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17803A - 무선 콘텐츠 접속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콘텐츠 접속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17803A
KR20050017803A KR1020030055211A KR20030055211A KR20050017803A KR 20050017803 A KR20050017803 A KR 20050017803A KR 1020030055211 A KR1020030055211 A KR 1020030055211A KR 20030055211 A KR20030055211 A KR 20030055211A KR 20050017803 A KR20050017803 A KR 200500178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content
communication terminal
telephone number
addr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52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하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프라밸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프라밸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프라밸리
Priority to KR10200300552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17803A/ko
Publication of KR200500178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7803A/ko

Links

Landscapes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무선콘텐츠 접속 제공 방법 및 그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콘텐츠 접속 제공 장치는,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전화번호를 이동 통신망을 통해 수신하는 이동통신망 연동부; 다수의 전화번호 및 각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콘텐츠의 주소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 상기 이동통신망 연동부로부터 상기 전화번호를 입력받아,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를 검색하여 상기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콘텐츠의 주소를 얻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입력받은 상기 콘텐츠의 주소에 따라 상기 콘텐츠 제공 장치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식별정보 및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와의 데이터 호 설정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패킷 망 연동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콘텐츠 접속 제공 방법 및 그 장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원하는 콘텐츠가 저장된 인터넷 사이트에 간편하게 접속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무선 콘텐츠 접속 제공 방법 및 그 장치{Apparatus and Method of providing contents access}
본 발명은 무선 콘텐츠 접속 제공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 및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와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 기술 및 이동통신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일반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한정적이나마 무선 인터넷을 즐길 수 있게 되었다.
종래에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무선 인터넷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설치된 전용 브라우저를 통해 이동통신 사업자의 무선 인터넷 사이트에 접속한 후 무선 인터넷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메뉴 중 사용자가 원하는 내용을 선택하는 방식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무선 인터넷에 접속하는 종래 방법은 사용자가 원하는 콘텐츠를 제공받기 위해 콘텐츠가 저장된 인터넷 사이트까지 도달하는데 다수의 키 조작 및 과정을 거치게 되어 매우 번거롭다. 또한 콘텐츠 제공받기까지 다수의 과정을 걸침에 따라 불필요하게 무선인터넷을 사용함으로서 원하지 않는 비용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무선 인터넷 콘텐츠 제공업자의 입장에서는 이동통신 사업자의 무선 인터넷 사이트 상에서 제공되는 여러가지 카테고리에 자신의 콘텐츠를 포함 시켜야 하는 제약이 있으며 자기만의 특화된 콘텐츠를 홍보하는데에 제약 사항으로서 존재한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로 하여금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보다 간편하게 원하는 콘텐츠에 접속할 수 있는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무선 콘텐츠 접속 제공 방법은,
(a)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전화번호를 이동 통신망을 통해 수신하는 단계; (b)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상기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콘텐츠의 주소를 얻는 단계; 및 (c) 상기 콘텐츠의 주소에 따라 상기 콘텐츠 제공 장치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식별정보 및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와의 데이터 호 설정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한 무선 콘텐츠 접속 제공 방법은,
(a)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전화번호를 이동 통신망을 통해 수신하는 단계; (b)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상기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콘텐츠의 주소를 얻는 단계; 및 (c) 상기 콘텐츠의 주소를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무선 콘텐츠 접속 제공 장치는,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전화번호를 이동 통신망을 통해 수신하는 이동통신망 연동부; 다수의 전화번호 및 각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콘텐츠의 주소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 상기 이동통신망 연동부로부터 상기 전화번호를 입력받아,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를 검색하여 상기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콘텐츠의 주소를 얻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입력받은 상기 콘텐츠의 주소에 따라 상기 콘텐츠 제공 장치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식별정보 및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와의 데이터 호 설정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패킷 망 연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한 무선 콘텐츠 접속 제공 장치는,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전화번호를 이동 통신망을 통해 수신하는 이동통신망 연동부; 다수의 전화번호 및 각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콘텐츠의 주소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 및 상기 이동통신망 연동부로부터 상기 전화번호를 입력받아,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를 검색하여 상기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콘텐츠의 주소를 얻고, 상기 콘텐츠의 주소를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상기 이동통신망 연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보다 간편하게 원하는 콘텐츠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각 콘텐츠의 주소에 특정 전화번호를 할당한다.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 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콘텐츠에 할당된 전화번호를 입력함으로써 간편하게 그 콘텐츠에 접속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콘텐츠 접속 제공을 위한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무선 콘텐츠 접속 제공을 위한 시스템은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1), 이동 통신망(2), 제어 서버(3), 인터넷(4) 및 다수의 콘텐츠 제공 서버인 CP1(Contents Provider 1)(5) 내지 CPn(6)을 포함한다.
이동통신 단말기(1)는 이동 통신망(3)을 통해 무선 인터넷이 가능한 모바일 단말기로서 휴대폰 또는 PDA에 해당한다. 이동통신 단말기(1)에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콘텐츠 접속을 위한 응용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1)는 전화번호 입력 후 데이터 통신 설정을 수행하기 위한 별도의 키패드가 장착된 전용 이동통신 단말기로서 구현도 가능하다.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1)의 키 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을 통해 접속을 원하는 콘텐츠에 할당된 전화번호를 입력한다. 전화번호는 일반적인 전화 번호일 수도 있으나 특화된 번호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사용자가 용이하게 번호를 기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가능한 적은 자리 수의 번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화번호는 특정 콘텐츠가 저장된 주소, 예컨대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을 나타낼 수도 있으나 특정 무선 인터넷 사이트의 주소를 나타낼 수도 있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전화번호는 특정 콘텐츠가 저장된 주소 또는 특정 인터넷 사이트의 주소 등을 포함하는 포괄적인 용어로 사용된다. 또한 전화번호가 나타내는 특정 콘텐츠가 저장된 주소라 함은 특정 콘텐츠가 저장된 특정 인터넷 사이트의 주소까지 포함하는 용어로 사용된다.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1)의 키 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을 통해 접속을 원하는 콘텐츠에 할당된 전화번호를 입력하면, 그 전화번호는 이동 통신망(2)을 거쳐 제어 서버(3)로 전달된다.
제어 서버(3)는 본 발명에 따라 무선 콘텐츠 접속을 제공한다. 즉, 이동 통신망(2)을 통해 입력된 전화번호를 해석하여 그 전화번호에 해당하는 주소를 가지는 콘텐츠 제공 서버로 이동통신 단말기(1)와의 데이터 호 설정을 요청한다. 또는 그 전화번호에 해당하는 콘텐츠 제공 서버의 인터넷 주소를 이동통신 단말기(1)로 제공한다. 이동통신 단말기(1) 사용자는 수신한 콘텐츠 제공 서버의 인터넷 주소를 확인하고 통화 버튼을 누름으로써 해당 콘텐츠 제공 서버와의 데이터 호를 설정한다.
콘텐츠 제공 서버인 CP1(5) 내지 CPn(6)은 이동통신 가입자들이 자신의 콘텐츠에 직접 접속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콘텐츠 제공 서버 CP1(5) 내지 CPn(6)의 인터넷 주소 또는 콘텐츠의 URL을 인터넷(4)을 통해 제어 서버(3)로 전송한다. 제어 서버(3)는 CP1(5) 내지 CPn(6)으로부터 수신한 콘텐츠의 주소를 데이터 베이스에 등록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무선 콘텐츠 접속 제공 시스템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무선 콘텐츠 접속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10), 기지국(21), 교환기(23), HLR(Home Location Register)(25), PDSN((Packet Data Service Node)(27), 제어 서버(30), 인터넷(40) , 사용자 인증 서버(41) 및 콘텐츠 제공 서버(50)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구성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콘텐츠 접속 제공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10)의 키 패드 등의 입력 수단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접속을 원하는 콘텐츠의 주소에 할당된 전화번호를 입력함으로써 호를 시도한다. 이동통신 단말기(10) 주변의 기지국(21)은 이동통신 단말기(10)로부터의 호 설정 요구를 교환기(23)로 전달한다. 교환기(23)는 사용자가 입력한 전화번호의 번호를 번역하여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호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호이면 제어 서버(30)로 사용자가 입력한 전화번호를 전송한다.
제어 서버(30)는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수신한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콘텐츠가 저장된 콘텐츠 제공 서버(50)로 이동통신단말기(10)의 전화 번호와 같은 식별정보 및 이동통신단말기(10)와의 데이터 호 설정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
제어 서버(30)는 교환기(23)로 이동통신단말기(10)와의 호를 절단하도록 메시지를 전송한다. 교환기(23)는 기지국(21)으로 호를 절단하도록 요구하고 기지국(21)은 호 절단 요청에 따라 이동통신단말기(10)와의 호를 절단한다.
콘텐츠 제공 서버(50)는 PDSN(27)을 경유하여 이동통신단말기(10)로 데이터 호를 설정한다. 이동통신단말기(10) 사용자는 자신이 제공받고자 하는 콘텐츠가 저장된 콘텐츠 제공 서버(50)로부터 데이터 호를 수신하여 원하는 콘텐츠에 접속한다.
PDSN(27)은 이동통신 가입자에게 패킷 데이터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로서 이동통신망과 인터넷 사이에서 연동하여 무선 신호를 인터넷에 연결한다.
HLR(25)은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위치를 교환기(23)로부터 실시간으로 보고 받아 저장하여 둠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10)로의 착신을 가능하게 해준다.
한편, 제어 서버(30)는 이동통신단말기(10)의 전화 번호와 같은 식별정보 및 이동통신단말기(10)와의 데이터 호 설정 요청 신호를 콘텐츠 제공 서버(50)가 아닌 PDSN(27)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 경우, PDSN(27)이 주체가 되어 이동통신 단말기(10)와 콘텐츠 제공 서버(50)간에 데이터 호를 설정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콘텐츠 접속을 제공하는 제어 서버(30)의 상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제어 서버(30)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콘텐츠 접속을 제공하는 장치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어 서버(30)는 이동통신망 연동부(31), 패킷망 연동부(33), 제어부(35), 데이터베이스(37)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39)를 포함한다.
이동통신망 연동부(31)는 이동통신망과의 연동기능을 수행한다. 이동통신망을 통해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10)를 이용하여 입력한 전화번호를 수신하여 제어부(35)로 전달한다.
패킷망 연동부(33)는 패킷망과의 연동기능을 수행한다. 패킷망이라 함은 패킷을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망으로서, TCP/IP 프로토콜 체계의 인터넷 을 포함한다.
도 4는 패킷망 연동부(33)의 상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패킷망 연동부(33)는 SMS 연동부(33a) 및 무선 인터넷 연동부(33b)를 포함한다.
SMS 연동부(33a)는 이동통신망을 통해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인 SMS(Short Message service Server)(22) 또는 SMS Gateway(24)와의 연동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수행하고, 무선 인터넷 연동부(33b)는 웹 서버(43)와의 연동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수행한다. 웹 서버(43)는 콘텐츠 제공 서버(50)일 수도 있고 콘텐츠 제공 서버(50)로 데이터를 전달하는 중간 매개 역할을 하는 웹 서버일 수도 있다.
데이터베이스(37)는 다수의 전화번호 및 각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콘텐츠의 주소를 미리 저장한다.
제어부(35)는 이동통신망 연동부(31)로부터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10)를 이용하여 입력한 전화번호를 입력받아, 데이터베이스(37)를 검색하여 입력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콘텐츠의 주소를 얻는다. 제어부(35)는 입력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콘텐츠의 주소에 따라 상기 콘텐츠가 저장된 콘텐츠 제공 서버(50)로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식별정보 및 이동통신 단말기(10)와의 데이터 호 설정 요청 신호를 전송하도록 패킷망 연동부(33)를 제어한다.
데이터 호 설정 요청 신호를 수신한 콘텐츠 제공 서버(50)는 PDSN(27)을 경유하여 이동통신단말기(10)로 데이터 호를 설정한다. 이동통신단말기(10) 사용자는 자신이 제공받고자 하는 콘텐츠가 저장된 콘텐츠 제공 서버(50)로부터 데이터 호를 수신하여 원하는 콘텐츠에 접속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39)는 제어 서버(30)의 관리자가 데이터 또는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그래픽 UI(User Interface)(39a) 및 텍스트 UI(39b)를 구비한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무선 콘텐츠 접속 제공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무선 콘텐츠 접속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15), 기지국(71), 교환기(73), SMS(Simple Message service Server)(75), HLR(77), PDSN(Packet Data Service Node)(79), 제어 서버(80), 인터넷(45) , 사용자 인증 서버(47) 및 콘텐츠 제공 서버(60)를 포함한다.
도 5에 도시된 구성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콘텐츠 접속 제공 동작을 설명한다.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15)의 키 패드 등의 입력 수단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접속을 원하는 콘텐츠의 주소에 할당된 전화번호를 입력함으로써 호를 시도한다. 이동통신 단말기(15) 주변의 기지국(71)은 이동통신 단말기(15)로부터의 호 설정 요구를 교환기(73)로 전달한다. 교환기(73)는 사용자가 입력한 전화번호의 번호를 번역하여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호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호이면 제어 서버(80)로 사용자가 입력한 전화번호를 전송한다.
제어 서버(80)는 교환기(73)로 이동통신 단말기(15)와의 호를 절단할 것을 요청하고, 교환기(73) 및 기지국(71)을 거쳐 이동통신 단말기(15)와의 호가 절단된다.
제어 서버(80)는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수신한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콘텐츠 주소(URL 정보)를 포함하는 단문 메시지를 작성하여 SMS(75)로 전송한다. SMS(75)는 HLR(77)과 연동하여 이동통신단말기(10)가 속해있는 교환기(73) 정보를 확인한 후 그 단문 메시지를 교환기(73)로 전송한다.
교환기(73) 및 기지국(71)을 거쳐 이동통신 단말기(15)로 전송된 콘텐츠 주소를 포함하는 단문 메시지를 확인한 이동통신 단말기(15) 사용자는 소정 통작, 예컨대 이동통신 단말기(15)에 마련된 통화 버튼을 누름으로써 원하는 콘텐츠가 저장된 콘텐츠 제공 서버(60)와의 데이터 호 설정을 시도한다.
기지국(71)은 데이터 호를 PDSN(79)으로 전송하고, PDSN(79)은 사용자 인증 서버(47)를 참조하여 사용자 인증을 거친 후 콘텐츠 제공 서버(60)로 접속하여 데이터 호를 제공한다.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실시예는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와 콘텐츠 제공 서버 간의 데이터 호 설정의 주체가 어디인가에서 크게 구별된다. 즉,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 의하면, 이동통신 단말기와 콘텐츠 제공 서버 간의 데이터 호 설정의 주체는 콘텐츠 제공 서버인 반면,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 의하면 데이터 호 설정의 주체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된다.
도 5에 도시된 제어 서버(80)는 도 3에 도시된 제어 서버(30)와 유사한 구조를 가진다. 즉, 별도의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아니하였으나 제어 서버(80)는 이동통신망 연동부(81), 패킷망 연동부(83), 제어부(85), 데이터베이스(87)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89)를 포함한다.
이동통신망 연동부(81)는 도 3에 도시된 이동통신망 연동부(31)와 마찬가지로 이동통신망과의 연동기능을 수행하고, 패킷망 연동부(83)는 도 3에 도시된 패킷망 연동부(33)와 마찬가지로 패킷망과의 연동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패킷망 연동부(83)는 SMS 연동부(83a) 및 무선 인터넷 연동부(83b)를 포함한다.
데이터베이스(87)는 다수의 전화번호 및 각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콘텐츠의 주소를 미리 저장한다.
제어부(85)는 이동통신망 연동부(81)로부터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15)를 이용하여 입력한 전화번호를 입력받아,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수신한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콘텐츠 주소(URL 정보)를 포함하는 단문 메시지를 작성한다. 제어부(85)는 작성된 단문 메시지를 SMS(75)로 전송하도록 이동통신망 연동부(81) 또는 패킷망 연동부(83)를 제어한다.
SMS(75)는 제어 서버(80)가 작성한 단문 메시지를 교환기(73) 및 기지국(71)을 거쳐 이동통신 단말기(15)로 전송한다. 콘텐츠 주소를 포함하는 단문 메시지를 수신한 이동통신 단말기(15)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15)에 마련된 통화 버튼을 누름으로써 원하는 콘텐츠가 저장된 콘텐츠 제공 서버(60)와의 데이터 호 설정을 시도한다. 기지국(71)은 데이터 호를 PDSN(79)으로 전송하고, PDSN(79)은 사용자 인증 서버(47)를 참조하여 사용자 인증을 거친 후 콘텐츠 제공 서버(60)로 접속하여 데이터 호를 제공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콘텐츠 접속 제공 방법 및 그 장치는, 일반 전화를 거는 것과 동일하게 간단한 전화번호를 입력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원하는 콘텐츠가 저장된 인터넷 사이트에 간편하게 접속할 수 있으며, 원하는 콘텐츠를 제공받기 까지 번잡한 과정을 거치지 않으므로 불필요하게 무선인터넷을 사용함으로서 발생하는 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무선 인터넷 콘텐츠 제공업자의 입장에서는 이동통신 사업자의 무선 인터넷 사이트 상에서 제공되는 여러가지 카테고리에 자신의 콘텐츠를 포함 시켜야 하는 제약을 벗어나 직접 이동통신 가입자에게 자신의 콘텐츠를 제공하고 홍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콘텐츠 접속 제공을 위한 시스템의 개략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무선 콘텐츠 접속 제공 시스템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콘텐츠 접속을 제공하는 제어 서버의 상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패킷망 연동부의 상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무선 콘텐츠 접속 제공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Claims (8)

  1. 무선 콘텐츠 접속 제공 방법에 있어서,
    (a)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전화번호를 이동 통신망을 통해 수신하는 단계;
    (b)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상기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콘텐츠의 주소를 얻는 단계; 및
    (c) 상기 콘텐츠의 주소에 따라 상기 콘텐츠 제공 장치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식별정보 및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와의 데이터 호 설정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는 다수의 전화번호 및 각 전화번호가 나타내는 콘텐츠의 주소가 대응되어 저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무선 콘텐츠 접속 제공 장치에 있어서,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전화번호를 이동 통신망을 통해 수신하는 이동통신망 연동부;
    다수의 전화번호 및 각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콘텐츠의 주소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
    상기 이동통신망 연동부로부터 상기 전화번호를 입력받아,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를 검색하여 상기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콘텐츠의 주소를 얻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입력받은 상기 콘텐츠의 주소에 따라 상기 콘텐츠 제공 장치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식별정보 및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와의 데이터 호 설정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패킷 망 연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무선 콘텐츠 접속 제공 방법에 있어서,
    (a)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전화번호를 이동 통신망을 통해 수신하는 단계;
    (b)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상기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콘텐츠의 주소를 얻는 단계; 및
    (c) 상기 콘텐츠의 주소를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상기 콘텐츠의 주소를 포함하는 단문 메시지를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는 다수의 전화번호 및 각 전화번호가 나타내는 콘텐츠의 주소가 대응되어 저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무선 콘텐츠 접속 제공 장치에 있어서,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전화번호를 이동 통신망을 통해 수신하는 이동통신망 연동부;
    다수의 전화번호 및 각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콘텐츠의 주소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 및
    상기 이동통신망 연동부로부터 상기 전화번호를 입력받아,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를 검색하여 상기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콘텐츠의 주소를 얻고, 상기 콘텐츠의 주소를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상기 이동통신망 연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콘텐츠의 주소를 포함하는 단문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단문 메시지를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상기 이동통신망 연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030055211A 2003-08-09 2003-08-09 무선 콘텐츠 접속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KR2005001780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5211A KR20050017803A (ko) 2003-08-09 2003-08-09 무선 콘텐츠 접속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5211A KR20050017803A (ko) 2003-08-09 2003-08-09 무선 콘텐츠 접속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7803A true KR20050017803A (ko) 2005-02-23

Family

ID=37227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5211A KR20050017803A (ko) 2003-08-09 2003-08-09 무선 콘텐츠 접속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1780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7649B1 (ko) * 2006-10-23 2008-06-1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미지 콜의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및 운용 방법
KR100885321B1 (ko) * 2007-07-25 2009-02-25 구경훈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검색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78928A (ja) * 1996-07-08 1998-03-24 D & I Syst Kk インターネットへのアクセス方法およびシステム、ならびにインターネットへのアクセス処理を記憶した記憶媒体
KR20000054046A (ko) * 2000-05-19 2000-09-05 이승재 셀룰러폰을 이용한 무선인터넷 접속 웹서버시스템 및 그접속방법
KR20010000877A (ko) * 2000-10-25 2001-01-05 이상철 숫자 기반 도메인을 이용한 무선 인터넷 접속 방법 및시스템
KR20010083834A (ko) * 2001-07-03 2001-09-03 성규영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인터넷 접속방법
KR20030034879A (ko) * 2001-10-29 2003-05-09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유·무선 전화번호와 무선인터넷 웹사이트의 연동 처리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78928A (ja) * 1996-07-08 1998-03-24 D & I Syst Kk インターネットへのアクセス方法およびシステム、ならびにインターネットへのアクセス処理を記憶した記憶媒体
KR20000054046A (ko) * 2000-05-19 2000-09-05 이승재 셀룰러폰을 이용한 무선인터넷 접속 웹서버시스템 및 그접속방법
KR20010000877A (ko) * 2000-10-25 2001-01-05 이상철 숫자 기반 도메인을 이용한 무선 인터넷 접속 방법 및시스템
KR20010083834A (ko) * 2001-07-03 2001-09-03 성규영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인터넷 접속방법
KR20030034879A (ko) * 2001-10-29 2003-05-09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유·무선 전화번호와 무선인터넷 웹사이트의 연동 처리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7649B1 (ko) * 2006-10-23 2008-06-1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미지 콜의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및 운용 방법
KR100885321B1 (ko) * 2007-07-25 2009-02-25 구경훈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검색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273103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мена информацией в сети связи
US800959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xchange of informat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EP2143254B1 (en) System and method for sharing common location-related information between communication devices
WO2008095097A1 (en) System and method for sharing event-triggered, location-related information between communication devices
JP2002082910A (ja) ユーザ認証システム及びユーザ認証方法
WO200810643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vent-based synchronization of information between communication devices
JP2000090033A (ja) サーバ装置、通信端末装置、サーバ装置の制御方法及び通信端末装置の制御方法
JP3332221B2 (ja) モバイル端末の接続管理方法及び方式
KR100692370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부 목록을 이용하여 인스턴트 메신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JP3882269B2 (ja) 通信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における発信者認証方法
KR100378472B1 (ko) 핫폰의 시리얼번호를 이용한 인터넷전화 연결방법
KR20050017803A (ko) 무선 콘텐츠 접속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JP2001004392A (ja) 地図表示方法、地図表示システム、携帯電話機、地図サーバ及び地図情報所在管理サーバ
KR100721285B1 (ko) 통합 통신 id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 자동 로그인 시스템및 그 방법
JP2000253183A (ja)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端末装置及びネットワークサーバ
RU2266624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мена информацией в коммуникационной сети
KR100727096B1 (ko) 모바일 단말에서의 콜 발신/수신 서비스 방법 및 장치
KR100620565B1 (ko) 이동 단말기로 무선 인터넷에 가입하기 위한 방법 및 그장치
KR101212131B1 (ko) Sms를 이용한 주소 변경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040028812A (ko) 이동통신 교환기에 의한 음성인식 다이얼, 음성인식컨텐츠, 전화정보 업로드, 및 전화정보 다운로드 서비스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이동통신 교환 장치
KR20160086176A (ko) 소프트웨어 유심을 이용한 투폰 기능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JP2003283668A (ja) 携帯情報通信端末装置のサービス設定変更方法、携帯情報通信端末装置のサービス設定自動変更システム、携帯情報通信端末装置、管理サーバ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KR20050002346A (ko) 단문메시지서비스를 이용한 무선단말기 원격제어시스템 및방법
KR20080104216A (ko) 웹사이트 연결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80032763A (ko) 웹브라우저 주소창을 이용한 전화연결 서비스 제공방법 및그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