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28605A - 별도의 저장챔버를 가지는 용기 - Google Patents

별도의 저장챔버를 가지는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28605A
KR20050028605A KR1020030065089A KR20030065089A KR20050028605A KR 20050028605 A KR20050028605 A KR 20050028605A KR 1020030065089 A KR1020030065089 A KR 1020030065089A KR 20030065089 A KR20030065089 A KR 20030065089A KR 20050028605 A KR20050028605 A KR 200500286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holder assembly
storage chamber
positioning portion
positio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50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예흐슈 라이-라이
Original Assignee
예흐슈 라이-라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예흐슈 라이-라이 filed Critical 예흐슈 라이-라이
Priority to KR10200300650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28605A/ko
Publication of KR200500286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8605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 B65D51/2807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 B65D51/281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the additional article or materials being releas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an element enclosing it
    • B65D51/28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the additional article or materials being releas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an element enclosing it said element being a film or a foil
    • B65D51/2835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the additional article or materials being releas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an element enclosing it said element being a film or a foil ruptured by a sharp element, e.g. a cutter or a pierc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0Packaging reuse or recycling, e.g. of multilayer packa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 Specialized In Special Use (AREA)

Abstract

별도의 저장챔버를 가지는 용기는, 그 안에 제 1 물질을 수용하는 본체와, 그 본체에 단단히 걸어맞춤되는 뚜껑부재와, 제 2 물질의 캡슐화를 위한 기밀부재와, 그 안에 기밀부재를 유지하기 위한 홀더 어셈블리와, 제 2 물질의 캡슐화를 해제하기 위한 오프너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뚜껑부재는 제 1 물질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홀더 어셈블리와 밀착되어 있다. 기밀부재는 오프너의 절단부에 의해 절개될 수 있고, 이로써 제 2 물질의 캡슐화를 해제하여 본체 내의 제 1 및 제 2 물질이 섞이게 되고, 개방된 기밀부재는 홀더에 의해 유지된 채로 남는다.

Description

별도의 저장챔버를 가지는 용기{CONTAINER HAVING SEPARATE STORAGE CHAMBERS}
본 발명은 용기, 특히 사용이전에는 상이한 성분들을 분리하여 보관할 수 있는 별도의 저장챔버를 가지는 용기에 관한 것이다.
매일 사용하는 유동식(formulas)을 준비하거나, 유동식을 첨가제, 용액, 가스, 또는 다른 성분과 섞어야 하는 음료를 마시는 경우에는, 안타뷰스(Antabuse)나, 생 비타민C분말, 이산화탄소 등의 피혼합 첨가제나 유동식을 포함하는 포장을 별도로 찢어서 개방한 다음에, 이 유동식을 물, 미용로션, 산소 기타 피혼합 성분 등 용액에 첨가해야만 혼합물을 사용하거나 소비할 수 있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과정은 약간 귀찮고 시간이 걸리는 일이다.
상술한 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만 실용공보 231632호에는, 별도의 저장챔버를 가지며 뚜껑부재가 음료수 병의 개구를 밀봉할 수 있는 용기가 개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용기는 제 1 물질(12)을 담고있는 본체(1)와 본체(1)에 걸어맞춤된 뚜껑부재(2)를 구비한다. 뚜껑부재(2)는 시일 링(22)과, 시일 링(22)을 관통하여 뻗어있는 저장 유리병(3)과, 저장 유리병(3)이 가압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저장 유리병(3)을 둘러싸는 보호 캡(5)과, 뚜껑부재(2)를 덮는 일회용 시일 부재(52)를 구비한다. 제 2 물질(6)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 챔버(S)를 가지는 저장유리병(3)은, 유리병 몸체(31)와, 그 끝단을 밀봉하는 푸시 바(push bar)(번호를 붙이지 않음)와, 푸시 바에 대향하는 개방 끝단을 포함한다. 저장 유리병(3)의 개방끝단은 시일 링(22)에 부착되어 있는 시일 필름(4)에 의해 밀봉되어 있다. 사용시에는, 일회용 시일 부재(52)를 우선 떼어낸 후, 푸시 바를 눌러서 시일 필름을 찢어서 개봉하여 제 2 물질(6)이 제 1 물질(12)에 떨어져서 혼합되도록 한다. 그러나, 뚜껑 부재(2)는 저장 유리병(3)을 위한 안내기구나 위치결정기구가 없이 형성되기 때문에, 저장 유리병(3)이 시일 링(22)에 대하여 과도하게 회전하기 쉽게 되어, 시일 필름(4)부분이 찢어져서 제 1 물질(12)로 떨어져 제 1 물질(12)을 오염시키기 쉽게 된다. 비록 종래기술의 뚜껑 부재(2)가 종래의 혼합공정의 결점을 개선하고 포장공정을 줄이기는 했지만, 시일 필름이 찢어져 나가서 용기에 떨어질 수도 있기 때문에 제 1 물질(12)이 오염의 위험이 없도록 보장할 수 없다.
게다가, 뚜껑부재(2)의 보호 캡(5)의 상단에 형성된 일회용 시일 부재(52)는 기밀하게 밀봉되지 않으며, 이는 저장 유리병(3)과 시일 링(2)사이의 정밀한 밀착에 의해서만 달성될 수 있고, 이는 증가된 제조정밀도를 필요로 하며 따라서 제조비용을 증가시킨다. 또한, 저장 유리병(3)과 시일 링(2)사이의 밀착으로 인하여 제 2 물질(6)을 해제하기 위하여 푸시 바를 내리누르기 어렵게 될 수도 있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원료들을 수용하는 별도의 저장챔버를 가지는 개선된 음료용기가 제안되어 왔다. 음료용기는 적어도 본체(번호를 붙이지 않음)와 뚜껑 부재(9)를 구비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뚜껑부재(9)는 시일구조(111)와, 2조각의 시일 필름(113)과, 푸시 유리병(push vial)(117)을 구비한다. 시일 구조(111)와 시일 필름(113)은 함께 그 안에 원료들(110)을 수용하는 저장챔버(S')를 형성한다. 음료용기의 경우에, 푸시 유리병(117)을 내리누르고 두 개의 시일 필름(113)모두를 절개함으로써, 원료들(110)은 저장챔버(S')로부터 해제되어 음료용기에 담겨 있는 용액에 혼합된다. 이는 원료들(110)을 수용하는 저장챔버(S')와 푸시 유리병(117)의 형성하기 위하여 상당한 양의 챔버를 필요로 한다. 그 결과, 뚜껑부재(9)는 현재 널리 사용되는 용기로 적합하지 않다. 게다가, 그러한 뚜껑부재(9)는 복잡한 몰딩 공정에 의해 제조되고, 이는 부당히 높은 제조비용을 발생시킨다. 원료들(110)을 저장하기 위하여 2조각의 시일 필름(113)을 채용하는 것도 또한 귀찮고 실행에 불편하다. 그리하여, 부당히 높은 제조 및 조립비용의 문제를 악화시킨다.
도 3은, 용액 등의 제 1 물질(7)과 원료 등의 제 2 물질(8)을 별도로 저장할 수 있는 또 다른 종래의 용기를 나타낸다. 캡(9)을 누르고 당김으로써 제 1 물질(7)은 제 2 물질(8)과 혼합될 수 있다. 혼합된 제 1 및 제 2 물질(7과 8)이 억세스하기 위한 출구(10a)가 캡(9)의 개구(9a)에 규정되어 있다. 용기의 조립에 있어서, 캡(9)이 우선 상부 몸체(11a)에 부착된다. 제 1 및 제 2 걸어맞춤체 (111a, 111b)와 절단부재(10)가 순서대로 상부몸체(11a)에 조립된다. 그런 다음, 조립된 상부 몸체(11a)는 하부 몸체(11b)에 고정되어 용기를 구성하고, 용기는 많은 개개의 부품으로 조립된다. 그러나, 그러한 용기는 타고난 복잡함 때문에 기밀한 시일 효과를 용이하게 제공할 수 없다. 또한, 용기의 조립공정은 매우 복잡하고 시간이 걸린다. 이러한 설계는 현존하는 용기에 적용하기에도 적합하지 않다. 게다가, 복잡한 조립공정의 관점에서 보면, 용기에 저장된 내용물이 한번 사용되고 나면, 반복사용을 위하여 용기에 리필하는 것은 귀찮은 일이다.
상술한 관점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구조를 가지며 제조하기에 용이한, 별도의 저장 챔버를 가지는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재사용할 수 있고, 사용자가 용기에 담겨있는 혼합된 내용물에 억세스하기 편리한, 별도의 저장챔버를 가지는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현존하는 용기에 적용할 수 있는, 별도의 저장챔버를 가지는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담겨있는 내용물이 변질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만족할만한 기밀한 시일을 제공할 수 있는, 별도의 저장챔버를 가지는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별도의 저장챔버를 가지는 용기는, 제 1 물질을 담고있는 본체와, 뚜껑부재와, 기밀부재(airtight member)와, 홀더어셈블리(holder assembly)와, 오프너(opener)를 구비한다.
본체는 제 1 물질을 수용하는 저장챔버와, 저장챔버에 억세스하기 위한 개구를 가진다. 뚜껑부재는 본체와 밀착하여 걸어맞춤된다. 뚜껑부재는 캡과, 캡 근방의 원형 테두리 링과, 캡과 원형 테두리 링 사이에서 캡의 내부에 위치되는 누출방지부재를 포함한다. 기밀부재는 제 1 물질과 혼합되는 제 2 물질을 단단히 캡슐에 싸기 위한 것이다.
홀더 어셈블리는 본체의 개구에 배치된다. 홀더 어셈블리는 외부부분과 내부부분을 포함한다. 외부부분은, 외부 축구멍과, 제 1 물질이 유출 또는 누출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쇼울더와 누출방지부재를 밀착시키면서 본체위에 외부부분이 놓여지도록 하는 쇼울더를 가진다. 내부부분은 내부 축구멍을 가진다. 내부부분은 외부부분의 외부 축구멍에 동축으로 걸어맞춤된다. 기밀덮개의 에지는 내부와 외부부분 사이에서 안정되게 협착된다. 내부 및 외부부분은, 그 고정된 상호관계를 확보하고 기밀덮개를 유지하기 위한 보강재를 제공하는 위치결정 부분을 각각 구비한다.
오프너는 내부부분에 동축으로 배치된다. 오프너는 그 최상단 부근에 가압부분과, 그 바닥 부근에 기밀부재를 절개하기 위한 실절단부(active cutting porti on)와, 기밀부재가 완전히 떨어져 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실절단부에 인접하는 휴면부(inactive dull portion)와, 그 안에 규정된 관통구멍을 포함한다. 관통구멍은 내부 축구멍, 개구 및 저장챔버와 소통된다. 가압부분이 내부부분의 최상단에 접촉하게 되는 지점까지 가압부분이 눌려지면, 기밀부재는 절단부분에서 절개됨으로써, 개방된 기밀부재는 홀더에 부착된 채로, 제 2 물질의 캡슐화를 해제하여 제 1 및 제 2 물질이 혼합되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장점, 및 새로운 특징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6, 특히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별도의 저장챔버를 가지는 용기는, 그 안에 제 1 물질(30)을 수용하는 본체(20)와, 그 본체(20)에 단단히 걸어맞춤되는 뚜껑부재(40)와, 제 2 물질(80)의 캡슐화를 위한 기밀부재(60)와, 그 안에 기밀부재(60)를 유지하기 위한 홀더 어셈블리(50)와, 제 2 물질(80)의 캡슐화를 해제하기 위한 오프너(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체(20)는 제 1 물질(30)을 수용하는 저장챔버(S)를 규정하는 수용부(20a)와, 수용부(20a)의 상부 부분에 인접한 목부(neck portion)(20b)와, 저장챔버(S)와 소통하는 개구(20c)를 구비한다. 제 1 쓰레드(20d)는 목부 (20b)의 바깥 면에 규정되어 있다. 제 1 물질은 가스 상태, 고체상태, 액체상태, 또는 그 임의의 조합상태일 수 있다.
뚜껑부재(40)는 캡(40a), 캡(40a)에 인접한 원형 테두리(40b), 제 2 쓰레드 (40c), 캡(40a)의 내부에 배치된 원형 누출방지부재(40d)를 구비한다. 누출방지부재(40d)는, 캡(40d)과 개구(20c)사이에 기밀접촉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캡(40a)의 내부표면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체(20)의 제 1 쓰레드(20d)와 쓰레드 결합을 위하여, 제 2 쓰레드(40c)는 뚜껑부재(40)의 내부표면에 규정되어 있다.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홀더 어셈블리(50)는 외부부분(51)과 내부부분(53)을 구비한다. 내부부분(53)은 외부부분(51)과 탈착가능하게 동축으로 배치된다. 조립된 내부 및 외부부분(53, 51)은 본체(20)의 개구에 수용된다. 외부부분(51)은 제 1 걸어맞춤부(51a), 쇼울더(51b), 외부 축구멍(51d), 및 2개의 제 1 위치결정부 (51e)를 구비한다(도 4 참조). 외부부분(51)이 목부(20b)에 고정적으로 걸어맞춤되도록 하기 위하여, 제 1 걸어맞춤부(51a)는 외부부분(51)의 외부면에 형성되고, 점 돌출부로부터 이격된 형상으로 되어 있다. 다른 한편으로는, 본 발명을 목부를 가지지 않는 본체에 적용하는 경우에는 외부부분(51)은 개구(20c)에 걸어맞춤될 수도 있다. 다른 한편, 제 1 걸어맞춤부(51a)는 접촉하거나 이격된 플랜지, 돌출블록, 또는 임의의 다른 구성일 수도 있다. 돌출부의 수나 제 1 걸어맞춤부(51a)의 구조는 단지 설명을 위하여 예시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외부부분(51)의 최상단에 형성된 쇼울더(51b)는 바깥쪽으로 뻗어 있고, 홀더 어셈블리(50)가 쇼울더(51b)를 통하여 본체(20)의 목부(20b)에 놓여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쇼울더(51b)는 뚜껑부재(40)의 누출방지부재(40d)와 밀착하여 본체 (20)에 담겨있는 제 1 물질이 개구(20c)를 통하여 누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외부부분(51)에 규정된 외부 축구멍(51d)은 둥근 형상이다. 외부 축구멍(51d)은 제 1 및 제 2 물질(30, 80)의 혼합물이 자유로이 통과하여 유동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제 1 위치결정부(51e)는 외부부분(51)의 바닥과 내면 모두에 각각 배치된다. 제 1 위치결정부(51e)는 일반적으로 이격된 오목부의 형상을 갖는다. 여기에서 설명한 제 1 위치결정부(51e)의 수와 구조는 단지 설명을 위하여 예시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내부부분(53)은 제 1 위치결정부(51e)에 상응하는 2개의 제 2 위치결정부 (53a)와 그 안에 마련된 원형 내부 축구멍(53b)을 구비한다. 내부 축구멍(53b)은 개구(20c) 및 저장챔버(S)와 소통된다. 제 2 위치결정부(53a)는 일반적으로 제 1 위치결정부(51e)와의 단단한 걸어맞춤을 위하여 내부부분(53)의 외부 표면에 형성된 이격된 돌출부의 형상을 하고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내부부분(53)은 걸어맞춤되어 외부부분(51)에 수용되어, 내부 및 외부부분(53과 51) 사이에 기밀부재(60)의 테두리부를 수용하는 간극이 형성된다. 제 1 위치결정부(51e)와 제 2 위치결정부(53a)와의 걸어맞춤으로 인하여, 내부부분(53)은 외부부분(51)에 대하여 회전할 수 없게 되어 있다. 기밀부재(60)의 테두리부의 영역은 제 1 위치결정부(51e)과 제 2 위치결정부(53a)사이에 협착되고, 그 나머지는 간극에 수용된다. 결과적으로, 기밀부재(60)는 홀더 어셈블리(50)에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내부부분(53)의 내부 축구멍(53b)은 제 1 및 제 2 물질의 혼합물이 자유로이 통과하여 유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내부 축구멍(53b)의 형상은 단지 설명을 위하여 예시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기밀부재(60)는 제 2 물질(80)을 캡슐화하는 수용부(60a)를 구비한다. 수용부(60a)는 적어도 하나의 물질을 별도로 수용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밀부재(60)는, 알루미늄 포일, 플라스틱 필름, 및 종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재료로 제조된 것이 바람직하다. 양자택일적으로는, 제 2 물질(80)은 가스상태, 액체상태, 고체상태, 또는 그 임의의 혼합상태인 것일 수 있다.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오프너(70)는 홀더 어셈블리(50)의 내부부분 (53)에 미끄럼가능하게 동축으로 수용된다. 오프너(70)는, 그 최상단에 가압부 (70a)와, 그 바닥에 실절단부(70b)와, 실절단부(70b) 사이에 위치되어 있는 휴면부 (inactive dull portion)(70c)와, 관통구멍(70d)을 구비한다. 관통구멍(70d)은 개구(20c), 내부 축구멍(53b), 및 저장챔버(S)와 소통된다. 가압부(70a)는 반구 (semi-spherical)형 돌출부 형상으로 되어 있다. 가압부(70a)와 내부부분(53)의 최상단 사이의 거리는 실절단부(70b)와 기밀부재(60)사이의 거리보다 크다.
실절단부(70b)는, 기밀부재(60)를 관통·절개하여 제 2 물질(80)을 해제하여 제 1 물질(30)과 혼합되도록 하는 복수의 뾰족한 첨단을 구비한다. 여기서 실절단부(70b)의 구조는 단지 설명을 위하여 예시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휴면부는 기밀부재가 완전히 떨어져 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임을 알 수 있다.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시에, 사용자는 단순히 오프너(70)의 가압부(70a)를 누르면, 오프너(70)의 실절단부(70b)에 상응하는 기밀부재(60)의 제 1 부분이 뾰족한 첨단에 의해 절개된다. 그런 다음, 제 2 물질(80)이 떨어져 내려서 제 1 물질(30)에 혼합되고, 오프너(70)의 휴면부(70c)에 상응하는 기밀부재(60)의 제 2 부분은 여전히 비접촉인 상태이고, 따라서 기밀부재(60)의 제 2 부분은 홀더 어셈블리에 의해서 유지된다. 이로써 제 1 실시예의 설명을 마친다.
도 7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별도의 저장챔버를 가지는 용기는, 제 1 물질을 수용하는 본체(20')와, 그 본체(20')에 단단히 걸어맞춤되는 뚜껑부재(40')와, 제 2 물질(80')의 캡슐화를 위한 기밀부재(60')와, 기밀부재(60')를 위치에 유지하기 위한 홀더 어셈블리(50')와, 제 2 물질(80')의 캡슐화를 해제하기 위한 오프너(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른 부분들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용기 시스템에서의 부분과 동일 또는 동등한 것이다. 여기서 같은 부분에 대하여는 같은 참조번호를 붙이고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함을 주의해야 한다.
제 2 실시예의 용기의 구조의 대부분은 제 1 실시예의 용기와 비슷하다. 제 2 실시예에서의 차이점은, 홀더 어셈블리(50c')가 외부부분(51')의 바닥에 형성된 복수의 이격된 제 1 메이팅부(mating portion)(51c')를 더욱 구비하며(도 7 내지 도 10 참조), 이 제 1 메이팅부(51c')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외부부분 (51')의 바닥에 균등하게 배치된 4개의 중공부(도 8 참조)로서 나타내었다. 홀더 어셈블리(50c')의 내부부분(53')은 그 외부표면에 복수의 제 2 메이팅부(53c')를 구비하며, 이는 내부부분(53')의 바닥으로부터 아래쪽으로 경사지게 뻗어있는 탭으로 나타내었고 외부부분(51')의 제 1 메이팅부(51c')와 걸어맞춤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메이팅부(51c', 53c')사이의 걸어맞춤에 의하여, 기밀부재(60')에 수용된 제 2 물질(80')는 홀더 어셈블리(50c')에 유지될 수 있다. 그 사이의 걸어맞춤이 본체(20')의 저장챔버(S')로 떨어지지 않게 기밀부재(60')를 위치에 확실히 고정할 수 있는 한, 제 1 및 제 2 메이팅부(51c', 53c')의 수와 형상은 유연하게 조정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오프너(70')는 홀더 어셈블리(50')의 최상단과 실질적으로 같은 높이인 가압부(70a')를 구비한다. 가압부(70a')는 일반적으로 내리누르기 용이하도록 반구형 오목부이다. 가압부(70a')와 뚜껑부재(40')의 바닥 사이의 거리는 실절단부(70b')와 기밀부재(60')사이의 거리보다 크다. 제 2 실시예의 본체 (20')는 목부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제 1 실시예의 본체(20)와 유사하다. 누출방지부재(40d')는 일반적으로 뚜껑부재(40')의 내부에 배치된 누출방지막이다. 제 2 실시예의 용기의 작동은 제 1 실시예의 용기와 유사하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사상에 따라 당업자에게 알려진 동등한 변경예 및 변화는 첨부된 청구항에 규정된 본 발명의 범위 내로 생각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간단한 구조를 가지며 제조하기에 용이한, 별도의 저장 챔버를 가지는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재사용할 수 있고, 사용자가 용기에 담겨있는 혼합된 내용물에 억세스하기 편리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현존하는 용기에 적용할 수 있는, 별도의 저장챔버를 가지는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담겨있는 내용물이 변질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만족할만한 기밀한 시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종래기술)은 별도의 저장챔버를 가지는 종래의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2(종래기술)는 다른 종래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3(종래기술)은 다른 종래 용기의 부분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별도의 저장챔버를 가지는 용기의 부분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용기의 부분확대 조립도이며, 도 5에 원으로 나타낸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4의 용기의 개략적인 부분단면도로서, 절단부재가 완전히 아래로 눌려진 것을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별도의 저장챔버를 가지는 용기의 부분확대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외부부분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내부부분의 아이소메트릭이다.
도10은 도 7의 용기의 부분단면 조립도이고, 도 10에 원으로 나타낸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다.
도 11은 도 7의 용기의 개략적인 부분단면도로서, 절단부재가 완전히 아래로 눌려진 것을 나타낸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본체 40 : 뚜껑부재
60 : 기밀부재 50 : 홀더 어셈블리
70 : 오프너 S : 저장챔버
20a : 수용부 20b : 목부
20c : 개구 20d : 제 1 쓰레드
40a: 캡 40b : 원형 테두리
40c : 제 2 쓰레드 40d : 누출방지부재
51 : 외부부분 53 : 내부부분
51a : 제 1 걸어맞춤부 51b : 쇼울더
51d : 외부 축구멍 51e : 제 1 위치결정부
70a : 가압부 70b : 실절단부
70c : 휴면부 70d : 관통구멍

Claims (20)

  1. 제 1 물질을 수용하는 저장챔버와, 이 저장챔버와 소통하는 개구를 가지는 본체와,
    본체와 밀착하여 걸어맞춤되는 뚜껑부재로서, 캡과, 캡 근방의 원형 링과, 캡에 연결되고 원형 링에 둘러싸인 누출방지부재를 구비하는 뚜껑부재와,
    제 1 물질과 혼합되는 제 2 물질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를 가지는 기밀부재와,
    홀더 어셈블리는 본체의 개구에 배치되며, 외부부분과 외부부분의 외부 축구멍에 동축으로 걸어맞춤되는 내부부분을 구비하며, 기밀부재가 내부부분의 내부 축구멍을 밀봉하여 홀더 어셈블리에 고정되도록 하는 홀더 어셈블리로서, 외부부분은, 본체를 가로질러 형성된 쇼울더를 가지며, 제 1 물질이 개구를 통하여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뚜껑부재가 본체와 걸어맞춤될 때, 쇼울더가 누출방지부재에 대향하여 밀착하도록 하도록 하는 홀더 어셈블리와,
    홀더 어셈블리의 내부부분에 동축으로 배치되는 오프너로서, 그 최상단 부근에 가압부분과, 그 바닥 부근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실절단부와, 실절단부에 인접하는 적어도 하나의 휴면부와, 저장챔버, 개구, 및 내부 축구멍과 소통되는 관통구멍을 구비하는 오프너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가압부가 홀더 어셈블리의 내부부분의 바닥에 접촉하게 되는 지점까지 눌려지면, 실절단부는 휴면부에 의해 한정되는 기밀부재의 소정부분을 절개하여, 제 2 물질이 제 1 물질과 혼합되는 저장챔버에 제 2 물질을 해제하고, 기밀부재가 저장챔버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별도의 저장챔버를 가지는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또는 제 2 물질은 가스, 액체, 고체, 및 그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3. 제 1 항에 있어서, 누출방지부재는, 캡과 일체로 형성된 링 형상부재와 누출방지막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4. 제 1 항에 있어서, 기밀부재는, 알루미늄 포일, 플라스틱 필름, 및 종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5. 제 1 항에 있어서, 홀더 어셈블리의 외부부분은 그 외부표면에 배치된 복수의 제 1 걸어맞춤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제 1 걸어맞춤부는 인접하게 배치되거나 서로 이격하여 배치되고, 플랜지, 돌출블록, 거친 구조 및 점 융기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7. 제 1 항에 있어서, 홀더 어셈블리의 외부부분의 외부 축구멍은 원형 형상이고, 쇼울더는 외부부분의 최상단에 형성되어 본체를 가로질러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8. 제 1 항에 있어서, 홀더 어셈블리의 외부부분은 그 내부면에 형성된 복수의 이격된 제 1 메이팅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제 1 위치결정부가 중공부로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홀더 어셈블리의 외부부분은 그 내부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 1 위치결정부를 구비하며, 내부부분은 그 외부면에 형성되며 위치에 있어서 제 1 위치결정부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위치결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제 1 위치결정부는 오목부이고, 제 2 위치결정부는 제 1 위치결정부에 걸어맞춤되는 돌출부이며, 제 1 위치결정부와 제 2 위치결정부 사이에 기밀부재가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12. 제 10 항에 있어서, 제 1 위치결정부는 돌출부이고, 제 2 위치결정부는 제 1 위치결정부에 걸어맞춤되는 오목부이며, 제 1 위치결정부와 제 2 위치결정부 사이에 기밀부재가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13. 제 10 항에 있어서, 제 1 위치결정부는 외부부분의 바닥에 위치하고, 제 2 위치결정부는 내부부분의 바닥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14. 제 8 항에 있어서, 홀더 어셈블리의 내부부분은 내부부분을 위치에 안정되게 하기 위하여 외부부분의 제 1 메이팅부에 걸어맞춤되는 복수의 제 2 메이팅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제 2 메이팅부는 아래쪽으로 경사진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16. 제 1 항에 있어서, 내부부분의 내부 축구멍은 저장챔버와 본체의 개구에 소통되며, 혼합된 제 1 및 제 2 물질이 저장챔버와 개구로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17. 제 1 항에 있어서, 가압부는 오프너의 최상단에 반구형 돌출부의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18. 제 1 항에 있어서, 가압부는 오프너의 최상단에 반구형 오목부의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19. 제 1 항에 있어서, 실절단부는 복수의 첨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20. 제 19 항에 있어서, 휴면부는 서로 인접한 2개의 첨단 사이에 배치되며, 기밀부재의 소정 부분이 실절단부에 의해 절개되도록 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KR1020030065089A 2003-09-19 2003-09-19 별도의 저장챔버를 가지는 용기 KR200500286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5089A KR20050028605A (ko) 2003-09-19 2003-09-19 별도의 저장챔버를 가지는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5089A KR20050028605A (ko) 2003-09-19 2003-09-19 별도의 저장챔버를 가지는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8605A true KR20050028605A (ko) 2005-03-23

Family

ID=37385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5089A KR20050028605A (ko) 2003-09-19 2003-09-19 별도의 저장챔버를 가지는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2860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4878B1 (ko) * 2008-06-30 2013-08-08 이엘씨 매니지먼트 엘엘씨 다구획 와이퍼-어플리케이터 패키지
KR200471613Y1 (ko) * 2012-08-24 2014-03-06 김수성 튜브식 용기의 마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4878B1 (ko) * 2008-06-30 2013-08-08 이엘씨 매니지먼트 엘엘씨 다구획 와이퍼-어플리케이터 패키지
KR200471613Y1 (ko) * 2012-08-24 2014-03-06 김수성 튜브식 용기의 마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66903B1 (en) Container having separate storage chambers
US8215481B1 (en) Container closure for retaining an additive material
EP1968866B1 (en) Cap assembly having storage chamber for secondary material with inseparable working member
US3968872A (en) Device, provided with a puncher and a dripper, for the hermetic sealing of containers
US4177938A (en) Container with mixing cartridge
JP3564032B2 (ja) 複数種類の異なる物質を分離収納する容器デバイス
FI67818B (fi) Tvaokomponentfoerpackning foer haellbara aemnen
US20070170142A1 (en) Bottle cap
JP5005201B2 (ja) 混合栓
CN102083708A (zh) 用于独立混合的容器盖及其使用方法
US20080237235A1 (en) Resealable beverage container
JPH0678282U (ja) 2種類の収納物を混合するための容器
KR20050028605A (ko) 별도의 저장챔버를 가지는 용기
KR200362397Y1 (ko) 스포이트 타입 화장품 용기
JP5010912B2 (ja) 内容物混合装置
KR20180137173A (ko)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
KR20180040244A (ko) 내용물용기의 교체가 용이한 화장품용기
AU2003248053A1 (en) Container having separate storage chambers
BE1015692A3 (nl) Container met afzonderlijke voorraadkamers.
JPH04132069U (ja) 混合する物質を収容する容器用キヤツプ
CN212401891U (zh) 一种包装容器
KR100300855B1 (ko) 이종제품의 분리보관 및 혼합사용이 가능한 용기
KR100467265B1 (ko) 염색약 충진용 이중튜브
JP3101287U (ja) 分離貯蔵構造を備える容器装置
KR200322753Y1 (ko) 성분이 다른 내용물을 분리보관 및 혼합사용이 가능한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