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17788A - 보조화면장치를 구비하는 컴퓨터 시스템에서의 화면정보출력방법 - Google Patents

보조화면장치를 구비하는 컴퓨터 시스템에서의 화면정보출력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17788A
KR20050017788A KR1020030055156A KR20030055156A KR20050017788A KR 20050017788 A KR20050017788 A KR 20050017788A KR 1020030055156 A KR1020030055156 A KR 1020030055156A KR 20030055156 A KR20030055156 A KR 20030055156A KR 20050017788 A KR20050017788 A KR 200500177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
screen device
screen
main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51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순애
Original Assignee
정순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순애 filed Critical 정순애
Priority to KR10200300551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17788A/ko
Publication of KR200500177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7788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06F3/1446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display composed of modules, e.g. video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화면장치와 보조화면장치를 구비하는 컴퓨터 시스템에서 화면정보가 주화면장치와 보조화면장치에서 나뉘어 출력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보조화면장치를 구비하는 컴퓨터 시스템에서의 화면정보 출력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주화면장치와, 주화면장치와는 별개로 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화면장치가 접속되는 컴퓨터 시스템에 있어서, 주화면장치에서 화면정보를 형성하는 주프로그램과, 주프로그램과 서로 연동하면서 주프로그램을 제어하기 위한 화면정보를 형성하는 복수개의 보조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임의의 소프트웨어가, 보조프로그램을 보조화면장치에서 화면정보로서 출력되도록 설정하는 설정단계; 및 설정에 따라 주화면장치에서는 주프로그램을 보조화면장치에서는 보조프로그램을 화면정보로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멍에 따르면, 주화면장치에서 출력되는 주프로그램을 위한 공간을 보다 넓게 사용할 수 있으며, 복수개의 화면정보를 주화면장치와 보조화면장치에서 나뉘어서 동시에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보조화면장치를 구비하는 컴퓨터 시스템에서의 화면정보 출력방법{DISPLAY METHOD IN COMPUTER SYSTEM COMPRISING AUXILIARY MONITOR}
본 발명은 보조화면장치를 구비하는 컴퓨터 시스템에서의 화면정보출력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주화면장치와 보조화면장치를 구비하는 컴퓨터 시스템에서 화면정보가 주화면장치와 보조화면장치에서 나뉘어 출력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보조화면장치를 구비하는 컴퓨터 시스템에서의 화면정보 출력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면장치(Monitor)는 컴퓨터 시스템(이하, 시스템으로 용어를 약한다.)의 사용자에게 화면정보를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되는 출력장치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보조화면이 구비되는 단말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되는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보조화면이 구비되는 단말장치(특허 제0373976호)는, 주화면장치(10)의 후면에서 양측부로 돌출되는 보조화면장치(20)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서 주화면장치(10)와 보조화면장치(20)에서 복수개의 화면정보를 출력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보조화면이 구비되는 단말장치는, 복수개의 화면정보를 주화면장치(10)와 보조화면장치(20)를 통하여 이동하거나 또는 확대하면서 화면정보를 제어할 수 있지만, 주화면장치를 보다 넓게 활용하는 방법에 대한 구현이 없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주화면장치와 보조화면장치에서 서로 별개의 프로그램이 출력되도록 복수개 프로그램의 연동에 의하여 동작되는 소프트웨어를 제어하여 주화면장치에서 보다 많은 화면정보가 출력되도록 하는 보조화면장치를 구비하는 컴퓨터 시스템에서의 화면정보 출력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보조화면장치를 구비하는 컴퓨터 시스템에서의 화면정보 출력방법은, 주화면장치와, 상기 주화면장치와는 별개로 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화면장치가 접속되는 컴퓨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주화면장치에서 화면정보를 형성하는 주프로그램과, 상기 주프로그램과 서로 연동하면서 상기 주프로그램을 제어하기 위한 화면정보를 형성하는 복수개의 보조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임의의 소프트웨어가, 상기 보조프로그램을 상기 보조화면장치에서 화면정보로서 출력되도록 설정하는 설정단계; 및 상기 설정에 따라 상기 주화면장치에서는 주프로그램을 상기 보조화면장치에서는 상기 보조프로그램을 화면정보로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설정단계는, 상기 소프트웨어는 상기 보조화면장치가 구비되었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시스템에 상기 보조화면장치가 구비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소프트웨어가 상기 보조프로그램을 상기 보조화면장치에서 출력되도록 설정하는 제1설정단계; 및 상기 시스템에 상기 보조화면장치가 구비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소프트웨어가 상기 보조프로그램들을 상기 주화면장치의 미리 설정되는 화면위치에서 출력되도록 설정하는 제2설정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단계는, 상기 보조화면장치가 동작되는 지를 판단한 단계; 상기 보조화면장치가 동작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보조화면장치가 동작될 때까지, 상기 보조화면장치에서 출력되던 상기 보조프로그램은 아이콘 또는 이에 상응하는 화면정보로서 주화면장치에서 출력하는 주화면출력단계; 및 상기 보조화면장치가 동작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보조프로그램을 화면정보로서 상기 보조화면장치에 출력하는 보조화면출력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소프트웨어는, 게임, 워드프로세서 또는 CAD 등과 같이 복수개 프로그램이 서로 연동되는 프로그램 집합체임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동작을 첨부 도면에 의거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보조화면장치를 구비하는 컴퓨터 시스템에서의 화면정보 출력방법은, 주화면장치와, 주화면장치와는 별개로 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화면장치가 각각 하나의 시스템에 접속되어 화면정보를 출력하는 시스템에서 구현되는 화면정보 출력방법이다.
또한, 본 발명은 도 1의 종래 기술에서와 같은 주화면장치(10)와 보조화면장치(20)가 일체로 구현되는 시스템이거나 또는 주화면장치와 보조화면장치가 서로 별개의 하드웨어로 구현되어 하나의 시스템에 연결되는 시스템이거나에 상관없이 보조화면장치를 사용하여 주화면장치의 화면을 보다 넓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화면정보 출력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화면장치를 구비하는 컴퓨터 시스템에서의 화면정보 출력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시되는 바와 같이 흐름도에 의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먼저, 임의의 소프트웨어는 보조화면장치가 상기 시스템에 구비되었는 지를 판단하게 된다. (S100)
즉, 시스템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되는 보조화면장치가 구비되어 하나의 시스템으로부터 주화면장치와 보조화면장치로 각각 화면정보가 출력될 수 있는 지를 상기의 소프트웨어가 판단하게 된다.
이때, 소프트웨어란 게임(GAME), 워드프로세서(WORDPROCESSOR), CAD 또는 인터넷 등과 같이 컴퓨터에서 소정의 작업을 수행하기 위하여 복수개 프로그램이 서로 연동되어 동작되는 프로그램 집합체를 의미한다.
또한, 주화면장치와 보조화면장치에서 화면정보를 출력할 수 있도록 동작하는 상기의 소프트웨어는, 상기 소프트웨어의 제조자가 시스템에 보조화면장치가 접속되어 있는 지를 탐색 후, 소프트웨어가 자동으로 보조화면 장치를 인식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 보조화면장치의 인식과 설정을 위하여 상기의 소프트웨어를 사용자가 제어하도록 화면에 아이콘 또는 이에 상응하는 이미지를 포함하는 화면정보를 출력하고, 사용자가 이를 클릭함에 따라 설정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소프트웨어는 사용자에게 보조화면장치를 설정할 것인 지를 질문하고 난 후, 사용자의 응답을 통한 보조화면장치의 설정에 의하여 주화면장치와 보조화면장치로 각각 화면정보가 출력될 수 있도록 제어될 수 있다.
한편, 시스템에 보조화면장치가 구비된 것으로 판단되면, 소프트웨어는 보조프로그램이 보조화면장치에서 출력되도록 프로그램을 설정한다.(S110)
즉, 서로 연동되어서 동작되는 주(主)프로그램과 보조(補助)프로그램을 포함하는 복수개의 프로그램에 의한 임의의 소프트웨어가, 보조화면장치와 주화면장치 각각에서 별개의 화면정보가 출력될 수 있도록 주프로그램과 보조프로그램들이 출력되는 화면장치를 설정하게 된다.
그러나, 시스템에 보조화면장치가 구비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소프트웨어가 보조프로그램이 주화면장치의 소정의 화면위치에서 출력되도록 프로그램을 설정한다.(S120)
예를 들면, 보조화면장치가 시스템에 연결되어 있지만 주화면장치의 후면에 위치되어서 사용될 준비가 되어 있지 않는 경우, 소프트웨어가 보조화면장치에서 출력되어야 할 보조프로그램을 주화면장치의 소정의 화면위치에서 화면정보로서 출력되도록 설정하게 된다.
이와 같은 설정이 종료되면, 주프로그램과 보조프로그램들은 주화면 장치와 보조화면장치의 각각에서 별개의 화면정보로서 출력하기 위하여 먼저, 보조화면장치가 동작되는 지를 판단하게 된다.(S130)
즉, 보조화면장치가 시스템에 연결되어 있지만 주화면장치의 후면에 위치되어서 사용될 준비가 되어 있지 않는 경우, 보조화면장치가 동작될 때까지, 보조프로그램은 주화면장치에서 출력된다.(S140)
이때, 보조화면장치에서 출력되는 보조프로그램은 아이콘 또는 이에 상응하는 화면정보로서 주화면장치의 소정위치에서 출력된다.
그러나, 보조화면장치가 동작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보조프로그램을 화면정보로서 보조화면장치에 출력하게 된다.(S150)
즉, 보조프로그램을 보조화면장치에서 출력함으로써 주화면장치는 보다 넓은 영역에서 주프로그램에 의한 화면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결국, 하나의 화면장치에서 화면정보를 출력하던 종래 기술에 비하여 서로 별개로 되는 주프로그램과 보조프로그램이 화면정보로서 보조화면장치와 주화면장치에서 출력되는 본 발명은 보조화면장치를 이용하여 보다 다양한 화면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마이크로소프트워드의 입력창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워드프로세서인 마이크로소프트워드(Microsoft Word)는 사용시 창의 상단에 파일(F), 편집(E), 보기(V), 삽입(1) 등의 메뉴를 포함하는 입력창메뉴(30)가 구비된다.
또한, 보다 구체적인 워드프로세서의 제어를 하기 위한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서 입력창메뉴(30)의 하단에는 고급서식메뉴(32), 컨트롤도구상자메뉴(34), 편지병합메뉴(36) 등 다양한 메뉴들을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다양한 종류의 메뉴들 예컨대 고급서식메뉴(32), 컨트롤도구상자메뉴(34), 편지병합메뉴(36) 등이 하나의 입력창에 구비되면 될수록 문서창(38)은 점점 더 줄어들게 된다.
즉, 주프로그램으로서 문서창(38)에 관련되는 입력창메뉴(30)는, 고급서식메뉴(32), 컨트롤도구상자메뉴(34), 편지병합메뉴(36) 등의 보조프로그램들이 점점 증가되면서 문서 입력 공간은 오히려 감소된다.
도 4는 도 3의 입력창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여 구현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되는 바와 같이, 주화면장치(10)에서는 주프로그램으로서 오로지 문서의 편집을 위한 최소한의 간단한 메뉴 예컨대 문서창(38)과 입력창메뉴(30)가 출력되고, 보조화면장치(20)에서는 주프로그램과 연동되는 보조프로그램으로서 표준메뉴(40)와 도 3에서 도시되는 고급서식메뉴(42), 컨트롤도구상자메뉴(44), 편지병합메뉴(46) 등이 출력된다.
즉, 워드프로세서를 사용시 보다 구체적인 제어를 하기 위한 보조화면장치(20)에서 출력되는 표준메뉴(40), 고급서식메뉴(42), 컨트롤도구상자메뉴(44), 편지병합메뉴(46) 등을 클릭하면 주화면장치(10)의 문서창(38)에서 입력되는 문서의 환경이 변화된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여 표준메뉴(40), 고급서식메뉴(42), 컨트롤도구상자메뉴(44), 편지병합메뉴(46) 등이 보조화면장치(20)에서 출력되는 것을 구현하였으나, 다른 실시예로서 주화면장치(38)에는 문서창(38) 만이 출력되고, 입력창메뉴(30)를 포함하는 표준메뉴(40), 고급서식메뉴(42), 컨트롤도구상자메뉴(44), 편지병합메뉴(46) 등이 보조화면장치(20)에서 출력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다양한 메뉴가 여러개의 화면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동시에 제공되면서도 문서입력을 하기 위한 문서창(38)은 오히려 증대되기 때문에 워드프로세서를 위한 주된 문서 입력 및 편집 공간은 보다 넓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서는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우측에 구비되는 보조화면장치(20)에서 구현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보조화면장치(20)가 주화면장치(10)의 좌측 또는 상측에 구비되는 경우도 본 발명의 요지와 동일하기 때문에 이들의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게임에서 구현되는 것을 설명하면, 일반적으로 현재 컴퓨터에서 구현되는 게임들은 보다 다양한 환경과 설정에 의하여 동작되면서 보조적으로 사용되는 다양한 화면정보들을 하나의 화면(Monitor)에서 제공하고 있다.
즉, 자동차 게임의 경우를 예로 들면, 종래의 게임에서는 자동차 전면의 유리창을 통하여 자동차가 주행되는 전방의 화면정보를 하나의 모니터에 모두 출력하면서, 동시에 주변의 상황 예컨대 주변이 지도(MAP)와 자동차의 주행 조건 등 게임의 제반환경을 표시하는 화면정보를 화면의 하단부위 등에 출력시킴으로써 하나의 화면에 다양한 정보를 출력시킨다.
따라서, 하나의 화면을 통하여 전면의 상황과 주변의 지도 및 주행조건 등을 모두 출력하기 때문에 좁은 공간을 통한 복잡한 정보의 출력에 따라서 이용자에게 혼란을 야기 시킬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화면정보 출력방법에 의하면, 상기의 지도와 자동차의 주행 조건 등의 제반 환경을 주화면장치의 측부에 구비되는 보조화면장치에 출력시킴으로써 주화면장치에는 보다 넓은 전방의 화면정보(조망)를 제공하여 화면을 보다 넓고 다양하게 게임 소프트웨어가 제어함으로써 보다 박진감 넘치는 게임을 구현할 수 있다.
도면과 명세서는 단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주화면장치의 측부에 구비되는 보조화면장치에서 주화면장치의 화면정보와 연동되는 보조프로그램 또는 보조프로그램에 의한 화면정보가 출력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주화면장치에서 출력되는 주프로그램을 위한 공간을 보다 넓게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보조화면장치를 이용하여 복수개의 화면정보가 서로 겹치지 않도록 출력할 수 있기 때문에 복수개의 화면정보를 주화면장치와 보조화면장치에서 나뉘어서 동시에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보조화면이 구비되는 단말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화면장치를 구비하는 컴퓨터 시스템에서의 화면정보 출력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마이크로소프트워드의 입력창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입력창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여 구현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주화면장치 20.. 보조화면장치
30.. 입력창 메뉴 32, 42.. 고급서식 메뉴
34, 44.. 컨트롤도구상자 메뉴
36, 46.. 편지병합 메뉴 38.. 문서창
40.. 표준 메뉴

Claims (4)

  1. 주화면장치와, 상기 주화면장치와는 별개로 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화면장치가 접속되는 컴퓨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주화면장치에서 화면정보를 형성하는 주프로그램과, 상기 주프로그램과 서로 연동하면서 상기 주프로그램을 제어하기 위한 화면정보를 형성하는 복수개의 보조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임의의 소프트웨어가,
    상기 보조프로그램을 상기 보조화면장치에서 화면정보로서 출력되도록 설정하는 설정단계; 및
    상기 설정에 따라 상기 주화면장치에서는 주프로그램을 상기 보조화면장치에서는 상기 보조프로그램을 화면정보로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화면장치를 구비하는 컴퓨터 시스템에서의 화면정보 출력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단계는,
    상기 소프트웨어는 상기 보조화면장치가 구비되었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시스템에 상기 보조화면장치가 구비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소프트웨어가 상기 보조프로그램을 상기 보조화면장치에서 출력되도록 설정하는 제1설정단계; 및
    상기 시스템에 상기 보조화면장치가 구비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소프트웨어가 상기 보조프로그램들을 상기 주화면장치의 미리 설정되는 화면위치에서 출력되도록 설정하는 제2설정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화면장치를 구비하는 컴퓨터 시스템에서의 화면정보 출력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단계는,
    상기 보조화면장치가 동작되는 지를 판단한 단계;
    상기 보조화면장치가 동작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보조화면장치가 동작될 때까지, 상기 보조화면장치에서 출력되던 상기 보조프로그램은 아이콘 또는 이에 상응하는 화면정보로서 주화면장치에서 출력하는 주화면출력단계; 및
    상기 보조화면장치가 동작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보조프로그램을 화면정보로서 상기 보조화면장치에 출력하는 보조화면출력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화면장치를 구비하는 컴퓨터 시스템에서의 화면정보출력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프트웨어는,
    게임, 워드프로세서 또는 CAD 등과 같이 복수개 프로그램이 서로 연동되는 프로그램 집합체임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화면장치를 구비하는 컴퓨터 시스템에서의 화면정보 출력방법.
KR1020030055156A 2003-08-06 2003-08-06 보조화면장치를 구비하는 컴퓨터 시스템에서의 화면정보출력방법 KR2005001778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5156A KR20050017788A (ko) 2003-08-06 2003-08-06 보조화면장치를 구비하는 컴퓨터 시스템에서의 화면정보출력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5156A KR20050017788A (ko) 2003-08-06 2003-08-06 보조화면장치를 구비하는 컴퓨터 시스템에서의 화면정보출력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7788A true KR20050017788A (ko) 2005-02-23

Family

ID=37227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5156A KR20050017788A (ko) 2003-08-06 2003-08-06 보조화면장치를 구비하는 컴퓨터 시스템에서의 화면정보출력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1778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32368A (zh) * 2020-12-31 2021-04-30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程序运行方法、装置及电子设备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32368A (zh) * 2020-12-31 2021-04-30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程序运行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12732368B (zh) * 2020-12-31 2024-04-09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程序运行方法、装置及电子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63801B1 (en) Automatic configuration of multiple monitor systems
US9134972B2 (en) User interface generation apparatus
EP1630989B1 (en) Audio mixer controller
US5568397A (en) Logic circuit diagram editor system
US20090241047A1 (en) Teaching box for use in robot, customization method, and robot system using the same
EP1548609A1 (en) Text edition device and program
US20030120997A1 (en) Key-input correcting device
US7779365B2 (en) Display control device and program
US20060090143A1 (en) Differential tree and dialog device settings menu
JP2009025972A (ja) 情報表示装置、情報表示方法及び情報表示プログラム
EP0606811A2 (en) Employing a preferred object handler
JP6878367B2 (ja) 数値制御装置
KR20050017788A (ko) 보조화면장치를 구비하는 컴퓨터 시스템에서의 화면정보출력방법
JP2006092269A (ja) 電子ボードシステム
KR20050122022A (ko) 프린터 드라이버를 구비한 인쇄제어장치 및 그를 이용한인쇄옵션 제어방법
JP3264199B2 (ja) Fa機器の操作装置
US6658347B2 (en) Vehicular information system developing apparatus, vehicular information system developing tool, vehicular information system developing method, and navigation system developing method
JPH11272382A (ja) 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
JP4400545B2 (ja) 設計支援システム
KR100709404B1 (ko) 영상신호 처리방법 및 그에 따른 영상표시기기
KR100385065B1 (ko) 인쇄데이터의 적정 인쇄옵션을 제시하는 인쇄시스템 및 그인쇄방법
JP3728473B2 (ja) 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装置
JP4848721B2 (ja) 画像表示方法、画像表示プログラム、および画像表示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2002099392A (ja) 印刷システム
JPH113165A (ja) 情報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