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23140A - 차량의 가상 입력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가상 입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23140A
KR20050023140A KR1020030059591A KR20030059591A KR20050023140A KR 20050023140 A KR20050023140 A KR 20050023140A KR 1020030059591 A KR1020030059591 A KR 1020030059591A KR 20030059591 A KR20030059591 A KR 20030059591A KR 20050023140 A KR20050023140 A KR 200500231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rtual keyboard
virtual
vehicle
input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95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59386B1 (ko
Inventor
안성호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595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9386B1/ko
Publication of KR200500231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31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93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938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1Vehicle control means, e.g. steering-wheel or colum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Switches Operated By Changes In Physical Cond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반적인 크기의 입력 장치를 사용하는 것을 불가능하게 하거나, 멀티미디어 장치와 입력 장치 사이의 거리로 인해 입력 장치의 사용이 적당하지 않은 경우에도 용이하게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는 차량의 가상 입력 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량에 장착되어 키 입력 상태를 확인하고 처리하는 멀티미디어 장치에 데이터를 입력하는 입력 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헤드라이닝 주변에 장착되며, 상기 차량의 운전석 공간으로 가상의 키보드 이미지 영상을 투사하는 가상 키보드 투사기와; 상기 가상 키보드 투사기로부터 투사되는 가상의 키보드 이미지 영상으로 이루어져 각각의 키 값을 가지며, 가상의 키보드 이미지 영상의 키에 빛의 간섭이 발생됨에 따라 상기 멀티미디어 장치에 해당되는 데이터 정보를 입력하는 가상 키보드와; 상기 가상 키보드 상의 키에 발생되는 빛의 간섭을 검출하여 키 입력정보를 캡쳐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장치로 해당되는 전기적인 신호를 공급하는 키 입력 검출센서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Description

차량의 가상 입력 장치{VIRTUAL INPUT DEVICE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가상 입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차량에 장착되는 멀티미디어 장치(오디오 시스템, 네비게이션 시스템, 텔레메틱스 시스템)등의 입력 장치로 헤드 유닛(HEAD UNIT)에 있는 버튼(BUTTON)과 조이스틱을 가지고 화면에 나타난 글자를 입력한다.
그런데, 위와 같은 방법을 사용하면, 헤드 유닛에 있는 버튼과 조이스틱으로 입력을 하면 버튼의 제약으로 인해서 입력하기 위해서는 화면에 나타난 자음과 모음을 조합하여 선택하여 입력을 하게 되어 시간이 많이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멀티미디어 장치의 소형·경량화에 따라 입력 장치도 소형·경량화되고 있으나 입력 장치가 작을수록 실질적으로 데이터가 입력되는 속도가 늦을 수 있기 때문에, 일정 한계 이하로 입력 장치를 소형화하는 것은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일반적인 크기의 입력 장치를 사용하는 것을 불가능하게 하거나, 멀티미디어 장치와 입력 장치 사이의 거리로 인해 입력 장치의 사용이 적당하지 않은 경우에도 용이하게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는 차량의 가상 입력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량에 장착되어 키 입력 상태를 확인하고 처리하는 멀티미디어 장치에 데이터를 입력하는 입력 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헤드라이닝 주변에 장착되며, 상기 차량의 운전석 공간으로 가상의 키보드 이미지 영상을 투사하는 가상 키보드 투사기와; 상기 가상 키보드 투사기로부터 투사되는 가상의 키보드 이미지 영상으로 이루어져 각각의 키 값을 가지며, 가상의 키보드 이미지 영상의 키에 빛의 간섭이 발생됨에 따라 상기 멀티미디어 장치에 해당되는 데이터 정보를 입력하는 가상 키보드와; 상기 가상 키보드 상의 키에 발생되는 빛의 간섭을 검출하여 키 입력정보를 캡쳐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장치로 해당되는 전기적인 신호를 공급하는 키 입력 검출센서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 및 첨부 도면과 같은 많은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으나, 이들 특정 상세들은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해 예시한 것으로 본 발명이 그들에 한정됨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가상 입력 장치 구성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차량에 장착되어 키 입력 상태를 확인하고 처리하는 멀티미디어 장치(100)에 데이터를 입력하는 입력 장치에 있어서, 가상 키보드 투사기(110), 가상 키보드(120), 키 입력 검출센서(13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가상 키보드 투사기(1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헤드라이닝 주변에 장착되며, 차량의 운전석 공간으로 가상의 키보드 이미지 영상을 투사하는 기능을 한다.
가상 키보드(120)는 가상 키보드 투사기(110)로부터 투사되는 가상의 키보드 이미지 영상으로 이루어져 각각의 키 값을 가지며, 가상의 키보드 이미지 영상의 키에 빛의 간섭이 발생됨에 따라 멀티미디어 장치(100)에 해당되는 데이터 정보를 입력한다.
가상 키보드 투사기(110)로부터 투사되는 가상 키보드 이미지 영상은 멀티미디어 장치(100)의 사양에 따라 키의 배열 및 위치를 다르게 구성할 수 있으며 차량에 장착되는 멀티미디어 장치(100)의 사양과 동일하게 구성하는 것을 가정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가상 입력 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가상 키보드(120) 상의 키 가운데 빛의 간섭이 발생되는 키를 서로 다른 색 또는 음영을 사용하여 하이라이트(High Light) 함으로써 가상 키보드(120) 상의 모든 키에 대한 키 입력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사용자는 가상 키보드(120) 상의 키를 입력함에 있어서 어떠한 키를 입력하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게된다.
키 입력 검출센서(130)는 가상 키보드 투사기(110)와 통합되어 설치할 수 있으며, 가상 키보드(120) 상의 키에 발생되는 빛의 간섭을 검출하여 키 입력정보를 캡쳐하여 멀티미디어 장치(100)로 해당되는 전기적인 신호를 공급한다.
키 입력 검출센서(130)는 3차원 위치 정보를 캡쳐하는 센서로 구성할 수 있다.
키 입력 검출센서(130)는 가상 키보드(120)상의 키에 사용자의 손가락 위치정보를 캡쳐한다.
이 정보는 가상 키보드(120) 상의 키가 두드려질 때 사용자의 손가락 위치, 속도 및 형태에 대해 결정하기 위해 처리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가락 아래서 직접 키를 하이라이트(High Light) 함으로써 가상 키보드(120) 상의 모든 키에 대한 사용자 손가락 위치를 보여줄 것이다.
키가 실제로 눌려졌을 때 즉, 사용자의 손가락 움직임에 의해 인식될 때 눌려진 키는 서로 다른 색 또는 음영을 사용하여 하이라이트 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가상 키보드(120)를 이용한 가상 입력 장치는 사용자가 컴퓨터 키보드에 익숙해 있기 때문에 이것을 이용하여 차량에 장착되는 멀티미디어 장치(100)에 가상 키보드(120)를 구성하여 여기서 입력받은 정보를 각종 멀티미디어 장치(100)로 입력하게 된다.
즉, 가상 키보드(120)를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장치(100)에 각종 정보를 입력한다.
예를 들어, 차량에 장착되는 멀티미디어 장치(100) 가운데 네비게이션 시스템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마크 등록 및 이름을 등록할 때, 텔레매틱스 시스템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전화번호 입력시 이름 입력, 기타 검색시 검색어를 입력할 때 가상 키보드(120)를 이용하여 쉽게 입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일반적인 컴퓨터 시스템에 적용되는 키보드의 기능을 하는 가상 키보드(120)를 차량에 구비할 수 있다.
실제로 키보드를 차량에 장착시 공간이 나오지 않기 때문에, 가상 키보드(120)를 사용하면 원하는 공간에 투사를 할 수 있기 때문에 차량에서 공간 제약을 해소할 수 있고, 키보드에 대한 중량(Weight)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멀티미디어 장치(100)에 입력을 할 때(네비게이션, 텔레매틱스 등) 입력 방법으로는 첫 번째는 멀티미디어 장치(100)의 입력에 사용되는 헤드 유닛(HEAD UNIT)에서도 입력할 수 있게 하며(기존 입력방식), 두 번째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가상 키보드(120)를 통해 입력할 수 있다.
가상 키보드 투사기(110)는 차량의 헤드라이닝 부근(예를 들어, 운전석의 선바이저 장착위치)에 장착한다.
가상 키보드 투사기(110)에 의해서, 스티어링 휠에 투사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상 키보드(120)를 구성한다.
가상 키보드(120)란 가상의 키보드를 평편한 면에 이미지 영상을 프로젝션하여 키보드를 나타내게 되며, 이때 사용자는 일반 키보드와 동일하게 입력한다.
그러면, 빛의 간섭에 의해서 그 키 값이 키 입력 검출센서(130)를 통해 검출되어 멀티미디어 장치(100)로 입력하게 된다.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시스템에서 목적지를 정보검색으로 찾을 경우 "남한산성"이라는 글자를 입력시 가상 키보드(120)로 직접 키보드가 있는 것처럼 타이핑을 하면 쉽게 원하는 목적지를 설정할 수가 있다.
향후 멀티미디어 입력 방식으로 음성인식을 고려하고 있지만 현재는 차량에 접목할 만큼의 수준이 되지 않으며, 차량에서 창문이 열린 상태에서는 주변 소음으로 인해 더욱더 음성인식이 힘들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가상 입력 장치는 차량에 장착되는 멀티미디어 장치에 데이터 입력시 기존의 헤드 유닛에 비해 입력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별도의 키보드를 장착하지 않기 때문에 중량을 감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가상 입력 장치 구성을 도시한 도면.

Claims (3)

  1. 차량에 장착되어 키 입력 상태를 확인하고 처리하는 멀티미디어 장치에 데이터를 입력하는 입력 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헤드라이닝 주변에 장착되며, 상기 차량의 운전석 공간으로 가상의 키보드 이미지 영상을 투사하는 가상 키보드 투사기와;
    상기 가상 키보드 투사기로부터 투사되는 가상의 키보드 이미지 영상으로 이루어져 각각의 키 값을 가지며, 가상의 키보드 이미지 영상의 키에 빛의 간섭이 발생됨에 따라 상기 멀티미디어 장치에 해당되는 데이터 정보를 입력하는 가상 키보드와;
    상기 가상 키보드 상의 키에 발생되는 빛의 간섭을 검출하여 키 입력정보를 캡쳐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장치로 해당되는 전기적인 신호를 공급하는 키 입력 검출센서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가상 입력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키보드 상의 키 가운데 빛의 간섭이 발생되는 키를 서로 다른 색 또는 음영을 사용하여 하이라이트(High Light) 함으로써 가상 키보드 상의 모든 키에 대한 키 입력상태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가상 입력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 입력 검출센서는 3차원 위치 정보를 캡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가상 입력 장치.
KR1020030059591A 2003-08-27 2003-08-27 차량의 가상 입력 장치 KR1005593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9591A KR100559386B1 (ko) 2003-08-27 2003-08-27 차량의 가상 입력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9591A KR100559386B1 (ko) 2003-08-27 2003-08-27 차량의 가상 입력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3140A true KR20050023140A (ko) 2005-03-09
KR100559386B1 KR100559386B1 (ko) 2006-03-10

Family

ID=372308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9591A KR100559386B1 (ko) 2003-08-27 2003-08-27 차량의 가상 입력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938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309941A1 (en) * 2022-07-18 2024-01-24 Volvo Truck Corporation Truck cabi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309941A1 (en) * 2022-07-18 2024-01-24 Volvo Truck Corporation Truck cabi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59386B1 (ko) 2006-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502570B (zh) 一种手势识别的方法、装置及车载系统
US9141148B2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input device for the same
KR101079270B1 (ko) 3차원 입력 장치
KR101828142B1 (ko) 자동차에서 햅틱피드백으로 데이터의 쌍방향 입력을 위한 방법 및 장치
US9758042B2 (en) Programmable tactile touch screen displays and man-machine interfaces for improved vehicle instrumentation and telematics
US8576199B1 (en) Computer control systems
US9261908B2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itioning between operational modes of an in-vehicle device using gestures
CN108349389B (zh) 操纵设备和用于在机动车中接收由使用者输入的字符串的方法
US9275274B2 (en)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handwriting gestures in an in-vehicle information system
US20060084482A1 (en) Electronic hand-held device with a back cover keypad and a related method
US20090273563A1 (en) Programmable tactile touch screen displays and man-machine interfaces for improved vehicle instrumentation and telematics
US20110032203A1 (en) Human interfaces for vehicles, homes, and other applications
JP2007072578A (ja) 入力装置
US9361022B2 (en) Character input apparatus
CN105103087B (zh) 一种用于显示和/或输出帮助的方法和配置给车辆的装置
KR101946746B1 (ko) 차량에서 비-차량 오브젝트의 위치 결정
CN110733433A (zh) 车载投影显示系统及车辆
JPH07195962A (ja) 車両用情報装置
JP2004262363A (ja) 自動車用入力装置
KR100559386B1 (ko) 차량의 가상 입력 장치
CN107407976B (zh) 操作设备、机动车和用于运行操作设备的方法
TWM564749U (zh) 車輛多螢幕控制系統
US11941208B2 (en) Input device and automobile including the same
JP2003108306A (ja) 触覚による入力フィールドを用いる制御システム
JP2007112283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