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16614A - 통신 에러 복원을 위한 레이턴시 감소 - Google Patents

통신 에러 복원을 위한 레이턴시 감소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16614A
KR20050016614A KR10-2004-7020894A KR20047020894A KR20050016614A KR 20050016614 A KR20050016614 A KR 20050016614A KR 20047020894 A KR20047020894 A KR 20047020894A KR 20050016614 A KR20050016614 A KR 200500166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portion
message
time
transmitting
power lev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208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28648B1 (ko
Inventor
파르바트하나샨 서브라흐만야
Original Assignee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500166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66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86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864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09Selective-repeat protocol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5/00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correcting errors; Monitoring arrangements
    • G08C25/02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correcting errors; Monitoring arrangements by signalling back receiving station to transmitting st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78Avoidance of errors by organising the transmitted data in a format specifically designed to deal with errors, e.g. 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607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 H04L1/1671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the supervisory signal being transmitted together with control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tection And Prevention Of Errors In Transmiss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Abstract

통신 에러 복원을 위한 레이턴시를 감소시키는 방법 및 장치는 인입 메시지가 도착하는 것을 인지하는 단계, 및 상기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았을 경우에 재전송을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메시지는 적어도 두 메시지 부분으로 전송되는데, 상기 두 메시지 부분은 제 1 전력 레벨로 전송되는 제 1 메시지 부분과, 상기 제 1 메시지 부분과 연관되면서 더 낮은 제 2 전력 레벨로 전송되는 제 2 메시지 부분을 포함한다. 제 1 전력 레벨은 제 1 메시지 부분이 성공적으로 수신될 미리 결정된 확률을 제공하도록 선택된다. 대안적으로, 상기 제 1 및 제 2 메시지 부분은 상기 제 1 메시지 부분이 상기 제 2 메시지 부분보다 더 큰 비트당 에너지를 갖도록 전송된다. 제 1 시간에, 제 1 메시지 부분이 수신된다. 제 2 시간(상기 제 1 시간과 알려진 관계를 가짐)에, 제 2 메시지 부분이 신뢰적으로 획득되지 않는 신호가 수신된다. 수신 장치는 제 2 메시지 부분이 적절하게 수신되지 않았다는 것을 인지하며, 적어도 제 2 메시지 부분의 재전송을 요청한다.

Description

통신 에러 복원을 위한 레이턴시 감소{REDUCED LATENCY FOR RECOVERY FROM COMMUNICATIONS ERRORS}
본 출원은 2002년 6월 25일에 선출원된 미국 가특허출원 제 60/391,985호의 우선권을 청구한다.
본 발명은 통신 분야에 관한 것이다. 더 상세히는, 본 발명은 통신에서 에러 복원을 위해 레이턴시를 감소시키는 것에 관한 것이다.
임의의 통신 시스템에서는, 정보가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전송될 때, 통신 처리 동안에 에러들이 발생될 수 있다. 그 결과, 통신 시스템들은 통상적으로 그러한 에러들을 정정하거나 그렇지 않으면 그러한 에러들로부터 복원하는 능력을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장치를 갖도록 설계된다. 이러한 에러 복원 기술은 더 큰 레벨의 데이터 완전성을 제공한다.
통신 시스템들에서 이용되는 에러 제어 및 복원을 위한 일반적인 두 가지 방법이 있는데, 이는 순방향 에러 정정(FEC : Forward Error Correction) 및 자동 반복 요청(ARQ : Automatic Repeat Request)이다. FEC 방법에서는, 에러 정정 비트들이 관련 데이터와 함께 전송된다. 이러한 에러 정정 비트들은 수신 유닛으로 하여금 전송 처리 동안에 발생된 특정 수의 에러를 정정하여 본래의 데이터를 재구성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FEC와 연관된 오버헤드로 인해서, 이러한 방법은 통상적으로 재전송이 불가능하거나 비실용적인 통신 시스템 시나리오들로 제한된다. ARQ 에러 복원 방법들은 일반적으로 수신 데이터에서 에러를 검출하고 검출될 경우 그 데이터를 재전송하도록 요청하는 것을 필요로 한다. FEC 및 ARQ 방법들은 ARQ(즉, 에러들을 가지고 수신되는 데이터의 재전송)가 FEC 방법들에 의해서 정정될 수 없는 에러들을 복구하는데 사용되는 경우에 결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ARQ와 같은 에러 제어 방법들을 이해하기 쉽도록 하기 위해서, 그것은 국제 표준 기관(ISO : International Standards Organization)에 의해서 공표되어져서 잘 알려져 있는 OSI(Open Systems Interconnect) 모델로 지칭되는 것이 편리하다. 상기 OSI 모델은 7개의 레이어들을 포함하는데, 상기 7개의 레이어들은 물리 레이어, 데이터 링크 레이어, 네트워크 레이어, 전송 레이어, 세션 레이어, 프리젠테이션 레이어, 및 애플리케이션 레이어로 지칭된다. OSI의 7 레이어 모델은 순응적인 시스템들이 서로 호환적이도록 표준들을 정의한다. OSI 모델에서 물리 레이어는 물리적인 상호접속을 위해 필요한 표준들을 정의하는 한편, 데이터 링크 레이어는 물리 레이어를 통해 데이터 프레임들을 교환하기 위한 프로토콜들을 정의하고, 네트워크 레이어는 그들의 예정된 수신측들에 정보 피스(pieces of information)를 루팅하는 것을 처리한다. 일반적인 사용에 있어서, OSI 모델의 레이어에 의해서 정해지는 기능을 수행하는 시스템의 이러한 부분들은 그 레이어 이름으로 지칭된다. 이를테면, 데이터 링크 레이어 기능을 수행하는 그 하드웨어나 하드웨어/소프트웨어 결합은 종종 간단하게 데이터 링크 레이어로 지칭된다.
에러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체제로서 개방 시스템 상호접속 모델(Open Systems Interconnect model)을 사용함으로써, ARQ가 상기 OSI 모델의 데이터 링크 레이어에서 수행된다고 말할 수 있다. 데이터 링크 레이어는, 특히, 물리 링크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가 에러가 없도록 보장하는 것을 책임진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함으로서, 데이터 링크 레이어는 네트워크 레이어에 제공되는 데이터가 에러가 없도록 보장한다. 다음의 예는 프레임-발신 유닛 및 프레임-수신 유닛으로 지칭되는데, 그것들 각각은 각각의 물리, 데이터 링크, 네트워크, 및 다른 레이어들을 갖는다. 본 예의 프레임-발신 유닛과 프레임-수신 유닛 모두는 각각 전송 및 수신을 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프레임 발신 유닛의 데이터 링크 레이어에는 그의 네트워크 레이어에 의해서 데이터가 제공되고, 그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프레임으로 구성한다. 프레임-발신 유닛의 데이터 링크 레이어는 또한 통상적으로 전송될 각각의 데이터 프레임에 대해서 순환 중복 검사(CRC) 코드에 따른 비트들과 같은 에러 검출 정보를 생성한다. 이어서, 프레임은 CRC 비트와 함께 전송을 위해 물리 레이어로 전달된다. 프레임-수신 유닛에서는, 물리 레이어가 프레임 및 CRC 비트들을 수신하고, 상기 비트들은 이어서 프레임-수신 유닛의 데이터 링크 레이어에 전달된다. 프레임-수신 유닛 데이터 링크 레이어는 수신된 프레임에 기초하여 예상된 CRC를 계산하며, 프레임을 통해 수신된 CRC 비트와 상기 계산된 CRC 값을 비교한다. 만약 두 CRC 값들이 일치하지 않는다면, 프레임-수신 유닛 데이터 링크 레이어는 전송 유닛 데이터 링크 레이어가 적합한 프레임(들)을 재전송하도록 요청한다.
본 분야에서, 레이턴시란 용어는 일반적으로 제 1 트리거링 이벤트와 제 응답 이벤트사이의 시간 기간을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레이턴시는 프레임 전송 시작과 재전송 요청 시작에 의해 경계가 정해지는 시간 기간을 나타낸다.
위의 설명된 ARQ 처리와 연관된 레이턴시는 다양한 시스템 설계 파라미터들에 따라 다르다. 각각의 사용자가 300ms마다 한번씩 프레임을 차례로 전송하도록 제공하는 프로토콜이 사용 중에 있는 예시적인 시스템을 고려하자. 또한, 이러한 예시적인 시스템의 데이터 링크 레이어에서, 상기 프로토콜은 시퀀스 번호들을 통해 데이터 프레임을 추적하는 것을 요구한다. 이러한 프로토콜에 따라서, 데이터 링크 레이어는 예상하지 않은 시퀀스 번호를 갖는 프레임이 수신되는 경우에 프레임이 손실되었는지를 결정한다. 예상되지 않은 시퀀스 번호를 갖는 프레임의 수신은 적어도 하나의 앞서 전송된 프레임이 적절하게 수신되지 않았다는 것을 나타낸다. 불행히도, 본 예에서는 적어도 30ms가 경과될 것인데, 그 이유는 데이터 링크 레이어가 손실된 프레임을 인지하기 위해서 예상되지 않은 시퀀스 번호를 갖는 적절하게 수신된 프레임을 기다려야 할 때 손실 프레임이 전송되었기 때문이다.
위에 설명된 예에서 에러 복원 동작을 시작하기 위해 필요한 시간 또는 레이턴시는 에러적으로 수신된 하나 이상의 프레임들에 후속하여 해석될 수 있는 데이터프레임을 수신해야 하는 요구에 의해 제약된다.
에러 복원 동작시에 레이턴시를 감소시킴으로써 통신 시스템들의 효율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가 필요하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가능한 통신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라 상이한 전력 레벨로 각각 전송되는 적어도 두 부분으로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의 흐름도.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전송 방법의 흐름도.
도 4는 전송 메시지의 수신 장치에 의한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5는 제 2 메시지 부분이 성공적으로 수신되는 수신 장치에 의해서 수행되는 동작의 흐름도.
도 6은 제 2 메시지 부분이 에러적으로 수신되는 수신 장치에 의해서 수행되는 동작의 흐름도.
도 7은 제 2 메시지 부분이 에러적으로 수신되는 수신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의 흐름도.
간략하게 말해서, 통신 시스템들에서 에러 복원의 레이턴시를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는 인입 메시지가 도착하는 것을 인지하는 단계, 및 상기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았거나 에러적으로 수신되었을 경우에 재전송을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메시지는 적어도 두 메시지 부분으로 전송되는데, 상기 두 메시지 부분은 제 1 전력 레벨로 전송되는 제 1 메시지 부분과, 상기 제 1 메시지 부분과 연관되면서 더 낮은 제 2 전력 레벨로 전송되는 제 2 메시지 부분을 포함한다. 제 1 전력 레벨은 제 1 메시지 부분이 성공적으로 수신될 미리 결정된 확률을 제공하도록 선택된다. 제 1 시간에, 제 1 메시지 부분이 수신된다. 제 2 시간(상기 제 1 시간과 알려진 관계를 가짐)에, 제 2 메시지 부분이 신뢰적으로 획득되지 않는 신호가 수신된다. 수신 장치는 제 2 메시지 부분이 적절하게 수신되지 않았다는 것을 인지하며, 적어도 제 2 메시지 부분의 재전송을 요청한다.
전송 유닛은, 본 발명에 따라, 적어도 두 부분들로 메시지를 전송한다. 제 1 부분은 제 1 전력 레벨로 전송되고, 제 2 부분은 상기 제 1 전력 레벨보다는 더 낮은 제 2 전력 레벨로 전송된다. 제 1 메시지 부분은 전송될 데이터의 부분을 포함할 수 있거나, 상기 제 1 메시지 부분의 컨텐트가 전송될 데이터에 독립적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전송 유닛이 또한 신호들을 수신하여 처리할 수 있다.
수신 유닛은, 본 발명에 따라, 제 1 시간에 제 1 메시지 부분을 수신하도록 적응되는데, 상기 제 1 메시지 부분은 제 1 비트당 에너지를 갖는다. 수신 유닛은 또한 제 2 시간에 신호를 수신하도록 적응되는데, 상기 제 2 시간은 상기 제 1 시간과 알려진 관계를 갖는다. 제 2 메시지 부분이 제 2 시간에 예상되는 신호로부터 신뢰적으로 획득되는 경우에는, 적어도 제 2 부분이 재전송되도록 하는 요청이 수신 유닛에 의해 이루어진다. 제 2 메시지 부분은 제 1 메시지 부분가 연관된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는, 제 2 메시지 부분의 비수신에 응답하여, 수신 유닛에 의해 부정 확인응답이 제공된다. 상기 부정 확인응답은 통상적으로 전송 유닛에 통신되는데, 상기 전송 유닛에서는 제 2 메시지 부분을 전송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진다. 만약 제 2 메시지 부분이 에러없이 수신된다면, 에러 복원 절차가 개시되지 않는다.
일부 다른 실시예에서는, 수신된 제 1 및 제 2 메시지 부분들의 비트당 에너지가 전송 전력에 의해서만 오로지 결정되지 않고 코딩 및 변조 기술에 의해서도 적어도 부분적으로 결정된다.
본 발명의 특징, 목적, 및 장점은 도면들과 연계하여 아래에서 기술되는 상세한 설명으로 부터 더욱 자명해질 것이고, 도면들에서는 동일한 참조 문자가 동일한 엘리먼트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에러적으로 수신되거나 또는 전혀 수신되지 않은 데이터의 재전송을 요청하는데 있어 수반되는 레이턴시를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들 및 장치는 데이터의 재전송이 종래 무선 통신 시스템들에서 이루어진 것보다 더 빨리 요구된다는 것을 인지하는 것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 1 메시지 부분은 연관된 제 2 메시지 부분보다 더 높은 성공 수신 확률을 갖도록 하는 방식으로 전송된다. 제 1 메시지 부분의 수신은 제 1 메시지 부분에 대해 알려진 타이밍 관계를 갖는 제 2 메시지 부분이 수신될 것이라는 것을 수신 유닛에 알린다. 만약 제 2 메시지 부분이 수신되지 않거나 에러적으로 수신된다면, 재전송 요청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여러 예시적인 실시예가 아래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된다. 비록 특정 단계들, 구성들, 및 배열들이 설명되지만, 이는 단순히 예시적인 목적으로 이루어진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당업자라면 다른 단계들, 구성들, 및 배열들이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알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일실시예", "실시예" 또는 그와 유사한 표현에 대한 참조는 실시예와 연계하여 설명되는 특정의 특징, 구조, 동작, 또는 특성이 본 발명의 적어도 한 실시예에 포함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이러한 어구나 표현의 제시는 동일한 실시예에 대해 모두 참조될 필요는 없다. 또한, 여러 특정의 특징들, 구조들, 동작들, 또는 특성들이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임의의 적합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예시적인 동작 환경
여러 실시예들은 지상 및 위성 양쪽 모두에 기초한 무선 통신 시스템들을 포함한 무선 통신 시스템들에서 적용될 수 있다.
이제 도 1을 참조하면, 통신 위성(120)을 통해서 순방향 채널 데이터를 사용자 장치들(130, 140)에 전송하는 게이트웨이(110)가 도시되어 있다. 기지국 및 게이트웨이란 용어들은 종종 본 분야에서 교환가능하게 사용되는데, 게이트웨이들은 위성을 통해서 직접 통신하는 특수 기지국들로서 인식되는 반면에, 기지국들은 주변의 지리적인 범위 내에서 직접 통신을 위해 지상 안테나들을 사용한다. 사용자 장치들은 또한 가입자 유닛들, 사용자 단말기들, 액세스 단말기들, 이동 유닛들, 이동국들, 또는 간단히 "사용자들", "모바일들", "가입자들" 등으로 종종 언급된다. 사용자 장치들(130, 140)은 위성(120)을 통해서 역방향 채널 데이터를 게이트웨이(110)에 전송한다. 통신 위성들은 본 명세서에서 참조번호 135 및 145로 도시된 빔들을 형성하고, 상기 빔들은 "스폿" 또는 위성 통신 신호들을 지구 표면 상에 투사함으로써 생성되는 영역을 비춘다. 스폿에 대한 통상적인 위성 빔 패턴은 미리 결정된 커버리지 패턴에 정렬되는 다수의 빔들을 포함한다. 통상적으로, 각각의 빔은 공통 지리 영역을 커버하는 다수의 소위 서브-빔들을 포함한다.
기술적인 설명을 제공하기 위해서, 본 명세서에서는 패킷으로 지칭되는 제 1 포맷 데이터 구조와 프레임으로 지칭되는 제 2 포맷 데이터 구조가 참조되는데, 상기 프레임은 하나 이상의 패킷들을 포함한다. 패킷들은 데이터의 더 작은 단위이고, 각각의 패킷은 통상적으로 단일 전송 장치와 연관있다. 다양하게 데이터를 구성하거나 포맷하거나 그룹화하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는 명명법은 어떠한 방식으로도 본 발명을 제한하지 않는다.
데이터가 알려진 구조적인 특징들(종종 프레임들이나 패킷들과 같은 용어를 사용하여 지칭됨)을 갖도록 포맷되는 무선 전송되는 데이터에 관련해서, 에러들은 두 가지의 넓은 타입으로 분류될 수 있다. 제 1 타입의 에러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패킷이 획득되고 상기 패킷이 에러를 포함하는 수신 장치에 의해 신호가 수신되는 타입이다. 이러한 제 1 타입의 에러는 통상적으로 FEC 및/또는 ARQ와 같은 방법에 의해 처리된다. 제 2 타입의 에러는 신호 품질이 너무 나빠서 수신 장치가 데이터 전달 시도가 이루어진 것을 인지하지 못하는 타입이다. 이러한 제 2 타입의 에러는 통상적으로 후속하는 전송이 수신된 이후에 ARQ를 통해서 처리되고, 그로부터 패킷이나 프레임이 손실되었다는 것이 결정될 수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들에서, 데이터-포함 신호는 그 신호로부터 데이터가 복원가능하지 않도록 하는 송신기와 수신기사이에서 여러 영향을 받을 수 있다. 그러한 영향은 잡음 및 감쇠를 포함할 수 있지만 그러한 것들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만약 이러한 영향이 수신기가 전송된 신호를 적절하게 복조할 수 없도록 한다면, 수신기는 손실 프레임이 통보되었을 때 데이터 링크 레벨에서 이러한 에러를 통상적으로 검출할 것이다. 즉, 심각한 신호 통화가 발생한 경우에, 물리 레이어는 인입 신호로부터 데이터를 획득할 수 없고, 따라서 그 퇴화된 신호로부터의 데이터가 데이터 링크 레이어에 전달되지 않는다. 물리 레이어의 수신기에 의해서 처리될 충분한 품질을 가진 후속 신호가 도달하여 복조되었을 때, 데이터 링크 레이어에 제공되는 최종 정보가 보다 일찍 전송된 데이터가 도달하지 않았다는 것을 결정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이는 손실 데이터를 재전송하라는 요청이 종래 시스템에서 이루어지는 시기이다. 불행히도, 이러한 종래 방식으로 데이터의 재전송을 요청하는데 있어 수반되는 레이턴시는 시스템 성능을 어느 정도 제약시킨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에러적으로 수신되거나 전혀 수신되지 않은 데이터의 재전송을 요청하는데 있어 수반되는 레이턴시를 감소시키는 것을 제공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메시지 부분은 제 2 메시지 부분보다 성공적으로 수신될 더 높은 확률을 갖는다. 제 1 메시지 부분의 수신은 상기 제 1 메시지 부분에 대해 알려진 타이밍 관계를 갖는 연관된 제 2 메시지 부분이 수신될 것이라는 것을 수신 유닛에 알린다. 만약 제 2 메시지 부분이 수신되지 않거나 에러적으로 수신된다면, 재전송 요청이 이루어진다.
더 상세하게는, 본 발명에 따라서, 물리 레이어는 재전송을 요청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에 대한 동작 양상들의 개요가 설명되어 있다. 예시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수신 유닛은 신호를 복조하려 시도한다. 일실시예에서, 게이트웨이(110)는 사용자 장치(130)에 의해서 역방향 링크를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에 대한 수신 장치로서 기능한다. 게이트웨이(110)는 사용자 장치(130)로부터 제 1 신호를 수신한다. 제 1 신호는 특정 정보들을 포함할 있거나, 또는 데이터에 의해서 변조되지 않은 신호일 수 있다. 제 1 신호는 사이드 정보 신호나 제 1 메시지 부분 신호로서 지칭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제 1 신호는 연관된 제 2 신호보다 게이트웨이(110)에 의해 수신될 더 높은 확률을 갖도록 전송된다. 성공적으로 수신될 더 높은 확률을 보장하는 것은 제 2 신호의 전력 레벨보다 더 높은 전력 레벨로 제 1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 1 신호는 더 낮은 차수의 변조 방식으로 변조될 수 있다. 다른 대안으로는, 데이터 레이트, 변조, 및 전송 전력의 다양한 결합들이 제 2 신호와 비교해서 제 1 신호에 대해 게이트웨이(10)에서 성공적으로 수신될 더 높은 확률을 제공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사이드 정보 신호는 게이트웨이(110)에서 검출되지 않게 되는 10-9 확률보다 더 작게 되는 확률이 존재하도록 하는 충분한 전력 레벨(또는 충분한 비트당 에너지)로 전송된다.
제 1 신호는 통상적으로 제 2 신호보다 더 짧은 지속시간을 갖지만 반드시 그럴 필요는 없다. 제 1 신호의 수신은 제 2 신호가 게이트웨이(110)에 의해서 또한 수신되어야 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만약 제 2 신호가 제 1 신호와 관련하여 알려진 타이밍 내에 수신되지 않거나 제 2 신호가 수신되지만 그로부터 획득된 데이터에서 에러들이 검출된다면, 게이트웨이(110)는 사용자 장치(130)에 의해서 제 2 신호의 재전송 요청을 개시할 수 있다. 재전송 요청은 통상적으로 재전송이 수행되어야 한다는 것을 알리는 메시지를 사용자 장치(130)에 전송하는 게이트웨이(110)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 장치(130)는 종래에 달성되는 것보다 더 일찍 재전송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예컨대 데이터 링크 레이어와 같은 더 높은 레이어가 정보가 손실되었다는 것을 인지할 때까지 기다릴 필요가 없다.
사이드 정보 신호는 제 1 신호와 공동으로 전송되는 임의의 신호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사이드 정보 신호는 통상적으로 제 1 신호로 지칭되고, 주 신호는 통상적으로 제 2 신호로 지칭된다. 일실시예에서, 사이드 정보 신호는 전송될 메시지의 제 1 부분을 포함하고, 제 2 신호는 그 메시지의 제 2 부분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사이드 정보 신호는 관리 또는 오버헤드 정보를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사이드 정보 신호는 데이터에 의해 변조되지 않는다.
비록 주 신호 자체(즉, 제 2 메시지 부분)를 더 높은 전력 레벨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지만, 그렇게 하는 것은 통신 시스템이나 통신 시스템들의 여러 결합들에 대한 용인할 수 없는 전력 소모, 간섭, 허용되지 않는 총 전송 전력을 초래할 수 있다. 그러나, 만약 사이드 정보 신호가 작다면, 즉 주 신호에 비해서 짧은 지속시간을 갖는다면, 사이드 정보 신호의 더 높은 전력 전송에 의해 소모되는 전력은 비교적 낮다. 마찬가지로, 제 1 및 제 2 메시지 부분 양쪽 모두를 더 높은 전력 레벨로 전송하는 것과 관련된 간섭 및 허용되지 않는 총 전송 전력은 회피된다.
일실시예에서는, 게이트웨이(110)가 대응하는 주 신호(예컨대, 제 2 메시지 부분)없이 사이드 정보 신호(예컨대, 제 1 메시지 부분)의 존재를 통보할 때, 상기 게이트웨이(110)는 사용자 장치(130)로부터의 재전송을 요청하기 위해 조치를 취한다. 재전송될 데이터의 식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시스템은 식별 정보를 메시지 데이터와 연관시킨다. 일실시예에서, 데이터 프레임들을 식별하는 프레임 시퀀스 번호들은 재전송될 손실 또는 에러 프레임들을 식별하는데 사용된다.
일부 경우에서는, 게이트웨이(110)가 어떤 시퀀스 번호나 다른 식별자가 전송되었지만 수신되지 않았는지를 알 수 없다. 이는 수신되지 않은 메시지 부분이 시퀀스 번호를 포함할 수도 있기 때문에 발생할 수 있다. CDMA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일실시예에서, 수신 유닛, 예컨대 게이트웨이(10)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로부터 수집되는 시간 정보를 사용함으로써 시간적으로 동기된다. 또한, 게이트웨이(110)가 전송하는 모든 프레임은 시스템 프레임 번호(SFN)와 연관된다. 게이트웨이가 전송하는 모든 칩(PN 코드)은 의사잡음(PN) 카운트와 연관된다. 따라서, SFN 및 PN 모두는 매우 높은 정확도로 시간을 결정한다. SFN은 통상적으로 수 ms의 단위로 전송된다. 예시적인 시스템에서, SFN은 10ms 모듈로 2.56초의 배수로서 정해진다. PN 카운트는 통상적으로 ms 또는 ns의 단위로 정해진다. 예시적인 시스템에서, PN 카운트는 260ns 모듈로 10ms의 배수로 정해진다. 예컨대, PN 카운트=4이고 SFN=5 모두는 다음가 같이 정확하게 시간 순간을 정한다:
시간=SFN*10ms+PN*260ns=50001040ns, 260ns 내에서 정확함
이는 각각의 전송 유닛이 정확한 시간 표시를 가질 수 있게 한다. 그 결과, 이러한 실시예에서는, 사용자 장치(130)가 데이터를 전송할 경우, 그것은 데이터와 함께 전송 타임스탬프를 저장하는 능력을 갖는다.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게이트웨이(110)는 데이터의 프레임 및 사이드 정보 신호의 프레임 모두를 수신 시간을 알고 있다. 게이트웨이(110)는 또한 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라운드 트립 지연을 일반적으로 알고 있다. 수신 시간 및 라운드 트립 지연을 사용하여, 게이트웨이(110)는 손실 프레임의 전송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본 예에서는, 게이트웨이(110)가 프레임이 적합하게 디코딩되지 않았다고 결정하는 경우에, 게이트웨이(110)는 두 정보 피스를 사용자 장치(130)에 제공한다. 제 1 정보 피스는 적합하게 수신된 마지막 프레임의 전송 시간이다. 제 2 정보 피스는 수신되지 않았지만 사이드 정보 신호는 검출된 프레임의 전송 시간이다. 따라서, 게이트웨이(110)는 적합하게 수신된 마지막 프레임 및 손실된 프레임의 전송 시간들을 포함하는 부정 응답확인(NAK) 패킷을 사용자 장치(130)에 제공한다.
일실시예에서는, 사용자 장치(130)가 프레임을 게이트웨이(110)에 전송할 때, 사용자 장치(130)는 프레임을 저장하며 프레임이 전송된 시간을 알려주는 타임스탬프를 레코딩한다. 사용자 장치(130)는 적절한 수의 앞서 전송된 프레임들을 제공할 수 있기 위해서 프레임 전송 데이터의 충분한 히스토리를 유지할 목적으로 버퍼 메모리를 구비한다. 게이트웨이(110)로부터 적합하게 수신된 마지막 프레임의 전송 시간을 포함하는 NAK 패킷을 수신한 이후에, 사용자 장치(130)는 프레임 전송 히스토리를 참고하여, 적합하게 수신된 마지막 프레임 이후에 어떤 프레임들이 전송되었는지를 결정한다. 다음으로, 사용자 장치(130)는 게이트웨이(110)에 의해서 적합하게 수신되지 않은 그러한 프레임들을 게이트웨이(110)에 재전송한다. 일실시예에서, 이러한 재전송된 프레임들은 본래의 손실된 프레임 전송보다 더 높은 Eb/No를 가지고 전송된다. 그렇게 함으로써, 게이트웨이(110)에 의해서 수신될 확률이 증가된다.
전송 장치 성능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도면에서는 사이드 정보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사용자 장치(130)는 자신이 전송할 메시지를 가지고 있는지 판단한다(단계 210). 사용자 장치(130)가 전송하길 원하는 메시지의 소스는 본 발명에서는 문제가 되지 않는다. 상기 메시지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으로부터 수신될 수 있거나, 사용자 장치(130)에 의해 내부적으로 생성될 수 있거나, 외부 소스로부터 수신될 수 있거나, 임의의 다른 적절한 수단에 의해서 입수가능하게 될 수 있다. 전송할 메시지가 준비되었다고 판단하였을 때, 사용자 장치(130)는 제 1 메시지 부분을 제 1 전력 레벨로 전송한다(단계 220). 다른 인자들과 함께 전송 전력 레벨은 게이트웨이(110)에 의한 제 1 메시지 부분의 성공적인 수신 확률을 결정할 것이다. 제 1 메시지 부분을 전송하는 것 이외에도, 사용자 장치(130)는 제 2 메시지 부분을 제 2 전력 레벨(230)로 전송할 것이다. 제 2 부분의 전송 전력 레벨은, 다른 인자들과 함께, 제 1 메시지 부분의 성공적인 수신 확률을 결정한다. 일실시예에서, 제 1 메시지 부분을 전송하기 위한 전력 레벨은 제 1 메시지 부분을 전송하기 위한 전력 레벨보다 더 크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수신 장치에 의한 성공적인 수신 확률은 제 2 메시지 부분의 성공적인 수신 확률보다 제 1 메시지 부분에 대해서가 더 높다. 비록 도 2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상이한 전송 전력 레벨을 사용하고 있지만, 더 큰 비트당 에너지를 제공하는 것과 같이, 제 1 메시지 부분의 더 큰 성공적인 수신 확률을 제공하는 임의의 적절한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전송 방법의 흐름도이다. 사용자 장치(130)는 전송할 메시지를 데이터 링크 레이어로부터 수신한다(단계 310). 사용자 장치(130)는 제 1 메시지 부분으로서 사이드 정보 메시지를 한 전력 레벨로 전송한다(단계 320). 또한, 사용자 장치(130)는 제 2 메시지 부분의 나머지 메시지를 제 2 전력 레벨로 전송한다(단계 330).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전력 레벨은 제 2 메시지 부분의 전력 레벨보다 더 높은 전력 레벨로 전송할 제 1 메시지 부분에 대해서 조정된다. 이러한 더 높은 전력 레벨 전송은 제 2 메시지 부분을 위한 수신 장치보다 제 1 메시지 부분을 위한 수신 장치에서 더 높은 성공적인 수신 확률을 유도한다. 제 1 메시지 부분은 또한 제 2 메시지 부분보다 더 짧은 길이나 지속시간을 갖는다. 제 1 메시지 부분이 더 짧은 길이를 가짐으로써, 제 1 메시지 부분을 위한 전송 에너지 요건은 비록 비트당 더 높은 에너지를 필요로 하지만 더 낮아질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높은 전력의 제 1 메시지 부분은 데이터 링크 레이어로부터 수신되는 메시지에 대한 프리엠블의 일부이다. 프리엠블의 수 비트들이 제 2 메시지 부분인 나머지 메시지 부분보다 더 높은 전력 레벨로 제 1 메시지 부분으로서 전송된다. 본 실시예에서, 전송 장치가 메시지를 전송할 때, 그것은 대응하는 타임스탬프나 그와 유사한 식별 표시와 함께 메시지의 복사본을 국부 메모리에 저장한다. 전송 장치는 전송되는 타임스탬프와 함께 메모리 장치로 전송된 마지막 N 프레임들의 히스토리를 유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사이드 정보 신호는 데이터 링크 레이어로부터 수신되는 메시지의 일부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사이드 정보 신호가 데이터 링크 레이어로부터 수신되는 메시지와 관련되지 않은 정보를 식별하는 전송 신호일 수 있다.
제 1 및 제 2 메시지 부분들을 전송한 이후에, 사용자 장치(130)는 NAK가 수신 장치로부터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한다(단계 340). 만약 NAK가 미리 결정된 크기의 시간 내에 수신되지 않는다면, 사용자 장치(130)는 메시지 전송을 성공적으로 완료한다. 그러나, 만약 본 실시예에서 NAK가 수신된다면, 상기 NAK는 성공적으로 수신된 마지막 프레임과 손실 프레임의 신원에 대한 게이트웨이(110)로부터의 정보를 포함할 것이다(단계 350). 일실시예에서, 이러한 정보는 성공적으로 수신된 마지막 메시지뿐만 아니라 손실 프레임의 전송 타임스탬프들에 의해 식별된다. 사용자 장치(130)는 마지막으로 저장된 N 프레임들 및 타임스탬프들을 포함하고 있는 메모리를 검색하여 성공적으로 수신된 마지막 메시지뿐만 아니라 손실된 메시지를 타임스탬프로부터 결정한다. 다음으로, 사용자 장치(130)는 성공적으로 수신된 마지막 메시지 이후의 프레임을 시작으로 하여 손실된 프레임을 포함해서 저장된 프레임을 게이트웨이(110)에 재전송한다.
수신 장치 성능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수신 장치에 의해서 수행되는 동작의 흐름도이다. 수신 장치는 제 1 비트당 에너지로 제 1 메시지 부분을 수신한다(단계 410). 수신 장치는 제 1 메시지 부분과 관련있으면서 제 1 메시지 부분에 대해 알려진 시간 타이밍을 갖는 제 2 메시지 부분을 제 2 비트당 에너지로 수신한다(단계 420). 일실시예에서, 제 1 메시지 부분은, 제 2 관련 메시지 부분이 수신되어야 한다는 표시를 제공하는 것 외에도, 사용자 장치에 의해 전송되는 데이터의 일부를 또한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 2 메시지 부분은 관련 메시지 데이터의 나머지를 포함한다.
제 1 신호가 제 2 신호보다 앞서 수신되어야 한다는 시간적인 요건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이 주시된다. 제 1 신호는 제 2 신호 다음에 전송되거나 또는 그와 동시에 전송될 수 있다. 제 1 신호 및 제 2 신호는 시분할 다중 접속,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코드 분할 다중 접속,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수단에 의해서 트랜스폰더에 액세스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수신 유닛에 의해서 수행되는 동작의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게이트웨이(110)와 같은 수신 유닛은 제 1 메시지 부분을 수신한다(단계 510). 상기 제 1 메시지 부분은 제 1 비트당 에너지로 수신된다. 수신 유닛은 또한 제 2 메시지 부분을 수신한다(단계 520). 도 5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 2 메시지 부분은 제 1 메시지 부분과 관련된다. 제 2 메시지 부분은 제 1 메시지 부분에 비해서 더 낮은 비트당 에너지로 수신된다. 제 2 메시지 부분을 수신하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제 2 메시지 부분이 성공적으로 수신되었다는 것을 알리는 확인응답(ACK)이 전송된다(단계 530). 예시적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확인응답이 제 1 및 제 2 메시지 부분들이 발신된 장치에 의해서 수신되도록 의도된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확인응답 패킷이 타임스탬프를 포함한다. 여러 실시예에서, 타임스탬프는 제 2 메시지 부분이 전송되었을 때나 그것이 수신되었을 때를 나타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확인응답 신호의 전송이 필요하지 않다.
도 6은 제 2 메시지 부분이 신뢰적으로 수신되지 않을 때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수신 유닛에 의해서 수행되는 동작의 흐름도이다. 예시적인 본 예에서, 수신 유닛은 제 1 메시지 부분이 제 1 비트당 에너지로 획득되는 제 1 신호를 수신한다(단계 610). 그러나, 수신 유닛은 제 1 메시지 부분과 연관된 제 2 메시지 부분이 신뢰적으로 획득될 수 없는 제 2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만약, 제 2 메시지 부분을 전달하는 신호를 복조하려고 시도하는데 있어서, 수신 유닛이 낮은 신호-대-잡음비로 인해서 상기 신호를 적합하게 복조할 수 없다면, 제 2 메시지 부분은 성공적으로 획득될 수 없다. 알려진 시간 관계에 있어 제 1 신호와 연관되는 제 2 신호가 수신되었는지 여부에 대한 결정이 이루어진다(단계 620). 만약 상기 단계(620)에서 상기 결정이 긍정적이라면, 도 6의 예시적인 처리는 종료한다. 그러나, 만약 단계(620)에서의 결정이 부정적이라면, NAK가 제 1 메시지 부분이 수신되어진 장치로 전송된다(단계 630).
도 7은 제 2 메시지 부분이 신뢰적으로 수신되지 않는 수신 유닛에 의해 수행되는 대안적인 동작 세트의 흐름도이다. 제 1 신호가 제 1 비트당 에너지로 수신되고(단계 710), 그로부터 제 1 메시지 부분이 획득된다. 제 2 메시지 부분이 정확하게 획득될 수 없는 수신 유닛에 신호가 제공된다(단계 715). 본 예에서는, 제 1 메시지 부분과 연관있는 제 2 메시지 부분이 성공적으로 수신되지 않았을 때(단계 720), 부정 확인응답(NAK) 패킷이 메시지-발신 사용자 장치에 전송된다(단계 730). 예시적인 본 실시예에서, NAK 패킷은 성공적으로 수신되지 않은 프레임을 식별하는 표시자를 포함한다. 손실 프레임을 식별하는 것 이외에, 수신 유닛은 또한 성공적으로 수신된 마지막 데이터 프레임을 식별한다. 다음으로, 수신 유닛은 성공적으로 수신된 마지막 프레임을 식별하는 정보를 전송 장치에 전송한다(단계 740).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은 손실 프레임을 식별하는 여러 방법들이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수신 유닛은 메시지-발신 전송 유닛에 의한 해석에 적합한 프레임 식별 정보와 함께 성공적으로 수신된 마지막 메시지의 레코드를 유지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전송 유닛은 데이터가 재전송될 필요가 있는지(만약 있다면)를 결정할 수 있다.
시스템 레벨 동작
도 1을 참조하면, 사용자 장치(130)는 제 1 및 제 2 메시지 부분을 게이트웨이(110)에 전송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만약 전송이 성공적으로 수신된다면, 게이트웨이(110)는 성공적인 수신을 알리는 확인응답(ACK)을 사용자 장치(130)에 전송한다. 그러나, 만약 상기 전송이 게이트웨이(110)에 의해서 성공적으로 수신하지 않았고 상기 게이트웨이(110)가 비성공적인 전송을 검출한다면, 상기 게이트웨이(110)는 사용자 장치(130)에게 적합한 메시지를 다시 전송하라고 요청할 수 있다. 게이트웨이(110)는 자신이 제 1 메시지 부분은 수신하였으나 대응하는 제 2 메시지 부분은 수신하지 못하였을 경우 프레임이 성공적으로 수신되지 않았다고 판단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전송을 수신하였으나 제 2 메시지 부분이 성공적으로 수신되지 않았다고 결정한 이후에, 게이트웨이(110)는 NAK 패킷을 메시지-발신기에 전송하기 위해서 필요한 동작들을 수행한다. 그러한 결정을 내리는데 필요한 계산 자원들은 비교적 작고, 일실시예에서는, NAK가 전송되었다는 결정이 손실된 제 2 부분의 수 십ms 내에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게이트웨이(110)는 순방향 링크를 통해 전송할 NAK 패킷을 스케줄링한다. 패킷 데이터 시스템에서는, 이러한 NAK 패킷이 모든 다른 패킷들과 함께 스케줄링 대기열에 놓일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NAK 패킷은 전송 대기열의 헤드로 이동되도록 더 높은 우선순위가 제공될 수 있다.
비교해 보면, 만약 데이터 프레임이 손실되었다는 것을 결정하기 위해 시스템이 데이터 링크 레이어 프로토콜을 기다릴 경우에는, 레이턴시가 상당히 커질 것이다. 예컨대,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300ms마다 한번씩 전송하기 위해 제공되는 프로토콜이 사용된다. 이러한 300ms의 레이턴시 시간은 프레임이 재전송될 필요가 있다는 것을 본 발명이 결정하는데 필요할 수 십ms 보다 상당히 더 길다.
결론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손실되거나 에러적인 데이터의 재전송을 요청하는데 필요한 시간을 감소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통신 처리의 더 낮은 레벨로 ARQ 처리를 개시함으로써, 이러한 레이턴시는 감소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광범위한 무선 통신 시스템들에 포함될 수 있다.
데이터가 적합하게 수신되지 않았다고 결정함으로써, 수신 장치는 데이터의 재전송을 요청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레이턴시 시간은 데이터가 재전송되어야 한다는 것을 전송 유닛에 통보하는데 있어 지연을 감소시킴으로써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방법들뿐만 아니라 이러한 방법들을 실행하기 위한 장치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펑처링 카드,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CD-ROM, 플래시 메모리 카드, 또는 임의의 다른 기계-판독가능 저장 매체와 같은 유형의 매체로 구현되는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데, 여기서, 상기 프로그램 코드가 컴퓨터와 같은 기계에 로딩되어 실행될 때는, 그 기계는 본 발명을 실행하기 위한 장치가 된다. 본 발명은 또한 예컨대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데, 상기 프로그램 코드는 저장 매체에 저장되거나, 기계에 로딩되고 및/또는 실행되거나, 전기 배선이나 케이블, 광섬유, 또는 전자기 방사를 통해서와 같이 일부 전송 매체나 캐리어를 통해 전송되고, 프로그램 코드가 컴퓨터와 같은 기계에 로딩되어 실행될 때, 상기 기계는 본 발명을 실행하기 위한 장치가 된다. 범용 프로세서 상에 구현될 때, 프로그램 코드 세그먼트들은 프로세서와 결합함으로써 특정 논리 회로들과 유사하게 동작하는 고유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위에 설명된 실시예들로 제한되지 않지만 첨부된 청구항들의 범위 내의 임의의 그리고 모든 실시예들을 포함한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Claims (44)

  1. 제 1 특성을 갖는 제 1 메시지 부분을 전송하는 단계; 및
    제 2 특성을 갖는 제 2 메시지 부분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특성은 제 1 성공적인 수신 확률을 제공하고, 상기 제 2 특성은 제 2 성공적인 수신 확률을 제공하는 메시지 통신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특성은 제 1 전력 레벨이고, 상기 제 2 특성은 제 2 전력 레벨이며, 상기 제 1 전력 레벨은 상기 제 2 전력 레벨과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통신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확률은 상기 제 2 확률과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통신 방법.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메시지 부분은 상기 제 2 메시지 부분보다 더 짧은 지속시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통신 방법.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메시지 부분은 상기 제 2 메시지 부분보다 더 짧고, 상기 제 1 전력 레벨은 상기 제 2 전력 레벨보다 더 크며, 상기 제 1 확률은 상기 제 2 확률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통신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메시지 부분 및 상기 제 2 메시지 부분은 서로 연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통신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메시지 부분의 성공적인 수신 및 상기 제 2 메시지 부분의 비성공적인 수신에 대한 표시를 포함하고 있는 제 1 정보 세트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통신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제 2 메시지 부분을 재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통신 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성공적으로 수신된 마지막 메시지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제 2 정보 세트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통신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다수의 앞서 전송된 메시지 부분들을 재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통신 방법.
  11. 제 1 비트당 에너지를 갖는 제 1 메시지 부분을 제 1 시간에 수신하는 단계; 및
    제 2 비트당 에너지를 갖는 제 2 메시지 부분을 제 2 시간에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메시지 부분은 상기 제 1 메시지 부분과 연관되며,
    상기 제 2 시간은 상기 제 1 시간과 알려진 시간적 관계를 갖는 메시지 통신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에너지는 상기 제 2 에너지와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통신 방법.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에너지는 상기 제 2 에너지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통신 방법.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메시지 부분이 성공적으로 수신되었다는 것을 나타내는 확인응답(acknowledgment)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통신 방법.
  15.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응답 메시지는 타임스탬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통신 방법.
  16. 제 1 비트당 에너지를 갖는 제 1 메시지 부분을 제 1 시간에 수신하는 단계; 및
    제 2 메시지 부분이 신뢰적으로 획득되지 않는 신호를 제 2 시간에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메시지 부분은 상기 제 1 메시지 부분과 연관되며,
    상기 제 2 시간은 상기 제 1 시간과 알려진 시간적 관계를 갖는 메시지 통신 방법.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메시지 부분의 성공적인 수신 및 상기 제 2 메시지 부분의 비성공적인 수신에 대한 표시를 포함하고 있는 제 1 정보 세트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통신 방법.
  18. 제 17항에 있어서, 성공적으로 수신된 마지막 메시지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제 2 정보 세트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통신 방법.
  19. 제 18항에 있어서, 제 2 정보 세트를 전송하는 상기 단계는 제 1 정보 세트를 전송하는 상기 단계에 시간적으로 연속해서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통신 방법.
  20.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성공적으로 수신된 마지막 메시지의 식별자는 타임스탬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통신 방법.
  21. 적어도 하나의 제 1 메시지 부분을 제 1 비트당 에너지로 전송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제 2 메시지 부분을 제 2 비트당 에너지로 전송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제 2 메시지 부분을 재전송하라는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요청된 적어도 하나의 제 2 메시지 부분을 제 3 비트당 에너지로 재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각각의 제 2 메시지 부분은 상응하는 제 1 메시지 부분과 연관되며,
    상기 제 3 비트당 에너지는 상기 제 2 비트당 에너지보다 더 큰 통신 방법.
  22. 제 2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제 2 메시지 부분을 전송하는 상기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메시지 부분을 전송하는 상기 단계에 후속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23. 제 1 특성을 갖는 제 1 메시지 부분을 전송하기 위한 수단; 및
    제 2 특성을 갖는 제 2 메시지 부분을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특성은 제 1 성공적인 수신 확률을 제공하고,
    상기 제 2 특성은 제 2 성공적인 수신 확률을 제공하는 통신 장치.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특성은 제 1 전력 레벨이고, 상기 제 2 특성은 제 2 전력 레벨이며, 상기 제 1 전력 레벨은 상기 제 2 전력 레벨과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25.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확률은 상기 제 2 확률과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26.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메시지 부분은 상기 제 2 메시지 부분보다 더 짧은 지속시간을 갖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27.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메시지 부분은 상기 제 2 메시지 부분보다 더 짧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1 전력 레벨은 상기 제 2 전력 레벨보다 더 크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 1 확률은 상기 제 2 확률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28.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메시지 부분과 상기 제 2 메시지 부분은 서로 연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29.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메시지 부분의 성공적인 수신 및 상기 제 2 메시지 부분의 비성공적인 수신에 대한 표시를 포함하고 있는 제 1 정보 세트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30. 제 29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제 2 메시지 부분을 재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31. 제 29항에 있어서, 성공적으로 수신된 마지막 메시지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제 2 정보 세트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32. 제 31항에 있어서, 다수의 앞서 전송된 메시지 부분들을 재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33. 제 1 비트당 에너지를 갖는 제 1 메시지 부분을 포함하고 있는 신호를 제 1 시간에 수신하기 위한 수단; 및
    제 2 비트당 에너지를 갖는 제 2 메시지 부분을 포함하고 있는 신호를 제 2 시간에 수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메시지 부분은 상기 제 1 메시지 부분과 연관되며,
    상기 제 2 시간은 상기 제 1 시간과 알려진 시간적 관계를 갖는 메시지 통신 장치.
  34. 제 3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에너지는 상기 제 2 에너지와 다르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통신 장치.
  35. 제 3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에너지는 상기 제 2 에너지보다 더 크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통신 장치.
  36. 제 33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메시지 부분이 성공적으로 수신되었다는 것을 나타내는 확인응답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통신 장치.
  37. 제 33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응답 메시지는 타임스탬프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통신 장치.
  38. 제 1 비트당 에너지를 갖는 제 1 메시지 부분을 포함하고 있는 신호를 제 1 시간에 수신하기 위한 수단; 및
    제 2 메시지 부분이 신뢰적으로 획득되지 않는 신호를 제 2 시간에 수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메시지 부분은 상기 제 1 메시지 부분과 연관되며,
    상기 제 2 시간은 상기 제 1 시간과 알려진 시간적 관계를 갖는 메시지 통신 장치.
  39. 제 3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메시지 부분의 성공적인 수신 및 상기 제 2 메시지 부분의 비성공적인 수신에 대한 표시를 포함하고 있는 제 1 정보 세트를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통신 장치.
  40. 제 39항에 있어서, 성공적으로 수신된 마지막 메시지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제 2 정보 세트를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통신 장치.
  41. 제 40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정보 세트를 전송하는 것은 상기 제 1 정보 세트를 전송하는 것에 시간적으로 연속해서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통신 장치.
  42. 제 40항에 있어서, 상기 성공적으로 수신된 마지막 메시지의 식별자는 타임스탬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통신 장치.
  43. 적어도 하나의 제 1 메시지 부분을 제 1 비트당 에너지로 전송하기 위한 수단;
    적어도 하나의 제 2 메시지 부분을 제 2 비트당 에너지로 전송하기 위한 수단;
    적어도 하나의 제 2 메시지 부분을 재전송하라는 요청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요청된 적어도 하나의 제 2 메시지 부분을 제 3 비트당 에너지로 재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각각의 제 2 메시지 부분은 상응하는 제 1 메시지 부분과 연관되며,
    상기 제 3 비트당 에너지는 상기 제 2 비트당 에너지보다 더 큰 통신 장치.
  44. 제 43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제 1 메시지 부분을 전송하는 것에 후속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 2 메시지 부분을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KR1020047020894A 2002-06-25 2003-06-25 통신 에러 복원을 위한 레이턴시 감소 KR1010286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9198502P 2002-06-25 2002-06-25
US60/391,985 2002-06-25
US10/600,147 2003-06-19
US10/600,147 US20040059978A1 (en) 2002-06-25 2003-06-19 Reduced latency for recovery from communications errors
PCT/US2003/019937 WO2004001988A2 (en) 2002-06-25 2003-06-25 Reduced latency for recovery from communications error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6614A true KR20050016614A (ko) 2005-02-21
KR101028648B1 KR101028648B1 (ko) 2011-04-11

Family

ID=300032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20894A KR101028648B1 (ko) 2002-06-25 2003-06-25 통신 에러 복원을 위한 레이턴시 감소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20040059978A1 (ko)
EP (1) EP1523740A4 (ko)
JP (3) JP2005531226A (ko)
KR (1) KR101028648B1 (ko)
CN (1) CN100481759C (ko)
AU (1) AU2003253691C1 (ko)
BR (1) BR0312062A (ko)
CA (1) CA2490778C (ko)
HK (1) HK1080594A1 (ko)
MX (1) MXPA04012411A (ko)
RU (1) RU2327221C2 (ko)
WO (1) WO2004001988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55407B2 (en) 2005-02-18 2014-06-17 Qualcomm Incorporated Radio link protocols for enhancing efficiency of multi-link communication systems
JP4689316B2 (ja) * 2005-03-28 2011-05-25 富士通株式会社 無線通信の下りリンクチャネルを伝送する制御情報のエラー検出方法及び移動端末
US7970958B2 (en) * 2005-06-20 2011-06-28 Micron Technology, Inc. Peripheral interface alert message for downstream device
JP4583295B2 (ja) * 2005-11-29 2010-11-17 富士通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再送制御方法及び送信機
US8223628B2 (en) * 2007-01-10 2012-07-17 Lantiq Deutschland Gmbh Data transmission method, transmitter, receiver, transceiver and transmission system
US10009855B2 (en) 2013-10-14 2018-06-26 Harman International Industries, Incorporated Communication method and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5648A (ja) * 1991-09-10 1993-03-26 Nec Corp 時刻管理によるパケツト伝送方式
US5517507A (en) * 1993-12-03 1996-05-14 Motorola, Inc. Notification by energy burst of messages with unacceptable quality
CA2145566C (en) * 1994-04-29 1999-12-28 Nambirajan Seshadri Methods of and devices for enhancing communications that use spread spectrum technology
JP2661551B2 (ja) * 1994-07-13 1997-10-08 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lanシステム
US5671156A (en) * 1995-03-31 1997-09-23 Lucent Technologies Inc. Transmission method and system for JPEG images
JP3201265B2 (ja) * 1996-06-12 2001-08-20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データ伝送装置および方法
US5903844A (en) * 1997-02-04 1999-05-11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remote unit locat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US6014694A (en) * 1997-06-26 2000-01-11 Citrix Systems, Inc. System for adaptive video/audio transport over a network
JPH11164352A (ja) * 1997-11-28 1999-06-18 Oki Electric Ind Co Ltd 無線通信装置及び移動体通信システム
JPH11177523A (ja) * 1997-12-10 1999-07-02 Oki Electric Ind Co Ltd 無線通信装置及び移動体通信システム
JP3133026B2 (ja) * 1998-01-23 2001-02-05 沖電気工業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及び移動体通信システム
JP2000004277A (ja) * 1998-06-15 2000-01-07 Oki Electric Ind Co Ltd 無線通信方法
KR100282403B1 (ko) * 1998-08-20 2001-02-15 서평원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전파 회선 프로토콜의 프레임 전송 방법
EP0996248A1 (en) 1998-10-21 2000-04-26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ARQ protocol with packet-based reliability level setting
US6654614B2 (en) * 1999-07-06 2003-11-25 Widcomm, Inc. Implementation of power control in a wireless overlay network
JP4271787B2 (ja) * 1999-07-29 2009-06-03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
JP4330767B2 (ja) * 2000-06-26 2009-09-16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自動再送要求を行う通信方法及び基地局装置
RU2236091C2 (ru) 2000-10-21 2004-09-10 Самсунг Электроникс Ко., Лтд. Способ передачи/приема данных в системе передачи данных с гибридным запросом автоматического повторения
KR100357743B1 (ko) 2000-11-16 2002-10-25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무선 근거리 통신망 시스템에서의 채널 환경에 기반한적응 코딩 방법
US20020064167A1 (en) * 2000-11-29 2002-05-30 Khan Farooq Ullah Hybrid ARQ with parallel packet transmission
KR20020043139A (ko) * 2000-12-01 2002-06-08 윤종용 이동통신시스템에서 고속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스케쥴링방법
US6665283B2 (en) * 2001-08-10 2003-12-16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data in a packet data communic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005101634A (ru) 2005-06-10
CA2490778C (en) 2014-06-03
JP5746277B2 (ja) 2015-07-08
MXPA04012411A (es) 2005-04-19
BR0312062A (pt) 2005-03-29
JP2005531226A (ja) 2005-10-13
JP2013258721A (ja) 2013-12-26
AU2003253691C1 (en) 2009-07-16
JP2011010324A (ja) 2011-01-13
WO2004001988A3 (en) 2004-04-29
JP5405405B2 (ja) 2014-02-05
KR101028648B1 (ko) 2011-04-11
US20040059978A1 (en) 2004-03-25
CA2490778A1 (en) 2003-12-31
CN1675662A (zh) 2005-09-28
AU2003253691A1 (en) 2004-01-06
EP1523740A2 (en) 2005-04-20
WO2004001988A2 (en) 2003-12-31
EP1523740A4 (en) 2010-10-27
HK1080594A1 (en) 2006-04-28
AU2003253691B2 (en) 2008-12-11
CN100481759C (zh) 2009-04-22
RU2327221C2 (ru) 2008-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94469B1 (en) Method and an apparatus for a quick retransmission of signals in a communication system
US6917602B2 (en) System and method for random access channel capture with automatic retransmission request
US8897193B2 (en) Multicast packet transmitting method ove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system using the method
RU2300175C2 (ru) Гибкий автоматический запрос повторной передачи (азпп) для пакетной передачи данных
US8959409B2 (en) Detection and recovery of HARQ NAK-to-ACK feedback error in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s
JP3471813B2 (ja) 移動体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ランダムアクセス
US20190379491A1 (en) Retransmission for punctured signals
KR101292597B1 (ko) 중계방식을 사용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제어메시지 전송장치 및 방법
KR20040044478A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메시지 세그먼테이션 방법 및 장치
JP5746277B2 (ja) 通信エラーからの回復のための減少した潜伏期
JP2001358699A (ja) パケットデータ伝送のためのハイブリッドarq方法
GB2423894A (en) Retransmission control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EP2234312A2 (en) A method for handling corrupted signals in a wireless network
KR101247731B1 (ko) 중계방식을 사용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재전송 장치 및방법
EP2109953A1 (en) A method and a device for improved retransmissions
US7388852B2 (en) Physical layer assisted retransmission
US6636494B1 (en) Method of resolving physical layer collisions in a random access protocol an a corresponding receiver
KR100381031B1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재전송 슬롯 결합 방법 및 그를이용한 데이터 수신 장치 및 방법
KR101342647B1 (ko) 동기식 하이브리드 에이알큐를 사용하는 상향 공유 채널에대한 하향 피드백 채널에서의 오류 처리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