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31072A - 낙하 질량체에 의한 토양 다짐 - Google Patents

낙하 질량체에 의한 토양 다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31072A
KR20050031072A KR1020047021725A KR20047021725A KR20050031072A KR 20050031072 A KR20050031072 A KR 20050031072A KR 1020047021725 A KR1020047021725 A KR 1020047021725A KR 20047021725 A KR20047021725 A KR 20047021725A KR 20050031072 A KR20050031072 A KR 200500310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il
mass
impact
compaction
control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217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쿡에릭존스톤
Original Assignee
컴팩션 테크놀로지 (소일)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컴팩션 테크놀로지 (소일)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컴팩션 테크놀로지 (소일)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500310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1072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00Investigation of foundation soil in situ
    • E02D1/02Investigation of foundation soil in situ before construction work
    • E02D1/022Investigation of foundation soil in situ before construction work by investigating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soi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02Improving by compac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40Investigating hardness or rebound hardness
    • G01N3/48Investigating hardness or rebound hardness by performing impressions under impulsive load by indentors, e.g. falling bal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10Miscellaneous comprising sensor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2Details not specific for a particular testing method
    • G01N2203/06Indicating or recording means; Sensing means
    • G01N2203/067Parameter measured for estimating the property
    • G01N2203/0676Force, weight, load, energy, speed or accel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Immu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Road Paving Machines (AREA)
  • Investigation Of Foundation Soil And Reinforcement Of Foundation Soil By Compacting Or Drainage (AREA)
  • Investigating Strength Of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AREA)
  • Road Repair (AREA)
  • Applications Or Details Of Rotary Compressors (AREA)
  • Mechanical Treatment Of Semiconductor (AREA)
  • 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태양에서, 본 발명은, 토양 표면에 충격을 가하기 위해 반복적으로 질량체를 토양 표면 위로 상승시킨 다음에 질량체를 낙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토양을 다지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토양에 대한 충격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순간 토양 특성의 지시치가 주기적으로 도출된다. 이러한 지시치에 따라, 상기 토양에서 하나 이상의 소정 특성을 얻기 위하여 후속하는 충격의 횟수 및/또는 매 충격마다 토양에 부과되는 에너지 및/또는 충격의 빈도가 전형적으로 PLC의 형태인 제어 장치에 의해 제어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서, 본 발명은, 질량체 및 토양 표면에 충격을 가하기 위해 반복적으로 질량체를 토양 표면 위로 상승시킨 다음에 질량체를 낙하시키는 수단을 구비하는 낙하 질량체에 의한 토양 다짐기를 포함하는 토양 다짐 장치(10)에 관한 것이다. 토양 다짐 장치(10)는 또한 하나 이상의 순간 토양 특성의 주기적인 지시치를 제공하도록 설치된 모니터링 수단(42)과 전술한 제어 수단(44)을 구비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부지(敷地)에서 순간 토양 특성을 측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낙하 질량체에 의한 토양 다짐{DROP MASS COMPACTION OF SOIL}
본 발명은 낙하 질량체에 의한 토양 다짐을 달성하고 토양 특성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형적으로 한 종류 또는 다른 종류의 롤러(roller)들을 적용하는 종래의 토양 다짐 기계 장치(soil compaction machinery)를 사용하기에는 부적합한 비교적 작은 구역의 토양을 다질 필요가 있는 많은 적용례들이 있다. 중요한 일례로는 교량의 교대(abutment)에 인접한 토양을 다지는 경우로서, 이러한 곳에서는 제한된 공간 때문에 종래의 대형 롤러들 또는 다른 설비로 다지는 것이 불가능하다. 다른 예로는 배관, 길고 좁은 토대(strip foundation) 등을 위한 비교적 좁은 도랑에서 토양을 다지는 경우이다. 또 다른 예로는 도로 일부 구간이 국부적 파손이 비교적 작은 구역에서 발생한 장소에서 도로 보수를 하는 경우이다.
비록 소형의 진동식 롤러와 충격기가 이러한 적용례에 적용 가능하고 널리 사용되고 있지만, 이러한 장치들로 달성될 수 있는 토양 다짐의 수준 및 다짐 영향의 깊이가 제한된다. 그 결과로, 비교적 단기간이 경과된 후에 지나친 침하 및/또는 구조물의 손상이 종종 발생할 수 있다.
전술한 종류의 상황에서 토양 다짐을 달성하기 위해 낙하 질량체에 의한 토양 다짐이 제시되어 왔다. 낙하 질량체에 의한 다짐에서는, 토양을 다질 목적으로 토양 표면에 충격을 가하기 위해 견고한 질량체가 반복적으로 상승되고 낙하된다. 공지된 낙하 질량체에 의한 토양 다짐기의 상세한 내용은 예를 들어 국제 공개 공보 제 WO 00/28154호를 참조할 수 있다.
낙하 질량체에 의한 토양 다짐의 원리가 이론적으로 옳을지라도, 이러한 종류의 다짐 기술이 완전한 잠재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다짐 공정에 대해 더 양호한 제어가 요구된다는 점을 알아야 한다.
도 1은 작업 방향에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에 장착된 낙하 질량체에 의한 토양 다짐 장치의 측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토양 다짐 장치의 사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토양을 다지는 방법이 제공되고, 상기 방법은, 토양 표면에 충격을 가하기 위해 반복적으로 질량체를 토양 표면 위로 상승시킨 다음에 질량체를 낙하시키는 단계와, 토양에 대한 충격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순간 토양 특성의 지시치를 주기적으로 도출하는 단계와, 상기 토양에서 하나 이상의 소정 특성을 얻기 위하여 지시된 하나 또는 다수의 특성치에 따라 후속하는 충격의 횟수 및/또는 매 충격마다 토양에 부과되는 에너지 및/또는 충격의 빈도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주기적으로 도출되는 순간 특성의 지시치는, 예를 들어 토양의 강성(stiffness)이나 강도(strength), 또는 토양의 허용 지지력(bearing capacity)과 같은 기계적 특성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전체적인 또는 점진적인 토양의 침하와 같은 특성에 대한 지시치가 주기적으로 도출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어 수단이 사용되어 하나 이상의 소정의 기계적 특성을 얻도록 하나 이상의 상기 파라미터를 변경한다. 제어 수단은, 예를 들어, 획득 예정인 하나 이상의 소정의 기계적 특성을 가지고 미리 프로그램된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프로그램 가능 논리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센서는 질량체에 결합되어 필요한 지시치를 제공하고, 그 센서의 출력은 제어 수단에 공급된다. 상기 센서는 예를 들어 가속도계(accelerometer)이고, 가속도계는 매 충격마다 질량체의 감속을 모니터하도록 설치되고 예를 들어 토양의 순간 강성에 관련된 신호를 제어 수단으로 출력하도록 설치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질량체 및 토양 표면에 충격을 가하기 위해 반복적으로 질량체를 토양 표면 위로 상승시킨 다음에 질량체를 낙하시키는 수단을 구비하는 낙하 질량체에 의한 토양 다짐기와; 하나 이상의 순간 토양 특성의 주기적인 지시치를 제공하도록 설치된 모니터링 수단과; 모니터링 수단에 의해 제공된 지시치에 대응하여, 후속하는 충격의 횟수 및/또는 매 충격마다 토양에 부과되는 에너지 및/또는 충격의 빈도를 제어함으로써 그 토양에서 하나 이상의 소정의 토양 특성을 얻는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토양 다짐 장치가 제공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 수단은 PLC를 포함할 수 있고, PLC는 얻고자하는 하나 이상의 소정의 토양 특성을 가지고 미리 프로그램되어 있으며 그리고 위에서 열거한 하나 이상의 변경 가능한 파라미터를 제어하도록 설치된다.
본 발명의 토양 다짐 장치는 차량에 장착될 수 있고, 그리고 차량 위에 실려 운송될 때의 운송 방향(transportation orientation)으로부터 차량 옆에 대어 위치되는 작업 위치(operative position)로의 이동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따르면, 한 부지(敷地)에서 하나 또는 다수의 물리적 토양 특성을 측정하는 방법이 제공되며, 상기 방법은 질량체 및 토양 표면에 충격을 가하기 위해 그 질량체를 토양 표면 위로 상승시킨 다음에 질량체를 낙하시키는 수단을 구비한 낙하 질량체에 의한 토양 다짐기를 상기 부지에 설치하는 단계와, 질량체에 의해 토양 표면에 가해진 충격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토양의 순간적인 물리적 특성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한 부지에서 하나 또는 다수의 물리적 토양 특성을 측정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데, 상기 장치는, 질량체 및 토양 표면에 충격을 가하기 위해 그 질량체를 토양 표면 위로 상승시킨 다음에 질량체를 낙하시키는 수단을 구비한 낙하 질량체에 의한 토양 다짐기와, 질량체에 의해 가해진 충격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순간적인 물리적 토양 특성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 수단을 포함한다.
다음에는, 본 발명이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단지 예시로서 더욱 상세하게 기술된다.
도면들은 본 발명에 따른 낙하 질량체에 의한 토양 다짐 장치(10)를 나타내고 있다. 이 실시예에서, 토양 다짐 장치(10)는 트럭(14)의 샤시(chassis)(12) 위에 장착되지만, 상기 토양 다짐 장치(10)는 트럭 또는 트랙터에 의해 견인되는 바퀴가 있는 트레일러의 샤시 위에, 또는 트랙형(track-type)의 독립 구동 차량이나 트레일러 위에도 동일하게 잘 장착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토양 다짐 장치(10)는 횡방향으로 연장하는 횡단보(18)상에서 좌우의 횡방향 이동을 하기 위해 장착된 프레임(16)을 포함하며, 횡단보(18)는 선회 지점(20)에서 트럭(14)의 후방 단부로 선회된다. 프레임(16)은 후방으로 향하는 서스펜션 부재(26)를 지지하는 한 쌍의 직립한 지지 부재(22)를 포함한다. 서스펜션 부재(26)의 후방 단부는 다짐 질량체(compaction mass)(28)의 수직 위쪽에 위치되고, 유압 실린더(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서스펜션 부재(26)와 질량체 사이에서 작동한다. 질량체로부터 수직으로 연장하는 안내봉(guide rod)(32)은 경사진 브레이스(brace)(35)에 의해 지지 부재(22)에 연결된 안내 실린더(34) 내를 활주 이동한다.
지지 부재(22)에 연결된 브래킷(bracket)(36)은 전술한 바와 같이 프레임의 좌우 횡방향 이동을 달성하기 위하여 횡단보(18)에 활주 가능한 방식으로 접촉한다. 토양 다짐 장치는 프레임(16)을 좌우로 구동하기 위한 구동 장치(미도시)를 포함한다. 구동 장치는 다수의 종래 형태 중에서 임의의 하나를 취할 수 있다. 구동 장치는 예를 들어 체인 및 스프라켓(sprocket) 구동 장치일 수 있고, 구동 장치의 적어도 일부 구성 부품은 브래킷(36) 및/또는 횡단보(18) 내부에 장착된다.
질량체(28)를 지면 위에 놓은 작업 방향(operative orientation)에 있는 낙하 질량체에 의한 토양 다짐기가 도시되어 있다. 토양 다짐 작업 중에 다짐기는 이러한 상태에서 작동한다. 다짐기를 한 위치에서 다른 위치로 이동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횡단보(18)로부터 연장하는 돌출부(lug)(40)와 샤시(12) 사이에서 작동하는 유압 실린더(38)가 축소되어 프레임(16)을 앞으로 기울어져 대체로 샤시에 평행한 방향으로 선회시킨다.
사용 시, 질량체(28) 아래의 토양은 토양 표면에 충격을 가하기 위하여 실린더(30)를 축소시켜 반복적으로 질량체를 들어올린 다음 질량체를 낙하시킴으로써 다져진다.
질량체(28)에는 가속도계(42)가 부착되고, 가속도계(42)의 출력은 PLC(44)로 공급된다. 도 1에는 PLC가 원격 구성 부품으로서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PLC 및 다른 보조 장비들이 토양 다짐 장치 자체의 일체형 부품을 형성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질량체가 토양에 충격을 가할 때에, 질량체가 겪는 감속도는 가속도계에 의해 측정되어 순간 토양 강성의 지시치를 제공하고, 이에 의해 토양의 다짐 수준에 대한 신뢰할 수 있는 실시간 지시치를 제공한다. 본 예에서, PLC는 미리 프로그램되어 토양 다짐 장치가 미리 결정된 수준의 토양 강성을 그 토양에서 얻도록 한다. 이 때에, PLC는 다짐 작업의 여러 파라미터를 자동으로 제어한다. 예를 들어, PLC는 매 충격마다 토양에 가해지는 충격 에너지를 제어한다. 이러한 제어는, 실린더(30)의 유압 작동을 제어하여 그리고/또는 질량체의 위치는 검출하는 적절한 질량체 위치 센서에 의해, 매 타격에 앞서 질량체의 상승 높이, 이에 따라 토양에 전달될 수 있고 저장될 위치 에너지를 변경함으로써 달성된다.
예시로서, 가해지는 충격 에너지는 PLC에 의해 제어되어, 다수의 충격에 대해 동일한 값, 그 다음에 후속하는 일련의 충격에 대해서는 다른 값 등을 가질 수 있다. 선택적으로, 충격 에너지는 충격마다 변경되거나 또는 다짐 작업 전체에 대해 동일한 에너지 수준이 유지될 수 있다.
PLC는 또한 그 프로그램에 따라 토양에 가해지는 타격의 횟수를 제어한다. 또한 다른 가능성으로, PLC는 각 충격 주기의 기간을 변경함으로써 그리고/또는 주기들 사이의 시간 경과를 변경함으로써 충격의 빈도를 제어한다. 비록 특별히 언급되지는 않지만, 다른 변경 가능한 파라미터들도 또한 PLC에 의해 동시에 제어될 수 있다.
도면들에서, 도면부호 50은 신호 전송용 전선 및/또는 실린더(30)와 유압 펌프 등의 실린더(30)보조 장비용의 유압 호스를 수용하는 유연한 케이블 함(flexible cable tray)을 나타낸다, 또한, 실제에서는 유압 동력 다발(hydraulic power pack)(미도시)이 샤시에 장착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실제에서, 전술한 토양 다짐 장치는 한 부지(敷地)의 여러 위치에 있는 토양을 다지거나 또는 그 부지 전체를 다지는 데 사용된다. 토양 다짐 장치를 부지의 다른 위치들을 다지는 데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그 부지의 한 위치로부터 다른 위치로 차량을 운전하여 갈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차량이 정지한 각각의 위치에서, 토양 다짐 장치는 제한된 토양대(土壤帶)를 다지는 데 사용될 수 있으며, 이것은 횡단보(18) 상에서 좌우로 횡방향 이동할 수 있는 프레임(16)의 능력과 차량의 조종성에 의해 가능해진다.
전술한 토양 다짐 장치는 위치 추적 장치, 대표적으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 항법 장치)에 연결되어 작동될 수 있어서, 토양 강성의 지시치는 지리적 위치와 상호 관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그 부지의 다른 위치들에서의 토양 다짐 수준에 관계된 실시간 정보를 제공하는 부지 계획(site plan)이 도출될 수 있다. 지리적 위치와 토양 다짐 수준에 관한 통합된 정보는 디지털로 저장되고 그리고/또는 그래픽으로 표시되어 해당 부지 또는 그 부지의 선택된 영역에 대한 토양 다짐 상태의 실질적으로 완전한 분석을 제공할 수 있다.
비록 한 부지에 대한 여러 영역의 토양을 다지는 것에 대해 언급되었지만, 본 발명의 원리는 소정의 다짐 수준이 요구되는 하나의 작은 영역을 다지는 데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여기에서, 대표적인 예는 교량의 교대 또는 빌딩과 같은 고정된 구조물에 인접한 토양을 다지는 경우이다.
또한, 토양 강성의 모니터링과 소정의 토양 강성 수준을 얻기 위한 작업 파라미터들의 변경에 대해서 특별히 언급되었지만, 다양한 다른 토양 특성을 모니터하는 것과 하나 이상의 특정의 요구 특성을 얻기 위해 작업 파라미터들을 제어하는 것도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한다. 토양 다짐 장치는 강성 외에 하나 이상의 많은 기계적인 다른 토양 특성들, 예를 들어 토양 강도 및/또는 허용 지지력을 모니터하도록 그리고 소정의 특성을 얻기 위해 작업 파라미터들을 제어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더욱이, 토양 다짐 장치는 각 지점의 결과적인 전체 토양 침하 또는 점진적인 토양 침하, 즉 주어진 기간 내 또는 한번 이상의 타격의 결과로서 토양의 침하량과 같은 토양 특성을 모니터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전술한 예의 토양 강성이라는 소정의 토양 특성을 모니터하기 위한 가속도계 대신에, 소정의 다른 적절한 형태의 센서가 또한 사용될 수도 있다. 다른 사용 가능한 형태의 센서로는 충격 중에 질량체의 속도를 측정하는 속도 센서, 토양 침하를 측정하는 변위 변환기와 같은 변위 센서 또는 충격시 질량체에 의해 토양 표면에 가해진 힘 또는 압력을 측정하는 힘 변환기 또는 압력 변환기가 포함된다.
앞에서 언급한 것처럼, 본 발명의 원리는 토양 다짐을 달성하고 제어하는 데 사용될 뿐만 아니라 부지의 순간적인 토양 특성을 측정하는 데에도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에 있어서, 전술한 토양 다짐 장치는 순간적인 토양 특성의 측정이 요구되는 부지의 각 위치에서 단지 한번만 질량체(28)를 상승시켜 낙하시키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 때에, 가속도계 및/또는 전술한 변환기를 포함하는 모니터링 장비는 이러한 각 위치에서 강성, 침하 등과 같은 선택된 토양 특성을 측정하도록 설치된다. 전술한 토양 다짐 장치의 경우에서처럼, 이러한 기능을 하는 토양 다짐 장치는 GPS와 같은 지리적 위치 추적 장치와 연결되어 다른 부지의 위치에 대한 토양 특성 측정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얻은 정보는 적절한 신호 처리 장비와 관련된 소프트웨어에 의해 윤곽도 등의 지도 형태로 또는 도표 형태로 표현될 수 있다. 이러한 응용예는 예를 들어 토양 엔지니어들에 의해 적용되어, 부지 확인 기능(site certification fuction)을 수행하는 데에 토양 엔지니어들에게 도움을 준다.

Claims (25)

  1. 토양 표면에 충격을 가하기 위해 반복적으로 토양 표면 위로 질량체를 상승시킨 다음에 질량체를 낙하시키는 단계와,
    토양 표면에 대한 충격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순간 토양 특성의 지시치를 주기적으로 도출하는 단계와,
    상기 토양에서 하나 이상의 소정의 특성을 얻기 위하여 지시된 하나 또는 다수의 특성치에 따라 후속하는 충격의 횟수 및/또는 매 충격마다 토양에 부과되는 에너지 및/또는 충격의 빈도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 다짐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지시치는 순간적인 기계적 또는 물리적 토양 특성들로부터 주기적으로 도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 다짐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토양의 기계적 특성은 토양의 강성(stiffness), 토양의 강도(strength) 또는 토양의 허용 지지력(bearing capacity)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 다짐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지시치는 전체적인 또는 점진적인 토양의 침하로부터 주기적으로 도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 다짐 방법.
  5. 선행하는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소정의 토양 특성을 자동적으로 얻기 위하여, 충격의 횟수 및/또는 매 충격마다 토양에 부과되는 에너지 및/또는 충격의 빈도 중 하나 이상을 변경하는 제어 수단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 다짐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획득될 예정인 하나 이상의 소정의 토양 특성을 가지고 미리 프로그램된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프로그램 가능 논리 제어기)가 상기 제어 수단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 다짐 방법.
  7.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센서가 질량체에 결합되어 주기적인 지시치를 제공하고 상기 센서의 출력은 제어 수단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 다짐 방법.
  8. 제8항에 있어서, 가속도계가 질량체에 결합되어 매 충격마다 질량체의 감속과 관련된 신호를 제어 수단으로 출력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 다짐 방법.
  9. 질량체 및 토양 표면에 충격을 가하기 위해 반복적으로 상기 질량체를 토양 표면 위로 상승시킨 다음에 질량체를 낙하시키는 수단을 구비하는 낙하 질량체에 의한 토양 다짐기와,
    하나 이상의 순간 토양 특성의 주기적인 지시치를 제공하도록 설치된 모니터링 수단과,
    모니터링 수단에 의해 제공된 상기 지시치에 대응하여, 후속하는 충격의 횟수 및/또는 매 충격마다 토양에 부과되는 에너지 및/또는 충격의 빈도를 포함하는 변경 가능한 파라미터를 제어함으로써 토양에서 하나 이상의 소정의 토양 특성을 얻는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 다짐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얻고자 하는 하나 이상의 소정의 토양 특성을 가지고 미리 프로그램되어 있고 하나 이상의 상기 변경 가능한 파라미터를 제어하도록 설치된 PL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 다짐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에 연결되어 지리적 계획(geometrical plan)에 따라 제어 수단이 토양의 다짐에 대한 제어를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지리적 위치 표시 장치를 또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 다짐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지리적 위치 표시 장치는 위성 항법 장치(global positioning syste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 다짐 장치.
  13.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주기적인 지시치를 제공하기 위해 질량체에 결합된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의 출력은 제어 수단으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 다짐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매 충격마다 질량체의 감속과 관련된 신호를 제어 수단으로 출력하도록 설치된 가속도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 다짐 장치.
  15. 제9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차량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 다짐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차량 위에 실려 운송될 때의 운송 방향(transportation orientation)으로부터 차량 옆에 대어 위치되는 작업 위치(operative position)로의 이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 다짐 장치.
  17. 질량체 및 토양 표면에 충격을 가하기 위해 상기 질량체를 토양 표면 위로 상승시킨 다음에 질량체를 낙하시키는 수단을 구비한 낙하 질량체에 의한 토양 다짐기를 부지(敷地)에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질량체에 의해 토양 표면에 가해진 충격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순간적인 기계적 토양 특성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지에서 하나 이상의 기계적 토양 특성을 측정하는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지리적 위치 표시 장치가 측정된 순간 토양 특성을 상기 부지의 지리적 위치와 연계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지에서 하나 이상의 기계적 토양 특성을 측정하는 방법.
  19. 질량체 및 토양 표면에 충격을 가하기 위해 상기 질량체를 토양 표면 위로 상승시킨 다음에 질량체를 낙하시키는 수단을 구비한 낙하 질량체에 의한 토양 다짐기와,
    질량체에 의해 가해진 충격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순간적인 기계적 토양 특성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지에서 하나 이상의 기계적 토양 특성을 측정하기 위한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측정된 순간 토양 특성을 상기 부지의 지리적 위치에 연계하도록 설치되는 지리적 위치 표시 장치를 또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지에서 하나 이상의 기계적 토양 특성을 측정하기 위한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지리적 위치 표시 장치는 위성 항법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지에서 하나 이상의 기계적 토양 특성을 측정하기 위한 장치.
  22. 제19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센서가 질량체에 결합되어 기계적 토양 특성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지에서 하나 이상의 기계적 토양 특성을 측정하기 위한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매 충격마다 질량체의 감속과 관련된 신호를 제어 수단으로 출력하도록 설치된 가속도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지에서 하나 이상의 기계적 토양 특성을 측정하기 위한 장치.
  24. 제19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차량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지에서 하나 이상의 기계적 토양 특성을 측정하기 위한 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차량 위에 실려 운송될 때의 운송 방향으로부터 차량 옆에 대어 위치되는 작업 위치로의 이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지에서 하나 이상의 기계적 토양 특성을 측정하기 위한 장치.
KR1020047021725A 2002-07-01 2003-07-01 낙하 질량체에 의한 토양 다짐 KR2005003107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ZA2002/5257 2002-07-01
ZA200205257 2002-07-0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1072A true KR20050031072A (ko) 2005-04-01

Family

ID=30001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21725A KR20050031072A (ko) 2002-07-01 2003-07-01 낙하 질량체에 의한 토양 다짐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EP (1) EP1518027B1 (ko)
JP (1) JP2006501384A (ko)
KR (1) KR20050031072A (ko)
AT (1) ATE316170T1 (ko)
AU (1) AU2003280334B2 (ko)
BR (1) BR0312311A (ko)
CA (1) CA2490356C (ko)
DE (1) DE60303303T2 (ko)
ES (1) ES2256763T3 (ko)
WO (1) WO200400330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56851A1 (en) * 2004-11-29 2006-06-01 Compaction Technology (Proprietary) Limited Drop mass soil compaction apparatus
DE102005053329A1 (de) 2005-11-07 2007-05-10 Basf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α-Bisabolol aus Farnesol
DE102006008266B4 (de) * 2006-02-22 2009-11-12 Wacker Neuson S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Messen von Bodenparametern mittels Verdichtungsmaschinen
GB2451245A (en) * 2007-07-24 2009-01-28 Roxbury Patents Ltd Ground improvement
DE202008010042U1 (de) * 2008-07-22 2009-06-10 Schulz, Frank G. System mit einem leichten Fallgewichtsgerät und einer Messauswertungseinrichtung
US9222866B2 (en) 2011-03-01 2015-12-29 The Toro Company Evaluation of ground surface hardness
JP6177626B2 (ja) * 2013-08-21 2017-08-09 西日本高速道路エンジニアリング九州株式会社 道路検査装置
JP2015068691A (ja) * 2013-09-27 2015-04-13 日本リフト株式会社 路面検査装置
CN111980002A (zh) * 2020-08-19 2020-11-24 安徽伟基基础工程有限公司 一种地基施工用钎探装置
FR3124809A1 (fr) * 2021-07-05 2023-01-06 Eric Dutitre Système de contrôle de battage des pieux de fondations
CN114164817B (zh) * 2021-12-20 2023-09-19 北京天恒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建筑基坑基础外墙回填土夯实设备及其工艺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36631A (en) * 1996-03-11 1998-04-07 Turf Diagnostics & Design, Inc. Turf impact analysis system
US5938709A (en) * 1996-11-22 1999-08-17 Case Corporation Panning display of GPS field maps
GB2366819B (en) * 1997-08-20 2002-06-05 Roxbury Ltd Monitoring the degree of compaction achieved during ground treatment
AU6362099A (en) 1998-11-09 2000-05-29 Compaction Technology (Soil) Limited Drop mass soil compaction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0312311A (pt) 2005-04-12
JP2006501384A (ja) 2006-01-12
ATE316170T1 (de) 2006-02-15
CA2490356A1 (en) 2004-01-08
DE60303303T2 (de) 2006-07-20
CA2490356C (en) 2010-08-24
DE60303303D1 (de) 2006-04-06
EP1518027B1 (en) 2006-01-18
WO2004003301A1 (en) 2004-01-08
AU2003280334B2 (en) 2007-12-06
AU2003280334A1 (en) 2004-01-19
ES2256763T3 (es) 2006-07-16
EP1518027A1 (en) 2005-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18611B2 (en) Soil compaction system and method
JP3585929B2 (ja) 土壌硬度の監視方法および装置
DE102015006398B3 (de) Bodenverdichtung mit einem Baggeranbauverdichter
US7908084B2 (en) System for co-ordinated ground processing
US9534995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a modulus of resilience
US9169605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a state of compaction
US20070150147A1 (en) Compactor using compaction value targets
US6973821B2 (en) Compaction quality assurance based upon quantifying compactor interaction with base material
CN106049237B (zh) 基于温度的自适应压实
WO2000039400A1 (en) System for predicting compaction performance
KR20050031072A (ko) 낙하 질량체에 의한 토양 다짐
DE202004015141U1 (de) Bodenverdichter
US20180002882A1 (en) An Impact Compactor, Compaction System and a Method of Obtaining Soil Strength
MX2014012064A (es) Sistema y metodos de prueba movil para la caracterizacion in situ de la rigidez dependiente de tension y de desviacion y de la capacidad de soporte de los suelos y los materiales geologicos.
WO2016061031A1 (en) System and method for validating compaction of a work site
US20160168806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ground stiffness
JP5499069B2 (ja) 法面締固め装置
AU2006327217A1 (en) Improved method of preparation for Imidazolepyridines
US20050129467A1 (en) Drop mass compaction of soil
AU2005308581B2 (en) Drop mass soil compaction apparatus
ZA200409680B (en) Drop mass compaction of soil
JPH0711605A (ja) 振動ローラの起振力制御装置
WO2023108190A1 (en) A system and method to measure a deformation of a geomaterial portion due to compaction of the geomaterial portion
JPH0556816B2 (ko)
Adam et al. Innovative dynamic compaction techniques & integrated compaction control metho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