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31332A -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잔량 표시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잔량 표시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31332A
KR20050031332A KR1020030067594A KR20030067594A KR20050031332A KR 20050031332 A KR20050031332 A KR 20050031332A KR 1020030067594 A KR1020030067594 A KR 1020030067594A KR 20030067594 A KR20030067594 A KR 20030067594A KR 20050031332 A KR20050031332 A KR 200500313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time
voltage
call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75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동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675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31332A/ko
Publication of KR200500313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1332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02J7/0048Detection of remaining charge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2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4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6Mem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8Display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20/00Electricity: battery or capacitor charging or discharging
    • Y10S320/18Indicator or display
    • Y10S320/21State of charge of batte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배터리를 사용하는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잔여시간 표시장치가, 통화 대기 및 페이징 상태에서 시간당 배터리의 소모전류를 측정하여 배터리의 잔량전압에 따른 통화대기시간 테이블 및 통화 상태에서 시간당 배터리의 소모전류를 측정하여 배터리의 잔량전압에 따른 통화시간 테이블을 저장하는 메모리와, 배터리의 잔량 전압을 측정하는 전압측정부와, 설정시간 주기로 전압측정부에서 출력되는 배터리전압을 입력하고, 입력되는 배터리전압을 일정 횟수 누적한 후 평균하며, 평균화된 배터리전압을 변환하여 테이블들의 인덱스로 변환하여 저장하며, 배터리 정보 표시 요구시 인덱스에 대응되는 테이블들의 통화대기시간 및 통화시간 정보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통화대기 및 통화시간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잔량 표시장치 및 방법{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표시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배터리의 잔량을 측정하여 표시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터리를 동작 전원으로 사용하는 휴대용 단말장치들은 배터리의 소모를 줄이기 위한 많은 노력들을 하고 있다. 그리고 장치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배터리의 잔량을 측정하여 표시한다. 이는 휴대 단말장치의 사용자가 배터리의 잔량을 확인하여 교환 또는 충전할 수 있도록 안내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은 휴대 단말장치들 중의 대표적인 장치는 휴대 전화기이다. 현재 상기 휴대전화기의 배터리 잔량 표시 방법은 막대 그래프를 이용하여 표시하고 있다. 즉, 현재의 휴대전화기는 배터리의 잔량을 3개(또는 그 이상)의 막대 그래프로 표시하며, 배터리의 잔량에 따라 상기 막대 그래프를 하나씩 지워가면서 배터리의 잔량을 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배터리 잔량 표시 방법은 배터리의 개략적인 잔량만을 표시할 수 있어 배터리의 잔량 시간을 정확하게 표시할 수 없었다.
또한 휴대전화기 등과 같은 휴대 단말장치는 대기 및 동작에 따라 배터리의y 소모 전력이 다르다. 따라서 배터리의 잔량 표시시 동작시간 및 대기시간에 따라 각각 독립적인 배터리의 잔량시간을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배터리를 사용하는 휴대 단말장치에서 배터리의 잔량 시간을 표시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배터리를 사용하는 휴대 단말장치에서 배터리가 동작할 수 있는 시간 및 대기 상태에서의 시간을 각각 독립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배터리를 사용하는 휴대 단말장치에서 배터리의 잔량을 측정하며, 사용자의 요구시 측정된 배터리 잔량을 분석하여 통화시간 및 대기시간으로 표시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배터리를 사용하는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잔여시간 표시장치가, 통화 대기 및 페이징 상태에서 시간당 배터리의 소모전류를 측정하여 배터리의 잔량전압에 따른 통화대기시간 테이블 및 통화 상태에서 시간당 배터리의 소모전류를 측정하여 배터리의 잔량전압에 따른 통화시간 테이블을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배터리의 잔량 전압을 측정하는 전압측정부와, 설정시간 주기로 상기 전압측정부에서 출력되는 상기 배터리전압을 입력하고, 상기 입력되는 배터리전압을 일정 횟수 누적한 후 평균하며, 상기 평균화된 배터리전압을 변환하여 상기 테이블들의 인덱스로 변환하여 저장하며, 배터리 정보 표시 요구시 상기 인덱스에 대응되는 상기 테이블들의 통화대기시간 및 통화시간 정보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통화대기 및 통화시간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통화 대기 및 페이징 상태에서 시간당 배터리의 소모전류를 측정하여 배터리의 잔량전압에 따른 통화대기시간 테이블 및 통화 상태에서 시간당 배터리의 소모전류를 측정하여 배터리의 잔량전압에 따른 통화시간 테이블들을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의 배터리정보를 표시하는 방법이, 설정시간 주기로 상기 배터리 잔량전압을 측정하며, 상기 측정된 배터리전압을 일정 횟수 누적한 후 평균하며, 상기 평균화된 배터리전압을 변환하여 상기 테이블들의 인덱스로 변환하여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배터리 정보 표시 요구시 상기 저장하고 있는 인덱스에 대응되는 상기 통화대기시간 테이블 및 통화시간 테이블들의 통화대기시간 및 통화시간 정보를 표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을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으로써, 카메라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RF부123은 휴대용 전화기의 무선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무선통신부123은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변환하는 RF수신기등을 포함한다. 데이터처리부120은 상기 송신되는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는 송신기 및 상기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하는 수신기 등을 구비한다. 즉, 상기 데이터 처리부120은 모뎀(MODEM) 및 코덱(CODDEC)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125는 상기 데이터 처리부120의 오디오 코덱에서 출력되는 수신 오디오신호를 재생하거나 또는 마이크로부터 발생되는 송신 오디오신호를 상기 데이터 처리부120의 오디오 코덱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키입력부121은 숫자 및 문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들 및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키들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키입력부12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배터리의 잔량을 표시하기 위한 명령어를 발생할 수 있는 키를 구비할 수 있다. 메모리130은 프로그램 메모리, 데이터 메모리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는 휴대용 전화기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들 및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배터리의 잔량을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배터리의 잔량을 표시할 수 있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메모리는 비휘발을 요구하는 데이터들(예를들면 비트맵, 폰트, 폰북 등)을 저장하는 NVM(non-volatile memory)와 상기 프로그램들을 수행하는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들을 일시 저장하는 램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메모리의 NVM 영역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배터리의 잔량을 표시하기 위한 대기시 배터리잔량 테이블과 통신시 배터리잔량 테이블들을 구비할 수 있다.
제어부110은 휴대용 전화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0은 상기 데이터처리부120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배터리의 잔량을 측정하며, 사용자의 요구시 상기 측정된 배터리의 잔량 시간을 표시하는 절차를 수행한다.
표시부140은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하에 상기 휴대단말기의 동작에 따른 정보들을 표시하며,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배터리의 잔량시간을 표시한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배터리의 소모 전류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동작에 따라 다르다. 따라서 상기 휴대단말기의 동작에 따른 각각의 상태별 소모전류를 측정하고, 상기 소모전류에 따라 배터리의 유지시간을 계산할 수 있어야 한다. 상기 휴대단말기는 대기상태의 동작은 초기 전원온(power up registration), 휴지상태(idle state), 표시부(LCD: Liquid Crystal Display)의 백라이트를 온(LCD back light on), 그리고 통신상태로 천이하기 위한 페이징(paging) 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통신 상태의 동작은 발신(origination) 및 통신(traffic) 동작이 있을 수 있으며, 상기 발신의 동작은 버튼을 입력하는 동작(button input) 및 신호를 전송하는 동작(send)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통신시의 동작은 무음(통신모드에서 발신을 하지 않고 수신만 하는 상태) 및 유음(통신모드에서 발신을 하는 경우) 상태가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전원을 오프(power off)시의 경우가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각 동작 상태에 따라 휴대단말기의 소모 전류가 다르게 되며, 상기와 같은 각각의 상태에서 발생되는 소모 전류를 측정하면 하기 <표 1>과 같다.
측정 항목 소모전류
power-up registration 200mA - 350mA
idle 3.7mA - 6.0mA
wake up(for LCD back light on) 122mA - 130mA
paging 100mA - 130mA
origination button input 250mA
send 300mA - 310mA
traffic 무음 190mA - 210mA
유음 250mA - 320mA
power off(voltage level) low power message 3.4V
power off 3.0V
상기 <표 1>과 같은 상태에 따라 소모 전류에 따라 상기 휴대단말기의 배터리의 동작 시간을 예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무통화시의 소모전류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잔량시간을 예측한다.
먼저 무 통화 대기시간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상태는 대기상태(idle state)와 페이징 상태(paging state)가 된다. 따라서 상기 대기상태 및 페이징 상태를 제외한 나머지 상태의 소모 전류는 무시하고 상기 두 상태의 소모전류 값만 예측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먼저 상기 대기상태의 소모전류는 3.7mA - 6.0mA의 상하 중간 값인 4.85mA로 계산하고, 상기 페이징 상태의 소모전류도 100mA - 130mA의 상하 중간 값인 115mA로 계산한다.
이때 상기 페이징 상태는 대기상태에서 항상 발생되는 것이 아니라 일정시간 주기로 발생된다. 측정에 의하면 상기 대기 상태에서 페이징 상태는 1초(1000ms) 구간에서 약 240ms 발생되는 것으로 측정된다. 따라서 상기 페이징 상태의 소비전류는 1초당 240ms 동안 상하 중간치인 115mA를 소모한다고 가정하면, 소비전류는 27.64mA(1s/240ms = 4.16, 115mA/4.16 = 27.64mA)가 된다. 그리고 상기 대기상태와 페이징 상태의 두 소모 전류를 합하여 900mAh에 대한 시간을 계산하면 32.49h( 900mAh/(4.84mA+27.64mA) = 32.49h)가 된다. 따라서 900mAh에 대한 배터리의 대기시간은 32.49시간이 될 수 있으며, 이를 시간과 분으로 환산하면 약 32시간 29분이 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대기상태의 소모전류를 측정하여 배터리의 대기시간을 측정하면 하기 <표 2>와 같은 무 통화시의 배터리 잔량시간 테이블을 계산할 수 있으며, 상기 <표 2>와 같은 무통화 상태에서 배터리의 전압 감소는 도 2와 같은 특성을 가진다.
두 번째로 통화시의 배터리 소모전류에 대한 통화시간을 계산 방법을 살펴본다. 상기 통화시간에 영향을 가장 많이 미치는 상태는 트래픽 상태(traffic state)이다. 그리고 상기 트래픽 상태는 사용자가 말을 하고 있는 유음 상태와 사용자가 상대방의 말을 청취하고 있는 무음 상태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통화 상태에서는 말을 하고 있는 유음 상태에서의 소모 전류가 더 크다. 또한 문자 통신 등을 수행하면서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에도 상기 유음 상태에서의 소모 전류와 비슷하게 발생된다. 따라서 상기 통화 상태에서 배터리의 잔량시간을 예측하는 것은 상기와 같은 트래픽 상태의 설정을 어떻게 하는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통화 상태의 배터리 잔량시간을 측정하기 위한 소모전류는 트래픽 상태의 유음 상태의 소모전류인 250mA - 320mA의 상하 중간값인 285mA를 사용한다고 가정한다. 따라서 상기 통화 상태의 소모전류를 285mA로 하는 경우, 통화상태에서의 배터리 잔량시간을 계산하는 절차를 살펴본다. 이때 상기 대기상태에서와 같이 900mAh에 대하여 계산하면, 3.16h(900mAh /285mA = 3.16h)가 된다. 그리고 이를 시간과 분으로 환산하면 3시간 9분이 나온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통화상태의 소모전류를 측정하여 배터리의 통화시간을 측정하면 하기 <표 3>과 같은 통화시의 배터리 잔량시간 테이블을 계산할 수 있으며, 하기 <표 3>와 같은 통화 상태에서 배터리의 전압 감소는 도 3과 같은 특성을 가진다.
상기 <표 2> 및 <표 3>과 같은 전압 테이블의 시간 및 소모전류에 따른 시간은 실제 사용하는 과정에서 시간 오차가 발생될 수 있다. 이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RF상태나 휴대전환기의 배터리의 수명에 따라 나타나는 오차가 발생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상기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잔량시간을 표시하기 위하여 상기 제어부100은 수시로 상기 전압측정부153에서 측정되는 배터리151의 전압을 확인하게 되며, 따라서 상기 배터리 전압의 오차가 발생되더라도 다음 단계에서 측정되는 배터리151의 전압이 갱신되므로, 상기 오차에 따른 배터리의 잔량시간은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상기 <표 2> 및 <표 3>과 같은 전압 테이블은 상기 메모리130에 저장되며, 상기 전압측정부153은 설정된 시간마다 배터리151의 전압을 측정하며, 상기 특정된 전압을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제어부110에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10은 상기 전압측정부153에서 측정되는 상기 배터리151의 전압 값을 상기 <표 2> 및 <표 3>과 같은 전압테이블들과 비교하여 대기시간 및 통화시간을 확인할 수 있게된다. 여기서 상기 배터리151이 스마트 배터리인 경우에는 상기 배터리151이 스스로 자체의 배터리 잔량 전압을 측정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배터리의 잔량 전압을 측정하며, 측정된 배터리15의 전압에 따라 휴대단말기의 대기시간 및 통화시간을 계산하여 표시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상기 제어부110은 일정시간 간격으로 상기 배터리151의 잔량 전압을 측정한다. 먼저 상기 제어부110은 451단계에서 배터리 측정을 위해 설정된 시간 주기가 되면 이를 감지하고, 453단계에서 상기 전압측정부153에서 출력되는 상기 배터리151의 잔량 전압을 입력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110은 455단계에서 상기 배터리151의 잔량 누적 평균치를 계산하여 상기 <표 2> 및 <표 3>과 같인 배터리 잔량 테이블의 인덱스로 변환한 후, 상기 변환된 코드를 저장한다. 이때 상기 배터리151에서 현재 측정된 전압을 상기 배터리 잔여시간 테이블의 인덱스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신뢰성에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즉, 현재 측정된 배터리151의 잔량 전압이 이전에 측정된 잔량 전압보다 더 높게 측정되거나 현저하게 낮게 측정되고, 이를 기준으로 배터리의 잔여시간을 표시하게 되면, 실제 배터리151의 잔량 전압과 다른 배터리 잔여시간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현재 측정된 배터리의 잔량 전압을 이전에 측정된 소정 횟수의 배터리 측정 전압들에 누적시킨 후, 이 누적된 배터리의 잔량 전압의 평균값을 취하여 배터리151의 측정 전압으로 사용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10은 일정 시간 주기로 상기 배터리151의 잔량 전압을 측정하며, 상기 측정된 잔량 전압을 이전에 측정된 전압들에 누적하여 평균값을 취하고, 상기 평균화된 누적전압을 상기 배터리 잔여시간 테이블의 인덱스 값으로 변환하여 내부에 저장한다.
상기와 같이 배터리의 잔량 측정 전압을 측정하여 저장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휴대단말기의 대기시간 및 통화시간의 표시 기능을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411단계에서 이를 감지한다. 상기 대기시간 및 통화시간의 표시 기능이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10은 415단계에서 상기 451단계-455단계에서 구한 배터리 잔량 누적 평균치에 따라 구해진 정보를 확인하며, 417단계에서 상기 배터리151의 잔량 전압 정보를 상기 <표 2> 및 <표 3>의 인덱스로 사용하여 상기 잔여시간 테이블에서 대기시간 및 통화시간을 억세스한다. 즉, 상기 제어부110은 415단계 및 417단계에서 상기 배터리151의 잔량 전압에 대응되는 테이블의 대기시간 및 통화시간 정보를 억세스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110은 419단계에서 상기 417단계에서 구한 대기시간 및 통화시간 정보를 상기 표시부140에 출력하여 휴대단말기의 통화 대기시간 및 통화시간을 표시한다.
도 5는 상기 배터리151의 잔량 전압에 따라 휴대단말기의 통화 대기시간 및 통화시간을 표시하는 표시부140의 표시 정보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사용자는 휴대단말기의 전체 메뉴를 선택한다. 이후 두 번째로 상기 전체 메뉴에서 배터리 정보(battery info)를 선택한다. 상기 배터리 정보를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경고화면을 표시하고, 확인키가 입력을 대기한다. 이때 상기 경고화면의 정보는 "다음의 결과는 배터리의 수명에 의해 실제의 값과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라는 경고 문구와 함께 확인키의 입력을 대기한다. 이때 상기 확인키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110은 상기 도 4와 같은 절차를 수행하면서 상기 배터리151의 잔량 전압에 따른 시간 정보를 상기 표시부140에 표시한다. 이때 표시부140에 표시되는 상기 배터리 잔량시간 정보는 "대기시간 : 00시 00분, 통화시간 : 00시 00분"으로 표시하며, 상기 배터리 잔량시간 정보는 소정 시간 표시된 후 표시가 종료되며, 이전 상태의 표시 모드로 천이된다. 따라서 상기 배터리의 잔량 시간을 표시하는 동작은 사용자의 요구에 의해 수행되며, 표시되는 시간 정보는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표시된 후 이전 모드의 상태로 천이된다. 이때 상기 배터리의 잔여시간 정보는 1분 정도로 표시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배터리를 사용하는 휴대단말기에서 상기 배터리의 잔량 전압에 따른 시간 정보를 표시할 수 있으며, 상기 시간 정보는 통화 대기시간 및 통화시간으로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어 사용자가 배터리의 교환 또는 충전을 미리 예측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배터리의 잔량전압을 측정할 때 휴대단말기의 상태에 따라 대기 상태에서 가장 빈번하게 발생되는 페이징 및 대기 상태에서의 소모전류를 측정하고, 통화상태에서 소모전류를 각각 측정하여 통화 대기 및 통화상태에서의 배터리 잔여테이블을 구비하고, 상기 배터리의 잔량 표시시 측정된 배터리 전압을 누적 및 평균한 측정 전압을 상기 배터리 잔여테이블에 적용하여 잔여시간을 구한다. 따라서 상기 배터리 잔여시간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배터리 잔량을 표시하는 휴대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휴대단말기의 대기상태에서 배터리 전압 소모 특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휴대단말기의 통신상태에서 배터리 전압 소모 특성을 도시하는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휴대단말기에서 배터리 잔량을 표시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배터리의 잔량을 표시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Claims (6)

  1. 배터리를 사용하는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잔여시간 표시장치에 있어서,
    통화 대기 및 페이징 상태에서 시간당 배터리의 소모전류를 측정하여 배터리의 잔량전압에 따른 통화대기시간 테이블 및 통화 상태에서 시간당 배터리의 소모전류를 측정하여 배터리의 잔량전압에 따른 통화시간 테이블을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배터리의 잔량 전압을 측정하는 전압측정부와,
    설정시간 주기로 상기 전압측정부에서 출력되는 상기 배터리전압을 입력하고, 상기 입력되는 배터리전압을 일정 횟수 누적한 후 평균하며, 상기 평균화된 배터리전압을 변환하여 상기 테이블들의 인덱스로 변환하여 저장하며, 배터리 정보 표시 요구시 상기 인덱스에 대응되는 상기 테이블들의 통화대기시간 및 통화시간 정보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통화대기 및 통화시간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의 통화대기시간 테이블이, 대기상태에서 소모되는 최대 전류 및 최소 전류의 중간 전류값과, 초당 발생될 수 있는 페이징 시간을 결정한 후 상기 페이징 상태에서 소모되는 최대 전류 및 최소 전류의 중간 전류값을 이용하여 통화대기시의 시간당 소모전류가 결정되며, 상기 결정된 통화 대기상태의 소모전류에 따라 상기 배터리의 잔량 전압의 통화대기시간 정보를 계산하여 저장하고 있는 테이블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의 통화시간 테이블이, 통화상태에서 상기 휴대단말기가 신호를 송신하고 있는 상태에서 소모되는 전류의 최대전류 및 최소전류의 중간값으로 통화상태의 시간당 소모전류가 결정되며, 상기 결정된 통화상태의 소모전류에 따라 상기 배터리의 잔량 전압의 통화시간 정보를 계산하여 저장하고 있는 테이블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4. 통화 대기 및 페이징 상태에서 시간당 배터리의 소모전류를 측정하여 배터리의 잔량전압에 따른 통화대기시간 테이블 및 통화 상태에서 시간당 배터리의 소모전류를 측정하여 배터리의 잔량전압에 따른 통화시간 테이블들을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의 배터리정보를 표시하는 방법에 있어서,
    설정시간 주기로 상기 배터리 잔량전압을 측정하며, 상기 측정된 배터리전압을 일정 횟수 누적한 후 평균하며, 상기 평균화된 배터리전압을 변환하여 상기 테이블들의 인덱스로 변환하여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배터리 정보 표시 요구시 상기 저장하고 있는 인덱스에 대응되는 상기 통화대기시간 테이블 및 통화시간 테이블들의 통화대기시간 및 통화시간 정보를 표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상기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의 통화대기시간 테이블이, 대기상태에서 소모되는 최대 전류 및 최소 전류의 중간 전류값과, 초당 발생될 수 있는 페이징 시간을 결정한 후 상기 페이징 상태에서 소모되는 최대 전류 및 최소 전류의 중간 전류값을 이용하여 통화대기시의 시간당 소모전류가 결정되며, 상기 결정된 통화 대기상태의 소모전류에 따라 상기 배터리의 잔량 전압의 통화대기시간 정보를 계산하여 저장하고 있는 테이블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의 통화시간 테이블이, 통화상태에서 상기 휴대단말기가 신호를 송신하고 있는 상태에서 소모되는 전류의 최대전류 및 최소전류의 중간값으로 통화상태의 시간당 소모전류가 결정되며, 상기 결정된 통화상태의 소모전류에 따라 상기 배터리의 잔량 전압의 통화시간 정보를 계산하여 저장하고 있는 테이블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KR1020030067594A 2003-09-29 2003-09-29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잔량 표시장치 및 방법 KR200500313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7594A KR20050031332A (ko) 2003-09-29 2003-09-29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잔량 표시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7594A KR20050031332A (ko) 2003-09-29 2003-09-29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잔량 표시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1332A true KR20050031332A (ko) 2005-04-06

Family

ID=37236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7594A KR20050031332A (ko) 2003-09-29 2003-09-29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잔량 표시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3133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4958B1 (ko) * 2006-12-29 2008-06-03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소모전류 표시방법
KR101210995B1 (ko) * 2005-01-06 2012-12-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배터리 소모전류 표시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그 동작방법
WO2018225990A1 (ko) * 2017-06-08 2018-12-13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 모드와 관련된 시간 구간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0995B1 (ko) * 2005-01-06 2012-12-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배터리 소모전류 표시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그 동작방법
KR100834958B1 (ko) * 2006-12-29 2008-06-03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소모전류 표시방법
WO2018225990A1 (ko) * 2017-06-08 2018-12-13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 모드와 관련된 시간 구간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11412453B2 (en) 2017-06-08 2022-08-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ime period related to operating mod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80315B2 (en) Mobile terminal and functional operation control method of the same
JP3524827B2 (ja) 電話機用電池残量表示装置
JP3078286B1 (ja) バッテリ残量表示回路とこの回路を備えた移動通信端末装置
JP4024444B2 (ja) 無線電話装置
JP2010035416A (ja) 電子デバイス内に2以上のバッテリを収容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CN110933706A (zh) 一种网络通信设置方法、装置、存储介质及终端
KR100662266B1 (ko) 이동 단말기의 배터리 사용 가능 시간 표시 방법
JP2000253142A (ja) 通信端末装置および消費電力削減方法
KR100834958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소모전류 표시방법
KR20050031332A (ko)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잔량 표시장치 및 방법
KR101082569B1 (ko) 저전압 모드 전환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동작방법
KR20050023822A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저전력모드 수행 방법
KR100442942B1 (ko) 화상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모드에서 전원 제어를 통한배터리 소모량 절약방법
JP5029339B2 (ja) 移動通信端末装置
KR100640481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전원차단 레벨을 측정하는 시스템 및방법
EP2012512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using alarm function in portable terminal
JP5386818B2 (ja) 移動通信端末装置
KR20000065595A (ko)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잔량 및 사용 예상 시간 표시 방법
KR100554796B1 (ko) 날씨정보가 제공되는 휴대폰
KR100905573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백라이트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0802614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용량 표시 방법
KR20030051008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배터리 소모 시 긴급통화 설정방법
KR20030032700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슬롯모드 전환 방법
KR100560918B1 (ko) 배터리 잔여 수명을 알려주는 이동통신단말기
KR20010004515A (ko) 이동무선단말기의 백라이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