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28285A - 칼라 음극선관 - Google Patents

칼라 음극선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28285A
KR20050028285A KR1020030082847A KR20030082847A KR20050028285A KR 20050028285 A KR20050028285 A KR 20050028285A KR 1020030082847 A KR1020030082847 A KR 1020030082847A KR 20030082847 A KR20030082847 A KR 20030082847A KR 20050028285 A KR20050028285 A KR 200500282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dow mask
frame
ray tube
cathode ray
color cath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28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윤
최종언
정평수
Original Assignee
엘지.필립스 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필립스 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필립스 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US10/852,189 priority Critical patent/US7187113B2/en
Priority to CNB2004100644490A priority patent/CN1332412C/zh
Publication of KR200500282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8285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02Electrodes; Screens; Mounting, supporting, spacing or insulating thereof
    • H01J29/06Screens for shielding; Masks interposed in the electron stream
    • H01J29/07Shadow masks for colour television tub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07Shadow masks
    • H01J2229/0716Mounting arrangements of aperture plate to frame or vesse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07Shadow masks
    • H01J2229/0727Aperture plate
    • H01J2229/0766Details of skirt or border
    • H01J2229/0772Apertures, cut-outs, depressions,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07Shadow masks
    • H01J2229/0794Geometrical arrangements, e.g. curvature

Landscapes

  • Electrodes For Cathode-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칼라 음극선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음극선관 동작시 전자빔이 새도우 마스크에 주사되는 면적을 넓힘으로써, 새도우 마스크에 나타나는 온도편차를 줄여 색순도가 개선된 칼라 음극선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칼라 음극선관은 다수의 전자빔 통과홀이 형성된 유공부, 상기 유공부 주위에 전자빔 통과홀이 형성되지 않은 무공부 및 상기 무공부 주위에서 후방으로 절곡된 스커트부를 포함하는 새도우 마스크와, 상기 새도우 마스크를 지지하고 하단부가 내측으로 절곡된 프레임을 갖고 있으며, 상기 프레임의 하단 절곡변 중 단변의 내측으로의 절곡 폭 Da가 식 Da < Ha × La/P + Na 를 만족하는 새도우 마스크 및 프레임 결합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칼라 음극선관{Color Cathode-Ray Tube}
본 발명은 칼라 음극선관용 새도우 마스크 및 프레임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음극선관 동작시 전자빔이 새도우 마스크에 주사되는 면적을 넓힘으로써, 마스크에 나타나는 온도편차를 줄여 색순도가 개선된 새도우 마스크 및 프레임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1은 일반적인 칼라 음극선관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칼라 음극선관은 패널(10)이라고 하는 전면유리와 펀넬(20)이라고 하는 후면 유리가 결합되어 벌브(bulb)형상을 이루고, 패널 내면에는 R, G, B형광체가 도포된 형광면(30)과, 형광면(30)을 발광시키는 전자빔(60)의 근원인 전자총(50)과, 소정의 형광체만을 발광시키도록 색을 선별해주는 새도우 마스크(40) 및, 이를 지지하는 프레임(70)으로 구성된다. 또한, 새도우 마스크(40)와 프레임(70)의 결합체인 프레임 어셈블리를 패널(10)에 결합되도록 해주는 스프링(80)과, 음극선관 동작시 외부 지자계에 영향을 적게 받도록 차폐 역할을 해주는 인너 쉴드(90)가 프레임에 고정된다. 또한, 음극선관 내부는 고 진공으로 되어 있어 외부의 충격에 쉽게 폭축이 일어날 수 있으므로 이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패널(10)의 스커트(Skirt)에 보강 밴드(100)가 장착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칼라 음극선관은 펀넬(20)의 넥크(Neck)부에 내장된 전자총(50)에서 전자빔(60)이 편향요크(110)에 의해 수직, 수평방향으로 편향되어 패널(10) 내면에 형성되어 있는 형광면(30)을 타격하게 된다. 이때, 전자총(50)으로부터 주사된 다수의 전자빔의 전자들 중 약 80%정도가 개구부를 통과하지 못하고 새도우 마스크(40)상에 충격을 주게 되어 열로 변환된다.
도 2는 종래 칼라 음극선관용 새도우 마스크의 1/4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음극선관이 동작되면 전자빔 충돌로 인한 새도우 마스크에 온도 분포가 다르게 나타난다. 새도우 마스크의 온도는 마스크 중심부에서 가장 높게 나타나고, 코너부에서 가장 낮게 나타난다. 새도우 마스크의 코너부 온도가 가장 낮은 것은 코너부가 프레임과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열이 프레임을 통하여 제거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온도편차가 나타나는 이유는 새도우 마스크(40)의 스커트부가 프레임(70)과 코너부에서 접하므로 열전도 현상에 의해 새도우 마스크(40)에서 발생되는 열 중 주변부의 열은 프레임을 통해 외부로 전도되기 때문에 나타나는 것이다. 이러한 새도우 마스크(40)의 온도 편차는 도밍(doming)에 의한 랜딩에러를 발생시킨다.
상술한 도밍 현상이란 상기 온도 편차에 의한 열팽창량이 새도우 마스크의 위치마다 달라짐에 따라 새도우 마스크가 부분적으로 처지는 현상으로, 새도우 마스크의 중앙부의 열팽창량이 주변부의 변화량보다 커지는 현상을 말한다.
도 3a는 종래 칼라 음극선관에 있어서, 전자빔이 새도우 마스크 충돌에 의해 나타나는 새도우 마스크의 도밍 현상을 나타낸 것이고, 도 3b는 도 3a에 따른 전자빔이 미스 랜딩량의 시간에 따른 변화를 그래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자총에서 나온 전자빔(60)에 의해 새도우 마스크(40)는 불균일한 팽창을 하게 되어 전자빔의 미스랜딩이 발생한다. 도 3b를 살펴보면, 음극선관의 전원을 입력한 초기 순간에는 새도우 마스크의 열 변형에 의한 미스랜딩이 발생하여 그 양이 증가하는 형태로 나타나다가 새도우 마스크를 지지하는 프레임에 전달되어 프레임이 팽창하게 되는데, 이 때 다시 새도우 마스크의 위치 변화 및 변형을 초래하여 미스랜딩량이 변화하게 된다. 즉, 새도우 마스크의 열 변형에 의한 미스랜딩량은 증가하는 양(+)의 방향으로 진행하다가, 프레임의 열 팽창 후에는 다시 미스랜딩량이 감소한다. 이와 같은 미스랜딩의 변화량은 시간에 따라 색순도를 저하시키고, 또한 음극선관의 랜딩을 맞추기 위한 작업시간에 따라 랜딩이 변하고 작업성이 불리하게 된다.
도4는 종래 새도우 마스크와 프레임의 결합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새도우 마스크(40)와 프레임(70)의 결합구조는 프레임의 바닥부가 새도우 마스크 주변부인 무공부에 전자빔(60)이 주사되는 경로를 막고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는 새도우 마스크(40)의 중심부와 주변부 간에 온도 편차를 크게 하여 불균일한 열팽창을 가져오게 되고, 새도우 마스크에 도밍이 발생하여 전자빔의 미스랜딩이 심하게 나타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한편, 종래 새도우 마스크(40)는 열 팽창율이 높은 AK(Al-killed steel)재 보다는 열 팽창율이 낮은 인바재(Invariable Alloy)를 사용하여 마스크 도밍으로 인한 전자빔의 미스랜딩량을 보정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인바재는 미스랜딩량을 보정하는데 있어서는 큰 효율을 가져오지만 값이 고가인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음극선관 동작시 새도우 마스크의 중심부와 주변부 간의 온도 편차로 인해 발생하는 전자빔의 미스랜딩을 최소화하기 위한 칼라 음극선관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새도우 마스크의 미스랜딩 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전자빔이 주사되는 면적이 최적화된 칼라 음극선관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새도우 마스크 재질을 저가(低價)의 AK(Al-killed steel)강을 적용하여 마스크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는 칼라 음극선관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제1 특징에 관한 칼라 음극선관은 다수의 전자빔 통과홀이 형성된 유공부, 상기 유공부 주위에 전자빔 통과홀이 형성되지 않은 무공부 및 상기 무공부 주위에서 후방으로 절곡된 스커트부를 포함하는 새도우 마스크와, 상기 새도우 마스크를 지지하고 하단부가 내측으로 절곡된 프레임을 갖고 있으며, 상기 프레임의 하단 절곡변 중 단변의 내측으로의 절곡 폭 Da가 식 Da < Ha × La/P + Na 를 만족하는 새도우 마스크 및 프레임 결합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 특징에 따르면, 프레임의 하단 절곡변중 단변의 내측으로의 절곡 폭 Da를 줄임으로써, 음극선관 동작시 전자빔이 새도우 마스크에 주사되는 면적을 넓히도록 한다. 이로써, 새도우 마스크의 중심부와 주변부간의 온도편차를 줄여 도밍 현상을 개선할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는 새도우 마스크의 중심부와 주변부의 열팽창량의 차이를 줄임으로써 미스랜딩량을 감소시킬 수 있고, 음극선관의 색순도가 개선된다.
본 발명의 제2 특징에 관한 칼라 음극선관은 다수의 전자빔 통과홀이 형성된 유공부, 상기 유공부 주위에 전자빔 통과홀이 형성되지 않은 무공부 및 상기 무공부 주위에서 후방으로 절곡된 스커트부를 포함하는 새도우 마스크와, 상기 새도우 마스크를 지지하고 하단부가 내측으로 절곡된 프레임을 갖고 있으며, 상기 프레임의 하단 절곡변 중 장변의 내측으로의 절곡 폭 Db가 식 Db < Hb × Lb/P + Nb 를 만족하는 새도우 마스크 및 프레임 결합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 특징에 따르면, 프레임의 하단 절곡변중 장변의 내측으로의 절곡 폭 Db를 줄임으로써, 음극선관 동작시 전자빔이 새도우 마스크에 주사되는 면적을 넓히도록 한다. 이로써, 새도우 마스크의 중심부와 주변부간의 온도편차를 줄여 도밍 현상을 개선할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는 새도우 마스크의 중심부와 주변부의 열팽창량의 차이를 줄임으로써 미스랜딩량을 감소시킬 수 있고, 음극선관의 색순도가 개선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를 각 발명에 따라 순서대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새도우 마스크의 장축 방향의 미스랜딩을 감소시키기 위해 마스크와 프레임의 단변측 파라미터들을 최적화한 것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칼라 음극선관용 새도우 마스크 및 프레임 결합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새도우 마스크(40)는 패널 내면에 형성된 형광체 스크린에 대향하여 다수의 전자빔 통과홀이 형성된 유공부(42), 유공부 주위에 전자빔 통과홀이 형성되지 않은 무공부(41) 및 무공부(41) 주위에서 후방으로 절곡된 스커트부(43)를 포함한다. 프레임(70)은 상기 새도우 마스크의 스커트부(43)를 지지하고 평행하게 형성된 측면부(71)와 프레임의 측면부(71)에 연장되어 하단부가 내측으로 절곡되는 바닥부(72)로 이루어진다. 또한, 새도우 마스크 및 프레임 결합구조에서 장축(y)과의 수직하는 변을 장변이라 하고, 단축(x)과의 수직하는 변을 단변이라 한다.
도 5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에 따른 칼라 음극선관용 새도우 마스크 및 프레임 결합구조의 단변부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새도우 마스크 및 프레임 결합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파라미터가 사용된다. 다만, 마스크의 곡면을 거의 평면으로 가정하고 다음 파라미터들을 정의한다.
- La는 상기 새도우 마스크의 전면 중심점으로부터 상기 유공부의 모서리중 단변까지의 길이를 말한다.
- Na는 상기 유공부의 모서리 중 단변으로부터 스커트가 절곡되는 절곡변 중 단변까지의 길이를 말한다.
- P는 전자빔 편향 중심점으로부터 상기 새도우 마스크의 전면 중심점까지의 거리를 말한다.
- Ha는 상기 스커트부가 절곡되는 절곡변 중 단변으로부터 상기 프레임의 하단 절곡변 중 단변까지의 거리를 말한다.
- Da는 상기 프레임의 하단 절곡변중 단변의 내측으로 절곡된 폭을 말한다.
표 1은 상기 Da값을 변화시켜가면서 이에 따른 전자빔의 미스랜딩량을 측정한 결과를 종래의 경우와 비교한 것이다. 도 6은 표 1의 종래 및 본 발명의 프레임 바닥폭에 따른 전자빔의 미스랜딩량을 비교하여 그래프로 나타낸 도면이다.
시간(sec) 종래 본 발명 실험 1 본 발명 실험 2
Da=Ha× La/P+Na Da=Ha× (Na/5+La)/P+4Na/5 Da=Ha× (Na+La)/P
1 미스랜딩량 0.002 0.002 0.001
30 0.037 0.031 0.026
50 0.054 0.045 0.037
80 0.070 0.058 0.047
100 0.079 0.064 0.053
140 0.087 0.069 0.056
180 0.088 0.069 0.055
220 0.085 0.065 0.050
300 0.072 0.051 0.035
600 0.049 0.029 0.012
표 1과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의 경우에는, 전자빔이 유공부 끝단 까지만 도달하고, 프레임의 바닥부에 막혀 마스크의 무공부에 도달되지 않아 불균일한 열팽창으로 인한 미스랜딩이 심하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위 실험의 결과를 고찰하면, 다음의 수학식 1을 만족하는 범위로 Da값을 줄임으로써, 새도우 마스크의 무공부에 전자빔이 도달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음극선관은 종래의 경우보다 새도우 마스크에 전자빔이 방사되는 면적을 넓게 함으로써, 새도우 마스크의 중심부와 주변부의 온도 편차를 줄여 미스랜딩량을 저감할 수 있다.
Da 〈 Ha × La/P + Na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험의 결과를 고찰하면, 다음의 수학식 2를 만족하는 범위로 Da값을 줄임으로써, 무공부의 폭 Na의 4/5 이상까지 전자빔이 방사되도록 한 것이다. 표 1과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Da값이 Ha × (Na/5 + La)/P + 4Na/5 일때, 전자빔이 무공부폭의 4/5지점까지 도달하며, 종래의 새도우 마스크보다 미스랜딩량이 최대 21% 감소됨을 알 수 있다.
Da 〈 Ha × (Na/5 + La)/P + 4Na/5
표 1과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Da값이 Ha × (Na + La)/P 일때, 전자빔이 무공부의 모서리까지 전자빔이 도달하며, 종래의 새도우 마스크보다 미스랜딩량이 최대 36%정도 감소됨을 알 수 있다. 결국, Da값을 줄여감에 따라 무공부 단변에 도달하는 전자빔의 양이 많아짐으로써, 새도우 마스크의 도밍현상은 개선되고, 궁극적으로 미스랜딩량이 줄어들게 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상기 새도우 마스크의 재질을 열팽창율이 인바재보다 큰 AK재로 하더라도, 종래의 인바재를 사용한 것과 비교하여 미스랜딩량이 거의 차이가 없거나 또는 더욱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새도우 마스크의 전자총 대향면에 전자빔 반사물질을 도포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빔 타격에 의한 열 발생을 줄일 수 있고 이는 마스크의 온도 상승을 감소시키게 되고, 결국 미스랜딩량을 더욱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실시형태에서 새도우 마스크 재질을 AK재로 사용하고, 이와 함께 새도우 마스크의 전자총 대향면에 전자빔 반사물질을 도포하면, 미스랜딩 개선에 있어서 보다 향상된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새도우 마스크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새도우 마스크의 스커트부에 홀(44)을 천공하면 열복사가 일어나는 면적을 더욱 줄일 수 있고, 따라서 미스랜딩량을 더욱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커트부에 형성된 홀(44)의 모양은 원, 타원, 직사각형 등의 다양한 모양일 수 있으며,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홀의 일면이 스커트의 선단부(45) 쪽으로 개구되는 경우도 하나의 실시예가 될 수 있다. 특히, 스커트부 중에서 특히 프레임과 대향하는 부분에 홀(44)을 천공함으로써 열복사를 감소시키고, 이에 따른 미스랜딩량의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의 또 다른 변형된 형태에 따르면, 새도우 마스크의 스커트부와 프레임간에 대향하는 면적을 가능한 한 최소한으로 줄임으로써, 열복사량을 감소시킨다. 이에 따라, 마스크의 중심부와 코너부간의 온도 편차에 따른 미스랜딩량을 줄이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마스크의 열전달의 매개가 되는 스커트부 중 프레임과 대향하는 부분의 폭을 줄이기 위해서, 먼저 새도우 마스크의 스커트부의 전체적인 폭을 다양하게 변화시켜 보았다. 도 8a, 8b는 새도우 마스크의 스커트부의 전체적인 폭이 변화됨에 따라 스커트부 중 프레임과 대향하는 면의 폭도 변화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a 및 도 8b는 각각 새도우 마스크의 스커트부의 폭이 상대적으로 큰 경우와 작은 경우의 스커트부의 폭과 스커트부 중 프레임과 대향하는 부분의 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a 및 도 8b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스커트부의 폭이 작아짐에 따라, 이에 대응하여 스커트부 중 프레임과 대향하는 부분의 폭도 줄어든다.
표 2는 새도우마스크의 스커트부의 폭을 변화시켜면서 이에 따른 미스랜딩량을 측정한 결과를 종래의 경우와 비교한 것이다. 도 9는 표 2의 미스랜딩량을 그래프로 도시한 것이다.
구분 스커트부의 폭(mm)
시간(sec) 종래 본 발명
25 15 12 8 5
1 미스랜딩량 0.002 0.002 0.002 0.002 0.002
30 0.034 0.031 0.029 0.026 0.025
50 0.050 0.045 0.041 0.037 0.035
80 0.067 0.058 0.053 0.046 0.044
100 0.077 0.064 0.058 0.050 0.047
140 0.085 0.069 0.062 0.051 0.048
180 0.087 0.069 0.060 0.047 0.044
220 0.084 0.065 0.055 0.040 0.037
300 0.070 0.051 0.040 0.032 0.021
600 0.043 0.029 0.017 0.008 -0.001
표 2와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새도우 마스크의 스커트부의 폭이 작을수록 스커트부와 프레임간의 대향하는 부분의 폭이 작아지고, 이에 따라서 전자빔의 미스랜딩량도 작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표 2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험 결과에 따르면, 특히, 스커트부의 폭이 12mm 이하인 경우에 전자빔의 미스랜딩량이 작아지는 효과가 현저했다. 스커트부의 폭이 12mm 이하인 경우에는 스커트부와 프레임간의 대향하는 부분의 폭은 대략 10mm 이하의 범위에 있었다. 결국, 스커트부와 프레임간의 대향하는 부분의 폭이 대략 10mm 이하의 범위에 있을 때 미스랜딩량이 현저하게 줄어든다고 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변형된 형태에 따른 새도우 마스크의 측면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커트부의 소정의 위치에 프레임과 용접되는 용접부(803)가 형성된 설편부(801)를 설치할 수 있다. 이러한 설편부(801)는 스커트부의 모서리부에 형성된 용접부위를 사용하는 대신에 또는 이와 함께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설편부(801)를 설치함으로써 스커트부 중 프레임과 대향하는 부분의 폭을 더욱 줄일 수 있고, 용접부위가 마스크의 열팽창의 구속점이 되어 마스크의 균일한 열팽창을 방해하는 정도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미스랜딩량은 더욱 감소될 수 있다.
<제2 실시예>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새도우 마스크의 단축 방향의 미스랜딩을 감소시키기 위해 마스크와 프레임의 장변측 파라미터들을 최적화한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칼라 음극선관용 새도우 마스크 및 프레임 결합구조의 장변부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새도우 마스크 및 프레임 결합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파라미터가 사용된다.
- Lb는 상기 새도우 마스크의 전면 중심점으로부터 상기 유공부의 모서리중 장변까지의 길이를 말한다.
- Nb는 상기 유공부의 모서리 중 장변으로부터 스커트가 절곡되는 절곡변 중 장변까지의 길이를 말한다.
- P는 전자빔 편향 중심점으로부터 상기 새도우 마스크의 전면 중심점까지의 거리를 말한다.
- Hb는 상기 스커트부가 절곡되는 절곡변 중 장변으로부터 상기 프레임의 하단 절곡변 중 장변까지의 거리를 말한다.
- Db는 상기 프레임의 하단 절곡변중 장변의 내측으로 절곡된 폭을 말한다.
제2 실시예에 따르면, 다음의 수학식 3를 만족하는 범위로 Db값을 줄임으로써, 새도우 마스크의 장변측 무공부에 전자빔이 도달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음극선관은 종래의 경우보다 새도우 마스크에 전자빔이 방사되는 면적을 넓게 함으로써, 새도우 마스크의 중심부와 주변부의 온도 편차를 줄여 미스랜딩량을 저감할 수 있다.
Db 〈 Hb × Lb/P + Nb
또한, Db값이 Hb × (Nb + Lb)/P 일때, 전자빔이 장변측 무공부의 모서리까지 전자빔이 도달하며, 종래의 새도우 마스크보다 미스랜딩량이 현저히 감소됨을 알 수 있다. 결국, Db값을 줄여감에 따라 무공부에 도달하는 전자빔의 양이 많아짐으로써, 새도우 마스크의 도밍 현상은 개선되고, 궁극적으로 미스랜딩량이 줄어들게 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있어서도, 제1 실시예와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변형, 즉 스커트부에 홀 천공, 스커트부와 프레임간의 대향하는 부분의 폭 한정, 설편부 형성 등의 변형이 가능하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제1 실시예와 관련하여 이미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에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새도우 마스크의 재료로서 AK재 사용, 전자빔 반사 물질이 도포된 경우 등에 동일하게 적용되어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음극선관 동작시 전자빔이 새도우 마스크에 주사되는 면적을 넓혀 새도우 마스크의 불균일한 열팽창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전자빔 미스랜딩을 보정하여 색순도 특성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 열팽창율이 작으면서 고가인 인바재를 대신하여 열팽창율이 크고, 가격이 저가인 AK재를 사용하여 새도우 마스크 제조에 따른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칼라 음극선관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종래 칼라 음극선관용 새도우 마스크의 1/4면을 나타낸 사시도.
도 3a는 종래 칼라 음극선관에 있어서, 전자빔이 새도우 마스크 충돌에 의해 나타나는 새도우 마스크의 도밍 현상을 나타낸 도.
도 3b는 도 3a에 따른 전자빔이 미스 랜딩량의 시간에 따른 변화를 그래프로 나타낸 도.
도 4는 종래 새도우 마스크와 프레임의 결합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
도 5a는 본 발명의 칼라 음극선관용 새도우 마스크 및 프레임 결합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5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칼라 음극선관용 새도우 마스크 및 프레임 결합구조의 단변부를 나타낸 개략도.
도 6은 종래 및 본 발명의 프레임 바닥폭에 따른 전자빔의 미스랜딩량을 비교하여 그래프로 나타낸 도.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새도우 마스크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새도우 마스크의 스커트부의 전체적인 폭이 변화됨에 따라 스커트부 중 프레임과 대향하는 면의 폭도 변화되는 것을 도시한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새도우 마스크의 스커트부의 폭에 따른 미스랜딩량을 그래프로 나타낸 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변형된 형태에 따른 새도우 마스크의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칼라 음극선관용 새도우 마스크 및 프레임 결합구조의 장변부를 나타낸 개략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패널 20: 펀넬
30: 형광면 40: 새도우 마스크
41: 무공부 42: 유공부
43: 스커트부 44: 홀
45: 선단부 50: 전자총
60: 전자빔 70: 프레임
71: 측면부 72: 바닥부
80: 스프링 90: 인너쉴드
100: 보강밴드 110: 편향요크
801: 설편부 803: 용접부

Claims (15)

  1. 다수의 전자빔 통과홀이 형성된 유공부, 상기 유공부 주위에 전자빔 통과홀이 형성되지 않은 무공부 및 상기 무공부 주위에서 후방으로 절곡된 스커트부를 포함하는 새도우 마스크와, 상기 새도우 마스크를 지지하고 하단부가 내측으로 절곡된 프레임을 포함하는 칼라 음극선관에 있어서,
    Da가 식
    Da < Ha × La/P + Na
    를 만족하되,
    여기서, La는 상기 새도우 마스크의 전면 중심점으로부터 상기 유공부의 모서리중 단변까지의 길이이며, Na는 상기 유공부의 모서리 중 단변으로부터 스커트부가 절곡되는 절곡변 중 단변까지의 길이이며, P는 전자빔 편향 중심점으로부터 상기 새도우 마스크의 전면 중심점까지의 거리이며, Ha는 상기 스커트부가 절곡되는 절곡변 중 단변으로부터 상기 프레임의 하단 절곡변 중 단변까지의 거리이며, Da는 상기 프레임의 하단 절곡변 중 단변의 내측으로의 절곡 폭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새도우 마스크 및 프레임 결합구조를 갖는 칼라 음극선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a가 식
    Da < Ha × (Na/5+La)/P + 4Na/5
    를 더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도우 마스크 및 프레임 결합구조를 갖는 칼라 음극선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새도우 마스크 재질은 AK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새도우 마스크의 전자총 대향면에 전자빔 반사물질이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새도우 마스크의 전자총 대향면에 전자빔 반사물질이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커트부에 홀이 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커트부 중 상기 프레임과 대향하는 부분의 폭이 10mm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커트부에는 소정의 위치에 상기 프레임과 용접되는 용접부를 포함하는 설편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
  9. 다수의 전자빔 통과홀이 형성된 유공부, 상기 유공부 주위에 전자빔 통과홀이 형성되지 않은 무공부 및 상기 무공부 주위에서 후방으로 절곡된 스커트부를 포함하는 새도우 마스크와, 상기 새도우 마스크를 지지하고 하단부가 내측으로 절곡된 프레임을 포함하는 칼라 음극선관에 있어서,
    Db가 식
    Db < Hb × Lb/P + Nb
    를 만족하되,
    여기서, Lb는 상기 새도우마스크의 전면 중심점으로부터 상기 유공부의 모서리중 장변까지의 길이이며, Nb는 상기 유공부의 모서리 중 장변으로부터 스커트부가 절곡되는 절곡변 중 장변까지의 길이이며, P는 전자빔 편향 중심점으로부터 상기 새도우 마스크의 전면 중심점까지의 거리이며, Hb는 상기 스커트부가 절곡되는 절곡변 중 장변으로부터 상기 프레임의 하단 절곡변 중 장변까지의 거리이며, Db는 상기 프레임의 하단 절곡변 중 장변의 내측으로의 절곡 폭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새도우 마스크 및 프레임 결합구조를 갖는 칼라 음극선관.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새도우 마스크 재질은 AK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새도우 마스크의 전자총 대향면에 전자빔 반사물질이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새도우 마스크의 전자총 대향면에 전자빔 반사물질이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스커트부에 홀이 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스커트부 중 상기 프레임과 대향하는 부분의 폭이 10mm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스커트부에는 소정의 위치에 상기 프레임과 용접되는 용접부를 포함하는 설편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
KR1020030082847A 2003-09-17 2003-11-21 칼라 음극선관 KR2005002828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852,189 US7187113B2 (en) 2003-09-17 2004-05-25 Color cathode ray tube correcting beam landing errors
CNB2004100644490A CN1332412C (zh) 2003-09-17 2004-08-26 彩色阴极射线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64598 2003-09-17
KR1020030064598 2003-09-1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8285A true KR20050028285A (ko) 2005-03-22

Family

ID=37385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2847A KR20050028285A (ko) 2003-09-17 2003-11-21 칼라 음극선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2828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05232B1 (ko) 칼라 음극선관
JP3261738B2 (ja) カラ−受像管のためのマスクフレ−ム構造体
JPH0463501B2 (ko)
KR20050028285A (ko) 칼라 음극선관
US4739216A (en) Color picture tube having a shadow mask mounted under compressive stress in a support frame
US6437495B1 (en) Color cathode ray tube with curved shadow mask having central recessed portions
KR20050028286A (ko) 칼라 음극선관
KR100489608B1 (ko) 음극선관용 새도우 마스크
KR200262572Y1 (ko) 칼라음극선관용 새도우마스크
US7187113B2 (en) Color cathode ray tube correcting beam landing errors
KR100298411B1 (ko) 브라운관용 프레임의 구조
US7105995B2 (en) Color cathode ray tube
KR20050028283A (ko) 칼라 음극선관
KR20050049020A (ko) 칼라 음극선관
JP2006528404A (ja) 陰極線管のためのフレーム/マスクアッセンブリ
US20030001483A1 (en) Mask-frame assembly for cathode ray tube
US7199512B2 (en) Color cathode ray tube
US20050057141A1 (en) Color cathode ray tube
KR200258238Y1 (ko) 음극선관용 마스크 어셈블리
KR200171940Y1 (ko) 음극선관용섀도우마스크
KR20000041354A (ko) 칼라 브라운관용 새도우마스크의 제조방법
KR20070109161A (ko) 칼라 음극선관
KR20050006776A (ko) 음극선관용 새도우 마스크
KR20050028284A (ko) 칼라 음극선관
KR20000010583U (ko) 음극선관의 새도우 마스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