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16524A - 드릴 비트 - Google Patents

드릴 비트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16524A
KR20050016524A KR10-2004-7019871A KR20047019871A KR20050016524A KR 20050016524 A KR20050016524 A KR 20050016524A KR 20047019871 A KR20047019871 A KR 20047019871A KR 20050016524 A KR20050016524 A KR 200500165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edge
cutting
blade
edge portion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98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92543B1 (ko
Inventor
마사아키 미야나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 가이샤 미야나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 가이샤 미야나가 filed Critical 가부시키 가이샤 미야나가
Priority to KR10200470198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2543B1/ko
Publication of KR200500165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65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25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25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51/00Tools for drilling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51/00Tools for drilling machines
    • B23B51/02Twist dri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1/00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 B28D1/14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boring or dri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tones Or Stones Resemblance Material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Abstract

콘크리트 등의 천공작업에 있어서, 천공상태가 갑자기 변화하는 것을 완화하여 상기 작업을 안정시킬 수가 있다. 굵은 절삭분말이 발생한 때에도 천공효율을 저하시키지 않는 드릴 비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대략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절삭날부가 적어도 2개 이상의 주절삭날부와, 원주방향에 있어서 상기 주절삭날부와 주절삭날부 사이에 배치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부절삭날부를 가지며, 상기 주절삭날부는 내단이 회전중심에 위치하고, 외단이 절삭날부의 회전궤적의 외연에 위치하는 주절삭날을, 상기 주절삭날부의 절삭날으로서 구비하고, 상기 부절삭날부는 내단이 회전중심으로부터 외경측으로 이격한 부위에 위치하고, 외단이 절삭날부의 회전궤적의 외연으로부터 회전중심측으로 이격한 위치에 위치하는 부절삭날을 상기 부절삭날부의 절삭날으로서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드릴 비트{DRILL BIT}
본 발명은 비트(bit) 본체의 선단에 초경합금제의 절삭날체를, 땜납이나 용접 등으로 일체로 고정한 드릴 비트(drill bit)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콘크리트(concrete)나 석재 등의 천공작업에 있어서 천공 작업성이 우수한 드릴 비트에 관한 것이다.
콘트리트나 석재 등에 대한 천공은, 회전 해머 드릴(hammer drill)에 전용 드릴 비트를 고정하고, 축심방향의 진동적인 타격력과 회전 토오크(torque)의 양 작용을 동시에 주고 천공(구멍 뚫기)한다. 이러한 종류의 드릴 비트에는 강제의 비트 본체의 선단에 내마모성이 우수한 초경합금제의 절삭날체를 납땜이나 용접 등으로 고정되어 있는 것이 있다. 또한, 상기 비트 본체의 외주(外周)에는 절삭날체의 각 절삭날부에 형성된 오목부에 대응하여 절삭분말 배출홈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비트 본체의 기단부에는 해머 드릴의 구동축에 연결하는 규격화된 생크(shank)부가 형성되어 있다.
본 출원인은 앞서 이러한 종류의 신규한 드릴 비트를 제공하였다(일본 특허출원 제2000-377082호). 상기 드릴 비트는 비트 본체의 선단에 고정된 블록 형상의 절삭날체에, 복수의 절삭날부가 각각 중심으로부터 외경방향을 향하여 대략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 절삭날부는 절삭면과 릴리프(relief) 면을 가지며, 이들 절삭면과 릴리프면의 경계에 선단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접합 에지(edge)에 의해 절삭날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절삭날부의 절삭날의 내단(중심측의 단부)이 날끝 정점에서 접합되고, 날끝 정점이 치젤 에지(chisel edge)가 없는, 선단측을 향하여 뾰족한 첨단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인접하는 절삭날부와 절삭날부 사이에 후방으로 오목한 오목부에 의해 날부 절삭분말 배출홈이 형성되고, 상기 날부 절삭분말 배출홈이 비트 본체의 외주에 형성된 폭이 넓은 비트 절삭분말 배출홈에 연속하여 배치되는 구성을 갖는다.
이와 같이 구성된 드릴 비트에 의하면, 콘크리트나 석재 등의 천공작업에 있어서, 드릴 구멍의 절삭면을 상기 절삭날부에 의해 충격적으로 타격하는 것과 같은 절삭(타격절삭)에 의해 절삭분말이 발생한다. 상기 절삭분말은 드릴 비트의 축심방향의 동작에 따라 드릴 구멍의 절삭면으로부터 부상(浮上)하여 각 날부 절삭분말 배출홈을 거쳐 폭이 넓은 비트 절삭분말 배출홈으로 배출되고, 최종적으로 드릴 구멍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된다. 이 때문에 드릴 구멍의 천공 깊이에 관계없이 효율적으로 절삭분말이 배출된다. 더욱이 날끝 정점이 치젤 에지가 없는 첨단형상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천공 시에 회전중심이 하나로 정해져 안정하게 회전시킬 수가 있다. 그 결과 소망하는 직경과 소망하는 형상의 구멍을 용이하게 천공할 수 있다. 덧붙여 내구성도 우수한 드릴 비트가 된다.
그런데, 상기 구성의 드릴 비트는 절삭날체 상의 각 절삭날부의 형태(구성)가 모두 동일하기 때문에, 예를 들면, 콘크리트의 천공작업 중에 절삭날부가 콘크리트내의 철근이나 석재 등 딱딱한 피절삭물에 부딪히면, 충격적인 힘이 그 부딪힌 절삭날부 혹은 그 인접한 특정 절삭날부에 집중적으로 작용하여 천공상태가 갑자기 변화한다.
또한, 천공작업 중에는 드릴 구멍의 절삭면에서는 크기가 다양한 절삭분말이 발생하고, 굵은 절삭분말도 발생하지만, 타격절삭이 반복되는 동안에 미세하게 파쇄되기 때문에 천공작업에 지장을 주는 경우는 없다. 그러나 굵은 절삭분말이 드릴 비트의 절삭날에 의해 타도, 분쇄되고 있는 동안에는 어느 절삭날도 드릴 구멍의 절삭면에 대하여 절삭작용을 하지 않기 때문에 절삭작용은 그 동안에 중단한다. 따라서 천공효율이 저하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드릴 비트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드릴 비트의 절삭날체의 하단면(저면: 타격절삭에 이바지하는 면)의 구성을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드릴 비트의 절삭날체를 경사 선단측에서 바라본 상기 절삭날체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절삭날체에 있어서의 절삭날부의 회동궤적을 설명하기 위한 절삭날체의 확대 저면도이다.
본 발명은 콘크리트나 석재 등의 천공작업에 있어서, 천공상태가 갑자기 변화하는 것을 완화하여 천공작업을 가급적 안정하게 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굵은 절삭분말이 발생한 때에도 천공효율을 저하시키는 경우가 없는 드릴 비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드릴 비트는 드릴의 회전중심측으로부터 외경측을 향하여 대략 방사상으로 배치됨과 아울러 절삭면과 릴리프면의 접합에지가 선단측으로 돌출하여 형성되는 절삭날을 가지며, 드릴 선단에 배치되는 복수의 절삭날부와, 상기 절삭날부의 기단측에 설치되어 기단부에 생크부가 형성된 축 형상의 비트 본체를 구비하여 회전동작과 축방향 동작의 복합동작에 의해 타격절삭을 행하는 드릴 비트에 있어서,
상기 절삭날부가 적어도 2개 이상의 주절삭날부와, 원주방향에서 상기 주절삭날부와 주절삭날부 사이에 배치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부절삭날부를 가지며,
상기 주절삭날부는 내단이 회전중심에 위치하고, 외단이 절삭날부의 회전궤적의 외연에 위치하는 주절삭날을, 상기 주절삭날부의 절삭날로서 구비하고,
상기 부절삭날부는, 내단이 회전중심으로부터 외경측으로 이격한 부위에 위치하고, 외단이 절삭날부의 회전궤적의 외연으로부터 회전중심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위치하는 부절삭날을 상기 부절삭날부의 절삭날로서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드릴 비트에 의하면, 콘크리트나 석재 등의 천공에 있어서, 드릴 구멍 절삭면에 대한 절삭(드릴 구멍 절삭면에서의 절삭분말 파쇄도 포함함)은 주로 회전중심으로부터 날끝부 외단에 이르는 주절삭날이 타격하여 타격절삭이 이루어지고, 부절삭날은 상기 주절삭날에 의한 절삭을 보조한다. 즉, 부절삭날은 주절삭날의 타격절삭을 보완함과 아울러 양자가 협동하여 효율적인 절삭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부절삭날의 외단은 주절삭날의 외단 보다 회전중심측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부절삭날은 드릴 구멍의 내면에는 기본적으로 접촉하지 않으므로 드릴 비트 전체의 절삭저항은 저감되고, 효율적인 타격절삭을 실현할 수 있다. 게다가, 주절삭날의 외연은 드릴 구멍의 내주면에 의해 가이드되기 때문에 소망하는 형상의 구멍(원형 구멍)을 천설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릴 비트에 있어서, 상기 주절삭날부의 주절삭날이 외단측에서 후방으로 후퇴하도록 경사져 있고, 각 주절삭날의 내단이 대략 회전중심점에서 접합되어 날끝 정점을 형성하고 있으면, 회전중심에 날끝 정점이 형성되고 회전이 안정하게 됨과 아울러 상기 날끝 정점에서 드릴 구멍의 절삭면을 타도하여 효과적인 타격절삭이 가능하게 된다.
더욱이, 상기 드릴 비트에 있어서, 상기 부절삭날부의 부절삭날이 상기 주절삭날과 동일한 각도로 동일한 방향으로 경사져 있으면, 제조 때에 각 절삭날부에 절삭면과 릴리프면을 삭성(削成)에 의해 형성하고, 주절삭날 혹은 부절삭날을 형성하는 소위 "날붙임작업" 때에 주절삭날과 부절삭날도 삭성조건이 동일하게 되며 가공이 용이하게 되고 그 결과 생산성이 우수한 드릴 비트가 된다.
또한, 상기 드릴 비트에 있어서, 상기 부절삭날이 주절삭날보다 후방으로 후퇴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으면, 드릴 구멍 절삭면에 대한 직접적인 타격절삭은 주로 주절삭날에 의해 진행되고, 부절삭날은 주절삭날 사이에 있어 주로 주절삭날 사이에 발생하는 굵은 절삭분말 등을 주절삭날 사이에 끼워넣은 형태에서의 효과적인 파쇄가 실행된다. 즉, 천공작업 중에 드릴 구멍의 절삭면에 발생하는 굵은 절삭분말의 파쇄, 및 그 병행하는 천설작업이 인접하는 주절삭날과 부절삭날의 협동에 의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면서 병행하여 진행하므로 종래의 드릴 비트에 비하여 높은 천공효율을 얻을 수가 있다.
또한, 상기 드릴 비트에 있어서, 상기 부절삭날과 회전중심 사이에 상기 부절삭날보다 후방으로 후퇴한 절결면을 구비하면, 주절삭날 등의 타격절삭에 의해 발생한 굵은 절삭분말은 주절삭날부와 부절삭날부 사이에서 갈 곳을 잃어버린 상태이며, 이런 절결면에서 드릴 구멍의 절삭면 사이에서 효과적으로 압쇄되기 때문에 굵은 절삭분말의 압쇄를 위해 주절삭날 및 부절삭날이 방해받음 없이 병행하여 효과적인 타격절삭을 계속 할 수 잇다. 그 결과 높은 천공효율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릴 비트에 있어서, 상기 절결면이 부절삭날부의 릴리프면측으로 경사져 있으면, 굵은 절삭분말이 상술한 바와 같은 절결면에 의해 압쇄된 후에 이들의 절삭분말은 절결면의 경사에 의해 절삭날부로부터 절삭분말 배출홈측으로 압출되기 때문에 절삭분말의 배출성이 향상된다.
더욱이, 상기 드릴 비트에 있어서, 상기 주절삭날부와 부절삭날부가 1개의 절삭날체로서 일체의 블록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절삭날체가 상기 비트 본체의 선단에 일체로 고정되어 있으면, 제조 때에 주절삭날부와 부절삭날부를 일체의 블록형상으로 소결성형, 단조 등에 의해 제조하여 두고, 이를 비트 본체의 선단에 용착 등으로 간단히 고정함으로써 효율적으로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드릴 비트에 있어서, 상기 주절삭날부와 부절삭날부가 상기 날끝 정점을 중심으로 하여 원주방향으로 교호로 배치되고, 저면으로부터 바라볼 때, 상기 날끝 정점을 중심으로 하는 대략 별모양(asterisk) 형상을 하고 있으면, 각 절삭날부 사이에 형성되는 틈을 날부 절삭분말 배출홈으로서 이용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한 실시 형태가 된다. 이 경우, 외경이 6㎜~20㎜ 정도의 드릴 비트에서는 주절삭날부와 부절삭날부를 합쳐서 절삭날부는 4개~8개 정도가 바람직한 실시형태가 되고, 절삭날부가 짝수인 때에는 주절삭날부와 부절삭날부를 교호로 배치하고, 절삭날부가 홀수인 때에는 주절삭날부와 부절삭날부를 교호로 배치하고 최후에 주절삭날부와 주절삭날부를 인접하게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드릴 비트에 있어서, 상기 절삭날부와 그에 인접하는 절삭날부 사이에, 오목 형상의 날부 절삭분말 배출홈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날부 절삭분말 배출홈에 연속하도록 그 후방의 비트 본체의 외주면에 비트 절삭분말 배출홈이 형성되어 있으면, 드릴 구멍의 절삭면에서 발생한 절삭분말을 효과적으로 드릴 구멍 외부로 배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드릴 비트에 있어서, 상기 절삭날부가 초경합금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비트 본체가 강제이면, 절삭날부에 높은 절삭성과 내마모성 등이 높은 초경합금을 이용한 성능적으로 우수한 드릴 비트를 저렴하게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일 예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제의 비트 본체(1)의 선단에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초경합금제의 블록 형상의 절삭날체(2)가 일체로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고정은 납땜 등의 용접 혹은 마찰압접 등의 공지된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절삭날체(2)에는 각 절삭날이 회전중심측으로부터 외경방향을 향하도록 대략 방사상으로, 원주방향으로 균등하게 나눠지도록, 6개, 즉 60도마다 절삭날부(2a, 2b, 2c, 2d, de, 2f)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들 절삭날부(2a, 2b, 2c, 2d, 2e, 2f)는 천공 작업을 위해 회전할 때 앞쪽에 위치하는 절삭면(3)과 뒤쪽이 되는 릴리프면(4)을 각각 구비하고 있다. 이들 각 절단면(3)과 릴리프면(4)의 접합에지에 의해 절삭날이 각각 대략 방사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접합에지는 선단측(도 1에 있어서 하측, 도 3에 있어서 상측)으로 돌출하는 것과 같은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절삭날부(2a, 2b, 2c, 2d, 2e, 2f)에 대응하여 원주방향으로 균등하게 6개 절삭날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60도 간격으로 6개 절삭날(도 4에서의 3개의 주절삭날(6)과 3개의 부절삭날(7)의 합계인 6개의 절삭날을 참조)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절삭날은 2 종류로 이루어진다. 즉, 절삭날은 주절삭날(6)과 부절삭날(7)의 2종류로 구성되고, 이들 주절삭날(6)과 부절삭날(7)은 절삭날체(2)의 선단에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면으로부터 보아서 1개 걸러 교호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주절삭날(6)이 형성되어 있는 절삭날부(2a, 2c, 2e)는 주절삭날부가 되고, 상기 부절삭날(7)이 형성되어 있는 절삭날부(2b, 2d, 2f)는 부절삭날부가 된다.
상기 주절삭날(6)의 내단(內端)은 회전중심이 되며, 각 주절삭날(6)의 내단이 접합하여 형성되는 날끝 정점(5)에 위치하고, 외단(12)은 절삭날체(2)의 회전궤적의 외연(최외연)에 위치하도록 회전중심(날끝 정점(5))으로부터 외경방향을 향하여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부절삭날(7)의 내단(7i)은 회전중심이 되는 상기 날끝 정점(5)으로부터 외경측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며, 상기 날끝 정점(5)과 부절삭날(7)의 내단(7i) 사이에는 절결면(8)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주절삭날(6)의 외단(12)은 상기 절삭날체(2)의 외연에 위치하는데 비하여, 상기 부절삭날(7)의 외연(11)은 절삭날체(2)의 외연 보다 약간 내경측으로 들어간 위치에 위치한다. 즉, 부절삭날(7)을 선단에 갖는 절삭날부(2b, 2d, 2f)의 길이(내단에서 외단까지의 길이)를, 주절삭날(6)을 선단에 갖는 절삭날부(2a, 2c, 2e)의 길이보다 짧게 하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절삭날(7)을 갖는 절삭날부(2b, 2d, 2f)의 외단(11)이 그리는 회전궤적(a)을, 주절삭날(6)을 갖는 절삭날부(2a, 2c, 2e)의 외단(12)이 그리는 회전궤적(b) 보다 내측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외경 6㎜~20㎜ 정도의 드릴 비트에서는, 부절삭날(7)의 외단이 주절삭날(6)의 외단 보다 0.2㎜~0.5㎜ 정도 내측에 위치하도록 구성하면 충분하다.
이와 같이 내단과 외단의 위치가 상이한 상기 부절삭날(7)의 길이는 상기 주절삭날(6)의 길이 보다 짧게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부절삭날(7)의 길이는 상기 주절삭날(6)의 길이에 비하여 1/2~1/4 정도, 특히 1/3~1/4 정도이어도 좋다.
그런데, 상기 절결면(8)은 상기 부절삭날(7) 보다 날끝으로부터 후퇴한 위치에 위치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절결면(8)의 가장 후퇴한 위치가 부절삭날(7)의 외단과 대략 같은 정도가 되도록 후퇴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절결면(8)의 내단의 선(8c)은 부절삭날(7)의 내단으로부터 드릴 비트의 중심선에 대하여 거의 직교하도록, 정확하게는 85도의 각도로 교차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더욱이 상기 절결면(8)은 상기 부절삭날(7)을 형성하는 릴리프면(4)으로 약간 경사져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약 10도~15도 정도 경사져 있다. 그리고 상기 절결면(8)은 날끝측으로부터 바라보면(도 2 및 도 4 참조), 이등변 삼각형에 가까운 삼각 형상(정확하게는, 90도가 아니라 상기 85도의 각도로 교차되어 있는 것만큼 이등변 삼각형으로부터 변형되어 있음)의 평면을 나타내고 있다.
그런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절삭날(6)의 날끝각(α)(주절삭날(6)이 드릴 비트의 중심선에 대하여 이루는 각도)과 부절삭날(7)의 날끝각(β)(부절삭날(7)이 드릴 비트의 중심선에 대하여 이루는 각도)은 동일한 각도로 구성되어 있다.
덧붙여, 도 1에 뚜렷하게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 부절삭날(7)은 주절삭날(6)로부터 날끝에 대하여 후퇴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후퇴의 정도는 적절한 치수가 고려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6㎜~20㎜ 정도의 외경을 갖는 드릴 비트에서는 0.2㎜~1.5㎜ 정도이면 좋다.
또한, 상기 부절삭날(7)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릴 비트를 길이방향에 직교한 방향으로부터 보면, 절삭날부(2b, 2d, 2f)의 두께(폭방향의 치수)를 얇게 하여 주절삭날(6)에 비하여 날끝에 대하여 후퇴하여 배치됨으로써, 즉 주절삭날(6)에 대하여 상기 부절삭날(7)이 후방으로 평행 이동한 것과 같은 위치에 설치됨으로써 상기 구성을 실현하고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면 상기 절삭면(3)과 릴리프면(4)의 모서리의 치수를 작게 함으로써 실현하여도 좋다.
또한, 각 절삭날부(2a, 2b, 2c, 2d, 2e, 2f) 사이에 형성되는, 단면이 대략 V자 형상인 오목부는 날부 절삭분말 배출홈(9)이 되고, 이들 날부 절삭분말 배출홈(9)은 비트 본체(1)의 외주에 형성된 비트 절삭분말 배출홈(10)에 연통하고 있다.
더욱이, 도시는 하지 않았지만, 비트 본체(1)의 기단부에는 회전 해머 드릴의 구동축에 장착된 척(chuck) 등의 고정수단에 지지되는 생크부가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상기 드릴 비트는 사용 시에 공지의 시판되는 드릴 비트와 교환하여 그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관한 드릴 비트는 회전 해머 드릴에 장착하여 콘크리트 등을 천공할 때 이하와 같이 작용한다.
즉, 콘크리트나 석재 등에 대한 천공 시, 드릴 구멍의 절삭면의 절삭은 주로 드릴 비트의 날끝 정점(5)으로부터 절삭날부(2)의 외단(12)에 이르는 주절삭날(6)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주절삭날(6)에 의한 절삭으로 발생하는 절삭분말 중 미세한 절삭분말은 타격절삭이 반복되는 동안에 드릴 구멍 절삭면으로부터 부상하여, 각 절삭날부(2a, 2b, 2c, 2d, 2e, 2f) 사이의 날부 절삭분말 배출홈(9)을 거쳐 비트 절삭분말 배출홈(10)으로 배출되고 드릴 구멍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된다.
한편, 드릴 구멍의 절삭면에 남아, 드릴 구멍의 절삭면의 중심 근처에 있게 되는 굵은 절삭분말은 다음 번의 타격절삭 때에 주절삭날(6)의 직접적인 타격에 의해 파쇄 되던지, 주절삭날(6) 사이로 들어와서 부절삭날(7) 끝의 절결면(8)에 의해 압축 분쇄된다. 그리고, 압축 분쇄된 절삭분말은 상기 절결면(8)의 경사에 의해 날부 절삭분말 배출홈(9)으로 압출된다. 또한 드릴 구멍의 절삭면에 남은 굵은 절삭분말 중 드릴 구멍의 절삭면 상에서 드릴 구멍의 내주벽(內周壁) 근처로 밀려난 굵은 절삭분말은 타격절삭 때에 주절삭날(6) 사이에 끼워진 상태에서 부절삭날(7)이 타격함으로써 파쇄되고, 상기 절결면(8)의 경사에 의해 날부 절삭분말 배출홈(9)으로 압출된다. 이렇게 하여 드릴 구멍의 절삭면에 발생한 굵은 절삭분말은 주절삭날(6)과 부절삭날(7)의 유기적인 협동동작에 의해 효과적으로 파쇄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천공효율이 높은 천공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천공 때의 절삭력은, 절삭날의 길이 및 배치가 상이하고, 또한 날끝으로부터의 배치 위치가 상이한 주절삭날(6)과 부절삭날(7)에 의해 항상 분담되므로 콘크리트내의 철근 혹은 석재에 부딪혀서 천공상태가 갑자기 변화하여도 이들은 별로 영향을 받지 않고 안정하게 천공작업을 계속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드릴 비트에 의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천공작업 중에 콘크리트나 석재 등에 선단이 부딪혀서 천공상태가 갑자기 변화하여도 그 변화를 완화하여 천공작업을 가급적 안정하게 할 수가 있다. 또한, 굵은 절삭분말이 발생하여도 주절삭날과 부절삭날이 유기적으로 협동하여 타격절삭작업을 방해함 없이 유효하게 파쇄하기 때문에 천공효율이 저하되는 경우가 없다.

Claims (10)

  1. 드릴의 회전중심측으로부터 외경측을 향하여 대략 방사상으로 배치됨과 아울러, 절삭면과 릴리프면의 접합에지가 선단측으로 돌출하여 형성되는 절삭날을 가지며, 드릴 선단에 배치되는 복수의 절삭날부와, 상기 절삭날부의 기단측에 설치되어 기단부에 생크부가 형성된 축 형상의 비트 본체를 구비하여, 회전동작과 축방향 동작의 복합동작에 의해 타격절삭을 행하는 드릴 비트에 있어서,
    상기 절삭날부가, 적어도 2개 이상의 주절삭날부와, 원주방향으로 상기 주절삭날부와 주절삭날부 사이에 배치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부절삭날부를 가지며,
    상기 주절삭날부는, 내단이 회전중심에 위치하고, 외단이 절삭날부의 회전궤적의 외연에 위치하는 주절삭날을, 상기 주절삭날부의 절삭날로서 구비하고,
    상기 부절삭날부는 내단이 회전중심으로부터 외경측으로 이격한 부위에 위치하고, 외단이 절삭날부의 회전궤적의 외연으로부터 회전중심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위치하는 부절삭날을, 상기 부절삭날부의 절삭날로서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 비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절삭날부의 주절삭날이 외단측에서 후방으로 후퇴하도록 경사져 있고, 각 주절삭날의 내단이 대략 회전중심점에서 접합되어 날끝 정점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 비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부절삭날부의 부절삭날이 상기 주절삭날과 동일한 각도로 동일한 방향으로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 비트.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절삭날이 주절삭날보다 후방으로 후퇴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 비트.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절삭날과 회전중심 사이에 상기 부절삭날보다 후방으로 후퇴한 절결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 비트.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절결면이 부절삭날부의 릴리프면측으로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 비트.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절삭날부와 부절삭날부가 1개의 절삭날체로서 일체의 블록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절삭날체가 상기 비트 본체의 선단에 일체로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 비트.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절삭날부와 부절삭날부가, 상기 날끝 정점을 중심으로 하여 원주방향으로 교호로 배치되고, 저면으로부터 바라볼 때, 상기 날끝 정점을 중심으로 하는 대략 별모양(asterisk) 형상을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 비트.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절삭날부와 그에 인접하는 절삭날부 사이에, 오목 형상의 날부 절삭분말 배출홈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날부 절삭분말 배출홈에 연속하도록 그 후방의 비트 본체의 외주면에 비트 절삭분말 배출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 비트.
  10. 제 1 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절삭날부가 초경합금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비트 본체가 강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 비트.
KR1020047019871A 2004-12-06 2002-06-06 드릴 비트 KR1005925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7019871A KR100592543B1 (ko) 2004-12-06 2002-06-06 드릴 비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7019871A KR100592543B1 (ko) 2004-12-06 2002-06-06 드릴 비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6524A true KR20050016524A (ko) 2005-02-21
KR100592543B1 KR100592543B1 (ko) 2006-06-26

Family

ID=41783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9871A KR100592543B1 (ko) 2004-12-06 2002-06-06 드릴 비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254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53240A (zh) * 2019-05-31 2019-09-20 新乡市金飞机械加工有限公司 一种高炉开口钻头及制造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53240A (zh) * 2019-05-31 2019-09-20 新乡市金飞机械加工有限公司 一种高炉开口钻头及制造方法
CN110253240B (zh) * 2019-05-31 2024-02-23 新乡市金飞机械加工有限公司 一种高炉开口钻头及制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92543B1 (ko) 2006-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19500B2 (ja) 回転打撃螺旋ドリル
EP1559492B1 (en) Drill bit
US6129162A (en) Rock drill
JP4189380B2 (ja) ドリルビット
JP2880584B2 (ja) 削岩ドリル
JP2002273723A (ja) 削岩ドリル
EP1230465B1 (en) Multiple cutter rotary hammer bit
US7258180B2 (en) Rotary hammerdrill bit
JP7289829B2 (ja) ドリルインサート
KR100592543B1 (ko) 드릴 비트
JP2008062620A (ja) ドリルビット
JP2700074B2 (ja) ドリル
JP3598268B2 (ja) ドリルビット
RU2283224C2 (ru) Сверло
JP2007090776A (ja) ドリルビ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