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28949A - 고농도 축산폐수의 효율적인 영양소 제거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고농도 축산폐수의 효율적인 영양소 제거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28949A
KR20050028949A KR1020030064327A KR20030064327A KR20050028949A KR 20050028949 A KR20050028949 A KR 20050028949A KR 1020030064327 A KR1020030064327 A KR 1020030064327A KR 20030064327 A KR20030064327 A KR 20030064327A KR 20050028949 A KR20050028949 A KR 200500289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sludge
livestock wastewater
wastewater
denitrif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43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08851B1 (ko
Inventor
박완철
김태형
이창주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3-00643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8851B1/ko
Publication of KR200500289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89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88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88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9/00Multistage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egassing, i.e. liberation of dissolved ga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0Aerobic and anaerobic processes
    • C02F3/302Nitrification and denitrification treatment
    • C02F3/303Nitrification and denitrification treatment characterised by the nitrific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0Aerobic and anaerobic processes
    • C02F3/302Nitrification and denitrification treatment
    • C02F3/305Nitrification and denitrification treatment characterised by the denitrific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0Aerobic and anaerobic processes
    • C02F3/308Biological phosphorus remova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1/00Nature of the contaminant
    • C02F2101/10Inorganic compounds
    • C02F2101/16Nitrogen compounds, e.g. ammonia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2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from animal husbandr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urification Treatments By Anaerobic Or Anaerobic And Aerobic Bacteria Or Animals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 Separation Of Suspended Particles By Flocculating Ag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기물질과 영양소의 농도가 고농도인 축산폐수를 희석하지 않고, 공공처리장 방류수 수질 이상으로 처리하기 위한 고효율의 축산폐수 처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고농도 질소 중 암모니아를 선택적으로 제거하는 암모니아 스트리핑 단계, 축산폐수를 저류조에서 균등화시키는 단계, 무산소조와 침전조로부터 반송되는 슬러지에 포함된 NOx-N을 탈질 반응에 의해 N2 가스 형태로 제거하고 인을 방출하는 혐기발효 단계, 미생물 활성조에서 활성화된 호기성 미생물을 공급하면서 3단 폭기조 내에서 혐기 발효 후의 폐수 내의 암모니아성 질소를 질산화시키는 폭기 단계, 무산소조에서 NOx-N을 탈질 미생물의 작용으로 탈질시키면서 침전 슬러지를 혐기 발효조에 반송하는 단계, 처리된 피처리물과 슬러지를 고액 분리하면서 침전 슬러지를 혐기 발효조 및 미생물 활성화조에 반송하는 침전 단계 및 응집처리 단계를 포함하는 축산폐수 처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고농도 축산폐수의 효율적인 영양소 제거 방법은 유기물 및 영양소 제거를 위한 우수한 처리 방법으로서, 무희석으로 인한 운영상의 편리성과 방류수 수질을 충족시키는 잇점을 갖는다.

Description

고농도 축산폐수의 효율적인 영양소 제거 장치 및 방법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ving Nutrient Effectively from Highly Concentrated Livestock Wastewater}
본 발명은 유기물질과 영양소의 농도가 고농도인 축산폐수를 희석하지 않고, 공공처리장 방류수 수질 이상으로 처리하기 위한 고효율의 축산폐수 처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축산업은 타 농업부문에 비하여 소득 탄성치가 높은 품목으로 소득증가에 따라 축산물 소비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가축 사육두수가 크게 늘어나고, 양축농가의 전업화 및 단지화의 형태로 변하고 있다. 우리 나라의 가축 사육 밀도는 OECD 보고서(1998)에 의하면 4.8두/ha로 OECD 국가중 네번째로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와 같은 축산업의 발전으로 가축분뇨가 대량 발생하여 환경오염을 유발하여 가축분뇨의 처리가 축산업 발전의 제한인자가 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가축분뇨 처리문제는 결코 쉬운 문제가 아니며, 선진 축산국에서도 오랫동안 가축분뇨 문제해결을 위하여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아직도 완벽한 해결방안을 찾지 못하여 사육물량을 조절하고 있는 실정이다.
외국의 문헌을 보면 고농도의 축산폐수의 경우 혐기성 소화, 희석 활성 슬러지법, 산화지법 등이 적용되고 있는데, 문헌[Jose R. Bicude and Ivo F. Svoboda, "Intermittent aeration of pig slurry-farm scale experiments for carbon and nitrogen removal", Wter Sci. and Tech. Vol. 32, No. 12, 1995]에는 돈사폐수를 간혈적인 폭기방식으로 처리하였으며, 이 경우 유입수 내의 유기물량(주로 BOD: F)에 대한 호기성 반응조 내의 미생물량(MLVSS량: Mv)의 비인 F/Mv비가 0.8 kg BOD/kg Mv/d 이상인 경우에는 질산화 저해현상이 일어난다고 하였다.
SBR 방법을 이용한 영양소 제거기술은 Allenman 등 [J. E.(1984) Elevated Nitrite Occurrence in Biological Wastewater Treatment System. Wat. Sci. Tech. Vol. 17. pp. 409-419]에 의해 연구가 진행되었다. 하수를 이용한 대부분의 연구결과 매우 높은 유기물과 질소 제거효율을 보여주고 있으며, Manning 및 Irvine [Manning and Irvine, (1985) The Biological Removal of Phosphorus in a Sequencing Betch Reactors, JWPCF, Vol. 67, pp. 87-94] 및 Vlekke [Biological Phosphorate Removal from Wastewater with Oxygen or Nitrite in Sequencing Batch Reactor, Environ. Tech. Lett., Vol. 9, pp. 791-796 (1988)] 등은 생물학적 인 제거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는데 생물학적 인 제거를 위해서는 무산소 (Anoxic), 혐기성 (Anaerobic) 그리고 호기성 (Aerobic) 조건을 적절히 유지하는 것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SBR은 원래 생물학적 인 제거를 위해 고안된 장치인데 비질화 시스템 (Non-nitrifying system)을 이루지 못할 경우에는 인 제거가 원활하지 못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SBR에 의해 질소와 인을 동시에 고효율로 제거하는 것이 어려운 것은 질소제거 미생물에 의한 질산화가 활발히 진행되면 NOx-N이 증가하게 되고 NOx-N 농도가 높아지면 인 제거 미생물의 활동이 제약받기 때문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인 제거를 위해 가장 먼저 선행하여야하는 문제는 충전 (fill) 기간에서 산화질소와 DO를 어떻게 제거하는 것이냐 하는 것이며, 질소와 인의 동시제거를 위해서는 충전-반응 (Fill-react) 시간을 잘 조정하여야 하며, 일반적으로 30∼80%의 T-N (폐수 중의 총질소) 및 T-P (폐수 중의 총 인) 제거가 가능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WEF, and ASCE (1992)). 계속된 관심으로 최근에는 전규모(full scale) 실험을 실시하여 만족할 만한 결과를 도출하고 있다고 한다.
SBR이 질소, 인 동시제거시 높은 효율을 내지 못하는 점에도 불구하고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또 실제로 많이 이용되는 이유는 운전의 간편성이다. 단일 탱크 내에서 모든 반응이 완성되므로 설계가 간단하고 시공, 운전이 쉽다는 점이다. 이런 특징으로 소규모 플랜트에 많이 이용되고 있으며,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활성슬러지를 사용하는 소규모 처리장에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외국의 축산폐수 처리예는 혐기성 소화법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희석수를 이용한 처리가 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국내의 축산폐수와는 상당히 다른 양상을 보이는 경우가 많아서 그대로 이용하기는 어렵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고농도인 축산폐수를 희석하지 않고 축산폐수 공공처리장 방류수 기준을 만족하는 수준의 처리수질을 확보하기 위한 처리 방법의 개발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축산폐수 처리 방법은 축산폐수 중의 유기물질의 손실은 최소화하면서 축산폐수 내의 고농도 질소 중 암모니아를 선택적으로 제거하는 암모니아 스트리핑 단계, 상기 암모니아 스트리핑 처리된 축산폐수를 저류조에서 균등화시키는 단계, 균등화된 폐수 내의 유기물을 이용하여 무산소조와 침전조로부터 반송되는 슬러지에 포함된 NOx-N을 탈질 반응에 의해 N2 가스 형태로 제거하고 인을 방출하는 혐기발효 단계, 미생물 활성조에서 활성화된 호기성 미생물을 공급하면서 혐기 발효 후의 폐수 내의 암모니아성 질소를 질산화시키는 폭기 단계, 무산소조에서 NOx-N을 탈질 미생물의 작용으로 탈질시키면서 침전 슬러지를 혐기 발효조에 반송하는 단계, 처리된 피처리물과 슬러지를 고액 분리하면서 침전 슬러지를 혐기 발효조 및 미생물 활성화조에 반송하는 침전 단계 및 잔류된 영양소와 부유물질을 최종적으로 처리하는 응집처리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폐수 처리 장치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농도 축산폐수의 효율적인 영양소 제거 장치의 구성도이다. 폐수 처리 장치 (1)은 축산폐수 내의 질소를 선택적으로 제거하는 암모니아 스트리핑조 (2)와, 원수의 농도 변화와 유량 변화를 균등화하는 저류조 (3)와, 폐수중의 난분해성 물질을 분해 가능한 분해성 물질로 가수분해하는 혐기 발효조 (4)와, 고농도 축산폐수에 적용 가능한 토양 미생물을 배양, 접종하여 활성화시키는 미생물 활성조 (9)와, 미생물 활성조 (9)에서 활성화되어 공급된 호기성 미생물을 이용하여 유기물질과 질소의 질산화 작용을 수행하는 3단 폭기조 (5)와, 탈질 미생물의 내생호흡에 의한 탈질 작용으로 질산화된 질소를 제거하는 무산소조 (6)와, 처리된 피처리물과 슬러지를 고액 분리하다 침전조 (7)와, 침전조 (7)에서 분리된 피처리물에 잔류하는 인과 부유물질을 화학적인 방법으로 응집침전제거하는 응집침전조 (8)를 포함한다.
또한, 폐수 처리 장치 (1)에는 무산소조 (6)로부터 혐기발효조 (4)로 슬러지를 반송하는 반송라인 (18)이 있고, 침전조 (7)의 침전슬러지를 혐기발효조 (4)로 반송하는 반송라인 (19)과, 침전조 (7)에서 미생물 활성조 (9)로 반송하는 반송라인 (21)이 설치된다.
축산폐수 처리 장치 (1)에 유입되는 축산폐수는 유기물에 비해 영양소의 농도가 높고 절대농도 또한 높은 관계로 90% 이상의 처리효율을 만족하는 방법에서도 방류수 수질기준을 만족하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유기물의 농도는 그대로 두고 질소를 선택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전처리시설로 암모니아 스트리핑조 (2)를 도입하였다. 암모니아 스트리핑조에서는 피처리물의 pH를 상승시켜 탈기될 수 있는 NH3 부분을 증가시켜 원하는 수준의 암모니아를 제거하고, 처리된 처리수는 산을 이용하여 후속처리에서 미생물에 유해한 영향을 주지 않도록 pH를 저하시켜 중화하여 저류조 (3)로 이송된다. 저류조 (3)를 거친 피처리물은 유기물의 가수분해 효율을 증가시켜 후속 공정에 유리하도록 가온열선 (14)의 열과 온도조절기 (15)에 의해 자동으로 가온, 예를 들어 32 내지 37℃의 온도로 가온된 혐기 발효조 (4)로 이송된다. 이송된 피처리물의 중온에서 분해가 어려운 난분해성 물질은 가수분해 작용에 의해 분해되고, 무산소조 (13)와 침전조 (7)에서 반송되는 슬러지에 포함된 NOx-N은 유입되는 피처리물의 유기물을 이용한 탈질 작용으로 제거되고, 슬러지 내의 인은 용출되는 현상을 일으키게 된다.
토양 미생물을 선택적으로 분리, 대량 배양하여 접종한 미생물 군체를 활성화하는 미생물 활성조 (9)에는 침전조 (7)로부터 침전슬러지를 반송라인 (21)을 통하여 계속적으로 공급하여 미생물 군체로부터 용출되는 미생물과 반송되는 슬러지에 포함된 미생물이 연속적으로 활성화되도록 고안하였다. 미생물 활성조 (9)에서 활성화된 호기성 미생물은 3단 폭기조 (5)로 이송된다. 폭기조 (5)는 분리격판 (16)에 의해 폭기조를 3단으로 구분하여 1단에는 DO량을 크게 유지하여 고농도의 축산폐수 내의 유기물을 효과적으로 분해하고, 혐기발효조 (4)에서 방출한 인보다 훨씬 많은 양의 인을 미생물이 섭취하게 되며, 폭기조 2단에서는 유기물질이 분해되어 질산화 미생물의 작용에 의하여 암모니아성 질소(NH3-N)가 아질산성 질소(NO2 -)를 거쳐 질산성 질소(NO3 -)로 산화되고, 폭기조 3단에서는 산소 공급을 중단하고 3단 상부에 설치된 혼합기 (12)를 이용하여 혼합을 실시하여 일부 탈질과 무산소조 (6)에 적응 가능하도록 DO를 최소한으로 낮추는 작용을 수행할 수 있다.
3단 폭기조 (5)를 거친 피처리물은 무산소조 (6)로 유입된다. 탈질 미생물이 피처리물의 이용 가능한 산소가 없는 상태인 무산소 상태에서 NOx-N에 붙어있는 화학적인 산소를 이용하여 대사함으로써, 암모니아성 질소가 질산화되어 형성된 NOx-N이 N2 가스로 환원되는 탈질산화 반응이 수행되어 피처리물의 질소가 제거된다.
무산소조 (6)를 거친 피처리물은 침전조 (7)로 이송된다. 침전조 (7)로 이송된 피처리물은 처리수와 침전슬러지 중력 작용에 의해 고액 분리되어 상징액은 응집침전조 (8)로 이송되고 침전슬러지는 반송라인 (19)를 통하여 혐기발효조 (4)로 이송되어 침전슬러지 내에 포함된 NOx-N이 탈질 미생물에 의해 질소가스로 환원되는 탈질 작용으로 질소가 제거되며, 여분의 침전슬러지는 라인 (20)을 통하여 폐기 처분되며, 일부는 반송라인 (21)을 통하여 미생물 활성조 (9)로 이송되어 미생물 활성화에 기여하게 된다.
응집침전조 (8)로 이송된 피처리물은 잔류하는 질소와 인 및 고형물이 응집제의 응집작용에 의해 완전 제거되어 방류수 기준을 만족하는 수준으로 처리되어 최종 방류하게 된다.
<실시예>
도 1의 고농도 축산폐수의 효율적인 영양소 제거 장치를 실험실 규모로 아크릴로 제작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표 1에 본 실험에 사용된 각 반응조의 용량과 재원 및 규격을 정리하였다.
반응기 재원 및 규격
반응기 및 기기 규격 비고
혐기발효조 8.5L(φ=18cm, H=40cm) 원통형, 하수 슬러지 식종
3단 폭기조 29.0(L=42 cm, B=18.5cm, H=48cm) 구형
무산소조 4.0(φ= 15cm, H= 35cm) 원뿔형
침전조 4.0(φ= 23cm, H= 35cm) 원뿔형, 호퍼경사 60o 유지
미생물 활성조 0.2(φ= 0.7cm, H= 18cm) 원통형
pH, 온도측정기 Orione 250A pH, 온도측정
이송펌프 Master-flex 펌프 2헤드
혼합기 panasonic M6GA30M 60 rpm
송풍기 코리아다까스끼 SPP-200GJ-H 40 L/Min 용량
암모니아 스트리핑 실험은 현장과는 다소 다른 배치식으로 운전하였다. 200 리터의 둥근 원통형(지름:높이=1:1.7)의 암모니아 스트리핑 조에 NaOH를 이용하여 폐수의 pH를 11로 조정하고, 1.0 L 공기/L Vol.의 공기량으로 12시간 폭기하여 암모니아를 30% 정도 제거하였다. 제거된 폐수에 산을 이용하여 pH 8.5 정도로 중화하여 후속 공정의 원수로 사용하였다.
저류조는 유입 폐수의 유량 변동과 농도 변화를 완화하기 위하여 2-3일의 체류시간을 갖는 구형 구조물로서 부패를 막기 위하여 소량의 공기를 공급하는 장치가 설치된 구조물을 직접 제작하여 사용하였다.
반응조의 체류 시간은 혐기조 3일, 폭기조 10.4일, 무산소조 1.4일, 침전조 2일이었다. 온도는 상온에서 운전하였고, 하절기 및 동절기에는 25℃로 유지하도록 냉방 및 보온하여 운전할 수 있다. 각 반응조의 pH는 인위적인 조작을 하지 않았고, pH 7-9 이내에서 운전되었다.
상기 실험에서 사용된 각종 장치 중 상태에 따른 pH와 온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pH 미터를 사용하였고, 반응조의 호기성 상태에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하여 송풍기를 이용하여 24시간 연속 주입하였다. 원수 공급은 이송펌프를 이용하여 균등하게 주입하였으며, 각 반응조의 피처리물 이동은 자연유하에 의해 이송되도록 3단 폭기조와 높이를 맞추어 배치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축산폐수는 축산폐수 공공처리장에서 직접 채취하여 큰 협잡물을 제거한 후 본 실험의 원수로 사용하였다.
실험결과
구 분 CODcr BOD TSS(총 부유성 유기물) TKN(총 Kjeldahl 질소)/ NH3 NO3-N T-P 비고
원 수 22143 11690 20409 1646/1183 0 330
침전조유출수 1052 44 248 71/13 7.5 73
응집 최종유출수 414 11 30 46/11 0.4 2.3
상기 실험결과는 운전기간 동안의 평균치이며, 응집침전조에서의 3차 처리는 유기물질과 부유물질 및 영양소의 안정적인 제거에 큰 역할을 담당하였다. BOD의 경우 최종유출수가 11 m/L이었고, T-P가 2.3 mg/L, T-N (TKN+NO2-N+NO3-N)이 46.4 mg/L로 매우 우수한 처리효율을 나타내었다. 응집침전시 철염(FeCl3) 사용량이 암모니아 스트리핑을 하지 않고 처리수를 응집 처리하는 것에 비해 1/3 정도 절약되는 결과도 얻었는데, 이는 처리수의 알칼리도가 떨어져 알칼리 물질과 응집제의 결합에 의해 소모되는 응집제를 줄일 수 있는 결과로 판단되어 경제적으로도 유리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본 발명의 고농도 축산폐수의 효율적인 영양소 제거 방법은 유기물질 제거효율과 영양소 제거효율이 매우 우수한 처리시설로 축산폐수를 무희석하여 방류할 수 있는 처리 방법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고농도 축산폐수의 효율적인 영양소 제거 방법은 우리 나라의 축산폐수 공공처리장의 문제로 지적되고 있는 유기물 및 영양소 제거를 위한 우수한 처리 방법으로서, 무희석으로 인한 운영상의 편리성과 방류수 수질을 충족시키는 잇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농도 축산폐수의 효율적인 영양소 제거 장치의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 고농도 축산폐수의 효율적인 영양소 제거 장치
2: 암모니아 스트리핑조(Ammonia stripping)
3: 저류조
4: 혐기 발효조
5: 3단 폭기조
6: 무산소조(Anoxic)
7: 침전조
8: 응집 침전조
9: 미생물 활성조
10: 정량펌프
11∼13: 혼합기
14: 가온열선
15: 온도조절기
16: 분리격판
17: 송풍기
18∼21: 슬러지 반송라인

Claims (4)

  1. 축산폐수 내의 고농도 질소 중 암모니아를 선택적으로 제거하는 암모니아 스트리핑조 (2), 원수의 농도 변화와 유량 변화를 균등화하는 저류조 (3), 폐수중의 난분해성 물질을 분해 가능한 분해성 물질로 가수분해하는 혐기 발효조 (4), 미생물을 활성화시키는 미생물 활성조 (9), 미생물 활성조 (9)에서 활성화되어 공급된 호기성 미생물을 이용하여 유기물질과 질소의 질산화 작용을 수행하는 3단 폭기조 (5), 탈질 미생물의 내생호흡에 의한 탈질 작용으로 질산화된 질소를 제거하는 무산소조 (6), 처리된 피처리물과 슬러지를 고액 분리하는 침전조 (7), 침전조 (7)에서 분리된 피처리물에 잔류하는 인과 부유물질을 화학적인 방법으로 응집침전시켜 제거하는 응집침전조 (8), 및 무산소조 (6)로부터 혐기발효조 (4)로 슬러지를 반송하는 반송라인 (18), 침전조 (7)의 침전슬러지를 혐기발효조 (4)로 반송하는 반송라인 (19) 및 침전조 (7)에서 미생물 활성조 (9)로 반송하는 반송라인 (21)을 포함하는 축산폐수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3단 폭기조 중 3단에 산소 공급을 중단하고 혼합기를 사용하여 혼합만을 실시하여 후속 무산소조에서의 작용을 보다 원활하게 유도하고, 일부 탈질 미생물 작용으로 탈질화작용도 수행하는 장치.
  3. 축산폐수 중의 유기물질의 손실은 최소화하면서 축산폐수 내의 고농도 질소 중 암모니아를 선택적으로 제거하는 암모니아 스트리핑 단계,
    상기 암모니아 스트리핑 처리된 축산폐수를 저류조에서 균등화시키는 단계,
    균등화된 폐수 내의 유기물을 이용하여 무산소조와 침전조로부터 반송되는 슬러지에 포함된 NOx-N을 탈질 반응에 의해 N2 가스 형태로 제거하고 인을 방출하는 혐기발효 단계,
    미생물 활성조에서 활성화된 호기성 미생물을 공급하면서 3단 폭기조 내에서 혐기 발효 후의 폐수 내의 암모니아성 질소를 질산화시키는 폭기 단계,
    무산소조에서 NOx-N을 탈질 미생물의 작용으로 탈질시키면서 침전 슬러지를 혐기 발효조에 반송하는 단계,
    처리된 피처리물과 슬러지를 고액 분리하면서 침전 슬러지를 혐기 발효조 및 미생물 활성화조에 반송하는 침전 단계 및
    잔류된 영양소와 부유물질을 최종적으로 처리하는 응집처리 단계
    를 포함하는 축산폐수 처리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3단 폭기조 중 3단에 산소 공급을 중단하고 혼합기를 사용하여 혼합만을 실시하여 후속 무산소조에서의 작용을 보다 원활하게 유도하고, 일부 탈질 미생물 작용으로 탈질화작용도 수행하는 방법.
KR10-2003-0064327A 2003-09-17 2003-09-17 고농도 축산폐수의 효율적인 영양소 제거 장치 및 방법 KR1005088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4327A KR100508851B1 (ko) 2003-09-17 2003-09-17 고농도 축산폐수의 효율적인 영양소 제거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4327A KR100508851B1 (ko) 2003-09-17 2003-09-17 고농도 축산폐수의 효율적인 영양소 제거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8949A true KR20050028949A (ko) 2005-03-24
KR100508851B1 KR100508851B1 (ko) 2005-08-18

Family

ID=37385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4327A KR100508851B1 (ko) 2003-09-17 2003-09-17 고농도 축산폐수의 효율적인 영양소 제거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8851B1 (ko)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24426A1 (zh) * 2008-04-08 2009-10-15 南京大学 一种制药化工园区混合废水的处理方法
CN103922549A (zh) * 2014-05-06 2014-07-16 天脊煤化工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煤气化废水处理与回用方法及其装置
CN105502824A (zh) * 2015-12-25 2016-04-20 中铁城市规划设计研究院有限公司 集约化一体化小型污水处理站
CN105948392A (zh) * 2016-06-12 2016-09-21 武汉东川自来水科技开发有限公司 三单元污水处理系统及方法
WO2016159590A1 (ko) * 2015-03-27 2016-10-06 (주)에코데이 암모니아 탈기를 이용한 고농도 질소 인 제거 및 회수 장치
CN106336078A (zh) * 2016-09-26 2017-01-18 浙江省环境工程有限公司 化工废水处理系统及其处理方法
CN107777831A (zh) * 2016-08-29 2018-03-09 北京安宇通环境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饮料废水处理方法及系统
CN108314257A (zh) * 2018-01-30 2018-07-24 灵川县億旺养殖专业合作社 养猪废水的处理工艺
CN108395052A (zh) * 2017-02-08 2018-08-14 鞍钢股份有限公司 一种高效处理焦化剩余氨水的方法
CN109650643A (zh) * 2017-10-12 2019-04-19 韩菲 一种自循环污水处理装置
WO2020014944A1 (zh) * 2018-07-17 2020-01-23 海安县金鑫纸业有限公司 一种工业用纱管纸的废水处理方法
KR102105826B1 (ko) * 2019-06-24 2020-05-29 김택봉 축산 분뇨 처리를 위한 폭기 장치
CN114524518A (zh) * 2022-03-09 2022-05-24 安徽建筑大学 基于ao-anammox工艺的废水处理系统及方法
KR102440990B1 (ko) 2022-03-10 2022-09-06 영원환경기술(주) 축산폐수 처리장치 및 처리방법
CN115784515A (zh) * 2022-12-12 2023-03-14 山东太平洋环保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制药废水强化生物脱碳脱氮性能的装置及其方法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24426A1 (zh) * 2008-04-08 2009-10-15 南京大学 一种制药化工园区混合废水的处理方法
CN103922549A (zh) * 2014-05-06 2014-07-16 天脊煤化工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煤气化废水处理与回用方法及其装置
WO2016159590A1 (ko) * 2015-03-27 2016-10-06 (주)에코데이 암모니아 탈기를 이용한 고농도 질소 인 제거 및 회수 장치
CN105502824A (zh) * 2015-12-25 2016-04-20 中铁城市规划设计研究院有限公司 集约化一体化小型污水处理站
CN105948392A (zh) * 2016-06-12 2016-09-21 武汉东川自来水科技开发有限公司 三单元污水处理系统及方法
CN107777831A (zh) * 2016-08-29 2018-03-09 北京安宇通环境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饮料废水处理方法及系统
CN106336078A (zh) * 2016-09-26 2017-01-18 浙江省环境工程有限公司 化工废水处理系统及其处理方法
CN108395052A (zh) * 2017-02-08 2018-08-14 鞍钢股份有限公司 一种高效处理焦化剩余氨水的方法
CN109650643A (zh) * 2017-10-12 2019-04-19 韩菲 一种自循环污水处理装置
CN108314257A (zh) * 2018-01-30 2018-07-24 灵川县億旺养殖专业合作社 养猪废水的处理工艺
CN108314257B (zh) * 2018-01-30 2021-08-03 灵川鹏发养殖有限公司 养猪废水的处理工艺
WO2020014944A1 (zh) * 2018-07-17 2020-01-23 海安县金鑫纸业有限公司 一种工业用纱管纸的废水处理方法
KR102105826B1 (ko) * 2019-06-24 2020-05-29 김택봉 축산 분뇨 처리를 위한 폭기 장치
CN114524518A (zh) * 2022-03-09 2022-05-24 安徽建筑大学 基于ao-anammox工艺的废水处理系统及方法
KR102440990B1 (ko) 2022-03-10 2022-09-06 영원환경기술(주) 축산폐수 처리장치 및 처리방법
CN115784515A (zh) * 2022-12-12 2023-03-14 山东太平洋环保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制药废水强化生物脱碳脱氮性能的装置及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08851B1 (ko) 2005-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6988B1 (ko) 입상 슬러지를 이용한 하·폐수 처리장치 및 방법
KR100327154B1 (ko) 바이오메이커를 이용한 고농도 유기성 폐수의 처리 방법
US5853589A (en) Advanced biological phosphorus removal using a series of sequencing batch reactors
KR100436186B1 (ko) 연속주입 간헐 폭기식 하수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0508851B1 (ko) 고농도 축산폐수의 효율적인 영양소 제거 장치 및 방법
US7547394B2 (en) Wastewater treatment with aerobic granules
WO2011133738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treating wastewater
KR100953058B1 (ko) 고농도 유기성 폐수의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처리방법
KR101721251B1 (ko) 막 결합형 sbr 공법
KR20130064590A (ko) 생물활성수(bmw) 공법에 의한 축산폐수의 효율적 처리방법 및 그 장치
JP3122654B2 (ja) 高濃度廃水を処理する方法および装置
JP4426105B2 (ja) 特定成分、例えばアンモニア、を含有する廃水の処理プロセス
KR100733823B1 (ko) 바실러스 군집을 이용한 하·폐수 고도처리장치 및 하·폐수 고도처리방법
Bicudo et al. Effects of intermittent-cycle extended-aeration treatment on the fate of nutrients, metals and bacterial indicators in pig slurry
KR100586535B1 (ko) 질산화 미생물 그래뉼화 반응기를 이용한 하·폐수의고도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100304544B1 (ko) 혐기발효조를이용한개량된하·폐수의영양소제거방법
KR100461919B1 (ko) 연속 회분식 단일 반응조와 접촉 폭기조를 조합한 하수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하수의 처리 방법
KR100440748B1 (ko) 연속회분식 혐기성공정과 고도처리공정을 결합한 고효율 축산폐수 처리 시스템
KR100814743B1 (ko) 소규모 하·폐수처리를 위한 하·폐수처리장치
KR20010045253A (ko) 하수 고도처리장치와 이 장치를 이용한 하수처리방법
KR19980043482A (ko) 폐기물 매립지 침출수 처리 공법
CN1350985A (zh) 生物·化学方式高度下水处理方法
KR100192144B1 (ko) 폐기물 매립지 침출수 처리 공법
KR100465524B1 (ko) 분리막과 바실러스균을 이용한 하,폐수 고도처리장치 및방법
KR0136162B1 (ko) 폐수에 함유된 고농도 암모니아성 질소를 질산화시키는 미생물 배양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9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