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15615A - 낙수를 이용한 유해기체 정화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낙수를 이용한 유해기체 정화방법 및 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15615A
KR20050015615A KR1020030054529A KR20030054529A KR20050015615A KR 20050015615 A KR20050015615 A KR 20050015615A KR 1020030054529 A KR1020030054529 A KR 1020030054529A KR 20030054529 A KR20030054529 A KR 20030054529A KR 20050015615 A KR20050015615 A KR 200500156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rification
harmful gas
water
tank
purified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45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34464B1 (ko
Inventor
유명규
Original Assignee
유명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명규 filed Critical 유명규
Priority to KR10-2003-00545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4464B1/ko
Publication of KR200500156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56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44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44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6Spray clea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0/00Combinations of methods or devices for separating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50/60Combinations of devices covered by groups B01D46/00 and B01D47/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7/00Components to be removed
    • B01D2257/20Halogens or halogen compounds
    • B01D2257/206Organic halogen compounds
    • B01D2257/2064Chlor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7/00Components to be removed
    • B01D2257/90Odorous compou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01D2257/00 - B01D2257/70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8/00Sources of waste gases
    • B01D2258/02Other waste gases
    • B01D2258/0283Flue gases
    • B01D2258/0291Flue gases from waste incineration pla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낙수를 이용하여 폐기물을 소각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유해기체 내에 포함된 악취 및 다이옥신 등을 무취화 또는 제거한 후 공기중으로 배기할 수 있도록 한 낙수를 이용한 유해기체 정화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소각과정에서 발생하는 유해기체를 상부가 개구된 수통이 길이방향으로 다단 설치된 자연정화탱크 내의 하부로 강제 흡입 후 상부로 상승시키는 이송단계와;
상기, 이송단계를 거쳐 자연정화탱크의 하부로부터 상승하는 유해기체가 다단으로 형성된 수통의 양옆으로 넘쳐 떨어지게 되는 낙수막을 뚫고 상승하는 단계별 과정 속에서 낙수막을 뚫고 상승하는 유해기체간에 발생되는 소형와류를 통해 유해기체 내에 포함된 악취 및 다이옥신 등이 제거되도록 하는 자연정화단계를 일체로 포함한 방법과 이 방법을 이용한 장치를 제공함에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낙수를 이용한 유해기체 정화방법 및 장치{PURIFY METHOD AND APPARATUS OF NOXIOUSNESS USING RAINDROP}
본 발명은 낙수를 이용한 유해기체 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낙수를 이용하여 폐기물 등을 소각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유해기체 내에 포함된 악취 및 다이옥신 등을 무취화 또는 제거한 후 공기중으로 배기할 수 있도록 하여 유해기체가 물 또는 정화용액(이하, 정화수라 칭함)과의 충분한 반응이 이루어지므로 효과적인 정화는 물론이고 일반 습식 유해기체 정화장치와는 달리 진동과 소음이 없고 전력비가 적게 들어 경제적 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낙수를 이용한 유해기체 정화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20세기 최후의 10수년은 환경문제가 지구규모로 확대되어 인식된 시대임과 동시에, 소비문명이 환경문제와 깊게 관련되어 있음이 명백해진 시대였다.
그리고 이 소비문명과 커다란 관계를 가진 환경문제 중의 하나가 '대량의 쓰레기문제'이다.
산업폐기물의 배출량은 종류별로는 오니, 동물의 분뇨, 건설폐자재가 전체의 약 8할을 차지하고 있으며, 최종 처분장의 잔여년수는 수도권에서의 잔여용량이 바닥을 드러내고 있다.
쓰레기 문제는 양의 문제와 질의 문제가 있다.
'양의 문제'는 폐기물을 적정하게 처리하여 처분하는 것을 맞출 수 없을 정도로 폐기물이 대량화하여, 잉여의 폐기물이 불법으로 폐기되는 불법투기가 각지에서 급증한 것과 관련되어 표면화되기 시작하였다.
'질의 문제'는 쓰레기에 함유되는 유해물질에 의한 물 오염의 발생이나 연소함에 따라 생기는 다이옥신 외에, 유해물질의 강하에 의한 지역사회 일대에의 자연환경이나 건강에의 영향의 발생이 확인된 것에 의하여 표면화되기 시작했다.
종래, 지방자치체의 쓰레기문제에 대한 대응은 위생적으로 뛰어나고, 대폭의 쓰레기 감용화에 연결되는 「소각주의」를 기본으로 하고 있었다.
그러나, 소각처리는 쓰레기량이 증가하는 것을 막지는 못하므로, 조만간에 최종 처분장 부족에 빠질 것은 명백하며, 또 폐기물의 재생이용의 가능성을 단절한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소각→매립이라는 일방향형으로부터 감량화, 재활용을 중시한 순환형으로의 전환이 중요시되고 있다.
여기서, 다이옥신은 소각로의 배기가스에서 다량 방출되는 것이며, 이산화황가스(이하 "아황산가스"라 함)는 석유의 정제시나 중유가 연소할 때 원유에 함유되어 있는 황이 산화되어 공중에 방출된다.
특히 에너지원이 석유로 전환됨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은 유해성분의 배출 농도가 점차 증가하여 대기오염이 날로 심각하게 악화되어 가고 있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대기 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유해성분의 배출허용 기준이 매우 엄격하게 되어 있는 상황이므로 이러한 기준에 적합한 정화장치가 요구되며, 또한 반도체를 제조하기 위한 크린룸이나 제약업체의 무균실 등에서는 고도의 청정도를 갖는 공기의 대량 공급이 요구된다.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이러한 유해기체를 정화하기 위한 여러 가지 형태의 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참고로 유해기체의 정화장치를 크게 분류하면 습식과 건식으로 분류할 수 있다.
여기서 습식의 대표적인 것으로는 충전탑식 정화장치를 들 수 있으며, 이의 구조를 살펴보면 대형 탱크의 하방에 기체 분출관을 설치하고 그 상방에 철망을 복수개 설치하며, 이들 철망위에 작은 크기의 입상체를 일정두께로 적치하고 그 위에 물분사관을 설치하여 입상체의 표면에 물이 고루 적셔지도록 하여서 된 것이다.
이는 대형 탱크 하방에 설치된 기체 분출관에서 오염된 기체가 분출되도록 하여 오염된 기체가 상승하면서 다층으로 적치된 입상체 사이를 빠져나오는 과정에서 입상체 표면에 도포된 물과 접촉되어 반응하게 되므로 유해 성분이 용해되고 정화된 기체만이 상승하여 배출되도록 한 것이다.
그러므로 이는 오염 기체가 입상체 사이로 빠져나가는 동안만 물과 접촉되는 것이어서 물과의 접촉면적이 제한되어 정화효율이 낮으며, 시설이 거대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 다른 형태의 습식 정화장치로서는 교반식 정화장치가 있으며, 이의 구조를 살펴보면 이는 물을 채운 탱크 하방에 기체 분출관을 설치하고 그 상방에 모우터에 의하여 회동되는 프로펠러를 설치하여 줌으로써 기체 분출관에서 발생되는 기포가 프로펠러에 의하여 파괴되면서 물과 접촉되어 반응함으로써 정화된 기체만이 상승, 배출되도록 한 구조의 것이다.
그러나 이는 기포의 부력이 프로펠러에 의한 물의 회전력보다 강하여 기포의 상승속도가 빠르게 되고 이에 따라 물과 접촉되는 시간이 충분하지 못하게 되어 유해기체가 물과 충분히 반응하지 못하므로 정화효율이 낮게 되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탱크의 직경과 동일한 정도의 대형 프로펠러를 사용하여야 하므로 모우터 역시 대형의 것을 사용하여야 하는 것이어서 진동과 소음이 심하고 전력비가 많이 들며 프로펠러의 중심부와 양단외부에 있는 기포는 별다른 회전력을 받지 않아 그대로 상승하므로 정화효율을 더욱 저하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건식으로 오염기체를 정화하는 방법으로는 코트렐(Cottrell)집진기가 있으나, 이는 습식에 비하여 효율이 낮고 설비비가 과다하게 드는 결정적인 문제점이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대부분의 오염기체 정화장치가 시설비가 과다할 뿐만 아니라 그 성능이 불충분하여 공해로 인한 민원을 유발하게 됨에 따라 가동하지 못하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인 실정이어서 이에 관한 근본적인 대책의 마련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상술한 문제를 보완하고자 얼마전에 알려진 기술 중 하나를 일예(대한민국 특허 공고 제91-447호)로 들어 설명하면 이는 원주형 수조 내부에 정화용액을 분사하여 와류를 형성시키고 와류와 동일방향으로 오염기체를 분사하여 줌으로써 오염기체의 기포가 길고 가늘게 되다가 소멸되도록 함으로써 정화용액에 오염 기체가 용해되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오염된 기체가 고속으로 와류되고 있는 정화용액속으로 저항을 받지 않고 진입할 수 있게 하고, 이 때 오염기체에 의한 기포의 부력보다 정화용액의 회전력이 강하여 기포는 점차 가늘고 길게 변형되어 종국에는 사라지게 함으로써 기체의 오염물질이 용액과 반응하고 용해되도록 한 정화방법 및 그 장치로 된 것이다.
그러므로 오염 기체가 기포로 된 후, 회전하면서 상승하는 길이가 매우 길게 되어 정화용액과 접촉하는 시간이 전술한 습식 정화장치들에 비하여 월등히 연장되는 것이므로 오염 기체의 유해성분이 정화용액에 효과적으로 흡수되어 종전의 습식 정화장치에 비하여 개선된 정화효율을 얻을 수 있었으며, 설비의 크기도 콤팩트화하고 설비비용도 크게 절감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다이옥신등 미세분진과 유해기체에 대하여 더욱 엄격한 기준이 적용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환경이 악화되면서 다이옥신 등 난처리 오염 기체의 발생이 증가하는 추세에 있으므로 대량처리가 가능하면서도 난처리 오염기체의 정화가 가능한 고효율의 정화장치가 필요하며, 환경설비의 경우 민원이 빈번하게 발생하여 설치장소의 확보가 어렵고 점유면적에 비례하여 시설비가 증가되므로 더욱 대용량을 처리할 수 있으면서도 컴팩트화된 정화수단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상술한 정화수단은 그 시설을 유지 및 가동하는데 있어 엄청난 재원이 뒤따라야하는 경제적 부담이 있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그 목적은, 낙수를 이용하여 폐기물 등을 소각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유해기체 내에 포함된 악취 및 다이옥신 등을 무취화 또는 제거한 후 공기중으로 배기할 수 있도록 하여 유해기체가 정화수과의 충분한 반응이 이루어지므로 효과적인 정화는 물론이고 일반 습식 유해기체 정화장치와는 달리 진동과 소음이 없고 전력비가 적게 들어 경제적 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낙수를 이용한 유해기체 정화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시킬 수 있도록 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
본 발명의 제 1형태는, 소각과정에서 발생하는 유해기체를 상부가 개구된 수통이 길이방향으로 다단 설치된 정화탱크 내의 하부로 강재 흡입 후 상부로 상승시키는 이송단계와;
상기, 이송단계를 거쳐 정화탱크의 하부로부터 상승하는 유해기체가 다단으로 형성된 수통의 양옆으로 넘쳐 떨어지게 되는 낙수막을 뚫고 상승하는 단계별 과정 속에서 낙수막을 뚫고 상승하는 유해기체간에 발생되는 소형와류를 통해 유해기체 내에 포함된 악취 및 다이옥신 등이 제거되도록 하는 자연정화단계를 일체로 포함하여 구성된 낙수를 이용한 유해기체 정화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 2형태는, 습식 유해기체 정화장치에 있어서,
양측 상부에는 팬에 의해 강재 압송되어 온 유해기체를 유입시킬 수 있는 입측과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출측이 형성되어 있되, 내부는 하부로 연통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격벽에 의해 입측공간부와 출측공간부로 분할 형성되어 있고, 상기 출측공간부 내에는 횡방향으로 등간격을 취하도록 설치되어 있되, 상부가 개구된 수통이 다단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다단 설치된 수통의 사이공간에는 낙수 및 유해기체유도판이 설치되어 있고, 상부에는 상기 수통에 정화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정화수공급관이 수개 설치되어 있는 낙수정화실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입측공간부 내의 상부에는 정화수분사관이 설치되어 있고, 요입지게 형성된 하부 중앙에는 회수관이 연결 설치되어 있는 정화탱크와;
상기 정화탱크와 동일한 외형을 취하도록 형성되어 있되, 입측은 상기 정화탱크의 출측과 연결되어 있고, 출측공간부 내에는 여과필터가 종방향으로 다단 적층되게 설치되어 있으며, 하부에는 상기 정화 탱크와 마찬가지로 회수관이 연결 설치되어 있고 출측에는 배출관이 연결 설치되어 있는 여과배출탱크와;
상기 회수관과 정화수분사관 및 정화수공급관과 연결 설치되어 있어 정화수분사관 및 정화수공급관에서 분사되어 일정의 정화과정을 거친 후 배출되는 낙수를 내측에 일정량 회수할 수 있되, 내측에 저장된 저장수를 펌프에 의해 상기 정화수분사관 및 정화수공급관에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피드 탱크를 일체로 포함하여 구성된 낙수를 이용한 유해기체 정화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정화탱크의 낙수정화실 내에 설치된 수통의 배열은 하부에서 상승하는 유해기체가 하부 양측으로 분리 상승되게 다단 배치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정화탱크의 낙수정화실 내에 설치된 수통의 형상은 "V"형 또는 "U"형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낙화정화실 내에 종방향으로 다단 설치되는 수통은 십자로 교차되게 설치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낙수를 이용한 유해기체 정화방법을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낙수를 이용한 유해기체 정화장치의 전체 구성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낙수를 이용한 유해기체 정화장치의 요부 구성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와 운영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 실시 예의 낙수를 이용한 유해기체 정화장치는 상술한 바와 같이 소각과정에서 발생하는 유해기체를 상부가 개구된 수통(10)이 길이방향으로 다단 설치된 정화탱크(12) 내의 하부로 강제 흡입 후 상부로 상승시키는 이송단계와; 상기, 이송단계를 거쳐 정화탱크(12)의 하부로부터 상승하는 유해기체가 다단으로 형성된 수통(10)의 양옆으로 넘쳐 떨어지게 되는 낙수막(14)을 뚫고 상승하는 단계별 과정 속에서 낙수막(14)을 뚫고 상승하는 유해기체간에 발생되는 소형와류를 통해 유해기체 내에 포함된 악취 및 다이옥신 등이 제거되도록 하는 자연정화단계를 통해 유해기체 내에 포함된 악취 및 다이옥신 등을 제거하는 방법을 구현할 수 있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 정화탱크(12)와 여과배출탱크(42) 및 피드탱크(46)를 순서대로 라인화한 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먼저, 정화탱크(12)는 양측 상부에 팬(16)에 의해 강재 압송되어 온 유해기체를 유입시킬 수 있는 입측(18a)과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출측(20a)이 형성되어 있되, 내부는 하부로 연통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격벽(22a)에 의해 입측공간부(24a)와 출측공간부(26a)로 분할 형성되어 있고, 상기 출측공간부(26a) 내에는 횡방향으로 등간격을 취하도록 설치되어 있되, 상부가 개구된 수통(10)이 다단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다단 설치된 수통(10)의 사이공간에는 낙수 및 유해기체유도판(28)이 설치되어 있고, 상부에는 상기 수통(10)에 정화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정화수공급관(30)이 수개 설치되어 있는 낙수정화실(3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입측공간부(24a) 내의 상부에는 정화수분사관(34)이 설치되어 있고, 요입지게 형성된 하부 중앙에는 회수관(36)이 연결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여과배출탱크(42)는 정화탱크(12)와 동일한 외형을 취하도록 형성되어 있되, 입측(18b)은 상기 정화탱크(12)의 출측(20a)과 연결되어 있고, 출측공간부(26b) 내에는 여과필터(38)가 종방향으로 다단 적층되게 설치되어 있으며, 하부에는 상기 정화탱크(12)와 마찬가지로 회수관(36)이 연결 설치되어 있고, 출측(20b)에는 배출관(40)이 연결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피드탱크(46)는 회수관(36)과 정화수분사관(34) 및 정화수공급관(30)과 연결 설치되어 있어 정화수분사관(34) 및 정화수공급관(30)에서 분사되어 일정의 정화과정을 거친 후 배출되는 낙수를 내측에 일정량 회수할 수 있되, 내측에 저장된 저장수를 펌프(44)에 의해 상기 정화수분사관(34) 및 정화수공급관(30)에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정화탱크(12)의 낙수정화실(32) 내에 설치된 수통(10)은 하부에서 상승하는 유해기체가 하부 양측으로 분리 상승되게 다단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정화탱크(12)의 낙수정화실(32) 내에 설치된 수통(10)의 형상은 "V"형 또는 "U"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를 먼저 간략히 설명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양측으로 정화수를 넘쳐 낙하시키는 수통(10)의 하부에 유해기체를 상승 공급하여 수통(10)의 하부 양측으로 상승하고자 하는 유해기체가 낙하하는 낙수막(14)을 통과하는 가운데 빚게되는 상호간의 와류현상에 의해 유해기체 내에 포함된 악취 및 다이옥신 등이 제거되도록 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장치를 통해 일반 습식 유해기체 정화장치와는 달리 저진동과 저소음을 실현하며 효과적인 정화를 이룰 수 있음은 물론이고, 최소의 경비로 제작과 가동 및 유지관리를 실현할 수 있는 작용을 이룰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은 방법을 통해 유해기체 정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하는 장치가 동력수단으로는 유해기체를 강제 압송할 수 있도록 하는 팬(16)과 이 유해기체의 정화에 필요한 정화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펌프(44) 외에는 구비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다단으로 설치된 수통(10)에서 양측으로 자연 낙하하는 낙수막(14)을 순차적으로 통과하는 과정에서 소형와류를 형성하며 충분히 접촉되게 되므로 효과적인 정화가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은 동력수단과 간단한 구성체만을 이용하여 제작되므로 제작비용은 물론이고 실사용시 가동 및 유지 관리비가 적게 들기 때문이다.
이러한 작용을 하는 본 발명의 작동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은 상기 팬(16)을 통해 유해기체를 정화탱크(12)의 입측(18a)으로 보내 입측공간부(24a)와 출측공간부(26a)를 차례대로 경유시킨 후 출측(20a)으로 배출한다.
이와 같은 순서를 통해 배출되는 유해기체는 먼저 정화탱크(12)의 일측에 형성된 입측공간부(24a)로 유입됨과 동시에 정화수분사관(34)에 의해 분사되는 정화수 등을 통해 1차로 정화과정을 거친 후 뒤이어 출측공간부(26a)의 하부로 부터 상승 배출되는 과정에서 이 출측공간부(26a) 내에 형성된 낙수정화실(32)을 통과하며 낙수에 의해 2차 정화과정을 거친 후 배출된다.
여기서, 상기 2차 정화과정을 수행하는 낙수정화실(32) 내에는 횡방향으로 등간격을 취하도록 설치되어 있되, 상부가 개구된 수통(10)이 종방향에 걸쳐 다단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다단 설치된 수통(10)의 사이공간에는 낙수 및 유해기체유도판(28)이 설치되어 있고, 상부에는 상기 수통(10)에 정화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정화수공급관(30)이 수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입측공간부(24a)를 경유한 후 상승 유입되는 유해기체가 다단 설치된 수통(10)의 양측으로 넘쳐흐르는 낙수막(14)을 차례로 경유하는 과정 속에서 효과적인 혼합 정화가 취해지게 된다
한편, 상기 정화탱크(12)의 낙수정화실(32) 내에 설치된 수통(10)의 배열은 하부에서 상승하는 유해기체가 하부 양측으로 분리 상승되게 다단 배치함이 바람직하고, 상기 정화탱크(12)의 낙수정화실(32) 내에 설치된 수통(10)의 형상은 "V"형 또는 "U"형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러한 정화과정을 거친 후 정화탱크(12) 내에서 배출되는 유해기체는 일측에 연결 설치된 여과배출탱크(42)의 입측공간부(24b)를 경유하여 타측에 형성된 출측공간부(26b)의 하부로부터 상승 배출되는 과정에서 이 출측공간부(26b) 내에 형성된 여과필터(38)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는 과정에서 3차 정화과정을 거친 후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상술한 정화탱크(12) 내의 습식 정화행정에 있어 꼭 필요한 정화수의 공급은 연결 설치된 피드탱크(46)에 의해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는 연결된 펌프(44)를 통해 앞에서 말한 공급을 원활하게 이룰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이와 같은 정화행정에 사용된 후 낙수되는 정화수를 다시 회수 저장하였다가 습식 정화행정에 필요한 정화수로 다시 재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작동을 한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낙수를 이용한 유해기체 정화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개략도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낙화정화실(32) 내에 종방향으로 다단 설치되는 수통(10)을 십자로 교차되게 설치하여 상승하는 유해기체와 낙하하는 정화수의 혼합을 단별로 다른 방향에서 이루어지도록 하여 습식 정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참고로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고, 여러 가지의 형태를 취할 수 있으나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인정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낙수를 이용한 유해기체 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낙수를 이용하여 폐기물 등을 소각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유해기체 내에 포함된 악취 및 다이옥신 등을 무취화 또는 제거한 후 공기 중으로 배기할 수 있도록 하여, 기존의 습식 유해기체 정화장치와는 달리 저진동과 저소음을 실현하며, 효과적인 정화를 이룰 수 있음은 물론이고, 최소의 경비로 제작과 가동 및 유지관리를 실현할 수 있어 대기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와 더불어 제작 및 실사용시의 경제성을 향상시켜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낙수를 이용한 유해기체 정화방법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낙수를 이용한 유해기체 정화장치의 전체 구성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낙수를 이용한 유해기체 정화장치의 요부 구성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낙수를 이용한 유해기체 정화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수통 12 : 정화탱크
14 : 낙수막 16 : 팬
18a,18b : 입측 20a,20b : 출측
22a,22b : 격벽 24a,24b : 입측공간부
26a,26b : 출측공간부 28 : 낙수 및 유해기체 유도판
30 : 정화수공급관 32 : 낙수정화실
34 : 정화수분사관 36 : 회수관
38 : 여과필터 40 : 배출관
42 : 여과배출탱크 44 : 펌프
46 : 피드탱크

Claims (5)

  1. 소각과정에서 발생하는 유해기체를 상부가 개구된 수통(10)이 길이방향으로 다단 설치된 정화탱크(12) 내의 하부로 강재 흡입 후 상부로 상승시키는 이송단계와;
    상기, 이송단계를 거쳐 정화탱크(12)의 하부로부터 상승하는 유해기체가 다단으로 형성된 수통(10)의 양옆으로 넘쳐 떨어지게 되는 낙수막(14)을 뚫고 상승하는 단계별 과정 속에서 낙수막(14)을 뚫고 상승하는 유해기체간에 발생되는 소형와류를 통해 유해기체 내에 포함된 악취 및 다이옥신 등이 제거되도록 하는 자연정화단계를 일체로 포함하여 구성된 낙수를 이용한 유해기체 정화방법.
  2. 습식 유해기체 정화장치에 있어서,
    양측 상부에는 팬(16)에 의해 강재 압송되어 온 유해기체를 유입시킬 수 있는 입측(18a)과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출측(20a)이 형성되어 있되, 내부는 하부로 연통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격벽(22a)에 의해 입측공간부(24a)와 출측공간부(26a)로 분할 형성되어 있고, 상기 출측공간부(26a) 내에는 횡방향으로 등간격을 취하도록 설치되어 있되, 상부가 개구된 수통(10)이 다단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다단 설치된 수통(10)의 사이공간에는 낙수 및 유해기체유도판(28)이 설치되어 있고, 상부에는 상기 수통(10)에 정화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정화수공급관(30)이 수개 설치되어 있는 낙수정화실(3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입측공간부(24a) 내의 상부에는 정화수분사관(34)이 설치되어 있고, 요입지게 형성된 하부 중앙에는 회수관(36)이 연결 설치되어 있는 정화탱크(12)와;
    상기 정화탱크(12)와 동일한 외형을 취하도록 형성되어 있되, 입측(18b)은 상기 정화탱크(12)의 출측(20a)과 연결되어 있고, 출측공간부(26b) 내에는 여과필터(38)가 종방향으로 다단 적층되게 설치되어 있으며, 하부에는 상기 정화탱크(12)와 마찬가지로 회수관(36)이 연결 설치되어 있고 출측(20b)에는 배출관(40)이 연결 설치되어 있는 여과배출탱크(42)와;
    상기 회수관(36)과 정화수분사관(34) 및 정화수공급관(30)과 연결 설치되어 있어 정화수분사관(34) 및 정화수공급관(30)에서 분사되어 일정의 정화과정을 거친 후 배출되는 낙수를 내측에 일정량 회수할 수 있되, 내측에 저장된 저장수를 펌프(44)에 의해 상기 정화수분사관(34) 및 정화수공급관(30)에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피드탱크(46)를 일체로 포함하여 구성된 낙수를 이용한 유해기체 정화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정화탱크(12)의 낙수정화실(32) 내에 설치된 수통(10)의 배열은 하부에서 상승하는 유해기체가 하부 양측으로 분리 상승되게 다단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낙수를 이용한 유해기체 정화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정화탱크(12)의 낙수정화실(32) 내에 설치된 수통(10)의 형상은 "V"형 또는 "U"형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낙수를 이용한 유해기체 정화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낙화정화실(32) 내에 종방향으로 다단 설치되는 수통(10)은 십자로 교차되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낙수를 이용한 유해기체 정화장치.
KR10-2003-0054529A 2003-08-07 2003-08-07 낙수를 이용한 유해기체 정화방법 및 장치 KR1005344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4529A KR100534464B1 (ko) 2003-08-07 2003-08-07 낙수를 이용한 유해기체 정화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4529A KR100534464B1 (ko) 2003-08-07 2003-08-07 낙수를 이용한 유해기체 정화방법 및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5439U Division KR200333265Y1 (ko) 2003-08-07 2003-08-07 낙수를 이용한 유해기체 정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5615A true KR20050015615A (ko) 2005-02-21
KR100534464B1 KR100534464B1 (ko) 2005-12-09

Family

ID=372263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4529A KR100534464B1 (ko) 2003-08-07 2003-08-07 낙수를 이용한 유해기체 정화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446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4664A (ko) * 2014-11-28 2016-06-08 엠에스 주식회사 유독가스 여과장치
CN109011999A (zh) * 2018-09-18 2018-12-18 曹峰 空气净化用的填料塔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4664A (ko) * 2014-11-28 2016-06-08 엠에스 주식회사 유독가스 여과장치
CN109011999A (zh) * 2018-09-18 2018-12-18 曹峰 空气净化用的填料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34464B1 (ko) 2005-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055669B (zh) 一种废气净化处理方法及装置
CN110479731A (zh) 无害化生活垃圾处理设备
US20060185517A1 (en) Multi-stage odor scrubber
CN106938173A (zh) 一种等离子体微纳米气泡染色废水、VOCs协同处理系统
CN108554158A (zh) 一种高温高湿烟气降温脱硫净化系统
CN106512605A (zh) 一种垃圾焚烧烟气净化系统
CN110772981A (zh) 橡胶轮胎废气净化系统
KR100534464B1 (ko) 낙수를 이용한 유해기체 정화방법 및 장치
CN102527219A (zh) 一种烟气湿法脱硫除尘一体化处理系统
CA2504594C (en) Scrubbing ionized rain tunnel (s.i.r.t.)
KR200333265Y1 (ko) 낙수를 이용한 유해기체 정화장치
CN210385482U (zh) 一种带有光氧净化功能的水喷淋净化设备
CN201832543U (zh) 干式氧化法炼胶废气除臭净化装置
CN204502704U (zh) 气体净化装置
CN107441907A (zh) 一种物质锅炉烟气多污染物处理工艺以及设备
CN104138701B (zh) 多功能燃煤锅炉烟气净化装置
US20070081924A1 (en) Scrubbing &#34;ionized&#34; rainstorm tunnel (S.I.R.T)
CN103380274B (zh) 一种节能防止滥喷污水的气体净化装置和方法
CN211159239U (zh) 一种铸造废气处理净化系统
CN210206447U (zh) 一种用于预制泵站的废气净化装置
CN2905195Y (zh) 气动波脱硫脱硝除汞一体化装置
CN203155065U (zh) 一种废气净化处理装置
CN207187497U (zh) 固废热解装置高效烟气净化器
CN111961575A (zh) 一种城市密集人口区域的垃圾和沼气综合处理方法
CN215138555U (zh) 电石渣浆液池溢散气体治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9

Year of fee payment: 11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1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