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23811A - 발목 펌프 건강기 - Google Patents

발목 펌프 건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23811A
KR20050023811A KR1020030061254A KR20030061254A KR20050023811A KR 20050023811 A KR20050023811 A KR 20050023811A KR 1020030061254 A KR1020030061254 A KR 1020030061254A KR 20030061254 A KR20030061254 A KR 20030061254A KR 20050023811 A KR20050023811 A KR 200500238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ing
shaft
foot
base plate
elev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12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12906B1 (ko
Inventor
김재춘
윤혁중
Original Assignee
김재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춘 filed Critical 김재춘
Priority to KR10-2003-00612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2906B1/ko
Publication of KR200500238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38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29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290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63B23/08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for ankle joi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다리근육을 사용하지 않고도 발을 들어올려 떨어뜨릴 수 있도록 하는 발목펌프 운동기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서, 베이스판의 후방에 수직대를 통해 일정한 높이에 위치되어 발목이 올려지는 수평 원형봉과, 베이스판의 전방에 구비되며 발꿈치를 들어 올릴 수 있도록 베이스판에 장착된 양 가이드축을 통해 상기 수평 원형봉의 전방에서 승강이 가능하게 장착된 발 승강부와, 상기 베이스판과 발 승강부의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발 승강부를 반복적으로 승강시키는 승강 작동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발목 펌프 건강기{Ankle pump healthy apparatus}
본 발명은 신체의 혈액 순환을 원활히 하는 발목 펌프 건강기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구체적으로는, 근육에 힘을 주지 않은 상태에서 발목을 인상시켜 떨어뜨리는 발목 펌프 건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목 펌프운동이라 함은, 누운 자세 또는 앉은 자세에서 양다리를 번갈아 들었다가 떨어뜨리면서 아킬레스건으로부터 종아리부에 가까운 부위(이하, 편의상 "발목"이라 칭한다)를 타격하는 과정을 반복함으로서, 하체에 집중되어 있던 혈액을 심장쪽으로 강제 이송시켜 신체의 혈행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운동을 말하는 것이다.
이에 통상적으로 발목 펌프운동을 수행할 경우에는, 먼저, 길이가 30Cm정도이고 직경이 6~10Cm 정도인 원형봉을 구비하여 운동자가 누운 자세 또는 앉은 자세에서 발목의 하부에 상기 원형봉을 횡방향으로 놓은 상태에서 발목 펌프운동을 준비한다.
다음, 운동자가 오른발과 왼발을 번갈아 들어올리면서 떨어뜨리는 과정을 실행함으로서, 상기 원형봉에 오른발목과 왼발목이 번갈아 충돌되게 함에 따라서 발목 펌프운동을 수행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발목 펌프운동을 수행함에 있어서, 사용자가 다리근육을 사용하여 다리를 들어올린 후 이를 떨어뜨림으로서 사용자는 많은 피로감을 느끼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다리를 들어올리는 시점에서 종아리 및 허벅지 등의 근육에 힘을 주게 됨으로서 혈액순환의 효과를 저하시키게 되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다리근육을 사용하지 않고도 발을 들어올려 떨어뜨릴 수 있도록 하는 발목펌프 운동기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발목 펌프운동을 수행함과 동시에 발바닥의 지압도 함께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목적도 있다.
또한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발의 승강 높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목적도 있다.
또 양발을 동시에 들어 올린 후 이를 떨어뜨리는 펌프운동은 물론, 양발을 번갈아 들어올리면서 각 발을 떨어뜨리는 펌프운동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목적도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베이스판의 후방에 수직대를 통해 일정한 높이에 위치되어 발목이 올려지는 수평 원형봉과, 베이스판의 전방에 구비되며 발꿈치를 들어 올릴 수 있도록 베이스판에 장착된 양 가이드축을 통해 상기 수평 원형봉의 전방에서 승강이 가능하게 장착된 발 승강부와, 상기 베이스판과 발 승강부의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발 승강부를 반복적으로 승강시키는 승강 작동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발 승강부는, 상기 가이드축과 연결되는 승강본체와, 승강본체의 상부에 구비되며 각각에 후방 걸림턱이 구비된 양 지지축을 포함하는 지지대와, 상기 양 지지축에 힌지축을 통해 고정되어 힌지축을 중심으로 경사지면서 하강이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승강판, 및 상기 힌지축에 장착되어 상기 승강판을 하부로 눌러주는 스프링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승강 작동부는, 상기 베이스판과 발 승강부의 사이에 중간이 회전축을 통해 베이스판에 지지되어 있는 작동축과, 상기 작동축의 일측단과 상기 발승강부의 하부를 상호 연결하며 자유로이 각도 변경이 가능한 연결링크와, 상기 작동축의 타측인 상기 베이스판의 상측에 구비되어 작동축의 중간에 장착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타측을 반복적으로 승강시키는 승강구동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승강 구동부는, 상기 베이스판의 상측에 고정되어 있는 모터와, 모터의 회전축에 고정되어 회전되며 일측에는 편심축이 구비되어 있는 회전판, 및 상기 편심축과 작동축의 타측을 상호 연결하는 승강링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승강작동부는, 상기 작동축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이 이동 가능하게 관통 삽입되어 있는 장홀과, 상기 작동축의 하부에 수평방향으로 구비되어 모터를 통해 회전되는 스크류축과, 상부는 상기 작동축에 관통된 회전축의 양단을 지지하며 하부는 상기 스크류축에 체결되어 좌우로 이동 가능한 이동대로 구성된 승강높이 조정수단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발목 펌프 건강기는, 베이스 판의 일측을 연장하여 베이스부를 더 구비하고, 이 베이스부의 상부에는 발이 올려지는 상기 수평 원형봉, 발을 수직으로 들어올리는 상기 발 승강부, 및 발 승강부를 승강시키는 상기 승강작동부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발목 펌프 건강기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본 발명의 발목 펌프 건강기는, 베이스판(1)의 후방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발목에 충격을 가하는 충격수단과, 이 충격수단의 전방에 구비되어 상기 충격수단에 올려진 발의 발꿈치를 들었다가 하부로 떨어지게 하는 발 인상수단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충격수단은, 평탄한 면을 가지는 베이스판(1)의 후방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베이스판(1)에 수직으로 고정되어 있는 수직대(21)와, 이 수직대(21)의 상부에서 횡방향의 수평으로 고정되어 사용자의 발목이 올려지는 수평 원형봉(2)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평 원형봉(2)은, 발목이 떨어지는 순간에 발목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직경이 6~10Cm 정도인 봉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발 인상수단은, 상기 베이스판(1)의 전방에 구비되어 발꿈치를 들어 올릴 수 있도록 베이스판(1)에 장착된 양 가이드축(4)에 의해 승강이 가능하게 구비된 발 승강부(3)와, 상기 베이스판(1)과 발 승강부(3)의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발 승강부(3)를 반복적으로 승강시키는 승강 작동부(5)로 구성된다.
즉 상기 양 가이드축(4)은 베이스판(1)에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홈을 따라 승강 가능하게 구비됨으로서 상기 가이드축(4)에 연결된 발 승강부(3)를 승강되게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축(4)은, 발의 원활하게 들어올린 후 떨어뜨릴 수 있도록 약간 경사지게 구비되거나, 또는 수직으로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발 승강부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2a는 확대도이고, 도 2b는 도 2a의 A부 확대도로서, 상기 발 승강부(3)는, 상기 가이드축(4)과 연결되는 승강본체(31)와, 승강본체(31)의 상부에 구비되어 있고 각각에 후방 걸림턱(322)이 구비된 양 지지축(321)을 포함하는 지지대(32)와, 상기 양 지지축(321)에 힌지축(34)을 통해 고정되어 힌지축(34)을 중심으로 경사져 하강이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승강판(33), 및 상기 힌지축(34)에 장착되어 상기 승강판(33)을 하부로 눌러주는 스프링(35)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스프링(35)을 통해 승강판(33)을 하부로 항상 눌러줌에 따라서, 승강판(33)이 상승되지 않은 위치에서는 승강판(33)의 하면이 상기 지지대(32)를 구성하는 양 지지축(321)의 후방 걸림턱(322)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도 3은 도 1의 B-B선 단면도로서, 상기 승강 작동부(5)는, 상기 베이스판(1)과 발 승강부(3)의 사이에 중간이 회전축(51)을 통해 베이스판(1)에 지지되어 있는 작동축(52)과, 상기 작동축(52)의 일측단과 상기 발승강부(3)의 하부를 상호 연결하며 자유로이 각도 변경이 가능한 연결링크(53)와, 상기 작동축(52)의 타측인 상기 베이스판(1)의 상측에 구비되어 작동축(52)의 중간에 장착된 회전축(51)을 중심으로 하여 타측을 반복적으로 승강시키는 승강구동부(54)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승강 구동부(54)는, 상기 베이스판(1)의 상측에 고정되어 있는 모터(541)와, 모터(541)의 회전축에 고정되어 회전되며 일측에는 편심축(543)이 구비되어 있는 회전판(542), 및 상기 편심축(543)과 작동축(52)의 타측을 상호 연결하는 승강링크(544)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승강작동부(5)는, 상기 작동축(52)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51)이 이동 가능하게 관통 삽입되어 있는 장홀(551)과, 상기 작동축(52)의 하부에 수평방향으로 구비되어 모터(553)를 통해 회전되는 스크류축(552)과, 상부는 상기 작동축(52)에 관통된 회전축(51)의 양단을 지지하며 하부는 상기 스크류축(552)에 체결되어 좌우로 이동 가능한 이동대(554)로 구성된 승강높이 조정수단(55)을 더 포함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발목 펌프 건강기의 작동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발 인상수단의 작동전 상태를, 도 4는 발 인상수단의 인상 작동상태를, 도 5는 발 인상수단이 하강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이에 먼저, 도 3을 참조하여 운동전 상태를 설명하면, 본 발명의 발목 펌프 건강기를 구성하는 발 승강부(3)의 승강판(33)이 하강된 위치를 유지하고 있는 것이다.
즉 사용자가 눕거나 또는 앉은 자세에서 양 발목을 베이스판(1)의 후방에 구비되어 있는 수평 원형봉(2)의 상측에 올려놓으면서 발꿈치가 상기 승강판(33)의 후방 상부로 위치되게 하여 발목 펌프 건강기를 통한 운동을 준비한다.
다음,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발 승강부(3)의 하부에 구비되어 있는 승강 작동부(5)의 승강 구동부(54)를 작동시켜 발 승강부(3)를 인상시키는 과정을 통해 발꿈치를 상부로 들어올린 후 하부로 떨어뜨리는 것이다.
즉, 상기 승강구동부(54)의 모터(541)의 회전축을 180도 회전시키게 되면, 모터(541)의 회전을 통해 회전판(542)의 편심축(543)이 180도 하강되고 이 편심축(543)에 연결된 승강링크(544)도 하강된다.
그러므로 상기 승강링크(544)에 연결되어 있는 작동축(52)의 타측이 중간 회전축(51)을 중심으로 하강되고 반대로 작동축(52)의 일측이 상승된다.
따라서 상기 작동축(52)의 일측과 연결되어 있는 발 승강부(3)가 상승됨으로서, 발 승강부(3)가 발목을 들어올린 후 떨어뜨려 주게 되는 것이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와 같이 발 승강부(3)가 승강되는 과정에서는, 먼저, 발 승강부(3)를 구성하는 승강판(33)의 후방이 양측 발의 발꿈치와 밀착된 다음 이 발꿈치를 위로 들어올리는 것이다. 그리고 이와 같이 상기 승강판(33)을 통해 발꿈치를 위로 들어올리는 과정에서는 발꿈치가 다리의 회전으로 인하여 후방으로 이동됨으로서, 발꿈치가 승강판(33)의 후방 단부로 부터 이탈되어 하부로 떨어지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떨어지는 발의 발목부는 수평 안내봉(2)과 충돌됨으로 펌프운동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와 같이 발이 상기 승강판(33)으로 부터 이탈됨과 동시에 순간적으로 하부로 떨어짐에 따라, 베이스판(1)의 전방에 구비되어 있는 수평 안내봉(2)을 통해 발목부가 자연스럽게 타격됨으로서 상술한 바와 같은 발목의 펌프 운동효과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사용자가 다리근육을 사용하지 않고도 발을 들어올려 떨어뜨릴 수 있도록 함으로서, 사용자의 다리근육의 사용으로 인한 혈액순환 장애와 피곤함을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 반대로,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승되어 있던 승강판(33)을 다시 원위치로 하강시킬 경우에는, 먼저, 승강구동부(54)의 모터(541)의 회전축을 180도를 더 회전시키게 되면, 모터(541)의 회전을 통해 회전판(542)의 편심축(543)이 180도 상승되고 이 편심축(543)에 연결된 승강링크(544)도 상승된다.
그러므로 상기 승강링크(544)에 연결되어 있는 작동축(52)의 타측이 중간 회전축(51)을 중심으로 상승되고 반대로 작동축(52)의 일측이 하강된다.
따라서 상기 작동축(52)의 일측과 연결되어 있는 발 승강부(3)가 하강됨으로서 발 승강부(3)를 원위치로 복귀시키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발 승강부(3)가 하강되는 과정에서는, 발 승강부(3)를 구성하는 승강본체(31)와 지지대(32) 및 승강판(33)이 하강되게 되는데, 이때 승강판(33)이 수평상태로 하강되게 되면 수평 원형봉(2)에 올려진 발과 충돌되어 발에 상처를 주게된다.
그런데 상기 승강판(33)의 전방 양측은 도 2b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지지대(32)를 구성하는 양측 지지축(321)과 힌지축(34)을 통해 연결되어 있음에 따라서 힌지축(34)을 중심으로 경사가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힌지축(34)에는 승강판(33)의 상면을 눌러주는 스프링(35)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양측 지지축(321)의 후방에는 승강판(33)의 하부를 지지하는 후방 돌출턱(322)이 구비됨으로서 승간판(33)이 항상 수평상태로 복귀하려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모터(5)의 구동을 통해 승강판(33)이 하강되는 과정에서 승강판(33)의 후방 하측과 발이 충돌되더라도 승강판(33)의 후방이 상부로 들리면서 경사진 상태로 하강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경사진 상태에서 하강되는 승강판(33)은 수평 상태로 복귀하려는 힘을 가짐에 따라서, 승강판(33)의 후방 단부가 발바닥과 밀착되면서 하강됨으로서 발바닥의 지압효과을 얻을 수 있음에 따라 혈액순환 효휼을 극대화시킬 수도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발 승강부(3)의 인상 및 하강작동을 통한 발목 펌프운동은 승강구동부(54)를 구성하는 모터(541)의 구동을 통해 조정함으로서,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도 있고 일정시간 마다 주기적으로도 수행할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승강 작동부(5)는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발 승강부(3)의 승강 높이를 조정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작동축(52)의 하부에 장착되어 있는 승강높이 조정수단(55)을 구성하는 스크류축(552)이 모터(553)를 통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게 되면 이동대(554)가 일측 또는 타측으로 이동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이동대(554)에 구비되어 있는 회전축(51)의 작동축(52)에 구비된 장홀(551)을 따라 일측 또는 타측으로 이동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작동축(52)의 중심이 되는 회전축(51)의 위치가 변경되는 반면에, 작동축(52)의 타측의 승강 높이는 일정함에 따라서 작동축(52)의 일측 승강 높이가 변경되게 됨으로서, 작동축(52)의 일측과 연결된 발 승강부(3)의 승강높이가 조정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일시예의 발목 펌프 건강기에 있어서, 베이스 판(1)의 일측을 연장하여 베이스부(7)를 더 구비하고, 이 베이스 부(7)의 상부에는 좌,우측 발을 번갈아 들어 올릴 수 있도록 상기 일실예와 동일한 구성의 상기 수평 원형봉(2), 발 승강부(3), 승강작동부(5)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양측에 구비된 각각의 수평원형봉(2)의 상측에 사용자의 좌,우측 발목을 올려놓은 상태에서, 좌측의 발승강부(3)를 인상시킬 경우에는 우측의 발승강부(3)를 하강시키고 반대로 좌측의 발승강부(3)를 하강시킬 경우에는 좌측의 발승강부(3)를 상승시키는 과정을 반복함으로서, 양발을 번갈아 들어올리면서 각 발을 떨어뜨리는 펌프운동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가 다리근육을 사용하지 않고도 발을 들어올려 떨어뜨릴 수 있도록 함으로서, 사용자의 피곤함을 예방함은 물론, 다리근육의 사용으로 인한 혈액순환의 효과가 저하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발목 펌프운동을 수행함과 동시에 발바닥의 지압도 함께 수행함으로서 혈액순환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발의 승강 높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신체조건과 관계없이 누구나 호환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양발을 동시에 들어 올린 후 이를 떨어뜨리는 펌프운동을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 양발을 번갈아 들어올리면서 각 발을 떨어뜨리는 펌프운동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발목 펌프 건강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발 승강부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2a는 확대도이고,
도 2b는 도 2a의 A부 확대도.
도 3은 도 1의 B-B선 단면도.
도 4는 발 인상수단의 인상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발 인상수단이 하강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베이스판
2 : 수평 원형봉
21 : 수직대
3 : 발 승강부
31 : 승강본체
32 : 지지대
33 : 승강판
34 : 힌지축
35 : 스프링
4 : 가이드축
5 : 승강 작동부
51 : 회전축
52 : 작동축
53 : 연결링크
54 : 승강 구동부
541 : 모터, 542 : 회전판, 543 : 편심축, 544 : 승강링크
55 : 승강 높이 조정수단
551 : 장홀, 552 : 스크류축, 553 : 모터, 554 : 이동대
7 : 베이스부

Claims (6)

  1. 베이스판(1)의 후방에 수직대(21)를 통해 일정한 높이에 위치되어 발목이 올려지는 수평 원형봉(2)과,
    베이스판(1)의 전방에 구비되며 발꿈치를 들어 올릴 수 있도록 베이스판(1)에 장착된 양 가이드축(4)을 통해 상기 수평 원형봉(2)의 전방에서 승강이 가능하게 장착된 발 승강부(3)와,
    상기 베이스판(1)과 발 승강부(3)의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발 승강부(3)를 반복적으로 승강시키는 승강 작동부(5)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발목 펌프 건강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 승강부(3)는,
    상기 가이드축(4)과 연결되는 승강본체(31)와, 승강본체(31)의 상부에 구비되며 각각에 후방 걸림턱(322)이 구비된 양 지지축(321)을 포함하는 지지대(32)와, 상기 양 지지축(321)에 힌지축(34)을 통해 고정되어 힌지축(34)을 중심으로 경사지면서 하강이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승강판(33), 및 상기 힌지축(34)에 장착되어 상기 승강판(33)을 하부로 눌러주는 스프링(35)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발목 펌프 건강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작동부(5)는,
    상기 베이스판(1)과 발 승강부(3)의 사이에 중간이 회전축(51)을 통해 베이스판(1)에 지지되어 있는 작동축(52)과, 상기 작동축(52)의 일측단과 상기 발승강부(23)의 하부를 상호 연결하며 자유로이 각도 변경이 가능한 연결링크(53)와, 상기 작동축(52)의 타측인 상기 베이스판(1)의 상측에 구비되어 작동축(52)의 중간에 장착된 회전축(51)을 중심으로 하여 타측을 반복적으로 승강시키는 승강구동부(54)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발목 펌프 건강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구동부(54)는,
    상기 베이스판(1)의 상측에 고정되어 있는 모터(541)와, 모터(541)의 회전축에 고정되어 회전되며 일측에는 편심축(543)이 구비되어 있는 회전판(542), 및 상기 편심축(543)과 작동축(251)의 타측을 상호 연결하는 승강링크(544)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발목 펌프 건강기.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작동부(5)는,
    상기 작동축(52)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51)이 이동 가능하게 관통 삽입되어 있는 장홀(551)과, 상기 작동축(52)의 하부에 수평방향으로 구비되어 모터(553)를 통해 회전되는 스크류축(552)과, 상부는 상기 작동축(52)에 관통된 회전축(51)의 양단을 지지하며 하부는 상기 스크류축(552)에 체결되어 좌우로 이동 가능한 이동대(552)로 구성된 승강높이 조정수단(55)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발목 펌프 건강기.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발목 펌프 건강기는,
    베이스 판(1)의 일측을 연장하여 베이스 부(7)를 더 구비하고, 이 베이스 부(7)의 상부에는 발이 올려지는 상기 수평 원형봉(2), 발을 수직으로 들어올리는 상기 발 승강부(3), 및 발 승강부(3)를 승강시키는 상기 승강작동부(5)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목 펌프 건강기.
KR10-2003-0061254A 2003-09-02 2003-09-02 발목 펌프 건강기 KR1005129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1254A KR100512906B1 (ko) 2003-09-02 2003-09-02 발목 펌프 건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1254A KR100512906B1 (ko) 2003-09-02 2003-09-02 발목 펌프 건강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8243U Division KR200334080Y1 (ko) 2003-09-02 2003-09-02 발목 펌프 건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3811A true KR20050023811A (ko) 2005-03-10
KR100512906B1 KR100512906B1 (ko) 2005-09-08

Family

ID=37231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1254A KR100512906B1 (ko) 2003-09-02 2003-09-02 발목 펌프 건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290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34677A (zh) * 2018-03-13 2018-08-24 商洛学院 一种健美操柔韧训练辅助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34677A (zh) * 2018-03-13 2018-08-24 商洛学院 一种健美操柔韧训练辅助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12906B1 (ko) 2005-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05028A (en) Body stimulating mechanical jogger
EP2263761A1 (en) Exercise apparatus
US5277677A (en) Stepping exercise machine
JP4656178B2 (ja) 他動運動装置
KR20090067007A (ko) 운동 기구
CN104800051A (zh) 一种多方位智能拉伸器
JP2020054573A (ja) 踵落とし機
JP2020010946A (ja) 踵落とし機
CN215136484U (zh) 一种用于骨科康复的踝关节康复支具
KR100755787B1 (ko) 트레이닝기구
KR200334080Y1 (ko) 발목 펌프 건강기
CN101983050A (zh) 锻炼辅助设备
KR100512906B1 (ko) 발목 펌프 건강기
KR20210092955A (ko) 멀티 코어운동을 위한 헬스장치
KR100717905B1 (ko) 다리의 혈행촉진 구동장치
KR102484656B1 (ko) 자동 발목 펌프장치
JP2006223791A (ja) 運動補助装置
JP6134891B2 (ja) アキレス腱ストレッチ健康運動器具
KR101018286B1 (ko) 지각 기반 운동형 보행운동기구
KR20070053988A (ko) 발목 펌프 운동 장치
KR20100076768A (ko) 보행궤적 가변형 보행운동기구
CN115337606B (zh) 一种髋膝关节置换术后的预防深静脉血栓的锻炼护理设备
CN220090389U (zh) 一种腿部康复锻炼设备
KR101549450B1 (ko) 체중을 이용한 상체 운동기구
KR101551245B1 (ko) 하체 운동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3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