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24182A - 케이블 커넥터 - Google Patents

케이블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24182A
KR20050024182A KR1020040067946A KR20040067946A KR20050024182A KR 20050024182 A KR20050024182 A KR 20050024182A KR 1020040067946 A KR1020040067946 A KR 1020040067946A KR 20040067946 A KR20040067946 A KR 20040067946A KR 20050024182 A KR20050024182 A KR 200500241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oard
contact
housing
cable connector
vi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79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14947B1 (ko
Inventor
나오타카 사사메
준야 쓰지
슈지 카지누마
Original Assignee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에이엠피 케이.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에이엠피 케이.케이. filed Critical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에이엠피 케이.케이.
Publication of KR200500241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41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49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494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5Latching arms not integral with the hou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 H01R13/6658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on printed circuit boar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콘택트와 회로기판 사이의 납땜접속부분에 발생하는 응력을 겸감할 수 있는 케이블 커넥터를 제공한다. 케이블 커넥터(1)는 콘택트(10)와, 콘택트(10)를 수용하는하우징(20)과, 콘택트(10)에 납땜접속됨과 함께 케이블(40)에 납땜접속되는 회로기판(30)을 구비하고 있다. 콘택트(10)는 일단에 상대콘택트와의 접촉부(12)를 타단에 회로기판(30)에 대한 납땜부(13)를 각각 갖고 있다. 하우징(20)은 전방에 설치된 상대커넥터와의 감합부(23)의 양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회로기판 지지부(24A, 24B)를 갖고 있다. 하우징(20)에는 감합부(23)의 양측을 따라 연장됨과 동시에 상기 회로기판 지지부(24A, 24B)를 따라 연장되는 상대커넥터에 체결되는 체결아암(27A, 27B)이 설치되어 있다. 체결아암(27A, 27B)은 회로기판(30)에 대한 납땜부(27Ag, 27Bg)를 갖는다.

Description

케이블 커넥터{CABLE CONNECTOR}
본 발명은 휴대전화, 디지털카메라 등의 전기/전자기기에 사용되는 케이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이러한 종류의 케이블 커넥터로서 예를 들면 도 11에 나타내는 것이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 참조).
이 케이블 커넥터(101)는 도 1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콘택트(110)와, 복수의 콘택트(110)를 수용하는 하우징(120)과, 각 콘택트(110)에 납땜접속됨과 동시에 케이블(160)의 도체(161)에 납땜접속되는 회로기판(130)과, 하우징(120)을 덮는 금속쉘(140)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각 콘택트(110)는 일단부(상대커넥터와의 접합측의 단부)에 상대콘택트와의 접촉부(111)를 갖고, 타단부에 회로기판(130)에 대한 납땜부(112)를 갖고 있다.
또한, 하우징(120)은 도 11(A), (B), 및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방[도 11(A), (B)에서의 좌측]에 설치된 상대커넥터와의 접합부(121)와, 접합부(121)의 양단에서 후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회로기판 지지부(122)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회로기판 지지부(122)에는 회로기판 수용홈(125)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접합부(121)에는 1열 형태의 콘택트 수용채널(123)이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접합부(121)의 상면에서 경사 후방으로 향하는 래치 아암(124)이 형성되어 있다.
이 케이블 커넥터(101)는 회로기판(130)을 회로기판 지지부(122)로 지지하고나서 회로기판(130)에 각 콘택트(120)의 납땜부(112) 및 케이블(160)의 도체(161)를 납땜접속하고, 하우징(120)을 덮는 금속쉘(140) 및 케이블(160)의 주위에 절연성 오버몰드재(170)를 오버몰드함으로써 완성한다. 또한, 도 11(A) 중, 부호(171)는 스트레인릴리프이다.
[특허문헌 1] 미국특허 제5,766,027호 명세서
그러나, 종래의 케이블 커넥터(101)에 있어서는 이하와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오버몰드재(170)를 오버몰드한 후의 내비틀림 강도, 즉 케이블 커넥터(101)를 도 11(A)의 화살표로 나타내는 상하방향으로 비틀림하는 때의 회로기판(130)을 지지하는 부분의 기계적 강도가 낮다. 이 때문에, 케이블 커넥터(101)를 상하방향으로 비틀면서 상대커넥터로부터 빼면, 콘택트(110)의 납땜부(112)와 회로기판(130) 사이의 납땜접속부분에 큰 응력이 걸려, 콘택트(110)와 회로기판(130)사이의 전기적 접속이 보증되지 않는 경우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콘택트와 회로기판 사이의 납땜접속부분에 발생하는 응력을 경감할 수 있는 케이블 커넥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 중 청구항 1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는 콘택트와, 상기 콘택트를 수용하는 하우징과, 상기 콘택트에 납땜접속됨과 동시에 케이블에 납땜접속되는 회로기판을 구비하고; 상기 콘택트가 일단에는 상대콘택트와의 접촉부를 갖고, 타단에는 상기 회로기판에 대한 납땜부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하우징은 전방에 설치된 상대커넥터와의 감합부의 양단에서 후방으로 연장하는 상기 회로기판을 지지하기 위한 회로기판 지지부를 갖는 케이블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감합부의 양측을 따라 연장함과 동시에 상기 회로기판 지지부를 따라 연장하고 상기 상대커넥터에 체결되는 체결아암이 설치되고, 상기 체결아암은 상기 회로기판에 대한 납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 중 청구항 2에 관계되는 케이블 커넥터는 청구항 1 기재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체결아암의 납땜부가 횡단면 'ㄷ' 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회로기판의 측부를 껴안는 구조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계되는 케이블 커넥터를 나타내고, (A)는 평면도, (B)는 (A)의 1B-1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케이블 커넥터를 나타내고, (A)는 정면도, (B)는 좌측면도, (C)는 배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케이블 커넥터에서 회로기판을 떼어낸 상태를 나타내고, (A)는 평면도, (B)는 (A)의 3B-3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케이블 커넥터에서 회로기판을 떼어낸 상태를 나타내고, (A)는 정면도, (B)는 좌측면도, (C)는 배면도이다. 도 5는 하우징의 좌측에 설치된 좌측 체결아암을 나타내고 (A)는 정면도, (B)는 좌측면도이다. 도 6은 하우징의 우측에 설치된 우측 체결아암을 나타내고 (A)는 정면도, (B)는 우측면도, (C)는 평면도이다. 도 7은 회로기판을 나타내고 (A)는 평면도, (B)는 좌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케이블 커넥터(1)는 복수의 콘택트(10)와, 콘택트(10)를 수용하는 하우징(20)과, 콘택트(10)에 납땜접속됨과 동시에 케이블(40; 도 8 참조)에 납땜접속되는 회로기판(30)과, 상대커넥터(미도시)에 체결되는 한 쌍의 좌우 체결아암(27A, 27B)을 구비하고 있다. 이 케이블 커넥터(1)는 예를 들어 디지털카메라의 직류전원 공급용으로 사용된다.
여기서, 각 콘택트(10)는 도 1 및 도 3에 나타내는 것처럼 하우징(20)에 압입고정되는 고정부(11)와, 고정부(11)에서 전방[도 1(B)에서의 우측]으로 연장하는 상대콘택트(미도시)와의 접촉부(12)와, 고정부(11)에서 후방으로 연장하는 회로기판(30)에 대한 납땜부(13)를 구비하고 있다. 각 콘택트(10)는 금속판을 타발 및 절곡가공함으로써 형성된다.
또한, 하우징(2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콘택트(10)를 상하 2열상으로 수용하는 것으로, 거의 사각형상의 기부(21)와, 기부(21)에서 단차부(22)를 매개하여 전방으로 연장하는 상대커넥터(미도시)와의 감합부(23)와, 기부(21)의 양단에서 후방으로 연장하고 회로기판(30)을 지지하기 위한 좌우 한 쌍의 회로기판 지지부(24A, 24B)를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20)은 절연성수지를 성형함으로써 형성된다. 감합부(23)는 대략 사각형상을 가진다. 상하 2열상으로 설치된 콘택트(10)는 각 콘택트(10)의 고정부(11)가 하우징(20)의 후방에서 기부(21)에 압입고정되고, 상하 2열의 콘택트(10)가 서로 대향하도록 하우징(20)에 수용된다. 그리고, 각 콘택트(10)의 접촉부(12)가 감합부(23) 내에 위치하고, 납땜부(13)가 회로기판 지지부(24A, 24B) 사이에 위치한다.
상하 2열의 납땜부(13) 사이의 간격은 회로기판(30)을 끼우기에 가능한 간격이다. 그리고, 감합부(23)의 상면에는 상대커넥터가 감합부(23)에 감합하는 때에 상대콘택트에 형성된 돌기가 계지되는 계지단차부(25)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감합부(23)의 좌우 양측면에는 감합부(23)의 양측면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연장하는 체결아암 수용홈(26)이 형성되어 있다. 감합부(23), 단차부(22) 및 기부(21)에 의해 청구항 1에 규정된 감합부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하우징(20)의 회로기판 지지부(24A, 24B)의 각각의 내측면에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에 상세하게 설명하는 좌우 체결아암(27A, 27B)의 각각의 지지판부(27Af, 27Bf) 및 납땜부(27Ag, 27Bg)를 수용하는 체결아암 수용요부(24Aa, 24Bb)가 형성되어 있다. 체결아암 수용요부(24Aa, 24Bb)의 각각은 회로기판 지지부(24A, 24B)의 후단부에서 기부(21)에 이르기까지 전후방향으로 연장하고 있다. 그리고, 하우징(20)의 기부(21)에는 체결아암 수용요부(24Aa, 24Bb)에 연속하는 체결아암 고정용 관통공(미도시)이 전후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좌우 체결아암(27A, 27B) 중, 좌측 체결아암(27A)은 하우징(20)의 좌측[도 3(A)에서 하측, 도 4(A)에서 좌측]에 장착되는 것이다. 좌측 체결아암(27A)은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하로 복수의 계지돌기(27Ab)를 갖는 고정판부(27Aa)와, 고정판부(27Aa)에서 전방으로 연장하는 연장판부(27Ac)와, 연장판부(27Ac)의 전단에 설치되고 상하 절결부(27Ad)에 의해 폭이 좁아진 계지철부(27Ae)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좌측 체결아암(27A)은 고정판부(27Aa)에서 고정판부(27Aa)보다도 광폭으로 후방에 연장하는 지지판부(27Af)와, 지지판부(27Af)에서 후방에 연장하는 납땜부(27Ag)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좌측 체결아암(27A)은 금속판을 타발 및 절곡가공함으로써 형성된다.
좌측 체결아암(27A)의 고정부(27Aa)는 하우징(20)의 후방에서 기부(21)에 형성된 체결아암 고정용 관통공에서 압입고정된다. 이에 따라, 연장판부(27Ac) 및 계지철부(24Ae)가 감합부(23)의 좌측부를 따라 체결아암 수용홈(26)에 위치하고, 지지판부(27Af) 및 납땜부(27Ag)는 회로기판 지지부(24A)의 내측면을 따라 체결아암 수용요부(24Aa)에 위치한다.
그리고, 계지철부(27Ae)는 상대커넥터와 감합하는 때에 상대커넥터에 설치된 계지돌기(미도시)에 체결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지지판부(27Af)는 회로기판(30)의 좌측부에 직접 접촉하여 회로기판(30)의 좌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도록 되어 있다. 더욱이, 납땜부(27Ag)는 회로기판(30)의 좌측부에 직접 접촉하여 회로기판(30)의 좌측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판부(27Ah)와 규제판부(27Ah)의 상하 양 가장자리에서 내측(우측)으로 절곡되어 회로기판(30)의 상하면에 납땜되는 한 쌍의 납땜편(27Ai)으로 이루어지는 횡단면 'ㄷ'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납땜부(27Ag)는 횡단면 'ㄷ'자형으로 형성되어 회로기판(30)의 좌측부를 껴안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한편, 우측 체결아암(27B)은 하우징(20)의 우측[도 3(A)에서의 상측, 도 4(A)에서의 우측]에 장착되는 것으로, 좌측 체결아암(27A)과 경면대칭의 형상을 하고 있다. 즉, 우측 체결아암(27B)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로 복수의 계지돌기(27Bb)를 갖는 고정판부(27Ba)와, 고정판부(27Ba)에서 전방으로 연장하는 연장판부(27Bc)와, 연장판부(27Bc)의 전단에 설치되고 상하 절결부(27Bd)에 의해 폭이 좁아진 계지철부(27Be)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우측 체결아암(27B)은 고정판부(27Ba)에서 고정판부(27Ba)보다도 광폭으로 후방에 연장하는 지지판부(27Bf)와, 지지판부(27Bf)에서 후방에 연장하는 납땜부(27Bg)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우측 체결아암(27B)은 금속판을 타발 및 절곡가공함으로써 형성된다.
우측 체결아암(27B)의 고정부(27Ba)는 하우징(20)의 후방에서 기부(21)에 형성된 체결아암 고정용 관통공에서 압입고정된다. 이에 따라, 연장판부(27Bc) 및 계지철부(24Be)가 감합부(23)의 우측부를 따라 체결아암 수용홈(26)에 위치하고 지지판부(27Bf) 및 납땜부(27Bg)는 회로기판 지지부(24B)의 내측면을 따라 체결아암 수용요부(24Ba)에 위치한다.
그리고, 계지철부(27Be)는 상대커넥터와 감합하는 때에 상대커넥터에 설치된 계지돌기(미도시)에 체결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지지판부(27Bf)는 회로기판(30)의 우측부에 직접 접촉하여 회로기판(30)의 우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도록 되어 있다. 더욱이, 납땜부(27Bg)는 회로기판(30)의 우측부에 직접 접촉하여 회로기판(30)의 우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판부(27Bh)와, 규제판부(27Bh)의 상하 양 가장자리에서 내측(좌측)으로 절곡되어 회로기판(30)의 상하면에 납땜되는 한 쌍의 납땜편(27Bi)으로 이루어지는 횡단면 'ㄷ'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납땜부(27Bg)는 횡단면 'ㄷ'자형으로 형성되어 회로기판(30)의 우측부를 껴안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또한, 회로기판(30)은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단(도 7에서의 좌단) 중앙에 절결부(31)를 형성한 사각형 평판으로 상하면 전방에 복수의 도전패드(32)[상면의 도전패드(32)만 도시]가 형성됨과 함께 상하면의 절결부(31)의 양측에는 고정용 패드(33)가 형성되어 있다. 상면의 도전패드(32)에는 상부열의 콘택트(10)의 납땜부(13) 및 케이블(40)의 전선(41)이 납땜접속되고, 고정용 패드(33)에는 좌우체결아암(27A, 27B)의 납땜부(27Ag, 27Bg)가 납땜접속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하면의 도전패드(32)에는 하부열의 콘택트(10)의 납땜부(13)가 납땜접속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다음으로,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케이블 커넥터(1)의 조립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도 1에 나타내는 케이블 커넥터(1)의 회로기판(30)에 케이블(40)을 납땜접속한 상태를 나타내고, (A)는 평면도, (B)는 좌측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 나타내는 상태에서 이너 몰드성형을 실시한 상태를 나타내고, (A)는 이너 몰드재의 일부를 절결한 평면도, (B)는 좌측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나타내는 이너 몰드성형을 실시한 상태에서 오버몰드성형을 실시한 완성체를 나타내고, (A)는 평면도, (B)는 좌측면도이다.
케이블 커넥터의 조립에 있어서는 우선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20)의 소정위치에 복수의 콘택트(10) 및 좌우체결아암(27A, 27B)을 부착한다. 그리고, 회로기판(30)을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하우징(20)의 후방에서 하우징(20)의 회로기판 지지부(24A, 24B) 사이에 삽입한다. 이때, 회로기판(30)의 전단을 상하 2열상의 콘택트(10)의 납땜부(13) 사이에 위치시킴과 동시에 회로기판(30)의 후방 양측부를 좌우 체결아암(27A, 27B)의 납땜부(27Ag, 27Bg)를 구성하는 규제판부(27Ah, 27Bh) 및 상하의 납땜편(27Ai, 27Bi)으로 껴안는다.
이때, 회로기판(30)의 전방으로의 이동은 회로기판(30)의 전단면이 하우징(20)의 기부(21)에 직접 접촉함으로써 규제된다. 또한, 회로기판(30)의 좌측으로의 이동은 회로기판(30)의 좌측부가 좌측 체결아암(27A)의 지지판부(27Af) 및 규제판부(27Ah)에 직접 접촉함으로써 규제되고 회로기판(30)의 우측으로의 이동은 회로기판(30)의 우측부가 우측 체결아암(27B)의 지지판부(27Bf) 및 규제판부(27Bh)에 직접 접촉함으로써 규제된다. 또한, 회로기판(30)의 상하방향의 이동은 회로기판(30)의 전단부가 상하 2열상의 콘택트(10)의 납땜부(13)사이에 위치함과 동시에 회로기판(30)의 후방 양측부가 납땜부(27Ag, 27Bg)의 상하의 납땜편(27Ai, 27Bi)에 껴안김으로써 규제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회로기판(30)의 상하면의 도전패드(32)에 상하열의 콘택트(10)의 납땜부(13)를 납땜접속하고, 회로기판(30)의 고정용 패드(33)에 좌우 체결아암(27A, 27B)의 납땜부(27Ag, 27Bg)의 상하의 납땜편(27Ai, 27Bi)을 납땜접속한다.
이어서, 이 상태에서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로기판(30)의 상면의 도전패드(32)에 케이블(40)의 전선(41)을 납땜접속한다. 이때, 케이블(40)은 회로기판(30)에 형성된 절결부(31)를 통하여 후방으로 연장해서 돌출한다.
그 후,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20)의 회로기판 지지부(24A, 24B), 회로기판(30) 및 케이블(40) 등의 주위에 일차적으로 이너 몰드재(50)로 이너 몰드성형을 행한다. 이에 의해서, 콘택트(10)와 회로기판(30) 사이의 납땜접속부분이나 케이블(40)과 회로기판(30)사이의 납땜접속부분이 보호된다.
마지막으로,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너 몰드재(50)의 주위 및 케이블(40) 일부의 주위에 오버몰드재(60)로 오버몰드 성형을 행한다. 이에 의해서, 케이블(40)의 주위에 스트레인 릴리프(61)가 형성되어 케이블 커넥터(1)가 완성한다. 또한, 도 10에서 도면부호 62는 오버몰드 성형 시에 이너몰드 성형품을 지지하기 위한 환형 핀에 의해 형성되는 구멍이다. 또한, 도면부호 63은 감합하는 상대커넥터와 표리(상하)를 일치시키기 위한 삼각형 마킹이다.
이와 같이 완성한 케이블 커넥터(1)는 상대커넥터와 감합부(23)에서 감합한다. 이에 의해서, 콘택트(10)와 상대콘택트가 전기적으로 도통하고, 상대커넥터와 케이블(40)과의 전기적 접속이 달성된다. 한편, 케이블 커넥터(1)를 상대커넥터에서 인발하면 상대커넥터와 케이블(40)과의 전기적 접속이 해제된다.
여기서, 회로기판(30)의 고정용 패드(33)에 체결아암(27A, 27B)의 납땜부(27Ag, Bg)가 납땜접속되어 회로기판(30)은 체결아암(27A, 27B)에 대해 고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오버몰드재(60)를 오버몰드 성형한 후의 케이블 커넥터(1)의 내비틀림강도, 즉 케이블 커넥터(1)를 상하방향으로 비틀림하는 때 회로기판(30)을 지지하는 부분의 기계적 강도가 높아지고 있다. 이로 인해 케이블 커넥터(1)를 상하방향으로 비틀면서 상대커넥터에서 인발하여도, 콘택트(10)의 납땜부(13)과 회로기판(30) 사이의 납땜접속부분에 생기는 응력이 경감되므로 콘택트(10)와 회로기판(30)과의 전기적 접속이 확실하게 보증된다.
또한, 체결아암(27A, 27B)의 납땜부(27Ag, Bg)가 횡단면 'ㄷ' 자형으로 형성되어 회로기판의 측부를 껴안는 구조를 이루고 있으므로 회로기판(30)을 지지하는 기계적 강도가 보강되고 콘택트(10)의 납땜부(13)와 회로기판(30) 사이의 납땜접속부분에 생기는 응력을 한층 더 경감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각종 변경, 개량을 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회로기판 지지부(24A, 24B)는 기부(21)의 양단에서부터가 아니라 감합부(23)의 양단에서 직접 후방으로 신장하여도 좋다.
또한, 체결아암(27A, 27B)의 납땜부(27Ag, Bg)는 회로기판(30)에 납땜접속가능한 구조이면 반드시 횡단면 'ㄷ' 자형상으로 할 필요는 없다.
본 발명 중 청구항 1에 관계되는 케이블 커넥터에 의하면, 하우징에 감합부의 양측을 따라 연장함과 동시에 회로기판 지지부를 따라 연장하고 상대커넥터에 체결되는 체결아암을 설치하고, 상기 체결아암이 상기 회로기판의 납땜부를 가지므로 회로기판은 체결아암에 대하여 고정되고 오버몰드재를 오버몰드 성형한 후의 케이블 커넥터의 내비틀림 강도, 즉 케이블 커넥터를 상하방향으로 비틀림하는 때 회로기판을 지지하는 부분의 기계적 강도를 높일 수 있다. 이 때문에, 케이블 커넥터를 상하방향으로 비틀면서 상대커넥터에서 빼내어도, 콘택트의 납땜부와 회로기판 사이의 납땜접속부분에 생기는 응력이 경감되므로 콘택트와 회로기판 사이의 전기적 접속을 확실하게 보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중 청구항 2에 관계되는 케이블 커넥터에 의하면 청구항 1 기재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체결아암의 납땜부가 횡단면 'ㄷ' 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회로기판의 측부를 껴안는 구조를 이루고 있으므로, 회로기판을 지지하는 기계적 강도가 보강되고, 콘택트의 납땜부와 회로기판 사이의 납땜부분에 생기는 응력을 더욱 경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의 도면으로서, (A)는 평면도, (B)는 (A)의 1B-1B선에 따른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케이블 커넥터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정면도, (B)는 좌측면도, (C)는 배면도;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케이블 커넥터에서 회로기판을 떼어낸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평면도, (B)는 (A)의 3B-3B선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도 3의 케이블 커넥터에서 회로기판을 떼어낸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정면도, (B)는 좌측면도, (C)는 배면도;
도 5는 하우징의 좌측에 설치된 좌측 체결아암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정면도, (B)는 좌측면도;
도 6은 하우징의 우측에 설치된 우측 체결아암을 나타내고 (A)는 정면도, (B)는 우측면도, (C)는 평면도;
도 7은 회로기판을 나타내고 (A)는 평면도, (B)는 좌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케이블 커넥터
10 : 콘택트
12 : 접촉부
13 : 납땜부
20 : 하우징
23 : 감합부
24A, 24B : 회로기판 지지부
27A, 27B : 체결아암
27Ag, 27Bg : 납땜부
30 : 회로기판
40 : 케이블

Claims (2)

  1. 콘택트와, 상기 콘택트를 수용하는 하우징과, 상기 콘택트에 납땜접속됨과 동시에 케이블에 납땜접속되는 회로기판을 구비하고; 상기 콘택트가 일단에는 상대콘택트와의 접촉부를 갖고, 타단에는 상기 회로기판에 대한 납땜부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하우징은 전방에 설치된 상대커넥터와의 감합부의 양단에서 후방으로 연장하는 상기 회로기판을 지지하기 위한 회로기판 지지부를 갖는 케이블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감합부의 양측을 따라 연장함과 동시에 상기 회로기판 지지부를 따라 연장하고 상기 상대커넥터에 체결되는 체결아암이 설치되고,
    상기 체결아암은 상기 회로기판에 대한 납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아암의 납땜부는 횡단면 'ㄷ' 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회로기판의 측부를 껴안는 구조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커넥터.
KR1020040067946A 2003-09-04 2004-08-27 케이블 커넥터 KR1010149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312409A JP4357904B2 (ja) 2003-09-04 2003-09-04 ケーブルコネクタ
JPJP-P-2003-00312409 2003-09-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4182A true KR20050024182A (ko) 2005-03-10
KR101014947B1 KR101014947B1 (ko) 2011-02-15

Family

ID=34131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7946A KR101014947B1 (ko) 2003-09-04 2004-08-27 케이블 커넥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077684B2 (ko)
EP (1) EP1513229B1 (ko)
JP (1) JP4357904B2 (ko)
KR (1) KR101014947B1 (ko)
CN (1) CN100446345C (ko)
DE (1) DE602004000746T2 (ko)
TW (1) TWM269586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3264B1 (ko) * 2006-09-28 2008-05-28 주식회사 에스엘전자 영상 및 음성 신호 전송 케이블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92669B2 (ja) * 2007-10-31 2012-08-08 ソニー株式会社 ケーブル接続装置
US7448902B1 (en) 2008-04-25 2008-11-11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Mechanical device showing prior mating
US7758369B2 (en) * 2008-04-25 2010-07-20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Plug connector for use with a receptacle
US7481664B1 (en) 2008-06-12 2009-01-27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JP5379047B2 (ja) * 2010-03-04 2013-12-25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結線構造及びケーブルコネクタ組立体
CN105375231B (zh) * 2014-07-11 2018-12-11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线缆连接器组件及其制造方法
CN111430959B (zh) * 2020-03-24 2021-09-28 中航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线缆连接器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154549Y (zh) * 1993-05-19 1994-01-26 廖满足 电气连接器
US5533908A (en) * 1994-08-31 1996-07-09 The Whitaker Corporation Latch and mounting member for a surface mounted electrical connector
US5749746A (en) * 1995-09-26 1998-05-12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Cable connector structure
CN2247880Y (zh) * 1995-12-20 1997-02-19 鸿海精密工业股份有限公司 电缆连接器
US5766027A (en) * 1995-12-21 1998-06-16 The Whitaker Corporation Cable assembly with equalizer board
US5797771A (en) * 1996-08-16 1998-08-25 U.S. Robotics Mobile Communication Corp. Cable connector
US6165006A (en) * 1998-10-16 2000-12-26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Cable connector
CN2364580Y (zh) * 1998-12-29 2000-02-16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缆连接器组合
JP2001022485A (ja) 1999-07-02 2001-01-26 Murata Mfg Co Ltd インターフェイスケーブル
US6305959B1 (en) * 1999-12-30 2001-10-23 Iomega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with lock
JP2003511815A (ja) 2000-02-17 2003-03-25 アンフェノール・コーポレーション モジュラーhssdcプラグコネクタおよびそのための改良されたレセプタクル
US6431901B1 (en) * 2001-09-10 2002-08-13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I/O connector having an internal horizontal PCB
US6623312B2 (en) * 2001-10-04 2003-09-23 Unilead International Precordial electrocardiogram electrode connector
TW536009U (en) * 2002-02-06 2003-06-0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3264B1 (ko) * 2006-09-28 2008-05-28 주식회사 에스엘전자 영상 및 음성 신호 전송 케이블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357904B2 (ja) 2009-11-04
US7077684B2 (en) 2006-07-18
DE602004000746D1 (de) 2006-06-01
EP1513229B1 (en) 2006-04-26
EP1513229A1 (en) 2005-03-09
CN1591985A (zh) 2005-03-09
KR101014947B1 (ko) 2011-02-15
JP2005085469A (ja) 2005-03-31
DE602004000746T2 (de) 2007-05-03
TWM269586U (en) 2005-07-01
US20050054232A1 (en) 2005-03-10
CN100446345C (zh) 2008-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12646B2 (en) Flippable electrical connector
US9905944B2 (en) Flippable electrical connector
US9466930B2 (en) Flippable electrical connector
US9847604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improved shielding structure
US6582252B1 (en) Termination connector assembly with tight angle for shielded cable
US9490594B2 (en) Flippable electrical connector
US7553167B2 (en) Cable connector
US20100151734A1 (en) Cable assembly with shielding member
US8109779B2 (en) Cable assembly with latching member
US20060141867A1 (en) Cable assembly with improved engaging means
US7955114B2 (en) Cable assembly with latching mechanism
US10826255B2 (en) Flippable electrical connector
KR20040103766A (ko) 전기 커넥터 및 그것의 제조 방법
US6808410B1 (en) Cable connector assembly having pulling mechanism
US6402563B1 (en) Cable connector assembly
KR101014947B1 (ko) 케이블 커넥터
CN108206431B (zh) 电连接器
US20060246783A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CN111262074B (zh) 线缆连接器组合
US20200403338A1 (en) Plug connector
US20120077367A1 (en) Cable assembly with an improved shell
CN109755782B (zh) 连接器装置
US7942698B2 (en) Connector having contacts with a linkage portion having a width smaller than that of the contact portion
US6672913B1 (en) Plug connec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N111613935A (zh) 电连接器、对接电连接器及电连接器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