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29511A - 다중화면 영상표시방법 - Google Patents

다중화면 영상표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29511A
KR20050029511A KR1020030065812A KR20030065812A KR20050029511A KR 20050029511 A KR20050029511 A KR 20050029511A KR 1020030065812 A KR1020030065812 A KR 1020030065812A KR 20030065812 A KR20030065812 A KR 20030065812A KR 20050029511 A KR20050029511 A KR 200500295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image
mask
data
image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58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40994B1 (ko
Inventor
송명섭
Original Assignee
송명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명섭 filed Critical 송명섭
Priority to KR10200300658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0994B1/ko
Publication of KR200500295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95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09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099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79Video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형영상을 제공하는 멀티 큐브나 멀티 비젼에 비하여 설치공간의 제약이 없고, 소모전력이 적으며, 화면단절이 없고, 단조로운 화면을 탈피할 수 있으며, 막대한 예산이 소모되지 않으면서도 역동적이고 자유로운 영상의 표시가 가능한 빔프로젝터를 이용한 다중화면 영상표시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중화면 영상표시방법은, 영상내용과 영상표시를 위한 공간상태에 따라서 스크린의 크기, 형상, 숫자를 가상 설계하는 제1단계; 상기 스크린의 설계상태에 따라서 각 분할스크린에 대한 마스크 스크린 파일을 생성, 저장하고 각각의 분할스크린에 대한 영상소스를 준비하는 제2단계; 상기 제2단계에서 준비된 영상소스를 원하는 마스크 스크린에 삽입하여 마스크 콤포지트 영상데이터를 제작하는 제3단계; 각각의 마스크 스크린에 대하여 제작된 마스크 콤포지트 영상데이터를 결합하여 하나의 콤포지트 영상데이터를 제작하는 제4단계; 상기 콤포지트 영상데이터를 렌더링하여 영상소스데이터를 완성하고 완성된 상기 영상소스데이터를 빔프로젝트를 이용하여 출력하는 제5단계; 및 출력된 영상에 맞춰서 스크린을 제작, 설치하는 제6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다중화면 영상표시방법{Method for displaying images on the multi screen}
본 발명은 다중화면 영상표시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대형영상을 제공하는 멀티 큐브나 멀티 비젼에 비하여 설치공간의 제약이 없고, 소모전력이 적으며, 화면단절이 없고, 단조로운 화면을 탈피할 수 있으며, 막대한 예산이 소모되지 않으면서도 역동적이고 자유로운 영상의 표시가 가능한 빔프로젝터를 이용한 다중화면 영상표시방법에 관한 것이다.
행사장, 공연장, 또는 전시회장 등에서는 대형의 영상화면을 표시할 수 있는 LCD 또는 일반 브라운관을 이용한 멀티 비젼(Multi Vision) 또는 멀티 큐브(Multi Cube) 등을 이용하여 행사의 주제를 알리거나 광고를 하는 경우가 많이 발생된다. 이러한 멀티영상시스템들은 표현하려는 주제들을 다양하고 신속하게 표시하는 장점이 있으나, 다음과 같은 단점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멀티 큐브 시스템은, 1) 특정 규격으로 유닛의 크기가 결정되기 때문에 전체영상의 크기는 X, Y 축에 일정배수로 제한적으로 결정된다. 또한 부분영상의 크기나 비율도 유닛의 배수범위 안에서만 가능하기 때문에 표시화면의 크기에 제약을 가져온다. 2) 화면 뒷쪽으로 넓은 공간이 요구된다. 예를 들어 41 inch 유닛의 경우 1,200mm, 51 inch 유닛의 경우 1,310mm의 깊이와 장비 뒤편에 작업공간, 열처리 공간들이 설치되어야 하므로 설치를 위한 기본공간이 필요하다. 3) 유닛당 230~290watt의 전력을 필요로 한다. 4) 또한 유닛의 전체 무게가 매우 무겁기 때문에 바닥에 설치되어야 하는 제약을 받는다. 5) 화상이 단일 평면상에 국한된다. 6) 막대한 예산이 소모되는 등의 단점이 있다.
또한 멀티 비젼 시스템은, 1) 멀티 큐브와 유사하게 특정 규격으로 유닛 셀(cell)의 크기가 결정되기 때문에 전체 영상의 크기의 제약을 받는다. 2) 셀과 셀 사이에 일정넓이의 간격(최소한 13mm)이 요구되므로 화면단절현상이 발생된다. 3) 소모전력이 많다. 4) 설치공간상의 제약을 받는다. 5) 화상이 단일 평면상에 국한된다. 6) 막대한 예산이 소모되는 등의 단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멀티영상 시스템을 대신하여 빔프로젝터(beam projector)를 이용한 영상투사방식이 가능하지만, 상대적으로 이미지 재현효과가 열등하기 때문에 경제적인 이유 이외에는 거의 사용되지 않고 있는 형편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크린의 형상, 크기, 숫자를 현장상황과 영상의 내용에 따라서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다중화면 영상표시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표시용 스크린 유닛셀들의 간격을 최소화시킴으로서 화면단절현상이 없는 다중화면 영상표시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스크린의 두께가 "0" 에 가까우므로 많은 설치공간이 필요하지 않은 다중화면 영상표시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전력소모가 거의 없으며 열이나 소음발생이 없는 다중화면 영상표시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설치 및 운영에 고가의 장비가 필요없어서 예산의 소모가 감소되는 다중화면 영상표시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영상이 입체적으로 재현되므로 현장감이 배가되고 극적인 효과가 창출되며, 스크린이 허공중에 설치되므로 설치미술로서의 조형성을 제공할 수 있는 다중화면 영상표시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중화면 영상표시방법은, 영상내용과 영상표시를 위한 공간상태에 따라서 스크린의 크기, 형상, 숫자를 가상 설계하는 제1단계; 상기 스크린의 설계상태에 따라서 각 분할스크린에 대한 마스크 스크린 파일을 생성, 저장하고 각각의 분할스크린에 대한 영상소스를 준비하는 제2단계; 상기 제2단계에서 준비된 영상소스를 원하는 마스크 스크린에 삽입하여 마스크 콤포지트 영상데이터를 제작하는 제3단계; 각각의 마스크 스크린에 대하여 제작된 마스크 콤포지트 영상데이터를 결합하여 하나의 콤포지트 영상데이터를 제작하는 제4단계; 상기 콤포지트 영상데이터를 렌더링하여 영상소스데이터를 완성하고 완성된 상기 영상소스데이터를 빔프로젝트를 이용하여 출력하는 제5단계; 및 출력된 영상에 맞춰서 스크린을 제작, 설치하는 제6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중화면 영상표시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종래 멀티 큐브 또는 멀티 비젼과 같은 대형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빔프로젝터를 이용하여 동일한 대형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방법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 멀티 큐브 또는 멀티 비젼에 비하여, 스크린의 형상, 크기, 숫자를 현장상황과 영상의 내용에 따라서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으며, 표시용 스크린 유닛셀들의 간격을 최소화시킴으로서 화면단절현상이 없으며, 스크린의 두께가 "0" 에 가까우므로 많은 설치공간이 필요하지 않으며, 전력소모가 거의 없고 열이나 소음발생이 없으며, 설치 및 운영에 고가의 장비가 필요없어서 예산이 절감되고, 영상이 입체적으로 재현되므로 현장감이 배가되고 극적인 효과가 창출되며, 스크린이 허공중에 설치되므로 설치미술로서의 조형성을 갖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빔프로젝터(10)를 이용하여 스크린(20) 상에 영상을 표시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빔프로젝터(10)는 종래 사용되는 것과 동일하며, 스크린(20)은 거리 및 크기가 서로 다른 다수 개의 분할스크린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스크린(20)의 구성(즉 형상, 크기, 갯수, 거리 등)은 표시하고자 하는 영상의 내용과 연출의도에 따라서 변경이 가능하다.
도 2는 스크린(20)의 구성상태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20)은 크기, 형상, 숫자 및 빔프로젝터(10)와의 거리에 따라서 분할된 다수의 분할스크린으로 구성됨을 알 수 있다. 즉, 스크린(20)을 목적에 따라서 도 3이나 도 4와 같은 형상을 갖도록 분할할 수 있다. 상기 도 3 및 도 4에서 a, b, c는 투사거리, 숫자들은 차례를 각각 나타낸다. 따라서 a1, a2는 빔프로젝터(10)로부터 동일한 거리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스크린(20)은 그것이 설치되는 현장의 상황과 영상내용에 가장 적절하고 효과적인 개수, 크기, 형태의 스크린을 미적, 공간적 사항을 고려하여 구성하고, 분할된 각각의 스크린에 맞추어서 제작된 영상소스데이터를 하나의 빔프로젝터(10)를 이용하여 재현한다.
상기 스크린(20)의 구성에 있어서 고려할 점은, 빔프로젝터(10)의 투사가능영역인 직사각형(예를 들어 720 * 480, 또는 640 * 480 픽셀) 범위안에서 면분할을 하여야 하는 것이다. 특히 스크린(20)은 직사각형 뿐만 아니라 도 4와 같이 입체적으로 자유롭게 분할할 수 있는 점에 특징이 있다.
상기와 같이 대형영상이 표시되는 스크린(20) 자체가 각각 분할되고, 거리가 서로 다르게 입체적으로 설정됨으로서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미술적 조형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스크린(20)의 제작상태가 후에 상술된다.
상기와 같이 구현되는 본 발명의 방법은, 도 5의 플로우차트를 참고하면, 영상내용과 영상표시를 위한 공간상태에 따라서 스크린의 크기, 형상, 숫자를 가상 설계하는 제1단계; 상기 스크린의 설계상태에 따라서 각 분할스크린에 대한 마스크 스크린 파일을 생성, 저장하고 각각의 분할스크린에 대한 영상소스를 준비하는 제2단계; 상기 제2단계에서 준비된 영상소스를 원하는 마스크 스크린에 삽입하여 마스크 콤포지트 영상데이터를 제작하는 제3단계; 각각의 마스크 스크린에 대하여 제작된 마스크 콤포지트 영상데이터를 결합하여 하나의 콤포지트 영상데이터를 제작하는 제4단계; 상기 콤포지트 영상데이터를 렌더링하여 영상소스데이터를 완성하고 완성된 상기 영상소스데이터를 빔프로젝트를 이용하여 출력하는 제5단계; 및 출력된 영상에 맞춰서 스크린을 제작, 설치하는 제6단계를 포함한다.
먼저 컴퓨터 또는 그래픽 전용장치에서 구동되는 그래픽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빔프로젝터(10)의 투사가능영역인 사각형을 기본화면으로 가상 설정하고, 이것을 현장상황과 영상내용에 부합되는 다수의 스크린 형태로 구성한다. 이 때 스크린(20)의 분할 형태는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사각형이 아니어도 별 지장이 없음은 명백하다.
한편, 분할되는 각각의 스크린의 경계선의 넓이는 픽셀단위로 설정하며, 경계선이 좁을수록 화면차단이 적은 반면 스크린 설치시 허용오차가 좁아지기 때문에 4~6픽셀, 바람직하게는 5픽셀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스크린을 도 3 또는 도 4와 같이 필요한 갯수와 크기 등으로 분할하고, 각각의 분할된 스크린에 식별번호를 부여하고 각각의 식별번호에 사용되어질 마스크 스크린을 파일형태로 저장한다. 예를 들어 도 3 및 도 4에서 면에 할당된 식별번호가 각각의 분할 스크린에 대한 마스크 스크린 파일명이 되며, 10개 분할스크린으로 구성되면 10개의 파일이 생성된다.
각각의 파일들은 동영상 프로그램에 의하여 임포트(import) 되어서 각각의 분할스크린 면의 마스크(mask) 역할을 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각각의 마스크 스크린에 사용되어질 영상소스를 준비한다. 상기 영상소스는 예를 들어 스틸 이미지 또는 동영상이 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그래픽 프로그램을 이용한 작업이 완료되면 동영상 제작 프로그램, 예를 들어서 "After Effects (美 Adobe社 제품)"를 이용하여 마스크 스크린 파일을 임포트한다. 이 때 주의할 점은 임포트시에 콤포지트 방식으로 마스크 스크린 파일을 임포트하여야 한다.
영상소스를 삽입하고자 하는 스크린, 예를 들어 1c를 임포트한 후에 마스크 콤포지트에 필요한 영상소스를 위치시킨다. 상기 동영상 제작 프로그램은 도 8을 참고하면 animation program이 되며, 컴퓨터(40) 또는 동영상 제작 전용장치에서 구동된다.
도 6에 도시된 것은 분할된 스크린 1c에 영상소스를 위치시킨 상태를 예시한 것이다. 도면을 참고하면, 영상소스가 보여질 영역인 1c 이외에는 투명영역으로 설정된다. 이러한 작업은 Affect Effects의 "preserve transparency" 기능을 이용하여 영상소스가 1c 마스크 스크린 영역만에 존재하도록 삭제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그 후에 영상소스에 다양한 변형(크기 회전..등등)및 효과(블러,파인드엣지...등 이펙트 효과)를 부여하고 모션을 제작한다. 물론 상기한 After Effects 이외에 동일 내지 유사한 기능을 하는 다른 동영상 제작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마스크 콤포지트 영상데이터를 제작할 수 있다.
상기 설명에서는 다수의 분할된 영역에 대하여 각각의 영상소스를 이용한 것이 설명되었지만, 하나의 영상소스를 여러 분할된 스크린 영역에서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서 하나의 영상소스를 1a, 1c, 2a, 3c에 위치시키고자 하면, 마스크 스크린 파일을 동시에 콤포지트 상태로 임포트하여 영상소스를 결합시킨다. 이 때 1a, 1c, 2a, 3c 는 도 6에서 1c와 같이 소스가 보여질 영역으로 할당되고, 나머지 영역은 투명영역이 되는 것이다. 그 후에 상기한 "preserve transparency"기능을 이용하여 마스크 콤포지트 영상데이터를 제작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각각의 분할된 스크린 영역에 대한 마스크 콤포지트 영상데이터가 완성되면 각각의 마스크 콤포지트 영상데이터들을 모두 하나의 파일로 결합하여 하나의 콤포지트 영상데이터를 제작한다. 이 때 메인 콤포지트 영상데이터 안에 포함되는 서브 콤포지트 영상데이터들의 배치상태와 서브콤포지트들의 시간별 배치상태의 일례가 도 7에 표시되어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 콤포지트 영상데이터들의 시간별 배치는 타임라인형식으로 배치되며, 스크린의 분할면의 수와 콤포지트 구조가 복잡해질 수 록 복잡한 영상을 제작할 수 있다.
모든 마스크 콤포지트 영상데이터들을 하나의 콤포지트 영상데이터로 결합한 후에 콤포지트 영상데이터를 컴퓨터나 프로젝터로 볼 수 있는 소스로 전환하는 렌더링작업을 수행한다. 이렇게 렌더링 작업에 의하여 영상소스데이터가 완성된다. 이 영상소스데이터는 직접 빔프로젝터(10)를 이용하여 투사하거나 또는 DVD 포맷으로 전환할 수 있다. DVD 포맷은 DVD 플레이어(30)를 통하여 재생이 된다. DVD 플레이어(30)는 도 8을 참고하면, 빔프로젝터(10)와 연결되어서 영상이 투사된다.
상기와 같이 영상소스데이터가 완성되고 빔프로젝터(10)를 통하여 투사되면, 실제 스크린(20)을 제작할 수 있다. 스크린(20)의 제작과정은 다음과 같다.
스크린(20)을 설치할 현장에서 빔프로젝터(10)를 정위치시킨 후에 제작이 완료된 영상소스데이터 또는 분할된 그래픽 화면을 투사한다.
빔프로젝터(10)와 스크린(20)을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와의 최대거리를 "C"라고 설정하였을 때 그 위치에 전체 화면을 수용할 수 있는 화판을 위치시키고, 그 면에 투사되는 c1, c2, c3,.. 등의 분할된 스크린 형태를 따라서 분할된 화면을 그리거나 실측한다. 작업이 완료되면, 다른 거리로 설정된 a, b의 거리에 대하여서도 화면을 이동시킨 후에 투사되는 크기와 형태를 그리거나 실측한다.
상기와 같은 작업에 의하여 화판에 그려진 스크린의 형태는 정확한 투시화면의 크기이므로 그 화면을 둘러싸고 있는 경계선 넓이 이내에서 약간 확대된 크기의 스크린을 정해진 위치에 설치한다. 이러한 작업은 정확성이 요구되므로 영상을 투사하면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에 도시된 스크린(20)이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쳐서 제작된 스크린의 일실시예의 사시도이다.
상기와 같이 현장에서의 스크린(20)(분할스크린)의 제작이 완료되면 이미 제작이 완료된 A/V데이터인 영상소스데이터를 컴퓨터(40)를 이용하여 빔프로젝트(10)를 통하여 투사함으로서 대형영상의 투사가 가능해지게 된다.
본 발명의 다중화면 영상표시방법에서는 또한 오디오 신호를 영상소스데이터에 포함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 8을 참고하면, 영상소스(Video source)를 마스크 스크린 파일에 삽입시킨 후에, 오디오 소스(Audio source)를 포함시킴으로서 영상과 동시에 음향신호를 출력하는 것이 가능하다. 오디오소스의 삽입은 종래 사용되는 오디오 제작 프로그램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 멀티 큐브 또는 멀티 비젼에 비하여, 스크린의 형상, 크기, 숫자, 거리를 현장상황과 영상내용에 따라서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으며, 표시용 스크린 유닛셀들의 간격을 최소화시킴으로서 화면단절현상이 없으며, 스크린의 두께가 "0" 에 가까우므로 설치공간이 필요하지 않으며, 전력소모가 없으며 열이나 소음발생이 없으며, 설치 및 운영에 고가의 장비가 필요없어서 예산의 소모가 감소되며, 영상이 입체적으로 재현되므로 현장감이 배가되고 극적인 효과가 창출되며, 스크린이 허공중에 설치되므로 설치미술로서의 조형성을 갖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영상표시방법이 수행되는 빔프로젝터와 스크린의 설치도,
도 2는 도 1의 스크린의 일실시예의 분할설치상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스크린 분할상태의 일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의 스크린 분할상태의 다른 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영상표시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마스크 스크린 작업의 일예시도,
도 7은 콤포지트 영상데이터의 타임라인의 일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이 수행되는 하드웨어 블럭다이아그램.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빔프로젝터 20: 스크린
30: DVD 플레이어 40: 컴퓨터

Claims (7)

  1. 영상내용과 영상표시를 위한 공간상태에 따라서 스크린의 크기, 형상, 숫자를 가상 설계하는 제1단계; 상기 스크린의 설계상태에 따라서 각 분할스크린에 대한 마스크 스크린 파일을 생성, 저장하고 각각의 분할스크린에 대한 영상소스를 준비하는 제2단계; 상기 제2단계에서 준비된 영상소스를 원하는 마스크 스크린에 삽입하여 마스크 콤포지트 영상데이터를 제작하는 제3단계; 각각의 마스크 스크린에 대하여 제작된 마스크 콤포지트 영상데이터를 결합하여 하나의 콤포지트 영상데이터를 제작하는 제4단계; 상기 콤포지트 영상데이터를 렌더링하여 영상소스데이터를 완성하고 완성된 상기 영상소스데이터를 빔프로젝트를 이용하여 출력하는 제5단계; 및 출력된 영상에 맞춰서 스크린을 제작, 설치하는 제6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화면 영상표시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가 그래픽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그래픽 전용장치의 가상공간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화면 영상표시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에서의 스크린의 가상분할시에 경계선의 넓이가 4~6픽셀, 바람직하게는 5픽셀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화면 영상표시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에서의 영상소스가 스틸 이미지 또는 동영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화면 영상표시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에서 마스크 스크린 파일이 콤포지트 방식으로 동영상 프로그램에 의하여 임포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화면 영상표시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6단계에서 스크린(20)이 다양한 형태의 분할스크린으로 입체적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화면 영상표시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표시방법이 오디오신호를 영상소스데이터에 포함시키는 제7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화면 영상표시방법.
KR1020030065812A 2003-09-23 2003-09-23 다중화면 영상표시방법 KR1005409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5812A KR100540994B1 (ko) 2003-09-23 2003-09-23 다중화면 영상표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5812A KR100540994B1 (ko) 2003-09-23 2003-09-23 다중화면 영상표시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9511A true KR20050029511A (ko) 2005-03-28
KR100540994B1 KR100540994B1 (ko) 2006-01-10

Family

ID=37386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5812A KR100540994B1 (ko) 2003-09-23 2003-09-23 다중화면 영상표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099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2116B1 (ko) * 2007-11-09 2009-10-16 광주과학기술원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통합 시스템 및 그 방법
US9383840B2 (en) 2013-04-22 2016-07-05 Samsung Display Co., Ltd. Method and apparatus to reduce display lag using image overlay
US9811301B2 (en) 2014-09-15 2017-11-07 Samsung Display Co., Ltd. Terminal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display lag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8336B1 (ko) 2012-12-03 2019-10-04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 스크린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2116B1 (ko) * 2007-11-09 2009-10-16 광주과학기술원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통합 시스템 및 그 방법
US9383840B2 (en) 2013-04-22 2016-07-05 Samsung Display Co., Ltd. Method and apparatus to reduce display lag using image overlay
US9811301B2 (en) 2014-09-15 2017-11-07 Samsung Display Co., Ltd. Terminal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display la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40994B1 (ko) 2006-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45685B1 (en) Method and system for efficient edge blending in high fidelity multichannel computer graphics displays
JP4481166B2 (ja) ユーザによる合成画像およびビデオ画像のリアルタイムのミキシングを可能にす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580578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jective texture mapping rendered from arbitrarily positioned and oriented light source
JP3177221B2 (ja) 興味深いシーンのイメージを表示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US670745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exture tiling in a graphics system
US20080225059A1 (en) System and method for using off-screen mask space to provide enhanced viewing
CN101183524B (zh) 一种歌词文字的显示方法及系统
TW200305109A (en) Image with depth of field using Z-buffer image data and alpha blending
TW200601186A (en) Display apparatus, display method,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and program
US6081275A (en) Image compositing apparatus
US20100039562A1 (en) Source and output device-independent pixel compositor device adapted to incorporate the digital visual interface (DVI)
US8979281B2 (en) System and method for imagination park tree projections
Dietz et al. Multi-projectors and implicit interaction in persuasive public displays
KR100540994B1 (ko) 다중화면 영상표시방법
US20180374453A1 (en) Holographic display mimicking system and method
US20160203744A1 (en) Low profile simulated 3d display device
JP2005346417A (ja) 仮想三次元座標ポリゴンによるオブジェクト画像の表示制御方法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JP4375840B2 (ja) 光源表示方法および装置
Rossi Smart architectural models: Spatial projection-based augmented mock-up
US6232933B1 (en) Dummy magnifying display apparatus
US6831639B2 (en)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storing 3-D game image processing program, 3-D game image processing method, video game machine, and 3-D game image processing program
JP2001043393A (ja) 3次元レンダリング方法
RU2145778C1 (ru) Система формирования изображения и звукового сопровождения информационно-развлекательного сценического пространства
JP3971394B2 (ja) 遊技機の画像表示装置
KARAKURT CHAPTER TWENTY-SIX 3D PROJECTION MAPPING ON CERAMIC SURFACES HATICE AYBIKE KARAKUR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2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