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6316B1 - 통신단말기에서 전화번호 검색방법 - Google Patents

통신단말기에서 전화번호 검색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6316B1
KR100326316B1 KR1020000033261A KR20000033261A KR100326316B1 KR 100326316 B1 KR100326316 B1 KR 100326316B1 KR 1020000033261 A KR1020000033261 A KR 1020000033261A KR 20000033261 A KR20000033261 A KR 20000033261A KR 100326316 B1 KR100326316 B1 KR 1003263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l
battery
phone number
terminal
predetermi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32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113128A (ko
Inventor
박승현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200000332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6316B1/ko
Publication of KR200101131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131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63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63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04M1/27467Methods of retrieving data
    • H04M1/2748Methods of retrieving data by matching character str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H04W52/0267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controlling user interface compon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H04W52/0296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switching to a backup power supp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의 잔량을 검사하여 소정 레벨로 특정하는 배터리측정부를 구비하며, 상기 배터리의 잔량이 방전레벨보다 큰 소정 제1레벨일 경우 단말기의 전원을 오프시키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배터리 소모시에도 전화번호를 검색하기 위한 방법이, 전원 온시 상기 배터리의 잔량을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배터리의 잔량이 상기 제1레벨과 상기 제1레벨보다 작은 소정 제2레벨로 규정되는 특정 구간내에 존재할 경우 전화번호만을 검색할수 있는 전화번호 검색모드를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통신단말기에서 전화번호 검색 방법{METHOD FOR SEARCHING THE TELEPHONE NUMBER IN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은 통신단말기의 전화번호 검색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배터리가 소모되어도 전화번호를 검색할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 단말기의 사용이 증가함에 따라 많은 사람들이 전자 수첩 대신에 전화번호를 단말기에 저장해 놓는다. 따라서 전화번호를 외우지 않고 단지 단말기에 저장된 번호만을을 가지고 전화를 하다보니, 단말기의 배터리가 소모되면 전화번호를 알수 없어 전화를 걸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현재, 단말기의 배터리는 2.7볼트 정도 될 때까지 셀(cell)이 터지도록 설계되어 있다. 만약에 배터리 레벨이 3.0 볼트까지만 읽을수 있다면 대기(Stand by)상태에서 약 30분, 통화(talk)상태에서 10분 미만의 손실(loss)가 있을 뿐이다. 따라서 약 48시간(2880분)중에서 약 30분(약 1%)을 버린다고 해도 사용자는 이에 대해 크게 불편함을 느끼지 못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배터리 소모시에도 전화번호를 검색할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배터리의 잔량을 검사하여 소정 레벨로 특정하는 배터리측정부를 구비하며, 상기 배터리의 잔량이 방전레벨보다 큰 소정 제1레벨일 경우 단말기의 전원을 오프시키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배터리 소모시에도 전화번호를 검색하기 위한 방법이, 전원 온시 상기 배터리의 잔량을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배터리의 잔량이 상기 제1레벨과 상기 제1레벨보다 작은 소정 제2레벨로 규정되는 특정 구간내에 존재할 경우 전화번호만을 검색할수 있는 전화번호 검색모드를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배터리 소모시에도 전화번호를 검색할수 있도록 하는 제어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단말기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1를 참조하면, 제어부(10)는 상기 통신단말기 전반적인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며, 본 발명에 따라 배터리측정부(100)으로 부터 제공되는 배터리 레벨에 관한 디지털 값을 이용하여 단말기를 오프(off)시키거나, 부팅(booting)시 배터리 레벨이 소정구간에 존재하는지 검사하여 상기 소정구간에 존재할 경우 전화번호 검색모드를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메모리(20)는 상기 통신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롬 및 상기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기 위한 램 등을 구비한다.
음성처리부(50)는 상기 통신단말기의 음성처리를 위한 마이크로폰(SP) 및 리시버(MIC)에 연결되며, 상기 리시버(MIC)로 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거나, 모뎀40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 처리하여 상기 마이크로폰(SP)로 출력한다.
상기 모뎀(40)은 상기 음성처리부(50)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채널코딩(channel coding) 및 확산(spreading)하여 무선부(30)로 출력하거나, 상기 무선부(30)로 부터 입력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역확산(despreading) 및 채널복호(channel decoding)하여 상기 음성처리부(50)으로 출력한다.
상기 무선부(RF30)는 상기 모뎀(40)으로부터 제공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주파수 상향조정하여 고주파신호(RF신호호)로 변환하여 무선채널을 통해 기지국(basestation)로 송신하거나, 안테나(AT)로부터 수신되는 고주파신호를 주파수 하향 조정하여 아날로그 기저 대역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모뎀(30)으로 출력한다.
키입력부(60)는 다수의 숫자키를 포함하는 키메트릭스로 구성되며, 키조작에 의해 발생되는 키데이타를 상기 제어부(10)에 제공한다. 표시부(70)는 상기 제어부(10)의 제어하에 통신단말기의 동작상태를 액정표시창(LCD)에 표시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제어부10으로부터 배터리 전압 상태에 관한 표시 데이터를 입력받아 상기 액정표시창(LCD)에 표시한다.
전압공급부(80)는 배터리(90)으로 부터 전압을 인가받아 적정한 레벨로 DC 전압으로 다운시켜 각 부에 제공한다. 상기 배터리(90)는 상기 충전기에 장착해서 제공받은 충전전압을 보유하며, 상기 충전전압을 상기 전원공급부(80)에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측정부(100)는 상기 배터리(90)의 전압레벨을 측정하여 상기 제어부(10)로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배터리측정부(100)는 A/D 컨버터를 구비하며, 상기 배터리(90)로 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전기적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화하여 상기 제어부(10)에 출력한다.
일반적으로, 단말기의 전원(power key)을 누르면 단말기의 소프트웨어(s/w) 작동순서는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의 부트(boot)영역을 읽어들인후 전원에서 손을 떼어도 파워를 유지할수 있는 ps hold 신호를 내보낸다. 이후 배터리 잔량을 체크한후 시스템을 포착(acquisition)한후 페이징모드(paging mode)로 진입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관심있는 부분은 배터리 체크 부분인데, 단말기 기종에 따라 체크하는 임계치(threshold) 값이 다르지만 보통 128레벨 정도면 모뎀(modem)은 배터리데드(dead)라고 인식한다.
우선, 모뎀은 배터리를 체크하는데 있어, 예를들어,140레벨(약 30분) 정도 까지만 인식하고 단말기를 오프시킨다. 대부분의 사용자들은 이때 배터리를 교체하게 된다. 하지만 배터리는 없지만 전화번호를 검색하고 싶은 경우 이때 다시 전원을 누르게 된다. 그러면 모뎀은 부팅시키는 절차를 수행함에 있어서, 배터리 레벨이 140레벨 미만 128레벨 이상이면 전화번호만 검색할수 있는 모드로 재 부팅시킨다. 그러면 사용자는 비록 통화를 할수 없더라도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전화번호를 검색할수 있다.
이하 구체적인 동작을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살펴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배터리 소모시 전화번호를 검색하기 위한 제어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0)는 211단계에서 전원(pwer key)이 온(on)되는지 검사한다. 여기서 상기 전원이 온될 시 상기 제어부(10)는 21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배터리측정부(100)로부터 수신되는 배터리 레벨을 검사한다. 여기서 배터리측정부(100)은 상기 배터리(90)의 전압크기를 양자화를 통해 소정레벨을 나타내는 디지털 값으로 상기 제어부(10)로 제공한다. 예를들어, 배터리 전압크기를 256레벨로 표현할수 있다고 가정하고, 기존에는 128레벨에서 단말기를 꺼버린다고 가정한다. 본 발명은 전화번호 검색을 수행할수 있는 최소한의 배터리의 용량을 남겨놓고 단말기를 꺼버리도록 프로그램한다. 즉, 본 발명은 예를들어, 단말기가 오프되는 배터리 레벨을 140레벨로 가정한다. 즉, 전화번호 검색을 위한 12레벨(140레벨-128레벨)만큼의 배터리 용량을 남겨놓는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0)는 215단계에서 상기 배터리측정부(100)으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배터리 레벨이 소정구간(128레벨∼140레벨)내에 존재하는지 검사한다. 여기서 상기 배터리 레벨이 상기 소정구간에 존재할 경우 상기 제어부(10)는 217단계로 진행하고, 상기 배터리 레벨이 상기 소정구간내에 존재하지 않을 경우 223단계로 진행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10)는 상기 223단계에서 상기 배터리 레벨이 임계값(threshold:128레벨:전원이 오프되는 레벨) 미만인지 검사한다. 여기서 상기 배터리 레벨이 상기 전원이 오프되는 레벨 미만으로 검사될 시 상기 제어부(10)는 227단계로 진행하여 단말기의 전원을 오프(off)시키고, 그렇지 않을 경우 22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배터리 레벨이 정상적인 부팅을 수행할수 있는 레벨(140레벨 이상)로 검사될 경우 부팅절차를 수행한다.
한편, 상기 배터리 레벨이 상기 소정구간내에 존재함을 감지하면, 상기 제어부(10)는 217단계로 진행하여 전화번호 검색모드로 진입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0)는 219단계에서 상기 전화번호 검색모드를 수행하기 위한 초기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가령, [1.번호검색 2.이름검색 3.최근통화]를 디스플레이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10)는 221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 키조작에 대응하여 소망의 전화번호를 선택하여 디스플레이한후 종료한다. 여기서, 상기 전화번호 검색을 위해 남겨놓는 배터리의 용량은 대략 대기상태에서 약 30분정도, 통화상태에서 10분정도를 동작할수 있는 용량정도로 가정한다. 예를들어, 단말기의 대기시간이 48시간(이틀정도)이면, 약 30분(1%) 정도를 배터리 소모시에 사용할수 있는 전화번호 검색용으로 남겨놓는다 해도 사용자는 단말기 사용시간에 대해 큰 차이를 느끼지 못할뿐더러, 이러한 대기시간의 단축보다는 사용자에게 보다 큰 편의를 제공할수 있다.
상기한 방법외에, 백업배터리(backup battery)를 전화번호 검색용으로 사용할수 있다. 이 경우는 단말기의 사용시간을 단축시키지는 않지만, 추가적인 회로가 발생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를 사용함에 있어, 배터리가 소모되어도 전화번호만은 검색할수 있도록 함으로서, 사용자가 전화번호를 외우지 못해서 겪는 낭패를 방지할수 있다.

Claims (4)

  1. 배터리의 잔량을 검사하여 소정 레벨로 특정하는 배터리측정부를 구비하며, 상기 배터리의 잔량이 방전레벨보다 큰 소정 제1레벨일 경우 단말기의 전원을 오프시키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배터리 소모시에도 전화번호를 검색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전원 온시 상기 배터리의 잔량을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배터리의 잔량이 상기 제1레벨과 상기 제1레벨보다 작은 소정 제2레벨로 규정되는 특정 구간내에 존재할 경우 전화번호만을 검색할수 있는 전화번호 검색모드를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번호 검색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번호 검색모드 수행과정은,
    상기 전화번호 검색모드 진입시 상기 전화번호 검색모드를 수행하기 위한 초기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과정과,
    상기 초기화면 디스플레이후 사용자의 키조작에 대응하여 소망 전화번호를 선택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번호 검색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의 잔량이 상기 특정 구간내에 존재하지 않을 경우 상기 배터리 잔량이 상기 제2레벨보다 작은지를 검사하여 작을 경우 상기 단말기의 전원을 오프시키고, 상기 제1레벨보다 클 경우 정상적인 부팅절차를 수행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번호 검색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레벨은 상기 단말기의 총 대기시간중에서 약 1% 정도에 해당하는 대기시간을 대기할수 있는 배터리 잔량에 해당하는 레벨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번호 검색방법.
KR1020000033261A 2000-06-16 2000-06-16 통신단말기에서 전화번호 검색방법 KR1003263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3261A KR100326316B1 (ko) 2000-06-16 2000-06-16 통신단말기에서 전화번호 검색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3261A KR100326316B1 (ko) 2000-06-16 2000-06-16 통신단말기에서 전화번호 검색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13128A KR20010113128A (ko) 2001-12-28
KR100326316B1 true KR100326316B1 (ko) 2002-03-08

Family

ID=196722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3261A KR100326316B1 (ko) 2000-06-16 2000-06-16 통신단말기에서 전화번호 검색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631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13128A (ko) 2001-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36532A (en) Portable telephone with power source/mode change during calls
US8565841B2 (en) Cell phone and program for controlling broadcast receiving function of cell phone
RU2269208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охранения мощности в интегрированном электронном устройстве, содержащем персональный цифровой ассистент и беспроводный телефон
AU723280B2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the power source of a portable radio transceiver
CN110176643B (zh) 一种充电方法、供电方法、电源管理设备及终端设备
GB2328588A (en) Adjusting activity intervals according to remaining battery capacity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2037050C (en) Portable telephone with power source/mode change during calls
JP2003008738A (ja) 移動体端末
KR100326316B1 (ko) 통신단말기에서 전화번호 검색방법
KR20050023822A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저전력모드 수행 방법
US6798172B2 (en) Method for preserving capacity of a battery of an electronic device
KR100661549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절약방법
KR100936583B1 (ko) 휴대단말기의 음영지역 동작전원 제어장치 및 그 운용방법
KR100357862B1 (ko) 무선 단말기에서 배터리의 소모를 줄이기 위한 방법
KR100605820B1 (ko) 피디에이 기능과 폰 기능을 구비한 피디에이폰에서사용자데이터 보호방법
KR100525366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자동전원 제어 방법
JP2000253593A (ja) 携帯型無線電話装置とその電源制御方法
JPH1155372A (ja) 携帯電話機
KR100233670B1 (ko) 스마트폰에서 자동 시간 설정방법
KR100349305B1 (ko) 슬롯사이클을 이용한 단말기의 절전장치 및 방법
KR100414466B1 (ko) 회수호출기능을 갖는 이동통신기기 및 다이얼링방법
WO2002001837A2 (en) Scan wait mode based on received signal strength
JP3301129B2 (ja) 携帯用電子機器
KR20030039123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소비전력 제어 방법
KR100251562B1 (ko) 무선전화기의소비전력절약장치및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