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22825A - 차량용 텔레매틱스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텔레매틱스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22825A
KR20050022825A KR1020030060566A KR20030060566A KR20050022825A KR 20050022825 A KR20050022825 A KR 20050022825A KR 1020030060566 A KR1020030060566 A KR 1020030060566A KR 20030060566 A KR20030060566 A KR 20030060566A KR 20050022825 A KR20050022825 A KR 200500228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vehicle
unit
mobile phone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05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19045B1 (ko
Inventor
정찬
진상호
Original Assignee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605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9045B1/ko
Publication of KR200500228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28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90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90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26Details of the output of route guidance instru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04M1/6075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adapted for handsfree use in a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Naviga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텔레매틱스 콘트롤 유니트에 자체적인 지도를 보유하고 턴바이턴 표시와 함께 지도상에 이동경로를 표시함으로 인식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키고, 모든 기능을 리모콘 스위치로 조작 가능하게 하여 편리성과 안전성을 극대화하고, 최소의 조작 스위치로 모든 기능이 조작 가능하도록 조작성을 최적화시키고, GPS신호가 수신되지 않더라도 차량내부센서를 이용하여 이동위치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텔레매틱스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서로 연동되어 진행되는 핸즈프리 통화 및 문자 메시지 확인 과정과, 길안내 과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핸즈프리 통화 및 문자 메시지 확인 과정은, 전화 걸기 단계; 전화 받기 단계; 문자 메시지 확인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길안내 과정은, 길 안내 받기 단계; 교통정보 서비스 받기 단계; 주변 시설물 찾기 및 생활 정보 보기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텔레매틱스 제어방법{Control method of Telematics in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텔레매틱스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폰을 이용한 차량용 네비게이션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의 음성 및 문자 요청에 의한 실시간 교통정보를 반영하고 지도 및 턴바이턴(turn by turn)표시를 이용한 길안내 기능, 중앙센터로부터 실시간 정보(뉴스, 날씨 등) 입수 및 차량 내 안전운전을 위한 핸즈프리 사용 가능한 제어방법으로서, 텔레매틱스 콘트롤 유니트에 자체적인 지도를 보유하고 턴바이턴표시와 함께 지도상에 이동경로를 표시함으로 인식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키고, 모든 기능을 리모콘 스위치로 조작 가능하게 하여 편리성과 안전성을 극대화하고, 최소의 조작 스위치로 모든 기능이 조작 가능하도록 조작성을 최적화시킨 차량용 텔레매틱스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휴대폰을 이용한 차량용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구성도로서, 종래의 기술은 차량 내에 별도의 네비게이션 키트 박스(1), 휴대폰(2), 크래들(3), GPS 안테나(4), 마이크(5) 등을 구비하고, 주로 차량의 대쉬보드 위에 클래들(3)을 설치한 후 그 위에 휴대폰(2)을 거치시킨다. 이와 같이 설치된 상태에서, 휴대폰(2) 또는 크래들(3)의 키를 조작하여 명령을 입력하고, 그 화면을 통해 턴바이턴 표시로만 길안내 및 정보를 제공받는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휴대폰을 이용한 차량용 네비게이션 시스템은 지도를 표시할 수 없어 오직 턴바이턴(화살표) 표시만으로 길안내를 수행하기 때문에, 운전자의 인식성이 떨어져 유도되지 않은 방향으로 차량의 운전경로가 이탈되어 사용자의 불편함을 빈번하게 야기 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운전 중 기타 기능을 사용키 위해 핸들로부터 멀리 떨어진 휴대폰 또는 크래들의 키를 조작하여 하기 때문에, 안전운전에 매우 위험한 요소를 제공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운행중인 차량이 터널이나 교량하부를 통과하는 경우에는 GPS신호가 수신되지 않아 차량위치 파악 및 이동 경로를 인식하지 못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텔레매틱스 콘트롤 유니트에 자체적인 지도를 보유하고 턴바이턴 표시와 함께 지도상에 이동경로를 표시함으로 인식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키고, 모든 기능을 리모콘 스위치로 조작 가능하게 하여 편리성과 안전성을 극대화하고, 최소의 조작 스위치로 모든 기능이 조작 가능하도록 조작성을 최적화시키고, GPS신호가 수신되지 않더라도 차량내부센서를 이용하여 이동위치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텔레매틱스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텔레매틱스 제어방법은, 인터넷 정보센터로부터 지도 및 각종 정보를 수신하는 휴대폰을 이용한 차량용 네비게이션 제어방법에 있어서, 서로 연동되어 진행되는 핸즈프리 통화 및 문자 메시지 확인 과정과, 길안내 과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핸즈프리 통화 및 문자 메시지 확인 과정은, 사용자의 패널 스위치 조작부 또는 리모콘 스위치 조작부의 입력에 의하여 콘트롤 유니트의 메모리 저장부에 저장된 최근번호 또는 저장번호를 검색하고, 휴대폰 연결수단으로 연결된 휴대폰을 통하여 선택된 상대방에게 전화 걸기를 수행하는 전화 걸기 단계; 상대방으로부터 전화가 걸려왔을 경우 콘트롤 유니트의 액정 표시부에 이 상황을 표시하고, 핸즈프리기능을 이용하여 상대방으로부터 걸려온 전화를 받는 전화 받기 단계; 상대방으로부터 문자 메시지가 수신되었을 경우 콘트롤 유니트의 액정 표시부에 이 상황을 표시하는 문자 메시지 확인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길안내 과정은, GPS 수신부에서 인공위성으로부터 GPS신호를 수신받고 차량의 위치정보를 콘트롤 유니트에 전달하고, 콘트롤 유니트에서 마이크, 패널 스위치 조작부 또는 리모콘 스위치 조작부(200)를 통한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상기 GPS 수신부로부터 수신받은 차량의 위치정보와, 상기 휴대폰으로부터 수신받은 정보 및 내부에 저장된 지도정보를 참조하여 당해 차량의 이동경로를 판단하여 상기 액정 표시부에 표시하는 길 안내 받기 단계;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최근요청지점, 주행전방정보, 교통정보음성안내, 고속도로음성안내, 수도권정보 및 교통체증정보를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교통정보 서비스 받기 단계;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인터넷 정보센터로부터 정보를 수신하여 차량 위치 주변의 시설물을 검색하며, 기타 생활 정보를 제공하는 주변 시설물 찾기 및 생활 정보 보기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콘트롤 유니트의 상기 액정 표시부는 주표시창과 보조표시창으로 구분하여 지도 및 각종 정보를 선택적으로 표시하도록 한다.
또한, 사용자가 상기 리모콘 스위치 조작부에 구비된 긴급 버튼을 누를 경우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긴급 구난 서비스를 호출하는 긴급 구난 서비스 이용 단계를 더 구비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차량용 텔레매틱스 시스템의 배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차량용 텔레매틱스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인터넷 정보센터로부터 지도 및 각종 정보를 수신하는 휴대폰(800)을 이용한 차량용 네비게이션 시스템에 있어서, GPS 수신부(500), 콘트롤 유니트(100), 리모콘 스위치 조작부(200), 오디오(700) 및 도어 스피커(300), 휴대폰 연결수단(400) 및 마이크(600)로 구성된다.
GPS 수신부(500)는 인공위성으로부터 GPS신호를 수신받고 차량의 위치정보를 콘트롤 유니트(100)에 전달한다.
콘트롤 유니트(100)는 대쉬보드의 중앙부에 설치되고, 사용자의 조작명령을 입력받는 패널 스위치 조작부(110)와, 지도 및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액정표시부(120)가 그 전면에 노출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GPS 수신부(500)로부터 수신받은 차량의 위치정보와, 상기 휴대폰(800)으로부터 수신받은 정보 및 내부에 저장된 지도정보를 참조하여 당해 차량의 이동경로를 판단하여 상기 액정표시부(120)에 표시한다. 상기 액정표시부(120)는 통상의 TFT-LCD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리모콘 스위치 조작부(200)는 운전핸들에 부착 설치되어 사용자의 조작명령을 상기 콘트롤 유니트(100)에 원격 입력시키고, 오디오(700) 및 도어 스피커(300)는 핸즈프리기능에 따른 수신전화 및 길안내 음성을 출력한다.
휴대폰 연결수단(400)은 상기 휴대폰(800)을 상기 콘트롤 유니트(100)에 연결시키고, 마이크(600)는 핸즈프리기능을 통하여 사용자의 음성명령을 입력받아 상기 콘트롤 유니트(100) 및 휴대폰(800)에 전달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텔레매틱스 콘트롤 유니트를 더욱 상세히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콘트롤 유니트(100)는 상기 GPS 수신부(500)로부터 전달된 차량의 위치정보를 입력받는 GPS 입력부(131); 음성 데이터, 지도 및 각종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저장부(132); 각부에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133); 오디오(700) 및 스피커(300)를 통하여 안내 멘트 등의 음성정보를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134); 휴대폰(800)의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배터리 충전부(135); 휴대폰(800)의 음성신호를 처리하여 핸즈프리 기능을 수행하게 하는 음성신호 처리부(136); 차량의 회전각도를 감지하는 자이로 센서(137); 차량의 이동속도를 감지하는 스피드 센서(138); 상기 GPS 수신부(500)로부터 수신받은 차량의 위치정보와, 상기 휴대폰(800)으로부터 수신받은 정보 및 내부에 저장된 지도정보를 참조하여 당해 차량의 이동경로를 판단하여 상기 액정표시부(120)에 표시하는 한편, 상기 GPS 수신부(500)로부터 GPS 신호가 수신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자이로 센서(137) 및 스피드 센서(138)로부터 입력된 회전각도 및 이동속도를 계산하여 차량의 위치를 파악하는 중앙 처리부(139)로 구성된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차량용 텔레매틱스 시스템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콘트롤 유니트의 전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콘트롤 유니트(100)는 인터넷 정보센터와의 무선통신을 통하여 길안내 및 전화통신과 함께, 각종의 생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액정표시부(120)에 표시하고, 상기 액정표시부(120)는 지도 및 각종 정보를 선택적으로 표시하기 위하여 주표시창(121)과 보조표시창(122)으로 구분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리모콘 스위치 조작부(200)는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긴급 구난 서비스를 호출하는 긴급 버튼(210)을 더 구비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차량용 텔레매틱스 제어방법의 제어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초기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전화 걸기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길안내 조회/등록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은 인터넷 정보센터로부터 지도 및 각종 정보를 수신하는 휴대폰(800)을 이용한 차량용 네비게이션 제어방법에 있어서, 서로 연동되어 진행되는 핸즈프리 통화 및 문자 메시지 확인 과정과, 길안내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핸즈프리 통화 및 문자 메시지 확인 과정은, 사용자의 패널 스위치 조작부(110) 또는 리모콘 스위치 조작부(200)의 입력에 의하여 콘트롤 유니트(100)의 메모리 저장부(132)에 저장된 최근번호 또는 저장번호를 검색하고, 휴대폰 연결수단(400)으로 연결된 휴대폰(800)을 통하여 선택된 상대방에게 전화 걸기를 수행한다.
이때, 사용자가 핸드폰 통화를 하고자 할 경우에는 음성신호 처리부(136)는 휴대폰(800)의 음성신호를 처리하여 핸즈프리 기능을 수행하게 하고, 배터리 충전부(135)는 휴대폰(800)의 배터리를 충전시켜 휴대폰이 이상 없이 작동되도록 한다.
아울러, 상대방으로부터 전화가 걸려왔을 경우 콘트롤 유니트(100)의 액정 표시부(120)에 이 상황을 표시하고, 핸즈프리기능을 이용하여 상대방으로부터 걸려온 전화를 받을 수 있으며, 상대방으로부터 문자 메시지가 수신되었을 경우 콘트롤 유니트(100)의 액정 표시부(120)에 이 상황을 표시하여 문자 메시지를 확인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길안내 과정은, GPS 수신부(500)에서 인공위성으로부터 GPS신호를 수신받고 차량의 위치정보를 콘트롤 유니트(100)에 전달하고, 콘트롤 유니트(100)에서 마이크(600), 사용자의 패널 스위치 조작부(110) 또는 리모콘 스위치 조작부(200)를 통한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상기 GPS 수신부(500)로부터 수신받은 차량의 위치정보와, 상기 휴대폰(800)으로부터 수신받은 정보 및 내부에 저장된 지도정보를 참조하여 당해 차량의 이동경로를 판단하여 상기 액정 표시부(120)에 표시하는 길 안내 받기 단계를 수행한다.
이때, 도어 스피커(300)는 전화 통화 시는 오디오를 통해 RH스피커에서 상대음성을 출력하며, 경로 안내 기능 수행 시는 LH스피커에서 오디오를 통해 경로안내 음성을 출력한다.
여기서, 콘트롤 유니트(100)는 지도를 자체보유하고 정보센터로부터 실시간 교통정보가 감안 된 길안내 경로를 다운로드 받음으로써 사용성의 최적화를 이루었고, 지도를 자체 보유함으로써 정보센터로부터 수신하는 데이터량을 최소한 최적의 시스템이다.
상기 콘트롤 유니트(100)의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 공급부(133)는 콘트롤 유니트(100)의 각부에 동작 전원을 공급하고, 메모리 저장부(132)에는 음성 데이터, 지도 및 각종 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리모콘 스위치 조작부(200), 패널 스위치 조작부(110) 또는 마이크(600)를 통하여 길안내를 요청하면 GPS 입력부(131)는 상기 GPS 수신부(500)로부터 전달된 차량의 위치정보를 입력받는다.
또한, 차량의 운행이 시작되면, 자이로 센서(137)는 차량의 회전각도를 감지하고, 스피드 센서(138)는 차량의 이동속도를 감지한다.
따라서, 중앙 처리부(139)는 상기 GPS 수신부(500)로부터 수신받은 차량의 위치정보와, 상기 휴대폰(800)으로부터 수신받은 정보 및 내부에 저장된 지도정보를 참조하여 당해 차량의 이동경로를 판단하여 상기 액정 표시부(120)에 표시하는 한편, 상기 GPS 수신부(500)로부터 GPS 신호가 수신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자이로 센서(137) 및 스피드 센서(138)로부터 입력된 회전각도 및 이동속도를 계산하여 차량의 위치를 파악하고, 음성 출력부(134)는 오디오(700) 및 스피커(300)를 통하여 안내 멘트 및 길안내 등의 음성정보를 출력한다.
또한,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최근요청지점, 주행전방정보, 교통정보음성안내, 고속도로음성안내, 수도권정보 및 교통체증정보를 선택적으로 제공하고,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인터넷 정보센터로부터 정보를 수신하여 차량 위치 주변의 시설물을 검색하며, 기타 생활 정보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콘트롤 유니트(100)의 상기 액정 표시부(120)는 주표시창(121)과 보조표시창(122)으로 구분하여 지도 및 각종 정보를 선택적으로 표시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상기 리모콘 스위치 조작부(200)에 구비된 긴급 버튼(210)을 누를 경우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긴급 구난 서비스를 호출하는 긴급 구난 서비스 이용 단계를 더 구비하였다.
또한, 기존 제어방법에서 턴바이턴 표시만을 휴대폰(800)의 작은 화면에 디스플레이시켜 교차로에서의 유도경로 에 대한 사용자의 인식성이 문제가 되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별도로 구비된 액정 표시부(120)에 지도를 표시함으로써 유도경로에 대한 사용자의 인식성을 월등히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제어방법은 운전 중 기능을 사용키 위해서는 휴대폰(800)의 키 등을 조작하여 사용자의 안전 운전에 방해가 되었으나, 본 발명은 리모콘 스위치 조작부(200)를 운전핸들, 즉 스티어링 휠에 위치시킴으로 운전 중 길안내, 핸즈프리 전화통화 등을 위해 스티어링 휠에서 손을 뗄 일이 없으므로 안전운전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한 것이다.
또한, 리모콘 스위치 조작부(200) 및 패널 스위치 조작부(110)의 버튼 구성은 이전메뉴로 돌아가는 백버튼과, 음성입력을 가능케하는 보이스 버튼과, 확인/통화 버튼 및 4방향 버튼으로 간략하게 구성되어, 최소의 조작 스위치로 모든 기능이 조작 가능하도록 조작성을 최적화시켰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텔레매틱스 제어방법에 의하면, 텔레매틱스 콘트롤 유니트에 자체적인 지도를 보유하고 턴바이턴 표시와 함께 지도상에 이동경로를 표시함으로 인식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키고, 모든 기능을 리모콘 스위치로 조작 가능하게 하여 편리성과 안전성을 극대화하고, 최소의 조작 스위치로 모든 기능이 조작 가능하도록 조작성을 최적화시키며, GPS신호가 수신되지 않더라도 차량내부센서를 이용하여 이동위치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휴대폰을 이용한 차량용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차량용 텔레매틱스 시스템의 배치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차량용 텔레매틱스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텔레매틱스 콘트롤 유니트를 더욱 상세히 나타낸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차량용 텔레매틱스 시스템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콘트롤 유니트의 전면부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차량용 텔레매틱스 제어방법의 제어맵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초기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전화 걸기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길안내 조회/등록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콘트롤 유니트 110 : 패널 스위치 조작부
120 : 액정표시부 121 : 주표시창
122 : 보조표시창 131 : GPS 입력부
132 : 메모리 저장부 133 : 전원 공급부
134 : 음성 출력부 135 : 배터리 충전부
136 : 음성신호 처리부 137 : 자이로 센서
138 : 스피드 센서 139 : 중앙 처리부
200 : 리모콘 스위치 조작부 300 : 도어 스피커
400 : 휴대폰 연결수단 500 : GPS 수신부
600 : 마이크 700 : 오디오
800 : 휴대폰

Claims (3)

  1. 인터넷 정보센터로부터 지도 및 각종 정보를 수신하는 휴대폰(800)을 이용한 차량용 네비게이션 제어방법에 있어서, 서로 연동되어 진행되는 핸즈프리 통화 및 문자 메시지 확인 과정과, 길안내 과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핸즈프리 통화 및 문자 메시지 확인 과정은,
    사용자의 패널 스위치 조작부(110) 또는 리모콘 스위치 조작부(200)의 입력에 의하여 콘트롤 유니트(100)의 메모리 저장부(132)에 저장된 최근번호 또는 저장번호를 검색하고, 휴대폰 연결수단(400)으로 연결된 휴대폰(800)을 통하여 선택된 상대방에게 전화 걸기를 수행하는 전화 걸기 단계;
    상대방으로부터 전화가 걸려왔을 경우 콘트롤 유니트(100)의 액정 표시부(120)에 이 상황을 표시하고, 핸즈프리기능을 이용하여 상대방으로부터 걸려온 전화를 받는 전화 받기 단계;
    상대방으로부터 문자 메시지가 수신되었을 경우 콘트롤 유니트(100)의 액정 표시부(120)에 이 상황을 표시하는 문자 메시지 확인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길안내 과정은,
    GPS 수신부(500)에서 인공위성으로부터 GPS신호를 수신받고 차량의 위치정보를 콘트롤 유니트(100)에 전달하고, 콘트롤 유니트(100)에서 마이크(600), 사용자의 패널 스위치 조작부(110) 또는 리모콘 스위치 조작부(200)를 통한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상기 GPS 수신부(500)로부터 수신받은 차량의 위치정보와, 상기 휴대폰(800)으로부터 수신받은 정보 및 내부에 저장된 지도정보를 참조하여 당해 차량의 이동경로를 판단하여 상기 액정 표시부(120)에 표시하는 길 안내 받기 단계;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최근요청지점, 주행전방정보, 교통정보음성안내, 고속도로음성안내, 수도권정보 및 교통체증정보를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교통정보 서비스 받기 단계;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인터넷 정보센터로부터 정보를 수신하여 차량 위치 주변의 시설물을 검색하며, 기타 생활 정보를 제공하는 주변 시설물 찾기 및 생활 정보 보기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텔레매틱스 제어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 유니트(100)의 상기 액정 표시부(120)는 주표시창(121)과 보조표시창(122)으로 구분하여 지도 및 각종 정보를 선택적으로 표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텔레매틱스 제어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리모콘 스위치 조작부(200)에 구비된 긴급 버튼(210)을 누를 경우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긴급 구난 서비스를 호출하는 긴급 구난 서비스 이용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텔레매틱스 제어방법.
KR10-2003-0060566A 2003-08-30 2003-08-30 차량용 텔레매틱스 제어방법 KR1005190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0566A KR100519045B1 (ko) 2003-08-30 2003-08-30 차량용 텔레매틱스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0566A KR100519045B1 (ko) 2003-08-30 2003-08-30 차량용 텔레매틱스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2825A true KR20050022825A (ko) 2005-03-08
KR100519045B1 KR100519045B1 (ko) 2005-10-05

Family

ID=37230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0566A KR100519045B1 (ko) 2003-08-30 2003-08-30 차량용 텔레매틱스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904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6538B1 (ko) * 2004-06-21 2007-04-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텔레매틱스를 이용한 위치 및 경로 안내방법
KR100748502B1 (ko) * 2005-06-23 2007-08-13 엘지전자 주식회사 텔레매틱스 단말기의 서비스 통합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6538B1 (ko) * 2004-06-21 2007-04-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텔레매틱스를 이용한 위치 및 경로 안내방법
KR100748502B1 (ko) * 2005-06-23 2007-08-13 엘지전자 주식회사 텔레매틱스 단말기의 서비스 통합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19045B1 (ko) 2005-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59463B2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ナビゲーション方法、ナビゲーションプログラム
EP1063494B1 (en) Portable terminal and on-vehicl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KR101135100B1 (ko) 차량 단말기에서의 네비게이션 간편화면 표시 장치 및 방법
US20170353592A1 (en) Information Display Apparatus and Information Display Method
US20070213092A1 (en) Portable GPS navigation device
US20090150061A1 (en) Hud vehicle navigation system
JP2007132870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画面制御方法及び測定間隔制御方法
US9074908B2 (en) Cooperation system between in-vehicle device and mobile terminal, non-transitory tangible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the same, and in-vehicle device for the same
JP6387133B2 (ja) 自動運転車及び自動運転車用プログラム
JP6487516B2 (ja) 自動運転車及び自動運転車用プログラム
JP2000337917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4788561B2 (ja) 情報通信システム
KR100519045B1 (ko) 차량용 텔레매틱스 제어방법
JP3718990B2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
KR100568983B1 (ko) 차량용 텔레매틱스 시스템
JP3550855B2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
KR200428341Y1 (ko) 핸즈프리 기능을 갖는 네비게이션 장치
JP3767671B2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及びナビゲーション方法
JP6745499B2 (ja) 自動運転車及び自動運転車用プログラム
KR100568982B1 (ko) 차량용 텔레매틱스 장치
JP3879699B2 (ja) 情報表示装置の遠隔操作システム
KR101575047B1 (ko) 차량 내비게이션 방법 및 그 장치
KR20040021267A (ko) 휴대폰을 이용한 목적물 접근 알림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2005114521A (ja) 車載音声認識システム
KR0183293B1 (ko) 페이저를 이용한 차량용 네비게이션 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