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22266A - 콘텐츠 데이터 녹화 장치 및 콘텐츠 데이터 녹화 방법 - Google Patents

콘텐츠 데이터 녹화 장치 및 콘텐츠 데이터 녹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22266A
KR20050022266A KR1020040042905A KR20040042905A KR20050022266A KR 20050022266 A KR20050022266 A KR 20050022266A KR 1020040042905 A KR1020040042905 A KR 1020040042905A KR 20040042905 A KR20040042905 A KR 20040042905A KR 20050022266 A KR20050022266 A KR 200500222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area
data
content data
data re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29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11581B1 (ko
Inventor
가이베히로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200500222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22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15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158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2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separate auxiliary tracks of the same or an auxiliary record carrier
    • G11B27/327Table of contents
    • G11B27/329Table of contents on a disc [VTOC]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11B27/034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on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34Indicating arrange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36Monitoring, i.e. supervising the progress of recording or reproduc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7PVR [Personal Video Record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3Content storage operation, e.g. storage operation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caching operations
    • H04N21/4335Housekeeping operations, e.g. prioritizing content for deletion because of storage space restri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8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 H04N5/781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disks or drums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기록 매체에 콘텐츠 데이터를 녹화하는 콘텐츠 데이터 녹화 장치는 콘텐츠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유닛과, 기록 매체의 제1 영역(23)[이 제1 영역(23)은 미리 결정된 용량을 유지함]에 있는 오래된 콘텐츠 데이터와 치환하도록 그 수신된 콘텐츠 데이터를 기록 매체의 제1 영역(23)에 기록하는 기록 유닛과, 소정의 콘텐츠 데이터를 녹화 보존하기 위해서 녹화 보존 지시를 입력하는 입력 유닛과, 녹화 보존 지시에 상응하여, 소정의 콘텐츠 데이터가 제1 영역(23) 안에 있고 제2 영역(22)의 용량이 소정의 콘텐츠 데이터를 녹화 보존하는데 충분한 경우에 소정의 콘텐츠 데이터를 제2 영역(22)에 복사하는 복사 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콘텐츠 데이터 녹화 장치 및 콘텐츠 데이터 녹화 방법{CONTENT DATA RECORDING APPARATUS AND CONTENT DATA RECORDING METHOD}
본 발명은 영화, TV 프로그램, 화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등의 콘텐츠 데이터를 기록 매체에 녹화하는 콘텐츠 데이터 녹화 장치 및 콘텐츠 데이터 녹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인터넷 등에 접속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방송될 프로그램에 관한 프로그램 정보를 취득하는 장치는 알려져 있다. 이 장치에서는 인터넷 등으로부터 방송의 프로그램 정보를 취득하고, 이러한 프로그램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는 상기 장치에 프로그램의 화상 데이터를 녹화하도록 요구할 수 있으며, 이 화상 데이터는 하드디스크에 기록되어 축적된다. 프로그램 정보는 개시 시각, 종료 시각 및 채널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하드디스크 유닛은 미사용 영역과 사용 영역을 관리하는 리스트를 구비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어떤 프로그램의 방송이 이미 개시된 후에 사용자가 그 프로그램의 화상 데이터를 녹화하는 요구를 행한 경우, 이러한 지시된 시점에서부터의 축적 및 보존이 행해진다. 이 경우, 프로그램의 개시 시점으로부터 지시된 시점까지 방송된 내용은 축적될 수 없다.
미국 특허 제6,212,328호는 이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 중 하나를 보여준다. 이 특허에 의하면, 수신된 프로그램의 화상 신호와 음성 신호는 항상 하드디스크에 기록된다. 프로그램 예약 명령이 주어지면 하드디스크 내에 녹화된 영역의 재기록은 금지되고 프로그램은 과거로 거슬러 올라가는 동안 소정의 시간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하드디스크에 예약될 수 있다. 프로그램은 프로그램의 종료 시각까지 하드디스크에 기록된다.
그러나, 전술한 특허에서는 하드디스크 상에서 각종 데이터를 어떻게 관리할 지를 고려하고 있지 않다. 예컨대, 실시간 녹화/보존 처리 시에, 이 특허는 하드디스크 상의 어떠한 영역에 데이터를 기록하는가에 관해서는 언급하고 있지 않다. 또한, 미사용 영역과 사용 영역의 관계도 고려되고 있지 않다.
하드디스크의 기록 용량은 한정되어 있고, 데이터의 복사나 이동은 빈번하게 행해진다. 따라서, 하드디스크 상의 영역이 신뢰성있게 관리되지 않으면, 프로그램의 녹화 중에 에러가 생기거나, 보존해야 할 화상 데이터의 소실 등의 오류가 생길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자기 디스크 상의 영역을 관리하고, 프로그램의 개시 후에 녹화 보존 지시가 있는 경우에도 프로그램의 개시 시점으로부터 지시된 시점까지 방송된 내용의 프로그램을 녹화 보존하는 것이 가능한 콘텐츠 데이터 녹화 장치 및 콘텐츠 데이터 녹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형태에 의하면, 기록 매체에 콘텐츠 데이터를 녹화하는 콘텐츠 데이터 녹화 장치로서, 콘텐츠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상기 기록 매체의 제1 영역(이 제1 영역은 미리 결정된 용량을 유지함)에 있는 오래된 콘텐츠 데이터와 치환하도록 상기 수신된 콘텐츠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의 상기 제1 영역에 기록하는 기록 수단과; 소정의 콘텐츠 데이터를 녹화 보존하기 위해서 녹화 보존 지시를 입력하는 입력 수단과; 상기 녹화 보존 지시에 상응하여, 상기 소정의 콘텐츠 데이터가 상기 제1 영역 안에 있고 제2 영역의 용량이 상기 소정의 콘텐츠 데이터를 녹화 보존하는데 충분한 경우에 상기 소정의 콘텐츠 데이터를 상기 제2 영역에 복사하는 복사 수단을 포함하는 것인 콘텐츠 데이터 녹화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의하면, 기록 매체에 콘텐츠 데이터를 녹화하는 콘텐츠 데이터 녹화 방법으로서, 콘텐츠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단계와; 상기 기록 매체의 제1 영역(이 제1 영역은 미리 결정된 용량을 유지함)에 있는 오래된 콘텐츠 데이터와 치환하도록 상기 수신된 콘텐츠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의 상기 제1 영역에 기록하는 기록 단계와; 소정의 콘텐츠 데이터를 녹화 보존하기 위해서 녹화 보존 지시를 입력하는 입력 단계와; 상기 녹화 보존 지시에 상응하여, 상기 소정의 콘텐츠 데이터가 상기 제1 영역 안에 있고 제2 영역의 용량이 상기 소정의 콘텐츠 데이터를 녹화 보존하는데 충분한 경우에 상기 소정의 콘텐츠 데이터를 상기 제2 영역에 복사하는 복사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콘텐츠 데이터 녹화 방법이 제공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콘텐츠 데이터를 기록 매체에 녹화하는 콘텐츠 데이터 녹화 장치는 수신 유닛과 기록 유닛과 입력 유닛과 복사 유닛을 구비한다. 수신 유닛은 콘텐츠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기록 유닛은 이 수신된 콘텐츠 데이터를 기록 매체의 제1 영역에 기록하고 그 안에 있는 과거의 콘텐츠 데이터와 대체되도록 구성된다. 이 제1 영역은 소정의 용량을 구비하고 있다. 입력 유닛은 소정의 콘텐츠 데이터를 녹화 보존하기 위해서 녹화 보존 지시를 입력하도록 구성된다. 복사 유닛은, 소정의 콘텐츠 데이터가 제1 영역 내에 있고 제2 영역의 용량이 그 소정의 콘텐츠 데이터를 녹화 보존하는데 충분하면 그 소정의 콘텐츠 데이터를 그 제2 영역에 복사하도록 구성된다. 콘텐츠 데이터는 화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TV 프로그램, 영화 등을 포함한다. 콘텐츠 데이터 녹화 장치는 HDD 레코더, 개인용 컴퓨터, 텔레비전 등으로서 구성되어도 좋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도 1은 TV국 등에서 방송되는 프로그램 등의 화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를 예비적으로 녹화할 수 있는 하드디스크 레코더로서 기능하는 콘텐츠 녹화 장치(1)[이하, "장치(1)"이라고 약칭함]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장치(1)는 사용자 지시 입력부[이하, "UIIP"(User Instruction Input Portion)라고 약칭함](11), 튜너(12), 엔코더(13), 채널 정보 관리부[이하, "CIMP"(Channel Information Management Portion)라고 약칭함](14), 하드디스크 관리부[이하, "HDMP"(Hard Disk Management Portion)라고 약칭함](15), 기록 매체로서 자기 디스크를 포함하는 하드디스크(16), 프로그램 정보 취득부[이하, "PIAP"(Program Information Acquisition Portion)라고 약칭함](17) 및 시계(18)를 포함하고 있다.
UIIP(11)는 스위치, 키 및/또는 무선 수신기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리모트 콘트롤러로부터 전송되는 무선 신호(예컨대, 적외선 "IR" 신호, 라디오 주파수 "RF" 신호 등)를 수신하고, 사용자 지시의 입력용으로 사용된다. 사용자는 UIIP(11)를 이용하여 채널 스위칭 지시, 화상/음성 데이터의 녹화 보존 지시 등의 지시를 입력한다. 채널 스위칭 지시는 튜너(12)에 전송되고, 녹화 보존 지시는 CIMP(14)에 전송된다. UIIP(11)는 채널 스위칭 지시를 CIMP(14)에 전송할 수 있다.
튜너(12)는 UIIP(11)로부터의 채널 스위칭 지시를 수신하고, 채널 스위칭 지시에 따라서 채널을 스위칭한다. 튜너(12)는 지시된 채널의 방송을 수신하고, 이 수신된 방송으로부터 화상 신호와 음성 신호를 추출하며, 엔코더(13)에 화상 신호와 음성 신호를 전송한다.
엔코더(13)는 튜너(12)로부터 제공된 화상 신호와 음성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화상 신호와 상기 음성 신호를 엔코딩(부호화)하여 화상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를 각각 생성한다. 엔코딩 후에, 엔코더(13)는 당해 화상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를 CIMP(14)와 HDMP(15)에 전송한다.
CIMP(14)와 HDMP(15)는 프로세서(예컨대, 메인 CPU)와, 이 프로세서에 의해서 실행되고 사용되는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기억하는 ROM과, 이 프로세서에 의해서 작업 공간(워크스페이스)으로서 사용되는 RAM에 의해서 수행되는 기능들이다. 프로세서는 RAM과, ROM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후술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따라서, 프로세서, ROM 및 RAM은 장치(1)의 제어 유닛으로서 기능한다. 또한, 프로세서는 장치의 메인 CPU를 구성할 수도 있고, 주문형 집적 회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마이크로콘트롤러, 또는 데이터 처리 능력을 갖는 다른 집적 회로를 구성할 수도 있다.
CIMP(14)는 엔코더(13)로부터의 화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인 몇 개의 데이터 및 정보를 수신하고, 시계(18)로부터 시각 정보를 수신하며, 튜너(12)로부터 채널 정보를 수신한다. CIMP(14)는 이들 수신된 데이터 및 정보를 기초로 하여 단위 시간마다의 기록 데이터를 생성하고, 당해 기록 데이터와 기록 지시를 HDMP(15)에 전송하여 기록 데이터를 하드디스크에 기록한다.
한편, CIMP(14)가 UIIP(11)로부터 녹화 보존 지시를 수신하면 CIMP(14)는 궤적 추적 가능한 기록의 동작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서, CIMP(14)는 시계(18)로부터 시각 정보를 수집하고, 튜너(12)로부터 채널 정보를 수집하며, PIAP(17)로부터 프로그램 정보를 수집하고, 이 시각 정보와 채널 정보를 기초로 하여 프로그램 정보를 검색한다. 검색 결과로서, CIMP(14)는 녹화 보존 지시에 상응하게 녹화 보존될 프로그램의 개시 시각 데이터와 종료 시각 데이터를 수신한다. 수신 후, CIMP(14)는 채널 정보와 개시 시각 데이터와 종료 시각 데이터를 포함하는 녹화 보존 지시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 녹화 보존 지시 데이터를 HDMP(15)에 제공한다.
HDMP(15)는 CIMP(14)로부터 수신한 기록 데이터를 데이터가 하드디스크(16)에 기억되는 형식으로 변환하고, 이 데이터를 데이터 기록 단위마다 자기 디스크에 그 형식으로 기록한다.
한편, HDMP(15)가 녹화 보존 지시 데이터를 CIMP(14)로부터 수신하면, HDMP(15)는 녹화 보존 지시 데이터에 포함되는 채널 정보 데이터와 개시 시각 데이터와 종료 시각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하드디스크 드라이브(16)에 기억된 개개의 하드디스크 데이터 기록 단위를 검색한다. 이어서, HDMP(15)는 하드디스크 데이터 기록 단위를 하드디스크 드라이브(16)의 자기 디스크에 있는 소정의 영역에 기록 보존한다.
HDMP(15)로부터 제공된 데이터는 HDMP(15)에 의해서 각 하드디스크 데이터 기록 단위로 기록되거나 삭제되거나 녹화 보존된다.
본 발명의 본 실시예의 경우, 하드디스크 드라이브(16)는 자기 디스크와, 자기 헤드와, 로터리식 액튜에이터와, 자기 디스크의 반경 방향으로 회전하는 보이스 코일 모터와, 자기 디스크를 고속으로 회전시키는 스핀들 모터와, 보이스 코일 모터를 구동시키는 코일 모터 구동 회로와, 스핀들 모터를 구동하는 스핀들 모터 구동 회로와, 하드디스크에 대해서 데이터를 기록하고 재생하는 데이터 기록/재생 회로와, 라이트 데이터(write data)를 데이터 기록/재생 회로에 제공하는 디스크 콘트롤러를 포함한다. 하드디스크 드라이브(16)는 또한, 상기 코일 모터 구동 회로와 상기 스핀들 모터 구동 회로와 상기 디스크 콘트롤러를 제어하는 제어 프로세서와, 이 제어 프로세서에 의해서 실행되고 사용되는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기억하는 ROM도 포함한다.
PIAP(17)는 무선 및/또는 유선 통신을 내부에 포함하고, 인터넷 등으로부터, EPG(Electronic Program Guide)에 상당하는 프로그램 데이터를 취득한다.
시계(18)는 시각 정보를 CIMP(14)에 제공한다.
이제, 장치(1)에 사용되는 각종 "정보", "데이터", "신호"에 관하여 설명한다.
화상 신호는 튜너(12)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로서, 수신된 화상이 시각 순서로 배열되어 있는 형식을 갖는다.
음성 신호는 튜너(12)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로서, 수신된 음성이 시각 순서로 배열되어 있는 형식을 갖는다.
화상 데이터는 엔코더(13)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이다. 엔코더(13)는 디지털 처리 등에 의해서 화상 신호를 압축함으로써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 화상 데이터는 일정 시간 간격마다 분리 가능한 형식을 갖는다.
음성 데이터는 엔코더(13)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이다. 엔코더(13)는 화상 데이터의 생성과 마찬가지로, 디지털 처리 등에 의해서 음성 신호를 압축함으로써 음성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 음성 데이터는 일정 시간 간격마다 분리 가능한 형식을 갖는다.
채널 정보는 튜너에 의해서 선택된 채널 번호를 나타내는 데이터이다.
채널 스위칭 지시는 변경해야 할 채널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에 상당한다.
PIAP(17)로부터 출력된 프로그램 정보는 하나 이상의 정보 그룹을 포함한다. 각 그룹은 채널과 프로그램 개시 시각과 프로그램 종료 시각을 포함한다.
시각 정보는 시계(18)가 나타내는 시각의 정보에 상당한다.
기록 데이터는 단위 시간 내의 화상 데이터와, 단위 시간 내의 음성 데이터와, 시각 정보와, 채널 정보와, 단위 시간 데이터를 포함한다. 상기 단위 시간 데이터는 전회의 기록 데이터 생성 시각과 금회의 기록 데이터 생성 시각의 양쪽 시각 데이터의 차를 나타내는 데이터이다. 상기 시각 데이터는 상기 단위 시간 내의 화상 데이터와 상기 단위 시간 내의 음성 데이터가 개시되는 시각에 해당하지만, 기록 데이터 내의 화상 데이터나 음성 데이터가 실제로 작성된 시각과 상관이 있는 한, 상기 시각 데이터는 다른 형태로 변경되지 않아도 좋다.
보존 지시 데이터는 채널 정보와 개시 시각 데이터와 종료 시각 데이터를 포함한다.
하드디스크 데이터 기록 단위(이하, "기록 단위"라고 약칭함)는 기록 데이터가 하드디스크 드라이브(16)의 자기 디스크에 기록될 때의 최소 단위로서, 기록 데이터의 하우징 혹은 리시버에 상당한다. 즉, 기록 데이터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16)의 자기 디스크에 기록되는데 적절한 사이즈로 분할 혹은 통합된다.
도 2는 HDMP(15)측에서 본 하드디스크 드라이브(16)의 자기 디스크 상의 영역들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HDMP(15)는 하드디스크(16) 상의 영역들을 콘텐츠 녹화 보존 영역(21)과 미사용 영역(22)과 콘텐츠 녹화 영역(23)으로 나누도록 정의하고, 각 영역을 리스트 형식으로 관리한다. HDMP(15)에 의한 이들 영역의 관리에 관련된 동작들은 ROM 안에 기억되어 있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내장된 프로세서에 의해서 실행된다.
콘텐츠(내용물 또는 내용이라고도 함) 녹화 보존 영역(21)은 0 개 이상의 기록 단위를 기억하고, HDMP(15)는 콘텐츠 녹화 보존 영역(21)에 기억되어 있는 기록 단위의 리스트 또는 집합으로서 관리한다. 콘텐츠 녹화 보존 영역(21)에 기억되어 있는 기록 단위는 화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 등의 프로그램 정보를 기록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기록된 프로그램 정보를 재생하는 경우에는 HDMP(15)는 콘텐츠 녹화 보존 영역(21)으로부터 복수 개의 기록 단위를 추출하고, 이들을 재생 장치(도시하지 않음)에 보낸다. 재생 장치는 그 안에 포함되어 있는 음성 데이터 및/또는 화상 데이터를 재생한다. 또한, 콘텐츠 녹화 보존 영역(21)은 보존된 프로그램들간의 용이한 식별을 보증하기 위해서 프로그램마다 리스트를 구성하여도 좋다. 이것은 일반적인 파일 시스템 상의 파일이나 디렉토리의 구조와 마찬가지이다.
미사용 영역(22)은 0 개 이상의 기록 단위를 기억하고, HDMP(15)는 이것을 미사용 영역(22)에 기억된 기록 단위들의 리스트 또는 집합으로서 관리한다. 미사용 영역(22)에 기억되어 있는 기록 단위에는 특히 정보가 기억되어 있을 필요는 없다. 즉, 하드디스크 드라이브(16)가 초기화된 상태의 경우도 수용할 수 있다. 일반적인 파일 시스템에서도 빈 공간 관리 리스트 등으로 유사한 기능이 실현되고 있다.
콘텐츠 녹화 영역(23)은 0 개 이상의 기록 단위를 기억하고, HDMP(15)는 그것을 콘텐츠 녹화 영역(23)에 기억된 기록 단위들의 리스트 또는 집합으로서 관리한다. 콘텐츠 녹화 영역(23)은 미리 결정된 용량을 유지하고, 0 개 이상의 기록 단위를 포함하는 순환 리스트 구조를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기록 단위의 개수가 미리 결정된 수를 초과하는 경우에, HDMP(15)는 새로운 기록 단위가 기억되는 시점에서 가장 오래된 기록 단위를 자동적으로 삭제한다. 순환 리스트 구조에는 리스트의 최후미를 나타내는 최종 인덱스가 존재한다. 이 순환 리스트 구조는 전술한 자동 삭제를 수행하는데 효율적인 것이다. 이 구성을 테이블 등에서 실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하드디스크 드라이브(16) 내의 데이터 구조로서는 시각 데이터와 채널 정보를 기초로 하여 인덱스가 붙여진 기록 단위로의 참조 구조가 있다. 따라서, 이 구조에 의해서 HDMP(15)는 기록 단위의 검색이나 삭제를 용이하게 하게 된다.
이제, HDMP(15)의 각종 기능에 관하여 설명한다.
장치(1)는 녹화 보존 지시가 없는 콘텐츠 녹화 중에 있어서는 화상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를 콘텐츠 녹화 영역(23)에 기록한다. 이것이 예비 녹화(preparatory recording)로서, 사용자가 TV 프로그램이 반 정도 지나거나 그 TV 프로그램이 종료된 후에 녹화 보존 지시를 입력하더라도 그 TV 프로그램을 시작부터 끝까지 추적하고 복구하기 위한 것이다. 사용자는 모든 채널에 대한 예비 녹화가 항상 수행되도록 장치(1)를 설정할 수도 있고, 특정 채널 또는 TV 프로그램만의 예비 녹화가 수행되도록 장치(1)를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16)의 용량에 따라서 그리고 예비 녹화가 수행되는 빈도에 따라서 추적 가능한 시간을 사용자가 원하는 길이, 예컨대 1시간, 3시간, 6시간, 12시간 또는 24시간으로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비 녹화 중에 있어서 사용자가 UIIP(11)를 통해 소정의 TV 프로그램의 녹화 보존 지시를 입력하는 경우에, HDMP(15)는 콘텐츠 녹화 영역(23)에 기억된 TV 프로그램 데이터를 복사하는데 충분한 빈 용량이 미사용 영역(22)에 있는 것을 확인한다. 미사용 영역(22)의 용량이 충분하면, HDMP(15)는 TV 프로그램 데이터를 콘텐츠 녹화 영역(23)에서부터 미사용 영역(22)의 미리 결정된 영역으로 복사하여 기억시킨다. 이어서, HDMP(15)는 그 미리 결정된 영역을 미사용 영역(22)으로부터 콘텐츠 녹화 보존 영역(21)으로 스위칭하여 관리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HDMP(15)는 콘텐츠 녹화 보존 영역(21)과 미사용 영역(22)과 콘텐츠 녹화 영역(23)을, 데이터를 기억하는 최소 단위에 상당하는 기록 단위를 1 개 또는 복수 개 포함하는 리스트로서 관리한다.
HDMP(15)는 미사용 영역(22)과 콘텐츠 녹화 보존 영역(21) 간에 기록 단위를 이동시킬 수 있다. 예컨대, 녹화 보존 지시에 따라서 소정의 데이터가 녹화 보존되어 있는 경우에, HDMP(15)는 그 소정의 데이터를 기억하고 있는 기록 단위를 미사용 영역(22)으로부터 콘텐츠 녹화 보존 영역(21)으로 이동시킨다.
또한, 녹화 보존 지시가 입력된 경우에는 HDMP(15)는 콘텐츠 녹화 영역(23) 중에서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는 1 개 또는 복수 개의 기록 단위를 검색한다. HDMP(15)가 그 소정의 데이터를 찾아 그 검색이 성공적으로 행해지면, HDMP(15)는 미사용 영역(22)으로부터 필요한 수의 하드디스크 데이터 기록 단위를 추출할 수 있는 지를 확인한다. 미사용 영역(22)으로부터 필요한 수의 기록 단위를 성공적으로 추출하면, HDMP(15)는 콘텐츠 녹화 영역(23)으로부터 검색한 기록 단위가 갖는 상기 소정의 데이터를 복사하고, 이 기록 단위를 콘텐츠 녹화 보존 영역(21)에 추가한다.
이제, 도 3을 참조하여 콘텐츠 예비 녹화 중의 예시적인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튜너(12)는 채널에 따른 방송 신호로부터 음성 신호와 화상 신호를 추출하고 이 음성 신호와 화상 신호를 엔코더(13)로 송신한다(단계 A1).
음성 신호와 화상 신호를 수신한 엔코더(13)는 음성 데이터와 화상 데이터를 송신한다(단계 A2).
CIMP(14)는 엔코더(13)로부터 음성 데이터와 화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시계(18)로부터 시각 정보를 수신하며, 튜너(12)로부터 채널 정보를 수신하고, 이들로부터 기록 데이터를 생성한다(단계 A3).
CIMP(14)는 기록 데이터를 HDMP(15)에 송신한다(단계 A4).
HDMP(15)는 수신한 기록 데이터를 하드디스크 데이터 기록 형식으로 변환한다(단계 A5).
HDMP(15)는 자기 디스크의 콘텐츠 녹화 영역의 최종 인덱스가 나타내는 기록 단위를 검색한다(단계 A6). HDMP(15)는 검색된 기록 단위의 내용을, 전술한 바와 같이 형식이 변환된 기록 데이터로 치환한다(단계 A7).
HDMP(15)는 콘텐츠 녹화 영역(23)의 최종 인덱스가 다음 기록 단위를 나타내도록 갱신한다(단계 A8).
이제, 도 4를 참조하여 채널 스위칭 지시 발생 시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의하면, 사용자는 채널을 스위칭하도록 UIIP(11)를 조작한다(단계 B1). 사용자의 조작을 수신한 UIIP(11)는 스위칭 대상이 되는 채널을 식별하기 위한 채널 정보를 포함한 채널 스위칭 지시를 튜너(12)에 보낸다(단계 B2).
채널 스위칭 지시를 수신한 튜너(12)는 채널 스위칭 지시에 포함되는 채널 정보에 따라서 튜너(12)의 채널을 스위칭한다(단계 B3).
전술한 콘텐츠 녹화 중의 동작에 관한 단계 A1 내지 A8에서 개시한 것과 마찬가지의 하위 동작이 실행된다(단계 B4)
이제,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여 녹화 보존 지시 발생 시의 예시적인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사용자는 소정의 TV 프로그램을 녹화 보존하기 위해서 UIIP(11)를 조작한다(단계 C1). UIIP(11)는 상기 소정의 TV 프로그램을 녹화 보존하기 위한 녹화 보존 지시를 CIMP(14)에 보낸다(단계 C2).
CIMP(14)가 녹화 보존 지시를 수신하면 CIMP(14)는 그 녹화 보존 지시에 관련된 정보, 예컨대, 시각 정보와 채널 정보와 프로그램 데이터를 수집하기 시작한다. CIMP(14)는 시계로부터 시각 정보를 수신한다(단계 C3). CIMP(14)는 튜너(12)로부터 채널 정보를 수신한다(단계 C4). 또한, CIMP(14)는 PIAP(17)로부터 프로그램 데이터를 수신한다(단계 C5). 이어서, CIMP(14)는 시각 정보와 채널 정보에 적합한 TV 프로그램의 정보를 프로그램 데이터로부터 검색하고, TV 프로그램의 개시 시각과 종료 시각을 얻는다(단계 C6). CIMP(14)는 채널 정보와 프로그램의 개시 시각과 종료 시각을 포함하는 녹화 보존 지시 데이터를 생성한다(단계 C7). CIMP(14)는 녹화 보존 지시 데이터를 HDMP(15)에 제공한다(단계 C8).
HDMP(15)는 프로그램의 개시 시각과 종료 시각 사이의 시간 정보를 유지하고, 또 지시된 채널 정보와 동일한 채널 정보를 갖는 기록 단위를 콘텐츠 녹화 영역(23)으로부터 검색한다(단계 C9).
여기서, 검색된 개수가 0 개 인지 여부가 판별된다(단계 C10).
검색된 것이 0 개인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기록 데이터가 없다는 것을 통지하는 것 이외에 특히 취하는 작용은 없다. 한편, 검색된 것이 0 개가 아니면, HDMP(15)는 콘텐츠 녹화 영역(23)으로부터 검색한 것의 각각에 관해서 미사용 영역(22)으로부터 기록 단위를 추출한다(단계 C11).
여기서, 필요한 수의 기록 단위를 추출할 수 있는 지의 여부, 다시말하면, 미사용 영역(22)의 빈 공간이 상기 검색된 것을 기억하는데 충분한 지의 여부가 판별된다(단계 C12).
필요한 수의 기록 단위가 추출될 수 없는 경우에는 HDMP(15)는 빈 공간 에러 등을 사용자에게 통지한다(단계 C13). 한편, 필요한 수의 기록 단위가 추출될 수 있는 경우에는 HDMP(15)는 콘텐츠 녹화 영역(23)으로부터 검색한 개개의 기록 단위가 갖는 기록 데이터를 미사용 영역(22)에서 추출한 개개의 기록 단위에 복사하고, 이들 개개의 기록 단위를 사용 영역 리스트(21)에 추가한다(단계 C14).
이와 같이 하여, 본 실시예에 의하면, 녹화 보존 지시가 입력된 경우에는 콘텐츠 녹화 보존 영역과 미사용 영역과 콘텐츠 녹화 영역의 각각에 대해서 미리 결정된 처리가 행해진다. 따라서, 자기 디스크 상의 영역이 신뢰성 있게 관리될 수 있고, 프로그램의 개시 후에 녹화 보존 지시가 입력된 경우에도 콘텐츠 방송의 TV 프로그램은 소정의 콘텐츠가 콘텐츠 녹화 영역에 기록되어 있는 한, 프로그램의 개시 시점으로부터 지시된 시점까지 녹화 보존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는 콘텐츠 녹화 장치에 1 개의 튜너와 1 개의 엔코더가 설치된 경우에 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복수 개의 튜너와 엔코더가 사용될 수도 있고, 수에 제한 없이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채널이 서로 다른 복수 개의 프로그램들이 각각의 TV 프로그램의 시작시부터 축적된다. 프로그램의 개시 시각 이후에 사용자로부터의 녹화 보존 지시가 입력된 경우에도 그 TV 프로그램을 시작시부터 녹화 보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화상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의 양쪽을 취급하는 경우에 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음성 데이터만을 취급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이 경우, 라디오 방송에의 적용이 가능해진다. 한편, 영상 데이터만을 취급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음성 데이터가 제거된 경우에는 음성 데이터를 기억하지 않음으로써 기억 용량은 감소되고, 따라서 하드디스크 내에 기억할 수 있는 시간이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방송 프로그램의 콘텐츠를 녹화하기 위한 장치에 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동화상의 축적에 응용하여 보안 목적에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광역의 방송 프로그램을 튜너로 수신하지 않고, 감시 카메라 등의 기기로부터 지역 한정의 방송을 행하여 이 방송을 콘텐츠 녹화 장치로 수신함으로써 화상 데이터를 녹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프로그램 정보를 이 지역 한정의 방송에 맞춤으로써 사용자의 지시를 기초로 하여 시각을 거슬러 올라간 기억(보존)을 보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보안의 용도로 사용되는 경우에, 어떤 일이 벌어진 시점에 그것을 소급하여 거슬로 올라가는 콘텐츠 녹화가 수행될 수 있다.
당업자에게는 추가의 이점 및 변형이 용이하게 행해질 것이다. 그러므로, 더욱 넓은 형태에서의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서 도시하고 설명한 특정의 세부 내용 및 대표적인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특허청구범위와 그의 등가물로 정의되는 바와 같은 일반적인 진보적 개념의 정신과 범위를 일탈하지 않고서도 다양한 변형이 만들어 질 수 있다.
기록 매체 상의 영역의 관리를 확실하게 할 수 있고, 프로그램의 개시 후에 녹화 지시가 있는 경우에도 프로그램의 개시 시점으로부터 지시된 시점까지 방송된 내용의 녹화를 안전하게 보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녹화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예시적인 블록도.
도 2는 실시예에 따라서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자기 디스크 상의 영역의 구성을 도시하는 예시적인 블록도.
도 3은 실시예에 따라서 콘텐츠 예비 녹화 중의 동작을 나타내는 예시적인 흐름도.
도 4는 실시예에 따라서 채널 스위칭 지시에 수반되는 동작을 나타내는 예시적인 흐름도.
도 5a 및 도 5b는 실시예에 따라서 녹화 보존 지시에 수반되는 동작을 나타내는 예시적인 흐름도.
<도면에 사용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 녹화 장치
11: 사용자 지시 입력부
12: 튜너
13: 엔코더
14: 채널 정보 관리부
15: 하드디스크 관리부
16: 하드디스크
17: 프로그램 정보 취득부
18: 시계
21: 사용 영역(콘텐츠 녹화 보존 영역)
22: 미사용 영역
23: 콘텐츠 녹화 영역

Claims (20)

  1. 기록 매체에 콘텐츠 데이터를 녹화하는 콘텐츠 데이터 녹화 장치로서,
    콘텐츠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상기 기록 매체의 제1 영역(이 제1 영역은 미리 결정된 용량을 유지함)에 있는 오래된 콘텐츠 데이터와 치환하도록 상기 수신된 콘텐츠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의 상기 제1 영역에 기록하는 기록 수단과,
    소정의 콘텐츠 데이터를 녹화 보존하기 위해서 녹화 보존 지시를 입력하는 입력 수단과,
    상기 녹화 보존 지시에 상응하여, 상기 소정의 콘텐츠 데이터가 상기 제1 영역 안에 있고 제2 영역의 용량이 상기 소정의 콘텐츠 데이터를 녹화 보존하는데 충분한 경우에 상기 소정의 콘텐츠 데이터를 상기 제2 영역에 복사하는 복사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인 콘텐츠 데이터 녹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복사 동작에 수반하여, 상기 복사된 콘텐츠 데이터가 콘텐츠 데이터를 녹화 보존하는데 사용되는 제3 영역 안에 있다는 것을 정의하는 정의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인 콘텐츠 데이터 녹화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에 기억된 데이터를 1 개 이상의 데이터 기록 단위를 포함하는 제1 집합으로서 관리하고, 상기 제2 영역에 기억된 데이터를 1 개 이상의 데이터 기록 단위를 포함하는 제2 집합으로서 관리하며, 상기 제3 영역에 기억된 데이터를 1 개 이상의 데이터 기록 단위를 포함하는 제3 집합으로서 관리하는 관리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인 콘텐츠 데이터 녹화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데이터 기록 단위는 데이터를 기록하는 최소 단위에 상당하는 것인 콘텐츠 데이터 녹화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각 데이터 기록 단위는 상기 제2 영역과 상기 제3 영역간에 이동될 수 있는 것인 콘텐츠 데이터 녹화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녹화 보존 지시에 따라서 콘텐츠 데이터가 기록된 경우에, 상기 소정의 콘텐츠 데이터를 기억하고 있는 데이터 기록 단위는 상기 제2 영역에서부터 상기 제3 영역으로 이동되는 것인 콘텐츠 데이터 녹화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사 수단은 상기 녹화 보존 지시에 상응하여, 상기 소정의 콘텐츠 데이터가 기억된 데이터 기록 단위가 있는 지의 여부를 상기 제1 영역에서 검색하는 검색 수단을 포함하는 것인 콘텐츠 데이터 녹화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사 수단은 상기 검색 수단이 검색된 데이터 기록을 찾은 경우에, 상기 제2 영역의 용량이 충분한 지를 검사하기 위해서 필요한 수의 데이터 기록 단위가 상기 제2 영역으로부터 추출될 수 있는 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확인 수단을 포함하는 것인 콘텐츠 데이터 녹화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필요한 수의 데이터 기록 단위가 상기 제2 영역으로부터 추출될 수 있는 경우에, 상기 복사 수단은 상기 제1 영역의 데이터 기록 단위가 갖는 소정의 콘텐츠 데이터를 상기 제2 영역으로부터 추출한 데이터 기록 단위에 복사하고, 상기 데이터 기록 단위를 상기 제3 영역의 리스트에 추가하는 것인 콘텐츠 데이터 녹화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데이터는 TV 프로그램인 것인 콘텐츠 데이터 녹화 장치.
  11. 기록 매체에 콘텐츠 데이터를 녹화하는 콘텐츠 데이터 녹화 방법으로서,
    콘텐츠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단계와,
    상기 기록 매체의 제1 영역(이 제1 영역은 미리 결정된 용량을 유지함)에 있는 오래된 콘텐츠 데이터와 치환하도록 상기 수신된 콘텐츠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의 상기 제1 영역에 기록하는 기록 단계와,
    소정의 콘텐츠 데이터를 녹화 보존하기 위해서 녹화 보존 지시를 입력하는 입력 단계와,
    상기 녹화 보존 지시에 상응하여, 상기 소정의 콘텐츠 데이터가 상기 제1 영역 안에 있고 제2 영역의 용량이 상기 소정의 콘텐츠 데이터를 녹화 보존하는데 충분한 경우에 상기 소정의 콘텐츠 데이터를 상기 제2 영역에 복사하는 복사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콘텐츠 데이터 녹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복사 동작에 수반하여, 상기 복사된 콘텐츠 데이터가 콘텐츠 데이터를 녹화 보존하는데 사용되는 제3 영역 안에 있다는 것을 정의하는 정의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콘텐츠 데이터 녹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에 기억된 데이터를 1 개 이상의 데이터 기록 단위를 포함하는 제1 집합으로서 관리하고, 상기 제2 영역에 기억된 데이터를 1 개 이상의 데이터 기록 단위를 포함하는 제2 집합으로서 관리하며, 상기 제3 영역에 기억된 데이터를 1 개 이상의 데이터 기록 단위를 포함하는 제3 집합으로서 관리하는 관리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콘텐츠 데이터 녹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데이터 기록 단위는 데이터를 기록하는 최소 단위에 상당하는 것인 콘텐츠 데이터 녹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각 데이터 기록 단위는 상기 제2 영역과 상기 제3 영역간에 이동될 수 있는 것인 콘텐츠 데이터 녹화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녹화 보존 지시에 따라서 콘텐츠 데이터가 기록된 경우에, 상기 소정의 콘텐츠 데이터를 기억하고 있는 데이터 기록 단위는 상기 제2 영역에서부터 상기 제3 영역으로 이동되는 것인 콘텐츠 데이터 녹화 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데이터 녹화 방법은 상기 녹화 보존 지시에 상응하여, 상기 소정의 콘텐츠 데이터가 기억된 데이터 기록 단위가 있는 지의 여부를 상기 제1 영역에서 검색하는 검색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콘텐츠 데이터 녹화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데이터 녹화 방법은 검색된 데이터 기록이 발견된 경우에, 상기 제2 영역의 용량이 충분한 지를 검사하기 위해서 필요한 수의 데이터 기록 단위가 상기 제2 영역으로부터 추출될 수 있는 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확인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콘텐츠 데이터 녹화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필요한 수의 데이터 기록 단위가 상기 제2 영역으로부터 추출될 수 있는 경우에, 상기 제1 영역의 데이터 기록 단위가 갖는 소정의 콘텐츠 데이터는 상기 제2 영역으로부터 추출한 데이터 기록 단위에 복사되고, 상기 데이터 기록 단위는 상기 제3 영역의 리스트에 추가되는 것인 콘텐츠 데이터 녹화 방법.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데이터는 TV 프로그램인 것인 콘텐츠 데이터 녹화 방법.
KR1020040042905A 2003-08-29 2004-06-11 콘텐츠 데이터 녹화 장치 및 콘텐츠 데이터 녹화 방법 KR1006115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307641A JP2005079891A (ja) 2003-08-29 2003-08-29 録画装置および録画方法
JPJP-P-2003-00307641 2003-08-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2266A true KR20050022266A (ko) 2005-03-07
KR100611581B1 KR100611581B1 (ko) 2006-08-11

Family

ID=341012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2905A KR100611581B1 (ko) 2003-08-29 2004-06-11 콘텐츠 데이터 녹화 장치 및 콘텐츠 데이터 녹화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50047749A1 (ko)
EP (1) EP1511307A1 (ko)
JP (1) JP2005079891A (ko)
KR (1) KR100611581B1 (ko)
CN (1) CN1591636A (ko)
TW (1) TWI23977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446617C (en) * 2001-05-11 2010-03-23 Scientific-Atlanta, Inc. Channel buffering and display management system for multi-tuner set-top box
US8565578B2 (en) * 2001-12-06 2013-10-22 Harold J. Plourde, Jr. Dividing and managing time-shift buffering into program specific segments based on defined durations
US7962011B2 (en) * 2001-12-06 2011-06-14 Plourde Jr Harold J Controlling substantially constant buffer capacity for personal video recording with consistent user interface of available disk space
US7257308B2 (en) 2001-12-06 2007-08-14 Scientific-Atlanta, Inc. Converting time-shift buffering for personal video recording into permanent recordings
US8181205B2 (en) 2002-09-24 2012-05-15 Russ Samuel H PVR channel and PVR IPG information
JP4481889B2 (ja) 2005-06-28 2010-06-16 キヤノン株式会社 データ記録装置及びその方法、プログラム、記録媒体
CN101427565B (zh) * 2006-04-20 2011-08-03 三星电子株式会社 控制运动图像的分散记录和播放的设备和方法
US20120311279A1 (en) * 2011-06-02 2012-12-06 Toshiba America Information Systems, Inc. Data recovery and backup system and proces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43534B2 (ja) * 1997-04-28 2006-11-08 ソニー株式会社 記録装置及び方法
US6678463B1 (en) * 2000-08-02 2004-01-13 Opentv System and method for incorporating previously broadcast content into program recording
US7239796B2 (en) * 2000-09-27 2007-07-03 Victor Company Of Japan, Ltd. Information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US7260312B2 (en) * 2001-03-05 2007-08-21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toring cont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50047749A1 (en) 2005-03-03
KR100611581B1 (ko) 2006-08-11
TWI239770B (en) 2005-09-11
TW200511850A (en) 2005-03-16
CN1591636A (zh) 2005-03-09
EP1511307A1 (en) 2005-03-02
JP2005079891A (ja) 2005-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33576B2 (en) Video data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and video data management method for use in the same
JP4396878B2 (ja) コンテンツを格納するための方法
US693119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ownloading desired data signal to user-selectable storage unit
EP1193712B1 (en) Information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US5841740A (e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information data using recording region data for reproduction with audio and video data
JP2004062916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KR100611581B1 (ko) 콘텐츠 데이터 녹화 장치 및 콘텐츠 데이터 녹화 방법
US20070300262A1 (en) Method of managing storage of broadcast program and television receiver using the same
WO2008057901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multimedia content recording assets
US20050232610A1 (en) User automated content deletion
EP2036093A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media data
JP7028687B2 (ja) 放送システム
KR100499587B1 (ko) 영상 또는 오디오 데이터 재생장치에서의 북마크 정보관리방법
US8306394B2 (en) Audiovisual information data processing apparatus
JP4155878B2 (ja) 情報記録再生装置
JP2004021786A (ja) 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JPH10285536A (ja) 映像信号処理装置
JP4001055B2 (ja) ディスク記録装置
JP4609251B2 (ja) 素材管理システム及び素材管理方法
KR100508310B1 (ko) 디지털 비디오 녹화 및 재생 장치
JP3835621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JP2003264765A (ja) 録画装置
JP2008301102A (ja) 録画装置及び情報処理装置
JP2004062388A (ja) 情報機器
JP2006134481A (ja) ディスク記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