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29975A - 차동 입력형 고주파 전력 증폭기 - Google Patents

차동 입력형 고주파 전력 증폭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29975A
KR20050029975A KR1020030066277A KR20030066277A KR20050029975A KR 20050029975 A KR20050029975 A KR 20050029975A KR 1020030066277 A KR1020030066277 A KR 1020030066277A KR 20030066277 A KR20030066277 A KR 20030066277A KR 20050029975 A KR20050029975 A KR 200500299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gh frequency
circuit unit
power
differential input
power ampl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62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재홍
김경열
안기철
최진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타키오닉스
정보통신연구진흥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타키오닉스, 정보통신연구진흥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타키오닉스
Priority to KR10200300662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29975A/ko
Priority to US10/668,607 priority patent/US6937097B2/en
Publication of KR200500299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9975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45Differential amplifi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189High-frequency amplifiers, e.g. radio frequency amplifi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30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educe influence of variations of temperature or supply voltage or other physical paramet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189High-frequency amplifiers, e.g. radio frequency amplifiers
    • H03F3/19High-frequency amplifiers, e.g. radio frequency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3F3/191Tuned amplifi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20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 H03F3/21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3F3/211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using a combination of several amplifi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45Differential amplifiers
    • H03F3/45071Differential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3F3/45076Differential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characterised by the way of implementation of the active amplifying circuit in the differential amplifier
    • H03F3/4508Differential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characterised by the way of implementation of the active amplifying circuit in the differential amplifier using bipolar transistors as the active amplifying circuit
    • H03F3/45085Long tailed pai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45Differential amplifiers
    • H03F3/45071Differential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3F3/45076Differential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characterised by the way of implementation of the active amplifying circuit in the differential amplifier
    • H03F3/45475Differential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characterised by the way of implementation of the active amplifying circuit in the differential amplifier using IC blocks as the active amplifying circuit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covered by H03F3/00
    • H03F2203/45Indexing scheme relating to differential amplifiers
    • H03F2203/45464Indexing scheme relating to differential amplifiers the CSC comprising one or more co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동 입력형 고주파 전력 증폭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2.4GHz ISM 주파수 대역용 차동 입력형 고주파 전력증폭기를 실리콘 게르마늄 고주파 집적회로(SiGe MMIC)를 이용하여 설계, 제작함으로써 2.4 GHz ISM 주파수 대역의 통신시스템에서 사용하고 있는 종래의 출력단 구조를 단순하게 구성하여 송신부의 부품수를 줄이고, 통신시스템의 가격을 낮출 수 있는 차동 입력 증폭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동 입력형 고주파 전력 증폭기{High-frequency power amplifier having differential inputs}
본 발명은 차동 입력형 고주파 전력 증폭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2.4GHz ISM 주파수 대역용 차동 입력형 고주파 전력 증폭기를 실리콘 게르마늄 고주파 직접회로(SiGe MMIC)를 이용하여 설계, 제작함으로써 2.4 GHz ISM 주파수 대역의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고 있는 종래의 출력단 구조를 단순하게 구성한 차동 입력형 증폭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통신 시스템의 출력단 구성도이다.
첨부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통신 시스템의 고주파 송신부(10)의 출력 단자는 2개의 단자로 구성되어 있다. 두 출력 단자간의 신호는 상호 위상이 반전된 형태로서, 이를 밸런스 출력(balance output) 이라고 한다.
한편, 안테나(40)로 신호를 증폭하여 전달하는 종래의 전력 증폭기(30)는 단일 입력 단일 출력의 형태이다. 따라서, 종래의 전력증폭기에서 받아들일 수 있는 신호는 언밸런스 신호(unbalance signal)이다. 언밸런스 신호(unbalance signal)는 다른 신호와 상호 위상 반전된 관계가 아닌 신호 형태를 말한다.
따라서, 고주파 송신부의 낮은 출력 신호를 안테나로 증폭하여 전달하기 위해서는 밸런스 신호(balance signal)를 언밸런스 신호(unbalance signal)로 변환하여 출력 증폭기로 인가하는 신호 변환부(20)를 필요로 한다. 상기 신호 변환부(20)로 이용되는 소자는 일반적으로 수동 소자인 바룬(BALUN, balanced to unbalanced)을 사용을 사용한다.
따라서, 종래 전력 증폭기(30)에서는 신호 변환시 이용되는 바룬(BALUN)소자의 특성으로 인해 신호가 감쇄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 전력 증폭기(30)에서는 바룬(BALUN)소자에서 감쇄되는 신호를 보상해 주어야 안테나(40) 출력 전력이 통신 시스템에서 요구하는 크기를 만족할 수 있다. 즉, 전력 증폭기의 전력 이득에 대한 요구량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밸런스 신호를 언밸런스 신호로 변환시키는 소자를 실리콘 게르마늄 고주파 단일 집적회로(SiGe MMIC)에 능동소자로 구현함으로써 신호 감쇄없이 통신 시스템에서 요구하는 안테나 출력을 얻도록 하는 차동 입력형 고주파 젼력 증폭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실리콘 게르마늄 고주파 단일 집적회로 방식을 이용함으로써 고주파 송신부의 출력신호를 증폭하여 안테나로 전달시킬 뿐만 아니라 종래의 통신 시스템의 출력단에서 구현되는 기능인 전력 차단 기능 및 전력 조절 기능이 내장된 차동 입력형 고주파 전력 증폭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2.4GHz ISM 주파수 대역의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고 있는 종래의 출력단 구조를 단순하게 구성하여 송신부의 부품 수를 줄이고, 통신 시스템의 단가를 낮출 수 있는 차동 입력형 고주파 전력 증폭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차동 입력형 고주파 전력 증폭기는 전원 공급부; 차동 입력 단자(INA,INB)의 고주파 차동 입력을 단일 고주파 신호로 증폭하여 출력하는 제 1 증폭회로부; 상기 제 1 증폭회로부에서 증폭된 단일 고주파 신호를 임피던스 정합하여 출력하는 중간정합부; 상기 중간정합부에서 임피던스 정합된 단일 고주파 신호를 입력 받아 출력 단자를 통해 안테나로 상기 단일 고주파 신호를 증폭하여 전달하는 제 2 증폭회로부; 전력 조절 단자의 전압을 변화시켜 상기 제 2 증폭회로부의 출력 단자를 통해 안테나로 출력되는 전력을 조절하기 위한 전력 조절 회로부; 상기 제 1 증폭회로부의 동작 기준점을 정하기 위한 제 1 바이어스 회로부; 및 상기 제 2 증폭회로부의 동작 기준점을 정하기 위한 제 2 바이어스 회로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차동 입력형 고주파 전력 증폭기(31)를 이용한 출력단의 구성도이다.
첨부도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통신 시스템의 출력단은 고주파 송신부(10)와 차동 입력형 고주파 전력 증폭기(31)로 구성된다. 상기 고주파 송신부(10)에서 출력되는 두 개의 출력신호(OUTA, OUTB)는 전력증폭기(31)로 입력되며, 상기 차동 입력형 전력 증폭기(31)는 상기 두 신호(OUTA, OUTB)의 차를 이용하여 증폭된 하나의 출력신호를 안테나를 통해 송출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인 차동 입력형 고주파 전력 증폭기의 기능 구성도이다. 첨부도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차동 입력형 고주파 전력 증폭기는 제 1 증폭회로부(60), 제 2 증폭회로부(80), 중간 정합부(50), 바이어스/컨트롤 블럭(70)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 1 증폭회로부(60)는 신호 변환부(20)의 기능을 하도록 차동 입력 형태로 구성되며, 제 2 증폭회로부(80)는 클래스 AB 공통 에미터 전력 증폭기이다.
중간 정합부는(50)는 제 1 증폭회로부(60)의 출력 임피던스와 제 2 증폭회로부(80)의 입력 임피던스를 정합하여 고주파 신호의 반사손실을 최소화하고, 상기 제 2 증폭회로부(80)의 입력 신호로 최대 전력이 전달되도록 한다.
바이어스/컨트롤 블록(70)은 제 1 증폭회로부(60), 제 2 증폭회로부(80)의 바이어스 회로부와 전력 차단 회로부, 전력 조절 회로부로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예시도면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인 차동 입력 형태의 전력 증폭기의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증폭회로부(60)는 제 7 트랜지스터(Q7), 제 8 트랜지스터(Q8), 제 1 인덕터(L1)와 차동 입력 단자(INA, INB)로 구성된다. 상기 제 1 인덕터(L1)는 제 1 증폭회로부(60)의 안정을 위한 부궤한 역할을 한다.
제 2 증폭회로부(80)는 제 12 트랜지스터(Q12)와 제 5 캐패시터(C5)를 포함하고 있는 클래스 AB 공통 에미터 전력 증폭기이다.
중간 정합부는(50)는 제 3 콘덴서(C3), 제 2 콘덴서(C2), 제 16 저항(R16)으로 구성된다.
바이어스/컨트롤 블록(70)은 제 1 증폭회로부(60)의 바이어스 회로부, 제 2 증폭회로부(80)의 바이어스 회로부와 전력 차단 회로부, 전력 조절 회로부로 구성된다.
제 1 증폭회로부(60)의 바이어스 회로부는 첨부도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5 트랜지스터(Q5), 제 6 트랜지스터(Q6), 다수의 저항(R11~R15)과 제 1 커패시터(C1)로 구성된다. 상기 제 1 증폭회로부(60)의 바이어스 회로부는 전류 이득 변화의 보상을 위한 바이어스 전류 미러 회로로 이루어졌으며, 제 1 증폭회로부(60)의 동작 기준점을 정하는 역할을 한다.
제 2 증폭회로부(80)의 바이어스 회로부는 제 10 트랜지스터(Q10), 제 11 트랜지스터(Q11), 다수의 저항(R18~R20)과 제 4 커패시터(C4)로 구성된다. 상기 제 2 증폭회로부(60)의 바이어스 회로부는 전류 이득 변화의 보상을 위한 바이어스 전류 미러 회로로 이루어졌으며, 제 2 증폭회로부(80)의 동작 기준점을 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저항(R11,R13~R15,R18~R20)과 제 1, 4 커패시터(C1, C4)는 베이스 전압의 안정을 위한 소자이다.
전력 차단 회로부는 다수의 저항(R23~R25)과 전압 제어 전류 공급원 (SRC1, SRC2) 및 제 15 트랜지스터(Q15)로 구성된다.
전력 조절 회로부는 다수의 저항(R1~R5,R10,R17)과 다수의 트랜지스터 (Q1~Q4,Q9,Q17)로 구성된다. 상기 제 17 트랜지스터(Q17)는 보호 다이오드로서, 전력 조절 단자(VCTRL,73)에 인가되는 정전기를 흡수하여 내부회로를 보호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차동입력형 증폭기의 작용에 관해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제 1 증폭회로부(60)에서는, 차동 입력 단자(INA, INB)로 입력되는 두 개의 입력 신호의 차를 이용하여 제 8 트랜지스터(Q8)의 컬렉터 단일 신호로 증폭하여 중간 정합부(50)로 전달한다.
상기 중간 정합부(50)는 중간 정합 소자인 제 3 콘덴서(C3)를 이용하여 제 8 트랜지스터(Q8)의 출력 임피던스와 제 12 트랜지스터(Q12)의 입력 임피던스를 정합하여 상기 제 8 트랜지스터(Q8)에서 출력된 단일 신호를 제 12 트랜지스터(Q12)의 베이스로 전달한다.
따라서, 제 8 트랜지스터(Q8)에서 출력된 단일 고주파 신호의 반사손실이 최소화되며, 상기 제 12 트랜지스터(Q12)의 입력 신호로 최대 전력이 전달된다.
상기 제 2 증폭회로부(80)에서, 상기 제 12 트랜지스터(Q12)는 중간 정합 소자인 제 3 콘덴서(C3)를 통과하여 정합된 제 8 트랜지스터(Q8)의 출력 신호를 입력으로 받아들여 증폭한 후, 출력단자(Vcc2_OUT)를 통하여 안테나(40)로 고주파 신호를 증폭하여 전달한다. 상기 제 5 커패시터(C5)는 출력 고주파 성분을 감소시키기 위한 소자이다.
한편, 제 1 증폭회로부(60)와 제 2 증폭회로부(80)의 신호 증폭율은 제 7, 제 8 , 제 12 트랜지스터의 컬렉터로 흐르는 바이어스 전류에 의해 결정되며, 상기 바이어스 전류가 공급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전원 전압 단자(VCC0,71)에 전원 전압(Vcc)이 인가되고, 전력 조절 단자(VCTRL,73)에 전원 전압(Vcc)과 동일한 크기의 전압이 인가되었을 때 회로의 바이어스 상태는 다음과 같다.
제 2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 전류를 무시하면, 하기 수학식 1 에서와 같이 제 1 트랜지스터(Q1)의 컬렉터 전류는 제 4 저항(R4)에 흐르는 전류(I_c1)와 같다.
I_c1 ≒ (VB1-VBEONQ1)/R3
여기서, 컬렉터-에미터 포화전압은 무시되었으며, VB1은 제 1 트랜지스터 (Q1)의 베이스 전압, VBEONQ1은 제 1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미터 턴-온(turn-on) 전압을 말한다.
제 1 트랜지스터의 베이스 전압 VB1은 제 1 저항(R1)과 제 2 저항(R2)에 의해서 하기 수학식 2 와 같이 전력 조절 단자(VCTRL,73)의 전압(VCTRL)을 배분한다.
VB1 ≒ VCTRLㆍ(R2 / R1+R2)
제 1 트랜지스터(Q1)의 컬렉터 전압(VC1)은 제 1 트랜지스터(Q1)가 포화되면 에미터 전압과 거의 같게 되어 하기 수학식 3 과 같은 결과를 얻는다.
VC1 ≒ I_c1ㆍR3
전압 V1은 제 4 저항(R4)과 제 12 저항(R12)으로 분기되는 노드 전압으로 하기 수학식 4 와 같이 결정된다.
V1 = VC1+I_c1ㆍR4 = I_12ㆍR12 + 2ㆍVBEON
한편, 제 3 트랜지스터의 기준 전류(I_c2)는 하기 수학식 5 와 같다.
I_c2 ≒ {(R5+R7)ㆍVC1 - VBEONQ3ㆍR5} / (R5+R7)
즉, 제 3 트랜지스터의 기준 전류(I_c2)는 상기 수학식 3 에서 구한 VC1의 값을 수학식 5 에 대입함으로써 얻어진다.
제 4 트랜지스터의 컬렉터 전류(I_c3)는 제 4 트랜지스터(Q4)와 제 3 트랜지스터(Q3)의 전류 미러 관계에 따라서 제 3 트랜지스터(Q3)의 기준 전류(I_c2)와 에미터 저항비에 의해 하기 수학식 6 과 같이 결정된다.
I_c3 ≒ I_c2ㆍ(R5/R10)
또한, 전류(I_12)가 전류(I_c1)와 전류(I_c3)에 비해 충분히 크다고 가정하면, 하기 수학식 7 과 같이 전류(I_12)가 전류(I_ref)와 같다고 할 수 있다.
I_12 ≒ I_ref ≒ {Vcc-(2ㆍVBEON)} / (R26+R12)
≒ {Vcc-(2ㆍVBEON)} / (R22+R21)
≒ {Vcc-(Vc1+I_c1ㆍR4)} / R26
또한, 제 5 트랜지스터(Q5)는 제 1 증폭회로부(60)의 제 7 트랜지스터(Q7) 및 제 8 트랜지스터(Q8)와 전류 미러 관계에 있으며, 전류 미러의 기준 전류는 전류(I_12)가 된다.
즉, 트랜지스터의 면적비에 의하여 전류(I_12):전류(I_1b):전류(I_1a) = 1:6:6 의 비례 관계로 제 1 증폭회로부의 제 7 트랜지스터(Q7) 및 제 8 트랜지스터(Q8)의 바이어스 전류(I_1b, I_1a)가 결정된다.
상기 바이어스 전류(I_1b, I_1a)는 제 1 증폭회로부의 전원 전압 단자(VCC1A, VCC1B)에서 공급된다. 상기 제 1 증폭회로부의 전원 전압 단자(VCC1A, VCC1B)의 전압은 전원 전압 단자(VCCO,71)의 전원 전압(Vcc)과 같은 크기의 전압이 인가된다.
또한, 제 9 트랜지스터(Q9)의 컬렉터 전류(I_c4)는 제 9 트랜지스터(Q9)와 제 3 트랜지스터(Q3)의 전류 미러 관계에 의해서 하기 수학식 8 과 같이 제 3 트랜지스터(Q3)의 기준전류(I_c2)와 에미터 저항비에 의해 결정된다.
I_c4 ≒ I_c2ㆍ(R5/R17)
전류(I_ref)가 전류(I_c4)에 비해 충분히 크다고 가정하면, 상기 수학식 7 에 의하여 제 10 트랜지스터(Q10)와 제 12 트랜지스터(Q12)의 전류 미러 관계의 기준 전류를 전류(I_ref)로 할 수 있다.
즉, 트랜지스터의 면적비에 의하여 기준전류(I_ref):전류(I_2) = 1:16의 비례관계로 제 2 증폭회로부(80)의 제 12 트랜지스터(Q12)의 바이어스 전류(I_2)가 결정된다.
상기 전류(I_2)는 전원 전압 단자(Vcc2_OUT)에서 공급된다. 상기 제 2 증폭회로부의 전원 전압 단자(Vcc2_OUT)의 전압은 전원 전압 단자(VCCO,71)의 전원 전압(Vcc)과 같은 크기의 전압이 인가된다.
결국, 상기 과정에 의해 결정된 바이어스 전류(I_1b, I_1a, I_2)는 제 7, 제 8, 제 12 트랜지스터의 컬렉터 전류가 되어, 제 1 증폭회로부와 제 2 증폭회로부의 신호 증폭율을 결정한다.
한편, 제 6 트랜지스터(Q6)와 제 11 트랜지스터(Q11)는 집적회로 공정상 트랜지스터의 전류증폭률의 변동율에 의한 바이어스 전류의 변동을 보상하여 바이어스 전류(I_1b, I_1a, I_2)를 안정되게 유지한다.
또한, 저항(R6~R9)은 과도 전압 변동시의 제 4 트랜지스터(Q4)와 제 3 트랜지스터(Q3), 제 9 트랜지스터(Q9)의 베이스 전압의 안정을 위한 것이다.
한편, 전력 조절 회로부에서 전력 조절이 되는 과정을 살펴 보면 다음과 같다.
전력 조절 회로부의 동작은 전력 조절 단자(VCTRL,73)의 전압이 0~Vcc[V]까지 조절되면서 제 1 증폭회로부(60)의 바이어스 전류와 제 2 증폭회로부(80)의 바이어스 전류를 조절함에 따라, 상기 바이어스 전류와 로그적인 비례관계를 갖는 안테나 출력 전력을 조절한다. 그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수학식 1 과 수학식 2 에 따라서, 제 1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 전압(VB1)과 제 1 트랜지스터(Q1)의 바이어스 전류(I_c1)가 작아진다. 따라서, 제 2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 전류는 무시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제 1 트랜지스터(Q1)가 포화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하기 수학식 9 와 같이 제 1 트랜지스터(Q1)의 컬렉터 전압(VC1)이 결정된다.
VC1≒V1 - RL1ㆍI_c1
여기서, 전압(V1)은 상기 수학식 4 에 나타난 것 처럼, 제 4 저항(R4)과 제 12 저항(R12)으로 분기되는 노드 전압이다. RL1은 제 1 트랜지스터(Q1)의 등가적인 부하 저항이다.
즉, 전력 조절 단자(VCTRL,73)의 전압이 전원 전압에서 접지 전압으로 낮아지면서 상기 수학식 1 에서와 같이 전류(I_c1)가 감소하면, 상기 수학식 9 에서와 같이 제 1 트랜지스터(Q1)의 컬렉터 전압(VC1)이 증가하여, 상기 수학식 5 와 같이 제 3 트랜지스터(Q3)의 컬렉터 전류(I_c2)가 증가한다. 따라서 제 4 트랜지스터(Q4)와 제 3 트랜지스터(Q3)의 전류 미러 관계에 따라 상기 수학식 6 과 같이 전류(I_c3)가 증가한다.
또한, 하기 수학식 10 과 수학식 11 에 의해, 전류(I_c1)와 전류(I_c3)가 증가함에 따라서, 제 1 증폭회로부(60)의 바이어스 전류(I_1b, I_1a)의 기준 전류(I_12, I_q10)는 감소하며, 이에 따라 제 1 증폭회로부(60)의 바이어스 전류(I_1a. I_1b)가 감소하게 된다.
I_12 ≒ I_ref - I_c1
I_q5 ≒ I_12 - I_c3
또한, 전력 조절 단자(VCTRL,73)의 전압이 작아지면, 제 2 증폭회로부(80)의 기준 전류(I_ref)는 하기 수학식 12 에서 보이듯이 제 10 트랜지스터(Q10)의 컬렉터 전류(I_q10)와 전류(I_c4)로 분기된다.
I_q10 ≒ I_ref - I_c4
따라서, 전류(I_c4)의 증가량에 비례하여, 제 10 트랜지스터(Q10)의 컬렉터 전류가 감소하고, 제 10 트랜지스터(Q10)와 제 12 트랜지스터(Q12)의 전류 미러 관계에 의해서 제 2 증폭회로부(80)의 바이어스 전류가 감소한다. 이러한 바이어스 전류의 감소에 의해 바이어스 전류와 비례관계에 있는 고주파 전력을 감소시킨다.
감소되는 기울기는 제 1 저항(R1), 제 2 저항(R2)의 비율과 제 10 저항(R10), 제 17 저항(R17)의 비율에 의해서 결정된 비례상수와 같으며, 전력 조절 단자(VCTRL,3)의 전압에 따라서 제 1 증폭회로부, 제 2 증폭회로부의 바이어스 전류(I_1a, I_1b, I_2)는 지수적인 관계로 감소하고, 따라서 바이어스 전류(I_1a, I_1b, I_2)의 자승에 비례하는 전력(mW)이 감소한다.
따라서, 이를 전력의 단위(dBm)로 변환하면, 전력 조절 단자(VCTRL,3)의 전압에 비례하여 안테나 출력 전력이 〔dB/V〕단위로 조절된다.
한편, 전력 차단 회로부에서 전력이 차단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전력 차단 회로부에서, 상기 제 15 트랜지스터(Q15)는 보호 다이오드로서, 전력 차단 단자(VRAMP,72)에 인가되는 정전기를 흡수하여 내부회로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안테나로 출력되는 고주파 신호의 전력을 차단하기 위하여 전력 차단 단자(VRAMP,72)의 전압이 접지전압으로 낮아지면, 제 24 저항(R24), 제 25 저항(R25) 및 제 23 저항(R23)에 의해서 전압 제어 전류 공급원(SRC1, SRC2)의 전류(I_ref)가 차단된다.
상기 전류(I_ref)가 차단됨에 따라 제 5 트랜지스터(Q5)의 바이어스 전류(I_12)와 제 10 트랜지스터(Q10)의 바이어스 전류가 차단된다. 따라서, 제 5 트렌지스터(Q5)와 제 10 트랜지시터(Q10)와 전류 미러 관계에 있는 제 1 증폭회로부의 바이어스 전류(I_1a, I_1b)와 제 2 증폭회로부의 제 12 트랜지스터(Q12)의 바이어스 전류가 차단된다.
이와 같이, 전압 제어 전류 공급원(SRC1,SRC2)의 전류(I_ref)는 저항(R24)의 양단 전압인 전력 차단 단자(VRAMP,72)의 전압에 의해 온-오프 동작을 한다.
본 발명인 차동 입력형 고주파 전력 증폭기를 적용하는 통신 시스템은 종래의 단일 입력 단일 출력 형태의 전력 증폭기를 사용하여 신호 변환부를 사용하던 구조에 비하여, 신호 변환부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종래의 성능을 유지하면서 부품의 수를 줄이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통신 시스템의 출력단의 구성도.
도 2는 종래 고주파 전력 증폭기의 기능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인 차동 입력형 고주파 전력 증폭기를 이용한 출력단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인 차동 입력형 고주파 전력 증폭기의 기능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인 차동 입력형 고주파 전력 증폭기의 회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고주파 송신부 20: 신호 변환부
30: 전력 증폭기 31: 차동 입력형 전력증폭기
40: 안테나 50: 중간 정합부
60: 제 1 증폭회로부 70: 바이어스/컨트롤 블록
71: 전원 전압 단자(VCCO) 72: 전력 차단 단자(VRAMP)
73: 전력 조절 단자(VCTRL) 80: 제 2 증폭회로부

Claims (8)

  1. 전원 공급부;
    차동 입력 단자(INA,INB)의 고주파 차동 입력을 단일 고주파 신호로 증폭하여 출력하는 제 1 증폭회로부;
    상기 제 1 증폭회로부에서 증폭된 단일 고주파 신호를 임피던스 정합하여 출력하는 중간정합부;
    상기 중간정합부에서 임피던스 정합된 단일 고주파 신호를 입력 받아 출력 단자를 통해 안테나로 상기 단일 고주파 신호를 증폭하여 전달하는 제 2 증폭회로부;
    전력 조절 단자의 전압을 변화시켜 상기 제 2 증폭회로부의 출력 단자를 통해 안테나로 출력되는 전력을 조절하기 위한 전력 조절 회로부;
    상기 제 1 증폭회로부의 동작 기준점을 정하기 위한 제 1 바이어스 회로부;및
    상기 제 2 증폭회로부의 동작 기준점을 정하기 위한 제 2 바이어스 회로부;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 입력형 고주파 전력 증폭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전력 차단 단자의 전압이 접지 전압이 되는 경우, 상기 제 2 증폭회로부의 출력 단자를 통해 안테나로 출력되는 전력을 차단하기 위한 전력 차단 회로부;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 입력형 고주파 전력증폭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증폭회로부는,
    차동 입력 단자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복수의 증폭소자와, 차동 증폭회로의 주파수 응답 안정을 위한 부궤환용 인덕터,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 입력형 고주파 전력 증폭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증폭회로부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증폭소자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출력 고조파 성분을 감소시키기 위한 소자,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입력형 전력 증폭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정합부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중간 정합 소자와, 임피던스 소자,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 입력형 고주파 전력 증폭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차단 회로부는,
    전력 차단 소자와, 정류 소자와, 다수의 전압 분배용 소자와, 복수의 전압 제어 전류 공급원,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 입력형 고주파 전력 증폭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조절 회로부는,
    전력 조절 단자와, 정류 소자와, 다수의 바이어스용 소자와, 다수의 전력 감소 비율을 결정하기 위한 소자와, 다수의 증폭소자와, 다수의 임피던스 소자,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 입력형 고주파 전력 증폭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 2 바이어스 회로부는,
    전류 이득 변화의 보상을 위한 바이어스 전류 미러 회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 입력형 고주파 전력 증폭기.
KR1020030066277A 2003-09-24 2003-09-24 차동 입력형 고주파 전력 증폭기 KR2005002997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6277A KR20050029975A (ko) 2003-09-24 2003-09-24 차동 입력형 고주파 전력 증폭기
US10/668,607 US6937097B2 (en) 2003-09-24 2003-09-24 High-frequency power amplifier having differential inpu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6277A KR20050029975A (ko) 2003-09-24 2003-09-24 차동 입력형 고주파 전력 증폭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9975A true KR20050029975A (ko) 2005-03-29

Family

ID=34309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6277A KR20050029975A (ko) 2003-09-24 2003-09-24 차동 입력형 고주파 전력 증폭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6937097B2 (ko)
KR (1) KR2005002997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3259B1 (ko) * 2005-10-04 2008-08-20 엔이씨 일렉트로닉스 가부시키가이샤 고주파 전력 증폭 회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29444A (ja) * 2004-09-30 2006-05-18 Renesas Technology Corp 高周波電力増幅器および高周波電力増幅器モジュール
US7205836B2 (en) * 2005-05-03 2007-04-17 M/A-Com, Inc. SiGe differential cascode amplifier with miller effect resonator
CN103391052A (zh) * 2013-07-03 2013-11-13 中国船舶重工集团公司第七二四研究所 一种s波段大功率功放组件的设计方法
CN104053348A (zh) * 2014-07-07 2014-09-17 中国船舶重工集团公司第七二四研究所 一种改善大功率功放组件电磁兼容的设计实现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5678B1 (ko) * 1999-03-26 2001-07-12 김영환 선형 이득제어 증폭기
DE10023524C2 (de) * 2000-05-13 2002-07-11 Micronas Gmbh Zweistufiger Verstärker
DE10042170A1 (de) 2000-08-15 2002-03-07 Infineon Technologies Ag Differentieller, komplementärer Verstärker
US6614301B2 (en) 2002-01-31 2003-09-02 Intel Corporation Differential amplifier offset adjustment
KR100651159B1 (ko) * 2002-06-01 2006-11-29 김송강 고효율 전력 증폭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3259B1 (ko) * 2005-10-04 2008-08-20 엔이씨 일렉트로닉스 가부시키가이샤 고주파 전력 증폭 회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50062534A1 (en) 2005-03-24
US6937097B2 (en) 2005-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428557B (zh) 功率放大电路
JP4683468B2 (ja) 高周波電力増幅回路
US7633344B2 (en) Low noise amplifier and differential amplifier
KR101451455B1 (ko) 선형 및 포화 모드에서의 동작을 위한 멀티모드 증폭기
US7340227B2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US7639080B2 (en) Radio frequency amplifier circuit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 same
JP2948054B2 (ja) 送受信機
EP1800395B1 (en) Dual bias control circuit
KR20010020410A (ko) 선형성 및 대역폭이 개선된 가변 이득 증폭기
US8212618B2 (en) Variable gain amplifier
US11177772B2 (en) Power control circuit and power amplification circuit
KR20020025701A (ko) 증폭회로
KR20020001526A (ko) 무선 주파수 증폭기용 능동 바이어스 네트워크 회로
WO2021124613A1 (ja) 電力増幅回路
US5912588A (en) Gain control circuit for a linear power amplifier
JP2000505972A (ja) 高入力インピーダンスと高電力効率を有する線形高周波増幅器
JP2007019784A (ja) 高周波電力増幅器および動作電圧制御回路
Vintola et al. Variable-gain power amplifier for mobile WCDMA applications
KR20020094436A (ko) 이동단말기에서 자동이득제어기의 온도보상회로
KR20050029975A (ko) 차동 입력형 고주파 전력 증폭기
US7545217B1 (en) System and method for improving power efficiency in GSM power amplifiers
US4268798A (en) High performance summing amplifier
US6518840B1 (en) Circuit for linearizing the power control profile of a BiCMOS power amplifier
US6980052B1 (en) Low-voltage pre-distortion circuit for linear-in-dB variable-gain cells
JP3219346B2 (ja) 自動利得制御増幅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