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29169A - Apparatus for transferring cassette of display devic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transferring cassette of display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29169A
KR20050029169A KR1020050013449A KR20050013449A KR20050029169A KR 20050029169 A KR20050029169 A KR 20050029169A KR 1020050013449 A KR1020050013449 A KR 1020050013449A KR 20050013449 A KR20050013449 A KR 20050013449A KR 20050029169 A KR20050029169 A KR 200500291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 room
cassette
door
lifter
hoistw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344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동헌
Original Assignee
이동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헌 filed Critical 이동헌
Priority to KR10200500134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29169A/en
Publication of KR200500291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9169A/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1Combinations with auxiliary equipment, e.g. with clocks or memoranda pa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Abstract

An apparatus for transferring a cassette of a display product is provided to transfer the cassette more safely without contaminating the display product and components produced in a clean room. A cassette loading stand is installed in a clean room(10) and loads a cassette(C). A lift car(40) has a lift car exit(41) that corresponds to a clean room exit(12), a left/right door flange(42) of the lift car exit, a clean unit(45) and a lower exhaustion hole(144). A blocking plate(55a,55b) is fixedly installed at an outer wall of an elevator path(30). The blocking plate is installed between a clean room door and a lift car door and at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clean room exit. A cassette transfer unit(71) is fixed installed in the lift car. The blocking plate has desired size such that it can prevent contaminated air in the elevator path from flowing into the lift car even though the lift car moves up and down with its door being opened.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제품용 카세트 반송이재 장치{APPARATUS FOR TRANSFERRING CASSETTE OF DISPLAY DEVICE}Cassette transfer device for display products {APPARATUS FOR TRANSFERRING CASSETTE OF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제품용 카세트 반송이재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청정도를 유지하면서 부품을 안전하게 이재할 수 있음과 아울러 각 층별로 다단 적재가 가능하게 되는 디스플레이 제품용 카세트 반송이재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ssette transfer device for display products.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ssette conveyance transfer device for a display product, which is capable of safely transferring parts while maintaining cleanliness, and enabling multi-stage stacking for each floor.

통상적으로 디스플레이 제품, 예컨대 액정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 및 피디피(PDP; Plasma Display Panel) 제품은 크린 룸(clean room)에서 제조공정이 이루어지게 되며, 크린 룸은 공장건물이 다 층으로 설치되어 디스플레이 제품을 구성하는 부품이나 반 조립품 등을 각 층의 크린 룸으로 반송하면서 디스플레이 제품을 제조하게 된다.Typically, display products, such as Liquid Crystal Display (LCD) and Plasma Display Panel (PDP) products, are manufactured in a clean room, and the clean room is installed in multiple floors of a factory building. Then, the display products are manufactured while conveying the parts or semi-assemblies constituting the display products to the clean rooms on each floor.

상기 부품이나 반 조립품은 카세트에 수납된 상태로 반송되며, 각 층간의 반송을 위하여 크린 룸들의 일측에는 승강로를 설치하고, 이 승강로에는 리프터 카(lifter car)를 승강 가능하게 설치하며, 이 리프터 카또는 크린 룸에는 리프터 카와 크린 룸간에 카세트(cassette)를 이동시키는 이재 장치를 설치하고 있다. 또한 크린 룸과 승강로의 경계벽에는 크린룸 출입구가 형성되고, 리프터 카의 크린룸쪽벽에는 리프터카 출입구가 형성되며, 이들 출입구는 각각 크린룸 도어와 리프터카 도어에 의해 개폐된다.The parts or semi-assemblies are transported in a cassette, and a lift path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lean rooms for transport between floors, and a lifter car is installed on the lift path so as to be liftable. Or in the clean room, the transfer device which moves a cassette between a lifter car and a clean room is installed. In addition, a clean room entrance is formed at the boundary wall of the clean room and the hoistway, and a lifter car entrance is formed at the clean room side wall of the lifter car, and these doors are opened and closed by the clean room door and the lifter car door, respectively.

종래 장치에 의해 부품이나 반조립품을 수납한 카세트를 각 층의 크린 룸으로 이재하는 과정을 설명한다.A process of transferring a cassette containing parts or semi-assemblies by a conventional apparatus to a clean room of each floor will be described.

리프터 카를 승강시켜 원하는 크린 룸의 위치에 정지시킨 상태에서 먼저, 크린룸 도어를 열면, 크린 룸 내에는 일정 압력을 유지하도록 청정공기로 채워져 있으므로 이 크린 룸 내의 청정공기가 크린룸 출입구를 통해 상기 경계벽과 리프터 카 사이의 틈새로 유출되면서 승강로측의 공기가 크린 룸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며, 이 상태에서 리프터카 도어를 열면, 크린 룸 내의 청정공기가 리프터 카의 내부로 유입되어 승강로 내부 공기나 리프터 카의 내부 공기가 크린룸 쪽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여기서 승강로는 통상적으로 크린 룸과 리프터카 내부보다는 낮은 등급이지만 어느 정도 크린 룸의 조건을 유지하는 것이다.When the lifter car is lifted and stopped at the desired clean room position, the clean room door is first opened, and the clean room is filled with clean air to maintain a constant pressure. Therefore, the clean air in the clean room passes through the boundary room and the lifter through the clean room entrance. As it flows out of the gap between the cars, it prevents the air on the lift side from entering the clean room. When the lifter car door is opened in this state, the clean air in the clean room flows into the lifter car and the air inside the lift road or the lifter car To prevent the air from entering the clean room. The hoistway here is typically of a lower grade than clean rooms and lift car interiors, but maintains the conditions of the clean room to some extent.

여기서 크린룸과 리프터카 내부, 승강로 내의 압력은 크린룸이 가장 높고 다음이 리프터카 내부, 그 다음이 승강로의 순으로 압력이 낮은 곳으로부터 높은 곳으로의 공기의 유입을 막아 오염을 방지하는 것이다.The pressure inside the cleanroom, lifter car, and hoistway is the highest in the cleanroom, followed by the lifter, and then the hoistway, which prevents air from entering the areas from the lowest pressure to the next.

상기 도어들이 개방되면. 리프터 카 또는 크린룸에 설치된 이재장치에 의해 카세트를 크린 룸 내 또는 리프터 카 내로 이재하게 된다.When the doors are opened. The transfer device installed in the lifter car or the clean room transfers the cassette into the clean room or the lifter car.

카세트가 이재완료 되면, 먼저 리프터카 도어를 닫고, 이어서 크린룸 도어를 닫는다.When the cassette is reloaded, first close the lifter car door and then close the cleanroom door.

도어들이 닫히면 리프터 카는 승강로를 따라 승강하여 카세트를 이재하고자 하는 다른 층의 크린 룸에 정지하게 되고,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먼저, 크린룸 도어가 열리고 이어서 리프터카 도어가 열리게 되며, 이재장치의 작동에 의해 크린 룸의 내부 또는 리프터 카 내부로 카세트를 이재시키게 되며, 이후 상술한 바와 같이 반복하여 리프터 카도어가 닫히며, 이어서 크린룸 도어가 닫히게 된다.When the doors are closed, the lifter car moves up and down along the hoistway to stop in the clean room of the other floor to which the cassette is to be transferred. As described above, the clean room door is opened first and then the lifter car door is opened. The cassette is transferred to the interior of the clean room or the lifter car, and then the lifter car door is closed as described above, and the clean room door is then closed.

이로서 어느 하나의 크린 룸에 있던 카세트를 원하는 크린 룸으로 이재하게 되는 것이다.This transfers the cassette in any one clean room to the desired clean room.

그러나 종래의 장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이재완료 후 리프터카 도어 및 크린룸 도어를 순차적으로 여 닿은 뒤에 리프터카를 이동시켜야하므로 카세트의 운반 및 이재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apparatus, since the lifter car must be moved after touching the lifter car door and the clean room door sequentially,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transfer and transfer of the cassette takes a lot of time.

특히, 최근 액정디스플레이 제품은 초대형화 되어가고 있슴은 물론 높은 생산성을 요구하게 되었다.In particular, recently, liquid crystal display products are becoming very large and require high productivity.

이와 같이 초대형 디스플레이 제품의 경우 예컨대 이에 사용되는 유리기판을 수납하는 카세트는 그 크기가 폭(W) 2,500㎜×길이(L) 3,000㎜ ×높이(H) 2,000㎜이고, 중량이 2,000kg이상으로 초대형의 중량물이므로 크린룸에서 리프터 카로, 리프터 카에서 크린룸으로 이재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고가의 설비투자가 요구되는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In the case of the ultra-large display products, for example, the cassette for storing the glass substrate used therein has a width (W) 2,500 mm x length (L) 3,000 mm x height (H) 2,000 mm and a weight of 2,000 kg or more. As it is a heavy material, it takes a lot of time to move from a clean room to a lifter car and a lifter car to a clean room, which is a serious problem requiring expensive facility investment.

또한 종래에는 디스플레이 제품의 초대형화에 따라 각 크린 룸에 1단의 카세트 적재대를 설치하였으나. 1단 적재를 할 경우 공장부지 활용도가 떨어지기 때문에 각층 크린 룸에 2단의 카세트 적재대를 설치하여 2단 적재가 가능하도록 크린 룸의 활용도를 높이는 추세임은 물론, 각 층 내의 공장배치도 점점 복잡화 되어 출입구가 승강로의 일측에만 설치되지 않고, 180°반대편에도 설치되는 등, 출입구의 수가 늘어나는 등 카세트의 이재에 소요되는 시간은 점점 증대되고 횟수도 늘어나게 되었다.In addition, in the past, according to the large size of display products, a single cassette stacker was installed in each clean room. In the case of one-stage loading, the utilization of the factory site decreases, so the two-stage cassette loading table is installed in each floor clean room, and the utilization of the clean room is increased to allow two-stage stacking. Therefore, the time required for the transfer of cassettes such as the number of the entrances and the like increased, such as the entrances were not installed on only one side of the hoistway but also on the opposite side of 180 °.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크린룸 내에서 생산하는 디스플레이 제품이나 부품을 오염시키지 않고 카세트를 보다 안전하게 층간 이송을 할 수 있도록 한 디스플레이 제품용 카세트 반송이재 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assette transfer device for a display product, which enables a safer interlayer transfer of a cassette without contaminating display products or components produced in a clean room.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각 층의 크린 룸을 다단 적재가 가능하고, 복층화 하면서도 카세트를 오염시키지 않고 안전하게 이재할 수 있도록 한 디스플레이 제품용 카세트 반송이재 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assette conveyance transfer device for a display product, which is capable of multi-stacking the clean room of each layer, and can be safely transferred without stacking the cassett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크린 룸과 리프터 카 간의 카세트 이동 동작이 신속하게 이루어져 카세트 이재 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한 디스플레이 제품용 카세트 반송이재 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assette transfer device for a display product, in which a cassette movement operation between a clean room and a lifter car can be performed quickly to shorten a cassette transfer time.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 제품 제조공장 건물의 각 층별로 형성되며 크린룸 출입구가 형성된 크린 룸과, 상기 크린 룸의 내부에 설치되어 카세트를 적재하는 카세트 적재대와, 적재된 카세트를 반송하는 이재장치와, 상기 크린 룸의 일측 또는 중앙에 제조공장 건물의 전 층에 걸쳐서 설치되는 승강로와, 상기 승강로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크린룸 출입구에 대응하는 리프터카 출입구와 리프터카 출입구 좌우 도어 프렌지와 크린 유닛과 하부 배기구를 가지는 리프터 카와, 상기 크린룸 출입구와 리프터와 출입구를 개폐하는 크린룸도어와 리프터카 도어와, 상기 승강로 외벽에 고정 설치되고, 크린룸 도어와 리프터카 도어 사이에 크린룸 출입구의 위쪽과 아래쪽에 각 각 설치된 차단판과, 상기 리프터 카내에 고정 설치된 카세트 이재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디스플레이 제품용 부품 카세트 반송이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출입구 좌우 도어 프렌지는 차단판과 리프터카 출입구 상하좌우 4방향과의 각각의 틈새가 동일하게 유지 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차단판은 크린룸 도어의 작동과 리프터 카의 이동에 간섭을 받지 않는 위치에 크린룸 출입구의 위쪽과 아래쪽에 리프터카 도어가 열린 상태로 상하로 이동하더라도 승강로 내의 오염된 공기가 리프터 카 내로 들어오는 것을 막을 수 있는 크기로 구성되어 디스플레이 제품용 부품카세트를 오염시키지 않고, 안전하게 이재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제품용 부품카세트 반송 이재장치가 제공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lean room formed for each floor of the display product manufacturing factory building, the clean room entrance is formed, the cassette mounting table installed inside the clean room to load the cassette, and conveyed the loaded cassette A transfer device, a hoistway installed on one side or the center of the clean room over the entire floor of the manufacturing plant, and a hoistway on the hoistway, the lifter entrance and the left and right doors corresponding to the cleanroom entrance A lifter car having a flange, a clean unit and a lower exhaust port, a clean room door and a lifter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clean room entrance, a lifter and an entrance, and fixedly fixed to an outer wall of the hoistway, and an upper part of the clean room entrance between the clean room door and the lifter car door. Fixed to the lifter car, with a blocking plate installed at the bottom and the bottom, respectively. In the cassette transfer device for a display product comprising a cassette transfer device installed, the door left and right door flanges are configured such that the clearance between the blocking plate and the lifter car entrance four directions up, down, left, and right are kept the same. The blocking plate can prevent the contaminated air in the hoist from entering the lifter car even if the lifter car door is opened up and down at the top and bottom of the cleanroom doorway in a location that is not interfered with the operation of the cleanroom door and the movement of the lifter car. There is provided a component cassette conveyance transfer device for a display produc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have a size capable of safely transferring the component cassette for a display product without contaminating it.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 제품 제조공장 건물의 각 층별로 형성되며 크린룸 출입구가 형성된 크린 룸과, 상기 크린 룸의 내부에 설치되어 카세트를 적재하는 카세트 적재대와, 적재된 카세트를 반송하는 이재장치와, 상기 크린 룸의 일측 또는 중앙에 제조공장 건물의 전 층에 결쳐서 설치되는 승강로와, 상기 승강로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크린룸 출입구에 대응하는 리프터카 출입구와 크린 유닛과 하부 배기구를 가지는 리프터 카와, 상기 크린룸 출입구를 개폐하는 크린룸 도어와, 상기 승강로 외벽에 고정 설치되고, 크린룸 도어와 리프터카 출입구 사이에 리프터 카가 이동하는 승강로의 전층에 걸쳐 크린룸출입구가 설치되어 있는 곳만을 제외하고 연결 설치된 차단판과, 상기 리프터 카내에 고정 설치된 카세트 이재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디스플레이 제품용 부품 카세트 반송이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단판은 크린룸 도어의 작동과 리프터 카의 이동에 간섭을 받지 않는 위치에, 크린룸 출입구의 위쪽과 아래쪽에, 리프터카 도어가 없는 리프터 카가 상하로 이동하더라도 승강로 내의 오염된 공기가 리프터 카내로 들어오는 것을 막을 수 있도록 전층에 걸쳐 설치 구성되어, 디스플레이 제품용 부품카세트를 오염시키지 않고, 안전하게 이재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제품용 부품카세트 반송 이재장치가 제공된다.In addition,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lean room is formed for each floor of the display product manufacturing plant building, the clean room entrance is formed, the cassette mounting table installed inside the clean room to load the cassette, and conveyed the cassette A transfer device, a hoistway which is installed at one side or the center of the cleanroom on the entire floor of the manufacturing plant building, and the hoistway which is installed on the hoistway so that the hoistway can be lifted, the lifter entrance and the clean unit corresponding to the entrance of the cleanroom and the lower part Except for a lifter car having an exhaust port, a clean room door that opens and closes the clean room entrance, and a clean room entrance that is fixed to the outer wall of the hoistway, and that the clean room entrance is installed over the entire floor of the hoistway in which the lifter car moves between the clean room door and the lifter car entrance. And a blocking plate installed and connected to the lifter car. In a component cassette conveyance transfer device for a display product including a transfer device, the blocking plate is located above and below the clean room entrance, at a position not affected by the operation of the clean room door and the movement of the lifter car. It is installed throughout the floor to prevent the contaminated air in the hoistway from entering the lifter car even if the lifter car without a car moves up and down, and it is equipped with a means for safely transferring the cassette of parts for display products. There is provided a component cassette conveyance transfer device for a display product.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 제품 제조공장 건물의 각 층별로 형성되며 크린룸 출입구가 형성된 크린 룸과, 상기 크린 룸의 내부에 설치되어 카세트를 적재하는 카세트 적재대와, 적재된 카세트를 반송하는 이재장치와, 상기 크린 룸의 일측 또는 중앙에 제조공장 건물의 전 층에 걸쳐서 설치되는 승강로와, 상기 승강로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크린룸 출입구에 대응하는 리프터카 출입구와 리프터카 출입구 좌우 도어 프렌지와 크린 유닛과 하부 배기구를 가지는 리프터 카와, 상기 크린룸 출입구와 리프터카 출입구를 개폐하는 크린룸 도어와 리프터카 도어와, 상기 승강로 외벽에 고정 설치되고, 크린룸 도어와 리프터카 도어 사이에 크린룸 출입구의 위쪽과 아래쪽에 각 각 설치된 차단판과, 상기 리프터카 내에 고정 설치된 카세트 이재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디스플레이 제품용 부품 카세트 반송이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재장치가 각 크린 룸별로 좌우 및 1단 또는 2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크린룸 출입구는 좌우 및 1단 또는 2단의 이재장치에 대응하여 좌우 및 하단 크린룸 출입구와 상단 크린룸 출입구로 형성되며, 상기 좌우 및 하단 크린룸 출입구와 상단 크린룸 출입구에는 각각 좌우 및 하단 크린룸 도어와 상단 크린룸 도어가 설치되어, 크린룸내 이재장치와 리프터카 내의 카세트 이재 수단을 구비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제품용 부품 카세트 반송 및 이재장치가 제공된다.In addition,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lean room is formed for each floor of the display product manufacturing plant building, the clean room entrance is formed, the cassette mounting table installed inside the clean room to load the cassette, and conveyed the cassette A transfer device, a hoistway installed on one side or the center of the clean room over the entire floor of the manufacturing plant, and a hoistway on the hoistway, the lifter entrance and the left and right doors corresponding to the cleanroom entrance A lifter car having a flange, a clean unit and a lower exhaust port, a clean room door and a lifter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clean room entrance and the lifter door, and fixedly fixed to the outer wall of the hoistway, and an upper part of the clean room entrance between the clean room door and the lifter car door. Fixed to the lifter and the blocking plate installed at the bottom and the bottom, respectively. A component cassette transfer device for display products, including a cassette transfer device, wherein the transfer device comprises left and right and one or two stages for each clean room, and the entrance and exit of the clean room are left and right and one or two stages. The left and right clean room entrances and the top clean room entrances correspond to the transfer device of the left and right, and the left and right clean room doors and the top clean room entrances are respectively provided with left and right clean room doors and the top clean room doors. Provided is a component cassette conveyance and transfer device for a display product, characterized by comprising cassette transfer means in a car.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 제품 제조공장 건물의 각 층별로 형성되며 크린룸 출입구가 형성된 크린 룸과, 상기 크린 룸의 내부에 설치되어 카세트를 적재하는 카세트 적재대와, 적재된 카세트를 반송하는 이재장치와, 상기 크린 룸의 일측 또는 중앙에 제조공장 건물의 전 층에 걸쳐서 설치되는 승강로와, 상기 승강로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크린룸 출입구에 대응하는 리프터카 출입구와 크린 유닛과 하부 배기구를 가지는 리프터 카와, 상기 크린룸 출입구를 개폐하는 크린룸 도어와, 상기 승강로 외벽에 고정 설치되고, 크린룸 도어와 리프터카 출입구 사이에 리프터 카가 이동하는 승강로의 전층에 걸쳐 크린룸 출입구가 설치되어 있는 곳만을 제외하고 연결 설치된 차단판과, 상기 리프터 카내에 고정 설치된 카세트 이재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디스플레이 제품용 부품 카세트 반송이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재장치가 각 크린 룸별로 좌우 및 1단 또는 2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크린룸 출입구는 좌우 및 1단 또는 2단의 이재장치에 대응하여 좌우 및 하단 크린룸 출입구와 상단 크린룸 출입구로 형성되며, 상기 좌우 및 하단 크린룸 출입구와 상단 크린룸 출입구에는 각각 좌우 및 하단 크린룸 도어와 상단 크린룸 도어가 설치되어, 크린룸내 이재장치와 리프터카 내의 카세트 이재 수단을 구비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제품용 부품 카세트 반송 및 이재장치가 제공된다.In addition,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lean room is formed for each floor of the display product manufacturing plant building, the clean room entrance is formed, the cassette mounting table installed inside the clean room to load the cassette, and conveyed the cassette A transfer device, a hoistway that is installed on one side or the center of the cleanroom over the entire floor of the manufacturing plant, and the hoistway that is installed on the hoistway, the lifter car entrance, the clean unit and the lower exhaust port corresponding to the entrance of the cleanroom. Except for a lifter car having a door, a clean room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clean room entrance, and a clean room entrance fixedly installed on an outer wall of the hoistway, and a clean room doorway is installed over the entire floor of the hoistway to which the lifter car moves between the clean room door and the lifter car doorway. Blocking plate installed and case installed fixed in the lifter car In a component cassette conveyance transfer device for a display product including a transfer device, the transfer device comprises left and right and one or two stages for each clean room, and the entrance and exit of the clean room are left and right and one or two stage transfer. Corresponding to the device, the left and right clean room entrance and the top clean room entrance are formed, and the left and right clean room entrance and the top clean room entrance are respectively provided with left and right clean room doors and top clean room doors. There is provided a component cassette conveyance and transfer device for a display product,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 cassette transfer means.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 제품용 카세트 반송이재 장치를 첨부도면에 도시한 실시례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assette conveyance transfer device for display produc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실시례><Example>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 제품용 카세트 반송장치의 제1 실시례를 도시한 것으로,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 제품용 카세트 반송장치의 종단면도 및 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카세트 이재과정을 보인 도면이다.1 to 5 show a first embodiment of a cassette conveying apparatus for a display produ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1 and 2 are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assette conveying apparatus for a display produ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view showing a cassette transfer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제품용 부품카세트 반송장치는 도1 및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제품 제조공장 건물의 각 층별로 형성된 크린 룸(10)과, 상기 크린 룸(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카세트(c)를 적재 및 반송하는 이재장치인 롤러콘베이어a(20)와, 상기 크린 룸(10)의 일측 또는 중앙에 제조공장 건물의 전 층에 걸쳐서 설치되는 승강로(30)와, 상기 승강로(30)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크린룸 출입구(12)에 대응하는 리프터카 출입구(41)와 리프터카 출입구(41) 좌우 도어 프렌지(42)와 크린 유닛(45)과 하부 배기구(44)를 가지는 리프터 카(40)와, 상기 크린룸 출입구(12)와 리프터카 출입구(41)를 개폐하는 크린룸 도어(50)와 리프터카 도어(60)와, 상기 승강로 외벽(11)에 고정 설치되고, 크린룸 도어(50)와 리프터카 도어(60) 사이에 크린룸 출입구(12)의 위쪽과 아래쪽에 각 각 설치된 차단판(55a,55b)과, 상기 리프터 카(40)내에 고정 설치된 카세트 이재장치인 롤러콘베이어b(71)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출입구 좌우 도어 프렌지(42a,42b)는 차단판(55)과 리프터카 출입구(41)의 상하좌우 4방향과의 각각의 틈새가 동일하게 유지 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차단판(55a,55b)은 크린룸 도어(50a,50b)의 작동과 리프터 카(40)의 이동에 간섭을 받지 않는 위치에 크린룸 출입구(12)의 위쪽과 아래쪽에 리프터카 도어(60a,60b)가 열린 상태로 상하로 이동하더라도 승강로(30) 내의 오염된 공기가 리프터 카(40) 내로 들어오는 것을 막을 수 있는 크기로 구성되어 디스플레이 제품용 부품카세트를 오염시키지 않고, 안전하게 이재할 수 있는 수단으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apparatus for delivering a cassette for display part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installed in a clean room 10 formed in each floor of a display product manufacturing factory building, and inside the clean room 10. Roller conveyor a (20), which is a transfer device for loading and conveying a cassette (c), a hoistway (30) provided on one side or the center of the clean room (10) over the entire floor of a manufacturing plant building, and the hoistway The lifter car entrance 41, the lifter car entrance 41, the left and right door flanges 42, the clean unit 45, and the lower exhaust port 44 corresponding to the lift room entrance 12 are provided to be liftable. A lifter car 40 having a clean room door 50 and a lifter car door 6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clean room doorway 12 and the lifter car doorway 41, and fixed to the hoistway outer wall 11, Cleanroom doorway 12 between cleanroom door 50 and lifter car door 60 And a roller conveyor b 71 which is a cassette transfer device fixedly installed in the lifter car 40 and the barrier plates 55a and 55b respectively installed at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lifter car 40, and the entrance left and right door flanges 42a, 42b) is configured such that the clearances between the blocking plate 55 and the four directions of the lifter car entrance 41 in the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are kept the same, and the blocking plates 55a and 55b are formed of the clean room doors 50a and 50b. Contaminated air in the hoistway 30 even when the lifter car doors 60a and 60b are moved up and down i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clean room entrance 12 at positions not affected by the operation and the movement of the lifter car 40. Is configured to be sized to prevent the entry into the lifter car 40, it does not contaminate the component cassette for display products, it is composed of means that can be safely transferred.

상기 크린 룸(10)은 통상적으로 청정공기가 지속적으로 유입되어 일정한 압력을 유지하는 상태로 되어 있으며, 리프터 카(40)의 내부는 소형 크린 룸(clean room)으로 구성되어 있다.The clean room 10 is typically in a state in which clean air is continuously introduced to maintain a constant pressure, and the inside of the lifter car 40 is configured as a small clean room.

상기 리프터 카(40)의 상부에는 크린 공기를 가압 공급하는 크린 유닛(45)가 설치되고, 하부에는 크린 공기를 상부에서 하부로 흐르게 하는 배기구(44)가 설치되어 구성되며, 이는 통상의 크린룸 기술을 채용한 것으로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The upper part of the lifter car 40 is provided with a clean unit 45 for supplying pressurized clean air, and the lower part is provided with an exhaust port 44 through which the clean air flows from the upper part to the lower part. A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리프터 카 출입구(41)의 상하에는 리프터카 도어(60a,60b)가 설치되고 좌우에는 ㄱ자형 도어 프랜지(42a,42b)가 설치되어, 리프터카 도어(60)가 열린 상태로 다른 층으로 이동하여 차단판(55)과 마주보게 되는 위치에서, 차단판(55)과 리프터카 도어(60a,60b) 및 도어 프랜지(42a,42b)와의 4방향 각각의 틈새를 같게하여 리프터 카(40)로부터 승강로(30)내로 유출되는 공기의 량을 일정하게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Lifter car doors 60a and 60b are install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lifter car entrance 41 and angled door flanges 42a and 42b are install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and the lifter car door 60 is moved to another floor. In the position facing the blocking plate 55, the clearances of the four directions of the blocking plate 55 and the lifter car doors 60a and 60b and the door flanges 42a and 42b are equalized from the lifter car 40. It is comprised so that the quantity of air which flows out into the hoistway 30 can be made constant.

상기 크린 룸(10)과 승강로(30) 사이의 경계벽(11)에는 크린룸 출입구(12)가 형성되고, 리프터 카(40)의 크린 룸(10)측면에는 리프터카 출입구(4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크린룸 출입구(12)와 리프터카 출입구(41)에는 각각 크린룸 도어(50)와 리프터카 도어(60)가 설치되어 있다.The clean room entrance 12 is formed in the boundary wall 11 between the clean room 10 and the hoistway 30, and the lifter car entrance 41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clean room 10 of the lifter 40. The clean room door 12 and the lifter car door 41 are provided with a clean room door 50 and a lifter car door 60, respectively.

상기 크린룸 도어(50)와 리프터카 도어(60)는 상하 방향으로 개폐 작동되도록 설치되며, 에어실린더 또는 권취모터와 에어실린더 또는 권취모터에 권취되는 로프 등으로 구성되는 통상적인 엘리베이터 등의 종래 기술에서 채용하고 있는 상하 개폐식 도어 구동수단에 의해 개폐되는 것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The clean room door 50 and the lifter car door 60 is installed to open and close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in the prior art, such as a conventional elevator composed of an air cylinder or a winding motor and a rope wound around the air cylinder or the winding motor. Since it is opened and closed by the vertical opening and closing door driving means employe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크린룸 도어(50)와 리프터카 도어(60)는 카세트(c)가 출입이 가능한 크기로 구성되어 있다.The clean room door 50 and the lifter car door 60 have a size that allows the cassette c to enter and exit.

상기 크린룸(10)내의 롤러 콘베이어a(20)와 리프터카(40)내의 롤러 콘베이어b(71)는 카세트(c)를 이재하는 이재장치의 일실시례로서 다수개의 동일롤러(23)를 롤러 상호간 및 구동부와를 체인 또는 벨트에 의해 구동시키는 모터(25)가 설치되어 구성되고, 프레임(22a, 22b)이 서로 일정 거리만큼 이격된 상태로 좌우 한 쌍으로 콘베이어 베이스(21)위에 설치되는 것으로, 크린 룸(10)의 바닥면 또는 2단 지지대 또는 리프터카(40)의 바닥면 위에 콘베이어 지지대(24)에 의해 고정결합 되는 것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롤러 콘베이어의 구동방법 등은 통상적인 종래기술에서 채용하고 있는 방법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The roller conveyor a 20 in the clean room 10 and the roller conveyor b 71 in the lifter 40 have a plurality of identical rollers 23 as rollers as one embodiment of the transfer device for transferring the cassette c. And a motor 25 for driving the drive unit with a chain or a belt is installed, and the frames 22a and 22b are installed on the conveyor base 21 in a left and right pair in a state in which the frames 22a and 22b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t is configured to be fixed by the conveyor support 24 on the bottom surface or the second stage of the clean room 10 or the bottom surface of the lifter 40. Here, the driving method and the like of the roller conveyor is a method adopted in the conventional prior art, so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이재장치는 롤러 콘베이어 방식 이외에도 다양한 이재수단을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The transfer device is to use a variety of transfer means in addition to the roller conveyor method.

상기 승강로(30)에는 상기 리프터 카(40)를 승강 구동하기 위한 수단이 설치된다.The hoistway 30 is provided with means for elevating and driving the lifter car 40.

상기 리프터 카(40)를 승강 구동시키는 수단은 통상적인 엘리베이터에서와 같아, 승강로(30)의 최상단의 기계실(31)과, 상기 승강로(30)의 일측에 형성되는 균형추 승강로(32)와, 상기 기계실(31)에 설치되는 권상기(33)와. 상기 균형추 승강로(32)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균형추(34)와, 상기 권상기(33)에 권취되어 그 하단이 리프터 카(40)의 상단에 고정되는 권상로프(R1)와, 상기 리프터 카(40)의 상단과 균형추(34)의 상단을 연결하는 균형로프(R2) 및, 상기 리프터 카(40)의 하단과 균형추(34)의 하단을 연결하는 보상체인으로 연결된다.Means for elevating and driving the lifter car 40 are the same as in the normal elevator, the machine room 31 at the top of the hoistway 30, the balance weight hoistway 32 formed on one side of the hoistway 30, and the And a hoisting machine 33 installed in the machine room 31. Counterweight 34 which is installed on the counterweight hoistway 32 to be elevated, the hoisting rope R1 wound around the hoist 33 and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lifter car 40, and the lifter car ( A balance rope R2 connecting the top of the counterweight 34 and the top of the counterweight 34, and a compensating chain connecting the bottom of the lifter car 40 and the bottom of the counterweight 34.

상기 승강로(30)의 양측벽에는 가이드 레일(guide rail)(35)이 설치되며, 상기 리프터 카(40)의 양측면에는 상기 가이드 레일(35)에 안내되는 가이드 슈(guide shoe)(36)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균형추 승강로(32)에는 가이드 레일(37)이 설치되며, 상기 균형추(34)에는 상기 가이드 레일(37)에 안내되는 가이드 슈(38)가 설치된다.Guide rails 35 are installed at both side walls of the hoistway 30, and guide shoes 36 guided to the guide rails 35 are provided at both side surfaces of the lifter car 40. Is installed. In addition, a guide rail 37 is installed on the counterweight hoistway 32, and a guide shoe 38 guided to the guide rail 37 is installed on the counterweight 34.

상기 차단판(55a,55b)은 리프터카 도어(60)가 완전히 닫히지 않은 상태에서, 리프터 카(40)가 승강로(30)내 상하로 이동하더라도, 리프터 카(40) 내부가 오염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리프터 카(40)의 도어 역할을 할 수 있는 구조로서, 크린룸 도어(50a,50b)와 리프터카 도어(60a,60b)의 사이에, 크린룸 도어(50) 및 리프터카 도어(60)의 개폐 작동과 리프터 카(40)의 이동에 간섭을 주지 않도록 구성되고, 리프터 카(40)가 리프터카 도어(60)를 개폐하면서 이동시에도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거리 이상으로 구성되어, 승강로 외벽(11)에 고정 설치되어 있다.The blocking plates 55a and 55b may prevent the inside of the lifter 40 from being contaminated even if the lifter car 40 moves up and down in the hoistway 30 in a state in which the lifter car door 60 is not completely closed. Opening and closing of the clean room door 50 and the lifter car door 60 between the clean room doors 50a and 50b and the lifter car doors 60a and 60b. It is configured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operation and movement of the lifter car 40, the lifter car 40 is configured to a distance or more to prevent contamination even when moving while opening and closing the lifter car door 60, elevating the outer wall 11 Fixed).

이하, 본 실시례에 의한 디스플레이 제품용 부품 카세트 반송이재 장치에 의한 카세트의 이재 과정을 설명한다.Hereinafter, the transfer process of the cassette by the component cassette transfer device for display product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도 3a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리프터카(40)가 크린룸 도어(50)의 정위치에 정지하고 카세트(C)가 크린 룸(10)의 고정롤러 콘베이어a(20)의 상부에 이송 정지하여 있고, 크린룸 도어(50)와 리프터카 도어(60)가 열린 상태에서, 카세트(C)를 다른 크린 룸(10)으로 반송 이재함에 있어서는, 크린 룸(10) 내부의 청정공기가 크린룸 출입구(12)를 통해 승강로(30) 및 리프터 카(40)내로 유출되어 승강로(30)측 공기가 크린 룸(10)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는 상태이다.As shown in FIG. 3A, the lifter 40 stops at the correct position of the clean room door 50, and the cassette C is stopp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fixed roller conveyor a 20 of the clean room 10. When the cassette C is transferred to another clean room 10 while the clean room door 50 and the lifter door 60 are open, the clean air inside the clean room 10 opens the clean room entrance 12. Through the elevator 30 and the lifter car 40 flows through the air does not flow into the interior of the clean room (10).

이 상태에서 3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롤러 콘베이어a(20)와 리프터카 내의 롤러 콘베이어b(71)를 동시에 가동하여, 카세트(c)를 리프터카 내의 롤러 콘베이어b(71)의 상부 정위치 까지 이동완료 시킨다.In this state, as shown in 3b, the fixed roller conveyor a 20 and the roller conveyor b 71 in the lifter are simultaneously operated to move the cassette c to the upper position of the roller conveyor b 71 in the lifter. Complete the move.

카세트(c)의 이동이 완료되면 도 3c와 도 3d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크린룸도어(50)와 리프터카 도어(60)을 닫으면서 리프터 카(40)을 다른 층으로 이동시킨다.When the movement of the cassette c is completed, as shown in FIGS. 3C and 3D, the lifter car 40 is moved to another floor while closing the clean room door 50 and the lifter car door 60.

이때, 리프터 카 출입구(41)의 열려있는 부분은 크린룸 도어(50)와 차단판(55)가 리프터 카(40)의 도어 역할을 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open part of the lifter car door 41 is the clean room door 50 and the blocking plate 55 serves as the door of the lifter car 40.

이 상태에서 도 3e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크린룸 도어(50)와 리프터카 도어(60)가 완전히 닫히고 리프터 카(40)는 다른 층으로 이동하게 된다.In this state, as shown in FIG. 3E, the clean room door 50 and the lifter car door 60 are completely closed and the lifter car 40 moves to another floor.

이 상태에서 도 3f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리프터 카(40)가 다른 층의 크린 룸 출입구(12)에 가까워지면 상술한 바의 역순으로 크린룸 도어(50)와 리프터카 도어(60)가 열리면서 계속 이동하여, 다른 층의 크린룸 도어(50)의 정 위치에 도 3g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정지하게 된다.In this state, as shown in FIG. 3F, when the lifter car 40 approaches the clean room entrance 12 of another floor, the clean room door 50 and the lifter car door 60 are opened and moved in the reverse order as described above. Thus, it stops as shown in FIG. 3G at the correct position of the clean room door 50 of another floor.

이 상태에서는 도 3g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크린룸 도어(50)와 리프터카 도어(60)는 완전히 열려있는 상태이다.In this state, as shown in FIG. 3G, the clean room door 50 and the lifter car door 60 are completely open.

이 상태에서 도 3h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 롤러 콘베이어a(20)와 리프터카(40)내의 롤러 콘베이어b(71)를 동시에 가동하여, 카세트(c)를 크린룸(10) 내의 고정 롤러 콘베이어a(20)의 상부 정위치 까지 이동완료 시킨다.In this state, as shown in FIG. 3H, the fixed roller conveyor a 20 and the roller conveyor b 71 in the lifter 40 are simultaneously operated to move the cassette c into the fixed roller conveyor a in the clean room 10 ( Complete the movement to the upper right position of 20).

이러한 이송과정이 이루어지는 크린룸(10), 리프터카(40), 승강로(30) 내의 공기의 압력(정압)은 크린룸(10)이 가장 높고, 크린룸(10) > 리프터카(40) > 승강로(30) > 대기압의 순으로, 이와 같이 공기의 압력차를 관리 함으로써, 부품 카세트(c)의 이송 중에도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The pressure (static pressure) of the air in the clean room 10, the lifter car 40, and the hoistway 30 in which the transfer process is performed is the highest in the cleanroom 10, and the cleanroom 10> lifter car 40> hoistway 30 By controlling the pressure difference of air in this order in the order of atmospheric pressure, contamination can be prevented even during conveyance of the component cassette (c).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어느 크린룸(10)내에 있던 카세트(c)를 리프터카(40)내로 반송이재 완료시킨 후, 리프터카(40)을 다른층 또는 다른단으로 이동시켜 상술한 역순으로 반송이재 하면 다른단 또는 다른층 크린룸(10)내로 카세트(c)를 안전하고 신속하게 반송이재 완료시킬 수 있는 것이다.After completing the transfer of the cassette c in the clean room 10 through the above process into the lifter car 40, the lifter car 40 is moved to another layer or the other end and the transfer is carried out in the reverse order described above. However, the transfer of the cassette (c) safely or quickly into the other floor clean room 10 is possible.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 제품용 카세트 반송장치의 제2 실시 례를 도시한 것으로,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 제품용 카세트 반송장치의 종단면도 및 횡단면도이다.4 and 5 show a second embodiment of a cassette conveying apparatus for a display produ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4 and 5 are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assette conveying apparatus for a display produ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례에 의한 디스플레이 제품용 부품카세트 반송장치는 도4 및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제품 제조공장 건물의 각 층별로 형성된 크린 룸(10)과, 상기 크린 룸(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카세트(c)를 적재 및 반송하는 이재장치인 롤러콘베이어a(20)와, 상기 크린 룸(10)의 일측 또는 중앙에 제조공장 건물의 전 층에 걸쳐서 설치되는 승강로(30)와, 상기 승강로(30)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크린룸 출입구(12)에 대응하는 리프터카 출입구(41)와 크린 유닛(45)과 하부 배기구(44)를 가지는 리프터 카(40)와, 상기 크린룸 출입구(13)를 개폐하는 크린룸 도어(50)와, 상기 승강로 외벽(11)에 고정 설치되고, 크린룸 도어(50)와 리프터카 출입구(41) 사이에 리프터 카(40)가 이동하는 승강로(30)의 전층에 걸쳐 크린룸 출입구(12)가 설치되어 있는 곳만 제외하고 연결 설치된 차단판(55)과, 상기 리프터 카(40)내에 고정 설치된 카세트 이재장치(7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차단판(55)은 크린룸 도어(50)의 작동과 리프터 카(40)의 이동에 간섭을 받지 않는 위치에, 크린룸 출입구(13)의 위쪽과 아래쪽에, 리프터카 도어가 없는 리프터 카(40)가 상하로 이동하더라도 승강로(30) 내의 오염된 공기가 리프터 카 내로 들어오는 것을 막을 수 있도록 전 층에 걸쳐 설치 구성되어, 디스플레이 제품용 부품카세트를 오염시키지 않고, 안전하게 이재할 수 있는 수단으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S. 4 and 5, the apparatus for delivering a cassette cassette for display product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installed in a clean room 10 formed for each floor of a display product manufacturing factory building, and inside the clean room 10. Roller conveyor a (20), which is a transfer device for loading and conveying a cassette (c), a hoistway (30) provided on one side or the center of the clean room (10) over the entire floor of a manufacturing plant building, and the hoistway A lifter car 40 installed at the elevator 30 and having a lifter car entrance 41 corresponding to the clean room entrance 12, a clean unit 45, and a lower exhaust port 44, and the clean room entrance ( 13 of the hoistway 30 fixed to the clean room door 5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oorway and the hoistway outer wall 11, and the lifter car 40 moving between the cleanroom door 50 and the lifter car entrance 41. Except where the clean room entrance 12 is installed throughout the floor. And a cassette transfer device 70 fixedly installed in the lifter car 40, and the blocker plate 55 is operated by the clean room door 50 and the lifter car 40. In a position not affected by the movement of the vehicle, above and below the clean room entrance 13, even if the lifter car 40 without the lifter car door moves up and down, contaminated air in the hoistway 30 enters the lifter car. It is installed to cover all layers so that it can be prevented, and it consists of a means which can safely transfer, without contaminating the component cassette for display products.

본 실시례에서의 크린룸(10), 승강로(30), 크린룸 도어(50), 고정 롤러 콘베이어a(20), 리프터 카(40)내 반송 이재장치(70), 기계실(31), 권상기(33), 가이드레일(35) 등은 상술한 제1 실시례와 동일 구조와 기능을 가진 것으로서, 동일 번호를 부여하고, 동일한 내용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In this embodiment, the clean room 10, the hoistway 30, the clean room door 50, the fixed roller conveyor a 20, the conveyance transfer device 70 in the lifter car 40, the machine room 31, the hoist 33 ), The guide rail 35 and the like have the same structure and function as the above-described first embodiment,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제1 실시례와 달리, 제1 실시례의 리프터 카(40)의 구성중에서, 리프터카 도어(60)와 도어 프랜지(42)만을 삭제한 것으로, 나머지 부분은 제1 실시례의 리프터 카(40)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unlike the first embodiment, only the lifter car door 60 and the door flange 42 are deleted from the construction of the lifter car 40 of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remaining part is the first embodiment. It is comprised similarly to the lifter car 40 of the.

본 실시례에서 차단판(55)은 제1 실시례에서의 동일목적을 달성 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으로, 크린룸 출입구(12)들이 설치되어 있는 곳만을 제외한 승강로(30)내의 리프터 카(40)가 이동하는 전 층에 걸쳐 설치되어, 도어가 없는 리프터 카(40)가 어느 위치로 이동하더라도 리프터 카(40)의 도어 역할을 하여, 부품 카세트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 설치되어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blocking plate 55 is installed at a position capable of achieving the same purpose in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lifter car 40 in the hoistway 30 except for the places where the clean room entrances 12 are installed. ) Is installed over all the floors to which the door moves, so that the lifter car 40 without the door moves to the position of the lifter car 40 so as to prevent contamination of the component cassette.

본 실시례에서도 디스플레이 제품용 부품 카세트 반송 이재장치에 의한 카세트의 이재과정은 제1 실시례에서와 같으나, 리프터 카(40)의 도어를 설치하지 않았으므로, 리프터 카(40)의 도어 작동만 없이 동일하게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상술한 제1 실시례와 동일한 과정이므로 이재과정의 설명은 생략한다.Also in this embodiment, the transfer process of the cassette by the component cassette conveyance transfer device for display products is the same as in the first embodiment, but since the door of the lifter car 40 is not installed, only the door operation of the lifter car 40 is performed. Since the same process as in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description of the transfer process will be omitted.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제품용 부품 카세트 반송장치에 의하면, 초대형 디스플레이 제품용 부품 카세트를 이재하는 경우에도, 종래의 부품 카세트의 반송이재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을 개선하고, 디스플레이 제품용 부품 카세트 이재장치의 가동 율을 높이고, 설비투자 효율을 증대 시킬 수 있는 것이며, 부품 카세트를 오염시키지 않고 신속히 하고 안전하게 이송할 수 있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component cassette conveying apparatus for display products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transferring the component cassette for the ultra-large display products, the problem that a large amount of time is required for the transfer material of the conventional component cassettes,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operation rate of the cassette transfer device and increase the efficiency of equipment investment, and to transfer the parts cassette quickly and safely without contaminating the cassette.

또한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제품용 부품 카세트 반송이재장치에 의하면 각 층의 크린 룸을 다단 적재가 가능한 복층화하면서도 카세트를 반송이재 할 수 있어 디스플레이 제품용 부품의 손상 없이 안전하게 이재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arts cassette conveying transfer device for display products can be transferred to the cassette while the multi-layer stacking of the clean room of each floor can be carried out safely without damaging the parts for display products. .

또한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제품용 부품 카세트 반송장치에 의하면 크린룸 도어와 리프터카 도어를 개폐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함으로써 크린룸과 리프터카 간의 카세트 이동 동작이 신속하게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전체적인 카세트 이재 시간을 단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onent cassette conveying device for shortening the time required for opening and closing the clean room door and the lifter car door, the cassette movement between the clean room and the lifter car is made quickly, thereby reducing the overall cassette transfer time You can do it.

또 상술한 실시례들에서는 승강로의 일측에만 크린 룸이 구비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승강로의 양측에 크린 룸이 구비된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리프터카 도어를 양측에 설치하고, 리프터카 내의 롤러 콘베이어를 역회전시킬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양측 크린 룸에 대한 반송이재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 example in which the clean room is provided on only one side of the hoistway has been described, but it may be applied to the case where the clean room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hoistway, in which case the lifter car doors ar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hoistway. By providing a means for reversely rotating the roller conveyor in the car, it is possible to transfer the materials to both clean rooms.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 제품용 부품 카세트 반송이재장치의 제1 실시례를 도시하는 것으로.1 to 3 show a first embodiment of a component cassette conveyance transfer device for a display produ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종단면도,1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도 2는 횡단면도로,2 is a cross-sectional road,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카세트의 이재 과정을 보인 것으로,Figure 3 shows the transfer process of the casset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a는 리프터카가 크린룸도어의 정위치에 정지하고, 카세트가 크린 룸 내의 고정 롤라 콘베이어 상에 적재된 상태를 보이고, 크린룸 도어와 리프터 카 도어가 열린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Figure 3a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lifter car stopped at the correct position of the clean room door, the cassette is loaded on a fixed roller conveyor in the clean room, the clean room door and the lifter car door is opened;

도 3b는 이재장치가 작동하여 카세트를 리프터 카 내에 적재한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Figure 3b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ransfer device is operated to load the cassette in the lifter car,

도 3c는 리프터 카가 카세트를 적재한 상태에서 다른 층으로 이동하면서 리프터 카 도어와 크린룸 도어를 닫는 도중의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3C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ifter car is closing the lifter car door and the clean room door while moving to another floor while the cassette is loaded;

도 3d는 도 3c의 상태가 좀더 진행된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3d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tate of FIG. 3c is further advanced;

도 3e는 리프터 카가 카세트를 적재한 상태에서, 리프터 카 도어와 크린룸 도어가 완전히 닫힌 상태로 다른 층으로 이동하는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3E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ifter car moves to another floor with the lifter car door and the clean room door completely closed while the cassette is loaded;

도 3f는 리프터 카 도어와 크린룸 도어를 열면서, 다른 층에 리프터 카가 도착 하려고하는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3f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lifter car is about to arrive on another floor while opening the lifter car door and the clean room door;

도 3g는 리프터 카 도어와 크린룸 도어가 완전히 열린 상태로, 다른 층에 리프터 카가 정지한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3G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ifter car is stopped on another floor with the lifter car door and the clean room door fully open;

도 3h는 이재장치가 작동하여 카세트를 크린룸 내로 이동 적재한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Figure 3h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ransfer device is moved to stack the cassette into the clean room,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 제품용 부품 카세트 반송장치의 제3 실시례를 도시하는 종단면도,4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a component cassette conveyance apparatus for display produc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도 4의 횡단면도,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 4;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Descrip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

10: 크린 룸 11: 승강로 외벽10: Clean Room 11: Outer Wall

12: 크린룸 출입구 20: 고정 롤러 콘베이어a12: clean room entrance 20: fixed roller conveyor a

21: 콘베이어 베이스 22: 프레임 (22a, 22b)21: conveyor base 22: frame (22a, 22b)

23: 롤러 24: 지지대23: roller 24: support

25: 모터 (Moter) 26: 체인 (Chain)25: Motor 26: Chain

29: 고정스토퍼 고정판 30: 승강로29: fixed stopper fixing plate 30: hoistway

35: 가이드레일(35a, 35b) 40: 리프터 카35: guide rails 35a and 35b 40: lifter car

41: 리프터 카 출입구41: lifter car doorway

42: 도어 프랜지(DOOR FLANGE, 42a, 42b)42: DOOR FLANGE (42a, 42b)

43: 리프터 카 밀판 44: 배기구43: lifter car plate 44: exhaust vent

45: 크린 유닛(clean unit) 50: 크린룸 도어(50a, 50b)45: clean unit 50: clean room doors 50a and 50b

55: 차단판(55a, 55b) 60: 리프터카 도어(60a, 60b)55: blocking plates 55a, 55b 60: lifter car doors 60a, 60b

70: 반송이재장치 71: 리프터카 내의 롤러 콘베이어b70: conveying transfer device 71: roller conveyor b in the lifter car

Claims (4)

디스플레이 제품 제조공장 건물의 각 층별로 형성되며 크린룸 출입구가 형성된 크린 룸과, 상기 크린 룸의 내부에 설치되어 카세트를 적재하는 카세트 적재대와, 적재된 카세트를 반송하는 이재장치와, 상기 크린 룸의 일측 또는 중앙에 제조공장 건물의 전 층에 걸쳐서 설치되는 승강로와, 상기 승강로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크린룸 출입구에 대응하는 리프터카 출입구와 리프터카 출입구 좌우도어 프렌지와 크린 유닛과 하부 배기구를 가지는 리프터 카와, 상기 크린룸 출입구와 리프터카 출입구를 개폐하는 크린룸 도어와 리프터카 도어와, 상기 승강로 외벽에 고정 설치되고, 크린룸 도어와 리프터카 도어 사이에 크린룸 출입구의 위쪽과 아래쪽에 각 각 설치된 차단판과, 상기 리프터 카내에 고정 설치된 카세트 이재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디스플레이 제품용 부품 카세트 반송이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출입구 좌우 도어 프렌지는 차단판과 리프터카 출입구 상하좌우 4방향과의 각각의 틈새가 동일하게 유지 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차단판은 크린룸 도어의 작동과 리프터 카의 이동에 간섭을 받지 않는 위치에 크린룸 출입구의 위쪽과 아래쪽에 리프터카 도어가 열린 상태로 상하로 이동하더라도 승강로 내의 오염된 공기가 리프터 카 내로 들어오는 것을 막을 수 있는 크기로 구성되어 디스플레이 제품용 부품 카세트를 오염시키지 않고, 안전하게 이재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제품용 부품카세트 반송 이재장치The display room is formed on each floor of the building manufacturing plant building, the clean room entrance is formed, the cassette mounting table installed inside the clean room to load the cassette, the transfer device for conveying the loaded cassette, and the One side or the center has a hoistway that is installed over the entire floor of the factory building, and the hoistway is installed so as to elevate the hoistway, and has a lifter doorway corresponding to the clean room entrance, a lifter car doorway right and left door flange, a clean unit and a lower exhaust outlet. A lifter car, a cleanroom door and a lifter car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cleanroom entrance and the lifter door, and fixedly mounted to the outer wall of the hoistway, and a blocking plate installed at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cleanroom doorway between the cleanroom door and the lifter car door, And a cassette transfer device fixedly installed in the lifter car. In the component cassette conveying transfer device for display products, the entrance left and right door flanges are configured so that the clearance between the blocking plate and the lifter car entrance four directions up, down, left and right are kept the same, the blocking plate and the operation of the clean room door It is designed to prevent the contaminated air in the hoistway from entering the lifter car even if the lifter car door is opened up and down at the top and bottom of the clean room entrance in a location where it is not affected by the movement of the lifter car. Component cassette conveyance transfer device for display product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with means for safely transferring the component cassette without contamination. 디스플레이 제품 제조공장 건물의 각 층별로 형성되며 크린룸 출입구가 형성된 크린 룸과, 상기 크린 룸의 내부에 설치되어 카세트를 적재하는 카세트 적재대와, 적재된 카세트를 반송하는 이재장치와, 상기 크린 룸의 일측 또는 중앙에 제조공장 건물의 전 층에 걸쳐서 설치되는 승강로와, 상기 승강로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크린룸 출입구에 대응하는 리프터카 출입구와 크린 유닛과 하부 배기구를 가지는 리프터 카와, 상기 크린룸 출입구를 개폐하는 크린룸 도어와, 상기 승강로 외벽에 고정 설치되고, 크린룸 도어와 리프터카 출입구 사이에 리프터 카가 이동하는 승강로의 전층에 걸쳐 크린룸 출입구가 설치되어 있는 곳만을 제외하고 연결 설치된 차단판과, 상기 리프터 카내에 고정 설치된 카세트 이재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디스플레이 제품용 부품 카세트 반송이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단판은 크린룸 도어의 작동과 리프터 카의 이동에 간섭을 받지 않는 위치에, 크린룸 출입구의 위쪽과 아래쪽에, 리프터카 도어가 없는 리프터 카가 상하로 이동하더라도 승강로 내의 오염된 공기가 리프터 카 내로 들어오는 것을 막을 수 있도록 전층에 걸쳐 설치 구성되어, 디스플레이 제품용 부품카세트를 오염시키지 않고, 안전하게 이재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제품용 부품카세트 반송 이재장치The display room is formed on each floor of the building manufacturing plant building, the clean room entrance is formed, the cassette mounting table installed inside the clean room to load the cassette, the transfer device for conveying the loaded cassette, and the A hoistway which is installed at one side or the center of the entire factory building, the hoistway which is installed on the hoistway, and which can be lifted and has a lifter car entrance and a clean unit and a lower exhaust outlet corresponding to the doorway of the cleanroom; A blocker plate which is fixedly installed on the outer wall of the lift room, which is opened and closed, and is connected to the lifter door except that a clean room entrance is installed over the entire floor of the hoistway where the lifter car moves between the cleanroom door and the lifter doorway, and the lifter car. Display comprising a cassette transfer device fixedly installed within In the parts cassette transfer device for this product, the blocking plate is moved to a position where i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operation of the clean room door and the movement of the lifter car, above and below the clean room entrance, and the lifter car without the lifter door moves up and down. Even if the condensed air in the hoistway to prevent the entry into the lifter car is installed throughout the floor, without having to contaminate the component cassette for display products, it is equipped with a means for safely moving parts cassette for display products Transfer Material 디스플레이 제품 제조공장 건물의 각 층별로 형성되며 크린룸 출입구가 형성된 크린 룸과, 상기 크린 룸의 내부에 설치되어 카세트를 적재하는 카세트 적재대와, 적재된 카세트를 반송하는 이재장치와. 상기 크린 룸의 일측 또는 중앙에 제조공장 건물의 전 층에 걸쳐서 설치되는 승강로와, 상기 승강로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크린룸 출입구에 대응하는 리프터카 출입구와 리프터카 출입구 좌우도어 프렌지와 크린 유닛과 하부 배기구를 가지는 리프터 카와, 상기 크린룸 출입구와 리프터카 출입구를 개폐하는 크린룸 도어와 리프터카 도어와, 상기 승강로 외벽에 고정 설치되고, 크린룸 도어와 리프터카 도어 사이에 크린룸 출입구의 위쪽과 아래쪽에 각 각 설치된 차단판과, 상기 리프터카 내에 고정 설치된 카세트 이재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디스플레이 제품용 부품 카세트 반송이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재장치가 각 크린 룸별로 좌우 및 1단 또는 2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크린룸출입구는 좌우 및 1단 또는 2단의 이재장치에 대응하여 좌우 및 하단 크린룸 출입구와 상단 크린룸 출입구로 형성되며, 상기 좌우 및 하단 크린룸 출입구와 상단 크린룸 출입구에는 각각 좌우 및 하단 크린룸 도어와 상단 크린룸 도어가 설치되어, 크린룸내 이재장치와 리프터카 내의 카세트 이재 수단을 구비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제품용 부품 카세트 반송 및 이재장치And a clean room formed at each floor of a display product manufacturing factory building and having a clean room entrance, a cassette mounting table installed inside the clean room to load a cassette, and a transfer device to convey the loaded cassette. A hoistway that is installed on one side or the center of the cleanroom over the entire floor of a manufacturing plant building, the hoistway being installed on the hoistway, and the lifter doorway corresponding to the doorway of the cleanroom, the left and right door flanges and the clean unit; A lifter car having a lower exhaust port, a cleanroom door and a lifter car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cleanroom entrance and the lifter car entrance, and fixedly installed on the outer wall of the hoistway, respectively, above and below the cleanroom doorway between the cleanroom door and the lifter car door. A component cassette conveyance transfer device for display products, comprising: a blocking plate provided and a cassette transfer device fixedly installed in the lifter car, wherein the transfer device comprises left and right and one or two stages for each clean room; The entrance to the clean room is left and right and corresponding to the transfer device of one or two stages. And a lower clean room doorway and an upper clean room doorway, and the left and right clean room doors and the upper clean room doors are provided with left and right clean room doors and a top clean room door, respectively, having a transfer device in a clean room and a cassette transfer means in a lifter car. Component cassette conveyance and transfer device for display products, characterized in that 디스플레이 제품 제조공장 건물의 각 층별로 형성되며 크린룸 출입구가 형성된 크린 룸과, 상기 크린 룸의 내부에 설치되어 카세트를 적재하는 카세트 적재대와, 적재된 카세트를 반송하는 이재장치와, 상기 크린 룸의 일측 또는 중앙에 제조공장 건물의 전 층에 걸쳐서 설치되는 승강로와, 상기 승강로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크린룸 출입구에 대응하는 리프터카 출입구와 크린 유닛과 하부 배기구를 가지는 리프터 카와, 상기 크린룸 출입구를 개폐하는 크린룸 도어와, 상기 승강로 외벽에 고정 설치되고, 크린룸 도어와 리프터카 출입구 사이에 리프터 카가 이동하는 승강로의 전층에 걸쳐 크린룸 출입구가 설치되어 있는 곳만을 제외하고 연결 설치된 차단판과, 상기 리프터 카내에 고정 설치된 카세트 이재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디스플레이 제품용 부품 카세트 반송이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재장치가 각 크린 룸별로 좌우 및 1단 또는 2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크린룸 출입구는 좌우 및 1단 또는 2단의 이재장치에 대응하여 좌우 및 하단 크린룸 출입구와 상단 크린룸 출입구로 형성되며, 상기 좌우 및 하단 크린룸 출입구와 상단 크린룸 출입구에는 각각 좌우 및 하단 크린룸 도어와 상단 크린룸 도어가 설치되어, 크린룸내이재장치와 리프터카 내의 카세트 이재 수단을 구비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제품용 부품 카세트 반송 및 이재장치The display room is formed on each floor of the building manufacturing plant building, the clean room entrance is formed, the cassette mounting table installed inside the clean room to load the cassette, the transfer device for conveying the loaded cassette, and the A hoistway which is installed at one side or the center of the entire factory building, the hoistway which is installed on the hoistway, and which can be lifted and has a lifter car entrance and a clean unit and a lower exhaust outlet corresponding to the doorway of the cleanroom; A blocker plate which is fixedly installed on the outer wall of the lift room, which is opened and closed, and is connected to the lifter door except that a clean room entrance is installed over the entire floor of the hoistway where the lifter car moves between the cleanroom door and the lifter doorway, and the lifter car. Display comprising a cassette transfer device fixedly installed within In the component cassette conveyance transfer device for this product, the transfer device is composed of left and right and one or two stages for each clean room, and the clean room entrance and exit are corresponding to the left and right and one or two stage transfer devices. It is formed of a clean room entrance and an upper clean room entrance, and the left and right clean room doors and the upper clean room doors are provided with left and right clean room doors and an upper clean room door, respectively. Component cassette conveyance and transfer device for display products
KR1020050013449A 2005-02-18 2005-02-18 Apparatus for transferring cassette of display device KR2005002916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3449A KR20050029169A (en) 2005-02-18 2005-02-18 Apparatus for transferring cassette of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3449A KR20050029169A (en) 2005-02-18 2005-02-18 Apparatus for transferring cassette of display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9169A true KR20050029169A (en) 2005-03-24

Family

ID=37385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3449A KR20050029169A (en) 2005-02-18 2005-02-18 Apparatus for transferring cassette of display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29169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9629B1 (en) * 2006-06-28 2013-07-3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Cassette conveyor having dust collector, and dust collecting method thereo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9629B1 (en) * 2006-06-28 2013-07-3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Cassette conveyor having dust collector, and dust collecting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6842B1 (en) Inter―floor transport facility
KR101495629B1 (en) Load port device, transport system, and container carrying out method
TWI408092B (en) Processing equipment
KR101511963B1 (en) Cassette supplying system
KR20050032045A (en) Apparatus for transferring cassette of display device
KR100689072B1 (en) Apparatus for transferring cassette of display device
KR20050025941A (en) Apparatus for transferring cassette of display device
KR20050029169A (en) Apparatus for transferring cassette of display device
JP2007106528A (en) Stocker device of story carrying-in/out type
KR20050029138A (en) Apparatus for transferring cassette of display device
KR100236272B1 (en) Article storage cabinet for cleen room
KR100965512B1 (en) Flat panel display manufacturing machine
JP2006111421A (en) Conveyor system between floors
WO2012001973A1 (en) Processing facility
KR102020558B1 (en) Apparatus for transferring and system for transferring using the same
KR100579707B1 (en) Apparatus for transferring cassette of display device
KR20220008993A (en) Cargo carrying aids in elevators
KR20050026432A (en) Apparatus for transferring cassette of display device
JP2010067700A (en) Substrate cassette carrying device and substrate cassette carrying in/out device
KR20050035199A (en) Apparatus for transferring cassette of display device
KR100663157B1 (en) Apparatus for transferring cassette of display device
KR20050027977A (en) Apparatus for transferring cassette of display device
KR20080048364A (en) Inter stk conveyor for inter bay system using thereof
JP4058684B2 (en) High-rise multilevel parking system
KR20050029137A (en) Apparatus for transferring cassette of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