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23111A - 척추경 나사못 - Google Patents

척추경 나사못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23111A
KR20050023111A KR1020030060183A KR20030060183A KR20050023111A KR 20050023111 A KR20050023111 A KR 20050023111A KR 1020030060183 A KR1020030060183 A KR 1020030060183A KR 20030060183 A KR20030060183 A KR 20030060183A KR 20050023111 A KR20050023111 A KR 200500231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pedicle
rod
spine
pedicle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01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63138B1 (ko
Inventor
최길운
Original Assignee
(주)태연메디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태연메디칼 filed Critical (주)태연메디칼
Priority to KR10200300601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3138B1/ko
Publication of KR200500231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31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31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31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70Spinal positioners or stabilisers ; Bone stabilisers comprising fluid filler in an implant
    • A61B17/7001Screws or hooks combined with longitudinal elements which do not contact vertebrae
    • A61B17/7032Screws or hooks with U-shaped head or back through which longitudinal rods pass
    • A61B17/7034Screws or hooks with U-shaped head or back through which longitudinal rods pass characterised by a lateral open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eurology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형외과부문에서 척추수술에 사용되는 척추경 나사못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골다공증 환자 등의 무른 척추의 골절 부위를 나사못에 의해 체결시, 나사못을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어 척추 수술의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척추경 나사못에 관한 것이며, 나사봉(10)에 안착되는 로드(17)를 고정하기 위한 로드고정수단이 착탈가능하게 이루어지되, 상기 나사봉(10)의 내부에 형성된 통공부(21)와 상기 나사봉(10)에 형성된 다수의 관통부(24)가 서로 연통되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척추경 나사못{Spine supporting instrument}
본 발명은 정형외과부문에서 척추수술에 사용되는 척추경 나사못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골다공증 환자 등의 무른 척추의 골절 부위를 나사못에 의해 체결시, 나사못을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어 나사못의 요동이나 탈거를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척추 수술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척추경 나사못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척추가 골절되거나 척추의 일부가 손상된 환자는 그 상태에서 활동을 할 수 없고, 손상정도가 심하지 않아서 활동을 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척추의 손상된 부분이나 골절된 부위가 다른 인접 부위에 의해 압력을 받거나 닿게 되므로 치료를 하더라도 회복이 늦어지게 된다.
따라서, 척추가 골절되거나 척추의 일부가 파손 또는 손상된 환자의 경우 그 골절 또는 손상된 척추부위가 눌려지거나 압박되지 않도록 인접한 척추부위를 인공보조물을 사용하여 지지하는 수술을 한다.
이 경우에 사용되는 척추지지용 인공보조물은 손상된 척추의 상하측에 삽입설치되어 고정대 역할을 하는 척추경 나사못과 각각의 척추경 나사못을 통해 연결되어 지지대 역할을 하는 로드로 이루어져 있다.
첨부한 도 1은 종래의 척추경 나사못을 나타내는 분해 단면도이고, 도 2는 일반적인 척추경 나사못의 설치 상태도이며, 도 3은 종래의 척추경 나사못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상의 척추경 나사못(30)은 로드(17)가 삽입 안착되는 로드안착홈(11)을 구비한 나사봉(10)에 로드 고정수단이 착탈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 로드 고정수단은 다양한 형태 내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데, 하나의 기술예를 들면, 척추경(20)에 삽입되는 나사봉(10)의 상부를 압착하여 로드(17)를 고정시켜주는 너트캡(15)과, 너트캡(15)에 관통 삽입되어 나사봉(10)의 헤드부(14)에 체결되는 고정볼트(12)로 구성되며, 이러한 체결을 위해 나사봉(10)의 헤드부(14)의 내측에는 나사부(13)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척추 수술을 위해 손상된 척추부분에 상기 일반적인 척추경 나사못이 삽입 설치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척추경 나사못의 나사봉(10)을 연결시키고자 하는 각각의 척추경(20)에 상하방향으로 나사 결합시키고, 각각의 척추경 나사못의 상부에 형성된 헤드부(14)에 로드(17)를 삽입하여 로드(17)가 헤드부(14)의 로드안착홈(11)에 안착되도록 고정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너트캡(15)을 헤드부(14)의 외주면부에 밀착 삽입시키면 고정볼트(12)의 체결력을 받는 헤드부(14)의 측벽을 너트캡(15)이 반경방향으로 지지하게 되고, 헤드부(14)에 있는 나사부(13)의 축선을 통해 고정볼트(12)를 일치시킨 후, 공구 등을 이용하여 고정볼트(13)를 회전시켜서 헤드부(14)의 내측으로 체결한다.
이와 같이 고정볼트(12)가 삽입 하강함에 따라 고정볼트(12)는 삽입되어 있는 로드(17)를 압착 고정시켜 주며, 이러한 체결을 통해 척추경과 척추경 사이의 로드(17)의 설치상태를 견고하게 유지시킬 수 있어 손상된 척추부위를 고정시킬 수 있다.
그러나, 체결된 척추경 나사못이 흔들리거나 요동되면 척추경과 척추경 사이를 연결하고 있는 로드(17)의 설치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없게 된다.
이에 따라, 척추경 나사못을 척추경에 다시 삽입 설치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하거나, 삽입되어 있는 척추경 나사못을 요동되는 상태로 방치하면 손상된 척추 부위를 고정시킬 수 없어 치료가 늦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특히, 50대 내지 60대의 노인들에게 발생하기 쉬운 골다공증 환자 등은 뼈가 무르거나 바스러지기 쉽기 때문에 환자의 이동이나 외부의 충격 등으로 인해 삽입되어 있는 나사못과 척추경 사이에 간극 또는 틈새가 빈번하게 발생되어 통상의 나사못에 의해서 요구하는 강도의 고정효과를 얻지 못하게 되며, 이에 따라 척추 수술의 효과를 저하시키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척추경 나사못이 갖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척추경 나사못의 내부에 통공부를 형성시키고 상기 통공부와 연통되는 다수의 관통공을 척추경 나사못의 단부 또는 외주면부에 형성되게 함으로써, 척추경에 척추경 나사못을 삽입한 후 통공부를 통해 골시멘트 등의 충진재를 주입하면 관통공을 통해 상기 충진재가 토출하게 되며, 토출된 충진재는 척추경 나사못과 척추경 사이의 공간부에 충진되거나 무른 뼈의 공간부에 주입된 후 곧이어 일반적인 경화조건에 놓이게 됨으로써 삽입된 척추경 나사못을 치밀하게 지지시킬 수 있는 척추경 나사못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과 상술한 종래 기술의 공통된 구성요소는 편의상 종래 기술의 도면 설명부호를 그대로 인용할 것이다.
본 발명은 나사봉(10)에 안착되는 로드(17)를 고정하기 위한 너트캡(15) 또는 고정볼트(12)가 착탈가능하게 구성되는 척추경 나사못에 있어서, 상기 나사봉(10)의 내부에 형성된 통공부(21)와 상기 나사봉(10)에 형성된 다수의 관통부(24)가 서로 연통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통공부(21)의 일단부를 형성하는 충진재 주입부(22)는 상광하협 형태의 깔대기형 또는 만입형으로 이루어 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관통부(24)는 상기 나사봉(10)의 단부 또는 외주면부에 형성되는 다수의 관통공(24)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척추경 나사못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척추경 나사못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척추경 나사못의 사용 상태도이고, 도 6b는 도 6a에 나타나 있는 "A"의 부분 확대도이다.
본 발명의 척추경 나사못은 티타늄(Ti) 재질로 되어 있으며, 척추경과 척추경 사이를 로드로 이어주기 위하여 설치되는 의료 보조물이다.
도 4 내지 도 6a 및 6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척추경 나사못은 척추의 손상된 부분에 상하로 인접한 각각의 척추경에 고정 설치되는 나사봉(10)을 포함하는데 상기 나사봉(10)의 상부에는 헤드부(14)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헤드부(14)는 로드가 안착되는 로드안착홈(11)이 횡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헤드부(14)의 로드안착홈(11)으로부터 상기 나사봉(10)의 끝단부로 관통하는 통공부(21)가 상기 나사봉(10)의 내부에 형성되게 된다. 그러나, 다수의 척추경 나사못을 서로 연결시켜주는 상기 로드안착홈(11)은 척추수술의 상황과 부위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 설계될 수 있을 것이다. 즉, 상술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로드안착홈(11)이 일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척추수술의 상황에 따라 십자형으로 형성하여 로드(17)를 안착시키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또한, 척추경에 상기 나사봉(10)이 용이하게 삽입 고정되게 하기 위하여 나사봉(10)의 외주면부상에는 나사산(25)이 형성되어 있으며, 나사산(25)과 나사산(25) 사이에는 다수의 관통공(24)이 형성되어 있고, 또는 나사봉(10)의 끝단부에도 관통공(24)이 형성되어 있다. 뿐만 아니라, 관통공(24)은 나사봉(10)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통공부(21)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관통공(24)과 통공부(21)는 상호 연통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척추경 나사못을 이용하여 척추의 손상된 부위를 치료하기 위하여, 척추의 손상된 부분에 상하로 인접한 각각의 척추경에 척추경 나사못의 나사봉(10)을 공구를 이용하여 삽입 고정시키면, 삽입된 나사봉(10)의 외주면부를 척추경이 압착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통공부(21) 상단부에 형성된 충진재 주입부(22)를 통해 충진재(23)를 주입하게 된다.
이와 같이 충진재(23)가 충진재 주입부(22)를 통해 원활하게 주입되게 하기 위하여, 충진재 주입부(22)는 상부가 넓고 하부가 협소한 상광하협 형태의 만입형 또는 깔대기형 등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충진재(23)는 골시멘트, 타가이식조직, 자가이식조직, 또는 수산화인회석, 합성골대체물과 같은 유동성 물질을 포함하는데, 충진재(23)가 주입되면 곧이어 일반적인 경화조건에 놓이게 된다. 상기 충진재(23)는 뼈 및/또는 충진재(23)에 작용하는 압박력, 장력, 비트는 힘 및/또는 전단력에 견딜수 있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충진재(23)는 뼈의 성장을 용이하게 하거나 촉진할 수 있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충진재(23)는 망상조직뼈를 치밀화하는 기능 또는 내부지지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충진재(23)가 충진재 주입부(22)를 통해 주입되면, 충진재(23)는 나사봉(10)의 통공부(21)를 통해 유동하게 된 후, 나사봉(10)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관통공(24)을 통해 토출하게 되는데, 이때 적당한 압력으로 충진재(23)를 주입시키기 위한 충진재 주입기가 바람직할 것이다.
첨부한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충진재(23)가 상기 나사봉(10)의 다수의 관통공(24)을 통해 토출되면, 서로 밀착되어 있는 상기 나사봉(10)의 외주면부와 척추경 사이의 간극 또는 미세 공간부나 무른뼈의 공간부를 채우게 된 후 곧바로 경화조건에 놓이게 됨으로써, 나사봉(10)과 척추경 사이의 압착력을 비약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나사봉(10)과 척추경 사이의 간극 또는 틈새 공간부나 무른 뼈의 공간부에 충진재(23)가 채워져 경화되므로써 척추경 나사못, 특히 나사봉(10)과 척추경 사이에 작용하는 압박력, 장력, 비트는 힘 및/또는 전단력을 견딜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삽입 고정되어 있는 척추경 나사못이 요동되거나 흔들리지 못하도록 하게 되어 척추경 나사못의 내부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나사봉(10)을 척추경에 삽입 고정시킨 후, 나사봉(10)의 상부에 구비되어 있는 로드안착홈(11)을 통해 로드(17)를 안착시키게 되며, 삽입 안착되어 있는 로드(17)는 상술한 로드 고정수단, 즉 로드 고정용 너트캡(15)을 나사봉(10)의 헤드부(14)에 끼워 삽입한 후, 고정볼트(12)가 너트캡(15)을 통해 로드(17)를 압착하면서 헤드부(14)와 체결되게 하여 로드(17)를 지지시켜 주게 됨으로써 척추경 나사못의 설치작업이 완료된다.
그러나, 상기 로드 고정수단은 척추수술의 상황과 부위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을 것이다. 손상되어 있거나 척추수술을 위한 척추부위에 이러한 척추경 나사못이 다수개 삽입 고정되면, 고정되어 있는 소정 길이의 로드에 의해 다수의 척추경 나사못이 상호 연결 고정되어 짐으로써 척추경과 척추경이 척추경 나사못에 의해 고정 지지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작용하는 본 발명은 척추의 손상된 부분에 상하로 인접한 각각의 척추경에 척추경 나사못을 삽입 고정한 후, 척추경 나사못을 통해 척추경 나사못과 척추경 사이의 공간부나 무른 뼈의 공간부에 주입된 충진재(23)가 앵커의 역할을 하여 척추경 나사못과 척추경 사이에 작용하는 압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척추경 나사못의 내부지지력을 높이게 됨으로써 척추경 나사못의 고정효과를 제고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높은 내부지지력을 갖는 본 발명의 척추경 나사못은 척추 손상 부위를 견고하게 고정시킴으로써 척추 수술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척추경 나사못을 나타내는 분해 단면도
도 2는 일반적인 척추경 나사못의 설치 상태도
도 3은 종래의 척추경 나사못의 사용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척추경 나사못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척추경 나사못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척추경 나사못의 사용 상태도
도 6b는 도 6a에 나타나 있는 "A"의 부분 확대도
*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나사봉 11 : 로드 안착홈
12 : 고정볼트 14 : 헤드부
16 : 너트캡 17 : 로드
20 : 척추경 21 : 통공부
22 : 충진재 주입부 23 : 충진재
24 : 관통공 25 : 나사산
30 : 척추경 나사못

Claims (3)

  1. 나사봉(10)에 안착되는 로드(17)를 고정하기 위한 너트캡(15) 또는 고정볼트(12)가 착탈가능하게 구성되는 척추경 나사못에 있어서, 나사봉(10)의 내부에 형성된 통공부(21)와 상기 나사봉(10)에 형성된 다수의 관통부(24)가 서로 연통되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경 나사못.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공부(21)의 일단부를 형성하는 충진재 주입부(22)는 상광하협 형태의 깔대기형 또는 만입형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경 나사못.
  3. 제 1항에 있어서,상기 관통부(24)는 상기 나사봉(10)의 단부 또는 외주면부에 형성되는 다수의 관통공(24)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경 나사못.
KR1020030060183A 2003-08-29 2003-08-29 척추경 나사못 KR1005631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0183A KR100563138B1 (ko) 2003-08-29 2003-08-29 척추경 나사못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0183A KR100563138B1 (ko) 2003-08-29 2003-08-29 척추경 나사못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3111A true KR20050023111A (ko) 2005-03-09
KR100563138B1 KR100563138B1 (ko) 2006-03-21

Family

ID=37230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0183A KR100563138B1 (ko) 2003-08-29 2003-08-29 척추경 나사못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3138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6048B1 (ko) * 2012-07-09 2014-02-27 주식회사 미소메디텍 척추경 나사못
WO2015030409A1 (ko) * 2013-08-26 2015-03-05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의료용 삽입 장치
EP3040039A1 (en) * 2013-08-26 2016-07-06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Medical insertion device
US10231764B2 (en) 2014-11-19 2019-03-19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System for fixing cervical vertebrae, an apparatus for fixing cervical vertebrae and a driver used for an apparatus for fixing cervical vertebrae
US10390863B2 (en) 2015-12-29 2019-08-27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Rod connector
US10575885B2 (en) 2015-07-16 2020-03-03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Screw anchor assembly
US10729473B2 (en) 2014-11-11 2020-08-04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System for fixing cervical vertebrae and a driver used for an apparatus for fixing cervical vertebrae
US10874445B2 (en) 2015-10-13 2020-12-29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Screw fixing apparatus
US11083509B2 (en) 2016-06-08 2021-08-10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Screw anchor assembly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in pedicle screw fixa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4601A (ko) 2018-11-29 2020-06-08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고정력이 향상된 척추경 나사못
KR20200069837A (ko) 2018-12-07 2020-06-17 (주)에스원바이오 피질골을 고려한 고정력이 향상된 척추경 나사못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6048B1 (ko) * 2012-07-09 2014-02-27 주식회사 미소메디텍 척추경 나사못
WO2015030409A1 (ko) * 2013-08-26 2015-03-05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의료용 삽입 장치
EP3040039A1 (en) * 2013-08-26 2016-07-06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Medical insertion device
EP3040039A4 (en) * 2013-08-26 2017-05-10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Medical insertion device
US10154866B2 (en) 2013-08-26 2018-12-18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Medical inserting apparatus
US10729473B2 (en) 2014-11-11 2020-08-04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System for fixing cervical vertebrae and a driver used for an apparatus for fixing cervical vertebrae
US10231764B2 (en) 2014-11-19 2019-03-19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System for fixing cervical vertebrae, an apparatus for fixing cervical vertebrae and a driver used for an apparatus for fixing cervical vertebrae
US10575885B2 (en) 2015-07-16 2020-03-03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Screw anchor assembly
US10874445B2 (en) 2015-10-13 2020-12-29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Screw fixing apparatus
US10390863B2 (en) 2015-12-29 2019-08-27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Rod connector
US11083509B2 (en) 2016-06-08 2021-08-10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Screw anchor assembly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in pedicle screw fix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63138B1 (ko) 2006-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9453B1 (ko) 골 임플란트의 시멘트 보강 장치
US6565572B2 (en) Fenestrated surgical screw and method
CA2587373C (en) Endosteal nail
US9517088B2 (en) Bone anchoring nail
RU2149598C1 (ru) Стержень для интрамедуллярного остеосинтеза переломов кости
KR100563138B1 (ko) 척추경 나사못
ES2503727T3 (es) Dispositivo para producir un anclaje en tejido humano o animal
US6554830B1 (en) Fenestrated surgical anchor and method
ES2271212T3 (es) Impantes y dispositivo para unir partes de tejido.
US20050165482A1 (en) Bone fixation element
US20050096652A1 (en) Integral flexible spine stabilization device and method
EP2019639A1 (en) Locking device and method, for use in a bone stabilization system, employing a set screw member and deformable saddle member
AU2001249947A1 (en) Fenestrated surgical screw and method
AU2007231717A1 (en) Bone plate with variable torsional stiffness at fixed angle holes
CA2721962A1 (en) Posterior spinal fastener
KR20110073452A (ko) 뼈 고정나사
KR200367241Y1 (ko) 척추용 고정장치
KR101336739B1 (ko) 골 시멘트 주입용 폴리 홀 스크류
US7833247B2 (en) Orthopedic clamps
RU148453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накостного остеосинтеза с угловой стабильностью
KR101850831B1 (ko) 골시멘트 척추나사
KR101356048B1 (ko) 척추경 나사못
JP2004208790A (ja) インプラント
RU2605497C2 (ru) Накостная фиксационная система
KR102192735B1 (ko) 척추경 나사못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31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