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23535A - 광 구동기에 있어서 레이저 다이오드 파워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광 구동기에 있어서 레이저 다이오드 파워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23535A
KR20050023535A KR1020030059831A KR20030059831A KR20050023535A KR 20050023535 A KR20050023535 A KR 20050023535A KR 1020030059831 A KR1020030059831 A KR 1020030059831A KR 20030059831 A KR20030059831 A KR 20030059831A KR 20050023535 A KR20050023535 A KR 200500235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se
channel
controller
recording
laser di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98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10544B1 (ko
Inventor
서진교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598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0544B1/ko
Priority to JP2004247469A priority patent/JP4347771B2/ja
Priority to US10/927,522 priority patent/US7269115B2/en
Priority to CNB2004100682810A priority patent/CN100390882C/zh
Publication of KR200500235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35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05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05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4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methods; Read, write or erase circuits therefor
    • G11B7/0045Record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25Optical beam sources therefor, e.g. laser control circuitry specially adapted for optical storage devices; Modulators, e.g. means for controlling the size or intensity of optical spots or optical traces
    • G11B7/126Circuits, methods or arrangements for laser control or stabilisation
    • G11B7/1267Power calibra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4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methods; Read, write or erase circuits therefor
    • G11B7/0045Recording
    • G11B7/00456Recording strategies, e.g. pulse sequenc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4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methods; Read, write or erase circuits therefor
    • G11B7/006Overwriting
    • G11B7/0062Overwriting strategies, e.g. recording pulse sequences with erasing level used for phase-change media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 Optical Hea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 구동기에 있어서 고배속 및 고밀도의 광 매체에 적합한 기록 펄스 타입을 제공하기 위하여 미세 조정(Fine-tunning)용 펄스를 사용하는 레이저 다이오드 파워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각 채널별 기록 펄스를 생성하는 펄스 생성부; 광 매체 타입과 배속에 따라 각 채널별 기록 펄스에 미세 조정 펄스 적용여부를 결정하여 펄스 생성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펄스 생성부로부터 출력되는 기록 펄스에 따라 각 채널별 파워 레벨을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고배속 및 고밀도 광 매체에 대해 좀더 최적화된 기록 펄스를 생성할 수 있어 광 구동기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광 구동기에 있어서 레이저 다이오드 파워 제어 장치{Laser diode power control apparatus in the optical drive}
본 발명은 광 구동기에 있어서 레이저 다이오드 파워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밀도 및 고배속용 광 매체(optical media)에 대한 기록 펄스를 최적화시킬 수 있는 레이저 다이오드 파워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제안되어 있는 광 매체는 크게 CD(Compact Disc)용과 DVD(Digital Versatile Disc)용으로 나뉜다. CD용 광 매체로는 CD-R, CD-RW가 있고, DVD용 광 매체로는 DVD-RW, DVD-R, DVD+RW, DVD+R, 및 DVD-RAM가 있다.
따라서 다양한 광 매체간의 호환성을 유지할 수 있는 광 구동기가 제안되고 있다. 특히, 광 매체별로 배속 경쟁이 계속되고, 많은 업체가 광 매체 제작에 참여함에 따라 광 매체간의 호환성을 유지할 수 있는 광 구동기에 대한 개발이 가속화되고 있다.
예로 CD-R용 광 구동기의 경우, 초기에는 1배속 광 구동기가 출시되었으나 최근에는 52배속 광 구동기가 시판되고 있다. DVD용 광 구동기의 경우에도 조만간 12 또는 16배속 기록이 가능한 제품이 출시될 것으로 예측된다. 또한, 블루 레이(blue lay) DVD와 같이 고용량의 광 매체가 계속 개발 중이다. 이 고밀도 DVD는 더욱 정교한 기록 및 재생 기술을 필요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광 구동기에 있어서 고배속 및 고밀도의 광 매체에 적합한 기록 펄스 타입을 제공할 수 있는 레이저 다이오드 파워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미세 조정(Fine-tunning)용 펄스를 사용하여 광 매체에 적합한 기록 펄스 타입을 제공할 수 있는 레이저 다이오드 파워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각 채널별 기록 펄스를 생성하는 펄스 생성부; 광 매체 타입과 배속에 따라 상기 각 채널별 기록 펄스에 미세 조정 펄스 적용여부를 결정하여 상기 펄스 생성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펄스 생성부로부터 출력되는 기록 펄스에 따라 각 채널별 파워 레벨을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는 광 구동기의 레이저 다이오드 파워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광 매체 타입이 고밀도 광 매체이고, 상기 배속이 고배속이면, 상기 제어부는 복수개의 채널중 적어도 한 채널에 상기 미세 조정 펄스를 적용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선택된 채널의 일부 구간을 제외한 구간에 상기 미세 조정 펄스를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일부 구간은 오버 드라이버 구간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는 선택된 채널의 전 구간에 상기 미세 조정 펄스를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해당 채널의 기준 레벨을 상기 미세 조정 펄스의 센터 레벨로 사용할 것인지, 버텀 레벨로 사용할 것인지, 탑 레벨로 사용할 것인지를 토대로 미세 조정 펄스 타입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미세 조정 펄스의 주기와 미세 조정 펄스를 온-스타트 펄스로 사용할지 오프-스타트 펄스로 사용할지 여부를 토대로 적용할 상기 미세 조정 펄스의 타입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펄스 생성부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펄스 발생 조건 정보를 토대로 상기 각 채널별 기록 펄스를 생성하기 위한 조건을 설정하는 기록 펄스 설정기; 상기 각 채널별로 독립적으로 구비되어 상기 기록 펄스 설정기로부터 제공되는 조건 정보를 토대로 해당되는 채널의 기록 펄스를 생성하는 복수개의 펄스 생성기; 상기 조건 정보를 토대로 미세 조정 펄스를 생성하는 미세 조정 펄스 생성기; 각 채널별로 독립적으로 구비되어 상기 해당 채널의 기록 펄스와 미세 조정 펄스를 조합하여 전송하는 복수개의 게이트; 상기 각 채널별로 독립적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펄스 발생 조건 정보를 토대로 해당 채널의 펄스 생성기로부터 출력되는 기록 펄스와 해당 채널의 게이트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선택적으로 전송하는 복수개의 전송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게이트로부터 출력되는 기록 펄스는 해당 채널의 일부 구간을 제외한 구간에 상기 미세 조정 펄스가 적용되는 포맷을 가질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광 구동기에서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다이오드 파워 제어 장치의 기능 블록 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레이저 다이오드 파워 제어 장치는, 샘플 & 홀드 부(101), 아날로그/디지탈 변환부(Analog-to-Digital Converter, 이하 ADC라고 약함)(102), 디멀티플렉서(103), 제어부(104), 레지스터 유니트(110), 레벨 제어 유니트(120), 멀티플렉서(130), 펄스 발생부(140), NRZI(Non-Return to Zero Invert, 이하 NRZI라고 약함) 디코더(150),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Digital-to-Analog Converter, 이하 DAC라고 약함)(160)로 구성된다.
샘플 & 홀드부(101)는 입력되는 신호에서 지정된 구간의 신호를 샘플링하고 홀드한다. 상기 입력되는 신호는 미 도시된 포토 다이오드(Photo Diode, PD라고 약기도 함)에 의해 수광된 신호가 전류/전압 증폭기(I-to-V Amplifier 또는 I/V Amp)(미 도시됨)를 통해 전압 값으로 증폭된 신호이다. 상기 수광된 신호는 광 매체(미 도시됨)로부터 반사된 빛에 대응되는 전기 신호이거나 프론트 포토 다이오드(FPD)를 통해 LD에 일정 광량을 수광한 빛에 대응되는 전기 신호이다.
ADC(102)는 샘플 & 홀드부(101)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켜 출력한다. 출력된 신호는 디멀티플렉서(103)로 전송된다.
디멀티플렉서(103)는 ADC(102)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제어신호에 따라 디멀티플렉스하여 출력한다. 상기 제어신호는 사용되는 채널에 따라 결정된다. 도 1은 6채널로 운영되는 경우이다. 따라서 제어신호는 6채널을 구분할 수 있는 포맷을 갖는다. 상기 6채널은 퍼스트(first) 채널, 피크(peak) 채널, 라스트(last) 채널, 이레이즈(erase) 채널, 쿨링(cooling) 채널, 버텀(bottom) 채널이다. 만약 사용 채널이 N 채널인 경우에 상기 제어 신호는 N 채널을 구분할 수 있는 포맷을 갖는다. 이러한 디멀티플렉서(103)는 피드백 되는 현재 파워를 전송하는 전송부 역할을 한다.
제어부(104)는 광 구동기에 로드된 광 매체의 타입과 사용되는 배속을 토대로 각 채널별 현재 파워가 기준 파워와 동일하도록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다이오드 파워 제어 장치를 제어한다.
즉, 제어부(104)는 입력되는 제어신호를 토대로 광 매체가 재기록이 가능한(rewritable) 매체인지, 기록이 가능한(recordable) 매체인지, 고밀도 광 매체인지, 사용되는 배속은 어느 정도인지 등을 판단하고, 판단된 결과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다이오드 파워 제어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신호는 미 도시된 광 구동기의 메인 제어부(미 도시됨)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어부(104)는 광 매체의 타입과 배속에 따라 상기 샘플 & 홀드부(101)의 상기 지정된 구간을 제어한다. 제어부(104)는 사용되는 채널을 더 고려하여 상기 지정된 구간을 제어한다.
제어부(104)는 디멀티플렉서(103)에서 각 채널별 현재 파워가 레지스터 유니트(110)내의 대응되는 레지스터로 전송되도록 디멀티플렉서(103)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04)는 레지스터 유니트(110)내의 제 1 내지 제 6 기준 레지스터(112_1∼112_6)로 각 채널별 기준 파워를 제공한다. 이 기준 파워는 광 구동기에 로드된 광 매체의 타입 및 배속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상기 각 채널별 기준 파워는 사전에 설정된 값을 이용할 수 있다.
제어부(104)는 레벨 제어 유니트(120)로 각 채널별 파워 레벨 제어 조건을 제공한다. 상기 파워 레벨 제어 조건은 광 매체의 타입 및 배속에 따라 결정된다. 예를 들어, 상기 파워 레벨 제어 조건은 기준 파워와 현재 파워의 차만큼 레벨이 조정되도록 설정되거나 링잉(ringing)과 같은 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차 값을 차등적으로 적용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04)는 광 매체 타입 및 배속 정보를 토대로 어느 파워 레벨을 미세 조정할지, 어떤 펄스 타입을 어떤 레벨을 기준으로 사용할지 등이 결정되면, 결정된 펄스 발생 조건 정보를 펄스 발생부(140)로 제공한다.
미세 조정 펄스가 적용 가능한 파워 레벨은 표 1과 같이 정의할 수 있다.
적용 파워 레벨
적용 레벨 1 이레이즈(bais1) 레벨에 미세 조정 펄스 적용
적용 레벨 2 피크(write) 레벨에 미세 조정 펄스 적용
적용 레벨 3 바이어스(bottom) 레벨에 미세 조정 펄스 적용
또한 선택 가능한 미세 조정 펄스 타입은 표 2와 같이 정의할 수 있다.
적용 레벨 종류 주기
펄스 타입 1 온-스타트 미세 조정 펄스 적용 1Tw 또는 2Tw
펄스 타입 2 오프-스타트 미세 조정 펄스 적용 1Tw 또는 2Tw
표 2에서 온-스타트는 미세 조정 펄스 열이 채널 클록(channel clock)내에서 하이(high)로 시작하는 펄스 타입을 의미한다. 오프-스타트는 미세 조정 펄스 열이 채널 클록내에서 로우(low)로 시작하는 펄스 타입을 의미한다.
제어부(104)는 NRZI 디코더(150)로 광 매체 타입 및 배속 정보를 제공한다.
레지스터 유니트(110)는 디멀티플렉서(103)로부터 출력되는 채널별로 피드백된 현재 파워(present power)를 저장하는 제 1 내지 제 6 레지스터(111_1∼111_6)와 해당 채널의 기준 파워(reference power)를 저장하는 제 1 내지 제 6 기준 레지스터(112_1∼112_6)로 구성된다. 레지스터 유니트(110)에 구성되는 레지스터의 수는 사용되는 채널의 수에 따라 결정된다. 즉 사용되는 채널이 N개이면, 레지스터 유니트(110)는 현재 파워용 레지스터와 기준 파워용 레지스터를 각각 N개 포함한다.
제 1 내지 제 6 레지스터(111_1∼111_6)에 저장되는 각 채널별 현재 파워는 디멀티플렉서(103)로부터 제공된다. 제 1 내지 제 6 기준 레지스터(112_1∼112_6)에 저장되는 각 채널별 기준 파워는 제어부(104)로부터 제공된다. 제 1 내지 제 6 레지스터(111_1∼111_6)는 해당 채널별 현재 파워를 레벨 제어 유니트(120)내의 대응되는 레벨 제어부로 제공한다.
즉, 제 1 레지스터(111_1)는 제 1 레벨 제어부(120_1)로 저장되어 있는 현재 파워를 제공한다. 제 2 레지스터(111_2)는 제 2 레벨 제어부(120_2)로 저장되어 있는 현재 파워를 제공한다. 제 3 레지스터(111_3)는 제 3 레벨 제어부(120_3)로 저장되어 있는 현재 파워를 제공한다. 제 4 레지스터(111_4)는 제 4 레벨 제어부(120_4)로 저장되어 있는 현재 파워를 제공한다. 제 5 레지스터(111_5)는 제 5 레벨 제어부(120_5)로 저장되어 있는 현재 파워를 제공한다. 제 6 레지스터(111_6)는 제 6 레벨 제어부(120_6)로 저장되어 있는 현재 파워를 제공한다.
제 1 기준 레지스터(112_1)는 제 1 레벨 제어부(120_1)로 저장되어 있는 기준 파워를 제공한다. 제 2 기준 레지스터(112_2)는 제 2 레벨 제어부(120_2)로 저장되어 있는 기준 파워를 제공한다. 제 3 기준 레지스터(112_3)는 제 3 레벨 제어부(120_3)로 저장되어 있는 기준 파워를 제공한다. 제 4 기준 레지스터(112_4)는 제 4 레벨 제어부(120_4)로 저장되어 있는 기준 파워를 제공한다. 제 5 기준 레지스터(112_5)는 제 5 레벨 제어부(120_5)로 저장되어 있는 기준 파워를 제공한다. 제 6 기준 레지스터(112_6)는 제 6 레벨 제어부(120_6)로 저장되어 있는 기준 파워를 제공한다.
제 1 내지 제 6 레벨 제어부(120_1∼120_6)는 레지스터 유니트(110)내의 대응되는 레지스터들로부터 출력되는 현재 파워와 기준 파워의 차를 검출하고, 검출된 차와 제어부(104)로부터 제공된 파워 레벨 제어 조건을 토대로 해당되는 채널의 레벨을 제어하여 출력하고, 출력된 신호는 멀티플렉서(130)로 전송된다.
멀티플렉서(130)는 펄스 발생부(140)로부터 제공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제 1 내지 제 6 레벨 제어부(120_1∼120_6)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선택적으로 전송한다. 멀티플렉서(130)는 펄스 발생부(140)로부터 출력되는 기록 펄스에 따라 각 채널별 파워 레벨을 전송하는 전송부 역할을 한다.
펄스 발생부(140)는 제어부(104)로부터 제공되는 펄스 발생 조건 정보, 채널 클록 신호 및 NRZI 디코더(15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토대로 각 채널별 기록 펄스를 생성하고, 생성된 기록 펄스를 멀티플렉서(13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로서 제공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펄스 발생부(140)의 상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펄스 발생부(140)는 채널 클록 발생기(201), 서브 클록 발생기(202), 기록 펄스 설정기(203), 펄스 생성 유니트(210)로 구성된다.
채널 클록 발생기(201)는 시스템 클록 신호 또는 분주된 채널 클록 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104)로부터 제공되는 광 구동기에 로딩되어 있는 광 매체 타입에 대한 정보를 토대로 광 매체 타입과 기록 배속에 적합한 원 채널(original channel) 클록을 발생한다. 이를 위하여 채널 클록 발생기(201)는 입력되는 시스템 클록 신호를 설정된 배수로 채배할 수 있다.
서브 클록 발생기(202)는 각 채널별로 정확한 동기를 제어하기 위하여 채널 클록 발생기(201)로부터 출력되는 원 채널 클록신호를 채배 또는 위상 지연시킨 클록 신호를 발생한다.
기록 펄스 설정기(203)는 NRZI 디코더(150)로부터 제공되는 디코딩된 NRZI 데이터, 채널 클록 발생기(201)로부터 제공되는 클록 신호 및 제어부(104)로부터 제공되는 펄스 발생 조건 정보를 토대로 광 매체 타입에 적합한 기록 펄스를 생성하기 위한 조건 설정 및 초기화 동작을 수행한다.
따라서 기록 펄스 설정기(203)는 퍼스트 펄스, 피크 펄스, 라스트 펄스, 이레이즈 펄스, 쿨링 펄스, 및 버텀 펄스의 시작 시간(start time) 및 종료 시간(ending time)을 설정하고, 미세 조정 펄스의 타입 및 주기를 설정한다. 미세 조정 펄스의 주기는 미세 조정 펄스의 주기를 1Tw로 할지 2Tw로 할지를 설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기록 펄스 설정기(203)에서 설정된 기록 펄스 생성 조건은 펄스 생성 유니트(210)내의 펄스 생성기들(210_1∼210_7)로 제공된다.
펄스 생성 유니트(210)는 복수개의 펄스 생성기, 복수개의 게이트, 및 복수개의 멀티플렉서로 구성되어 채널별로 기록 펄스를 생성한다.
복수개의 펄스 생성기는 각 채널별로 기록 펄스를 구성하는데 필요한 펄스들을 독립적으로 발생한다. 이를 위하여 복수개의 펄스 생성기는 각 채널별로 독립적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복수개의 펄스 생성기는 퍼스트 펄스(First Pulse) 생성기(210_1), 피크 펄스(Peak Pulse) 생성기(210_2), 라이스 펄스(Last Pulse) 생성기(210_3), 이레이즈 펄스(Erase Pulse) 생성기(210_4), 쿨링 펄스(Cooling Pulse) 생성기(210_5), 버텀 펄스(Bottom Pulse) 생성기(210_6)로 구성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펄스 생성기는 미세 조정 펄스(Fine Adjust Pulse) 생성기(210_7)를 더 포함한다.
각 펄스 생성기들은 기록 펄스 설정기(203)로부터 제공되는 기록 펄스 생성 조건 정보, 채널 클록 발생기(201)와 서브 클록 발생기(202)로부터 제공되는 클록 신호를 토대로 해당되는 펄스를 생성한다.
복수개의 게이트들은 대응되는 펄스 생성기와 미세 조정 펄스 생성기로부터 생성되는 미세 조정 펄스를 조합하여 출력한다. 이에 따라 게이트들로부터 출력되는 기록 펄스들은 도 3의 (d) 또는 (g)와 같이 해당 채널의 일부 구간을 제외한 구간에 상기 미세 조정 펄스가 적용되는 포맷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도 3의 (d) 또는 (g)에서 일부 구간은 오버 드라이브 구간이다. 즉, 복수개의 게이트들은 미세 조정 펄스를 적용할 파워 채널에서 일부 구간만 적용하는 경우를 고려하기 위한 것이다. 복수개의 게이트들은 제 1 내지 제 6 게이트(211_1∼211_6)로 구성된다.
복수개의 멀티플렉서들은 대응되는 펄스 생성기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와 대응되는 게이트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한다. 이를 위하여 복수개의 멀티플렉서는 제 1 내지 제 6 멀티플렉서(212_1∼212_6)로 구성된다. 제 1 내지 제 6 멀티플렉서(212_1∼212_6)의 동작을 제어하는 신호는 제어부(104)로부터 제공된다. 제 1 내지 제 6 멀티플렉서(212_1∼212_6)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는 멀티플렉서(130)로 제공된다.
NRZI 디코더(150)는 입력되는 NRZI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펄스 발생부(140)로 제공한다. 즉, NRZI 디코더(150)는 제어부(104)로부터 제공되는 광 매체 타입 및 배속 정보를 토대로 NRZI 데이터에 대한 검출 조건을 결정하고, 결정된 검출 조건을 토대로 입력되는 NRZI 데이터의 기록 마크 정보, 상기 기록 마크와 전 스페이스 크기 조합에 대한 정보 및 기록 마크와 후 스페이스 크기 조합에 대한 정보를 검출하여 펄스 발생부(140)로 제공한다.
DAC(160)는 멀티플렉서(13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켜 레이저 다이오드(미 도시됨)를 구동시키기 위한 기록 파워로서 제공한다. 이에 따라 미 도시된 레이저 다이오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기록 펄스를 발생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상술한 레이저 다이오드 파워 제어 장치에 의해 레이저 다이오드(미 도시됨)로부터 출력될 수 있는 기록 펄스 타입 예이다.
즉, 도 3의 (a)와 같이 입력되는 NRZI 데이터에 대해 도 3의 (b)는 이레이즈 파워 레벨에 온-스타트 미세 조정 펄스를 적용한 경우이고, 도 3의 (c)는 피크 파워 레벨에 온-스타트 미세 조정 펄스를 적용한 경우이고, 도 3의 (d)는 오버 드라이브(overdrive)구간을 갖는 피크 파워 레벨에 오프-스타트 미세 조정 펄스를 적용하고, 바이어스 파워 레벨에 온-스타트 미세 조정 펄스를 적용한 경우이고, 도 3의 (e)는 이레이즈 파워 레벨에 오프-스타트 미세 조정 펄스를 적용한 경우이고, 도 3의 (f)는 바이어스 파워 레벨에 온-스타트 미세 조정 펄스를 적용한 경우이고, 도 3의 (g)는 피크 파워 레벨의 시작 구간과 종료 구간이 오버 드라이브 구간인 피크 파워 레벨에서 오버 드라이브(overdrive)구간을 제외한 피크 파워 레벨에 오프-스타트 미세 조정 펄스를 적용한 경우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레이즈 파워 레벨, 피크 파워 레벨, 바이어스 파워 레벨, 복수개의 파워 레벨, 오버 드라이브 구간을 제외한 피크 파워 레벨에 미세 조정 펄스가 적용되도록, 제어부(104)는 기록 펄스 설정기(203) 및 제 1 내지 제 6 멀티플렉서(212_1∼212_6)의 동작을 제어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도 2의 미세 조정 펄스 생성기(210_7)에서 발생될 수 있는 미세 조정 펄스 타입 예이다. 도 4의 (a)는 이레이즈 또는 피크 기준 레벨을 센터(center)로 사용할 때, 온-스타트 미세 조정 펄스, 오프-스타트 펄스, 및 2Tw 주기를 갖는 미세 조정 펄스 사용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의 (b)는 이레이즈 또는 피크 기준 레벨을 버텀으로 사용할 때, 온-스타트 미세 조정 펄스, 오프-스타트 미세 조정 펄스, 및 2Tw 주기를 갖는 미세 조정 펄스 사용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의 (c)는 이레이즈 또는 피크 기준 레벨을 탑(top)으로 사용할 때, 온-스타트 미세 조정 펄스, 오프-스타트 미세 조정 펄스, 및 2Tw 주기를 갖는 온-스타트 미세 조정 펄스 및 2Tw 주기를 갖는 오프-스타트 미세 조정 펄스 사용 예를 도시한 것이다.
미세 조정 펄스 생성기(210_7)는 기록 펄스 설정기(203)로부터 제공되는 기록 펄스 생성 조건 정보를 토대로 도 4와 같은 타입의 미세 조정 펄스를 선택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의하면, 광 매체의 타입에 따라 멀티 펄스 열(multi pulse train) 또는 멀티 펄스 체인(multi pulse chain)과 같은 미세 조정 펄스를 선택적으로 적용하여 레이저 다이오드의 파워를 제어함으로써, 고배속 및 고밀도 광 매체에 대해 좀더 최적화된 기록 펄스를 생성할 수 있어 고배속 및 고밀도 광 매체에 대해 신뢰성 및 호환성을 확보한 광 구동기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기록 펄스가 논-멀티 타입(non-multi type) 또는 평평한(flat) 채널에 미세 조정용 펄스를 적용하여 열이 누적되는 것을 방지하고 재 기록이 보장되는 광 매체에 대한 DOW(Direct OverWrite) 테스트 시 지터(jitter)를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다이오드 파워 제어 장치는 레이저 다이오드 파워 제어 장치와 LD 드라이버(driver)가 하나로 구성되어 픽업위에 내장이 가능한 구조를 갖는 광 구동기에 적용할 경우에 포토 다이오드를 통해 피드백 되는 현재 파워에 노이즈 유입 및 간섭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내에서 당업자에 의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권리를 청구하는 범위는 상세한 설명의 범위 내로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후술하는 청구범위로 정해질 것이다.
도 1은 광 구동기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다이오드 파워 제어 장치의 기능 블록 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펄스 발생부의 상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다이오드 파워 제어 장치에 의해 레이저 다이오드에서 발생될 수 있는 기록 펄스 타입의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도 2의 미세 조정 펄스 생성기에서 발생될 수 있는 미세 조정 펄스 타입의 예시도이다.

Claims (10)

  1. 각 채널별 기록 펄스를 생성하는 펄스 생성부;
    광 매체 타입과 배속에 따라 상기 각 채널별 기록 펄스에 미세 조정 펄스 적용여부를 결정하여 상기 펄스 생성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펄스 생성부로부터 출력되는 기록 펄스에 따라 각 채널별 파워 레벨을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는 광 구동기의 레이저 다이오드 파워 제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 매체 타입이 고밀도 광 매체이고, 상기 배속이 고배속이면, 상기 제어부는 복수개의 채널중 적어도 한 채널에 상기 미세 조정 펄스를 적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구동기의 레이저 다이오드 파워 제어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선택된 채널의 일부 구간을 제외한 구간에 상기 미세 조정 펄스를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구동기의 레이저 다이오드 파워 제어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일부 구간은 오버 드라이버 구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구동기의 레이저 다이오드 파워 제어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선택된 채널의 전 구간에 상기 미세 조정 펄스를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구동기의 레이저 다이오드 파워 제어 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해당 채널의 기준 레벨을 상기 미세 조정 펄스의 센터 레벨로 사용할 것인지, 버텀 레벨로 사용할 것인지, 탑 레벨로 사용할 것인지를 토대로 미세 조정 펄스 타입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구동기의 레이저 다이오드 파워 제어 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미세 조정 펄스의 주기와 미세 조정 펄스를 온-스타트 펄스로 사용할지 오프-스타트 펄스로 사용할지 여부를 토대로 적용할 상기 미세 조정 펄스의 타입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구동기의 레이저 다이오드 파워 제어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펄스 생성부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펄스 발생 조건 정보를 토대로 상기 각 채널별 기록 펄스를 생성하기 위한 조건을 설정하는 기록 펄스 설정기;
    상기 각 채널별로 독립적으로 구비되어 상기 기록 펄스 설정기로부터 제공되는 조건 정보를 토대로 해당되는 채널의 기록 펄스를 생성하는 복수개의 펄스 생성기;
    상기 조건 정보를 토대로 미세 조정 펄스를 생성하는 미세 조정 펄스 생성기;
    상기 각 채널별로 독립적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펄스 발생 조건 정보를 토대로 해당 채널의 기록 펄스와 미세 조정 펄스를 선택적으로 전송하는 복수개의 전송기를 포함하는 광 구동기의 레이저 다이오드 파워 제어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펄스 생성부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펄스 발생 조건 정보를 토대로 상기 각 채널별 기록 펄스를 생성하기 위한 조건을 설정하는 기록 펄스 설정기;
    상기 각 채널별로 독립적으로 구비되어 상기 기록 펄스 설정기로부터 제공되는 조건 정보를 토대로 해당되는 채널의 기록 펄스를 생성하는 복수개의 펄스 생성기;
    상기 조건 정보를 토대로 미세 조정 펄스를 생성하는 미세 조정 펄스 생성기;
    각 채널별로 독립적으로 구비되어 상기 해당 채널의 기록 펄스와 미세 조정 펄스를 조합하여 전송하는 복수개의 게이트;
    상기 각 채널별로 독립적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펄스 발생 조건 정보를 토대로 해당 채널의 펄스 생성기로부터 출력되는 기록 펄스와 해당 채널의 게이트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선택적으로 전송하는 복수개의 전송기를 포함하는 광 구동기의 레이저 다이오드 파워 제어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로부터 출력되는 기록 펄스는 해당 채널의 일부 구간을 제외한 구간에 상기 미세 조정 펄스가 적용되는 포맷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구동기의 레이저 다이오드 파워 제어 장치.
KR10-2003-0059831A 2003-08-28 2003-08-28 광 구동기에 있어서 레이저 다이오드 파워 제어 장치 KR1005105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9831A KR100510544B1 (ko) 2003-08-28 2003-08-28 광 구동기에 있어서 레이저 다이오드 파워 제어 장치
JP2004247469A JP4347771B2 (ja) 2003-08-28 2004-08-26 光駆動機におけるレーザーダイオードパワー制御装置及び方法
US10/927,522 US7269115B2 (en) 2003-08-28 2004-08-27 Laser diode power control apparatus in an optical drive
CNB2004100682810A CN100390882C (zh) 2003-08-28 2004-08-27 光学驱动器中的激光二极管功率控制设备和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9831A KR100510544B1 (ko) 2003-08-28 2003-08-28 광 구동기에 있어서 레이저 다이오드 파워 제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3535A true KR20050023535A (ko) 2005-03-10
KR100510544B1 KR100510544B1 (ko) 2005-08-26

Family

ID=344204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9831A KR100510544B1 (ko) 2003-08-28 2003-08-28 광 구동기에 있어서 레이저 다이오드 파워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269115B2 (ko)
JP (1) JP4347771B2 (ko)
KR (1) KR100510544B1 (ko)
CN (1) CN100390882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33031B2 (ja) * 2007-10-03 2010-03-17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81645B2 (ja) * 1995-09-19 1999-11-22 富士通株式会社 光磁気記録方法
KR100248233B1 (ko) * 1997-12-11 2000-03-15 윤종용 광기록 매체에서 레이저 다이오드 전력 제어 장치 및 방법
US6781937B2 (en) * 1998-01-21 2004-08-24 Yamaha Corporation Optical disk recording method and device
JPH11213429A (ja) * 1998-01-30 1999-08-06 Sony Corp 相変化型光ディスクの記録装置及び記録方法
JP2000222731A (ja) * 1999-02-02 2000-08-11 Sony Corp 記録装置、記録方法
KR100320470B1 (ko) * 1999-03-05 2002-01-12 구자홍 광 디스크 기록신호 생성 방법 및 장치
EP1136992A3 (en) * 2000-03-24 2006-09-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uto laser diode power
KR100403618B1 (ko) 2001-02-16 2003-10-30 삼성전자주식회사 자동 레이저 다이오드 출력 제어 장치
KR100434488B1 (ko) * 2001-02-19 2004-06-05 삼성전자주식회사 광 기록 펄스 발생 장치 및 방법
KR100455377B1 (ko) 2002-01-18 2004-11-06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양한 광 매체에 적합한 기록 펄스 발생 장치 및 방법
KR100429884B1 (ko) * 2002-03-18 2004-05-03 삼성전자주식회사 광 기록매체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방법 및 그 장치
JP3823892B2 (ja) * 2002-07-30 2006-09-20 ティアック株式会社 光量検出器および光ピックアップ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591620A (zh) 2005-03-09
CN100390882C (zh) 2008-05-28
JP4347771B2 (ja) 2009-10-21
US7269115B2 (en) 2007-09-11
US20050083820A1 (en) 2005-04-21
KR100510544B1 (ko) 2005-08-26
JP2005078793A (ja) 2005-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94348B2 (ja) 各種の光記録媒体に適した書込みパルスの発生装置
KR100606255B1 (ko) 정보기록장치
JP2000348349A (ja) 多様な形態の光記録媒体に適した記録パルス制御信号発生方法及びこれに適した記録装置
US712009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tical recording power in an optical drive
CN101859574B (zh) 激光驱动设备、激光驱动方法、光学单元和光设备
JPH11144288A (ja) 光ディスク記録のレーザパワー制御方法および光ディスク記録装置のレーザダイオード駆動回路
JP2000222734A (ja) 情報記録方法
KR100510544B1 (ko) 광 구동기에 있어서 레이저 다이오드 파워 제어 장치
KR20010086323A (ko) 기록장치
US20060239153A1 (en) Methods and circuits for automatic power control
EP1298649B1 (en) Data recording apparatus
KR20040041947A (ko) 레이저 파워 제어 장치
JPH08124161A (ja) 光ディスク記録装置
JP3800534B2 (ja) 情報記録装置
US2007005850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recording light signal
JP2000222733A (ja) 情報記録方法、情報記録媒体及び情報記録装置
KR20040090109A (ko) 광 기록 재생 시스템에서의 레이저 다이오드 파워 생성 장치
JP2000331343A (ja) 信号記録装置及び信号記録方法
JP2004319010A (ja) 光ディスク装置及び光ディスク装置の制御方法
JP2007157246A (ja) 光ディスク記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9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