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22270A - 주요지역관찰시스템 - Google Patents

주요지역관찰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22270A
KR20020022270A KR1020000054975A KR20000054975A KR20020022270A KR 20020022270 A KR20020022270 A KR 20020022270A KR 1020000054975 A KR1020000054975 A KR 1020000054975A KR 20000054975 A KR20000054975 A KR 20000054975A KR 20020022270 A KR20020022270 A KR 200200222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signal
controller
image information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49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유성
Original Assignee
이희경
(주)케이 알 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희경, (주)케이 알 테크 filed Critical 이희경
Priority to KR10200000549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22270A/ko
Publication of KR200200222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2270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요지역관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개인용컴퓨터와 인터넷접속용 영상수신기중에 하나를 선택하거나 동시에 선택하여 사용하여 통신을 접속시킬 수 있도록 하는 통신접속기(10)와, 상기 통신접속기(10)에서 출력하는 접속요구신호로부터 통신접속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외부에 통신신호를 출력할 수 있도록 신호처리하는 통신제어부(21)와, 상기 통신제어부(21)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의 비밀번호와 내부에 저장된 사용자 비밀번호와 비교하여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비밀번호저장부(22)와, 내부에 저장된 영상정보나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정보를 읽어 저장한 후 외부의 출력요구 신호로부터 저장된 영상정보를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영상정보저장부(23)와 상기 영상정보저장부(23)에서 출력하는 영상신호를 웹상에서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웹서버(24)가 연결되는 통신서버기(20)와, 상기 통신서버기(20)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감시하고자 하는 지역을 실시간으로 감시할 수 있도록 하는 감지제어기(30)가 연결되는 구성에 의해 하천근처에 수질의 오염상태를 감지하여 무선으로 출력할 수 있도록 하고 감지된 오염신호를 특정 인터넷통신서버에 출력하여 저장할 수 있도록 하여 관리자가 인터넷통신서버와 접속하여 하천의 오염상태를 확인할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주요지역관찰시스템{observating principal region system}
본 발명은 주요지역관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 자세하게는 감시감독이 이루어지는 하천에 공장폐수 및 생활폐수를 몰래 보내는 것을 항상 감시할 수 있도록 하천근처에 수질의 오염상태를 감지하여 무선으로 출력할 수 있도록 하고 감지된 오염신호를 특정 인터넷통신서버에 출력하여 저장할 수 있도록 하여 관리자가인터넷통신서버와 접속하여 하천의 오염상태를 확인할 있도록 하는 주요지역관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반인 출입금지지역은 그 지역의 오염을 방지하거나 설치물 파손 및 도난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울타리를 설치한 후 그 내부에 관리자 이외의 일반인 출입을 감시할 수 있도록 감시자가 출입금지지역에 카메라를 설치하여 감시하고 있다.
특히 하천은 자체적으로 정화할 수 있는 능력가지고 있으나 의도적으로 생활오폐수 및 산업의 발전에 의한 공장 폐수가 흘러 들어오게 되어 정화되기 이전에 각종 오폐수로 인해 하천의 지속적으로 오염되어 식수 부족난을 가져오며 이러한 하천을 정화하기 위한 정부의 막대한 예산이 들게 되었다.
또한 하천은 우천시 의도적으로 공장 폐수를 방류시키게 되므로 공장 폐수가 역류하여 인근 마을에 흘러 들어가게 되는 등의 악순환이 되풀이되고 있다.
현재, 정화 연구소에서는 하천의 오염을 정화하기 위해 각종 장치를 개발하여 정화하는데 노력하고 있으나 적지 않은 정화장치의 개발 비용이 들게되어 고비용 저효율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종래의 하천을 처리하는 정화장치는 이미 오염된 하천폐수에 각종 화학물을 첨가시켜 정화시키고 있으나 적지 않은 비용을 가지고 있으며 하천주변의 공장에 우천시 폐수를 흘려보내지 않도록 꾸준히 교육을 시키고 있으나 실천사례가 미비하여 하천의 오염을 가중화시키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감시감독이 이루어지는 하천에 공장폐수 및 생활폐수를 몰래 보내는 것을 항상 감시할 수 있도록 하천근처에 수질의 오염상태를 감지하여 무선으로 출력할 수 있도록 하고 감지된 오염신호를 특정 인터넷통신서버에 출력하여 저장할 수 있도록 하여 관리자가 인터넷통신서버와 접속하여 하천의 오염상태를 확인할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란 주요지역관찰장치의 블록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요지역관찰장치의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통신접속기 20;통신제어기
21;통신제어부 22;비밀번호저장부
23;영상정보저장부 24;웹서버
30;감시제어기 31;카메라부
32;센서부 33;신호처리부
34;무선입출력부 S1~S7;단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란 주요지역관찰장치의 블록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요지역관찰장치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하천의 오염상태를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관리번호가 부여된 관리인이 인터넷 접속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개인용컴퓨터와 인터넷접속용 영상수신기중에 하나를 선택하거나 동시에 선택하여 사용하여 통신을 접속시킬 수 있도록 하는 통신접속기(10)와, 상기 통신접속기(10)에서 출력하는 접속요구신호로부터 통신접속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외부에 통신신호를 출력할 수 있도록 신호처리하는 통신제어부(21)와, 상기 통신제어부(21)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의 비밀번호와 내부에 저장된 사용자 비밀번호와 비교하여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비밀번호저장부(22)와, 내부에 저장된 영상정보나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정보를 읽어 저장한 후 외부의 출력요구 신호로부터 저장된 영상정보를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영상정보저장부(23)와 상기 영상정보저장부(23)에서 출력하는 영상신호를 웹상에서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웹서버(24)가 연결되는 통신서버기(20)와, 상기 통신서버기(20)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감시하고자 하는 지역을 실시간으로 감시할 수 있도록 하는 감지제어기(30)가 연결되어 이루어진 구성을 갖는다.
본 발명은 상기 통신서버기(20)는 출력단에 무선으로 연결되어 감시하고자 하는 지역을 실시간으로 감시할 수 있도록 하는 감지제어기(30)가 연결되는 구성을 갖는다.
본 발명의 감시제어기(30)는 렌즈에 비춰지는 영상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카메라부(31)와, 하천의 상습 오염구역에 배치되어 현재 용존하는 산소량을 감지하는 용존산소센서와 하천의 산성도(ph)를 감지하는 산성도센서와 하천의 수질의 혼탁정도를 감지하는 탁도센서로 이루어진 센서부(10)와, 감지신호를 신호변환하여 출력하는 신호처리부(33)와, 상기 신호처리부(33)에서 출력하는 영상신호와 데이타신호를 조합하여 무선으로 입출력하는 무선입출력부(34)가 연결되어 이루어진 구성을 갖는다.
본 발명의 신호처리부(33)는 카메라부(31)의 감시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신호와 센서부(32)에서 감지된 감지신호를 분리하거나 조합하여 무선으로 외부에 출력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감시지역을 실시간으로 감시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으로는 관리자가 감시제어기(30)의 저장된 영상정보를 실행하기 위해 통신서버기에 통신접속을요구하는 단계(S1)와, 상기 단계(S1)로부터 통신서버기(20)가 통신접속을 요구하는 사용자의 비밀번호나 고유번호가 내부에 저장된 번호와 일치하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S2)와, 상기 단계(S2)로부터 통신서버기(20)가 권리자의 비밀번호나 고유번호가 확인되면 내부에 새로운 저장된 영상정보가 있는 지를 확인하는 단계(S3)와, 상기 단계(S3)로부터 통신서버기(20)가 감시제어기(30)로부터 감시된 새로운 영상정보가 있는 지를 확인하는 단계(S4)와, 상기 단계(S4)로부터 관리자가 웹상에서 영상정보를 실행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S5)와, 상기 단계(S5)로부터 통신접속기(10)를 통해 관리자로부터 감시제어기(30)의 카메라 동작에 관련한 제어신호가 입력되었는지를 통신서버기(20)가 판단하는 단계(S6)와, 상기 단계(S6)로부터 관리자가 감시제어기(30)의 카메라 위치변경등에 관련한 제어신호를 통신서버기(20)를 통해 무선으로 출력하여 감시제어기(30)가 동작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S7)로 이루어진 구성을 갖는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감시하고자 하는 지역의 오염상태를 원격으로 감시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도 1 또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관리자가 하천의 오염이 예상되는 지역에 일반인이 접근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고 산불등이 자주 빈번하게 일어나는 지역을 감시할 수 있도록 감시하고자 하는 지역에 감시제어기를 설치하여 원하는 시간에 감시지역의 감시영상정보를 직접 방문하지 않더라도 웹사이트에 관리자가 접속하여 영상정보를 실행하여 감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관리자는 감시하고자 하는 지역을 자신의 개인컴퓨터나 IMT2000등과 같이 인터넷에 통신을 접속할 수 있는 통신접속기(10)를 통해 통신제어기(20)에 통신접속을 요구하게 된다(S1).
이때, 통신제어기(20)는 통신접속을 요구하는 관리자의 비밀번호나 사용자 고유번호의 입력을 요구하고 입력되는 관리자의 비밀번호나 사용자 고유번호가 비밀번호저장부(22) 내부에 저장된 관리자와 일치하는 지를 비교 판단하게 되는 것이다(S2).
한편, 통신제어기(20)는 통신접속을 요구하는 관리자의 비밀번호 및 고유번호가 비밀번호저장부(22)의 비밀번호 및 고유번호와 일치하게 되는 경우 관리자에게 연상정보를 출력하기 위해 영상정보저장부(23)에 새로운 영상정보가 저장되어 있는지를 확인하게 된다(S3).
이때 통신제어기(20)는 감시제어기(30)로부터 출력하는 영상신호가 있을 경우에는 영상신호를 데이터 변환하여 웹서버(24)에 출력하게 되나 통신제어기(20)가 감시제어기(30)로부터 출력하는 영상신호가 없을 경우에는 영상정보를 요구하는 관리자에게 새로운 영상자료가 입력될 때까지 이전에 저장된 영상정보를 출력하여 공급하게 되는 것이다(S4).
따라서, 통신제어기(20)가 감시제어기(30)로부터 입력된 순서로 저장하여 두었다가 관리자가 영상자료를 요구하게 되면 최후에 저장된 자료순서대로 웹서버(24)에서 영상을 공급하게 되는 것이다(S5).
한편, 관리자는 웹서버(24)상에서 카메라부(31)의 감시카메라를 통제하고자할 경우 카메라의 좌우 상하 이동과 감시하고자 하는 특정부위가 확대될 수 있도록 줌의 크기범위 및 전원 온, 오프 제어에 관련하여 입력하게 되면 통신제어기(20)는 웹서버(24)에 제어 데이타를 저장한 후 통신제어부(21)를 통해 감시제어기(30)로 무선출력하게 되는 것이다.(S6)
이때 감시제어기(30)는 통신제어부(21)에서 출력하는 무선신호를 무선입출력부(34)로 입력한 후 신호처리부(33)를 통해 적절한 신호로 변환 처리한 후 카메라가 설정한 위치와 영상크기를 줌인(zoom in)하거나 줌아우트(zoom out)하여 조절하여 카메라에서 잡힌 영상신호를 적절한 신호로 변환하여 신호처리부(33)에 출력하도록 하고, 센서부(32)는 내부의 용존산소센서, 탁도센서, 산성도센서를 이용하여 감시하고자 하는 하천의 수질을 감지하고 감지된 신호를 신호처리부(33)에 출력하여 무선으로 감지된 데이타를 출력할 수 있도록 신호변환한 후 무선입출력부(34)에 출력하여 통신제어기(20)의 웹서버(24)에 수신된 감시지역의 수질오염정도를 감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S7)
이와 같이 작용하는 본 발명은 감시감독이 이루어지는 하천에 공장폐수 및 생활폐수를 몰래 보내는 것을 항상 감시할 수 있도록 하천근처에 수질의 오염상태를 감지하여 무선으로 출력할 수 있도록 하고 감지된 오염신호를 특정 인터넷통신서버에 출력하여 저장할 수 있도록 하여 관리자가 인터넷통신서버와 접속하여 하천의 오염상태를 확인할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4)

  1. 개인용컴퓨터와 인터넷접속용 영상수신기중에 하나를 선택하거나 동시에 선택하여 사용하여 통신을 접속시킬 수 있도록 하는 통신접속기(10)와, 상기 통신접속기(10)에서 출력하는 접속요구신호로부터 통신접속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외부에 통신신호를 출력할 수 있도록 신호처리하는 통신제어부(21)와, 상기 통신제어부(21)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의 비밀번호와 내부에 저장된 사용자 비밀번호와 비교하여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비밀번호저장부(22)와, 내부에 저장된 영상정보나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정보를 읽어 저장한 후 외부의 출력요구 신호로부터 저장된 영상정보를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영상정보저장부(23)와 상기 영상정보저장부(23)에서 출력하는 영상신호를 웹상에서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웹서버(24)가 연결되는 통신서버기(20)와, 상기 통신서버기(20)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감시하고자 하는 지역을 실시간으로 감시할 수 있도록 하는 감지제어기(30)가 연결되어 이루어진 주요지역관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제어기(30)는 렌즈에 비춰지는 영상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카메라부(31)와, 하천의 상습 오염구역에 배치되어 현재 용존하는 산소량을 감지하는 용존산소센서와 하천의 산성도(ph)를 감지하는 산성도센서와 하천의 수질의 혼탁정도를 감지하는 탁도센서로 이루어진 센서부(10)와, 감지신호를 신호변환하여 출력하는 신호처리부(33)와, 상기 신호처리부(33)에서 출력하는 영상신호와 데이타신호를 조합하여 무선으로 입출력하는 무선입출력부(34)가 연결되어 이루어진 주요지역관찰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처리부(33)는 카메라부(31)의 감시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신호와 센서부(32)에서 감지된 감지신호를 분리하거나 조합하여 무선으로 외부에 출력할 수 있도록 연결되어 이루어진 주요지역관찰장치.
  4. 관리자가 감시제어기(30)의 저장된 영상정보를 실행하기 위해 통신서버기에 통신접속을 요구하는 단계(S1)와, 상기 단계(S1)로부터 통신서버기(20)가 통신접속을 요구하는 사용자의 비밀번호나 고유번호가 내부에 저장된 번호와 일치하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S2)와, 상기 단계(S2)로부터 통신서버기(20)가 권리자의 비밀번호나 고유번호가 확인되면 내부에 새로운 저장된 영상정보가 있는 지를 확인하는 단계(S3)와, 상기 단계(S3)로부터 통신서버기(20)가 감시제어기(30)로부터 감시된 새로운 영상정보가 있는 지를 확인하는 단계(S4)와, 상기 단계(S4)로부터 관리자가 웹상에서 영상정보를 실행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S5)와, 상기 단계(S5)로부터 통신접속기(10)를 통해 관리자로부터 감시제어기(30)의 카메라 동작에 관련한 제어신호가 입력되었는지를 통신서버기(20)가 판단하는 단계(S6)와, 상기 단계(S6)로부터 관리자가 감시제어기(30)의 카메라 위치변경등에 관련한 제어신호를 통신서버기(20)를 통해 무선으로 출력하여 감시제어기(30)가 동작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S7)로 이루어진 주요지역관찰방법.
KR1020000054975A 2000-09-19 2000-09-19 주요지역관찰시스템 KR200200222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4975A KR20020022270A (ko) 2000-09-19 2000-09-19 주요지역관찰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4975A KR20020022270A (ko) 2000-09-19 2000-09-19 주요지역관찰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2270A true KR20020022270A (ko) 2002-03-27

Family

ID=19689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4975A KR20020022270A (ko) 2000-09-19 2000-09-19 주요지역관찰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2227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8568B1 (ko) * 2003-08-08 2005-12-23 (주)서림테크놀로지 관찰 학습 시스템
KR101045243B1 (ko) * 2010-08-16 2011-06-30 백국흠 입자가 혼합된 도료 분사용 압축탱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8568B1 (ko) * 2003-08-08 2005-12-23 (주)서림테크놀로지 관찰 학습 시스템
KR101045243B1 (ko) * 2010-08-16 2011-06-30 백국흠 입자가 혼합된 도료 분사용 압축탱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73514B2 (en) Network device management technology
US7458782B1 (en) Computer monitoring system for pumps
AU2004220735B2 (en) Consumptive leak detection system
KR101134391B1 (ko) 배전반, 자동제어 플랜트 설비의 원격감시제어장치 및 원격감시제어방법
KR20170121536A (ko) 사물인터넷 기반 지역난방 사용자 시설 모니터링 및 효율 개선 시스템
KR101737259B1 (ko) 정보 송신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저장매체
KR102300709B1 (ko) 임피던스 측정 방법을 활용한 이상수질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JP4887670B2 (ja) 通信システム
US20110006904A1 (en) Managing a set of swimming pools
Solano et al. An internet-of-things enabled smart system for wastewater monitoring
KR20150095960A (ko) 물탱크 수질감시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JP2008124817A (ja) 端末状態検出機能を有する給電ハブ装置
KR20020022270A (ko) 주요지역관찰시스템
KR100485991B1 (ko) 유동 아이피주소를 갖는 감시현장시스템, 이를 이용한 웹영상 감시 시스템 및 감시 방법
KR200185863Y1 (ko) 하천수질 자동검사장치
KR101858569B1 (ko) 복수의 수처리 시설에 대한 통합 원격 관리 시스템 및 그에 따른 운영 방법
KR20110009508A (ko) 기계 경비서비스를 이용한 실내 공기질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415461B1 (ko) 상황 검출 및 알림이 가능한 인공지능 카메라 및 모니터링 시스템
JPH0975964A (ja) 小規模浄化槽の異常検知自動通報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200225066Y1 (ko) 유동 아이피주소를 갖는 감시현장시스템
US20090128357A1 (en) Network audio/video rescue system
KR960013075A (ko)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을 이용한 타지역 카메라의 원격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20110003018A (ko) 시설물의 원방 감시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US11895387B2 (en) Modular camera that uses artificial intelligence to categorize photos
CN107817022A (zh) 一种自来水管网压力及水质检测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