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31028A - 휴대용 스위블 단말기의 투과성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스위블 단말기의 투과성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31028A
KR20050031028A KR1020030067191A KR20030067191A KR20050031028A KR 20050031028 A KR20050031028 A KR 20050031028A KR 1020030067191 A KR1020030067191 A KR 1020030067191A KR 20030067191 A KR20030067191 A KR 20030067191A KR 20050031028 A KR20050031028 A KR 200500310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lder
display
upper folder
opened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71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찬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671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31028A/ko
Publication of KR200500310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1028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스위블 단말기의 투과성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폴더가 하폴더에 수평방향의 힌지축을 기준으로 개폐되도록 힌지결합 됨과 아울러 상폴더가 상기 수평방향의 힌지축에 대한 수직 힌지축을 기준으로 회전되도록 결합된 휴대용 스위블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하폴더의 일정 부위에 시간 등의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보조 디스플레이를 설치하고, 상기 상폴더에는 그 내측에 고정된 디스플레이를 덮거나 반전시켜 개방한 모든 경우에 상기 보조 디스플레이를 투시할 수 있도록 투시창을 메인 디스플레이 이외의 영역에 위치하도록 설치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듀얼 폴더가 아니면서 상폴더를 원래 상태와 뒤집은 상태 모두에서 시간등을 표시할 수 있고, 뒤집은 상태에서 주 엘시디(LCD)를 끈 뒤 상 폴더의 투시창(투과성 부분)으로 시간 등을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이성을 도모할 수 있다. 또, 뒤집은 상태에서 닫은 경우에도 주 엘시디(LCD)만을 끄도록 함으로써 절전등으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폴더를 닫을 경우 상폴더를 뒤집던지 뒤집지 않던지 주 엘시디를 끄거나 아니면 타이머로 일정시간 후에 끄게 하면서도 시간 등의 정보를 듀얼 폴더와 같은 방법으로 보이게 할 수 있으며, 이는 사용자가 폴더가 어떤 상태로 있던지 한번에 알 수 있도록 하여 사용상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스위블 단말기의 투과성 표시장치{PERMEABILITY DISPLAY APPARATUS FOR PORTABLE SWIVEL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용 스위블 단말기의 투과성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폴더가 하폴더에 중간부의 폭방향(수평방향) 힌지축을 기준으로 회전식으로 개폐되고, 임의 각도로 개방된 위치에서 상기 힌지축에 직교되는 수직방향의 힌지축을 기준으로 회전시켜 디스플레이 방향을 양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된 스위블 폰과 같은 휴대용 스위블 단말기에서 상폴더를 전면 또는 후면이 외측으로 보이도록 회전시켜서 닫는 양쪽 모두의 경우에 하폴더에 설치한 보조 디스플레이에서 표시되는 시간 등의 정보를 상폴더에 설치한 투시창을 통하여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키도록 한 휴대용 스위블 단말기의 투과성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스위블 폰은 상폴더가 하폴더에 중간부의 수평방향 힌지축을 기준으로 회전식으로 개폐되고, 임의 각도로 개방된 위치에서 상기 힌지축에 직교되는 수직방향의 힌지축을 기준으로 회전시켜 디스플레이의 방향을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기계적으로 힌지를 양방향 로테이션 가능하도록 설계한 구조로 되어 있다.
이것을 이용해 상폴더를 뒤집은 상태로 폴더를 접을 수 있으며, 디지털 카메라 촬영 등에 보다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폴더는 일반적인 폴더 타입과 최근에 개발중인 듀얼 폴더를 상폴더로 적용한 타입 양쪽이 있다.
기존 대부분의 스위블 폰은 듀얼 폴더가 아닌 구조를 갖고 있으며, 일부 제품만 현재 듀얼 폴더로 개발중에 있다. 이것은 구조적인 어려움 때문이다. 이 경우 위와 같이 폴더를 닫았을 때 듀얼 폴더의 장점인 시간 등을 표시할 수 없게 되는 단점이 있는 것이었다.
그리고 듀얼 폴더의 구조를 취하더라도 상폴더를 뒤집어서 닫을 경우 어는 정도 시간이 경과하면 전력 소비를 줄이기 위해서 백라이트를 끄거나 액정을 끄는 등의 방식을 취해야 하므로 사용자가 시간을 알아 볼 수 없게 되어 사용상 불편하게 되는 것이었다.
도 1 내지 도 5는 종래 스위블 폰에 관한 도면으로서, 도 1에는 상폴더를 회전시키지 않은 상태로 닫은 형태를 보인 평면도, 도 2에는 상폴더를 회전시켜 뒤집은 상태로 닫은 형태를 보인 평면도가 각각 도시되고, 도 3에는 도 2에서 백라이트가 꺼진 형태를 보인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상폴더를 열었을 때의 형태를 보인 평면도, 도 5에는 상폴더를 소정각으로 회전시킨 형태를 보인 평면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스위블 폰은 상폴더(1)와 하폴더(2)가 힌지부(3)에 의해 회전식으로 개폐되도록 결합되고, 힌지부(3)의 일측에는 카메라(4)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폴더(1)에는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엘시디(LCD; liquid crystal display)와 같은 디스플레이(5)가 고정되고, 하폴더(2)에는 각종 조작을 위한 키버튼(6)이 결합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스위블 폰은 상폴더(1)를 하폴더(2)에 대하여 수평, 또는 수직으로 회전시켜 도 1와 같이 상폴더(1)를 회전시키지 않은 상태로 닫은 형태, 도 2와 같이 상폴더(1)를 회전시켜 뒤집은 상태로 닫은 형태, 도 4와 같이 상폴더(1)를 열었을 때의 형태, 도 5와 같이 상폴더(1)를 소정각으로 회전시킨 형태로 조작할 수 있다.
도 1과 같이 상폴더(1)를 회전시키지 않고 닫을 때에는 외부에서 보았을 경우 듀얼 폴더와 같은 시간 정보라던지 간단한 정보를 표시하지 못하고 있다. 최근에는 듀얼 폴더 형태로 되어 있는 스위블 폰도 나오고 있으나 구조가 간단치 않으며 로테이션 되는 부분으로 이어야 되는 배선이 많은 문제가 있다.
그리고, 도 2와 같이 상폴더(1)가 뒤집힌 상태로 닫힌 경우에는 디스플레이(5)에 화상 정보가 표시되고 있으나 이런 경우 일정 시간이 경과 된후 주 액정을 전력 소비 등의 이유로 아예 끄거나 혹은 백라이트 등을 끄거나 하므로 도 3과 같이 디스플레이(5)에 아무런 정보도 표시되지 않으므로 사용자가 한번에 시간등의 정보를 알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 및 결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 상폴더가 하폴더에 중간부의 폭방향(수평방향) 힌지축을 기준으로 회전식으로 개폐되고, 임의 각도로 개방된 위치에서 상기 힌지축에 직교되는 수직방향의 힌지축을 기준으로 회전시켜 디스플레이 방향을 양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된 스위블 폰과 같은 휴대용 스위블 단말기에서 상폴더를 전면 또는 후면이 외측으로 보이도록 회전시켜서 닫는 양쪽 모두의 경우에 하폴더에 설치한 보조 디스플레이에서 표시되는 시간 등의 정보를 상폴더에 설치한 투시창을 통하여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휴대용 스위블 단말기의 투과성 표시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에 목적이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스위블 단말기의 투과성 표시장치는 상폴더가 하폴더에 수평방향의 힌지축을 기준으로 개폐되도록 힌지결합됨과 아울러 상폴더가 상기 수평방향의 힌지축에 대한 수직 힌지축을 기준으로 회전되도록 결합된 휴대용 스위블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하폴더의 일정 부위에 시간 등의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보조 디스플레이를 설치하고, 상기 상폴더에는 그 내측에 고정된 디스플레이를 덮거나 반전시켜 개방한 모든 경우에 상기 보조 디스플레이를 투시할 수 있도록 투시창을 메인 디스플레이 이외의 영역에 위치하도록 설치하여 구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보조 디스플레이는 하폴더의 상측부에 메인 디스플레이 위에 위치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투시창에는 렌즈가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폴더를 열 경우에는 보조 엘씨디 부분을 키게 할지 아니면 끄게 할지는 옵션으로 선택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보조 디스플레이에는 엘시디(LCD), 유기 EL 등의 기타 정보표시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또 휴대용 스위블 단말기는 휴대 전화 외에 PDA나 디지털 카메라에 이용할 수 있으며, 이외에 다른 단말기에도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위에서 언급한 기존의 스위블 폰의 문제점 2가지를 모두 해결하고 있다. 즉, 듀얼 폴더가 아니면서 상폴더를 원래 상태와 뒤집은 상태 모두에서 시간등을 표시할 수 있고, 뒤집은 상태에서 주 엘시디(LCD)를 끈 뒤 상 폴더의 투시창(투과성 부분)으로 시간 등을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이성을 도모할 수 있다. 또, 뒤집은 상태에서 닫은 경우에도 주 엘시디(LCD)만을 끄도록 함으로써 절전등으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폴더의 투시창은 카메라 촬영 등의 경우 일반 광학이나 디지털 카메라의 렌즈 부분처럼 투과성 렌즈 부분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에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고안의 장치가 채용된 스위블 폰을 보인 것으로, 도 6에는 상폴더를 회전시키지 않은 상태로 닫은 형태를 보인 평면도가 도시되고, 도 7에는 상폴더를 회전시켜 뒤집은 상태로 닫은 형태를 보인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8에는 상폴더를 열었을 때의 형태를 보인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장치가 채용된 스위블 폰은 상폴더(1)와 하폴더(2)가 힌지부(3)에 의해 회전식으로 개폐되도록 결합되고, 힌지부(3)의 일측에는 카메라(4)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폴더(1)에는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엘시디(LCD; liquid crystal display)와 같은 디스플레이(5)가 고정되고, 하폴더(2)에는 각종 조작을 위한 키버튼(6)이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휴대용 스위블 단말기는 도 6과 같이 상폴더(1)를 덮은 경우에는 상폴더(1)의 내면에 고정된 디스플레이(5)가 보이지 않고, 도 7과 같이 상폴더(1)를 반전시켜 개방한 경우에는 상기 디스플레이(5)가 보이게 된다.
이와 같은 휴대용 스위블 단말기에 있어서, 본 발명은 하폴더(2)의 일정 부위에 시간 등의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보조 디스플레이(10)를 설치하고, 상폴더(1)에는 그 내측에 고정된 디스플레이(5)를 덮거나 반전시켜 개방한 모든 경우에 상기 보조 디스플레이(10)를 투시할 수 있도록 투시창(20)을 메인 디스플레이(5) 이외의 영역에 위치하도록 설치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이 채용된 휴대용 스위블 단말기는 도 6과 같이 상폴더(1)를 덮은 경우에는 하폴더(2)의 보조 디스플레이(10)에 표시되는 시간 등의 정보가 상폴더(1)에 설치된 투시창(20)을 통하여 투시되어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듀얼 엘시디(LCD)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도 7과 같이 상폴더(1)를 뒤집어 닫아 메인 디스플레이(5)가 외측으로 보이고 이 경우 백라이트가 꺼진 상태에서도 하폴더(2)의 보조 디스플레이(10)에 표시되는 시간등의 간략 정보를 상폴더(1)의 투시창(20)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이 채용된 휴대용 스위블 단말기는 장시간 상폴더(1)를 뒤집어서 닫아둔 상태에서 전력 소비 감소를 위해 백라이트를 끈 경우에도 시간등의 정보를 계속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사항은 기존의 스위블 폰, 듀얼 엘시디를 장착한 스위블 폰 두 가지 모두에서 구현 불가능한 것이었다.
도 8은 도 6에서 상폴더(1)를 열어 보인 경우를 도시한 평면도로서, 상폴더(1)에 부착된 투시창(20)이 도 6과 같이 닫거나 도 8과 같이 열은 경우에 도 6에서는 상폴더(1)의 외측으로 투시창(20)이 보이고, 도 8에서는 상폴더(1)의 내측으로 투시창(20)이 보이도록 투과성 부분으로 되어 있다.
이 투시창(20)은 카메라(4) 촬영시 일반 적인 카메라의 엘시디(LCD)창 외의 렌즈를 장착한 창으로 사용한다던지 할 수 있다.
그리고, 보조 디스플레이(10)와 투시창(20)의 위치는 도면에 도시된 형태와 똑 같은 위치일 필요는 없으며, 하드웨어적인 구현의 편리나 디자인을 위해서 상,하폴더(1),(2)의 다른 곳에 둘 수도 있다.
상기 하폴더(2)에 설치된 보조 디스플레이(10)는 시간 및 날짜 혹은 다른 간단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하여 이용할 수 있다. 또, 보조 디스플레이(10)의 위치는 상폴더(1)의 위치와 포개지는 곳이면 되고, 꼭 도시된 위치일 필요는 없으며, 하드웨어 설계의 편의나 디자인을 위해 다른 형태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폴더(1)를 연 상태에서 보조 디스플레이(10)의 시간 표시부 등을 켤지 끌지는 옵션으로 선택 가능토록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위에서 언급한 대로 상폴더(1)의 투시창(20)과 하폴더(2)의 보조 디스플레이(10)가 폴더를 접을 경우 일치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따라서, 폴더를 닫을 경우 상폴더(1)를 뒤집던지 뒤집지 않던지 주 엘시디를 끄거나 아니면 타이머로 일정시간 후에 끄게 하면서도 시간 등의 정보를 듀얼 폴더와 같은 방법으로 보이게 할 수 있으며, 이는 사용자가 폴더가 어떤 상태로 있던지 한번에 알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듀얼 폴더가 아니면서 상폴더를 원래 상태와 뒤집은 상태 모두에서 시간등을 표시할 수 있고, 뒤집은 상태에서 주 엘시디(LCD)를 끈 뒤 상 폴더의 투시창(투과성 부분)으로 시간 등을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이성을 도모할 수 있다. 또, 뒤집은 상태에서 닫은 경우에도 주 엘시디(LCD)만을 끄도록 함으로써 절전등으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폴더의 투시창은 카메라 촬영 등의 경우 일반 광학이나 디지털 카메라의 렌즈 부분처럼 투과성 렌즈 부분으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폴더를 닫을 경우 상폴더를 뒤집던지 뒤집지 않던지 주 엘시디를 끄거나 아니면 타이머로 일정시간 후에 끄게 하면서도 시간 등의 정보를 듀얼 폴더와 같은 방법으로 보이게 할 수 있으며, 이는 사용자가 폴더가 어떤 상태로 있던지 한번에 알 수 있도록 하여 사용상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5는 종래 스위블 폰에 관한 도면으로서,
도 1은 상폴더를 회전시키지 않은 상태로 닫은 형태를 보인 평면도.
도 2는 상폴더를 회전시켜 뒤집은 상태로 닫은 형태를 보인 평면도.
도 3은 도 2에서 백라이트가 꺼진 형태를 보인 평면도.
도 4는 상폴더를 열었을 때의 형태를 보인 평면도.
도 5는 상폴더를 소정각으로 회전시킨 형태를 보인 평면도.
도 6 내지 도 8은 본 고안의 장치가 채용된 스위블 폰을 보인 것으로,
도 6은 상폴더를 회전시키지 않은 상태로 닫은 형태를 보인 평면도.
도 7은 상폴더를 회전시켜 뒤집은 상태로 닫은 형태를 보인 평면도.
도 8은 상폴더를 열었을 때의 형태를 보인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상폴더 2 : 하폴더
5 : 메인 디스플레이 10 : 보조 디스플레이
20 : 투시창

Claims (3)

  1. 상폴더(1)가 하폴더(2)에 수평방향의 힌지축을 기준으로 개폐되도록 힌지결합됨과 아울러 상폴더(1)가 상기 수평방향의 힌지축에 대한 수직 힌지축을 기준으로 회전되도록 결합된 휴대용 스위블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하폴더(2)의 일정 부위에 시간 등의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보조 디스플레이(10)를 설치하고, 상기 상폴더(1)에는 그 내측에 고정된 디스플레이(5)를 덮거나 반전시켜 개방한 모든 경우에 상기 보조 디스플레이(10)를 투시할 수 있도록 투시창(20)을 메인 디스플레이(5) 이외의 영역에 위치하도록 설치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스위블 단말기의 투과성 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시창(20)이 렌즈로 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스위블 단말기의 투과성 표시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폴더(2)의 메인 디스플레이(5) 상측부에 보조 디스플레이(10)가 설치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스위블 단말기의 투과성 표시장치.
KR1020030067191A 2003-09-27 2003-09-27 휴대용 스위블 단말기의 투과성 표시장치 KR200500310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7191A KR20050031028A (ko) 2003-09-27 2003-09-27 휴대용 스위블 단말기의 투과성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7191A KR20050031028A (ko) 2003-09-27 2003-09-27 휴대용 스위블 단말기의 투과성 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1028A true KR20050031028A (ko) 2005-04-01

Family

ID=37236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7191A KR20050031028A (ko) 2003-09-27 2003-09-27 휴대용 스위블 단말기의 투과성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3102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7422A (ko) * 2004-09-22 2006-03-28 주식회사 팬택 폴더형 개인 휴대 단말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7422A (ko) * 2004-09-22 2006-03-28 주식회사 팬택 폴더형 개인 휴대 단말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22212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a rotatable camera
KR100446747B1 (ko) 회전키패드 이동단말기
JP5125945B2 (ja) 表示部を備えた電子機器
KR101678498B1 (ko) 확장화면형 이동 단말기
KR20020059435A (ko) 휴대전화기
KR100703275B1 (ko) 외부 듀얼 액정표시부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WO2000059179A1 (en) Electronic device having a reversible display
JP2001186226A (ja) 折り畳み式携帯電話機
JPH10123618A (ja) 表示装置アダプタ
KR20050031028A (ko) 휴대용 스위블 단말기의 투과성 표시장치
JP4607298B2 (ja) 表示部を有する電子機器
KR20050073163A (ko) 회전식 표시 장치가 구비된 휴대용 무선 단말기
KR20040108128A (ko) 폴더형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장치
US6812973B2 (en)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movable reflector surfaces providing sub-displays viewable from different viewing directions
JP4112402B2 (ja) 携帯端末装置
KR101260044B1 (ko) 와이드 디스플레이를 구현하기 위한 폴더형 휴대단말기
KR200174763Y1 (ko) 폴더형 휴대폰의 카메라 렌즈 장착장치
JP2012161055A (ja) 遮光フード、及び電子機器
JP2006050057A5 (ko)
CN101370368B (zh) 可携式电子装置
TW200617638A (en) Notebook with a rotatable lens module
KR200314197Y1 (ko) 와이드 스크린 폴더형 휴대폰
KR101258472B1 (ko) 거치대가 구비된 폴더형 휴대단말기
KR20040084151A (ko) 디지털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폰 단말기
KR200362458Y1 (ko) 폴더형 휴대폰용 확대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