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6739B1 - 골 시멘트 주입용 폴리 홀 스크류 - Google Patents

골 시멘트 주입용 폴리 홀 스크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6739B1
KR101336739B1 KR1020110139958A KR20110139958A KR101336739B1 KR 101336739 B1 KR101336739 B1 KR 101336739B1 KR 1020110139958 A KR1020110139958 A KR 1020110139958A KR 20110139958 A KR20110139958 A KR 20110139958A KR 101336739 B1 KR101336739 B1 KR 1013367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hole
cement injection
cement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99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72504A (ko
Inventor
신문수
김성곤
지두현
최대원
도재형
김송이
Original Assignee
(주)오티스바이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오티스바이오텍 filed Critical (주)오티스바이오텍
Priority to KR10201101399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6739B1/ko
Publication of KR201300725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25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67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67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84Fasteners therefor or fasteners being internal fixation devices
    • A61B17/86Pins or screws or threaded wires; nuts therefor
    • A61B17/864Pins or screws or threaded wires; nuts therefor hollow, e.g. with socket or cannula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70Spinal positioners or stabilisers ; Bone stabilisers comprising fluid filler in an implant
    • A61B17/7001Screws or hooks combined with longitudinal elements which do not contact vertebrae
    • A61B17/7032Screws or hooks with U-shaped head or back through which longitudinal rods pa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84Fasteners therefor or fasteners being internal fixation devices
    • A61B17/86Pins or screws or threaded wires; nuts therefor
    • A61B2017/8655Pins or screws or threaded wires; nuts therefor with special features for locking in the bo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골 시멘트 주입용 폴리 홀 스크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척추뼈에 골 시멘트 주입용 폴리 홀 스크류를 고정하고 로드를 고정할 때 헤드부가 몸체부와 소정의 각도로 회전할 수 있게 되어 로드를 고정하기 용이하게 하고 또한, 시멘트와 같은 충진재를 주입할 때 시멘트가 몸체부의 방사상으로 골고루 충진되고, 동시에 기저부에 먼저 풍부하게 충진될 뿐만 아니라 몸체부의 상측으로도 일부분의 시멘트가 압출되어 몸체부 대부분의 영역이 척추뼈와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게 하며 또한, 주입된 시멘트가 척추뼈의 틈새에서 굳으면서 골 시멘트 주입용 폴리 홀 스크류를 축방향 즉, 나사가 박힌 방향의 정반대쪽으로 나사를 밀어내는 응력이 발생되지 않게 하는 효과가 있게 된다.

Description

골 시멘트 주입용 폴리 홀 스크류{Poly Hole Screw for Injecting Bone Cement}
본 발명은 정형외과부문에서 척추수술에 사용되는 척추뼈고리뿌리(pedicle of vertebral arch)에 고정되는 고정 나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골다공증 환자 등의 무른 척추의 골절 부위를 고정 나사에 의해 체결시, 시멘트에 의해 고정 나사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어 고정 나사의 요동이나 이탈을 방지며 척추 수술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골 시멘트 주입용 폴리 홀 스크류에 관한 것이다.
척추뼈고리뿌리(pedicle of vertebral arch), 또는 추궁근(椎弓根)은 인체해부학에서 척추뼈의 척추뼈고리(arch)가 척추뼈몸통(body)에 부착되는 부위로, 척추뼈몸통 뒷쪽 윗부분에서 양쪽으로 시작하며 짧고 두꺼운 부위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척추가 골절되거나 척추의 일부가 손상된 환자는 그 상태에서 활동을 할 수 없고, 손상정도가 심하지 않아서 활동을 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척추의 손상된 부분이나 골절된 부위가 다른 인접 부위에 의해 압력을 받거나 닿게 되므로 치료를 하더라도 회복이 늦어지게 된다.
따라서, 척추가 골절되거나 척추의 일부가 파손 또는 손상된 환자의 경우 그 골절 또는 손상된 척추부위가 눌려지거나 압박되지 않도록 인접한 척추부위를 인공보조물을 사용하여 지지하는 수술을 한다.
이 경우에 사용되는 척추지지용 인공보조물은 손상된 척추의 상하측에 삽입설치되어 고정대 역할을 하는 척추 고정 나사와 각각의 척추 고정 나사를 통해 연결되어 지지대 역할을 하는 로드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다수의 선행기술들이 존재하는데, 도 1과 도 2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2005-0023111를 선행기술의 일례로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종래의 척추 고정 나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종래의 척추 고정 나사는 척추의 손상된 부분에 상하로 인접한 각각의 척추뼈고리뿌리에 고정 설치되는 나사봉(10)을 포함하는데 나사봉(10)의 상부에는 헤드부(14)가 일체로 형성되며, 헤드부(14)는 로드가 안착되는 로드안착홈(11)이 횡방향으로 형성되고, 헤드부(14)의 로드안착홈(11)으로부터 상기 나사봉(10)의 끝단부로 관통하는 통공부(21)가 나사봉(10)의 내부에 형성되게 된다.
또한, 척추뼈고리뿌리에 나사봉(10)이 용이하게 삽입 고정되게 하기 위하여 나사봉(10)의 외주면부상에는 나사산(25)이 형성되어 있으며, 나사산(25)과 나사산(25) 사이에는 다수의 관통공(24)이 형성되어 있고, 또는 나사봉(10)의 끝단부에도 관통공(24)이 형성되어 있다. 뿐만 아니라, 관통공(24)은 나사봉(10)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통공부(21)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관통공(24)과 통공부(21)는 상호 연통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척추 고정 나사를 이용하여 척추의 손상된 부위를 치료하기 위하여, 척추의 손상된 부분에 상하로 인접한 각각의 척추뼈고리뿌리에 척추 고정 나사의 나사봉(10)을 공구를 이용하여 삽입 고정시키면, 삽입된 나사봉(10)의 외주면부를 척추뼈고리뿌리가 압착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통공부(21) 상단부에 형성된 충진재 주입부(22)를 통해 충진재(23)를 주입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척추 고정 나사는 시술시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나사봉과 헤드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서, 척추뼈에 척추 고정 나사를 고정하고 로드를 고정할 때 헤드부가 소정의 각도로 회전할 수 없어서, 시술시 로드를 고정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둘째, 시멘트와 같은 충진재를 주입할 때 헤드부쪽부터 충진재가 유출되어 척추뼈로 공급되기 때문에 기저부의 결합 강도가 낮아져 로드에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 척추 고정 나사가 흔들리거나 심한경우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셋째, 나사봉의 끝단을 통해 주입된 시멘트가 척추뼈의 틈새에서 굳으면서 척추 고정 나사를 축방향 즉, 나사가 박힌 방향의 정반대쪽으로 나사를 밀어내는 응력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 척추뼈에 골 시멘트 주입용 폴리 홀 스크류를 고정하고 로드를 고정할 때 헤드부가 몸체부와 소정의 각도로 회전할 수 있게 되어 로드를 고정하기 용이하게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골 시멘트와 같은 충진재를 주입할 때 골 시멘트가 몸체부의 방사상으로 골고루 충진되고, 동시에 기저부에 먼저 풍부하게 충진될 뿐만 아니라 몸체부의 상측으로도 골 시멘트가 압출되어 몸체부 대부분의 영역이 척추뼈와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게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주입된 골 시멘트가 척추뼈의 틈새에서 굳으면서 골 시멘트 주입용 폴리 홀 스크류를 축방향 즉, 나사가 박힌 방향의 정반대쪽으로 나사를 밀어내는 응력이 발생되지 않게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로드 안착부와 고정장치 체결부가 구비되며, 상기 로드 안착부의 하측 중심에는 하기 몸체부가 결합되는 결합홀이 형성되어 있는 헤드부; 상기 헤드부와 결합되는 헤드 연결부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나사부를 구비하며, 상기 헤드 연결부와 나사부에는 내부 중심축을 따라 형성된 시멘트주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시멘트주입홀로부터 상기 나사부의 외주면으로 연통되게 형성되는 시멘트분사홀이 구비되어 있는 몸체부; 상기 헤드부와 몸체부가 소정의 각도로 회전 가능하며 지지되도록 상기 헤드부에 결합되며, 상기 헤드 연결부가 결합되는 내측면은 구면으로 형성되는 체결링을 포함하는 골 시멘트 주입용 폴리 홀 스크류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척추뼈에 골 시멘트 주입용 폴리 홀 스크류를 고정하고 로드를 고정할 때 헤드부가 몸체부와 소정의 각도로 회전할 수 있게 되어 로드를 고정하기 용이하게 하고 또한, 골 시멘트와 같은 충진재를 주입할 때 골 시멘트가 몸체부의 방사상으로 골고루 충진되고, 동시에 기저부에 먼저 풍부하게 충진될 뿐만 아니라 몸체부의 상측으로도 골 시멘트가 압출되어 몸체부 대부분의 영역이 척추뼈와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게 하며 또한, 주입된 골 시멘트가 척추뼈의 틈새에서 굳으면서 골 시멘트 주입용 폴리 홀 스크류를 축방향 즉, 나사가 박힌 방향의 정반대쪽으로 나사를 밀어내는 응력이 발생되지 않게 하는 효과가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척추 고정 나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단면도;
도 3a와 도 3b는 본 발명에 의한 골 시멘트 주입용 폴리 홀 스크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골 시멘트 주입용 폴리 홀 스크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골 시멘트 주입용 폴리 홀 스크류의 시멘트분사홀의 위치를 나타내는 배치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3a와 도 3b는 본 발명에 의한 골 시멘트 주입용 폴리 홀 스크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골 시멘트 주입용 폴리 홀 스크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골 시멘트 주입용 폴리 홀 스크류의 시멘트분사홀의 위치를 나타내는 배치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골 시멘트 주입용 폴리 홀 스크류(300)는, 크게 로드(301)와 고정장치(302)가 결합되는 헤드부(310)와 척추뼈고리뿌리(pedicle of vertebral arch, 이하 간단히 척추뼈라 함.)에 나사결합되는 몸체부(320), 헤드부(310)와 몸체부(320)가 소정의 각도로 회전 가능하며 지지되도록 결합되는 체결링(330) 등으로 구성된다.
즉, 본 발명에 의한 골 시멘트 주입용 폴리 홀 스크류(300)는, 로드 안착부(303)와 고정장치 체결부(305)가 구비되며, 상기 로드 안착부(303)의 하측 중심에는 하기 몸체부(320)가 결합되는 결합홀(307)이 형성되어 있는 헤드부(310); 상기 헤드부(310)와 결합되는 헤드 연결부(323)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나사부(325)를 구비하며, 상기 헤드 연결부(323)와 나사부(325)에는 내부 중심축을 따라 형성된 시멘트주입홀(321)이 형성되고, 상기 시멘트주입홀(321)로부터 상기 나사부(325)의 외주면으로 연통되게 형성되는 시멘트분사홀(327)이 구비되어 있는 몸체부(320); 상기 헤드부(310)와 몸체부(320)가 소정의 각도로 회전 가능하며 지지되도록 상기 헤드부(310)에 결합되며, 상기 헤드 연결부(323)가 결합되는 내측면은 구면으로 형성되는 체결링(3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헤드부(310)는 척추뼈에 고정된 골 시멘트 주입용 폴리 홀 스크류(300)에 로드(301)와 고정장치(302)를 체결하는 부위로, 본 발명에서는 로드(301)와 고정장치(302)를 체결하기 전에 척추뼈와 골 시멘트 주입용 폴리 홀 스크류(300)의 사이로 골 시멘트를 주입하는 시멘트 주입장치가 결합되는 부위이다.
이와 같은 헤드부(310)에는 골 시멘트 주입용 폴리 홀 스크류(300)들을 연결하며 고정하는 로드가 결합되도록 대략 "U" 형상의 홈으로 형성되는 로드 안착부(303)가 구비되어 있고, 헤드부(310)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서 로드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장치(302)가 체결되게 되어 있다.
또한, 로드 안착부(303)의 하측 중심에는 몸체부(320)가 결합되는 결합홀(307)이 형성되어 있어서 몸체부(320)의 헤드 연결부(323)가 결합홀(307)을 통해 지지되며 관통 결합된다.
몸체부(320)는 골 시멘트 주입용 폴리 홀 스크류(300)가 척추뼈에 나사결합되어 견고하게 고정되는 부위로,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나사부(325)를 구비하고, 몸체부(320)의 상측에는 둥근 곡면으로 형성되는 헤드 연결부(323)가 형성되어 있어서 헤드부(310)의 결합홀(307)에 지지되며 결합된다.
그리고, 결합홀(307)의 상측면에는 체결링(330)이 압입되는 압입홈이 형성되어 있고, 몸체부(320)의 헤드 연결부(323)가 체결링(330)의 내측면에 지지되며 결합되는데, 체결링(330)의 내측면이 구면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몸체부(320)가 체결링(330)의 내측면에 지지되면서 소정의 각도를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척추뼈에 골 시멘트 주입용 폴리 홀 스크류(300)를 고정하고 로드(301)를 고정할 때 헤드부(310)가 소정의 각도로 회전할 수 있게 되어 로드(301)를 고정하기 용이하게 되어 있다.
또한, 몸체부(320)는 헤드 연결부(323)로부터 나사부(325) 내측까지 내부 중심축을 따라서 시멘트주입홀(321)이 형성되어 있고, 이 시멘트주입홀(321)에서 나사부(325)의 외주면으로 연통되는 시멘트분사홀(327)이 형성되어 있어서, 골 시멘트 주입용 폴리 홀 스크류(300)를 척추뼈에 나사결합한 후에 외부로부터 시멘트주입홀(321)에 시멘트를 주입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리고, 시멘트분사홀(327)의 직경은 1.5 ~ 2.5 mm 로 형성되는데, 시멘트분사홀(327)의 직경이 1.5 mm 미만으로 형성되는 경우에 시멘트의 주입 압력이 너무 높아져서 시술이 어려워지고 분사량이 줄어드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반대로 시멘트분사홀(327)의 직경이 2.5 mm 초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시멘트의 주입 압력이 너무 낮아져서 조금만 압력을 가해도 분사량이 급격히 증가하여 굳어진 시멘트가 척추뼈와 골 시멘트 주입용 폴리 홀 스크류(300)에 가하는 응력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몸체부(320)는 헤드 연결부(323)로부터 나사부(325) 끝단까지 대략 35 ~ 55 mm 의 크기로 형성되며 시멘트분사홀(327)은 중심축 방향 즉, 길이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되게 두개 ~ 네개가 형성되며 도 5에서는 일례로 네개가 형성된 것을 도시하였는데, 시멘트분사홀(327)이 시멘트주입홀(321)이 막혀있는 나사부(325)의 끝단에서 헤드 연결부(323)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L) 즉, 10 ~ 20 mm 의 영역에만 형성되어 있는 특징이 있다.
이를 몸체부(320) 전체길이(대략 35 ~ 55 mm)에 대한 백분율로 나타내면 대략 18 ~ 57 % 의 영역에만 시멘트주입홀(321)이 형성된다.
따라서, 종래에 시멘트 주입시 몸체부(320)의 상측 즉, 헤드부(310)에 가까운 부위부터 시멘트가 분사됨으로 인해 몸체부(320)의 하측 즉, 기저부의 결합 강도가 낮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여기서, 시멘트분사홀(327)이 나사부(325)의 끝단에서 10 mm 미만의 영역에 형성되는 경우 기저부의 결합 강도는 높아지지만 몸체부(320) 전체의 결합 강도가 낮아지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시멘트분사홀(327)이 나사부(325)의 끝단에서 20 mm 초과의 영역에 형성되는 경우에는 종래와 같이 시멘트가 헤드부(310) 또는 몸체부(320)의 상측 부위에 먼저 분사되어 기저부의 결합 강도가 낮아지는 문제점이 또 다시 발생된다.
따라서, 나사부(325)의 끝단에서 헤드 연결부(323) 방향으로 10 ~ 20 mm 의 영역, 바람직하게는 13 ~ 17 mm 의 영역에 시멘트분사홀(327)이 형성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나사부(325)의 끝단에는 시멘트주입홀(321)이 막혀있어서 종래에 시멘트 주입시 나사부(325)의 끝단에 주입된 시멘트가 척추뼈의 틈새에서 굳으면서 골 시멘트 주입용 폴리 홀 스크류(300)를 축방향 즉, 나사가 박힌 방향의 정반대쪽으로 나사를 밀어내는 응력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시멘트분사홀(327)은 전술한 영역에만 형성되되, 중심축 방향 즉, 길이방향으로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되며,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시멘트주입홀(321)과 연통되며 나사부의 골형성면(325a)으로부터 나사부의 산형성면(325b)까지 형성되며, 중심축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동일한 각도로 배치되게 형성되어 있어서, 시멘트 주입시 몸체부(320)의 방사상으로 골고루 충진되게 되어 있다.
더욱이 시멘트주입홀(321)과 연통되는 시멘트분사홀(327)은 시멘트주입홀(321)과 수직인 면에서 상측방향 즉, 헤드 연결부(323)쪽으로 소정의 각도(A) 즉, 5 ~ 15 도의 각도로 형성되어 있어서, 골 시멘트 주입시 시멘트분사홀(327)에서 분출되는 골 시멘트 액체가 몸체부(320)의 나사산과 척추뼈 사이의 틈새를 따라서 유압에 의해 몸체부(320)의 상측 즉, 헤드 연결부(323)쪽으로 압출되는 흐름을 형성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주입되는 골 시멘트가 몸체부(320)의 하측 즉, 기저부에 먼저 풍부하게 충진될 뿐만 아니라 몸체부(320)의 상측으로도 골 시멘트가 압출되어 몸체부(320) 대부분의 영역이 척추뼈와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시멘트분사홀(327)은 시멘트주입홀(321)과 수직인 면에서 상하측방향으로 5 ~ 15 도의 각도로 몸체부의 중심축을 관통하면서 몸체부의 일측과 타측 외주면을 관통하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시멘트분사홀(327)이 시멘트주입홀(321)과 수직인 면과 이루는 각도가 5도 미만인 경우에는 주입되는 골 시멘트 대부분이 시멘트분사홀(327) 주면에 머물러 몸체부(320)의 하측 즉, 기저부에만 충진되는 현상이 발생되고, 15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시멘트분사홀(327)에서 분출되는 골 시멘트 액체가 나사산에 직접 부딪치면서 정반대방향인 몸체부(320)의 하측으로 골 시멘트 액체가 흐름을 형성하게 되어 전술한 바와 같이 몸체부(320) 대부분의 영역이 척추뼈와 견고하게 고정되기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경우 전술한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해 시멘트분사홀(327)이 시멘트주입홀(321)과 수직인 면에서 상측 즉, 헤드 연결부(323)쪽으로 5 ~ 15 도의 각도로 형성되거나, 시멘트분사홀(327)이 시멘트주입홀(321)과 수직인 면에서 상하측방향으로 5 ~ 15 도의 각도로 몸체부의 중심축을 관통하면서 몸체부의 일측과 타측 외주면을 관통하게 형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척추뼈에 골 시멘트 주입용 폴리 홀 스크류를 고정하고 로드를 고정할 때 헤드부가 몸체부와 소정의 각도로 회전할 수 있게 되어 로드를 고정하기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골 시멘트와 같은 충진재를 주입할 때 골 시멘트가 몸체부의 방사상으로 골고루 충진되고, 동시에 기저부에 먼저 풍부하게 충진될 뿐만 아니라 몸체부의 상측으로도 골 시멘트가 압출되어 몸체부 대부분의 영역이 척추뼈와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주입된 골 시멘트가 척추뼈의 틈새에서 굳으면서 골 시멘트 주입용 폴리 홀 스크류를 축방향 즉, 나사가 박힌 방향의 정반대쪽으로 나사를 밀어내는 응력이 발생되지 않게 하는 효과가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300: 골 시멘트 주입용 폴리 홀 스크류
301: 로드 302: 고정장치
303: 로드 안착부 305: 고정장치 체결부
310: 헤드부 320: 몸체부
321: 시멘트주입홀 323: 헤드 연결부
325: 나사부 327: 시멘트분사홀

Claims (6)

  1. 로드 안착부와 고정장치 체결부가 구비되며, 상기 로드 안착부의 하측 중심에는 하기 몸체부가 결합되는 결합홀이 형성되어 있는 헤드부;
    상기 헤드부와 결합되는 헤드 연결부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나사부를 구비하며, 상기 헤드 연결부와 나사부에는 내부 중심축을 따라 형성된 시멘트주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시멘트주입홀로부터 상기 나사부의 외주면으로 연통되게 형성되는 시멘트분사홀이 구비되어 있는 몸체부;
    상기 헤드부와 몸체부가 소정의 각도로 회전 가능하며 지지되도록 상기 헤드부에 결합되며, 상기 헤드 연결부가 결합되는 내측면은 구면으로 형성되는 체결링을 포함하며,
    상기 시멘트분사홀은 상기 시멘트주입홀과 수직인 면에서 상하측방향으로 5 ~ 15 도의 각도로 몸체부의 중심축을 관통하면서 상기 몸체부의 일측과 타측 외주면을 관통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 시멘트 주입용 폴리 홀 스크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멘트분사홀은 상기 중심축 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되게 2~4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 시멘트 주입용 폴리 홀 스크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시멘트분사홀은 상기 중심축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동일한 각도로 배치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 시멘트 주입용 폴리 홀 스크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시멘트분사홀은 상기 나사부의 끝단에서 상기 헤드 연결부 방향으로 10 ~ 20 mm 의 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중심축 방향으로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 시멘트 주입용 폴리 홀 스크류.
  5. 로드 안착부와 고정장치 체결부가 구비되며, 상기 로드 안착부의 하측 중심에는 하기 몸체부가 결합되는 결합홀이 형성되어 있는 헤드부;
    상기 헤드부와 결합되는 헤드 연결부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나사부를 구비하며, 상기 헤드 연결부와 나사부에는 내부 중심축을 따라 형성된 시멘트주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시멘트주입홀로부터 상기 나사부의 외주면으로 연통되게 형성되는 시멘트분사홀이 구비되어 있는 몸체부;
    상기 헤드부와 몸체부가 소정의 각도로 회전 가능하며 지지되도록 상기 헤드부에 결합되며, 상기 헤드 연결부가 결합되는 내측면은 구면으로 형성되는 체결링을 포함하며,
    상기 시멘트분사홀은 상기 시멘트주입홀과 수직인 면에서 상기 헤드 연결부쪽으로 5 ~ 15 도의 각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 시멘트 주입용 폴리 홀 스크류.
  6. 삭제
KR1020110139958A 2011-12-22 2011-12-22 골 시멘트 주입용 폴리 홀 스크류 KR1013367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9958A KR101336739B1 (ko) 2011-12-22 2011-12-22 골 시멘트 주입용 폴리 홀 스크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9958A KR101336739B1 (ko) 2011-12-22 2011-12-22 골 시멘트 주입용 폴리 홀 스크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2504A KR20130072504A (ko) 2013-07-02
KR101336739B1 true KR101336739B1 (ko) 2013-12-04

Family

ID=489871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9958A KR101336739B1 (ko) 2011-12-22 2011-12-22 골 시멘트 주입용 폴리 홀 스크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673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0831B1 (ko) * 2016-10-28 2018-06-12 주식회사 휴벡셀 골시멘트 척추나사
CN113974927B (zh) * 2021-12-24 2022-05-03 北京爱康宜诚医疗器材有限公司 植入式假肢的中间植入体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5380Y1 (ko) 2005-06-30 2005-09-08 정연문 척추질환 수술용 나사못 고정장치
KR20070029645A (ko) * 2003-12-15 2007-03-14 아추스 오토페딕스, 인코포레이티드 다축 조절식 후 관절 보철물
KR20080042695A (ko) * 2006-11-10 2008-05-15 비이더만 모테크 게엠베하 뼈 고정 네일
US20110004256A1 (en) 2009-07-01 2011-01-06 Lutz Biedermann Instruments for use with a bone anchor with plug memb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29645A (ko) * 2003-12-15 2007-03-14 아추스 오토페딕스, 인코포레이티드 다축 조절식 후 관절 보철물
KR200395380Y1 (ko) 2005-06-30 2005-09-08 정연문 척추질환 수술용 나사못 고정장치
KR20080042695A (ko) * 2006-11-10 2008-05-15 비이더만 모테크 게엠베하 뼈 고정 네일
US20110004256A1 (en) 2009-07-01 2011-01-06 Lutz Biedermann Instruments for use with a bone anchor with plug memb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2504A (ko) 2013-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9239515B2 (en) Posterior spinal fastener
JP6559959B2 (ja) 弾性的な骨接合術のための骨プレート
US9439765B2 (en) Method for subchondral treatment of joint pain using implantable devices
AU2014248622B2 (en) Pedicle screw with reverse spiral cut and methods thereof
US8231632B1 (en) Cannulated surgical screw bone filler adapter
RU2704237C2 (ru) Имплантат для стабилизации сломанных или несломанных костей
WO2011063250A1 (en) Implantable devices for subchondral treatment of joint pain
US8366717B1 (en) Method of securing a cannulated surgical screw using a bone filler cement
EP112877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jecting material to bones
EP3323363B1 (en) Screw anchor assembly
CN202113152U (zh) 一种万向可灌注椎弓根螺钉
KR101336739B1 (ko) 골 시멘트 주입용 폴리 홀 스크류
KR200367241Y1 (ko) 척추용 고정장치
KR100563138B1 (ko) 척추경 나사못
CN201958990U (zh) 可注射骨水泥的中空u形钉装置
CN102018564B (zh) 可注射骨水泥的中空u形钉装置
JP2019520135A (ja) 内部プレート固定装置
KR101850831B1 (ko) 골시멘트 척추나사
JP2022545536A (ja) 流体送達システム
JP5924565B2 (ja) インプラント
JP2004208790A (ja) インプラント
KR102018799B1 (ko) 골이식재 주입수단을 구비한 골절 플레이트
CN105581831B (zh) 一种新型组合式椎弓根钉棒锁定系统
US11864805B1 (en) Orthopedic fastener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CN102579121B (zh) 一种寰椎椎弓根螺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