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15583A - 장식부재 교체형 장신구 - Google Patents

장식부재 교체형 장신구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15583A
KR20050015583A KR1020030054471A KR20030054471A KR20050015583A KR 20050015583 A KR20050015583 A KR 20050015583A KR 1020030054471 A KR1020030054471 A KR 1020030054471A KR 20030054471 A KR20030054471 A KR 20030054471A KR 20050015583 A KR20050015583 A KR 200500155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orative member
decorative
outer members
ornament
replace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44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38559B1 (ko
Inventor
박욱성
김지은
Original Assignee
박욱성
김지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욱성, 김지은 filed Critical 박욱성
Priority to KR10-2003-00544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8559B1/ko
Publication of KR200500155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55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85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85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5/00Miscellaneous fancy ware for personal wear, e.g. pendants, crosses, crucifixes, charm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식부재를 교체할 수 있어 장식부재의 특정 색상이나 문양이 시각적으로 현출되도록 한 장신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두 외측부재 사이에 개재된 장식부재가 고정수단에 의하여 위치 고정되어 장식부재의 교체가 용이하며, 외측부재의 골격부와 개구부로 인하여 입체감이 뛰어난 장신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는 장식부재; 상기 장식부재에 상응하는 외형을 갖고 연결수단에 의하여 이격되어 상호 연결되며, 적어도 하나의 외측부재는 상기 장식부재를 개재한 상태에서 장식부재를 볼 수 있는 개구부와 골격부를 갖는 두 외측부재; 및 상기 두 외측부재 사이에 개재된 상기 장식부재를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장식부재 교체형 장신구{ACCESSORIES WITH REPLACEABLE DECORATION}
본 발명은 장식부재를 교체할 수 있어 장식부재의 특정 색상이나 문양이 시각적으로 현출되도록 한 장신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두 외측부재 사이에 개재된 장식부재가 고정수단에 의하여 위치 고정되어 장식부재의 교체가 용이하며, 외측부재의 골격부와 개구부로 인하여 입체감이 뛰어난 장신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 목걸이, 귀고리, 열쇠고리, 각종 표찰, 이름표, 애완견용 목걸이, 또는 휴대폰 액세서리 등을 위한 펜던트(pendant)로 활용할 수 있는 장신구 중 장식부재의 교체를 통하여 쉽게 싫증나지 않게 하며 취향에 따라 다양한 색상과 문양을 선택할 수 있게 하는 장신구가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0134998호의『장식체가 교체 가능한 장신구』는 장식체가 본체와 자석에 의하여 결합되도록 한 장신구에 관한 것이다.
또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개 제1998-028931호의『장식판의 교체가 용이한 펜던트』는 사진틀과 같이 본체에 삽입되는 장식판이 볼록렌즈형 뚜껑을 통하여 보이도록 한 펜던트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02-0023873호의『장신구용 메달』은 역시 사진틀과 같이 본체에 수납되는 장식메달이 투시창을 통하여 보이도록 하는 장신구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장신구들은 장식효과를 거의 전적으로 장식체, 장식판 또는 장식메달과 같은 장식부재에 의존하고 있으며, 이러한 장식부재들이 수납되는 본체는 단순한 케이스의 역할을 하고 있다.
이로 인하여 장신구의 입체감이 부족하고 디자인의 다양화에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 장식부재 교체형 장신구가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이다.
본 발명은 장신구에 쉽게 실증을 느끼지 않도록 다양한 색상과 문양을 제공하기 위하여 장식부재를 쉽게 교체할 수 있는 장신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장식효과를 장식부재뿐 아니라 장식부재가 결합되는 외측부재에 의해서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특정구조의 외측부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장식부재를 개폐하거나, 자석과 같은 별도의 보조부재를 사용하지 않고도 외측부재와 장식부재의 구조 및 형상에 의하여 용이하게 탈착시킬 수 있는 장식부재 교체형 장신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는 장식부재; 상기 장식부재에 상응하는 외형을 갖고 연결수단에 의하여 이격되어 상호 연결되며, 적어도 하나의 외측부재는 상기 장식부재를 개재한 상태에서 장식부재를 볼 수 있는 개구부와 골격부를 갖는 두 외측부재; 및 상기 두 외측부재 사이에 개재된 상기 장식부재를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낸다.
도 1 및 도 2에서, 장신구의 두 외측부재(20)(30)는 연결수단(40)에 의하여 연결되며, 연결수단(40)의 길이만큼 두 외측부재(20)(30)는 서로 이격되어 있는데, 이 이격된 공간으로 장식부재(10)가 삽입되게 된다.
연결수단(40)의 형태와 수는 다양해질 수 있다. 외측부재(20)(30)는 장식부재(10)가 보일 수 있도록 하는 개구부(21)(23)와 골격부(23)(33)로 이루어져 있다.
특히 외측부재(20)(30)의 골격부(23)(33)는 특정 문자나 형상 등을 이루게 되는데, 도면에서 골격부(23)(33)는 12지간(十二支干)중 신(申)에 해당하는 원숭이 캐릭터 형태를 이루고 있다.
이렇게 외측부재(20)(30)의 골격부(23)(33)가 특정 문자나 형상을 이루고, 장식부재(10)의 색상이나 문양이 외측부재(20)(30)의 개구부(21)(31)를 통하여 현출되므로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는 입체감이 살아 있고, 다채로운 디자인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외측부재의 골격부가 12지간 모두를 캐릭터화시킨 형태가 되도록 하거나, 장신구가 애완견 등의 이름표로 활용될 경우 골격부는 이름에 해당하는 문자를 이룰 수 있다.
도면에서 외측부재(20)(30) 중 하나(20)는 전면 부재에 해당할 경우를 고려하여 복잡하고 세밀한 형상을 이루며, 다른 부재(30)는 후면 부재에 해당할 경우를 고려하여 개략적인 형태로 되어 있다.
그러나 두 외측부재 모두의 개구부와 골격부가 복잡하고 세밀한 형상을 이룰 수 있고, 이 경우 외측부재 모두가 노출되는 형태의 장신구가 된다. 또 외측부재 중 하나의 개구부와 골격부는 세밀한 형태를 이루고 다른 부재는 개구부가 없는 평판 형태일 수 있고, 이 경우 장신구는 일면만이 노출되는 형태를 위한 것이다.
이렇게 한 쪽 외측부재만 세밀하게 가공하는 방법은, 제조 작업을 단순화 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제품의 생산단가를 절감하는 효과를 얻고자 할 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에서 상기 두 외측부재(20)(30) 사이에 개재되는 장식부재(10)는 다양한 색상과 문양을 갖는다. 도 2에서, 외측부재(20)(30)와 장식부재(10)는 상응하는 외형을 갖는다. 장식부재(10)는 천연재료인 자개 하나로 이루어진 것이거나, 원숭이의 눈이나 입을 표현하기 위하여 평판형 본체의 해당 부위에 보석이 박힌 것일 수도 있다.
외측부재 사이에 개재된 장식부재를 위치 고정하는 고정수단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성체를 이용한 것, 나사결합을 이용한 것, 클립을 이용한 것, 결합돌기와 결합홈을 이용한 것 등일 수 있다.
이러한 여러 고정수단 중 본 발명에서는 도 1과 도 1의 A-A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인 도 3에 도시한 고정수단을 제안한다.
즉 두 외측부재(20)(30)를 연결하고 있는 연결수단(40)에 상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상기 장식부재(10)의 결합홈(11)에 연결수단(40)이 억지끼움되는 형태의 것이다.
도면에서 두 외측부재(20)(30)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는 장식부재(10)는 연결부재(40)와 억지끼움에 의하여 고정되므로 쉽게 탈락하지는 않지만, 장기간 수시로 장식부재(10)를 교체할 경우에는 연결수단(40)이 좌우로 벌어져서 장식부재(10)가 헐겁게 고정되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연결수단(40)에서 장식부재가 이탈하여 두 외측부재(20)(30)의 상부로 빠져나갈 가능성을 생각해 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장신구로 사용할 때에는 외측부재(20)(30) 상부에 형성되는 고리 사이를 가로지르는 빗장의 역할을 하는 별도의 연결부재가 구비되므로 장식부재가 탈락을 원천적으로 봉쇄하는 것이다.
도 1에 도시한 장신구는 목걸이 등에 활용될 수 있는 펜던트인 경우를 고려한 것으로, 외측부재 중 특히 하부 외측부재(30)에는 고리(35)가 형성되어 있고, 이 고리(35)에는 연결부재, 특히 통상의 목걸이에서 많이 사용되는 후크형 연결고리(R)가 끼워진다. 이 경우 연결고리(R)는 빗장역할을 하게되므로 장식부재(10)가 연결수단(40)과 분리되더라도 외부로 빠져 나오지 못하게 된다.
고리는 외측부재 모두에 형성될 수 있으나,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의 외측부재에만 고리(35)가 형성되고, 이 고리(35)에 끼워진 연결고리(R)로도 충분히 장식부재(10)의 상부로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서, 본 발명의 상기 고리(35)에 끼워지는 후크형 연결고리(R) 없이 목걸이 줄, 즉 체인(C)만을 고리(35)에 끼워도 연결고리(R)와 마찬가지로 빗장역할을 하게되므로 장식부재(10)가 연결수단(40)과 분리되어 외부로 빠져 나오는 현상을 방지하게된다.
이렇게 연결고리(R)나 체인(C)이 사용될 경우, 외측부재와 장식부재의 고정수단 기능을 하는 장식부재(10)의 결합홈(11)과 연결수단(40)은 억지끼움이 아니라 헐겁게 결합되는 방식이어도 장식부재(10)가 외측부재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연결고리(R) 또는 체인(C) 또한 외측부재 사이에 개재된 장식부재를 위한 고정수단으로 기능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장식부재(10)가 연결부재(40)에 억지끼움되어 고정되는 작용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장식부재의 결합홈(11)은 장식부재의 하부에서 상부로 가면서 완만하게 경사져 올라가는 부위에 약간만 오목하게 형성한다.
또한 상기 장식부재의 결합홈(11)에 대응하는 외측부재(20)(30)의 위치에 연결수단(40)을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장식부재를 외측부재(20)(30)의 상단에 형성된 공간으로부터 밀어 넣으면 장식부재가 연결수단(40)을 밀면서 하강하므로 연결수단(40)이 장식부재의 결합홈(11)으로 딸깍하고 억지끼움 되게된다.
따라서 연결수단(40)은 어느 정도 탄성이 있는 금속성 재질로 형성하게된다.
장식부재(10)를 교체할 경우에는 외측부재(20)(30)의 하단부의 공간을 통해 장식부재를 가압하여 밀어올리게 된다. 따라서 연결부재(40)로부터 장식부재는 강제로 탈락되게되며, 이어서 다른 장식부재를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연결부재에 끼워 넣으면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장식부재 교체형 장신구는 두 외측부재 사이에 개재되는 장식부재를 쉽게 교체할 수 있어 사용자가 장신구를 쉽게 실증을 내지 않으면서도 취향에 따라 다양한 색상과 문양의 장식부재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본발명의 장식부재는 억지끼움으로 고정되므로 별도의 고정을 위한 보조부재가 필요하지 않으며, 고정된 후에도 쉽게 탈락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 두 외측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장식부재가 보일 수 있는 개구부와 골격부를 갖으며, 골격부가 특정 형상이나 문자를 이루는 구조이므로, 이로 인하여 장신구의 입체감이 뛰어나고 다양한 디자인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는 목걸이, 귀고리, 열쇠고리, 각종 표찰, 이름표, 애완견용 목걸이, 또는 휴대폰 액세서리 등을 위한 펜던트(pendant)뿐 아니라 반지나 귀고리를 위한 장식물로 활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특징들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되고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으나, 이러한 변형 및 조합이 장신구를 이루는 교체형 장식부재와, 이 장식부재가 개재되어 위치고정되며 개구부와 골격부로 이루어진 외측부재와 관련이 있을 경우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의 결합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A-A선을 따라 절개한 장신구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장식부재 11: 결합홈
20,30: 외측부재 21,31: 개구부
23,33: 골격부 35: 고리
R: 연결고리 C: 체인
40: 연결수단

Claims (4)

  1. 장식부재와;
    상기 장식부재에 상응하는 외형을 갖고 연결수단에 의하여 이격되어 상호 연결되며, 적어도 하나의 외측부재는 상기 장식부재를 개재한 상태에서 장식부재를 볼 수 있는 개구부와 골격부를 갖는 두 외측부재; 및
    상기 두 외측부재 사이에 개재된 상기 장식부재를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장식부재 교체형 장신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장식부재에 형성된 결합홈과, 이 결합홈에 끼워지는 상기 연결수단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부재 교체형 장신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부재의 결합홈에 삽입되는 상기 연결수단은 억지끼움 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부재 교체형 장신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외측부재 상단에 형성되는 고리와 상기 고리를 관통하여 빗장역할을 하는 연결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부재 교체형 장신구.
KR10-2003-0054471A 2003-08-06 2003-08-06 장식부재 교체형 장신구 KR1005385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4471A KR100538559B1 (ko) 2003-08-06 2003-08-06 장식부재 교체형 장신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4471A KR100538559B1 (ko) 2003-08-06 2003-08-06 장식부재 교체형 장신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5583A true KR20050015583A (ko) 2005-02-21
KR100538559B1 KR100538559B1 (ko) 2005-12-22

Family

ID=37226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4471A KR100538559B1 (ko) 2003-08-06 2003-08-06 장식부재 교체형 장신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855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8607A (ko) 2016-12-14 2018-06-22 (주)이건만에이앤에프 모듈형 쥬얼리
KR102426847B1 (ko) 2022-03-21 2022-07-29 주식회사 규드래곤 장식 교체가 가능한 장신구용 펜던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38559B1 (ko) 2005-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54110B2 (en) Split piece of jewelry
CN211882564U (zh) 能够更换饰物的首饰系统及与其一起使用的能够更换的钥匙、能够更换饰物的首饰套件
US7322213B2 (en) Modifiable jewelry
US7596966B2 (en) Interchangeable jewelry clip
KR100538559B1 (ko) 장식부재 교체형 장신구
US4944164A (en) Convertible earring
CN202664473U (zh) 一种组合首饰
US20130000353A1 (en) Colored accessory
CN210407358U (zh) 组合式吊坠饰品
KR102178793B1 (ko) 순금 장식연결구
CN213664034U (zh) 一种吊坠结构及首饰
KR102383077B1 (ko) 특정 부위를 기부에 사용할 수 있는 반지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기부 반지
KR200363084Y1 (ko) 목걸이용 장식구
KR200437300Y1 (ko) 액세서리용 펜던트
KR0134998B1 (ko) 장식체가 교체 가능한 장신구
KR101949161B1 (ko) 점자 교체형 쥬얼리
CN211747424U (zh) 一种戒指
KR200388106Y1 (ko) 문자 조합 목걸이
KR200333017Y1 (ko) 돋보기가 설치된 펜던트
US20050081560A1 (en) Scapular
KR200465690Y1 (ko) 장신구 모듈
KR200235993Y1 (ko) 목걸이
KR200326779Y1 (ko) 보석이 장식된 폴더형 휴대폰
CN114557523A (zh) 一种可自由组合拆卸的首饰装配结构
KR20090005402U (ko) 장식판을 교체할 수 있는 액세서리용 펜던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51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