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31186A - 온수보일러용 바닥구조 및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온수보일러용 바닥구조 및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31186A
KR20050031186A KR1020030067405A KR20030067405A KR20050031186A KR 20050031186 A KR20050031186 A KR 20050031186A KR 1020030067405 A KR1020030067405 A KR 1020030067405A KR 20030067405 A KR20030067405 A KR 20030067405A KR 20050031186 A KR20050031186 A KR 200500311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moisture
floor
water pipe
lamin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74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 다니엘
Original Assignee
김 다니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 다니엘 filed Critical 김 다니엘
Priority to KR10200300674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31186A/ko
Publication of KR200500311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1186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2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 특히 온수 보일러를 사용하는 건물의 난방용 바닥 구조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바닥(10)의 위에 바닥면의 울퉁불퉁하고 불균일한 부분을 커버하여 수평으로 고르게 해주기 위한 수평재(20)가 적층되고, 그 위에 바닥(10)으로부터 침투하는 수분 또는 습기가 상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습재(30)가 적층되며, 방습재(30)의 위에는, 온수관(50)의 열을 보존하여 난방에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부에 온수관(50)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41)이 구성되는 소정 두께의 단열재(40)가 적층되고, 그 수용홈(41)에는 온수보일러로부터 연장되어 구성되는 온수관(50)이 수용되고, 이렇게 수용된 온수관(50)의 위에는 수용홈(41)에 온수관(50)을 견고하게 밀착시킴으로써 실제 사용시 관이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재(60)가 접착되어 부착되며, 그 위에는 온수관으로부터 발산되는 열을 바닥 전체로 골고루 퍼지는 역할을 하기 위한 금속판재(70)가 적층되고, 금속판재(70)의 위에는 소정 두께의 사각형으로 규격화된 시멘트 패널(80)이 적층되며, 이렇게 형성된 적층 구조에는 전체 적층 구조를 견고하게 하기 위한 고정스크류(90)가 관통되어 구성되고, 마지막으로 최상층에는 바닥마감재(100)로서 장판 또는 타일이 적층됨으로써 구성되는, 온수보일러용 바닥 구조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온수보일러용 바닥구조 및 시공방법 {Underlaying Structure for Hot Water Boiler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건물, 특히 온수 보일러를 사용하는 건물의 난방용 바닥 구조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규격화된 조립식 보온재 및 바닥재를 이용함으로써, 시공, 수리 및 교체 작업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열전도 효과 또한 뛰어난, 건물 난방용 바닥 구조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난방을 위해 온수 보일러를 사용하는 건물의 바닥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온수파이프(4)에서 발산되는 열이 바닥(1)으로 전열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한 단열재(2)가 바닥(1)의 위에 적층되고, 그 위에 온수파이프(4)를 고정/안정화 시키기 위한 자갈, 모래, 흙 등의 기반재(3)가 적층된 후, 난방을 위해 보일러로부터 생산/유출된 온수를 순환시키기 위한 철재 또는 PVC 재질의 온수파이프(4)가 기반재(3)에 매설되어 구성되며, 그 위에 온수파이프(4)로부터 전달된 열을 실내로 전달시킴과 동시에 지면을 고르게 하기위한 바닥판(5)이 적층되어 구성되고, 마지막으로 바닥판(5) 위에 마감재인 장판, 타일 등의 바닥재(6)가 적층되어 구성되는 구조를 가진다.
또한, 이에 더하여, 단열재(2)의 아래에 바닥(1)의 상면을 고르게 하기 위한 모래 등의 자재가 추가적으로 적층되는 경우도 있으며, 온수파이프(4)를 바닥면에 고정하여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구가 이용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일반적인 온수보일러용 바닥 구조는, 온수파이프(4)의 고정/안정에 사용되는 기반재(3)인 자갈, 모래, 흙 등의 열전도율이 떨어짐으로 인해 온수파이프(4)에서 발산되는 열을 잘 전달하지 못함으로써 온수파이프(4)가 지나가는 부위만 따뜻하고 온수파이프(4)가 지나가지 않는 부위는 난방효과가 떨어지는 단점을 가지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이 온수파이프(4)와 직접 접촉하는 기반재(3)의 열전도율이 떨어져서 난방이 잘 되는 부위와 잘 되지 않는 부위가 구분될 경우, 전체적인 난방을 위해 장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이 발생하며 이에 따라 난방비가 상승하는 결과를 가져오게 되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온수파이프(4)를 좁은 간격으로 설치하게 되면, 이는 동, 스테인레스스틸 등으로 고가인 온수파이프(4) 설치비용을 증가시키는 또 다른 단점의 원인이 된다.
한편, 이와 같은 난방효과 및 경제성 이외에도 종래의 일반적인 보일러 온수 난방용 바닥 구조는 전체적인 구성을 영구 고정 방식으로 설치함으로써, 설치 자체가 대공사를 필요로 할 뿐만 아니라 온수파이프(4)의 막힘, 난방효과 저조 등에 의한 수리시 전체를 뜯어 다시 공사해야 하는 단점이 있으며, 파이프 노후에 의한 교체공사 시에도 역시 전체를 뜯고 처음부터 새로운 공사를 시행해야 하는 결정적인 단점을 가지게 된다.
근래에는, 이와 같이 보수/교체 공사시 전체를 뜯어야 하는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조립식으로 발명/고안된 온수보일러 난방용 바닥구조들이 특허/실용신안 상의 선행기술로 많이 개시되어 있는데, 예를 들어,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0248814호에 보면, 상면에 온수파이프를 수용하기 위한 오목홈이 형성된 단열판과, 우레탄에 의해 이 오목홈에 고정, 수용되는 것으로서 양 측면으로 온수파이프의 열을 더 넓게 전달하기 위한 날개 형태의 전열부가 형성되는 전열판으로 구성되는 난방파이프 시공용 온돌판넬에 대해 개시된 바 있다.
또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0325139호에는, 흡음, 단열 효과를 가지는 패드부재의 위에 단열을 위한 소정 두께의 하부판재를 구성하고, 그 위에는, 파이프를 수용할 수 있는 십자형의 홈이 상면에 구성되고 이웃하는 보드와 끼워 맞추어 조립할 수 있도록 요홈 및 걸림턱이 측면에 구성된 상부판재를 적층하여 구성한, 난방관 배관용 단열보드가 개시된 바 있다.
이상의 두 가지 선행기술들은 모두 조립식 바닥구조의 기본이 된다고 할 수 있는 파이프를 수용할 수 있는 형태의 조립형 단열 판넬에 대해 개시하고 있는 것으로서, 상기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0248814호의 경우에는 기본적인 조립 및 파이프 수용 기능에 더해, 전열판을 구성함으로써 열전달 효율을 높이고자 한 것이라고 할 수 있고, 상기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0325139호의 경우에는 기본적인 조립 및 파이프 수용 기능에 더해, 흡음, 방진 기능 및 보드 조립의 간편성을 더 높이고자 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들 이외에도,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0274865호에는, 편평한 판재의 상면에, 돌출된 원형 결합구, 다수개의 지지편 및 온수파이프를 수용하여 안내하기 위한 다수개의 가이드돌출편이 형성된 하판과, 이 하판에 덮어 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편평한 판재의 하면에 다수개의 원통형 체결구가 형성된 상판으로 구성되며, 부가적으로 축열소자가 추가되어 포함되는 난방용 조립판넬이 개시된 바 있다.
이와 유사한 것으로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0291676호에는, 하판의 상면에 원호형, 반원호형, 1/4원호형 및 삼각형 가이드를 구성하고 4 모서리에는 연결구에 의해 이웃하는 패널과 연결될 수 있도록 결합홈이 구성되는 조립식 난방 패널의 연결구조에 대해 개시된 바 있다.
또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303623호에 보면, 상면에 다수의 체결공이 형성하고 하면은 다수의 보강부를 체결공과 연결된 관형으로 형성함으로써 단위 판넬을 구성하고 이와 같은 단위 판넬은 체결클립으로 체결시키도록 구성함과 동시에, 각 단위 판넬의 모서리부에는 높낮이 조절을 위한 볼트를 구성한 온돌판넬에 대해 개시된 바도 있다.
이와 같은 선행기술들은 모두 편평한 판 위에 온수파이프 수용 및 배치를 위한 돌출 구조물들이 구성되어 있다는 특성을 가지는 것들이라고 할 수 있다.
이밖에, 이상의 선행기술들이 온수파이프 수용을 위한 단열재에 대한 것이었던데 반해,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0241473호에 보면, 좌우로 날개형의 발열판이 구성되고 길이 방향으로 주름부가 연속 반복되게 구성된 난방배관용 플에이트에 대해 개시된 바 있는데, 이는, 플레이트를 이용 온수파이프를 보호함은 물론, 발열판을 이용하여 난방 열효율을 제고시키고자 한 시도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상과 같은 선행 특허/실용신안 상의 기술들은, 구조가 복잡하여 제품으로의 실용화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실제 생산시 원가가 상승될 염려가 있거나, 상판과 하판의 사이가 비어 있어 안정감이 부족하고 함몰의 염려가 있거나, 조립식이라는 특성상 견고함이 부족하여 장시간 사용시 판넬간의 접촉면이 어긋남으로써 바닥의 수평구조가 와해될 염려가 있거나, 복잡한 구조상 바닥 시공에 특별한 기술/장비를 요하거나, 편평하지 않은 울퉁불퉁한 바닥면에는 적용하기 어렵거나, 플레이트의 경우와 같이 한가지 구성요소를 더 추가함으로써 경제성이 떨어지거나, 또는 근본적으로 열전달효과, 온수파이프 수용기능, 단열기능 등의 필수적 기능이 저조하거나 하는 등의 단점들을 하나 이상씩 가지고 있다.
따라서, 시공이 간편하고 보수공사 또는 교체공사시 바닥 전체를 뜯어내야 하는 종래 재래식 바닥 구조의 단점을 가지고 있지 않으면서도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상의 조립식 단열재 판넬 또는 이 판넬들을 이용하는 바닥 구조들의 문제점을 극복한 새로운 온수보일러용 바닥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이 출현해야할 시점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선행기술상의 문제점들을 극복하고자 하는 것으로, 그 목적은, 열전달효과, 온수파이프 수용기능, 단열기능 등 온수보일러용 바닥 구조에서 필수적인 기능이 우수함은 물론, 구조가 간단하여 제품으로의 실용화가 용이하여 실제 생산시 원가가 상승될 염려가 없고, 중간이 비어 있는 상판과 하판의 이중구조로 되어 있지 않아 안정감이 크고 사용시 바닥 함몰의 염려가 없으며, 견고하게 구성되어 장시간 사용시 판넬간의 접촉면이 어긋남으로써 바닥의 수평구조가 와해될 염려가 없고, 실제 시공시 특별한 기술/장비를 요하지 않으며, 편평하지 않은 울퉁불퉁한 바닥면에도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고, 일반적인 바닥 구조의 구성 요소 이외에 추가적인 구성요소를 더 필요로 하지 않음으로써 경제성이 큰, 온수보일러용 바닥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바닥의 위에 바닥면의 울퉁불퉁하고 불균일한 부분을 커버하여 수평으로 고르게 해주기 위한 수평재가 적층되고, 그 위에 바닥으로부터 침투하는 수분 또는 습기가 상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습재가 적층되며, 방습재의 위에는, 온수관의 열을 보존하여 난방에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부에 온수관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이 구성되는 소정 두께의 단열재가 적층되고, 그 수용홈에는 온수보일러로부터 연장되어 구성되는 온수관이 수용되고, 이렇게 수용된 온수관의 위에는 수용홈에 온수관을 견고하게 밀착시킴으로써 실제 사용시 관이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재가 접착되어 부착되며, 그 위에는 온수관으로부터 발산되는 열을 바닥 전체로 골고루 퍼지는 역할을 하기 위한 금속판재가 적층되고, 금속판재의 위에는 소정 두께의 사각형으로 규격화된 시멘트 패널이 적층되며, 이렇게 형성된 적층 구조에는 전체 적층 구조를 견고하게 하기 위한 고정스크류가 관통되어 구성되고, 마지막으로 최상층에는 바닥마감재로서 장판 또는 타일이 적층됨으로써 구성되는, 온수보일러용 바닥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건물, 특히 온수 보일러를 사용하는 건물의 난방용 바닥 구조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규격화된 조립식 보온재 및 바닥재를 이용함으로써, 시공, 수리 및 교체 작업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열전도 효과 또한 뛰어난, 건물 난방용 바닥 구조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바닥을 수평으로 고르게 하기 위한 수평재와, 바닥으로부터의 습기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한 방습재와, 단열효과를 가지며 온수관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홈이 형성되어 있는 단열재와, 온수파이프로부터 발산되는 열을 넓게 분산시키고 상부로 전달하기 위한 금속판재와, 시공 및 보수가 용이하도록 일정한 두께 및 규격으로 구성된 조립식 시멘트 패널과, 바닥 구조를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온수보일러 난방용 바닥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하나, 본 발명을 이에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의 온수보일러용 바닥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 바닥 구조에 사용되는 단열재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 바닥 구조에 사용되는 다공성 금속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 바닥 구조에 사용되는 조립식 시멘트 패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 바닥 구조의 시공 방법을 나타내는 공정도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온수보일러용 바닥 구조는, 바닥(10)의 위에 바닥면의 울퉁불퉁하고 불균일한 부분을 커버하여 수평으로 고르게 해주기 위한 수평재(20)가 적층되고, 그 위에 바닥(10)으로부터 침투하는 수분 또는 습기가 상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습재(30)가 적층되며, 방습재(30)의 위에는, 온수관(50)의 열을 보존하여 난방에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부에 온수관(50)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41)이 구성되는 소정 두께의 단열재(40)가 적층되고, 그 수용홈(41)에는 온수보일러로부터 연장되어 구성되는 온수관(50)이 수용되고, 이렇게 수용된 온수관(50)의 위에는 수용홈(41)에 온수관(50)을 견고하게 밀착시킴으로써 실제 사용시 관이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재(60)가 접착되어 부착되며, 그 위에는 온수관으로부터 발산되는 열을 바닥 전체로 골고루 퍼지는 역할을 하기 위한 금속판재(70)가 적층되고, 금속판재(70)의 위에는 소정 두께의 사각형으로 규격화된 시멘트 패널(80)이 적층되며, 이렇게 형성된 적층 구조에는 전체 적층 구조를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한 고정스크류(90)가 관통되어 구성되고, 마지막으로 최상층에는 바닥마감재(100)로서 장판 또는 타일이 적층됨으로써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바닥면을 고르게 하기 위해 사용되는 상기 수평재(20)로는 모래 또는 셀프레벨(Self-level)시멘트가 사용되는데, 여기서 수평재(20)로서 모래를 사용할 경우 상면을 편평하게 하기 위한 수평화 작업을 따로 수행해 주어야 하지만, 셀프레벨시멘트를 사용할 경우 액체 상태로 시공됨으로써 따로 수평을 조정할 필요가 없이 일정 시간이 지나 경화되면 저절로 수평상태가 형성된다는 편리함이 있다.
바닥(10)으로부터의 습기 침투를 방지하기 위한 상기 방습재(30)로는 비닐, 수지 또는 플라스틱 재질의 판이 주로 사용되는데, 습기를 통과시키지 않는 재질이면 그 사용에 제한을 두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상기 상기 단열재(40)에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온수관(50)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41)이 상부에 구성되며, 온수관의 직경에 따라 3-8cm의 두께로 구성될 수 있고, 재질로는 스치로폼이 바람직하나 합성수지, 연질 플라스틱 등 수용홈 구성이 용이하고 온수관의 열을 단열시킬 수 있는 재질이면 어느 것이나 가능하다.
단열재(40)의 수용홈(41)에 수용된 온수관(50)은 경우에 따라서, 특히 장시간 사용 후에 수용홈(41)으로부터 이탈되거나 유격이 발생할 염려가 있는데, 온수관(50)을 단열재(40)에 접착하여 부착함으로써 이러한 이탈 또는 유격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이 바로 고정재(60)로서, 본 발명에서는 고정재(60)로서 금속테이프를 사용하였다.
다음에, 온수관으로부터 발산되는 열을 바닥 전체로 골고루 퍼지게 하는 역할을 함으로써 온수파이프(50)가 지나가는 부위만 따뜻하고 온수파이프(50)가 지나가지 않는 부위는 난방효과가 떨어지는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상기 금속판재(70)에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의 열을 상부로 직접 전달하고 경우에 따라 통기시키기 위한 소정 직경의 열발산용 홀(71)이 일정 간격 이격되어 구성된다.
상기 시멘트 패널(80)의 상/하면은 한 변의 길이가 1-2m인 정사각형이며 2-4cm의 두께로 규격화되어 제작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고정스크류(90)는 상기 시멘트패널(80), 금속판재(70), 단열재(40), 방습재(30) 및 수평재(20)를 관통하여 바닥(10)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이들 모두를 관통하고도 바닥(10)에 고정되어 바닥 구조를 지지할 수 있을 만큼의 충분한 길이를 가져야 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바닥 구조의 최 상부에는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장판, 타일 등의 바닥마감재(100)가 구성된다.
다음에,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 온수보일러용 바닥 구조의 시공 방법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닥(10)의 위에 수평재(20)를 적층하고 그 상면을 고르게 펴 수평화함으로써 바닥면의 울퉁불퉁하고 불균일한 부분을 커버하는 수평화공정; 수평재(20)의 위에 방습재(30)를 적층함으로써 바닥(10)으로부터 침투하는 수분 또는 습기가 상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습공정; 방습재(20)의 위에 단열재(40)를 적층하는 단열재적층공정; 적층된 단열재(40)의 수용홈(41)에 온수관(50)을 수용시켜 배관하고 고정재(60)를 부착하여 관의 유동을 방지하는 배관공정; 배관이 완료된 단열재(40)의 위에 금속판재(70)를 적층하는 금속판적층공정; 금속판재(70)의 위에 시멘트패널(80)을 적층하고 각 시멘트패널(80)간의 유격을 시멘트 몰탈을 이용 접착하는 시멘트패널적층공정; 고정스크류(90)를, 시멘트패널(80), 금속판재(70), 단열재(40), 방습재(30) 및 수평재(20)를 관통하여 바닥(10)에 고정시키는 고정공정; 및 바닥마감재(100)를 적층하는 마감공정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구성된다.
이상과 같이 온수보일러용 바닥 구조가 완성되면, 규격화된 조립식 보온재 및 바닥재를 이용함으로써, 시공, 수리 및 교체 작업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열전도 효과 또한 뛰어난, 건물 난방용 바닥 구조가 완성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이 완성됨으로써, 바닥(10)의 위에 바닥면의 울퉁불퉁하고 불균일한 부분을 커버하여 수평으로 고르게 해주기 위한 수평재(20)가 적층되고, 그 위에 바닥(10)으로부터 침투하는 수분 또는 습기가 상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습재(30)가 적층되며, 방습재(30)의 위에는, 온수관(50)의 열을 보존하여 난방에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부에 온수관(50)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41)이 구성되는 소정 두께의 단열재(40)가 적층되고, 그 수용홈(41)에는 온수보일러로부터 연장되어 구성되는 온수관(50)이 수용되고, 이렇게 수용된 온수관(50)의 위에는 수용홈(41)에 온수관(50)을 견고하게 밀착시킴으로써 실제 사용시 관이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재(60)가 접착되어 부착되며, 그 위에는 온수관으로부터 발산되는 열을 바닥 전체로 골고루 퍼지는 역할을 하기 위한 금속판재(70)가 적층되고, 금속판재(70)의 위에는 소정 두께의 사각형으로 규격화된 시멘트 패널(80)이 적층되며, 이렇게 형성된 적층 구조에는 전체 적층 구조를 견고하게 하기 위한 고정스크류(90)가 관통되어 구성되고, 마지막으로 최상층에는 바닥마감재(100)로서 장판 또는 타일이 적층됨으로써 구성되는, 온수보일러용 바닥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이 제공될 수 있게 되었다.
본 발명이 완성됨으로써, 열전달효과, 온수파이프 수용기능, 단열기능 등 온수보일러용 바닥 구조에서 필수적인 기능이 우수함은 물론, 구조가 간단하여 제품으로의 실용화가 용이하여 실제 생산시 원가가 상승될 염려가 없고, 중간이 비어 있는 상판과 하판의 이중구조로 되어 있지 않아 안정감이 크고 사용시 바닥 함몰의 염려가 없으며, 견고하게 구성되어 장시간 사용시 판넬간의 접촉면이 어긋남으로써 바닥의 수평구조가 와해될 염려가 없고, 실제 시공시 특별한 기술/장비를 요하지 않으며, 편평하지 않은 울퉁불퉁한 바닥면에도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고, 일반적인 바닥 구조의 구성 요소 이외에 추가적인 구성요소를 더 필요로 하지 않음으로써 경제성이 큰, 온수보일러용 바닥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이 제공될 수 있게 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온수보일러용 바닥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온수보일러용 바닥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바닥 구조에 사용되는 단열재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바닥 구조에 사용되는 다공성 금속판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바닥 구조에 사용되는 조립식 시멘트 패널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바닥 구조의 시공 방법을 나타내는 공정도이다.

Claims (2)

  1. 온수보일러용 바닥구조에 있어서,
    바닥(10)의 위에, 바닥면의 울퉁불퉁하고 불균일한 부분을 커버하여 수평으로 고르게 해주기 위한 것으로서, 모래 및 셀프레벨시멘트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수평재(20)가 적층되어 구성되고;
    그 위에, 바닥(10)으로부터 침투하는 수분 또는 습기가 상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비닐, 수지 및 플라스틱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재질인 방습재(30)가 적층되어 구성되며;
    방습재(30)의 위에는, 온수관(50)의 열을 보존하여 난방에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부에 온수관(50)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41)이 형성되며 스치로폼, 합성수지 및 연질플라스틱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재질인 3-8cm 두께의 단열재(40)가 적층되어 구성되고;
    그 수용홈(41)에는, 온수보일러로부터 연장되어 나오는 온수관(50)이 수용되어 구성되고;
    이렇게 수용된 온수관(50)의 위에는, 수용홈(41)에 온수관(50)을 견고하게 밀착시킴으로써 실제 사용시 관이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금속테이프 재질의 고정재(60)가 접착되어 구성되며;
    그 위에는, 온수관으로부터 발산되는 열을 바닥 전체로 골고루 퍼지는 역할을 하기 위한 것으로서, 소정 직경의 열발산용 홀(71)이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금속판재(70)가 적층되어 구성되고;
    금속판재(70)의 위에는, 한변의 길이가 1-2m인 정사각형의 상/하면과 2-4cm의 두께로 규격화된 시멘트 패널(80)이 적층되어 구성되며;
    이렇게 형성된 적층 구조에는 전체 적층 구조를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한 고정스크류(90)가 관통되어 구성되고;
    최상층에는 바닥마감재(100)가 적층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보일러용 바닥구조.
  2. 온수보일러용 바닥구조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바닥(10)의 위에 수평재(20)를 적층하고 그 상면을 고르게 펴 수평화함으로써 바닥면의 울퉁불퉁하고 불균일한 부분을 커버하는 수평화공정;
    수평재(20)의 위에 방습재(30)를 적층함으로써 바닥(10)으로부터 침투하는 수분 또는 습기가 상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습공정;
    방습재(20)의 위에 단열재(40)를 적층하는 단열재적층공정;
    적층된 단열재(40)의 수용홈(41)에 온수관(50)을 수용시켜 배관하고 고정재(60)를 부착하여 관의 유동을 방지하는 배관공정;
    배관이 완료된 단열재(40)의 위에 금속판재(70)를 적층하는 금속판적층공정;
    금속판재(70)의 위에 시멘트패널(80)을 적층하고 각 시멘트패널(80)간의 유격을 시멘트 몰탈을 이용 접착하는 시멘트패널적층공정;
    고정스크류(90)를, 시멘트패널(80), 금속판재(70), 단열재(40), 방습재(30) 및 수평재(20)를 관통하여 바닥(10)에 고정시키는 고정공정; 및
    바닥마감재(100)를 적층하는 마감공정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보일러용 바닥구조의 시공방법.
KR1020030067405A 2003-09-29 2003-09-29 온수보일러용 바닥구조 및 시공방법 KR2005003118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7405A KR20050031186A (ko) 2003-09-29 2003-09-29 온수보일러용 바닥구조 및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7405A KR20050031186A (ko) 2003-09-29 2003-09-29 온수보일러용 바닥구조 및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1186A true KR20050031186A (ko) 2005-04-06

Family

ID=37236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7405A KR20050031186A (ko) 2003-09-29 2003-09-29 온수보일러용 바닥구조 및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31186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7321B1 (ko) * 2006-05-09 2007-06-12 민병창 조립식 온돌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KR100766709B1 (ko) * 2005-05-18 2007-10-11 주식회사 엘지화학 건식 난방시스템의 2매 상판 시공구조 및 방법
CN108317578A (zh) * 2017-12-30 2018-07-24 浙江亚厦装饰股份有限公司 地暖系统及安装方法
KR20190099737A (ko) * 2018-02-19 2019-08-28 박종수 바닥구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6709B1 (ko) * 2005-05-18 2007-10-11 주식회사 엘지화학 건식 난방시스템의 2매 상판 시공구조 및 방법
KR100727321B1 (ko) * 2006-05-09 2007-06-12 민병창 조립식 온돌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WO2007129855A1 (en) * 2006-05-09 2007-11-15 Byung-Chang Min Prefabrication type floor heating system and the construction method thereof
CN108317578A (zh) * 2017-12-30 2018-07-24 浙江亚厦装饰股份有限公司 地暖系统及安装方法
KR20190099737A (ko) * 2018-02-19 2019-08-28 박종수 바닥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05091A (en) Modular-accessible-units and method of making same
AU2004284204B2 (en) Building component for forming a floor or wall coverings
US20080017725A1 (en) Radiant mat grid
US7383670B1 (en) Panel bracket system
US4698249A (en) Modular-accessible-tiles providing accessibility to conductors and piping with improved sound isolation
JP2002081196A (ja) ユニット支持脚及びそれを用いた二重床の施工方法
KR200433792Y1 (ko) 다층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용 방진단열모듈판 및 이를이용한 습식 이중바닥구조
KR20050031186A (ko) 온수보일러용 바닥구조 및 시공방법
KR20210012106A (ko) 난방용 바닥재
KR100627127B1 (ko) 온수보일러용 난방시공장치
EP3805649B1 (en) Construction panel
JP4191858B2 (ja) 断熱パネル及びそれを用いた断熱二重床の施工方法
KR20070006040A (ko) 열전달 수단이 구비된 소음방지부재
KR100380764B1 (ko) 접지형 사춤 장선 바닥구조 및 시공방법
KR100562038B1 (ko) 방음 및 단열판용 하부틀
KR200358157Y1 (ko) 온수보일러용 바닥재
JP4115614B2 (ja) 床暖房パネル及びその敷設方法
KR102326345B1 (ko) 공동주택 건축물의 친환경 방진용 패널 시공 방법
JPH1096274A (ja) 軽量断熱パネル
JPH0325158A (ja) 二重床材
JP2001295451A (ja) 二重床構造及び間仕切り又は重量載置物の施工方法
JP4603178B2 (ja) バルコニーデッキ
KR100301524B1 (ko) 난방관 배관용 단열보드_
JP3527186B2 (ja) ユニット支持脚及びそれを用いた二重床の施工方法
WO1986007008A1 (en) Modular-accessible-tiles providing accessibility to conductors and piping with improved sound isol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