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4433B1 - Mobile terminal having input device - Google Patents

Mobile terminal having input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4433B1
KR100724433B1 KR1020060019644A KR20060019644A KR100724433B1 KR 100724433 B1 KR100724433 B1 KR 100724433B1 KR 1020060019644 A KR1020060019644 A KR 1020060019644A KR 20060019644 A KR20060019644 A KR 20060019644A KR 100724433 B1 KR100724433 B1 KR 1007244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roller
main
main input
input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964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원창배
조진형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196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4433B1/en
Priority to US11/649,800 priority patent/US7860538B2/en
Priority to EP07001189A priority patent/EP1826990B1/en
Priority to EP07001192.9A priority patent/EP1826991B1/en
Priority to DE102007003270A priority patent/DE102007003270B4/en
Priority to DE102007003269A priority patent/DE102007003269A1/en
Priority to BRPI0700265-3A priority patent/BRPI0700265A/en
Priority to BRPI0700399-4A priority patent/BRPI0700399A/en
Priority to RU2007105768/09A priority patent/RU2335029C1/en
Priority to MX2007002303A priority patent/MX2007002303A/en
Priority to JP2007046310A priority patent/JP5179071B2/en
Priority to JP2007046307A priority patent/JP5184793B2/en
Priority to MX2007002304A priority patent/MX2007002304A/en
Priority to CN2007100843017A priority patent/CN101030497B/en
Priority to RU2007107413/09A priority patent/RU2331132C1/en
Priority to CN2007100850612A priority patent/CN101030986B/en
Priority to US11/711,662 priority patent/US7996050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44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443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04M1/23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including a pointing device, e.g. roller key, track ball, rocker switch or joystic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62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1D translations or rotations of an operating part of the device, e.g. scroll wheels, sliders, knobs, rollers or bel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7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Abstract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n input device is provided to realize a rotation input method instead of a pressing method by allowing the input device to include a main input roller supported by a body of the input device and a rotation input part to receive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main input rolle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es a body(10), a main input roller(20), and a rotation input part(30). The main input roller(20) is rotatably mounted on the body(10) of the mobile terminal. The rotation input part(30) is mounted between the main input roller(20) and the body(10) to receive a rotation direction of the main input roller(20). The body(10) includes upper and lower covers forming an inner space. The main input roller(20) is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such that a portion of the main input roller(20) is exposed to the outside. The mobile terminal protrudes from the lower cover to include a pair of side surface parts for rotatably supporting both end portions of the main input roller(20).

Description

입력장치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TERMINAL HAVING INPUT DEVICE}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input device {MOBILE TERMINAL HAVING INPUT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를 보이는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구체적인 구성을 보이는 분해 사시도이다.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pecific configuration of FIG.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입력부의 제1 실시예의 배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3 is a conceptual view illustrating an arrangement relationship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rotation input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입력부의 제2 실시예의 배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4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arrangement relationship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rotation input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도 3 또는 도 4의 접점부 또는 센서부에 입력되는 파형을 근거로 하여 제어부가 메인입력롤러의 회전방향을 판단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5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 method of determining, by the controller, a rotation direction of the main input roller based on a waveform input to the contact part or the sensor part of FIG. 3 or 4.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누름입력부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6 is a conceptual view illustrat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push input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input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input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도 8의 라인(Ⅸ-Ⅸ)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II-VII of FIG. 8.

도 10은 도 9의 체인피스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 사시도이다.FIG. 10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chainpiece of FIG. 9.

도 11은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입력장치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FIG. 1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n input devic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6.

도 12는 메인입력롤러가 단말기 본체에 장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 11의 A 부분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1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ortion A of FIG. 11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the main input roller is mounted on the terminal body.

도 13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입력장치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FIG. 1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n input devic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7.

도 14는 도 8 내지 10을 참조하여 설명한 입력장치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FIG. 1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n input devic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8 to 10.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바디 11: 측면지지부10: body 11: side support

20: 메인입력롤러 25: 미끄럼방지부20: main input roller 25: slipper

30: 회전입력부 31: 통전패턴30: rotation input unit 31: energization pattern

33: 접점부 37: 자석부33: contact portion 37: magnet portion

39: 센서부 40: 누름입력부39: sensor unit 40: push input unit

41: 회로기판 43: 스위치41: circuit board 43: switch

45: 연동로드 50: 클릭감제공부45: interlocking load 50: click feeling providing unit

60: 서브입력롤러 61: 제1 서브입력롤러60: sub input roller 61: first sub input roller

62: 제2 서브입력롤러 70: 체인부62: second sub input roller 70: chain portion

71: 체인피스 100: 본체부71: chain piece 100: main body

200: 슬라이드부 201: 상부커버200: slide portion 201: top cover

202: 하부커버 210: 디스플레이부202: lower cover 210: display unit

본 발명은 입력장치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장치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n input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n input device capable of inputting a command by a user's operation.

이동통신 단말기 등의 전자 기기에서는 일정한 정보, 예를 들어 숫자나 문자 등을 입력하기 위한 키패드를 사용하고 있다. BACKGROUND Electronic devices such a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use keypads for inputting certain information, such as numbers and letters.

이러한 키패드는 사용자가 누름(pushing)에 따라 스위칭이 발생되어 원하는 신호가 전자 기기에 입력되게 하는 누름 방식의 입력장치이다. 이와 같은 누름 방식은 하나의 메뉴를 선택하는 동작에서는 편리할 수 있다.Such a keypad is a push type input device in which switching is generated as a user pushes, so that a desired signal is input to an electronic device. Such a pressing method may be convenient in an operation of selecting one menu.

그러나, 열을 이루면서 차례로 배치된 복수의 메뉴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동작의 전 단계로서 복수의 메뉴를 스크롤 하는 과정에서는 인접한 메뉴들 간의 이동을 위하여 이동하려는 메뉴만큼 키패드를 눌러야 한다.However, in the process of scrolling a plurality of menus as a previous step for selecting any one of a plurality of menus arranged in a row, the keypad should be pressed as much as a menu to be moved for moving between adjacent menus.

이러한 반복적인 누름 동작은 사용자에게 번거로운 것이며, 누름 동작에 의한 충격은 이동통신 단말기 등의 전자 기기에 반복적으로 작용하여 그의 기구적인 안정성까지 저해하게 된다.This repetitive pressing operation is cumbersome for the user, and the impact caused by the pressing operation is repeatedly acted on an electronic device such a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hinder its mechanical stability.

따라서, 위와 같은 누름 방식의 입력장치를 대신하여 사용자가 복수의 메뉴를 용이하게 스크롤할 수 있게 하면서도 그가 장착되는 기기에 대한 충격도 저감할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의 입력장치 및 그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필요성이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Therefore, in place of the push-type input device as described above, the user can easily scroll through a plurality of menus while also reducing the impact on the device to which the new type of input device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he same. The need for this is constantly being raised.

상기와 같은 필요성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간단한 조작으로 복수의 메뉴를 용이하게 스크롤하며 그를 위한 구성도 다른 장치에 충격을 적게 주는 입력장치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necessity,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n input device for easily scrolling a plurality of menus with a simple operation and having less impact on other devices. do.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입력장치는 바디와, 메인입력롤러 및 회전입력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input devic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ody, a main input roller and a rotation input unit.

바디는 메인입력롤러가 장착되는 대상이 되며, 그 자체로 독립된 부재거나 이동통신 단말기와 같은 전자 기기의 일부일 수도 있다. 메인입력롤러는 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회전입력부는 메인입력롤러와 바디 사이에 장착되어, 사용자가 메인입력롤러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른 메인입력롤러의 회전 방향을 입력받는다. 이렇게 입력된 회전 방향을 바디에 장착된 디스플레이와 같은 표시부에 표시된 복수의 메뉴를 스크롤하기 위한 방향과 매치시키면, 메인입력롤러를 간단하게 회전시키는 것만으로도 용이하게 메뉴를 스크롤할 수 있게 된다. The body may be a target to which the main input roller is mounted, and may be an independent member or a part of an electronic device such a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main input roller is rotatably mounted on the body. The rotation input unit is mounted between the main input roller and the body to receive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main input roller as the user rotates the main input roller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When the input rotation direction is matched with a direction for scrolling a plurality of menus displayed on a display unit such as a display mounted on a body, the menu can be easily scrolled by simply rotating the main input roller.

나아가, 메인입력롤러를 회전시키는 과정에서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하여 요 철 형태의 미끄럼방지부가 메인입력롤러의 외주 상에 형성될 수도 있다.Furthermore, in order to prevent slipping in the process of rotating the main input roller, an anti-slip portion having an uneven shape may b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main input roller.

또한, 회전입력부는 회전패턴과 패턴감지부를 포함하여 메인입력롤러의 회전방향을 판단한다. 회전패턴은 통전부와 비통전부로 구성되는 통전패턴, 또는 N극과 S극이 교대로 배열되는 자석부 등이 될 수 있고, 패턴감지부는 통전패턴을 감지하기 위한 전류가 인가되는 복수의 접점이나 자석부의 자속 변화를 감지하는 복수의 센서, 예를 들어 홀 센서 등이 될 수 있다. 패턴감지부의 복수의 접점이나 센서를 통한 출력은 서로 일정한 위상차를 가져서, 그로부터 시계 방향 또는 반 시계 방향 회전에 따른 상이한 신호 패턴이 발생되어, 제어부가 이를 근거로 메인입력롤러의 회전방향을 판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 rotation input unit may include a rotation pattern and a pattern sensing unit to determine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main input roller. The rotation pattern may be an energization pattern composed of an energized part and a non-energized part, or a magnet part in which N poles and S poles are alternately arranged, and the pattern detecting part may include a plurality of contacts to which a current for sensing the energizing pattern is applied. It may be a plurality of sensors for detecting a magnetic flux change of the magnet part, for example, a hall sensor. Output through a plurality of contacts or sensors of the pattern detecting unit has a constant phase difference from each other, from which a different signal pattern according to the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rotation is generated, the control unit can determine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main input roller based on this Will be.

나아가, 메인입력롤러는 회전에 의한 입력 기능에 더불어, 누름 동작에 의한 입력 기능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메인입력롤러를 회전시켜 복수의 메뉴를 스크롤하는 과정에서 선택하고자 하는 메뉴가 활성화되는 경우에 바로 메인입력롤러를 눌러서 그 메뉴를 선택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누름입력 기능을 위해서는 바디에 장착되는 신호기판과, 신호기판상에 형성되는 스위치가 필요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메인입력롤러와 스위치를 연동시키는 연동로드가 더 필요하게 된다.Furthermore, the main input roller may further include an input function by a pressing operation in addition to the input function by rotation. Accordingly, when a menu to be selected is activated in a process of rotating the main input roller to scroll a plurality of menus, the main input roller can be immediately pressed to select the menu. The push input function requires a signal board mounted on the body and a switch formed on the signal board, and in some cases, an interlocking rod for interlocking the main input roller and the switch is required.

또한, 클릭감제공부는 메인입력롤러를 회전시킴에 따른 클릭감을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클릭감제공부는 가동돌출부를 가지는 가동캠과, 가동돌출부에 대응하는 고정돌출부를 가지는 고정캠, 그리고 가동캠을 고정캠을 향해 가압하는 탄성체를 포함한다. 고정캠은 메인입력롤러와 함께 회전하며, 가동캠은 바디에 고정되어 회전하지 않으나 메인입력롤러의 회전축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게 된다. 반대로, 고정캠이 바디에 고정되고 가동캠이 메인입력롤러에 장착되어 그와 함께 회전하는 방식도 가능하다. 그에 따라, 가동캠의 가동돌출부는 고정캠을 향하여 전진하도록 탄성체에 의해 가압되고 또한 고정돌출부에 의해 후퇴되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클릭감을 발생시키게 된다.In addition, the click feeling providing unit provides a click feeling as the main input roller is rotated. To this end, the click feeling providing unit includes a movable cam having a movable protrusion, a fixed cam having a fixed protrusion corresponding to the movable protrusion, and an elastic body for pressing the movable cam toward the fixed cam. The fixed cam rotates together with the main input roller, and the movable cam is fixed to the body and does not rotate but slides along the rotation axis of the main input roller. On the contrary,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fixed cam is fixed to the body and the movable cam is mounted on the main input roller to rotate with it. Accordingly, the movable protrusion of the movable cam is pressed by the elastic body to advance toward the fixed cam and generates a click feeling while repeating the process of being retracted by the fixed protrusion.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입력장치는, 위와 같이 구성되는 입력장치에서, 메인입력롤러와 함께 적어도 하나의 서브입력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Furthermore, the input devic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sub input roller together with the main input roller in the input devic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이러한 서브입력롤러에 대해서는 메인입력롤러에 대하여 구비된 위의 회전입력부 및 누름입력부 중에서 누름입력부만 구비되면 된다. 그에 따라, 메인입력롤러는 회전됨에 따라 메뉴의 스크롤 기능을 담당하고 또한 누름 입력에 의해 활성화된 메뉴를 선택하는 기능을 하고, 서브입력롤러는 누름 입력에 의한 메뉴의 단속적인 스크롤 기능만을 담당하게 된다. For such a sub input roller, only the push input unit is provided among the above rotation input unit and the push input unit provided for the main input roller. Accordingly, as the main input roller rotates, the main input roller functions to scroll the menu and selects the menu activated by the push input, and the sub input roller plays only the intermittent scroll function of the menu by the push input. .

나아가, 메인입력롤러가 일 방향으로의 메뉴의 스크롤 기능(회전에 의한)과 특정 메뉴의 선택 기능(누름에 의한)을 담당하는 경우에, 서브입력롤러는 타 방향(예를 들어, 위의 일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의 메뉴의 스크롤 기능(누름에 의한)을 담당할 수 있다. 위의 수직한 방향의 양측으로 스크롤 기능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브입력롤러는 제1 서브입력롤러와 제2 서브입력롤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more, when the main input roller is responsible for scrolling the menu in one direction (by rotating) and selecting a particular menu (by pressing), the sub-input roller is in the other direction (for example, the above work). It can be responsible for the scroll function (by pressing) of the menu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In order to achieve the scroll function on both sides of the vertical direction above, the sub input roller is preferably composed of a first sub input roller and a second sub input roller.

또한, 위와 같이 메인입력롤러와 서브입력롤러의 조립체를 구비함에 있어서, 이들을 감싸서 동시에 회전하게 하는 체인부를 더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체인부를 통해서, 사용자가 체인부의 어느 지점을 회전시키더라도 메인입력롤러와 서 브입력롤러는 동시에 연동되어 회전하게 된다. In addition, in the assembly of the main input roller and the sub-input roller as described above,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chain portion to surround them and rotate at the same time. Through such a chain part, the main input roller and the sub input roller are interlocked and rotated at the same time regardless of which point the user rotates the chain part.

그러나, 이 경우에 회전에 의한 입력은 메인입력롤러와 그에 대하여 설치된 회전입력부에 의해서만 입력된다. 비록 메인입력롤러와 서브입력롤러가 체인부에 의해 감싸진다 하여도, 각 입력롤러에 대한 입력은 별도로 이루어진다. 앞서 말한 바와 같이, 메인입력롤러에 대한 누름 입력은 활성화된 메뉴의 선택이 이루어지게 하고, 서브입력롤러에 대한 누름 입력은 메뉴의 스크롤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과 같다. 나아가, 이러한 체인부는 일체형으로 이루어지게, 복수의 체인피스가 체결되어 일체를 이루는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In this case, however, the input by rotation is input only by the main input roller and the rotation input unit provided thereto. Although the main input roller and the sub input roller are wrapped by the chain part, the input to each input roller is made separately. As described above, the push input for the main input roller causes the selection of the activated menu to be made, and the push input for the sub input roller is equivalent to the scrolling of the menu. Furthermore, it is possible to form such a chain portion is formed in an integral form, a plurality of chain pieces are fastened to form an integral.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단말기 본체와, 그에 앞서 설명한 입력롤러들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장착되는 입력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단말기 본체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상부 커버와 하부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앞서 설명한 입력롤러들이 지지되는 바디는 이러한 내부 공간에 장착된다. 나아가, 단말기 본체, 예를 들어 하부 커버 자체에 위의 바디와 같은 구성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제조 및 조립 등의 공정을 단순화하는 면에서 바람직하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terminal body and an input device mounted to expose the input rollers described above to the outside. To this end, the terminal body includes an upper cover and a lower cover forming an inner space, and the body on which the input rollers described above are supported is mounted in the inner space. Furthermore, it is preferable to form the same structure as the above body in the terminal body, for example, the lower cover itself, in terms of simplifying the manufacturing and assembly process.

위와 같은 입력장치가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말기 본체에 장착됨으로 인하여, 복수의 메뉴를 스크롤하는 경우에 반복적으로 입력장치를 누르지 않고 메인입력롤러를 회전시켜 복수의 메뉴를 간단하고 신속하게 스크롤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회전 입력방식은 입력장치가 장착되는 단말기 본체에 대한 충격량도 완화하는 이점 또한 갖게 된다.Since the above input device is mounted on the terminal bod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scrolling a plurality of menus, a plurality of menus can be easily and quickly scrolled by rotating the main input roller without repeatedly pressing the input device. . This rotational input method also has the advantage of reducing the amount of impact on the terminal body on which the input device is mounted.

이러한 입력장치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하여, 본 명세서에서는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고 본 발명이 그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은 바형, 폴더형, 스위블형 등 어떠한 형태의 이동통신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 있는 것임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것이다.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such an input device will be described herein using a slide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 an example, but this is only an exampl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n other words, it will be readi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ny typ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ch as bar type, clam type, swivel type.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an input device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he sam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를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구체적인 구성을 보이는 분해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pecific configuration of FIG.

본 도면들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는 바디(10)와, 메인입력롤러(20) 및 회전입력부(30)를 포함한다.As illustrated in the drawings, the in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10, a main input roller 20, and a rotation input unit 30.

바디(10)는 서로 대응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측면지지부(11)와, 한 쌍의 측면지지부(11)를 연결하는 지지로드(13)를 포함한다. 나아가, 한 쌍의 측면지지부(11)는 그와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베이스부(15, 도 6 참조)을 통해 연결된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The body 10 includes a pair of side support parts 11 disposed to correspond to each other, and a support rod 13 connecting the pair of side support parts 11 to each other. Furthermore, the pair of side support portions 11 may have a form connected through the base portion 15 (see FIG. 6) dispos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hereto.

메인입력롤러(20)는 원형 단면을 가지고서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몸통부(21)와, 몸통부(21)의 양 단부에서 돌출하여 측면지지부(11)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어 결합되는 회전축(23)을 포함한다. 나아가, 몸통부(21)의 외주에는 요철 형태의 미끄럼방지부(25)가 형성될 수 있다. 미끄럼방지부(25)는 몸통부(21)를 회전시킬 때 사용자의 손가락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몸통부(21) 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그루브의 형태를 가진다. 다만, 미끄럼방지부(25)는 반드시 그루브의 형태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몸통부(21)에서 돌출한 형태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main input roller 20 has a circular cross section and has a trunk portion 21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rotating shaft 23 protruding from both ends of the trunk portion 21 to be rotatably inserted into the side support portion 11. ). Further, the outer periphery of the body portion 21 may be formed with a non-slip portion 25 of the irregular shape. The non-slip part 25 is configured to prevent the user's finger from slipping when the body part 21 is rotated, and has a shape of a plurality of grooves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part 21. However, the slipper 25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shape of the groove, and may b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body portion 21.

회전입력부(30)는 메인입력롤러(20)와 바디(10), 구체적으로는 측면지지부(11) 사이에 형성되어, 메인입력롤러(20)의 회전 방향을 입력받게 된다. 이를 위하여, 회전입력부(30)는 회전패턴과, 패턴감지부를 포함한다.The rotation input unit 30 is formed between the main input roller 20 and the body 10, specifically, the side support part 11, and receives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main input roller 20. To this end, the rotation input unit 30 includes a rotation pattern and a pattern detecting unit.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회전입력부(30)는 통전패턴(31)으로 이루어진 회전패턴과, 접점부(33)와 제어부(미도시)로 이루어진 패턴감지부로 구성된다. The rotation input unit 3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rotation pattern composed of an energization pattern 31 and a pattern sensing unit composed of a contact portion 33 and a controller (not shown).

통전패턴(31)은 메인입력롤러(20)의 일 측면{도 2에서는 메인입력롤러(20)의 일 측면에 결합되는 고정캠(53)의 일 면}에 인쇄되거나, 별도로 메인입력롤러(20)에 그와 함께 회전하도록 결합되는 통전플레이트(31')에 인쇄된다. 접점부(33)는 통전패턴(31)과 접촉하도록 바디(10)의 측면지지부(11)에 결합되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The energization pattern 31 is printed on one side of the main input roller 20 (one side of the fixed cam 53 coupled to one side of the main input roller 20 in FIG. 2), or separately the main input roller 20. ) Is printed on an energizing plate 31 'which is coupled to rotate therewith. The contact part 33 is coupled to the side support part 11 of the body 10 to be in contact with the conduction pattern 31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part.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3.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입력부의 제1 실시예의 배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3 is a conceptual view illustrating an arrangement relationship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rotation input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이, 통전패턴(31)은 통전플레이트(31')의 일 면의 중앙부에 전기가 통전되도록 형성된 연속통전부(31a)와, 연속통전부(31a)를 감싸면서 통전부(31ba)와 비통전부(31bb)가 교대로 형성된 선택통전부(31b)를 포함한다. As illustrated in the figure, the conduction pattern 31 is a continuous conduction portion 31a formed so that electricity is energized at the center of one surface of the conduction plate 31 'and the conduction portion surrounding the continuous conduction portion 31a. 31ba and the non-conduction part 31bb include the selection electrification part 31b formed by turns.

접점부(33)는 연속통전부(31a)와 접촉하도록 바디(10)에 장착되는 접지접점(33a)와, 선택통전부(31b)와 접촉하도록 바디(10)에 장착되는 플러스접점(33b) 및 마이너스접점(33c)를 포함한다. 플러스접점(33b)에는 플러스 전류가 인가되고, 마이너스접점(33c)에는 마이너스 전류가 인가된다. 이들 플러스 전류 및 마이너스 전류는 제어부에서 인가되며, 플러스접점(33b) 및 마이너스접점(33c)이 각각 비통전부(31bb)와 접촉하는 상태에서는 각각의 플러스 또는 마이너스 상태의 전류를 출력한다. 통전패턴(31)의 회전에 따라 플러스접점(33b) 및 마이너스접점(33c)이 각각 통전부(31ba)와 접촉하게 되는 경우에는 모두 접지접점(33a)과 통전되어 접지 상태가 된다. 또한, 통전패턴(31)의 회전에 따라 플러스접점(33b) 및 마이너스접점(33c)에서 출력되는 전류의 파형이 일정한 위상차를 가지도록, 플러스접점(33b)과 마이너스접점(33c)은 일정 간격 이격된 채로 배치된다.The contact portion 33 is a ground contact 33a mounted to the body 10 to contact the continuous conduction portion 31a, and a positive contact 33b mounted to the body 10 to contact the selective conduction portion 31b. And a negative contact 33c. A positive current is applied to the positive contact 33b, and a negative current is applied to the negative contact 33c. These plus currents and negative currents are applied by the controller, and the positive or negative currents respectively output currents in the positive or negative states when the positive contact 33b and the negative contact 33c are in contact with the non-conductive part 31bb. When the positive contact 33b and the negative contact 33c come into contact with the energization part 31ba, respectively, as the energization pattern 31 is rotated, both of them are energized with the ground contact 33a and are in a ground state. In addition, the positive contact 33b and the negative contact 33c are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so that the waveforms of the currents output from the positive contact 33b and the negative contact 33c have a constant phase difference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energization pattern 31. Are left in place.

제어부는 플러스접점(33b)과 마이너스접점(33c)에서 출력되는 전류의 파형을 근거로 하여, 메인입력롤러(20)의 회전 방향을 판단하게 된다.The controller determines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main input roller 20 based on the waveform of the current output from the positive contact 33b and the negative contact 33c.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회전입력부(30)는 회전패턴으로서의 자석부(37)와, 패턴감지부로서의 센서부(3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대해서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The rotation input unit 3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gnet unit 37 as a rotation pattern and a sensor unit 39 as a pattern sensing unit.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입력부의 제2 실시예의 배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4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arrangement relationship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rotation input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이, 자석부(37)는 메인입력롤러(20, 도 2 참조)의 외주상에 장착되는 복수의 자석으로 구성되고, 센서부(39)는 자석부(37)에 근접하게 배치되는 제1 및 제2 센서(39a 및 39b)로 구성된다.As illustrated in the figure, the magnet portion 37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magnets mount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main input roller 20 (see FIG. 2), and the sensor portion 39 is close to the magnet portion 37. It consists of the first and second sensors 39a and 39b disposed so as to be arranged.

자석부(37)는 N극과 S극이 교대로 배열되도록 메인입력롤러(20)의 외주, 보다 구체적으로는 몸통부(21)에 끼워지는 링(ring) 형태를 이루는 자석들의 조립체이다. 센서부(39)는 그러한 자석부(37)에 근접하게 배치되어, 메인입력롤러(20)의 회전시에 변화되는 자속을 감지하는 두 개의 센서(37a 및 37b)로서이다. 이러한 센서(37a 및 37b)로는, 예를 들어, 홀 센서(Hall Sensor)가 사용될 수 있다.The magnet part 37 is an assembly of magnets in the form of a ring fitted 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main input roller 20, more specifically, the body part 21 so that the N pole and the S pole are alternately arranged. The sensor part 39 is arranged as close to such a magnet part 37 as two sensors 37a and 37b for sensing the magnetic flux that changes during the rotation of the main input roller 20. As such sensors 37a and 37b, for example, a Hall sensor can be used.

제어부는 제1 및 제2 센서(39a 및 39b)에서 입력되는 자속 변화의 파형을 근거로 하여 메인입력롤러(20)의 회전방향을 판단하게 된다.The controller determines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main input roller 20 based on the waveform of the magnetic flux change input from the first and second sensors 39a and 39b.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회전입력부(30)가 메인입력롤러(20)의 회전방향을 판단하는 방식에 대해서는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A method of determining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main input roller 20 by the rotation input unit 30 according to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도 5는 도 3 또는 도 4의 접점부 또는 센서부에 입력되는 파형을 근거로 하여 제어부가 메인입력롤러의 회전방향을 판단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5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 method of determining, by the controller, a rotation direction of the main input roller based on a waveform input to the contact part or the sensor part of FIG. 3 or 4.

본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회전입력부(30)를 구성하는 패턴감지부의 접점부(33)의 플러스접점(33b) 및 마이너스접점(33c)과, 센서부(39)의 제1 및 제2 센서(39a 및 39b)에서 제어부에 입력되는 파형(35a 및 35b)은 일정한 위상 차이를 가지게 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어느 하나의 파형(35a)에 비하여 다른 하나의 파형(35b)는 1/4 파장만큼 앞선 파형을 형성하게 된다. As illustrated in the drawings, the positive contact 33b and the negative contact 33c of the contact portion 33 of the pattern sensing unit constituting the rotation input unit 30 according to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aveforms 35a and 35b input to the controller from the first and second sensors 39a and 39b of the sensor unit 39 have a constant phase difference. Specifically, the other waveform 35b forms a waveform that is 1/4 of the wavelength compared to one of the waveforms 35a.

그에 따라, 파형(35a 및 35b)의 높은 부분을 1로서 분류하고 낮은 부분을 0으로 분류하면, 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형(35a 및 35b)에 대한 1과 0의 조합을 얻게 된다. 예를 들어, 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1,0),(0,0),(0,1),(1,1),(1,0),(0,0),(0,1),(1,1)과 같은 형태의 조합이 가능하다.Thus, classifying the high portion of waveforms 35a and 35b as 1 and the low portion to 0 yields a combination of 1s and 0s for waveforms 35a and 35b, as shown in this figure. For example, as shown in the figure, (1,0), (0,0), (0,1), (1,1), (1,0), (0,0), (0 Combinations of the types 1, 1 and 1 are possible.

이때, 박스 내의 (1,1) 조합을 기준으로 살펴보면, 일 방향(R)으로 진행시에 (1,0)의 값에 해당하는 파형이 나타나고, 다른 방향(L)로 진행시에는 (0,1)의 값에 해당하는 파형이 나타나게 된다. 그에 따라, 메인입력롤러(20)가 일 방향(R) 또는 다른 방향(L) 중 어느 방향으로 회전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At this time, when looking at the combination of (1,1) in the box, the waveform corresponding to the value of (1,0) appears in one direction (R), and in the other direction (L), (0, The waveform corresponding to the value of 1) appears.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ich direction the main input roller 20 rotates in one direction (R) or the other direction (L).

이제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누름입력부(40) 및 클릭감제공부(50)에 대하여 설명한다.Now, referring again to FIGS. 1 and 2, the press input unit 40 and the click feeling providing unit 50 will be described.

누름입력부(40)는 메인입력롤러(20)를 누르는 동작(pushing)에 연동되어 특정한 신호를 입력받게 된다. The push input unit 40 is interlocked with the pushing operation of the main input roller 20 to receive a specific signal.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누름입력부(40)는 회로기판(41)과, 스위치(43)와, 연동로드(45)를 포함한다. 회로기판(41)은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바디(10)를 이루는 측면지지부(11)에 장착된다. 스위치(43)는 회로기판(41) 상에 형성되며, 가압력이 가해지면 탄성 변형하여 회로기판(41) 상의 이격된 부분을 맞닿게 함에 따라 그 부분을 통전시켜 회로기판(41)에 신호가 발생 되게 한다. 이러한 스위치(43)는, 예를 들어 돔 스위치(Dome Switch)일 수 있다. 돔 스위치는 그 자체가 탄성력을 가지고 있다. 나아가, 연동로드(45)는 메인입력롤러(20)가 눌려지는 힘을 스위치(43)에 전달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측면지지부(11)에 힌지축(45a)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The push input unit 4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ircuit board 41, a switch 43, and an interlocking rod 45. The circuit board 41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and is mounted on the side support part 11 forming the body 10. The switch 43 is formed on the circuit board 41. When the pressing force is applied, the switch 43 elastically deforms and contacts the spaced parts on the circuit board 41 so as to energize the parts to generate a signal on the circuit board 41. To be. Such a switch 43 may be, for example, a dome switch. The dome switch has an elastic force in itself. Furthermore, the interlocking rod 45 is a component for transmitting a force to which the main input roller 20 is pressed to the switch 43, and is rotatably mounted to the side support part 11 about the hinge shaft 45a.

그에 따라, 사용자가 메인입력롤러(20)를 누르게 되면, 연동로드(45)의 일단 이 눌려져서 연동로드(45)가 힌지축(45a)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면서 연동로드(45)의 타단이 스위치(43)를 가압하게 된다. 그 결과로, 스위치(43)가 회로기판(41)을 통전시켜서 메인입력롤러(20)를 누름에 따른 특정 신호가 발생되어, 제어부에 입력되게 된다. 이러한 신호는, 예를 들어, 확인키(enter key)를 누름에 따른 확인 신호로서 인식될 수 있다. 나아가, 눌려진 메인입력롤러(20)는 스위치(43) 자체의 탄성력에 의하여 원상태로 복귀한다.Accordingly, when the user presses the main input roller 20, one end of the interlocking rod 45 is pressed to rotate the interlocking rod 45 about the hinge shaft 45a while the other end of the interlocking rod 45 is pressed. The switch 43 is pressed. As a result, a specific signal is generated as the switch 43 energizes the circuit board 41 to press the main input roller 20, and is input to the controller. Such a signal can be recognized, for example, as an acknowledgment signal upon pressing an enter key. Further, the pressed main input roller 20 is returned to its original state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witch 43 itself.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누름입력부(40)는 회로기판(41)과, 스위치(43)만으로 구성된다. 이에 대해서는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The push input unit 4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only the circuit board 41 and the switch 43.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누름입력부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6 is a conceptual view illustrat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push input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이, 누름입력부(40)는 메인입력롤러(20)의 바로 아래에 형성된다. 회로기판(41)은 메인입력롤러(20)의 아래에 놓이도록 바디(10)를 이루는 베이스부(15)상에 위치되고, 스위치(43)는 메인입력롤러(20)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도록 회로기판(41)상에 장착된다. As illustrated in the figure, the press input unit 40 is formed directly under the main input roller 20. The circuit board 41 is positioned on the base 15 forming the body 10 so as to lie below the main input roller 20, and the switch 43 is located directly below the main input roller 20. It is mounted on the circuit board 41.

그에 따라, 제2 실시예에 따른 누름입력부(40)에서는, 제1 실시예에서와 달리, 연동로드(45)를 추가적으로 구비하지 않아도 되는 이점이 있다.Accordingly, in the push input unit 4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unlike in the first embodiment,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is not necessary to additionally include an interlocking rod 45.

다음으로,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클릭감제공부(50)는 메인입력롤러(20)의 단부 측과 바디(10) 사이에 형성되어, 메인입력롤러(20)를 회전시킴에 따른 클릭감이 발생 되도록 하는 구성이다.Next, referring again to FIGS. 1 and 2, the click feeling providing unit 50 is formed between the end side of the main input roller 20 and the body 10,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main input roller 20. It is a configuration to generate a feeling of click.

클릭감제공부(50)는 가동캠(51)과, 고정캠(53) 및 탄성체(55)를 포함한다.The click feeling providing unit 50 includes a movable cam 51, a fixed cam 53, and an elastic body 55.

가동캠(51)은 원판형으로 형성되어 메인입력롤러(20)의 회전축(23)에 끼워져서 그 회전축(23)의 축선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가동캠(51)의 일 면에는 가동돌출부(51a)가 돌출하며, 이는 도시된 바와 같이 180도 간격을 가지고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가동캠(51)은 결합부(51b)를 가져서, 바디(10)를 이루는 측면지지부(11)에서 가동캠(51)을 향해 돌출한 돌기(미도시)에 끼워질 수 있다. 그에 따라, 가동캠(51)은 메인입력롤러(20)의 회전축(23)과 측면지지부(11)의 돌기에 의해 회전축(23)의 축선방향으로는 이동하면서 메인입력롤러(20)와 함께 회전하지는 않게 된다.The movable cam 51 is formed in a disc shape and fitted to the rotary shaft 23 of the main input roller 20 so as to be movable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rotary shaft 23. The movable protrusion 51a protrudes on one surface of the movable cam 51, which may be formed at a 180 degree interval as shown. In addition, the movable cam 51 may have a coupling part 51b and may be fitted into a protrusion (not shown) protruding toward the movable cam 51 from the side support part 11 constituting the body 10. Accordingly, the movable cam 51 rotates together with the main input roller 20 while moving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rotation shaft 23 by the projection of the rotation shaft 23 and the side support part 11 of the main input roller 20. You won't do it.

고정캠(53)은 원판형으로 형성되고 메인입력롤러(20)의 회전축(23)에 회전 불가능하게 끼워진다. 그에 따라, 고정캠(53)은 메인입력롤러(20)와 함께 회전하나, 그의 축선 방향으로 이동하지는 않는다. 또한, 고정캠(53)의 일 측면, 다시 말해서 가동캠(51)과 마주하는 면에는 고정돌출부(53a)가 연속적으로 돌출하여 형성된다.The fixed cam 53 is formed in a disc shape and is rotatably fitted to the rotation shaft 23 of the main input roller 20. Accordingly, the fixed cam 53 rotates together with the main input roller 20, but does not move in the axial direction thereof. In addition, one side of the fixed cam 53, that is, the surface facing the movable cam 51, the fixed projection 53a is formed to protrude continuously.

탄성체(55)는 메인입력롤러(20)와 가동캠(51) 사이에 형성되어, 가동캠(51)을 고정캠(53)을 향하여 가압하게 된다. 이러한 탄성체(55)는, 예를 들어, 압축 코일 스프링이고, 메인입력롤러(20)의 회전축(23)을 감싸면서 몸통부(21)내에 삽입되어 지지되는 형태일 수 있다.The elastic body 55 is formed between the main input roller 20 and the movable cam 51 to press the movable cam 51 toward the fixed cam 53. The elastic body 55 may be, for example, a compression coil spring and may be inserted into and supported in the body portion 21 while surrounding the rotation shaft 23 of the main input roller 20.

이상에서는 가동캠(51)은 회전하지 않으나 고정캠(53)은 회전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그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다. 다시 말해서, 가동캠(51)은 바디(10)에 고정되지 않고 메인입력롤러(20)에 결합되어 그와 함께 회전하고, 고정캠(53)은 바 디(10)에 결합되어 메인입력롤러(20)와 함께 회전하지 않게 구성하면 된다.In the above description, the movable cam 51 is not rotated but the fixed cam 53 is rotated, but vice versa. In other words, the movable cam 51 is not fixed to the body 10 and is coupled to the main input roller 20 and rotates therewith, and the fixed cam 53 is coupled to the body 10 to be the main input roller ( 20) so as not to rotate together.

이렇게, 가동캠(51)은 메인입력롤러(20)의 축선방향으로 이동 가능함과 동시에 그와 함께 회전하지 않거나 회전하게 되고, 고정캠(53)은 메인입력롤러(20)와 함께 회전하거나 회전하지 않게 된다. 그에 따라, 탄성체(55)가 가동캠(51)을 고정캠(53)을 향해 가압하게 되면, 가동돌출부(51a)가 고정돌출부(53a)를 타고 넘으면서 가동캠(51)이 메인입력롤러(20)의 축선방향으로 반복적으로 전진 또는 후진하게 되면서 클릭감이 발생하게 된다.Thus, the movable cam 51 is movable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main input roller 20 and does not rotate or rotate with it, and the fixed cam 53 does not rotate or rotate with the main input roller 20. Will not. Accordingly, when the elastic body 55 presses the movable cam 51 toward the stationary cam 53, the movable cam 51 moves through the fixed protrusion 53a while the movable cam 51 moves over the main input roller 20. As a result of clicking forward or repetitively in the axial direction of).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입력장치의 메인입력롤러(20)를 회전시키면 회전입력부(30)는 메인입력롤러(20)의 회전에 연동되어 그의 회전 방향을 입력받게 된다. 이러한 메인입력롤러(20)의 회전시에는, 클릭감제공부(50)가 작동하게 되어 클릭감이 발생한다. 또한, 미끄럼방지부(25)가 메인입력롤러(20)의 외주 상에 형성되어 있기에, 메인입력롤러(20)를 회전시킬 때 미끄럼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또한, 메인입력롤러(20)를 누르게 되면 그에 연동하여 누름입력부(40)가 작용하여 메인입력롤러(20)의 누름 동작을 입력받게 된다.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when the main input roller 20 of the input device is rotated, the rotation input unit 30 is interlocked with the rotation of the main input roller 20 to receive the rotation direction thereof. When the main input roller 20 rotates, the click feeling providing unit 50 is operated to generate a click feeling. In addition, since the slipper 25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main input roller 20, no slip occurs when the main input roller 20 is rotated. In addition, when the main input roller 20 is pressed, the press input unit 40 works in conjunction with the main input roller 20 to receive a pressing operation of the main input roller 20.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입력장치는 메인입력롤러(20)에 더하여 적어도 하나의 서브입력롤러(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The input devic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sub input roller 60 in addition to the main input roller 20.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7.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input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는, 앞 선 실시예와 달리, 메인입력롤러(20)에 더하여 적어도 하나의 서브입력롤러(60)를 포함한다.As illustrated in the figure, the input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nlike the previous embodiment, includes at least one sub-input roller 60 in addition to the main input roller 20.

서브입력롤러(60)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비되며, 메인입력롤러(20)의 일측에 모두 구비되거나 그의 양측에 분산되어 배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서브입력롤러(60)는 메인입력롤러(20)의 양측에 각각 분산되어 배치된 제1 서브입력롤러(61) 및 제2 서브입력롤러(62)를 예시하고 있다.At least one sub-input roller 60 may be provided at one side of the main input roller 20 or may be disposed to be distributed on both sides thereof. In this figure, the sub input roller 60 illustrates the 1st sub input roller 61 and the 2nd sub input roller 62 distribute | arranged on both sides of the main input roller 20, respectively.

이러한 메인입력롤러(20) 및 적어도 하나의 서브입력롤러(60)들은 바디(10)의 측면지지부(11)에 각각 양 단부가 삽입되어 지지되게 장착된다. 또한, 이들 입력롤러들(20 및 60)은 그들의 중심축선이 동일한 평면에 놓이도록 배치된다.The main input roller 20 and the at least one sub-input roller 60 are mounted on both side portions of the side support 11 of the body 10 so as to be supported. In addition, these input rollers 20 and 60 are arranged so that their central axis lies in the same plane.

메인입력롤러(20)에는, 앞선 실시예에 동일하게, 회전입력부(30) 및 누름입력부(40), 그리고 클릭감제공부(50)가 구비된다. 이들에 대해서는 도 2에서 상세히 도시한바, 본 도면에서 중복적으로 도시하지는 않는다. 또한, 서브입력롤러(60)에는 메인입력롤러(20)에 구비되는 누름입력부(40)와 동일한 누름입력부(40)가 구비된다. The main input roller 20 is provided with the rotation input unit 30, the push input unit 40, and the click feeling providing unit 50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previous embodiment. These are shown in detail in FIG. 2 and are not duplicated in this drawing. In addition, the sub input roller 60 is provided with the same press input unit 40 as the press input unit 40 provided in the main input roller 20.

나아가, 메인입력롤러(20)와 서브입력롤러(60)의 외주상에는 서레이션부(27 및 61a/62a)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서레이션부(27 및 61a/62a)는, 다음 실시예에에서 체인부(70)와 입력롤러들(20 및 60)간의 협력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것이나(도 9 등 참조), 체인부(70)를 채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미끄럼방지부(25)와 유사한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serration portions 27 and 61a / 62a protrude from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main input roller 20 and the sub input roller 60. These serge sections 27 and 61a / 62a are for facilitating cooperation between the chain section 70 and the input rollers 20 and 60 in the following embodiment (see FIG. 9, etc.), and the chain section ( 70 may not play a role similar to that of the anti-slip unit 25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입력장치에는 메인입력롤러(20)를 통해서 그의 회전 에 의해 회전입력부(30)에 회전 방향이 입력됨과 동시에 그의 눌림에 의해 누름입력부(40)에 누름 동작이 입력된다. 또한, 서브입력롤러(60)를 통해서는 그의 눌림에 의해 누름입력부(40)에 서브입력롤러(60)의 누름 동작이 입력된다.According to this structure, the rotation direction is input to the rotation input part 30 by its rotation through the main input roller 20, and the pressing operation | movement is input to the press input part 40 by its press. Further, the pressing operation of the sub input roller 60 is input to the push input unit 40 by the pressing thereof through the sub input roller 60.

다음으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에 대하여 도 8 내지 도 10(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Next, an input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8 to 10 (and 7).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input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입력장치는 체인부(70)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체인부(70)는 도 7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메인입력롤러(20)와 서브입력롤러(60)라는 복수의 입력롤러들(20 및 60)를 감싸서 이들이 연동되어 회전하게 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하여, 서브입력롤러(60)는 바디(1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야 한다.As illustrated in the figure, the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hain portion 70.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7, the chain part 70 encloses a plurality of input rollers 20 and 60, namely, a main input roller 20 and a sub input roller 60 so as to interlock and rotate. To this end, the sub input roller 60 should be rotatably mounted to the body (10).

그에 따라, 회전입력부(30) 통한 회전 입력을 위하여 반드시 메인입력롤러(20)만을 회전시키지 않아도 된다. 다시 말해서, 체인부(70)의 어느 부분에라도 손가락을 올려놓고 체인부(70)를 끌어당기거나 밀어올리면 된다. Accordingly, it is not necessary to rotate only the main input roller 20 for rotation input through the rotation input unit 30. In other words, the finger is placed on any part of the chain part 70 and the chain part 70 is pulled or pushed up.

또한, 이러한 체인부(70)의 존재에도 불구하고, 메인입력롤러(20)나 서브입력롤러(60)를 각각 구별하여 누름에 따라 각각에 연동되는 누름입력부(40)에 누름 입력이 발생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despite the existence of such a chain portion 70, the main input roller 20 or the sub-input roller 60 is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so that the pressing input is generated in the pressing input unit 40 interlocked with each other. Can be.

도 9는 도 8의 라인(Ⅸ-Ⅸ)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II-VII of FIG. 8.

본 도면 및 도 7에 예시된 바와 같이, 지지로드(13)들은 각 입력롤러들(20 및 60) 사이에 배치되고, 체인부(70)는 복수의 체인피스(71)의 조립체로 형성되어 메인입력롤러(20)와 서브입력롤러(60)를 감싸도록 배치된다.As illustrated in FIG. 7 and FIG. 7, the support rods 13 are disposed between the respective input rollers 20 and 60, and the chain part 70 is formed of an assembly of a plurality of chain pieces 71 so as to have a main body. It is arranged to surround the input roller 20 and the sub input roller 60.

메인입력롤러(20) 및 서브입력롤러(60)의 외주에는 각각 세레이션부(27 및 61a/62a)가 형성된다. 이러한 세레이션부(27 및 61a/62a)는 체인부(70)를 이루는 체인피스(71)의 체인돌기(71d)와 형합한다. 그에 따라, 체인부(70)를 이동시킴에 따른 힘이 입력롤러들(20 및 60)을 강하게 회전시키게 된다.The serration parts 27 and 61a / 62a are formed in the outer periphery of the main input roller 20 and the sub input roller 60, respectively. These serrations 27 and 61a / 62a fit with the chain protrusion 71d of the chainpiece 71 constituting the chain portion 70. Accordingly, the force of moving the chain portion 70 causes the input rollers 20 and 60 to rotate strongly.

도 10은 도 9의 체인피스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 사시도이다.FIG. 10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chainpiece of FIG. 9.

본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이, 체인피스(71)는, 몸체(71a)와, 몸체(71a)의 일단에서 후크 형태도 돌출 형성된 후크부(71b)와, 몸체(71a)의 타단에 이격되게 형성되는 체결로드(71c) 및 몸체(71a)에서 돌출형성되는 체인돌기(71d)를 포함한다.As illustrated in the figure, the chain piece 71 is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other end of the body (71a), the hook portion (71b) protruding hook shape from one end of the body (71a), and the body (71a) And a chain protrusion 71d protruding from the fastening rod 71c and the body 71a.

후크부(71b)는 인접한 다른 체인피스(71)의 체결로드(71c)에 감싸도록 결합되어 인접한 체인피스(71)들을 연결하게 된다.The hook portion 71b is coupled to surround the fastening rod 71c of the other adjacent chainpiece 71 to connect the adjacent chainpieces 71.

이러한 체인피스(71)는 고무나 플라스틱 사출물 등으로 형성되며, 미끄럼이 적고 일정한 촉감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hain piece 71 is formed of rubber, plastic injection molding, or the like, and it is preferable to provide a non-slip and constant touch.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입력장치의 메인입력롤러(20)와 서브입력롤러(60)는 체인부(70)에 의해 일체로 회전하게 된다. 그러나, 회전 입력은 메인입력롤러(20)와 회전입력부(30)에 의해서만 입력된다. 또한, 메인입력롤러(20)와 서브입력롤러(60)는 각각 누름입력부(40)에 의한 누름 입력을 입력받게 된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main input roller 20 and the sub input roller 60 of the input device are integrally rotated by the chain portion 70. However, the rotation input is input only by the main input roller 20 and the rotation input unit 30. In addition, the main input roller 20 and the sub input roller 60 are each received a press input by the push input unit 40.

이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입력장치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하여 도 11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Now,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n input device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1 to 14.

도 11은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입력장치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12는 메인입력롤러가 단말기 본체에 장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 11의 A 부분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FIG. 1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n input devic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6, and FIG. 12 is a portion A of FIG. 11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a main input roller is mounted on a terminal body. The exploded perspective view.

도 11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단말기 본체와, 단말기 본체에 장착되는 입력장치를 포함한다.As illustrated in FIG. 11,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erminal body and an input device mounted to the terminal body.

단말기 본체는 본체부(100)와 슬라이더부(200)를 포함하여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룬다. 본체부(100)는 전면에 누름 입력이 가능한 복수의 입력키(110)와 소리를 입력 가능한 마이크(130)를 구비하고, 배면에는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150)를 착탈 가능하게 구비한다. 슬라이더부(200)는 본체부(100)에 중첩되게 배치되어, 그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슬라이딩 이동하면 개폐된다. 슬라이더부(200)의 전면에는 시각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210)와 소리를 출력하는 스피커(230)가 구비된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부(210)는, 예를 들어, LCD(Liquid Crystal Display)일 수 있다.The terminal body includes a main body 100 and a slider 200 to form a clamshel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main body 100 includes a plurality of input keys 110 capable of pressing input on the front surface and a microphone 130 capable of inputting sound, and a rear side of the main body 100 is detachably provided with a battery 150 for supplying power. The slider portion 200 is disposed to overlap the main body portion 100, and is opened and closed when the slider portion 200 sl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The front of the slider 200 is provided with a display 210 for outputting visual information and a speaker 230 for outputting sound. The display unit 210 may be, for example,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메인입력롤러(20)는 슬라이더부(200)의 상부 커버(201)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게 슬라이더부(200)에 장착된다. 또한, 메인입력롤러(20)의 좌우에는 누름 입력 방식의 좌우키(250)가 구비되어, 디스플레이부(210)에 출력되는 메뉴를 도면상 좌우방향으로 스크롤 할 수 있게 한다.The main input roller 20 is mounted to the slider 200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upper cover 201 of the slider 200. In addition, left and right keys 250 of a push input method are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main input roller 20 to scroll the menu output to the display 210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n the drawing.

도 12를 참조하면, 메인입력롤러(20)를 포함하는 입력장치는 슬라이더부(200)의 하부 커버(202)에 장착된다. 입력장치를 구성하는 바디(10), 구체적으로는 메인입력롤러(2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측면지지부(11)는 하부 커버(202)에서 돌출한 형태로 결합되거나 그에서 일체로 돌출 형성된다. 회전입력부(30)와 클릭감제공부(50)는 메인입력롤러(20)와 측면지지부(11) 사이에 형성되고, 누름입력부(40)는 측면지지부(11)에 형성된다. 이들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앞선 설명으로 갈음한다. 또한, 상부 커버(201)에는 메인입력롤러(20)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하는 개구부(210a)가 형성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12, an input device including the main input roller 20 is mounted on the lower cover 202 of the slider 200. The body 10 constituting the input device, specifically, the side support part 11 rotatably supporting the main input roller 20 is combined to protrude from the lower cover 202 or integrally protruded therefrom. . The rotation input unit 30 and the click feeling providing unit 50 are formed between the main input roller 20 and the side support part 11, and the push input part 40 is formed on the side support part 11.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replaced with the above description. In addition, the upper cover 201 is formed with an opening 210a for exposing the main input roller 20 to the outside.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사용자는 도면상 종방향으로 디스플레이부(210)에 출력되는 복수의 메뉴를 스크롤하기 위하여, 메인입력롤러(20)를 시계 방향 또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그에 따라, 회전입력부(30)는 메인입력롤러(20)의 회전방향을 판단하고, 그에 근거하여 메인입력롤러(20)의 회전방향에 매칭된 방향(위 방향 또는 아래 방향)으로 제어부의 지령에 따라 복수의 메뉴들 위에서 커서가 이동하게 된다. 그에 따라, 1 내지 5번 메뉴 중에서 위 아래로 이동하던 커서는 3번 메뉴 위에 위치하게 되면, 3번 메뉴가 활성화된다. 이때, 메인입력롤러(20)를 누르게 되면, 누름입력부(40)에 의해 이를 인식한 제어부는 현재 활성화된 메뉴, 다시 말해 3번 메뉴를 선택(enter)하게 된다. 그 결과로, 3번 메뉴에 의한 특정 기능이 단말기 본체에서 실현되게 된다. 나아가, 좌우방향으로 메뉴가 전개된 경우에는, 별도로 구비된 누름 입력 방식의 좌우키(250)를 눌러서 좌우 방향으로 메뉴를 스크롤 하고, 특정 메뉴를 선택하고자 할 때는 메인입력롤러(20)를 눌러서 누름입력부(40)가 이를 인식하게 하면 된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user can rotate the main input roller 20 in the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to scroll the plurality of menus output to the display unit 2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drawing. Accordingly, the rotation input unit 30 determines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main input roller 20, and based on the rotation input unit 30 to the command of the control unit in a direction (up or down direction) matched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main input roller 20. Accordingly, the cursor moves on the plurality of menus. Accordingly, when the cursor that has moved up and down among the menus 1 to 5 is positioned above the menu 3, the menu 3 is activated. At this time, when the main input roller 20 is pressed, the control unit recognized by the push input unit 40 selects the currently activated menu, that is, menu 3. As a result, the specific function by the third menu is realized in the terminal body. Furthermore, when the menu is develop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pressing the left and right keys 250 of the push input method separately provided to scroll the menu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nd pressing the main input roller 20 when the specific menu is selected. The input unit 40 may recognize this.

도 13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입력장치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FIG. 1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n input devic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7.

본 도면에 예시된 실시예에서, 이동통신 단말기는 앞선 실시예와 달리, 단말기 본체에 메인입력롤러(20)와 함께 서브입력롤러(60)를 더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회전입력부(30)와 누름입력부(40) 그리고 클릭감제공부(50)에 대한 구성은 도 7(나아가 도 2)를 통하여 설명하였고, 입력장치가 단말기 본체에 장착되는 방식에 대해서는 도 12를 통하여 설명하였으므로, 이들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In the embodiment illustrated in this figure, unlike the previous embodimen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urther includes a sub input roller 60 together with the main input roller 20 in the terminal body. Here, the configuration of the rotation input unit 30, the press input unit 40, and the click feeling providing unit 50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7 (see FIG. 2), and FIG. Since the description has been made through,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슬라이더부(200)의 전면에는 메인입력롤러(20)와 서브입력롤러(60)가 외부로 노출되게 장착된다. 메인입력롤러(20)는 슬라이더부(20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나, 서브입력롤러(60)는 반드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필요는 없다.The main input roller 20 and the sub input roller 60 are mounted to the outside of the slider unit 200 to the outside. The main input roller 20 is rotatably mounted to the slider unit 200, but the sub input roller 60 does not necessarily need to be rotatably mounted.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메인입력롤러(20)는 도면상 상하 방향으로 메뉴를 스크롤하고, 제1 서브입력롤러(61)는 도면상 우측 방향으로 메뉴를 스크롤하며, 제2 서브입력롤러(62)는 도면상 좌측 방향으로 메뉴를 스크롤하게 된다. 다만, 메인입력롤러(20)는 그의 회전에 따라 회전입력부(30)에 의해 메뉴를 스크롤하나, 서브입력롤러(60)는 그의 누름 입력에 따라 누름입력부(40)에 의해 메뉴를 스크롤하게 된다. 메인입력롤러(20)는 그의 누름 입력시엔 누름입력부(40)에 의해 스크롤되어 활성화된 특정 메뉴가 선택되도록 한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main input roller 20 scrolls the menu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on the drawing, the first sub input roller 61 scrolls the menu in the right direction on the drawing, and the second sub input roller 62 The menu scrolls to the left in the drawing. However, the main input roller 20 scrolls the menu by the rotation input unit 30 according to its rotation, but the sub input roller 60 scrolls the menu by the push input unit 40 according to its push input. The main input roller 20 scrolls by the push input unit 40 when the push input thereof is selected so that a specific menu activated is selected.

그에 따라, 디스플레이부(210)에 도면상 종방향으로 출력된 A 내지 D의 메뉴는 메인입력롤러(20)를 회전시켜 스크롤할 수 있고, 횡방향으로 출력된 1 내지 4의 메뉴는 서브입력롤러(60)를 누름으로써 스크롤할 수 있다. 또한, 스크롤 중에 특정 메뉴를 선택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메인입력롤러(20)를 누르면 된다.Accordingly, the menus A to D outpu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display 210 can be scrolled by rotating the main input roller 20, and the menus 1 to 4 output in the lateral direction are the sub input rollers. You can scroll by pressing (60). In addition, if you want to select a specific menu while scrolling, press the main input roller 20.

도 14는 도 8 내지 10을 참조하여 설명한 입력장치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 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FIG. 1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n input devic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8 to 10.

본 도면에 예시된 실시예에는, 앞선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회전입력부(30)와 누름입력부(40) 그리고 클릭감제공부(50)의 구체적인 구성 및 입력장치가 단말기 본체에 장착되는 방식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In the embodiment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s in the previous embodiment,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rotation input unit 30, the press input unit 40 and the click feeling providing unit 50 and a description of how the input device is mounted on the terminal body will be described. Omit.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말기 본체에는 메인입력롤러(20)와 서브입력롤러(60, 이상 도 13 참조), 그리고 이들을 감싸서 연동시키는 체인부(70)가 장착되어 있다. 체인부(70)는 상부커버(201)의 전면과 일치하는 높이가 되도록 입력장치가 슬라이드부(200)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terminal bod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equipped with a main input roller 20 and a sub input roller 60 (see FIG. 13 above), and a chain part 70 for wrapping and interlocking them. It is preferable that the input device is mounted on the slide part 200 so that the chain part 70 has the same height as the front surface of the upper cover 201.

나아가, 상부커버(201) 전면의 체인부(70)에 근접한 부분에는 식별부(80)가 구비된다. 식별부(80)는, 예를 들어, →, 엔터(enter) 기호 및 ←로 표시된다. 기호(→ 및 ←)는 각각 제1 서브입력롤러(61)와 제2 서브입력롤러(62)의 누름 입력에 의한 도면상 좌 및 우 방향으로의 스크롤 기능을 식별시키기 위한 기호이고, 엔터 기호는 메인입력롤러(20)의 누름 입력에 의한 선택 기능을 식별시키기 위한 기호이다. 이러한 기호들은 메인입력롤러(20)와 서브입력롤러들(61 및 62)이 체인부(70)에 의해 외부로 노출되지 않음에 따라 사용자가 누름 입력을 위해 어느 부분을 눌러야할지를 명확히 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도면상 종방향 상·하로의 스크롤은 체인부(70)의 어느 부분을 종방향으로 당기거나 밀어올리더라도 메인입력롤러(20)가 서브입력롤러들(61 및 62)과 연동하여 회전함에 따라 이루어지므로, 그에 대해서는 특별히 식별을 위한 기호를 부여할 필요가 없게 된다. 다시 말해서, 체인부(70) 자체가 도면상 종방향 스크롤에 대한 식별 요인이 되는 것이다.Furthermore, the identification unit 80 is provided at a portion of the front cover 201 that is close to the chain 70. The identification part 80 is represented by →, an enter symbol, and ←, for example. Symbols (→ and ←) are symbols for identifying the scrolling function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n the drawing by pressing input of the first sub input roller 61 and the second sub input roller 62, respectively. It is a symbol for identifying the selection function by the push input of the main input roller 20. These symbols are intended to clarify which part the user presses for the push input as the main input roller 20 and the sub input rollers 61 and 62 are not exposed to the outside by the chain part 70. However, in the drawing, the vertically upward and downward scrolls are caused by the main input roller 20 rotating in conjunction with the sub-input rollers 61 and 62, even if any part of the chain portion 70 is pulled or pushed up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s such, there is no need to specifically assign symbols for identification. In other words, the chain portion 70 itself is an identification factor for the longitudinal scrolling in the drawing.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메뉴를 스크롤하고 선택하는 방식은 앞서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하다. 다만, 서브입력롤러(60)는 단말기 본체, 다시 말해서 슬라이더부(20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됨에 따라, 메인입력롤러(20)와 서브입력롤러(60)가 체인부(70)에 의하여 일체로 연동되어 회전하게 된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method of scrolling and selecting a menu is the same as that of the embodimen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3. However, as the sub input roller 60 is rotatably mounted on the terminal body, that is, the slider 200, the main input roller 20 and the sub input roller 60 are integrally formed by the chain part 70. It rotates in conjunction.

메인입력롤러(20)와 서브입력롤러(60)가 일체로 회전하게 됨에 따라, 앞선 실시예의 경우와 달리, 회전 입력을 위하여 반드시 메인입력롤러(20)를 선택하여 회전시키지 않아도 된다. 다시 말해서, 체인부(70)의 어느 지점이건 손가락을 접촉하여 회전시키게 되면 서브입력롤러(60)와 함께 메인입력롤러(20)가 회전하고, 메인입력롤러(20)의 회전 방향은 회전입력부(30)를 통하여 제어부에 입력되기 때문이다. 또한, 메인입력롤러(20)에 대한 회전 입력과 달리, 메인입력롤러(20)와 서브입력롤러들(61 및 62) 각각에 대한 누름 입력시에 체인부(70)에 의해 그들이 가려져 있으나, 식별부(80)를 통하여 그들을 누르기 위한 정확한 위치를 용이하게 알고 정확하게 누를 수 있게 된다.As the main input roller 20 and the sub input roller 60 are integrally rotated, unlike the previous embodiment, the main input roller 20 does not necessarily have to be selected and rotated for rotation input. In other words, when the finger touches and rotates at any point of the chain part 70, the main input roller 20 rotates together with the sub input roller 60, and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main input roller 20 is rotated by the rotation input part ( This is because it is input to the controller through 30). In addition, unlike the rotational input to the main input roller 20, they are hidden by the chain part 70 at the time of pressing input to the main input roller 20 and the sub input rollers 61 and 62, respectively. Through the portion 80 it is possible to easily know the exact position for pressing them and to press accurately.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입력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입력부(30)는 반드시 통전패턴-접점 및 자석-홀센서의 조합으로만 구성되는 것은 아니며, 광센서 등을 사용하는 방식도 가능하다. In the abov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disclosed here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or example, the rotation input unit 30 is not necessarily composed of a combination of a conduction pattern-contact and a magnet-hall sensor, and a method using an optical sensor or the like is also possible.

또한, 도 13 및 14에서는 서브입력롤러들(61 및 62)가 메인입력롤러(20)의 상·하에 각각 배치되는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서브입력롤러들(61 및 62)이 메인입력롤러(20)의 아래 또는 위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구성도 가능하다. 또한, 서브입력롤러들(61 및 62) 각각이 도면상 횡방향으로 전개된 메뉴의 스크롤시 반드시 설명된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의 스크롤을 위한 입력을 발생시킬 필요는 없다. 서브입력롤러들(61 및 62) 각각의 스크롤 방향은 서브입력롤러들(61 및 62)와 메인입력롤러(20)간의 배치 관계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결정되면 될 것이다.13 and 14,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sub input rollers 61 and 62 are disposed above and below the main input roller 20, respectively, has been described. However, the sub input rollers 61 and 62 are the main input rollers. 20 is also possible to be arranged below or above adjacent. In addition, it is not necessary for each of the sub-input rollers 61 and 62 to generate an input for scrolling in the same direction as described in the scrolling of the menu unfolded in the lateral direction on the drawing. The scroll direction of each of the sub input rollers 61 and 62 may be appropriately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an arrangement relationship between the sub input rollers 61 and 62 and the main input roller 20 and the like.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입력장치는 반드시 이동통신 단말기에만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의 메뉴를 스크롤하고 선택하기 위한 입력이 필요한 전자기기라면,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나 전자사전 등에도 적용될 수 있다.Furthermore, the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applied only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f the electronic device requires an input for scrolling and selecting a plurality of menus, the input device may be applied to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or an electronic dictionary.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입력장치는 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메인입력롤러와 그의 회전방향을 입력받는 회전입력부를 구비함으로써, 누름 방식에서 벗어난 회전 방식의 새로운 입력 방식을 구현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메인입력롤러를 회전시킴으로 인하여, 바디에 가해지는 충격량도 작아지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input roller rotatably supported by the body and a rotation input unit for receiving the rotation direction thereof, so that a new input method of the rotation method deviated from the pressing method can be realized. do. In addition, by rotating the main input roller, the amount of impact applied to the body is also reduced.

또한, 미끄럼방지부와 클릭감제공부를 구비함에 따라, 메인입력롤러를 회전시킬 때 미끄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클릭감을 얻을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by providing a non-slip part and a click feeling part, it is possible to prevent a slip from occurring when the main input roller is rotated and at the same time obtain a feeling of click.

나아가, 메인입력롤러는 누름입력도 가능하여, 주된 회전 입력에 보조적으로 누름에 의한 입력도 가능하게 한다.Further, the main input roller can also be pressed, so that the input by pressing auxiliary to the main rotational input is also possible.

또한, 메인입력롤러와 더불어 서브입력롤러를 채용하게 되면, 다양한 형태의 입력이 가능하다. 또한, 이들 입력롤러들을 체인부를 통하여 연동시킴으로써, 메인입력롤러를 회전시키기가 더욱 용이해진다.In addition, when the sub input roller is adopted in addition to the main input roller, various types of input are possible. Also, by interlocking these input rollers through the chain portion, it becomes easier to rotate the main input roller.

본 발명에 따른 입력장치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위와 같은 입력장치를 구비하고 그의 회전 입력에 대응하여 커서의 이동을 결정함에 따라, 메인입력롤러를 회전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부에 일 방향으로 전개되어 출력되는 복수의 메뉴를 간단하게 스크롤할 수 있게 된다.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he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bove input device and according to the rotational input thereof, and determines the movement of the cursor. You can easily scroll through multiple menus.

또한, 메인입력롤러와 더불어 서브입력롤러를 구비하고 이들 모두가 누름 방식에 의한 입력도 가능하도록 구성함에 따라,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교차되어 전개되는 메뉴들 간의 스크롤 및 선택의 기능을 하나의 입력장치로 구현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s a main input roller and a sub input roller, and all of them are configured to be pressed by the input method, it is possible to input the function of scrolling and selection between menus that are developed to cross in the longitudinal and transverse directions. It can be implemented as a device.

나아가, 메인입력롤러와 서브입력롤러들은 체인부에 의해 연동되어 회전되기에 회전 입력시 반드시 메인입력롤러를 선택하여 회전시켜야 하는 불편이 없고, 체인부에 의해 외부에서 식별이 어려운 입력롤러들의 위치는 식별부에 의해 명확해져서 그들을 통한 누름 입력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Furthermore, since the main input roller and the sub input rollers are interlocked by the chain part, there is no inconvenience in that the main input roller must be selected and rotated when the rotation is input. The identification can be made clear so that the push input through them can be made easily.

Claims (52)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단말기 본체와;A terminal body; 상기 단말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메인입력롤러와;A main input roller rotatably mounted to the terminal body; 상기 메인입력롤러와 상기 단말기 본체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메인입력롤러의 회전방향을 입력받는 회전입력부를 포함하는 입력장치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And an input device mounted between the main input roller and the terminal body and including a rotation input unit configured to receive a rotation direction of the main input roller. 제2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5, 상기 단말기 본체는,The terminal body,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상부 커버와 하부 커버를 포함하고,An upper cover and a lower cover forming an inner space, 상기 메인입력롤러는 상기 상부 커버의 외부로 일부가 노출되도록 상기 내부 공간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The main input roller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n inpu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mounted to the inner space so that a portion of the upper cover is exposed to the outside. 제2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6, 상기 하부 커버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메인입력롤러의 양단부를 회전 가 능하게 지지하는 한 쌍의 측면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And a pair of side support parts protruding from the lower cover and rotatably supporting both ends of the main input roller. 제2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5, 상기 메인입력롤러는,The main input roller, 길이방향으로 원형 단면을 가지고서 연장하는 몸통부와;A body portion extending in a longitudinal direction with a circular cross section; 상기 몸통부의 양 단부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단말기 본체에 삽입 지지되는 회전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An input device protruding from both ends of the body part, the rotation device being inserted into and supported by the terminal body. 제2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8, 상기 메인입력롤러의 몸통부의 외주상에 요철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메인입력롤러를 회전시키는 경우에 발생하는 미끄럼을 방지하는 미끄럼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And an anti-slip unit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main body of the main input roller in a concave-convex shape to prevent slipping caused when the main input roller is rotated. 제2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5, 상기 회전입력부는,The rotation input unit, 상기 메인입력롤러에 형성되는 회전패턴과;A rotation pattern formed on the main input roller; 상기 회전패턴과 근접하게 상기 단말기 본체에 장착되어, 상기 회전패턴을 감지함에 따라 상기 메인입력롤러의 회전방향을 입력받는 패턴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And a pattern detecting unit mounted on the main body of the terminal in close proximity to the rotation pattern and receiving a rotation direction of the main input roller as the rotation pattern is detected. 제3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0, 상기 회전패턴은,The rotation pattern is, 상기 메인입력롤러의 일 측면의 중앙부에 연속적으로 통전되게 형성된 연속통전부와; 상기 연속통전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통전부와 비통전부가 교대로 배열된 선택통전부를 포함하는 통전패턴이고,A continuous conduction portion formed to continuously conduct electricity to a central portion of one side of the main input roller; It is formed to surround the continuous conducting portion, it is an conducting pattern including a selection conducting portion alternately arranged with the conducting portion and the non-conductive portion, 상기 패턴감지부는,The pattern detecting unit, 상기 연속통전부와 접촉하도록 배치되는 접지접점과;A ground contact disposed to contact the continuous conducting portion; 상기 선택통전부와 접촉하도록 배치되며, 플러스 전류가 인가되는 플러스접점과;A positive contact disposed to contact the selective conducting unit, to which a positive current is applied; 상기 선택통전부와 접촉하도록 배치되고 마이너스 전류가 인가되며, 상기 메인입력롤러의 회전시 상기 플러스접점의 파형과 일정한 위상 차이를 가지는 파형을 형성하는 마이너스접점과;A negative contact disposed to be in contact with the selective conducting unit and applied with a negative current to form a waveform having a constant phase difference from the waveform of the positive contact when the main input roller rotates; 상기 접점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접점들의 통전에 의한 전기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메인입력롤러의 회전방향을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And a control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acts, the controller configured to receive an electrical signal through the energization of the contacts and determine a rotation direction of the main input roller. 제3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1, wherein 상기 메인입력롤러의 일 단부 측에 장착되며, 일면에는 상기 통전패턴이 인쇄되어 상기 메인입력롤러와 함께 회전하는 통전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It is mounted to one end side of the main input rolle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n inpu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conduction plate is printed on the surface and rotates with the main input roller. 제3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0, 상기 회전패턴은,The rotation pattern is, 상기 메인입력롤러에 장착되며, N극과 S극이 교대로 배열되는 자석부를 포함하고,It is mounted to the main input roller, and includes a magnet portion in which the N pole and the S pole are alternately arranged, 상기 패턴감지부는,The pattern detecting unit, 상기 메인입력롤러의 회전시에 상기 자석부를 감지하도록 배치되는 제1 센서와;A first sensor disposed to sense the magnet part when the main input roller rotates; 상기 제1 센서와 이격된 채로 상기 자석부를 감지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1 센서의 감지된 파형과는 일정한 위상 차이를 가지는 파형을 형성하는 제2 센서와;A second sensor disposed to sense the magnet part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the first sensor, and forming a waveform having a predetermined phase difference from the sensed waveform of the first sensor; 상기 제1 및 제2 센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그들에서 입력되는 파형을 근거로 상기 메인입력롤러의 회전방향을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And a control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sensors to determine a rotation direction of the main input roller based on waveforms input from the first and second sensors. 제2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5, 상기 메인입력롤러와 상기 단말기 본체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메인입력롤러의 누름 동작에 의해 신호를 입력받는 누름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And a push input unit formed between the main input roller and the main body of the terminal and receiving a signal by a pressing operation of the main input roller. 제3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4, wherein 상기 단말기 본체는,The terminal body, 상기 메인입력롤러의 양단 측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메인입력롤러의 양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한 쌍의 측면지지부를 포함하고,It is disposed on both ends of the main input roller, respectively, and includes a pair of side support parts for rotatably supporting both ends of the main input roller, 상기 누름입력부는,The press input unit, 상기 한 쌍의 측면지지부 중 어느 하나에 장착된 회로기판과;A circuit board mounted on any one of the pair of side supports; 상기 회로기판상에 장착되어, 가압되어 눌려짐에 따라 통전되어 상기 회로기판에 신호를 발생시키는 스위치와;A switch mounted on the circuit board and energized by being pressed and pressed to generate a signal on the circuit board; 상기 어느 하나의 측면지지부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일단이 상기 메인입력롤러에 의해 눌려짐에 따라 회동하여 타단이 상기 스위치를 가압하는 연동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comprising an input device rotatably mounted to the one side support portion, and including an interlocking rod configured to rotate as one end is pressed by the main input roller and the other end to press the switch. terminal. 제3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4, wherein 상기 누름입력부는,The press input unit, 상기 메인입력롤러에 근접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단말기 본체에 장착되는 회로기판과;A circuit board mounted to the terminal body so as to be proximate to the main input roller; 상기 회로기판상에 장착되어, 상기 메인입력롤러의 누름동작에 의해 통전 되어 상기 회로기판에 신호를 발생시키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And a switch mounted on the circuit board, the switch being energized by the pressing operation of the main input roller to generate a signal on the circuit board. 제2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5, 상기 메인입력롤러와 상기 단말기 본체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메인입력롤러의 회전시에 클릭감을 제공하는 클릭감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And a click feeling providing unit formed between the main input roller and the main body of the main input roller to provide a click feeling when the main input roller is rotated. 제3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7, 상기 클릭감제공부는,The click feeling providing unit, 상기 메인입력롤러에 그의 축선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일면에는 가동돌출부가 형성된 가동캠과;A movable cam mounted to the main input roller so as to be movable in the axial direction thereof and having a movable protrusion formed on one surface thereof; 상기 가동캠의 가동돌출부에 대응하는 고정돌출부가 일면에 형성된 채로 상기 메인입력롤러에 장착되어, 상기 메인입력롤러와 함께 회전하는 고정캠과;A fixed cam mounted to the main input roller with a fixed protrusion corresponding to the movable protrusion of the movable cam, being rotated together with the main input roller; 상기 메인입력롤러와 가동캠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가동캠을 상기 고정캠을 향해 가압하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And an elastic body mounted between the main input roller and the movable cam to press the movable cam toward the fixed cam. 삭제delete 단말기 본체와;A terminal body; 상기 단말기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메인입력롤러와;A main input roller rotatably mounted to the terminal body; 상기 단말기 본체에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입력롤러와;At least one sub input roller mounted on the terminal body; 상기 메인입력롤러와 상기 단말기 본체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메인입력롤러의 회전 방향을 입력받는 회전입력부와;A rotation input unit formed between the main input roller and the terminal body to receive a rotation direction of the main input roller; 상기 메인입력롤러와 적어도 하나의 서브입력롤러 및 상기 단말기 본체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메인입력롤러와 적어도 하나의 서브입력롤러의 누름 동작에 의해 신호를 입력받는 누름입력부를 포함하고,A press input unit formed between the main input roller, the at least one sub input roller, and the terminal main body to receive a signal by pressing the main input roller and the at least one sub input roller; 상기 단말기 본체는,The terminal body,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상부 커버와 하부 커버를 포함하며,An upper cover and a lower cover forming an inner space, 상기 메인입력롤러와 적어도 하나의 서브입력롤러는 상기 상부 커버의 외부로 각각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상기 내부 공간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And the main input roller and the at least one sub input roller are mounted in the inner space such that a part of the main input roller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upper cover. 삭제delete 제4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0, 상기 단말기 본체는,The terminal body, 상기 하부 커버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메인입력롤러와 적어도 하나의 서브입력롤러의 양단부를 지지하는 한 쌍의 측면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And a pair of side support parts protruding from the lower cover and supporting both ends of the main input roller and the at least one sub input roller. 제4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0,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입력롤러는,The at least one sub input roller, 상기 메인입력롤러의 일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단말기 본체에 장착되는 제1 서브입력롤러와;A first sub-input roller mounted on the main body of the terminal to be disposed at one side of the main input roller; 상기 메인입력롤러에 대하여 상기 제1 서브입력롤러와 같은 측 또는 다른 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단말기 본체에 장착되는 제2 서브입력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And a second sub input roller mounted to the main body of the terminal so as to be disposed on the same side or the other side of the first sub input roller with respect to the main input roller. 제4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0, 상기 회전입력부는,The rotation input unit, 상기 메인입력롤러에 형성되는 회전패턴과;A rotation pattern formed on the main input roller; 상기 회전패턴에 근접하게 상기 단말기 본체에 장착되어, 상기 회전패턴을 감지함에 따라 상기 메인입력롤러의 회전방향을 입력받는 패턴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And a pattern detecting unit mounted to the main body of the terminal in close proximity to the rotation pattern to receive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main input roller as the rotation pattern is sensed. 제4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0, 상기 단말기 본체는,The terminal body, 상기 입력롤러들의 양단 측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입력롤러들 각각의 양단부를 지지하는 한 쌍의 측면지지부를 포함하고,Disposed on both ends of the input rollers, the pair of side supporting parts supporting both ends of each of the input rollers, 상기 누름입력부는,The press input unit, 상기 한 쌍의 측면지지부 중 어느 하나에 장착되는 회로기판과;A circuit board mounted on any one of the pair of side supports; 상기 회로기판상에 장착되어, 가압되어 눌려짐에 따라 통전되어 상기 회로기판에 신호를 발생시키는 스위치와;A switch mounted on the circuit board and energized by being pressed and pressed to generate a signal on the circuit board; 상기 어느 하나의 측면지지부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일단이 상기 입력롤러들 각각에 의해 눌려짐에 따라 회동하여 타단이 상기 스위치를 가압하는 연동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A rotatably mounted to one of the side support parts, and including an interlocking rod configured to rotate as one end is pressed by each of the input rollers and the other end to press the switch. Communication terminal. 제4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0, 상기 누름입력부는,The press input unit, 상기 입력롤러들에 근접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단말기 본체에 장착되는 회로기판과;A circuit board mounted to the terminal body to be disposed proximate to the input rollers; 상기 회로기판상에 장착되어, 상기 입력롤러들 각각의 누름동작에 의해 통전 되어 상기 회로기판에 신호를 발생시키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And a switch mounted on the circuit board, the switch being energized by each pressing operation of the input rollers to generate a signal on the circuit board. 제4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3, 상기 제1 및 제2 서브입력롤러는 상기 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The first and second sub input rollers are rotatably mounted to the body, 상기 제1 및 제2 서브입력롤러와 상기 메인입력롤러를 감싸며 상기 단말기 본체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장착되어, 상기 입력롤러들이 일체로 회전하게 하는 체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And a chain part surrounding the first and second sub-input rollers and the main input roller and mount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terminal body to allow the input rollers to rotate integrally. Mobile terminal. 제4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7, 상기 입력롤러들은 동일한 평면상에서 회전하도록 상기 단말기 본체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And the input rollers are mounted to the terminal body to rotate on the same plane. 제4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7, 상기 체인부는,The chain portion, 분해 결합이 가능한 복수의 체인피스들의 결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n inpu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assembly of a plurality of chain pieces capable of disassembly coupling. 제4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9, 상기 복수의 체인피스들의 각각은,Each of the plurality of chainpieces, 몸체와;A body; 상기 몸체의 일단에서 후크 형태로 돌출 형성된 후크부와;A hook portion protruding in a hook form from one end of the body; 상기 몸체의 타단에 이격되게 결합되며, 인접한 체인피스의 후크부가 체결되는 체결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n input device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body, the fastening rod including a fastening rod to which the hook portion of the adjacent chain piece is fastened. 제50항에 있어서,51. The method of claim 50, 상기 입력롤러들은,The input rollers, 그의 외주에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세레이션부를 더 포함하고,Further comprising a serration portion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outer circumference thereof, 상기 복수의 체인피스들의 각각은,Each of the plurality of chainpieces, 상기 몸체부에서 돌출하게 형성되어, 상기 서레이션부와 협력하여 상기 체인부의 이동에 따라 상기 입력롤러들이 회전하게 하기 위한 마찰력을 증가시키는 체인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And a chain protrusion formed to protrude from the body and increasing frictional force for the input rollers to rotate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chain in cooperation with the serge portion. Communication terminal. 제4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7, 상기 단말기 본체의 상기 체인부가 노출되는 부분과 인접한 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체인부에 의해 감싸진 상기 입력롤러들 각각의 기능을 표시하는 식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And an identification unit formed at a portion adjacent to the exposed portion of the chain part of the terminal body to display a function of each of the input rollers wrapped by the chain portion. terminal.
KR1020060019644A 2006-02-28 2006-02-28 Mobile terminal having input device KR10072443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9644A KR100724433B1 (en) 2006-02-28 2006-02-28 Mobile terminal having input device
US11/649,800 US7860538B2 (en) 2006-02-28 2007-01-05 Mobile terminal
EP07001189A EP1826990B1 (en) 2006-02-28 2007-01-19 Mobile terminal
EP07001192.9A EP1826991B1 (en) 2006-02-28 2007-01-19 Input device for an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DE102007003270A DE102007003270B4 (en) 2006-02-28 2007-01-23 Mobile terminal
DE102007003269A DE102007003269A1 (en) 2006-02-28 2007-01-23 Input device for an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equipped therewith
BRPI0700265-3A BRPI0700265A (en) 2006-02-28 2007-02-12 input device for an electronic device and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the same
BRPI0700399-4A BRPI0700399A (en) 2006-02-28 2007-02-13 mobile terminal
RU2007105768/09A RU2335029C1 (en) 2006-02-28 2007-02-15 Input device for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with input device
MX2007002303A MX2007002303A (en) 2006-02-28 2007-02-26 Input device for an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
JP2007046310A JP5179071B2 (en) 2006-02-28 2007-02-26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2007046307A JP5184793B2 (en) 2006-02-28 2007-02-26 Electronic device input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MX2007002304A MX2007002304A (en) 2006-02-28 2007-02-26 Mobile terminal .
CN2007100843017A CN101030497B (en) 2006-02-28 2007-02-27 Input device for an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RU2007107413/09A RU2331132C1 (en) 2006-02-28 2007-02-27 Mobile terminal
CN2007100850612A CN101030986B (en) 2006-02-28 2007-02-28 Mobile terminal
US11/711,662 US7996050B2 (en) 2006-02-28 2007-02-28 Input device for an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9644A KR100724433B1 (en) 2006-02-28 2006-02-28 Mobile terminal having input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24433B1 true KR100724433B1 (en) 2007-06-04

Family

ID=38358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9644A KR100724433B1 (en) 2006-02-28 2006-02-28 Mobile terminal having input devic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724433B1 (en)
CN (2) CN101030497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0042709A1 (en) * 2010-07-29 2012-02-02 Preh Gmbh Capacitive touch under closed rotatable surface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9020A (en) * 2003-07-15 2005-01-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osition control device for hands free mike and method thereof
JP2005093420A (en) 2003-08-08 2005-04-07 Omron Corp Input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and cell phone using it
JP2005115512A (en) 2003-10-06 2005-04-28 Sony Ericsson Mobilecommunications Japan Inc Terminal device and character input method
JP2005228043A (en) 2004-02-13 2005-08-25 Sony Corp Equipment having jog dial input device and display using the same
KR20060000910A (en) * 2004-06-30 2006-01-06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Method for fabrication of deep contact hole in semiconductor device
JP2006023915A (en) 2004-07-07 2006-01-26 Canon Inc Information input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50894A (en) * 2000-11-07 2002-05-24 Sony Corp Switch equipment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9020A (en) * 2003-07-15 2005-01-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osition control device for hands free mike and method thereof
JP2005093420A (en) 2003-08-08 2005-04-07 Omron Corp Input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and cell phone using it
JP2005115512A (en) 2003-10-06 2005-04-28 Sony Ericsson Mobilecommunications Japan Inc Terminal device and character input method
JP2005228043A (en) 2004-02-13 2005-08-25 Sony Corp Equipment having jog dial input device and display using the same
KR20060000910A (en) * 2004-06-30 2006-01-06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Method for fabrication of deep contact hole in semiconductor device
JP2006023915A (en) 2004-07-07 2006-01-26 Canon Inc Information input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030497A (en) 2007-09-05
CN101030986B (en) 2012-04-25
CN101030986A (en) 2007-09-05
CN101030497B (en) 2011-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20548B2 (en) Information input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KR101328132B1 (en) A working mode conversion device, a mobile terminal having the working mode conversion device and operating mode conversion method
JP5179071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4485103B2 (en) Mobile terminal device
US20050070343A1 (en) Rotational mechanism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JP2001236859A (en) Rotary switch
KR101339942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Input Device
US7843433B2 (en) Cordless pointing device and information terminal device
KR20090103185A (en) Mobile terminal having a moving keypad
US6642459B2 (en) Switch
EP2031620A2 (en) Input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using same
JP2004102566A (en) Multiway operation switch and multiway input device
KR100724433B1 (en) Mobile terminal having input device
JP3890863B2 (en) Multi-directional operation switch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JP4062046B2 (en) Input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KR100685218B1 (en) Rotation and click type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for inputting data using it
JP4496921B2 (en) Trackball equipment
EP1028572A1 (en) Control element for a menu driven device and radio telephone comprising such a control element
KR100632114B1 (en) Pointing device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4648846B2 (en) Position input device and remote control device
JP4023279B2 (en) Input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KR200236188Y1 (en) Boll type interface device for a mobile terminal
KR101033555B1 (en) Mobile Terminal
KR101123496B1 (en) Apparatus for generating signal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EP1372056A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4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