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9350Y1 - 공조기용 송풍장치 - Google Patents

공조기용 송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9350Y1
KR960009350Y1 KR2019930023152U KR930023152U KR960009350Y1 KR 960009350 Y1 KR960009350 Y1 KR 960009350Y1 KR 2019930023152 U KR2019930023152 U KR 2019930023152U KR 930023152 U KR930023152 U KR 930023152U KR 960009350 Y1 KR960009350 Y1 KR 9600093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fan
housing
blower
s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231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4674U (ko
Inventor
박병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구자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구자홍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300231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9350Y1/ko
Publication of KR95001467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467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93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9350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6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 F04D29/661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667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by influencing the flow pattern, e.g. suppression of turbulen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ir-Conditioning Room Units, And Self-Contained Units In Genera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공조기용 송풍장치
제1도는 종래 공조기의 정면도로서 공기유동 분포도가 표시된 도면.
제2도는 종래 공조기의 단면도로서 공기유동 분포도가 표시된 도면.
제3도는 종래 공조기의 송풍장치 분해사시도.
제4도는 종래 공조기의 송풍장치의 팬 내부의 공기유동 분포도.
제5도는 종래 공조기의 송풍장치의 팬에 와류가 발생되는 상태로서, (a)는 정면도, (b)는 측단면도.
제6도는 본 고안 공조기의 정면도.
제7도는 본 고안 공조기의 단면도.
제8도는 본 고안 공조기의 송풍장치 분해사시도.
제9도는 본 고안 공조기의 송풍장치의 팬 내부의 공기유동 분포도로써, (a)는 정면도, (b)는 배면도, (c)는 단면도.
제10도는 본 고안 공조기의 송풍장치의 하우징내에서 냉각공기가 흡입되어 토출되는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7 : 송풍팬 109 : 하우징
115 : 메인플레이트 116 : 곡률형상의 보조날개
117 : 직선형 보조날개 118 : 토출안내판
119 : 차단부 120 : 팬토출부
본 고안은 공조기용 송풍장치의 소음저감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공기의 흡입 및 토출시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하도록 한 것이다.
종래의 공조기는 제1도 및 제2도와 같이 몸체(1)의 하부에는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그릴부(2)와, 상기 흡입그릴부(2)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를 냉각시켜주는 열교환부(3)와, 상기 열교환부(3)에 의하여 냉각된 공기를 흡입하여 토출하는 송풍부(4)와, 상기 송풍부(4)에 의하여 토출돈 냉각공기가 외부로 토출되는 토출그릴부(5)가 구성되었다.
그리고, 상기 송풍부(4)는 제3도와 같이 몸체(1)에 형성된 보강판(6)과, 상기 보강판(6)에 고정되어 송풍팬(7)을 회전시키는 팬모터(8)와, 상기 송풍팬(7)의 회전에 따라 냉각공기가 흡입되어 토출되는 것을 안내하는 하우징(9)과, 상기 하우징(9)의 측면을 막아주는 측면하우징(10)과, 상기 측면하우징(10)에는 오리피스(11)가 구비되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태에서 공조기를 가동시키면 공기가 흡입그릴부(2)를 통하여 흡입되어 열교환부(3)를 지나면서 냉각된다.
이와 같이 냉각된 공기는 송풍부(4)의 팬모터(8)의 구동에 따라 송풍팬(7)이 회전하게 되기 때문에 상기 송풍팬(7)의 회전력에 의하여 하우징(9)내로 흡입되었다가 토출된다.
그리고, 하우징(9)에서 토출된 냉각공기는 토출그릴부(5)를 통하여 토출되었다. 이와 같이 공조기가 작동하는 과정에서 흡입그릴부(2)를 통하여 흡입되었다가 열교환부(3)를 통과한 차가운 공기는 S자로 꺽여져서 측면하우징(10)과 하우징(9)에 장착된 오리피스(11)를 통하여 송풍부(4)내로 유입된다.
이때, 송풍부(4)는 양흡입식의 팬(7)이 장착되었기 때문에 제1도 및 제2도의 공기유동 분포도와 같이 열교환부(3)를 통과한 공기의 일부는 전면판넬(12)의 전면에서 흡입되고 일부는 팬모터(8)측의 후면으로 흡입된다.
상기 팬(7)은 제5도와 같이 메인플레이트(13)을 중심으로 양편에 다수개의 날개(14)가 부착되어 있고 팬링(15)으로 지지되며, 상기 메인플레이트(13)의 중심에는 강도보강을 위하여 여러조각의 리브(16)가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태에서 공조기가 가동되면 흡입그릴부(2)를 통해 실내의 공기를 흡입하고, 흡입된 공기는 열교환부(3)를 거쳐서 열교환기부(3)를 순환하는 차가운 냉매에 의해 열교환이 발생하여 냉각되어 진다.
이와 같이 냉각되어진 공기는 송풍장치내로 유입되어 지는데 이 냉각공기의 흡입력은 팬(7)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에 의해 발생한다.
즉, 냉각공기는 송풍장치의 관로 중앙에 하우징(9)이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9)내에 구성돈 팬(7)에 부착된 날개(14)의 회전에 의하여 오리피스(11)를 통해 흡입된다.
상기 팬(7)의 회전력은 보강판(6)에 부착된 팬모터(8)에 발생되고, 상기 오리피스(11)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날개(14)를 통해 90°로 회전하여 하우징(9)으로 토출이 발생하는데, 이때 제5도와 같이 팬(7)의 전후면의 중앙부에서는 와류가 발생하고 날개(14)의 근처에서 집중적인 흡입이 발생한다.
이는 흡입유로 단면적의 축소를 가져와서 흡입이 불균일하며 흡입소음을 증대시킨다.
특히, 오리피스(11)의 날개(14)의 근방은 빈영역(Dead Zone)이 발생하며 와류 발생의 재순환영역이 발생한다.
또한, 날개(14)를 통과한 토출공기는 하우징(9)의 곡률부를 따라 모아져서 팬토출부(17)를 통해 유출되는데 이때 곡률부를 따라서 빠른 속도의 공기가 충분히 가압되지 못하고, 외부로 토출될 때 하우징(9) 곡률부의 내연을 따라 제4도와 같이 유동박리 및 와류가 발생하기 때문에 불안정한 토출로 인하여 토출소음의 증대를 가져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고안한 것으로서 송풍팬내로 흡입되는 냉각 공기를 가압, 가속시켜 흡입분포가 균일하게하여 팬의 중앙에서 와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메인플레이트에 와류발생방지수단을 구비함으로써, 냉각공기가 하우징으로 흡입되며 토출될 때 하우징의 토출부에서 박리 및 와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흡입, 토출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고안 공조기용 송풍장치의 소음저감장치를 제5도 및 제6도에 의하여 설명한다.
몸체(101)의 하부엑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그릴부(102)와, 상기 흡입그릴부(102)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를 냉각시켜주는 열교환부(103)와, 상기 열교환부(103)에 의하여 냉각된 공기를 흡입하여 토출하는 송풍부(104)와, 상기 송풍부(104)에 의하여 토출된 냉각공기가 외부로 토출되는 토출그릴부(105)로 구성하였다.
그리고, 상기 송풍부(104)는 제8도와 같이 몸체(101)에 형성된 보강판(106)과, 상기 보강판(106)에 고정되어 송풍팬(107)을 회전시키는 팬모터(108)와, 상기 송풍팬(107)의 회전에 따라 냉각공기가 흡입되어 토출되는 것을 안내하는 하우징(109)과, 상기 하우징(109)의 측면을 막아주는 측면하우징(110)과 상기 측면하우징(110)에 형성된 오리피스(111)를 구비하였다.
상기 송풍팬(107)을 메인플레이트(112)를 중심으로 양편에 다수개 날개(113)가 부착되어 있고 팬링(114)으로 지지되도록 구성하였다.
상기 송풍팬(107)내로 흡입되는 냉각공기를 가압, 가속시켜 흡입분포가 균일하게하여 송풍팬(107)의 중앙에서 와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9도와 같이 메인플레이트(112)의 전면에 다수개 형성한 곡률형상의 보조날개(116)와, 상기 메인 플레이트(112)의 후면에 다수개 형성한 직선형 보조날개(117)를 구비하였다.
그리고, 제10도와 같이 송풍팬(107)의 회전에 따라 흡입되어 토출되는 것을 안내하는 하우징(109)에 토출안내판(118)을 구비하였다.
상기 곡률형상의 보조날개(116)는 팬모터(108)축에서 날개(113)의 입구까지 큰 곡률로 형성하고, 상기 날개(113) 폭 만큼의 폭으로 형성하였다.
그리고, 상기 토출안내판(118)은 제10도와 같이 송풍팬(107)과 하우징(109)의 최단거리부분인 차단부(119)(CUT-OFF)의 반대편에서 시작하여 하우징(109)의 폭 만큼으로 팬토출부(120)까지 일정곡률로 형성하였다.
그리고, 상기 송풍팬(107)은 메인플레이트(112)를 중심으로 양편에 다수개의 날개(121)가 부착되고 팬링(122)으로 지지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효과를 설명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태에서 공조기를 가동시키면 공기가 흡입그릴부(102)를 통하여 흡입되어 열교환부(103)를 지나면서 냉각된 공기는 송풍팬(107)의 회전력에 의하여 송풍부(104)로 흡입되었다 토출된다.
그리고, 흡입그릴부(102)를 통하여 흡입공기는 열교환부(103)를 통과하고 S자로 꺽여져서 오리피스(111)를 통과하여 송풍팬(107)으로 유입된다.
이와 같이 송풍팬(107)으로 유입된 공기는 메인플레이트(112)의 전면에 다수개 형성된 곡률형상의 보조날개(116)와 메인플레이트(112)의 후면에 다수개 형성한 직선형 보조날개(117)에 의해 흡입력이 발생하여 가압, 가속되어져서 회전력이 발생하여 냉각공기가 날개(121)로 보내졌다.
이와 같이 1차로 발생한 회전력을 가진 냉각공기는 2차로 날개(121)에 의해 더욱 더 가압가속되어져서 하우징(109)내로 토출된다.
이와 같이 토출되면서 차단부(119)에서 모아진 공기는 하우징(109)의 곡률부를 따라 가압되어지다가 토출안내판(118)에 의해 분리되어져서 상기 토출안내판(118)과곡률부를 따라 토출되어진다.
이와 같이 토출되어지는 냉각공기가 상기 토출안내판(118)의 시작점에서 다시 송풍팬(107)에서 토출된 공기는 토출되면서 토출안내판(118)을 따라서 가압되어져 유로를 따라서 팬토출부(115)를 통해 토출된 공기는 토출그릴부(105)를 통해 토출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공조기가 작동하여 송풍팬(107)내로 유입되는 공기가 송풍팬(107)의 전후면 중앙에서 와류가 발생하고, 흡입분포가 불균일한 것을 메인플레이트(112)에 형성된 곡률형상의 보조날개(116) 및 직선형 보조날개(117)를 채용하여 제8도와 같이 1차로 공기를 회전시켜 가압, 가속시켜 날개(121)로 보내어서 원활하게 흡입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따라서, 균일한 흡입에 따른 흡입소음을 저감하고 날개(121)를 통과한 공기는 하우징(109)으로 토출되는데, 토출된 공기는 각각 토출안내판(118)에 의해 분래되어져 각각 절반씩 토출되어진다.
이에 의해서 하우징(109)의 곡률에 따라서 발생되어 불충분한 가압에 의한 유동박리 및 와류의 발생을 막고 충분히 가압시켜 팬토출부(115)를 통해 원활한 토출이 이루어짐으로써, 토출소음을 저감하도록하여 공력성능 향상 및 소음저감이 가능하도록 하는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송풍통로내에 토출안내판을 가지는 공조기용 송풍장이에 있어서, 토출안내판을 팬과 하우징의 최단 거리부분인 차단부의 반대편에서 시작하여 하우징의 폭 만큼 팬 토출부까지 일정곡류로 되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기용 송풍장치.
KR2019930023152U 1993-11-06 1993-11-06 공조기용 송풍장치 KR9600093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3152U KR960009350Y1 (ko) 1993-11-06 1993-11-06 공조기용 송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3152U KR960009350Y1 (ko) 1993-11-06 1993-11-06 공조기용 송풍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4674U KR950014674U (ko) 1995-06-17
KR960009350Y1 true KR960009350Y1 (ko) 1996-10-16

Family

ID=19367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23152U KR960009350Y1 (ko) 1993-11-06 1993-11-06 공조기용 송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935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4674U (ko) 1995-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70996A (en) Compact centrifugal fan
US4189281A (en) Axial flow fan having auxiliary blades
EP2270338B1 (en) Blower and heat pump device using same
EP0763698B1 (en) Cross flow blower
KR102058064B1 (ko) 공기조화기
JPH0534567B2 (ko)
JP2019019762A (ja) 送風装置
WO2020008519A1 (ja) 多翼送風機及び空気調和装置
JP2004060447A (ja) 多翼ファン
JP3866897B2 (ja) 貫流送風機および空気調和機
JP2012047080A (ja) プロペラおよび送風機並びにヒートポンプ装置
JP2010286173A (ja) 案内羽根、及びこれを備えた空気調和機
US3270656A (en) Ventilator with air discharge means
CN210832217U (zh) 空调机的室内机
JP2000065418A (ja) 空気調和機
JP3757481B2 (ja) 空気調和機用室外機ユニット
KR101233538B1 (ko) 크로스 플로우 팬 및 이것을 구비한 공기 조화기
JPH0558897U (ja) 空調用ブロア
KR960009350Y1 (ko) 공조기용 송풍장치
KR100468468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140014409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960009348Y1 (ko) 공조용 송풍기
JP2000120582A (ja) 遠心送風機
JPH1019291A (ja) 壁掛け式空気調和装置
WO2022195717A1 (ja) スクロールケーシング、このスクロールケーシングを備えた送風装置および空気調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26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