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24592A -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24592A
KR20050024592A KR1020030061585A KR20030061585A KR20050024592A KR 20050024592 A KR20050024592 A KR 20050024592A KR 1020030061585 A KR1020030061585 A KR 1020030061585A KR 20030061585 A KR20030061585 A KR 20030061585A KR 20050024592 A KR20050024592 A KR 200500245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ing substrate
organic
high refractive
layer
light e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15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52965B1 (ko
Inventor
박진우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615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2965B1/ko
Publication of KR200500245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45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29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296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12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 H05B33/22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or physical composition or the arrangement of auxiliary dielectric or reflective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3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9/879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refractive means, e.g. lenses

Landscapes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광 소자와 회절 격자를 구비한 상부 절연 기판 사이에 고굴절 유기 물질을 사용하여 발광 효율이 우수한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발광 소자가 형성된 하부 절연 기판과; 고굴절 유기막과 회절 격자를 구비하며, 상기 하부 절연 기판을 봉지하기 위한 상부 절연 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고굴절 유기막에 의하여 상기 발광 소자와 상부 절연 기판이 완전히 밀착되는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Organic electro luminescence display}
본 발명은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발광 소자와 회절 격자를 구비한 상부 절연 기판 사이에 고굴절 유기 물질을 사용하여 발광 효율이 우수한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는 CRT나 LCD에 비하여 박막형, 넓은 시야각, 경량, 소형, 빠른 응답 속도 및 적은 소비 전력 등의 장점으로 인하여 차세대 표시 장치로서 주목받고 있다. 특히,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는 애노드 전극, 유기 물질막, 캐소드 전극 등의 단순한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간단한 제조 공정을 통하여 쉽게 제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하부 절연 기판(100)으로 사용되는 유리 기판 상에 제 1 전극(110)을 형성한다.
그런 다음, 상기 제 1 전극(110) 상에 유기 전계 발광층(120)을 형성한다. 상기 유기 전계 발광층(120)은 서로 다른 역할을 하는 다수의 유기 전계 발광층(120)이 적층되어 있으며, 각각 정공 주입층(HIL), 정공 수송층(HTL), 발광층(Emitting layer), 전자 수송층(ETL), 전자 주입층(EIL)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유기 전계 발광층(120)을 형성한 후, 상기 유기 전계 발광층(120) 상에 제 2 전극(130)을 형성하고, 상기 제 2 전극(130) 상에 보호막(140)을 형성한다.
그런 다음, 상부 절연 기판(160)으로 사용되는 봉지 기판을 이용하여 상기 제 1 전극(110), 유기 전계 발광층(120), 제 2 전극(130) 등을 구비하는 하부 절연 기판(100)을 봉지한다. 상기 상부 절연 기판(160)은 하부면에 SiO2를 증착하고 패터닝하여 형성된 회절 격자(170)를 구비한다.
상기 보호막(140)과 상부 절연 기판(160) 사이의 공간은 에어 갭(150, air gap)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는 유기 전계 발광층에서 발광한 광 중 상당량이 에어 갭과 보호막의 경계면에서 전반사가 발생하여 측면으로 빠져나간다. 따라서, 실제 광취출 효율이 많이 감소하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상부 절연 기판과 보호막 사이에 고굴절 유기막을 형성하여 유기 전계 발광층에서 발광한 광이 전반사에 의하여 측면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한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발광 소자가 형성된 하부 절연 기판과; 고굴절 유기막과 회절 격자를 구비하며, 상기 하부 절연 기판을 봉지하기 위한 상부 절연 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고굴절 유기막에 의하여 상기 발광 소자와 상부 절연 기판이 완전히 밀착되는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상부 절연 기판은 실런트에 의해 하부 절연 기판과 접합시켜 주기 위하여 봉지 접합부가 식각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실런트는 레이저로 경화 가능한 프리트(Frit) 또는 광경화성 유기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부 절연 기판 상에 형성된 보호막을 더 포함하며, 상기 고굴절 유기막은 보호막과 상부 절연 기판의 굴절률과 유사한 유기 물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굴절 유기막은 50㎚ 내지 50㎛의 두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굴절 유기막은 굴절률이 1.6 내지 2.0인 물질로 이루어지며, PEDOT 등의 고분자, 저분자 유기 전계 발광 물질 또는 접착력을 갖는 고굴절 유기 실런트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은 본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하부 절연 기판(200)으로 사용되는 유리 기판 상에 제 1 전극(210)을 형성한다.
상기 제 1 전극(210)은 애노드 전극으로 작용하는 경우에는 Al, Ag, Ni, Pt 또는 Pd 등의 상대적으로 일함수가 높은 금속을 증착하고 패터닝하여 형성한다. 또는 Al, Cr, Mo, Ti, Ta 또는 이들의 합금 등을 증착하고, ITO, IZO 등으로 이루어지는 투명 도전성 물질을 증착하고 패터닝하여 제 1 전극(210)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제 1전극(210)이 캐소드 전극으로 작용하는 경우에는 Al, Ca 또는 Mg 등의 일함수가 낮은 도전성의 금속을 증착하고 패터닝하여 형성한다.
상기 제 1 전극(210)은 이후에 형성되는 유기 전계 발광층에서 발광하는 광을 반사시켜 주는 역할도 동시에 수행한다.
상기 제 1 전극(210)을 형성한 후, 상기 제 1 전극(210) 상에 유기 전계 발광층(220)을 형성한다. 상기 유기 전계 발광층(220)은 그 기능에 따라 여러 층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정공 주입층(HIL), 정공 전달층(HTL), 발광층(Emitting layer), 정공 저지층(HBL), 전자 수송층(ETL), 전자 주입층(EIL)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층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런 다음, 상기 유기 전계 발광층(220) 상에 제 2 전극(230)을 형성하여 제 1 전극(210), 유기 전계 발광층(220), 제 2 전극(230)으로 이루어지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E)를 형성한다.
상기 제 2 전극(230)은 캐소드 전극으로 작용하는 경우에는 애노드 전극 보다 상대적으로 일함수가 낮은 물질로 이루어지며, Mg:Ag, Ag, Mg, Ca, Al 또는 Ba 등의 물질을 얇게 형성하여 하부의 유기 전계 발광층(220)에서 발광하는 광과, 상기 제 1 전극(210)에서 반사되는 광을 통과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제 2 전극(230)이 애노드 전극으로 작용하는 경우에는 ITO, IZO 등의 일함수가 높으며, 투명한 도전성의 물질을 증착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2 전극(230)을 형성한 후, 상기 제 2 전극(230) 상에 보호막(240)을 형성한다. 상기 보호막(240)은 SiNx, SiO2 등의 무기 물질 또는 아크릴, PI, PA, BCB 등의 유기 물질을 증착하여 형성하며, 주로 사용되는 SiNx는 굴절률이 1.8 내지 1.9이며, SiO2는 1.49의 굴절률을 갖는다.
상기 보호막(240)을 형성한 다음, 상부 절연 기판(260)으로 봉지 기판을 사용하여 상기 제 1 전극(210), 유기 전계 발광층(220), 제 2 전극(230), 보호막(240)을 구비한 하부 절연 기판(200)을 봉지한다.
이때, 상기 상부 절연 기판(260)은 하부면에 SiO2를 증착하고 패터닝하여 형성된 회절 격자(270)와, 상기 회절 격자(270)를 포함하는 상부 절연 기판(260) 전면에 고굴절 유기막(250)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이때, 상기 고굴절 유기막(250)은 상기 상부 절연 기판(260)과 보호막(240)이 물리적으로 밀착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고굴절 유기막(250)은 PEDOT 등의 고분자, 저분자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의 중간층 또는 발광층으로 사용되는 물질로 이루어지거나, 접착력을 갖는 고굴절 유기 실런트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굴절률이 1.6 내지 2.0인 고굴절 유기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굴절 유기막(250)은 적어도 한층 이상으로 형성되며, 50㎚ 내지 50㎛의 두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절연 기판(260)을 실런트(280)에 의해 밀착시켜 주기 위하여 봉지 접합부를 식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 절연 기판(260)의 봉지 접합부를 식각하는 것은 상기 고굴절 유기막이 측면으로 새어 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은 공정을 통하여 형성된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는 상기 고굴절 유기막(250)을 이용하여 상기 상부 절연 기판(260)과 보호막(240)이 물리적으로 밀착되도록 하여, 종래의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에서와 같이 상부 절연 기판(260)과 보호막(240) 사이에 에어 갭(air gap)은 생기지 않으며, 상부 절연 기판(260)의 하부면에 형성된 회절 격자(270)에 의해 전반사가 방지된다. 또한, 진공 상태에서 상부 절연 기판(260)이 합착되기 때문에 부드러운(soft) 고굴절 유기막(250)이 제 2 전극(230) 상부의 보호막(240)에 밀착하게 되어 내충격에 강한 구조로 신뢰성도 향상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보호막과 포토닉 봉지 기판 사이의 에어 갭에 고굴절 유기 물질을 채움으로써, 발광 효율이 우수한 전면 발광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완전한 봉지를 함으로써, 수명이 향상된 전면 발광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하부 절연 기판 210; 제 1 전극
220; 유기 전계 발광층 230; 제 2 전극
240; 보호막 250; 고굴절 유기막
260; 상부 절연 기판 270; 회절 격자
280; 실런트

Claims (7)

  1. 발광 소자가 형성된 하부 절연 기판과;
    고굴절 유기막과 회절 격자를 구비하며, 상기 하부 절연 기판을 봉지하기 위한 상부 절연 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고굴절 유기막에 의하여 상기 발광 소자와 상부 절연 기판이 완전히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절연 기판은 실런트에 의해 하부 절연 기판과 접합시켜 주기 위하여 봉지 접합부가 식각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실런트는 레이저로 경화 가능한 프리트 또는 광경화성 유기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기판 상에 형성된 보호막을 더 포함하며,
    상기 고굴절 유기막은 상기 보호막과 상부 절연 기판의 굴절률과 유사한 유기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굴절 유기막은 50㎚ 내지 50㎛의 두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굴절 유기막은 굴절률이 1.6 내지 2.0인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굴절 유기막은 PEDOT 등의 고분자, 저분자 유기 전계 발광 물질 또는 접착력을 갖는 고굴절 유기 실런트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
KR1020030061585A 2003-09-03 2003-09-03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 KR1005529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1585A KR100552965B1 (ko) 2003-09-03 2003-09-03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1585A KR100552965B1 (ko) 2003-09-03 2003-09-03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4592A true KR20050024592A (ko) 2005-03-10
KR100552965B1 KR100552965B1 (ko) 2006-02-15

Family

ID=37231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1585A KR100552965B1 (ko) 2003-09-03 2003-09-03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2965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5854B1 (ko) * 2006-01-25 2007-02-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685845B1 (ko) * 2005-10-21 2007-02-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700013B1 (ko) * 2004-11-26 2007-03-2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소자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0730121B1 (ko) * 2004-11-29 2007-06-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JP2009187941A (ja) * 2008-02-01 2009-08-20 Samsung Mobile Display Co Ltd 有機発光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943188B1 (ko) * 2009-07-09 2010-02-19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US7999372B2 (en) 2006-01-25 2011-08-16 Samsung Mobile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8003999B2 (en) 2005-12-30 2011-08-23 Samsung Mobile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US8796920B2 (en) 2006-04-07 2014-08-05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nd fabricating method of the same
US9004972B2 (en) 2006-01-20 2015-04-14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with frit seal and reinforcing structure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98395B2 (en) 2004-11-26 2014-04-15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with organic capping layer having a specific refractive index
KR100700013B1 (ko) * 2004-11-26 2007-03-2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소자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0730121B1 (ko) * 2004-11-29 2007-06-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US7838314B2 (en) 2005-10-21 2010-11-23 Samsung Mobile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7545094B2 (en) 2005-10-21 2009-06-09 Samsung Sdi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with frit seal
KR100685845B1 (ko) * 2005-10-21 2007-02-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8003999B2 (en) 2005-12-30 2011-08-23 Samsung Mobile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US8399270B2 (en) 2005-12-30 2013-03-19 Samsung Display Co., Ltd. Method of manufacturing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with water vapor absorption material containing transparent sealant layer
US9004972B2 (en) 2006-01-20 2015-04-14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with frit seal and reinforcing structure
KR100685854B1 (ko) * 2006-01-25 2007-02-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7999372B2 (en) 2006-01-25 2011-08-16 Samsung Mobile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8796920B2 (en) 2006-04-07 2014-08-05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nd fabricating method of the same
JP2009187941A (ja) * 2008-02-01 2009-08-20 Samsung Mobile Display Co Ltd 有機発光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918402B1 (ko) * 2008-02-01 2009-09-24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8314551B2 (en) 2008-02-01 2012-11-20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KR100943188B1 (ko) * 2009-07-09 2010-02-19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52965B1 (ko) 2006-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64063B2 (en) Composite electrode for light-emitting device
US7417370B2 (en) OLED device having improved light output
JP2007536697A (ja) フレキシブル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デバイス
CN100565970C (zh) 有机电致发光装置制造方法及有机电致发光装置
CN107994059B (zh) 阵列基板及其制造方法
KR101880722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7825570B2 (en) LED device having improved contrast
KR20080105308A (ko) 유기전계발광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040104172A (ko) 저저항 캐소드를 사용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WO2021082146A1 (zh) 显示面板及其制造方法
JP2007165318A (ja) 有機電界発光素子、および有機電界発光素子の製造方法
KR100552965B1 (ko)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
CN110199402B (zh) 发光二极管及其制造方法、显示基板、显示设备
CN109786429B (zh) 一种混合发光二极管及其制作方法
KR101849577B1 (ko) 유기 전계 발광 표시 패널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0552962B1 (ko)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CN110729407B (zh) 显示面板及其制备方法、显示装置
KR102094143B1 (ko)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KR100552971B1 (ko)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
KR100855487B1 (ko) 전계발광소자
KR20080104324A (ko) 가요성 전기발광 소자
KR101858737B1 (ko) 전자발광 디바이스들의 강화된 카운터 전극
KR20060023634A (ko) 전면 유기 발광 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20080068201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막 두께 측정 방법
KR101489780B1 (ko) 유기발광다이오드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