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30164A - 접합형 하우징을 갖는 밸브 - Google Patents

접합형 하우징을 갖는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30164A
KR20050030164A KR1020040076752A KR20040076752A KR20050030164A KR 20050030164 A KR20050030164 A KR 20050030164A KR 1020040076752 A KR1020040076752 A KR 1020040076752A KR 20040076752 A KR20040076752 A KR 20040076752A KR 20050030164 A KR20050030164 A KR 200500301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housing
hole
housing member
ho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67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67264B1 (ko
Inventor
미야조에신지
이타가키준이찌
Original Assignee
에스엠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엠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에스엠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301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01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72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72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3/00Details of servomotor systems ; Valve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13/02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 F15B13/04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for use with a single servomotor
    • F15B13/042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for use with a single servomotor operated by fluid pressure
    • F15B13/043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for use with a single servomotor operated by fluid pressure with electrically-controlled pilot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3/00Details of servomotor systems ; Valve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13/02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 F15B13/04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for use with a single servomotor
    • F15B13/0401Valve members; Fluid interconnections therefor
    • F15B13/0402Valve members; Fluid interconnections therefor for linearly sliding valves, e.g. spool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3/00Details of servomotor systems ; Valve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13/02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 F15B13/04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for use with a single servomotor
    • F15B13/042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for use with a single servomotor operated by fluid pressure
    • F15B13/0422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for use with a single servomotor operated by fluid pressure with manually-operated pilot valves, e.g. joysti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10Welded hou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8593Systems
    • Y10T137/86493Multi-way valve unit
    • Y10T137/86574Supply and exhaust
    • Y10T137/86582Pilot-actuated
    • Y10T137/86614Electri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8593Systems
    • Y10T137/86493Multi-way valve unit
    • Y10T137/86574Supply and exhaust
    • Y10T137/86622Motor-operated
    • Y10T137/8663Fluid mo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Valve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2개의 하우징부재를 접합하여 형성한 접합형 하우징을 갖는 밸브에 있어서, 상기 양 하우징부재를 위치가 어긋나는 일없이 정밀도 좋게 접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2개의 하우징부재(10a,10b)의 접합면(38a,38b)의 서로 마주 대하는 위치에 연결구멍(40)을 각각 형성하고, 이들 연결구멍(40,40) 내에 연결핀(41)을 삽입하여 이들 연결구멍(40,40)과 연결핀(41)을 땜납으로 고착함으로써 상기 제 1 하우징부재(10a)와 제 2 하우징부재(10b)를 접합, 일체화하여 하우징을 형성한다.

Description

접합형 하우징을 갖는 밸브{VALVE HAVING JUNCTION TYPE HOUSING}
본 발명은 복수의 하우징부재를 접합하여 형성한 접합형 하우징을 갖는 밸브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특허문헌1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복수의 하우징부재를 접합하여 형성한 접합형 하우징을 갖는 밸브는 종래로부터 공지이다. 이 종래의 밸브에 있어서는 상기 하우징이, 밸브구멍의 축선을 포함하는 분할면에서 상하 2개의 하우징부재로 나누어져 있고, 이들 하우징부재를 서로 접합하고, 이들 접합면을 접착 또는 용접 등의 수단으로 접합시킴으로써 일체로 조립되어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접합형 하우징은 2개의 하우징부재를 접합할 때에 그들이 위치어긋나기 쉽기 때문에, 어떠한 방법으로 양 하우징부재를 위치어긋나지 않도록 유지해 둘 필요가 있다. 양 하우징부재가 위치어긋나게 접합되면 접합후에 밸브구멍을 절삭가공할 때에, 위치어긋난 분만큼 가공비용이 증가하게 되기 때문에 가공에 걸리는 수고나 시간이 많게 되어 비용이 증가한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밸브는 접합시에 위치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갖고 있지 않기 때문에 정밀도 좋게 접합하는 것이 곤란하였다.
한편, 특허문헌2에는 2개의 하우징부재를, 볼록부와 오목부의 끼워맞춤에 의해 위치결정한 상태에서 땜납 접합하는 기술에 대해서 개시되어 있지만, 이들 볼록부와 오목부 사이에는 약간의 갭이 개재되어 있기 때문에 2개의 하우징부재가 어긋나게 움직여, 위치결정 정밀도가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상기 갭을 없애서 위치결정 정밀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이들 볼록부와 오목부를 높은 끼워맞춤 정밀도를 가지도록 가공할 필요가 있어, 하우징부재의 제조에 수고가 든다.
[특허문헌1] 미국 특허 제5,361,803호 명세서
[특허문헌2] 일본 특허 공개 2003-65453호 공보
본 발명의 과제는 2개의 하우징부재를 접합하여 형성한 접합형 하우징을 갖는 밸브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재의 위치어긋남을 확실하게 방지한 상태에서 정밀도 좋게 접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밸브봉이 이동하는 밸브구멍과, 이 밸브구멍에 연통하는 복수의 포트와, 서브 플레이트에 설치하기 위한 실질적으로 평평한 설치면을 구비한 하우징을 갖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밸브구멍의 중심축선을 포함하는 분할면에서 분할된 상측의 제 1 하우징부재와 하측의 제 2 하우징부재를 갖고, 이들 양 하우징부재의 접합면의 서로 마주 대하는 위치에는, 상기 접합면과 직각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연결구멍과, 마주 대하는 연결구멍 내에 끼워맞춰지는 복수의 연결핀이 설치되고, 이들 연결구멍과 연결핀은 위치결정기구와 접합기구를 겸하고 있으며, 상기 연결구멍의 내면 및/또는 연결핀의 외면에 땜납을 도포하여 양자를 서로 고착함으로써, 상기 제 1 하우징부재와 제 2 하우징부재가 위치결정상태에서 서로 접합, 일체화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합형 하우징을 갖는 밸브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구멍의 내면 및/또는 연결핀의 외면에, 양자를 끼워맞춰 접합하였을 때에 구멍 밖으로 새지 않을 양의 땜납이 도포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제 1 하우징부재와 제 2 하우징부재의 접합면 전체에, 기밀성을 유지하기 위한 밀봉부재가 개재되어 있어도 좋고, 또는, 상기 제 1 하우징부재와 제 2 하우징부재의 접합면이 전체적으로 땜납으로 접합되어 있어도 좋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형태에 의하면 상기 제 1 하우징부재와 제 2 하우징부재가, 각각의 접합면의 서로 마주 대하는 위치에, 이들 양 하우징부재를 접합하였을 때에 서로 연통하는 나사 삽입구멍을 갖고, 이 나사 삽입구멍은 2개소에 형성되어 있고, 밸브구멍의 축선방향 일단측과 타단측에 있어서 상기 밸브구멍을 사이에 두고 서로 반대측의 위치를 갖고 있고, 또한, 상기 연결구멍도 2개소에 형성되어 있고, 이들 연결구멍은 밸브구멍에 대해서 상기 나사 삽입구멍과는 반대의 위치관계를 갖고 있다.
도 1~ 도 4는 본 발명에 관한 접합형 하우징을 갖는 밸브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1에는 상기 밸브(1A)를 서브 플레이트(2A) 상에 탑재하여 형성한 밸브 조립체가 나타내어져 있다.
상기 서브 플레이트(2A)는 직사각형 단면을 가지는 블록으로 이루어져 있고, 그 상면에 상기 밸브(1A)를 탑재하기 위한 실질적으로 평평한 탑재면(5)을 갖고 있다. 상기 서브 플레이트(2A)의 내부에는 상기 밸브(1A)에 압축에어 등의 압력유체를 공급하기 위한 1개의 공급유로(6p)와, 상기 밸브(1A)로부터 출력되는 압력유체를 에어실린더 등의 액추에이터에 공급하기 위한 2개의 출력유로(6a,6b)와, 상기 액추에이터로부터의 압력유체를 배출하기 위한 2개의 배출유로(6r,6r)를 갖고, 이들 각 유로가 상기 탑재면(5)에 각각 개구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각 유로(6p,6a,6b,6r,6r)의 단부는 배관 접속구로 되어 있어서 필요한 배관이 접속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밸브(1A)는 싱글 솔레노이드형 파일럿식 5포트밸브로서, 도 2로부터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주밸브부(8)와 전자조작부(9)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주밸브부(8)는 중앙에 위치하는 하우징(10)과, 이 하우징(10)의 축선방향의 양끝면에 설치된 제 1 및 제 2 엔드 블록(11,12)을 갖고 있다. 상기 하우징(10)의 하면에는 상기 서브 플레이트(2A)의 탑재면(5)에 설치하기 위한 실질적으로 평평한 설치면(14)이 형성되고, 하우징(10)의 내부에는 그 하우징(10)을 축선방향으로 관통하는 밸브구멍(15)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밸브구멍(15) 내에 밸브봉(16)이 이동가능하게 수용되어 있다. 이 밸브봉(16)은 밸브구멍(15)의 내면을 슬라이딩하는 복수의 밀봉부재(16a)를 갖고 있고, 이들 밀봉부재(16a)에 의해서 유로를 스위칭하는 스풀식 밸브봉이지만 밸브구멍(15) 내에 설치된 밸브시트를 포핏식으로 개폐하는 타입의 밸브봉이어도 좋다. 또한, 상기 하우징(10)의 하면의 설치면(14)에는 상기 밸브구멍(15)에 연통하는 1개의 공급포트(P)와, 그 양측에 위치하는 2개의 출력포트(A,B)와, 또한 이들 양측에 위치하는 2개의 배출포트(R,R)가 개구하고, 밸브(1A)를 상기 서브 플레이트(2A)의 탑재면(5) 상에 탑재하였을 때, 이들 각 포트(P,A,B,R,R)가 탑재면(5) 상의 대응하는 유로(6p,6a,6b,6r,6r)에 연통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엔드 블록(11,12)에는 각각 피스톤실(18a,18b)이 형성되고, 이들 피스톤실(18a,18b) 내에, 상기 밸브봉(16)을 구동하기 위한 피스톤(19a,19b)이 각각 슬라이딩가능하게 내장되어 있다. 이 중, 제 1 엔드 블록(11)에 형성된 피스톤실(18a)은 소경(小徑)이고, 그 안에는 수압면적이 작은 소경의 제 1 피스톤(19a)이 수용되어 있고, 이것에 대해서 제 2 엔드 블록(12)에 형성된 피스톤실(18b)은 대경(大徑)이고, 그 안에는 수압면적이 큰 대경의 제 2 피스톤(19b)이 수용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는 상기 공급포트(P)에 통하는 파일럿 유로(21)가 상기 밸브구멍(15)과 평행하게 관통하고 있다. 상기 파일럿 유로(21)의 일단은 상기 제 1 엔드 블록(11) 내의 유로를 통해서 상기 제 1 피스톤(19a)의 배후의 제 1 수압실(22a)에 항시 연통하고 있고, 또한, 상기 파일럿 유로(21)의 타단은 상기 제 2 엔드 블록(12)에 설치된 수동조작기구(23)를 통해서 상기 제 2 피스톤(19b)의 배후의 제 2 수압실(22b)에 연통하고 있다. 상기 수동조작기구(23)는 조작부재(23a)를 눌렀을 때, 상기 파일럿 유로(21)를 제 2 수압실(22b)에 연통시키는 것이며, 이와 같은 수동조작기구 자체의 구성 및 기능은 공지의 것과 동일하다.
상기 전자조작부(9)는 상기 2 엔드 블록(12)의 끝면에 설치되어 있고, 3포트식 전자밸브로서의 구성을 갖고 있다. 또한, 코일(26)에 통전하면 축선(L)의 좌반부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철심(27)이 고정철심(28)에 흡착되어 파일럿 공급밸브시트(29)가 개방되기 때문에, 파일럿 유로(21)로부터의 파일럿 유체가 파일럿 입력유로(30), 파일럿 입력포트(31), 상기 파일럿 공급밸브시트(29), 파일럿 출력포트(32), 파일럿 연통로(33)를 통해 제 2 수압실(22b)에 공급되고, 대경의 제 2 피스톤(19b)이 제 1 피스톤(19a)과의 수압면적차에 의해서 도면의 우측방향으로 이동하여, 밸브봉(16)이 도 1에 나타내는 스위칭위치를 갖는다.
또한, 상기 코일(26)로의 통전을 차단하면 축선(L)의 우반부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철심(27)이 고정철심(28)으로부터 이간되어 파일럿 배출밸브시트(34)가 개방되기 때문에, 제 2 수압실(22b) 내의 파일럿 유체가 상기 파일럿 연통로(33), 파일럿 출력포트(32), 상기 파일럿 배출밸브시트(34), 파일럿 배출포트(35), 및 파일럿 배출유로(36)를 통해 배출되기 때문에 제 1 피스톤(19a)에 작용하고 있는 유체압 작용력에 의해서 밸브봉(16)은 도면의 좌측방향으로 이동시켜지고, 도 1과는 반대측의 스위칭위치를 갖는다. 이와 같은 전자조작부(9)의 구성은 일반적인 싱글 솔레노이드형 파일럿식 밸브에 의해서 잘 알려져 있기 때문에 여기서의 그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밸브(1A)의 하우징(10)은, 도 3 및 도 4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밸브구멍(15)의 중심축선을 포함하는 분할면(M)에서 나누어진 상측의 제 1 하우징부재(10a)와 하측의 제 2 하우징부재(10b)로 되어 있고, 이들 하우징부재(10a,10b)를 서로 접합함으로써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분할면(M)은 하우징(10)의 하면의 상기 설치면(14)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면이다.
상기 하우징부재(10a,10b)는 알루미늄계 소재를 다이캐스팅 성형함으로써 얻어진 것이고, 상측의 제 1 하우징부재(10a)에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밸브구멍(15)의 상반분을 구성하는 반구멍부(15a)와, 상기 파일럿 유로(21)가 형성되어 있고, 하측의 제 2 하우징부재(10b)에는 상기 밸브구멍(15)의 하반분을 구성하는 반구멍부(15b)와, 상기 설치면(14)과, 이 설치면(14)에 개구하는 상기 각 포트(P,A,B,R,R)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양 하우징부재(10a,10b)의 접합면(38a,38b)의 서로 마주 대하는 위치에는 연결구멍(40)이 복수 개소에 형성되어 있다. 이들 연결구멍(40)은 연결핀(41)과 협동하여 상기 양 하우징부재(10a,10b)를 서로 위치결정하기 위한 위치결정기구와, 양 하우징부재(10a,10b)를 서로 땜납 접합하기 위한 접합기구를 구성하는 것이다. 도시의 예에서는 접합면(38a,38b)과 직각으로 연장되는 상기 연결구멍(40)이 2개소에 형성되어 있고, 이들 연결구멍(40)이 밸브구멍(15)의 축선방향 일단측과 타단측에 있어서 상기 밸브구멍(15)을 사이에 두고 서로 반대측의 위치를 갖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양 하우징부재(10a,10b)의 접합면(38a,38b)의 서로 마주 대하는 위치에는 양 하우징부재(10a,10b)를 접합하였을 때, 서로 연통하는 나사 삽입구멍(44)이 2개소에 형성되어 있다. 이들 나사 삽입구멍(44)은 밸브(1A)를 서브 플레이트(2A)에 고정할 때에 고정용 나사(45)를 삽입통과하기 위한 것이며, 양 하우징부재(10a,10b)의 측면에 돌출한 돌조부(46)의 위치에, 밸브구멍(15)에 대해서 상기 연결구멍(40)과는 반대의 위치관계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밸브구멍(15)의 축선방향 일단측에 있어서는 그 밸브구멍(15)을 사이에 두고 경사지게 마주 대하는 위치에 상기 연결구멍(40)과 나사 삽입구멍(44)이 형성되고, 밸브구멍(15)의 축선방향 타단측에 있어서는 이들 연결구멍(40)과 나사 삽입구멍(44)이 밸브구멍(15)을 사이에 두고 상기와는 반대의 위치관계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부재(10b,10b)의 측면의 상기 돌조부(46)와 완전히 마주 대하는 위치에는 상기 돌조부(46)가 끼워맞춰지는 크기의 오목홈(47)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연결구멍(40)과 나사 삽입구멍(44)은 완전히 마주 대하는 위치에는 없고, 연결구멍(40)이 나사 삽입구멍(44)보다 약간 하우징부재(10a,10b)의 중앙(내측)에 접근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양 하우징부재(10a,10b)는 마주 대하는 연결구멍(40,40) 내에 연결핀(41)을 양 하우징부재(10a,10b)에 걸치도록 삽입하고, 즉, 상기 연결핀(41)의 한쪽 절반부가 제 1 하우징부재(10a)의 연결구멍(40) 내에 끼워맞춰지고, 다른쪽 절반부가 제 2 하우징부재(10b)의 연결구멍(40) 내에 끼워맞춰지도록 삽입하여, 이들 연결구멍(40)과 연결핀(41)을 땜납으로 고착함으로써 서로 접합, 일체화되어 있다. 상기 연결구멍(40) 내에 연결핀(41)을 땜납으로 고착하는 경우, 이들 연결구멍(40)의 내면과 연결핀(41)의 외면 중 적어도 한쪽에 미리 땜납을 코팅하여 두고, 상기 연결핀(41)을 연결구멍(40) 내에 삽입한 후, 양 하우징부재(10a,10b)를 서로 가압하면서 가열함으로써 상기 땜납을 용융시키고, 그 후에 그 땜납을 냉각하여 고화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연결구멍(40)의 내면 및/또는 연결핀(41)의 외면에 코팅하는 땜납의 양은, 상기 연결구멍(40) 내에 연결핀(41)을 끼워맞추어 접합하였을 때, 땜납이 구멍 밖으로 새지 않을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접합면(38a,38b)으로부터 땜납이 삐져나오는 것이 억제되기 때문에, 양호한 마무리상태를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삐져나온 땜납을 2차가공으로 제거할 필요가 없게 된다.
또한, 상기 양 하우징부재(10a,10b)의 접합면(38a,38b)의 연결구멍(40,40) 이외의 부분은 반드시 땜납으로 접합할 필요는 없지만 상기 연결구멍(40) 이외의 부분에도, 상기 접합면으로부터 삐져나오지 않을 정도의 소량의 땜납을 미리 코팅하여 둠으로써, 접합면(38a,38b) 전체을 땜납으로 접합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접합면(38a,38b) 전체를 땜납으로 접합하지 않는 경우에는 양 접합면(38a,38b) 사이의 기밀성을 유지하기 위해 이들 접합면(38a,38b) 사이에 합성수지제의 박막이나 밀봉재 등으로 이루어지는 밀봉부재를 개재시켜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위치결정기구와 접합기구를 겸하는 상기 연결구멍(40)과 연결핀(41)을 설치하고, 이들 연결구멍(40)과 연결핀(41)을 땜납으로 접합함으로써 이들 연결구멍(40)과 연결핀(41) 사이의 갭을 완전히 없앤 상태에서 양 하우징부재(10a,10b)를 접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양 하우징부재(10a,10b)를 고도로 위치결정한 상태에서 정밀도 좋게 접합할 수 있다. 또한, 접합의 중심이 되는 부분이 상기 연결핀(41)과 연결구멍(40)에 의해서 일정한 위치에 특정되기 때문에 접합강도의 불균형이 없게 되고, 양 하우징부재(10a,10b)를 항상 일정한 접합강도로 접합할 수 있고, 품질의 안정화가 도모된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하우징(10)은 필요에 따라 외측면이나 밸브구멍(15)의 내면 등에 절삭이나 연마 등의 마무리가공이 실시된 후, 상기 밸브구멍(15) 내에 밸브봉(16)이 삽입됨과 아울러 양단부에 제 1 및 제 2 엔드 블록(11,12)이 연결되고, 또한, 제 2 엔드 블록(12)의 외측에 전자조작부(9)를 설치함으로써 밸브(1A)로서 조립되고, 나사(45)에 의해 상기 서브 플레이트(2A)의 탑재면(5)에 고정된다. 이 때, 상기 나사(45)에 의해서 밸브(1A)가 서브 플레이트(2A)에 고정됨과 동시에, 상기 나사(45)에 의해서 제 1 및 제 2 양 하우징부재(10a,10b)가 접합방향으로 체결되기 때문에 이들 접합강도는 보다 증대하고, 압력유체에 의한 반발력이나 배관으로부터의 외부작용력 등이 작용한 경우의 내력(耐力)이 매우 크고, 안정성이 높다.
또한, 도 1에는 1개의 밸브(1A)를 단체형의 서브 플레이트(2A) 상에 탑재하여 형성한 밸브조립체가 나타내어져 있지만, 복수의 탑재면을 구비한 집합형 서브 플레이트 상에 복수의 밸브를 탑재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출력유로는 개개의 밸브에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관한 밸브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 제 2 실시예의 밸브(1B)가 상기 제 1 실시예의 밸브(1A)와 상위한 점은 제 1 실시예의 밸브(1A)가 베이스 배관형인 것에 대해서, 상기 제 2 실시예의 밸브(1B)는 직접 배관형인 점이다. 즉, 제 1 실시예의 밸브(1A)의 경우는 출력포트(A,B)가 서브 플레이트(2A)의 출력유로(6a,6b)에 연통하고 있어서 상기 서브 플레이트(2A)를 통해서 액추에이터에 배관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이것에 대해서 제 2 실시예의 밸브(1B)는 출력포트(A,B)가 주밸브부(8)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출력포트(A,B)에 액추에이터로부터의 배관이 직접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 2 실시예의 밸브(1B)의 상기 구성에 대해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하우징(10)을 구성하는 제 1 및 제 2 하우징부재(10a,10b) 중, 상측의 제 1 하우징부재(10a)의 상면에는 밸브구멍(15)에 통하는 2개의 출력통공(53A,53B)을 구비한 블록 설치면(54)이 형성되어 있고, 이 블록 설치면(54)에, 상기 출력통공(53A,53B)에 통하는 2개의 출력포트(A,B)를 구비한 포트 블록(55)이, 나사(56)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상기 출력포트(A,B)에는 각각 퀵(quick) 접속식의 조인트 커플링(57)이 설치되고, 이들 조인트 커플링(57)에 상기 배관이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하측의 제 2 하우징부재(10b)의 하면의 설치면(14)에는 1개의 공급포트(P)와 2개의 배출포트(R,R)가 설치되어 있고, 출력포트(A,B)는 설치되어 있지 않다.
또한, 상기 밸브(1A)를 탑재하는 서브 플레이트(2B)는 베이스 배관형 밸브(1A)에도 공용할 수 있는 것으로, 상면의 탑재면(5)에 공급유로(6p)와 출력유로(6a,6b)와 배출유로(6r,6r)가 개구하고, 이들 각 유로에 통하는 배관 접속구가 서브 플레이트(2A)의 하면에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배관 접속구의 도시는 생략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2 실시예에서는 직접 배관형 밸브(1B)가 상기 탑재면(5)에 탑재되기 때문에 상기 출력유로(6a,6b)와 이 출력유로(6a,6b)에 통하는 배관 접속구는 기능하지 않는다.
도면 중 58,59는 상기 서브 플레이트(2B)를 소정의 위치에 설치하기 위한 나사가 삽입되는 설치용 구멍이다.
이 제 2 실시예의 상기 이외의 구성 및 작용 또는 바람직한 변형예 등에 대해서는 실질적으로 상기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들 동일 구성부분에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각 실시예의 밸브(1A,1B)는 싱글 솔레노이드형 파일럿식 5포트 밸브이지만 밸브의 형식은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더블 솔레노이드형 밸브이어도 좋고, 3포트나 4포트의 밸브이어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하면 양 하우징부재의 접합면의 마주 대하는 위치에, 위치결정기구와 접합기구를 겸하는 복수의 연결구멍과 연결핀을 설치하고, 상기 연결구멍의 내면 및/또는 연결핀의 외면에 땜납을 도포하여 이들 연결구멍과 연결핀을 서로 고착함으로써 상기 양 하우징부재를, 이들 연결구멍과 연결핀의 위치에서 서로의 위치어긋남을 확실하게 방지한 상태에서 정밀도 좋게 접합, 일체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밸브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 밸브를 서브 플레이트 상에 탑재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2는 상기 밸브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제 1 실시예의 밸브의 하우징을 구성하는 제 1 하우징부재와 제 2 하우징부재를 분해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상기 제 1 하우징부재를 상하 반전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관한 밸브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 밸브를 서브 플레이트 상에 탑재하기 이전 상태에서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상기 제 2 실시예의 밸브의 하우징을 구성하는 제 1 하우징부재와 제 2 하우징부재를 분해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P,A,B,R … 포트 M … 분할면
1A,1B … 밸브 2A,2B … 서브 플레이트
10 … 하우징 10a,10b … 하우징부재
14 … 설치면 15 … 밸브구멍
16 … 밸브봉 38a,38b … 접합면
40 … 연결구멍 41 … 연결핀
44 … 나사 삽입구멍

Claims (5)

  1. 밸브봉이 이동하는 밸브구멍과, 이 밸브구멍에 연통하는 복수의 포트와, 서브 플레이트에 설치하기 위한 실질적으로 평평한 설치면을 구비한 하우징을 갖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밸브구멍의 중심축선을 포함하는 분할면에서 분할된 상측의 제 1 하우징부재와 하측의 제 2 하우징부재를 갖고, 이들 양 하우징부재의 접합면의 서로 마주 대하는 위치에는, 상기 접합면과 직각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연결구멍과, 마주 대하는 연결구멍 내에 끼워맞춰지는 복수의 연결핀이 설치되고, 이들 연결구멍과 연결핀은 위치결정기구와 접합기구를 겸하고 있으며, 상기 연결구멍의 내면 및/또는 연결핀의 외면에 땜납을 도포하여 양자를 서로 고착함으로써 상기 제 1 하우징부재와 제 2 하우징부재가 위치결정상태에서 서로 접합, 일체화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합형 하우징을 갖는 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멍의 내면 및/또는 연결핀의 외면에, 양자를 끼워맞춰 접합하였을 때에 구멍 밖으로 새지 않을 양의 땜납이 도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합형 하우징을 갖는 밸브.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하우징부재와 제 2 하우징부재의 접합면 전체에, 기밀성을 유지하기 위한 밀봉부재가 개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합형 하우징을 갖는 밸브.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하우징부재와 제 2 하우징부재의 접합면이 전체적으로 땜납으로 접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합형 하우징을 갖는 밸브.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하우징부재와 제 2 하우징부재가, 각각의 접합면의 서로 마주 대하는 위치에, 이들 양 하우징부재를 접합하였을 때에 서로 연통하는 나사 삽입구멍을 갖고, 이 나사 삽입구멍은 2개소에 형성되어 있으며, 밸브구멍의 축선방향 일단측과 타단측에 있어서 상기 밸브구멍을 사이에 두고 서로 반대측의 위치를 갖고 있고, 또한, 상기 연결구멍도 2개소에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연결구멍은 밸브구멍에 대해서 상기 나사 삽입구멍과는 반대의 위치관계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합형 하우징을 갖는 밸브.
KR1020040076752A 2003-09-24 2004-09-24 접합형 하우징을 갖는 밸브 KR1005672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332265 2003-09-24
JP2003332265A JP2005098376A (ja) 2003-09-24 2003-09-24 接合形ハウジングを有するバルブ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0164A true KR20050030164A (ko) 2005-03-29
KR100567264B1 KR100567264B1 (ko) 2006-04-04

Family

ID=34308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6752A KR100567264B1 (ko) 2003-09-24 2004-09-24 접합형 하우징을 갖는 밸브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124778B2 (ko)
JP (1) JP2005098376A (ko)
KR (1) KR100567264B1 (ko)
CN (1) CN100430611C (ko)
DE (1) DE102004043979A1 (ko)
TW (1) TWI289639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0399B1 (ko) * 2005-06-15 2007-06-19 할덱스 브레이크 코포레이션 공기 브레이크 차량용 모듈형 전자 브레이크 밸브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819104A1 (en) * 2010-12-20 2012-06-28 Mack Trucks, Inc. Cartridge egr valve assembly
US9422783B2 (en) 2012-08-30 2016-08-23 Hydril Usa Distribution, Llc Stabilized valve
CN103032399B (zh) * 2012-12-25 2015-04-08 太重煤机有限公司 一种采煤机用集成阀组
DE102020215250A1 (de) * 2020-12-03 2022-06-09 Festo Se & Co. Kg Ventileinheit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787628A (en) * 1929-02-07 1931-01-06 Virgil B Jones Engine head
US2295111A (en) * 1940-01-02 1942-09-08 Smith & Sons Ltd S Manufacture of tubular valve members
US4515184A (en) * 1983-07-18 1985-05-07 Abex Corporation Modular directional valve
US4748897A (en) * 1986-09-05 1988-06-07 Hoge Ned W Subbase for a pneumatic control assembly for a pneumatic cylinder
US4770210A (en) * 1987-07-23 1988-09-13 Mac Valves, Inc. Valve manifold stacking base
DE4223358C2 (de) * 1992-07-16 1994-11-03 Festo Kg Kolbenschieberventil
JP2616875B2 (ja) * 1993-05-12 1997-06-04 エスエムシー株式会社 マニホールドバルブ
DE4324939C2 (de) * 1993-07-24 1995-11-23 Festo Kg Kolbenschieberventil
DE4400760C2 (de) * 1994-01-13 1997-03-27 Festo Kg Mehrwegeventil
US5556074A (en) * 1995-07-03 1996-09-17 Pacific Valves High temperature valve
TW347882U (en) * 1996-08-01 1998-12-11 Smc Corp Pressure-control valve mounted on a base-mount selector valve
JP2003065453A (ja) 2001-08-28 2003-03-05 Smc Corp バルブ用ボディ及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0399B1 (ko) * 2005-06-15 2007-06-19 할덱스 브레이크 코포레이션 공기 브레이크 차량용 모듈형 전자 브레이크 밸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04043979A1 (de) 2005-04-28
CN1601116A (zh) 2005-03-30
US20050061376A1 (en) 2005-03-24
JP2005098376A (ja) 2005-04-14
US7124778B2 (en) 2006-10-24
CN100430611C (zh) 2008-11-05
TWI289639B (en) 2007-11-11
KR100567264B1 (ko) 2006-04-04
TW200512410A (en) 2005-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440053Y2 (ko)
JP4919002B2 (ja) マニホールド形電磁弁集合体
EP0767330B1 (en) Manifold-type solenoid valves
DK2558754T3 (en) stackable shuttle valve
EP0703392B1 (en) Seal construction for use in valve assembly
EP0898103B1 (en) Three-port solenoid valve using valve body for five-port solenoid valve
KR100567264B1 (ko) 접합형 하우징을 갖는 밸브
US11549608B2 (en) Pilot-type electromagnetic valve
US4526343A (en) Device for the distribution of a fluid
EP1288545B1 (en) Valve body
WO2020100201A1 (ja) 複合弁
US4513783A (en) Directional control valve
US4494573A (en) Electrovalve
TW202012817A (zh) 線軸閥
JP3892148B2 (ja) 圧力制御弁
JP2587536Y2 (ja) 電磁弁
JP7358524B2 (ja) 電気油圧式圧力調整弁
JP2605201Y2 (ja) 電磁弁
CN110259746B (zh) 全桥式液压阀导控机构
WO2023238560A1 (ja) 制御弁
JPH0535313B2 (ko)
JP7373379B2 (ja) スライド式切換弁及び冷凍サイクルシステム
JPH10325476A (ja) 切換弁
JP2667780B2 (ja) パイロット式電磁弁
JPH10332006A (ja) 切換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