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29906A - 구취 억제 및 제거용 필름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필름형성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구취 억제 및 제거용 필름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필름형성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29906A
KR20050029906A KR1020030066176A KR20030066176A KR20050029906A KR 20050029906 A KR20050029906 A KR 20050029906A KR 1020030066176 A KR1020030066176 A KR 1020030066176A KR 20030066176 A KR20030066176 A KR 20030066176A KR 20050029906 A KR20050029906 A KR 200500299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cyclodextrin
bad breath
water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61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후덕
김영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0300661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29906A/ko
Publication of KR200500299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9906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8Cyclodextr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취의 원인이 되는 악취유발물질을 억제 및 제거하는 필름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필름형성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구취 억제 및 제거용 필름은 사이클로덱스트린이 유효성분으로서 수용성 필름 기재 내부에 균일하게 분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사이클로덱스트린이 균일하게 분산된 필름은 구강 내에서 서서히 용해되어 메틸머캅탄, 마늘냄새와 같은 악취유발물질을 효과적으로 마스킹하여 구취를 지속적으로 억제 및 제거할 수 있다.

Description

구취 억제 및 제거용 필름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필름형성용 조성물{A film for reducing and removing mouth odor and composition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구취 억제 및 제거용 필름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필름형성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구강 내에서 서서히 용해되어 메틸머캅탄, 마늘냄새와 같은 악취유발물질을 효과적으로 마스킹하여 구취를 지속적으로 억제 및 제거할 수 있는 구취 억제 및 제거용 필름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필름형성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구취는 후천적인 질병에 의해 발생하기도 하나, 일반적으로는 타액 중의 단백질, 음식물 찌꺼기 등이 구강 내에서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어 생성된 아미노산이 탈회산 효소나 아미노 효소 등에 의해 분해되어 악취를 유발하는 물질을 생성함으로써 발생된다. 또한, 마늘이나 고추 등을 섭취하는 경우 이들 물질에 함유되어 있는 황화물에 의해서도 구취가 발생하게 된다.
구취를 유발하는 대표적인 성분으로는 휘발성 황화물(Volatile Sulfide Compounds; 이하, VSC로 약칭한다)을 들 수 있는데, 이들 휘발성 황화물에는 황화수소(Hydrogen sulfide, H2S), 메틸머캅탄(Methyl mercaptan, CH3SH), 디메틸머캅탄[Dimethyl mercaptan, (CH3)2S] 등이 있으며, 특히 메틸머캅탄은 구취 중 역겨운 냄새의 주성분이라고 알려져 있다. 또한, 생선의 경우 그 신선도가 떨어짐에 따라 생선 비린내인 트리메틸아민[Trimethyl amine, (CH3)3N] 또는 δ- 아미노발레린산(δ-Aminovaleric acid) 등이 형성되며, 이들 휘발성 아민화합물 특히, 트리메틸아민이 악취성분의 주요한 부분을 이루고 있다. 그 외의 구취 유발 물질로는 알데히드, 지방산, 암모니아 또는 피리딘 등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공보 제97-8154호 및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소60-75418호 등에는 이러한 VSC를 제거하기 위한 치약 또는 양치액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제제는 치약 또는 양치액과 같은 형태이므로 사용 시 일정한 장소에서 칫솔과 같은 도구를 사용할 필요가 있으며, 양치 후 구취제거성분이 쉽게 소실되어 일정한 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여 구강 내에서 서서히 용해되어 메틸머캅탄, 마늘냄새와 같은 악취유발물질을 효과적으로 마스킹하여 구취를 지속적으로 억제 및 제거할 수 있는 구취 억제 및 제거용 필름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필름형성용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사이클로덱스트린이 유효성분으로서 수용성 필름 기재 내부에 균일하게 분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취 억제 및 제거용 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구취 억제 및 제거용 필름에 있어서, 사이클로덱스트린의 함량은 필름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1 내지 20.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수용성 필름 기재로는 풀루란(Pullulan), 펙틴(Pectin), 키틴(Chitin), 카라기난(Carrageenan), 잔탄검(Xanthan Gum), 알긴산(Alginate), 셀루로오스(Cellulose), 덱스트린(Dextrin) 등의 수용성 고분자를 단독으로 또는 이들을 1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필름 총 중량을 기준으로, 사이클로덱스트린 0.01 내지 20.0중량%; 수용성 고분자 0.5 내지 35중량%; 및 유화제 0.05 내지 5.0중량%;를 포함하는 구취 억제 및 제거를 위한 필름형성용 수계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필름형성용 수계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습윤제 0.5 내지 10중량%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구취 억제 및 제거용 필름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필름형성용 조성물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구취 억제 및 제거용 필름에는 사이클로덱스트린(Cyclodextrin, 이하 CD라 한다)이 유효성분으로서 필름 기재 내부에 균일하게 분산되어 있다.
CD는 전분을 산이나 효소를 처리하여 만든 포도당이 기본 단위이며, 포도당이 여러 개가 환상으로 결합되어 있는 구조이다. CD의 종류에는 α-CD, β-CD, γ-CD의 3가지 종류가 있는데, 각각 다른 물리화학적 특성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α-CD(α-cyclodextrin, C36H60O30, mw 972)은 6개의 포도당이 환상 구조를 이루고 있고, β-CD(β-cyclodextrin, C42H70O35, mw 1135)은 7개의 포도당이 환상 구조를 이루고 있으며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물에 대한 용해도를 높이기 위해 하이드록시프로필-β-CD와 같이 하이드록시알킬화하거나 메톡시알킬화한 다양한 유도체들이 있다. γ-CD(γ-cyclodextrin, C48H80O40, mw 1297)은 8개의 포도당이 환상 구조를 이루고 있으며, 가장 넓은 cavity를 가지므로 분자량이 큰 물질을 포접할 수 있다. CD의 종류에 따른 특성은 표 1에 정리하였다.
이와 같은 다양한 종류의 CD는 방향 물질, 유성(油性) 물질을 고리 속으로 빨아들이는 작용이 있기 때문에 다양한 산업적 활용가치를 지니는데,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CD를 수용성 고분자에 균일하게 분산하여 필름으로 제조한 결과, 제조된 필름이 구강 내에서 서서히 용해되어 메틸머캅탄, 마늘냄새와 같은 악취유발물질을 효과적으로 마스킹하여 구취를 지속적으로 억제 및 제거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α-사이클로덱스트린, β-사이클로덱스트린, γ-사이클로덱스트린 및 이들의 하이드록시알킬 유도체, 메톡시알킬 유도체와 같은 사이클로덱스트린은 각각 또는 이들을 2종 이상 혼합하여 수용성 필름 기재 내부에 분산시킬 수 있다. 수용성 필름 기재로는 인체에 무해한 풀루란(Pullulan), 펙틴(Pectin), 키틴(Chitin), 카라기난(Carrageenan), 잔탄검(Xanthan Gum), 알긴산(Alginate), 셀루로오스(Cellulose), 덱스트린(Dextrin) 등의 수용성 고분자를 단독으로 또는 이들을 1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구취 억제 및 제거용 필름에 함유되는 사이클로덱스트린의 함량은 필름 총중량을 기준으로 0.01 내지 20.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함량이 0.01중량% 미만이면 뚜렷한 구취 억제 및 제거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우며, 20.0중량%를 초과하면 증가하는 함유량만큼 뚜렷한 효과가 기대되지 않는다.
전술한 구취 억제 및 제거용 필름을 형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조성물로서, 본 발명은 필름 총 중량을 기준으로, 사이클로덱스트린 0.01 내지 20.0중량%; 수용성 고분자 0.5 내지 35중량%; 및 유화제 0.05 내지 5.0중량%;를 물에 용해시킨 포함하는 구취 억제 및 제거를 위한 필름형성용 수계 조성물을 제공한다.
수용성 고분자로는 전술한 플루란(Pullulan), 펙틴(Pectin), 키틴(Chitin), 카라기난(Carrageenan), 잔탄검(Xanthan Gum), 알긴산(Alginate), 셀루로오스 (Cellulose), 덱스트린(Dextrin) 등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용하여 0.5 내지 35중량%,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5중량%를 첨가한다.
유화제는 통상 식품에 사용되는 유화제를 사용할 수 있는데, 레시틴(Lecithin), 카제인 나트륨(Sodium Caseinate), 카제인(Casein), 알긴산암모늄(Ammonium Alginate), 자당지방산에스테르,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혹은 2종 이상 혼합하여 0.05 내지 5.0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5%를 첨가한다.
또한, 본 발명의 필름형성용 수계 조성물은 습윤제를 더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습윤제는 글리세린, 솔비톨액, 비결정성 솔비톨액, 폴리에틸렌 글리콜, 자일리톨, 프로필렌 글리콜 등을 단독으로 혹은 2종 이상 혼합하여 0.5 내지 10중량%,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중량%를 사용한다.
이 외에, 본 발명의 필름형성용 수계 조성물에는 본 발명의 목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감미제, 향료 등을 더 첨가할 수 있다.
감미제로는 사카린나트륨, 아스파탐, 아세설팜, 스테비오사이드, 감초산 등이 있으며, 이들을 단독으로 혹은 2종 이상 혼합하여 0.05 내지 5.0중량%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향료를 구성하는 물질로는 통상의 구강제품에 사용되는 방향성 물질 및 식품 향료에 사용되는 물질로서, 허브 향료, 시트러스 향료, 스파이스 향료, 후루티 향료와 멘톨, 카르본, 유게놀, 시네올, 윈터그린, 시나믹알데하이드 등 기타 향료 성분들을 사용할 수 있는데, 향료를 구성하는 물질은 위 성분들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0.1 내지 10.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0중량%를 첨가한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져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실험예 1 : 사이클로덱스트린의 구취억제효과 평가
사이클로덱스트린의 구취 주성분인 메틸머캅탄(Methylmercaptan)에 대한 억제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할리미터(Halimeter)를 이용하여 그 구취 억제 정도를 측정하였다.
메틸머캅탄 표준용액(1㎍/㎕ in benzene)을 0.2M 인산칼륨 완충용액(Potassium Phosphate buffer, pH 7.5)에 희석시켜 할리미터 측정값이 500-600ppb가 되도록 한 후 그 희석액을 구취 유발원 용액으로 사용하였다. CD는 각각 0.2M 인산칼륨 완충용액(pH 7.5)에 녹여 1% 용액으로 만들어 실험에 사용하였다. 대조군으로는 뚜껑이 달린 시험관에 완충용액 500㎕와 구취 유발원 용액 500㎕를 넣었으며, 실험군으로는 각각 추출물 용액 500㎕와 구취 유발원 용액 500㎕를 넣었다. 각 시험관은 36.5℃ 수조에 5분간 정치한 후 할리미터를 이용하여 시험관의 Head-space 내의 황화합물의 양을 측정하였다. 대조군 및 실험군의 실험은 각각 4회 및 3회 반복하여 각 할리미터 측정값을 평균하여 사용하였다.
각 약효성분의 1% 용액에 대한 구취 성분 억제 정도는 다음 표 2에 나타냈다.
구취억제정도(%)
대조군 0
α-CD 75
β-CD 73
γ-CD 70
하이드록시프로필-β-CD 72
표 2를 참조하면, 사이클로덱스트린 및 그 유도체 모두 대조군과 비교할 때 구취의 주성분인 메틸머캅탄에 대하여 매우 강력한 억제효능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 ~ 6 및 비교예 1
하기 표 3에 기재된 성분과 함량으로 필름형성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먼저, 수용성 고분자인 풀루란과 카라기난, 사이클로덱스트린을 물에 녹인 다음, 여기에 감미제와 습윤제를 넣고 잘 교반하였다. 그런 다음, 에탄올에 유화제, 향미제, 약효제를 넣고 슬러리를 만든 후, 앞서 제조한 수용액에 투입하여 잘 섞어 준 후 60℃, 중탕으로 가열하여 모든 내용물이 잘 섞이도록 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필름형성 조성물을 적당한 트레이(Tray)에 제조한 용액을 붇고 얇게 펴서 오븐에서 건조시키므로서 구취 억제 및 제거용 필름을 완성하였다.
(단위:중량%)
구분 원 료 명 실시예 비교예
1 2 3 4 5 6 1
수용성고분자 풀루란 19.0 19.0 18.0 19.0 17.0 16.0 17.0
카라기난 - 1.0 1.0 - 1.5 3.0 2.0
습윤제 글리세린 1.0 0.8 0.9 1.0 1.0 0.7 1.0
유화제 레시친 0.5 0.4 0.5 0.6 0.5 0.6 0.5
Na-카제인 0.1 0.1 - - 0.3 0.2 -
감미제 아스파탐 1.3 1.5 1.4 1.2 1.5 1.5 1.5
스테비아 0.1 - - 0.1 - - 0.1
향미제 Flavor 2.1 1.8 1.6 1.5 1.5 1.2 2.0
약효제 α-CD 5.0 - - 1.0 - - -
β-CD 1.0 5.0 - - 1.0 - -
γ-CD - 1.0 5.0 - - 1.0 -
하이드록시프로필-β-CD - - 1.0 5.0 5.0 5.0 -
용제 에탄올 2.0 2.0 2.0 2.0 2.0 2.0 2.0
정제수 67.9 67.4 68.6 68.6 68.7 68.8 73.9
총량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상기 실시예 1 내지 6 및 비교예 1의 조성물로 제조한 구취 억제 및 제거용 필름의 마늘냄새에 대한 억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실험을 실시하였다. 표 3의 상기된 조성물을 최종 제품으로 제조, 건조하였을 경우 Dw는 10 ~ 40 사이에 존재하여야 한다.
마늘냄새 휘산 억제 효과에 대한 구강 도포 임상 비교 실험
본 실험은 치아 우식을 가지고 있지 않은 남녀 18명을 선정하여 대상 제품에 대하여 교차 반복 실험(Cross-over test)을 하였다.
시판하는 마늘분을 물에 분산시켜 24시간 방치한 후 희석하여 할리미터 측정값이 350-450ppb가 되도록 하였으며, 그 희석액을 음식물에 의한 구취 유발원으로 사용하였다. 실험군으로 실시예 1 내지 6의 제품 500㎕와 마늘분 희석액 500㎕를 혼합하였으며, 동일한 방법으로 대조군으로는 비교예 1의 제품과 마늘분 희석액을 혼합하였다. 혼합액을 입안에 머금고 혀로 구강 내에 30초간 도포한 후 할리미터로 측정하였으며, 20분 후에 다시 측정하여 구취 억제의 지속 여부를 확인하여 마늘냄새 휘산 억제율 및 억제지속 정도를 표 4에 나타냈다. 할리미터의 사용방법은 다음과 같다. 측정 전 1분 동안 입을 다물고 코로만 호흡을 하였으며, 측정시에는 빨대를 약 1.5cm 정도 입 안으로 넣은 상태에서 약 15초 정도 유지했다. 이때 빨대가 혀에 닿지 않도록 하였으며, 입술은 약 3-4mm 정도 벌린 상태를 유지하게 하였고, 호흡은 코로만 하였다.
(단위:마늘냄새정도, ppb)
구분 도포후 초기 도포후 20분
비교예 330 274
실시예 1 198 57
실시예 2 202 60
실시예 3 195 68
실시예 4 169 63
실시예 5 156 61
실시예 6 188 68
표 4를 참조하면, 상기 방법으로 실시예의 제품과 비교예의 제품을 사용한 후 할리미터로 측정한 결과, 마늘 냄새 휘산에 의한 구취는 입 안 도포 직후에 측정했을 때에는 비교예에서 330ppb를 나타낸 반면에, 실시예 1 ~ 6의 제품은 구취가 크게 감소하였음을 알 수 있다.
특히, 도포 후 20분 뒤에 측정한 결과를 보면 약효 성분을 사용하지 않은 비교예의 경우에서는 도포 직후의 마늘냄새 측정 시에는 330ppb에서 274ppb로 마늘 냄새 발생 억제가 전혀 지속되지 않는 것을 보였다. 그러나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6의 결과에 의하면 마늘 냄새에 의한 구취 제거 및 구취 발생 억제 지속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마늘냄새 휘산 억제 효과에 대한 임상 비교 실험
본 실험은 치아 우식을 가지고 있지 않은 남녀 15명을 선정하여 대상 본 발명 제품에 대하여 교차 반복 실험(Cross-over test)를 하였다.
시판하는 마늘분을 물에 분산시켜 24시간 방치한 후 희석하여 할리미터 측정값이 700ppb이상이 되도록 하였으며, 그 희석액을 구취 유발원으로 사용하였다.
마늘분 희석액 10ml로 30초간 가글을 한 후 1분 뒤에 할리미터로 구취 정도를 측정하였으며, 다시 각각의 실시예 및 비교예의 제품을 0.05g을 입에 머금어 녹여 삼킨다. 그 후 30초, 5분, 20분 뒤에 할리미터로 구취 정도를 측정하여 구취 억제의 지속 여부를 확인하여 구취 감소율 및 억제지속 정도를 표 5에 나타냈다.
(단위:%)
구분 사용후 30초 사용후 5분 사용후 20분
비교예 44.6 41.8 37.2
실시예 1 65.2 75.2 77.3
실시예 2 63.5 77.6 78.5
실시예 3 64.5 76.5 77.9
실시예 4 59.6 71.2 73.2
실시예 5 63.5 74.1 75.6
실시예 6 68.9 78.5 80.0
표 5를 참조하면, 상기 방법으로 실시예의 제품과 비교예의 제품을 사용한 후 할리미터로 측정한 결과, 비교예의 경우 초기 구취제거 정도도 실시예에 비해 약하고 시간의 경과에 따른 구취제거 효과나 지속성도 좋지 못한 것을 알 수 있다. 반면, 실시예에서는 제품 사용 후 초기 30초 동안의 구취 제거 및 억제효과 보다는 5분까지는 구취 억제 효과 및 지속성이 크게 증가하였고, 사용 후 20분 후 정도 까지 효과가 지속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4는 초기 구취제거 효과는 다른 실시예보다 다소 낮게 나타났으나, 사용 후 시간의 경과에 따른 구취제거 효과 및 지속성은 유사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사이클로덱스트린이이 유효성분으로서 분산된 필름은 사용 및 휴대가 간편하고 구강 내에서 서서히 용해되어 메틸머캅탄, 마늘냄새와 같은 악취유발물질을 효과적으로 마스킹하여 구취를 지속적으로 억제 및 제거할 수 있다.

Claims (6)

  1. 사이클로덱스트린이 유효성분으로서 수용성 필름 기재 내부에 균일하게 분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취 억제 및 제거용 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클로덱스트린의 함량은 필름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1 내지 20.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취 억제 및 제거용 필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클로덱스트린은 α-사이클로덱스트린, β-사이클로덱스트린, γ-사이클로덱스트린 및 이들의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취 억제 및 제거용 필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필름 기재는 풀루란(Pullulan), 펙틴(Pectin), 키틴(Chitin), 카라기난(Carrageenan), 잔탄검(Xanthan Gum), 알긴산(Alginate), 셀루로오스(Cellulose), 덱스트린(Dextrin)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수용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취 억제 및 제거용 필름.
  5. 필름 총 중량을 기준으로,
    사이클로덱스트린 0.01 내지 20.0중량%;
    수용성 고분자 0.5 내지 35중량%; 및
    유화제 0.05 내지 5.0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취 억제 및 제거를 위한 필름형성용 수계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필름 총 중량을 기준으로 습윤제 0.5 내지 10중량%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취 억제 및 제거를 위한 필름형성용 수계 조성물.
KR1020030066176A 2003-09-24 2003-09-24 구취 억제 및 제거용 필름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필름형성용 조성물 KR200500299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6176A KR20050029906A (ko) 2003-09-24 2003-09-24 구취 억제 및 제거용 필름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필름형성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6176A KR20050029906A (ko) 2003-09-24 2003-09-24 구취 억제 및 제거용 필름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필름형성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9906A true KR20050029906A (ko) 2005-03-29

Family

ID=37386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6176A KR20050029906A (ko) 2003-09-24 2003-09-24 구취 억제 및 제거용 필름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필름형성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2990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16667A1 (ko) * 2013-08-02 2015-02-05 주식회사 서울제약 도네페질 또는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함유한 구강붕해필름 제제 및 그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16667A1 (ko) * 2013-08-02 2015-02-05 주식회사 서울제약 도네페질 또는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함유한 구강붕해필름 제제 및 그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67166A (en) Cyclodextrins as malodorous breath reducing agents
JP2857629B2 (ja) 消臭剤
JP4836227B2 (ja) 口腔内乾燥防止および口腔内刺激緩和用組成物
ZA200509854B (en) Antiplaque breath freshening consumable film
BRPI0616826A2 (pt) composições e métodos para neutralizar mau odor oral
AU2002256299B2 (en) Stable herbal dentifrice
WO2005072691A1 (en) Composition for inhibiting halitosis
EP0442420B1 (en) Cosmetic composition
JP3706614B2 (ja) 口臭抑制用口腔組成物
KR20050029906A (ko) 구취 억제 및 제거용 필름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필름형성용 조성물
JP2603465B2 (ja) 口腔用組成物
JPH07101842A (ja) 口腔用組成物
KR20000065613A (ko) 감태 추출물을 포함하는 악취제거 및 충치 예방용 조성물
JP2023533273A (ja) 口臭改善用口腔組成物
JP2013075860A (ja) メチルメルカプタン生成阻害剤
JPS6077763A (ja) 消臭剤
JPH0826952A (ja) 口腔用組成物
KR20050029905A (ko) 구취 억제 및 제거용 필름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필름형성용 조성물
JP2002104986A (ja) 抗歯周病剤
KR101344803B1 (ko) 후박 추출물과 금속이온 봉쇄제를 포함하는 구강 위생용 조성물
KR102682723B1 (ko) 천연 보습제를 용제로 이용한 자극이 없는 치약향료 조성물
JP3472172B2 (ja) 口腔用剤
JPH03220117A (ja) 口腔用組成物
JP2508061B2 (ja) 液状消臭性組成物
JPH04173070A (ja) 甘味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