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24165A - 동축 스피커 - Google Patents

동축 스피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24165A
KR20050024165A KR1020030062014A KR20030062014A KR20050024165A KR 20050024165 A KR20050024165 A KR 20050024165A KR 1020030062014 A KR1020030062014 A KR 1020030062014A KR 20030062014 A KR20030062014 A KR 20030062014A KR 20050024165 A KR20050024165 A KR 200500241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ember
swivel
coupling
tweet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20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40253B1 (ko
Inventor
윤혁준
Original Assignee
에스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620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0253B1/ko
Publication of KR200500241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41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02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02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3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 H04R1/323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for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4Structural combinations of separate transducers or of two parts of the same transducer and responsive respectively to two or more frequency ran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6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transducers or diaphragms therefor
    • H04R31/006Interconnection of transducer parts

Abstract

우퍼(Woofer)와 트위터(Tweeter)를 동축상에 연결하는 연결부의 구조를 개선한 동축 스피커가 개시된다. 상기 동축 스피커는 저음을 발생하는 우퍼(Woofer); 상기 우퍼의 상측에 위치되며 와이어를 매체로 상기 우퍼와 접속되어 고음을 발생하는 트위터(Tweeter); 상기 우퍼의 중앙부에 하단부측이 압입된 제 1 지지부재, 상기 제 1 지지부재의 상단부측 내주면에 삽입ㆍ결합된 받침부재, 상면 내부에는 상기 트위터가 내장되고 하면은 상기 받침부재의 상면과 접촉하며 회전 및 선회운동가능하게 설치된 스위블(Swivel), 상기 스위블의 상면에 결합되어 상기 스위블과 동일하게 운동하며 상기 트위터를 보호하는 덮개부재, 그리고, 하단부측 내주면은 상기 제 1 지지부재의 상단부측 외주면에 결합되고 중앙부측 및 상단부측 내주면은 상기 덮개부재의 외주면과 접촉하여 상기 스위블이 상기 받침부재에 접촉되게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스위블에 의하여 운동하는 상기 덮개부재의 운동을 지지하는 제 2 지지부재를 가지면서 상기 우퍼와 상기 트위터를 동축상에 연결하는 연결부; 그리고, 소정 이하의 힘에 의해서는 상기 스위블이 운동하지 못하도록 상기 스위블을 구속하는 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동축 스피커는 스위블(Swivel)의 걸림돌기가 받침부재의 걸림홈에 삽입되어 걸리므로 소정 이하의 조그마한 충격에 의해서는 스위블이 회전 및 선회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스위블에 내장된 트위터의 지향성이 향상된다.

Description

동축 스피커 {COAXIAL SPEAKER}
본 발명은 우퍼(Woofer)와 트위터(Tweeter)를 동축상에 연결하는 연결부의 구조를 개선한 동축 스피커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동축 스피커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로써, 이를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동축 스피커(10)는 저음을 발생하는 우퍼(Woofer)(20), 고음을 발생하는 트위터(Tweeter)(30) 및 우퍼(20)와 트위터(30)를 동축상에 연결하는 연결부(40)를 구비한다. 연결부(40)는 지지부재(41)와 회전 및 선회운동가능하게 설치된 스위블(Swivel)(43)과 결속링(45)을 가진다. 상세히 설명하면, 지지부재(41)의 하단부측은 우퍼(20)에 압입되고, 상단부측 내부에는 원형의 홈이 형성된다. 스위블(43)의 하단부측은 탄성을 가진 원형으로 형성되어 지지부재(41)의 상단부측에 형성된 상기 홈에 회전 및 선회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단부측에는 트위터(30)가 설치된다. 결속링(45)은 지지부재(41)의 상단부측 외주면에 삽입되어 지지부재(41)와 스위블(43)이 견고하게 결합되게 지지한다. 그리하여, 차량 등에 동축 스피커(10)를 설치한 다음, 트위터(30)를 회전 및 선회운동시켜 트위터(30)가 적절한 방향을 향하게 한다. 미설명 부호 50은 우퍼(20)와 트위터(30)를 접속시키는 와이어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동축 스피커는 스위블(43)의 하단부측의 탄성력에 의해서만 스위블이 지지부재(41)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한다. 즉, 지지부재(41)에 결합된 스위블(43)의 결합력이 약하므로 인하여, 차량의 주행 중 발생하는 충격에 의해서도 스위블(43)이 회전 및 선회된다. 그러면, 트위터(30)가 향하는 방향이 임의로 바뀌게 될 뿐만 아니라 스피커에서 이상음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작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소정 이하의 힘에 의해서는 스위블이 운동하지 못하도록 상기 스위블을 구속하는 수단을 마련하여 트위터의 지향성(指向性)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축 스피커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동축 스피커는, 저음을 발생하는 우퍼(Woofer); 상기 우퍼의 상측에 위치되며 와이어를 매체로 상기 우퍼와 접속되어 고음을 발생하는 트위터(Tweeter); 상기 우퍼의 중앙부에 하단부측이 압입된 제 1 지지부재, 상기 제 1 지지부재의 상단부측 내주면에 삽입ㆍ결합된 받침부재, 상면 내부에는 상기 트위터가 내장되고 하면은 상기 받침부재의 상면과 접촉하며 회전 및 선회운동가능하게 설치된 스위블(Swivel), 상기 스위블의 상면에 결합되어 상기 스위블과 동일하게 운동하며 상기 트위터를 보호하는 덮개부재, 그리고, 하단부측 내주면은 상기 제 1 지지부재의 상단부측 외주면에 결합되고 중앙부측 및 상단부측 내주면은 상기 덮개부재의 외주면과 접촉하여 상기 스위블이 상기 받침부재에 접촉되게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스위블에 의하여 운동하는 상기 덮개부재의 운동을 지지하는 제 2 지지부재를 가지면서 상기 우퍼와 상기 트위터를 동축상에 연결하는 연결부; 그리고, 소정 이하의 힘에 의해서는 상기 스위블이 운동하지 못하도록 상기 스위블을 구속하는 수단을 구비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축 스피커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축 스피커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동축 스피커(100)는 저음을 발생하는 우퍼(Woofer)(110), 고음을 발생하는 트위터(Tweeter)(120), 우퍼(110)와 트위터(120)를 연결하며 회전 및 선회운동하는 연결부(200), 그리고 소정 이하의 힘이 작용하면 연결부(200)가 운동하지 못하도록 연결부(200)를 구속하는 수단(270)(도 3참조)을 가진다.
우퍼(110)는 저면 중앙부에 구멍이 형성된 제 1 프레임(111), 상기 구멍과 인접한 제 1 프레임(111)의 외면에 결합된 링형상의 제 1 플레이트(113), 제 1 플레이트(113)의 저면에 결합된 링형상의 제 1 마그네트(114), 제 1 마그네트(114)의 저면에 결합된 테두리부(115a)와 제 1 플레이트(113)의 내면과 소정 간격을 가지면서 제 1 플레이트(113)의 내측에 위치되는 관형상의 돌출부(115b)를 가지는 제 1 요크(115), 제 1 프레임(111)에 외주면측이 결합되고 중앙부에는 구멍이 형성된 제 1 진동판(117), 상단부측 외면은 제 1 진동판(117)의 내면에 부착되고 하단부측은 제 1 플레이트(113)와 돌출부(115b) 사이에 위치되는 제 1 보이스코일(118)을 가진다. 그리하여, 외부의 전류가 단자(111a)를 통하여 제 1 보이스코일(118)에 인가되면 제 1 보이스코일(118)에서 발생되는 전기장과 제 1 플레이트(113)와 제 1 마그네트(114) 및 제 1 요크(115)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에 의하여 제 1 보이스코일(118)이 상하로 진동하고, 이로인해 제 1 진동판(117)이 상하로 진동하면서 저음의 음향을 발생한다.
트위터(120)는 스위블(Swivel)(230)(도 3참조 : 후술한다)의 내부에 결합된 U형상의 제 2 요크(121), 제 2 요크(121)의 내측면과 소정 간격을 가지면서 제 2 요크(121)의 내부에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결합된 제 2 마그네트(123)와 제 2 플레이트(125), 스위블(230)에 외주면측이 결합된 제 2 진동판(127), 상부측은 제 2 진동판(127)에 부착되고 하부측은 제 2 요크(121)와 제 2 플레이트(125) 사이에 위치되는 제 2 보이스코일(128)을 가진다. 그리하여, 외부의 전류가 단자(129)를 통하여 제 2 보이스코일(128)에 인가되면 제 2 보이스코일(128)에서 발생되는 전기장과 제 2 요크(121)와 제 2 마그네트(123) 및 제 2 플레이트(125)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에 의하여 제 2 보이스코일(128)이 상하로 진동하고, 이로인해 제 2 진동판(127)이 상하로 진동하면서 고음의 음향을 발생한다. 미설명부호 119는 커버이고, 112는 댐퍼이며, 130은 우퍼(110)와 트위타(120)를 상호 접속시키는 와이어이다.
연결부(200)는 제 1 지지부재(210), 받침부재(220), 스위블(Swivel)(230), 덮개부재(240) 및 제 2 지지부재(250)를 가지면서 우퍼(110)와 트위터(120)를 동축상에 연결하는데, 이를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선 결합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지지부재(210)는 원통상의 중공체(中空體)로 마련되어 하단부측이 우퍼(110)의 돌출부(115b)(도 2참조)에 압입된다. 제 1 지지부재(210)의 상단부측 내주면 및 외주면에는 등간격으로 다수의 제 1 결합홈(211) 및 제 1 결합돌기(213)가 각각 형성된다.
받침부재(220)는 중앙부로 갈수록 하측으로 돌출되어 곡면을 이루는 접시형상으로 마련되어 제 1 지지부재(210)의 상단부측 내주면에 삽입ㆍ결합된다. 받침부재(220)의 외주면에는 제 1 결합홈(211)에 결합되는 제 2 결합돌기(221)가 제 1 결합홈(211)과 대응되게 형성되는데, 이로인해 받침부재(220)가 회전되지 않는다.
스위블(230)은 U형상의 중공체(中空體)로 마련되며, 내부에는 트위터(120)(도 2참조)가 내장된다. 스위블(230)의 하면은 받침부재(220)의 상면과 대응되는 곡면으로 형성되어 받침부재(220)의 상면과 접촉하며, 회전 및 선회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스위블(230)의 상단면에는 외측으로 연장ㆍ형성된 테(231)가 형성된다. 테(231)의 외주면에는 등간격으로 다수의 제 3 결합돌기(233)가 형성되고, 상면에는 등간격으로 다수의 제 2 결합홈(235)이 형성된다. 그리고, 테(231)의 상면에는 일측은 트위터(120)와 접속되고 타측은 와이어(130)와 접속된 단자(129)가 설치된다.
덮개부재(240)는 스위블(230)의 상면에 결합되어 트위터(120)를 보호하며, 스위블(230)과 동일하게 운동한다. 덮개부재(240)는 덮개판(241), 접촉판(243), 제 1 결합리브(245) 및 제 2 결합리브(247)를 가진다. 덮개판(241)은 원형으로 마련되어 스위블(230)의 상면을 덮어서 보호하고, 접촉판(243)은 탄성을 가지는 링형상으로 마련되어 덮개판(241)의 외면에서 하측으로 연장ㆍ형성된다. 접촉판(243)은 하측으로 갈수록 외경이 크게 형성되는데, 외면은 곡면으로 형성되어 제 2 지지부재(250)의 내면과 접촉한다. 제 1 결합리브(245)는 접촉판(243)과 소정 거리 이격된 덮개판(241)의 하면에서 연장ㆍ형성되는데, 제 1 결합리브(245)의 내면에는 제 3 결합홈(245a)이 형성된다. 제 3 결합홈(245a)에는 제 3 결합돌기(233)가 삽입ㆍ결합된다. 제 2 결합리브(247)는 제 1 결합리브(245)와 소정 거리 이격된 덮개판(241)의 하면에서 연장ㆍ형성되어 제 2 결합홈(235)에 삽입된다. 제 1 결합리브(245)의 제 3 결합홈(245a)과 제 3 결합돌기(233), 제 2 결합리브(247)와 제 2 결합홈(235)에 의하여 스위블(230)과 덮개부재(240)가 견고하게 결합된다.
제 2 지지부재(250)는 링형상으로 마련되며, 하단부측 내주면에는 제 4 결합홈(251)이 형성된다. 제 4 결합홈(251)에는 제 1 결합돌기(213)가 삽입ㆍ결합된다. 제 4 결합홈(251)과 제 1 결합돌기(213)에 의하여 제 2 지지부재(250)와 제 1 지지부재(210)가 견고하게 결합된다. 제 2 지지부재(250)는 하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크게 형성되며 내면은 접촉판(243)의 외면과 대응되게 곡면으로 형성되어 접촉판(243)의 외면과 접촉한다. 제 2 지지부재(250)가 제 1 지지부재(210)에 결합되어 있고, 제 2 지지부재(250)는 내면과 접촉판(243)의 외면은 접촉한다. 그런데, 제 2 지지부재(250)의 내경 및 접촉판(243)의 외경이 하측으로 갈수록 크게 형성되므로, 덮개부재(240)가 제 2 지지부재(250)의 상측으로 이탈되지 않는 것이다.
수단(270)은 스위블(230)을 구속하여 소정 이하의 힘이 작용하는 경우에는 스위블(230)이 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를 도 3 내지 도 5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의 작동을 보인 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지지부재(210)의 내부에는 제 1 지지부재(210)를 구획하는 지지판(217)이 형성된다.
수단(270)은 스위블(230)의 하면 중앙부에 형성된 반구형의 걸림돌기(271), 받침부재(220)의 상면에 형성되며 스위블(230)이 회전 및 선회운동함에 따라 걸림돌기(271)가 삽입되어 걸리는 반구형의 걸림홈(273) 및 받침부재(220)와 지지판(217) 사이에 마련되어 받침부재(220)를 스위블(230)측으로 탄성ㆍ지지하는 스프링 등과 같은 탄성부재(275)로 마련된다. 탄성부재(275)에 의하여 걸림돌기(271)가 걸림홈(273)에 견고하게 삽입되어 걸려 있으므로, 소정 이하의 외력이 작용할 경우에는 스위블(230)이 회전 및 선회되지 않는다.
스위블(230)을 회전 및 선회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걸림돌기(271)를 걸림홈(273)으로부터 빼낼 수 있을 정도의 외력을 덮개부재(240)에 가한다. 그러면, 도 5a의 상태에서 도 5b의 상태로 스위블(230)이 회전되어 트위터(120)를 회전시킨다.
지지판(217)에는 탄성부재(275)가 삽입되는 이탈방지돌기(219)가 형성되는데, 이탈방지돌기(219)는 탄성부재(275)가 정위치하도록 지지한다. 그러면, 탄성부재(275)의 탄성력이 받침부재(220)에 균일하게 전달되므로 걸림돌기(271)가 걸림홈(273)에 더욱 견고하게 더욱 삽입된다.
도 3의 215 및 도 4의 217a는 와이어(130)가 통과하는 관통공이다.
이상에서 설명하듯이, 본 발명에 따른 동축 스피커는 스위블(Swivel)의 걸림돌기가 받침부재의 걸림홈에 삽입되어 걸리므로 소정 이하의 조그마한 충격에 의해서는 스위블이 회전 및 선회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스위블에 내장된 트위터의 지향성이 향상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및 변형한 것도 본 발명에 속함은 당연하다.
도 1은 종래의 동축 스피커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축 스피커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의 "A-A"선 결합 단면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의 작동을 보인 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우퍼 120 : 트위터
200 : 연결부 210 : 제 1 지지부재
220 : 받침부재 230 : 스위블
240 : 덮개부재 250 : 제 2 지지부재

Claims (4)

  1. 저음을 발생하는 우퍼(Woofer);
    상기 우퍼의 상측에 위치되며 와이어를 매체로 상기 우퍼와 접속되어 고음을 발생하는 트위터(Tweeter);
    상기 우퍼의 중앙부에 하단부측이 압입된 제 1 지지부재, 상기 제 1 지지부재의 상단부측 내주면에 삽입ㆍ결합된 받침부재, 상면 내부에는 상기 트위터가 내장되고 하면은 상기 받침부재의 상면과 접촉하며 회전 및 선회운동가능하게 설치된 스위블(Swivel), 상기 스위블의 상면에 결합되어 상기 스위블과 동일하게 운동하며 상기 트위터를 보호하는 덮개부재, 그리고, 하단부측 내주면은 상기 제 1 지지부재의 상단부측 외주면에 결합되고 중앙부측 및 상단부측 내주면은 상기 덮개부재의 외주면과 접촉하여 상기 스위블이 상기 받침부재에 접촉되게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스위블에 의하여 운동하는 상기 덮개부재의 운동을 지지하는 제 2 지지부재를 가지면서 상기 우퍼와 상기 트위터를 동축상에 연결하는 연결부; 그리고,
    소정 이하의 힘에 의해서는 상기 스위블이 운동하지 못하도록 상기 스위블을 구속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스피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지부재는 원통상의 중공체(中空體)로 마련되고, 상단부측 내주면 및 외주면에는 등간격으로 다수의 제 1 결합홈 및 제 1 결합돌기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받침부재는 중앙부로 갈수록 하측으로 돌출되어 곡면을 이루는 접시형상으로 마련되고, 외주면에는 상기 제 1 결합홈에 결합되는 제 2 결합돌기가 상기 제 1 결합홈과 대응되게 형성되며,
    상기 스위블은 U형상의 중공체(中空體)로 마련되되, 상단면에는 외측으로 연장ㆍ형성된 테가 형성되고 하면은 상기 받침부재와 대응되는 곡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테의 외주면에는 등간격으로 다수의 제 3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테의 상면에는 등간격으로 다수의 제 2 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테에는 일측은 상기 트위터와 접속되고 타측은 상기 와이어와 접속된 단자가 설치되고,
    상기 덮개부재는 상기 스위블의 상면을 덮는 원형의 덮개판, 상기 덮개판의 외면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되, 하측으로 갈수록 외경이 크게 형성되고 외면은 곡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 2 지지부재의 내면과 접촉하는 탄성을 가지는 링형상의 접촉판, 상기 접촉판과 소정 거리 이격된 상기 덮개판의 하면에서 연장ㆍ형성되며 상기 제 3 결합돌기가 삽입되는 제 3 결합홈이 형성된 제 1 결합리브, 상기 제 1 결합리브와 소정 거리 이격된 상기 덮개판의 하면에서 연장ㆍ형성되어 상기 제 2 결합홈에 삽입되는 제 2 결합리브를 가지고,
    상기 제 2 지지부재는 링형상으로 마련되고, 하측으로 갈수록 내경은 크게 형성되며 내면은 상기 접촉판의 외면과 대응되게 곡면으로 형성되고 하단부측 내주면에는 상기 제 1 결합돌기가 결합되는 제 4 결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스피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지부재의 내부에는 지지판이 형성되고,
    상기 수단은 상기 스위블의 하면 중앙부에 형성된 반구형의 걸림돌기와 상기 받침부재의 상면에 형성되며 상기 스위블이 운동함에 따라 상기 걸림돌기가 삽입되어 걸리는 다수의 걸림홈과 상기 받침부재와 상기 지지판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받침부재를 상기 스위블측으로 탄성ㆍ지지하는 탄성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스피커.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에는 상기 탄성부재가 삽입되어 걸리는 이탈방지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스피커.
KR1020030062014A 2003-09-05 2003-09-05 동축 스피커 KR1005402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2014A KR100540253B1 (ko) 2003-09-05 2003-09-05 동축 스피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2014A KR100540253B1 (ko) 2003-09-05 2003-09-05 동축 스피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4165A true KR20050024165A (ko) 2005-03-10
KR100540253B1 KR100540253B1 (ko) 2006-01-10

Family

ID=372315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2014A KR100540253B1 (ko) 2003-09-05 2003-09-05 동축 스피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025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5121B1 (ko) * 2007-03-30 2008-10-24 에스텍 주식회사 동축 스피커
KR100902089B1 (ko) * 2007-08-10 2009-06-09 에스텍 주식회사 동축 스피커
KR20180050051A (ko) * 2016-11-04 2018-05-14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피커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오디오 출력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6087B1 (ko) * 2006-12-29 2008-09-02 권영현 고음스피커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복합스피커
KR100872543B1 (ko) 2007-04-11 2008-12-08 에스텍 주식회사 동축 스피커
KR101035183B1 (ko) 2009-05-26 2011-05-17 에스텍 주식회사 동축 스피커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5121B1 (ko) * 2007-03-30 2008-10-24 에스텍 주식회사 동축 스피커
KR100902089B1 (ko) * 2007-08-10 2009-06-09 에스텍 주식회사 동축 스피커
KR20180050051A (ko) * 2016-11-04 2018-05-14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피커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오디오 출력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40253B1 (ko) 2006-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90375B2 (en) Multi-function vibrating device
US9930436B2 (en) Bone conduction speaker
US20120243725A1 (en) Earphone
KR100962594B1 (ko) 다기능 스피커
KR102389509B1 (ko) 이어폰용 스피커 유닛
WO2005004310A1 (en) Vibration device
EP1755358B1 (en) Multi-function type oscillation actuator and mobile terminal device
US4665550A (en) Electrodynamic loudspeaker having omnidirectional sound emission
KR101590178B1 (ko) 통전기능을 갖는 서스펜션이 적용된 박형 스피커유니트
KR100540253B1 (ko) 동축 스피커
EP1841278B1 (en) Loudspeaker with low-frequency oscillation
JP2005204215A (ja) 電気音響変換器
JP5550289B2 (ja) カナル型イヤホン
US7245739B2 (en) Dome type diaphragm and loudspeaker apparatus
KR101461210B1 (ko) 스피커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무지향성 슬림타입 스피커
KR101760428B1 (ko) 초소형 스피커 및 그 조립방법
KR102346606B1 (ko) 다이나믹 스피커
KR102447285B1 (ko) 이어폰용 스피커 유닛
KR20100021352A (ko) 스피커
WO2020148819A1 (ja) イントラコンカ型イヤホン
KR102118424B1 (ko) 이어폰
KR100490030B1 (ko) 동축 스피커
JP6989751B2 (ja) ダストキャップおよびこれを用いる動電型スピーカー
KR100932754B1 (ko) 다기능 스피커
US20090316949A1 (en) Electrodynamic loudspeaker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5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5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