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24067A -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용 내역 저장 및 확인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용 내역 저장 및 확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24067A
KR20050024067A KR1020030061875A KR20030061875A KR20050024067A KR 20050024067 A KR20050024067 A KR 20050024067A KR 1020030061875 A KR1020030061875 A KR 1020030061875A KR 20030061875 A KR20030061875 A KR 20030061875A KR 20050024067 A KR20050024067 A KR 200500240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age history
terminal
memory
storing
particula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18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희진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618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24067A/ko
Publication of KR200500240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4067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용 내역을 저장하여 확인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단말기 사용 내역에 대한 별도의 기록 장치를 두어 간단한 장치 연결만을 통해 쉽게 단말기의 사용 내역(메뉴 사용 빈도 수, 에러 기록 등)을 조회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단말기의 사용 내역을 암호화하여 기록 장치에 저장하고 또한 암호화된 내역을 해독하여 사용 내역을 확인한다. 다른 경우로, 단말기 내의 메모리가 큰 경우에 본 발명에서는 별도의 사용 내역을 저장하기 위한 장치를 두지 않고 단말기 내의 메모리에 사용 내역을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을 통해서, 단말기 제조사는 단말기 사용 내역의 파악하여 마케팅에 활용할 수 있고 에러 및 버그에 대한 문제를 쉽게 해결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용 내역 저장 및 확인 방법{Method for storing and confirmation the particulars of use of mobile}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용 내역을 저장하여 확인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용 내역을 별도의 사용 내역 기록 장치에 암호화하여 저장하거나, 단말기의 메모리에 사용 내역을 암호화하여 저장한다. 또한 저장된 사용 내역 확인 시에는 암호 해독 과정을 거침으로써 보안을 보장한다.
지금까지의 단말기에서는 사용 내역을 저장하기 위한 별도의 장치 없이 단말기의 메모리에 사용 내역을 저장하고 이를 사용자의 메뉴 조작을 통해서 확인한다. 확인할 수 있는 단말기의 사용 내역도 제한적이어서 예를 들면, 통화 시간 내역, 설정된 멜로디, 화면 밝기 값 등만을 확인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서는 단말기의 전체적인 사용 내역을 확인하는 것이 제한적이며, 이를 확인하기 위해 일일이 단말기 상의 메뉴를 조작해야 한다는 불편함이 따른다. 또한 일반적인 사용자 입장에서가 아니라, 단말기의 제조업자의 입장에서는 종래의 기술을 통해서는 사용자들의 단말기 사용 내역을 완벽하게 파악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단말기에 단말기 사용 내역 기록 장치를 연결하여 사용 내역을 암호화해서 저장하거나, 단말기 내의 메모리에 사용 내역을 암호화해서 저장한다. 저장된 사용 내역을 암호 해독하여 확인함으로써, 안전하게 사용 내역을 확인할 수 있고 단말기의 전체적인 사용 내역을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용 내역을 저장하여 확인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단말기의 사용 내역만을 저장하는 외부 기록 장치를 별도로 두고, 이 기록 장치를 단말기에 연결하여 사용 내역을 암호화하여 연결된 기록 장치에 저장한다. 또는 단말기의 메모리가 큰 경우에는 동일한 메모리에 사용 내역을 저장한다. 저장하는 사용 내역은 사용자의 단말기 내의 메뉴 사용 빈도 수, 특정 메뉴로 이동하기 위해 거친 경로, 음향 설정 값, 배경 조명 설정 값, 통신 종류별(SMS, 음성, 데이터 서비스 등) 사용 빈도 수, 에러 발생 경우, 시간, 위치 등과 같은 사용자가 이용한 단말기의 사용 내역을 말한다. 저장 후에, 사용 내역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암호화되어 저장된 사용 내역을 다시 암호 해독하여 사용 내역을 단말기의 화면부에 출력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내부 구성도 이다. 이는 키패드(100), 외부 연결 인터페이스(101), 제어부(102), 화면부(103), 메모리(104)을 구비한다.
키패드(100)는 문자 키, 숫자 키와 각종 기능 키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입력하는 키에 대응하는 키 입력 신호를 발생하여 제어부(102)로 전달한다.
외부 연결 인터페이스(101)는 이동통신단말기와 외부 기록 장치를 연결하는 것으로써, 본 발명에서는 별도의 기록 장치를 두어 이를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연결 인터페이스(101)는 USB, 케이블, 블루투스, IrDA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어부(102)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키패드(100)에서 발생하는 키 입력에 대응하는 동작과 외부 연결 인터페이스(101)에 연결된 외부 기록 장치와의 동작을 제어한다. 외부 기록 장치에 사용 내역을 암호화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내역을 해독하여 출력하는 동작을 제어한다.
화면부(103)는 제어부(102)에 의해 동작되는 과정을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한다.
메모리(104)는 제어부(102)의 제어 시에 필요한 단말기의 사용 내역을 외부 기록 장치에 암호화하여 저장할 수 있고, 또한 외부 기록 장치로부터 암호화된 사용 내역을 해독하여 확인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저장하고 있다.
도 1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내부 구성도이다.
이 경우에는 외부 기록 장치를 두지 않고 단말기 자체적으로 사용 내역을 저장할 수 있는 별도의 사용 내역 기록 메모리(204)를 포함한다. 그 외의 구성은 도 1a의 구성과 동일하다.
도 1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내부 구성도이다.
이 경우는 단말기의 메모리의 용량이 충분할 때에, 사용 내역을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를 따로 두지 않고 단말기 내의 메모리(303)에 저장한다. 또한, 그 외의 구성은 도 1a의 구성과 동일하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사용 내역을 외부 기록 장치에 저장하는 과정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a와 같은 구성을 갖는 단말기에서 사용 내역을 외부 기록 장치에 저장하기 위해서는 단말기에 외부 기록 장치를 연결 인터페이스에 물리적으로 연결해야 한다(S400). 단말기의 사용 내역 기록 장치는 단말기의 인터페이스(USB, 케이블, 블루투스, IrDA 등)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갖는다. 외부 기록 장치와의 연결 후에, 단말기의 사용 내역을 조회한다(S401). 사용 내역이 조회된 최종 일자를 인식하여, 그 다음부터의 사용 내역을 조회한다(S401). 확실한 보안을 위해 단말기 내에 저장된 소프트웨어를 사용해서 조회된 사용 내역을 암호화하고(S402), 다음으로 암호화된 사용 내역을 연결된 외부 기록 장치에 저장한다(S403).
도 1b, 도 1c와 같은 구성을 갖는 단말기에서는 별도의 외부 기록 장치를 갖고 있지 않기 때문에 상기의 사용 내역을 저장하는 과정에서 도 2의 단계 S400는 생략된다. 그 외의 과정은 도 2의 과정과 동일하고 도 2의 단계 S403에서 암호화된 내역을 외부 기록 장치가 아닌 단말기 내에 있는 사용 내역을 저장하는 별도의 메모리 또는 단말기 내의 메모리에 저장한다.
상기의 여러 과정을 통해 저장된 사용 내역을 사용자가 확인하는 과정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외부 기록 장치를 갖는 단말기에서는, 사용 내역이 저장된 외부 기록 장치를 단말기의 인터페이스에 물리적으로 연결한다(S500). 단말기 내에 저장된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연결된 기록 장치에 저장된 내역을 추출하고(S501), 추출된 내역은 사용 내역 저장 과정에서 암호화되었기 때문에 이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추출된 내역을 해독하는 과정(S502)을 거쳐야 한다. 따라서 저장된 사용 내역을 추출하여도 암호를 해독할 수 있는 모듈이 없으면 확인이 불가능하므로 보안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해독된 내역은 단말기의 화면부에 출력함으로써(S503), 사용자는 단말기의 다양한 사용 내역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단말기 내에 사용 내역을 저장하는 별도의 메모리를 갖는 도 1b와 기존에 있는 메모리에 사용 내역을 저장하는 도 1c의 구조를 갖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는 외부 기록 장치의 연결 과정이 필요 없으므로, 도 3의 과정에서 단계 S500은 생략된다. 그 외의 과정은 외부 기록 장치를 갖는 단말기에서의 사용 내역 확인 과정과 동일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의 단말기 사용 내역을 외부의 사용 내역 기록 장치, 단말기에 포함된 기록 장치 또는 단말기 내에 기존에 포함된 메모리에 암호화하여 저장하고 이를 해독하여 사용자가 단말기의 사용 내역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저장된 내역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해독 모듈 없이는 불가능하므로 보안성을 보장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통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이상 설명한 것과 같이, 본 발명에서 사용 내역을 암호화하여 저장하고 이를 확인할 때도 해독 과정을 거침으로써 저장된 사용 내역을 추출하여도 암호 해독 모듈이 없이는 확인할 수 없으므로 보안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단말기 사용자의 사용 내역을 파악함으로써, 단말기 제조사가 단말기 내의 에러 및 버그 발생 시에 이를 활용하여 더욱 쉽게 문제 해결을 할 수 있게 되고 사용자의 취향을 파악하여 단말기의 마케팅에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도 1a 내지 도 1c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2는 단말기의 사용 내역을 기록 장치에 저장하는 흐름도이다.
도 3은 사용 내역이 저장된 기록 장치를 통해 단말기의 사용 내역을 확인하는 흐름도이다.

Claims (4)

  1.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용 내역을 조회하는 제 1단계,
    조회된 내역을 암호화하여 메모리에 저장하는 제 2단계,
    상기 메모리에서 저장된 사용 내역을 추출하는 제 3단계,
    추출된 내역을 해독하여 화면부에 출력하는 제 4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 내역 저장 및 확인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USB, 케이블, 블루투스, IrDA 등의 단말기의 외부 연결 인터페이스에 연결해서 사용되거나 단말기 내부에 내장되어 사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 내역 저장 및 확인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이동통신단말기에 내장된 메모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 내역 저장 및 확인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사용 내역은 사용자의 단말기 메뉴 사용 빈도 수, 특정 메뉴로 이동하기 위해 거친 경로, 배경 조명 및 음향 설정 값, 통신 종류별(음성, SMS, 데이터 서비스 등) 사용 빈도, 에러 발생 경우, 사용한 메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 내역 저장 및 확인 방법.
KR1020030061875A 2003-09-04 2003-09-04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용 내역 저장 및 확인 방법 KR200500240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1875A KR20050024067A (ko) 2003-09-04 2003-09-04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용 내역 저장 및 확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1875A KR20050024067A (ko) 2003-09-04 2003-09-04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용 내역 저장 및 확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4067A true KR20050024067A (ko) 2005-03-10

Family

ID=37231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1875A KR20050024067A (ko) 2003-09-04 2003-09-04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용 내역 저장 및 확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2406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9903B1 (ko) * 2004-09-21 2006-09-1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리셋 제어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9903B1 (ko) * 2004-09-21 2006-09-1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리셋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16151B2 (en) Modular wireless communicator
CN110719166A (zh) 芯片烧录方法、芯片烧录装置、芯片烧录系统及存储介质
US8180395B2 (en) Modular wireless communicator
CN101099157B (zh) 接收附件设备的便携式电子设备
EP2790863B2 (en) Welding or cutting system, power supply and method of controlling such system by use of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s user interface
CN100484159C (zh) 便携式信息终端和数据保护方法
KR100823100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데이터 유출 방지 방법 및 장치
US10027789B2 (en) Modular wireless communicator
CN101496337A (zh) 硬盘驱动器认证
EP1983440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storing encrypted data on hard disk
US5414753A (en) Number assignment module setting system for portable telephone set
CN101322389A (zh) 验证移动电话附件的方法及装置
KR20140017035A (ko) 오디오 보안 저장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인증서 관리 방법
KR20050024067A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용 내역 저장 및 확인 방법
KR101879326B1 (ko) 지령 정보의 송수신 방법 및 그 장치
CN108777620A (zh) 数据传输方法、装置、移动终端和存储介质
CN111090894B (zh) 一种锁卡数据重建的方法和装置
KR102022638B1 (ko) 시리얼키 기반의 보안 케이블 인증 시스템
JP4624126B2 (ja) 切替器
KR101460762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외부 명령어 처리 장치 및 방법
JP2004104661A (ja) 携帯電話機、インバータ装置、インバータ装置のパラメータ設定値転送システム、携帯電話機の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インバータ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KR100489793B1 (ko) 컴퓨터 시스템의 타인에 의한 접근 경고 방법 및 시스템
JP2022147466A (ja) 電子機器及び通信方法
JP2000231485A (ja) ソフトウェアに係る不正使用防止の制御方式
KR100628208B1 (ko) 사용자 인증 장치와 사용자 인증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인증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