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23295A - 진동 자이로스코프를 구비하는 회전율 감지 센서 - Google Patents

진동 자이로스코프를 구비하는 회전율 감지 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23295A
KR20050023295A KR10-2004-7019954A KR20047019954A KR20050023295A KR 20050023295 A KR20050023295 A KR 20050023295A KR 20047019954 A KR20047019954 A KR 20047019954A KR 20050023295 A KR20050023295 A KR 200500232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 filter
signal
turnover
low pass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99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49792B1 (ko
Inventor
하인츠-베르너 모렐
Original Assignee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0500232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32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97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97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9/00Gyroscopes; Turn-sensitive devices using vibrating masses; Turn-sensitive devices without moving masses; Measuring angular rate using gyroscopic effects
    • G01C19/56Turn-sensitive devices using vibrating masses, e.g. vibratory angular rate sensors based on Coriolis for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Gyroscopes (AREA)

Abstract

본원발명은 제어루프 중 하나 이상의 일부인 진동 자이로스코프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루프는 진동 자이로스코프의 고유주파수에서 여기 신호를 공급함으로써 진동 자이로스코프를 여기시키며, 상기 자이로스코프가 출력신호를 제공하여 이 출력신호로부터 노이즈가 섞인 회전율 신호가 추출되는, 회전율 감지 센서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노이즈가 섞인 회전율 신호가 대역폭이 제어가능한 저역 통과 필터(11)의 입력 및 대역 통과 필터(12)의 입력으로 공급되고, 상기 대역 통과 필터(12)의 출력이 문턱값 회로(13)를 통하여 상기 저역 통과 필터(11)의 제여 입력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Description

진동 자이로스코프를 구비하는 회전율 감지 센서 {ROTATION RATE SENSOR WITH A VIBRATIONAL GYROSCOPE}
본원발명은 제어루프 중 하나 이상의 일부인 진동 자이로스코프(vibrational gyroscope)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루프는 진동 자이로스코프의 고유주파수에서 여기 신호를 공급함으로써 진동 자이로스코프를 여기시키며, 상기 자이로스코프가 출력신호를 제공하여 이 출력신호로부터 노이즈(noise)가 섞인 회전율 신호가 추출되는 회전율 감지 센서에 관한 것이다.
진동 자이로스코프를 구비하는 회전율 감지 센서에서, 코리올리의 힘에 의하여 발생되어 회전율을 지시하는 출력 신호에는 노이즈가 섞여있는데, 이는 후속되는 평가과정에 불리하게 작용한다. 따라서 본원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회전율 신호에서 노이즈를 가능한 한 제거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은, 본원발명에 따라, 노이즈가 섞인 회전율 신호가 제어가능한 대역폭을 갖는 저역 통과 필터 및 대역 통과 필터의 입력으로 공급되므로써, 또한 대역 통과 필터의 출력이 문턱값 회로(threshold value circuit)를 통해 저역 통과 필터의 제어 입력으로 연결되므로써 달성된다. 대역 통과 필터는 문턱값 회로가 오직 회전율 신호의 변화에만 응답하도록 한다. 또한 문턱값 회로의 입력에서의 노이즈 성분은 상류에 연결되어 있는 대역 통과 필터에 의해 감소된다.
도 1은 필터를 구비하는 회전율 감지 센서의 블럭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도 2는 필터의 상세도를 도시한다.
본원발명에 따른 회전율 감지 센서에 있어서는, 일정하거나 또는 천천히 변경되는 회전율 신호에 있어서의 노이즈는 저역 통과 필터에 의해 대부분 억제된다. 그러나, 회전율 신호가 좀 더 빠르게 변화하게 되면, 저역 통과 필터의 대역 한계가 증가하게 되는데, 이는 상응하는 노이즈 성분이 짧은 간격으로 포함되는 채로 빠른 변화 또한 통과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 본원발명에 따른 회전율 감지 센서에서는 문턱값 회로와 저역 통과 필터의 제어 입력 사이에 대역 선택기(band selector)가 배치되도록 하고 있는데, 이러한 대역 선택기는 문턱값 회로로부터의 출력신호의 전이에 뒤이어 저역 통과 필터의 제어 입력에 공급되는 신호의 점차적인 전이를 발생시킨다. 전이시간은 양 방향으로 조절될 수 있는데, 즉 저역 통과 필터에 대한 저 대역폭에서부터 고 대역폭으로, 또는 그 반대로 조절될 수 있다. 이는 저역 통과 필터의 갑작스런 전환으로 인한 회전율 신호의 간섭을 방지한다.
본원발명에 따른 회전율 감지 센서의 유리한 실시예에서 대역 통과 필터는, 대역폭이 최소한으로 설정된 저역 통과 필터에 의해 통과된 변화보다 빠르고 최대한으로는 진동 자이로스코프의 회전에 의해 야기된 가장 빠른 변화만큼 빠른, 회전율 신호에서의 변화를 통과시킨다. 이로써 필요에 따라 저역 통과 필터의 대역폭이 증가될 수 있으나, 높은 주파수의 노이즈는 저역 통과 필터의 제어에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된다.
저역 통과 필터가 회전율 신호의 양성 또는 음성 변화 모두에 대해 적절하게 작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또 다른 유리한 실시예에서는, 대역 통과 필터의 출력 신호의 절대값이 소정의 문턱값보다 작을 때에는 문턱값 회로의 출력신호가 제 1 수준을 취하도록, 또한 제 2 수준을 취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회전율 측정범위나 신호 대 노이즈 비와 같이, 회전율 감지 센서에 대한 요구는 장치에 따라 다르게 된다. 그러므로, 본원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대역 통과 필터의 대역 범위 및 문턱값 회로의 문턱값은 프로그램이 가능하다. 이와 관련하여, 저역 통과 필터의 조절 범위의 경계와 최저 한계로부터 최고 한계로의 전이 시간 및 최고 대역폭으로부터 최저 대역폭으로의 전이시간 역시 프로그램 가능하다.
본원발명에서는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이러한 실시예들 중 하나가 도면에 도시되어 있으며, 이하에서 설명되고 있다.
비록 예시적인 실시예 및 그 부품들이 블럭 다이어그램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는 본원발명에 따른 구성이 블럭들에 상응하는 각각의 회로를 사용하여 실행되는 것으로 제한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본원발명에 따른 구성은, 예를 들어 디지털 시그널 프로세싱(digital signal processing)과 같이 규모가 큰 집적회로를 사용하여 특히 유리하게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적절한 프로그램을 구비하여 블럭 다이어그램에 도시된 처리 단계를 실행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에는 제 1 여기신호(excitation signal)(PD) 및 제 2 여기신호(SD)를 위한 2개의 입력(2,3)을 갖는 진동 자이로스코프(vibrational gyroscope)를 구비하는 구성의 블럭 다이어그램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여기(excitation)는, 예를 들어 전자기 트랜스듀서와 같은 적절한 트랜스듀서에 의해 생성된다. 또한, 상기 진동 자이로스코프는 제 1 출력신호(PO)와 제 2 출력신호(SO)를 위한 두개의 출력(4,5)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신호들은 자이로스코프 상의 물리적으로 오프셋(offset)된 지점으로 각각의 진동을 보낸다. 이와 같은 자이로스코프는 EP 0 307 321 A1에 공지되어 있으며, 예를 들어 코리올리의 힘의 효과에 기초하고 있다.
진동 자이로스코프(1)는 제 1 제어루프(6)의 일부인 입력(2)과 출력(4) 사이의 섹션(section)과 제 2 제어루프(7)의 일부인 입력(3)과 출력(5) 사이의 섹션을 구비하는 고성능의 필터를 나타낸다. 제 1 제어루프(6)는, 예를 들어 14kHz인 진동 자이로스코프의 공진주파수에서 진동을 발생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경우에, 진동 자이로스코프의 축에는 여기가 발생되는데, 제 2 제어루프에 사용되는 진동의 방향은 이 축에 대해서 90°로 치우쳐 있다. 제 2 제어루프(7)에서, 신호(SO)는 동위상 성분(inphase component)과 구적 성분(quadrature component)으로 흩어지게 되며, 이중 하나는 필터(8)를 통하여 출력(9)으로 공급되며, 이 출력(9)에서부터 회전율(rotation rate)에 비례하는 신호를 얻을 수 있다.
양 제어루프(6,7)에서, 신호처리의 기초적인 부분은 디지털 방식으로 수행된다. 신호처리를 위해 필요한 클럭 신호(clock signal)는 수정-제어식 디지털 주파수 합성기(crystal-controlled digital frequency synthesizer; 10)에서 생성되는데, 도시된 실시예에서 이러한 수정-제어식 디지털 주파수 합성기의 클럭 주파수(clock frequency)는 14.5 MHz이다. 이 이상의 세부적인 설명은 본 실시예를 이해하는데 있어 불필요하므로 생략되어 있다.
도 2는 필터(8)를 더욱 상세하게 도시하고 있다. 입력(10)으로부터 출력(9)으로 이어지는 회전율 신호의 경로에는 제어가능한 저역 통과 필터(low pass filter; 11)가 포함되어 있다. 또한, 노이즈가 있는 회전율 신호는 대역 통과 필터(bandpass filter; 12)로 공급되는데, 이러한 대역 통과 필터의 출력은, 대역 통과 필터(12)로부터의 출력신호의 절대값과 (14)에서 공급되는 문턱값(threshold value; S)을 비교하는 문턱값 회로(13)로 연결된다. 문턱값 회로(13)의 출력은 대역 선택기(band selector; 15)로 연결되는데, 이러한 대역 선택기는 문턱값 회로(13)로부터의 출력신호에서의 전이가 소정의 시간 안에서 저역 통과 필터(11)의 차단 주파수의 변화에 뒤이어 발생하도록 저역 통과 필터(11)를 제어한다. 이러한 시간은 다른 방면을 위하여 다르게 규정될 수 있다
본원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 2는 저역 통과 필터(11) 및 대역 통과 필터(12)의 진폭/주파수 응답 및 문턱값 회로(13)의 특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이미 언급되었듯이, 주파수 범위는 각각의 장치에 따라 다르며, 자동차에 사용되는 경우에는 본질적으로 회전율 신호의 노이즈 성분 및 차량의 기계적 관성에 따라 다르게 된다.
본원발명에 따른 회전율 감지 센서는 회전율 신호에서 노이즈를 가능한 한 제거할 수 있으므로 차량의 회전율 감지 센서 등에 사용될 수 있다.

Claims (6)

  1. 하나 이상의 제어루프의 일부인 진동 자이로스코프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루프는 진동 자이로스코프의 고유주파수에서 여기 신호를 공급함으로써 진동 자이로스코프를 여기시키며,
    상기 자이로스코프가 출력신호를 제공하여 이 출력신호로부터 노이즈가 섞인 회전율 신호가 추출되는,
    회전율 감지 센서에 있어서,
    상기 노이즈가 섞인 회전율 신호가 대역폭이 제어가능한 저역 통과 필터(11)의 입력 및 대역 통과 필터(12)의 입력으로 공급되고,
    상기 대역 통과 필터(12)의 출력이 문턱값 회로(13)를 통하여 상기 저역 통과 필터(11)의 제어 입력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율 감지 센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문턱값 회로(13)와 상기 저역 통과 필터(11)의 제어 입력 사이에 대역 선택기(15)가 배치되고,
    상기 대역 선택기가 문턱값 회로(13)로부터의 출력신호의 전이에 뒤이어, 저역 통과 필터(11)의 제어 입력에 공급되는 신호의 점차적인 전이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율 감지 센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대역 통과 필터(12)가, 대역폭이 최소한으로 설정된 저역 통과 필터(11)에 의해 통과된 변화보다 빠르고 최대한으로는 진동 자이로스코프(1)의 회전에 의해 야기된 가장 빠른 변화만큼 빠른, 회전율 신호에서의 변화를 통과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율 감지 센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대역 통과 필터(12)의 출력 신호의 절대값이 소정의 문턱값보다 작을 때에는 문턱값 회로(13)의 출력신호가 제 1 수준을 취하고, 또한 제 2 수준을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율 감지 센서.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대역 통과 필터(12)의 대역 범위 및 문턱값 회로(13)의 문턱값이 프로그램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율 감지 센서.
  6. 제 5 항에 있어서,
    저역 통과 필터(11)의 조절 범위의 경계와 최저 한계로부터 최고 한계로의 전이 시간 및 최고 대역폭으로부터 최저 대역폭으로의 전이시간이 프로그램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율 감지 센서.
KR1020047019954A 2003-06-30 2004-06-08 진동 자이로스코프를 구비한 회전율 센서 KR1006497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329510 2003-06-30
DE10329510.0 2003-06-30
PCT/EP2004/051055 WO2005001384A1 (de) 2003-06-30 2004-06-08 Drehratensensor mit einem vibrationskreise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3295A true KR20050023295A (ko) 2005-03-09
KR100649792B1 KR100649792B1 (ko) 2006-11-27

Family

ID=335467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9954A KR100649792B1 (ko) 2003-06-30 2004-06-08 진동 자이로스코프를 구비한 회전율 센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100445B2 (ko)
EP (1) EP1518091B1 (ko)
JP (1) JP4185055B2 (ko)
KR (1) KR100649792B1 (ko)
DE (1) DE502004001144D1 (ko)
WO (1) WO200500138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57753B2 (ja) * 2009-06-15 2012-06-2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ロボット、搬送装置、及び慣性センサーを用いた制御方法
JP6009142B2 (ja) * 2010-12-02 2016-10-19 ソニーセミコンダクタ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振動型ジャイロセンサ及び振動型ジャイロ用回路
JP5682314B2 (ja) * 2011-01-06 2015-03-1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ロボット
US20140261739A1 (en) 2013-03-15 2014-09-18 Nordson Corporation Dense phase pump with easily replaceable components
CN112697122A (zh) * 2020-12-10 2021-04-23 北京自动化控制设备研究所 基于数字带阻滤波的降噪方法、系统及石英音叉陀螺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02374A (en) * 1973-10-19 1975-09-02 Singer Co Electrostatic rate gyroscope
US4755057A (en) * 1984-10-02 1988-07-05 Litton Systems, Inc. Path length control method for ring laser gyroscope
US4836675A (en) * 1987-06-29 1989-06-06 Litton System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rotation rate and direction of rotation and providing cavity length control in multioscillator ring laser gyroscopes
FR2620528B1 (fr) 1987-09-11 1991-05-17 Sagem Dispositif gyrometrique piezoelectrique
US5187664A (en) * 1990-11-27 1993-02-16 Eaton-Kenway, Inc. Proportional position-sensing system for an automatic guided vehicle
US5359413A (en) * 1992-01-13 1994-10-25 Kearfott Guidance And Navigation Corporation System for substantially eleminating lock-in in a ring laser gyroscope
JP2874821B2 (ja) 1993-05-07 1999-03-24 昭和電工株式会社 ポリエチレン組成物
DE69431778T2 (de) * 1993-08-12 2003-10-02 Rockwell International Corp Einrichtung zum Abschätzen der Amplitude und Frequenz eines verrauschten,vorgespannten Sinusoids aus kurzen Abtastblöcken
JP3548220B2 (ja) * 1994-03-15 2004-07-28 オリンパス株式会社 振動検出装置
JPH08178668A (ja) * 1994-12-26 1996-07-12 Nissan Motor Co Ltd 角速度センサの振動オフセット低減装置
US6497146B1 (en) * 2000-09-15 2002-12-24 Bei Technologies, Inc. Inertial rate sensor and method with built-in test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518091A1 (de) 2005-03-30
US20060096374A1 (en) 2006-05-11
JP4185055B2 (ja) 2008-11-19
DE502004001144D1 (de) 2006-09-21
KR100649792B1 (ko) 2006-11-27
WO2005001384A1 (de) 2005-01-06
EP1518091B1 (de) 2006-08-09
JP2006504109A (ja) 2006-02-02
US7100445B2 (en) 2006-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80134B2 (en) Measuring device and measured quantity sensor having coupled processing and excitation frequencies
US8297112B2 (en) Device for determining and/or monitoring a process variable of a medium
US10429286B2 (en) Vibronic sensor
US8875577B2 (en) Oscillator circuit, method for manufacturing oscillator circuit, inertial sensor using the oscillator circuit, and electronic device
CN109313060B (zh) 电子振动传感器以及用于操作电子振动传感器的方法
JP2004521335A (ja) 急速始動共振回路制御
KR100639448B1 (ko) 회전율 센서 모니터링 방법
US8042395B2 (en) Method for operating a vibrating gyroscope and sensor arrangement
KR100649792B1 (ko) 진동 자이로스코프를 구비한 회전율 센서
KR101120732B1 (ko) 회전 속도 센서 조절 방법
JP2004515774A (ja) 電子評価装置の位相ロックループを調整する方法及び電子評価装置
JP2006329637A (ja) 角速度検出装置
AU2004227053B2 (en) Method for determining a zero-point error in a vibratory gyroscope
JP4321825B2 (ja) 振動式ジャイロスコープの監視方法
JP4134040B2 (ja) コリオリの角速度計の読み取り振動周波数の電子的同調方法
JP2666709B2 (ja) 発振装置
JP4058043B2 (ja) コリオリの角速度計の読み取り振動周波数の電子的同調方法
CN204807090U (zh) 一种陀螺仪检测电路、陀螺仪及电子设备
CN107850431B (zh) 通过多频率运行进行多次分析处理的转速传感器及其方法
RU2624411C1 (ru) Способ определения добротности механической колебательной системы
JPH09203639A (ja) 角速度検出装置
KR970706481A (ko) 회전속도와 횡방향 가속도를 동시에 측정하는 장치 및 방법(Device and method for simultaneously measuring a rotating speed and a transversal acceleration)
KR101458837B1 (ko) 듀얼매스 자이로스코프의 진동 제어방법
JPH09130206A (ja) 能動フィルタの特性周波数調整装置
JPH0817325B2 (ja) 発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