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21460A - 고체 애주번트 - Google Patents

고체 애주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21460A
KR20050021460A KR10-2005-7000559A KR20057000559A KR20050021460A KR 20050021460 A KR20050021460 A KR 20050021460A KR 20057000559 A KR20057000559 A KR 20057000559A KR 20050021460 A KR20050021460 A KR 200500214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hyl
alkyl
formula
radical
agrochemical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05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슈나벨게르하르트
마이어토마스
쑤아우드캐롤린
크라우제한스-페터
비케르스우도
Original Assignee
바이엘 크롭사이언스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이엘 크롭사이언스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바이엘 크롭사이언스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500214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1460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08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ontaining solids as carriers or diluents
    • A01N25/10Macromolecular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08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ontaining solids as carriers or dilu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3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haracterised by the surfacta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Emulsifying, Dispersing, Foam-Producing Or Wetting Agents (AREA)
  • Pigments, Carbon Blacks, Or Wood Stai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 하나 이상의 하기 화학식 I의 계면활성제 및 b) 하나 이상의 충전제를 함유하는 고체 애주번트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I
Ar-O-(CHR1-CHR2-O-)yR3
상기 식에서,
Ar은 2개 이상의 (C1-C30)알킬 라디칼에 의해 치환된 아릴이고,
R1은 H 또는 (C1-C6)알킬이고,
R2는 H 또는 (C1-C6)알킬이고,
R3은 H, 비치환 또는 치환된 (C1-C30) 탄화수소 라디칼, 설포네이트 라디칼, 포스포네이트 라디칼 또는 아실 라디칼이고,
y는 1 내지 100의 정수이다.
본 발명의 애주번트는 특히 작물 보호 분야에 적당하다.

Description

고체 애주번트{SOLID ADJUVANTS}
본 발명은 신규한 고체 애주번트,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농화학적 활성 물질과 조합된 형태로 작물 보호 분야에 더욱 적합한 고체 애주번트에 관한 것이다.
농화학적 활성 물질 및 애주번트(활성 물질의 활성을 증진시키지만 생물활성은 자체로 없는 물질)의 조합 기술-예컨대 분무 탱크에서 혼합시키는 것에 의함-은 실제로 넓게 사용되고 전문적 문헌에 집중적으로 기술되어 있다. 대부분의 경우는 액체 애주번트에 대해 기술된다(예컨대, 문헌[C.L.Foy, D.W. Pritchard(Ed.), "Pesticide Formulation and Adjuvant Technology", CRC Press, Inc, 1996, Boca Raton, Florida,. USA)] 참고).
바람직하지 않은 식물 성장의 방제는 다양한 농화학적 활성 물질에 애주번트를 첨가함에 의해 증가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고체 제형의 애주번트는 문헌(예컨대 EP 955 810 A1, EP 955 809 A1, EP 968649 A1)에 기술되어 있다. 그러나, 이런 애주번트는 비싸기 때문에 최근에는 경제적으로 부적절하고, 물리적 관점에서 저장-안정성이 불충분하고, 또는 분무 혼합물에서 불충분하게 붕해되거나 단위 면적 당 큰 체적/중량비와 같이 사용자들에게 유리하지 않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유리한 성질을 갖는 신규한 애주번트를 특히 농화학적 활성 물질(예: 제초제)과 조합된 형태로 제공하는 것이다.
놀랍게도, 이 목적이 본 발명의 특정 애주번트에 의해 달성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본 발명은, a) 하나 이상의 하기 화학식 I의 계면활성제 및 b) 하나 이상의 충전제를 함유하는 고체 애주번트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I
Ar-O-(CHR1-CHR2-O-)yR3
상기 식에서,
Ar은 2개 이상,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0개의 (C1-C30)알킬 라디칼에 의해 치환된 아릴이고,
R1은 H 또는 (C1-C6)알킬이고,
R2는 H 또는 (C1-C6)알킬이고,
R3은 H, 비치환 또는 치환된 (C1-C30) 탄화수소 라디칼, 바람직하게는 (C 1-C30)알킬, (C2-C30)알케닐 또는 (C2-C30)알카이닐, 설포네이트 라디칼, 포스포네이트 라디칼 또는 아실 라디칼이고,
y는 1 내지 1000의 정수이다.
화학식 I의 계면활성제에서 y가 1 초과이면, y의 단위들(CHR1-CHR2-O-)은 동일하거나(예컨대, 에틸렌 옥사이드 단독중합체 단위들, 프로필렌 옥사이드 단독중합체 단위들 또는 부틸렌 옥사이드 단독중합체 단위들), 또는 서로 상이하다(예컨대, 에틸렌 옥사이드/프로필렌 옥사이드 공중합체 단위들, 또는 에틸렌 옥사이드/부틸렌 옥사이드 공중합체 단위들). 화학식 I의 계면활성제는 일반적으로 예컨대 문헌["Presentation about selected Product Groups, Clariant GmbH, Division Surfactants, p 39, September 1997"]에 공지되어 있고, 또한 시판중이며, 그 예로는 클라리언트 아게(Clariant AG)에 의해 사포게낫(Sapogenat)R T 시리즈로부터의 제품이 있다. 더욱이, 화학식 I의 계면활성제는 공지된 반응들에 의해 제조될 수 있으며, 예컨대 화학식 I(여기서, R3은 H이다)의 계면활성제는 시판중인 에폭사이드(예컨대 하기 화학식 I'의 에폭사이드)와 하이드록실 방향족 화합물(예컨대 하기 화학식 I"의 하이드록실 방향족 화합물)을 촉매 조건(예컨대, NaOH 및/또는 나트륨 아세테이트: 온도 약 100 내지 200℃, 초대기압 약 2 내지 10바아) 하에서 반응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I'에서의 라디칼 R1 및 R2 및 화학식 I"에서의 라디칼 Ar은 화학식 I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
R3이 H가 아닌 화학식 I의 계면활성제는 표준 반응들에 의해 R3이 H인 화학식 I의 계면활성제로부터 수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R3이 (치환된) 탄화수소 라디칼, 예컨대 알킬, 알케닐 또는 알카이닐인 화학식 I의 계면활성제는, 염기 촉매화 반응과 함께 예컨대 알킬 할라이드, 알케닐 할라이드 또는 알카이닐 할라이드로의 알킬화, 알케닐화 또는 알카이닐화에 의해 수득될 수 있고; R3이 설포네이트 라디칼인 것은 설페이트화에 이은 중화에 의해 수득될 수 있고; R3이 포스포네이트 라디칼인 것은 포스파테이트화에 의해 수득될 수 있고; R3이 아실 라디칼인 것은 아실화에 의해 수득될 수 있다.
이들 반응은 숙련자에게 잘 공지되어 있고, 예컨대 문헌 ["Surfactants in Consumer Products" (J. Falbe, Springer Verlag Heidelberg, 1987 and literature cited therein)] 또는 [J. March, Advanced Organic Chemistry, 4th Edition, John Wiley & Sons, New York, 1992]에 기재되어 있다.
화학식 I'의 에폭사이드는 예컨대 상응하는 알켄으로부터 공지된 방법들에 의해 수득될 수 있고, 시판중에 있으며, 그 예로는 에틸렌 옥사이드 또는 프로필렌 옥사이드가 있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은 시판중이며 문헌에 기재되어 있으며, 이와 같이 이들은 숙련자에게 익숙한 표준 반응들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따라서, 예컨대 페놀과 같은 하이드록시방향족 화합물은 촉매 조건(양성자산(protic acid), 예컨대 황산 또는 인산, 또는 루이스산, 예컨대 알루미늄 클로라이드 또는 보론 트라이플루오라이드 다이에틸 에터) 하에서 알콜, 올레핀 또는 알킬 할라이드와 반응되어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수득할 수 있다. 문헌 ["Methoden der organischen Chemie" [Methods in organic chemistry] (Houben-Weyl), 4th Edition, 1976, Vol. 6/1 c, p. 925 et seq.; (ISBN 3-13-204204-8)]에서와 같은 광범위한 검토를 통해 밝혀질 수 있다.
바람직한 계면활성제는, 화학식 I의 Ar이 3 내지 7개의 (C1-C10)알킬 라디칼과 결합된 나프틸 또는 페닐 라디칼인 화학식 I의 화합물이다. Ar은 바람직하게는 트라이(C1-C6)알킬페닐, 특히 바람직하게는 트라이부틸페닐(예: 트라이-2,4,6-2급-부틸페닐)이 있다. R1 및 R2는 바람직하게는 H 또는 메틸, 특히 바람직하게는 H이다.
R3은 바람직하게는 H; (C1-C22)알킬; (C2-C22)알케닐; (C2-C22)알카이닐; 아실 라디칼, 예컨대 CO-(C1-C30)알킬, CO-(C2-C30)알케닐, CO-(C 2-C30)알카이닐, CO-(C1-C30)알콕시, CO-(C2-C30)알케닐옥시, CO-(C2-C30)알카이닐옥시 또는 COH, 설포네이트 라디칼, 예컨대 SO3M(여기서, M은 양이온이되, 상기 양이온의 예로는 알칼리 금속 또는 알킬 토금속 양이온, 예컨대 Na, K 또는 Mg와 같은 무기 양이온; 또는 1급, 2급, 3급 또는 4급 암모늄 이온, 예컨대 NH3CH3, NH2(CH3)2 , NH(C2H5)3 또는 N(CH3)4와 같은 유기 양이온이 있다); 또는 포스포네이트 라디칼, 예컨대 (O)P(OR')(OR")(여기서, R' 및 R"는 서로 독립적으로 H 또는 양이온이되, 상기 양이온의 예로는 알칼리 금속 또는 알킬 토금속 양이온, 예컨대 Na, K 또는 Mg와 같은 무기 양이온; 또는 1급, 2급, 3급 또는 4급 암모늄 이온, 예컨대 NH3CH3, NH2(CH5 )2, NH(C2H3)3 또는 N(CH3)4와 같은 유기 양이온이 있으며, 또한 R' 및 R"에 있어서, Ar, R' 및 R" 및 y가 화학식 I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Ar-O-(CHR1CHR2)y일 수 있다)이다. R3은 특히 바람직하게는 H, (C1-C6)알킬 또는 SO3M(여기서, M은 양이온이다)이다.
y는 15 내지 100의 값이 바람직하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80의 값이다.
화학식 I의 더욱 특히 바람직한 계면활성제는, Ar이 트라이(C1-C6)알킬페닐, 특히 바람직하게는 트라이부틸페닐, 예컨대 트라이-2,4,6-2급-부틸페닐이고, R1, R2 및 R3이 H이고, y가 30 내지 80의 정수인 것이며, 그 예로는 클라리언트에 의한 사포게낫R T 시리즈로부터의 계면활성제, 예컨대 사포게낫R T 180, 사포게낫R T 300 및 사포게낫R T 500이 있다. 바람직한 화학식 I의 계면활성제는 표준 조건(실온, 대기압) 하에서의 고체이다.
본원에 기재된 화학식 I 및 다른 모든 화학식에서, 알킬, 알콕시, 할로알킬, 할로알콕시, 알킬아미노 및 알킬티오와 같은 탄소-함유 라디칼 및 이에 상응하는 불포화 및/또는 치환된 라디칼은 각 경우 탄소 골격에서 직쇄형 또는 분지형일 수 있다. 달리 지적되지 않는 한, 이들 라디칼은 일반적으로 1 내지 30개의 탄소원자를 가지며, 저급의 탄소 골격, 예컨대 탄소수 1 내지 6의 것 또는 불포화 기의 경우, 탄소수 2 내지 6의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알콕시, 할로알킬 등과 같은 복합적인 의미에서 알킬 라디칼의 예로는, 메틸, 에틸, n- 또는 i-프로필, n-, i-, t- 또는 s-부틸, 펜틸 라디칼, 헥실 라디칼, 예컨대 n-헥실, i-헥실 및 1,3-다이메틸부틸, 헵틸 라디칼, 예컨대 n-헵틸, 1-메틸헥실 및 1,4-다이메틸펜틸이 있고; 알케닐 및 알카이닐 라디칼은 상기 알킬 라디칼에 상응하는 가능한 불포화 라디칼의 의미를 갖고; 알케닐의 예로는 알릴, 1-메틸프롭-2-엔-1-일, 2-메틸프롭-2-엔-1-일, 부트-2-엔-1-일, 부트-3-엔-1-일, 1-메틸부트-3-엔-1-일 및 1-메틸부트-2-엔-1-일이 있으며; 알카이닐의 예로는 프로파길, 부트-2-인-1-일, 부트-3-인-1-일, 1-메틸부트-3-인-1-일이 있다.
(C3-C4)알케닐, (C3-C5)알케닐, (C3-C6)알케닐, (C3-C8)알케닐 또는 (C3-C12)알케닐의 형태인 알케닐은, 각각 탄소수 3 또는 4, 탄소수 3 내지 5, 탄소수 3 내지 6, 탄소수 3 내지 8 및 탄소수 3 내지 12의 알케닐 라디칼인 것이 바람직하며, 여기서 이중결합은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잔여 잔기에 결합된 탄소원자에 위치하지 않는다("일(yl)" 위치). 이는 또한 (C3-C4)알카이닐 등, (C3-C 4)알케닐옥시 등, 및 (C3-C4)알카이닐옥시 등에 유사하게 적용된다.
탄화수소 라디칼은 직쇄형, 분지형 또는 환형, 및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족 또는 방향족 탄화수소 라디칼을 의미하며, 그 예로는 알킬, 알케닐, 알카이닐, 사이클로알킬, 사이클로알케닐 또는 아릴이 있다. 탄화수소 라디칼은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 내지 40, 더욱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 내지 30이며, 탄화수소 라디칼은 특히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2 이하의 알킬, 알케닐 또는 알카이닐, 또는 3, 4, 5, 6 또는 7개의 고리 원자를 갖는 사이클로알킬, 또는 페닐이다.
아릴은 일환상, 이환상 또는 다환상 방향족 시스템, 예컨대 페닐, 나프틸, 테트라하이드로나프틸, 인데닐, 인다닐, 펜탈레닐, 플루오레닐 등, 바람직하게는 페닐이다.
헤테로환상 라디칼 또는 고리(헤테로사이클릴)는 포화, 불포화 또는 헤테로방향족 및 비치환 또는 치환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N, S 및 O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바람직하게 선택되는 고리 내의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며; 3 내지 7개의 고리 원자를 갖는 지방족 헤테로사이클릴 라디칼, 또는 5 또는 6개의고리 원자를 갖는 헤테로방향족 라디칼이 바람직하고, 1, 2 또는 3개의 헤테로원자를 함유한다. 헤테로환상 라디칼은 예컨대 헤테로방향족 라디칼 또는 고리(헤테로아릴), 예컨대 하나 이상의 고리가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일환상, 이환상 또는 다환상 방향족 시스템일 수 있으며, 그 예는 피리딜, 피리미디닐, 피리다지닐, 피라지닐, 트라이아지닐, 티에닐, 티아졸릴, 옥사졸릴, 퓨릴, 피롤릴, 피라졸릴 및 이미다졸릴, 또는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수소화된 라디칼, 예컨대 옥시라닐, 옥세타닐, 피롤리딜, 피페리딜, 피페라지닐, 다이옥솔라닐, 모폴리닐, 테트라하이드로퓨릴이다. 치환된 헤테로환상 라디칼에 적합한 치환기로는 이전 본원에서 언급된 치환기들 및 추가로 옥소가 있다. 또한, 옥소 기는 상이한 산화 상태로 존재할 수 있는 이들 헤테로 고리 원자들, 예컨대 N 및 S 상에서 생성될 수 있다.
할로겐은 바람직하게는 플루오르, 염소, 브롬 또는 요오드이다. 할로알킬, 할로알케닐 및 할로알카이닐은 할로겐, 바람직하게는 플루오르, 염소 및/또는 브롬, 특히 플루오르 또는 염소에 의해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치환된 알킬, 알케닐 또는 알카이닐이며, 그 예는 CF3, CHF2, CH2F, CF3CF2 , CH2FCHCl, CCl3, CHCl2, CH2CH2Cl이고; 할로알콕시는 예컨대 OCF3, OCHF2, OCH2 F, CF3CF2O, OCH2CF3 및 OCH2CH2Cl이며; 이는 또한 할로알케닐 및 다른 할로겐-치환된 라디칼에도 유사하게 적용된다.
치환된 탄화수소 라디칼과 같은 치환된 라디칼, 예컨대 치환된 알킬, 알케닐, 알카이닐, 아릴, 페닐 및 벤질, 또는 치환된 헤테로사이클릴 또는 헤테로아릴은, 예컨대 비치환된 골격으로부터 유도되는 치환된 라디칼을 나타내는데, 이 때 치환기는 예컨대 할로겐, 알콕시, 할로알콕시, 알킬티오, 하이드록실, 아미노, 나이트로, 카복실, 사이아노, 아지도, 알콕시카보닐, 알킬카보닐, 포밀, 카바모일, 모노- 및 다이-알킬아미노카보닐, 치환된 아미노(예: 아실아미노, 모노- 및 다이-알킬아미노), 및 알킬설피닐, 할로알킬설피닐, 알킬설포닐, 할로알킬설포닐, 및 환상 라디칼의 경우, 또한 알킬 및 할로알킬, 및 전술한 포화 탄화수소-함유 라디칼에 상응하는 불포화 지방족 라디칼, 예컨대 알케닐, 알카이닐, 알케닐옥시, 알카이닐옥시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1, 2 또는 3개의 라디칼을 나타낸다. 탄소 원자를 갖는 라디칼의 경우, 1 내지 4개의 탄소 원자, 특히 1 또는 2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적으로, 할로겐(예: 플루오르 및 염소), (C1-C4)알킬, 바람직하게는 메틸 또는 에틸, (C1-C 4)할로알킬, 바람직하게는 트리플루오로메틸, (C1-C4)알콕시, 바람직하게는 메톡시 또는 에톡시, (C1-C4)할로알콕시, 나이트로 및 사이아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치환기가 바람직하다. 이와 관련하여 특히 바람직한 치환기는 메틸, 메톡시 및 염소이다.
임의적으로 치환된 페닐은 바람직하게는 비치환되거나, 또는 할로겐, (C1-C4)알킬, (C1-C4)알콕시, (C1-C4)할로알킬, (C1 -C4)할로알콕시 및 나이트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동일하거나 상이한 라디칼에 의해 일치환 또는 다치환, 바람직하게는 일치환, 이치환 또는 삼치환된 페닐, 예컨대 o-, m- 및 p-톨릴, 다이메틸페닐 라디칼, 2-, 3- 및 4-클로로페닐, 2-, 3- 및 4-트라이플루오로- 및 -트라이클로로페닐, 2,4-, 3,5-, 2,5- 및 2,3-다이클로로페닐, o-, m- 및 p-메톡시페닐, 2,4,6-트라이부틸페닐, 예컨대 2,4,6-트라이-2급-부틸페닐이다.
아실 라디칼은, 공식적으로 유기 산으로부터 OH기를 제거함으로써 생성되는 유기 산의 라디칼, 예컨대 카복실산의 라디칼 및 그로부터 유도된 산(예: 티오카복실산, 비치환된 또는 N-치환된 이미노카복실산)의 라디칼 또는 카보닉 모노에스터, 비치환된 또는 N-치환된 카밤산, 설폰산, 설핀산, 포스폰산 또는 포스핀산의 라디칼을 지칭한다.
아실 라디칼은 바람직하게는 CO-Rx, CS-Rx, CO-ORx, CS-ORx, CS-SRx, SORY 또는 SO2RY(여기에서, Rx 및 RY는 각각 비치환되거나 또는 치환되는 C1-C30 탄화수소 라디칼, 아미노카보닐 또는 아미노설포닐이며, 최후 언급된 2개의 라디칼은 비치환된, N-일치환된 또는 N,N-이치환된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지방족 아실 또는 포밀이다. 아실은 예컨대 포밀, 할로알킬카보닐, 알킬카보닐(예: (C1-C4)알킬카보닐), 전술된 바와 같이 페닐 고리에서 치환될 수 있는 페닐카보닐, 또는 알킬옥시카보닐, 페닐옥시카보닐, 벤질옥시카보닐, 알킬설포닐, 알킬설피닐, N-알킬-1-이미노알킬 및 유기 산의 다른 라디칼을 나타낸다.
본원에서 화학식 I 및 다른 화학식은 또한 모든 입체 이성질체 및 이들의 혼합물도 포함한다. 이러한 화합물은 화학식에서 별도로 지적되지 않은 하나 이상의 비대칭 탄소원자 또는 다른 이중 결합을 함유한다. 거울상이성질체, 부분입체이성질체, Z- 및 E-이성질체와 같이 구체적인 공간 유형에 의해 정의되는 가능한 입체 이성질체는 해당 화학식에 의해 모두 포함되며,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입체 이성질체들의 혼합물로부터 수득될 수 있거나, 또는 입체 화학적으로 순수한 출발물질을 사용함과 더불어 입체 선택적 반응에 의해 수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애주번에 존재하는 충전제 b)는 고체이다. 이들은 일반적으로, 예컨대 문헌[W. van Falkenburg (ed.), 15 Pesticide Formulations, Marcel Dekker, Inc., New York, 1973]; 또는 [Schriftenreihe Degussa No. 1, Synthetische Kieselsauren fur Pflanzenschutz-and Schadlingsbekampfungsmittel [Synthetic silicas for crop protection products and pesticides], March 1989]에 공지되어 있다. 또한, 이들은 상업적으로 구입가능하다.
충전제로서 예컨대 무기 및 유기 캐리어, 예컨대 중합체 카보하이드레이트 또는 실리케이트가 바람직하다. 중합체 카보하이드레이트의 예는 셀룰로즈 및 이것의 유도체, 예컨대 타일로즈R, 타일로푸어R, 메틸란R 및 핀닉스R , 또는 전분 및 이것의 유도체, 예컨대 마이제나R 및 몬다민R이 있다. 실리케이트는 원천이 천연적인 것이나 또는 합성 제품일 수 있다. 천연 실리케이트의 예는 고령토, 벤토나이트, 활석, 피로필라이트 또는 규조토이다. 합성 실리케이트의 예는 발열성 실리카 또는 침전 실리카, 예컨대 시퍼낫R(예: 시퍼낫R 50S 또는 시퍼낫R 500LS), 데살론R, 에어로실R, 실리카실R 또는 케티엔실R이다. 본 발명에서는, 용어 실리케이트는 토금속 실리케이트 및 알칼리 토금속 실리케이트, 예컨대 알루미노실리케이트 또는 마그네슘 실리케이트와 같은 실리케이트를 또한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애주번트는 표준 조건(대기압, 실온) 하에서 고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애주번트는 예컨대 과립, 분말 또는 더스트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들은 하나 이상의 화학식 I의 계면활성제를 10 내지 80중량%,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75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70중량%로 함유하고, 하나 이상의 충전제 b)를 90 내지 20중량%, 바람직하게는 75 내지 25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30중량%로 함유한다. 또한, 함량은 개별 경우들에서 이들 한계보다 낮거나 높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애주번트는 충전제 b)를 화학식 I의 계면활성제에 비해 과량으로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애주번트는 첨가제 및 제형 조제와 같은 전형적인 보조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보조제라는 용어는 화학적 및 생물학적으로 크게 불활성인 물질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며, 이들의 사용은 조성물을 의도된 대로 취급할 수 있게 한다.
보조제의 예는 다음과 같다.
· 습윤제, 예컨대 게나폴(Genapol)R LRO(0 내지 20중량%), 분산제, 예컨대 타몰(Tamol)R(0 내지 15중량%) 또는 기타 계면활성제(비이온성, 양이온성, 음이온성, 중합체 계면활성제)(0 내지 30중량%);
· 무기 염, 예컨대 NaCl, Na2SO4, MgCl2(0 내지 50중량%), (올리고-, 폴리-)포스페이트; 탄산 칼륨과 같은 카보네이트;
· 비료, 예컨대 암모늄 설페이트, 암모늄 나이트레이트, 우레아, 인- 및 칼륨-함유 성분, 필요하다면 기타 소량 원소(0 내지 60중량%);
· 플루오웨트(Fluowet)R과 같은 기포방지제(0 내지 2중량%);
· 붕해제, 예컨대 발포성(effervescent) 분말(시트르산/NaHCO3)(0 내지 20중량%), 미세결정성 셀룰로즈, 폴리비닐피롤리돈;
· 결합제, 예컨대 폴리아미노산,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아크릴산 유도체(0 내지 15중량%)와 같은 적합한 천연 또는 합성 물질; 또는
· 용매, 예컨대 물 또는 유기 용매(0 내지 15중량%).
보조제에 대해 진술된 양(중량%)은 전형적이지만 개별 경우들에서 이들 한계보다 낮거나 높을 수도 있는 것으로 여겨지는 범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애주번트는 공지의 방법(참고: 문헌[Hans Mollet, Arnold Grubenmann, Formuliertechnik[Formulation technology]; Wiley-VCH, Weinheim, 2000; p.183 et seq. 및 여기에 인용된 문헌])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애주번트는 예컨대 과립, 분말 또는 더스트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과립은 예컨대 용융 압출 후에 과립화되어 수득될 수 있다. 분말 또는 더스트는 원하는 입자 크기로 예비분쇄된 압출물을 예컨대 공기-제트 밀을 사용하여 감소시켜 수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애주번트는 하나 이상의 농화학적 활성 물질과 조합되어 농화학적 조성물을 예컨대 공제제 또는 탱크 믹스의 형태로 수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러한 농화학적 조성물은 본 발명의 신규한 대상이다.
적합한 농화학적 활성 조성물의 예는 제초제, 살충제, 살균류제, 독성완화제(safener) 및 성장 조절제이다. 바람직한 농화학적 활성 조성물은 제초제이며, 그 예는 잎-작용 제초제, 예컨대 ALS 억제제(예를 들면, 설폰아마이드, 예컨대 플루카바존, 프로폭시카바존 또는 아미카바존, 또는 설포닐우레아, 예컨대 메소설퓨론, 에톡시설퓨론, 요도설퓨론, 아미도설퓨론, 포람설퓨론), 다이플루페니칸, 브로목시닐- 또는 아이옥시닐-함유 생성물, 아릴옥시페녹시프로피오네이트 부류로부터의 제조체, 예컨대 페녹사프롭-p-에틸, 사탕무 제초제, 예컨대 데스메디팜, 펜메디팜, 에토푸메세이트 또는 메타미트론, 글라이포세이트 또는 글루포시네이트, 또는 기타 HPPD 억제제 부류로부터의 활성 물질(예: 아이속사플루톨, 설코트리온, 메소트리온)이다.
본 발명에 따른 농화학적 조성물 내에 존재하는 제초제는 예컨대 ALS 억제제(아세토락테이트 신테타제 억제제), 또는 ALS 억제제 이외의 제초제, 예컨대 카바메이트, 티오카바메이트, 할로아세타닐라이드, 치환된 페녹시-, 나프톡시- 및 페녹시페녹시카복실산 유도체 및 헤테로아릴옥시페녹시알케인카복실산 유도체, 예컨대 퀴노닐옥시-, 퀴녹살릴옥시-, 피리딜옥시-, 벤족사졸릴옥시-, 및 벤조티아졸릴옥시페녹시알케인카복실릭 에스터, 사이클로헥세인디온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제초제, 인-함유 제초제, 예컨대 글루포시네이트 유형 또는 글라이포세이트 유형의 제초제, 및 S-(N-아릴-N-알킬카바모일메틸)다이티오포스포르산 에스터이다.
ALS 억제제는 특히 이미다졸리논, 피리미디닐옥시피리딘카복실산 유도체, 피리미딜옥시벤조산 유도체, 트라이아졸로피리미딘설폰아마이드 유도체 및 설폰아마이드, 바람직하게는 설포닐우레아류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 특히 바람직하게는 하기 화학식 II의 억제제 및/또는 이들의 염이다.
상기 식에서,
Rα는 탄화수소 라디칼, 바람직하게는 아릴 라디칼, 예컨대 페닐(이는 비치환 또는 치환됨), 또는 헤테로환상 라디칼, 바람직하게는 헤테로아릴 라디칼, 예컨대 피리딜(이는 비치환 또는 치환됨)이되, 여기서 치환기를 포함하는 라디칼은 1 내지 30개의 탄소원자,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0개의 탄소원자를 갖거나, 또는 Rα는 설폰아마이드 라디칼과 같은 전자-끄는 기이고,
Rβ는 수소원자 또는 탄화수소 라디칼(이는 비치환 또는 치환됨)이며, 치환기를 포함하는 라디칼은 1 내지 10개의 탄소원자, 예컨대 비치환 또는 치환된 C1-C6 알킬, 바람직하게는 수소원자 또는 메틸이고,
Rγ는 수소원자 또는 탄화수소 라디칼(이는 비치환 또는 치환됨)이며, 치환기를 포함하는 라디칼은 1 내지 10개의 탄소원자, 예컨대 비치환 또는 치환된 C1-C6 알킬, 바람직하게는 수소원자 또는 메틸이고,
x는 0 또는 1이고,
Rδ는 헤테로환상 라디칼이다.
특히 바람직한 ALS 억제제는 하기 화학식 III의 설포닐우레아 및/또는 이들의 염이다.
상기 식에서,
R4는 C1-C4 알콕시, 바람직하게는 C2-C4 알콕시, 또는 CO-Ra(여기서, Ra는 OH, C1-C4 알콕시 또는 NRbRc이되, Rb 및 Rc는 서로 독립적으로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H 또는 C1-C4 알킬이다)이고,
R5는 할로겐 또는 (A)n-NRdRe(여기서, n은 0 또는 1이고, A는 기 CR'R"이되, R' 및 R"는 서로 독립적으로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H 또는 C1-C4 알킬이고, Rd는 H 또는 C1-C4 알킬이고, Re는 포밀 또는 C1-C4 알킬설포닐과 같은 아실 라디칼이다)이되, R4 가 C1-C4 알콕시, 바람직하게는 C2-C4 알콕시인 경우, R5 는 또한 H일 수 있고,
R6은 H 또는 C1-C4 알킬이고,
m은 0 또는 1, 바람직하게는 0이고,
X 및 Y는 서로 독립적으로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C1-C6 알킬, C1-C6 알콕시 또는 C1-C6 알킬티오이되, 여기서 상기 3개의 라디칼 각각은 할로겐, C1-C4 알콕시 및 C1 -C4 알킬티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라디칼에 의해 치환되거나 비치환되거나, C3-C6 사이클로알킬, C2-C6 알케닐, C2-C 6 알카이닐, C3-C6 알케닐옥시 또는 C3-C6 알카이닐옥시, 바람직하게는 C1-C4 알킬 또는 C1 -C4 알콕시이고,
Z는 CH 또는 N이다.
바람직한 화학식 III의 설포닐우레아 및/또는 이들의 염은 다음과 같다:
m은 0이고,
a) R4는 CO-(C1-C4 알콕시)이고, R5는 할로겐, 바람직하게는 요오드이거나, 또는 CH2-NHRe(여기서, Re는 아실 라디칼, 바람직하게는 C1-C4 알킬설포닐이다)이거나, 또는
b) R4는 CO-N(C1-C4 알킬)2이고, R5는 NHRe (여기서, Re는 아실 라디칼, 바람직하게는 포밀이다)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제초제 조성물에서 성분으로서 존재하는 설포닐우레아와 같은 ALS 억제제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활성 물질은 항상 중성 화합물 뿐만 아니라 무기 대이온 및/또는 유기 대이온을 갖는 그들의 염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따라서, 예를 들면, 설포닐우레아는 -SO2-NH- 기의 수소가 농업적으로 적합한 양이온에 의해 치환된 염을 형성할 수 있다. 이들 염의 예는 금속 염, 특히 알칼리 금속 염 또는 알칼리 토금속 염, 특히 나트륨 및 칼륨 염, 또는 기타 유기 아민을 갖는 암모늄 염(들)이다. 이와 같이, 염 형성은 아미노 및 알킬아미노와 같은 염기성 기에 산을 첨가하여 발생할 수 있다. 이 목적에 적합한 산은 무기 및 유기 강산, 예컨대 HCl, HBr, H2SO4 또는 NHO3이다.
바람직한 ALS 억제제는 설포닐우레아 시리즈, 예컨대 피리미딘- 또는 트라이아지닐아미노카보닐[벤젠-, 피리딘-, 피라졸-, 티오펜- 및 (알킬설포닐)알킬아미노]설프아마이드이다. 피리미딘 고리 또는 트라이아진 고리 상의 치환기로서 바람직하게는 알콕시, 알킬, 할로알콕시, 할로알킬, 할로겐 또는 다이메틸아미노가 있으며, 모든 치환기들은 서로 독립적으로 조합될 수 있다. 벤젠-, 피리딘-, 피라졸-, 티오펜- 및 (알킬설포닐)알킬아미노] 잔기내의 바람직한 치환기는 알킬, 알콕시, 할로겐(예: F, Cl, Br 또는 I), 아미노, 알킬아미노, 다이알킬아미노, 아실아미노, 예컨대 포밀아미노, 나이트로, 알콕시카보닐, 아미노카보닐, 알킬아미노카보닐, 다이알킬아미노카보닐, 알콕시아미노카보닐, 할로알콕시, 할로알킬, 알킬카보닐, 알콕시알킬, 알킬설포닐아미노알킬, (알케인설포닐)알킬아미노이다. 이러한 적합한 설포닐우레아의 예로는 다음과 같다:
A1) 페닐- 및 벤질설포닐우레아, 이와 관련된 화합물, 예컨대
1-(2-클로로페닐설포닐)-3-(4-메톡시-6-메틸-1,3,5-트라이아진-2-일)우레아(클로르설푸론),
1-(2-에톡시카보닐페닐설포닐)-3-(4-클로로-6-메톡시피리미딘-2-일)우레아(클로리무론-에틸),
1-(2-메톡시페닐설포닐)-3-(4-메톡시-6-메틸-1,3,5-트라이아진-2-일)우레아(메트설푸론-메틸),
1-(2-클로로에톡시페닐설포닐)-3-(4-메톡시-6-메틸-1,3,5-트라이아진-2-일)우레아(트라이아설푸론),
1-(2-메톡시카보닐페닐설포닐)-3-(4,6-다이메틸피리미딘-2-일)우레아(설푸메투론-메틸),
1-(2-메톡시카보닐페닐설포닐)-3-(4-메톡시-6-메틸-1,3,5-트라이아진-2-일)-3-메틸우레아(트라이베누론-메틸),
1-(2-메톡시카보닐벤질설포닐)-3-(4,6-다이메톡시피리미딘-2-일)우레아(벤설푸론-메틸),
1-(2-메톡시카보닐페닐설포닐)-3-(4,6-비스(다이플루오로메톡시)피리미딘-2-일)우레아(프리미설푸론-메틸),
3-(4-에틸-6-메톡시-1,3,5-트라이아진-2-일)-1-(2,3-다이하이드로-1,1-다이옥소-2-메틸벤조-[b]티오펜-7-설포닐)우레아(EP-A 0 796 83 호),
3-(4-에톡시-6-에틸-1,3,5-트라이아진-2-일)-1-(2,3-다이하이드로-1,1-다이옥소-2-메틸벤조[b]-티오펜-7-설포닐)우레아(EP-A 0 079 683 호),
3-(4-메톡시-6-메틸-1,3,5-트라이아진-2-일)-1-(2-메톡시카보닐-5-요오도페닐-설포닐)우레아(요오도설푸론-메틸 및 이의 염, 예컨대 나트륨 염, WO 92/13845 호),
DPX-66037, 트라이플루설푸론-메틸(문헌[Brighton Crop Prot. Conf.-Weeds-1995, p. 853] 참조),
CGA-277476, (문헌[Brighton Crop Prot. Conf.-Weeds-1995, p. 79] 참조),
메틸 2-[3-(4,6-다이메톡시피리미딘-2-일)우레이도설포닐]-4-메탄설포아미도-메틸벤조에이트(메소설푸론-메틸 및 이의 염, 예컨대 나트륨 염, WO 95/10507 호),
N,N-다이메틸-2-[3-(4,6-다이메톡시피리미딘-2-일)우레이도설포닐]-4-포밀아미노-벤즈아마이드(포람설푸론 및 이의 염, 예컨대 나트륨 염, WO 95/01344 호);
A2) 티에닐설포닐우레아, 예컨대
1-(2-메톡시카보닐티오펜-3-일)-3-(4-메톡시-6-메틸-1,3,5-트라이아진-2-일)우레아(티펜설푸론-메틸);
A3) 피라졸릴설포닐우레아, 예컨대
1-(4-에톡시카보닐-1-메틸피라졸-5-일설포닐)-3-(4,6-다이메톡시피리미딘-2-일)우레아(피라조설푸론-메틸);
메틸 3-클로로-5-(4,6-다이메톡시피리딘-2-일카바모일설파모일)-1-메틸-피라졸-4-카복실레이트(EP-A 0 282 613 호);
메틸 5-(4,6-다이메틸피리미딘-2-일카바모일설파모일)-1-(2-피리딜)피라졸-4-카복실레이트(NC-330, 문헌 "Brighton Crop Prot. Conference 'Weeds' 1991, Vol. 1, p. 45 et seq." 참조),
DPX-A8947, 아짐설푸론, (문헌 "Brighton Crop Prot. Conf. 'Weeds' 1995, p. 65" 참조);
A4) 설폰다이아마이드 유도체, 예컨대
3-(4,6-다이메톡시피리미딘-2-일)-1-(N-메틸-N-메틸설포닐아미노설포닐)우레아(아미도설푸론) 및 그의 구조적 동족체(EP-A 0 131 258 호 및 문헌 "Z. Pfl. Krankh. Pfl. Schutz, Special Issue XII, 489-497 (1990)");
A5) 피리딜설포닐우레아, 예컨대
1-(3-N,N-다이메틸아미노카보닐피리딘-2-일설포닐)-3-(4,6-다이메톡시피리미딘-2-일)우레아(니코설푸론),
1-(3-에틸설포닐피리딘-2-일설포닐)-3-(-(4,6-다이메톡시피리미딘-2-일)우레아(림설푸론),
메틸 2-[3-(4,6-다이메톡시피리미딘-2-일)우레이도설포닐]-6-트라이플루오로메틸-3-피리딘-카복실레이트, 나트륨 염 (DPX-KE 459, 플루피르설푸론, 문헌 "Brighton Crop Prot. Conf. Weeds, 1995, p. 49" 참조),
피리딜설포닐우레아(이는 예컨대 DE-A 40 00 503 호 및 DE-A 40 30 577 호에 기재된 것, 바람직하게는 하기 식의 것임), 예컨대 3-(4,6-다이메톡시피리미덴-2-일)-1-(3-N-메틸설포닐-N-메틸-아미노피리딘-2-일)설포닐우레아, 또는 그들의 염,
[상기 식에서,
E는 CH 또는 N, 바람직하게는 CH이고,
R20은 요오드 또는 NR25R26이고,
R21은 수소, 할로겐, 사이아노, (C1-C3)알킬, (C1-C3)알콕시, (C1-C3)할로알킬, (C1-C3)할로알콕시, (C1-C3)알킬티오, (C1-C3)알콕시(C 1-C3)알킬, (C1-C3)-알콕시카보닐, 모노- 또는 다이((C1-C3)알킬)아미노, (C1-C3)알킬설피닐 또는 -설포닐, SO2-NRxRy 또는 CO-NRxRy, 특히 수소이고,
Rx 및 Ry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C1-C3)알킬, (C1-C 3)알케닐, (C1-C3)알카이닐이거나, 또는 함께 -(CH2)4-, -(CH2)5- 또는 -(CH2) 2-O-(CH2)2-이고,
n은 0, 1, 2 또는 3, 바람직하게는 0 또는 1이고,
R22는 수소 또는 CH3이고,
R23은 할로겐, (C1-C2)알킬, (C1-C2)알콕시, (C 1-C2)할로알킬, 특히 CF3, (C1-C2)할로알콕시, 바람직하게는 OCHF2 또는 OCH2CF3이고,
R24는 (C1-C2)알킬, (C1-C2)할로알콕시, 바람직하게는 OCHF2, 또는 (C1-C2)알콕시이고,
R25는 (C1-C4)알킬이고,
R26은 (C1-C4)알킬설포닐이거나, 또는
R25 및 R26은 함께 식 -(CH2)3SO2- 또는 -(CH2 )4SO2-의 쇄이다];
A6) 알콕시페녹시설포닐우레아(이는 예컨대 EP-A 0 342 569 호에 기재된 것, 바람직하게는 하기 식의 것임), 예컨대 3-(4,6-다이메톡시피리미딘-2-일)-1-(2-에톡시페녹시)설포닐우레아, 또는 그들의 염,
[상기 식에서,
E는 CH 또는 N, 바람직하게는 CH이고,
R27은 에톡시, 프로폭시 또는 아이소프로폭시이고,
R28은 할로겐, NO2, CF3, CN, (C1-C4)알킬, (C1 -C4)알콕시, (C1-C4)알킬티오 또는 (C1-C3)알콕시카보닐(바람직하게는 페닐 고리 상의 6-위치에 존재함)이고,
n은 0, 1, 2 또는 3, 바람직하게는 0 또는 1이고,
R29는 수소, (C1-C4)알킬 또는 (C3-C4)알케닐이고,
R30 및 R31은 서로 독립적으로 할로겐, (C1-C2)알킬, (C1 -C2)알콕시, (C1-C2)할로알킬, (C1-C2)할로알콕시 또는 (C1-C2)알콕시(C1-C2 )알킬, 바람직하게는 OCH3 또는 CH3이다.]
A7) 이미다졸릴설포닐우레아, 예컨대
MON 37500, 설포설푸론(문헌 "Brighton Crop Prot. Conf. 'Weeds', 1995, p. 57), 및 기타 관련된 설포닐우레아 유도체 및 이들의 혼합물.
이들 활성 물질의 전형적인 대표예로는 특히 이하 본원에서 나열된 화합물이 있다: 아미도설푸론, 아짐설푸론, 벤설푸론-메틸, 클로리무론-에틸, 클로르설푸론, 시노설푸론, 사이클로설파무론, 에타메트설푸론-메틸, 에톡시설푸론, 플라자설푸론, 플루피르설푸론-메틸-나트륨, 할로설푸론-메틸, 이마조설푸론, 메트설푸론-메틸, 니코설푸론, 옥사설푸론, 프리미설푸론-메틸, 프로설푸론, 피라조설푸론-에틸, 림설푸론, 설포메투론-메틸, 설포설푸론, 티펜설푸론-메틸, 트라이아설푸론, 트라이베누론-메틸, 트라이플루설푸론-메틸, 요오도설푸론-메틸 및 이의 나트륨 염(WO 92/13845 호), 메소설푸론-메틸 및 이의 나트륨 염(문헌 "Agrow No. 347, Mar. 3, 2000, page 22 (PJB Publications Ltd. 2000)") 및 포람설푸론 및 이의 나트륨 염(문헌 "Agrow No. 338, Oct. 15, 1999, page 26 (PJB Publications Ltd. 1999)").
이전 본원에서 나열된 활성 물질은 예컨대 문헌 ["The Pesticide Manual", 12th Edition (2000), The British Crop Protection Council], 또는 개별 활성 물질 이후에 인용되는 참고문헌에 공지되어 있다.
다른 적합한 ALS 억제제는 예컨대 다음과 같다:
B) 이미다졸리논, 예컨대
메틸 2-(4-아이소프로필-4-메틸-5-옥소-2-이미다졸린-2-일)-5-메틸벤조에이트 및 2-(4-아이소프로필-4-메틸-5-옥소-2-이미다졸린-2-일)-4-메틸 벤조산(이마자메타벤즈),
5-에틸-2-(4-아이소프로필-4-메틸-5-옥소-2-이미다졸린-2-일)피리딘-3-카복실산(이마제타피르),
2-(4-아이소프로필-4-메틸-5-옥소-2-이미다졸린-2-일)퀴놀린-3-카복실산(이마자퀸),
2-(4-아이소프로필-4-메틸-5-옥소-2-이미다졸린-2-일)피리딘-3-카복실산(이마자피르),
5-메틸-2-(4-아이소프로필-4-메틸-5-옥소-2-이미다졸린-2-일)피리딘-3-카복실산(이마제타메타피르);
C) 트라이아졸로피리미딘설폰아마이드 유도체, 예컨대
N-(2,6-다이플루오로페닐)-7-메틸-1,2,4-트라이아졸로[1,5-c]피리미딘-2-설폰아마이드(프루메트술람),
N-(2,6-다이클로로-3-메틸페닐)-5,7-다이메톡시-1,2,4-트라이아졸로[1,5-c]피리미딘-2-설폰아마이드,
N-(2,6-다이플루오로페닐)-7-플루오로-5-메톡시-1,2,4-트라이아졸로[1,5-c]피리미딘-2-설폰아마이드,
N-(2,6-다이클로로-3-메틸페닐)-7-클로로-5-메톡시-1,2,4-트라이아졸로[1,5-c]피리미딘-2-설폰아마이드,
N-(2-클로로-6-메톡시카보닐)-5,7-다이메틸-1,2,4-트라이아졸로[1,5-c]피리미딘-2-설폰아마이드(EP-A 0 343 752 호, 미국특허 제 4,988,812);
D) 피리미디닐옥시피리딘카복실산 및 피리미디닐옥시벤조산 유도체, 예컨대
벤질 3-(4,6-다이메톡시피리미딘-2-일)옥시피리딘-2-카복실레이트(EP-A 0 249 707 호),
메틸 3-(4,6-다이메톡시피리미딘-2-일)옥시피리딘-2-카복실레이트(EP-A 0 249 707 호),
2,6-비스[(4,6-다이메톡시피리미딘-2-일)옥시]벤조산(EP-A 0 321 846 호),
1-(에톡시카보닐옥시에틸)2,6-비스[(4,6-다이메톡시피리미딘-2-일)옥시]벤조에이트(EP-A 0 472 113 호).
본 발명에 따른 제초제 조성물 내에 존재하며 ALS 억제제와 다른 제초성 활성 물질은, 예컨대 카바메이트, 티오카바메이트, 할로아세트아닐라이드, 치환된 페녹시-, 나프톡시- 및 페녹시페녹시카복실산 유도체, 및 헤테로아릴옥시페녹시알케인카복실산 유도체, 예컨대 퀴놀릴옥시-, 퀴녹살릴옥시-, 피리딜옥시-, 벤족사졸릴옥시- 및 벤조티아졸릴옥시페녹시알케인카복실릭 에스터, 사이클로헥세인다이온 유도체, 인-함유 제초제, 예컨대 글루포시네이트 유형 또는 글라이포세이트 유형의 제조체, 및 S-(N-아릴-N-알킬카바모일메틸)다이티오포스포릭 에스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제초제이다. 본원에서, 페녹시페녹시- 및 헤테로아릴옥시페녹시카복실릭 에스터 및 이들의 염, 및 제초제 예컨대 벤타존, 사이아나진, 아트라진, 디캄바 또는 하이드록시벤조나이트릴, 예컨대 브로목시닐 및 이옥시닐, 및 기타 다른 잎-작용성 제초제가 바람직하다.
ALS 억제제와 다르며 본 발명에 따른 농화학 조성물 내의 성분으로서 존재할 수 있는 적합한 제초성 활성 물질은 예컨대 다음과 같다:
E) 페녹시페녹시- 및 헤테로아릴옥시페녹시카복실산 유도체 유형의 제초제, 예컨대
E1) 페녹시페녹시- 및 벤질옥시페녹시카복실산 유도체, 예컨대 메틸 2-(4-(2,4-다이클로로페녹시)페녹시)프로피오네이트(다이클로폽-메틸),
메틸 2-(4-(4-브로모-2-클로로페녹시)페녹시)프로피오네이트(DE-A 26 01 548 호),
메틸 2-(4-(4-브로모-2-플루오로페녹시)페녹시)프로피오네이트(미국특허 제 4,808,750 호),
메틸 2-(4-(2-클로로-4-트라이플루오로메틸페녹시)페녹시)프로피오네이트(DE-A 24 33 067 호),
메틸 2-(4-(2-플루오로-4-트라이플루오로메틸페녹시)페녹시)프로피오네이트(미국특허 제 4,808,750 호),
메틸 2-(4-(2,4-다이클로로벤질)페녹시)프로피오네이트(DE-A 24 17 487 호),
에틸 4-(4-(4-트라이플루오로메틸페녹시)페녹시)펜트-2-에노에이트,
메틸 2-(4-(4-트라이플루오로메틸페녹시)페녹시)프로피오네이트(DE-A 24 33 067 호);
E2) "단핵(Mononuclear)" 헤테로아릴옥시페녹시알케인카복실산 유도체, 예컨대
에틸 2-(4-(3,5-다이클로로피리딜-2-옥시)페녹시)프로피오네이트(EP-A 0 002 925 호),
프로파길 2-(4-(3,5-다이클로로피리딜-2-옥시)페녹시)프로피오네이트(EP-A 0 003 114 호),
메틸 2-(4-(3-클로로-5-트라이플루오로메틸-2-피리딜옥시)페녹시)프로피오네이트(EP-A 0 003 890 호),
에틸 2-(4-(3-클로로-5-트라이플루오로메틸-2-피리딜옥시)페녹시)프로피오네이트(EP-A 0 003 890 호),
프로파길 2-(4-(5-클로로-3-플루오로-2-피리딜옥시)페녹시)프로피오네이트(EP-A 0 191 736 호),
부틸 2-(4-(5-트라이플루오로메틸-2-피리딜옥시)페녹시)프로피오네이트(플루아지폽-부틸);
E3) "이핵(Binuclear)" 헤테로아릴옥시페녹시알케인카복실산 유도체, 예컨대
메틸 및 에틸 2-(4-(6-클로로-2-퀴녹살릴옥시)페녹시)프로피오네이트(퀴잘로폽메틸 및 퀴잘로폽에틸),
메틸 2-(4-(6-플루오로-2-퀴녹사잘릴옥시)페녹시)프로피오네이트(문헌 "J. Pest. Sci. Vol.10, 61 (1985)"),
2-아이소프로필리덴아미노옥시에틸 2-(4-(6-클로로-2-퀴녹살릴옥시)페녹시)프로피오네이트(프로파퀴자폽),
에틸 2-(4-(6-클로로벤족사졸-2-일옥시)페녹시)프로피오네이트(페녹사프롭-에틸), 그의 D(+) 이성체(페녹사프롭-P-에틸) 및 에틸 2-(4-(6-클로로벤조티아졸-2-일옥시)페녹시)프로피오네이트(DE-A 26 40 730 호),
테트라하이드로-2-퓨릴메틸 2-(4-(6-클로로퀴녹살릴옥시)페녹시)프로피오네이트(EP-A 0 323 727 호);
F) 클로르아세트아닐라이드, 예컨대
N-메톡시메틸-2,6-다이에틸클로로아세트아닐라이드(알라클로르),
N-(3-메톡시프롭-2-일)-2-메틸-6-에틸클로로아세트아닐라이드(메톨라클로르),
2,6-다이메틸-N-(3-메틸-1,2,4-옥사디아졸-5-일메틸)클로로아세트아닐라이드,
N-(2,6-다이메틸페닐)-N-(1-피라졸릴메틸)클로로아세트아마이드(메타자클로르);
G) 티오카바메이트, 예컨대
S-에틸 N,N-다이프로필티오카바메이트(EPTC),
S-에틸 N,N-다이아이소부틸티오카바메이트(부틸레이트);
H) 사이클로헥세인다이온 옥심, 예컨대
메틸 3-(1-아릴옥시이미노부틸)-4-하이드록시-6,6-다이메틸-2-옥소사이클로헥스-3-엔카복실레이트(알록시딤),
2-(1-에톡시이미노부틸)-5-(2-에틸티오프로필)-3-하이드록시사이클로헥스-2-엔-1-온(세톡시딤),
2-(1-에톡시이미노부틸)-5-(2-페닐티오프로필)-3-하이드록시사이클로헥스-2-엔-1-온(클로프록시딤),
2-(1-(3-클로로아릴옥시)이미노부틸)-5-(2-에틸티오프로필)-3-하이드록시사이클로헥스-2-엔-1-온,
2-(1-(3-클로로아릴옥시)이미노프로필)-5-(2-에틸티오프로필)-3-하이드록시사이클로헥스-2-엔-1-온(클레토딤),
2-(1-에톡시이미노부틸)-3-하이드록시-5-(티안-3-일)사이클로헥스-2-에논(사이클록시딤),
2-(1-에톡시이미노프로필)-5-(2,4,6-트라이메틸페닐)-3-하이드록시사이클로헥스-2-엔-1-온(크랄콕시딤);
I) 벤조일사이클로헥세인다이온, 예컨대
2-(2-클로로-4-메틸설포닐벤조일)사이클로헥세인-1,3-다이온(SC-0051, EP-A 0 137 963 호, 술코트라이온), 2-(2-나이트로벤조일)-4,4-다이메틸사이클로헥세인-1,3-다이온(EP-A 0 274 634 호), 2-(2-나이트로-4-메틸설포닐벤조일)-4,4-다이메틸사이클로헥세인-1,3-다이온(WO 91/13548 호, 메소트라이온);
J) S-(N-아릴-N-알킬카바모일메틸) 다이티오포스포네이트, 예컨대 S-[N-(4-클로로페닐)-N-아이소프로필카바모일메틸] O,O-다이메틸 다이티오포스페이트(아닐로포스);
K) 알킬아진(이는 예컨대 WO-A 97/08156 호, WO-A-97/31904 호, DE-A-19826670 호, WO-A-98/15536 호, WO-A-98/15537 호, WO-A-98/15538 호, WO-A-98/15539 호, 및 또한 DE-A-19828519 호, WO-A-98/34925 호, WO-A-98/42684 호, WO-A-99/18100 호, WO-A-99/19309 호, WO-A-99/37627 호 및 WO-A-99/65882 호에 기재되며, 바람직하게는 하기 화학식 E의 것임)
[상기 식에서,
RX는 (C1-C4)알킬 또는 (C1-C4)할로알킬이고,
RY는 (C1-C4)알킬, (C3-C6)사이클로알킬 또는 (C 3-C6)사이클로알킬(C1-C4)알킬이고,
A는 -CH2-, -CH2-CH2-, -CH2-CH2-CH2-, -O-, -CH2-CH2-O-, -CH2-CH2-CH2-O-, 특히 바람직하게는 하기 화학식 E I 내지 화학식 E VII의 것이다.]
L) 인-함유 제초제, 예컨대 글루포시네이트 유형, 예컨대 구체적으로 글루포시네이트, 즉 D,L-2-아미노-4-[하이드록시(메틸)포스피닐]-부타노산, 글루포시네이트모노암모늄 염, L-글루포시네이트, L- 또는 (2S)-2-아미노-4-[하이드록시(메틸)포스피닐]부타노산, L-글루포시네이트모노암모늄 염 또는 바일알라포스(또는 바이라나포스), 즉 L-2-아미노-4-[하이드록시(메틸)포스피닐]부타노일-L-알라닐-L-알라닌, 특히 그의 나트륨 염; 또는 글라이포세이트 유형, 예컨대 글라이포세이트, 즉 N-(포스포노메틸)글라이신, 글라이포세이트모노아이소프로필암모늄 염, 글라이포세이트 나트륨 염, 또는 설포세이트, 즉 N-(포스포노메틸)글라이신 트라이메슘 염 = N-(포스포노메틸)글라이신 트라이메틸설폭소늄 염.
군 B) 내지 L)의 제초제는 예컨대 전술된 각각의 문헌으로부터 공지되며, 문헌 ["The Pesticide Manual", 12th Edition, 2000, The British Crop Protection Council, "Agricultural Chemicals Book II-Herbicides-", by W. T. Thompson, Thompson Publications, Fresno Calif., USA 1990] 및 ["Farm Chemicals Handbook '90", Meister Publishing Company, Willoughby Ohio, USA,1990]으로부터 공지된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농화학적 조성물은 다이플루페니칸, 페녹사프로프-P-에틸, 메타미트론, 에토푸메세이트, 펜메디팜, 데스메디팜 또는 상기 그룹 L의 인-함유 제초제, 예컨대 글루포시네이트-암모늄 또는 글라이포세이트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활성 물질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애주번트 및 하나 이상의 농화학적 활성 물질 외에, 본 발명에 따른 농화학적 조성물은 또한 추가 성분, 예컨대 제제 보조제 예컨대 이동방지제, 습기에 영향을 미치는 물질(습윤제), 비료 예컨대 황산 암모늄, 우레아 또는 비료 화합물, 예컨대 인-, 칼륨- 및 질소-계 비료 화합물, 예컨대 P, K, N 비료, 또는 화학식 I의 화합물 외의 상업적으로 구입가능한 계면활성제, 예컨대 비이온성, 양이온성, 음이온성, 베타인(betainic) 또는 중합체 계면활성제, 안정화제 예컨대 pH 안정화제, 살생물제, UV 안정화제, 기포방지제, 합성 또는 천연 중합체, 용매, 예컨대 극성 용매, 예컨대 물 또는 알콜, 또는 비극성 용매, 예컨대 분지 또는 비분지된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족 용매, 방향족 용매 예컨대 솔베쏘(Solvesso)R 100, 솔베쏘R 150 또는 솔베쏘R 200 또는 자일렌을 포함된다. 이들 농화학적 조성물 및 이들의 용도도 또한 신규하고 본 발명의 주제이다.
본 발명에 따른 농화학적 조성물은 유해 생명체, 예컨대 유해 식물에 대한 현저한 농화학적 활성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농화학적 조성물에 의한 개선된 유해 식물 방제는 적용 비율의 감소 및/또는 안정성 한계의 증가를 가능하게 한다. 이들은 경제적 및 환경적 관점에서도 적합하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농화학적 조성물은 시너지적 활성 함량의 계면활성제 a)와 충전제 b) 및 농화학적 활성 물질 c)의 조합물의 특징을 갖는다. 상기 문장에서,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농화학적 조성물은, 예컨대 개별적 화합물은 보통 조합물 등에서 매우 상이한 적용 비율로 사용되기 때문에, 또는 개별적 화합물이 단독으로도 매우 우수하게 유해 식물을 방제하기 때문에, 시너지 효과가 개별적인 경우에서 용이하게 감지될 수 없는 a): b): c)의 적용 비율 또는 중량비의 조합물에서 조차도 본질적인 시너지 작용을 갖는다는 것이 특히 강조되어져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농화학적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실온에서 통상적인 공정, 예컨대 연마에 의한 개별적 성분들의 혼합, 개별적 성분들의 용해 또는 분산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이후에, 예컨대 압출 단계, 예컨대 용융 압출 단계가 뒤따를 수 있다. 다른 보조제가 존재하면, 이들은 실온에서 혼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개별적 성분들이 첨가되는 순서는 결정적으로 중요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농화학적 조성물의 성분 a), b) 및 c)는 후에 통상적인 방식, 예컨대 분무 혼합물로 적용될 수 있는 레디믹스(readymix) 형태로 함께 존재할 수 있거나, 이들은 개별적으로 배합되고, 예컨대 결합(joint) 탱크 혼합법에 의해 또는 개별적으로(예: 연속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성분들이 개별적으로 배합되는 경우, 성분 a), b) 및 c)는 예컨대 각 경우에서 단독으로 배합될 수 있거나, 또는 성분 a) 및 b), a) 및 c), 또는 b) 및 c)는 결합되어 배합될 수 있고, 각 경우에서 세 번째 성분은 개별적으로 배합될 수 있다.
적당한 보조제 및/또는 제조 방법을 선택함에 의해, 분무 탱크에서 잘 붕해되고 또한 사용시 경제적인 본 발명에 따른 애주번트가 수득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애주번트는 다양한 방법, 예컨대 과립, 분말 또는 더스트로 배합될 수 있다. 가능성 있는 적당한 제형은 예컨대 습식 분말(WP), 수용성 분말(SP), 수분산성 과립(WG), 수용성 과립(SG) 및 용융 과립이다. 용융 과립과 같은 과립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농화학적 조성물 및 농화학적 활성 물질 c)는 우세한 생물학적 및/또는 화학-물리적 파라미터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배합될 수 있다. 가능성 있는 적당한 제형은 예컨대 습식 분말(WP), 수용성 분말(SP), 수용성 농축액(SL), 유화가능한 농축액(EC), 미세유제(ME), 유중수 및 수중유 유제와 같은 유제(EW), 분무성 용액, 현탁 농축액(SC), 서스포에멀전(suspoemulsion) 농축액(SE), 유계 또는 수계 분산액, 오일-혼합성 용액, 캡슐 현탁액(CS), 더스트(DP), 시드-드레싱 생성물, 살포 및 토양(soil)용 과립, 미세과립형 과립(GR), 분무 과립, 코팅 과립 및 흡착 과립, 수-분산성 과립(WG), 수용성 과립(SG), ULV 제형, 미세캡슐 및 왁스이다. 제조 방법 및 제형은 일반적으로 공지되어 있고, 예컨대 문헌[Winnacker-Kuchler, "Chemische Technologie" [Chemical Technology], Volume 7, C. Hauser Verlag Munich, 4t" Ed. 1986], [Wade van Valkenburg, "Pesticide Formulations", Marcel Dekker, N.Y., 1973], [K. Martens, "Spray Drying" Handbook, 3rd Ed. 1979, G. Goodwin Ltd. London], [H. Mollet, A. Grubenmann, "Formulierungstechnik" [Formulation Technology], Wiley-VCH, Weinheim 2000]에 기술되어 있다.
제제 보조제, 예컨대 불활성 물질, 계면활성제, 용매 및 추가적 첨가제가 또한 공지되어 있고, 문헌[Watkins, "Handbook of Insecticide Dust Diluents and Carriers", 2nd Ed., Darland Books, Caldwell N.J.], [H.v. Olphen, "Introduction to Clay Colloid Chemistry", 2nd Ed., J. Wiley & Sons, N.Y.], [C. Marsden, "Solvents Guide" 2nd Ed., Interscience, N.Y. 1950], [McCutcheon's 10 "Detergents and Emulsifiers Annual", MC. Publ. Corp. Ridgewood N.J.], [Sisley and Wood, "Encyclopedia of Surface Active Agents", Chem. Publ. Co. Inc., N.Y. 1964], [Schonfeldt, "Grenzflachenaktive Athylenoxidaddukte" [Surface-active ethylene oxide adducts], Wiss. Verlagsgesellschaft, Stuttgart 1976], [Winnacker-Kuchler, "Chemische Technologie", Volume 7, C. Hauser Verlag Munich, 4th Ed. 1986]에 기술되어 있다.
이런 제제에 기초하여, 다른 농화학적 활성 물질, 예컨대 제초제, 살균류제, 살충제, 독성완화제, 비료 및/또는 성장 조절제와의 조합물을 예컨대 레디믹스 또는 탱크 믹스 형태로 또한 제조할 수 있다.
습식(분무성) 분말은 물에 균일하게 분산가능하고, 성분 a), b) 및 c)외에, 임의적으로 희석제 또는 불활성 물질 및 추가적 이온성 및/또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습윤제(wetter), 분산제), 예컨대 폴리옥시에틸화된 알킬페놀, 폴리옥시에틸화된 지방 알콜 또는 지방 아민, 알케인설포네이트 또는 알킬벤젠설포네이트, 나트륨 리그노설포네이트, 나트륨 2,2'-다이나프틸메테인-6,6'-다이설포네이트, 나트륨 다이부틸나프탈렌설포네이트 또는 나트륨 올레오일메틸타우라이드를 포함하는 생성물이다. 습식 분말을 제조하기 위해, 성분 a) 및 b)를 예컨대 햄머 밀, 블로워(blower) 밀 및 공기-제트 밀과 같은 통상의 기구에서 미세하게 연마하고,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제제 보조제와 혼합한다.
더스트는 성분 a) 및 c)를 미세하게 분할된 고체 물질, 예컨대 충전제 b)와 함께 연마하여 수득된다.
과립, 예컨대 살포 및 토양(soil)용 과립, 미세과립, 분무 과립, 코팅 과립 및 흡착 과립 형태의 과립(GR), 또는 수-분산성 과립(WG)일 수 있다. 이들은 예컨대 흡착성 과립화된 불활성 물질상으로 활성 물질을 분무함에 의해 또는 캐리어 예컨대 모래, 고령토 또는 과립화된 불활성 물질의 표면으로 활성 물질 농축액을 접착제 예컨대 폴리비닐 알콜, 나트륨 폴리아크릴레이트 또는 미네랄 오일을 사용하여 적용시킴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적당한 활성 물질은, 비료 과립의 제조에 적당한 방식으로, 필요한 경우 비료의 혼합물로서 과립화될 수 있다. 따라서, 농화학적 활성 물질은 예컨대 화학식 I의 계면활성제 및 충전제 b), 및 적절한 경우, 추가적 보조제와 함께 연마될 수 있고, 혼합물은 용융 압출될 수 있고, 압출물은 이어서 과립화되어 원하는 입자 크기로 수득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수-분산성 과립은 통상의 방법, 예컨대 분무 건조, 유체화-베드 과립화, 디스크 과립화, 고속 믹서로 혼합 및 고체 불활성 물질 없이 하는 압출에 의해 제조된다. 디스크 과립, 유체화된 베드 과립, 압출기 과립 및 분무 과립에 관해서는 예컨대 문헌["Spray-Drying Handbook" 3rd ed. 1979, G. Goodwin Ltd., London; J.E. Browning, "Agglomeration", Chemical and Engineering 1967, pages 147 et seq. "Perry's Chemical Engineer's Handbook", 5th Ed., McGrawHill, New York 1973, p. 8-57]의 방법을 참조한다.
유화가능한 농축액은 계면활성제 a) 및/또는 농화학적 활성 물질 c)를 하나 이상의 이온성 또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유화제)를 첨가하면서 유기 용매, 예컨대 부탄올, 사이클로헥사논, 다이메틸폼아마이드, 자일렌 또는 보다 높은 끓는점의 방향족 또는 탄화수소 또는 유기 용매의 혼합물에 용해시켜 제조된다. 사용될 수 있는 유화제의 예는 알킬아릴설폰산의 칼슘 염 예컨대 칼슘 도데실벤젠설포네이트, 또는 비이온성 유화제 예컨대 지방산 폴리글라이콜 에스터, 알킬아릴 폴리글라이콜 에테르, 지방 알콜 폴리글라이콜 에테르, 프로필렌 옥사이드/에틸렌 옥사이드 축합물, 알킬 폴리에테르, 소비탄 에스터 예컨대 소비탄 지방산 에스터, 또는 폴리옥시에틸렌 소비탄 에스터 예컨대 폴리옥시에틸렌 소비탄 지방산 에스터이다.
현탁 농축액은 수- 또는 유-계일 수 있다. 이들은 예컨대 상업적으로 구입가능한 비드 밀에 의한 습식 연마에 의해, 적절한 경우 예컨대 상기 다른 제제의 경우에서 이미 언급된 추가 계면활성제를 첨가하면서 제조될 수 있다.
유제, 예컨대 수중유 유제(EW)는 수성 유기 용매 및 적절한 경우 다른 제제의 경우에서 이미 언급된 추가의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 교반기, 콜로이드 밀 및/또는 정적 믹서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작물 보호 제품의 제제에 대한 보다 상세한 것은 예컨대 문헌[G.C. Klingman, "Weed Control as a Science", John Wiley and Sons, Inc., New York, 1961, pages 81-96] 및 [J.D. Freyer, S.A. Evans, "Weed Control Handbook", 5th Ed., Blackwell Scientific Publications, Oxford, 1968, pages 101-103]을 참조할 것.
또한, 상기 활성 물질 제제는 적절한 경우 각 경우에서 통상적인 첨가제 예컨대 접착제, 습윤제, 분산제, 유화제, 침투제, 보존제, 항결빙제, 용매, 충전제, 캐리어, 착색제, 기포방지제, 증발억제제, pH 조절제 또는 점도 조절제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 시에, 상업적으로 구입가능한 형태로 존재하는 제제는 적절한 경우 통상의 방식, 예컨대 습식 분말 및 수-분산성 과립의 경우에는 물을 사용하여 희석된다. 토양(soil) 및 살포용 더스트 및 과립 형태의 제제는 통상적으로 사용 전에 다른 불활성 물질과 추가로 희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농화학적 조성물은 예컨대 유해 생물에 또는 이들이 발생하는 지역에 예컨대 분무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농화학적 활성 물질 c)는 일반적으로 계면활성제 a) 및 충전제 b)와 함께, 또는 연속적으로, 바람직하게는 계면활성제 a), 충전제 b) 및 유효량의 농화학적 활성 물질 c), 적절한 경우, 추가의 통상적 보조제를 포함하는 분무 혼합물 형태로 사용된다. 분무 혼합물의 제조는 물 및/또는 오일, 예컨대 식물성 오일, 또는 높은 끓는점의 탄화수소 예컨대 케로센 또는 파라핀에 기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농화학적 조성물은 예컨대 탱크 믹스로서 또는 공제제(coformulation)를 통해 실현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농화학적 제제는 0.1 내지 99중량%, 특히 2 내지 95중량%의 화학적 활성 물질을 포함하고, 제제에 따라서 다음의 농도가 통상적으로 사용된다: 습식 분말에서는 활성 물질 농도는 일반적으로 약 10 내지 90중량%이고, 그 나머지로부터 100중량%까지는 통상적인 제제 성분으로 이루어진다. 유화가능한 농축액의 경우, 활성 물질 농도는 약 1 내지 90중량%, 바람직하게는 5 내지 80중량%의 양일 수 있다. 더스트 형태의 제제는 1 내지 30중량%의 활성 물질, 바람직하게는 대부분의 경우 5 내지 20중량%의 활성 물질을 포함하지만, 분무성 용액은 약 0.05 내지 80중량%,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0중량%의 활성 물질을 포함한다. 수-분산성 과립의 경우, 활성 물질 함량은 활성 물질이 액체 또는 고체 형태로 존재하는가 및 사용된 과립화 보조제, 충전제 등에 따라 부분적으로 좌우된다. 수-분산성 과립의 경우, 활성 물질 함량은 예컨대 1 내지 95중량%,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80중량%이다. 상기 언급된 %는 각 경우에서 보다 낮거나 높을 수 있다.
분무 혼합물은 바람직하게는 수계성 방식으로 제조된다. 화학식 I의 계면활성제:농화학적 활성 물질의 중량비는 폭넓게 변할 수 있다. 대개, 이 범위는 5000:1 내지 1:1000, 바람직하게는 2000:1 내지 1:50, 특히 바람직하게는 1000:1 내지 1:2인 것이 일반적이다. 화학식 I의 계면활성제의 적용 비율은 일반적으로 10 내지 5000g/ha,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2000g/ha이다. 그러나, 상기 언급된 범위는 개별적인 경우에서 낮게 되거나 높게 될 수 있다.
분무 혼합물 중의 화학식 I의 계면활성제 농도는 일반적으로 0.001 내지 4중량%,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2중량%이다. 일반적으로 충전제의 농도는 0.001 내지 4중량%,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2중량%의 양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애주번트의 상기 제조 방법은 원칙적으로 농화학적 활성 물질의 혼입을 허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애주번트 외에 하나 이상의 농화학적 활성 물질을 포함하는 예컨대 과립, 분말 또는 더스트 형태의 농화학적 조성물을 수득할 수 있게 한다.
화학식 I의 계면활성제와 함께 배합될 수 있는 농화학적 활성 물질은 80℃를 초과하는 융점을 갖는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개별적 경우에서 농화학적 활성 물질의 융점은 또한 80℃ 미만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화학식 I의 계면활성제 및 농화학적 활성 물질 사이의 중량비는 5000:1 내지 1:1000으로 변하지만, 또한 개별적 경우에서 상기 범위보다 낮게 되거나 또는 높게 될 수 있다. 특히 더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상기 중량비는 10:1 내지 1:2, 특히 5:1 내지 1:1.5의 범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애주번트 및 농화학적 활성 물질을 포함하는 상기 과립, 분말 또는 더스트와 같은 고체 생성물도 본 발명의 주제이다.
본 발명에 따른 농화학적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광범위한 범위의 경제적으로 중요한 단자엽 및 쌍자엽 유해 식물에 대해 현저한 제초 활성을 갖는 제초제 조성물이다.
또한, 활성 성분은 뿌리줄기, 근경(rootstock) 또는 기타 다년생 생물로부터 싹을 튀우고, 방제하기 어려운 다년생 잡초에 대해 효과적으로 작용한다. 이 문장에서, 상기 물질을 씨뿌리기 전에, 출현 전에 또는 출현 후에 적용하는가는 중요하지 않다. 특정 종에 한정됨이 없이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에 의해 방제될 수 있는 단자엽 및 쌍자엽 잡초 식물의 대표적인 것들의 일부를 구체적인 예로서 언급할 수 있다.
제초제 조성물이 효과적으로 작용하는 잡초 종의 예는 단자엽 잡초 종 중에서, 예컨대 1년생 군에서의 아페라 스피카 벤티(Apera spica venti), 아베나 종(Avena spp.), 알로페쿠르스 종(Alopecurus spp.); 브라키아리아 종(Brachiaria spp.), 디기타리아 종(Digitaria spp.), 롤리움 종(Lolium spp.), 에키노클로아 종(Echinochloa spp.), 파니쿰 종(Panicum spp.), 팔라리스 종(Phalaris spp.), 포아 종(Poa spp.), 세타리아 종(Setaria spp.) 및 브로무스 종(Bromus spp.) 예컨대 브로무스 카타르티쿠스(Bromus catharticus), 브로무스 세칼리누스(Bromus secalinus), 브로무스 에렉투스(Bromus erectus), 브로무스 텍토룸(Bromus tectorum) 및 브로무스 자포니쿠스(Bromus japonicus), 및 사이페루스 종(Cyperus species) 및 다년생 종에서, 아그로파이론(Agropyron), 사이노돈(Cynodon), 임페라타(Imperata) 및 소르그훔(Sorghum) 및 또한 다년생 사이페루스 종(Cyperus species)이 있다.
쌍자엽 잡초 종의 경우, 활성 스펙트럼은 속(genera), 예컨대 1년생 중에서 아부틸론 종(Abutilon spp.), 아마란투스 종(Amaranthus spp.), 케노포디움 종(Chenopodium spp.), 크라이산테뭄 종(Chrysanthemum spp.), 갈리움 종(Galium spp.) 예컨대 갈리움 아파리네(Galium aparine), 이포모에아 종(Ipomoea spp.), 코키아 종(Kochia spp.), 라미움 종(Lamium spp.), 마트리카리아 종(Matricaria spp.), 파르비티스 종(Pharbitis spp.), 폴리고눔 종(Polygonum spp.), 시다 종(Sida spp.), 시나피스 종(Sinapis spp.), 솔라눔 종(Solanum spp.), 스텔라리아 종(Stellaria spp.), 베로니카 종(Veronica spp.) 및 비올라 종(Viola spp.), 잔티움 종(Xanthium spp.), 및 다년생 잡초의 경우 콘볼불루스(Convolvulus), 시르시움(Cirsium), 루멕스(Rumex) 및 아르테미시아(Artemisia)까지 미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또한 쌀 예컨대 에키노클로아(Echinochloa), 사기따리아(Sagittaria), 알리스마(Alisma), 엘레오카리스(Eleocharis), 스시르푸스(Scirpus) 및 사이페루스(Cyperus)에서 특정 경작 하에서 발견되는 유해 식물에 현저하게 효과적으로 작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초제 조성물이 발아 전에 토양 표면에 적용되는 경우, 잡초 싹(seedling)은 완전히 나오지 못하거나 또는 잡초는 자엽 단계에 도달될 때까지 성장하지만, 그 후로는 성장을 중단하여, 결과적으로는 3 내지 4주 경과 후에 이들은 완전히 사멸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초제 조성물이 출현 후에 상기 식물의 녹색 부분에 적용되면, 처리 후에 성장은 매우 짧은 시간 내에 중단되고, 잡초 식물은 적용 시점에서의 성장 단계에서 머무르거나 또는 소정 시간 후에 완전히 사멸되어, 이런 방식으로 작물에 유해한 잡초에 의한 경쟁은 매우 일찍 및 지속적 방식으로 제거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초제 조성물은 제초 활성이 신속하게 개시되고 오래 지속되는 특징을 갖는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조합물의 활성 물질의 강우견뢰성(rainfastness)은 유용하다. 제초제 조성물에 사용된 투여량 및 제초제 화합물의 유효 투여량은 이들의 토양 활성이 최적으로 낮게 되도록 하는 낮은 수준으로 조정될 수 있다는 것이 특별한 장점이다. 이런 투여량은 이들을 먼저 민감성 작물에 사용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지하수 오염을 실질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활성 물질 조합물은 활성 물질의 적용 비율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
특정 제초제에서 본 발명에 따른 애주번트 및 농화학적 활성 물질이 결합되어 사용되는 경우,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초부가적(시너지적) 효과가 관찰된다. 이는 조합물에서의 효과가 사용된 개별 성분의 예상된 효과의 합을 초과함을 의미한다. 시너지적 효과는 적용 비율을 감소시키고, 보다 넓은 범위의 광폭-잎 잡초 및 목초 잡초가 방제될 수 있게 하고, 제초 효과가 보다 신속하게 개시되게 하고, 활성 지속 기간을 보다 길게 하고, 단지 1회 또는 수회 사용하지만 유해 식물을 보다 우수하게 방제할 수 있게 하고, 적용 범위를 확장시킨다. 일부 경우, 본 조성물의 사용은 유해 성분, 예컨대 질소 또는 올레산의 양 및 이들이 땅으로 유입되는 양을 감소시킨다.
상기 특성 및 장점은 바람직하지 않은 경쟁 식물로부터 해방된 상태로 작물을 유지시켜 질적 및 양적의 관점에서 수득 수준을 확보 및/또는 증가시키기 위해 잡초 방제 절차에 필요하다. 이런 신규 조합물은 기술된 특성의 관점에서 종래의 기술 상태를 현저하게 초과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이 단자엽 및 쌍자엽 잡초에 대해 현저한 제초 활성을 갖지만, 경제적으로 중요한 작물, 예컨대 쌍자엽성 작물 예컨대 콩, 면, 오일시드 레이프(oilseed rape), 사탕무, 또는 벼과 작물 예컨대 밀, 보리, 호밀, 귀리, 수수 및 기장, 쌀 또는 옥수수는 오직 약간의 피해만 받거나 전혀 피해가 없다. 이는 본 발명의 화합물이 작물 또는 관상 식물의 재배에서 바람직하지 않은 식물 성장의 선택적 방제에 상당히 적절한 이유를 보여주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일부는 현저한 작물의 성장-조절 특성을 갖는다. 이들은 조절 방식으로 식물 대사에 관여하여, 식물 성분에 직접적 영향을 일으켜 예컨대 탈수 및 성장 중단을 개시하여 수확을 촉발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이들은 식물을 동시적으로 파괴함이 없이 바람직하지 않은 식물 성장을 일반적으로 방제 및 억제하는데 적당하다. 쓰러져서 생기는 수득 손실이 감소되거나 완전히 예방될 수 있기 때문에, 식물 성장의 억제는 많은 단자엽 및 쌍자엽 작물에서 매우 중요하다.
이들의 제초 및 식물-성장-조절 특성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유전자 조작되거나 돌연변이 선택에 의해 얻은 작물에서 유해 식물을 방제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런 작물은 일반적으로 특별한 유용한 특성, 예컨대 제초제 조성물에 대한 내성 또는 식물 질병에 대한 내성, 또는 식물 질병의 원인 생물, 예컨대 특정 곤충 또는 미생물, 예컨대 균류, 박테리아 또는 바이러스에 대한 내성에 의해 구별된다. 다른 구체적 특징은 예컨대 양, 품질, 저장성, 조성 및 특정 성분에 관한 수확된 물질과 관련된다. 이와 같이, 예컨대 전분 함량이 증가되거나 또는 전분 질이 변화된 유전자 도입 식물 또는 수확된 물질이 상이한 지방산 조성을 갖는 유전자 도입 식물이 알려져 있다.
유용한 식물 및 관상 식물 중 경제적으로 중요한 유전자 도입 작물, 예컨대 벼과 식물, 예컨대 밀, 보리, 호밀, 귀리, 수수 및 기장, 쌀 및 옥수수 또는 다른 작물, 예컨대 사탕무, 면, 콩, 오일시드 레이프, 감자, 토마토, 완두콩 및 기타 야채에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식물독성 효과에 내성을 갖거나 재조합 기술에 의해 이런 효과에 대한 내성을 갖도록 만들어진 유용한 작물에서 제초제로서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제 조성물을 유전자 도입 작물에 사용 시에, 다른 작물에서 관찰된 유해 식물에 대한 효과 외에 예컨대 논의되는 유전자 도입 작물, 예컨대 변형되거나 구체적으로 폭넓은 방제가능한 잡초 스펙트럼, 적용시 사용될 수 있는 변형된 적용 비율, 바람직하게는 유전자 도입 작물이 내성을 갖는 제초제와의 우수한 조합 능력, 및 유전자 도입 작물의 성장 및 수득 수준에 대한 효과도 종종 관찰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또한 바람직하지 않은 식물 성장을 바람직하게는 작물에서, 예컨대 곡물(예: 밀, 보리, 호밀, 귀리, 쌀, 옥수수, 수수 및 기장), 사탕무, 사탕수수, 오일시드 레이프, 면 및 콩에서, 특히 바람직하게는 단자엽 식물 예컨대 곡물 예컨대 밀, 보리, 호밀, 귀리 및 이들의 잡종인 라이밀, 쌀, 옥수수, 수수 및 기장에서 본 발명에 따른 하나 이상의 제초제 조성물이 유해 식물, 식물 부분, 식물의 씨 또는 식물 성장 영역, 예컨대 재배 영역에서 방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작물은 또한 유전학적으로 변형되거나 돌연변이 선택에 의해 얻을 수 있고; 이들은 바람직하게는 아세토락테이트 신타제(ALS) 억제제에 내성을 갖는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초제 조성물을 바람직하게는 작물에서 유해 식물을 방제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초제 조성물은 예컨대 재배 작물에서 바람직하지 않은 식물 성장을 방제하기 위해 화단가(verge), 광장, 산업 부지 또는 레일 트랙 상에서 비선택적으로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농화학적 조성물, 특히 제초제 조성물은 이후에 물로 희석되어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혼합 제제로서, 적절한 경우 기타 농화학적 활성 물질 및 보조제 예컨대 첨가제 및/또는 제제 보조제와 함께 존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물과 결합적 희석에 의한 탱크 믹스(성분들은 개별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개별적으로 배합되어짐)로서 알려진 것으로 존재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초제 조성물의 비교적 낮은 적용 비율 때문에, 이들은 일반적으로 허용성이 크다. 특히, 제초제 활성 물질을 개별적으로 사용한 경우와 비교 시에, 절대 적용 비율에서의 감소가 본 발명에 따른 조합물에 의해 성취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예컨대 출현-전, 출현-후 또는 출현-전 및 출현-후, 바람직하게는 출현-전에 제초제적 활성량의 상기 제초제 c)를 하나 이상의 계면활성제 a) 및 하나 이상의 충전제 b)와 조합하여 식물, 식물 부분, 식물의 씨 또는 식물 성장 영역, 예컨대 재배 영역에 결합적으로 또는 연속으로 적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유해 식물의 방제 방법, 바람직하게는 작물에서 유해 식물의 선택적 방제를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한 변형 방법에서, 제초제 c)는 0.1 내지 2000g의 활성 물질/ha, 특히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000g의 활성 물질/ha의 적용 비율로 적용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예컨대 제제 형태의 개별적 성분들이 탱크 내에서 물과 결합적으로 혼합되어 생성된 분무 혼합물이 적용되는 공제제 형태 또는 탱크 믹스 형태로 활성 물질을 적용한다.
매우 높은 수준으로 유해 식물을 방제함과 함께 본 발명에 따른 조합물의 작물 부합성(compatibility)이 매우 우수하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조합물은 선택적인 것으로 여겨질 수 있다. 그러므로,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활성 물질을 갖는 제초제 조성물은 바람직하지 않은 식물의 선택적 방제에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초제 조성물의 부합성 및/또는 선택성이 보다 증가되는 것이 필요한 경우, 이들과 함께 독성완화제 또는 해독제를 혼합물에 결합적으로 또는 시차를 두어 적용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초제 조성물에 대한 독성완화제 또는 해독제로서 적당한 화합물은 예컨대 EP-A-333 131(ZA-89/1960), EP-A-269 806(US-A-4,891,057), EP-A-346 620(AU-A-89/34951) 및 국제 특허 출원 PCT/EP 90/01966(WO-91108202) 및 PCT/EP 90102020(WO-911078474) 및 이들에 인용된 문헌에 공지되어 있고, 또는 이들 문헌에 기술된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보다 적당한 독성완화제는 EP-A-94 349(US-A-4,902,304), EP-A-191 736(US-A-4,881,966) 및 EP-A-0 492 366 및 이들에 인용된 문헌에 공지되어 있다.
그러므로,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제초제 조성물은 독성완화제 또는 해독제로서 작용하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을 부가적 함량으로 함유한다.
특히 바람직한 해독제 또는 독성완화제 또는 상기 본 발명의 제초제 조성물에 대한 독성완화제 또는 해독제로서 적당한 화합물 군은 다음과 같다:
a) 다이클로로페닐피라졸린-3-카복실산 유형의 화합물, 바람직하게는 에틸 1-(2,4-다이클로로페닐)-5-(에톡시카보닐)-5-메틸-2-피라졸린-3-카복실레이트(화합물 S1-1, 메펜피르-다이에틸) 및 국제 특허 출원 WO 91/07874 (PCT/EP 90102020)에 기술된 관련 화합물과 같은 화합물;
b) 다이클로로페닐피라졸카복실산 유도체, 바람직하게는 에틸 1-(2,4-다이클로로페닐)-5-메틸피라졸-3-카복실레이트(화합물 S1-2), 에틸 1-(2,4-다이클로로페닐)-5-아이소프로필피라졸-3-카복실레이트(화합물 S1-3), 에틸 1-(2,4-다이클로로페닐)-5-(1,1-다이메틸에틸)피라졸-3-카복실레이트(화합물 S1-4), 에틸 1-(2,4-다이클로로페닐)-5-페닐피라졸-3-카복실레이트(화합물 S1-5) 및 EP-A-0 333 131 및 EP-A-0 269 806에 기재된 관련 화합물과 같은 화합물;
c) 트라이아졸카복실산 유형의 화합물, 바람직하게는 에틸 1-(2,4-다이클로로페닐)-5-트라이클로로메틸-(1H)-1,2,4-트라이아졸-3-카복실레이트(화합물 S1-6, 펜클로라졸) 및 관련 화합물(EP-A-0 174 562 및 EP-A-0 346 620 참조)과 같은 화합물;
d) 다이클로로벤질-2-아이속사졸린-3-카복실산 유형의 화합물, 5-벤질- 또는 5-페닐-2-아이속사졸린-3-카복실산 유형의 화합물, 바람직하게는 에틸 5-(2,4-다이클로로벤질)-2-아이속사졸린-3-카복실레이트(화합물 S1-7) 또는 에틸 5-페닐-2-아이속사졸린-3-카복실레이트(화합물 S1-8), 및 국제 특허 출원 WO 91/08202 (PCT/EP 90/01966)에 기술된 관련 화합물과 같은 화합물;
e) 8-퀴놀린옥시아세트산 유형의 화합물, 바람직하게는 1-메틸헥스-1-일(5-클로로-8-퀴놀린옥시)아세테이트(S2-1; 클로퀸토세트멕실), 1,3-다이메틸부트-1-일(5-클로로-8-퀴놀린옥시)아세테이트(S2-2), 4-알릴옥시부틸(5-클로로-8-퀴놀린옥시)아세테이트(S2-3), 1-알릴옥시프로프-2-일(5-클로로-8-퀴놀린옥시)아세테이트(S2-4), 에틸(5-클로로-8-퀴놀린옥시)아세테이트(S2-5), 메틸(5-클로로-8-퀴놀린옥시)아세테이트(S2-6), 알릴(5-클로로-8-퀴놀린옥시)아세테이트(S2-7), 2-(2-프로필리덴이미녹시)-1-에틸(5-클로로-8-퀴놀린옥시)아세테이트(S2-8), 2-옥소프로프-1-일(5-클로로-8-퀴놀린옥시)아세테이트(S2-9) 및 EP-A-0 086 750, EP-A-0 094 349 및 EP-A-0 191 736 또는 EP-A-0 492 366에 기술된 관련 화합물과 같은 화합물;
f) (5-클로로-8-퀴놀린옥시)말론산 유형의 화합물, 바람직하게는 다이에틸(5-클로로-8-퀴놀린옥시)말로네이트, 다이알릴(5-클로로-8-퀴놀린옥시)말로네이트, 메틸에틸(5-클로로-8-퀴놀린옥시)말로네이트 및 독일 특허 출원 EP-A-0 582 198에 기재 및 제안된 관련 화합물과 같은 화합물;
g) 페녹시아세트산 유도체 또는 페녹시프로피온산 유도체 또는 방향족 카복실산 유형의 활성 물질, 예컨대 2,4-다이클로로페녹시아세트산(및 에스터)(2,4-D), 4-클로로-2-메틸페녹시프로피온산(메코프로프), MCPA 또는 3,6-다이클로로-2-메톡시벤조산(및 에스터)(다이캄바);
h) 5,5-다이페닐-2-아이속사졸린-3-카복실산 유형의 화합물, 바람직하게는 에틸 5,5-다이페닐-2-아이속사졸린-3-카복실레이트(S3-1, 아이속사다이펜-에틸);
i) 독성완화제로서 공지된 화합물, 예컨대 쌀에 대한 독성완화제 화합물 예컨대 펜클로림(fenclorim)(=4,6-다이클로로-2-페닐피리미딘, 문헌[Pesticide Manual, 11th Edition, 20 1997, pp.511-512]), 다이메피페레이트(dimepiperate)(=S-1-메틸-1-페닐에틸 피페리딘-1-티오카복실레이트, 문헌[Pesticide Manual, 11th Edition, 1997, pp.404-405]), 다이무론(daimuron)(=1-(1-메틸-1-페닐에틸)-3-p-톨릴우레아, 문헌[Pesticide Manual, 11th Edition, 1997, p. 330]), 쿠밀루론(cumyluron)(=3-(2-클로로페닐메틸)-1-(1-메틸-1페닐에틸)우레아, JP-A-60/087254), 메톡시페논(=3,3'-다이메틸-4-메톡시벤조페논, CSB(=1-브로모-4-(클로로메틸설포닐)벤젠, CAS-등록 번호 54091-06-4).
또한, 상기 화합물 중 적어도 일부는 EP-A-0 640 587에 기재되어 있고, 이는 본원에 개시 목적으로 인용된다.
j) 독성완화제 및 해독제로서 적당한 보다 중요한 화합물 군은 WO 95/07897에 공지되어 있다.
상기 a) 내지 j) 군의 독성완화제(해독제)는 본 발명에 따른 제초제 조성물이 유용한 작물에 사용 시에 관찰될 수 있는 식물독성 효과를 유해 식물에 대한 제초제의 효능에 악영향이 없이 감소 또는 방지한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제초제 조성물의 적용 범위를 상당하게 증가시킬 수 있게 하고; 특히, 독성완화제의 사용은 과거에 제한된 정도로만 또는 충분하게 성공적이지 못하게만 사용될 수 있던 제초제 조성물, 즉 불량한 활성 범위로 낮은 투여량으로 독성완화제 없이는 유해 식물의 불충분한 방제를 초래하였던 조합물의 적용을 가능케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초제 조성물의 성분 a), b) 및 c) 및 상기 독성완화제는 결합적으로(예컨대 레디믹스로서 또는 탱크 믹스법에 의해) 또는 임의의 원하는 순서로 연속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독성완화제:제초제(화학식 I의 화합물(들) 및/또는 이들의 염)의 중량비는 넓은 범위에서 변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1:100 내지 100:1, 특히 1:100 내지 50:1의 범위에 있다. 각 경우에서 최적인 제초제(들) 및 독성완화제(들)의 양은 보통 제초제 조성물의 유형 및/또는 사용된 독성완화제, 및 또한 처리되는 식물 수목의 성질에 따라 좌우된다.
이들의 특성에 따라, 독성완화제는 작물의 씨앗의 사전처리(씨앗 드레싱)에 사용될 수 있거나, 씨부리기 전에 씨앗 고랑으로 도입될 수 있거나, 또는 유해 식물의 출현 전 또는 후에 제초제 혼합물과 함께 적용될 수 있다. 출현-전 처리는 씨뿌리기 전에 재배 영역의 처리 및 씨가 뿌려졌지만 아직 성장이 시작되지 않은 재배 영역의 처리 모두를 포함한다. 제초제 혼합물과의 결합 적용이 바람직하다. 탱크 믹스 또는 레디믹스가 이런 목적으로 사용된다.
독성완화제의 필요한 적용 비율은 지시사항 및 사용된 제초제에 따라 폭 넓게 변할 수 있다; 이들은 일반적으로 1 헥타 당 0.001 내지 1kg, 바람직하게는 0.005 내지 0.2kg의 활성 물질의 범위로 존재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초제 조성물은 통상의 방식으로, 예컨대 캐리어로서의 물과 함께 분무 혼합물로 약 5 내지 4000리터/ha로 적용될 수 있다. 과립 및 미세과립의 형태로 적용가능 하듯이, 저-체적 및 초-저-체적 방법(ULV)으로 알려진 조성물의 적용법도 가능하다.
바람직한 용도는 시너지적 활성 양으로 성분 a), b) 및 c)를 함유하는 제초제 조성물의 적용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계면활성제 a)와 하나 이상의 충전제 b), 및 하나 이상의 제초제 c)의 혼합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제초제 c) 외의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농화학적 활성 물질(예컨대 살충제, 살균류제, 독성완화제)은 이들의 성질을 보충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초제 조성물에 보통 소량으로 존재할 수 있다.
이는 수개의 농화학적 활성 물질들이 서로 조합하는 많은 가능성을 초래하고,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이들을 결합적으로 사용하여 유해 식물을 방제할 수 있다.
따라서,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예컨대 다양한 화학식 III의 제초 활성 물질 및/또는 이들의 염을 서로 조합할 수 있다. 이들 예는 다음과 같다:
메조설푸론-메틸 + 요오도설푸론-메틸,
메조설푸론-메틸 + 요오도설푸론-메틸-나트륨,
메조설푸론-메틸 + 포람설푸론,
메조설푸론-메틸 + 포람설푸론-나트륨,
메조설푸론-메틸-나트륨 + 요오도설푸론-메틸,
메조설푸론-메틸-나트륨 + 요오도설푸론-메틸-나트륨,
메조설푸론-메틸-나트륨 + 포람설푸론,
메조설푸론-메틸-나트륨 + 포람설푸론-나트륨,
포람설푸론 + 요오도설푸론-메틸,
포람설푸론 + 요오도설푸론-메틸-나트륨,
포람설푸론-나트륨 + 요오도설푸론-메틸,
포람설푸론-나트륨 + 요오도설푸론-메틸-나트륨.
제초 활성 물질 c) 및 이들의 혼합물, 예컨대 화학식 III의 활성 물질 및/또는 이들의 염의 상기 언급된 활성 물질 혼합물은 하나 이상의 독성완화제와, 특히 독성완화제 메펜피르-다이에틸(S1-1), 클로퀸토세트-멕실(S2-1) 및 아이속사디펜-에틸(S3-1)과 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애주번트는 높은 물리적 안정성 및 높은 계면활성제 함량을 갖고; 또한, 이들은 환경적으로 유리하다. 더우기, 이들은 높은 생물학적 활성, 높은 활성 물질 함량 및 현저한 탱크 믹스 품질을 갖는 농화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적당하다.
다음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는 것이고,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애주번트의 제조
실시예 1
50 g의 사포게낫(Sapogenat)R T500, 20 g의 시퍼낫(Sipernat)R 50S, 10 g의 아트록스(Atlox)R 메타스퍼스(Metasperse) 150S, 5 g의 모르웨트(Morwet)R EFW, 10 g의 황산 암모늄, 5 g의 발포성(effervescent) 분말(시트르산/탄산수소 나트륨)을 80-100ㅀC의 온도에서 강하게 혼련기(kneader)(베르너 앤드 플라이더러사 LUK 025TV)(혼합 시간: 40분)에서 강하게 혼합하였다. 이어서 혼합물을 벤치-탑(bench-top) 과립화 기구(Benchtop KAR-75)로 이동시키고, 압출 과립으로 제조하였다. CIPAC 측정법에 따른 생성된 샘플의 분산도 및 현탁도는 54℃에서 2주 동안 샘플을 저장시킨 후에도 매우 높은 품질을 보였다.
하기 표 1에 열거된 애주번트(실시예 2 내지 5)를 과립 형태로 유사하게 수득하였다(데이터는 중량%이다):
실시예 6
31 g의 사포게낫R T500 절편을 IKA 레보래토리 밀에서 연마하여 입자 크기가 약 200㎛가 되게 하고, 부엌용 블렌더에서 21.05 g의 글루포시네이트-암모늄, 16.75 g의 시퍼낫R 350(고분산 실리카), 3.04 g의 아트록스R 메타스퍼스 150S, 5.10 g의 게나폴R LRO(페이스트, 69%), 0.06 g의 플루오웨트R PP, 20 g의 황산 암모늄 및 3 g의 아그리미어(Agrimere) XLF와 충분히 혼합하였다.
이 블렌드를 진동 슈트(chute)를 사용하여 터모-프리즘(Thermo-Prism)사(유형 트윈-스크루 압출기 Eurolab 16mm)의 용융 압출 기구로 옮기고, 0.7mm 구멍의 다공(multihole) 노즐을 통해 압출하였다. 작동 온도는 드로잉-인(drawing-in) 구역에서 25℃이고, 모든 혼합 및 혼련 구역에서 65℃이고, 노즐 직전에서 60℃였다. 압출기를 이탈 후 수 초 내에 압출물은 응고되고, 약 3mm 길이로 단편화되었다. 압출물의 분산도를 CIPAC MT174에 따라 측정하여, 70중량%가 되었다. 이 방법은 문헌[CIPAC Handbook, Collaborative International Pesticides Analytical Council Ltd 1995: Physico-chemical Methods for Technical and Formulated Pesticides, Vol. F, page 435]에 기재되어 있다.
실시예 7
활성 물질로서의 글라포스페이트-암모늄 대신 글루포시네이트를 사용한 것만을 제외하고 실시예 6을 반복하였다. 압출물의 분산도는 76중량%이었다.
실시예 8
900 g의 사포게낫R T500를 뢰디게(Lodige)사의 스팀-가열 5리터 믹서에서 용융시켰다. 269.6 g의 시퍼낫R 50S를 도입하고, 유동성 흡수질(absorbate)을 수득할 때까지 혼합물을 균질화시켰다. 그 후, 히터를 끄고, 618.4 g의 다이플루페니칸(diflufencian)(5㎛의 입자 크기로 미리 연마됨)을 혼합하였다. 그 후, 130 g의 게나폴R X-150, 80 g의 아트록스 메타스퍼스R 150S 및 2 g의 플루오웨트R PP를 도입하고, 혼합물을 균질화시켰다. 이 혼합물을 실시예 6에 기술된 바와 같이 용융-압출시켰다. 압출물의 분산도는 69중량%였다.
실시예 9
180.95 g의 사포게낫 T500 절편을 연마하여 입자 크기가 200㎛가 되게 하고, 부엌용 블렌더에서 187.5 g의 메타미트론(metamitron) 및 78.1 g의 시퍼낫R 50S상의 78.1 g의 게나폴R LRO(페이스트, 69%), 18.35 g의 아트록스R 메타스퍼스R 150S, 5 g의 디스인텍스(Disintex)R 200 및 0.35 g의 플루오웨트R PP의 흡수질과 충분히 혼합하였다. 이 혼합물을 실시예 6에 기술된 바와 같이 용융-압출시켰다. 압출물의 분산도는 71중량%였다.
주:
사포게낫R T500 2,4,6-트라이-2급-부틸페닐 폴리에톡실레이트(클라리언트)
시퍼낫R 50S, 350 고분산 침전 실리카(데구사)
타몰R PP 페놀설폰산/폼알데하이드 중축합물, 나트륨 염(바스프)
게나폴R LRO(페이스트, 69%) 라우릴 에톡실 에테르 설페이트(클라리언트)
게나폴R X-150 아이소트라이데실 알콜 에톡실레이트(클라리언트)
카올린R 1777 점토(지글러, 분시델)
아트록스 메타스퍼스R 150S 스티렌/아크릴산 공중합체(유니크마)
스테아믹R OOS 알루미늄 하이드로실리케이트(탈크 데 루제나크)
모르웨트R EFW 알킬나프탈렌설폰산 유도체(아크조 노벨)
플루오웨트R PP 퍼플루오로알킬포스폰산(클라리언트)
아그리머R XLF 가교결합된 폴리비닐피롤리돈(ISP)
디스인텍스R 200 가교결합된 폴리비닐피롤리돈(ISP)

Claims (17)

  1. a) 하나 이상의 하기 화학식 I의 계면활성제 및 b) 하나 이상의 충전제를 함유하는 고체 애주번트:
    화학식 I
    Ar-O-(CHR1-CHR2-O-)yR3
    상기 식에서,
    Ar은 2개 이상의 (C1-C30)알킬 라디칼에 의해 치환된 아릴이고,
    R1은 H 또는 (C1-C6)알킬이고,
    R2는 H 또는 (C1-C6)알킬이고,
    R3은 H, 비치환 또는 치환된 (C1-C30) 탄화수소 라디칼, 설포네이트 라디칼, 포스포네이트 라디칼 또는 아실 라디칼이고,
    y는 1 내지 100의 정수이다.
  2. 제 1 항에 있어서,
    화학식 I에서 y는 15 내지 100의 정수인 고체 애주번트.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화학식 I에서, Ar은 나프틸 또는 페닐에 부착된 3 내지 7개의 (C1-C10)알킬 라디칼을 갖는 나프틸 또는 페닐 잔기이고,
    R1은 H 또는 메틸이고,
    R2는 H 또는 메틸이고,
    R3은 H, (C1-C30)알킬, (C2-C30)알케닐 또는 (C 2-C30)알카이닐, 설포네이트 라디칼, 포스포네이트 라디칼 또는 아실 라디칼이고,
    y는 1 내지 20의 정수인 고체 애주번트.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충전제 b)는 무기 캐리어 또는 합성 캐리어인 고체 애주번트.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작물 보호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보조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고체 애주번트.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서의 고체 애주번트의 제조 방법으로서, 성분들을 서로 혼합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7. 농화학적 조성물의 제조를 위한,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서의 고체 애주번트의 용도.
  8. α)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서의 하나 이상의 고체 애주번트; 및
    β) 하나 이상의 농화학적 활성 물질을 포함하는
    농화학적 조성물.
  9. 제 8 항에 있어서,
    농화학적 활성 물질이 제초제인 농화학적 조성물.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농화학적 활성 물질이 다이플루페니칸, 페녹사프로프-P-에틸, 메타미트론, 에토푸메세이트, 펜메디팜, 데스메디팜 또는 인-함유 제초제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농화학적 조성물.
  11. 제 8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작물 보호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농화학적 활성 물질 및 보조제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추가 성분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농화학적 조성물.
  12. 제 8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정의된 농화학적 조성물의 성분들을 유해 생물에 또는 유해 생물이 생기는 장소에 결합적으로 또는 개별적으로 적용하는, 유해 생물의 방제 방법.
  13. 제 9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정의된 제초제 조성물의 성분들을 식물, 식물 부분, 식물의 씨 또는 식물이 성장하는 영역에 결합적으로 또는 개별적으로 적용하는, 유해 식물의 방제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작물에서의 유해 식물의 선택적 방제를 위한 방법.
  15. 유해 생물의 방제를 위한 제 8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정의된 농화학적 조성물의 용도.
  16. 유해 식물의 방제를 위한 제 9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정의된 제초제 조성물의 용도.
  17. 제 8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정의된 농화학적 조성물의 제조 방법으로서, 성분들을 서로 혼합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KR10-2005-7000559A 2002-07-12 2003-06-30 고체 애주번트 KR2005002146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31615A DE10231615A1 (de) 2002-07-12 2002-07-12 Feste Adjuvantien
DE10231615.5 2002-07-12
PCT/EP2003/006933 WO2004006671A1 (de) 2002-07-12 2003-06-30 Feste adjuvantie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1460A true KR20050021460A (ko) 2005-03-07

Family

ID=30009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0559A KR20050021460A (ko) 2002-07-12 2003-06-30 고체 애주번트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1) US20040013678A1 (ko)
EP (1) EP1523236A1 (ko)
JP (1) JP2005533091A (ko)
KR (1) KR20050021460A (ko)
CN (1) CN1668190A (ko)
AR (1) AR040479A1 (ko)
AU (1) AU2003258502A1 (ko)
BR (1) BR0312628A (ko)
CA (1) CA2492679A1 (ko)
DE (1) DE10231615A1 (ko)
HR (1) HRP20050023A2 (ko)
MX (1) MXPA05000507A (ko)
RU (1) RU2005103817A (ko)
TW (1) TW200402263A (ko)
WO (1) WO2004006671A1 (ko)
ZA (1) ZA20041013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391A1 (de) * 2002-01-16 2003-07-31 Bayer Cropscience Ag Verwendung von Alkoholethoxylaten als Penetrationsförderer
AU2006200731B2 (en) * 2005-03-31 2011-05-19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Emulsifiable concentrate
EP1836894A1 (de) * 2006-03-25 2007-09-26 Bayer CropScience GmbH Neue Sulfonamid-haltige feste Formulungen
EA200800751A1 (ru) * 2005-09-08 2008-08-29 Байер Кропсайенс Аг Новые сульфонамидсодержащие твердые препараты
KR20140097573A (ko) * 2011-12-15 2014-08-06 바스프 에스이 살충제 및 폴리알콕실레이트의 용융물로부터 제조되며, 임의로는 폴리카르복실레이트로 착물형성된 액체 아쥬반트를 함유하는 고체 농약제형물
US20160244390A1 (en) * 2013-10-07 2016-08-25 Clariant International Ltd. Etherified Tri-Butylphenol Alkoxylates, Process For Their Preparation And Their Use In Crop Protection Agents
EP3210468A1 (de) * 2016-02-26 2017-08-30 Bayer CropScience Aktiengesellschaft Lösungsmittelfreie formulierungen von niedrig schmelzenden wirkstoffen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561974A (en) * 1975-07-04 1980-03-05 Reckitt & Colmann Prod Ltd Coating compositions
HU196885B (en) * 1985-10-01 1989-02-28 Mta Koezponti Kemiai Kutato In Herbicides containing as active substance aryloxiphenoxi-acyl-malonic acid esthers and process for production of the active substances
EP0541056B1 (de) * 1991-11-08 1996-06-12 Hoechst Schering AgrEvo GmbH Wasserdispergierbare Granulate aus Suspoemulsionen
DE4239181A1 (de) * 1992-11-03 1994-05-05 Hoechst Ag Wirkungsverstärkung von Neophanen, Azaneophanen und anderen Wirkstoffen durch Penetrationsmittel
EP0971590B1 (de) * 1997-03-24 2003-05-28 Basf Aktiengesellschaft Feste mischungen auf der basis von sulfonylharnstoffen und adjuvantien
EP0968649A1 (en) * 1998-07-02 2000-01-05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Adjuvants for novel dry herbicide formulations
DE10022989A1 (de) * 2000-05-11 2001-11-22 Aventis Cropscience Gmbh Kombinationen von Pflanzenschutzmitteln mit organischen oder anorganischen Trägermaterialien
KR20030017549A (ko) * 2000-06-19 2003-03-03 바이엘 크롭사이언스 게엠베하 제초제
DE10063960A1 (de) * 2000-12-20 2002-06-27 Aventis Cropscience Gmbh Herbizide Mitt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4006671A1 (de) 2004-01-22
US20040013678A1 (en) 2004-01-22
ZA200410131B (en) 2006-07-26
BR0312628A (pt) 2005-04-19
AR040479A1 (es) 2005-04-06
EP1523236A1 (de) 2005-04-20
AU2003258502A1 (en) 2004-02-02
CN1668190A (zh) 2005-09-14
RU2005103817A (ru) 2005-08-10
CA2492679A1 (en) 2004-01-22
TW200402263A (en) 2004-02-16
MXPA05000507A (es) 2005-03-23
JP2005533091A (ja) 2005-11-04
DE10231615A1 (de) 2004-02-05
HRP20050023A2 (en) 2006-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234868A1 (en) Liquid adjuvants
US6770594B2 (en) Herbicidal compositions
US20040132621A1 (en) Microemulsion concentrates
US6693063B2 (en) Herbicidal composition
KR20060063922A (ko) 액체 제형
US6743754B2 (en) Herbicidal compositions
HRP20050023A2 (en) Solid adjuvants
DE10258856A1 (de) Flüssige Adjuvanti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