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15115A - 횡류팬 - Google Patents

횡류팬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15115A
KR20050015115A KR1020030053632A KR20030053632A KR20050015115A KR 20050015115 A KR20050015115 A KR 20050015115A KR 1020030053632 A KR1020030053632 A KR 1020030053632A KR 20030053632 A KR20030053632 A KR 20030053632A KR 20050015115 A KR20050015115 A KR 200500151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duct
flow fan
cross
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36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536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15115A/ko
Publication of KR200500151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5115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7/00Radial-flow pumps, e.g. centrifugal pumps;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17/02Radial-flow pumps, e.g. centrifugal pumps; Helico-centrifugal pumps having non-centrifugal stages, e.g. centripetal
    • F04D17/04Radial-flow pumps, e.g. centrifugal pumps; Helico-centrifugal pumps having non-centrifugal stages, e.g. centripetal of transverse-flow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 F04D29/28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centrifug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radial-flow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281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centrifug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radial-flow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fans or blow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송풍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횡류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횡류팬은 다수의 송풍날개가 환상으로 배치되며 기체가 유동하는 덕트의 중도에 배치되어 일측에서 기체를 흡입하여 타측으로 토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으로, 다수의 송풍날개 내측에는 일측은 기체가 흡입되는 덕트의 흡입측을 향하여 개방되며 타측은 기체가 토출되는 덕트의 토출측을 향하여 개방된 가이드유로가 형성되어, 횡류팬 내측으로 유입된 공기가 가이드유로에 의해 토출측으로 안내되게 함으로써 횡류팬 내측 공간이 공기를 토출구측으로 안내하는 유로로 작용하게 함과 동시에 횡류팬 내측에서 발생하는 맴돌이 현상을 방지하여 송풍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작용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횡류팬{CROSS FLOW FAN}
본 발명은 횡류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송풍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횡류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횡류팬은 회동하며 기체가 그 원주방향으로 유동하도록 하는 것으로, 기체가 흐르는 덕트의 중도에 설치되어 기체가 유동하게 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횡류팬은 환상으로 배치되어 있는 다수의 송풍날개와, 송풍날개들의 양단에 설치되어 다수의 송풍날개들을 지지하기 위한 원판형상의 날개 지지부재와, 두 날개 지지부재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횡류팬이 덕트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게 하기 위한 회동축이 구비되어 있으며, 두 회동축 중 어느 일측에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가 설치되어 횡류팬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횡류팬은 회전하며 흡입력 및 송풍력을 발생시키는 과정에서 다수의 송풍날개 내측으로 불가피하게 공기가 흡입되면, 내측에서 공기가 맴돌이 현상이 발생하고, 이러한 맴돌이 현상이 횡류팬의 회전을 저해하는 요소로 작용하여 송풍효율을 저하시킨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송풍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횡류팬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수의 송풍날개가 환상으로 배치되며 기체가 유동하는 덕트의 중도에 배치되어 일측에서 기체를 흡입하여 타측으로 토출하는 횡류팬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송풍날개 내측에는 일측은 기체가 흡입되는 덕트의 흡입측을 향하여 개방되며 타측은 기체가 토출되는 덕트의 토출측을 향하여 개방된 가이드유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유로는 일단은 덕트의 흡입측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타단은 덕트의 토출측을 향하도록 배치된 다수의 가이드 플레이트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에는 상기 다수의 가이드 플레이트가 서로 이격된 상태로 고정되게 하는 다수의 가이드 지지부재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송풍날개의 양 끝단에는 상기 송풍날개를 지지하며 덕트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게 하기 위한 회동축이 마련되어 있는 날개 지지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플레이트 중 양 끝에 위치한 가이드 플레이트에는 상기 가이드장치가 덕트에 고정설치되게 하는 고정축이 연장되되, 상기 회동축은 상기 고정축이 관통하여 덕트에 고정될 수 있도록 중공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날개 지지부재 중 일측 날개 지지부재는 상기 가이드플레이트 및 상기 날개 지지부재를 설치할 수 있도록 별도로 제조되어 상기 송풍날개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는 곡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횡류팬이 공기조화기에 적용되었을 경우를 예로써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횡류팬이 적용된 공기조화기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외관을 이루는 본체(10)의 상측 및 전면측에는 실내의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11)가 마련되며 본체(10)의 하부에는 흡입된 공기가 다시 실내공간으로 토출되는 토출구(12)가 마련된다.
이 때, 본체(10)의 내부 공간은 공기를 흡입구(11)로부터 토출구(12)로 안내하는 덕트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회전하며 흡입력 및 송풍력을 발생시켜 공기가 흡입구(11)를 통해 흡입된 후 토출구(12)를 통해 토출되게 하는 횡류팬(20)과, 냉기를 발생시켜 흡입구(11)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냉각하는 증발기(30)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본체(10)의 내부 전방측에는 흡입구(11)와 토출구(12) 사이에 횡류팬(20)의 흡입측과 토출측을 구획하는 스테빌라이져(13)가 배치되어 있으며, 내부 후방측에는 횡류팬(20)에 의해 유동하는 공기를 안내할 수 있도록 백플레이트(14)가 배치되어 있다. 미설명부호 15는 토출구(12)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풍향조절날개(15) 이다.
횡류팬(20)은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4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며 공기 등의 기체가 그 원주방향으로 유동하게 함으로써 흡입력 및 송풍력을 발생시키는 장치로, 환상으로 배치된 다수의 송풍날개(21)와, 원판형상으로 형성되어 다수의 송풍날개(21)의 양 끝단을 각각 지지하며 횡류팬(20)이 본체(10) 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중심부에 회동축(24)이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한 쌍의 날개 지지부재(22)와, 다수의 송풍날개(21)의 중도에 마련되어 다수의 송풍날개(21)들이 서로 지지되도록 함으로 송풍날개(21)의 처짐 및 변형을 방지하는 지지리브(23)로 이루어져 있다.
이 때, 횡류팬(20)의 두 회동축(24) 중 어느 일측 회동축(24)에는 구동모터(4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기어(25)가 설치되어 있으며, 구동모터(40)의 회전축(41)에는 피니언(42)이 설치되어 있어 횡류팬(20)은 피니언(42) 및 기어(25)를 통해 구동모터(4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횡류팬(20)에는 환상으로 배치된 다수의 송풍날개(21) 내측에 흡입구(11)측으로부터 횡류팬(20) 내측으로 유입된 공기를 토출구(12)측으로 안내하는 가이드장치(50)가 구비되어 있다.
가이드장치(50)는 일측은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11)측을 향하여 개방되고 타측은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12)측을 향하여 개방되어 있는 가이드유로(51)를 포함하여 흡입구(11)측으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토출구(12)측으로 안내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유로(51)는 서로 이격되게 설치된 다수의 가이드 플레이트(52)에 의해 형성되는데, 가이드 플레이트(52)는 그 일단이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11)측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그 타단이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12)측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가이드 플레이트(52)들 사이의 공간이 가이드유로(51)를 형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가이드 플레이트(52)는 공기가 원활하게 유동할 수 있도록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 지지부재(53)가 서로 이격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가이드 플레이트(52)의 양 끝단 및 중도에는 원판형상의 가이드 지지부재(53)가 다수 마련되어 가이드 플레이트(52)들 사이에 일정한 가이드유로(51)가 형성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가이드 지지부재(53) 중 양 끝단에 위치한 가이드 지지부재(53)의 중심에는 본체(10) 내측에 고정되어 가이드 지지부재(53)가 본체(10)에 고정 설치되게 하는 고정축(54)이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때, 이러한 가이드장치(50)를 설치하기 위해 일측 날개 지지부재(22)는 별도의 부품으로 제조되어 송풍날개(21) 내측에 가이드장치(50)를 장착한 후 스크류 등을 통해 횡류팬(20)에 고정될 수 있게 되어 있으며, 횡류팬(20)의 양측에 마련된 회동축(24)은 가이드 지지부재(53)로부터 연장된 고정축(54)이 관통하여 본체(10)에 고정될 수 있도록 중앙이 개방되어 있는 중공축으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구동모터(40)에서 발생한 회전력이 피니언(42) 및 기어를 통해 회동축(24)에 전달되어 횡류팬(20)이 회전하게 되더라도, 횡류팬(20) 내측에 설치된 가이드장치(50)는 회전하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횡류팬(20)이 공기조화기에 적용되어 있을 경우를 예로써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기체를 안내하는 다양한 유로 상에 본 발명에 따른 횡류팬(20) 및 가이드장치(50)를 배치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은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횡류팬의 동작 및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한다.
구동모터(40)에 전원이 인가되어 구동모터(40)에서 발생된 회전력은 피니언(42) 및 기어(25)를 통해 회동축(24)에 전달되면 횡류팬(20)이 회전하면서 공기를 그 원주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고 그에 따라 흡입력 및 송풍력이 발생한다.
따라서, 공기는 본체(10)의 상측 및 전면측에 마련된 흡입구(11)를 통해 흡입되어 증발기(30)와 열교환하여 냉각된 후, 횡류팬(20)의 원주방향으로 이동하고, 계속해서 백플레이트(14)에 의해 안내되어 본체(10)의 하부에 마련된 토출구(12)를 통해 토출된다.
이와 같이 횡류팬(20)에 공기가 흡입 및 토출되는 과정에서 흡입구(11)를 통해 본체(10) 내로 유입된 공기 중 일부는 환상으로 배치되어 있는 송풍날개(21) 내측으로 유입된다. 이 때, 송풍날개(21)의 내측에는 송풍날개(21) 내측으로 유입된 공기를 토출구(12)측으로 안내하는 가이드유로(51)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공기는 가이드유로(51)를 따라 토출구(12)측으로 이동한 후 백플레이트(14)에 의해 안내된 공기와 합류하여 토출구로 토출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횡류팬은 내부에 공기를 안내하는 가이드유로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횡류팬 내측으로 유입된 공기가 가이드유로에 의해 토출측으로 안내되므로, 횡류팬 내측 공간이 공기를 토출구측으로 안내하는 유로로 작용하게 될 뿐만 아니라 횡류팬 내측에서 발생하는 맴돌이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므로 송풍효율이 향상되는 작용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횡류팬이 적용된 공기조화기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횡류팬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본체 11: 흡입구
12: 토출구 20: 송풍팬
21: 송풍날개 22: 날개 지지부재
23: 지지리브 24: 회동축
25: 기어 40: 구동모터
41: 회전축 42: 피니언
50: 가이드장치 51: 가이드유로
52: 가이드 플레이트 53: 가이드 지지부재
54: 고정축

Claims (6)

  1. 다수의 송풍날개가 환상으로 배치되며 기체가 유동하는 덕트의 중도에 배치되어 일측에서 기체를 흡입하여 타측으로 토출하는 횡류팬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송풍날개 내측에는 일측은 기체가 흡입되는 덕트의 흡입측을 향하여 개방되며 타측은 기체가 토출되는 덕트의 토출측을 향하여 개방된 가이드유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류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유로는 일단은 덕트의 흡입측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타단은 덕트의 토출측을 향하도록 배치된 다수의 가이드 플레이트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류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에는 상기 다수의 가이드 플레이트가 서로 이격된 상태로 고정되게 하는 다수의 가이드 지지부재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류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날개의 양 끝단에는 상기 송풍날개를 지지하며 덕트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게 하기 위한 회동축이 마련되어 있는 날개 지지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플레이트 중 양 끝에 위치한 가이드 플레이트에는 상기 가이드장치가 덕트에 고정설치되게 하는 고정축이 연장되되,
    상기 회동축은 상기 고정축이 관통하여 덕트에 고정될 수 있도록 중공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류팬.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 지지부재 중 일측 날개 지지부재는 상기 가이드플레이트 및 상기 날개 지지부재를 설치할 수 있도록 별도로 제조되어 상기 송풍날개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류팬.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는 곡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류팬.
KR1020030053632A 2003-08-02 2003-08-02 횡류팬 KR200500151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3632A KR20050015115A (ko) 2003-08-02 2003-08-02 횡류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3632A KR20050015115A (ko) 2003-08-02 2003-08-02 횡류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5115A true KR20050015115A (ko) 2005-02-21

Family

ID=37225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3632A KR20050015115A (ko) 2003-08-02 2003-08-02 횡류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1511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7848B1 (ko) * 2005-11-04 2007-08-08 엘지전자 주식회사 평면 디스플레이 기기의 냉각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7848B1 (ko) * 2005-11-04 2007-08-08 엘지전자 주식회사 평면 디스플레이 기기의 냉각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00718B2 (ja) 空気調和装置
US6386828B1 (en) Ventilation fan
JP3972894B2 (ja) 空気調和装置
KR20140019106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100041278A (ko) 원심팬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
KR20040101528A (ko) 원심 송풍기 및 원심 송풍기를 구비한 공기 조화 장치
KR100428689B1 (ko) 사류식 에어제트 송풍기
KR102058064B1 (ko) 공기조화기
US11885336B2 (en) Blower
TWI654377B (zh) Air conditioner
KR20080054153A (ko) 터보팬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
KR102025993B1 (ko) 스탠드형 공기조화기
CN109854523A (zh) 风机及具有其的空调室内机
KR940007838Y1 (ko) 에어콘의 송풍장치
JP2019196866A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KR20100104870A (ko) 송풍기 및 이러한 송풍기를 구비한 공기조화기
KR20010011439A (ko) 공기조화기의 송풍장치
KR20050015115A (ko) 횡류팬
KR20020047700A (ko) 공기조화기
WO2022186176A1 (ja) 送風機および室内機
WO2023135782A1 (ja) 遠心送風機、および室内機
WO2024048769A1 (ja) 羽根車、送風機及び空調機
KR960009350Y1 (ko) 공조기용 송풍장치
KR100300582B1 (ko) 2방향 토출 에어컨
JP2005207733A (ja) 空気調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