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30093A - Device for making a roll of water tissue - Google Patents

Device for making a roll of water tissu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30093A
KR20050030093A KR1020040013382A KR20040013382A KR20050030093A KR 20050030093 A KR20050030093 A KR 20050030093A KR 1020040013382 A KR1020040013382 A KR 1020040013382A KR 20040013382 A KR20040013382 A KR 20040013382A KR 20050030093 A KR20050030093 A KR 200500300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material
watering
flow rate
towel
ro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338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다카하다마사다카
노자와다카유끼
구리스마사카즈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후지 덴쟈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후지 덴쟈이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후지 덴쟈이
Publication of KR200500300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0093A/en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44Free-space packings
    • F16J15/447Labyrinth packings
    • F16J15/453Labyrinth packing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materi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 F16J15/021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elastic packing
    • F16J15/02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elastic packing characterised by structure or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 F16J15/06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 F16J15/061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with position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77/00Seal for a joint or jun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king Paper Articles (AREA)
  • Body Washing Hand Wipes And Brushes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A device for making a roll of a water tissue is provided to manufacture a roll of a water tissue having a proper moisture content by adjusting amount of water sprayed on a sheet material. The device for making a roll of a water tissue includes a providing unit(20) for extracting a sheet material from a towel roll, a cutting unit(30) cutting the sheet material in a predetermined length, a water spraying unit(40) spraying water on the sheet material, a forming unit(50) forming a roll of a water tissue by winding the cut sheet material into a roll, an indicating unit for indicating information on the sheet material, and an adjusting unit for adjusting amount of water sprayed on the tissue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of the indicating unit.

Description

두루말이 물수건 제조장치 {DEVICE FOR MAKING A ROLL OF WATER TISSUE}Rolling Towel Maker {DEVICE FOR MAKING A ROLL OF WATER TISSUE}

본 발명은 두루말이 물수건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시트재의 살수량을 조절하여 시트재의 두께나 길이에 관계없이 적절한 습기 상태의 두루말이 물수건을 제조 가능한 두루말이 물수건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rolled towel,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rolled towel which can manufacture a rolled towel in a suitable moisture state regardless of the thickness or length of the sheet member by adjusting the amount of water sprayed on the sheet member.

종이나 부직포로 되는 시트재를 롤 형상으로 권취하여 두루말이 물수건을 제조하는 두루말이 물수건 제조장치가 있다. 이 두루말이 물수건 제조장치는 종래부터 물을 살수하기 위한 살수수단을 구비하고, 이 살수수단에 의하여 시트재에 물을 살수하여 적당한 습기가 부여된 두루말이 물수건을 제조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There is a rolled paper towel manufacturing apparatus for winding a sheet material made of paper or nonwoven fabric into a roll shape to produce a rolled paper towel. This rolled-up wet towel manufacturing apparatus is conventionally equipped with the watering means for watering, and it is common that it is comprised so that water can be manufactured by the watering means to a sheet | seat material by which the scroll was given the suitable wet towel.

그리고, 계절이나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따뜻한 두루말이 물수건이나 차가운 두루말이 물수건을 제조 가능하도록 구성된 두루말이 물수건 제조장치도 제안되었다. 예를 들면, 일본 특허 제 3213837호 공보에 기재된 두루말이 물수건 제조장치는 가열 냉각용 열전소자에 의하여 가열 또는 냉각된 물(온수 또는 냉수)을 펌프의 압송력에 의하여 시트재에 살수하여 따뜻한 두루말이 물수건 또는 차가운 두루말이 물수건을 제조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season or the user's taste, a rolled towel manufacturing apparatus has been proposed that is configured to make a warm rolled towel or a cold rolled towel. For example, the rolled-up wet wipe manufacturing apparatus described in Japanese Patent No. 3213837 uses water or hot water heated or cooled by a thermoelectric element for heating and cooling to the sheet material by the pumping force of the pump, so that the warm rolled towel or Cold scrolls are designed to make a wet towel.

그런데, 최근에는 보다 고급스러움을 지니는 두루말이 물수건을 제공하기 위해 두꺼운 시트재를 사용하는 두루말이 물수건의 요구가 높아지고 있어, 종래의 얇은 시트재에 더하여 두꺼운 시트재로도 두루말이 물수건을 제조 가능한 두루말이 물수건 제조장치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또한, 상황에 따라 여러 직경의 두루말이 물수건을 제공할 수 있도록 시트재의 길이를 변경 가능한 두루말이 물수건 제조장치의 개발도 진행되고 있다.However, in recent years, the use of a thick sheet of paper to provide a wet towel more luxurious, the demand for a hand towel is increasing, and in addition to the conventional thin sheet material, a rolled paper towel manufacturing apparatus capable of manufacturing a roll towel using a thick sheet material Development is underway. In addition, the development of a roll towel wipe manufacturing apparatus that can change the length of the sheet material in order to provide a roll towel of different diameters depending on the situation.

그러나, 종래의 두루말이 물수건 제조장치에서는 시트재로의 살수량이 일정하기 때문에, 시트재의 두께나 길이가 변경된 경우에는 살수 과다 또는 살수 부족이 발생하여버려 적절한 습기 상태의 두루말이 물수건을 제공할 수 없게 될 뿐만 아니라 두루말이 물수건의 성형 자체가 불가능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roll towel manufacturing apparatus, since the amount of water sprayed to the sheet material is constant, when the thickness or the length of the sheet material is changed, excessive spraying or shortage of water may occur, and the roll of the proper moisture may not be able to provide the wet towel. In addition,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roll itself is impossible to mold the towel.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시트재로의 살수량을 조절하여 시트재의 두께나 길이에 관계없이 적절한 습기 상태의 두루말이 물수건을 제조할 수 있는 두루말이 물수건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by adjusting the amount of water to the sheet material, regardless of the thickness and length of the sheet material to provide a rolled towel wipe manufacturing apparatus capable of manufacturing a rolled towel in an appropriate moisture state. have.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두루말이 물수건 제조장치는 타올 롤로부터 띠 형상의 시트재를 인출하는 송급수단과, 상기 송급수단에 의해 인출된 시트재를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는 절단수단과, 상기 절단수단보다도 상기 시트재의 반송경로 하류측에 배설됨과 동시에 상기 시트재에 살수하여 습기를 부여하는 살수수단과, 상기 절단수단에 의해 절단된 시트재를 롤 형상으로 권취하여 두루말이 물수건을 성형하는 성형수단을 구비하는 두루말이 물수건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시트재에 관한 정보를 지정하는 지정수단과, 상기 지정수단에 의해 지정된 정보에 따라 상기 살수수단에 의한 살수량을 조절하는 조절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rolled towel wipe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feeding means for withdrawing a strip-shaped sheet material from a towel roll, and a sheet material drawn out by the feeding means a predetermined length Cutting means for cutting with a roll, watering means for distributing water on the sheet material downstream of the conveying path downstream from the cutting means and spraying the sheet material to impart moisture, and the sheet material cut by the cutting means in a roll shape. A rolled-up wet towel manufacturing apparatus comprising: forming means for forming a rolled up wet towel, comprising: designation means for designating information on the sheet material, and adjusting watering amount by the watering means in accordance with information designated by the designation means; And adjusting means.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두루말이 물수건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정수단은 상기 시트재의 두께에 관한 정보를 지정하는 두께 지정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조절수단에 의한 상기 살수량의 조절은 상기 두께 지정수단에 의해 지정된 시트재의 두께에 따라 실행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as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crolling towel manufacturing apparatus, the designation means includes a thickness designation means for designating information on the thickness of the sheet material, and the adjustment of the watering amount by the adjustment means is the thicknes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be executed in accordance with the thickness of the sheet material specified by the designation means.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두루말이 물수건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정수단은 상기 절단수단에 의해 절단하는 시트재의 길이에 관한 정보를 지정하는 길이 지정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조절수단에 의한 상기 살수량의 조절은 상기 길이 지정수단에 의해 지정된 시트재의 길이에 따라 실행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s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roll towel manufacturing apparatus, the designation means is provided with length designation means for designating information about the length of the sheet material cut by the cutting means, wherein the flesh by the adjustment means The adjustment of the quantity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be carried out in accordance with the length of the sheet material specified by the length specifying means.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두루말이 물수건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절수단은 상시 살수수단에 의한 살수시간을 변경하는 살수시간 변경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살수시간 변경수단으로 상기 살수시간을 변경함으로써 상기 지정수단에 의해 지정된 정보에 따라 상기 살수량의 조절을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as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croll wet wipes manufacturing apparatus, the adjusting means is provided with a sprinkling time changing means for changing the sprinkling time by the constant sprinkling means, by changing the sprinkling time by the sprinkling time changing means And adjust the watering amount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designated by the designation means.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두루말이 물수건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절수단은 상기 살수수단에 의한 단위시간 당 살수유량을 변경하는 살수유량 변경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살수유량 변경수단으로 상기 살수유량을 변경함으로써 상기 지정수단에 의해 지정된 정보에 따라 상기 살수량의 조절을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as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crolling wipes manufacturing apparatus, the adjusting means is provided with a watering flow rate changing means for changing the watering flow rate per unit time by the watering means, the watering flow rate changing mean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perform the adjustment of the watering amount in accordance with the information specified by the designation means by changing th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두루말이 물수건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살수시간을 규정하는 시간 매개변수 데이터 또는 상기 살수유량을 규정하는 유량 매개변수 데이터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시트재의 두께 또는 길이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와 관련지어진 매개변수표 데이터와, 상기 매개변수표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수단과,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된 매개변수표 데이터로부터 상기 두께 지정수단에 의해 지정된 상기 시트재의 두께 또는 상기 길이 지정수단에 의해 지정된 상기 시트재의 길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시간 매개변수 데이터 또는 유량 매개변수 데이터 중 어느 하나를 읽어내는 읽기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조절수단에 의한 상기 살수량의 조절은 상기 읽기수단에 의해 상기 매개변수표 데이터로부터 읽어낸 상기 시간 매개변수 데이터 또는 유량 매개변수 데이터에 따라 상기 살수시간 또는 상기 살수유량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기 살수시간 변경수단 또는 살수유량 변경수단에 의해 변경함으로써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as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of the time parameter data for defining the watering time or the flow rate parameter data for defining the watering flow rate in the roll towel manufacturing apparatus, at least one of the thickness or length of the sheet material. The thickness of the sheet material or the length designation means designated by the thickness designation means from the parameter table data associated with any one, the storage means for storing the parameter table data, and the parameter table data stored in the storage means. Reading means for reading any one of time parameter data or flow rate parameter data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of the length of the sheet material specified by < RTI ID = 0.0 >, < / RTI > Read from the parameter table data by Characterized in that in accordance with the time parameter or data flow parameter data to be performed by changing by means of at least one said spray means time changing means for changing the flow rate or the spray flow rate of the water spray or the spray tim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두루말이 물수건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시간 매개변수 데이터는 상기 성형수단에 의해 롤 형상으로 권취되는 시트재이며 상기 절단수단에 의해 절단된 후의 상기 시트재로 살수하는 경우, 상기 살수수단의 살수시간을 규정하는 절단후 시간 매개변수 데이터를 구비하고, 상기 매개변수표 데이터에는 상기 절단후 시간 매개변수 데이터가 상기 시트재의 두께 또는 길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관련지어져 기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se where the scroll is a wet towel manufacturing apparatus, the time parameter data is a sheet material wound in a roll shape by the forming means and watered by the sheet material after being cut by the cutting means. And the post-cutting time parameter data defining the watering time of the watering means, wherein the parameter table data stores the post-cutting time parameter data in association with at least one of the thickness or length of the sheet material. It features.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두루말이 물수건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량 매개변수 데이터는 상기 송급수단에 의해 타올 롤로부터 인출되어 상기 성형수단으로 인입되는 시트재이며, 상기 절단수단에 의해 절단되기 전에 상기 시트재로 살수하는 경우에 있어 상기 살수수단의 살수유량을 규정하는 인입시 유량 매개변수 데이터를 구비하고, 상기 매개변수표 데이터에는 상기 인입시 유량 매개변수 데이터가 상기 시트재의 두께 또는 길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관련지어져 기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as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wet towel manufacturing apparatus, the flow rate parameter data is a sheet member drawn out from the towel roll by the feeding means and drawn into the forming means, before being cut by the cutting means. In the case of sprinkling with the sheet material, the inlet flow rate parameter data defining the sprinkling flow rate of the sprinkling means is provided, and the parameter table data includes at least one of the thickness or length of the sheet material.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stored in association with any on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두루말이 물수건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량 매개변수 데이터는 상기 성형수단에 의해 롤 형상으로 권취되는 시트재이며, 상기 절단수단에 의해 절단된 후에 상기 시트재로 살수하는 경우에 있어 상기 살수수단의 살수유량을 규정하는 절단후 유량 매개변수 데이터를 구비하고, 상기 매개변수표 데이터에는 상기 절단후 유량 매개변수 데이터가 상기 시트재의 두께 또는 길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관련지어져 기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in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rolled towel manufacturing apparatus, the flow rate parameter data is a sheet material wound in a roll shape by the forming means, and the sheet material is sprayed into the sheet material after being cut by the cutting means. In some cases, after the cutting flow rate parameter data defining the watering flow rate of the watering means is provided, wherein the parameter table data is stored in association with at least one of the thickness or length of the sheet material It is characterized by.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두루말이 물수건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살수수단의 살수유량을 하한값과 상한값 사이로 설정하는 살수유량 설정수단과, 상기 살수유량 설정수단에 의해 설정된 값이 상기 하한값부터 상한값까지의 범위에서 점하는 비율을 산출하는 산출수단을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인입시 유량 매개변수 데이터 또는 절단후 유량 매개변수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최소값 데이터와 최대값 데이터를 구비하고, 상기 조절수단에 의한 상기 살수량의 조절은 상기 산출수단에 의해 산출된 비율에 대응하여 상기 최소값 데이터로부터 상한값 데이터까지의 범위로 산출되는 상기 인입시 유량 매개변수 데이터 또는 절단후 유량 매개변수 데이터에 따라 상기 살수시간 또는 상기 살수유량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변경함으로써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as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wet towel manufacturing apparatus, the watering flow rate setting means for setting the watering flow rate of the watering means between the lower limit and the upper limit, and the value set by the watering flow rate setting means is from the lower limit to the upper limit. At least one of the flow rate parameter data at the time of inputting or the flow rate parameter data after cutting is provided with minimum value data and maximum value data. The watering time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flow rate parameter data at the time of input or the flow rate parameter data after cutting, which is calculated in the range from the minimum value data to the upper limit data corresponding to the ratio calculated by the calculating means. By changing at least one of the sprinkling flow rate Characterized in that the run.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두루말이 물수건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살수유량 설정수단은 정지위치에 따라 달라지는 저항값을 출력함과 동시에,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가능하며 조작가능한 로터리 스위치에 의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s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crolling device for manufacturing wet wipes, the watering flow rate setting means outputs a resistance value depending on the stop position, and is configured by a rotary switch rotatable in a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and operable. It is characterized by.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두루말이 물수건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매개변수표 데이터에는 상기 송급수단에 의한 상기 시트재의 인출동작이 개시되면서부터 상기 살수수단에 의한 살수동작을 개시하기까지의 대기시간을 규정하는 초기 대기시간 매개변수 데이터가 상기 시트재의 두께 또는 길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관련지어져 기억되고, 상기 살수수단에 의한 살수는 상기 초기 대기시간 매개변수 데이터에 규정되는 대기시간의 경과 후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s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crolling device for manufacturing a wet wipe, the parameter table data includes a waiting time from when the withdrawal operation of the sheet material is started by the supply means to start the watering operation by the watering means. The initial waiting time parameter data for defining a value is stored in association with at least one of the thickness or the length of the sheet material, and the watering by the watering means is executed after the elapse of the waiting time defined in the initial waiting time parameter data. It is characterized by.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두루말이 물수건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매개변수표 데이터에는 상기 절단수단에 의한 절단조작이 개시되면서부터 상기 살수수단에 의한 살수동작을 개시하기까지의 대기시간을 규정하는 절단후 대기시간 매개변수 데이터가 상기 시트재의 두께 또는 길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관련지어져 기억되고, 상기 살수수단에 의한 살수는 상기 절단후 대기시간 매개변수 데이터에 규정되는 대기시간의 경과 후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as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wet towel manufacturing apparatus, the parameter table data defines a waiting time from the start of the cutting operation by the cutting means to the start of the watering operation by the watering means. The post-cutting wait time parameter data is stored in association with at least one of the thickness or the length of the sheet material, and the watering by the watering means is executed after the elapse of the waiting time defined in the post-cutting wait time parameter data. It features.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두루말이 물수건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살수수단은 물을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는 물을 압송하는 압송수단과, 상기 압송수단에 의해 압송된 물을 상기 시트재에 살수하는 살수노즐과, 상기 살수노즐과 상기 압송수단을 상호 접속하여 물의 유로를 형성하는 송수호스를 구비하며, 상기 매개변수표 데이터에는 상기 송급수단에 의한 상기 시트재의 인출동작이 개시되면서부터 상기 살수수단에 의한 살수동작을 개시하기까지의 대기시간, 또는 상기 절단수단에 의한 절단조작이 개시되면서부터 상기 살수수단에 의한 살수동작을 개시하기까지의 대기시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대기시간 동안 상기 압송수단의 예압 구동력을 규정하는 예압 구동력 매개변수 데이터가 상기 시트재의 두께 또는 길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관련지어져 기억되고, 상기 압송수단은 상기 적어도 어느 하나의 대기시간 동안 상기 예압 구동력 매개변수 데이터에 규정되는 예압 구동력에 따라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as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rolled-up wipes manufacturing apparatus, the watering means is a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water, the pressure-feeding means for pumping the water stored in the storage unit, the water conveyed by the pressure-feeding means And a water spray hose which connects the water spray nozzle and the feeding means to form a water flow path, wherein the parameter table data includes a drawing operation of the sheet material by the feeding means. At least one of the waiting time from the start until the start of the watering operation by the watering means, or the waiting time from the start of the watering operation by the watering means to the start of the watering operation by the watering means. The preload driving force parameter data defining the preload driving force of the feeding means during It is stored in association with at least one of the lengths, and the conveying means is driven in accordance with the preload driving force defined in the preload driving force parameter data during the at least one waiting tim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두루말이 물수건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송수호스는 그 정상부가 상기 저장부 및 상기 살수노즐보다도 높은 위치를 통과하도록 당겨 돌려지며, 상기 예압 구동력 매개변수 데이터의 값은 상기 압송수단에 의해 압송되는 물이 상기 송수호스의 정상부에 도달하지 않을 정도의 예압 구동력을 상기 압송수단에 부여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in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rolled towel manufacturing apparatus, the water hose is turned so that its top portion passes through a position higher than the storage portion and the water spray nozzle, and the value of the preload driving force parameter data i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eeding means is provided with a preload driving force such that water fed by the feeding means does not reach the top of the water hos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두루말이 물수건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초기 대기시간 매개변수 데이터의 값은 상기 시트재의 길이가 적어도 가장 짧은 경우의 대기시간이 기타 경우의 대기시간보다도 길게 됨과 동시에, 상기 예압 구동력 매개변수 데이터의 값은 상기 시트재의 길이가 적어도 가장 짧은 경우의 예압 구동력이 기타 경우의 예압 구동력보다 크게 됨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s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alue of the initial waiting time parameter data in the scroll wet towel manufacturing apparatus is such that the waiting time when the length of the sheet material is at least the shortest is longer than the other waiting time. The value of the preload driving force parameter data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reload driving force in the case where the length of the sheet material is at least the shortest is larger than the preload driving force in the other cases.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두루말이 물수건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인입시 유량 매개변수 데이터의 적어도 최소값 데이터는 상기 살수수단으로부터 살수가 실행되지 않는 값으로 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the minimum value data of the flow rate parameter data at the time of introduction is defined as a value at which watering is not performed from the watering means.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두루말이 물수건 제조장치의 외부 사시도이고, 상부 커버(3)가 분리된 상태의 두루말이 물수건 제조장치(1)를 도시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두루말이 물수건 제조장치(1)의 외부 구조에 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1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a rolled towel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ws a rolled towel manufacturing apparatus 1 in a state where the upper cover 3 is separated. First, with reference to FIG. 1, the external structure of a rolled towel manufacturing apparatus 1 is demonstrated.

두루말이 물수건 제조장치(1)는 종이, 부직포, 화학섬유 펄프 등으로 되는 시트재를 사용하여 두루말이 물수건(M: 도 3 참조)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로서, 도 1에 나타내듯이 본체(2)와 상부 커버(3)를 주로 구비한다. 본체(2)는 두루말이 물수건 제조장치(1)의 골격을 이루는 부재로서, 대략 상자형의 외관을 가지는 구조로 되어있다. 상기 본체(2)의 상측(도 1의 상측)은 도 1에서 나타내듯이 개구되어 구성되고, 이 개구부는 상부 커버(3)에 의하여 닫힐 수 있다.The rolled wipes manufacturing apparatus 1 is a device for manufacturing a rolled towel (M: see FIG. 3) using a sheet material made of paper, nonwoven fabric, chemical fiber pulp, etc., as shown in FIG. The cover 3 is mainly provided. The main body 2 is a member whose scroll forms the skeleton of the wet towel manufacturing apparatus 1, and has a substantially box-shaped appearance.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2 (upper side in FIG. 1) is configured to be opened as shown in FIG. 1, which can be closed by the upper cover 3.

또한, 상부 커버(3)는 그 한 쌍의 개폐축(3a)이 본체(2)에 요설된 한 쌍의 요홈(2a)에 회전 가능하도록 축지된다. 또한, 요홈(2a)의 일단(도 1의 좌측)에는 개구부가 개구되어 있으므로, 개폐축(3a)을 요홈(2a)으로부터 빼냄으로써 상부 커버(3)를 본체(2)로부터 용이하게 떼어낼 수 있다. 따라서, 후술하는 타올 롤(R)과 물 탱크(T)의 교환작업 등을 할 경우에는, 요홈(2a) 및 개폐축(3a)의 축지부를 지점으로 하여 상부 커버(3)를 개방하고 작업을 할 수 있는 한편, 두루말이 물수건 제조장치(1)의 상측(도 1의 상측)에 상부 커버(3)를 개방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없는 경우에는, 도 1에 나타내듯이 상기 상부 커버(3)를 떼어내고 작업을 할 수도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upper cover 3 is axially rotatable such that the pair of opening and closing shafts 3a are rotatable in the pair of grooves 2a concave in the main body 2. In addition, since an opening is opened at one end (left side in FIG. 1) of the groove 2a, the upper cover 3 can be easily removed from the main body 2 by removing the opening and closing shaft 3a from the groove 2a. have. Accordingly, when the towel roll R and the water tank T,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re replaced, the upper cover 3 is opened with the ridge portion of the groove 2a and the opening / closing shaft 3a as a point. On the other hand, if the scroll cannot secure a space for opening the upper cover 3 on the upper side (upper side of FIG. 1) of the wet towel manufacturing apparatus 1, as shown in FIG. 1, the upper cover 3 You can also remove) and work on it.

본체(2)의 전면 패널(2b)에는 사용자가 각종 조작을 할 수 있는 조작 패널(4)이 설치된다. 상기 조작 패널(4)에는 운전·정지 버튼(4a) 등 각종 버튼이 설치되고, 이들 버튼을 누름으로써 각종 조작이 행해진다. 또, 조작 패널(4)에는 7 세그먼트 LED(4b) 등의 각종 표시장치가 설치되어 두루말이 물수건 제조장치(1)의 설정 상태와 각종 조작 메시지 등이 필요에 따라 표시된다. 예를 들면, 7 세그먼트 LED(4b)에는 복수의 두루말이 물수건(M)을 제조하는 경우, 남은 제조 개수가 카운트 다운되어 표시된다.The front panel 2b of the main body 2 is provided with an operation panel 4 for allowing the user to perform various operations. The operation panel 4 is provided with various buttons such as an operation / stop button 4a, and various operations are performed by pressing these buttons. Moreover, various display apparatuses, such as a 7 segment LED 4b, are provided in the operation panel 4, and the setting state of the wet towel manufacturing apparatus 1, various operation messages, etc. are displayed as needed. For example, when a plurality of scrolls manufacture the towel M, the seven-segment LEDs 4b count down and display the remaining manufacturing number.

조작 패널(4)의 하측(도 1의 하측)에는 받침접시 겸용뚜껑(5)이 개폐 및 탈착이 가능하도록 배설된다. 상기 받침접시 겸용뚜껑(5)은 개방상태에서 그 상면측에 복수의 두루말이 물수건(M)을 재치 가능하도록 구성되고(도 3 참조), 제조된 두루말이 물수건(M)은 두루말이 물수건 제조장치(1) 내로부터 받침접시 겸용뚜껑(5) 상으로 방출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된다.On the lower side (lower side of FIG. 1) of the operation panel 4, the base plate combined lid 5 is arranged so that opening and closing is possible. The support plate combined lid (5) is configured to be able to mount a plurality of rolls wet towel (M) on the upper surface side in the open state (see Fig. 3), the manufactured rolled towels (M) is rolled wet towel manufacturing apparatus (1) It is released from the inside onto the saucer combined lid 5 is provided to the user.

받침접시 겸용뚜껑(5)의 하측(도 1의 하측)에는 개구부(2b1)가 개구 형성된다. 상기 개구부(2b1)는 후술하는 물 받침접시(7)의 취출구로 되는 부위로서, 받침접시 겸용뚜껑(5)과 대략 동일한 폭을 가짐과 동시에 본체(2)의 내부공간과 연통하여 구성된다(도 3 참조). 또한, 물 받침접시(7) 및 상술한 받침접시 겸용뚜껑(5)의 상세 구성에 관해서는 후술한다.The opening 2b1 is formed in the lower side (lower side of FIG. 1) of the base plate combined lid 5, and the opening is formed. The opening portion 2b1 serves as an outlet of the water support plate 7 to be described later. The opening portion 2b1 has a width substantially the same as that of the support plate combined lid 5 and communicates with the internal space of the main body 2 (Fig. 3). In addition, 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water support plate 7 and the above-mentioned support plate combined lid 5 is mentioned later.

후술하듯이, 본체(2)의 내부공간에는 복수의 부재와 장치 등이 수납되고(도 3 참조), 내부의 타올 롤(R)과 송급수단(20)과 물 탱크(T)는 도 1에 나타내듯이 교환 등의 작업성을 고려하여 본체(2)의 개구부 근방에 배설된다.As will be described later, a plurality of members, devices and the like are accommodated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main body 2 (see FIG. 3), and the towel roll R, the supply means 20, and the water tank T therein are shown in FIG. As shown, it is disposed in the vicinity of the opening of the main body 2 in consideration of workability such as replacement.

타올 롤(R)은 두루말이 물수건(M)의 원료로 되는 시트재(S: 도 3 참조)의 끝단을 그 중심에 접착하여 롤 형상으로 권회한 것으로서, 도 1에 나타내듯이 본체(2)의 전면패널(2b)측, 즉 상부 커버(3)의 축지측(도 1의 우측 끝단)과는 반대측에 자유자재로 탈착되도록 지지된다. 따라서, 상부 커버(3)가 반쯤 열린 경우에도, 본체(2)의 전면패널(2b)측을 크게 개방하여 타올 롤(R)의 상부에 충분한 작업 공간을 확보할 수가 있으므로, 그 교환작업을 원활하게 행할 수가 있다. Towel roll (R) is rolled in roll shape by attaching the end of the sheet material (S: see FIG. 3), the roll of which is the raw material of the wet towel (M), as shown in FIG. It is supported to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panel 2b side, that is, the side opposite to the axial side (right end of FIG. 1) of the upper cover 3. Therefore, even when the top cover 3 is half open, the front panel 2b side of the main body 2 can be opened largely to secure a sufficient working space at the top of the towel roll R, so that the replacement work can be performed smoothly. I can do it.

송급수단(20)은 타올 롤(R)로부터 시트재(S)를 인출하기 위한 구동장치로서, 시트재(S)를 본체(2)의 배면측을 향하여 인출할 수 있도록(도 3 참조), 타올 롤(R)보다도 본체(2)의 배면측에 배설된다. 물 탱크(T)는 두루말이 물수건(M)에 습기를 부여하기 위한 물을 저장하는 용기로서, 본체(2)의 배면측에 자유로이 탈착되도록 배설된다.The supply means 20 is a driving device for drawing out the sheet material S from the towel roll R, so that the sheet material S can be drawn out toward the rear side of the main body 2 (see FIG. 3), It is arrange | positioned at the back side of the main body 2 rather than the towel roll R. FIG. The water tank T is a container for storing water for imparting moisture to the wet towel M, and is disposed so as to be freely detachable on the back side of the main body 2.

다음에는, 도 2를 참조하여 두루말이 물수건 제조장치(1)의 전기적 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두루말이 물수건 제조장치(1)의 전기적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제어회로(C)에는 CPU(71), ROM(72), RAM(73), 각종 구동회로(81 ~ 86), 각종 제어회로(87, 88) 등이 구비되고, 이들은 버스 라인(74)을 통하여 상호 접속된다.Next, with reference to FIG. 2, the electrical structure of the rolled towel manufacturing apparatus 1 is demonstrated. 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electrical configuration of a roll towel manufacturing apparatus (1). The control circuit C is provided with a CPU 71, a ROM 72, a RAM 73, various drive circuits 81 to 86, various control circuits 87 and 88, and the like. Interconnected through.

CPU(71)는 두루말이 물수건 제조장치(1)에 의한 두루말이 물수건(M)의 제조를 실행할 수 있도록, 버스 라인(74)에 의해 접속된 각 소자를 제어하는 연산장치이다. ROM(72)은 CPU(71)에 의해 실행되는 제어 프로그램과 고정값 데이터 등을 격납하며 고쳐쓰기를 할 수 없는 메모리로서, 도 7에서 도시하는 흐름도의 프로그램은 ROM(72) 내에 격납된다. 또한, RAM(73)은 고쳐쓰기가 가능하여 제어 프로그램의 실행 시 각종 데이터를 기억하기 위한 메모리이다.The CPU 71 is an arithmetic unit that controls each element connected by the bus line 74 so that the scroll can perform the manufacture of the towel M by the roll towel manufacturing apparatus 1. The ROM 72 is a memory in which the control program executed by the CPU 71, fixed value data, and the like are stored and cannot be rewritten. The program shown in FIG. 7 is stored in the ROM 72. The RAM 73 is a memory for rewriting and storing various data when the control program is executed.

ROM(72)에는 시간 매개변수표(72a)와 유량 매개변수표(72b)가 저장된다. 시간 매개변수표(72a)는 시트재(S)의 두께(t) 및 길이(L)와, 개시시 대기시간(Ts), 절단시 대기시간(Tc), 절단시 동작시간(Tm)의 대응관계를 기억시킨 표로서(도 8 참조), CPU(71)는 이 시간 매개변수표(72a)의 내용에 기하여 살수수단(40)의 분사펌프(83a)의 구동(대기시간 및 구동시간)을 제어한다.The ROM 72 stores a time parameter table 72a and a flow rate parameter table 72b. The time parameter table 72a shows the thickness t and the length L of the sheet material S, the waiting time T s at the start, the waiting time T c at the start, and the operating time T m at the cutting. As a table storing the correspondence relationship (see FIG. 8), the CPU 71 drives the injection pump 83a of the watering means 40 (waiting time and driving) based on the contents of this time parameter table 72a. Time).

또한, 두께(t)는 후술하는 두께변환 스위치(70: 도 6b 참조)에 의하여 설정된 시트재(S)의 두께(t)를 의미하고, 길이(L)는 후술하는 길이 설정 다이얼(80: 도 6b 참조)에 의해 설정된 시트재(S)의 절단길이를 의미하며, 예를 들어 두께(t)가 "두꺼움"으로, 길이(L)가 "30cm"로 각각 설정된 경우에는 개시시 대기시간(Ts)의 값은 "100ms"로 된다(도 8 참조).In addition, the thickness t means the thickness t of the sheet | seat material S set by the thickness conversion switch 70 (refer FIG. 6B) mentioned later, and the length L is the length setting dial 80 mentioned later. 6b) refers to the cutting length of the sheet material S set, for example, when the thickness t is set to "thick" and the length L is set to "30 cm", the waiting time T at the start (T). s ) has a value of "100 ms" (see FIG. 8).

유량 매개변수표(72b)는 시트재(S)의 두께(t) 및 길이(L)과 인입시 구동력(Pp) 및 절단시 구동력(Pc)의 대응관계를 기억시킨 표로서(도 9 참조), CPU(71)는 이 유량 매개변수표(72b)의 내용에 기하여 살수수단(40)의 분사펌프(83a)의 구동(살수량 등)을 제어한다.The flow rate parameter table 72b is a table storing the correspondence between the thickness t and the length L of the sheet material S, the driving force P p at the inlet, and the driving force P c at the cutting (Fig. 9). The CPU 71 controls the driving (spraying amount, etc.) of the injection pump 83a of the watering means 40 based on the contents of the flow rate parameter table 72b.

또한, 인입시 구동력(Pp) 및 절단시 구동력(Pc)에는 각각 최소값 및 최대값이 규정되고(도 9 참조), 이들 최소값 및 최대값은 후술하는 유량조절 다이얼(60: 도 6a 참조)의 하한값(Min) 및 상한값(Max)에 각각 대응한다. 즉, 유량조절 다이얼(60)이 하한값(Min) 또는 상한값(Max)으로 설정된 경우에는 인입시 구동력(Pp) 및 절단시 구동력(Pc)의 값은 최소값 또는 최대값으로 되고, 유량조절 다이얼(60)이 하한값(Min)과 상한값(Max) 사이로 설정된 경우에는 인입시 구동력(Pp) 및 절단시 구동력(Pc)의 값은 유량조절 다이얼(60)과 동일한 비율로 결정된다.In addition, the minimum value and the maximum value are defined in the driving force P p at the time of insertion and the driving force P c at the cutting, respectively (see FIG. 9), and these minimum and maximum values are described below with the flow rate adjusting dial 60 (see FIG. 6A). Correspond to the lower limit Min and the upper limit Max respectively. That is, when the flow rate adjusting dial 60 is set to the lower limit value Min or the upper limit value Max, the values of the driving force P p at the inlet and the driving force P c at the cutting are the minimum value or the maximum value. When 60 is set between the lower limit Min and the upper limit Max, the values of the driving force P p at the time of pulling and the driving force P c at the cutting are determined at the same ratio as the flow rate adjusting dial 60.

예를 들면, 유량조절 다이얼(60)의 하한값(Min)부터 상한값(Max)까지의 가동범위를 100으로 한 경우, 상기 유량조절 다이얼(60)이 가동범위의 30%로 설정되면, 인입시 구동력(Pp) 및 절단시 구동력(Pc)의 값은 "최소값+(최대값-최소값)×0.3"으로 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유량 매개변수표(72b)에 있어서 두께가 "두꺼움"으로, 길이(L)가 "30cm"로, 유량조절 다이얼(60)이 가동범위의 30%로 각각 설정된 경우에는 인입시 구동력(Pp)의 값은 "178(=160+(220-160)×0.3) 펄스/s"로, 절단시 구동력(Pc)의 값은 "240(=225+(275-225)×0.3) 펄스/s"로 각각 결정된다.For example, in the case where the movable range from the lower limit Min to the upper limit Max of the flow regulating dial 60 is set to 100, when the flow regulating dial 60 is set to 30% of the movable range, the driving force at the time of pulling in The value of P p and the driving force P c at the cutting is "minimum value + (maximum value-minimum value) x 0.3". Thus, for example, in the flow rate parameter table 72b, when the thickness is set to "thickness", the length L is set to "30 cm", and the flow rate adjusting dial 60 is set to 30% of the movable range, The value of the driving force P p is "178 (= 160 + (220-160) x 0.3) pulse / s", and the value of the driving force P c at the time of cutting is "240 (= 225 + (275-225) x 0.3) Pulse / s ", respectively.

여기서, 도 2로 되돌아가 설명한다. RAM(73)에는 시트 두께 플래그(73a)와 시트 길이 메모리(73b)가 설치된다. 시트 두께 플래그(73a)는 시트재(S)의 두께(t)를 기억하기 위한 플래그로서, 후술하는 두께변환 스위치(70: 도 6b 참조)의 설정상태에 따라 "0" 또는 "1"로 갱신된다. 즉, 두께변환 스위치(70)가 "두꺼움" 쪽으로 변환된 경우에는 시트 두께 플래그(73a)의 값은 "0"으로 갱신되고, 두께변환 스위치(70)가 "얇음" 쪽으로 변환된 경우에는 시트 두께 플래그(73a)의 값은 "1"로 갱신된다.Here, it returns to FIG. 2 and demonstrates. The RAM 73 is provided with a sheet thickness flag 73a and a sheet length memory 73b. The sheet thickness flag 73a is a flag for storing the thickness t of the sheet material S. The sheet thickness flag 73a is updated to "0" or "1" according to the setting state of the thickness conversion switch 70 (see FIG. 6B) described later. do. That is, the value of the sheet thickness flag 73a is updated to "0" when the thickness conversion switch 70 is converted to "thick" side, and the sheet thickness when the thickness conversion switch 70 is converted to "thin" side. The value of the flag 73a is updated to "1".

한편, 시트 길이 메모리(73b)는 시트재(S)의 길이(L)를 기억하기 위한 플래그로서, 후술하는 길이설정 다이얼(80: 도 6b 참조)의 설정상태에 따라 "0"부터 "5"의 범위로 갱신된다. 즉, 길이설정 다이얼(80)이 "18cm"로 설정된 경우에는 시트 길이 메모리(73a)의 값이 "0"으로 갱신되어, 그 상태로부터 길이설정 다이얼(80)에 의한 설정값이 "6cm" 증가할 때 마다 시트 길이 메모리(73a)의 값이 "1"씩 가산된다. 따라서, 길이설정 다이얼(80)이 "48cm"로 설정된 경우에는 시트 길이 메모리(73a)의 값은 "5"로 갱신된다.On the other hand, the sheet length memory 73b is a flag for storing the length L of the sheet material S, and is " 0 " to " 5 " depending on the setting state of the length setting dial 80 (see Fig. 6B) described later. Is updated to the range of. That is, when the length setting dial 80 is set to "18cm", the value of the sheet length memory 73a is updated to "0", and the setting value by the length setting dial 80 increases by "6 cm" from that state. Each time, the value of the sheet length memory 73a is added by "1". Therefore, when the length setting dial 80 is set to "48cm", the value of the sheet length memory 73a is updated to "5".

또한, CPU(71)는 도 2에 나타내듯이 인터럽트 단자(71a)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인터럽트 단자(71a)에는 송급모터(81a)로 규정값 이상의 전류(과전류)가 흐르는 경우 과전류 검출회로(81b)로부터 출력되는 검출신호(93)가 입력되도록 구성되어, 과전류의 검출에 따라 과전류 검출시 처리(인터럽트 처리)가 즉시 실행된다.In addition, the CPU 71 is provided with the interrupt terminal 71a as shown in FIG. The interrupt terminal 71a is configured to input a detection signal 93 output from the overcurrent detection circuit 81b when a current (overcurrent) of a specified value or more flows into the supply motor 81a, and detects overcurrent according to detection of the overcurrent. Time processing (interrupt processing) is executed immediately.

송급모터 구동회로(81)는 CPU(71)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송급모터(81a)를 구동 제어하기 위한 회로이고, 송급모터(81a)는 구동롤러(23: 도 3 참조)에 회전력을 부여하기 위한 모터이다. 송급모터(81a)를 구동함으로써 구동롤러(23)가 소정의 회전수만큼 회전하여 타올 롤(R)로부터 시트재(S)가 소정 치수의 길이만큼 인출된다.The feeding motor driving circuit 81 is a circuit for driving control of the feeding motor 81a according to the instruction from the CPU 71, and the feeding motor 81a provides a rotational force to the driving roller 23 (see Fig. 3). It is a motor. By driving the feeding motor 81a, the drive roller 23 rotates by a predetermined rotational speed, and the sheet material S is taken out from the towel roll R by a length of a predetermined dimension.

송급모터 구동회로(81)는 과전류 검출회로(81b)를 구비한다. 과전류 검출회로(81b)는 송급모터(81a)로 과전류가 흐른 경우, CPU(71)의 인터럽트 단자(71a)로 검출신호(93)를 출력하기 위한 회로이다. 과전류 검출회로(81b)는 송급모터(81a)로 흐르는 전류값을 감시하여, 이 전류값이 규정값 이상으로 된 경우에는 과전류의 발생을 차단하고 검출신호(93)를 CPU(71)로 출력하도록 구성된다.The supply motor drive circuit 81 includes an overcurrent detection circuit 81b. The overcurrent detection circuit 81b is a circuit for outputting the detection signal 93 to the interrupt terminal 71a of the CPU 71 when the overcurrent flows to the supply motor 81a. The overcurrent detection circuit 81b monitors the current value flowing to the feed motor 81a, and when the current value is above a specified value, interrupts the generation of overcurrent and outputs the detection signal 93 to the CPU 71. It is composed.

또한, 송급모터(81a)로 과전류가 흐른다는 것은 타올 롤(R)의 시트재(S)가 끝단에 도달하였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타올 롤(R)의 중심에 삽입되는 롤 회전 가이드(Ra)는 후술하듯이 시트재(S)의 인출방향으로의 이동이 안내홈(13)의 제 2 측벽부재(13b)에 의해 규제된다(도 3 참조). 따라서, 타올 롤(R)의 시트재(S)가 끝단에 도달한 경우에는 시트재(S)의 인출저항의 증대에 따라 구동롤러(23)의 회전저항이 커지게 된다. 그 결과, 송급모터(81a)의 부하가 증대됨에 따라 송급모터(81a)로 규정값 이상의 전류(과전류)가 흐르게 된다.In addition, the overcurrent flowing to the feeding motor 81a means that the sheet | seat material S of the towel roll R reached | attached the end. That is, the roll rotation guide Ra inserted in the center of the towel roll R is regulated by the second side wall member 13b of the guide groove 13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sheet member S is drawn out as described later. (See FIG. 3). Therefore, when the sheet material S of the towel roll R reaches the end, the rotational resistance of the drive roller 23 becomes large according to the increase in the withdrawal resistance of the sheet material S. FIG. As a result, as the load of the feeding motor 81a increases, a current (overcurrent) of a specified value or more flows into the feeding motor 81a.

절단모터 구동회로(82)는 CPU(71)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절단모터(82a)를 구동 제어하기 위한 회로이고, 절단모터(82a)는 회전칼(32: 도 3 참조)에 회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모터이다. 절단모터(82a)를 상술한 송급모터(81a)와 연동하는 소정의 타이밍으로 구동함으로써 회전칼(32)이 회전하고, 타올 롤(R)로부터 인출된 시트재(S)가 선단부로부터 소정 치수 길이의 위치에서 절단된다.The cutting motor driving circuit 82 is a circuit for driving control of the cutting motor 82a according to an instruction from the CPU 71, and the cutting motor 82a supplies a rotational force to the rotary knife 32 (see FIG. 3). It is a motor. The rotary knife 32 is rotated by driving the cutting motor 82a at a predetermined timing interlocked with the above-described feeding motor 81a, and the sheet material S drawn out from the towel roll R is of predetermined dimension length from the tip end. Is cut at the position of.

분사펌프 구동회로(83)는 CPU(71)의 지시에 따라 분사펌프(83a)를 구동 제어하기위한 회로이고, 분사펌프(83a)는 물 탱크(T: 도 3 참조)로부터 흡인한 물을 살수부(42: 도 3 참조)로 송출하기위한 펌프이다. 분사펌프(83a)를 구동함으로써, 타올 롤(R)로부터 인출된 시트재(S)로 살수부(42)에서 물이 분사되어 두루말이 물수건(M)에 습기가 부여된다.The injection pump driving circuit 83 is a circuit for driving control of the injection pump 83a in accordance with the instruction of the CPU 71, and the injection pump 83a sprays water sucked from the water tank T (see FIG. 3). It is a pump for sending to the part 42 (refer FIG. 3). By driving the injection pump 83a, water is sprayed from the spraying part 42 with the sheet material S taken out from the towel roll R, and the roll gives moisture to the towel.

여기서, 분사펌프(83a)의 구동력과 분사시간은 상술하였듯이 시간 매개변수표(72a) 및 유량 매개변수표(72b)에 시트재(S)의 두께(t) 및 길이(L)와 관련지어져서, 분사시간이나 대기시간, 또는 단위시간 당 펄스수로서 미리 규정된다(도 8 및 도 9 참조). CPU(71)는 두께설정 스위치(70) 및 유량설정 다이얼(80)에 의해 설정된 두께(t) 및 길이(L)에 대응하는 분사시간이나 대기시간, 또는 구동력(펄스 수)을 각 매개변수표(72a, 72b)로부터 읽어 분사펌프 구동회로(83)에 지시하는 한편, 분사펌프 구동회로(83)는 그 지시된 시간 및 구동력(펄스 수)에 기하여 분사펌프(83a)를 구동 제어한다.Here, the driving force and the injection time of the injection pump 83a are related to the thickness t and the length L of the sheet material S in the time parameter table 72a and the flow rate parameter table 72b as described above. Is defined in advance as the injection time, the waiting time, or the number of pulses per unit time (see FIGS. 8 and 9). The CPU 71 calculates the injection time or waiting time or the driving force (number of pulses)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t and the length L set by the thickness setting switch 70 and the flow rate setting dial 80. The injection pump driving circuit 83 reads from the 72a and 72b, and instructs the injection pump driving circuit 83, while the injection pump driving circuit 83 controls the injection pump 83a based on the indicated time and the driving force (number of pulses).

그 결과, 예를 들어 시트재(S)의 길이(L)와 두께(t)에 따라 살수시간이나 살수유량을 변경하거나, 또는 두께(t)는 동일하게 하고 그 길이(L)에 따라 살수유량을 변경함으로써 시트재(S)에 과부족 없이 적절하게 살수할 수가 있으므로, 시트재(S)의 두께(t)나 길이(L)에 관계없이 적절한 습기 상태의 두루말이 물수건(M)을 제조할 수 있다.As a result, for example, the watering time or the watering flow rate is changed according to the length L and the thickness t of the sheet material S, or the thickness t is the same, and the watering flow rate is made according to the length L. Since the water can be properly sprayed on the sheet material S without excessive deficiency, the wet towel M can be produced in an appropriate moisture state regardless of the thickness t or the length L of the sheet material S. .

또한, 시트재(S)의 두께(t)가 두꺼운 경우나 길이(L)가 긴 경우에는 살수유량을 크게 하는 한편, 시트재(S)의 두께(t)가 얇은 경우나 길이(L)가 짧은 경우에는 살수유량을 작게함으로써 시트재(S)의 반송속도를 고속화하여도 살수 과다나 살수 부족을 발생시키지 않고 반송할 수가 있기 때문에, 그 만큼 두루말이 물수건(M)의 제조시간의 단축을 달성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thickness t of the sheet material S is thick or the length L is long, the sprinkling flow rate is increased while the thickness t of the sheet material S is thin or the length L is increased. In the shorter case, the flow rate of the sheet material S can be reduced without causing excessive watering and watering shortage even if the conveyance speed of the sheet material S is reduced, so that the roll can shorten the manufacturing time of the water towel M. Can be.

또한, 유량 매개변수표(72b)에서 규정하는 펄스 수는 분사펌프(83a)에 내장된 구동모터의 단위시간 당 회전수에 비례하므로, 펄스 수가 큰 만큼 분사펌프(83a)의 구동력이 커서, 토출압력이 커지고 시트재(S)로의 단위시간 당 살수유량이 커지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number of pulses defined in the flow rate parameter table 72b is proportional to the number of revolutions per unit time of the drive motor incorporated in the injection pump 83a, the larger the number of pulses, the larger the driving force of the injection pump 83a is, The pressure is increased and the amount of watering flow per unit time to the sheet material (S) is increased.

히터 구동회로(84)는 CPU(71)의 지시에 따라 히터(84a)를 구동 제어하기 위한 회로이고, 히터(84a)는 저장수단으로서 저장실을 구비하고, 상기 저장실 내에 저장되는 물을 소정의 온도로 가열하여 소정의 온도로 유지하는 소위 전열기이다. 히터(84a: 도 3 참조)를 구동함으로써 시트재(S)에 온수가 분사(살수)되어 따뜻한 두루말이 물수건(M)이 제조된다.The heater driving circuit 84 is a circuit for driving control of the heater 84a according to the instruction of the CPU 71, and the heater 84a has a storage chamber as a storage means, and the water stored in the storage chamber has a predetermined temperature. It is a so-called heater that is heated by heating to maintain a predetermined temperature. By driving the heater 84a (see FIG. 3), hot water is sprayed (sprayed) onto the sheet material S, whereby a warm rolled towel M is produced.

또한, 본 실시예의 두루말이 물수건 제조장치(1)는 물의 가열수단으로서 히터(84a)만을 구비하는 구성이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히터(84a) 대신에, 또는 히터(84a)에 더하여 물의 냉각수단을 구비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당연히 가능하다. 물의 냉각수단으로서는 공지의 여러 기술들을 적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펠티어 소자(전자냉동 소자)를 사용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시트재(S)에 냉수를 분사(살수)하여 차가운 두루말이 물수건(M)을 제조할 수가 있다.In addition, although the wet towel manufacturing apparatus 1 of this embodiment is a structure provided only with the heater 84a as a heating means of water, i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Instead of the heater 84a or cooling in addition to the heater 84a, It is naturally possible to comprise the means. As the means for cooling water, various well-known techniques can be applied. For example, a Peltier element (electron refrigeration element) can be used. Thereby, cold water is sprayed (sprayed) on the sheet | seat material S, and a cold rolled paper towel M can be manufactured.

반송모터 구동회로(85)는 CPU(71)의 지시에 따라 반송모터(85a)를 구동 제어하기 위한 회로이고, 반송모터(85a)는 반송벨트(51: 도 3 참조)에 회전력을 공급하기위한 모터이다. 반송모터(85a)를 구동함으로써, 상술한 회전칼(32)에 의해 소정 치수의 길이로 절단된 1장의 시트재(S)가 반송벨트(51)에 의해 하류측으로 반송된다.The conveying motor driving circuit 85 is a circuit for driving control of the conveying motor 85a according to the instruction of the CPU 71, and the conveying motor 85a is for supplying rotational force to the conveying belt 51 (see Fig. 3). It is a motor. By driving the conveying motor 85a, one sheet member S cut into the length of the predetermined dimension by the above-described rotary knife 32 is conveyed by the conveyance belt 51 to the downstream side.

반전모터 구동회로(86)는 CPU(71)의 지시에 따라 반전모터(86a)를 구동 제어하기 위한 회로이고, 반전모터(86a)는 반전 링(53: 도 3 참조)에 회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모터이다. 반전모터(86a)를 구동함으로써 반전 링(53)이 구동되고, 상기 반전 링(53)은 반송벨트(51)와 같이 움직이게 되어 시트재(S)를 롤 형상으로 권취하여 두루말이 물수건(M)을 제조한다.The inversion motor driving circuit 86 is a circuit for driving control of the inversion motor 86a according to the instruction of the CPU 71, and the inversion motor 86a is for supplying rotational force to the inversion ring 53 (see FIG. 3). It is a motor. The inversion ring 53 is driven by driving the inversion motor 86a, and the inversion ring 53 moves together with the conveyance belt 51 to wind the sheet material S into a roll shape so that the scroll rolls the wet towel M. As shown in FIG. Manufacture.

음성·표시 제어회로(87)는 CPI(71)의 지시에 따라 7 세그먼트 LED(4b) 등 각종 표시장치에 의한 표시를 제어함과 함께, 스피커(88)에 의한 경고음 등의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회로이다. The audio / display control circuit 87 controls the display by various display devices such as the 7-segment LED 4b according to the instruction of the CPI 71, and controls the output of the warning sound or the like by the speaker 88. Circuit.

센서 제어회로(89)는 각종 센서(90)의 검출상태를 확인하여 CPU(71)로 출력하기 위한 회로로서, CPU(71)는 상기 각종 센서(90)의 검출상태에 따라 송급모터(81a) 등을 구동 제어한다. 예를 들어, 받침접시 겸용뚜껑(5)이 닫혀있는 것이 후술하는 광센서(120)에 의하여 검출된 경우에는, CPU(71)는 두루말이 물수건(M)이 본체(2) 내에서 막혀버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술한 운전·정지 버튼(4a)의 누름을 무효로 하여 두루말이 물수건(M)의 제조를 금지한다. 또한, 각종 센서(90)에는 후술하는 광센서(120) 외에, 예를 들어 온도센서(미도시)가 포함되어, 이 온도센서에 의해 히터(84a)의 온도 이상이 검출된다.The sensor control circuit 89 is a circuit for checking the detection states of the various sensors 90 and outputting them to the CPU 71. The CPU 71 supplies the feeding motor 81a according to the detection states of the various sensors 90. Drive control. For example, when it is detected by the optical sensor 120 to be described later that the lid of the combined use lid 5 is closed, the CPU 71 prevents the towel from being clogged in the main body 2. For this purpose, the press of the operation / stop button 4a described above is invalidated and the scroll prohibits the manufacture of the wet towel M. FIG. In addition, the various sensors 90 include, for example, a temperature sensor (not shown) in addition to the optical sensor 120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temperature abnormality of the heater 84a is detected by this temperature sensor.

기타 입출력회로(91)에는 상술한 운전·정지 버튼(4a)을 포함한 각종 버튼(92)이 접속된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운전·정지 버튼(4a)을 누른 경우, 그 눌림이 버스라인(74)를 통하여 CPU(71)에 의해 검지되고, CPU(71)는 각 구동회로(81 ~ 89) 등을 제어하여 송급모터(81a) 등을 구동함으로써 두루말이 물수건(M)의 제조 등을 실행한다 .Other input / output circuits 91 are connected to various buttons 92 including the above-described start / stop button 4a. For example, when the user presses the run / stop button 4a, the press is detected by the CPU 71 via the bus line 74, and the CPU 71 is driven by the respective drive circuits 81 to 89 and the like. By controlling the power supply motor 81a or the like to produce the wet towel M or the like.

또한, 각종 버튼(92)에는 도 6a 및 도 6b에 도시하듯이 후술하는 유량설정 다이얼(60), 두께변환 스위치(70) 및 길이설정 다이얼(80)이 포함된다. CPU(71)는 이들 각 다이얼(60, 80) 및 스위치(70)의 설정상태를 정기적으로 감시하고, 설정상태의 변경이 검출된 경우에는 그 설정상태에 따라 시트재(S)로의 살수량과 절단길이를 변경한다.In addition, the various buttons 92 include a flow rate setting dial 60, a thickness change switch 70, and a length setting dial 8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s shown in Figs. 6A and 6B. The CPU 71 regularly monitors the setting states of each of the dials 60 and 80 and the switch 70, and when a change in the setting state is detected, the amount of water to the sheet material S according to the setting state and Change the cutting length.

다음에는, 도 3을 참조하여 두루말이 물수건 제조장치(1)의 내부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두루말이 물수건 제조장치(1)의 측단면도로서, 이해하기 쉽게 주요 구성만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예를 들어, 도 3에서는 송수호스(43)의 일부와 광센서(120)의 도시가 생략되어 있다.Next, with reference to FIG. 3,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rolled towel manufacturing apparatus 1 is demonstrated. FIG. 3 is a side sectional view of the rolled towel manufacturing apparatus 1, schematically showing only a main configuration for easy understanding. For example, in FIG. 3, a part of the water supply hose 43 and the light sensor 120 are omitted.

두루말이 물수건 제조장치(1)는 주로 롤 지지수단(10), 송급수단(20), 절단수단(30), 살수수단(40), 성형수단(50)으로 개략 구성된다. 롤 지지수단(10)은 타올 롤(R)을 자유로이 회전하도록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수납실(11)과 지지홈(12)과 안내홈(13)을 주로 구비한다. 수납실(11)은 타올 롤(R)을 수납하기 위한 부재로서, 도 3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측면에서 볼 때 U자형으로 형성되며 상부(도 3의 상측)가 개방되어 구성된다. 타올 롤(R)은 상기 수납실(11) 내 형성된 수납공간에 수납되어, 이 수납공간의 상부를 덮는 상부 커버(3)에 의해 피복된다.The rolled-up wet towel manufacturing apparatus 1 is mainly comprised by the roll support means 10, the supply means 20, the cutting means 30, the watering means 40, and the shaping | molding means 50. FIG. The roll supporting means 10 is for supporting the towel roll R to freely rotate, and mainly includes a storage chamber 11, a supporting groove 12, and a guide groove 13. The storage chamber 11 is a member for accommodating the towel roll R. As shown in FIG. 3, the storage chamber 11 is formed in a U shape when viewed from the side, and is configured such that an upper portion (upper side in FIG. 3) is opened. The towel roll R is accommodated in an accommodating space formed in the accommodating chamber 11 and covered by an upper cover 3 covering an upper portion of the accommodating space.

또한, 수납실(11)은 본체(2)에 자유로이 탈착되도록 장착된다. 즉, 수납실(11)은 상측이 개방된 대략 상자형 몸통으로 구성되어, 상기 상자형 몸통을 상측(도 3의 상측)으로 당겨서 떼어내 본체(2)로부터 분리할 수 있고, 상기 상자형 몸통의 양면측(도 3의 지면 후면측 및 전면측)에 돌설된 후술하는 안내홈(13)의 표면측을 본체(2)의 내측면에 요설된 요부를 따라 삽입하면서 상기 상자형 몸통을 하측(도 3의 하측)으로 압입하는 것에 의해 본체(2) 내로 장착된다(도 1 참조).In addition, the storage chamber 11 is mounted to the main body 2 so as to be freely detachable. That is, the storage chamber 11 is composed of a substantially box-shaped body with an open upper side, and the box-shaped body can be pulled off and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2 by pulling it upwards (upper side in FIG. 3). The box-shaped body is lowered while inserting the surface side of the guide groove 13,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protruded on both sides (the back side and the front side of FIG. 3) along the recessed portion of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body 2. It is mounted in the main body 2 by press-fitting into the lower part of FIG. 3 (refer FIG. 1).

지지홈(12)은 타올 롤(R)을 자유로이 회전하도록 지지하기 위한 부위로서, 타올 롤(R) 양단면의 외측부에서 상호 대향하는 수납실(11)의 한 쌍의 측벽부(도 3의 지면 전면측 및 지면 후면측)에 있어서, 도 3에 나타내듯이 측면에서 볼 때 대략 원호상으로 요설된다. 타올 롤(R)은 그 중심에 끼워넣어진 한 쌍의 롤 회전 가이드(Ra)가 지지홈(12)에 삽입됨으로써 수납실(11) 내에서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된다.The support groove 12 is a portion for freely rotating the towel roll R, and a pair of side wall portions of the storage chamber 11 facing each other at the outer side portions of both sides of the towel roll R (the ground of FIG. 3). On the front side and the back surface side of the ground, as shown in FIG. The towel roll R is freely supported for rotation in the storage chamber 11 by inserting a pair of roll rotation guides Ra inserted in the center thereof into the support groove 12.

지지홈(12)에는 도 3에 나타내듯이 안내홈(13)이 상측을 향해 직선형상으로 연설된다. 상기 안내홈(13)은 타올 롤(R)의 중심에 끼워넣어진 롤 회전 가이드(Ra)를 본체(2)의 개구부로부터 지지홈(12)으로 안내함과 동시에, 롤 회전 가이드(Ra)가 시트재(S)의 인출방향(도 3의 우측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기 위한 것으로, 소정 간극을 두며 상호 대향하여 입설되는 제 1 및 제 2 측벽부재(13a, 13b)를 구비한다.As shown in FIG. 3, the guide groove 13 extends upward in the support groove 12 toward the upper side. The guide groove 13 guides the roll rotation guide Ra inserted in the center of the towel roll R from the opening of the main body 2 to the support groove 12, and at the same time, the roll rotation guide Ra It is f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sheet member S in the drawing direction (right direction in Fig. 3), and includes first and second sidewall members 13a and 13b which are placed in opposite directions with a predetermined gap therebetween.

따라서, 타올 롤(R)을 교환할 경우, 안내홈(13)의 제 1 및 제 2 측벽부재(13a, 13b) 사이에 형성된 안내경로에 의하여 롤 회전 가이드(Ra)를 안내할 수가 있으므로, 지지홈(12)으로의 탈착작업을 용이하게 하여 타올 롤(R)의 장착작업과 분리작업의 원활화를 꾀할 수가 있다.Therefore, when the towel roll R is replaced, the roll rotation guide Ra can be guided by a guide path form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ide wall members 13a and 13b of the guide groove 13, so Desorption of the grooves 12 can be facilitated to facilitate the installation and removal of the towel roll R.

또한, 안내홈(13) 또는 제 1 및 제 2 측벽부재(13a, 13b)는 그 상단이 수납실(11)의 상단 주연부, 즉 본체(2)의 개구부와 대략 동일한 높이로 형성됨과 동시에(도 1 참조), 도 3에 나타내듯이 그 상단부의 안내경로폭이 테이퍼 형상으로 넓어진다. 따라서, 예를 들어 상부 커버(3)를 완전 개방할 수 없어 안내홈(13)을 시인할 수 없는 경우에도, 상기 안내홈(13)으로 롤 회전 가이드(Ra)를 용이하게 삽입할 수가 있으므로, 안내홈(13)으로의 위치맞춤을 용이하게 하여 타올 롤(R)의 장착작업의 원활화를 꾀할 수가 있다.In addition, the guide groove 13 or the first and second side wall members 13a, 13b is formed at the same height as the upper end of the upper end of the storage chamber 11, that is, the opening of the main body 2, and at the same time (Fig. 1), as shown in FIG. 3, the width | variety of the guide path of the upper end part becomes wider by taper shape. Therefore, for example, even when the upper cover 3 cannot be fully opened and the guide groove 13 cannot be recognized, the roll rotation guide Ra can be easily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13. Positioning to the guide groove 13 can be made easy, and the installation work of the towel roll R can be made smooth.

또한, 제 2 측벽부재(13b)의 입설방향은 도 3에 나타내듯이 지지홈(12)으로부터 상측(도 3의 상측)을 향하여 대략 수직으로 되므로, 시트재(S)가 끝단에 도달할 경우, 상기 시트재(S)가 롤 회전 가이드(Ra)를 끌어들이는 방향(도 3에 있어서 지지홈(12)에서 구동롤러(23)를 향하여 우측 경사진 상측방향)과의 사이에 소정의 교차각을 형성할 수가 있다. 그 결과, 상기 교차각만큼 롤 회전 가이드(Ra)의 이동을 확실하게 규제할 수가 있으므로, 타올 롤(R)의 시트재(S)가 끝단에 도달한 경우에는 상기 제 2 측벽부재(13b)에 의한 규제작용에 의하여 구동롤러(23)의 회전저항을 크게 하여, 송급모터(81a: 도 2 참조)로 기정값 이상의 전류(과전류)가 확실하게 흐르도록 할 수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lacing direction of the second side wall member 13b becomes substantially vertical from the support groove 12 toward the upper side (upper side in FIG. 3) as shown in FIG. 3, when the sheet member S reaches the end, A predetermined crossing angle between the sheet member S and the direction in which the roll rotation guide Ra is drawn (the upper direction inclined rightward toward the driving roller 23 from the support groove 12 in FIG. 3). Can be formed. As a result, since the movement of the roll rotation guide Ra can be reliably regulated only by the said crossing angle, when the sheet | seat material S of the towel roll R reaches | attains the tip, it is attached to the said 2nd side wall member 13b. By the regulating action, the rotational resistance of the drive roller 23 can be increased, so that a current (overcurrent) of a predetermined value or more can reliably flow to the supply motor 81a (see FIG. 2).

또한, 제 2 측벽부재(13b)는 도 3에 나타내듯이 반드시 상측으로 대략 수직 연설될 필요는 없고, 예를 들면 측면에서 볼 때 대략 "く" 자 형상(또는, 역 "く" 자 형상)으로 굴곡되어 구성되어도 좋다. 이리하여, 제 2 측벽부재(13b)의 경사부나 굴곡부에 의해 롤 회전 가이드(Ra)의 이동을 보다 확실하게 규제할 수 있다. 또는, 제 2 측벽부재(13b)의 표면에 계지돌기를 제 1 측벽부재(13a) 방향으로 돌설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도, 롤 회전 가이드(Ra)를 계지하여 그 이동을 확실하게 규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side wall member 13b does not necessarily have to be vertically vertically upward as shown in FIG. 3, and is, for example, in a substantially "ku" shape (or inverted "ku" shape) when viewed from the side. It may be bent and comprised. In this way, the movement of the roll rotation guide Ra can be regulated more reliably by the inclined portion or the bent portion of the second side wall member 13b. Alternatively, the locking projection may protrude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sidewall member 13a on the surface of the second sidewall member 13b. Also in this case, the roll rotation guide Ra can be latched and the movement can be regulated reliably.

송급수단(20)은 상술한 롤 지지수단(10)에 자유로이 회전하도록 지지된 타올 롤(R)로부터 시트재(S)를 인출하고, 그 인출된 시트재(S)를 후술하는 절단수단(30) 및 살수부(42)로 송급하기 위한 장치로서, 도 3에 나타내듯이 커버부재(22), 구동롤러(23), 보조롤러(24) 등을 주로 구비한다.The supply means 20 pulls out the sheet material S from the towel roll R supported by the roll supporting means 10 to rotate freely, and the cutting means 30 which describes the drawn sheet material S later. And a watering unit 42, the cover member 22, the driving roller 23, the auxiliary roller 24, etc. are mainly provided as shown in FIG.

커버부재(22)는 후술하는 구동롤러(23) 등에 의하여 타올 롤(R)로부터 인출된 시트재(S)를 소정 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한 부재로서, 도 3에 나타내듯이 그 상류측(도 3의 좌측)은 대략 수평으로 형성되는 한편, 하류측(도 3의 우측)은 구동롤러(23)의 외주를 따라서 원호상으로 만곡되어 형성된다. 커버부재(22)와 구동롤러(23) 사이의 공간이 시트재(S)의 반송경로로 된다. 시트재(S)는 이 반송경로를 통과함으로써 하측으로 안내되어 후술하는 절단수단(30) 및 살수부(42)로 송급된다.The cover member 22 is a member for guiding the sheet material S drawn out from the towel roll R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by a driving roller 23 or the like,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 left side is formed substantially horizontally, while the downstream side (right side in FIG. 3) is formed curved in an arc shape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driving roller 23. The space between the cover member 22 and the drive roller 23 serves as a conveyance path of the sheet material S. FIG. The sheet material S is guided downward by passing through this conveyance path and fed to the cutting means 30 and the watering part 42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또한, 반송경로를 형성하는 커버부재(22)의 만곡면에는 송급방향으로 연설되는 복수의 리브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 리브에 의해 시트재(S)와의 마찰저항을 절감할 수 있으므로, 상기 시트재(S)를 안정되게 송급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ribs extending in the feeding direction are formed on the curved surface of the cover member 22 forming the conveying path. Since the ribs can reduce the frictional resistance with the sheet material S, the sheet material S can be stably fed.

구동롤러(23) 및 보조롤러(24)는 타올 롤(R)로부터 시트재(S)를 인출함과 동시에, 그 인출된 시트재(S)를 상술한 반송경로를 통하여 후술하는 절단수단(30) 및 살수부(42)로 송급하기 위한 부재로서, 이는 도 3에 나타내듯이 시트재(S)를 협지 가능하도록 배설된다.The driving roller 23 and the auxiliary roller 24 take out the sheet material S from the towel roll R, and at the same time, cutting means 3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rough the above-mentioned conveying path. ) And the watering portion 42, which is disposed so as to be able to sandwich the sheet member S as shown in FIG.

구동롤러(23)는 상술한 송급모터(81a: 도 2 참조)에 의해 구동되는 회전부재로서, 그 외주면에 고무 링이 주설되어 구성된다. 또한, 이 고무 링은 시트재(S)의 폭방향(도 3의 지면 수직방향)으로 소정 간극을 두며 복수개(본 실시예에서는 4개)가 배설된다. 한편, 보조롤러(24)는 스테인레스 등의 금속재료로 되는 하나의 대략 봉상체로 구성되고, 그 양단이 커버부재(22)로 회전 가능하도록 축지된다.The drive roller 23 is a rotating member driven by the feeding motor 81a (refer to FIG. 2), and is provided with a rubber ring cast on its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n addition, the rubber ring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pieces (four in this embodiment) with a predetermined gap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heet material S (vertical direction of the sheet in Fig. 3). On the other hand, the auxiliary roller 24 is composed of one substantially rod-shaped body made of metal material such as stainless, and both ends thereof are axially rotatable by the cover member 22.

여기서, 커버부재(22)는 본체(2)에 축(22a)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축지되고, 비틀림 용수철(미도시)에 의하여 구동롤러(23) 방향(도 3의 반시계방향)으로 탄지된다. 따라서, 상기 비틀림 용수철의 탄지력에 의하여 보조롤러(24)를 구동롤러(23) 측으로 탄지하여 시트재(S)를 구동롤러(23)에 가압할 수 있으므로, 상기 시트재(S)를 미끄러짐 없이 확실하게 반송할 수 있게 된다.Here, the cover member 22 is axially rotatable to the main body 2 through the shaft 22a, and is supported by the torsion spring (not shown) in the direction of the driving roller 23 (counterclockwise in FIG. 3). . Therefore, the auxiliary roller 24 can be pressed toward the driving roller 23 by the holding force of the torsion spring so that the sheet material S can be pressed against the driving roller 23, so that the sheet material S is not slipped. It can be reliably conveyed.

또한, 타올 롤(R)의 시트재(S)가 끝단에 도달하여 시트재(S)의 인출저항이 증대된 경우에도, 시트재(S)에 대한 구동롤러(23)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가 있으므로, 구동롤러(23)의 회전저항을 크게 하여 송급모터(81a: 도 2 참조)에 과전류를 확실하게 발생시킬 수 있다. 그 결과, 타올 롤(R)의 시트재(S)가 끝단에 도달한 것이 확실하게 검출되는 것이다.In addition, even when the sheet material S of the towel roll R reaches the end and the drawing resistance of the sheet material S is increased, the sliding of the drive roller 23 with respect to the sheet material S can be prevented. Therefore, the overload current can be reliably generated in the feed motor 81a (see FIG. 2) by increasing the rotational resistance of the drive roller 23. As a result, it is detected reliably that the sheet | seat material S of the towel roll R reached the edge.

또한, 커버부재(22)를 구동롤러(23) 측으로 탄지하는 비틀림 용수철의 탄지력은 약 50 ~ 250g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본 실시예에서는 약 150g으로 설정하였다. 이는 상기 탄지력이 약 50g이 되지 않을 경우에는 시트재(S)를 구동롤러(23)에 충분하게 압설할 수 없어 구동롤러(23)가 시트재(S)에 대해 미끄러질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약 250g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구동롤러(23)의 회전저항이 크게 되어 송급모터(81a)에 과다한 부하가 작용하므로, 과전류가 오검출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In addition, the holding force of the torsion spring holding the cover member 22 toward the driving roller 23 side is preferably about 50 to 250 g, and is set to about 150 g in this embodiment. This is because when the holding force is not about 50 g, the sheet material S cannot be sufficiently pushed on the driving roller 23, and the driving roller 23 may slip against the sheet material S. In addition, when it exceeds about 250g, since the rotational resistance of the drive roller 23 becomes large and an excessive load acts on the supply motor 81a, there exists a possibility that an overcurrent may be misdetected.

절단수단(30)은 상술한 송급수단(20)으로부터 하측(도 3의 하측)으로 직하하는 시트재(S)를 소정 치수의 길이로 절단하기 위한 장치로서, 고정칼(31)과 회전칼(32)을 주로 구비한다. 고정칼(31)은 시트재(S)의 폭방향(도 3의 지면 수직방향)으로 연설되도록 하며, 이 고정칼(31)과 시트재(S)를 사이에 끼고 대향하는 위치에는 회전칼(32)이 회전 가능하도록 축지된다. 회전칼(32)은 연결기어(미도시)를 통하여 절단모터(82a: 도 2 참조)에 연결되어, 이 절단모터(82a)가 소정의 타이밍으로 회전하면서, 회전칼(32)이 반시계 방향(도 3의 좌회전 방향)으로 회전하여 고정칼(31)과의 사이에 끼워진 시트재(S)를 선단부로부터 소정 치수의 길이에서 절단한다.The cutting means 30 is an apparatus for cutting the sheet material S directly lowered from the supply means 20 to the lower side (lower side in FIG. 3) to a length of a predetermined dimension, and includes a fixed knife 31 and a rotary knife ( 32). The fixed knife 31 is orient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heet material S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paper surface in FIG. 3), and the rotary knife is disposed at an opposite position with the fixed knife 31 and the sheet material S interposed therebetween. 32 is rotatably rotatable. The rotary knife 32 is connected to the cutting motor 82a (refer to FIG. 2) through a connecting gear (not shown), and the rotary knife 32 rotates counterclockwise while the cutting motor 82a rotates at a predetermined timing. The sheet | seat material S rotated in the (left rotation direction of FIG. 3) and sandwiched between the fixed knife 31 is cut | disconnected by the length of a predetermined dimension from a front-end | tip part.

살수수단(40)은 시트재(S)에 습기를 부여하기 위한 것으로, 탱크 수납실(41), 분사펌프(83a), 히터(84a), 살수부(42) 등을 주로 구비한다. 탱크 수납실(41)은 물 탱크(T)를 자유로이 착탈할 수 있도록 수납하기 위한 부재로서, 송급수단(20)보다도 본체(2)의 배면측(도 3의 우측)으로 배설된다. 물 탱크(T)는 거꾸로 된 상태로 탱크 수납실(41) 내에 수납되어, 그 급수구(Tm)가 펌프 흡수관을 통하여 분사펌프(83a)로 연통된다.The watering means 40 is for imparting moisture to the sheet material S, and is mainly provided with a tank storage chamber 41, an injection pump 83a, a heater 84a, a watering part 42, and the like. The tank storage chamber 41 is a member for accommodating the water tank T so that the water tank T can be freely attached and detached, and is disposed on the rear side (right side in FIG. 3) of the main body 2 rather than the supply means 20. The water tank T is accommodated in the tank storage chamber 41 in an inverted state, and the water supply port T m communicates with the injection pump 83a through the pump absorption tube.

여기서, 물 탱크(T)는 송급수단(20) 및 후술하는 살수부(42)보다도 본체(2)의 배면측(도 3의 우측)으로 배설되므로, 도 3에 나타내듯이 타올 롤(R)로부터 송급수단(20)에 의해 시트재(S)가 인출되고 있는 경우에도, 상기 상태 그대로 물 탱크(T)를 교환할 수가 있다. 따라서, 물 탱크(T)와 타올 롤(R)과의 교환시기가 불일치하여 물 탱크(T)만을 교환하는 경우에도, 상기 물 탱크(T)를 본체(2) 내로부터 떼어내기 위하여 송급수단(20)에 의해 일단 인출된 시트재(S)를 뒤로 말아올리는 번잡한 작업이 불필요해진다.Here, since the water tank T is disposed on the back side (right side of FIG. 3) of the main body 2 rather than the supply means 20 and the watering | pouring part 42 mentioned later, from the towel roll R as shown in FIG. Even when the sheet member S is drawn out by the supply means 20, the water tank T can be replaced as it is. Therefore, even when only the water tank T is replaced due to a mismatch in the exchange time between the water tank T and the towel roll R, the supply means (not shown) to detach the water tank T from the inside of the main body 2 ( 20), the complicated work of rolling up the sheet material S once drawn out is unnecessary.

분사펌프(83a)의 토출구는 도 3에 나타내듯이 송수호스(43)를 통하여 히터(84a) 및 살수부(42)로 접속된다. 히터(84a)는 상술하였듯이 내부의 저장실에 소정량의 물을 지지(저장) 가능하게 구성되고, 히터 스위치(미도시)를 켬으로써 그 저장실 내부의 물을 가열 제어하여 소정의 온도로 유지한다. 히터(84a) 내에서 가열된 온수는 살수부(42)로부터 시트재(S)로 살수된다.The discharge port of the injection pump 83a is connected to the heater 84a and the sprinkling part 42 through the water supply hose 43 as shown in FIG. As described above, the heater 84a is configured to be capable of supporting (storing) a predetermined amount of water in the internal storage chamber. The heater 84a is heated to control the water in the storage chamber by maintaining a predetermined temperature by turning on a heater switch (not shown). The hot water heated in the heater 84a is sprinkled from the sprinkling section 42 to the sheet material S.

또한, 송수호스(43)는 도 3에서는 생략되었지만, 그 정상부가 분사펌프(83a) 및 노즐부(42c)보다도 높은 위치를 통과하도록 당겨 돌려지므로, 그 유로 내의 물을 노즐부(42c) 및 히터(84a) 측으로 흘러내리게하여 배출할 수가 있다. 따라서, 상기 유로 내에 물이 저장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따뜻한 두루말이 물수건(M)을 제조하기 위해 시트재(S)로 온수를 살수한 경우, 다음 제조 시에는 송수호스(43) 내에 저장되어 이미 차가워진 물이 시트재(S)로 살수되어져 버려 차가운 두루말이 물수건이 제조되는 제조불량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the water supply hose 43 is omitted in FIG. 3, since the top part is pulled so as to pass through a position higher than the injection pump 83a and the nozzle part 42c, the water in the flow path is discharged to the nozzle part 42c and the heater. It can be discharged by flowing down to (84a) side. Therefore, since water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tored in the flow path, for example, when a warm scroll sprinkles hot water with the sheet material S to manufacture the wet towel M, the water return hose 43 is used during the next production. The cold water is stored in the sheet material (S) is sprinkled with water, and the cold roll can prevent manufacturing defects in which the wet towel is manufactured.

또한, 히터(84a)는 상술하였듯이 펠티어 소자 등을 사용하여 물을 냉각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도 당연히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분사펌프(83a)를 히터(84a)의 상류측에 배치하였지만, 이와 반대로 분사펌프(83a)를 히터(84a)의 하류측에 배치하는 것도 당연히 가능하다. 즉, 분사펌프(83a)의 압송력을 히터(84a)로의 흡인력으로 작용시켜, 히터(84a)로부터 끌어올려진 물을 송수호스(43)로 압송하도록 구성한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heater 84a may naturally be configured to cool the water using a Peltier element or the like. In addition, although the injection pump 83a was arrange | positioned upstream of the heater 84a in this embodiment, it is naturally possible to arrange | position the injection pump 83a downstream of the heater 84a on the contrary. That is, the pumping force of the injection pump 83a acts as a suction force to the heater 84a, and the water drawn up from the heater 84a is configured to be pumped to the water supply hose 43.

살수수단(42)은 후술하는 커버부재(52)의 선단측(도 3의 우측)에 배설되고, 살수롤러(42a)와, 살수본체(42b)와, 노즐부(42c)를 구비한다. 살수롤러(42a)는 스테인레스 등 금속재료의 대략 봉상체로 구성되는 회전체로서, 살수본체(42b)의 저면측(도 3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축지됨과 동시에, 후술하는 반송벨트(51)의 반송면과 접촉하도록 배설된다. 따라서, 반송벨트(51)가 구동되어 시트재(S)가 반송벨트(51) 상으로 반송되면, 상기 시트재(S)의 반송과 함께 살수롤러(42a)가 회전된다. 또한, 상기 살수롤러(42a)의 길이방향 치수는 반송벨트(51)의 횡폭(도 3의 지면 수직방향의 치수)와 대략 동일하게 된다.The watering means 42 is disposed on the tip side (right side in FIG. 3) of the cover member 52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includes a watering roller 42a, a watering body 42b, and a nozzle portion 42c. The sprinkling roller 42a is a rotating body composed of a substantially rod-shaped body of a metal material such as stainless, and is axially rotatable on the bottom surface side (lower side in FIG. 3) of the sprinkling body 42b, and the conveyance belt 51 to be described later. Exposed to contact with the conveying surface of. Therefore, when the conveyance belt 51 is driven and the sheet | seat material S is conveyed on the conveyance belt 51, the sprinkling roller 42a rotates with conveyance of the said sheet | seat material S. FIG. In addition, the longitudinal dimension of the said watering roller 42a become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horizontal width (dimension of the paper vertical direction of FIG. 3) of the conveyance belt 51. As shown in FIG.

살수본체(42b)는 시트재(S)로 살수하기 위한 물을 저장하는 부재로서, 수지재료로 되는 후술하는 커버부재(52)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살수본체(42b)는 내부 공간을 가지는 대략 상자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내부 공간에는 후술하는 노즐부(42c)로부터 분출된 물이 저장된다.The sprinkling body 42b is a member for storing water for sprinkling with the sheet material S, and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cover member 52 described later made of a resin material. The water spray body 42b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box shape having an inner space, and water ejected from the nozzle portion 42c described later is stored in the inner space.

상술한 살수롤러(42a)는 살수본체(42b)의 저면에 개구형성된 개구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축지되고, 상기 살수롤러(42a)와 저면의 개구부 사이에는 약간의 간극이 두어진다. 따라서, 후술하는 분사노즐(42c)로부터 분사된 물이 살수본체(42b)의 내부공간에 저장되면서 반송벨트(51)의 구동개시에 의하여 살수롤러(42a)가 회전되면, 내부공간에 저장된 물이 살수롤러(42a)의 회전에 의해 개구부로부터 유출되어 시트재(S)로 살수된다.The watering roller 42a described above is axially rotatable in an opening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ing body 42b, and a slight gap is provided between the watering roller 42a and the opening of the bottom surface. Therefore, when the spraying roller 42a is rotated by the start of the conveyance belt 51 while the water sprayed from the spray nozzle 42c described later is stored in the inner space of the spraying body 42b, the water stored in the inner space is It flows out from an opening part by the rotation of the sprinkling roller 42a, and is sprinkled with the sheet | seat material S. FIG.

노즐부(42c)의 선단은 살수본체(42b) 내에서 개구되고, 분사펌프(83a)로부터 송수호스(43)를 통하여 송출된 물은 살수본체(42b)의 내부공간으로 분출되어 저장된다. 또한, 노즐부(42c)의 선단은 선단 단면측(도 3의 하측)이 폐색되고 그 측벽측(도 3의 지면 전면측 및 후면측)이 개구되도록 구성되어, 살수롤러(42a)의 길이방향 전체에 물을 분출할 수 있게 된다.The tip of the nozzle portion 42c is opened in the water spray body 42b, and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injection pump 83a through the water supply hose 43 is ejected and stored into the internal space of the water spray body 42b. Further, the tip end of the nozzle portion 42c is configured such that the tip end face side (lower side in FIG. 3) is closed and the side wall side (the front surface side and the rear side in FIG. 3) is opened, so that the spraying roller 42a i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ater can be ejected to the whole.

살수부(42)에 의해 습기가 부여되면, 동시에 절단수단(30)에 의해 소정 치수의 길이로 절단된 한 장의 시트재(S)는 성형수단(50)의 반송벨트(51) 상에서 하류측(도 3의 좌측)을 향하여 반송된다. 또한, 살수부(42)로부터 살수된 시트재(S)에 흡수되지 않은 물은 반송벨트(51) 또는 케이스(54)의 저면(도 4 참조)을 통하여, 후술하는 물 받침접시(7)에 의해 회수되므로, 두루말이 물수건 제조장치(1) 내에 오염이나 전기부품의 고장 등을 방지할 수 있게된다.When moisture is imparted by the sprinkling part 42, one sheet material S cut | disconnected by the cutting means 30 to the length of a predetermined | prescribed dimension is carried out downstream on the conveyance belt 51 of the shaping | molding means 50 ( It is conveyed toward the left side of FIG. In addition, the water which is not absorbed by the sheet material S sprayed from the water spraying part 42 passes through the conveyance belt 51 or the bottom face of the case 54 (refer FIG. 4) to the water support plate 7 mentioned later. Since it is withdrawn, a roll can prevent contamination, a failure of an electrical component, etc. in the wet towel manufacturing apparatus 1, and the like.

성형수단(50)은 시트재(S)를 원주상(롤 형상)으로 권취하여 두루말이 물수건(M)으로 성형하기 위한 장치로서, 반송벨트(51)와 커버부재(52)와 반전 링(53)을 주로 구비하여 구성된다.The molding means 50 is a device for winding the sheet material S in a columnar shape (roll shape) to form a rolled towel with a wet towel M. The conveying belt 51, the cover member 52, and the reverse ring 53 are formed. It is mainly provided with.

본 실시예의 두루말이 물수건 제조장치(1)는 두루말이 물수건(M)을 반송벨트(51)의 한쪽 면(도 3의 상측)에서만 성형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술하였듯이 타올 롤(R)을 본체(2)의 전면패널(2b) 측에 배설함으로써, 시트재(S)를 본체(2)의 배면측으로 인출하는 경우에도, 그 시트재(S)의 성형처리경로를 복잡하게 하지 않고 두루말이 물수건(M)을 조작패널(4)이 배설되는 본체(2)의 전면패널(2b) 측으로부터 배출할 수 있어, 그 결과 두루말이 물수건 제조장치(1)의 소형화를 꾀하면서 사용자가 사용하기 편리한 두루말이 물수건 제조장치(1)를 제공할 수 있다. The rolled paper towel manufacturing apparatus 1 of this embodiment is comprised so that a rolled paper towel M may be shape | molded only on one side (upper side of FIG. 3) of the conveyance belt 51. FIG. Therefore, as described above, even when the sheet member S is taken out to the back side of the main body 2 by disposing the towel roll R on the front panel 2b side of the main body 2, The roll towel can be discharged from the front panel 2b side of the main body 2 where the operation panel 4 is disposed, without complicating the molding process path. As a result, the roll can be miniaturized in the wet towel manufacturing apparatus 1. The user can provide a rolled towel manufacturing apparatus 1 that is convenient for the user to use.

반송벨트(51)는 복수의 돌기(미도시)를 외주면 전역에 지니는 고무 평벨트로서, 케이스(54: 도 4 참조)에 회전가능하게 축지되는 한 쌍의 회전롤러(51a) 사이에 가설된다. 상기 반송벨트(51)의 상측(도 3의 상측)의 반송면에는 커버부재(52)가 대향하여 배설된다.The conveying belt 51 is a rubber flat belt having a plurality of protrusions (not shown) all over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is provided between a pair of rotating rollers 51a rotatably axially supported on the case 54 (see FIG. 4). The cover member 52 is arrange | positioned facing the conveyance surface of the upper side (upper side of FIG. 3) of the said conveyance belt 51. As shown in FIG.

커버부재(52)에는 반송벨트(51)와의 대향면 사이에 복수의 돌기(52a)가 빨래판 형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므로, 반송벨트(51)에 의해 반송되는 시트재(S)에 적당한 마찰력을 부여하여 시트재(S)의 선단에 권취 핵(核)을 확실하게 야기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핵을 중심으로 하여 시트재(S)를 롤 형상으로 확실하게 권취할 수 있어, 성형 불량을 억제할 수 있다.Since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52a protrude in the form of a washboard between the opposite surfaces of the cover member 52 and the conveyance belt 51, a suitable friction force is applied to the sheet member S conveyed by the conveyance belt 51. As a result, a winding core can be reliably caused at the tip of the sheet material S. As a result, the sheet | seat material S can be reliably wound in roll shape centering on the said nucleus, and molding defect can be suppressed.

커버부재(52)의 하류측(도 3의 좌측)에는 경사부재(52b)가 시트재(S)의 반송방향(도 3의 좌측방향)으로 상승하도록 경사지게 연설된다. 상기 경사부재(52b)는 롤 성형 시 시트재(S)를 지지하기 위한 부재로서, 반송벨트(51)의 폭방향(도 3의 지면 수직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며 복수개(본 실시예에서는 6개)가 대략 빗 형상으로 배설된다.On the downstream side (left side of FIG. 3) of the cover member 52, the inclined member 52b is inclined so that it may rise in the conveyance direction (left direction of FIG. 3) of the sheet | seat material S. As shown in FIG. The inclined member 52b is a member for supporting the sheet material S during roll forming. The inclined member 52b has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width direction (vertical direction of the paper in Fig. 3) of the conveying belt 51 (6 in this embodiment). Dog) is excreted in a roughly comb shape.

또한, 각 경사부재(52)의 하면측(도 3의 하측)에는 커버부재(52)와 마찬가지로 빨래판 형상의 돌기가 돌설된다. 그리고, 복수의 경사부재(52b) 일부(본 실시예에서는 2개)는 그 선단(도 3의 좌측)이 후술하는 반전 링(53)의 회전롤러(53a)에 접촉 가능한 위치까지 연설되고, 상기 회전롤러(53a)가 상측으로 이동된 경우에는 그 상측으로의 이동을 억제하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on the lower surface side (lower side in FIG. 3) of each inclined member 52, protrusions having a washboard shape are protruded similarly to the cover member 52. A part of the plurality of inclined members 52b (two in this embodiment) is spoken to a position where the tip (left side in FIG. 3) can contact the rotating roller 53a of the inversion ring 53 described later. When the rotating roller 53a is moved upward, it is comprised so that the movement to the upper side may be suppressed.

이들 반송벨트(51)의 각 인접간에는 복수(본 실시예에서는 5개)의 반전 링(53)이 각각 배설된다. 반전 링(53)은 고무 링으로서 케이스(54: 도 4 참조)에 회전가능하게 축지되는 한 쌍의 회전롤러(53a) 사이에 가설됨과 동시에, 반송벨트(51)와 공동으로 시트재(S)를 롤 형상으로 권취할 수 있도록, 도 3에 나타내듯이 반송벨트(51)에 대향하여 배설된다.A plurality of (five in this embodiment) inversion rings 53 are disposed between the adjacent portions of these conveyance belts 51, respectively. The inversion ring 53 is installed between the pair of rotary rollers 53a rotatably supported by the case 54 (see FIG. 4) as a rubber ring, and at the same time, the sheet material S is jointly with the conveying belt 51. It is arrange | positioned facing the conveyance belt 51 so that it may wind up in roll shape.

여기서, 한 쌍의 회전롤러(53a) 내의 시트재(S)의 반송방향 측(도 3의 좌측)에 위치하는 회전롤러(53a)의 양단은 케이스(54)에 상하로 형성된 세로 홈(54a)에서 회전이 가능하면서도, 반송벨트(51) 측(도 3의 하측) 또는 반송벨트(51)의 반대측(도 3의 상측)을 향하여 이동이 가능하도록 삽입된다. 따라서, 시트재(S)를 롤 형상으로 권취한 경우, 그 롤 직경의 증가와 함께 반전 링(53)을 상하로 이동시킬 수가 있으므로, 시트재(S)의 두께와 시트 길이에 관계없이 두루말이 물수건(M)의 성형을 원활하게 할 수가 있다.Here, both ends of the rotating roller 53a located on the conveying direction side (left side of FIG. 3) of the sheet material S in the pair of rotating rollers 53a are vertical grooves 54a formed up and down in the case 54. While rotatable in, the carrier belt 51 is inserted to enable movement toward the side (lower side of FIG. 3) or the opposite side (upper side of FIG. 3) of the transport belt 51. Therefore, when the sheet member S is wound in a roll shape, the reversal ring 53 can be moved up and down with the increase in the roll diameter, so that the roll towel is rolled regardless of the thickness of the sheet member S and the sheet length. Molding of (M) can be made smooth.

반송벨트(51)가 가설되는 회전롤러(51a)의 한편에는 반송모터(85a: 도 2 참조)가 복수의 기어를 통하여 연결되고, 상기 반송모터(85a)가 회전 구동되면, 반송벨트(51)가 반시계 방향(도 3의 좌회전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반전 링(53)이 가설되는 회전롤러(53a)의 한편에는 반전모터(86a: 도 2 참조)가 복수의 기어를 통하여 연결되어, 상기 반전모터(86a)가 회전 구동되면, 반전 링(53)이 시계 방향(도 3의 우회전 방향)으로, 즉 반송벨트(51)와 역방향으로 회전한다. 또한, 각 연결기어의 감속비와 각 모터(85a, 86a)의 출력특성은 반송벨트(51)와 반전 링(53)의 양 대향면의 절대 반송속도가 대략 동일하게 되도록 설정된다.On one side of the rotating roller 51a on which the conveying belt 51 is installed, a conveying motor 85a (see FIG. 2) is connected through a plurality of gears, and when the conveying motor 85a is driven to rotate, the conveying belt 51 Rotate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left-turn direction in FIG. 3). Then, the inversion motor 86a (see FIG. 2)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rotating roller 53a on which the inversion ring 53 is hypothesized. When the inversion motor 86a is driven to rotate, the inversion ring ( 53) rotates clockwise (the right-turn direction in FIG. 3), that is,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conveyance belt 51. In addition, the reduction ratio of each coupling gear and the output characteristics of each motor 85a, 86a are set so that the absolute conveyance speeds of the opposing surfaces of the conveyance belt 51 and the inversion ring 53 may become substantially the same.

상술한 살수부(42)를 통과하여 반송벨트(51)의 반송방향 상류측(도 3의 우측)으로 직하된 시트재(S)는 반송벨트(51)의 회전에 의해 하류방향(도 3의 좌측방향)으로 반송된다. 그 결과, 시트재(S)는 커버부재(52)와의 대향면 사이에서 그 선단에 권취 핵이 야기됨과 동시에, 반전 링(53)과의 대향면 사이에서 경사부재(52b)의 하면측으로 지지되면서, 상기 야기된 핵을 중심으로 하여 롤 형상으로 권취되어 원주상의 두루말이 물수건(M)으로 성형된다.The sheet member S, which has passed through the above-mentioned sprinkling part 42 and is directly lowered to the conveying direction upstream side (right side in FIG. 3) of the conveying belt 51, is rotated in the downstream direction by the conveyance belt 51 (FIG. 3). Leftward). As a result, the sheet member S is caused to be wound up at its distal end between the opposing surfaces of the cover member 52 and supported to the lower surface side of the inclined member 52b between the opposing surfaces of the inversion ring 53. , And wound in a roll shape around the caused nucleus to form a cylindrical roll into a wet towel (M).

또한, 반전 링(53)과 반송벨트(51)의 대향면은 상술하였듯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대략 동일한 속도로 이동된다. 따라서, 양 대향면의 상대속도차를 크게 할 수 있으므로, 시트재(S)의 권취속도를 고속화하여 그 만큼 두루말이 물수건(M)의 성형시간의 단축을 꾀할 수가 있다.In addition, the opposing surfaces of the inversion ring 53 and the conveyance belt 51 are moved at substantially the same speed in opposite directions as described above. Therefore, since the relative speed difference of both opposing surfaces can be enlarged, the winding speed of the sheet | seat material S can be made high, and the roll can shorten the shaping | molding time of the wet towel M by that much.

두루말이 물수건(M)의 성형이 종료되면, 반전 링(53)의 회전이 정지되므로, 두루말이 물수건(M)은 반송벨트(51)의 회전에 의하여 하류측(도 3의 좌측)으로 반송되어 후술하는 받침접시 겸용뚜껑(5) 상으로 방출된다.When the roll is finished forming the wet towel M, the rotation of the inversion ring 53 is stopped, so that the roll wet towel M is conveyed to the downstream side (left side in FIG. 3) by the rotation of the conveyance belt 51 to be described later. The saucer is released onto the combined lid (5).

또한, 반송벨트(51)의 하류측에는 도 3에 나타내듯이 수직띠(59)가 케이스(54: 도 4 참조)에 매달리게 설치된다. 이 수직띠(59)는 반송 중에 두루말이 물수건(M)의 두루말이가 무너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부재로서, 유연성을 가지는 고무재료로 반송벨트(51)와 대략 동등한 횡폭을 가지는 시트 형상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반송벨트(51) 상에서 반송되는 두루말이 물수건(M)은 상기 수직띠(59)로 외주면이 마찰되면서 하류측으로 반송되므로, 두루말이 물수건(M)을 굴림없이 반송하여 그 두루말이 물수건(M)의 두루말이가 무너지는 것을 억제할 수가 있다.Further,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conveyance belt 51, as shown in FIG. 3, a vertical band 59 is attached to the case 54 (see FIG. 4). This vertical band 59 is a member for preventing the roll of the towel M from collapsing during conveyance. The vertical band 59 is made of a flexible rubber material and has a sheet shape having a width substantially equal to that of the conveying belt 51. Therefore, since the roll towel conveyed on the conveying belt 51 is conveyed to the downstream side while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rubbed with the vertical band 59, the roll conveys the wet towel M without rolling, and the scroll rolls of the wet towel M Can be suppressed.

또한, 두루말이 물수건(M)은 두루말이의 핵을 중심으로 우회전되며(도 3의 시계 방향) 권취되므로, 수직띠(59)에 의하여 권취방향으로 마찰되어 그 두루말이의 끝단이 풀리지 않게 된다. 또한, 수직띠(59)의 기부(도 3의 상측)는 케이스(54: 도 4 참조)에 회전가능하도록 축지되고, 두루말이 물수건(M)의 반송에 따라 상하로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수직띠(59)에는 반송벨트(51)과 대향하는 측면(도 3의 우측)에 복수의 돌기부가 돌설되어 두루말이 물수건(M)으로의 접촉저항이 커지도록 구성된다. In addition, since the roll towel (M) is wound right around the core of the roll (clockwise in FIG. 3), it is rubbed in the winding direction by the vertical band 59 so that the end of the roll is not loosened. Further, the base (upper side in FIG. 3) of the vertical band 59 is axially rotatable in the case 54 (see FIG. 4), and the scroll is configured to be movable up and down in accordance with the conveyance of the towel M. FIG. In the vertical band 59, a plurality of protrusions protrude from the side surface (right side of FIG. 3) facing the conveyance belt 51, so that the scroll has a large contact resistance to the towel.

도 3에 나타내듯이, 성형수단(50)의 반송벨트(51) 하류 끝단(도 3의 좌측)인 본체(2)의 전면패널(2b)측(도 3의 좌측)에는 받침접시 겸용뚜껑(5)이 배설됨과 동시에 그 하측에는 물받침 접시(7)가 배설된다.As shown in FIG. 3, the support plate combined lid 5 is provided on the front panel 2b side (left side of FIG. 3) of the main body 2 which is the downstream end (left side of FIG. 3) of the conveyance belt 51 of the shaping | molding means 50. As shown in FIG. ) Is excreted and drip tray 7 is excreted below.

받침접시 겸용뚜껑(5)은 상술하였듯이 그 개방된 때에는 복수의 두루말이 물수건(M)을 재치하는 받침접시로서 사용되며, 닫힌 경우에는 그 표면측에 본체(2)의 전면측을 닫는 뚜껑으로서 사용된다(도 1 참조). 또한, 물받침 접시(7)는 살수부(42)의 노즐부(42c)로부터 살수된 물을 회수하기 위한 용기로서, 본체(2)의 전면패널(2b)에 개구되는 개구부(2b1)에 탈착 가능하도록 구성된다.As described above, the support plate combined lid 5 is used as a support plate on which a plurality of rolls are placed on the wet towel M when it is opened, and when closed, the lid is used as a lid to close the front side of the main body 2 on its surface side. (See Figure 1). In addition, the drip tray 7 is a container for recovering the water sprinkled from the nozzle portion 42c of the sprinkling portion 42, and is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opening 2b1 opened in the front panel 2b of the main body 2. It is configured to be possible.

또한, 본체(2)의 전면측에는 노즐부(42c)로부터의 단위시간 당 살수유량을 설정하기 위한 유량설정 다이얼(60)이 설치된다(도 6a 참조). 이 유량설정 다이얼(60)은 그 정지위치에 따라 다른 저항값을 출력하며, 하한(Min)으로부터 상한(Max)까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조작이 가능한 로터리 스위치로 구성된다.Further, a flow rate setting dial 60 for setting the watering flow rate per unit time from the nozzle portion 42c is provided on the front side of the main body 2 (see FIG. 6A). The flow rate setting dial 60 outputs a different resistance value according to its stop position, and is composed of a rotary switch capable of rotating operation in the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from the lower limit Min to the upper limit Max.

또한, 전면패널(2a)의 표면(2b1)에는 시트재(S)의 두께(t: 도 8 및 도 9 참조)를 변환하기 위한 두께변환 스위치(70)와, 시트재(S)의 길이(L: 도 8 및 도 9 참조)를 설정하기 위한 길이설정 다이얼(80)이 각각 설치된다(도 6b 참조). 두께변환 스위치(70)는 2값 변환식의 가도식 스위치로서, 시트재(S)의 두께(t)를 "두꺼움" "얇음" 중의 어느 하나로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길이설정 다이얼(80)은 6값 변환식의 로터리 스위치로서, 시트재(S)의 길이(L)를 "18 ~ 48cm"의 범위로 6cm씩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술한 절단수단(30)은 여기에 설정된 길이(L)로 시트재(S)를 절단하게 된다.Further, on the surface 2b1 of the front panel 2a, a thickness conversion switch 70 for converting the thickness of the sheet material S (refer to FIGS. 8 and 9) and the length of the sheet material S ( L: see FIG. 8 and FIG. 9, respectively, for setting the length setting dials 80 (see FIG. 6B). The thickness conversion switch 70 is a two-value conversion type flexible switch, and is configured to set the thickness t of the sheet material S to one of "thick" and "thin". On the other hand, the length setting dial 80 is a rotary switch of a six-value conversion type, and is configured to be able to set the length L of the sheet material S in 6 cm ranges in the range of "18 to 48 cm". In addition, the cutting means 30 described above is to cut the sheet material (S) by the length (L) set here.

다음으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받침접시 겸용뚜껑(5) 및 물받침 접시(7)의 상세 구조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4 및 도 5는 두루말이 물수건 제조장치(1)의 부분확대 단면도로서, 각각 받침접시 겸용뚜껑(5)이 닫힌 상태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다.Next, with reference to FIG. 4 and FIG. 5, 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support plate combined lid 5 and the support plate 7 is demonstrated. 4 and 5 are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s of the rolled towel manufacturing apparatus 1, respectively showing the closed state and the open state of the support plate combined lid 5, respectively.

받침접시 겸용뚜껑(5)은 두루말이 물수건(M)이 재치되는 재치면(5a)과, 그 재치면(5a)의 후단측(도 4의 하측, 도 5의 좌측)으로부터 입설되는 후단벽(5b)과, 상기 재치면(5a) 및 후단벽(5b)의 양 측부(도 4 및 도 5의 지면 후면측 및 전면측)에 상호 대향하며 입설되는 한 쌍의 측벽부(5c)를 주로 구비하며, 이들 각 부재로부터 상측(도 4의 좌측, 도 5의 상측)이 개방되어 복수의 두루말이 물수건(M)을 지지 가능한 용기 형상으로 구성된다(도 11 참조).The support plate combined use lid 5 has a mounting surface 5a on which a roll towel M is placed, and a rear end wall 5b entered from the rear end side (lower side of FIG. 4, left side of FIG. 5) of the mounting surface 5a. ) And a pair of side wall portions 5c which face each other and face each other on both side portions of the placing surface 5a and the rear end wall 5b (the back side and the front side of the ground in FIGS. 4 and 5). The upper side (left side of FIG. 4, upper side of FIG. 5) is opened from each of these members, and a plurality of scrolls are configured in a container shape capable of supporting the wet towel M (see FIG. 11).

재치면(5a)은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듯이 전후방향(도 5의 좌우방향) 양측이 상승하면서 경사지고, 도 5에 나타내는 측단면에서 볼 때 대략 凹 형상으로 구성된다. 재치면(5a)의 전후방향의 대략 중앙부에는 규제판(5a1)이 입설된다. 이 규제판(5a1)은 반송벨트(51)로부터 재치면(5a) 상으로 방출된 두루말이 물수건(M)의 이동을 규제하여 정렬시키기 위한 부재로서, 후술하는 후단벽(5b)과의 사이에 두루말이 물수건(M)의 직경 이상의 간극을 두면서(도 11 참조) 두루말이 물수건(M)의 방출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도 4 및 도 5의 지면 수직방향)으로 연재하도록 형성된다(도 7 참조).As shown in FIGS. 4 and 5, the mounting surface 5a is inclined while both sides of the front-back direction (left-right direction of FIG. 5) are raised, and is comprised in substantially 凹 shape from the side cross section shown in FIG. The restricting plate 5a1 is placed in the substantially center portion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placing surface 5a. The regulating plate 5a1 is a member for aligning the rolls discharged from the conveyance belt 51 onto the mounting surface 5a by regulating the movement of the wet towel M, and between the rear end walls 5b to be described later. The scroll is formed so as to extend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of Fig. 4 and Fig. 5)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wet towel M, while leaving a gap of more than the diameter of the wet towel M (see Fig. 11).

후단벽(5b)의 상단부(도 4의 좌측, 도 5의 상측)는 반송벨트(51)에 의하여 반송되어 온 두루말이 물수건(M)을 반송면을 향하여 도약시키기 위한 부재로서, 도 5에 나타내듯이 받침접시 겸용뚜껑(5)이 개방되면, 반송벨트(51)의 하류 끝단(도 4 및 도 5의 우측)과 인접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두루말이 물수건(M)이 반송벨트(51)로부터 반송되어 오면, 상기 두루말이 물수건(M)을 후단벽(5b)의 상단부에 접촉시켜 뒤집을 수 있으므로, 상기 두루말이 물수건(M)을 재치면(5a)에서 보다 멀리 도약시킬 수 있게 된다. The upper end part (left side of FIG. 4, upper side of FIG. 5) of the rear end wall 5b is a member for which the roll conveyed by the conveyance belt 51 jumps the wet towel M toward the conveyance surface, as shown in FIG. When the saucer combined lid 5 is opened, it is configured to be adjacent to the downstream end (right side of FIGS. 4 and 5) of the conveyance belt 51. Therefore, when the scroll is conveyed from the conveyance belt 51, the scroll can turn over the wet towel M by contacting the upper end of the rear end wall 5b, so that the scroll mounts the wet towel M (5a). You can jump farther away from).

또한, 이 후단벽(5b)의 상단부는 재치면(5a)을 향하여 하강하는 1단의 대략 계단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이 계단 형상부에는 반송벨트(51) 측에 배설되는 상단부(5b1)와, 재치면(5a) 측에 배설되는 하단부(5b2)가 형성되므로, 두루말이 물수건(M)을 상단부(5b1)와 하단부(5b2)에 차례로 접촉시켜 뒤집을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두루말이 물수건(M)의 모양을 저해하지 않고 재치면(5a)을 향하여 도약시킬 수 있다.Moreover, the upper end part of this rear end wall 5b is formed in one step of substantially step shape which descend | falls toward the mounting surface 5a. That is, since the upper end portion 5b1 disposed on the conveyance belt 51 side and the lower end portion 5b2 disposed on the mounting surface 5a side are formed on the stepped portion, the scroll rolls the wet towel M and the upper end portion 5b1. Since the lower end portion 5b2 can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in turn, the roll can be made to jump toward the mounting surface 5a without disturbing the shape of the wet towel M. FIG.

또한, 상술하듯이 본 실시예의 두루말이 물수건 제조장치(1)에 의하면, 받침접시 겸용뚜껑(5)이 개방된 상태에서는 후단벽(5b)의 상단이 반송벨트(51)의 하류측 단부에 인접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반송벨트(51)로부터 받침접시 겸용뚜껑(5)의 재치면(5a)으로 두루말이 물수건(M)을 직접 방출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두루말이 물수건 제조장치와 같이 반송벨트(51)와 받침접시 겸용뚜껑(5) 사이에 안내판을 가설하여 상기 안내판 상에서 굴리면서 두루말이 물수건을 받침접시 겸용뚜껑(5)까지 반송할 필요가 없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roll towel manufacturing apparatus 1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upper end of the rear end wall 5b is adjacent to the downstream end of the conveying belt 51 in the state in which the support plate combined lid 5 is opened. Since it is comprised, a roll can discharge | release a wet towel M directly from the conveyance belt 51 to the mounting surface 5a of the support plate combined use lid 5. Therefore, the conventional rolls do not need to convey the towels to the support plate combined lid 5 while the guide plate is laid between the conveying belt 51 and the support plate combined lid 5 like the wet towel manufacturing apparatus and rolled on the guide plate.

따라서, 안내판이 불필요한 만큼 부품개수를 감소시켜 두루말이 물수건 제조장치(1) 전체 제품경비의 절감을 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종래 두루말이 물수건 제조장치와 같이 안내판 상에서 굴리는 경우에 두루말이 물수건(M)의 두루말이가 무너져버리는 것을 회피할 수 있으므로, 두루말이 물수건(M)을 양호하게 권취된 상태 그대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by reducing the number of parts as much as the guide plate is unnecessary, the roll can reduce the overall product cost of the wet towel manufacturing apparatus 1, and when the conventional roll is rolled on the guide plate like the wet towel manufacturing apparatus, the scroll of the wet towel (M) Since it can be avoided, the scroll can provide the user with the wet towel M in a well wound state.

양 측벽부(5c)의 외면(도 4 및 도 5의 지면 후면측 및 전면측)에는 돌출축(5c1)이 각각 돌설되고, 이 돌출축(5c1)은 후술하는 지지판(8)에 요설된 지지홈(9)으로 회전 가능하면서 자유로이 탈착되도록 지지된다. 따라서, 받침접시 겸용뚜껑(5)은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듯이 상기 돌출축(5c1)을 지점으로 하여 개폐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돌출축(5c1)을 지지홈(9)으로부터 떼어냄으로써 본체(2)로부터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Protruding shafts 5c1 protrude from the outer surfaces of the side wall portions 5c (the rear and front sides of the paper in Figs. 4 and 5), and the protruding shafts 5c1 are supported by the supporting plate 8,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t is rotatable into the groove 9 and supported to be freely detached. Thus, the support plate combined lid 5 is configured to be opened and closed with the protruding shaft 5c1 as a point as shown in Figs. 4 and 5, and the main body (by removing the protruding shaft 5c1 from the support groove 9). It is configured to be separated from 2).

지지판(8)은 양 측벽판(5c)의 외측에서 상호 대향하며 배설되는 한 쌍의 판상부재로서, 이들 지지판(8)의 양 대향면에는 지지홈(8)이 요설된다. 지지홈(8)은 상술한 돌출축(5c1)을 자유롭게 회전과 탈착이 되도록 지지하기 위한 단면이 대략 "コ"자 형상인 요홈으로서,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듯이 그 하단측(도 4 및 도 5의 하측)에 원호상으로 형성되는 지지부로 돌출축(5c1)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돌출축(5c1)을 상단측(도 4 및 도 5의 상측)에 개구 형성된 개구부로부터 분리 또는 삽입할 수 있다.The support plate 8 is a pair of plate-like members which ar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on the outside of both sidewall plates 5c, and support grooves 8 are recessed on both opposing surfaces of these support plates 8. The support groove 8 is a groove having a substantially “co” shape in cross section for supporting the above-described protruding shaft 5c1 so as to be freely rotated and detached, and as shown in FIGS. 4 and 5, the lower end side thereof (FIGS. 4 and 5). While supporting the protruding shaft 5c1 rotatably with a support formed in an arc shape on the lower side of FIG. 5, the protruding shaft 5c1 is formed from an opening formed at an upper end (upper side in FIGS. 4 and 5). Can be removed or inserted.

또한, 하단측의 지지부와 상단측의 개구부를 연결하는 지지홈(9)의 통과경로는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듯이 정면에서 볼 때 대략 "く"자 형상으로 굴곡되어 형성된다. 이 때문에 받침접시 겸용뚜껑(5)을 사용자가 개폐조작할 때, 상기 받침접시 겸용뚜껑(5)이 부주의로 상측으로 들어올려진 경우에도 상기 받침접시 겸용뚜껑(5)의 돌출축(5c1)이 지지홈(9)의 개구부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받침접시 겸용뚜껑(5)이 개폐조작 시 본체(2)에서 빠져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받침접시 겸용뚜껑(5)의 개폐 조작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Moreover, the passage of the support groove 9 which connects the support part at the lower end side and the opening part at the upper end side is bent in a substantially "ku" shape from the front, as shown in FIGS. 4 and 5. For this reason, when the user opens and closes the support plate combined lid 5, the protruding shaft 5c1 of the support plate combined lid 5 is supported even when the support plate combined lid 5 is inadvertently lifted upward. Since the separation from the opening of the groove 9 can be suppressed,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support plate 5 from being pulled out of the main body 2 during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As a result, it becomes possible to improve the operability of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base plate combined lid 5.

또한, 지지홈(9)의 통과경로는 본체(2)의 배면측(도 4 및 도 5의 우측)을 향하므로, 즉 하단측의 지지부가 상단측의 개구부보다도 본체(2)의 배면측(안쪽)에 배치되도록 굴곡져 형성되므로, 그 만큼 도 5에 나타내듯이 개방된 받침접시 겸용뚜껑(5)을 본체(2)의 내부로 인입시킬 수 있다. 따라서, 개방된 받침접시 겸용뚜껑(5)이 본체(2)의 전면패널(2b: 도 4 및 도 5의 좌측)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량을 작게 할 수가 있어서, 상기 받침접시 겸용뚜껑(5)이 장애가 되어서 두루말이 물수건 제조장치(1)의 설치장소가 제한되거나, 두루말이 물수건 제조장치(1)의 미관이 손상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passage path of the support groove 9 faces the back side (right side of FIGS. 4 and 5) of the main body 2, that is, the supporting portion at the lower end side of the back side of the main body 2 rather than the opening at the upper end side ( Since it is formed to be bent to the inside), as shown in Figure 5, the open base plate combined lid (5) can be drawn in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2). Therefore, the open base plate combined lid 5 can reduce the amount of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front panel 2b of the main body 2 (the left side of Figs. 4 and 5), so that the base plate combined lid 5 It becomes an obstacle, and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at the place where the scroll is placed in the wet towel manufacturing apparatus 1 is limited or that the roll is damaged by the appearance of the wet towel manufacturing apparatus 1.

또한, 지지홈(9)을 이와 같이 굴곡지게 구성하므로, 받침접시 겸용뚜껑(5)을 분리하는 경우에는 상기 받침접시 겸용뚜껑(5)을 본체(2)의 전면측(도 4 및 도 5의 좌측)으로 이동시키면서 상측으로 들어올려서 분리할 수가 있다. 즉, 받침접시 겸용뚜껑(5)을 본체(2)의 안쪽(도 4 및 도 5의 우측)으로 이동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상기 받침접시 겸용뚜껑(5)과 본체(2) 내의 각 부재(예를 들어, 반송벨트(51) 등)와의 간섭을 고려할 필요가 없게 되어,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빈 공간을 둘 필요가 없고, 그 만큼 두루말이 물수건 제조장치(1) 전체의 소형화를 꾀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since the support groove 9 is configured to be bent in this manner, when the support plate combined lid 5 is removed, the support plate combined lid 5 is disposed on the front side of the main body 2 (FIGS. 4 and 5). It can be removed by lifting upward while moving to the left). That is, since the support plate combined lid 5 does not need to be moved 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2 (the right side of FIGS. 4 and 5), the members of the support plate combined lid 5 and the main body 2 (eg For example, it is not necessary to consider the interference with the conveyance belt 51, etc., and there is no need to provide a vacant space for avoiding the interference, so that the roll can reduce the overall size of the wet towel manufacturing apparatus 1.

본체(2)의 개구부(2b1)의 측벽에는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듯이 광센서(120)가 배설된다. 이 광센서(120)는 조사된 광의 반사량 변화에 의하여 받침접시 겸용뚜껑(5)의 개폐상태를 검출하는 센서로서, 적외선을 조사하는 광원으로서의 발광소자(120a)와, 그 반사광을 수광하는 수광소자(120b)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들 발광소자(120a)의 광 조사면과 수광소자(120b)의 광 수광면은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듯이 받침접시 겸용뚜껑(5)의 측벽부(5c)와 대향할 수 있도록 서로 개구부(2b1)의 측벽 동일면 상에 배설된다.The photosensor 120 is arrange | positioned at the side wall of the opening part 2b1 of the main body 2 as shown to FIG. 4 and FIG. The optical sensor 120 is a sensor for detecting the open / closed state of the support plate 5 by the change in the amount of reflection of the irradiated light, a light emitting element 120a as a light source for irradiating infrared rays, and a light receiving element for receiving the reflected light It is comprised with 120b. The light irradiation surface of the light emitting element 120a and the light receiving surface of the light receiving element 120b are opened with each other so as to be opposite to the side wall portion 5c of the support plate 5 as shown in FIGS. 4 and 5. It is excreted on the same side wall of 2b1).

또한, 본 실시예의 광센서(120)는 발광소자(120a)가 적외선 LED로 구성되며, 수광소자(120b)는 포토 트랜지스터로 구성된다. 다만, 조사광은 적외선에 한하는 것은 아니고, 그밖의 파장을 가지는 광을 조사(수광) 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도 당연히 가능하다.In addition, in the optical sensor 120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light emitting device 120a is configured by an infrared LED, and the light receiving device 120b is configured by a photo transistor. However, irradiated light is not limited to infrared rays, but of course, it is also possible to configure so as to irradiate (receive) light having other wavelengths.

발광소자(120a)로부터 조사되어 대상물인 받침접시 겸용뚜껑(5)의 측벽부(5c)나 반대측 측벽에서 반사된 적외선이 수광소자(120b)에 의해 수광되면, 그 수광량이 센서 제어회로(89: 도 2 참조)에 의해 디지털값으로 A/D 변환되어 CPU(71: 도 2 참조)에 의해 읽혀진다. CPU(71)는 읽은 값이 미리 정해진 임계값 이상인지 여부에 따라 받침접시 겸용뚜껑(5)의 개폐상태를 판단한다.When the infrared light emitted from the light-emitting element 120a and reflected from the side wall portion 5c or the opposite side wall of the base plate combined lid 5 as an object is received by the light-receiving element 120b, the amount of received light is controlled by the sensor control circuit 89: A / D is converted into digital values by the CPU 71 (see FIG. 2). The CPU 71 determines the opening / closing state of the base plate combined lid 5 according to whether the read valu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상세하게는, 받침접시 겸용뚜껑(5)이 닫혀있는 경우에는, 도 4에 나타내듯이 발광소자(120a)의 바로 앞에 받침접시 겸용뚜껑(5)의 측벽부(5c)가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발광소자(120a)로부터 조사된 적외광은 받침접시 겸용뚜껑(5)의 측벽부(5c)에서 직접 반사되어, 수광소자(120b)가 수광하는 수광량은 큰 값(임계값 이상)으로 된다. 한편, 받침접시 겸용뚜껑(5)이 개방되어 있는 경우에는, 도 5에 나타내듯이 발광소자(120a)의 전방에 장애물이 없는 상태로 되므로, 발광소자(120a)로부터 조사된 적외광은 개구부(2b1)의 반대측 측벽에서 반사되어, 수광소자(120b)가 수광하는 수광량은 작은 값(임계값 이하)으로 된다. 그 결과, 수광소자(120b)에 의해 수광된 수광량에 따라 받침접시 겸용뚜껑(5)의 개폐상태를 검출할 수 있게 된다.In detail, when the support plate combined lid 5 is closed, since the side wall portion 5c of the support plate combined lid 5 is disposed in front of the light emitting element 120a as shown in FIG. The infrared light irradiated from the element 120a is directly reflected by the side wall portion 5c of the lid 5, and the amount of light received by the light receiving element 120b becomes a large value (threshold or higher). On the other hand, when the support plate combined lid 5 is opened, as shown in FIG. 5, there is no obstacle in front of the light emitting element 120a, and the infrared light irradiated from the light emitting element 120a is the opening 2b1. Reflected from the side wall opposite to the side wall), the light-receiving amount received by the light-receiving element 120b becomes a small value (below the threshold value).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detect the open / closed state of the support plate lid 5 according to the amount of light received by the light receiving element 120b.

또한, 본 실시예의 두루말이 물수건 제조장치(1)는 도 5에 나타내듯이 광센서(120)가 개방상태로 있는 받침접시 겸용뚜껑(5)의 측벽부(5c)의 단부주연(도 5의 상측 단부주연)에 근접하여 배설되므로, 받침접시 겸용뚜껑(5)이 도 4에서 나타내듯이 완전하게는 닫혀 있지 않은 경우, 즉 반쯤 열린 상태인 경우라도, 받침접시 겸용뚜껑(5)이 개방되어 있다고 광센서(120)가 검출하는 일은 없다. 즉, 본 실시예의 두루말이 물수건 제조장치(1)는 받침접시 겸용뚜껑(5)이 도 5에 나타내듯이 완전히 개방된 상태로 된 경우에는 받침접시 겸용뚜껑(5)이 개방되어 있다고 광센서(120)로 검출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rolled-up wet towel manufacturing apparatus 1 of this embodiment has the edge of the side edge part 5c of the base plate lid 5 with the optical sensor 120 open as shown in FIG. 5 (upper end of FIG. 5). Periphery), so that when the base plate combined lid 5 is not completely closed, as shown in FIG. 4, that is, even half open, the optical base plate 5 is opened. 120 does not detect it. That is, the rolled towel towel manufacturing apparatus 1 of the present embodiment has the optical sensor 120 that the support plate 5 is open when the support plate 5 is fully open as shown in FIG. Can be detected.

받침접시 겸용뚜껑(5)이 닫혀있다고 광센서(120)에 의해 검출되면, CPU(71: 도 2 참조)는 상술하였듯이 운전·정지버튼(4a)의 누름을 무효로 하고, 두루말이 물수건(M)의 제조를 금지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사용자가 받침접시 겸용뚜껑(5)이 닫혀진 상태 그대로 운전·정지버튼(4a)을 눌러 두루말이 물수건(M)의 제조를 지시한 경우에도 그 제조가 개시되는 것을 회피할 수가 있기 때문에, 받침접시 겸용뚜껑(5)까지 두루말이 물수건(M)이 도달하지 않고, 본체(2), 즉 성형수단(50) 내에 두루말이 물수건(M)의 막힘이 발생하거나, 또는 그 막힘에 기인하여 반송·반전모터(85a, 86a)의 부하가 과다해져서 파손되어버리는 제조불량을 회피할 수 있게 된다.If the support plate 5 is detected by the optical sensor 120 as the support plate 5 is closed, the CPU 71 (see Fig. 2) invalidates the pressing of the run / stop button 4a as described above, and the rolled towel M is rolled. Prohibit the manufacture of Therefore, for example, even if the user presses the operation / stop button 4a with the base plate combined lid 5 closed, even if the roll instructs the manufacture of the towel M, the manufacture can be avoided from starting. The wet towel (M) does not reach the roll up to the support plate (2), and the clogging of the wet towel (M) occurs in the main body (2), that is, the forming means (50), or is conveyed due to the blockage. It is possible to avoid manufacturing defects in which the loads of the inverting motors 85a and 86a become excessive and break.

또한, 본 실시예의 두루말이 물수건 제조장치(1)는 상술하였듯이 받침접시 겸용뚜껑(5)이 닫힌 경우에 상기 받침접시 겸용뚜껑(5)이 광센서(120)의 전방을 차단하도록 구성되므로(도 4 및 도 5 참조), 받침접시 겸용뚜껑(5)이 본체(2)로부터 분리된 경우에는 도 5에 나타내는 받침접시 겸용뚜껑(5)이 개방되어 있는 경우와 마찬가지의 검출결과를 광센서(120)에 발생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rolled towel towel manufacturing apparatus 1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configured to block the front of the optical plate 120 when the support plate combined lid 5 when the support plate combined lid 5 is closed as described above (FIG. 4). And FIG. 5), when the support plate combined lid 5 is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2, the detection result similar to the case where the support plate combined lid 5 shown in FIG. 5 is opened is shown by the optical sensor 120. Can be generated.

따라서, 받침접시 겸용뚜껑(5)을 본체(2)로부터 분리한 경우에도 두루말이 물수건(M)의 제조가 금지되는 것은 아니므로, 상기 금지동작이 작동되지 않도록 받침접시 겸용뚜껑(5)이 분리되었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검출수단과, 금지동작을 해제하는 해제수단 등을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이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기 때문에, 부품개수와 설계비용을 절감하여 그 만큼 두루말이 물수건 제조장치(1) 전체로서의 제품경비의 절감을 꾀할 수 있다.Therefore, even when the support plate 5 is removed from the main body 2, the roll is not prohibited from the manufacture of the wet towel M, so that the support plate 5 is removed from the support plate so that the prohibition operation does not work. Since it is possible to simplify the configuration without the need of separately providing a detection means for detecting whether or not and a release means for releasing the prohibited operation, the number of parts and the design cost can be reduced, so that the product as a whole wet towel manufacturing apparatus 1 can be manufactured. The cost can be reduced.

또한, 받침접시 겸용뚜껑(5)의 측벽부(5c)가 옅은 색(예를 들면, 백색 따위)으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광센서(120)의 배설면과 반대측인 개구부(2b1)의 측벽을 짙은 색(예를 들면, 흑색 따위)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측벽부(5c)가 짙은 색으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개구부(2b1)의 측벽을 옅은 색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받침접시 겸용뚜껑(5)의 개폐상태에 따라 변화하는 반사광의 광량차를 크게 하여, 광센서(120)의 검출 정밀도를 높일 수가 있다. In addition, when the side wall portion 5c of the combined lid 5 of the support plate is made of a light color (for example, white), the side wall of the opening 2b1 opposite to the excretion surface of the optical sensor 120 is dark. It is preferable to comprise in color (for example, black), and when the side wall part 5c is comprised in dark color, it is preferable to comprise the side wall of the opening part 2b1 in light color. Thereby, the light quantity difference of the reflected light which changes according to the opening / closing state of the base plate combined lid 5 can be enlarged, and the detection precision of the optical sensor 120 can be improved.

받침접시 겸용뚜껑(5)의 하측에는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듯이 물받침 접시(7)가 탈착 가능하게 배설된다. 이 물받침 접시(7)는 상술한 살수부(42)로부터 살수되어 시트재(S)에 흡수되지 않은 물을 회수하기 위한 용기로서, 상면측(도 4 및 도 5의 상측)이 개방된 대략 상자형상으로 구성된다.On the lower side of the support plate combined use lid 5, the drip tray 7 is detachably disposed as shown in FIGS. 4 and 5. The drip tray 7 is a container for recovering water which has been sprayed from the above watering portion 42 and is not absorbed by the sheet material S, and has an approximately opened upper surface side (the upper side in FIGS. 4 and 5). It consists of a box shape.

본체(2)의 전면패널(2b)에는 상술하였듯이 개구부(2b1)가 형성되고, 물받침 접시(7)는 받침접시 겸용뚜껑(5)의 개폐상태에 관계없이 개구부(2b1)를 통하여 탈착 가능하게 구성된다. 따라서, 종래의 두루말이 물수건 제조장치와 같이 장치 본체의 전면패널을 분리할 필요가 없어 물받침 접시(7)의 탈착조작이 간소화되므로, 물받침 접시(7)에 저장된 물의 폐기를 용이하게 할 수가 있다. 또한, 물받침 접시(7)의 횡폭 방향(도 4 및 도 5의 지면 수직방향) 양측에는 가이드 부재(미도시)가 배설되어 상기 가이드 부재에 의하여 물받침 접시(7)의 전후방향(도 4 및 도 5의 좌우방향) 이동이 안내된다.The opening 2b1 is formed in the front panel 2b of the main body 2 as described above, and the drip tray 7 is detachable through the opening 2b1 irrespective of the opening / closing state of the combined lid 5 on the base plate. It is composed. Therefore, the conventional scroll does not need to separate the front panel of the apparatus main body like the wet towel manufacturing apparatus, and the detachment operation of the drip tray 7 is simplified, so that the water stored in the drip tray 7 can be easily disposed. . In addition, guide members (not shown) ar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water support plate 7 in the horizontal width direction (the paper vertical direction in FIGS. 4 and 5), and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water support plate 7 are provided by the guide members. And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FIG. 5 are guided.

물받침 접시(7)와 반송벨트(51)와의 사이에는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듯이 수집부재(6)가 배설된다. 이 수집부재(6)는 반송벨트(51) 또는 케이스(54)의 저면(54a)을 따라서 흘러내리는 물을 수집하여 물받침 접시(7)로 송출하기 위한 부재로서, 흘러내리는 물을 모두 수집할 수 있도록, 상단(도 4 및 도 5의 상측)으로 개방되는 수집구가 저면(54a)의 횡폭(도 4 및 도 5의 지면 수직방향 치수)보다도 약간 큰 횡폭을 지니면서 형성된다. 또한, 수집부재(6)에 의하여 수집된 물은 상기 수집부재(6)의 하단으로 직경이 작게 형성된 송출구(6a)로부터 물받침 접시(7) 내로 송출된다. A collection member 6 is disposed between the drip tray 7 and the conveyance belt 51 as shown in FIGS. 4 and 5. The collecting member 6 is a member for collecting the water flowing along the bottom surface 54a of the conveyance belt 51 or the case 54 and sending it to the drip tray 7 to collect all the flowing water. In order to be able to do so, a collecting port opened to an upper end (upper side in Figs. 4 and 5) is formed with a width slightly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bottom face 54a (vertical dimension in the plane of Figs. 4 and 5). In addition, the water collected by the collecting member 6 is discharged into the drip tray 7 from the discharge port 6a having a small diameter at the lower end of the collecting member 6.

이와 같이, 반송벨트(51) 등으로부터 흘러내리는 물은 수집부재(6)로 수집되므로, 물받침 접시(7)의 횡폭(도 4 및 도 5의 지면 수직방향 치수)을 반송벨트(51) 등의 횡폭보다도 좁게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두루말이 물수건 제조장치와 같이 반송벨트 등으로 흘러내리는 물을 물받침 접시로 직접 수집할 수 있도록 상기 물받침 접시의 횡폭을 반송벨트의 횡폭보다 넓게 구성하여 둘 필요가 없다. 따라서, 그 만큼 물받침 접시(7)의 횡폭을 소형화할 수 있으므로, 상술한 가이드 부재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을 물받침 접시(7)의 횡폭방향 양측에 확보할 수 있어, 그 결과 두루말이 물수건 제조장치(1)의 횡폭을 작게 구성할 수 있게 된다.In this way, since water flowing down from the conveyance belt 51 or the like is collected by the collecting member 6, the transverse width (the vertical dimension of the ground in Figs. 4 and 5) of the drip tray 7 is conveyed by the conveyance belt 51 and the like. It can be configured to be narrower than the width of. Therefore, it is not necessary to configure the width of the drip tray wider than the width of the conveying belt so that the conventional scroll can collect the water flowing down the conveying belt or the like directly like the wet towel manufacturing apparatus. Therefore, since the width of the drip tray 7 can be made smaller, the space for installing the above-described guide member can be secured on both sides of the drip tray 7 in the widthwise direction, and as a result, the rolled towel is manufactured. The width of (1) can be made small.

여기서, 물받침 접시(7)의 상면측(도 4 및 도 5의 상측)에는 그 상면 개방부를 피복하는 뚜껑부재(7a)가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뚜껑부재(7a)에는 수집부재(6)의 송출구(6a)에 대응하는 위치에 개구부(7a1)가 천설된다. 따라서, 물받침 접시(7)의 분리작업 시에는 상기 물받침 접시(7)가 흔들리거나 경사져도, 내부에 저장된 물이 외부로 유출되어버리는 것을 뚜껑부재(7a)에 의하여 억제할 수 있으므로, 상기 분리작업을 안전하고 신속하게 할 수가 있다.Here, a lid member 7a covering the top opening of the drip tray 7 is detachably mounted to the top surface side (upper side of FIGS. 4 and 5), and the collection member 6 is attached to the lid member 7a. The opening part 7a1 is installed in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discharge port 6a of (). Therefore, at the time of separating the drip tray 7, even if the drip tray 7 is shaken or inclined, since the water stored therein can be suppressed by the lid member 7a, Separation work can be done safely and quickly.

또한, 물받침 접시(7) 또는 뚜껑부재(7a) 중 적어도 하나는 투명한 수지재료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받침 접시(7)를 투명한 수지재료로 구성한 경우에는 상기 물받침 접시(7)를 본체(2) 내로부터 분리하지 않고, 즉 본체(2) 내에 설치된 상태 그대로 본체(2)의 개구부(2b1)로부터 물받침 접시(7) 내의 수량을 시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뚜껑부재(7a)를 투명한 수지재료로 구성한 경우에는 상기 뚜껑부재(7a)를 분리하지 않고도 물받침 접시(7)의 수량을 시인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t least one of the drip tray 7 or the lid member 7a is made of a transparent resin material. In the case where the drip tray 7 is made of a transparent resin material, the drip tray 7 is not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2, that is, the opening 2b1 of the main body 2 as it is provided in the main body 2. The amount of water in the drip tray 7 can be visually recogniz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lid member 7a is made of a transparent resin material, the quantity of the drip tray 7 can be visually recognized without removing the lid member 7a.

다음에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두루말이 물수건 제조장치(1)에서 실행되는 처리를 도 7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Next, a process in which the scroll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executed in the wet towel manufacturing apparatus 1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flowchart of FIG. 7.

도 7은 CPU(71)에 의해 실행되는 주 처리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 처리는 두루말이 물수건 제조장치(1)의 전원의 투입에 의해 개시되고, 전원이 투입되는 동안, CPU(71)에 의해 반복적으로 실행되는 처리이다. 7 is a flowchart showing the main processing executed by the CPU 71. This process is a process in which the scroll is started by turning on the power of the wet towel manufacturing apparatus 1 and repeatedly executed by the CPU 71 while the power is turned on.

또한, 상기 주 처리의 실행 중에 CPU(71)로 과전류 검출회로(81b)로부터의 검출신호(93)가 입력된 경우에는 도시하지 않은 과전류 검출시 처리(인터럽트 처리)가 즉시 실행된다. 과전류 검출시 처리에서는 송급모터(81a)의 구동이 정지됨과 동시에, 타올 롤(R)의 시트재(S)가 끝단에 도달하였다는 취지를 사용자에게 보고한다.In addition, when the detection signal 93 from the overcurrent detection circuit 81b is input to the CPU 71 during the execution of the main processing, the overcurrent detection processing (interrupt processing) (not shown) is immediately executed. In the overcurrent detection process, the drive of the feeding motor 81a is stopped and the user is notified that the sheet material S of the towel roll R has reached the end.

여기서, 주 처리의 흐름도는 도 8 ~ 도 10을 적절히 참조하며 설명한다. 도 8 및 도 9는 각각 ROM(72)에 저장된 시간 매개변수표(72a) 및 유량 매개변수표(72b)의 내용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살수수단(40)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시간챠트이다.Here, the flowchart of the main processing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8 to 10 as appropriate. 8 and 9 are diagrams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tents of the time parameter table 72a and the flow rate parameter table 72b stored in the ROM 72, respectively, and FIG. 10 shows the operation state of the watering means 40. FIG. The time chart shown.

CPU(71)는 주 처리에 있어서 먼저 초기설정 처리(S1)를 실행한다. 상기 초기설정 처리에서는 타올 롤(R) 또는 시트재(S)의 유무와 각 구동장치의 상태, 받침접시 겸용뚜껑(5)의 개폐상태 등을 조사하여 그 결과 등을 조작패널(4)의 표시장치로 표시하고, 살수수단(40)의 분사펌프(83a)로 예압 구동력을 부여하는 처리 등을 실행하여 두루말이 물수건 제조장치(1)가 두루말이 물수건(M)의 제조를 개시할 수 있는 상태로 설정한다. The CPU 71 first executes the initial setting processing S1 in the main processing. In the initial setting process,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towel roll (R) or the sheet material (S), the state of each driving device, the opening / closing state of the supporting plate (5), and the like are displayed. Displayed by the apparatus, and a process of applying a preload driving force to the injection pump 83a of the watering means 40 is performed so that the rolled-up towel manufacturing apparatus 1 is set to a state in which the rolled-up wet towel M can be started. do.

또한, 분사펌프(83a)로 부여되는 예압 구동력은 살수에 걸리는 응답속도를 높이기 위한 것으로서, 상술한 유량 매개변수표의 예압 구동력(Pb)에 시트재(S)의 두께(t) 및 길이(L)와 관련지어져 규정된다(도 9 참조). CPU(71)는 두께변환 스위치(70) 및 길이설정 다이얼(80)에 의해 설정된 두께(t) 및 길이(L)에 대응하는 예압 구동력(Pb)을 유량 매개변수표로부터 읽어내어, 그 값으로 분사펌프(83a)를 미리 구동하여 둔다.In addition, the preload driving force imparted to the injection pump 83a is to increase the response speed applied to the watering, and the thickness t and the length L of the sheet material S to the preload driving force P b of the flow rate parameter table described above. ), And is defined in connection with (). The CPU 71 reads the preload driving force P b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t and the length L set by the thickness conversion switch 70 and the length setting dial 80 from the flow rate parameter table, and the value thereof. The injection pump 83a is driven in advance.

상기 분사펌프(83a)로의 예압 구동력(Pb) 부여는 후술하는 개시시 대기시간(Ts)이 경과할 때까지 계속되므로(도 10 참조), 개시시 대기시간(Ts)의 경과에 따라 살수지시가 발생한 경우에는 즉시 노즐부(42c)로부터 살수를 실행할 수 있게 된다.The provision of the preload driving force P b to the injection pump 83a is continued until the start-up waiting time T s described later (see FIG. 10), and according to the passage of the waiting time T s at the start When watering instruction occurs, watering can be immediately performed from the nozzle part 42c.

여기서, 송수호스(43)는 상술하였듯이 경로 내에 물이 잔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그 정상부가 분사펌프(83a) 및 노즐부(42c)보다도 높은 위치를 통과하도록 당겨 돌려져있으나, 예압 구동력(Pb)의 값은 분사펌프(83a)에 의해 압송되는 물이 송수호스(43)의 정상부에 도달하지 않을 정도의 구동력으로 된다.Here, the water supply hose 43 is pulled so as to pass through a position higher than the injection pump 83a and the nozzle portion 42c so as to prevent water from remaining in the path as described above, but the preload driving force P The value of b ) is such that the driving force is such that water pressurized by the injection pump 83a does not reach the top of the water supply hose 43.

이 때문에, 살수에 걸리는 응답속도를 높이기 위하여 소정의 대기시간 동안 분사펌프(83a)에 예압 구동력을 부여한 경우에도, 압송된 물은 송수호스(43)의 정상부를 넘어서 압송되지 않으므로, 쓸데없는 물이 노즐부(42c)로부터 살수되는 것을 억제하여 적은 물로도 효율 좋게 시트재(S)에 습기를 부여할 수 있게 된다. For this reason, even when a preload driving force is applied to the injection pump 83a for a predetermined waiting time in order to increase the response speed of watering, the pumped water is not pumped over the top of the water supply hose 43, so that wasteful water is not supplied. Water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prayed from the nozzle portion 42c and moisture can be applied to the sheet material S efficiently with a small amount of water.

S2의 처리에서는 운전버튼(4a)이 눌려졌는지 여부를 확인하고(S2), 운전버튼(4a)이 눌려지지 않은 경우에는(S2: No) 각 처리(S3)를 실행한다. 각 처리(S3)에서는 각종 버튼(92: 도 3 참조)에 의한 설정처리(예를 들면, 두루말이 물수건(M)의 제조개수 따위)와 LCD(4b)의 표시제어 등이 실행된다. 상기 각 처리(S3)의 실행 후에는 S2의 처리로 이행한다.In the process of S2, it is checked whether the operation button 4a is pressed (S2), and if the operation button 4a is not pressed (S2: No), each process S3 is executed. In each processing S3, setting processing by various buttons 92 (refer to FIG. 3) (e.g., the number of rolls of the towel M), display control of the LCD 4b, and the like are executed. After execution of each process S3, it transfers to the process of S2.

S2의 처리에 있어서 운전버튼(4a)의 누름이 확인된 경우에는(S2: Yes) 사용자가 두루말이 물수건(M)의 제조개시를 지시하였다는 것이므로, 두루말이 물수건(M)의 제조를 개시할 수 있도록 S4 이후의 처리를 실행한다.If it is confirmed that the operation button 4a is pressed in the process of S2 (S2: Yes), the user has instructed the start of the manufacture of the wet towel M, so that the scroll can start the manufacture of the wet towel M. The process after S4 is executed.

이 경우, CPU(71)는 먼저 송급모터(81a)를 구동하고 구동롤러(23)를 회전시킴으로써(도 3 참조), 타올 롤(R)로부터 시트재(S)의 인출동작을 개시하고 반송모터를 구동한다(S4). 이로써, 송급수단(20)으로부터 살수부(42) 및 성형수단(50)을 향하여 시트재(S)가 이송되고, 성형수단(50)의 반송경로 내로 시트재(S) 선단의 인입준비가 행해진다.In this case, the CPU 71 first drives the feeding motor 81a and rotates the driving roller 23 (see FIG. 3), thereby starting the drawing out operation of the sheet material S from the towel roll R and carrying the conveying motor. Drive (S4). As a result, the sheet material S is transferred from the supply means 20 toward the sprinkling part 42 and the forming means 50, and preparation of the leading end of the sheet material S into the conveying path of the forming means 50 is performed. All.

시트재(S)의 인출동작을 개시한 후에는(S4), S5의 처리로 이행하여 운전버튼(4a)의 누름으로부터 Ts초가 경과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하고(S5), Ts초가 경과할 때까지 대기한다(S5: No).After starting the withdrawal operation of the sheet material S (S4), the process shifts to S5 to confirm whether T s seconds have elapsed from the press of the operation button 4a (S5), and when T s seconds has elapsed. Wait until (S5: No).

또한, 이 대기시간(Ts)은 상술한 시간 매개변수표(72a)의 개시시 대기시간(Ts)로서, 시트재(S)의 두께(t) 및 길이(L)와 관련지어져 복수의 값이 규정되고(도 8 참조), 이들 각 개시시 대기시간(Ts)은 그 값만큼의 시간 경과에 의하여 송급수단(20)으로부터 직하하는 시트재(S)의 선단이 살수부(42)의 노즐부(42c)의 상류측에 도달하거나 또는 하류측까지 통과하도록 설정된다.Further, the waiting time (T s) is built as a wait time (T s) at the start of the above time parameter table (72a), related to the thickness (t) and the length (L) of the sheet material (S) a plurality of A value is defined (refer to FIG. 8), and the waiting time T s at the start of each of these is the watering part 42 at the tip of the sheet material S directly below the supply means 20 by the time elapsed by that value. It is set to reach the upstream side of the nozzle part 42c or to pass to the downstream side.

따라서, S5의 처리에 있어서 운전버튼(4a)의 누름으로부터 Ts초가 경과하였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S5: Yes) 시트재(S)의 선단이 살수부(42)의 노즐부(42c)에 대하여 소정 위치까지 도달하였다는 것이므로, 분사펌프(83a)를 제 1 조건으로 구동하여 노즐부(42c)로부터 시트재(S)로 물의 분사(살수)를 개시한다(S6).Therefor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 s seconds have elapsed from the pressing of the operation button 4a in the process of S5 (S5: Yes), the tip of the sheet member S is connected to the nozzle portion 42c of the sprinkling portion 42. Since it reaches to the predetermined position, the injection pump 83a is driven under the first condition to start the injection (spraying) of water from the nozzle portion 42c to the sheet material S (S6).

또한, S6의 처리에 있어서 제 1 조건은 상술한 유량 매개변수표(72b)에 규정된 인입시 구동력(Pp)을 의미하고, 시트재(S)의 두께(t) 및 길이(L)와 관련지어져 규정된다(도 9 참조). CPU(71)는 두께변환 스위치(70) 및 길이설정 다이얼(80)로 설정된 두께(t) 및 길이(L)에 대응하는 인입시 구동력(Pp)의 값을 유량 매개변수표(72b)로부터 읽어내고, 그 인입시 구동력(Pp)으로 분사펌프(83a)를 구동한다. 따라서, 시트재(S)에는 그 두께(t) 및 길이(L)에 대응한 살수가 되므로, 살수과다나 살수부족을 억제할 수가 있어, 그 결과 적당한 습기의 두루말이 물수건(M)이 제조된다.In addition, the first condition is the inlet when the driving force (P p) the means and the thickness of the sheet material (S) (t) and the length (L) defined in the above-described flow rate parameter table (72b) in the processing of S6 Associated and defined (see FIG. 9). The CPU 71 calculates the value of the driving force P p at the time of entry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t and the length L set by the thickness conversion switch 70 and the length setting dial 80 from the flow rate parameter table 72b. is read out to drive the jet pump (83a) to the inlet when the driving force (p p). Therefore, since the sheet material S is sprinkled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t and the length L, excessive sprinkling and deficiency of sprinkling can be suppressed. As a result, a wet towel M is produced with a roll of moderate moisture.

또한, 개시시 대기시간(Ts)의 값은 시트재(S)의 길이(L)가 가장 짧은 경우에(L=18cm) 가장 길게 되는 한편(200ms), 예압 구동력(Pb)의 값은 시트재(S)의 길이(L)가 가장 짧은 경우에 가장 크게(180펄스/s) 된다(도 8 및 도 9 참조). 그 결과, 성형수단(50)으로 인입하는 시트재(S) 선단부로의 살수 타이밍을 늦춤으로써, 상기 선단부가 살수과다로 되는 것을 억제하여 살수과다에 기인하는 성형수단(50)에서의 성형불량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value of the waiting time T s at the start becomes the longest (200ms) when the length L of the sheet material S is the shortest (L = 18 cm), while the value of the preload driving force P b is When the length L of the sheet material S is the shortest, it becomes largest (180 pulses / s) (refer FIG. 8 and FIG. 9). As a result, by delaying the watering timing to the tip portion of the sheet material S drawn into the forming means 50, the tip portion is prevented from being excessively sprinkled, and the molding failure in the molding means 50 caused by the excessive sprinkling is prevented. Occurrence can be suppressed.

또한, 살수 타이밍을 늦추는 경우에는 여러 조건에 기인하는 오차로 인해 살수 타이밍이 너무 늦게되어 시트재(S)의 선단부가 목표값보다도 살수부족으로 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이 경우에는 예압 구동력(Pb)을 크게 하여 응답속도를 높임으로써 살수부족을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spraying timing is delayed, the spraying timing may be too late due to an error caused by various conditions, and the tip end portion of the sheet material S may be sprayed less than the target value. In this case, the preload driving force P b By increasing the response speed, the shortage of water can be reliably suppressed.

또한, 인입시 구동력(Pp)의 최소값 데이터는 살수노즐(42c)로부터 살수가 되지 않는 값, 즉 예압 구동력(Pb)의 값보다도 작은 값이므로, 예를 들면 유량조절 다이얼(60)이 하한값(Min)으로 설정되어(도 6a 참조) 습기상태가 가장 작은 두루말이 물수건(M)의 제조가 사용자로부터 지시된 경우에는, 성형수단(50)으로 인입되는 시트재(S)의 선단부로의 살수를 하지 않음으로써 습기상태가 보다 작은 두루말이 물수건(M)을 확실하게 제조할 수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minimum value data of the driving force P p at the time of drawing is a value which is not sprayed from the water spray nozzle 42c, ie, a value smaller than the value of the preload driving force P b , for example, the flow regulating dial 60 has a lower limit value. (Min) is set (see Fig. 6A), when the roll with the smallest moisture is instructed by the user to manufacture the wet towel M, the watering to the front end of the sheet member S introduced into the forming means 50 is carried out. By not doing so, a scroll having a smaller moisture state can reliably produce a wet towel (M).

이와 같이, 소정의 타이밍이 도래할 때까지 소정의 대기시간만 살수동작을 대기함으로써, 쓸데없는 물의 살수를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적은 물로 효율이 좋게 시트재(S)에 살수할 수 있어 경제적일뿐만 아니라, 물 탱크(T) 및 물받침 접시(7)의 교환빈도를 낮추어 사용자 부담의 경감을 꾀할 수도 있다.In this way, the use of the watering operation is waited only for a predetermined waiting time until the predetermined timing arrives, so that the use of water can be suppressed. As a result, the water can be sprayed on the sheet material S efficiently with a small amount of water, and it is not only economical but also can reduce the frequency of exchange of the water tank T and the saucer 7 to reduce the burden on the user.

시트재(S)로의 물 분사동작을 개시한 후(S6), S8의 처리로 이행하여 성형수단(50)의 반송경로 내로 시트재(S)의 인입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S8), 그 인입처리가 완료될 때까지 대기한다(S8: No). 또한, 본 실시예의 두루말이 물수건 제조장치(1)에서는 구동롤러(23)의 회전수를 회전센서로 검출하고, 그 회전수가 소정 회수에 이른 경우, 시트재(S)의 인입처리가 완료되도록 설정한다.After starting the water spraying operation to the sheet material S (S6), the process proceeds to S8 to check whether the drawing of the sheet material S is completed into the conveying path of the forming means 50 (S8), It waits until the drawing process is completed (S8: No). In addition, in the wet towel manufacturing apparatus 1 of this embodiment, the rotation speed of the driving roller 23 is detected by a rotation sensor, and when the rotation speed reaches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the sheet material S is set to complete the drawing-in process. .

즉, 본 실시예의 두루말이 물수건 제조장치(1)에서는 상술하였듯이 길이설정 다이얼(80: 도 6b 참조)에 의하여 시트재(S)의 길이를 18cm부터 48mm까지의 범위에서 6cm 간격의 값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므로, 이들 각 설정길이에 대응하는 회전수만큼만 구동롤러(23)를 회전시키는 것이다.That is, in the roll towel manufacturing apparatus 1 of the present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the length of the sheet material S can be set to a value of 6 cm interval in the range of 18 cm to 48 mm by the length setting dial 80 (see FIG. 6B). Since it is comprised, the drive roller 23 is rotated only by the rotation speed corresponding to each set length.

따라서, 구동롤러(23)가 소정 회수만큼만 회전하였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길이만큼 시트재(S)의 인입처리가 완료되었다는 것이므로(S8: Yes), 송급모터(81a), 분사펌프(83a) 및 반송모터(85a)의 구동을 정지하여(S9), 타올 롤(R)로부터 시트재(S)의 인출작업과, 시트재(S)로의 살수작업과, 시트재(S) 선단의 성형수단(50)으로의 인입작업을 각각 종료한다.Therefor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riving roller 23 has been rotated only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since the drawing processing of the sheet material S has been completed by the length set by the user (S8: Yes), the feed motor 81a and the injection pump ( 83a) and the driving motor 85a are stopped (S9), the drawing work of the sheet material S from the towel roll R, the watering operation of the sheet material S, and the tip of the sheet material S The draw-in operation to the shaping | molding means 50 is complete | finished respectively.

이로써, 시트재(S)는 송급수단(20)으로부터 성형수단(50)에 이르는 반송경로 상에서 지지된다(도 3 참조). 또한, 길이설정 다이얼(80)에 의해 설정된 시트재(S)의 길이가 짧은 경우에는(예를 들어, 18cm), 시트재(S)의 선단은 성형수단(50)의 입구근방에서 정지되는 한편, 길이설정 다이얼(80)에 의해 설정된 시트재(S)의 길이가 긴 경우에는(예를 들어, 48cm), 시트재(S)는 성형수단(50)의 반송경로 내(커버부재(22)의 대향면)로 다시 인입되어 그 선단에 권취 핵이 야기된다.Thereby, the sheet | seat material S is supported on the conveyance path | route from the supply means 20 to the shaping | molding means 50 (refer FIG. 3). In addition, when the length of the sheet material S set by the length setting dial 80 is short (for example, 18 cm), the tip of the sheet material S is stopped near the inlet of the forming means 50. When the length of the sheet material S set by the length setting dial 80 is long (for example, 48 cm), the sheet material S is in the conveying path of the forming means 50 (cover member 22). Back to the opposite side, causing a winding core to the tip.

시트재(S)의 인입처리 등을 종료한 후에는(S8: Yes, S9), 절단모터(82a)를 구동하여 회전칼(32)을 회전시킴으로써 시트재(S)를 고정칼(33)과 함께 절단한다(S10). 그리고, 절단모터(82a)의 구동을 다시 개시하고 반송벨트(51)를 회전시킴으로써 시트재(S)를 성형수단(50)의 반송경로를 따라 반송하며, 반전모터(86a)를 구동하여 반전링(53)을 회전시킴으로써 시트재(S)를 롤 형상으로 권취하여 두루말이 물수건(M)의 성형을 개시한다(S11).After the drawing process of the sheet material S is finished (S8: Yes, S9), the sheet material S is fixed to the fixed knife 33 by driving the cutting motor 82a to rotate the rotary knife 32. Cut together (S10). Then, the driving of the cutting motor 82a is restarted and the conveyance belt 51 is rotated to convey the sheet material S along the conveying path of the forming means 50, and the inverting motor 86a is driven to invert the ring. By rotating the 53, the sheet member S is wound into a roll shape, and the roll starts forming the wet towel M (S11).

또한, 반전 링(53)은 반송벨트(51)와 반대방향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그 반전 링(53)의 이동속도는 반송벨트(51)의 이동속도와 대략 동일하게 된다. 또한, 시트재(S)의 절단 후, 후술하는 절단시 대기시간(Tc)이 경과할 때까지 살수에 걸리는 응답속도를 높일 수 있도록 분사펌프(83a)에 예압 구동력(Pb)이 부여된 상태로 대기한다(도 10 참조).In addition, the inversion ring 53 is mov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conveyance belt 51, the movement speed of the inversion ring 53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movement speed of the conveyance belt 51. In addition, after cutting the sheet material S, a preload driving force P b is applied to the injection pump 83a so as to increase the response speed of watering until the waiting time T c at the time of cutting,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elapses. Wait in the state (see FIG. 10).

두루말이 물수건(M)의 성형을 개시한 후에는(S11), S12의 처리로 이행하여 절단모터(82a)의 구동개시로부터 Tc초가 경과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하고(S12), Tc초가 경과할 때까지 대기한다(S12: No). 이 대기시간(Tc)은 상술한 시간 매개변수표(72a)의 절단시 대기시간(Tc)으로서, 시트재(S)의 두께(t) 및 길이(L)와 관련지어져 복수의 값으로 규정되며(도 8 참조), 살수과다에 의한 제조불량을 회피하기 위하여 살수동작을 대기함으로써, 시트재(S)의 길이(L)가 짧아질수록 큰 값으로 되도록(즉, 대기시간이 길어지도록) 규정된다.After the roll starts forming the wet towel M (S11), the process shifts to S12 to check whether T c seconds have elapsed from the start of driving the cutting motor 82a (S12), and when T c seconds has elapsed. Wait until (S12: No). The waiting time (T c) is a cutting standby time (T c) as, related built plurality of values and the thickness (t) and the length (L) of the sheet material (S) of the above-described time parameter table (72a) (See FIG. 8), by waiting for the spraying operation in order to avoid the manufacturing failure due to excessive spraying, so that the shorter the length (L) of the sheet material (S) to a larger value (that is, the longer the waiting time) Is prescribed.

따라서, S12의 처리에 있어서, 절단모터(82a)의 구동개시로부터 Tc초가 경과하였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S12: Yes) 살수동작의 대기가 종료하였다는 것이므로, 분사펌프(83a)를 제 2 조건으로 구동하여 노즐부(42c)로부터 시트재(S)로 물의 분사(살수)를 개시한다(S13).Therefore, in the process of S12, if it is determined that T c seconds have elapsed since the start of the drive of the cutting motor 82a (S12: Yes), the waiting for the watering operation is finished, and thus the injection pump 83a is subjected to the second condition. Is started to start spraying (spraying) water from the nozzle portion 42c to the sheet material S (S13).

또한, S13의 처리에 있어서 제 2 조건은 상술한 유량 매개변수표(72b)에 규정된 절단시 구동력(Pc)를 의미하고, 시트재(S)의 두께(t) 및 길이(L)와 관련지어져 규정된다(도 9 참조). CPU(71)는 두께변환 스위치(70) 및 길이설정 다이얼(80)로 설정된 두께(t) 및 길이(L)에 대응하는 절단시 구동력(Pc)의 값을 유량 매개변수표(72b)로부터 읽어내고, 그 절단시 구동력(Pc)으로 분사펌프(83a)를 구동한다. 따라서, 시트재(S)에는 그 두께(t) 및 길이(L)에 대응하는 살수가 행해지므로, 살수과다나 살수부족을 억제할 수가 있어, 그 결과 적당한 습기를 가지는 두루말이 물수건(M)이 제조된다.Further, the second condition when specified in the above-described flow rate parameter table (72b) cutting force (P c) the means and the thickness of the sheet material (S) (t) and the length (L) in the process of S13 Associated and defined (see FIG. 9). The CPU 71 calculates the value of the driving force P c at the time of cutting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t and the length L set by the thickness conversion switch 70 and the length setting dial 80 from the flow rate parameter table 72b. It reads out and drives the injection pump 83a with the driving force P c at the time of the cutting | disconnection. Accordingly, since the sheet material S is sprayed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t and the length L, excessive spraying and lack of spraying can be suppressed, and as a result, a rolled towel M having moderate moisture is produced. do.

예를 들면, 시트재(S)의 두께(t)가 두꺼운 경우에는 분사펌프(83a)의 구동력을 크게하고 살수유량을 많게하는 한편, 시트재(S)의 두께(t)가 얇은 경우에는 분사펌프(83a)의 구동력을 작게하고 살수유량을 적게함으로써(도 9 참조), 시트재(S)의 반송속도를 고속화하여도 살수과다나 살수부족을 발생시키지 않고 반송할 수 있으므로, 그 만큼 두루말이 물수건(M)의 제조시간의 단축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For example, when the thickness t of the sheet material S is thick, the driving force of the injection pump 83a is increased and the watering flow rate is increased, while when the thickness t of the sheet material S is thin, the injection is performed. By reducing the driving force of the pump 83a and reducing the watering flow rate (see FIG. 9), even if the conveying speed of the sheet material S is increased, the water can be conveyed without causing excessive watering and lack of watering. The shortening of the manufacturing time of (M) can be achieved.

또한, 절단시 구동력(Pc)의 값은 시트재(S)의 길이가 가장 짧은 경우에(L=18cm) 가장 크게(255 ~ 295펄스/s) 된다(도 9 참조). 따라서, 상술하였듯이 살수과다에 기인하는 성형불량을 억제할 수 있도록 시트재(S)의 길이(L)가 가장 짧은 경우(L=18cm)의 개시시 대기시간(Ts)의 값을 가장 길게하여(200ms) 그 시트재(S) 선단부로의 살수 타이밍을 늦춘 경우에도(도 8 참조), 시트재(S) 전체가 살수부족으로 되는 것을 회피하여 적절한 습기를 지니는 두루말이 물수건(M)을 제조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value of the driving force P c at the time of cutting becomes the largest (255-295 pulses / s) when the length of the sheet | seat material S is shortest (L = 18cm) (refer FIG. 9). Therefore, as described above, the value of the waiting time T s at the start of the case where the length L of the sheet material S is the shortest (L = 18 cm) is longest so as to suppress the molding failure caused by the excessive spraying. (200 ms) Even if the spraying timing to the tip portion of the sheet material S is delayed (see FIG. 8), the roll material having appropriate moisture can be produced to avoid the entire sheet material S from lack of watering. Can be.

이와 같이, 소정의 타이밍이 도래할 때까지 소정의 대기시간만큼 살수동작을 대기함으로써 쓸데없는 물의 살수를 억제할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적은 물로 효율이 좋게 시트재(S)에 살수할 수 있어 경제적일 뿐만 아니라, 물 탱크(T) 및 물받침 접시(7)의 교환빈도를 낮추어 사용자 부담의 경감을 꾀할 수 있다.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use of sprinkling of unnecessary water by waiting for the sprinkling operation for a predetermined waiting time until the predetermined timing arrives.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spray the sheet material S efficiently with a small amount of water, which is not only economical, but also reduces the frequency of exchange of the water tank T and the drip tray 7 to reduce the burden on the user.

시트재(S)로의 물 분사동작을 개시한 후에는(S13), S14의 처리로 이행하여 분사펌프(83a)의 구동개시로부터 Tm초가 경과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S8), Tm초가 경과할 때까지 대기한다(S14: No). 이 대기시간(Tm)은 상술한 시간 매개변수표(72a)에 절단시 동작시간(Tm)으로서 시트재(S)의 두께(t) 및 길이(L)와 관련지어져 복수의 값이 규정된 것이고(도 8 참조), 시트재(S) 후단부로의 살수부족을 회피할 수 있도록 시트재(S)의 길이(L)가 긴만큼 큰 값으로 되도록(즉, 살수시간이 길어지도록) 규정된다.After starting the water spraying operation on the sheet material S (S13), the process shifts to S14 to check whether or not T m seconds have elapsed since the start of the driving of the injection pump 83a (S8), and T m seconds has elapsed. Wait until it is done (S14: No). This waiting time T m is the operation time T m at the time of cutting in the above-described time parameter table 72a, which is related to the thickness t and the length L of the sheet material S, and a plurality of values are defined. (See FIG. 8), the length L of the sheet material S is set to be as large as the length (that is, the spraying time becomes longer) so as to avoid the lack of watering to the rear end of the sheet material S. do.

따라서, S15의 처리에 있어서 분사펌프(83a)의 구동개시로부터 Tm초가 경과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S14: Yes), 시트재(S)의 후단까지 살수동작이 완료되었다는 것이므로, 분사펌프(83a)를 정지하고 노즐부(42c)로부터 시트재(S)로의 물 분사(살수)를 종료한다(S15).Therefore, when it is judged that T m seconds have elapsed from the start of driving of the injection pump 83a in the process of S15 (S14: Yes), since the spraying operation is completed to the rear end of the sheet material S, the injection pump 83a is completed. ) Is stopped and water injection (spraying) from the nozzle portion 42c to the sheet material S is terminated (S15).

또한, 시트재(S)로의 살수시간, 즉 절단시 동작시간(Tm)이 경과한 후에 있어서, 두루말이 물수건(M)을 연속하여 다시 제조하는 경우에는 살수에 걸리는 응답속도를 높이기 위하여 분사펌프(83a)에 예압 구동력(Pb)를 부여하는 한편, 두루말이 물수건(M)의 제조를 종료하는 경우(예를 들어, 한 개만을 제조하는 경우, 또는 현재 제조하는 것이 연속으로 제조하는 것의 마지막인 경우)에는 쓸데없는 전력소비를 억제하기 위하여 분사펌프(83a)에 예압 구동력은 부여하지 않는다(도 10 참조).In addition, after the spraying time to the sheet material S, i.e., the operating time T m at the time of cutting, the spray pump may be used to increase the response speed of the spraying when the roll is continuously manufactured again. 83a) gives a preload drive force P b , while the scroll finishes the manufacture of the wet towel M (e.g., only one is produced, or the current one is the last to be manufactured continuously). ), No preload driving force is applied to the injection pump 83a in order to suppress wasteful power consumption (see FIG. 10).

S16의 처리에 있어서는 성형수단(50)으로 실행되는 두루말이 물수건(M)의 성형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S16), 상기 성형처리가 완료될 때까지 대기한다(S16: No). 여기서, 본 실시예의 두루말이 물수건 제조장치(1)에 있어서 성형수단(50)으로 두루말이 물수건(M)이 성형되는 태양에 관하여 설명한다. S11의 처리에 있어서 두루말이 물수건(M)의 성형이 개시되면, 시트재(S)는 먼저 반송벨트(51)의 회전에 의해 반송경로를 하류방향(도 3의 좌측방향)으로 하여 반송되어 커버부재(52)와의 대향면 사이를 통과함으로써 그 선단에 권취 핵이 야기되고, 그 후 다시 반송되어 반전 링(53)과의 대향면 사이에 도달한다.In the process of S16, the scroll executed by the shaping means 50 checks whether or not the shaping of the wet towel M is completed (S16), and waits until the shaping process is completed (S16: No). Here,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an aspect in which the roll towel M is molded by the forming means 50 in the roll towel wipe apparatus 1 of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forming of the wet wipes M is started in the processing of S11, the sheet material S is first conveyed in the downstream direction (left direction in FIG. 3) by the rotation of the conveyance belt 51 to cover the cover member. Passing between opposing surfaces with 52 causes a winding nucleus at its distal end, and is then conveyed again to reach between opposing surfaces with inversion ring 53.

반전 링(53)과 반송벨트(51)의 대향면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대략 동일한 속도로 이동된다. 이 때문에, 상기 대향면 사이에 도달한 시트재(S)는 그 야기된 핵을 중심으로 하여 경사부재(52b)의 하면측으로 지지되면서 롤 형상으로 권취된다. 그 결과, 종래의 두루말이 물수건 제조장치와 같이 시트재(S)를 롤 형상으로 권취하기 위한 처리경로의 길이(벨트 길이)를 확보할 필요없이 반전 링(53) 및 반송벨트(51)의 벨트 길이를 단축할 수가 있기 때문에, 성형수단(50)을 소형화하여 그 만큼 두루말이 물수건 제조장치(1) 전체의 소형화를 꾀할 수가 있게 된다.Opposing surfaces of the inversion ring 53 and the conveyance belt 51 are moved at substantially the same speed in opposite directions to each other. For this reason, the sheet | seat material S which reached between the said opposing surfaces is wound up in roll shape, being supported by the lower surface side of the inclination member 52b centering on the caused nucleus. As a result, the belt lengths of the inversion ring 53 and the conveyance belt 51 are not required to secure the length (belt length) of the processing path for winding the sheet material S into a roll like the conventional roll towel manufacturing apparatus. Since the molding unit 50 can be shortened, the molding means 50 can be downsized, so that the entire rolled towel manufacturing apparatus 1 can be downsized.

또한, 이와 같이 반전 링(53)과 반송벨트(51)의 이동속도를 대략 동일하게 함으로써 상기 대향면의 상대 속도차를 최대로 할 수 있으므로, 시트재(S)의 권취 속도를 고속화하여 그만큼 두루말이 물수건(M)의 성형시간의 단축을 꾀할 수가 있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relative speed difference of the opposing surface can be maximized by making the moving speeds of the inversion ring 53 and the conveyance belt 51 substantially the same, the winding speed of the sheet | seat material S is speeded up and that much rolled up. The molding time of the wet towel M can be shortened.

또한, 예를 들어 제조시의 치수 오차나 조립 오차, 또는 모터 출력특성의 오차 등에 기인하여 반송벨트(51)의 이동속도보다도 반전 링(53)의 이동속도가 고속으로 되는 경우에도, 경사부재(52b)가 시트재(S)의 반송방향(도 3의 좌측방향)으로 상승하면서 경사지도록 형성되므로, 롤 성형시에 시트재(S)가 반송방향 상류측(도 3의 우측방향)으로 역류하여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따라서, 반송벨트(51) 및 반전 링(53)의 이동속도를 엄밀하게 일치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그 만큼 치수오차나 조립오차 등의 요구수준을 억제하여 관리 경비 등 제조 경비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even when the moving speed of the inversion ring 53 becomes higher than the moving speed of the conveyance belt 51 due to, for example, dimensional error or assembly error in manufacturing, or an error in motor output characteristics, the inclined member ( 52b) is formed to be inclined while rising in the conveying direction (left direction in FIG. 3) of the sheet material S, so that the sheet material S flows back to the conveying direction upstream (right direction in FIG. 3) during roll forming. You can prevent it from being thrown away. Therefore, it is not necessary to exactly match the moving speeds of the conveying belt 51 and the reversing ring 53, so that manufacturing costs such as administrative expenses can be reduced by suppressing the required level of dimensional or assembly errors. .

시트재(S)의 롤 성형이 진행되면, 시트재(S)는 그 롤 직경의 증가에 따라서 경사부재(52b)의 경사에 제한받게 되어 상기 경사부재(52b)의 하면측에서 다음 반송방향인 하류측(도 3의 좌측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경우, 반전 링(53)을 권회하는 한쪽의 롤러(53a)(도 3의 좌측)는 상술하였듯이 롤 직경의 증가에 수반하여 세로 홈(54a)에 따르면서 상측(도 3의 상측)으로 도망칠 수 있게 된다.When the roll forming of the sheet member S proceeds, the sheet member S is limited to the inclination of the inclined member 52b in accordance with the increase in the roll diameter, so that the next conveying direction is at the lower surface side of the inclined member 52b. It moves to the downstream side (left direction of FIG. 3). In this case, one roller 53a (left side in FIG. 3) winding the reversing ring 53 will run upward (upper side in FIG. 3) along the longitudinal groove 54a with the increase in the roll diameter as described above. It becomes possible.

따라서, 시트재(S)의 두께나 길이에 관계없이 롤 형상으로 권취할 수 있기 때문에, 시트재(S)의 두께나 길이를 변경하여도, 작은 직경에서부터 큰 직경까지 여러가지 롤 직경으로 두루말이 물수건(M)을 확실하게 제조할 수가 있다. 또한, 시트재(S)와 반전 링(53)의 접촉상태를 대략 일정하게 할 수가 있으므로, 시트재(S)를 권취하는 강도를 가감하여 적절한 강도의 두루말이 물수건(M)을 성형할 수가 있다.Therefore, regardless of the thickness or length of the sheet material S, it can be wound in a roll shape, so even if the thickness or length of the sheet material S is changed, a rolled towel is rolled in various roll diameters from a small diameter to a large diameter ( M) can be manufactured reliably. Moreover, since the contact state of the sheet | seat material S and the inversion ring 53 can be made substantially constant, the roll of moderate strength can shape the wet towel M by adding or subtracting the strength which winds up the sheet | seat material S. FIG.

또한, 종래의 두루말이 물수건 제조장치에서는 시트재(S)가 반송방향 하류측으로 반송되면서 롤 성형되기 때문에, 그 반송에 기인하여 성형 상의 오차가 생기기 쉬웠다. 이에 반해, 본 실시예의 두루말이 물수건 제조장치(1)에서는 상술하였듯이 시트재(S)를 경사부재(52b)의 하면측으로 지지하면서 롤 형상으로 권취할 수 있기 때문에, 반송에 수반되는 성형 상의 오차를 억제하여 두루말이 물수건(M)을 안정된 정밀도로 성형할 수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conventional roll is roll-molded while conveying the sheet | seat material S to the conveyance direction downstream side in the wet towel manufacturing apparatus, the error in the molding was easy to arise due to the conveyance. In contrast, the roll of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wound in a roll shape while supporting the sheet member S to the lower surface side of the inclined member 52b as described above in the wet towel manufacturing apparatus 1, thus suppressing the molding error accompanying the conveyance. The roll can form the wet towel M with stable precision.

여기서, 두루말이 물수건(M)의 성형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는 S11의 처리가 개시되고나서, 즉 반송벨트(51) 및 반전 링(53)의 회전이 개시되어 시트재(S)의 롤 성형이 개시되고나서 소정시간(이하, "성형시간(Tn)"이라 한다)이 경과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실행된다. 또한, 반송벨트(51)와 반전 링(53)의 시동이 동시에 되지 않은 경우, 성형시간(Tn)의 계측은 반송벨트(51) 및 반전 링(53) 중 어느 하나의 시동시점을 기준으로 계측하면 된다.Here, whether or not the forming of the wet towel M has been completed is determined whether the processing of S11 is started, that is, the rotation of the conveyance belt 51 and the inversion ring 53 is started, and roll forming of the sheet material S is started. Then, execution is performed by checking whether a predetermined time (hereinafter referred to as "molding time T n ") has elapsed. In addition, when the starting belt 51 and the inversion ring 53 are not started at the same time, the measurement of the molding time T n is based on the starting time of any one of the conveying belt 51 and the inversion ring 53. This can be measured.

여기서, 성형시간(Tn)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시트재(S)의 길이에 따라 산출된다. 즉, 성형시간(Tn)의 값은 길이설정 다이얼(80)에 의해 설정된 시트재(S)의 길이(L)에 비례하고, 시트재(S)의 길이가 긴(짧은) 만큼, 성형시간(Tn)의 값은 크게(작게) 되어, 롤 성형에 걸리는 시간이 길어(짧아) 진다.Here, the molding time T n is calculated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sheet material S set by the user. That is, the value of the molding time T n is proportional to the length L of the sheet material S set by the length setting dial 80, and the molding time is as long as the length of the sheet material S is long (short). The value of (T n ) becomes large (small), and the time to roll forming becomes long (short).

따라서, S16의 처리에 있어서 성형시간(Tn)의 경과가 확인된 경우에는, 시트재(S)의 롤 성형이 완료되고 두루말이 물수건(M)의 성형이 완료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S16: Yes). 따라서, 이 경우에는(S16: Yes) 반전모터(86a)를 정지시키고 반전 링(53)의 회전을 정지시킴으로써(S17), 두루말이 물수건(M)을 성형수단(50)으로부터 배출한다.Therefore, when the elapse of the molding time T n in the process of S16 is confirmed, the roll molding of the sheet material S is completed and the roll means that the molding of the wet towel M is completed (S16: Yes). . Therefore, in this case (S16: Yes), by stopping the inversion motor 86a and stopping the rotation of the inversion ring 53 (S17), the roll discharges the wet towel M from the forming means 50.

즉, 반전 링(53)과 반송벨트(51)의 대향면 사이에서 롤 성형이 종료된 경우에는, 반송벨트(51)의 회전을 계속하여 그 이동속도를 유지하면서, S17의 처리에 의해 반전 링(53)의 회전만을 정지시켜 그 이동속도를 "0"으로 하는 것이다. 이에 의하여, 롤 성형이 종료된 시트재(S), 즉 두루말이 물수건(M)을 반송벨트(51)의 반송방향 하류측(도 3의 좌측)으로 배출할 수가 있게 된다.That is, when roll forming is complete | finished between the inversion ring 53 and the opposing surface of the conveyance belt 51, the inversion ring by the process of S17, continuing rotation of the conveyance belt 51, and maintaining the moving speed. Only rotation of 53 is stopped and the moving speed is set to "0". Thereby, the sheet | seat material S by which roll forming was completed, ie, a roll, can discharge the wet towel M to the conveyance direction downstream side (left side of FIG. 3) of the conveyance belt 51. FIG.

따라서, 종래의 두루말이 물수건 제조장치와 같이 시트재(S)를 롤 성형하면서 그 시트재(S)를 대향면간의 상대 속도차로 반송(배출)할 필요가 없으며, 반송벨트(51)의 이동속도로 시트재(S)를 배출할 수 있으므로, 그 만큼 시트재(S)의 배출속도를 고속화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it is not necessary to convey (discharge) the sheet member S at the relative speed difference between the opposing surfaces while roll-forming the sheet member S as in the conventional towel manufacturing apparatus, and at the moving speed of the conveying belt 51 Since the sheet material S can be discharged, the discharge speed of the sheet material S can be increased by that much.

또한, 본 실시예의 두루말이 물수건 제조장치(1)는 반송벨트(51)를 구동하는 반송모터(85a)와 반전 링(53)을 구동하는 반전모터(86a)인 2개의 모터를 구비하여 구성되므로, 반전모터(86a)의 회전을 정지시킴에 의해 반송벨트(53)의 회전을 계속하면서 반전 링(53)의 회전만을 정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모터만으로 반송벨트(51) 및 반전 링(53)의 양 벨트를 구동하도록 구성된 경우와 같이, 반전 링(53)의 회전만을 정지시키기 위해, 즉 상기 모터로부터의 회전력 전달을 반전 링(53)측에게만 정지시키기 위해 기어의 교합을 해제하는 등의 복잡한 기구를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어 성형수단(50)의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기 때문에, 성형수단(50)의 제조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rolled-up wet towel manufacturing apparatus 1 of this embodiment is comprised with the two motors which are the conveying motor 85a which drives the conveyance belt 51, and the inverting motor 86a which drives the inversion ring 53, By stopping the rotation of the inversion motor 86a, only the rotation of the inversion ring 53 can be stopped while the rotation of the conveyance belt 53 is continued. Thus, as in the case where only one motor is configured to drive both the belts of the conveyance belt 51 and the inversion ring 53, to stop only the rotation of the inversion ring 53, that is, the rotational force transmission from the motor is reversed. Since the structure of the shaping means 50 can be simplified because there is no need to separately install a complicated mechanism such as releasing gears to stop only on the 53 side,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shaping means 50 can be reduced. have.

또한, 성형수단(50)으로부터 성형된 두루말이 물수건(M)은 상술하였듯이 반송벨트(51)에 의해 하류측으로 반송되어 받침접시 겸용뚜껑(5)의 재치면(5a)으로 방출된다. 이 경우에는 반송벨트(51)의 하류측에 수직띠(59)가 매달려 있으므로(도 3 참조), 두루말이 물수건(M)이 반송벨트(51) 상에서 굴러 그 두루말이가 무너져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olled paper towel M formed from the forming means 50 is conveyed to the downstream side by the conveyance belt 51 as described above, and is discharged to the mounting surface 5a of the support plate 5. In this case, since the vertical band 59 hangs in the downstream of the conveyance belt 51 (refer FIG. 3), it can suppress that the roll towel rolls on the conveyance belt 51 and the roll collapses.

두루말이 물수건(M)이 받침접시 겸용뚜껑(5)으로 방출된 후에는(S17), 반송모터(85a)의 구동을 정지시키고 반송벨트(51)의 회전을 종료한다(S18). 이로써 두루말이 물수건(M)을 성형하기 위한 일련의 처리가 완료되므로, S2의 처리로 이행하여 다음의 운전버튼(4a)이 눌려질 때까지 각 처리(S3)를 실행하면서 대기한다(S2: Yes).After the roll is discharged from the wet towel M to the supporting plate 5 (S17), the driving of the conveying motor 85a is stopped and the rotation of the conveying belt 51 is terminated (S18). As a result, a series of processes for forming the roll towel M are completed. Therefore, the process shifts to S2 and waits while executing each process S3 until the next operation button 4a is pressed (S2: Yes). .

또한, 반송모터(85a) 구동의 정지는 S17의 처리에 있어 반전모터(86a)의 구동이 정지된 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시점에서 실행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소정의 시간을 약 1초로 설정하였다. 또한, 복수의 두루말이 물수건(M)을 연속하여 제조하는 경우에는 그 개수 값을 갱신 가능한 카운터를 RAM(73)에 설정하고, 그 카운터 값만큼 S4로부터 S18까지의 처리를 반복 실행할 수 있도록 구성하면 된다.The driving of the transfer motor 85a is stopped when the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after the driving of the inverting motor 86a is stopped in the process of S17. In this embodiment, the predetermined time is set to about 1 second. In the case where a plurality of scrolls continuously manufacture the towel M, the counter may be set in the RAM 73 to update the number value, and may be configured to repeat the processes from S4 to S18 by the counter value. .

다음에는, 상술한 구조의 두루말이 물수건 제조장치(1)의 타올 롤(R)의 교환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타올 롤(R)을 교환하는 경우에는, 먼저 상부 커버(3)를 상측(도 3의 상측)으로 개방하고, 롤 지지수단(10)으로 지지되는 타올 롤(R), 즉 롤 회전 가이드(Ra)를 본체(2) 내로부터 외부로 떼어낸다. 다음으로, 새로운 타올 롤(R)을 본체(2) 내로 투입하여 상기 타올 롤(R), 즉 롤 회전 가이드(Ra)를 롤 지지수단(10), 즉 지지홈(12)으로 지지한다.Next, a method of replacing the towel roll R of the wet towel manufacturing apparatus 1 will be described. When replacing the towel roll R, first, the top cover 3 is opened to the upper side (upper side in FIG. 3), and the towel roll R supported by the roll supporting means 10, that is, the roll rotation guide Ra ) Is removed from the inside of the main body 2 to the outside. Next, a new towel roll R is introduced into the main body 2 to support the towel roll R, that is, the roll rotation guide Ra, by the roll supporting means 10, that is, the support groove 12.

다음에는,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두루말이 물수건 제조장치(1)에서 제조된 두루말이 물수건(M)이 받침접시 겸용뚜껑(5)으로 방출되어 정렬되는 태양에 관하여 설명한다.Next, with reference to FIGS. 11 and 12,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an aspect in which the scroll is manufactured by the wet towel manufacturing apparatus 1 and is aligned with the wet towel M being discharged to the support plate 5.

도 11은 두루말이 물수건 제조장치(1)의 부분확대 단면도로서, 받침접시 겸용뚜껑(5)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다. 또한, 도 12는 도 11의 화살표 VII 방향에서 본 받침접시 겸용뚜껑(5)의 평면도이다. 또한, 도 11에서는 설명의 편의 상, 두루말이 물수건(M)의 부호를 그 제조 순서대로 "M1 ~ M4"로 하였다. 또한, 도 12에서는 두루말이 물수건 M2 ~ M4와 수직띠(59) 등의 도시가 생략되어 있다.11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rolled towel manufacturing apparatus 1,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upport plate combined lid 5 is opened. 12 is a plan view of the support plate combined lid 5 seen from the arrow VII direction of FIG. In addition, in FIG. 11, for the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code | symbol of the rolled-up towel M was made into "M1-M4" in the manufacturing order. In addition, in FIG. 12, illustration of the towels M2-M4, the vertical band 59, etc. is abbreviate | omitted.

먼저, 성형수단(50)에서 최초로 제조된 첫번째 두루말이 물수건 M1은 상술하였듯이 반송벨트(51)에 의해 반송되어 재치면(5a) 상으로 방출된다. 이 경우, 재치면(5a) 상에는 규제판(5a1)이 입설되므로, 두루말이 물수건 M1은 그 이동이 규제판(5a1)에 의해 규제되어, 도 12에 나타내듯이 방출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도 12의 상하방향)으로 정렬된다. First, the first roll first manufactured in the forming means 50 is wiped by the conveyance belt 51 and discharged onto the mounting surface 5a as described above. In this case, since the regulating plate 5a1 is placed on the mounting surface 5a, the handkerchief M1 has a movement in which the movement is regulated by the regulating plate 5a1, and 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discharge direction as shown in Fig. 12 (Fig. 12). In the vertical direction).

그 결과, 상기 첫번째 두루말이 물수건 M1이 재치면(5a) 상에 비스듬하게 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한정된 면적의 재치면(5a) 상에 두번째 이후의 각 두루말이 물수건 M2 ~ M4를 효율좋게 재치하여 그 재치 가능한 개수를 보다 많이 할 수가 있으며, 이들 각 두루말이 물수건 M1 ~ M4를 재치면(5a) 상에 정렬시켜 사용자에게 보기 좋게 제공할 수가 있게 된다.As a result, since the first scroll can suppress the wet towel M1 from slanting on the mounting surface 5a, each of the second and subsequent scrolls efficiently places the towels M2 to M4 on the mounting surface 5a of the limited area. More witable numbers can be made, and each of these scrolls can arrange the towels M1 to M4 on the 5a to provide a user with a good look.

다음에는, 성형수단(50)에서 제조된 두번째의 두루말이 물수건 M2는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반송벨트(51)에 의해 반송되어 재치면(5a) 상으로 방출된다. 이 경우, 재치면(5a) 상에는 이미 첫번째 두루말이 물수건(M1)이 재치되어 있으므로, 두루말이 물수건 M2는 그 이동이 두루말이 물수건 M1에 의해 규제되어 방출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도 12의 상하방향)으로 정렬된다(도 11 참조).Next, the second roll manufactured by the shaping | molding means 50, the wet towel M2 is conveyed by the conveyance belt 51 similarly to the above, and discharged on the mounting surface 5a. In this case, since the first roll has a wet towel M1 already placed on the mounting surface 5a, the scroll has a wet wipe M2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scroll is regulated by the wet towel M1 and is substantially orthogonal to the discharge direction (up and down direction in FIG. 12). Aligned (see FIG. 11).

다음에는, 성형수단(50)에서 제조된 세번째의 두루말이 물수건 M3는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반송벨트(51)에 의해 반송되어 받침접시 겸용뚜껑(5)의 후단벽(5b)에 형성된 상단부(5b1, 5b2)에 차례로 접촉하여 뒤집어지면서 재치면(5a)으로 방출된다. 그 결과, 두루말이 물수건 M3는 이미 재치면(5a) 상에 재치되어 있던 두번째 두루말이 물수건 M2와 접촉하면서 이를 뛰어넘을 수 있어, 다시 재치면(5a)의 선단측(도 11 및 도 12의 좌측)에 까지 도달한다.Next, the third rolled towel M3 manufactured by the forming means 50 is conveyed by the conveyance belt 51 as described above, and the upper end portions 5b1 and 5b2 formed on the rear end wall 5b of the support plate 5. ) Is discharged to the mounting surface 5a while inverted in contact with each other. As a result, the second hand towel M3, which has already been placed on the mounting surface 5a, may roll over the contact with the handkerchief M2, and thus may be over the tip side (left side of FIGS. 11 and 12) of the mounting surface 5a. To reach.

또한, 재치면(5a)의 선단측은 도 11에 나타내듯이 후단벽(5b)측으로 하강 경사지므로, 두루말이 물수건 M3는 후단벽(5b) 측으로 하강하여 그 이동이 규제판(5a1)에 의해 규제된다. 그 결과, 세번째 두루말이 물수건 M3도 방출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도 12의 상하방향)으로 정렬시킬 수 있게 된다(도 11 참조). In addition, since the front end side of the mounting surface 5a is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rear end wall 5b side as shown in FIG. 11, the handkerchief M3 descends to the rear end wall 5b side, and the movement is regulated by the control board 5a1. As a result, the third scroll can be aligned in the direction (up and down direction in Fig. 12) also roughly orthogonal to the ejection direction M3 (see Fig. 11).

다음에는, 성형수단(50)에서 제조된 네번째의 두루말이 물수건 M4는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반송벨트(51)에 의해 반송되어 받침접시 겸용뚜껑(5)의 후단벽(5b)에 형성된 상단부(5b1, 5b2)에 차례로 접촉하여 뒤집어지면서 재치면(5a)으로 방출된다. 그 결과, 두루말이 물수건 M4는 이미 재치면(5a) 상에 재치되어 있던 두번째 두루말이 물수건 M2 및 세번째 두루말이 물수건 M3를 뛰어넘을 수 있게 된다. 그리하여, 네번째 두루말이 물수건 M4도 재치면(5a)의 선단측에 있어서 방출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도 12의 상하방향)으로 정렬된다(도 11 참조).Next, the fourth roll wet towel M4 manufactured by the forming means 50 is conveyed by the conveyance belt 51 as described above, and the upper end portions 5b1 and 5b2 formed on the rear end wall 5b of the support plate 5. ) Is discharged to the mounting surface 5a while inverted in contact with each other. As a result, if the scroll towel M4 is already placed on the mounting surface 5a, the second scroll can jump over the towel M2 and the third scroll M3. Thus, the fourth scroll is also aligned in the direction (up and down direction in Fig. 12) which is substantially orthogonal to the discharge direction on the tip side of the mounting surface 5a (see Fig. 11).

따라서, 받침접시 겸용뚜껑(5)을 향하여 두루말이 물수건(M)이 방출된 경우에는 두루말이 물수건(M)을 후단벽(5b)의 상단부(5b1, 5b2)에 접촉하면서 뒤집어질 수 있으므로, 상기 두루말이 물수건(M)을 방출방향으로 보다 멀리 도약시킬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복수의 두루말이 물수건(M)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받침접시 겸용뚜껑(5)의 재치면(5a) 상에 두루말이 물수건(M)이 이미 재치되어 있더라도, 이를 넘을 수 있기 때문에, 복수의 두루말이 물수건(M)을 재치면(5a) 상에 전후방향(도 11의 좌우방향)으로 흩어지게 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roll towel is discharged toward the support lid 5, the roll may be turned over while the roll towel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end portions 5b1 and 5b2 of the rear end wall 5b. It is possible to leap (M) farther in the discharge direction. As a result, in the case where the plurality of scrolls produce the towel (M), even if the scroll is already placed on the mounting surface (5a) of the support plate (5), even if the towel (M) is already placed, the plurality of scrolls The wet towel M can be scatter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left-right direction of FIG. 11) on the mounting surface 5a.

또한, 본 실시예의 두루말이 물수건 제조장치(1)에 의하면, 받침접시 겸용뚜껑(5)이 본체(2)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되므로, 대량의 두루말이 물수건(M)을 연속하여 제조하는 경우에는 상기 받침접시 겸용뚜껑(5)을 분리하고 쟁반 등의 다른 용기를 본체(2)의 전면측에 별도로 설치하여 둠으로써, 대량의 두루말이 물수건을 본체(2) 내에서 막힘없이 연속하여 제조할 수가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roll towel manufacturing apparatus 1 of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support plate combined lid 5 can be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2, when a large amount of rolls are continuously produced in the towel M, By separating the support plate 5 and placing another container such as a tray on the front side of the main body 2, a large amount of rolls can be continuously produced in the main body 2 without clogging.

이상 설명하였듯이, 본 실시예의 두루말이 물수건 제조장치(1)에 의하면, 시트재(S)의 두께(t) 및 길이(L)를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그 설정상태에 따라서 시트재(S)로의 살수량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시트재(S)로의 살수과다 또는 살수부족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어, 그 결과 시트재(S)의 두께(t)나 길이(L)에 관계없이 적절한 습기 상태를 지니는 두루말이 물수건(M)을 제조할 수 있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wet towel manufacturing apparatus 1, the roll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configured so that the thickness t and the length L of the sheet material S can be set, and the sheet material S is set according to the setting state. Since the amount of watering can be adjusted, the occurrence of excessive watering or lack of watering to the sheet material S can be suppressed. As a result, an appropriate moisture state can be suppressed regardless of the thickness t or length L of the sheet material S. Genie is a scroll that can produce a towel (M).

또한, 도 7에 나타낸 흐름도에 있어서, 조절수단으로서는 S5, S6 및 S12 ~ S15의 각 처리가 해당되며, 살수시간 변경수단으로서는 S5, S12 및 S14의 각 처리가 해당되고, 살수유량 변경수단으로서는 S6 및 S13의 각 처리가 해당된다.In addition, in the flowchart shown in FIG. 7, as a control means, each process of S5, S6, and S12-S15 is applicable, As a sprinkling time changing means, each process of S5, S12, and S14 is applicable, As a sprinkling flow rate changing means, S6 And each process of S13.

이상, 실시예를 바탕으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내의 여러가지 개량 변경이 가능한 것은 용이하게 추측할 수 있는 것이다.As mentioned above, although this invention was demonstrated based on the Example,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xample mentioned above, It can be easily estimated that various improvement changes are possible within the range which does not deviate from the meaning of this invention.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두루말이 물수건 제조장치에 의하면, 시트재에 관한 정보를 지정하는 지정수단과, 상기 지정수단에 의해 지정된 정보에 따라 살수수단에 의한 살수량을 조절하는 조절수단을 구비하므로, 시트재에 관한 정보를 지정수단으로 지정함으로써 그 정보에 따라 시트재로의 살수량을 조절수단에 의해 조절할 수가 있어, 그 결과 각 종 시트재에 대응하여 적절한 습기가 부여된 두루말이 물수건을 제조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rolled towel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esignation means for designating information on sheet material, and adjusting means for adjusting the amount of watering by the watering means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designated by the designation means. Therefore, by designating the information on the sheet material as the designation means, the amount of water to the sheet material can be adjusted by the adjusting means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As a result, a rolled towel made with appropriate moisture is produc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various sheet materials. You can do it.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두루말이 물수건 제조장치에 의하면, 두께 지정수단에 의해 시트재의 두께를 지정한 경우에는 그 지정된 시트재의 두께에 따라 살수량이 조절수단에 의해 조절되므로, 살수과다 또는 살수부족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어, 그 결과 시트재의 두께에 관계없이 적절한 습기상태를 지니는 두루말이 물수건을 제조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rolled tow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thickness of the sheet material is specified by the thickness designating means, the amount of watering is adjusted by the adjusting means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designated sheet material.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suppressed, and as a result, a roll having an appropriate moisture state can be produced, regardless of the thickness of the sheet material.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두루말이 물수건 제조장치에 의하면, 길이 지정수단에 의해 시트재의 길이를 지정한 경우에는 그 지정된 시트재의 길이에 따라 살수량이 조절수단에 의해 조절되므로, 살수과다 또는 살수부족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어, 그 결과 시트재의 길이에 관계없이 적절한 습기상태를 지니는 두루말이 물수건을 제조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roll towel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length of the sheet material is specified by the length designating means, the amount of watering is adjusted by the adjusting means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designated sheet material.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suppressed, and as a result, a roll having an appropriate moisture state irrespective of the length of the sheet material can produce a wet towel.

그리고, 상기 조절수단은 살수수단에 의한 살수시간을 변경하는 살수시간 변경수단을 구비하므로, 예를 들어 시트재의 길이에 따라 살수시간을 변경함으로써 상기 시트재의 선단에서부터 후단까지 과다 또는 부족 없이 적절하게 살수할 수 있게 되어, 그 결과 시트재의 길이에 관계없이 적절한 습기상태를 지니는 두루말이 물수건을 제조할 수 있게 된다.And, since the adjusting means is provided with a sprinkling time changing means for changing the sprinkling time by the sprinkling means, for example, by changing the sprinkling time in accordance with the length of the sheet material to properly spray without excess or lack from the front end to the rear of the sheet material As a result, a scroll having an appropriate moisture state regardless of the length of the sheet member can produce a wet towel.

그리고, 상기 조절수단은 살수수단에 의한 단위시간 당 살수유량을 변경하는 살수유량 변경수단을 구비하므로, 예를 들어 시트재의 두께에 따라 살수유량을 변경하거나, 또는 두께가 동일하여도 그 길이에 따라 살수유량을 변경함으로써, 상기 시트재에 과다 또는 부족 없이 적절하게 살수할 수 있게 되어, 그 결과 시트재의 두께나 길이에 관계없이 적절한 습기상태를 지니는 두루말이 물수건을 제조할 수 있게 된다.And, the adjusting means is provided with a sprinkling flow rate changing means for changing the sprinkling flow rate per unit time by the sprinkling means, for example, to change the sprinkling flow rate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sheet material, or even if the thickness is the same By changing the watering flow rate, the sheet material can be sprayed properly without excessive or shortage, and as a result, a roll having an appropriate moisture state can be produced regardless of the thickness or length of the sheet material.

그리하여, 시트재가 두껍거나 긴 경우에는 살수유량을 크게하는 한편, 시트재가 얇거나 짧은 경우에는 살수유량을 작게함으로써, 시트재의 반송속도를 고속화하여도 살수과다 또는 살수부족을 발생시키지 않고 반송할 수 있으므로, 그 만큼 두루말이 물수건의 제조시간의 단축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when the sheet material is thick or long, the sprinkling flow rate is increased, while when the sheet material is thin or short, the sprinkling flow rate can be reduced so that the conveying speed of the sheet material can be increased without causing excessive sprinkling or lack of sprinkling.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achieve a reduction in the manufacturing time of the towel.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두루말이 물수건 제조장치에 의하면, 시간 매개변수 데이터 또는 유량 매개변수 데이터와 시트재의 두께 또는 길이를 관련지은 매개변수표 데이터가 기억수단에 기억되고, 조절수단에 의한 살수량의 조절이 상기 매개변수표 데이터로부터 읽기수단에 의해 읽혀진 각 매개변수 데이터에 따라 실행되므로, 사용자는 시트재의 두께나 길이에 따라 살수시간과 살수량을 지정할 필요가 없고, 시트재의 두께나 길이를 지정하는 것만으로 족하여, 그 만큼 사용자의 조작부담의 경감을 꾀할 수 있고 살수량 조절의 고속화를 확실하게 달성할 수 있게 된다.Further, according to the rolled-up wet towel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arameter table data relating the time parameter data or the flow rate parameter data and the thickness or the length of the sheet member is stored in the storage means, and the adjustment of the watering amount by the adjusting means. Since it is executed in accordance with each parameter data read by the reading means from the parameter table data, the user does not need to specify the watering time and the watering amount according to the thickness or length of the sheet material, but only specifies the thickness or length of the sheet material. In this way, the user's operation burden can be reduced by that much, and the speed of the watering quantity control can be reliably achieved.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두루말이 물수건 제조장치에 의하면, 상기 성형수단에 의해 롤 형상으로 권취되는 시트재이며 상기 절단수단에 의해 절단된 후에 상기 시트재로 살수하는 경우에 있어 상기 살수수단의 살수시간을 규정하는 절단후 시간 매개변수 데이터를 구비하고, 매개변수표 데이터에는 상기 절단후 시간 매개변수 데이터가 상기 시트재의 두께 또는 길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관련지어져 기억되므로, 상기 절단후 시간 매개변수 데이터에 의해 규정된 살수시간만큼 시트재로 살수함으로써 살수과다 또는 살수부족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고, 그 결과 시트재의 두께나 길이에 관계없이 적절한 습기 상태를 지니는 두루말이 물수건을 제조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시트재의 길이에 따라 살수시간이 변경되어짐으로써, 얇거나 짧은 시트재에서의 살수과다, 또는 두껍거나 긴 시트재에서의 살수부족 등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rolled towel is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sprinkling time of the sprinkling means in the case of sprinkling the sheet material after being cut into the sheet material by the forming means and cut by the cutting means. The post-cutting time parameter data is defined, and the parameter table data is stored in association with at least one of the thickness or the length of the sheet material. By sprinkling with sheet material for a specified sprinkling time,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occurrence of excessive sprinkling or lack of sprinkling, and as a result, a roll having an appropriate moisture state regardless of the thickness or length of the sheet material can be produced. For example, by changing the watering time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sheet material, it is possible to suppress excessive watering in the thin or short sheet material, or lack of watering in the thick or long sheet material.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두루말이 물수건 제조장치에 의하면, 상기 유량 매개변수 데이터는 상기 송급수단에 의해 타올 롤로부터 인출되어 상기 성형수단으로 인입되는 시트재이며, 상기 절단수단에 의해 절단되기 전에 상기 시트재로 살수하는 경우에 있어 상기 살수수단의 살수유량을 규정하는 인입시 유량 매개변수 데이터를 구비하고, 상기 매개변수표 데이터에는 상기 인입시 유량 매개변수 데이터가 상기 시트재의 두께 또는 길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관련지어져 기억되므로, 상기 인입시 유량 매개변수 데이터에 의해 규정된 살수유량으로 시트재로 살수함으로써, 예를 들어 성형수단으로 인입되는 시트재 선단부를 적절한 상태로 습하게 하여 상기 선단부로의 살수과다 또는 살수부족에 기인하는 성형수단에서의 성형불량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Further, according to the rolled towel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low rate parameter data is a sheet member which is drawn out of the towel roll by the feeding means and introduced into the forming means, and the sheet member before being cut by the cutting means. In the case of sprinkling with water, the inlet flow rate parameter data defining the watering flow rate of the sprinkling means is provided, and the parameter table data includes the inlet flow rate parameter data with at least one of the thickness or length of the sheet material. It is associated and stored, so that by spraying the sheet material at the spraying flow rate defined by the flow rate parameter data at the time of drawing, for example, the tip of the sheet material to be introduced into the forming means in a suitable state, the water is excessively sprayed to the tip or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occurrence of molding failure in the molding means due to lack of watering. Will be.

그리하여, 시트재가 두껍거나 긴 경우에는 살수유량을 크게하는 한편, 시트재가 얇거나 짧은 경우에는 살수유량을 작게함으로써, 시트재의 반송속도를 고속화하여도 살수과다 또는 살수부족을 발생시키지 않고 반송할 수 있으므로, 그 만큼 두루말이 물수건의 제조시간의 단축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when the sheet material is thick or long, the sprinkling flow rate is increased, while when the sheet material is thin or short, the sprinkling flow rate can be reduced so that the conveying speed of the sheet material can be increased without causing excessive sprinkling or lack of sprinkling.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achieve a reduction in the manufacturing time of the towel.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두루말이 물수건 제조장치에 의하면, 상기 유량 매개변수 데이터는 상기 성형수단에 의해 롤 형상으로 권취되는 시트재이며, 상기 절단수단에 의해 절단된 후의 상기 시트재로 살수하는 경우에 있어 상기 살수수단의 살수유량을 규정하는 절단후 유량 매개변수 데이터를 구비하고, 상기 매개변수표 데이터에는 상기 절단후 유량 매개변수 데이터가 상기 시트재의 두께 또는 길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관련지어져 기억되므로, 상기 절단후 유량 매개변수 데이터에 의해 규정된 살수유량으로 시트재로 살수함으로써 살수과다 또는 살수부족의 발생을 억제할 수가 있어, 그 결과 시트재의 두께나 길이에 관계없이 적절한 습기상태를 지니는 두루말이 물수건을 제조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시트재의 두께나 길이에 따라 살수유량이 변경되어짐으로써, 얇거나 짧은 시트재에서의 살수과다, 또는 두껍거나 긴 시트재에서의 살수부족 등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scroll wet towel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low rate parameter data is a sheet material wound in a roll shape by the forming means, and in the case of spraying with the sheet material after being cut by the cutting means. Post-cutting flow rate parameter data defining the watering flow rate of the watering means, and in the parameter table data, the post-cutting flow rate parameter data is stored in association with at least one of the thickness or length of the sheet material, By cutting the sheet material with the watering flow rate defined by the flow parameter data after cutting,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occurrence of excessive watering or lack of watering, and as a result, a rolled towel having an appropriate moisture state regardless of the thickness or length of the sheeting material is produced. You can do it. For example, the watering flow rate is changed in accordance with the thickness and length of the sheet material, so that excessive watering in the thin or short sheet material or lack of watering in the thick or long sheet material can be suppressed.

그리하여, 시트재가 두껍거나 긴 경우에는 살수유량을 크게하는 한편, 시트재가 얇거나 짧은 경우에는 살수유량을 작게함으로써, 시트재의 반송속도를 고속화하여도 살수과다 또는 살수부족을 발생시키지 않고 반송할 수 있으므로, 그 만큼 두루말이 물수건의 제조시간의 단축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when the sheet material is thick or long, the sprinkling flow rate is increased, while when the sheet material is thin or short, the sprinkling flow rate can be reduced so that the conveying speed of the sheet material can be increased without causing excessive sprinkling or lack of sprinkling.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achieve a reduction in the manufacturing time of the towel.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두루말이 물수건 제조장치는 살수유량 설정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살수유량 설정수단에 의해 사용자가 살수유량을 설정한 경우에는 그 설정값에 따라 살수유량이 조절되므로, 두루말이 물수건의 습기상태를 임의로 설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그 살수유량은 미리 정해진 최소값 데이터와 최대값 데이터 사이에서 조절되므로, 살수유량 설정수단으로 살수유량을 사용자가 부주의하게 설정한 경우에도, 살수과다나 살수부족으로 되는 것을 억제하여 적절한 습기상태를 지니는 두루말이 물수건을 제조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rolled tow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atering flow rate setting means, and when the user sets the watering flow rate by the watering flow rate setting means, the watering flow rate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setting value, so that the scrolling is damp The state can be set arbitrarily. In addition, since the sprinkling flow rate is adjusted between the predetermined minimum value data and the maximum value data, even if the sprinkling flow rate is inadvertently set by the sprinkling flow rate setting means, it is possible to prevent excessive sprinkling or lack of sprinkling and maintain an appropriate moisture state. Genie will be able to make a towel.

또한, 상기 살수유량 설정수단은 정지위치에 따라 달라지는 저항값을 출력함과 동시에,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가능하며 조작가능한 로터리 스위치에 의해 구성되므로, 로터리 스위치를 사용하는 간편한 구성으로 살수유량 설정수단을 실현하여 사용자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sprinkling flow rate setting means outputs a resistance value depending on the stop position, and is composed of a rotary switch that is rotatable in a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and is operable, so that the sprinkling flow rate setting means can be easily configured using a rotary switch. The user's operability can be improved.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두루말이 물수건 제조장치에 의하면, 상기 매개변수표 데이터에는 상기 송급수단에 의한 상기 시트재의 인출동작이 개시되면서부터 상기 살수수단에 의한 살수동작을 개시하기까지의 대기시간을 규정하는 초기 대기시간 매개변수 데이터가 상기 시트재의 두께 또는 길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관련지어져 기억되고, 상기 살수수단에 의한 살수는 상기 초기 대기시간 매개변수 데이터에 규정되는 대기시간의 경과 후 실행되므로, 예를 들어 성형수단으로 인입되는 시트재의 선단부에 대하여 그 두께나 길이에 따른 적정한 타이밍으로 살수할 수가 있어, 상기 선단부로의 살수과다 또는 살수부족에 기인하는 성형수단에서의 성형불량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쓸데없는 물의 살수를 억제할 수 있으므로, 적은 물로 효율좋게 시트재에 습기를 부여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scroll wet towel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arameter table data defines the waiting time from the start of the withdrawal operation of the sheet material by the supply means to the start of the watering operation by the watering means. The initial waiting time parameter data is stored in association with at least one of the thickness or the length of the sheet material, and the watering by the watering means is executed after the elapse of the waiting time defined in the initial waiting time parameter data. For example, the tip portion of the sheet member introduced into the forming means can be sprayed at an appropriate timing according to its thickness or length, so that the occurrence of molding failure in the forming means due to excessive spraying or lack of spraying to the tip portion can be suppressed. do. In addition, since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sprinkling of useless water, moisture can be imparted to the sheet member efficiently with little water.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두루말이 물수건 제조장치에 의하면, 상기 매개변수표 데이터에는 상기 절단수단에 의한 절단조작이 개시되면서부터 상기 살수수단에 의한 살수동작을 개시하기까지의 대기시간을 규정하는 절단후 대기시간 매개변수 데이터가 상기 시트재의 두께 또는 길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관련지어져 기억되고, 상기 살수수단에 의한 살수는 상기 절단후 대기시간 매개변수 데이터에 규정되는 대기시간의 경과 후 실행되므로, 시트재의 두께나 길이에 대응하는 적정한 타이밍으로 살수할 수가 있어, 그 결과 시트재의 살수과다 또는 살수부족을 억제하여 시트재의 두께나 길이에 관계없이 적절한 습기상태를 지니는 두루말이 물수건을 제조할 수 있고, 쓸데없는 물의 살수를 억제할 수 있으므로, 적은 물로 효율좋게 시트재에 습기를 부여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scroll wet towel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arameter table data, after the cutting operation is initiated by the cutting means and the waiting time after the cut is defined to start the watering operation by the watering means. The time parameter data is stored in association with at least one of the thickness or length of the sheet material, and the watering by the watering means is executed after the elapse of the waiting time defined in the waiting time parameter data after cutting, so that the thickness of the sheet material In addition, water can be sprayed at an appropriate timing corresponding to the length, and as a result, excessive water spraying or lack of watering of the sheet material can be suppressed, so that a roll having a proper moisture state can be produced, regardless of the thickness or length of the sheet material, and useless water spraying As moisture can be suppressed, moisture is added to the sheet material efficiently with little water. It is able to.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두루말이 물수건 제조장치에 의하면, 상기 매개변수표 데이터에는 소정의 대기시간 동안 압송수단의 예압 구동력을 규정하는 예압 구동력 매개변수 데이터가 시트재의 두께 또는 길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관련지어져 기억되고, 압송수단은 소정의 대기시간 동안 예압 구동력 매개변수 데이터에 규정되는 예압 구동력에 따라 구동되므로, 소정의 대기시간이 경과하여 살수 타이밍이 도래한 경우에는 살수노즐로부터의 살수를 즉시 행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예압 구동력은 시트재의 두께와 길이에 관련되므로, 살수에 걸리는 응답속도를 시트재의 두께나 길이에 따라 변경할 수가 있어, 그 결과 시트재의 살수과다 또는 살수부족을 억제하여 시트재의 두께나 길이에 관계없이 적절한 습기상태를 지니는 두루말이 물수건을 제조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scroll wet towel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arameter table data, the preload driving force parameter data defining the preload driving force of the feeding means for a predetermined waiting time is associated with at least one of the thickness or the length of the sheet material. Since the conveying means is driven in accordance with the preload driving force defined in the preload driving force parameter data for a predetermined waiting time, the spraying means can immediately spray water from the spray nozzle when a predetermined waiting time elapses and the watering timing arrives. It works. In addition, since the preload driving force is related to the thickness and length of the sheet material, the response speed of watering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thickness and length of the sheet material. As a result, the excessive or sprinkling of the sheet material can be suppressed to reduce the thickness and length of the sheet material. Regardless of the appropriate moisture condition, scrolls can be produced.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두루말이 물수건 제조장치에 의하면, 송수호스는 그 정상부가 상기 저장부 및 상기 살수노즐보다도 높은 위치를 통과하도록 당겨 돌려지며, 상기 예압 구동력 매개변수 데이터의 값은 상기 압송수단에 의해 압송되는 물이 상기 송수호스의 정상부에 도달하지 않을 정도의 예압 구동력을 상기 압송수단에 부여하게 된다. 따라서, 살수에 걸리는 응답속도를 높이기 위하여 소정의 대기시간 동안 압송수단에 예압 구동력을 부여한 경우에도, 압송된 물은 송수호스의 정상부를 넘어 압송되지 않게 되어, 쓸데없는 물이 살수노즐에서 살수되는 것을 억제하여 적은 물로 효율좋게 시트재에 습기를 부여할 수 있게 된다.Further, according to the rolled towel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supply hose is turned so that its top portion passes through a position higher than the storage portion and the water spray nozzle, and the value of the preload driving force parameter data is transferred by the pressure feeding means. The preloading force is applied to the conveying means such that the water to be conveyed does not reach the top of the water hose. Therefore, even if the preload driving force is applied to the pressure feeding means for a predetermined waiting time to increase the response speed to the watering, the pumped water is not pumped over the top of the water supply hose, so that useless water can be sprayed from the water spray nozzle. By suppressing it, it becomes possible to give moisture to a sheet | seat material efficiently with little water.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두루말이 물수건 제조장치에 의하면, 상기 초기 대기시간 매개변수 데이터의 값은 상기 시트재의 길이가 적어도 가장 짧은 경우의 대기시간이 기타 경우의 대기시간보다도 길게 됨과 동시에, 상기 예압 구동력 매개변수 데이터의 값은 상기 시트재의 길이가 적어도 가장 짧은 경우의 예압 구동력이 기타 경우의 예압 구동력보다 크게 된다. 즉, 성형수단으로 인입되는 시트재의 선단부로 살수하는 타이밍을 늦춤으로써 상기 선단부가 살수과다로 되는 것을 억제하여, 살수과다에 기인하는 성형수단에서의 성형불량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살수 타이밍을 늦추는 경우에는 여러 조건에 기인하는 오차에 의하여 살수 타이밍이 너무 지체되어 시트재의 선단부가 목표값보다도 살수부족으로 되어 버릴 염려가 있기 때문에, 예압 구동력을 크게 하여 응답속도를 높임으로써 살수부족을 확실하게 억제할 수가 있게 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rolled towel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value of the initial waiting time parameter data is such that the waiting time when the length of the sheet material is at least shorter than the waiting time in other cases, The value of the variable data is such that the preload driving force when the length of the sheet material is at least shortest is larger than the preload driving force in other cases. That is, by delaying the timing of watering to the tip end portion of the sheet material introduced into the molding means, the tip end portion can be prevented from being excessively sprinkled, and the occurrence of molding failure in the molding means caused by the excessive sprinkling can be suppressed. In addition, when the spraying timing is delayed, the spraying timing may be delayed due to an error caused by various conditions, and the tip of the sheet material may become sprayed under the target value, so the preload driving force is increased to increase the response speed. It is possible to reliably suppress the shortage.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두루말이 물수건 제조장치에 의하면, 상기 인입시 유량 매개변수 데이터의 적어도 최소값 데이터는 상기 살수수단으로부터 살수가 실행되지 않는 값으로 규정되므로, 예를 들어 살수유량 설정수단에 의해 하한값이 설정된 경우, 즉 습기상태가 가장 작은 두루말이 물수건의 제조가 지정된 경우에는 성형수단으로 인입되는 시트재의 선단부로의 살수를 실행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습기상태가 보다 작은 두루말이 물수건을 확실하게 제조할 수 있게 된다. Further, according to the rolled-up wet towel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the minimum value data of the flow rate parameter data at the time of introduction is defined as a value at which watering is not performed from the watering means, so that, for example, the lower limit value is set by the watering flow rate setting means. When set, i.e., when the roll having the smallest moisture condition is designated for the manufacture of the hand towel, the roll having the smaller moisture state can be reliably manufactured by not spraying the tip of the sheet material introduced into the molding mean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루말이 물수건 제조장치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rolled towel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루말이 물수건 제조장치의 전기적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electrical configuration of a rolled towel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루말이 물수건 제조장치의 측단면도.Figure 3 is a side sectional view of a rolled towel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루말이 물수건 제조장치의 부분확대 단면도로서, 받침접시 겸용뚜껑이 닫혀 있는 상태도.Figure 4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scroll towel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tate plate closed the combined lid.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루말이 물수건 제조장치의 부분확대 단면도로서, 받침접시 겸용뚜껑이 개방되어 있는 상태도.Figure 5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roll towel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tate in which the support plate combined lid is open.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량조절 다이얼의 정면도.Figure 6a is a front view of the flow control d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께변환 스위치 및 길이설정 다이얼의 정면도.Figure 6b is a front view of the thickness conversion switch and the length setting d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7 is a flowchart showing a main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간 매개변수표의 모식도.8 is a schematic diagram of a time parameter 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량 매개변수표의 모식도.9 is a schematic diagram of a flow rate parameter 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수수단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시간챠트. 10 is a time chart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watering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루말이 물수건 제조장치의 부분확대 단면도로서, 받침접시 겸용뚜껑이 개방되어 있는 상태도.Figure 11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scroll towel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tate in which the support plate combined lid is open.

도 12는 도 11의 화살표 VII 방향에서 본 받침접시 겸용뚜껑의 평면도. 12 is a plan view of the saucer combined lid seen from the arrow VII of Figure 11;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 두루말이 물수건 제조장치 20: 송급수단   1: roll paper towel manufacturing apparatus 20: supply means

30: 절단수단 40: 살수수단 30: cutting means 40: watering means

43: 송수호스 42c: 노즐부(살수노즐) 43: water supply hose 42c: nozzle part (spray nozzle)

50: 성형수단  50: molding means

60: 유량조절 다이얼(살수유량 설정수단, 로터리 스위치) 60: flow rate control dial (spraying flow rate setting means, rotary switch)

70: 두께변환 스위치(지정수단의 일부, 두께 지정수단) 70: thickness conversion switch (part of designation means, thickness designation means)

71: CPU(읽기 수단) 72: ROM(기억수단) 71: CPU (reading means) 72: ROM (memory means)

72a: 시간 매개변수표(매개변수표 데이터의 일부)72a: Time parameter table (part of parameter table data)

72b: 유량 매개변수표(매개변수표 데이터의 일부)72b: flow parameter table (part of the parameter table data)

80: 길이설정 다이얼(지정수단의 일부, 길이 지정수단) 80: length setting dial (part of designation means, length designation means)

83a: 분사펌프(압송수단) 84a: 히터(저장수단의 일부)83a: injection pump (pressure means) 84a: heater (part of the storage means)

R: 타올 롤 S:시트재  R: Towel Roll S: Sheet Material

M: 두루말이 물수건 T: 물 탱크  M: Rolling towel T: Water tank

Ts: 개시시 대기시간(시간 매개변수 데이터의 일부, 초기 대기시간 매개변수 데이터)T s : Latency at start (part of time parameter data, initial latency parameter data)

Tc: 절단시 대기시간(시간 매개변수 데이터의 일부, 절단후 대기시간 매개변수 데이터)T c : Waiting time for cutting (part of time parameter data, waiting time parameter data after cutting)

Tm: 절단시 동작시간(시간 매개변수 데이터의 일부, 절단후 시간 매개변수 데이터)T m : Operating time at cutting (part of time parameter data, time parameter data after cutting)

Pb: 예압 구동력(예압 구동력 매개변수 데이터)P b : preload driving force (preload driving force parameter data)

Pp: 인입시 구동력(유량 매개변수 데이터의 일부, 인입시 유량 매개변수 데이터)P p : Driving force at the time of intake (part of the flow parameter data, at the time of flow parameter data)

Pc: 절단시 구동력(유량 매개변수 데이터의 일부, 절단후 유량 매개변수 데이터)P c : Driving force in cutting (part of flow parameter data, flow parameter data after cutting)

Claims (17)

타올 롤로부터 띠 형상의 시트재를 인출하는 송급수단과, 상기 송급수단에 의해 인출된 시트재를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는 절단수단과, 상기 절단수단보다도 상기 시트재의 반송경로 하류측에 배설됨과 동시에 상기 시트재에 살수하여 습기를 부여하는 살수수단과, 상기 절단수단에 의해 절단된 시트재를 롤 형상으로 권취하여 두루말이 물수건을 성형하는 성형수단을 구비하는 두루말이 물수건 제조장치에 있어서, Feeding means for drawing out the strip-shaped sheet material from the towel roll, cutting means for cutting the sheet material drawn out by the feeding means to a predetermined length, and disposed at a conveying path downstream of the sheet material than the cutting means. In the apparatus for producing a rolled towel, comprising: a watering means for spraying the sheet material to impart moisture, and a molding means for winding the sheet material cut by the cutting means in a roll shape to form a rolled towel; 상기 시트재에 관한 정보를 지정하는 지정수단과,Designating means for designating information relating to the sheet material; 상기 지정수단에 의해 지정된 정보에 따라 상기 살수수단에 의한 살수량을 조절하는 조절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루말이 물수건 제조장치.And a control means for adjusting the amount of watering by said watering means in accordance with the information specified by said designating mean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수단은 상기 시트재의 두께에 관한 정보를 지정하는 두께 지정수단을 구비하며, 2.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esignation means comprises thickness designation means for designating information about the thickness of the sheet material, 상기 조절수단에 의한 상기 살수량의 조절은 상기 두께 지정수단에 의해 지정된 시트재의 두께에 따라 실행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루말이 물수건 제조장치.The adjustment of the sprinkling amount by the adjusting means is configured to be carried out in accordance with the thickness of the sheet material specified by the thickness specifying means rolled towel manufacturing apparatus.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수단은 상기 절단수단에 의해 절단하는 시트재의 길이에 관한 정보를 지정하는 길이 지정수단을 구비하며, The said designation means is provided with the length designation means which designates the information regarding the length of the sheet | seat material cut | disconnected by the said cutting means, 상기 조절수단에 의한 상기 살수량의 조절은 상기 길이 지정수단에 의해 지정된 시트재의 길이에 따라 실행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루말이 물수건 제조장치.The wet wipes manufactur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adjustment of the watering amount by the adjusting means is configured to be performed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sheet material specified by the length designating means.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수단은 상기 살수수단에 의한 살수시간을 변경하는 살수시간 변경수단을 구비하며,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adjusting means is provided with a watering time changing means for changing the watering time by the watering means, 상기 살수시간 변경수단으로 상기 살수시간을 변경함으로써 상기 지정수단에 의해 지정된 정보에 따라 상기 살수량의 조절을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루말이 물수건 제조장치.And the sprinkling time changing device is configured to execute the adjustment of the sprinkling amount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specified by the designation means by changing the sprinkling time.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수단은 상기 살수수단에 의한 단위시간 당 살수유량을 변경하는 살수유량 변경수단을 구비하며,The sprinkling flow rate changing means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wherein the adjusting means comprises a sprinkling flow rate changing means for changing the sprinkling flow rate per unit time by the sprinkling means, 상기 살수유량 변경수단으로 상기 살수유량을 변경함으로써 상기 지정수단에 의해 지정된 정보에 따라 상기 살수량의 조절을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루말이 물수건 제조장치.And the sprinkling flow rate changing means is configured to execute the adjustment of the sprinkling amount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specified by the designation means by changing the sprinkling flow rate.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살수시간을 규정하는 시간 매개변수 데이터 또는 상기 살수유량을 규정하는 유량 매개변수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or 5, wherein at least one of the time parameter data defining the watering time or the flow rate data defining the watering flow rate is 상기 시트재의 두께 또는 길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관련지어진 매개변수표 데이터와, Parameter table data associated with at least one of a thickness or a length of the sheet member, 상기 매개변수표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수단과,Storage means for storing the parameter table data;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된 매개변수표 데이터로부터 상기 두께 지정수단에 의해 지정된 상기 시트재의 두께 또는 상기 길이 지정수단에 의해 지정된 상기 시트재의 길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시간 매개변수 데이터 또는 유량 매개변수 데이터 중 어느 하나를 읽어내는 읽기수단을 구비하고,Time parameter data or flow rate parameter data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of the thickness of the sheet material specified by the thickness specifying means or the length of the sheet material designated by the length specifying means from the parameter table data stored in the storage means. A reading means for reading any one of 상기 조절수단에 의한 상기 살수량의 조절은 상기 읽기수단에 의해 상기 매개변수표 데이터로부터 읽어낸 상기 시간 매개변수 데이터 또는 상기 유량 매개변수 데이터에 따라 상기 살수시간 또는 상기 살수유량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기 살수시간 변경수단 또는 상기 살수유량 변경수단에 의해 변경함으로써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루말이 물수건 제조장치.The adjustment of the sprinkling amount by the adjusting means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sprinkling time or the sprinkling flow rate according to the time parameter data or the flow rate parameter data read from the parameter table data by the reading means. Rolling water towel manufactur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executed by changing by the watering time changing means or the watering flow rate changing means.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 매개변수 데이터는 상기 성형수단에 의해 롤 형상으로 권취되는 시트재이며, 상기 절단수단에 의해 절단된 후에 상기 시트재로 살수하는 경우에 있어 상기 살수수단의 살수시간을 규정하는 절단후 시간 매개변수 데이터를 구비하고,7. The sprinkling means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time parameter data is a sheet member wound in a roll shape by the forming means, and the sprinkling time of the sprinkling means in the case of watering into the sheet member after being cut by the cutting means. With post-cut time parameter data to define, 상기 매개변수표 데이터에는 상기 절단후 시간 매개변수 데이터가 상기 시트재의 두께 또는 길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관련지어져 기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루말이 물수건 제조장치.And said parameter table data is stored in association with at least one of thickness or length of said sheet material in said parameter table data. 제 6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 매개변수 데이터는 상기 송급수단에 의해 타올 롤로부터 인출되어 상기 성형수단으로 인입되는 시트재이며, 상기 절단수단에 의해 절단되기 전에 상기 시트재로 살수하는 경우에 있어 상기 살수수단의 살수유량을 규정하는 인입시 유량 매개변수 데이터를 구비하고,8. The flow rate parameter data according to claim 6 or 7, wherein the flow rate parameter data is a sheet material drawn out of the towel roll by the feeding means and drawn into the forming means, and sprayed into the sheet material before being cut by the cutting means. In some cases provided with incoming flow rate parameter data defining the watering flow rate of the watering means, 상기 매개변수표 데이터에는 상기 인입시 유량 매개변수 데이터가 상기 시트재의 두께 또는 길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관련지어져 기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루말이 물수건 제조장치.And said parameter table data is stored in association with at least one of the thickness or length of said sheet material during said drawing. 제 6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 매개변수 데이터는 상기 성형수단에 의해 롤 형상으로 권취되는 시트재이며, 상기 절단수단에 의해 절단된 후에 상기 시트재로 살수하는 경우에 있어 상기 살수수단의 살수유량을 규정하는 절단후 유량 매개변수 데이터를 구비하고,9. The flow rate parameter data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6 to 8, wherein the flow rate parameter data is a sheet material wound in a roll shape by the forming means, and when water is sprayed into the sheet material after being cut by the cutting means. And having post-cut flow rate parameter data defining the watering flow rate of said watering means, 상기 매개변수표 데이터에는 상기 절단후 유량 매개변수 데이터가 상기 시트재의 두께 또는 길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관련지어져 기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루말이 물수건 제조장치.And said parameter table data is stored in association with at least one of the thickness or length of said sheet material in said parameter table data. 제 8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살수수단의 살수유량을 하한값과 상한값 사이로 설정하는 살수유량 설정수단과,The watering flow rate setting means according to claim 8 or 9, wherein the watering flow rate of said watering means is set between a lower limit value and an upper limit value; 상기 살수유량 설정수단에 의해 설정된 값이 상기 하한값부터 상한값까지의 범위에서 점하는 비율을 산출하는 산출수단을 구비함과 동시에,And calculating means for calculating a ratio in which the value set by the sprinkling flow rate setting means is in the range from the lower limit value to an upper limit value, 상기 인입시 유량 매개변수 데이터 또는 절단후 유량 매개변수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최소값 데이터와 최대값 데이터를 구비하고,At least one of the flow rate parameter data at the inlet or the flow rate parameter data after cutting has minimum value data and maximum value data, 상기 조절수단에 의한 상기 살수량의 조절은 상기 산출수단에 의해 산출된 비율에 대응하여 상기 최소값 데이터로부터 상한값 데이터까지의 범위로 산출되는 상기 인입시 유량 매개변수 데이터 또는 상기 절단후 유량 매개변수 데이터에 따라 상기 살수시간 또는 상기 살수유량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변경함으로써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루말이 물수건 제조장치.The adjustment of the sprinkling amount by the adjusting means is based on the inlet flow rate parameter data or the cutoff flow rate parameter data calculated in the range from the minimum value data to the upper limit data corresponding to the ratio calculated by the calculating means. Rolling wet towel manufactur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is carried out by changing at least one of the watering time or the watering flow rate.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살수유량 설정수단은 정지위치에 따라 달라지는 저항값을 출력함과 동시에,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가능하며 조작가능한 로터리 스위치에 의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루말이 물수건 제조장치.11. The apparatus of claim 10, wherein the sprinkling flow rate setting means outputs a resistance value depending on the stop position, and is configured by a rotary switch operable in a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제 6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매개변수표 데이터에는 상기 송급수단에 의한 상기 시트재의 인출동작이 개시되면서부터 상기 살수수단에 의한 살수동작을 개시하기까지의 대기시간을 규정하는 초기 대기시간 매개변수 데이터가 상기 시트재의 두께 또는 길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관련지어져 기억되고,12. The parameter table data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6 to 11, wherein the parameter table data includes a waiting time from when the drawing operation of the sheet member is started by the feeding means to the start of the watering operation by the watering means. Defining initial latency parameter data is stored in association with at least one of the thickness or length of the sheet material, 상기 살수수단에 의한 살수는 상기 초기 대기시간 매개변수 데이터에 규정되는 대기시간의 경과 후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루말이 물수건 제조장치.The device for producing a wet towel, characterized in that the watering by the watering means is executed after the elapse of the waiting time specified in the initial waiting time parameter data. 제 6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매개변수표 데이터에는 상기 절단수단에 의한 절단조작이 개시되면서부터 상기 살수수단에 의한 살수동작을 개시하기까지의 대기시간을 규정하는 절단후 대기시간 매개변수 데이터가 상기 시트재의 두께 또는 길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관련지어져 기억되고,12. The cutting tabl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6 to 11, wherein said parameter table data defines a waiting time from the start of the cutting operation by said cutting means to the start of the watering operation by said watering means. The post latency parameter data is stored in association with at least one of the thickness or the length of the sheet material, 상기 살수수단에 의한 살수는 상기 절단후 대기시간 매개변수 데이터에 규정되는 대기시간의 경과 후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루말이 물수건 제조장치.The watering device for producing a rolled towel, characterized in that the watering by the watering means is executed after the elapse of the waiting time specified in the wait time parameter data after the cutting. 제 12항 또는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살수수단은 The method of claim 12 or 13, wherein the watering means 물을 저장하는 저장부와,A storage unit for storing water,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는 물을 압송하는 압송수단과,A feeding means for feeding water stored in the storage part; 상기 압송수단에 의해 압송된 물을 상기 시트재에 살수하는 살수노즐과,A water spray nozzle for spraying the water conveyed by the feeding means onto the sheet material; 상기 살수노즐과 상기 압송수단을 상호 접속하여 물의 유로를 형성하는 송수호스를 구비하며,A water supply hose which interconnects the water spray nozzle and the pressure feeding means to form a water flow path; 상기 매개변수표 데이터에는 상기 송급수단에 의한 상기 시트재의 인출동작이 개시되면서부터 상기 살수수단에 의한 살수동작을 개시하기까지의 대기시간, 또는 상기 절단수단에 의한 절단조작이 개시되면서부터 상기 살수수단에 의한 살수동작을 개시하기까지의 대기시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대기시간 동안의 상기 압송수단의 예압 구동력을 규정하는 예압 구동력 매개변수 데이터가 상기 시트재의 두께 또는 길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관련지어져 기억되고,The parameter table data includes the waiting time from when the drawing operation of the sheet material is started by the supply means to the start of the watering operation by the watering means, or the cutting operation by the cutting operation by the cutting means. Preload driving force parameter data defining the preload driving force of the conveying means during at least one of the waiting times before starting the watering operation by means of at least one of the thickness or length of the sheet material is stored. , 상기 압송수단은 상기 적어도 어느 하나의 대기시간 동안 상기 예압 구동력 매개변수 데이터에 규정되는 예압 구동력에 따라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루말이 물수건 제조장치.And said conveying means is driven in accordance with the preload driving force defined in said preload driving force parameter data during said at least one waiting time.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호스는 그 정상부가 상기 저장부 및 상기 살수노즐보다도 높은 위치를 통과하도록 당겨 돌려지며,15. The water hose according to claim 14, wherein the water hose is pulled so that its top passes through a position higher than the reservoir and the water spray nozzle, 상기 예압 구동력 매개변수 데이터의 값은 상기 압송수단에 의해 압송되는 물이 상기 송수호스의 정상부에 도달하지 않을 정도의 예압 구동력을 상기 압송수단에 부여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두루말이 물수건 제조장치.And a value of the preload driving force parameter data is to give the pressurizing means a preload driving force such that water fed by the pressurizing means does not reach the top of the water supply hose. 제 14항 또는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 대기시간 매개변수 데이터의 값은 상기 시트재의 길이가 적어도 가장 짧은 경우의 대기시간이 기타 경우의 대기시간보다도 길게 됨과 동시에,The value of said initial waiting time parameter data is a waiting time when the length of the said sheet material is at least the shortest, and at the same time becomes longer than the waiting time in other cases, 상기 예압 구동력 매개변수 데이터의 값은 상기 시트재의 길이가 적어도 가장 짧은 경우의 예압 구동력이 기타 경우의 예압 구동력보다 크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두루말이 물수건 제조장치.And the value of the preload driving force parameter data is greater than the preload driving force when the length of the sheet material is at least shortest. 제 15항 또는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인입시 유량 매개변수 데이터의 적어도 최소값 데이터는 상기 살수수단으로부터 살수가 실행되지 않는 값으로 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루말이 물수건 제조장치. 17.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5 or 16, wherein at least the minimum value data of the flow rate parameter data at the inlet is defined as a value at which watering is not executed from the watering means.
KR1020040013382A 2003-09-24 2004-02-27 Device for making a roll of water tissue KR20050030093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331015A JP2005095273A (en) 2003-09-24 2003-09-24 Rolled damp hand towel preparing apparatus
JPJP-P-2003-00331015 2003-09-2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0093A true KR20050030093A (en) 2005-03-29

Family

ID=34459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3382A KR20050030093A (en) 2003-09-24 2004-02-27 Device for making a roll of water tissue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05095273A (en)
KR (1) KR20050030093A (en)
CN (1) CN100457009C (en)
TW (1) TWI266628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91169B2 (en) * 2006-03-14 2012-08-01 株式会社フジ電材 Rolling hand towel manufacturing equipment
JP5130029B2 (en) * 2007-11-20 2013-01-30 ツインバード工業株式会社 Rolling hand towel manufacturing equipment
JP2009148432A (en) * 2007-12-20 2009-07-09 Twinbird Corp Wet towel preparing apparatus
EP3845105A1 (en) 2012-10-26 2021-07-07 Essity Hygiene and Health Aktiebolag Separation unit and a dispenser comprising a separation unit
CN104755000B (en) 2012-10-26 2018-01-05 Sca卫生用品公司 Separative element and the distributor including separative element
DK3136926T3 (en) 2014-04-28 2022-09-26 Essity Hygiene & Health Ab DISPENSE
JP6143316B1 (en) * 2016-11-29 2017-06-07 Fsx株式会社 Cloth hand towel fragrance device, cloth hand towel manufacturing device and cloth hand towel manufacturing method
JP7370205B2 (en) * 2019-09-30 2023-10-27 プールス株式会社 Rolled towel making machin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37664A (en) * 1991-11-18 1993-06-01 Inax Corp Fully automatic wash bawl
CN2194153Y (en) * 1993-09-17 1995-04-12 陈清须 Coil paper tissue automatic feeder
JP2000201853A (en) * 1998-11-10 2000-07-25 Kankyo System Kk Apparatus for producing wound moist hand towel
TW431879B (en) * 1999-08-26 2001-05-01 Jung Nak Won An automatic wet tissue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5095273A (en) 2005-04-14
TWI266628B (en) 2006-11-21
CN1600210A (en) 2005-03-30
TW200511964A (en) 2005-04-01
CN100457009C (en) 2009-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355554B2 (en) Automatic wet towel supply device
KR20050030093A (en) Device for making a roll of water tissue
JP5978721B2 (en) Beverage supply equipment
JP4053901B2 (en) Rolling hand towel manufacturing equipment
JP5130029B2 (en) Rolling hand towel manufacturing equipment
JP2009148433A (en) Wet towel preparing apparatus
JP6171449B2 (en) Rolling hand towel manufacturing equipment
JP2005095220A (en) Rolled damp hand towel preparing apparatus
JP6094299B2 (en) Rolling hand towel manufacturing equipment
JP3081592B2 (en) Roll towel manufacturing equipment
KR20040104309A (en) Device for making a roll of water tissue
JP4509180B2 (en) Rolling hand towel manufacturing equipment
JP3081580B2 (en) Roll towel manufacturing equipment
JP2009066139A (en) Rolled wet hand towel-preparing apparatus
JP2004357828A (en) Small damp towel producing device
JP2009148432A (en) Wet towel preparing apparatus
JP2005095216A (en) Rolled damp hand towel preparing apparatus
JP5358941B2 (en) Hand towel making equipment
JP2000139757A (en) Apparatus for producing rolled wet towel
KR100353522B1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wet towel
JP2009066138A (en) Rolled wet hand towel-preparing apparatus
JP2004267275A (en) Damp towel roll manufacturing apparatus
JP4509179B2 (en) Rolling hand towel manufacturing equipment
KR100428045B1 (en) Device for Supplying Wet Tissue
JP2004254922A (en) Rolled wet towel form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