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18618A - Input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and cellular phone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Input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and cellular phone using the same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18618A
KR20050018618A KR1020040061291A KR20040061291A KR20050018618A KR 20050018618 A KR20050018618 A KR 20050018618A KR 1020040061291 A KR1020040061291 A KR 1020040061291A KR 20040061291 A KR20040061291 A KR 20040061291A KR 20050018618 A KR20050018618 A KR 200500186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device
operation dial
permanent magnet
rotation
magnetic fie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129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659800B1 (en
Inventor
미야사카타케시
아즈마히로시
아베마사히로
이시바시카즈토시
Original Assignee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아사히 가세이 덴시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아사히 가세이 덴시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186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861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98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9800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6Operating part movable both angularly and rectilinearly, the rectilinear movement being along the axis of angular mov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1/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in the form of a pivotable member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g. by a hand
    • H01H21/02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1/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in the form of a pivotable member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g. by a hand
    • H01H21/02Details
    • H01H21/18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21/22Operating parts, e.g. hand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6Operating part movable both angularly and rectilinearly, the rectilinear movement being along the axis of angular movement
    • H01H25/065Operating part movable both angularly and rectilinearly, the rectilinear movement being along the axis of angular movement using separate operating parts, e.g. a push button surrounded by a rotating knob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Transmission And Conversion Of Sensor Element Output (AREA)
  • Switches That Are Operated By Magnetic Or Electric Fields (AREA)

Abstract

PURPOSE: An input device, an electronic device and a cellular phone using the same are provided to reduce power consumption by supplying power to different magnetic field detector when a manipulation dial is operated. CONSTITUTION: An input device includes a cylindrical permanent magnet(51), a manipulation dial(52), a click spring(54), two magnetic field detectors(34,35), and a control circuit(36). The cylindrical permanent magnet is rotatably supported at the center thereof. The manipulation dial is implemented on the same axis as the permanent magnet and is rotated with the permanent magnet. The click spring generates a click-feeling according to alternating N and S poles. The magnetic field detectors detect change in a magnetic field and are implemented to generate a phase difference in the detected result. The control circuit detects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manipulation dial based on the detected signal and detects the rotational amount based on the signal detected at one of the magnetic field detectors.

Description

입력 장치, 이것을 이용한 전자 기기 및 휴대 전화기{INPUT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AND CELLULAR PHONE USING THE SAME}INPUT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AND CELLULAR PHONE USING THE SAME}

기술 분야Technical field

본 발명은, 예를 들면, 퍼스널 컴퓨터 등의 전자 기기 및 휴대 전화기의 입력 조작면에 배치되는 입력 장치, 특히, 입력 조작면에 있어서의 회전 조작을 검지하는 입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TECHNICAL FIELD This invention relates to the input device arrange | positioned at the input operation surface of electronic devices, such as a personal computer, and a mobile telephone, especially an input device which detects the rotation operation in an input operation surface, for example.

배경 기술Background technology

종래, 휴대 전화기 등에 마련되어 있는 입력 장치로서는, 조작 다이얼을 회전시킴에 의해, 표시기(모니터)에 투영된 다종다양한 정보를 스크롤하여 선택하고, 결정하는 기능을 구비한 것이 있다.BACKGROUND ART Conventionally, as an input device provided in a mobile phone or the like, there is provided a function of scrolling and selecting and determining various kinds of information projected on a display (monitor) by rotating an operation dial.

예를 들면, 1회의 클릭 느낌으로 표시기의 화면에 투영된 문자 표시를 1행만큼 스크롤하는 경우, 10행을 스크롤하려고 하면, 10회의 클릭 느낌을 얻을 수 있을 때까지 상기 조작 다이얼을 회전시킬 필요가 있다.For example, if you scroll a character display projected on the screen of the indicator by one line with one click feeling, if you try to scroll ten lines, you need to rotate the control dial until you get ten click feelings. have.

[특허 문헌 1][Patent Document 1]

특개2002-150895호 공보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2-150895

그러나, 휴대 전화는 더욱 소형화가 요망되고 있음과 함께, 고기능화가 진행되고 있다. 이 때문에, 전술한 입력 장치에서는, 표시기에 투영된 다종다양한 정보를 보다 신속하게 스크롤할 수 있는 것이 필요하게 되어 있다. 즉, 1회의 한정된 회전 조작(예를 들면, 회전 조작 각도 60도)으로 5회의 클릭 느낌을 얻어서 5행을 스크롤하는 것보다도, 1회의 한정된 회전 조작으로 10회의 클릭 느낌을 얻어서 10행을 스크롤할 수 있는 것이 요망되고 있다. 통상, 장치를 대형화하는 일 없이, 전술한 바와 같이 고분해능으로 하려고 하면, 예를 들면, 클릭 느낌을 발생시키는 래치 홈의 피치를 작게 할 필요가 있다. 특히, 하나의 조작 다이얼의 회전 조작으로 얻어진 2개의 출력 신호에 의거하여, 회전 방향과 회전량을 검출하고자 하면, 상기 래치 홈이 극단적으로 작아진다(본원의 도 11 참조). 이 결과, 내부 구성 부품에 높은 부품 정밀도 및 조립 정밀도가 필요해지고, 제조, 조립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while the mobile telephone is required to be further downsized, high functionality is being advanced. For this reason, in the above-described input device, it is necessary to be able to scroll various kinds of information projected on the display more quickly. In other words, rather than scrolling five rows by obtaining five click feelings in one limited rotation operation (for example, a rotation operation angle of 60 degrees), ten rows of feelings can be scrolled by obtaining ten click feelings in one limited rotation operation. It is desired to be able. In general, when attempting to achieve high resolution as described above without increasing the size of the apparatus, for example, it is necessary to reduce the pitch of the latch groove that generates the click feeling. In particular, when the rotation direction and the rotational amount are to be detected based on two output signals obtained by the rotation operation of one operation dial, the latch grooves become extremely small (see FIG. 11 herein). As a result, high component precision and assembly precision are required for the internal components, and there is a problem that manufacturing and assembly are not easy.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높은 부품 정밀도 및 조립 정밀도를 필요로 하지 않고, 제조, 조립이 용이한 소형의 입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mpact input device that is easy to manufacture and assemble without requiring high component precision and assembly precision.

본 발명에 관한 입력 장치는, N극 및 S극을 교대로 배치하여 일체화하고, 또한, 축심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 단면 원형의 영구 자석과,An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ermanent magnet having a circular cross section in which N poles and S poles are alternately arranged and integrated, and rotatably supported about an axis;

상기 영구 자석과 동일 축심상에 배치되고, 일체로 회전하는 조작 다이얼과,An operation dial disposed on the same shaft center as the permanent magnet and integrally rotating;

상기 영구 자석의 N극 및 S극의 변화에 응하여 클릭 느낌을 상기 조작 다이얼에 발생시키는 클릭 느낌 발생 수단과,Click feeling generating means for generating a click feeling to the operation dial in response to changes in the N pole and the S pole of the permanent magnet;

상기 영구 자석의 회전에 수반하는 자계의 변화를 검지하고, 검지 결과에 위상차가 생기도록 배치된 2개의 자기(磁氣) 검지 수단과,Two magnetic detection means arranged to detect a change in the magnetic field accompanying the rotation of the permanent magnet, and to generate a phase difference in the detection result;

2개의 상기 자기 검지 수단에서 검지한 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조작 다이얼의 회전 방향을 검출함과 함께, 상기 자기 검지 수단의 어느 한쪽에서 검지한 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조작 다이얼의 회전량을 검출하는 제어 회로로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A control circuit that detects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operation dial based on the signals detected by the two magnetic detection means, and detects the amount of rotation of the operation dial based on the signal detected by either of the magnetic detection means. It is set as the structure which consists of.

본 발명에 의하면, 회전 방향은 2개의 자기 검지 수단에서 검지한 신호에 의거하여 검출하지만, 회전량은 어느 하나의 자기 검지 수단으로 검출한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클릭 느낌과 연동시키기 위해 상기 조작 다이얼에 래치 홈을 형성하는 경우라도, 하나의 자기 검지 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신호에 대응하도록 래치 홈을 형성하면 좋다. 이 결과, 래치 홈의 형성에 높은 부품 정밀도를 필요로 하지 않고, 클릭 느낌 발생 수단에 높은 조립 정밀도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otation direction is detected based on the signal detected by the two magnetic detection means, but the rotation amount is detected by any one of the magnetic detection means. For this reason, for example, even when a latch groove is formed in the operation dial for interlocking with the click feeling, the latch groove may be formed so as to correspond to a signal output from one magnetic detection means. As a result, high component precision is not required for the formation of the latch groove, and high assembly precision is not required for the click feel generating means.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서는, 제어 회로가, 2개의 자기 검출 수단 중, 한쪽의 자기 검지 수단이 자계의 변화를 검지한 경우에, 다른 쪽의 자기 검지 수단을 구동하는 전원 회로를 온 하도록 하여도 좋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circuit may be configured to turn on the power supply circuit for driving the other magnetic detection means when one of the two magnetic detection means detects a change in the magnetic field. .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한쪽의 자기 검지 수단이 자기의 변화를 검지한 경우, 즉, 조작 다이얼이 조작된 때에, 다른 쪽의 자기 검지 수단에 전력이 공급되기 때문에, 소비 에너지가 적은 입력 장치를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when one magnetic detection means detects a change in magnetism, that is, when the operation dial is operated, power is supplied to the other magnetic detection means, so that an input device with low energy consumption can be obtained. Can be.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로서는, 제어부 및 표시부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에 있어서, 제 1항 또는 제 2항에 기재된 입력 장치가 외부에서 조작 가능하게 마련되고, 조작 다이얼의 회전량에 의거하여 상기 제어부가 상기 표시부의 표시 제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라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로서는, 제어부 및 표시부를 구비하는 휴대 전화기에 있어서, 제 1항 또는 제 2항에 기재된 입력 장치가 외부에서 조작 가능하게 마련되고, 조작 다이얼의 회전량에 의거하여 상기 제어부가 상기 표시부의 표시 제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화기라도 좋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control unit and a display unit, the input device according to claim 1 or 2 is provided so as to be operable from the outside, and the control unit is based on the amount of rotation of the operation dial. The electronic device may be characterized by performing display control of the display unit. Moreover, as another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n the mobile telephone provided with a control part and a display part, the input device of Claim 1 or 2 is provided so that operation is possible externally, and it is based on the rotation amount of the operation dial. The mobile phone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unit performs display control of the display unit.

전술한 실시 형태에 의하면, 래치 홈의 형성에 높은 부품 정밀도를 필요로 하지 않고, 클릭 느낌 발생 수단에 높은 조립 정밀도를 필요로 하지 않는 전자 기기, 또는 소비 에너지가 적은 전자 기기를 얻을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re is an effect that an electronic device which does not require high component precision in the formation of the latch groove and does not require high assembly precision in the click feel generating means, or an electronic device having low energy consumption can be obtained. have.

또한, 래치 홈의 형성에 높은 부품 정밀도를 필요로 하지 않고, 클릭 느낌 발생 수단에 높은 조립 정밀도를 필요로 하지 않는 휴대 전화기, 또는 소비 에너지가 적은 휴대 전화기를 얻을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a mobile phone that does not require high component precision in the formation of the latch groove and does not require high assembly precision in the click feel generating means or a mobile phone with low energy consumption can be obtained.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본 발명에 관한 입력 장치의 실시 형태를, 도 1 내지 도 12의 첨부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입력 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휴대 전화기(11)의 입력 장치(14)에 적용한 경우이다.Embodiments of the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FIGS. 1 to 12. The input device which concerns on this embodiment is a case where it applies to the input device 14 of the mobile telephone 11, as shown in FIG.

즉, 제어부(10)를 내장한 상기 휴대 전화기(11)는, 케이스 본체(12)의 윗면에, 표시기(모니터)(13), 입력 장치(14), 및, 텐키(15)를 배치하고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 본체(12)의 상단 및 하단에는 스피커(16) 및 마이크(17)를 각각 마련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0)에 통신부(18)를 통하여 접속된 안테나(19)가 상기 케이스 본체(12)의 배면에 인출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상기 입력 장치(14)는, 후술하는 조작 다이얼(52), 일체형 조작 버튼(60)의 조작부(61, 62)를 통하여 외부에서 조작 가능하고, 케이스 본체(12)에 부착되어 있다. 이용자는 한손으로 휴대 전화기(11)을 지지한 상태에서, 텐키(15) 및 입력 장치(14)의 조작 다이얼(52), 일체형 조작 버튼(60)을 엄지손가락으로 조작할 수 있다.That is, the mobile telephone 11 incorporating the control unit 10 arranges the indicator (monitor) 13, the input device 14, and the ten key 15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ase body 12. . In addition, a speaker 16 and a microphone 17 are provided a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case body 12, respectively. Moreover, the antenna 19 connected to the said control part 10 via the communication part 18 is attach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said case main body 12 so that extraction is possible. The input device 14 is operable from the outside via the operation dials 52 and the operation units 61 and 62 of the integrated operation button 6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is attached to the case main body 12. The user can operate the thumbwheel 15 and the operation dial 52 and the integrated operation button 60 of the ten key 15 and the input device 14 with a thumb while supporting the mobile telephone 11 with one hand.

상기 제어부(10)는, 휴대 전화기(11) 전체를 제어하는 것으로, 상기 입력 장치(14)의 후술하는 조작 다이얼(52)로부터 입력된 회전 방향, 회전량에 관한 신호에 의거하여 표시기(13)의 화면 표시를 제어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10)는, 메일 문장 등의 화면 표시의 스크롤 방향, 스크롤 량을 제어하고, 또는, 메뉴 선택 표시의 하이라이트 표시 등의 이동을 제어하다. 또한, 제어부(10)와 표시기(13)와의 사이에 표시 제어 전용의 표시 제어용 IC를 마련하고, 상기 표시 제어용 IC로 상기 표시기(13)를 제어하여도 좋다.The control unit 10 controls the entire cellular phone 11 and displays the display unit 13 on the basis of a signal relating to a rotation direction and a rotation amount input from the operation dial 52 described later of the input device 14. To control the screen display.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0 controls the scrolling direction of the screen display such as the mail sentence, the scrolling amount, or the movement of the highlight display of the menu selection display or the like. A display control IC dedicated to display control may be provided between the control unit 10 and the display 13, and the display 13 may be controlled by the display control IC.

상기 표시기(13)는 액정 표시기 등으로 구성되고, 조작 메뉴, 송수신 메일, 각종의 데이터 내용 등을 상기 제어부(10)의 지시에 의해 표시한다.The display unit 13 is composed of a liquid crystal display and the like, and displays an operation menu, transmission / reception mail, various data contents, etc. by the instruction of the control unit 10.

상기 입력 장치(14)는, 케이스 본체(12)의 윗면에서 입력되는 회전 조작을 검지하는 스위치 기능과, 그 회전 위치에서의 압하 조작을 검지하는 스위치 기능과, 좌우 위치에서의 독립한 압하 조작을 각각 검지하는 스위치 기능의 합계 4종류의 복합적인 입력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입력 장치(14)는, 이용자의 입력 조작에 의해, 후술하는 조작 다이얼(52)의 회전 방향, 회전량 및 압하 조작을 검출하고, 또는, 후술하는 일체형 조작 버튼(60)의 조작부(61, 62)의 입력 조작을 검출함과 함께, 그 검출 결과를 상기 제어부(10)에 전한다.The input device 14 has a switch function for detecting a rotation operation input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ase body 12, a switch function for detecting a pressing operation at the rotational position thereof, and an independent pressing operation at the left and right positions. It is equipped with four types of complex input functions of the switch functions which are respectively detected. Therefore, the said input device 14 detects the rotation direction, the rotation amount, and the reduction operation | movement of the operation dial 52 mentioned later by user's input operation, or the operation part 61 of the integrated operation button 60 mentioned later. And the input operation of 62, and transmit the detection result to the control unit 10.

또한, 상기 텐키(15)를 통하여 이용자가 상기 제어부(10)에 전화번호, 그 밖의 문자 데이터의 입력 정보를 입력한다. 또한, 상기 스피커(16)로부터는 호출음이나 음성이 출력되는 한편, 마이크(17)로부터 상기 제어부(10)에 이용자의 음성이 입력된다. 그리고, 전파의 송수신을 행하는 안테나(19)는 통신부(18)를 통하여 상기 제어부(10)와 통신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한다.In addition, the user inputs telephone number and other input information of text data to the control unit 10 through the ten key 15. In addition, a ring tone or a voice is output from the speaker 16, while a voice of a user is input from the microphone 17 to the controller 10. The antenna 19 that transmits and receives radio waves transmits and receives communication data with the control unit 10 via the communication unit 18.

특히, 상기 입력 장치(14)는, 도 3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 판(20), 플렉시블 기판(30), 조작 다이얼 유닛(40), 및, 일체형 조작 버튼(60)을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일체화한 것이다.In particular, as shown in FIGS. 3 to 8, the input device 14 sequentially processes the base plate 20, the flexible substrate 30, the operation dial unit 40, and the integrated operation button 60. It is laminated and integrated.

상기 베이스 판(20)은 개략 사각형 판형상체이고,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향하는 2변의 중앙에 제 1 기립편(起立片)(21, 22)을 각각 개략 직각으로 잘라 세우고 있는 한편, 남는 대향하는 2변의 중앙에 제 2 기립편(23, 24)을 각각 개략 직각으로 잘라 세우고 있다. 상기 제 1 기립편(21, 22)에는, 후술하는 조작 다이얼 유닛(40)을 지지하기 위한 제 1 축지 구멍(21a, 22a)를 각각 마련하고 있다. 한편, 상기 제 2 기립편(23, 24)에는, 후술하는 일체형 조작 버튼(60)을 축지(軸支)하기 위한 제 2 축지 구멍(23a, 24a)을 각각 마련하고 있다.The base plate 20 is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late-like body, and as shown in FIG. 5, the first standing pieces 21 and 22 are cut out at roughly right angles in the center of two opposite sides, respectively, The second standing pieces 23 and 24 are cut out at roughly right angles, respectively, in the center of two remaining opposite sides. The first standing pieces 21 and 22 are provided with first storage holes 21a and 22a for supporting the operation dial unit 40 described later,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standing pieces 23 and 24 are provided with second storage holes 23a and 24a for holding the integrated operation button 60 described later, respectively.

플렉시블 기판(30)은, 상기 베이스 판(20)의 제 2 기립편(23)에 대응하는 위치에 계지구멍(30a)을 마련하고 있음과 함께, 단변측 연부의 중앙에 상기 제 2 기립편(24)에 끼워맞추는 노치부(30b)를 마련하고 있다. 또한, 상기 계지구멍(30a)의 부근에 제 1 압하 검지 스위치(31)를 배치함과 함께, 상기 단변측 모서리부에 제 2, 제 3 압하 검지 스위치(32, 33)를 각각 배치하고 있다. 또한, 제 1, 제 2 압하 검지 스위치(31, 32)의 사이에는, 후술하는 영구 자석(51)의 자속을 검지하는 회전 정보용 제 1, 제 2 홀 소자(34, 35)를 탑재하고 있다. 한편, 제 1, 제 3 압하 검지 스위치(31, 33)의 사이에는 제어용 IC(36)가 탑재되어 있다. 또한, 후술하는 조작 다이얼(52)의 회전 방향을 검출함과 함께, 고분해 기능을 확보하기 위해, 제 1, 제 2 홀 소자(34, 35)는 상호간에 소정량만큼 어긋나서 위치 결정되어 있다.The flexible substrate 30 is provided with a locking hole 30a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rising piece 23 of the base plate 20, and the second rising piece ( The notch part 30b which fits into 24 is provided. Moreover, while the 1st push-down detection switch 31 is arrange | positioned in the vicinity of the said locking hole 30a, the 2nd, 3rd push-down detection switches 32 and 33 are arrange | positioned at the said short side edge part, respectively. Moreover, between the 1st, 2nd pressure reduction detection switches 31 and 32, the 1st and 2nd hall elements 34 and 35 for rotation information which detect the magnetic flux of the permanent magnet 51 mentioned later are mounted. . 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IC 36 is mounted between the first and third pressure reducing detection switches 31 and 33. Moreover, in order to detect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operation dial 52 mentioned later, and to ensure a high resolution function, the 1st, 2nd hall elements 34 and 35 are mutually shifted by a predetermined amount, and are positioned. .

따라서 상기 베이스 판(20)의 한쪽의 제 2 기립편(23)을 상기 플렉시블 기판(30)의 계지구멍(30a)에 삽입함과 함께, 다른 쪽의 제 2 기립편(24)을 상기 플렉시블 기판(30)의 노치부(30b)에 걸어맞춤에 의해, 상기 플렉시블 기판(30)이 베이스 판(20)의 소정의 위치에 위치 결정된다.Therefore, one second standing piece 23 of the base plate 20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hole 30a of the flexible substrate 30 and the other second standing piece 24 is inserted into the flexible substrate. By engaging with the notch part 30b of 30, the said flexible substrate 30 is positioned in the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base board 20. As shown in FIG.

조작 다이얼 유닛(40)은, 평면 개략 ㄷ자형상의 테두리체(41)의 축구멍(41a)과, 상기 테두리체(41)에 조립한 테두리 고정판(47)의 축구멍(47a)에, 통과축(50)의 양단을 각각 삽입하여 회전 가능하게 건너지른 것이다. 상기 통과축(50)에는, 원통형의 영구 자석(51) 및 타이어 형상의 조작 다이얼(52)을 삽통하고 있다. 또한, 상기 조작 다이얼(52)과 상기 테두리 고정판(47)과의 사이에는, 조작 감촉을 얻기 위한 감촉 스프링(54)을 배치하고 있다.The operation dial unit 40 passes through the shaft hole 41a of the flat outline U-shaped frame 41 and the shaft hole 47a of the frame fixing plate 47 assembled to the frame 41. Both ends of (50) are respectively inserted and crossed rotatably. The cylindrical permanent magnet 51 and the tire-shaped operation dial 52 are inserted through the passage shaft 50. Moreover, the touch spring 54 for obtaining an operation touch is arrange | positioned between the said operation dial 52 and the said edge fixing plate 47. As shown in FIG.

즉, 상기 테두리체(41)는, 도 5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양측 암부(42, 43)의 선단면에서 계합축(42a, 43a)을 각각 동일 축심상에 돌출하고 있다. 특히, 한쪽의 계합축(43a)(도 8)은 다른 쪽의 계합축(42a)보다도 길고, 상기 테두리 고정판(47)을 관통하고, 또한, 상기 베이스 판(20)의 제 1 기립편(22)에 마련한 제 1 축지 구멍(22a)에 삽통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테두리체(41)는, 상기 테두리 고정판(47)과 대향하는 외측면에, 상기 제 1 기립편(21)에 마련한 제 1 축지 공(21a)에 삽통 가능한 계합축(43b)(도 8)을, 상기 계합축(43a)과 동일 축심상에 돌출설치하고 있다. 또한, 상기 테두리체(41)는, 그 편측 암부(42)의 하면 중앙에 조작용 돌기부(42b)를 돌출설치하고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 5 and FIG. 8, the frame 41 projects the engagement shafts 42a and 43a on the same axis center, respectively, at the front end faces of the two arm portions 42 and 43. As shown in FIG. In particular, one engagement shaft 43a (FIG. 8) is longer than the other engagement shaft 42a, penetrates the edge fixing plate 47, and further, the first standing piece 22 of the base plate 20. It is possible to insert into the first storage hole 22a provided in the). Moreover, the said engaging body 41 is the engagement shaft 43b which can be inserted in the 1st sheet | seat ball 21a provided in the said 1st standing piece 21 in the outer surface which opposes the said edge fixing plate 47 (FIG. 8) protrudes on the same shaft center as the engagement shaft 43a. The frame 41 protrudes the operation protrusion 42b in the center of the lower surface of the one-side arm 42.

상기 영구 자석(51)은, 조립에 적합한 형상으로 형성하기 쉬운 자석으로서, 예를 들면, 자성 분말과 수지를 혼합하여 임의의 형상으로 성형 가능한 본드 자석을 들 수 있다. 그리고, 도 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영구 자석(51)은, 그 외주면에 따라 N극 및 S극을 교대로 12등분(또는 6등분)하도록 배치하고 있다. 이 때문에, 영구 자석(51)의 외주면에 따라 이극성 사이에 자계(μ)가 발생하고, 이 자계(μ)의 강약 변화 및 발생 수를 플렉시블 기판(30)에 탑재한 제 1, 제 2 홀 소자(34, 35)가 비접촉으로 검지한다.The permanent magnet 51 is a magnet that is easy to be formed into a shape suitable for assembling,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a bond magnet which can be formed into any shape by mixing magnetic powder and resin. As shown in Fig. 6A, the permanent magnets 51 are arranged so as to alternately divide the N pole and the S pole into 12 equal parts (or 6 equal parts)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For this reason, magnetic fields (μ) are generated between the polarities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ermanent magnets (51), and the first and second holes are mounted on the flexible substrate (30) with changes in the strength and weakness of the magnetic fields (μ). The elements 34 and 35 detect noncontact.

또한, 상기 영구 자석(51)은, 예를 들면, 도 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고리형상 단면(端面)에 따라 고리형상 방향으로 N극 및 S극을 교대로 12등분(또는 6등분)하도록 배치한 원판형상의 것이라도 좋다. 이와 같은 배치로 하고, 고리형상 단면상에 이극성 사이의 자계(μ)의 강약 변화와 발생 수를 발생시킴에 의해, 상기 영구 자석(51)의 축 길이를 절약할 수 있고, 소형화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6B, the permanent magnet 51 alternately divides the N poles and the S poles into 12 equal parts in the annular direction in accordance with the annular cross section. Or disc-shaped) arranged in six equal parts). With such an arrangement, by generating the strength change and the number of occurrences of the magnetic field (μ) between the dipoles on the annular cross section, the axial length of the permanent magnet 51 can be saved and can be downsized. There is this.

상기 조작 다이얼(52)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외주면에 미끄럼 방지용 요철면을 교대로 소정의 피치로 형성하고, 그 일측면에 조작 감촉(클릭 느낌)을 얻기 위한 소경축부(小徑軸部)(53)를 동일 축심상에 일체 성형하고 있다. 상기 소경축부(53)의 선단면에는 소정의 각도로, 상기 감촉 스프링(54)에 탄성 계합하는 방사형상 래치 홈(53a)을 마련하고 있다.As shown in Fig. 7, the operation dial 52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non-slip uneven surface alternately at a predetermined pitch, and the small diameter shaft portion for obtaining the operation feeling (click feeling) on one side thereof. The inner part 53 is integrally molded on the same shaft center. A radial latch groove 53a is provided on the tip end surface of the small-diameter shaft portion 53 to elastically engage the touch spring 54 at a predetermined angle.

상기 감촉 스프링(54)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략 직사각형 테두리형상의 판스프링을 역V자 형상으로 절곡한 것으로, 그 편측 연부의 중앙에 돌출 가공으로 돌기부(54a)를 마련하고 있다. 상기 돌기부(54a)는, 상기 조작 다이얼(52)의 방사형상 래치 홈(53a)에 간헐적으로 탄성 계합함에 의해, 조작자에게 조작 감촉(클릭 느낌)을 준다.As shown in FIG. 8, the said touch spring 54 is bent in the shape of an inverted V-shaped leaf spring of a substantially rectangular frame shape, and the protrusion 54a is provided in the center of the one side edge part by protrusion processing. . The protrusion 54a intermittently elastically engages the radial latch groove 53a of the operation dial 52 to give an operator a feeling of touch (click feeling).

그리고, 상기 조작 다이얼 유닛(40)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테두리체(41)의 한 쌍의 계합축(43b, 43a)을 베이스 판(20)의 제 1 기립편(21, 22)에 마련한 제 1 축지 구멍(21a, 22a)에 각각 삽입하고,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이와 같이 지지함에 의해, 상기 테두리체(41)의 편측 암부(42)의 하면 중앙에 형성한 조작용 돌기부(42b)가 제 1 압하 검지 스위치(31)의 바로 위에 위치한다.And as shown in FIG. 8, the said operation dial unit 40 uses the pair of engagement shafts 43b and 43a of the frame 41 as the first standing pieces 21 and 22 of the base plate 20. As shown in FIG. It inserts into the 1st storage hole 21a, 22a which respectively provided in it, and it supports so that rotation is possible. By supporting in this way, the operation protrusion part 42b formed in the center of the lower surface of the one-side arm part 42 of the said rim 41 is located directly above the 1st push down detection switch 31. As shown in FIG.

일체형 조작 버튼(60)은, 도 5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이 만곡한 조작부(61, 62)의 양측연부를 연결부(63, 64)로 연결 일체화한 것으로, 상기 조작 다이얼 유닛(40)에 끼워맞춤 가능한 평면 형상을 갖고 있다. 상기 조작부(61, 62)의 동일 방향측의 하단면에는 조작용 돌기부(61a, 62a)를 각각 돌출설치하고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63, 64)가 대향하는 외측면에는, 상기 베이스 판(20)의 제 2 기립편(23, 24)에 마련한 제 2 축지 구멍(23a, 24a)에 걸어맞추는 계합축(63a, 64a)이 동일 축심상에 각각 돌출설치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5 and 8, the integrated operation button 60 is formed by connecting both side edges of the pair of curved operation portions 61 and 62 to the connecting portions 63 and 64. 40) has a planar shape that can be fitted. On the lower end surface of the said operation part 61 and 62 on the same direction side, the operation projection parts 61a and 62a protrude, respectively. Moreover, on the outer side surface which the said connection parts 63 and 64 oppose, the engagement shaft 63a which engages with the 2nd bearing holes 23a and 24a provided in the 2nd standing piece 23 and 24 of the said base board 20. Moreover, as shown in FIG. , 64a) are projected on the same shaft center, respectively.

따라서 상기 일체형 조작 버튼(60)의 계합축(63a, 64a)을 상기 베이스 판(20)의 제 2 기립편(23, 24)에 마련한 제 2 축지 구멍(23a, 24a)에 각각 삽입한다. 이로써, 상기 조작 버튼(60)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됨과 함께, 그 조작용 돌기부(61a, 62a)가 제 2, 제 3 압하 검지 스위치(32, 33)의 바로위에 각각 위치 결정된다.Therefore, the engagement shafts 63a and 64a of the integrated operation button 60 are inserted into the second bearing holes 23a and 24a provided in the second standing pieces 23 and 24 of the base plate 20, respectively. Thereby, while the said operation button 60 is rotatably supported, the operation projection parts 61a and 62a are positioned directly above the 2nd and 3rd pressure reduction detection switches 32 and 33, respectively.

다음에, 상기 제 1, 제 2 홀 소자(34, 35)와 제어용 IC(36)와의 접속에 관해 설명한다.Next, the connection of the said 1st, 2nd hall elements 34 and 35 and the control IC 36 is demonstrated.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제 2 홀 소자(34, 35)는 어느 것이나 제어용 IC(36)에 접속되어 있다. 특히, 상기 제 1 홀 소자(34)는, 제어용 IC(36)의 제 1 채널(70)을 통하여 제 1출력 회로(71)로부터 출력하도록 접속되어 있다. 한편, 제 2 홀 소자(35)는, 제 2 채널(72)을 통하여 제 2 출력 회로(73)로부터 출력하도록 접속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1 채널(70) 및 제 1 출력 회로(71)에는, 타이밍 회로(74)가 각각 접속되어 있음과 함께, 제 2 채널(72) 및 제 2 출력 회로(73)도 타이밍 회로(74)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타이밍 회로(74)는 제어 시스템 회로(OSC)(75)에도 접속되어 있다.As shown in FIG. 9, both the said 1st, 2nd hall elements 34 and 35 are connected to the control IC 36. As shown in FIG. In particular, the first Hall element 34 is connected to output from the first output circuit 71 via the first channel 70 of the control IC 36.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hall element 35 is connected to output from the second output circuit 73 via the second channel 72. Moreover, while the timing circuit 74 is connected to the said 1st channel 70 and the 1st output circuit 71, respectively, the 2nd channel 72 and the 2nd output circuit 73 also have a timing circuit ( 74). The timing circuit 74 is also connected to a control system circuit (OSC) 75.

상기 타이밍 회로(74)는 제 1 채널(70), 제 1 출력 회로(71), 제 2 채널(72), 제 2 출력 회로(73)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고 있다.The timing circuit 74 controls the operation timing of the first channel 70, the first output circuit 71, the second channel 72, and the second output circuit 73.

즉, 제 1 채널(70)은, 영구 자석(51)의 자기를 샘플링하는 타이밍에서 제 1 홀 소자(34)의 제 1-INP와 제 1-INN과의 사이에 구동 전압을 공급한다. 구동 전압이 공급된 제 1 홀 소자(34)는, 제 1-OUTP와 제 1-OUTN과의 사이에 자기에 응한 홀 전압을 출력한다. 마찬가지로, 제 2 채널(72)은, 자기 샘플링하는 타이밍에서, 제 2 홀 소자(35)의 제 2-INP와 제 2-INN과의 사이에 구동 전압을 공급한다. 구동 전압이 공급된 제 2 홀 소자(35)는, 제 2-OUTP와 제 2-OUTN과의 사이에 자기에 응한 홀 전압을 출력한다. 구동 전압이 공급되지 않은 경우에는, 제 1 홀 소자(34) 및 제 2 홀 소자(35)는 홀 전압을 출력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타이밍 회로(74)는, 제 1 홀 소자(34)로부터 샘플링할 때에만, 제 1 채널(70)과 제 1 출력 회로(71)를 구동하고, 그 밖은 구동하지 않는다. 또한, 타이밍 회로(74)는, 제 2 홀 소자(35)로 샘플링하는 때만, 제 2 채널(72)과 제 2 출력 회로(73)를 구동하고, 그 경우 이외는 구동하지 않는다.That is, the first channel 70 supplies a driving voltage between the first-INP and the first-INN of the first Hall element 34 at the timing of sampling the magnetism of the permanent magnet 51. The first Hall element 34 supplied with the drive voltage outputs a Hall voltage in response to magnetism between the first-OUTP and the first-OUTN. Similarly, the second channel 72 supplies a driving voltage between the second 2-INP and the second 2-INN of the second Hall element 35 at the timing of self sampling. The second Hall element 35 supplied with the driving voltage outputs a Hall voltage in response to magnetism between the second 2-OUTP and the second OUTOUT. When the driving voltage is not supplied, the first hall element 34 and the second hall element 35 do not output the hall voltage. The timing circuit 74 drives the first channel 70 and the first output circuit 71 only when sampling from the first hall element 34, and does not drive anything else. Moreover, the timing circuit 74 drives the 2nd channel 72 and the 2nd output circuit 73 only when sampling with the 2nd hall element 35, and does not drive other than that case.

도 10의 순서도에 의거하여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A control method will be described based on the flowchart of FIG. 10.

우선, 스타트하고 스텝 S1에서 제 1 채널(70)로부터의 출력 신호를 샘플링하고, 계속해서, 스텝 S2에서 변화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변화가 없으면, 스텝 S1로 되돌아온다. 스텝 S1∼S2∼S1이 αmsec 간격으로 반복됨에 의해, αmsec 주기로 제 1 채널(70)로부터의 출력 신호의 샘플링이 행하여진다. 스텝 S2에서 변화가 있으면, 스텝 S3으로 진행한다. 스텝 S3에서는, 도시하지 않은 타이머를 스타트시키고, 스텝 S4로 진행한다. 스텝 S4에서는 제 2 채널(72)로부터 출력 신호를 샘플링 하고, 스텝 S5에서 제 1, 제 2 채널(70, 72)로부터 샘플링한 출력 신호를 출력하고, 스텝 S6으로 진행한다. 스텝 S6에서 βmsec 후에 제 1 채널(70)로부터 출력 신호를 샘플링하고, 스텝 S7에서 변화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변화가 있는 경우는, 스텝 S8에서 타이머를 리셋하고, 타이머를 재스타트시키고, 변화가 없는 경우는, 그대로 스텝 S9로 진행한다. 스텝 S9에서 타이머의 누적 카운트 시간이 γmsec 경과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경과하고지 않으면, 스텝 S4로 되돌아온다. 스텝 S4∼S5∼S6∼S7(∼S8)∼S9∼S4가 βmsec 간격으로 반복됨에 의해, βmsec 주기로 제 1 채널(70), 제 2 채널(72)로부터의 출력 신호의 샘플링이 행하여진다. 스텝 S9에서 타이머의 누적 카운트 시간이 γmsec 경과하고 있으면, 스텝 S1로 되돌아와, 이후 같은 처리가 행하여진다.First, it starts and samples the output signal from the first channel 70 in step S1. Then,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re is a change in step S2. If there is no change, the process returns to step S1. By repeating steps S1 to S2 to S1 at? Msec intervals, the output signal from the first channel 70 is sampled at? Msec periods. If there is a change in step S2, the flow proceeds to step S3. In step S3, the timer (not shown) is started and it progresses to step S4. In step S4, the output signal is sampled from the second channel 72, the output signal sampled from the first and second channels 70 and 72 is output in step S5, and the flow proceeds to step S6. In step S6, after βmsec, the output signal is sampled from the first channel 70, an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re is a change in step S7. If there is a change, the timer is reset in step S8, and the timer is restarted. If there is no change, the flow proceeds directly to Step S9. In step S9,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accumulated count time of the timer has elapsed by [gamma] msec. By repeating steps S4 to S5 to S7 (S8) to S9 to S4 at intervals of msec, the output signals from the first channel 70 and the second channel 72 are sampled at the period of msec. If the accumulated count time of the timer has elapsed in mSsec in step S9, it returns to step S1 and the same process is performed after that.

전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입력 장치의 조작 방법에 관해 설명한다.The operation method of the input device which consists of above-mentioned structure is demonstrated.

이용자가 조작 다이얼(52)의 윗면에 가볍게 접한 상태에서 이것을 돌리면, 상기 조작 다이얼(52)과 일체인 영구 자석(51)도 동일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때문에, 영구 자석(51)의 N극 및 S극으로부터 교대로 나타나는 자계(μ)의 강약 변화나 발생 수를 제 1, 제 2 홀 소자(34, 35)가 검지하고, 제어 IC(36)가 구형파의 전기 신호로 변환하고(도 11), 이하와 같이 처리하여 조작 다이얼(52)의 회전 방향 및 회전량을 검출한다.When the user turns this in a state of being in light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operation dial 52, the permanent magnet 51 integral with the operation dial 52 also rotates in the same direction. For this reason, the 1st and 2nd hall elements 34 and 35 detect the intensity | strength change and the generation number of the magnetic field (μ) which alternately appear from the N pole and S pole of the permanent magnet 51, and the control IC 36 It converts into an electric signal of a square wave (FIG. 11), and processes as follows to detect the rotation direction and rotation amount of the operation dial 52. FIG.

예를 들면, N극으로부터 S극으로 변화하는 동안의 시간을 일주기, 즉, 래칭 홈(53a)에 떨어져 들어간 래칭 스프링(54)의 돌기부(54a)가 옆의 래칭 홈(53a)에 재차 떨어져 들어가기 까지의 시간을 1주기로 한다. 한편, 제 1 홀 소자(34) 및 제 2 홀 소자(35)의 검출이 1/4 주기만큼 어긋나도록 플렉시블 기판(30)에 배치한다. 그리고, 조작 다이얼(52)을 회전시키면, 도 11에 도시한 타임 차트와 같이, 우선 최초에 제 1 홀 소자(34)의 출력에 대응하는 구형파가 출력된 후, 1/4 주기 어긋나서 제 2 홀 소자(35)의 출력에 대응하는 구형파가 출력되고, 전술한 순서도에 의거하여 제어가 행하여진다.For example, the projection 54a of the latching spring 54, which has fallen for a period of time during the change from the N pole to the S pole, that is, falls into the latching groove 53a, is dropped again by the next latching groove 53a. The time to enter is 1 cycle. On the other hand, the detection of the 1st Hall element 34 and the 2nd Hall element 35 is arrange | positioned in the flexible substrate 30 so that it may shift | deviate by 1/4 period. When the operation dial 52 is rotated, as shown in the time chart shown in FIG. 11, first, a square wave corresponding to the output of the first hall element 34 is first output, and then shifted by a quarter of a second, and the second is shifted. The square wave corresponding to the output of the hall element 35 is output, and control is performed based on the flowchart mentioned above.

즉, 스텝 S1에서, 제 1 채널(70)로부터의 출력 신호를 샘플링하고, 계속해서, 스텝 S2에서 출력에 변화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스텝 S1 및 스텝 S2인 때는, 제 1 채널(70)만이 동작하고, 제 2 채널(72)과, 도시하지 않은 타이머는 동작하지 않는다. 스텝 S2에서 변화가 없다고 판단되면, 스텝 S1로 되돌아오고, 변화가 있을 때까지 αmsec 주기로 샘플링을 반복한다. 스텝 S2에서 변화가 있으면, 스텝 S3로 진행한다. 스텝 S3에서는, 도시하지 않은 타이머를 스타트시키고, 스텝 S4로 진행한다. 스텝 S4에서는, 제 2 홀 소자(35)를 동작시켜서 얻어진 출력 신호에 대해 제 2 채널(72)이 샘플링을 행하고, 스텝 S5에서 제 1, 제 2 채널(70, 72)로부터 샘플링한 결과를 출력하고, 제 1, 제 2 홀 소자(34, 35)의 출력 순서를 해석함에 의해, 조작 다이얼(52)의 회전 방향이 정역 어느 회전 방향인지를 판별한다.That is, in step S1, the output signal from the first channel 70 is sampled, and then in step S2, it is determined whether there is a change in the output. At step S1 and step S2, only the first channel 70 is operated, and the second channel 72 and the timer (not shown) do not operate.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2 that there is no change, the process returns to step S1, and the sampling is repeated in the [alpha] msec period until there is a change. If there is a change in step S2, the flow proceeds to step S3. In step S3, the timer (not shown) is started and it progresses to step S4. In step S4, the second channel 72 samples the output signal obtained by operating the second hall element 35, and outputs the result of sampling from the first and second channels 70 and 72 in step S5. Then, by analyzing the output order of the first and second Hall elements 34 and 35, it is determined which direction of rotatio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 of the operation dial 52 is.

다음에, 스텝 S6에서, 제 1 홀 소자(34)로부터의 출력 신호를 β(<α)msec 후에 샘플링하고, 스텝 S7에서, 제 1 채널(70)의 샘플링 결과가 변화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변화가 있는 경우는, 스텝 S8로 진행하고, 도시하지 않은 타이머를 리셋하고, 타이머를 재스타트하고 스텝 S9로 진행한다. 스텝 S7에서 변화가 없다고 판단된 경우는, 타이머를 리셋하는 일 없이 스텝 S9로 진행한다. 스텝 S9에서, 타이머의 누적 카운트 시간이 γmsec를 초과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초과하지 않았으면, 스텝 S4로 되돌아온다. 스텝 S4∼S5∼S6∼S7(∼S8)∼S9∼S4가 βmsec 간격으로 반복됨에 의해, βmsec 주기로 제 1 채널(70), 제 2 채널(72)로부터의 출력 신호의 샘플링이 행하여지고, 샘플링한 결과를 출력한다. 제 1 채널(70)의 신호 출력에 의거하여, 조작 다이얼(52)의 회전량을 검출한다. 샘플링 주기 β(<α)msec는 이용자가 조작 다이얼(52)을 가장 빨리 회전시킨 경우의 최대 속도를 기준으로 하여, 길더라도 1/4 주기보다도 짧은 시간으로 되어 있다.Next, in step S6, the output signal from the first hall element 34 is sampled after β (<?) Msec, and in step S7,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sampling result of the first channel 70 has changed. . If there is a change, the flow proceeds to step S8, the timer (not shown) is reset, the timer is restarted, and the flow proceeds to step S9.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7 that there is no change, the flow proceeds to step S9 without resetting the timer. In step S9,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cumulative count time of the timer is exceeding [gamma] msec. If it is not exceeded, the flow returns to step S4. By repeating steps S4 to S5 to S6 (S8) to S9 to S4 at βmsec intervals, sampling of the output signals from the first channel 70 and the second channel 72 is performed at the βmsec period, and sampling is performed. Print one result. The amount of rotation of the operation dial 52 is detected based on the signal output of the first channel 70. The sampling period β (<α) msec is a time shorter than a quarter cycle even if it is long, based on the maximum speed when the user rotates the operation dial 52 at the earliest.

스텝 S9에서 타이머의 누적 카운트 시간이 γmsec를 초과하고 있으면, 스텝 S1로 되돌아온다. 제 1 홀 소자(34)의 출력 신호가 누적 카운트 시간 γmsec의 동안, 변화하지 않는 경우가 있으면, 조작 다이얼(52)이 조작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그 경우는 스텝 S1로 되돌아오고, αmsec 주기의 제 1 채널만의 샘플링 처리로부터 재차 시작한다.If the accumulated count time of the timer in step S9 exceeds γ msec, the flow returns to step S1. If the output signal of the first hall element 34 does not change during the accumulated count time γ msec, it means that the operation dial 52 is not operated. Therefore, in that case, it returns to step S1 and starts again from the sampling process of only the 1st channel of (alpha) msec period.

이후, 같은 처리를 행함에 의해, 조작 다이얼(52)의 회전 방향 및 회전량을 검출하고, 검출 결과를 휴대 전화의 표시기(13)에 출력하고, 하이라이트 표시의 스크롤로서 반영된다. 이 때문에, 표시기(13)의 표시에 따라 입력 장치(14)를 조작하고, 제 1, 제 2, 제 3 압하 검지 스위치(31, 32, 33)를 적절히 온 하면 좋다.Then, by performing the same process, the rotation direction and the rotation amount of the operation dial 52 are detected, the detection result is output to the display 13 of the cellular phone, and reflected as a scroll of the highlight display. For this reason, what is necessary is just to operate the input device 14 according to the display of the indicator 13, and to turn on the 1st, 2nd, 3rd pressure reduction detection switches 31, 32, 33 suitably.

또한, 전술한 회전 방향의 판별이나 회전량의 검출은, 제어용 IC(36)로 행하여도 좋고, 제어용 IC(36)의 출력 신호에 의거하여, 제어용 IC(36)의 외부에서 행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휴대 전화기(11)의 제어부(10)에서 행하여도 좋다. 즉, 회전 방향의 판별이나 회전량(또는 회전 속도)의 산출을 입력 장치(14)의 유닛 내에서 행하는지, 입력 장치(14)의 유닛 밖에서 행하는지는,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In addition, the above-mentioned determination of the rotation direction and detection of the rotation amount may be performed by the control IC 36, or may be performed outside the control IC 36 based on the output signal of the control IC 36. For example, it may be performed by the control unit 10 of the mobile phone 11. That is, whether the determination of the rotation direction and the calculation of the rotation amount (or rotation speed) are performed in the unit of the input device 14 or outside the unit of the input device 14 does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조작 다이얼(52)의 회전량을 검출하는 경우에는, 제 1 홀 소자(34) 및 제 2 홀 소자(35)의 양쪽의 출력을 기준으로 회전량을 검출하지 않고, 제 1 홀 소자(34)의 출력만을 기준으로 하고 있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1주기마다 1클릭을 얻어려고 하면,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래치 홈의 폭 치수, 피치를 제 1 홀 소자(34)의 출력 신호에 의거한 구형파중, Low 부분에만 대응하도록 형성하면 좋다. 이 결과,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높은 치수 정밀도의 래치 홈을 필요로 하지 않고, 내부 구성 부품의 제조가 간단하게 되기 때문에, 생산성이 높고, 염가로 소형의 입력 장치를 얻을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when detecting the rotation amount of the operation dial 52, it does not detect a rotation amount based on the output of both the 1st hall element 34 and the 2nd hall element 35, Only the output of the one-hole element 34 is used as a reference. For this reason, for example, if one click is to be obtained for every one cycle, as shown in Fig. 11, the width and pitch of the latch groove are low among the square waves based on the output signal of the first Hall element 34. It may be formed so as to correspond only to the portion. As a resul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re is no need for a latch groove with high dimensional accuracy, and the manufacture of internal components is simplified, which has the advantage of providing high productivity and a compact input device at low cost.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 1 홀 소자(34) 및 제 2 홀 소자(35)를 간헐 구동하기 때문에, 소비 전력을 절약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since the 1st Hall element 34 and the 2nd Hall element 35 are intermittently driven, power consumption can be saved.

또한, 제 1 홀 소자(34)의 출력이 변화한 때만, 제 2 홀 소자(35)를 구동하여 샘플링 동작시키면, 소비 전력을 보다 한층 절약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예를 들면, 도 10에 도시한 순서도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스텝 S1에서 제 1 채널(70)로부터 샘플링할 때에, 타이밍 회로(74)가, 제 1 채널(70), 제 1 출력 회로(71)를 구동하고, 제 1 홀 소자(34)를 구동하여 출력을 얻는다. 그리고, 스텝 S2에서 제 1 홀 소자(34)의 출력에 변화가 없으면, 스텝 S1로 되돌아오고, αmsec 주기로 제 1 채널(70)로부터 샘플링한다. 계속해서, 제 1 홀 소자(34)의 출력에 변화가 있는 경우에, 스텝 S3에서 도시하지 않은 타이머를 스타트시키고, 스텝 S4에서 타이밍 회로(74)가 제 2 채널(72) 및 제 2 출력 회로(73)를 구동하고, 제 2 홀 소자(35)를 구동하여 제 2 채널(72)의 출력을 얻는다(도 12 참조). 그 후, βmsec 주기로 제 1 채널(70) 및 제 2 채널(72)로부터의 샘플링을 행하고, 제 1 홀 소자(34)의 출력 신호가 γmsec의 동안 변화하지 않으면, 조작 다이얼(52)의 회전 조작이 멈추었다고 간주하고, αmsec 주기로의 제 1 채널(70)만의 샘플링 처리로 되돌아옴에 의해, 재차 소비 전력을 절약할 수 있다(또한, 도 12에서는 설명을 위해 간략화하여 도시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γmsec>>βmsec이다).In addition, when the output of the first Hall element 34 is changed only when the second Hall element 35 is driven and sampled, the power consumption can be further reduced. For example, based on the flowchart shown in FIG. 10, when sampling from the first channel 70 in step S1, the timing circuit 74 may include the first channel 70 and the first output circuit 71. ) And the first Hall element 34 to drive the output. And if there is no change in the output of the 1st hall element 34 in step S2, it will return to step S1 and will sample from the 1st channel 70 by (alpha) msec period. Subsequently, when there is a change in the output of the first hall element 34, a timer (not shown) is started in step S3, and the timing circuit 74 starts the second channel 72 and the second output circuit in step S4. Reference numeral 73 is driven to drive the second Hall element 35 to obtain the output of the second channel 72 (see Fig. 12). After that, sampling is performed from the first channel 70 and the second channel 72 at a period of βmsec, and the rotation operation of the operation dial 52 is performed unless the output signal of the first hall element 34 changes during γmsec. The power consumption can be again saved by returning to the sampling process of only the first channel 70 in the? Msec period, which is regarded as stopped. > β msec).

또한, 도 11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제 1 홀 소자(34)와 제 2 홀 소자(35)가 항상 High와 Low를 출력하도록 도시되고 있다. 그러나, 본원 제 2항에 기재된 발명에 관한 회로라면, 샘플링 주기만 신호가 출력된다. 이 때문에, 제 2항에 관한 발명에 합치하도록 엄격하게 도시하면, 「제 1 홀 소자의 출력」 및 「제 2 홀 소자의 출력」은 점선으로 각각 도시되고, 샘플링 주기의 경우만 검은 점으로서 나타내어진다.In addition, in FIG. 11,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1st hall element 34 and the 2nd hall element 35 are shown so that it always outputs High and Low. However, in the circuit according to the invention described in claim 2, the signal is output only in the sampling period. For this reason, if strictly shown to coincide with 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2, the "output of the first hall element" and the "output of the second hall element" are respectively shown by dotted lines, and are shown as black dots only in the case of the sampling period. Lose.

상기 자기 검출 수단은 전술한 홀 소자(34, 35)라도 좋지만, 출력 제어 회로를 조립한 홀 IC라도 좋다. 또한, 2개의 홀 소자(IC)를 하나로 패키지하여 두어도 좋고, 또는, 2개의 홀 소자(IC)와 제어용 IC를 하나로 패키지하여 두어도 좋다.The above-described magnetic detection means may be the Hall elements 34 and 35 described above, or may be a Hall IC incorporating an output control circuit. In addition, two Hall elements IC may be packaged as one, or two Hall elements IC and a control IC may be packaged as one.

또한, 전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1주기마다 1회의 클릭이 얻어질 뿐만 아니라, 반주기마다 1회의 클릭을 얻어지도록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영구 자석(51)의 제조가 용이해진다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not only one click is obtained for every one cycle but also one click for every half cycle. This configuration has the advantage that the manufacture of the permanent magnet 51 becomes easy.

또한, 래치 홈의 홈 수를 그대로 두고, 예를 들면, N극/S극의 밀도를 2배, 즉, 원주 자석 1주(360도)당, N극/S극의 세트 수를 2배로 하여도 좋다. 이로써, 2주기(N극/S극의 2세트분)로 전술한 실시 형태와 동일 회전량으로 되고, 1클릭 느낌을 얻을 수 있다. 이 경우, 자기 변화의 회수를 검출 후에 제어에서 솎아내고, 표시기에 있어서의 스크롤 량을 2주기로 전술한 1클릭 부분의 스크롤 량으로 하면, 1주기로 1클릭 느낌을 얻는 경우와 같은 스크롤 량으로 되기 때문에, 조작자가 위화감을 느끼는 일은 없다.In addition, the number of grooves of the latch groove is left as it is, for example, the density of the N pole / S pole is doubled, that is, the number of sets of the N pole / S pole is doubled per one column (360 degrees) of the circumferential magnet. Also good. Thereby, it becomes the rotation amount similar to embodiment mentioned above in two cycles (for two sets of N pole / S pole), and a 1-click feeling can be obtained. In this case, if the number of magnetic changes is removed from the control after the detection, and the scroll amount in the display is set to the scroll amount of the above-mentioned one-click portion in two cycles, the scroll amount is the same as that in the case of obtaining one-click feeling in one cycle. The operator does not feel discomfort.

본 발명에 의하면, 회전 방향은 2개의 자기 검지 수단에서 검지한 신호에 의거하여 검출하지만, 회전량은 어느 하나의 자기 검지 수단으로 검출한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클릭 느낌과 연동시키기 위해 상기 조작 다이얼에 래치 홈을 형성하는 경우라도, 하나의 자기 검지 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신호에 대응하도록 래치 홈을 형성하면 좋다. 이 결과, 래치 홈의 형성에 높은 부품 정밀도를 필요로 하지 않고, 클릭 느낌 발생 수단에 높은 조립 정밀도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otation direction is detected based on the signal detected by the two magnetic detection means, but the rotation amount is detected by any one of the magnetic detection means. For this reason, for example, even when a latch groove is formed in the operation dial for interlocking with the click feeling, the latch groove may be formed so as to correspond to a signal output from one magnetic detection means. As a result, high component precision is not required for the formation of the latch groove, and high assembly precision is not required for the click feel generating means.

본 발명에 의하면, 한쪽의 자기 검지 수단이 자기의 변화를 검지한 경우, 즉, 조작 다이얼이 조작된 때에, 다른 쪽의 자기 검지 수단에 전력이 공급되기 때문에, 소비 에너지가 적은 입력 장치를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one magnetic detecting means detects a change in magnetism, that is, when the operation dial is operated, power is supplied to the other magnetic detecting means, so that an input device with low energy consumption can be obtained. have.

또한, 래치 홈의 형성에 높은 부품 정밀도를 필요로 하지 않고, 클릭 느낌 발생 수단에 높은 조립 정밀도를 필요로 하지 않는 전자 기기, 또는 소비 에너지가 적은 전자 기기를 얻을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an electronic device that does not require high component precision in the formation of the latch groove and does not require high assembly precision in the click feel generating means, or an electronic device with low energy consumption can be obtained.

또한, 래치 홈의 형성에 높은 부품 정밀도를 필요로 하지 않고, 클릭 느낌 발생 수단에 높은 조립 정밀도를 필요로 하지 않는 휴대 전화기, 또는 소비 에너지가 적은 휴대 전화기를 얻을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a mobile phone that does not require high component precision in the formation of the latch groove and does not require high assembly precision in the click feel generating means or a mobile phone with low energy consumption can be obtained.

본 발명에 관한 입력 장치는 휴대 전화기뿐만 아니라, 퍼스널 컴퓨터 등의 전자 기기에서도 적용할 수 있다.The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not only to mobile phones but also to electronic devices such as personal computers.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입력 장치를 조립한 휴대 전화기의 정면도.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front view of the mobile telephone which assembled the input device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한 휴대 전화기의 블록도.2 is a block diagram of the mobile phone shown in FIG.

도 3은 도 1에서 도시한 입력 장치 단체의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of a single input device shown in FIG. 1;

도 4는 도 3에서 도시한 입력 장치로부터 일체형 조작 버튼을 분리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n integrated operation button is separated from the input device shown in FIG. 3.

도 5는 도 3에서 도시한 입력 장치의 분해 사시도.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input device shown in FIG.

도 6의 (A)는 도 5에서 도시한 영구 자석의 사시도, 도 6의 (B)는 다른 변형예의 영구 자석을 도시한 사시도.Fig. 6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ermanent magnet shown in Fig. 5, and Fig. 6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ermanent magnet of another modification.

도 7은 도 3에서 도시한 입력 장치의 확대 분해 사시도.FIG. 7 is an enlarged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input device shown in FIG. 3. FIG.

도 8은 도 3에서 도시한 입력 장치의 다른 각도에서 본 경우의 분해 사시도.FIG.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when viewed from another angle of the input device shown in FIG. 3. FIG.

도 9는 본 발명에 관한 입력 장치의 배선도.9 is a wiring diagram of an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10 is a flow chart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본 발명 및 종래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타임 차트.11 is a time chart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ventional example.

도 12는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타임 차트.12 is a time chart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제어부 11:휴대 전화기10: control unit 11: mobile phone

12:케이스 본체 13:표시기12: Case body 13: Indicator

14:입력 장치 15:텐키14: Input device 15: Tenkey

16:스피커 17:마이크16: Speaker 17: Microphone

18:통신부 19:안테나18: Communication department 19: Antenna

20:베이스 판 30:플렉시블 기판20: base board 30: flexible board

31, 32, 33:제 1, 제 2, 제 3 압하 검지 스위치31, 32, 33: 1st, 2nd, 3rd pressure reduction detection switch

34, 35:홀 소자 36:제어용 IC34, 35: Hall element 36: Control IC

40:조작 다이얼 유닛 41:테두리체40: Operation dial unit 41: Border body

42, 43:암부 42b:조작용 돌기부42, 43: arm part 42b: operation protrusion part

50:통과축 51:영구 자석50: Passing shaft 51: Permanent magnet

52:조작 다이얼 53:소경축부52: Operation dial 53: Small diameter shaft part

53a:방사형상 래치 홈 54:감촉 스프링53a: Radial latch groove 54: Texture spring

60:일체형 조작 버튼 61a, 62a:조작용 돌기부60: Integrated operation button 61a, 62a: Operation protrusion part

Claims (4)

N극 및 S극을 교대로 배치하여 일체화하고, 또한, 축심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 단면 원형의 영구 자석과,Permanent magnets having a circular cross section in which the N poles and the S poles are alternately arranged and integrated, and rotatably supported around an axis; 상기 영구 자석과 동일 축심상에 배치되고, 일체로 회전하는 조작 다이얼과,An operation dial disposed on the same shaft center as the permanent magnet and integrally rotating; 상기 영구 자석의 N극 및 S극의 변화에 응하여 클릭 느낌을 상기 조작 다이얼에 발생시키는 클릭 느낌 발생 수단과,Click feeling generating means for generating a click feeling to the operation dial in response to changes in the N pole and the S pole of the permanent magnet; 상기 영구 자석의 회전에 수반하는 자계의 변화를 검지하고, 검지 결과에 위상차가 생기도록 배치된 2개의 자기 검지 수단과,Two magnetic detection means arranged to detect a change in the magnetic field accompanying the rotation of the permanent magnet and to generate a phase difference in the detection result; 2개의 상기 자기 검지 수단에서 검지한 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조작 다이얼의 회전 방향을 검출함과 함께, 상기 자기 검지 수단의 어느 한쪽에서 검지한 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조작 다이얼의 회전량을 검출하는 제어 회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장치.A control circuit that detects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operation dial based on the signals detected by the two magnetic detection means, and detects the amount of rotation of the operation dial based on the signal detected by either of the magnetic detection means. Inpu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제어 회로가, 2개의 자기 검출 수단 중, 한쪽의 자기 검지 수단이 자계의 변화를 검지한 경우에, 다른 쪽의 자기 검지 수단을 구동하는 전원 회로를 온 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장치.And a control circuit controls the power supply circuit for driving the other magnetic detection means to be turned on when one of the two magnetic detection means detects a change in the magnetic field. 제어부 및 표시부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에 있어서,A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 control unit and a display unit, 제 1항 또는 제 2항에 기재된 입력 장치가 외부에서 조작 가능하게 마련되고, 조작 다이얼의 회전량에 의거하여 상기 제어부가 상기 표시부의 표시 제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input device is provided so as to be operable externally, and the control unit performs display control of the display unit based on the amount of rotation of the operation dial. 제어부 및 표시부를 구비하는 휴대 전화기에 있어서,A mobile phone having a control unit and a display unit, 제 1항 또는 제 2항에 기재된 입력 장치가 외부에서 조작 가능하게 마련되고, 조작 다이얼의 회전량에 의거하여 상기 제어부가 상기 표시부의 표시 제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화기.The portable telephone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input device is provided so as to be operable from the outside, and the control unit performs display control of the display unit based on the amount of rotation of the operation dial.
KR1020040061291A 2003-08-08 2004-08-04 Input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and cellular phone using the same KR100659800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290395 2003-08-08
JPJP-P-2003-00290395 2003-08-08
JPJP-P-2004-00220290 2004-07-28
JP2004220290A JP2005093420A (en) 2003-08-08 2004-07-28 Input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and cell phone using i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8618A true KR20050018618A (en) 2005-02-23
KR100659800B1 KR100659800B1 (en) 2006-12-19

Family

ID=34466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1291A KR100659800B1 (en) 2003-08-08 2004-08-04 Input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and cellular phone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05093420A (en)
KR (1) KR100659800B1 (en)
CN (1) CN1282978C (en)
TW (1) TWI258971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4433B1 (en) 2006-02-28 2007-06-04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having input device
JP4888202B2 (en) * 2007-04-10 2012-02-2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Input operation parts
JP4581148B2 (en) * 2007-08-03 2010-11-17 オンキヨー株式会社 Rotation direction discriminator
JP2011165468A (en) * 2010-02-09 2011-08-25 Casio Computer Co Ltd Rotary switch
JP2013069163A (en) * 2011-09-22 2013-04-18 Fujitsu Ltd Electronic device
EP2664906B1 (en) 2012-05-17 2021-07-28 LG Innotek Co., Ltd. Torque angle sensor
KR102045460B1 (en) * 2013-05-23 2019-11-15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JP7005237B2 (en) * 2017-09-06 2022-01-21 キヤノン株式会社 Electronics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2902A (en) * 1991-07-12 1993-01-29 Daikin Ind Ltd Rotational direction detector for motor and air blowing controller for air conditioner
DE19709087A1 (en) * 1997-03-06 1998-09-10 Heidenhain Gmbh Dr Johannes Circuit arrangement and method for operating a position transmitter with Hall elements
JP2002022403A (en) * 2000-07-13 2002-01-23 Tokyo Keiso Co Ltd Displacement detector and displacement detecting method
JP2003109467A (en) * 2001-09-27 2003-04-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Rotary operation type electronic component and input device using the same
JP3847684B2 (en) * 2002-09-03 2006-11-22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Touch sensor stru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581393A (en) 2005-02-16
CN1282978C (en) 2006-11-01
TWI258971B (en) 2006-07-21
KR100659800B1 (en) 2006-12-19
TW200511801A (en) 2005-03-16
JP2005093420A (en) 2005-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60237B2 (en) Information input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0739210B1 (en) Rotatable inputting apprartus
RU2295194C2 (en) Portable multicomponent self-configuring electronic device
US8570277B2 (en) Inputting method and inputting apparatus
EP1840709A2 (en) Rotary input apparatus
JP2003280799A (en) Information input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using the same
KR100655878B1 (en) Rotatable inputting apprartus
KR100659800B1 (en) Input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and cellular phone using the same
JP2009059599A (en) Input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US20080084394A1 (en) Device for inputting information
KR20000069868A (en) Data input device
KR100786441B1 (en) Information input unit and electronic apparatus using this
KR100692891B1 (en) Rotatable inputting apparatus
KR100685218B1 (en) Rotation and click type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for inputting data using it
KR100595851B1 (en) Input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KR100867030B1 (en) Rotatable inputting apprartus
JP2003109467A (en) Rotary operation type electronic component and input device using the same
CN101030986B (en) Mobile terminal
JP2010157474A (en) Operation input device
JP2004220369A (en) Input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with input device
KR100792509B1 (en) Device for inputting information
KR20080098755A (en) Rotary type input device
KR20080095006A (en) Inputting apparatus module
JP2011100313A (en) Input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1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