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17143A - 관찰 학습 시스템 - Google Patents

관찰 학습 시스템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17143A
KR20050017143A KR1020030055068A KR20030055068A KR20050017143A KR 20050017143 A KR20050017143 A KR 20050017143A KR 1020030055068 A KR1020030055068 A KR 1020030055068A KR 20030055068 A KR20030055068 A KR 20030055068A KR 20050017143 A KR20050017143 A KR 200500171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ata
image
observation
learning
storag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50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38568B1 (ko
Inventor
이정민
Original Assignee
(주)서림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서림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서림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03-00550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8568B1/ko
Publication of KR200500171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71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85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856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13P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찰 학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원격지의 카메라를 통해 식물, 동물, 자연현상 등의 관찰 학습용 영상을 촬영하여 압축 저장하고 이를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복원하여 제공함으로써, 관찰 학습을 위한 시간적, 공간적인 제약을 해소할 수 있는 관찰 학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식물, 동물, 자연현상 등의 관찰 학습용 영상을 촬영하기 위해 원격지에 설치된 다수의 카메라(20)와; 상기 카메라(20)를 통해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압축하여 관찰 학습별, 시간별로 정렬하여 저장하고,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압축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복원하여 제공하는 영상 저장 장치(10)와; 상기 영상 저장 장치(10)와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영상 저장 장치에 저장된 특정 관찰 학습에 관한 영상 데이터와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해당 관찰 학습에 관한 영상 데이터를 비교하여 업데이트된 영상 데이터의 전송을 요청하고 상기 영상 저장 장치(10)로부터 전송된 해당 관찰 학습에 관한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다수의 사용자 컴퓨터(3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관찰 학습 시스템 {Observational Learning System}
본 발명은 관찰 학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원격지의 카메라를 통해 식물, 동물, 자연현상 등의 관찰 학습용 영상을 촬영하여 압축 저장하고 이를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복원하여 제공하는 관찰 학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치원이나 초등학교에서는 식물 및 동물의 성장과정, 자연현상 등의 이해를 위해 관찰 학습을 수행하고 있는데, 이러한 관찰 학습은 자연에 대한 이해를 도울 뿐만 아니라 학습자의 정서적 안정에 도움을 줌에 따라 더욱 확산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관찰 학습을 위해서는 학습자, 특히 도심지의 학교에 다니는 학습자는 스쿨 버스 등을 이용하여 원거리의 학습장까지 이동하여야 한다는 공간적인 제약이 있었다.
또한, 봄에는 봄에 피는 꽃만을 관찰할 수 있고 여름에는 여름에 피는 꽃만을 관찰할 수 있을 뿐, 꽃의 전체적인 성장과정이나 초승달에서 보름달까지의 달의 변천과정 등을 모두 관찰할 수 없다는 시간적인 제약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원격지의 카메라를 통해 식물, 동물, 자연현상 등의 관찰 학습용 영상을 촬영하여 압축 저장하고 이를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복원하여 제공함에 따라 관찰 학습을 위한 시간적, 공간적인 제약을 해소할 수 있는 관찰 학습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관찰 학습용 영상 데이터의 전송시간을 최소화하여 시스템 부하를 저감시키고, 이를 통해 더 많은 사용자가 동시에 이용할 수 있는 관찰 학습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식물, 동물, 자연현상 등의 관찰 학습용 영상을 촬영하기 위해 원격지에 설치된 다수의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압축하여 관찰 학습별, 시간별로 정렬하여 저장하고,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압축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복원하여 제공하는 영상 저장 장치와; 상기 영상 저장 장치와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영상 저장 장치에 저장된 특정 관찰 학습에 관한 영상 데이터와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해당 관찰 학습에 관한 영상 데이터를 비교하여 업데이트된 영상 데이터의 전송을 요청하고 상기 영상 저장 장치로부터 전송된 해당 관찰 학습에 관한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다수의 사용자 컴퓨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영상 저장 장치는;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 변환부와; 상기 A/D 변환부에 의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영상 데이터를 압축하는 영상 압축부와; 상기 영상 압축부에 의해 압축된 영상 데이터가 관찰 학습별, 시간별로 정렬되어 저장되는 영상 저장부와; 상기 사용자 컴퓨터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접속된 사용자 컴퓨터로 특정 관찰 학습에 관한 업데이트할 최신정보를 전송하고 사용자 컴퓨터의 요청에 따라 상기 영상 저장부로부터 해당 관찰 학습에 관한 영상 데이터를 복원하여 제공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압축된 영상 데이터를 해당 관찰 학습을 위해 생성된 상기 영상 저장부의 특정 디렉토리내에 저장하며, 저장된 영상 데이터의 이미지 파일명을 텍스트 형식의 색인 파일에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영상 데이터의 저장시점인 연월일시에 근거하여 해당 영상 데이터의 이미지 파일명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 컴퓨터는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특정 관찰 학습에 관한 영상 데이터의 이미지 파일명을 이용하여 생성한 텍스트 형식의 색인 파일과 상기 영상 저장 장치로부터 다운로드된 해당 관찰 학습에 관한 텍스트 형식의 색인 파일을 비교하여 해당 관찰 학습에 관한 업데이트된 영상 데이터만의 전송을 상기 영상 저장 장치에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관찰 학습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으로, 식물, 동물, 자연현상 등의 관찰 학습용 영상을 촬영하기 위해 원격지에 설치된 다수의 카메라(20)가 영상 저장 장치(10)의 데이터 입력측에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영상 저장 장치(10)의 데이터 출력측에는 근거리 통신망(LAN)을 통해 다수의 사용자 컴퓨터(30)가 접속되어 있다.
상기 영상 저장 장치(10)는 카메라(20)를 통해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압축하여 관찰 학습별, 시간별로 정렬하여 저장하고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압축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복원하여 제공하며, 상기 사용자 컴퓨터(30)는 영상 저장 장치(10)에 저장된 특정 관찰 학습에 관한 영상 데이터와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해당 관찰 학습에 관한 영상 데이터를 비교하여 업데이트된 영상 데이터의 전송을 상기 영상 저장 장치(10)에 요청한다.
도 2는 상기 영상 저장 장치(10)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 변환부(11)와, 이 A/D 변환부(11)에 의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영상 데이터를 압축하는 영상 압축부(12), 및 상기 영상 압축부(12)에 의해 압축된 영상 데이터가 관찰 학습별, 시간별로 정렬되어 저장되는 영상 저장부(15)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영상 저장 장치(10)는 인터페이스부(16)와 제어부(14)를 구비하는데, 상기 인터페이스부(16)는 영상 저장 장치(10)와 LAN을 통해 연결된 사용자 컴퓨터(30)간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14)는 영상 저장 장치(1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인터페이스부(16)를 통해 접속된 사용자 컴퓨터(30)로 특정 관찰 학습에 관한 업데이트할 최신정보를 전송하고, 사용자 컴퓨터(30)의 요청에 따라 상기 영상 저장부(15)로부터 해당 관찰 학습에 관한 영상 데이터를 복원하여 제공한다.
미설명된 도면부호 13은 제어부(14)의 연산 동작시 발생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RAM을 나타낸 것이다.
다음에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관찰 학습 시스템의 동작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새로운 관찰 학습이 추가되면 영상 저장 장치(10)의 제어부(14)는 해당 관찰 학습에 5자리의 숫자로 구성된 일련번호를 부여하고, 또한 영상 저장부(15)에 해당 관찰 학습에 관한 영상 데이터가 저장될 상기 일련번호를 이름으로 갖는 디렉토리를 생성하며, 아울러 이 디렉토리내에 저장되는 영상 데이터의 이미지 파일들을 위한 텍스트 형식의 색인 파일을 생성한다.
이와 같이 해당 관찰 학습에 관한 디렉토리와 색인파일을 생성한 후, 해당 관찰 학습을 위해 할당된 원격지의 카메라(20)를 통해 촬영된 영상 신호가 상기 영상 저장 장치(10)로 인가되면, 이 영상 신호는 A/D 변환부(11)에 의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고, 영상 압축부(12)에 의해 압축되어 영상 저장부(15)의 해당 디렉토리내에 저장된다.
이때, 저장되는 영상 데이터에는 저장시점인 연월일시에 근거하여 다음과 같은 파일 이름이 부여된다.
030702194832.jpg : 2003년 07월 02일 19시 48분 32초에 생성된 파일
상기와 같이 파일 이름이 부여된 이미지 파일이 영상 저장부(15)에 저장되면 제어부(14)는 해당 파일명을 텍스트 형식의 색인 파일에 추가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다수의 카메라(20)를 통해 촬영된 영상 데이터가 관찰 학습별, 시간별로 정렬되어 영상 저장부(15)의 해당 디렉토리내에 저장된다.
한편, 인터페이스부(16)를 통해 상기 영상 저장 장치(10)에 접속된 사용자 컴퓨터(30)가 부팅되면 자동 로그인되는데, 이와 같이 로그인된 사용자 컴퓨터(30)로부터 특정 관찰 학습에 관한 영상 데이터의 전송요청이 있으면 제어부(14)는 먼저 해당 관찰 학습에 관한 영상 데이터의 색인 파일을 로그인된 사용자 컴퓨터(30)로 전송한다.
사용자 컴퓨터(30)는 상기와 같이 영상 저장 장치(10)로부터 특정 관찰 학습에 관한 영상 데이터의 색인 파일을 다운로드 받는 동시에 자신의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해당 관찰 학습에 관한 영상 데이터의 색인 파일을 작성하고, 이와 같이 작성된 색인 파일과 영상 저장 장치(10)로부터 다운받은 색인 파일을 비교하여 자신이 가지고 있지 않은 업데이트된 이미지 파일들에 대한 색인 파일을 작성한다.
상기와 같이 업데이트된 이미지 파일들에 대한 색인 파일이 작성되면 사용자 컴퓨터(30)는 이를 영상 저장 장치(10)로 전송하여 자신이 갖지 못한 이미지 파일의 전송을 요청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14)는 영상 저장부(15)로부터 해당 이미지 파일들을 복원하고, 이를 FTP(File Transfer Protocol)을 이용하여 해당 사용자 컴퓨터(30)로 전송한다.
사용자 컴퓨터(30)는 자신이 가지고 있지 않은 이미지 파일들을 전부 전송받을 때까지 상기와 같은 파일 전송 과정을 여러번 반복하여 영상 저장 장치(10)와 동기화하는데, 이는 중복된 이미지 파일의 불필요한 전송을 제거함으로써 영상 저장 장치(10)와 사용자 컴퓨터(30)간의 네트워크 사용율을 줄여 네트워크의 원할한 이용을 도모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원격지의 카메라를 통해 식물, 동물, 자연현상 등의 관찰 학습용 영상을 촬영하여 압축 저장하고 이를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복원하여 제공함에 따라 관찰 학습을 위한 시간적, 공간적인 제약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색인 파일을 이용하여 업데이트된 영상 데이터만을 전송함에 따라 관찰 학습용 영상 데이터의 전송시간을 최소화시켜 시스템 부하를 저감시킬 수 있음에 따라 더 많은 사용자가 동시에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관찰 학습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영상 저장 장치의 세부 블록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영상 저장 장치 11 : A/D 변환부
12 : 영상 압축부 13 : RAM
14 : 제어부 15 : 영상 저장부
16 : 인터페이스부 20 : 카메라
30 : 사용자 컴퓨터

Claims (5)

  1. 식물, 동물, 자연현상 등의 관찰 학습용 영상을 촬영하기 위해 원격지에 설치된 다수의 카메라(20)와;
    상기 카메라(20)를 통해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압축하여 관찰 학습별, 시간별로 정렬하여 저장하고,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압축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복원하여 제공하는 영상 저장 장치(10)와;
    상기 영상 저장 장치(10)와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영상 저장 장치에 저장된 특정 관찰 학습에 관한 영상 데이터와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해당 관찰 학습에 관한 영상 데이터를 비교하여 업데이트된 영상 데이터의 전송을 요청하고 상기 영상 저장 장치(10)로부터 전송된 해당 관찰 학습에 관한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다수의 사용자 컴퓨터(3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관찰 학습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저장 장치(10)는;
    상기 카메라(20)를 통해 촬영된 영상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 변환부(11)와;
    상기 A/D 변환부(11)에 의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영상 데이터를 압축하는 영상 압축부(12)와;
    상기 영상 압축부(12)에 의해 압축된 영상 데이터가 관찰 학습별, 시간별로 정렬되어 저장되는 영상 저장부(15)와;
    상기 사용자 컴퓨터(30)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인터페이스부(16); 및
    상기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인터페이스부(16)를 통해 접속된 사용자 컴퓨터(30)로 특정 관찰 학습에 관한 업데이트할 최신정보를 전송하고 사용자 컴퓨터(30)의 요청에 따라 상기 영상 저장부(15)로부터 해당 관찰 학습에 관한 영상 데이터를 복원하여 제공하는 제어부(1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찰 학습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4)는 압축된 영상 데이터를 해당 관찰 학습을 위해 생성된 상기 영상 저장부(15)의 특정 디렉토리내에 저장하며, 저장된 영상 데이터의 이미지 파일명을 텍스트 형식의 색인 파일에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찰 학습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4)는 영상 데이터의 저장시점인 연월일시에 근거하여 해당 영상 데이터의 이미지 파일명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찰 학습 시스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컴퓨터(30)는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특정 관찰 학습에 관한 영상 데이터의 이미지 파일명을 이용하여 생성한 텍스트 형식의 색인 파일과 상기 영상 저장 장치(10)로부터 다운로드된 해당 관찰 학습에 관한 텍스트 형식의 색인 파일을 비교하여 해당 관찰 학습에 관한 업데이트된 영상 데이터만의 전송을 상기 영상 저장 장치(10)에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찰 학습 시스템.
KR10-2003-0055068A 2003-08-08 2003-08-08 관찰 학습 시스템 KR1005385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5068A KR100538568B1 (ko) 2003-08-08 2003-08-08 관찰 학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5068A KR100538568B1 (ko) 2003-08-08 2003-08-08 관찰 학습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5666U Division KR200332037Y1 (ko) 2003-08-08 2003-08-08 관찰 학습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7143A true KR20050017143A (ko) 2005-02-22
KR100538568B1 KR100538568B1 (ko) 2005-12-23

Family

ID=37226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5068A KR100538568B1 (ko) 2003-08-08 2003-08-08 관찰 학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856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6364B1 (ko) * 2006-06-01 2008-01-21 (주)씨엠에스 조류 관찰 방송 시스템
KR100936516B1 (ko) * 2009-03-25 2010-01-13 주식회사 바이콤 영상 저장 시스템 및 방법
KR100950011B1 (ko) * 2008-08-20 2010-03-29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영상관리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3928B1 (ko) 2023-07-31 2024-01-10 국립생태원 소형 포유류 관찰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4859B1 (ko) * 2000-04-21 2002-12-16 오종택 인터넷 접속장치와 서비스 서버를 이용한 원격지 모니터링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
KR20020022270A (ko) * 2000-09-19 2002-03-27 이희경 주요지역관찰시스템
KR100379002B1 (ko) * 2001-04-07 2003-04-10 (주)테크노비전 인터넷을 이용한 영상전송시스템 및 그 데이터 전송방법
KR20030021286A (ko) * 2001-09-05 2003-03-15 주식회사 모던테크 계곡홍수의 자동경보시설 시스템
KR20030039069A (ko) * 2001-11-09 2003-05-17 박상래 비 PC기반(stand-alone, 독립형) 방식으로 구성하고 음향채널을 포함한 디지털 영상 및 음향 저장 장치
KR20030039193A (ko) * 2001-11-12 2003-05-17 (주)우리네스 보안카메라를 이용한 방범관제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6364B1 (ko) * 2006-06-01 2008-01-21 (주)씨엠에스 조류 관찰 방송 시스템
KR100950011B1 (ko) * 2008-08-20 2010-03-29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영상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0936516B1 (ko) * 2009-03-25 2010-01-13 주식회사 바이콤 영상 저장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38568B1 (ko) 2005-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92012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storage medium, and communication system
US7110026B2 (en) Image tagging for post processing
US6507362B1 (en) Digital image generation device for transmitting digital images in platform-independent form via the internet
US20040201735A1 (en) Image storage queue
US20060248192A1 (en) Method for pulling images from the internet for viewing on a remote digital display
KR100538568B1 (ko) 관찰 학습 시스템
CN103379164A (zh) 照相机及其处理文件的方法
EP1433064A2 (en) Image management system, digital camera, image management method, and image processing method for digital camera
JP4258825B2 (ja) 電子カメラ、画像提供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KR200332037Y1 (ko) 관찰 학습 시스템
TWI220842B (en) Transformation device of remote monitoring computer display image
KR20090030869A (ko) 영상데이터를 이용한 응용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2006195636A (ja) 文書管理システム
CN107220474A (zh) 分布式手术动态影像管理与共享服务平台
TW201248559A (en) Method and system for integrating monitor video player control item
Viitanen et al. Nordic teleradiology development
JP2004117973A (ja) カメラ用雲台
CN101529464A (zh) 创建和处理数字图像的方法及装置
KR100249237B1 (ko)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사진제작 방법 및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온-라인 화상정보 출력 시스템
KR100402927B1 (ko) 디지탈 카메라의 다중 화면 표시 방법
KR20040107735A (ko) 대용량 이미지 전송을 위한 방법 및 장치
CN109582249B (zh) 一种便携式多功能影像工作站
KR20020080618A (ko) 인터넷 상의 병원 차트와 이미지의 저장 처리 방법 및인공지능 시스템
GB2277221A (en) Pictorial interactive database
JP2007004487A (ja) 画像記憶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2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0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