen kasaamiseksi ja matkaviestin
US7639795B2 (en) * 2006-12-19 2009-12-29 Kyocera Corporation Hinge device and method for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20090151118A1 (en) * 2007-12-18 2009-06-18 Tapio Karkkola Hinge for a foldable device
US8753128B2 (en) 2011-03-31 2014-06-17 Motorola Mobility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coupling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s
DE102020123625B4 (de) 2020-09-10 2022-05-05 di support GmbH Fotosystem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17849A (ja) * 1990-09-07 1992-04-17 Fujitsu Ltd カード式電話機
US5363089A (en) * 1992-09-24 1994-11-08 Motorola, Inc. Electronic device having multi-position hinged mechanism
US5613237A (en) * 1994-10-17 1997-03-18 Motorola, Inc. Housing latch system utilizing an elastomeric interlocking band
JPH10190796A (ja) 1996-12-25 1998-07-21 Bireda Hanbai Kk 移動電話器の収納ケース
US5983073A (en) 1997-04-04 1999-11-09 Ditzik; Richard J. Modular notebook and PDA computer systems for personal computing and wireless communications
JP3642261B2 (ja) * 2000-05-16 2005-04-27 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端末
US6968056B2 (en) * 2001-12-21 2005-11-22 Nokia Corporation Mobile phone with elastic hin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433566C (zh) 2008-11-12
KR100716109B1 (ko) 2007-05-08
EP1535401A4 (en) 2008-01-23
AU2003260122A8 (en) 2004-03-19
BR0313849A (pt) 2005-07-05
WO2004021682A2 (en) 2004-03-11
EP1535401A2 (en) 2005-06-01
CN1679247A (zh) 2005-10-05
WO2004021682A3 (en) 2004-08-05
AU2003260122A1 (en) 2004-03-19
CA2494163A1 (en) 2004-03-11
US20040203507A1 (en) 2004-10-14
US7016712B2 (en) 2006-03-21
JP2007306615A (ja) 2007-11-22
JP2005537719A (ja) 2005-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1641B1 (ko) 이중 운동을 위한 힌지를 지니는 접이식 이동 단말기
KR100678162B1 (ko) 슬라이딩 겸용 폴딩형 휴대 통신 장치
KR100716109B1 (ko) 무힌지 이동국
KR100678189B1 (ko) 삼각 거치가 가능한 와이드 타입 휴대 통신 장치
EP2640042A1 (en) Waterproof case for portable terminal
KR100724887B1 (ko) 손목 착용 타입 휴대 단말기
US7516933B2 (en) Portable folding type cradle
KR100842530B1 (ko) 휴대용 전자 장치
KR20050038980A (ko) 휴대용 통신 장치
KR20070084415A (ko) 눌림 힌지 및 이를 사용하는 모바일 기기
WO2006043146A1 (en) Elastomeric tensioner and mobile stations using same
KR20050036170A (ko) 휴대용 단말기의 충전 장치 겸용 거치대
JP2004235687A (ja) 携帯型無線端末機
KR100678135B1 (ko) 휴대 단말기
KR20050029597A (ko) 단차 보상 메카니즘을 구비한 스윙 타입 휴대용 디지털통신 장치
KR20050050334A (ko) 스틱 기능을 구비한 게임 겸용 휴대 통신 장치
EP1432215B1 (en) Cover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050100479A (ko) 터치 키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KR20040074294A (ko) 향수병 타입 휴대용 단말기
KR20050075561A (ko)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
KR100703509B1 (ko) 게임 겸용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
KR100487223B1 (ko) 지향 방향을 가변할 수 있는 마이크 장치를 구비한 휴대용단말기
KR100703449B1 (ko) 멀티미디어용 슬라이딩 겸용 폴딩 타입 휴대 단말기
KR100532272B1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
KR200338323Y1 (ko) 휴대용 전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4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