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14073A -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사용시간 표시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사용시간 표시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14073A
KR20050014073A KR1020030052515A KR20030052515A KR20050014073A KR 20050014073 A KR20050014073 A KR 20050014073A KR 1020030052515 A KR1020030052515 A KR 1020030052515A KR 20030052515 A KR20030052515 A KR 20030052515A KR 20050014073 A KR20050014073 A KR 200500140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time
code value
voltage data
to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25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유진
오성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525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14073A/ko
Publication of KR200500140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4073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02J7/0048Detection of remaining charge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8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터리 측정부를 구비하며, 상기 배터리 측정부로부터 측정된 배터리의 잔량 전압에 해당하는 코드값들을 복수의 코드구간들로 분할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사용시간 표시방법에 있어서, 현재 배터리의 잔량 전압에 해당하는 코드값을 입력하고, 상기 복수의 코드구간들의 최상위 코드값들중에 상기 입력된 코드값이 존재하는지 검사하여 상기 입력된 코드값이 존재하는 경우 현재의 시간을 검사 시작시간으로 저장하고, 상기 입력된 코드값이 속하는 코드구간의 최하위 코드값을 독출하는 과정과, 현재 배터리의 잔량 전압에 해당하는 코드값을 입력하고, 상기 입력된 코드값과 상기 독출된 최하위 코드값을 비교하여 동일할 경우 현재의 시간을 검사 종료시간으로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검사 종료시간에서 상기 검사 시작시간을 감산하여 하강속도값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하강속도값을 이용해서 상기 배터리의 총수명시간을 획득하는 과정과, 현재 배터리의 잔량에 해당하는 코드값을 입력하고, 상기 입력된 코드값에 따른 배터리 잔량 비율을 획득하는 과정과, 상기 획득된 배터리의 총수명시간과 상기 획득된 배터리 잔량 비율을 곱해 배터리의 예상 사용시간을 계산하여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사용시간 표시방법{METHOD FOR DISPLAYING BATTERY USE TIME IN MOBILE PHONE}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사용시간 표시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배터리의 총수명을 예측하고, 상기 예측된 배터리의 총수명을 가지고 예상 사용시간을 산출하여 표시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와 같은 휴대용 통신기기들은 휴대 상태에서 무선을 통한 통화 수행을 이룬다. 이동통신 단말기는 배터리에 의해서 통화수행에 필요한 동작 전원을 공급 받는다. 따라서 배터리의 사용 가능한 시간이 어느 정도인지, 얼마나 더 오래 사용할 수 있는지 여부는 사용자들의 주요한 관심 사항이 된다.
그러나 통상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배터리 잔류량 및 사용 시간을 구체적으로 표시하지 않고 있어 사용자가 여러모로 불편함을 느끼게 되었다. 특히, 종래의 배터리 잔량 표시 방법은 단지 상, 중, 하로 아이콘을 구분한 후 해당 아이콘의 표시 상태로서 사용자가 배터리 잔류량을 알도록 하고 있는데 이러한 표시 방법을 통해 사용자는 정확한 잔류량 및 예상 사용시간을 알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배터리를 사용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배터리의 총수명을 예측하고, 이를 토대로 배터리의 예상 사용시간을 표시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배터리 측정부를 구비하며, 상기 배터리 측정부로부터 측정된 배터리의 잔량 전압에 해당하는 코드값들을 복수의 코드구간들로 분할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사용시간 표시방법에 있어서, 현재 배터리의 잔량 전압에 해당하는 코드값을 입력하고, 상기 복수의 코드구간들의 최상위 코드값들중에 상기 입력된 코드값이 존재하는지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입력된 코드값이 존재하는 경우 현재의 시간을 검사 시작시간으로 저장하고, 상기 입력된 코드값이 속하는 코드구간의 최하위 코드값을 독출하는 과정과, 현재 배터리의 잔량 전압에 해당하는 코드값을 입력하고, 상기 입력된 코드값과 상기 독출된 최하위 코드값을 비교하는 과정과, 상기 입력된 코드값과 상기 최하위 코드값이 동일할 경우 현재의 시간을 검사 종료시간으로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검사 종료시간에서 상기 검사 시작시간을 감산하여 하강속도값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하강속도값을 이용해서 상기 배터리의 총수명시간을 획득하는 과정과, 현재 배터리의 잔량에 해당하는 코드값을 입력하고, 상기 입력된 코드값에 따른 배터리 잔량 비율을 획득하는 과정과, 상기 획득된 배터리의 총수명시간과 상기 획득된 배터리 잔량 비율을 곱해 배터리의 예상 사용시간을 계산하여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일반적인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 블럭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사용시간을 계산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사용시간을 표시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사용시간 메뉴 구성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잔량 및 사용시간 구성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방전특성 단계를 나타내는 테이블,
도 6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수명색인에 따른 총대기시간을 나타내는 테이블,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수명색인에 따른 총통화 가능시간을 나타내는 테이블,
도 6c는 도 5의 코드값 구간에 따른 배터리 잔여량 비율을 나타내는 테이블,
도 7a 및 도 7b는 배터리 방전 특성을 보여주는 그래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 중 참조번호들 및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들 및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수도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이하 설명에서 "배터리의 총수명"이라 함은 현재의 배터리가 만충전상태에서 방전될때까지 소요되는 시간을 나타낸다. 즉, 현재 배터리의 수명에 따른 총대기시간(혹은 총통화시간)을 나타낸다. 한편, 이하 설명에서 "배터리의 예상 사용시간"은 현재 시점으로부터 방전될때까지의 시간(예 : 대기시간, 통화시간 등)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상기 배터리의 예상 사용시간을 산출하여 표시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일반적인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 블럭 구성도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제어부(MPU: Micro-processor Unit)(100)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예상 사용시간 표시를 제어하며, 측정된 배터리 잔류량과 그를 통한 예상 시간의 계산 동작을 수행한다.
롬(ROM : Read Only Memory)(102)은 상기 제어부(10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의 마이크로 코드와 참조 데이터를 저장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잔량 검출 및 표시에 따른 동작 수행 프로그램등을 코드화하여 저장한다. 램(RAM : Random Access Memory)(104)은 상기 제어부(100)의 워킹 메모리(working memory)로, 각종 프로그램 수행중에 발생하는 일시적인 데이터를 저장한다. 램은 통산 버퍼(buffer)로서 사용되어 검출된 전압 데이터 및 배터리 사용 예상시간의 표시 데이터가 저장된다. 플래쉬 램(flash memory)(106)은 전화번호부(phone book)와 같은 갱신 가능한 각종 보관용 데이터를 저장한다. 상기 롬, 램 등의 메모리에는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 배터리의 잔량 전압데이터(또는 코드값)에 따른 배터리의 총수명을 테이블화하여 저장하고, 배터리의 잔량 전압데이터에 따른 배터리 잔량 비율을 테이블화하여 저장하고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에 따라 배터리 전압의 측정이 이루어지면,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테이블들을 이용해 측정된 코드값(또는 배터리의 잔량 전압데이터)에 해당하는 배터리의 총수명 및 배터리의 예상 사용시간을 산출하게 된다. 예를들어, 상기 메모리(100)는 도 5에 도시된 배터리 방전특성 단계를 나타내는 테이블, 도 6a에 도시된 배터리 수명색인에 따른 총대기시간을 나타내는 테이블, 도 6b에 도시된 배터리 수명색인에 따른 총통화 가능시간을 나타내는 테이블, 도 6c에 도시된 도 5의 코드값 구간에 따른 배터리 잔여량 비율을 나타내는 테이블 등이 저장되어 있다.
키패드(Key pad)(108)는 0~9의 숫자키들과, 메뉴(menu), 문자전송키, 통화, 지움, 종료, *, #, 스크롤키(Up/Down key)등 다수의 기능키들을 구비하며, 사용자가 누르는 키에 대응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100)로 제공한다.
디스플레이부(110)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 중에 발생되는 상태 정보, 제한된 숫자의 문자들, 다량의 동영상 및 정지영상 등을 디스플레이 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10)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LCD : Liquid Crystal Display)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00)에 연결된 코덱(CODEC : Coder-Decoder)(112)과, 상기 코덱(112)에 접속된 송화부(116) 및 수화부(114)는 전화 통화 및 음성 녹음에 사용되는 음성 입출력 블록이다. 상기 코덱(112)은 상기 제어부(100)에서 제공되는 PCM 데이터를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송화부(116)를 통해 송출하고, 상기 수화부(114)를 통해 수신되는 음성신호를 PCM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제어부(100)로 제공한다.
또한, RF부(Radio Frequency unit)(120)는 안테나(118)를 통해 수신되는 라디오주파수 신호를 주파수 하강시켜 기저대역처리부(122)로 제공하고, 상기 기저대역처리부(122)로부터의 기저대역신호를 주파수 상승시켜 상기 안테나(118)를 통해 송신한다. 상기 기저대역처리부(122)는 상기 RF부(120)와 상기 제어부(100) 사이에 송수신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처리한다. 예를 들어, 송신인 경우 송신할 데이터를 채널코딩(channel coding) 및 확산(spreading)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수신인 경우 수신신호를 역확산(despreading) 및 채널복호(channel decoding)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배터리 측정부(124)는 A/D 컨버터를 구비하여 상기 배터리의 잔량 전압을 디지털 데이터(코드값)로 변환하여 제어부(100)로 출력한다. 즉, 상기 배터리 측정부(124)는 상기 배터리(126)로부터의 아날로그 전압신호를 디지털 데이터(8비트)로 변환하여 메모리의 특정영역에 기록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배터리 잔량 전압을 측정하여 배터리의 예상 사용시간을 표시할 수 있다. 이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사용시간을 계산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제어부(100)는 210단계에서 대기모드를 수행하고, 212단계에서 배터리 측정부(124)로부터 측정되어 램(104)에 저장된 배터리 전압데이터를 독출한다. 이후 214단계에서 제어부(100)는 상기 총수명을 산출하기 위한 테이블(도 5 참조)을 억세스하여 코드구간들의 제1기준값들(상위 코드값)을 독출하고, 상기 제1기준값들과 상기 독출된 현재 전압데이터(코드값)를 비교한다. 상기 제1 기준값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160~220사이의 구간을 5코드 구간으로 분할한 값들중에서 구간별 상위값들(165, 170, 175, 180, 185, 190, 195, 200, 205, 210, 215, 220)이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00)는 216단계에서 상기 미리 설정된 제1 기준값들중 상기 현재 전압데이터와 동일한 값이 존재하는지 판단한다. 미리 설정된 제1 기준값들중 상기 현재 전압데이터와 동일한 값이 존재하면, 218단계로 진행하며, 동일하지 않으면 212단계로 되돌아가서 이하 단계를 반복 수행한다.
상기 218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00)는 현재의 시간을 전압데이터 검사 시작시간으로 저장한다. 이후 220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00)는 램(104)으로부터 현재의 전압데이터를 독출한다. 이후 222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배터리 총수명을 산출하기 위한 테이블을 억세스하여 상기 제1 기준값과 쌍을 이루는 제2 기준값(하위 코드값)을 독출하고, 상기 제2기준값과 상기 현재 전압데이터를 비교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00)는 224단계에서 상기 현재 전압데이터와 상기 제2 기준값이 동일한지 판단한다. 상기 현재 전압데이터와 미리 설정된 제2 기준값이 동일하면 상기 제어부(100)는 226단계로 진행하며, 동일하지 않으면 212단계로 되돌아가서 이하 단계를 반복 수행한다. 상기 제2 기준값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160~220사이의 구간을 5코드 구간으로 분할한 값들중에서 구간별 하위값들(160, 165, 170, 175, 180, 185, 190, 195, 200, 205, 210, 215)이다.
상기 226단계에서 제어부(100)는 현재의 시간을 전압데이터 검사 종료시간으로 램(104)에 저장한다. 이후 228단계에서 제어부(100)는 배터리 총수명 시간(또는 배터리 총수명)을 계산하여 램(104)에 저장한다. 제어부(100)는 램(104)에 저장된 배터리 총수명을 산출하기 위한 테이블(도 5)을 억세스하여, 상기 배터리 총수명 시간을 계산한다. 상기 현재 전압데이터 검사 종료시간에서 현재 전압데이터 검사 시작시간을 뺀값을 하강속도값이라 한다. 배터리 총수명을 산출하기 위한 테이블의 측정구간에 해당하는 값들중에서 상기 하강속도값과 가장 차이가 적게 나는 값이 10개의 방전 특성 단계들중 몇 번째 단계에 해당하는지 판단하고, 도 6a 및 도 6b를 억세스하여 그 방전특성 단계에 해당하는 총대기시간(총수명 시간) 및 총통화 가능시간을 결정한다.
일반적으로, 배터리의 잔량 전압값(코드값)은 8비트로 표현되기 때문에 0~255 사이의 값을 가진다. 그러나 실제로 배터리를 충전할때 완전 충전 상태부터 파워오프(Power off)까지의 코드값은 160~220 사이이다. 따라서, 제어부(100)가 160부터 220사이의 각 구간에 대해서 하강속도를 측정한다. 상기 하강속도값은 현재 전압데이터 검사 종료시간에서 현재 전압데이터 검사 시작시간을 뺀 값이다. 160에서 220까지의 5코드의 구간은 모두 12개로 구분되며, 배터리 수명에 따른 방전 특성은 10단계로 구분되어,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모두 12×10의 배열이 된다. 도 5를 참조하면, 160~175 구간 및 215~220 구간은 n/a로 되어 있다. 160~175 구간은 배터리가 상,중,하 중에서 하(0칸)로 표시되는 구간이기 때문에 배터리 전압을 측정하는데 소비되는 전류소모를 줄이기 위해서 측정구간으로는 적합하지 않으며, 실제로 0칸으로 유지되는 시간이 짧기 때문에 측정하기 어렵다. 또한 215~220 구간은 읽히기 힘든 코드값이므로 측정이 불가능한 구간이다. 도 5의 값들은 충분한 실험을 거쳐서 측정될 수 있으며, 해당 배터리 특성과 제조사마다 달라질 수 있다.
이후 230단계에서 제어부(100)는 램(104)으로부터 현재의 전압데이터를 독출한다. 이후 232단계에서 제어부(100)는 배터리 예상 사용시간을 계산하여 램(104)에 저장한다. 상기 배터리 예상 사용시간은 상기 228단계에서 계산된 배터리 총수명과 상기 230단계에서 독출한 전압데이터에 해당하는 배터리 잔량 비율의 곱으로 산출된다. 상기 배터리 예상 사용시간은 총대기시간, 총통화가능시간, 데이터통신 가능시간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배터리 예상 사용시간을 총대기시간으로 가정할 때, 제어부(100)는 상기 현재의 전압데이터를 가지고 도 6c와 같은 테이블을 억세스하여 배터리 잔량 비율을 독출하고, 도 6a와 같은 테이블을 억세스하여 구한 배터리의 총수명에 해당하는 총대기시간과 상기 독출된 배터리 잔량 비율을 곱해 총대기시간을 산출한다.
예를 들어, 측정구간이 180∼185이고, 상기 구간에서 측정된 하강속도값이 1056분이라 할때,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도 5의 테이블을 억세스해서 상기 구간에 해당하는 10개의 배터리 방전특성 단계들의 값들과 상기 하강속도값을 비교하여 가장 비슷한 값을 갖는 단계를 결정한다. 여기서, 가장 차이가 적은 값은 3번째열의 18*60(1080)이다. 따라서, 측정된 하강속도값이 3번째 배터리 방전특성 단계에 해당함을 알수 있다. 이후, 상기 제어부(100)는 램(104)에 저장된 도 6a, 도 6b에 해당하는 테이블을 억세스하여 3번째열에 해당하는 총대기시간, 총통화 가능시간 등의 배터리의 총수명을 구한다. 도 6a,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3번째열에 해당하는 총대기시간은 147시간이며, 3번째열에 해당하는 총통화 가능시간은 88분이다. 즉, 현재의 배터리 상태에 따른 수명은 대기시간을 기준으로 147시간이고, 통화시간을 기준으로 88분이 된다.
이후, 상기 제어부(100)는 현재 배터리 잔량의 코드값에 해당하는 배터리 잔량 비율과 상기 산출된 총수명을 이용해 배터리 예상 사용시간을 산출한다. 만일, 현재 배터리 잔량의 코드값이 179라면, 도 6c를 참조하여 코드값 179가 해당하는 구간에 따른 배터리 잔여량 비율이 15%이므로 예상 대기시간은 147×0.15 = 22.05 시간이고, 예상 통화시간은 88×0.15=13.2 분이 된다.
상기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부(100)는 배터리의 예상 사용시간을 계산하여 램(104)에 저장한다. 제어부(100)는 사용자에 의한 배터리 사용시간 메뉴가 입력되면, 배터리의 예상 사용시간을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110)에 표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사용시간을 표시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제어부(100)는 310단계의 메뉴모드를 수행하고, 이후 312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한 버튼 입력을 받는다. 이후 314단계에서 제어부(100)는 사용자의 버튼 입력에 의해 선택된 메뉴가 배터리 사용시간인지 판단한다. 제어부(100)는 버튼 입력에 의해 선택된 메뉴가 배터리 사용시간인 경우 318단계로 진행하며, 버튼 입력에 의해 선택된 메뉴가 배터리 사용시간이 아닌 경우 316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316단계에서 제어부(100)는 버튼 입력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318단계에서 제어부(100)는 버튼 입력에 의해 선택된 메뉴가 배터리 사용시간인 경우, 램(104)에 저장된 배터리 예상 사용시간을 독출하고, 320단계에서 상기 독출한 배터리 예상 사용시간을 도 4b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10)에 디스플레이한다. 도면은 배터리 예상 사용시간으로 예상 대기시간(대기 가능시간)과 예산 통화시간(통화 가능시간)을 디스플레이하고 있지만, 상기 배터리 예상 사용시간은 예상 통화시간, 예상 대기시간, 예상 데이터 통신시간 등이 될 수 있다.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사용시간 메뉴구성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사용자에 의해서 선택된 메뉴가 배터리 사용시간인 경우, 도 4b와 같이 배터리 사용시간이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110)에 표시된다.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잔량 및 사용시간 구성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배터리 잔량을 100분율로 디스플레이하고, 하단에 전체 가능시간(총수명에 따른 배터리 총대기시간), 예상 대기가능시간, 예상 통화 가능 시간 등을 디스플레이한다.
도 7a 및 도 7b는 배터리 방전특성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x축은 시간을 나타내며, y축은 코드값을 나타낸다. 여기서, 도 7b가 도 7a보다 더 많이 사용된 배터리의 방전특성을 나타낸다.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수명이 짧아지는 것은 방전 곡선 자체의 변화에 의해서가 아니라 방전 시간이 짧아지는 것이다. 도 7b를 참조하면, 방전시간이 x에서 x'로 짧아졌음을 알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표시방법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함에 있어 사용자가 보다 더 정확하게 이후 사용 가능한 배터리 잔류량과 예상 사용시간을 알 수 있으므로 이 같은 정보를 통해서 사용자는 배터리 교체 시기를 보다 정확히 알 수 있다.

Claims (3)

  1. 배터리 측정부를 구비하며, 상기 배터리 측정부로부터 측정된 배터리의 잔량 전압에 해당하는 코드값들을 복수의 코드구간들로 분할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사용시간 표시방법에 있어서,
    현재 배터리의 잔량 전압에 해당하는 코드값을 입력하고, 상기 복수의 코드구간들의 최상위 코드값들중에 상기 입력된 코드값이 존재하는지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입력된 코드값이 존재하는 경우 현재의 시간을 검사 시작시간으로 저장하고, 상기 입력된 코드값이 속하는 코드구간의 최하위 코드값을 독출하는 과정과,
    현재 배터리의 잔량 전압에 해당하는 코드값을 입력하고, 상기 입력된 코드값과 상기 독출된 최하위 코드값을 비교하는 과정과,
    상기 입력된 코드값과 상기 최하위 코드값이 동일할 경우 현재의 시간을 검사 종료시간으로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검사 종료시간에서 상기 검사 시작시간을 감산하여 하강속도값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하강속도값을 이용해서 상기 배터리의 총수명시간을 획득하는 과정과,
    현재 배터리의 잔량에 해당하는 코드값을 입력하고, 상기 입력된 코드값에 따른 배터리 잔량 비율을 획득하는 과정과,
    상기 획득된 배터리의 총수명시간과 상기 획득된 배터리 잔량 비율을 곱해 배터리의 예상 사용시간을 계산하여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의 총수명시간 획득과정은,
    각 코드구간별로 배터리 방전특성 단계들의 각각에 대한 하강속도값을 저장하는 테이블을 억세스하여 상기 산출된 하강속도값에 따른 배터리 방전특성 단계를 독출하는 과정과,
    상기 독출된 배터리 방전특성 단계를 가지고 상기 방전특성 단계들의 각각에 대한 배터리 총수명시간을 저장하는 테이블을 억세스하여 배터리 총수명시간을 독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버튼 입력에 의해 배터리 사용시간 메뉴항목이 선택될시, 상기 저장되어 있는 배터리 예상 사용시간을 독출하여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30052515A 2003-07-30 2003-07-30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사용시간 표시방법 KR200500140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2515A KR20050014073A (ko) 2003-07-30 2003-07-30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사용시간 표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2515A KR20050014073A (ko) 2003-07-30 2003-07-30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사용시간 표시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4073A true KR20050014073A (ko) 2005-02-07

Family

ID=37225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2515A KR20050014073A (ko) 2003-07-30 2003-07-30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사용시간 표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1407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33378A1 (en) * 2009-09-21 2011-03-24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at least one indicator related to a projected battery lifespan
WO2015178670A1 (en) * 2014-05-20 2015-11-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managing battery of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performing the same
KR20160141287A (ko) * 2015-05-29 2016-12-08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가스렌지용 배터리 자동교체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33378A1 (en) * 2009-09-21 2011-03-24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at least one indicator related to a projected battery lifespan
WO2015178670A1 (en) * 2014-05-20 2015-11-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managing battery of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performing the same
US9910101B2 (en) 2014-05-20 2018-03-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managing battery of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performing the same
US10340560B2 (en) 2014-05-20 2019-07-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managing battery of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performing the same
KR20160141287A (ko) * 2015-05-29 2016-12-08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가스렌지용 배터리 자동교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49632E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charging state of battery of portable terminal
KR101941510B1 (ko)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7171186B2 (en) Cellular mobile phone with user-data backup and available time display functionality
US6915221B2 (en) Self learning system and method for predicting remaining usage time for different modes of a mobile device
KR20080068543A (ko) 정보 처리 단말 및 표시 제어 방법
US20060006842A1 (en) System and method for power consumption management
KR101829710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배터리 소모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050014073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사용시간 표시방법
KR100834958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소모전류 표시방법
JP4222556B2 (ja) ヘルプ情報表示装置
EP4099037B1 (en) Prediction method and apparatus of battery health, and storage medium
US20040204174A1 (en) Method for using system information from a wireless network to predict current consumption in different modes of a mobile telephone
KR20000025250A (ko) 휴대전화기의 배터리 잔여 사용 시간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790153B1 (ko) 이동 단말기의 배터리 잔량 표시 방법
KR20020068576A (ko)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잔량 및 수신감도 표시 방법
JP4570641B2 (ja) パーソナルコンピューターにおけるアイコンの表示方法
KR20050031332A (ko)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잔량 표시장치 및 방법
KR100315546B1 (ko) 이동무선전화기의 배터리 잔류용량 표시방법
KR100532597B1 (ko) 배터리 충전 알림 장치 및 그 방법
KR20060060871A (ko)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잔량 제어 방법
KR20050106599A (ko) 배터리 잔량에 따른 이동 단말기 운용 방법
KR100326316B1 (ko) 통신단말기에서 전화번호 검색방법
KR101410006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배터리 잔량 표시 방법 및 장치
KR100778366B1 (ko) 배터리 잔량 정보를 통한 보다 안정된 통화가 가능한휴대용 단말기 및 그 방법
KR20050027588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