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16661A - Charcoal producing method and apparatus - Google Patents

Charcoal producing method and apparatus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16661A
KR20050016661A KR10-2004-7021512A KR20047021512A KR20050016661A KR 20050016661 A KR20050016661 A KR 20050016661A KR 20047021512 A KR20047021512 A KR 20047021512A KR 20050016661 A KR20050016661 A KR 200500166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iln
charcoal
inner space
air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2151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고마츠도루
Original Assignee
산에이 겐세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에이 겐세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에이 겐세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04-70215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16661A/en
Publication of KR200500166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6661A/en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53/00Destructive distill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olid raw materials or solid raw materials in special form
    • C10B53/02Destructive distill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olid raw materials or solid raw materials in special form of cellulose-containing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10Biofuels, e.g. bio-diese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ke Indust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800℃ 이상의 고온에서 고온 탄화에 의해 숯을 제조할 수 있는 숯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숯 제조장치는 숯의 원재료(37)을 배치하는 가마 내부 공간(2); 가마 내부 공간(2)의 전방 단부에 각각 구비된 화구(3)와 통기공(4); 가마 내부 공간(2)의 후방 단부에 구비된 배연구(5); 및 가마 내부 공간(2) 내로 공기를 압송하는 공기압송수단으로 이루어진다. 공기압송수단은, 배연구(5) 부근에서 가마 내부 공간(2)의 상부에 설치된 공기배출구(102)를 포함하며, 공기배출구(102)는 가마 내부 공간(2)의 전방 단부를 향하여 설치된 송풍관(100)으로 이루어진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rcoal manufacturing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charcoal by high temperature carbonization at a high temperature of 800 ℃ or more. The charcoal manufacturing apparatus is a kiln inner space (2) for placing the raw material 37 of the charcoal; A crater 3 and a vent hole 4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inner space 2 of the kiln; Embryo study 5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kiln internal space 2; And air compression means for pumping air into the kiln inner space 2. The air conveying means comprises an air outlet 102 installed in the upper part of the kiln internal space 2 near the exhaust research 5, and the air outlet 102 is a blower tube installed toward the front end of the kiln internal space 2. It consists of 100.

Description

숯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CHARCOAL PRODUCING METHOD AND APPARATUS}Charcoal Producing Method and Apparatus {CHARCOAL PRODUCING METHOD AND APPARATUS}

본 발명은 개선된 숯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800℃ 이상의 고온에서 탄화(carbonization)에 의해 숯을 제조할 수 있는 숯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prove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charcoal.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charcoal capable of producing charcoal by carbonization at a high temperature of 800 ° C. or higher.

근년에, 탈취효과(deodorization effect) 및 독성물질 흡수효과 등을 이유로 숯이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어 왔다. 지금껏 숯은 일반적으로, 숯의 원재료로서의 목재를 경화토(hardening soil)에 의해 형성된 가마 내에 채워 넣고, 목재 위에 장작을 배치하고 또한 장작을 화구(火口) 부근에 채워 넣으며, 이 장작을 태워서 숯의 원재료를 탄화시키고, 배연구(排煙口)로부터 배출되는 연기가 흰색에서 푸른색으로 바뀌었을 때 화구를 닫으며, 그리고 대체로 화구를 닫은 때로부터 3 내지 5일 경과 후 통기구와 배연구를 완전히 막음으로써 제조되었다. 다른 한편, 가마 또는 가마 내부의 공간 내로 공기를 유입시키는 기술이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0-119661, 2001-181646 및 평9-59642 등의 특허공보로부터 알려져 있다.In recent years, charcoal has been used in various fields for reasons of deodorization and absorption of toxic substances. Until now, charcoal is generally filled with wood as a raw material of charcoal in a kiln formed by hardening soil, placing firewood on the wood, and also filling firewood near the fireball, and burning the firewood to burn charcoal. Carbonizes raw materials, closes the crater when the smoke from the pear mouth turns from white to blue, and completely prevents venting and pear research three to five days after closing the crater. Was prepared. On the other hand, a technique for introducing air into the kiln or the space inside the kiln is known from patent publications such as Japanese Patent Laid-Open Nos. 2000-119661, 2001-181646, and 9-59642.

그러나, 상술한 일반적인 기술에서는, 숯이 저온(300 내지 550℃)에서 탄화에 의해 제조된다. 이 숯은 높은 전기저항값(절연체로부터 수 ㏁까지)을 가지며 또한 연료 등의 생활용 숯으로서 만족할만하다. 하지만, 이 숯은 포름알데히드, 벤젠, 톨루엔, 자일렌(xylene), 에틸 벤젠, 및 클로로벤젠 등의 유해가스를 충분히 흡착하지 못하며, 따라서 산업용 숯, 특히 기능성 숯을 제조하기에는 미흡하다. 더욱이, 상기 공개특허공보들에 개시되어 있는 기술에서는, 가마 내 공간 내부의 온도를 높이기 위하여 일부러 공기를 가마 내부 공간으로 유입시킨다. 그러나, 이 모든 기술들에서, 공기는 가마 내부 공간의 하부 내로 유입되고 충분히 확산되지 아니하므로 가마 내부 공간의 상부에 도달하지 않는다. 따라서, 가마 내부 공간 전체를 고온으로 만들 수 없고, 숯용 원재료가 고온에서 처리될 수 없었다.However, in the general technique described above, charcoal is produced by carbonization at low temperature (300 to 550 ° C). This charcoal has a high electric resistance value (from insulator to several kPa) and is satisfactory as a living charcoal such as fuel. However, this charcoal does not sufficiently adsorb harmful gases such as formaldehyde, benzene, toluene, xylene, ethyl benzene, and chlorobenzene, and thus is insufficient to produce industrial charcoal, especially functional charcoal. Furthermore, in the technique disclosed in the above-mentioned patent publications, air is deliberately introduced into the kiln interior space in order to increase the temperature inside the kiln space. However, in all these techniques, air does not reach the top of the kiln interior space since air enters the bottom of the kiln interior space and does not diffuse sufficiently. Therefore, the whole interior space of a kiln cannot be made high, and the raw material for charcoal could not be processed at high temperatur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숯 제조장치의 일실시예의 측면단면도이다.1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n embodiment of a charcoal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숯 제조장치에 사용되는 개폐문의 정면도이다.3 is a front view of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used in the charcoal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숯 제조장치에 사용되는 받침쇠의 정면도이다.Figure 4 is a front view of the support used in the charcoal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숯 제조장치에 사용되는 송풍관의 사시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of a blower pipe used in a charcoal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숯 제조방법 중 탄화공정에서 가마 내부 공간의 온도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6 is a graph showing the temperature change of the inner space of the kiln in the carbonization process of the method for producing charco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숯 제조방법과 고품질, 고온 탄화 숯을 제조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목적은, 800℃ 이상의 고온에서 탄화되었고 전기전도율이 체적 저항률로 나타낼 때 최대 10 Ω·㎝ 인 숯(이하 대체로 "고온 숯"으로 칭함)을 제조하기에 적합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for producing charcoal and high quality, high temperature charcoal. In particular,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suitable for producing charcoal (hereinafter generally referred to as " hot charcoal ") which is carbonized at a high temperature of 800 ° C. or higher and whose electrical conductivity is expressed in volume resistivity up to 10 Pa · cm. It is.

본 발명의 제1 형태에 따르면, 가마 내에 배치된 숯의 원재료에 점화하여 숯의 원재료를 열분해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숯 제조방법으로서, 공기를 상기 가마 내로 압송하여 가마 내부의 온도를 800℃ 이상으로 유지하는 고온 정련(refining)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 제조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producing a charcoal comprising igniting raw materials of charcoal disposed in a kiln and pyrolyzing the raw materials of charcoal, wherein the air is pumped into the kiln to maintain the temperature inside the kiln at 800 ° C or higher. Provided is a method for producing charcoal comprising a high temperature refining process.

가마 내부의 공간 내로 공기를 압송으로써 숯의 원재료를 활성화할 수 있고, 따라서 고온 정련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공기 중에 수증기가 함유된 때에는, 수증기에 의해 얻어지는 활성화 효과를 동시에 기대할 수 있다. 고온 정련 공정에서는, 가마 내부의 온도를 3시간 이상에 걸쳐 800℃ 이상으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By feeding air into the space inside the kiln, the raw material of charcoal can be activated, and thus, high temperature refining can be effectively performed. In this case, when steam is contained in air, the activation effect obtained by water vapor can be expected simultaneously. In a high temperature refining process, it is preferable to maintain the temperature inside a kiln at 800 degreeC or more over 3 hours or more.

본 발명의 제2 형태에 따르면, 숯의 원재료를 배치하는 가마 내부 공간; 가마 내부 공간의 전방 단부에 각각 구비된 화구와 통기공; 가마 내부 공간의 후방 단부에 구비된 배연구; 및 가마 내부 공간으로 공기를 압송하는 공기압송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숯 제조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kiln internal space for arranging raw materials of charcoal; A crater and a ventilation hole respectively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inner space of the kiln; Embryo study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inner space of the kiln; And it is provided with a charcoal production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air pressure means for feeding air to the inner space of the kiln.

공기압송수단은, 가마 내부 공간에서 바닥 내부 또는 바닥 상부면을 통과하여 배연구 부근까지 연장되며 또한 가마 내부 공간 내에 공기배출구를 가지는 송풍관으로 이루어진다. 공기배출구는 가마 내부 공간 상부에 위치되고 가마 내부 공간의 전방 단부를 향하여 설치되며, 이로써 송풍관으로부터 압송되는 공기가 가마의 내부 전체로 확산될 수 있고 가마 내부의 온도는 용이하게 균등하게 유지될 수 있다.The air conveying means is composed of a blower tube extending from the inner space of the kiln through the bottom or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to the vicinity of the exhaust gas and having an air outlet in the inner space of the kiln. The air outlet is located above the kiln interior space and is installed toward the front end of the kiln interior space, whereby the air pushed from the blower can be diffused throughout the inside of the kiln and the temperature inside the kiln can be easily maintained evenly. .

가마 내부 공간은, 화구로부터 가마 내부 공간의 중앙을 향하여 폭이 점차 증가하는 확대부; 가마 내부 공간의 대략 중앙 부분을 형성하는 최대폭부; 최대폭부로부터 배연구를 향하여 폭이 점차 감소하는 축소부로 이루어진다. 가마 내부 공간의 바닥은 전방 단부로부터 가마 내부 공간의 후방 단부를 향하여 아래쪽으로 경사지도록 되어 있다.The inner space of the kiln includes: an enlarged portion of which the width gradually increases from the crater toward the center of the inner space of the kiln; A maximum width forming an approximately central portion of the kiln interior space; It consists of a narrowing portion whose width gradually decreases from the maximum width toward the embryo study. The bottom of the kiln interior space is inclined downward from the front end toward the rear end of the kiln interior space.

본 발명에 따른 숯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Embodiments of a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charco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숯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본 실시예의 숯 제조장치는 연소로(燃燒爐)(1)를 구비한다. 연소로(1)는 숯의 제조를 위한 원재료(37)를 배치하는 가마 내부 공간(2)을 가진다. 이 연소로(1)는 예를 들어 콘크리트로 형성되며 연소로(1)의 내부에는 내화벽돌이 내장된다. 숯의 원재료(37)로는 간벌재(間伐材), 폐목재 등의 목재 또는 대나무를 사용한다.1 and 2 show an embodiment for implementing the charcoal manufacturing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harcoal production apparatus of this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bustion furnace (1). The combustion furnace 1 has a kiln inner space 2 in which raw materials 37 for the production of charcoal are arranged. This combustion furnace 1 is formed of concrete, for example, and a refractory brick is embedded in the combustion furnace 1. As a raw material 37 of charcoal, timber or bamboo such as thinning timber and waste wood is used.

연소로(1)는, 가마 내부 공간(2)의 전방 단부에 각각 구비된 화구(3) 및 통기공(4)과, 가마 내부 공간(2)의 후방 단부에 구비된 배연구(5)를 포함한다. 화구(3) 및 통기공(4)은 도 3에 도시된 개폐문(6)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이 개폐문(6)은, 예를 들어 연소로(1)상에 힌지(7)에 의해 설치된다. 이 개폐문(6)은 수동으로 또는 원격조작방식으로 개폐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The combustion furnace 1 includes a crater 3 and a vent hole 4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inner space 2 of the kiln, and an exhaust vessel 5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inner space 2 of the kiln. Include. The crater 3 and the vent 4 may be opened and closed by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6 shown in FIG. This opening / closing door 6 is provided by the hinge 7 on the combustion furnace 1, for example.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6 can be configured to be opened or closed manually or by remote operation.

통기공(4)과 통할 수 있는 개구(6a)가 개폐문(6)의 하부에 구비되며, 이 개구(6a)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뚜껑(8)이 구비된다. 이 개폐뚜껑(8)은 개폐문(6)에 고정된 프레임(9)상에 수직방향으로 미끄러져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이 개폐뚜껑(8)은 개폐문(6)이 닫힌 상태에서 통기공(4)만이 개폐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구비된다.An opening 6a that can communicate with the vent hole 4 is provided in the lower part of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6, and an opening and closing lid 8 for opening and closing the opening 6a is provided. The opening and closing lid 8 is installed to slide in a vertical direction on the frame 9 fixed to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6. The opening and closing lid 8 is provided so that only the ventilation hole 4 can be opened and closed in the state in which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6 is closed.

배연구(5)는 연소로(1)의 후방 단부의 하부로부터 돌출된 굴뚝 형상이며, 배연구(5)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문(12)이 연소로(1)와의 연결부에 배치된다.The exhaust vessel 5 has a chimney shape protruding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rear end of the combustion furnace 1, and an opening and closing door 12 for opening and closing the vessel research 5 is disposed at the connection portion with the combustion furnace 1.

숯의 원재료(37)가 가마 내부 공간(2)의 중앙부에 놓여지고, 장작(38,39)이 숯의 원재료(37)의 상부 및 전방부에 배치된다. 숯의 원재료(37)는 장작(38,39)에 의해 착화된 후 탄화되고, 이 경우 공기가 통기공(4)을 통하여 가마 내부 공간(2) 내로 유입된다. 탄화시에 발생하는 연기는 배연구(5)로부터 배출된다. 이에 관해서는 보다 상세히 후술한다.The raw material 37 of char is placed in the center of the kiln interior space 2, and the firewood 38,39 is arrange | positioned in the upper part and front part of the raw material 37 of char. The raw material 37 of char is carbonized after being ignited by firewood 38 and 39, in which case air is introduced into the kiln inner space 2 through the vent hole 4. Smoke generated during carbonization is discharged from the ship study (5).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in more detail.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서, 가마 내부 공간(2)은, 화구(3)로부터 가마 내부 공간(2)의 중앙을 향하여 폭이 점차 증가하는 확대부(20); 확대부(20)에 연결되고 가마 내부 공간(2)의 대략 중앙 부분에 구비된 최대폭부(21); 및 최대폭부(21)로부터 연장되며 배연구(5)를 향하여 폭이 점차 감소하는 축소부(22)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가마 내부 공간(2)에 배치된 숯의 원재료(37)가 탄화될 때, 통기공(4)을 통하여 가마 내부 공간(2) 내로 공급되는 공기가 가마 내부 공간(2) 내로 용이하게 유입되고 또한 가마 내부 공간(2) 내에서 균등하게 확산되며, 또한 그 후 연소가스가 배연구(5)를 향하여 원활하게 이송된다. 더욱이, 가마 내부 공간(2)의 바닥(2a)은 화구(3)로부터 배연구(5)를 향하여 아래쪽으로 경사지도록 되어 있다(도 1 참조). 경사각도는 약 5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바닥(2a)이 배연구(5)를 향하여 아래쪽으로 경사질 경우, 바닥(2a) 위에서 이동하는 열기는 배연구(5)를 향하여 원활하게 흐르게 될 것이다.As shown in FIG. 2, in the apparatus 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kiln interior space 2 comprises: an enlarged portion 20 gradually increasing in width from the crater 3 toward the center of the kiln interior space 2; A maximum width portion 21 connected to the enlarged portion 20 and provided at an approximately center portion of the inner space 2 of the kiln; And a reduction portion 22 extending from the maximum width portion 21 and gradually decreasing in width toward the embryo study 5. According to this structure, as will be described later, when the raw material 37 of charcoal disposed in the kiln interior space 2 is carbonized, the air supplied into the kiln interior space 2 through the vent hole 4 is inside the kiln. It is easily introduced into the space 2 and is evenly diffused in the kiln internal space 2, and thereafter, the combustion gas is smoothly transported toward the exhaust vessel 5. Furthermore, the bottom 2a of the kiln internal space 2 is inclined downward from the crater 3 toward the embryo 5 (see FIG. 1). The inclination angle is preferably about 5 degrees. If the bottom 2a is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embryo 5, the heat moving above the bottom 2a will flow smoothly towards the embryo 5.

본 발명에 따른 숯 제조장치는 숯의 원재료(37)의 고온 정련을 위한 공기압송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Charcoal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air pressure means for high temperature refining of the raw material 37 of charcoal.

도 1,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압송수단은, 연소로(1)의 전방 단부로부터 후방 단부까지의 콘크리트 바닥 벽체(1a) 내에 매설된 송풍관(100)을 포함한다. 이 송풍관(100)은, 콘크리트 바닥 벽체(1a)의 전방 단부로부터 외부를 향하여 돌출된 공기유입구(101)와, 콘크리트 바닥 벽체(1a)의 후방 단부로부터 가마 내부 공간(2) 내로 돌출된 공기배출구(102)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1, 2 and 4, the air-compressing means comprises a blower tube 100 embedded in the concrete bottom wall 1a from the front end to the rear end of the combustion furnace 1. The blower tube 100 has an air inlet 101 which protrudes outward from the front end of the concrete floor wall 1a and an air outlet that protrudes into the kiln inner space 2 from the rear end of the concrete floor wall 1a. 102.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유입구(101)를 갖는 인입관(103)이 연결장치(104)를 통하여 착탈가능하게 연결된다. 공기유입구(101)는 송풍관(100) 내로 공기를 압송하기 위한 송풍기(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된다.As shown in FIG. 2, the inlet pipe 103 having the air inlet 101 is detachably connected through the connecting device 104. The air inlet 101 is connected to a blower (not shown) for pumping air into the blower tube 100.

송풍관(100)에 대해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풍관(100)은, 공기유입구(101) 부근에서부터 두 갈래로 나눠지는 형태로 연장되는 제1 및 제2 수평부(105,106)와, 제1 및 제2 수평부(105,106)의 후방부로부터, 즉 배연구(5) 부근 부분으로부터 위쪽으로 각기 연장되는 기립부(107,108)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수평부(105,106)는 콘크리트 바닥 벽체(1a) 내에 매설되며, 기립부(107,108)는 콘크리트 바닥 벽체(1a)로부터 가마 내부 공간(2)으로 노출된다. 더욱이, 가마 내부 공간(2)의 전방 단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굴곡부(109,110)가 기립부(107,108)의 단부에 각각 구비된다. 공기배출구(102)가 굴곡부(109,110)의 개방 단부에 구비된다. 따라서, 공기는 공기배출구(102)로부터 가마 내부 공간(2)의 전방을 향하여 방출된다. 공기배출구(102)가 가마 내부 공간(2)의 상부에 위치되어, 방출된 공기가 가마 내부 공간의 상부를 따라 이동하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1 참조).The blower tube 1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s shown in Figures 2 and 4, the blower tube 100, the first and second horizontal portions 105, 106 extending in a two-pronged form from the vicinity of the air inlet 101, and the first and second A standing portion 107, 108 extending upward from the rear portion of the horizontal portion 105, 106, ie from the portion near the ventral 5, respectively. The first and second horizontal portions 105, 106 are embedded in the concrete floor wall 1a, and the standing portions 107, 108 are exposed from the concrete floor wall 1a to the kiln interior space 2. Moreover, bends 109 and 110 extending toward the front end of the kiln inner space 2 are provided at the ends of the standing portions 107 and 108, respectively. Air outlet 102 is provided at the open end of the bent portion (109, 110). Therefore, the air is discharged from the air outlet 102 toward the front of the kiln inner space 2. It is preferable that the air outlet 102 is located above the kiln interior space 2 so that the discharged air moves along the top of the kiln interior space (see FIG. 1).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수평부(105,106)는, 가마 내부 공간(2)의 확대부(20)에 상응하여 연장되는 제1 부분(111)과, 가마 내부 공간(2)의 최대폭부(21)에 상응하여 연장되는 제2 부분(112), 그리고 가마 내부 공간(2)의 축소부(22)에 상응하여 연장되는 제3 부분(113)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송풍관(100)을 가마 내부 공간(2)에 배치할 때 가마 내부 공간(2)의 형상과 일치하도록 배치할 수 있으며, 숯의 원재료가 놓여지는 공간을 가능한 한 크게 만들 수 있다. 기립부(107,108)는 후술하는 받침쇠(32)를 관통하도록 배치된다.As shown in FIGS. 2 and 4, the first and second horizontal portions 105 and 106 may include a first portion 111 extending corresponding to the enlarged portion 20 of the inner space 2 of the kiln and the inside of the kiln. The second portion 112 extends corresponding to the maximum width 21 of the space 2, and the third portion 113 extends corresponding to the reduced portion 22 of the inner space 2 of the kiln. According to such a structure, when the blower tube 100 is arrange | positioned in the kiln internal space 2, it can arrange | position so that it may match the shape of the kiln internal space 2, and can make the space where the raw material of a char is placed as large as possible. . The standing portions 107 and 108 are arranged to penetrate the support 32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송풍기(도시되지 않음)로부터 공기유입구(101) 내로 압송되는 공기는 좌우 수평부(105,106)로 분기되고, 그 후 좌우 공기배출구(102)로부터 방출되며, 숯의 원재료(37)의 위쪽을 통과하여 가마 내부 공간(2)의 전방 단부를 향하여 이동되고, 가마 내부 공간(2)의 전방 단부로부터 아래로 돌아 나와서, 후방 단부로 흐른다. 따라서, 후방 단부의 공기배출구(102)로부터 가마 내부 공간(2) 내로 공기가 적극적으로 방출될 경우, 가마 내부 공간(2)의 온도가 상승하여 숯의 원재료(37)를 활성화하고, 이로써 숯의 원재료(37)의 고온 정련이 가능해진다.Air that is pumped from the blower (not shown) into the air inlet 101 is branched to the left and right horizontal portions 105 and 106, and then is discharged from the left and right air outlets 102, and passes through the top of the raw material 37 of charcoal It is moved toward the front end of the kiln internal space 2 and comes back from the front end of the kiln internal space 2 and flows to the rear end. Therefore, when air is actively discharged from the air outlet 102 at the rear end into the kiln interior space 2, the temperature of the kiln interior space 2 rises to activate the raw material 37 of charcoal, thereby High temperature refining of the raw material 37 becomes possible.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통로로서 소정의 틈새들(40)을 연소로(1)의 바닥(2a) 위쪽에 구비함으로써 받침쇠(32)가 설치된다. 받침쇠(32)는 연소로(1)의 화구(3)로부터 배연구(5) 부근까지 연장된다.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쇠(32)는 다수의 막대모양 가로부재(34)와 가로부재들(34)에 결합된 다수의 막대모양 세로부재(35)를 이용하여 격자 형태로 구비된다. 더욱이, 소정의 틈새들(40)을 구비하기 위하여, 받침쇠(32)가 수용부재(36)를 통하여 가마 내부 공간(2)의 바닥(2a) 위에 설치된다(도 1 및 도 2 참조). 이 받침쇠(32)는 가마 내부 공간(2)의 바닥(2a) 위에 공기 통로를 제공한다. 통기공(4)을 통해 공급된 공기와 송풍관(100)의 공기배출구(102)로부터 방출되어 가마 내부 공간(2)의 전방 단부를 돌아 나온 공기는 공기 통로를 통과하여 가마 내부 공간(2)의 후방 단부로부터 배연구(5)로 배출된다. 석탄 동강 등의 연료용 석탄(33)이 받침쇠(32)의 상부면에 균등하게 배치된다. 이 연료용 석탄(33)은 숯의 원재료(37)의 탄화 정련시에 복사열을 방출하여 가마 내부 온도의 균질화에 기여한다. 숯의 원재료(37)는 연료용 석탄(33) 위에 통상적인 형태로, 예를 들어 세워진 상태로, 배열된다.As shown in FIG. 1, the support 32 is provided by providing predetermined clearances 40 as the air passages above the bottom 2a of the combustion furnace 1. The support 32 extends from the crater 3 of the combustion furnace 1 to the vicinity of the ventilator 5. As shown in Figures 2 and 5, the support 32 is in the form of a grid using a plurality of rod-shaped horizontal member 34 and a plurality of rod-shaped vertical member 35 coupled to the horizontal member 34 It is provided with. Furthermore, in order to have the predetermined clearances 40, a support 32 is provided on the bottom 2a of the kiln inner space 2 via the receiving member 36 (see FIGS. 1 and 2). This support 32 provides an air passage over the bottom 2a of the kiln interior space 2. The air supplied through the vent hole 4 and the air discharged from the air outlet 102 of the blower tube 100 and exiting the front end of the kiln internal space 2 pass through the air passages to Exhausted from the rear end to the embryo study (5). Coal 33 for fuel, such as a coal copper steel, is equally arrange | positioned at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32. As shown in FIG. The fuel coal 33 emits radiant heat during carbonization and refining of the raw material 37 of charcoal, contributing to homogenization of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kiln. The raw material 37 of charcoal is arranged on a fuel coal 33 in a conventional form, for example in an upright position.

도 2에서, 도면부호 200, 201, 202 및 203은 각각 가마 내부 공간(2)의 적절한 위치에 배치된 온도계를 지시한다. 온도계(200)는 중앙 부분의 상단에 구비된 고온 영역 측정용 온도계이고, 온도계(201)는 중앙 부분의 중간단에 구비된 중간온도 영역 측정용 온도계이며, 온도계(202)는 중앙 부분의 하단에 구비된 저온 영역 측정용 온도계이다. 온도계(203)는 배연구(5) 부근에 구비된 저온 영역 측정용 온도계이다. 이 온도계들은 제어기(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된다. 제어기는 이 온도계들로 측정한 가마 내부 공간(2)의 온도, 및 이 온도에 기인하는 탄화공정의 상태에 근거하여, 공기의 공급량을 조절하거나, 화구(3), 통기공(4) 및 배연구(5)를 개폐한다.In Fig. 2, reference numerals 200, 201, 202 and 203 designate a thermometer disposed at an appropriate position in the kiln inner space 2, respectively. The thermometer 200 is a high temperature range measurement thermometer provided at the top of the center portion, the thermometer 201 is a medium temperature range measurement thermometer provided at the middle end of the center portion, the thermometer 202 is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center portion It is equipped with a low temperature range thermometer. The thermometer 203 is a thermometer for measuring the low temperature region provided in the vicinity of the embryo research 5. These thermometers are connected to a controller (not shown). The controller adjusts the air supply amount, or controls the fireball (3), the vent (4) and the exhaust, based on the temperature of the kiln internal space (2) measured by these thermometers, and the state of the carbonization process resulting from this temperature. Open and close study (5).

다음으로, 상술한 구조를 갖는 숯 제조장치를 이용하는 숯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한다.Next, the charcoal manufacturing method using the charcoal manufacturing apparatus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will be described.

우선, 목재 또는 대나무 등의 숯 원재료(37)가 받침쇠(32) 위에 연료용 석탄(33)을 통과하여 놓여진다. 이어서, 장작(38)이 숯 원재료(37)의 상부에 놓여지고, 다음으로 장작(39)이 화구(3)에 놓여진다. 화구(3)에 놓여진 장작(39)이 점화된다. 불은 숯 원재료(37)의 상부에 위치된 장작(38)으로 점차 이동하여 숯 원재료(37)의 건조공정을 개시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공정은 100℃ 부근의 온도(온도계(201)로 측정된 값)에서 약 24 내지 48시간 동안 지속된다. 숯 원재료(37)의 건조가 진행되고 가마 내부의 온도가 점차 상승함에 따라, 건조공정에서 탄화공정으로 전이되어 숯 원재료(37)의 열분해가 개시된다. 탄화공정으로 전이되면, 화구(3)는 닫힌다. 통기공(4)이 열린 상태로, 받침쇠(32) 하측의 틈새들(40)로 외부 공기가 유입된다. 탄화공정은 300 내지 400℃ 범위(온도계(201)로 측정된 값)의 가마 내부 온도에서 약 36 내지 48시간 동안 지속된다. 탄화가 종료단계에 접어들면, 가마 내부 온도는 400 내지 550℃(온도계(201)로 측정된 값)까지 증가하고 푸른빛을 띤 연기가 배연구(5)로부터 배출되어, 공정이 정련 공정으로 진행됨을 나타낸다. 정련 공정으로의 전이가 확인된 후, 송풍기(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송풍관(100) 내로 공기가 압송된다. 이 압송 공기는 송풍관(100)의 공기배출구(102)로부터 가마 내부 공간(2)의 후방 단부 내로 방출되어 가마 내부 공간(2)의 상부를 따라 전방 단부를 향하여 힘차게 흘러간다. 압송 공기는 가마 내부 공간(2)의 전방 단부로부터 아래쪽을 향하여 돌아 나와, 받침쇠(32)의 하측에 있는 틈새들(40)을 통과한 후, 다시 후방 단부쪽을 향하여 흐르며, 최종적으로 배연구(5)를 통하여 배출된다.First, a charcoal raw material 37 such as wood or bamboo is placed through the fuel coal 33 on the support 32. Then, firewood 38 is placed on top of the charcoal raw material 37, and firewood 39 is then placed on the crater 3. Firewood 39 placed in the fireball 3 is ignited. The fire gradually moves to the firewood 38 located above the charcoal raw material 37 to start the drying process of the charcoal raw material 37. As shown in FIG. 6, the drying process lasts for about 24 to 48 hours at a temperature near 100 ° C. (value measured with thermometer 201). As the drying of the charcoal raw material 37 proceeds and the temperature inside the kiln gradually rises, the transition from the drying process to the carbonization process is initiated to thermally decompose the charcoal raw material 37. Upon transition to the carbonization process, the crater 3 is closed. With the vent hole 4 open, outside air flows into the gaps 40 below the support 32. The carbonization process lasts for about 36 to 48 hours at the kiln internal temperature in the range of 300 to 400 ° C. (value measured with thermometer 201). As the carbonization enters the end stage,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kiln increases from 400 to 550 ° C (value measured by the thermometer 201) and the bluish smoke is discharged from the ship study (5), and the process proceeds to the refining process. Indicates. After the transition to the refining process is confirmed, air is pumped from the blower (not shown) into the blower tube 100. This pressurized air is discharged from the air outlet 102 of the blower tube 100 into the rear end of the kiln internal space 2 and flows vigorously toward the front end along the upper part of the kiln internal space 2. The pressurized air returns downward from the front end of the kiln internal space 2, passes through the gaps 40 in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32, and then flows toward the rear end again. It is discharged through (5).

따라서, 가마 내부 공간(2) 내부의 온도는, 공기를 가마 내부 공간(2) 내로 압송하여 산소량을 증가시킴으로써 상승된다. 더욱이, 연소된 석탄(33)에서 얻어지는 복사열 또한, 받침쇠(40)의 하측에 역시 공기의 흐름을 생성하여 가마 내부 온도를 균질화함으로써 증가되며, 이로써 숯 원재료(37)의 고온 정련이 달성될 수 있다. 특히, 공기를 압송하여 가마 내부 온도를 900 내지 1100℃(온도계(201)로 측정된 값)로 유지하고 이어서 이 온도범위에서 3시간 이상에 걸쳐 정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800℃ 이상의 가마 내부 온도에서 고온 정련하는 것이 가능하다. 가마 내부 온도가 지나치게 높을 때에는, 숯의 품질에 악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온도가 1200℃ 이상으로 되지 않도록 주의할 필요가 있다. 압송공기 송풍량은 가마 내부의 체적에 의해 정해진다. 예를 들어, 가마 내부 체적이 16㎥일 때, 압송공기 송풍량은 약 10 내지 20 ㎥/min 인 것이 바람직하다. 공기 공급시에, 공기가 수증기와의 혼합물로 압송되는 경우, 가마 내부 공간(2)은 더욱 활성화될 수 있다. 이 경우의 수증기의 양은 가마 내부 체적이 16㎥일 때 약 0.5 내지 2.0 ℓ/min 이 바람직하다.Therefore, the temperature inside the kiln internal space 2 is raised by forcing air into the kiln internal space 2 and increasing the amount of oxygen. Moreover, the radiant heat obtained from the burnt coal 33 is also increased by generating a flow of air under the support 40 and homogenizing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kiln, whereby high temperature refining of the charcoal raw material 37 can be achieved. have. In particular, it is preferable to pressurize the air to maintain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kiln at 900 to 1100 ° C. (the value measured by the thermometer 201), and then to refine the product in this temperature range for three hours or longer. It is possible to perform high temperature refining at the kiln internal temperature of 800 degreeC or more. If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kiln is too high, there is a fear that it adversely affects the quality of the charcoal.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so that temperature does not become 1200 degreeC or more. The compressed air blowing amount is determined by the volume inside the kiln. For example, when the inside volume of the kiln is 16 m 3, the air blowing amount of the compressed air is preferably about 10 to 20 m 3 / min. At the time of air supply, if air is forced into the mixture with water vapor, the kiln inner space 2 can be further activated. The amount of water vapor in this case is preferably about 0.5 to 2.0 L / min when the internal volume of the kiln is 16 m 3.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련 공정 완료시, 공기의 압송이 정지되고, 동시에 통기공(4) 및 배연구(5)가 즉시 완전밀봉된다. 연소로(1)는 이 상태로 수일간 유지되어 연소로(1) 내부가 냉각된다. 그 후 연소로(1)가 열리고, 숯이 가마 내부 공간(2) 밖으로 꺼내어진다. 도 6의 점선에 의해 지시되는 바와 같이, 숯 제조방법에서 정련 공정은 일반적으로 약 400 내지 550℃의 가마 내부 온도에서 5 내지 10 시간 동안 수행된다.As shown in Fig. 6, upon completion of the refining process, the air feeding is stopped, and at the same time the vent hole 4 and the exhaust study 5 are completely sealed. The combustion furnace 1 is maintained in this state for several days, and the inside of the combustion furnace 1 is cooled. After that, the combustion furnace 1 is opened and the char is taken out of the kiln internal space 2. As indicated by the dashed line in FIG. 6, the refining process in the method for producing charcoal is generally performed for 5 to 10 hours at a kiln internal temperature of about 400 to 550 ° C.

연소로(1)에서 꺼낸 숯은 고온 숯이다. 고온 숯은 포름알데히드, 벤젠, 톨루엔, 자일렌, 에틸 벤젠, 클로로벤젠 등을 흡수하는 고수준의 능력이 있다. 따라서, 이 고온 숯이 암모니아, 아민 등을 흡수하는 고수준의 능력이 있는 저온 숯과 혼합된다면, 고온 숯의 흡수 특성과 저온 숯의 흡수 특성이 둘 다 활용될 수 있고, 결론적으로, 매우 다양한 유해가스들이 흡수될 수 있다.The char taken out from the combustion furnace 1 is high temperature char. Hot charcoal has a high level of ability to absorb formaldehyde, benzene, toluene, xylene, ethyl benzene, chlorobenzene and the like. Therefore, if this high temperature char is mixed with low temperature char having a high level of ability to absorb ammonia, amines, etc., both the absorption characteristics of the high temperature char and the absorption characteristics of the low temperature char can be utilized. Can be absorbed.

상기 실시예에서는, 콘크리트 바닥 벽체(1a) 내에 송풍관(100)을 매설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에서는, 받침쇠(32) 아래쪽에 공기 통로로 형성된 틈새들(40)이 활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및 제2 수평부(105,106)에 다수의 공기방출공을 구비함으로써 가마 내부 공간(2)의 하측으로부터 위쪽으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In the above embodiment, the case in which the blower tube 100 is embedded in the concrete floor wall 1a has been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gaps 40 formed by the air passages under the support 32 may be utilized. . In this case, by providing a plurality of air discharge holes in the first and second horizontal parts 105 and 106, air can be supplied upward from the bottom of the kiln internal space 2.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숯 제조방법에 따르면, 탄화공정의 후반부에서, 공기가 가마 내부 공간 내로 압송되어 가마 내부 공기를 800℃ 이상의 온도로 유지한다. 이는 숯의 원재료의 고온 정련을 가능하게 하며 단순한 방식으로 고온 숯을 제조할 수 있게 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method of producing charcoal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latter part of the carbonization process, air is compressed into the kiln inner space to maintain the kiln air at a temperature of 800 ° C or higher. This enables high temperature refining of the raw material of the char and makes it possible to produce hot char in a simple manner.

더욱이, 본 발명의 숯 제조장치는 가마 내부 공간 내로 압송된 공기가 가마 내부에서 수직으로 순환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가마 내부 공간의 상부와 하부 사이의 온도차가 감소되고, 정련 처리가 항상 고온에서 균일하게 이루어져 안정된 품질의 고온 숯을 제조할 수 있다.Moreover, the charcoal manufactur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air compressed into the kiln interior space is circulated vertically in the kiln. Therefore,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upper part and the lower part of the inner space of the kiln is reduced, and the refining treatment is always uniform at a high temperature, thereby producing hot charcoal of stable quality.

Claims (8)

가마 내에 배치된 숯의 원재료에 점화하여 숯의 원재료를 열분해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숯 제조방법으로서,A method of producing charcoal comprising pyrolyzing raw materials of charcoal by igniting raw materials of charcoal disposed in the kiln, 공기를 상기 가마 내로 압송하여 가마 내부의 온도를 800℃ 이상으로 유지하는 고온 정련(refining) 공정을 적어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 제조방법.Charcoal produc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t least a high temperature refining process for pumping air into the kiln to maintain the temperature inside the kiln at 800 ℃ or mo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송되는 공기 중에 수증기가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 제조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mpressed air contains water vap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온 정련 공정은 가마 내부 온도를 800℃ 이상으로 끌어올리고 이 상태를 3시간 이상 유지함으로써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 제조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high temperature refining process is performed by raising the temperature inside the kiln to 800 ° C or higher and maintaining the state for 3 hours or more. 숯의 원재료를 배치하는 가마 내부 공간;Inner space of kiln for placing raw materials of charcoal; 상기 가마 내부 공간의 전방 단부에 각각 구비된 화구와 통기공;Craters and vents respectively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inner space of the kiln; 상기 가마 내부 공간의 후방 단부에 구비된 배연구; 및A vessel study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inner space of the kiln; And 상기 가마 내부 공간으로 공기를 압송하는 공기압송수단을 적어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숯 제조장치.Charcoal production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t least an air conveying means for conveying air into the kiln inner spac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압송수단은, 상기 배연구 부근에서 가마 내부 공간의 상부에 설치된 공기배출구를 포함하며, 상기 공기배출구는 가마 내부 공간의 전방 단부를 향하여 설치된 송풍관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 제조장치.5. The air vent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air conveying means comprises an air outlet installed in the upper part of the inner space of the kiln in the vicinity of the exhaust study, wherein the air outlet comprises a blower tube installed toward the front end of the inner space of the kiln. Charcoal making equipmen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마 내부 공간의 바닥은 전방 단부로부터 후방 단부를 향하여 아래쪽으로 경사지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 제조장치.The charcoal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bottom of the inner space of the kiln is inclined downward from the front end to the rear end.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마 내부 공간은,According to claim 4, The inner space of the kiln, 상기 화구로부터 가마 내부 공간의 중앙을 향하여 폭이 점차 증가하는 확대부;An enlarged portion of which the width gradually increases from the crater toward the center of the inner space of the kiln; 상기 가마 내부 공간의 대략 중앙 부분을 형성하는 최대폭부; 및A maximum width forming an approximately central portion of the inner space of the kiln; And 상기 최대폭부로부터 상기 배연구를 향하여 폭이 점차 감소하는 축소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숯 제조장치.Charcoal production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reduced portion that gradually decreases in width toward the vessel research from the maximum width portio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마의 내벽은 내화벽돌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숯 제조장치.The charcoal manufacturing apparatus of claim 4, wherein the inner wall of the kiln is formed of a refractory brick.
KR10-2004-7021512A 2002-07-02 2003-07-02 Charcoal producing method and apparatus KR2005001666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7021512A KR20050016661A (en) 2002-07-02 2003-07-02 Charcoal producing method and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193727 2002-07-02
KR10-2004-7021512A KR20050016661A (en) 2002-07-02 2003-07-02 Charcoal producing method and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6661A true KR20050016661A (en) 2005-02-21

Family

ID=417835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21512A KR20050016661A (en) 2002-07-02 2003-07-02 Charcoal producing method and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16661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42384B2 (en) Pellet barbecue with exhaust gas recirculation
KR101849395B1 (en) Pellet stove
TW201832886A (en) Spontaneous combustion carbonization heat treatment device and spontaneous combustion carbonization heat treatment method using the same capable of easily performing carbonization treatment to even a carbonization material with relatively small size such as rice husk and shortening the time required for carbonization treatment
KR20050016661A (en) Charcoal producing method and apparatus
US4506653A (en) Combustion method and apparatus
JP7231528B2 (en) Batch type carbonization equipment
TW593660B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conductive coal
JP200110705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charcoal
KR20140004664U (en) Downward-Type Wood Burning Stove with Long Burning Time and Multi-Purpose Oven
JP3907591B2 (en) Pottery kiln
CN219603521U (en) Novel biomass gas carbon co-production equipment
KR100551129B1 (en) Purple bamboo salt manufacture method and its apparatus
CN203487081U (en) Novel vertical coal carbonizing furnace
JP2000345167A (en) Carbonizing oven
JP3112662U (en) Carbonization equipment
JP2010241973A (en) Carbonization furnace
JP2010070661A (en) Carbonizing apparatus
JPH08109383A (en) Apparatus for producing bamboo charcoal and production thereof
JPH0648718A (en) Apparatus for producing active carbon
JP2022167272A (en) Smoked charcoal producing apparatus
JP2006233060A (en) Charcoal kiln
FI91190C (en) Upper fire boiler and method for improving combustion conditions in the boiler
JP4777688B2 (en) Ceramic kiln, firing method and auxiliary fuel for ceramic industry
RU2120459C1 (en) Pyrolysis unit for producing fuel coals
JP2000044964A (en) Simple charcoal mak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