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28426A - 차량의 배터리 수납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배터리 수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28426A
KR20050028426A KR1020030064658A KR20030064658A KR20050028426A KR 20050028426 A KR20050028426 A KR 20050028426A KR 1020030064658 A KR1020030064658 A KR 1020030064658A KR 20030064658 A KR20030064658 A KR 20030064658A KR 20050028426 A KR20050028426 A KR 200500284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guide
fixing
vehicle
guide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46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13552B1 (ko
Inventor
송부근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646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3552B1/ko
Publication of KR200500284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84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35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355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4Arrangement of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배터리 수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저부에 배터리가 마련된 대형차량의 배터리 수납장치를 개선하여, 고정레버의 회동에 따라 잠금 및 해제되도록 함으로서 슬라이딩방식으로 배터리를 용이하게 고정 혹은 인출시키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배터리(500)가 안착되는 수납부(100)와; 상기 수납부(100)의 저면에 고정된 가이드레일(200)과; 상기 가이드레일(200)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레일(200)을 일정구간 안내하도록 차체(600)에 고정된 가이드(300)와; 상기 수납부(100)의 저면에 마련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가이드레일(200)을 가이드(300) 상의 소정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수단(400)으로 구성되어, 배터리의 점검 및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비석 및 지상의 돌출물에 의한 충격이나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어 작업자의 편의성 및 차량의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의 배터리 수납장치 {Apparatus for loading a battery for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의 배터리 수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저부에 배터리가 마련된 대형차량의 배터리 수납장치를 개선하여, 고정레버의 회동에 따라 잠금 및 해제되도록 함으로서 슬라이딩방식으로 배터리를 용이하게 고정 혹은 인출시키기 위한 장치로써, 배터리의 점검 및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비석 및 지상의 돌출물에 의한 충격이나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어 작업자의 편의성 및 차량의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차량의 배터리 고정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엔진의 시동, 점화, 조명 및 기타 전장품을 동작하기 위한 전원으로 배터리가 장착되며, 특히, 화물 차량 또는 대형 차량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20)의 측면에 지지 고정된 수납부(30) 내에 배터리(10)가 수납된다.
그러나, 상기의 일반적인 차량의 배터리 고정장치와 같이 캐빈(50)이나 카고박스(40)의 하측 차체(20) 측면에 배터리(10)가 마련된 경우, 배터리(10)의 상태를 확인하거나 증류수를 보충하고자 할 때 작업공간이 충분치 않아, 작업자는 무거운 배터리(10)를 직접 내리거나 올려야 하기 때문에, 배터리(10)를 점검하는데 많은 불편함이 발생하게 된다.
도 2는 종래의 차량의 배터리 수납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차량의 배터리 고정장치에서 발생하는 배터리 점검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배터리 수납장치가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종래의 차량의 배터리 수납장치는 배터리(10) 수납부(30)를 차체(20)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장착한 후에 점검이 필요한 경우에는 수납부(30)를 차량 외측으로 인출한 후에 점검하게 되며, 작업이 끝난 후에는 다시 수납부(30)를 차량 하부로 밀어 넣어 보관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종래의 차량의 배터리 수납장치는 배터리 수납부의 인출과 인입을 제어하기 위하여 별도의 고정볼트를 이용하기 때문에 이러한 고정볼트를 풀거나 조여야만 배터리의 수납이 가능하다는 불편함이 있으며, 장기간 사용시 배터리 수납부의 슬라이딩 부위가 이물질 등에 의해 오염되어 슬라이딩을 통한 인출 또는 인입 작업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특히, 군용 차량의 경우에는 비포장 도로를 주행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게 되므로, 이물질에 의한 오염이 더욱 심화될 수가 있으며, 비포장 도로 주행 시 지상 돌출물이나 돌멩이가 튀는 비석에 의하여 배터리가 손상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대형차량의 배터리 수납장치에 마련된 고정레버의 회동에 따라 추가로 마련된 베어링을 통하여 슬라이딩방식으로 배터리를 손쉽게 수납할 수 있어, 배터리의 점검 및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외측 및 하측에 추가 마련된 보호패널을 통하여 비석 및 지상의 돌출물에 의한 충격이나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어 작업자의 편의성 및 차량의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차량의 배터리 수납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배터리가 안착되는 수납부와; 상기 수납부의 저면에 고정된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레일을 일정구간 안내하도록 차체에 고정된 가이드와; 상기 수납부의 저면에 마련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가이드레일을 가이드 상의 소정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수단으로 구성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차량의 배터리 수납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4는 배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차량의 배터리 수납장치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차량의 배터리 수납장치에 대한 베어링을 도시하는 배면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차량의 배터리 수납장치에 대한 베어링의 설치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8은 본 발명의 차량의 배터리 수납장치에 대한 베어링의 설치예를 도시하는 정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차량의 배터리 수납장치에 대한 하측보호패널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차량의 배터리 수납장치는 도 3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500)가 안착되는 수납부(100)와; 상기 수납부(100)의 저면에 고정된 가이드레일(200)과; 상기 가이드레일(200)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레일(200)을 일정구간 안내하도록 차체(600)에 고정된 가이드(300)와; 상기 수납부(100)의 저면에 마련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가이드레일(200)을 가이드(300) 상의 소정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수단(400)으로 구성되는 것을 그 기술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 3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차량의 배터리 수납장치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빈이나 카고박스 등의 하측인 새시 프레임 등의 차체(600) 측면 저부에 배터리(500)가 수납된 수납부(100)가 박스형태로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수납부(100)의 저면에는 차량의 측방향으로 두 개 이상의 가이드레일(200)이 평행하게 고정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레일(20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레일(200)을 일정구간 안내할 수 있는 가이드(300)는 차체(600)에 고정 지지된다.
따라서, 상기 수납부(100)는 상기 가이드레일(200)과 가이드(300)에 의하여 차량의 측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인출 및 인입이 가능한 것이다.
이때, 작업자가 상기 배터리(500)가 안착된 수납부(100)의 인출 및 인입을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수납부(100)의 하측에는 고정수단(400)이 추가로 마련되어 있으며, 이러한 고정수단(400)은 작업자가 별도의 공구 없이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어야 할 뿐 아니라, 작업자의 제어에 따라 배터리(500) 수납부(100)의 유동을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어야 한다.
본 발명의 차량의 배터리 수납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400)에 대한 적절한 실시예로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납부(100)의 저면에 지지되며 일측에 외부로 돌출 절곡된 손잡이(411)가 마련되어 소정 각도 회동 가능한 고정레버(410)와; 상기 고정레버(410)의 타측 외주연에 마련되어 이를 일방향으로 회동하도록 탄성 지지하는 탄성체(420)와; 상기 고정레버(410)의 중단에 돌출 형성된 고정돌기(430)와; 상기 가이드(300)의 양단에 위치하며, 중앙을 향하여 경사면(441)이 형성되고, 선택적으로 상기 고정돌기(430)가 삽입되어 수납부(100)의 유동을 제한 가능한 고정홈(44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수납부(100)의 저부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레버(410)가 회동 가능하도록 횡방향으로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레버(410)의 외측단부는 직각으로 절곡되어 손잡이(411)가 형성되어 있어, 작업자가 상기 손잡이(411)를 잡고 고정레버(410)를 소정각도 용이하게 회동시킬 수 있으며, 상기 고정레버(410)의 외주연에는 탄성체(420)가 마련되어, 상기 고정레버(410)가 항시 일방향으로 회동하도록 탄성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레버(410) 중단에는 하나 이상의 고정돌기(430)가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본 발명에 있어서 적절하게는 상기 고정레버(410)의 내측과 외측 중단에 각각 하나씩 형성하는 것이 적절하며, 상기 고정레버(410)의 회동에 따라 상기 고정돌기(430)가 일체로 회동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새시 프레임 등의 차체(600)에 고정되어 있는 가이드(300)에는 상기 고정돌기(430)가 탄성체(420)에 의하여 탄성 지지되는 고정레버(410)와 일체로 회동하게 되면서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배터리(500) 수납부(100)의 유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목하게 고정홈(440)이 절입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홈(440)은 배터리(500) 수납부(100)가 완전히 인입 되었을 때 고정돌기(430)가 고정되는 위치와 배터리(500) 수납부(100)가 완전히 인출되었을 때 고정돌기(430)가 고정되는 위치, 두 곳에 형성하는 것이 본 발명에 있어서 적절하며, 상기 수납부(100)의 인입 및 인출 초기에 고정레버(410)를 소정각도 회동시켜 제어한 후, 상기 고정레버(410)를 놓아도 상기 수납부(100)의 유동에 따라 상기 고정돌기(430)가 상기 고정홈(440)으로 삽입 고정 가능하며, 상기 고정레버(410)의 제어 없이는 상기 고정돌기(430)가 고정홈(440)으로부터 스스로 이탈하지는 못 하도록 상기 고정홈(440)의 내측으로는 각각 경사면(441)을 형성하는 것이 적절하다.
그리고, 상기 수납부(100)는 무거운 배터리(500)가 안착된 상태로 가이드레일(200)과 가이드(300)에 안내되어 빈번하게 슬라이딩되어 인입 및 인출되므로, 슬라이딩되는 접촉부위인 가이드레일(200)과 가이드(300) 사이에는 상기 수납부(100)의 수납에 의하여 발생하는 마찰력이 최소화되도록 하나 이상의 베어링(700)을 추가하는 것이 적절하다.
이때, 본 발명의 차량의 배터리 수납장치에 대한 베어링(700)의 적절한 실시예로는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레일(200)과 가이드(300) 사이에 위치하여 굴곡된 플레이트 형상으로 양측이 절곡되어 플랜지(711)가 형성된 몸체(710)와; 상기 플랜지(711)의 중단에 마련된 두 개 이상의 볼수단(720)과; 상기 몸체(710)의 중앙에 마련된 롤러수단(730)으로 구성되는 것이 적절하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기 베어링(700)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300)와 가이드레일(200) 사이에 삽입됨으로서, 플랜지(711)에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된 볼수단(720)은 상기 가이드(300)와 가이드레일(200)의 날개부분을 상하로 지지하여 원활한 유동이 가능케 하며, 몸체(710) 중앙에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된 롤러수단(730)은 상기 가이드(300)와 가이드레일(200)의 중앙부분을 상하로 지지하여 원활한 유동이 가능케 한다.
따라서, 상기 베어링(700)은 가이드레일(200)과 가이드(300) 사이에 삽입되어, 무거운 배터리(500)가 수납된 수납부(100)를 유동하게 하는 상기 가이드(300)와 가이드레일(200)의 슬라이딩 동작을 내구적으로 원활하게 수행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차량의 배터리 수납장치에 대한 작동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명확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500)가 수납부(100)에 안착하여 상기 수납부(100)가 인입된 상태, 즉 가이드레일(200)과 가이드(300)가 완전히 중첩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도 5의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수단(400)의 고정레버(410)가 탄성체(420)에 의하여 탄성 회동하여 두 개의 고정돌기(430)가 각각 가이드(300)의 두 고정홈(440)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상기 배터리(500) 수납부(100)는 인입된 상태로 고정되어, 차량의 주행 중 수납부(100)가 스스로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만약, 작업자가 배터리(500)의 점검 및 유지보수 등을 위하여 배터리(500) 수납부(100)를 인출하고자 할 때에는, 손잡이(411)를 잡고 고정레버(410)를 소정각도 회동시키게 되면, 이에 따라 도 5의 가상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레버(410)의 중단에 돌출 형성된 두 개의 고정돌기(430)가 각각 고정홈(440)으로부터 이탈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수납부(100)가 인출 가능한 상태로 전환된다.
이후, 작업자가 상기 수납부(100)를 인출시키면서 손잡이(411)를 놓아주게 되면 상기 고정레버(410)는 탄성체(420)에 의하여 회동하여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게 되면서 상기 고정돌기(430)가 가이드(300)에 접촉하게 되며, 상기 수납부(100)를 완전히 인출시키면 상기 고정레버(410)의 내측에 마련된 고정돌기(430)가 도 5의 A에 위치하게 되면 상기 고정홈(440)의 외측에 형성된 고정홈(440)의 경사면(441)과 접촉하였다가 고정홈(440)의 내부로 삽입되면서 고정되어, 상기 수납부(100)의 인출이 완료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수납부(100)는 배터리(500)의 중량이 무겁더라도 가이드(300)와 가이드레일(200) 사이에 추가로 마련된 베어링(700)에 의하여 원활하게 인출이 가능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배터리(500) 수납부(100)를 인출하여 배터리(500)의 유지 보수 및 점검을 완료한 후에는 다시 상기 고정레버(410)의 손잡이(411)를 소정각도 회동시켜 고정레버(410)의 고정돌기(430)를 고정홈(440)으로부터 이탈시킨 후, 상기 수납부(100)를 인입시키면서 상기 손잡이(411)를 놓아주게 되면 상기 고정레버(410)가 탄성체(420)에 의하여 회동하여 다시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게 되면서 상기 고정돌기(430)가 가이드(300)에 접촉하게 되며, 상기 수납부(100)를 완전히 인입시키면 상기 고정레버(410)의 내측에 마련된 고정돌기(430)가 도 5의 B위치에 위치하게 되면 상기 고정홈(440)의 내측에 형성된 고정홈(440)의 경사면(441)과 접촉하였다가 고정홈(440)의 내부로 삽입되면서 고정되어, 상기 수납부(100)의 인입이 완료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배터리(500) 수납부(100)를 인출 또는 인입시키고자 할 때 상기 고정수단(400)을 통하여 상기 수납부(100)의 인출 및 인입이 가능한 상태로 전환 가능하며, 인입과 인출이 완료된 후에는 수납부(100)가 스스로 인입되거나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더불어, 상기 수납부(110)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개구에 차량 주행중 발생하는 비석에 대비한 외측보호패널(810)이 추가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은 외측보호패널(810)은 상기 수납부(100)의 양측에 볼트, 너트 등의 체결수단으로 고정 체결되어 배터리(500)의 교환이나 청소 등의 작업시 상기 수납부(100)로부터 배터리(500)를 용이하게 탈 부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적절하다.
또한, 상기 가이드(300)에는 도 3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가로 마련된 하측보호패널(820)을 통하여 차체(600)에 지지되어, 지상 돌출물에 의한 충격이나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할 수도 있으며, 상기와 같은 하측보호패널(820)은 가이드(300)를 차체에 지지 고정시키는 기본적인 기능 이외에 차량의 주행시 발생하는 흙먼지, 모래 등의 이물질이 슬라이딩 동작하는 가이드(300)와 가이드레일(200) 사이의 접촉부위로 유입되는 것 또한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지상 돌출물로부터 배터리(500)를 보호하는 기능 또한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차량의 배터리 수납장치는 고정레버(410)가 마련된 고정수단(400)을 통하여 배터리(500) 수납부(100)의 인입 및 인출을 슬라이딩 방식으로 용이하게 제어하여 수행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추가로 마련된 보호패널(810, 820)을 통하여 수납부(100)에 대한 슬라이딩 부위에 이물질이 유입되거나, 비석 혹은 지상 돌출물 등에 의한 배터리(500)의 손상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배터리(500)의 유지 보수 및 점검을 손쉽게 수행할 수 있으며, 배터리(500)를 내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대형차량의 배터리 수납장치에 마련된 고정레버의 회동에 따라 추가로 마련된 베어링을 통하여 슬라이딩방식으로 배터리를 손쉽게 수납할 수 있어, 배터리의 점검 및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외측 및 하측에 추가 마련된 보호패널을 통하여 비석 및 지상의 돌출물에 의한 충격이나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어 작업자의 편의성 및 차량의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차량의 배터리 고정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차량의 배터리 수납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차량의 배터리 수납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차량의 배터리 수납장치를 도시하는 배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차량의 배터리 수납장치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차량의 배터리 수납장치에 대한 베어링을 도시하는
배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차량의 배터리 수납장치에 대한 베어링의 설치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차량의 배터리 수납장치에 대한 베어링의 설치예를
도시하는 정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차량의 배터리 수납장치에 대한 하측보호패널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수납부 200 : 가이드레일
300 : 가이드 400 : 고정수단
410 : 고정레버 411 : 손잡이
420 : 탄성체 430 : 고정돌기
440 : 고정홈 441 : 경사면
500 : 배터리 600 : 차체
700 : 베어링 710 : 몸체
711 : 플랜지 720 : 볼수단
730 : 롤러수단 810 : 외측보호패널
820 : 하측보호패널

Claims (5)

  1. 배터리가 안착되는 수납부와;
    상기 수납부의 저면에 고정된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레일을 일정구간 안내하도록 차체에 고정된 가이드와;
    상기 수납부의 저면에 마련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가이드레일을 가이드 상의 소정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배터리 수납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수납부의 저면에 지지되며 일측에 외부로 돌출 절곡된 손잡이가 마련되어 소정 각도 회동 가능한 고정레버와;
    상기 고정레버의 타측 외주연에 마련되어 이를 일방향으로 회동하도록 탄성 지지하는 탄성체와;
    상기 고정레버의 중단에 돌출 형성된 고정돌기와;
    상기 가이드의 양단에 위치하며, 중앙을 향하여 경사면이 형성되고, 선택적으로 상기 고정돌기가 삽입되어 수납부의 유동을 제한 가능한 고정홈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배터리 수납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과 가이드 사이에는
    굴곡된 플레이트 형상으로 양측이 절곡되어 플랜지가 형성된 몸체와;
    상기 플랜지의 중단에 마련된 두 개 이상의 볼수단과;
    상기 몸체의 중앙에 마련된 롤러수단으로 이루어진 베어링이 추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배터리 수납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에는 외측개구에 차량 주행중 발생하는 비석에 대비한 외측보호패널이 추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배터리 수납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에는 추가로 마련된 하측보호패널을 통하여 차체에 지지되어, 지상 돌출물에 의한 충격이나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배터리 수납장치.
KR10-2003-0064658A 2003-09-18 2003-09-18 차량의 배터리 수납장치 KR1005135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4658A KR100513552B1 (ko) 2003-09-18 2003-09-18 차량의 배터리 수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4658A KR100513552B1 (ko) 2003-09-18 2003-09-18 차량의 배터리 수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8426A true KR20050028426A (ko) 2005-03-23
KR100513552B1 KR100513552B1 (ko) 2005-09-07

Family

ID=373853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4658A KR100513552B1 (ko) 2003-09-18 2003-09-18 차량의 배터리 수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3552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7991B1 (ko) * 2007-12-13 2009-05-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배터리 마운팅구조
KR101284315B1 (ko) * 2011-12-01 2013-07-0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전기차량의 배터리 교환시스템
KR101331000B1 (ko) * 2011-12-14 2013-11-20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KR101383364B1 (ko) * 2012-06-21 2014-04-10 한국항공대학교산학협력단 차량 배터리 위치안내장치
KR101383365B1 (ko) * 2012-06-21 2014-04-10 한국항공대학교산학협력단 차량 배터리 위치안내장치
KR101394907B1 (ko) * 2013-04-18 2014-05-14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차량 배터리 위치안내장치
KR101403707B1 (ko) * 2012-06-29 2014-06-05 한국항공대학교산학협력단 차량용 상부 교체형 배터리의 배터리장착부 개폐장치
US9145045B2 (en) 2013-10-29 2015-09-29 Hyundai Motor Company Battery pack holding apparatus
KR102110159B1 (ko) * 2018-12-31 2020-05-20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전기 자동차용 배터리 케이스 유닛
KR20200082933A (ko) * 2018-12-31 2020-07-08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전기 자동차용 배터리 하우징의 수납구조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7991B1 (ko) * 2007-12-13 2009-05-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배터리 마운팅구조
KR101284315B1 (ko) * 2011-12-01 2013-07-0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전기차량의 배터리 교환시스템
KR101331000B1 (ko) * 2011-12-14 2013-11-20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KR101383364B1 (ko) * 2012-06-21 2014-04-10 한국항공대학교산학협력단 차량 배터리 위치안내장치
KR101383365B1 (ko) * 2012-06-21 2014-04-10 한국항공대학교산학협력단 차량 배터리 위치안내장치
KR101403707B1 (ko) * 2012-06-29 2014-06-05 한국항공대학교산학협력단 차량용 상부 교체형 배터리의 배터리장착부 개폐장치
KR101394907B1 (ko) * 2013-04-18 2014-05-14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차량 배터리 위치안내장치
US9145045B2 (en) 2013-10-29 2015-09-29 Hyundai Motor Company Battery pack holding apparatus
KR102110159B1 (ko) * 2018-12-31 2020-05-20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전기 자동차용 배터리 케이스 유닛
KR20200082933A (ko) * 2018-12-31 2020-07-08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전기 자동차용 배터리 하우징의 수납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13552B1 (ko) 2005-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13552B1 (ko) 차량의 배터리 수납장치
US7748775B2 (en) Adjustable rear load floor for a hybrid vehicle
US20110031771A1 (en) Storage trunk in the front of a vehicle
US8196690B2 (en) Industrial truck, in particular a counterweighted fork lift truck
US5979953A (en) Vehicle bumper with integral jack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US6230949B1 (en) Vehicle jack and tool assembly
JP2010209560A (ja) 駐車ロック装置
CN116654119A (zh) 包括可转换工作站的车辆
JP4852467B2 (ja) 建設機械のタンク装置
JP2009257072A (ja) ミックス型駐車装置
CN107585109A (zh) 用于车辆的托架设备
JP2010513139A (ja) 建設機械の上方フレーム下側に取り付けられるコンパートメント
DE202004001879U1 (de) Vorrichtung für ein Fahrzeug, insbesondere gepanzertes Transportfahrzeug
KR101836470B1 (ko) 차량용 러기지 룸의 사이드 트림
JP2002212975A (ja) 建設機械のガード装置
CN114889728B (zh) 单车停靠滑道
CN211228293U (zh) 一种环卫路面养护装置
CN219838608U (zh) 一种集装箱运输车上装车架
CN218991298U (zh) 自动驾驶配送车
KR102414692B1 (ko) 매립형 적재함 리어게이트 지지장치
CN113715923B (zh) 旋转式备用轮胎举升系统
US20230112102A1 (en) Hydrogen tank-loaded vehicle
EP4067216A1 (en) A power unit locking apparatus in a saddle type vehicle
KR200356880Y1 (ko) 이동 정비차량의 개선구조
JP4480593B2 (ja) 車両用サンバイ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0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